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18037A -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037A
KR20220018037A KR1020227000635A KR20227000635A KR20220018037A KR 20220018037 A KR20220018037 A KR 20220018037A KR 1020227000635 A KR1020227000635 A KR 1020227000635A KR 20227000635 A KR20227000635 A KR 20227000635A KR 20220018037 A KR20220018037 A KR 20220018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wall
spacer
pane
glaz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베르너 쿠스터
크리스토퍼 마르얀
발터 슈라이버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20018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0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2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2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omprising an interruption of the heat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14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 E06B3/6631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tubular shape of rubber, plastics or simi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specially adapted for units comprising more than two panes or for attaching intermediat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39Working the edges of already assembled units
    • E06B3/67343Filling or covering the edges with synthetic hardenable subst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7Evacuating or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quilibration of inside and outside pressure; Preventing condensation in the gap between the panes; Cleaning the gap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4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 E06B3/66352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characterised by their sealed connection to the panes with separate sealing strips between the panes and the spac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1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special structural provisions for holding drying agents, e.g. packed in special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9Glazing, e.g. vacuum gl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22Glazing, e.g. vaccum gl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부터 공압출된 본체(1)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I)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제2 플라스틱(8)은 제1 플라스틱(7)보다 더 낮은 열전도율 및 더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본체(1)는 제1 측벽(2.1) 및 이에 평행하게 배열된 제2 측벽(2.2), 측벽(2.1, 2.2)을 서로 연결하는 글레이징 내벽(3), 상기 글레이징 내벽(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측벽(2.1, 2.2)을 직접 또는 연결벽(6.1, 6.2)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외벽(4) 및 측벽(2.1, 2.2), 글레이징 내벽(3) 및 외벽(4)에 의해 또는 측벽(2.1, 2.2), 글레이징 내벽(3), 외벽(4) 및 연결벽(6.1, 6.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동(4)을 포함하며, 여기서 본체(1)는 제2 플라스틱(8)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로서 설계되고, 여기서 중공 프로파일에 제1 플라스틱(7)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중공 프로파일에 직접 인접한 내부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본 발명은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spacer), 단열 유리 유닛, 단열 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단열 유리 유닛은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진 두 개 이상의 판유리를 포함한다. 판유리들은 스페이서에 의해 정의된 가스 또는 진공 공간을 통해 서로 분리된다. 단열 유리의 단열 능력은 단일 판유리보다 훨씬 더 크며 삼중 글레이징 유닛 또는 특수 코팅으로 더욱 증가되고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은 함유 코팅은 적외선의 투과율을 감소시켜 겨울에 건물의 냉각을 감소시킨다.
유리의 특성과 구조 외에도 단열 유리 유닛의 다른 구성 요소도 매우 중요하다. 씰(seal)과 특히 스페이서는 절연 유리 유닛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스페이서와 유리판 사이의 접점은 온도와 기후 변동에 매우 민감하다. 판유리와 스페이서 사이의 연결은 폴리이소부틸렌과 같은 유기 중합체의 접착 결합을 통해 만들어진다. 접착제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온도 변동의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특히 유리 자체가 접착 결합에 대해 영향을 미친다. 유리와 스페이서는 선형 열팽창 계수가 다르다. 즉, 온도 변화로 인해 서로 다르게 팽창한다. 예를 들어 햇빛 등의 온도 변화로 인해 유리는 팽창되고 혹은 냉각되자 마자 다시 수축된다. 스페이서는 이러한 움직임을 동일한 정도로 하게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 기계적 움직임은 접착 결합을 확장하거나 압축하며, 자체 탄성을 통해 제한된 정도로만 이러한 움직임을 보상할 수 있다. 절연 유리 유닛의 사용 수명 동안 설명된 기계적 응력으로 인해 접착 결합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 영역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접착 결합의 이러한 분리는 후속적으로 절연 유리 유닛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기후 부하로 인해 판유리 영역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고 단열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와 스페이서의 선형 팽창 계수를 가능한 한 동일하게 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가치가 있다.
