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292A -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 Google Patents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8292A KR20220018292A KR1020200098618A KR20200098618A KR20220018292A KR 20220018292 A KR20220018292 A KR 20220018292A KR 1020200098618 A KR1020200098618 A KR 1020200098618A KR 20200098618 A KR20200098618 A KR 20200098618A KR 20220018292 A KR20220018292 A KR 202200182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plosion
- proof
- hollow
- cable
- coupling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Chemical compound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9970 fire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 xiao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5 commerci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2 water 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폭설비에 사용되는 전기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다양한 방폭설비 간을 서로 밀폐되게 연결하며 고정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a replacement for explosion-proof facilities for sealingly connecting and fixing various explosion-proof facilities to each other while protecting electric cables used in explosion-proof facilitie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about expression couplers.
화학공장이나 정유공장, 미세분진이 발생하는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설비는, 폭발성 기체, 유증기 또는 미세분진에 노출될 경우 화재나 폭발 사고를 초래하는 아크 방전, 과열,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엄격한 방폭기준에 따라 설치 및 운용되고 있다.Electrical equipment used in chemical plants, oil refineries, and factories that generate fine dust generates arc discharge, overheating, and sparks that can cause fire or explosion accidents when exposed to explosive gases, oil vapors, or fine dust, so strict explosion-proof standards It is installed and operated according to
특히,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전기 케이블은 화재나 폭발 사고 발생시 화염이나 불꽃을 주변으로 전달하여 주변 전기장치나 기타 설비에 대한 2차 화재를 유발하는 주요원인이 되므로, 케이블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 구조의 방폭설비를 이용하여 케이블이 내부에 안전하게 격리되도록 강제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case of a fire or explosion accident, the electric cable constituting the electric equipment is the main cause of causing secondary fires in the surrounding electric devices or other equipment by transmitting flames or flames to the surroundings. The cable is forced to be safely isolated inside by using an explosion-proof facility with a sealed structure.
이러한 케이블에 대한 격리와 함께 화학공장 등에서의 화재나 폭발 사고가 더욱 안전하게 차단될 수 있도록, 케이블이 통과하는 방폭설비에는 일정 간격으로 화염이나 불꽃의 전달을 차단하는 실링 커넥터가 부대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In order to more safely block fire or explosion accidents in chemical plants, etc. along with the isolation of these cables, a sealing connector that blocks the transmission of flames or flames at regular intervals is installed in the explosion-proof facilities through which the cables pass. .
방폭설비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 중에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608호(공개일자: 2009년01월21일)는 방폭형 멀티코어 케이블의 실링커넥터에 대한 기술을 설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일측에 메인바디(11)와 실링부싱(12)이 너트(13)에 의해 상호 결합되고, 실링부싱(12)에 그랜드바디(15)와 피팅(16)이 너트(17)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전체 커넥터(10)를 구성하되, 실링부재(12)의 내부에는 멀티코어 케이블(2)이 배치된 관통공(150)에 컴파운드 충진재(5)를 주입하여 실링한 별도의 하우징(100)이 삽입설치된 점에서 특징이 있다.Among the prior art related to explosion-proof facilitie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0608 (published date: January 21, 2009) describes a technology for a sealing connector of an explosion-proof multi-core cable. In this prior art, the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메인바디(11) 및 피팅(16)과 같은 방폭설비를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을 실링부싱(12)에 삽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설치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is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또한, 메인바디(11) 및 피팅(16)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한 후 실링부싱(12) 내측에 하우징(100)을 삽입하더라도 케이블(2)을 관통공(150)에 배치하고 관통공(150)의 내부를 충진재(5)로 메우는 밀폐 작업은, 충진재(5)의 유동을 규제하며 형태를 잡아주는 부재 없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충진재(5)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유동하게 되는 결과, 충진재(5)가 케이블(2)을 감싸며 하우징(100)을 기준으로 양측을 견고하게 밀폐 내지 차폐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따라서 이러한 실링 커넥터의 방폭 성능의 저하를 개선하면서도 이미 설치된 다양한 규격의 방폭설비에 대응하여 손쉽게 설치되고 운용될 수 있는 방폭용 설비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explosion-proof facilities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operated in response to explosion-proof facilities of various standards that have already been installed while improving the deterioration of the explosion-proof performance of these sealing connectors.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발의 위험성이 높은 물질을 취급하는 화학공장 등에 배선된 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파이프나 전기배선함 등과 같은 다양한 방폭설비 간을 서로 밀폐되게 연결할 수 있고, 방폭설비 간을 연결한 후 선택된 차폐물질을 외부에서 내부로 손쉽게 충진하여 케이블이 통과하는 공간을 견고하게 밀폐함으로써 케이블의 고정과 방폭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nect various explosion-proof facilities such as a protection pipe or an electric junction box that protects cables wired to chemical factories handling substances with high risk of explos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in an airtight connection with each other, and explosion-proof facilities To provide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that can secure cables and improve explosion-proof performance by tightly sealing the space through which cables pass by easily filling the selected shielding material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fter connecting them.
상기 목적은, 일측에 배치된 다양한 제1 방폭설비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교체사용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폭설비를 따라 내설된 전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결합바디;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타측에 배치된 제2 방폭설비에 밀폐된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제1,2 방폭설비 간의 열이나 압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폐물질이 외부에서 주입되도록 구성된 케이블고정구; 및 상기 케이블고정구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상기 결합바디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케이블고정구를 상기 결합바디에 고정시키는 결합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for screw coupling with various first explosion-proof facilities disposed on one side and is selectively used for replacement, a coupling body through which an electric cable installed along the first explosion-proof facility passes through the central part; a cable fixture configured to fix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in a sealed state to a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to inject a shielding material for blocking heat or pressure transf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ies from the outside; And it is achieved by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nut portion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in a state caught on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cable fixture to fix the cable fixture to the coupling body.
