[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21201A -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201A
KR20220021201A KR1020200101745A KR20200101745A KR20220021201A KR 20220021201 A KR20220021201 A KR 20220021201A KR 1020200101745 A KR1020200101745 A KR 1020200101745A KR 20200101745 A KR20200101745 A KR 20200101745A KR 20220021201 A KR20220021201 A KR 2022002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olant
refrigerant
valve
he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연
김재완
김연호
조완제
김수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1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201A/ko
Priority to US17/183,713 priority patent/US11870045B2/en
Priority to CN202110317762.4A priority patent/CN114074517B/zh
Publication of KR2022002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20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85Controlling the flow of heating or cooling liquid, e.g. valve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1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vehicle refrigera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60H1/3228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secondary circuits, e.g. at evaporator and condens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uxiliary or multiple systems, e.g. plurality of evaporators, or by involving auxiliary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7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5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01M10/6564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using compressed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9Fluids undergoing a liquid-gas phase change or transition, e.g. evaporation or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3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air-conditioner or an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07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 liq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34Cabin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6Ambient conditions
    • B60L2240/667Precipi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냉각수 라인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장치; 배터리 모듈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배터리 냉각장치; 냉각수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칠러; 냉각수를 이용해 차량 실내를 난방하는 히터; 및 분기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컨 장치에 포함된 컨덴서는 상기 냉각장치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냉각수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와 냉각수가 열교환 되는 하나의 칠러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고, 전장품으로부터 발생된 폐열을 이용하여 난방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문제와 에너지 자원 문제가 중요시되는 가운데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가 미래의 운송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충전 또는 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2차 전지(cell)가 하나의 팩(pack)으로 형성된 배터리 모듈을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전혀 없고 소음이 매우 작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모듈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통해 작동하는 구동모터로 구동된다. 또한, 전기 자동차에는 편의장치를 위한 다수의 전자장치들과 함께, 구동모터를 제어 및 관리하고,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전장품들이 구비된다.
한편, 전기 자동차의 주동력원으로 사용되는 구동모터와 함께 배터리, 및 전장품들은 발열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효율적인 냉각이 요구되는 바, 전장품과 배터리 모듈의 효율적인 온도관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장품, 및 배터리 모듈의 온도조절을 위해 별도의 냉각 시스템을 적용하였지만, 전장품과 배터리 모듈의 크기에 따라 용량을 증대시켜야만 하는 바, 공간의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냉각 시스템들의 용량이 증대될 경우, 냉각 시스템의 가동에 요구되는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서는 전장품, 및 배터리 모듈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전장품, 및 배터리의 온도조절과 함께, 전장품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매와 냉각수가 열교환 되는 하나의 칠러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고, 전장품으로부터 발생된 폐열을 회수해 실내난방에 사용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되는 제1 라디에이터, 제1 워터펌프, 및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냉각수 라인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장치;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배터리 냉각수 라인과,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되는 제2 라디에이터, 제2 워터펌프,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배터리 냉각장치;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에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과,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에어컨 장치의 냉매라인과 냉매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에어컨 장치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된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칠러;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이용해 차량실내를 난방하도록 상기 전장품과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는 히터; 및 일단이 상기 제1 라디에이터와 상기 히터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와 상기 칠러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되는 분기라인; 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컨 장치에 포함된 컨덴서는 상기 냉각장치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냉각수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컨 장치는 상기 냉매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증발기; 상기 제1 라디에이터와 상기 히터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어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고, 상기 냉매라인을 통해 공급된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시키는 컨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컨덴서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압축기; 상기 컨덴서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에 구비되는 서브 컨덴서; 상기 서브 컨덴서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에 구비되는 제1 팽창밸브; 및 상기 냉매 연결라인에 구비되는 제2 팽창밸브;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팽창밸브는 냉매로 상기 배터리 모듈을 냉각할 경우, 상기 냉매 연결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켜 상기 칠러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냉매 연결라인의 일단은 상기 서브 컨덴서와 상기 제1 팽창밸브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냉매 연결라인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칠러와 상기 컨덴서는 수랭식 열 교환기이고, 상기 서브 컨덴서는 공랭식 열 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히터를 통과한 외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히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증발기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공기 가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열기는 상기 히터로 공급된 냉각수의 온도가 실내 난방의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 상기 히터를 통과한 외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차량의 냉방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을 냉각할 경우, 상기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제1 워터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각수 라인에 냉각수가 순환되고, 상기 분기라인이 폐쇄되며, 상기 제1 연결라인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이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개방되며,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연결되는 일부의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은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폐쇄되고,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을 따라 상기 칠러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제2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 일부의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에 공급되며, 상기 에어컨 장치에서는 상기 제1 팽창밸브의 작동을 통해 상기 서브 컨덴서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상기 냉매라인이 개방되며, 상기 제2 팽창밸브의 작동을 통해 상기 냉매 연결라인이 개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팽창밸브는 상기 냉매라인과 상기 냉매 연결라인으로 각각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칠러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컨덴서는 상기 냉각수 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고, 상기 서브 컨덴서는 상기 컨덴서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추가로 응축시킬 수 있다.
차량의 제습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폐쇄되며, 상기 제2 연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칠러와 연결되는 일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와 상기 분기라인을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개방되며, 상기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분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이 폐쇄되며, 상기 제1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전장품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며, 상기 히터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 및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을 따라 상기 밸브로 유입되고, 상기 밸브로 유입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되며, 상기 에어컨 장치에서는 상기 제1 팽창밸브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 상기 냉매라인을 따라 냉매가 순환되고, 팽창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1 팽창밸브는 냉매를 팽창시키고, 상기 제2 팽창밸브는 상기 냉매 연결라인을 폐쇄시킬 수 있다.