단열 유리 유닛의 단열 특성은 에지 씰 영역, 특히 스페이서 영역의 열전도율에 의해 상당히 큰 영향을 받는다. 금속 스페이서의 경우 금속의 높은 열전도율로 인해 유리 가장자리에 열교(thermal bridge)가 형성됩니다. 이 열교는 한편으로는 단열 유리 유닛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열 손실을 일으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습도와 낮은 외부 압력으로 인해 스페이서 영역의 내부 창에 결로를 형성합니다. 스페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스페이서를 만드는 열적으로 최적화된 소위 "웜 에지(warm-edge)" 시스템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열전도성의 관점에서 폴리머 스페이서는 금속 스페이서보다 선호된다. 그러나 폴리머 스페이서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우선 수분 및 가스 손실에 대한 폴리머 스페이서의 견고성이 충분하지 않다. 여기서, 특히 스페이서의 외측에 배리어 필름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해결책이 존재한다(예를 들어, WO2013/104507 A1 참조).
둘째, 플라스틱의 선팽창 계수는 유리보다 훨씬 크다. 선팽창 계수를 균등화하기 위해 유리섬유를 혼합할 수 있다(예: EP0852280 A1 및 DE19807454 A1 참조). 그러나 증가된 유리섬유 함량은 스페이서의 열전도 특성을 악화시키므로 여기서 정밀한 최적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유리섬유 및 유사한 충전재도 스페이서의 길이 방향 강성을 향상시킨다.
폴리머 유리섬유 강화 스페이서는 너무 잘 부서지기 때문에 금속 스페이서와 달리 냉간 만곡을 할 수 없다.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프레임을 생산하려면 여러 개의 스페이서 조각을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연결하고 접착하거나 용접해야 한다. 각 연결 지점은 조심스럽게 밀봉해야 한다. 굽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금속 스트립을 폴리머 본체에 통합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WO2015/043848 A1 및 DE19807454 A1 참조). 그러나 생산 중 금속 스트립을 폴리머 본체에 통합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다.
유리섬유와 같은 추가 충전재가 없는 폴리머 스페이서는 유연하고 충분히 단단하지 않다. 그러나 길이방향 강성(길이방향 편향이라고 함)은 기계 가공성에 중요하다. 길이방향 강성의 개선은 금속 스트립의 통합(이전 항목 참조) 또는 몸체에 금속 요소의 외부 적용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예: EP1055046 B2 및 EP3241972 A1 참조). 그러나 금속 스트립의 적용은 금속 요소가 열전도율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스페이서의 열전도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개별 금속 요소의 외부 적용에서 특히 어려운 점은 습기 침투에 대해 에지 씰을 완벽하게 밀봉하는 것이다.
단열 유리 유닛을 생산하는 동안 프레스는 스페이서와 유리판을 함께 누르는 데 사용된다. 이는 스페이서에 압력을 가하여 압력이 너무 높으면 스페이서가 손상될 수 있다.
DE 10 2011 009 359 A1은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중공 프로파일 본체 및 확산 장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공 프로파일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로서 설계된 시트 규산염을 갖는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확산 차단 영역을 갖는 스페이서 프로파일을 개시하고 있다.
WO 2015/086459 A1은 압출 밀봉 프로파일을 갖는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를 개시하고, WO 2018/050357 A1은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갖는 스페이서를 개시한다.
US 4,113,905는 얇은 압출 코어 및 코어 상에 주조되는 비교적 두꺼운 발포층을 포함하는 복합 발포 스페이서를 개시하고 있다.
위에 나열된 문제와 개별 솔루션은 상호 연관되어 서로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모든 문제를 수용 가능한 하나의 솔루션으로 묶는 전체 솔루션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개선된 스페이서를 제공하고 개선된 단열 유리 유닛 및 그 제조를 위한 단순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 1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이들의 용도는 추가 독립항으로부터 나온다.