상기 케이블고정구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바디에 밀착되고, 중앙부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1 중공이 형성된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방폭설비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중앙부에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 중공이 형성된 제2 체결부; 상기 제1,2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2 중공과 각각 단차를 이루며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3 중공과, 외부와 상기 제3 중공을 서로 연통시키는 투입구가 관통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투입구를 통해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중공에 충진되는 차폐물질과,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le fixture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art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an edg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body, and a first hollow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 second fastening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to form a screw coupling with the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and having a second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in the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 third hollow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and communicat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llows at a step in the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nd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third hollow with each other penetrates formed connection; and a shielding material that is selectively filled in the third hollow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and a shielding unit composed of a closing member for closing the inlet.
상기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는, 상기 결합바디와 상기 케이블고정구가 마주하는 면에서 각각 서로 상보적인 나이테형 요철이 돌출되어 서로 정합되며 밀착면을 형성하는 접촉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placeable coupler for the explosion-proof facility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end that is matched with each other and forms a close contact by protruding complementary tree-ring-shaped irregularities from the surface facing the coupling body and the cable fixture.
상기의 목적은, 일측에 배치된 다양한 제1 방폭설비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교체사용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 방폭설비를 따라 내설된 전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결합바디;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타측에 배치된 제2 방폭설비에 밀폐된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제1,2 방폭설비 간의 열이나 압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폐물질이 외부에서 주입되도록 구성된 케이블고정구; 상기 결합바디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바디에 밀착되며 상기 케이블고정구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결어댑터; 및 상기 연결어댑터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상기 결합바디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케이블고정구를 상기 결합바디에 고정시키는 결합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for screw coupling with various first explosion-proof facilities disposed on one side, and is selectively used for replacement, and a coupling body through which an electric cable installed along the first explosion-proof facility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 cable fixture configured to fix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in a sealed state to a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to inject a shielding material for blocking heat or pressure transf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ies from the outside; a connection adapt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ody, closely attached to the coupling body, coupled to the cable fixture, and passing the cable through a central portion; And it is achieved by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nut portion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in a state caught on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connection adapter to fix the cable fixture to the coupling body.
상기 케이블고정구는, 상기 연결어댑터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중앙부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1 중공이 형성된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방폭설비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중앙부에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 중공이 형성된 제2 체결부; 상기 제1,2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2 중공과 각각 단차를 이루며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3 중공과, 외부와 상기 제3 중공을 서로 연통시키는 투입구가 관통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투입구를 통해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중공에 충진되는 차폐물질과,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le fixture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art screwed to the connection adapter and having a first hollow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 second fastening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to form a screw coupling with the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and having a second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in the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 third hollow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and communicat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llows at a step in the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nd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third hollow with each other penetrates formed connection; and a shielding material that is selectively filled in the third hollow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and a shielding unit composed of a closing member for closing the inlet.
상기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는, 상기 결합바디와 상기 연결어댑터가 마주하는 면에서 각각 서로 상보적인 나이테형 요철이 돌출되어 서로 정합되며 밀착면을 형성하는 접촉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placeable coupler for the explosion-proof equip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end that is matched with each other and forms a close contact surface by protruding complementary tree ring-shaped irregularities, respectively, from the surface where the coupling body and the connection adapter face each other.
상기 제1 체결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된 상태의 상기 연결어댑터를 가압고정하는 픽싱부재가 더 구비되고, 나사결합을 이루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연결어댑터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에폭시가 충진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further includes a fix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pressurizing and fixing the connection adapter in a screwed state, an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connection adapter forming the screwed connection, sealing Epoxy for can be filled.
상기 케이블고정구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중공을 통해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3 중공에 끼움고정되는 탄성소재의 제1 실링부; 및 상기 케이블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2 중공을 통해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3 중공에 끼움고정되는 탄성소재의 제2 실링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3 중공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The cable fixture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art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hollow in a state penetrated by the cable and has one end fixed to the third hollow; and a second sealing part of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through the second hollow in a state penetrated by the cable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third hollow, so that sealing of the third hollow can be achieved. have.
상기 제3 중공을 형성하는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 일부에는, 어 충진된 상기 차폐물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암나사산 형태의 결착돌기가 상기 케이블의 배치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illed shielding material, a binding protrusion in the form of a female thread may be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ble on a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forming the third hollow.
상기 차폐물질은, 점성을 갖는 액상상태에서 경화과정을 통해 상기 제3 중공 내에 부착고정되는 고온 저항성의 에폭시 또는 발포 에폭시이거나, 시멘트를 물에 반죽한 베이스에 내열소재인 점토질, 규석질, 샤오테질, 크롬, 알루미나, 크롬마그네시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내화모르타르일 수 있다.The shielding material is a high-temperature resistant epoxy or foamed epoxy that is attached and fixed in the third hollow through a curing process in a liquid state having viscosity, or a heat-resistant material such as clay, siliceous, or xiaotei, which is a heat-resistant material on a base in which cement is kneaded in water. , It may be a refractory mortar including at least one of chromium, alumina, and chromium magnesia.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제1 방폭설비와의 선택적 나사결합을 위해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는 결합바디와, 이를 관통하는 케이블을 제2 방폭설비에 밀폐된 상태로 고정하는 케이블고정구가 각각 순서대로 제1,2 방폭설비에 설치된 후 외측에서 결합너트부가 케이블고정구와 결합바디 상호 간을 고정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방폭설비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도 서로 다른 형태와 규격의 제1,2 방폭설비가 밀폐성을 유지하며 손쉽게 연결될 수 있어 방폭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body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for selective screw coupling with various first explosion-proof facilities, and a cable fixture for fixing cables passing through them in a sealed state to the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ies are sequentially manufactured. As the coupling nut part is configured to fix the cable fixture and the coupling body to each other from the outside after being installed in the 1,2 explosion-proof facilities, the first and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ies of different shapes and standards maintain the airtightness without separating the entire explosion-proof facility. And it can be easily connected, so the convenience of explosion-proof work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 방폭설비 간의 열이나 압력 전달을 차단하는 한편, 제1 방폭설비에서 제2 방폭설비로 이어지는 케이블을 외기와 밀폐된 상태로 손상 없이 커플러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다양한 차폐물질이 외부에서 주입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방폭작업의 편의성이 향상은 물론, 안정된 방폭성능의 향상과 다양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locking heat or pressure transf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ies, the cable from the first explosion-proof facility to the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is firmly fixed inside the coupler without damage in a sealed state with the outside air As various shielding materials are configured to be injected from the outside, the convenience of explosion-proof work is improved, and stable explosion-proof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diversified.