냉각수를 이용해 상기 전장품과 상기 배터리 모듈을 냉각할 경우,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이 폐쇄되며, 제2 연결라인은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폐쇄되고, 상기 냉각장치와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는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각각 독립된 밀폐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제1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밸브로부터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제2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밸브로부터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로 공급될 수 있다.
차량의 난방모드에서 상기 전장품의 폐열을 이용할 경우,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폐쇄되며, 상기 제2 연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칠러와 연결되는 일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와 상기 분기라인을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개방되며, 상기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분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이 폐쇄되며, 상기 제1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전장품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며, 상기 히터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 및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을 따라 상기 밸브로 유입되고, 상기 밸브로 유입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을 승온시킬 경우, 상기 냉각장치는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은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개방되며, 상기 제1 연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과,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상기 밸브를 연결하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이 폐쇄되며, 상기 제2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과, 개방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을 따라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의 타단은 상기 칠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라인의 일단은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의 타단은 상기 칠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은 모터, 또는 전력제어장치, 또는 인버터, 또는 충전기(On Board Charger, OBC), 또는 전력변환장치, 또는 자율주행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5-way 밸브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는 제1 냉각수 가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는 상기 배터리 모듈을 승온시킬 경우,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가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과 상기 히터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는 제2 냉각수 가열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는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을 경우,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가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디에이터와 상기 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는 제1 리저버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상기 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에는 제2 리저버 탱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냉각수와 냉매가 열교환 되는 하나의 칠러를 이용하여 차량의 모드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조절하고, 냉각수를 이용해 차량 실내의 난방을 구현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간소화 및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장품으로부터 발생된 폐열을 회수해 실내난방에 사용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의 최적 성능 발휘가 가능해지고, 효율적인 배터리 모듈의 관리를 통해 차량의 전체적인 주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덴서와 서브 컨덴서를 이용해 냉매의 응축 성능을 증대시킴으로써, 냉방성능을 향상시키고 압축기의 소모동력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전체 시스템의 간소화를 통해 제작원가 절감 및 중량 축소가 가능하고,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냉각수를 이용해 전장품과 배터리 모듈을 냉각시키는 것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의 냉방 모드 시에 냉매를 이용해 배터리 모듈을 냉각시키는 것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전장품의 폐열을 이용해 난방모드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제습 모드에 따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 모듈의 승온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은 냉매와 냉각수가 열교환 되는 하나의 칠러(30)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24)의 온도를 조절하고, 전장품(15)으로부터 발생된 폐열을 회수해 실내난방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열 관리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열 관리 시스템은 냉각장치(10), 배터리 냉각장치(20), 칠러(30), 및 히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냉각장치(10)는 냉각수 라인(11)으로 연결되는 제1 라디에이터(12), 제1 워터펌프(14), 밸브(V), 및 제1 리저버 탱크(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는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며, 후방에는 쿨링팬(13)이 구비되고, 상기 쿨링팬(13)의 작동과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수를 냉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장품(15)은 전력제어장치(Electric Power Control Unit, EPCU), 모터, 인버터, 또는 충전기(On Board Charger, OBC)등의 전력변환장치, 또는 자율주행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전장품(15)은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구비되어 수랭식으로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난방모드에서 상기 전장품(15)의 폐열을 회수할 경우에는 상기 전력제어장치, 또는, 모터, 또는, 인버터, 또는 충전기 등의 전력변환장치, 또는 자율주행 제어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와 상기 제1 워터펌프(14)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11)에는 상기 제1 리저버 탱크(16)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리저버 탱크(16)에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장치(10)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구비되는 상기 전장품(15)에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는 밸브(V)와 연결되는 배터리 냉각수 라인(21)과,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으로 연결되는 제2 라디에이터(22), 제2 워터펌프(23), 및 배터리 모듈(2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냉각장치(20)는 상기 제2 워터펌프(22)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배터리 모듈(24)에 선택적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워터펌프(14, 22)는 전동식 워터펌프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는 상기 배터리 모듈(24)과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에 구비되는 제1 냉각수 가열기(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26)는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승온이 요구될 경우에 ON 작동되어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에서 순환되는 냉각수를 가열함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상기 배터리 모듈(24)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냉각수 가열기(26)는 전원 공급에 따라 작동하는 전기식 히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26)는 상기 배터리 모듈(24)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 작동되어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에서 순환되는 냉각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26)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배터리 모듈(24)로 공급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26)는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온도를 상승시킬 경우에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와 상기 밸브(V)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에는 제2 리저버 탱크(27)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리저버 탱크(27)에는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칠러(30)는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와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에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32)과, 상기 밸브(V)와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34)에 연결된다.
이러한 칠러(30)는 에어컨 장치(50)의 냉매라인(51)과 냉매 연결라인(61)을 통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칠러(30)는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에어컨 장치(50)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칠러(30)는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되는 수랭식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라인(32)의 일단은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와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라인(32)의 타단은 상기 칠러(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라인(34)의 일단은 상기 밸브(V)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라인(34)의 타단은 상기 칠러(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연결라인(32)과 상기 제2 연결라인(34)은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의 통과 없이 상기 칠러(30)와 상기 밸브(V)를 통해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순환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칠러(30)는 상기 제1 연결라인(32)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에어컨 장치(50)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된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장치(10)는 분기라인(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18)의 일단은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와 상기 전장품(15)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연결된다. 상기 분기라인(18)의 타단은 상기 밸브(V)와 상기 칠러(30)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연결라인(34)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라인(18)에는 체크밸브(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9)는 상기 분기라인(18)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9)는 상기 분기라인(18)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라인(34)이 개방될 경우, 상기 제2 연결라인(34)으로 유동되는 냉각수가 상기 분기라인(18)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분기라인(18)은 상기 전장품(15)의 폐열을 회수할 경우,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상기 전장품(15)으로 다시 공급되도록 상기 체크밸브(19)의 작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라인(34)은 상기 분기라인(18)이 개방될 경우, 상기 분기라인(18)을 기준으로 상기 칠러(30)와 연결되는 일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V)와 상기 분기라인(18)을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40)는 냉각수를 이용해 차량실내를 난방하도록 상기 전장품(15)과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차량 실내를 난방할 경우, 상기 히터(40)에는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고온의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40)는 차량의 난방모드에서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고온의 냉각수가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공급됨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40)는 상기 에어컨 장치(50)에 포함된 HVAC 모듈(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장품(15)과 상기 히터(40)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11)에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제2 냉각수 가열기(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는 차량의 난방모드에서 상기 히터(4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 ON 작동되어 상기 냉각수 라인(11)에서 순환되는 냉각수를 가열함으로써,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상기 히터(4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냉각수 가열기(43)는 전원 공급에 따라 작동하는 전기식 히터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가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구비된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를 대신하여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공기 가열기(45)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외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HVAC 모듈의 내부에서 차량의 실내를 향하여 상기 히터(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40)에는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와 상기 공기 가열기(45)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히터(40)에는 차량의 난방모드에서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공급됨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컨 장치(50)는 상기 HVAC 모듈(미도시), 상기 냉매라인(51)을 통해 연결되는 컨덴서(53), 서브 컨덴서(54), 제1 팽창밸브(55), 증발기(56), 및 압축기(59)를 포함한다.
먼저, 미도시된 상기 HVAC 모듈은 상기 냉매라인(51)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증발기(56)와, 차량의 냉방, 및 난방 모드와 제습 모드에 따라,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한 외기가 상기 히터(40)에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조절하는 개폐도어(미도시)가 내부에 구비된다.
즉, 상기 개폐도어(미도시)는 차량의 난방모드에서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한 외기가 상기 히터(40)로 유입되도록 개방된다. 반대로, 차량의 냉방모드에서 상기 개폐도어(미도시)는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외기가 차량 내부로 바로 유입되도록 상기 히터(40) 측을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HVAC 모듈(미도시)에 구비되는 상기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증발기(56)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로 공급된 냉각수의 온도가 실내 난방의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외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HVAC 모듈(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와 상기 공기 가열기(45)는 둘 중, 하나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덴서(53)는 상기 냉매라인(51)과 연결되어 냉매가 통과된다. 이러한 컨덴서(53)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순환하는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히터(40)와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구비된다.
이러한 컨덴서(53)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순환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컨덴서(53)는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되는 수랭식 열교환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컨덴서(53)는 상기 압축기(59)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상기 냉각장치(1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컨덴서(54)는 상기 컨덴서(53)와 상기 증발기(56)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51)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컨덴서(54)는 상기 컨덴서(53)에서 응축된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을 통해 추가로 응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컨덴서(54)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전방에 배치되어 내부로 유입된 냉매를 외기와 상호 열교환 시키게 된다.
즉, 상기 서브 컨덴서(54)는 외기를 이용해 냉매를 응축하는 공랭식 열교환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브 컨덴서(54)는 상기 컨덴서(53)에서 응축된 냉매를 더 응축시킴으로써, 냉매의 서브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압축기 소요동력 대비 냉방 능력의 계수인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팽창밸브(55)는 상기 서브 컨덴서(54)와 상기 증발기(56)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51)에 구비된다. 상기 제1 팽창밸브(55)는 상기 서브 컨덴서(54)를 통과한 냉매를 공급받아 팽창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의 일단은 상기 서브 컨덴서(54)와 상기 제1 팽창밸브(55)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5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56)와 상기 압축기(59)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5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에는 제2 팽창밸브(6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팽창밸브(63)는 냉매로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냉각할 경우,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켜 상기 칠러(30)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팽창밸브(63)는 차량의 냉방모드에서 냉매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냉각할 경우에 냉매를 팽창시키도록 작동된다.