도 1은 방폭설비인 방폭등에 연결된 중공형 보호 파이프와 터미널단자함 사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2,3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A영역에 대한 단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가 설치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placeable coupler for an explosion-proof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etween a terminal terminal box and a hollow protective pipe connected to an explosion-proof light, which is an explosion-proof facility.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facilities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6 to 9 are views showing step-by-step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ross-section of the area A in FIG. 1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방폭설비인 방폭등에 연결된 중공형 보호 파이프와 터미널단자함 사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2,3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1의 A영역에 대한 단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가 설치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placeable coupler for an explosion-proof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between a hollow protective pipe connected to an explosion-proof light, which is an explosion-proof facility, and a terminal box, FIG. 2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placeable coupler for an explosion-proof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placeable coupler for an explosion-proof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hir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placeable coupler for an explosion-proof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replaceable coupler for an explosion-proof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nd FIGS. It is a view showing step-by-step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ross-section for area A of 1 .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3개의 축은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여 바뀔 수 있으며,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Top (top), bottom (bottom), left and right (side or lateral), front (front, front), rear (back, back), etc., which refer to directions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etc. are not used for limiting right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drawings and the configuration, and the three axes may be rotat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changed, except where specifically limited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200a,200b,200c)는,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방폭등(14), 방폭등 전기배선함(13), 보호 파이프(11), 터미널단자함(12) 등으로 구성되는 서로 다른 형태와 규격의 방폭설비(10) 상호 간을 밀폐 구조로 연결하는 장치이다.The
이러한 본 발명은, 연결이 필요한 방폭설비(10)를 설치위치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상호 간이 손쉽게 연결되고, 방폭설비(10) 간의 열이나 압력 전달이 차단되는 한편, 방폭설비(10) 내에 배선된 전기 케이블(C)이 외기와 밀폐된 상태로 손상 없이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방폭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안정된 방폭성능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completely separating the explosion-
여기서 방폭설비(10)란, 화학공장이나 정유공장, 미세분진이 발생하는 공장과 같이 고위험시설에서 화재나 폭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전기 기타 설비 등을 외기와 밀폐시키는 한편, 폭발 압력이나 고온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부품이나 장치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일례와 같을 수 있다.Here, the explosion-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200a,200b,200c)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복수의 세트로 이루어진 결합바디(210), 복수의 세트로 이루어진 케이블고정구(100), 결합너트부(220) 및 접촉단부(230a,230b) 등을 포함하는 제1,2,3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specifically implement the functions or a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여기서 제1,3 실시예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200a,200c)는, 연결을 매개하는 양측 방폭설비(10)의 규격이나 종류, 방폭성능의 강화가 필요한 방폭설비(10)를 기준으로 상하 즉, 결합바디(210)와 케이블고정구(100, 후술할 차폐부(140)를 통해 방폭성능을 구현) 간의 위치 등이 변경 또는 변형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결합바디(210)는, 일측에 배치된 도 1의 방폭등(14), 방폭등 전기배선함(13), 보호 파이프(11), 터미널단자함(12) 등과 같이 서로 다른 규격의 다양한 방폭설비(10) 간의 나사결합을 위해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First, the
이러한 결합바디(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2 실시예와 같이 제1 방폭설비(11)를 따라 내설되는 전기 케이블(C)이 통과하는 제1 통공(211)이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때, 결합바디(210)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스패너와 같은 작업공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부(214)가 구비되고, 외주면의 상단부에는 제1 방폭설비(11) 즉, 중공형 보호 파이프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단부(212)가 구비되며, 외주면의 하단부에는 후술할 결합너트부(22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그리고 후술할 케이블고정구(100)의 상단면과, 이와 마주하는 결합바디(210)의 하단면에는, 각각 서로 상보적인 나이테형 요철이 돌출되어 서로 정합되며 밀착면을 형성하는 접촉단부(230a,230b)가 구비될 수 있다.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위와 같이 양측에서 서로 맞물리는 접촉단부(230a,230b)로 인해 결합바디(210)의 제1 통공(211)과 케이블고정구(100)의 제1 중공(111)은, 별도의 실링 없이도 간단한 조립만으로 일정수준의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기체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through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바디(2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폭설비(12)를 따라 내설되는 전기 케이블(C)이 통과하는 제1 통공(211)이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바디(210)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는 방폭설비(10)과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1,2 실시예와 달리 공구체결부(214) 대신에 후술할 결합너트부(220)가 걸리는 걸림돌기(222)가 형성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And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규격과 형태의 방폭설비(10)에 각각 적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결합바디(210)를 미리 제작해 둠으로써, 작업자는 현장에서 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방폭작업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As described above, by prefabricating various types of