즉, 상기 제2 팽창밸브(63)는 상기 서브 컨덴서(54)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팽창시켜 그 온도를 저하시킨 상태로 상기 칠러(30)에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칠러(30)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수온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24)에는 상기 칠러(30)를 통과하면서 수온이 낮아진 냉각수가 유입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9)는 상기 증발기(56)와 상기 컨덴서(53)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51)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압축기(59)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냉매를 상기 컨덴서(53)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팽창밸브(55, 63)는 상기 냉매라인(51), 또는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을 통과하는 냉매의 유동흐름을 제어하면서, 냉매를 선택적으로 팽창시키는 전자식 팽창밸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V)는 5-Way 밸브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의 작동 및 작용을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라디에이터(12, 22)에서 냉각된 냉각수 이용해 상기 전장품(15)과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냉각시킬 경우에 대한 작동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냉각수를 이용해 전장품과 배터리 모듈을 냉각시키는 것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기라인(18)은 상기 체크밸브(19)의 작동을 통해 폐쇄된다. 상기 제1 연결라인(32)은 폐쇄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34)은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장치(11)와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는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각각 독립된 밀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냉각장치(10)에서는 상기 전장품(15)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제1 워터펌프(14)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에서 냉각되어 상기 제1 리저버 탱크(16)에 저장된 냉각수는 상기 밸브(V)와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전장품(15)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제2 워터펌프(23)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에서 냉각되어 상기 제2 리저버 탱크(27)에 저장된 냉각수는 상기 밸브(V)와 상기 제2 워터펌프(23)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배터리 모듈(24)에 공급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라디에이터(12, 22)에서 냉각되어 상기 제1, 및 제2 리저버 탱크(16, 27)에 저장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및 제2 워터펌프(14, 22)의 작동을 통해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각각 순환하면서, 상기 전장품(15)과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각각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전장품(15), 및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컨 장치(50)는 차량의 냉방모드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작동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라디에이터(12, 22)에서 냉각된 각각의 냉각수로 상기 전장품(15)과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냉각시키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전장품(15)과 상기 배터리 모듈(24) 중, 어느 하나를 별도로 냉각할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워터펌프(14, 22), 및 상기 밸브(V)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냉방모드에서 냉매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냉각할 경우에 대한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의 냉방 모드 시에 냉매를 이용해 배터리 모듈을 냉각시키는 것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장치(10)에서는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냉각수가 순환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라인(18)은 상기 체크밸브(19)의 작동을 통해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라인(32)이 개방된다. 상기 제2 연결라인(34)은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와 연결되는 일부의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은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제2 워터펌프(22)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는 개방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32, 34)을 따라 상기 칠러(30)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제2 워터펌프(23)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 일부의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따라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의 통과 없이, 상기 배터리 모듈(24)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장치(10)와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는 상기 밸브(V)의 작동에 의해 각각 냉각수가 순환되는 독립된 밀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는 상기 밸브(V)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연결이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는 상기 제2 워터펌프(23)의 작동에 의해 개방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32, 34)과, 개방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에 독립적으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밀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은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각각 독립된 밀폐회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는 상기 제2 워터펌프(23)의 작동을 통해 상기 칠러(30)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32, 34)과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24)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통과한 후, 개방된 상기 제1 연결라인(32)을 따라 상기 칠러(30)에 유입된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칠러(30)로부터 개방된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따라 상기 밸브(V)로 유입된다. 그런 후, 냉각수는 상기 제2 워터펌프(23)의 작동에 의해 개방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배터리 모듈(24)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장치(10)에서는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냉각수가 순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전장품(15)과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후,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컨덴서(53)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에어컨 장치(50)에서는 차량 실내를 냉방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냉매는 상기 냉매라인(51)을 따라 순환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컨덴서(54)와 상기 증발기(56)를 연결하는 상기 냉매라인(51)은 상기 제1 팽창밸브(55)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다.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은 상기 제2 팽창밸브(63)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서브 컨덴서(5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매라인(51)과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을 따라 순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팽창밸브(55, 63)는 팽창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56)와 상기 칠러(30)에 각각 공급되도록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컨덴서(53)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냉매를 응축시킨다. 그리고 상기 서브 컨덴서(54)는 상기 컨덴서(53)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추가로 응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칠러(30)를 통과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따라 상기 밸브(V)로 유입된다.
그런 후, 냉각수는 상기 제2 워터펌프(23)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냉각시키도록 개방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순환한다.
여기서, 상기 칠러(30)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상기 칠러(30)에 공급되는 팽창된 냉매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다. 상기 칠러(30)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배터리 모듈(24)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24)은 냉각된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즉, 상기 제2 팽창밸브(63)는 팽창된 냉매를 상기 칠러(30)에 공급하도록 상기 열교환기(54)를 통과한 냉매 중, 일부의 냉매를 팽창시키고,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을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54)에서 배출된 일부의 냉매는 상기 제2 팽창밸브(63)의 작동을 통해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상태가 되고, 상기 냉매 연결라인(61)과 연결되는 상기 칠러(30)로 유입된다.
그런 후, 상기 칠러(30)에 유입된 냉매는 냉각수와 열교환 되고,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을 통해 상기 어큐뮬레이터(57)를 통과한 후, 상기 압축기(59)로 유입된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냉각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저온저압의 냉매와 상기 칠러(30)의 내부에서 열교환을 통해 냉각된다. 냉각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32, 34)과, 개방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통해 다시 배터리 모듈(24)로 공급된다.
즉, 냉각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컨덴서(54)에서 배출된 나머지 냉매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상기 냉매라인(51)을 통해 유동되고, 상기 제1 팽창밸브(55), 상기 증발기(56), 상기 압축기(59), 및 상기 컨덴서(53)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HVAC 모듈(미도시)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증발기(56)로 유입된 저온 상태의 냉매에 의해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이 때, 상기 개폐도어(미도시)는 냉각된 외기가 상기 히터(40)를 통과하지 않도록 상기 히터(40)로 통과하는 부분을 폐쇄한다. 따라서, 냉각된 외기는 차량의 내부로 직접 유입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56)에는 상기 컨덴서(53)와, 상기 서브 컨덴서(5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응축량이 증가된 냉매가 팽창되어 공급됨으로써, 냉매를 보다 낮은 온도로 증발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덴서(53)가 냉매를 응축하고, 상기 서브 컨덴서(54)가 추가로 냉매를 응축시킴으로써, 냉매의 서브 쿨 형성이 유리해진다.
그리고 서브 쿨이 형성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56)에서 보다 낮은 온도로 증발됨에 따라,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하는 외기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어 냉방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냉매는 차량의 냉방모드에서 실내를 냉방하는 동시에, 상기 칠러(3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을 통해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칠러(30)에서 냉각된 저온의 냉각수는 상기 배터리 모듈(24)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24)은 공급된 저온의 냉각수에 의해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난방모드에서 상기 에어컨 장치(50)의 작동 없이 상기 전장품(15)의 폐열을 이용할 경우에 대한 작동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전장품의 폐열을 이용해 난방모드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열 관리 시스템은 상기 에어컨 장치(50)의 작동 없이 상기 전장품(15)의 폐열을 이용해 차량 실내의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냉각장치(10)에서 상기 제1 워터펌프(14)는 냉각수의 순환을 위해 작동된다. 이 때, 상기 에어컨 장치(50)는 작동이 중단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라인(18)은 상기 체크밸브(19)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라인(32)은 폐쇄된다.
상기 제2 연결라인(34)은 상기 분기라인(18)을 기준으로 상기 칠러(30)와 연결되는 일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V)와 상기 분기라인(180을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기라인(18)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와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와 상기 제1 리저버 탱크(16)를 연결하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은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폐쇄된다.
즉, 상기 분기라인(18)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 상기 제1 리저버 탱크(16), 및 상기 밸브(V)와 연결된 일부의 상기 냉각수 라인(11)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을 따라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거쳐 상기 밸브(V)를 통과한 후, 개방된 일부의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 상기 제2 워터펌프(23)는 작동이 정지된다.
즉, 상기 제2 워터펌프(23), 및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연결하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은 폐쇄되고,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의 작동이 중단된다.
그러면,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 및 개방된 일부의 제2 연결라인(34)을 따라 계속 순환하고, 상기 전장품(15)으로부터 폐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된다.
이러한 작동을 반복 수행하면서 냉각수는 상기 전장품(15)으로부터 폐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상기 히터(40)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4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 및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따라 상기 밸브(V)로 유입된다.
상기 밸브(V)로 유입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상기 전장품(15)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을 따라 계속 순환하고, 상기 전장품(15)으로부터 폐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상기 히터(4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 작동되어 상기 냉각수 라인(11)에서 순환되는 냉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를 대신하여 상기 공기 가열기(45)가 적용될 경우, 상기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외기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외기의 온도가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 작동되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냉각수와 열교환이 완료된 외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또는 난방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 작동된다.
상기 공기 가열기(45)가 작동되면, 외기는 상기 공기 가열기(45)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차량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40)로 공급된 고온의 냉각수는 외기와 열 교환된 후, 상기 냉각수 라인(11)으로 유동된다.
그런 후,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과,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따라,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상기 밸브(V)로 유입된다.
상기 밸브(V)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전장품(15)과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11)으로 다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미도시)는 상기 HVAC 모듈(미도시)로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히터(40)를 통과하도록 개방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은 상기 증발기(56)를 통과 시, 냉각되지 않은 실온 상태로 유입된다. 유입된 외기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하면서 고온상태로 변환되어 차량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전장품(15)에서 발생된 폐열을 회수하여 실내 난방에 이용함으로써, 사용전력을 줄이고 전체적인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장품(15)이 과열될 경우에는 상기 밸브(V)와 상기 체크밸브(19)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와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11)이 개방되고, 상기 분기라인(18)이 폐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라인(11)에 구비된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후,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다시 상기 전장품(15)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하는 냉각수는 상기 전장품(15)으로부터 폐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되고, 상기 히터(40)에 공급된다.
그런 후,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냉각이 완료된 냉각수는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하면서 폐열을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장품(15)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에서 냉각된 냉각수가 상기 전장품(15)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전장품(15)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제습 모드에 대한 작동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제습 모드에 따른 작동 상태도이다.
여기서, 제습 모드는 차량의 난방 모드에서 차량 실내에 제습이 요구될 경우 작동하는 모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장치(10)에서 상기 제1 워터펌프(14)는 냉각수의 순환을 위해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라인(18)은 상기 체크밸브(19)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라인(32)은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라인(18)은 상기 체크밸브(19)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라인(32)은 폐쇄된다.
상기 제2 연결라인(34)은 상기 분기라인(18)을 기준으로 상기 칠러(30)와 연결되는 일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V)와 상기 분기라인(180을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기라인(18)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와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와 상기 제1 리저버 탱크(16)를 연결하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은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폐쇄된다.
즉, 상기 분기라인(18)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 상기 제1 리저버 탱크(16), 및 상기 밸브(V)와 연결된 일부의 상기 냉각수 라인(11)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을 따라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거쳐 상기 밸브(V)를 통과한 후, 개방된 일부의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순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 상기 제2 워터펌프(23)는 작동이 정지된다.
즉, 상기 제2 워터펌프(23), 및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연결하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은 폐쇄되고,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의 작동이 중단된다.
그러면,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 및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따라 계속 순환하고, 상기 전장품(15)으로부터 폐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된다.
이러한 작동을 반복 수행하면서 냉각수는 상기 전장품(15)으로부터 폐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제1 워터펌프(14)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상기 히터(40)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4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 및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따라 상기 밸브(V)로 유입된다.
상기 밸브(V)로 유입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상기 전장품(15)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전장품(15)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11)과,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을 따라 계속 순환하고, 상기 전장품(15)으로부터 폐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상승된다.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상기 히터(4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는 상기 냉각수 라인(11)을 따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 작동되어 상기 냉각수 라인(11)에서 순환되는 냉각수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43)를 대신하여 상기 공기 가열기(45)가 적용될 경우, 상기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외기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한 외기의 온도가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 작동되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가열기(45)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냉각수와 열교환이 완료된 외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또는 난방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 작동된다.
상기 공기 가열기(45)가 작동되면, 외기는 상기 공기 가열기(45)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차량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40)로 공급된 고온의 냉각수는 외기와 열 교환된 후, 상기 냉각수 라인(11)으로 유동된다.
그런 후,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18)과,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34)을 따라, 상기 제1 라디에이터(12)의 통과 없이 상기 밸브(V)로 유입된다.