케이블고정구(100)는, 상술한 결합바디(210)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방폭설비(10) 내부에 배선된 전기 케이블(C)을 유동에 의한 손상 없이 외기와 밀폐된 상태로 제2 방폭설비(12)에 고정하고, 인접한 방폭설비(10) 간의 열 또는 압력 전달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케이블고정구(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형태의 선택이나 결합 위치는 연결될 방폭설비(10) 양측의 형태와 구조, 상술한 결합바디(210)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Such a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고정구(100)는,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110), 제2 체결부(120), 연결부(130), 차폐부(140), 제1 실링부(150) 및 제2 실링부(160)를 포함하는 제1,3 실시예와, 상술한 구성들과 픽싱부재(114) 및 연결어댑터(170) 등 더 포함하는 제2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고정구(100)가 제2 방폭설비(12)에 대한 안정된 방폭성능의 향상을 도모한다고 할 때, 제3 실시예에 따라 위쪽에 연결부(130)와 차폐부(140)를 배치시킨 케이블고정구(100)는 제1 방폭설비(11)에 대한 안정된 방폭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먼저, 제1,3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부(11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결합바디(210)에 밀착되고 중앙부에 케이블(C)이 통과하는 제1 중공(111)이 형성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의 구성요소이다.First, the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110)는, 도 2에서처럼 상단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돌기(222)가 형성되어 후술할 결합너트부(220)의 걸림턱(224)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결합바디(210)에 견고히 밀착되는 구조이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제1 체결부(110)는, 제1 중공(111)을 형성하는 내주면에도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바디(210) 없이 다른 형태와 규격의 방폭설비(10) 등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즉, 후술할 연결어댑터(170) 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 등의 제1 방폭설비(11)와 직접 나사결합을 이룰 수도 있는 것이다.(도 2 및 도 3 참조) That is, the
반면에,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부(110)는, 도 4에서처럼 걸림돌기(220) 대신에 결합너트부(220)와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결합바디(210)에 견고히 밀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한편, 제1 체결부(110)의 상단면(또는 하단면)과, 이와 마주하는 결합바디(210)의 하단면(또는 상단면)에는, 각각 서로 상보적인 나이테형 요철이 돌출되어 서로 정합되며 밀착면을 형성하는 접촉단부(230a,230b)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the
반면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부(1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케이블(C)이 통과하는 제1 중공(111)이 형성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제1 중공(111)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후술할 연결어댑터(170) 등과 나사결합을 이룰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연결어댑터(17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부(110)가 상술한 결합바디(210)와 연결되도록 매개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바디(210)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의 구성요소이다.Here, the
이때,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돌기(222)가 형성된 연결어댑터(170)의 상단면은 상술한 결합바디(210)에 밀착되고, 연결어댑터(170)의 하단부는 케이블고정구(100) 즉, 제1 체결부(110)와 나사결합을 이루게 되며, 중앙부의 제2 통공(171)을 통해 케이블(C)이 통과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러한 연결어댑터(170)의 상단면과, 이와 마주하는 결합바디(210)의 하단면에도, 각각 서로 상보적인 나이테형 요철이 돌출되어 서로 정합되며 밀착면을 형성하는 접촉단부(230a,230b)가 구비될 수 있다.Also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위와 같이 양측에서 서로 맞물리는 접촉단부(230a,230b)로 인해 결합바디(210)의 제1 통공(211)과 연결어댑터(170)의 제2 통공(171)은, 별도의 실링 없이도 간단한 조립만으로 일정수준의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기체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through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부(110)에는, 외부에서 제1 중공(111)을 향해 직각 또는 경사를 이루며 관통형성되어 픽싱부재(114)와 나사결합되는 고정공(1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In the
여기서 픽싱부재(114)는 헤드가 있는 볼트 또는 무두볼트로 이루어져 고정공(112)과의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어댑터(170)의 외주면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제1 체결부(110)에 나사결합된 연결어댑터(170)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Here, the fixing
이때, 나사결합을 이루는 제1 체결부(110)와 연결어댑터(170) 간에 밀폐를 위해, 에폭시(E)가 고정공(112)이나 나사결합 틈새를 통해 이들 사이에 주입되어 충진될 수 있다.At this time, for sealing between the
제1,2,3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부(120)는, 상술한 제1 체결부(110)에서 연장형성되어 타측의 제2 방폭설비(12) 등과 나사결합을 이루고, 중앙부에 제1 중공(111)과 연통되어 케이블(C)이 통과하는 제2 중공(121)이 형성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의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제2 체결부(12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121)을 형성하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방폭설비(12) 즉, 터미널단자함의 락링(12a) 또는 터미널단자함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 등과 나사결합을 이룰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또한, 제2 체결부(12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방폭설비(12)인 터미널단자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이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 방폭설비(12)인 터미널단자함과 나사결합을 이룰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체결부(120)는, 제1 체결부(110)와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제2 중공(121)을 향해 직각 또는 경사를 이루며 관통형성되어 픽싱부재(미도시)와 나사결합되는 고정공(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1,2,3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30)는, 내부를 통과하는 케이블(C)을 견고히 고정하며 제1,2 중공(111,121) 간을 밀폐시키는 후술할 차폐물질(142)이 외부로부터 주입되어 충진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제1,2 체결부(110,120) 사이에 마련되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의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연결부(130)에는, 도 2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2 중공(111,121)과 각각 단차(131a)를 이루며 연통되어 케이블(C)이 통과하는 제3 중공(131)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연결부(130)의 외주면에는 외부와 상술한 제3 중공(131)을 서로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입구(132)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etc., in the
이때, 제3 중공(131)은,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중공(111,121)보다 단면상 작은 직경의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제1,2 중공(111,121)과 각각 단차(131a)를 형성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the third hollow 131 is made to have a smaller diameter in cross section than the first and
이러한 단차(131a)는 후술할 제1,2 실링부(150,160)의 삽입깊이를 정확히 규제하고, 적은 양의 차폐물질(142)이 제3 중공(131)에 충진되도록 하여, 이후 제1 중공(111) 또는 제2 중공(121)을 통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반대로, 제3 중공(131)은 도시된 바와 달리, 제1,2 중공(111,121)보다 단면상 큰 직경의 크기로 제작하여 제1,2 중공(111,121)과 단차(131a)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요구되는 방폭성능에 따라 다종(多種)·다량(多量)의 차폐물질(142)이 제3 중공(131)에 충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Conversely, as shown, the third hollow 131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in cross-section than the first and
한편, 제3 중공(131)을 형성하는 연결부(130)의 내주면 일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진된 차폐물질(142)의 이탈이나 밀림을 방지하는 암나사산 형태의 결착돌기(134)가,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배치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러한 결착돌기(134)와 넓은 면적에서 결합력을 형성하며 경화된 차폐물질(142)은, 제1 방폭설비(11) 또는 제2 방폭설비(12) 측에서 전달된 고압의 폭발 압력에도 결착돌기(134)에 의한 억제력과 결합력에 의해 충진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 더욱 견고한 내압성능을 발휘하게 된다.The shielding
투입구(132)는, 외부에서 제3 중공(131)을 향해 직각 또는 경사를 이루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관통형성되어 후술할 마감부재(144)와 나사결합됨으로써 밀폐되는 구성요소로서, 이로 인해 작업자는 외부에서 후술할 차폐물질(142)을 제3 중공(131) 내에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된다.The
이상에서 살펴본 연결부(130), 상술한 제1 체결부(110) 및 제2 체결부(120)는,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된 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130)와 상술한 제1 체결부(110) 및 제2 체결부(120)는, 부품의 최소화를 통한 설치 작업상의 편의도모와 결합지점에 대한 최소화된 밀폐작업을 위해, 고내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화된 단일부품으로 제작할 수 있다.However, the
제1,2,3 실시예에 따른 차폐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한 제1,2 방폭설비(11,12)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열이나 압력이 케이블(C)이 통과하는 중공(111,121,131)을 통해 다른 하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물질(142) 및 마감부재(14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여기서 차폐물질(142)은, 제1 방폭설비(11)와 제2 방폭설비(12)가 서로 연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밀폐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연결부(130)의 투입구(132)를 통해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제3 중공(131)에 주입되어 충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hielding
본 발명에서 적용 가능한 차폐물질(142)은, 고온 저항성의 에폭시(E) 또는 발포 에폭시이거나, 내화모르타르(미도시) 등일 수 있다.The shielding
여기서 고온 저항성의 에폭시(E) 또는 발포 에폭시 수지는, 점성을 갖는 액체 상태에서 경화과정 또는 발포 경화과정을 통해 제3 중공(131) 내에 부착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상용화된 제품을 사용하되, 설치환경이나 요구되는 방폭성능 등에 따라 탈포제와 같은 다양한 첨가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high temperature resistant epoxy (E) or foamed epoxy resin is a component that is attached and fixed in the third hollow 131 through a curing process or a foaming curing process in a liquid state having viscosity, and a commercial product with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owever, various additives such as defoaming agents may be mixed and us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r required explosion-proof performance.
이러한 고온 저항성의 에폭시(E)의 사용으로 인해 제1,2 방폭설비(11,12)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하나로의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방폭설비(10)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Due to the use of such high-temperature resistant epoxy (E), even if a fire occurs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xplosion-
내화모르타르(미도시)는, 시멘트를 물에 반죽한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내열소재인 점토질, 규석질, 샤오테질(이상 고온에서 산성화), 크롬, 알루미나(고온에서 중성화), 크롬마그네시아(고온에서 염기성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조성물일 수 있다. Fire-resisting mortar (not shown) is based on a base of cement kneaded in water, and heat-resistant materials such as clay, silica, xiaote (acidified at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chromium, alumina (neutralized at high temperatures), and chromium magnesia (at high temperatures). basification) may be a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any one of.
이러한 내화모르타르는, 내열성은 물론이고, 제3 중공(131) 내에 주입하더라도 적하현상이 없는 고점착성, 신속한 시공을 위한 급결성, 자체 응집력에 의한 자중에 대한 직각방향으로의 확산성 및 침투성을 갖는 점도가 있는 액상 내지 겔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fire-resistant mortar has heat resistance as well as high adhesion without dripping even when injected into the third hollow 131, quick-setting for quick construction, diffusivity and permeabil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its own weight due to self-cohesive force. It is preferable to prepare it in the form of a liquid or a gel having a viscosity.