상기 밸브(V)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전장품(15)과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11)으로 다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미도시)는 상기 HVAC 모듈(미도시)로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히터(40)를 통과하도록 개방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된 외기는 냉매가 공급되지 않은 상기 증발기(56)를 통과 시, 냉각되지 않은 실온 상태로 유입된다. 유입된 외기는 상기 히터(40)를 통과하면서 고온상태로 변환되어 차량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전장품(15)에서 발생된 폐열을 회수하여 실내 난방에 이용함으로써, 사용전력을 줄이고 전체적인 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컨 장치(50)에서는 차량 실내를 제습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냉매는 상기 냉매라인(51)을 따라 순환된다.
여기서, 상기 컨덴서(53)와 상기 증발기(56)를 연결하는 상기 냉매라인(51)은 상기 제1 팽창밸브(55)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다.
상기 냉매 연결라인(61)은 상기 제2 팽창밸브(63)의 작동을 통해 폐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팽창밸브(55)는 팽창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56)에 각각 공급되도록 상기 서브 컨덴서(54)로부터 상기 냉매라인(51)으로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팽창밸브(55)의 작동을 통해 상기 증발기(56)로 공급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하는 외기와 열교환된 후, 상기 냉매라인(51)을 통해 따라 상기 압축기(59)로 공급된다.
즉,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압축기(59)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9)로부터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컨덴서(53)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도어(미도시)는 상기 HVAC 모듈(미도시)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한 외기가 상기 히터(40)를 통과하도록 개방된다.
즉, 상기 HVAC 모듈(미도시)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증발기(56)로 유입된 저온 상태의 냉매에 의해 상기 증발기(56)를 통과하면서 제습된다. 그런 후, 상기 히터(40)를 통과하면서 고온상태로 변환되어 차량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난방 및 제습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승온시킬 경우에 대한 작동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 모듈의 승온에 대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장치(10)와 상기 에어컨 장치(50)는 작동이 중단된다.
상기 분기라인(18)은 상기 체크밸브(19)의 작동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라인(32)이 개방된다. 상기 제2 연결라인(34)은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와 연결되는 일부의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은 상기 밸브(V)의 작동을 통해 폐쇄된다.
즉, 상기 제1 연결라인(32)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와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과,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와 상기 밸브(V)를 연결하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이 폐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는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승온을 위하여 상기 제2 워터펌프(22)가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20)에서는 개방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32, 34)을 따라 상기 칠러(30)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제2 워터펌프(23)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 일부의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24)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워터펌프(23)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24)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2 라디에이터(22)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32, 34)과, 개방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따라 순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26)는 개방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24)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가열하도록 작동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21)에서 순환되는 냉각수는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26)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다.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26)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배터리 모듈(24)에 공급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26)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효율적인 온도관리가 가능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냉각수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하나의 상기 칠러(30)를 이용하여 차량의 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온도를 조절하고, 냉각수를 이용해 차량 실내의 난방을 구현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간소화 및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장품(15)으로부터 발생된 폐열을 회수해 실내난방에 사용함으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최적 성능 발휘가 가능해지고, 효율적인 상기 배터리 모듈(24)의 관리를 통해 차량의 전체적인 주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덴서(53)와 상기 서브 컨덴서(54)를 이용해 냉매의 응축 성능을 증대시킴으로써, 냉방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압축기(59)의 소모동력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체 시스템의 간소화를 통해 제작원가 절감 및 중량 축소가 가능하고,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냉각장치
11 : 냉각수 라인
12 : 제1 라디에이터
13 : 쿨링팬
14 : 제1 워터펌프
15 : 전장품
16 : 제1 리저버 탱크
18 : 분기라인
19 : 체크밸브
20 : 배터리 냉각장치
21 : 배터리 냉각수 라인
22 : 제2 라디에이터
23 : 제2 워터펌프
24 : 배터리 모듈
26 : 제1 냉각수 가열기
30 : 칠러
32, 34 : 제1, 및 제2 연결라인
40: 히터
43 ; 제2 냉각수 가열기
45 : 공기 가열기
50 : 에어컨 장치
51 : 냉매라인
53 : 컨덴서
54 : 서브 컨덴서
55, 63 : 제1, 및 제2 팽창밸브
56 : 증발기
59 : 압축기
61 : 냉매 연결라인
V : 밸브

Claims (21)

  1.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되는 제1 라디에이터, 제1 워터펌프, 및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품을 냉각하도록 상기 냉각수 라인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장치;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배터리 냉각수 라인과,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으로 연결되는 제2 라디에이터, 제2 워터펌프,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배터리 냉각장치;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에 연결되는 제1 연결라인과,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되고, 에어컨 장치의 냉매라인과 냉매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를 상기 에어컨 장치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된 냉매와 열교환시켜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칠러;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이용해 차량실내를 난방하도록 상기 전장품과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는 히터; 및
    일단이 상기 제1 라디에이터와 상기 히터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와 상기 칠러의 사이에서 상기 제2 연결라인에 연결되는 분기라인; 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컨 장치에 포함된 컨덴서는 상기 냉각장치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통과되도록 상기 냉각수 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장치는
    상기 냉매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증발기;
    상기 제1 라디에이터와 상기 히터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어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고, 상기 냉매라인을 통해 공급된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시키는 컨덴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컨덴서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압축기;
    상기 컨덴서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에 구비되는 서브 컨덴서;
    상기 서브 컨덴서와 상기 증발기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에 구비되는 제1 팽창밸브; 및
    상기 냉매 연결라인에 구비되는 제2 팽창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창밸브는
    냉매로 상기 배터리 모듈을 냉각할 경우, 상기 냉매 연결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팽창시켜 상기 칠러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연결라인의 일단은 상기 서브 컨덴서와 상기 제1 팽창밸브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냉매 연결라인의 타단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의 사이에서 상기 냉매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칠러와 상기 컨덴서는 수랭식 열 교환기이고, 상기 서브 컨덴서는 공랭식 열 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를 통과한 외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도록 상기 히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증발기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공기 가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열기는
    상기 히터로 공급된 냉각수의 온도가 실내 난방의 목표온도 보다 낮을 경우, 상기 히터를 통과한 외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차량의 냉방모드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을 냉각할 경우,