위와 같은 내화모르타르의 특성 내지 성질의 부가, 변경 및 강화 등은, 본 발명의 설치 환경, 연결부(130)의 소재, 요구되는 방폭성능 등을 고려하여 모르타르의 조성물 함량, 상술한 내열성 재료의 성분, 첨가제의 종류나 양 등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e addition, change, and reinforcement of the properties or properties of the fire-resistant mortar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마감부재(144)는, 외기와 제3 중공(131)을 연통시키는 투입구(132)를 폐쇄하여 충진된 차폐물질(142)의 외부 유출 및 외기와 차폐물질(142) 간의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The closing
이러한 마감부재(144)는 도 2 내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있는 볼트 또는 무두볼트로 이루어져 투입구(132)와의 나사결합에 의해 제3 중공(13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 the closing
한편, 제1,2,3 실시예에 따른 제1 실링부(150)는, 투입구(132)를 통해 충진되어 경화되기 전 액상 또는 겔 상태의 차폐물질(142)이 어느 일측의 방폭설비(10,1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중공(131)의 일측을 밀폐시키는 구성요소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이러한 제1 실링부(150)는, 도 2 및 도 4의 제1,3 실시예와 같이, 케이블(C)에 의해 관통된 상태(도 9 참조)로 제1 중공(111)을 통해 삽입되어 제3 중공(131)에 끼움고정되는 일단부(150a)와, 상술한 단차(131a)에 걸리도록 일단부(150a)에서 확장형성된 타단부(150b)로 구성될 수 있다.As in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of FIGS. 2 and 4 , the
여기서 제1 실링부(150)의 타단부(150b)는, 도 3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제1 중공(111)에 위치하며 제1 체결부(110)에 대한 연결어댑터(170)의 나사결합에 의해 가압고정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방폭성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Here, the
제1,2,3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160)는, 투입구(132)를 통해 충진되어 경화되기 전 액상 또는 겔 상태의 차폐물질(142)이 타측의 방폭설비(10,11)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중공(131)의 타측을 밀폐시키는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제2 실링부(16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에 의해 관통된 상태(도 9 참조)로 제2 중공(121)을 통해 삽입되어 제3 중공(131)에 끼움고정되는 일단부(160a)와, 상술한 단차(131a)에 걸리도록 일단부(160a)에서 확장형성되어 제2 중공(121)에 위치하며 제2 체결부(120)에 대한 락링(12a)의 나사결합에 의해 가압고정되는 타단부(160b)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 the
여기서 제2 실링부(160)의 타단부(160b)도,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링(12a)의 나사결합에 의해 가압고정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밀폐 및 방폭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상술한 제1,2 실링부(150,160)는, 실리콘, 합성 고무, PU(polyurethane), 발포성 PP(polypropylene), 발포성 PS(polystyrene) 및 발포성 PVC((Polyvinylchlo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탄성소재로 제작되어 제1,2 중공(111,121)에 각각 장착됨으로써, 투입구(132)를 제외한 제3 중공(131)에 대한 밀폐가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first and second sealing
이로 인해 투입구(132)를 통해 제3 중공(131) 내부에 액상 상태로 주입되는 차폐물질(142)은, 제1,2 방폭설비(11,12)로 유출되지 않고 차폐된 공간에서 케이블(C)을 감싸며 일정한 형태로 빈틈없이 충분히 충진되고 경화됨으로써, 내부를 관통하는 케이블(C)을 견고히 고정하고, 제1,2 방폭설비(11,12) 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For this reason, the shielding
결합너트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고정구(100)의 제1 체결부(110) 또는 연결어댑터(170)의 걸림돌기(222)에 걸린 상태로 결합바디(21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케이블고정구(100)를 결합바디(210)에 고정시키는 링형상의 구성요소이다.The
이러한 결합너트부(220)의 일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술한 걸림돌기(222)에 걸리는 걸림턱(224)이 형성됨으로써, 케이블고정구(100)의 제1 체결부(110) 또는 연결어댑터(170)는 결합바디(210)(또는 제1 체결부(120))의 외주면에 대한 결합너트부(220)의 나사결합에 따라 결합바디(210)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200)는,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1 방폭설비(11)인 보호 파이프와 제2 방폭설비(12)인 터미널단자함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The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 방폭설비(11) 내부를 통과하는 케이블(C)이 결합바디(210)의 제1 통공(211)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벌어진 제1,2 방폭설비(11,12) 사이에 결합바디(210)를 위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6, the operator allows the cable (C)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rst explosion-
그리고 작업자는, 결합바디(210)의 결합단부(212)와 제1 방폭설비(11) 간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바디(210)의 공구체결부(214)에 스패너 등을 체결한 다음 결합바디(210)를 회전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 제1 방폭설비(11)에 결합바디(21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And the operator fastens the spanner to the
이때, 결합바디(210)의 결합단부(212)와 제1 방폭설비(11) 간의 밀폐를 위해 오링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O-ring may be used for sealing between the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케이블(C)이 제1 실링부(150), 제1 실시예의 제1 체결부(110), 연결부(130), 제2 체결부(120) 및 제2 실링부(160)를 순서대로 관통하도록 설치한다.Next, as shown in Figure 7, the operator, the cable (C) is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제1 체결부(110)의 접촉단부(230b)와 결합바디(210)의 접촉단부(230a)가 견고히 밀착되도록 결합너트부(220)를 회전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①)And the operator performs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제1 체결부(110)와 결합바디(210) 간의 결합이 결합너트부(220)를 매개로 이루어진 후, 케이블고정구(100)의 제2 체결부(120)가 제2 방폭설비(12) 내부에 끼워지도록 제2 방폭설비(12)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②)And the operator, after the coupling between the
위와 같이 양측에서 서로 맞물리며 치합되는 접촉단부(230a,230b)로 인해 결합바디(210)의 제1 통공(211)과 제1 체결부(110)의 제1 중공(111)은, 별도의 실링 없이도 간단한 조립만으로 일정수준의 밀폐상태(수분의 유입 방지)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폭발압에도 케이블고정구(100)에 대한 결합바디(210) 간의 어긋남이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 first through
다음으로, 작업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120)와 락링(12a) 간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락링(12a)을 회전시키는 작업(①)을 수행하여 제2 방폭설비(12)에 제2 체결부(120)를 고정하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8, the operator performs the operation (①) of rotating the
이때에는, 제2 실링부(160)의 타단부(160b)가 제2 체결부(120)와 락링(12a) 간의 나사결합에 의해 눌려지며 제2 중공(121)에 가압고정됨으로써, 제2 방폭설비(12) 쪽의 제3 중공(131)은 견고하게 밀폐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작업자는, 제1,2 실링부(150,160)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된 제3 중공(131) 내부로 고온 저항성의 에폭시(E)와 같은 차폐물질(142)이 충진되도록 투입구(132)를 통해 차폐물질(142)을 주입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②)And the operator, through the
그리고 작업자는, 연결부(130)에 형성된 투입구(132)와 마감부재(144) 간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마감부재(144)를 회전시켜 충진된 차폐물질(142)의 외부 유출은 물론, 차폐물질(142)과 외기 간의 접촉을 차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And the operator rotates the closing
이때, 충진되는 차폐물질(142)은, 제1,2 실링부(150,160)에 의해 밀폐된 제3 중공(131)의 용적보다 큰 용량으로 투입하여 마감부재(144)의 회전에 따라 가압되면서 투입구(132)를 통해 소량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이렇게 차폐물질(142)의 투입량을 크게 한 이유는, 제3 중공(131) 내부에 빈틈이나 공극을 형성하지 않고 차폐물질(142)이 촘촘하게 충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amount of the shielding
한편, 제1 체결부(110)와 결합바디(210) 간의 밀폐를 위해, 고온 저항성의 에폭시(E)를 결합너트부(220)의 틈새를 통해 소량 주입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or sealing between the
마지막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방폭설비(11,12)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200a)가 최종 설치완료되고 차폐물질(142)이 경화되면, 방폭설비(10) 내부에 배선된 케이블(C)은 유동에 의한 손상 없이 외기와 밀폐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인접한 방폭설비(10) 간의 열 또는 압력 전달이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으며, 복잡한 밀폐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설치된 인접한 방폭설비(11,12) 사이에 손쉽게 설치 및 교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nally, as shown in FIG. 9, when th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said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 케이블
10: 방폭설비
11: 제1 방폭설비(보호 파이프)
12: 제2 방폭설비(터미널단자함)
12a: 락링
13: 전기배선함
14: 방폭등
100: 케이블고정구
110: 제1 체결부
111: 제1 중공
112: 고정공
114: 픽싱부재
120: 제2 체결부
121: 제2 중공
130: 연결부
131: 제3 중공
131a: 단차
132: 투입구
134: 결착돌기
140: 차폐부
142: 차폐물질
E: 에폭시
144: 마감부재
150: 제1 실링부
150a,150b: 일단부, 타단부
160: 제2 실링부
160a,160b: 일단부, 타단부
170: 연결어댑터
171: 제2 통공
200a,200b,200c: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
210: 결합바디
211: 제1 통공
212: 결합단부
214: 공구체결부
220: 결합너트부
222: 걸림돌기
224: 걸림턱
230a,230b: 접촉단부C: Cable 10: Explosion-Proof Equipment
11: 1st explosion-proof facility (protection pipe) 12: 2nd explosion-proof facility (terminal box)
12a: lock ring 13: electric junction box
14: explosion-proof light
100: cable fixture
110: first fastening part 111: first hollow
112: fixing hole 114: fixing member
120: second fastening part 121: second hollow
130: connection part 131: third hollow
131a: step 132: inlet
134: binding projection 140: shielding part
142: shielding material E: epoxy
144: closing member 150: first sealing part
150a, 150b: one end, the other end 160: second sealing portion
160a, 160b: one end, the other end 170: connection adapter
171: second hole
200a, 200b, 200c: replaceable couplers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210: coupling body 211: first through hole
212: coupling end 214: tool fastening part
220: coupling nut portion 222: locking projection
224: locking
Claims (10)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타측에 배치된 제2 방폭설비에 밀폐된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제1,2 방폭설비 간의 열이나 압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폐물질이 외부에서 주입되도록 구성된 케이블고정구; 및
상기 케이블고정구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상기 결합바디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케이블고정구를 상기 결합바디에 고정시키는 결합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A coupling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ts for screw coupling with various first explosion-proof facilities disposed on one side and selectively used for replacement, through which an electric cable installed along the first explosion-proof facility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 cable fixture configured to fix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in a sealed state to a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to inject a shielding material for blocking heat or pressure transf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ies from the outside; and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upling nut portion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in a state caught on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cable fixture to fix the cable fixture to the coupling body.
상기 케이블고정구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바디에 밀착되고, 중앙부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1 중공이 형성된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방폭설비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중앙부에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 중공이 형성된 제2 체결부;
상기 제1,2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2 중공과 각각 단차를 이루며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3 중공과, 외부와 상기 제3 중공을 서로 연통시키는 투입구가 관통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투입구를 통해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중공에 충진되는 차폐물질과,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According to claim 1,
The cable fixture is
a first fastening part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an edg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body, and a first hollow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is formed in a central part;
a second fastening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to form a screw coupling with the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and having a second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in a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 third hollow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and communicat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llows at a step in the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nd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third hollow with each other penetrates formed connection; and
Replacement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ielding material that is selectively filled in the third hollow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and a closing member for closing the inlet.
상기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는,
상기 결합바디와 상기 케이블고정구가 마주하는 면에서 각각 서로 상보적인 나이테형 요철이 돌출되어 서로 정합되며 밀착면을 형성하는 접촉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According to claim 1,
The replacement coupler for the explosion-proof equipment is,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body and the cable fixture further include a contact end that is matched with each other by protruding complementary growth ring-shaped irregularities from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forming a close contact.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케이블을 타측에 배치된 제2 방폭설비에 밀폐된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제1,2 방폭설비 간의 열이나 압력 전달을 차단하는 차폐물질이 외부에서 주입되도록 구성된 케이블고정구;
상기 결합바디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바디에 밀착되며 상기 케이블고정구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연결어댑터; 및
상기 연결어댑터의 걸림돌기에 걸린 상태로 상기 결합바디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케이블고정구를 상기 결합바디에 고정시키는 결합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A coupling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ts for screw coupling with various first explosion-proof facilities disposed on one side and selectively used for replacement, through which an electric cable installed along the first explosion-proof facility passe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 cable fixture configured to fix the cab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in a sealed state to a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disposed on the other side, and to inject a shielding material for blocking heat or pressure transf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ies from the outside;
a connection adapt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body, closely attached to the coupling body, coupled to the cable fixture, and passing the cable through a central portion; and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upling nut portion screw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body in a state of being caught on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connection adapter to fix the cable fixture to the coupling body.