    상기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제1 워터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냉각수 라인에 냉각수가 순환되고,
    상기 분기라인이 폐쇄되며,
    상기 제1 연결라인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이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개방되며,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연결되는 일부의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은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폐쇄되고,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을 따라 상기 칠러를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제2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 일부의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에 공급되며,
    상기 에어컨 장치에서는 상기 제1 팽창밸브의 작동을 통해 상기 서브 컨덴서와 상기 증발기를 연결하는 상기 냉매라인이 개방되며,
    상기 제2 팽창밸브의 작동을 통해 상기 냉매 연결라인이 개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팽창밸브는 상기 냉매라인과 상기 냉매 연결라인으로 각각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켜 상기 증발기와 상기 칠러에 각각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컨덴서는 상기 냉각수 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고, 상기 서브 컨덴서는 상기 컨덴서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외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추가로 응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차량의 제습 모드를 수행할 경우,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폐쇄되며,
    상기 제2 연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칠러와 연결되는 일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와 상기 분기라인을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개방되며,
    상기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분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이 폐쇄되며,
    상기 제1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전장품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며,
    상기 히터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 및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을 따라 상기 밸브로 유입되고,
    상기 밸브로 유입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되며,
    상기 에어컨 장치에서는 상기 제1 팽창밸브의 작동을 통해 개방된 상기 냉매라인을 따라 냉매가 순환되고,
    팽창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1 팽창밸브는 냉매를 팽창시키고,
    상기 제2 팽창밸브는 상기 냉매 연결라인을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냉각수를 이용해 상기 전장품과 상기 배터리 모듈을 냉각할 경우,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이 폐쇄되며, 제2 연결라인은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폐쇄되고,
    상기 냉각장치와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는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각각 독립된 밀폐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제1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밸브로부터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된 냉각수는 상기 제2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밸브로부터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난방모드에서 상기 전장품의 폐열을 이용할 경우,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은 폐쇄되며,
    상기 제2 연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칠러와 연결되는 일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와 상기 분기라인을 연결하는 나머지 부분이 개방되며,
    상기 냉각장치에서는 상기 분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라디에이터,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된 상기 냉각수 라인이 폐쇄되며,
    상기 제1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전장품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는 상기 제1 라디에이터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며,
    상기 히터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 개방된 상기 분기라인, 및 개방된 일부의 상기 제2 연결라인을 따라 상기 밸브로 유입되고,
    상기 밸브로 유입된 냉각수는 개방된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을 승온시킬 경우,
    상기 냉각장치는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분기라인에 구비된 체크밸브의 작동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은 상기 밸브의 작동을 통해 개방되며,
    상기 제1 연결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과,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상기 밸브를 연결하는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이 폐쇄되며,
    상기 제2 워터펌프의 작동을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을 통과한 냉각수는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통과 없이, 개방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라인과, 개방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을 따라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라인의 타단은 상기 칠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라인의 일단은 상기 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라인의 타단은 상기 칠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모터, 또는 전력제어장치, 또는 인버터, 또는 충전기(On Board Charger, OBC), 또는 전력변환장치, 또는 자율주행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5-way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2 라디에이터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에 구비되는 제1 냉각수 가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수 가열기는
    상기 배터리 모듈을 승온시킬 경우,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가열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과 상기 히터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는 제2 냉각수 가열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냉각수 가열기는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낮을 경우, 상기 냉각수 라인을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가열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디에이터와 상기 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냉각수 라인에는 제1 리저버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라디에이터와 상기 밸브의 사이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수 라인에는 제2 리저버 탱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1020200101745A 2020-08-13 2020-08-13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Pending KR20220021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45A KR20220021201A (ko) 2020-08-13 2020-08-13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US17/183,713 US11870045B2 (en) 2020-08-13 2021-02-24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CN202110317762.4A CN114074517B (zh) 2020-08-13 2021-03-25 车辆的热管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45A KR20220021201A (ko) 2020-08-13 2020-08-13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201A true KR20220021201A (ko) 2022-02-22

Family

ID=8022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45A Pending KR20220021201A (ko) 2020-08-13 2020-08-13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70045B2 (ko)
KR (1) KR20220021201A (ko)
CN (1) CN1140745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59932A1 (en) * 2021-05-06 2022-11-10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3180B1 (ko) * 2019-07-29 2024-09-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제어방법
US11390137B2 (en) * 2020-01-15 2022-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ermal management for electrified vehicle
KR20220021201A (ko) * 2020-08-13 202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20135340A (ko) * 2021-03-30 2022-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WO2023239565A1 (en) * 2022-06-08 2023-12-14 Nikola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thermal managemen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attery thermal loads
KR20240073348A (ko) * 2022-11-18 2024-05-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CN116619983B (zh) * 2023-07-19 2023-11-10 成都壹为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一体化融合热管理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453A (ko) * 1992-10-01 1994-05-26 가나이 쯔도무 전기 자동차의 냉각 시스템 및 이것에 이용되는 전기 모터
DE4238364A1 (de) * 1992-11-13 1994-05-26 Behr Gmbh & Co Einrichtung zum Kühlen von Antriebskomponenten und zum Heizen eines Fahrgastraumes eines Elektrofahrzeugs