상기 케이블고정구는,
상기 연결어댑터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중앙부에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1 중공이 형성된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방폭설비와 나사결합을 이루고, 중앙부에 상기 제1 중공과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2 중공이 형성된 제2 체결부;
상기 제1,2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2 중공과 각각 단차를 이루며 연통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제3 중공과, 외부와 상기 제3 중공을 서로 연통시키는 투입구가 관통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투입구를 통해 외부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중공에 충진되는 차폐물질과, 상기 투입구를 폐쇄하는 마감부재로 구성된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ble fixture is
a first fastening part screwed to the connection adapter and having a first hollow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 second fastening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to form a screw coupling with the second explosion-proof facility, and having a second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in a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 third hollow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and communicated with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llows at a step in the central part through which the cable passes, and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third hollow with each other penetrates formed connection; and
Replacement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ielding material that is selectively filled in the third hollow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and a closing member for closing the inlet.
상기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는,
상기 결합바디와 상기 연결어댑터가 마주하는 면에서 각각 서로 상보적인 나이테형 요철이 돌출되어 서로 정합되며 밀착면을 형성하는 접촉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placement coupler for the explosion-proof equipment is,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act end that is matched with each other b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facing the coupling body and the connection adapter, each complementary to each other, and forming a close contact.
상기 제1 체결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된 상태의 상기 연결어댑터를 가압고정하는 픽싱부재가 더 구비되고,
나사결합을 이루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연결어댑터 사이에는, 밀폐를 위한 에폭시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first fastening part,
A fixing member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pressing and fixing the connection adapter in a screwed state is further provided;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an epoxy for sealing is fill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connection adapter forming the screw connection.
상기 케이블고정구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중공을 통해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3 중공에 끼움고정되는 탄성소재의 제1 실링부; 및
상기 케이블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2 중공을 통해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3 중공에 끼움고정되는 탄성소재의 제2 실링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3 중공에 대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The cable fixture is
a first sealing part of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through the first hollow in a state penetrated by the cable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third hollow;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aling part of an elastic material inserted through the second hollow in a state penetrated by the cable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third hollow,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sealing to the third hollow is made.
상기 제3 중공을 형성하는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 일부에는,
어 충진된 상기 차폐물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암나사산 형태의 결착돌기가 상기 케이블의 배치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In a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forming the third hollow,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filled shielding material,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a female threaded binding protrusion is form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ble.
상기 차폐물질은,
점성을 갖는 액상상태에서 경화과정을 통해 상기 제3 중공 내에 부착고정되는 고온 저항성의 에폭시 또는 발포 에폭시이거나,
시멘트를 물에 반죽한 베이스에 내열소재인 점토질, 규석질, 샤오테질, 크롬, 알루미나, 크롬마그네시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내화모르타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설비용 교체식 커플러.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The shielding material is
It is a high-temperature resistant epoxy or foamed epoxy that is attached and fixed in the third hollow through a curing process in a liquid state having viscosity,
A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ire-resistant mortar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e heat-resistant materials such as clay, silica, xiaote, chromium, alumina, and chromium magnesia in a base kneaded with c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8618A KR20220018292A (en) | 2020-08-06 | 2020-08-06 |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8618A KR20220018292A (en) | 2020-08-06 | 2020-08-06 |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8292A true KR20220018292A (en) | 2022-02-15 |
Family
ID=8032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8618A Ceased KR20220018292A (en) | 2020-08-06 | 2020-08-06 |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1829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84558A (en) * | 2022-03-10 | 2022-07-22 | 沈阳中科奥维科技股份有限公司 | Radio frequency connector with explosion-proof function and design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0608U (en) | 2007-07-16 | 2009-01-21 | 삼화기전 주식회사 | Explosion proof multicore cable sealing connector |
-
2020
- 2020-08-06 KR KR1020200098618A patent/KR20220018292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0608U (en) | 2007-07-16 | 2009-01-21 | 삼화기전 주식회사 | Explosion proof multicore cable sealing connect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84558A (en) * | 2022-03-10 | 2022-07-22 | 沈阳中科奥维科技股份有限公司 | Radio frequency connector with explosion-proof function and design method |
CN114784558B (en) * | 2022-03-10 | 2023-10-31 | 沈阳中科奥维科技股份有限公司 | Radio frequency connector with explosion-proof function and design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157721A (en) | Cable fixing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inside | |
EP0894353B1 (en) | Underground well electrical cable transition, seal and method | |
US5015804A (en) | Electrical cable connector for sealing an armoured electrical cable | |
CA3027361C (en) | Explosion-proof enclosures including light transmissive portions | |
RU180659U1 (en) | Cable entry device | |
US20100323559A1 (en) | Coupler with universal adaptors for electricity, compressed air, fluids, and data | |
KR101496984B1 (en) | Increased Safety explosion-proof junction box | |
KR20220018292A (en) | Replaceable coupler for explosion-proof equipment | |
US20100140877A1 (en) | Method for forming a seal on conductors of an electrical cable | |
KR20170008400A (en) | Explosion-proof data transmitter enclosure with built-in battery or external power connection | |
US9368905B2 (en) | Potting compound chamber designs for electrical connectors | |
CN207410002U (en) | An explosion-proof box for cable joints | |
KR101270100B1 (en) | Explosion-proof bushing for cabinet panel | |
CN205016985U (en) | Explosion -proof protection device of cable joint | |
CN205646754U (en) | Explosion -proof type shrinkage cable connector | |
US7122743B2 (en) | Seal for cables and conduits | |
KR102582477B1 (en) | Integrated explosion-proof sealing fitting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JP4804338B2 (en) | Arrangement structure of boxes on fireproof wall and fireproof material | |
CN208240520U (en) | Marine explosion-proof switch | |
EP2852010A1 (en) | Adapter device for industrial electrical sockets | |
CN222691360U (en) | Pipeline explosion-proof box | |
KR102451104B1 (en) | Device for sealing and fitting parts for preventing explosion | |
CA3013026C (en) | Potting compound chamber designs for electrical connectors | |
CA1318372C (en) | Electrical cable connector for sealing an armoured electrical cable | |
CN216564482U (en) | Fireproof connection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4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1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