US5291960A (en) * 1992-11-30 1994-03-08 Ford Motor Company Hybrid electric vehicle regenerative braking energy recovery system
JP3044975B2 (ja) * 1992-12-10 2000-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加温装置
US5507153A (en) * 1993-03-22 1996-04-16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ic motor vehicle
BR9506973A (pt) * 1994-03-01 1997-09-16 Auxiliary Power Dynamics Llc Instalação de motor a diesel para serviço pesado processo de operar a mesma e sistema de potência
JP3240973B2 (ja) * 1997-03-05 2001-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冷却システム
US7147071B2 (en) * 2004-02-04 2006-12-12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6138466A (en) * 1998-11-12 2000-10-3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System for cooling electric vehicle batteries
US6357541B1 (en) * 1999-06-07 2002-03-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Circulation apparatus for coolant in vehicle
US6394210B2 (en) * 1999-06-07 2002-05-2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emperature controller for vehicular battery
US6464027B1 (en) * 2000-02-02 2002-10-1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thermal management for a hybrid vehicle
JP3910384B2 (ja) * 2000-10-13 2007-04-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ッテリ冷却装置
US6450275B1 (en) * 2000-11-02 2002-09-17 Ford Motor Company Power electronics cooling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JP3616005B2 (ja) * 2000-12-20 2005-0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冷却装置
DE10128164A1 (de) * 2001-06-09 2002-12-12 Behr Gmbh & Co Fahrzeug-Kühlsystem für eine temperaturerhöhende 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r Kühlung der temperaturerhöhenden Einrichtung
US6616059B2 (en) * 2002-01-04 2003-09-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ybrid vehicle powertrain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abin heating and engine warm up
EP1532927B1 (fr) 2003-11-21 2007-12-19 Eastman Kodak Company Appareil de radiologie dentaire
US7287581B2 (en) * 2003-12-18 2007-10-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ll function vehicle HVAC/PTC thermal system
US7455136B2 (en) * 2004-09-09 2008-11-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oling system for a rearward portion of a vehicle and method of cooling
US7600391B2 (en) * 2004-09-10 2009-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oolant-based regenerative energy recovery system
FR2884058B1 (fr) 2005-04-05 2016-07-15 Valeo Systemes Thermiques Branche Thermique Habitacle Dispositif de maintien a une temperature de consigne d'une batterie d'un vehicule a motorisation electrique par fluide caloporteur
US7997077B2 (en) * 2006-11-06 2011-08-16 Harlequin Motor Works, Inc. Energy retriever system
US7789176B2 (en) * 2007-04-11 2010-09-07 Tesla Motors, Inc. Electric vehicle thermal management system
US20090249807A1 (en) * 2008-04-04 2009-10-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VAC and Battery Thermal Management for a Vehicle
US8215432B2 (en) 2008-05-09 2012-07-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thermal system for vehicle
US7975757B2 (en) * 2008-07-21 2011-07-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HVAC and RESS thermal management
US9239193B2 (en) 2011-02-17 2016-01-19 Delphi Technologies, Inc.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having a heat exchanger with an integral receiver and sub-cooler
US8899062B2 (en) 2011-02-17 2014-12-02 Delphi Technologies, Inc. Plate-type heat pump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r for a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US9109840B2 (en) 2011-02-17 2015-08-18 Delphi Technologies, Inc.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having a heat exchanger with an integral accumulator
JP6015184B2 (ja) * 2012-07-18 2016-10-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JP5983187B2 (ja) * 2012-08-28 2016-08-3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熱管理システム
KR101731294B1 (ko) * 2014-02-21 2017-04-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JP6555112B2 (ja) * 2015-12-11 2019-08-07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836272B1 (ko) * 2016-06-20 2018-03-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846908B1 (ko) * 2016-10-31 2018-04-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846911B1 (ko) * 2016-10-31 2018-05-2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846924B1 (ko) * 2016-11-01 2018-05-2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474356B1 (ko) * 2017-11-10 2022-12-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2518177B1 (ko) * 2017-12-08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시스템
CN110103665A (zh) * 2019-05-07 2019-08-09 上海理工大学 带电池和电机电控热管理的新能源汽车热泵空调系统
KR102715812B1 (ko) * 2019-06-21 2024-10-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10003457A (ko) * 2019-07-02 2021-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102703181B1 (ko) * 2019-08-19 2024-09-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791478B1 (ko) * 2019-11-04 2025-04-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791479B1 (ko) * 2019-11-12 2025-04-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US11458812B2 (en) * 2020-02-17 2022-10-04 Hyundai Motor Company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20220010217A (ko) * 2020-07-17 2022-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20021201A (ko) * 2020-08-13 2022-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20048170A (ko) * 2020-10-12 2022-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59932A1 (en) * 2021-05-06 2022-11-10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12272808B2 (en) * 2021-05-06 2025-04-08 Huawei Digital Power Technologies Co., Lt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70045B2 (en) 2024-01-09
CN114074517A (zh) 2022-02-22
US20220052390A1 (en) 2022-02-17
CN114074517B (zh) 202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6137B2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703179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US11407273B2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715811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US11325445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US11458811B2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10247435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20013396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0012395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10217A (ko)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10152794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8170A (ko)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102715812B1 (ko)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20021201A (ko)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20003351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079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52795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0791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21200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55525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23571A (ko)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1000300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017119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0794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150530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7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8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