단열 유리 유닛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적어도 제1 측벽, 이에 평행하게 배열된 제2 측벽, 글레이징 내벽, 외벽, 및 공동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공동은 측벽, 글레이징 내벽 및 외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글레이징 내벽은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고 제1 측벽을 제2 측벽에 연결한다. 측벽은 단열 유리 유닛의 외부 판유리가 부착되는 본체의 벽이다. 글레이징 내벽은 본체의 벽으로서, 완성된 단열 유리 유닛에 설치한 후 내부 판유리 사이 공간을 향한다. 외벽은 글레이징 내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1 측벽을 제2 측벽에 연결하며, 제1 측벽은 외벽에 직접 또는 제1 연결벽을 통해 연결되고 제2 측벽은 외부 벽에 직접 또는 제2 연결벽을 통해 연결된다. 완성된 단열 유리 유닛에 설치한 후 외벽은 외부 판유리 공간에 대면한다. 본체의 공동은 측벽, 글레이징 내벽 및 외벽 또는 측벽, 글레이징 내벽, 외벽 및 연결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는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제2 플라스틱은 제1 플라스틱보다 더 낮은 열 전도성 및 더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는 제2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로서 구현되며, 제1 플라스틱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중공 프로파일에 직접 인접한 내부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플라스틱은 적어도 측벽의 영역에서 제2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 내부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플라스틱은 제1 플라스틱보다 적어도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플라스틱은 제1 플라스틱보다 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더 높은 가요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의 본체는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으로부터 공압출된 본체이고, 즉 본체는 제1 플라스틱과 제2 플라스틱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되었다.
선택적인 제1 연결벽 및 선택적인 제2 연결벽은 바람직하게는 외벽에 대해 30°내지 60°의 각도 α(알파)로 연장된다. 제1연결벽과 제2연결벽의 각진 형상은 본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더 나은 접합 및 절연을 가능하게 한다.
스페이서의 공동에 건조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단열 유리 유닛의 내부 판유리 공간에 연결하는 천공을 글레이징 내벽에 만들 수 있다. 캐비티에 존재하는 건조제는 글레이징 내부 벽의 천공을 통해 내부 판유리 사이 공간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에서, 제1 플라스틱이 내부에 배열된다는 사실로 인해,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1 플라스틱은 제2 플라스틱이 충족해야 하는 높은 광학 요구 사항을 충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제1 플라스틱은 재활용 재료를 포함하거나 재활용 재료로 만들 수도 있다. 내부 제1 플라스틱을 재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 제1 플라스틱은 외부 제2 플라스틱만큼 높은 UV 저항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추가 이점은 내부적으로 배열된 제1 플라스틱과 조합하여 외부적으로 배열된 제2 플라스틱으로 인해 스페이서가 예를 들어 절연 유리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 과정 동안 응력에 덜 민감해진다는 것이다. 외부에 배치된 제2 플라스틱은 모든 하중을 흡수할 필요가 없다. 내부에 위치한 제1 플라스틱이 이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힘 분포가 가능하다. 또한, 열전도율이 낮은 제1 플라스틱과 제2 플라스틱을 조합함으로써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이고, 제2 플라스틱은 제1 플라스틱보다 유리섬유 함량이 더 낮거나 유리섬유가 없는 플라스틱이다.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유리섬유 함량은 10% 내지 40%, 특히 25% 내지 4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발포되지 않은 플라스틱이고 제2 플라스틱은 발포 플라스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 모두 발포 플라스틱이고 제1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이다.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은 동일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이 상이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은 서로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프로필렌(PP),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에스테르(ASA),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 폴리카보네이트(ABS/PC),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PET/PC, PBT/PC, 및/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플라스틱은 또한 재활용 물질일 수 있거나 제1 플라스틱은 재활용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40%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PP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되지 않은 PP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35%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SAN이고; 제2 플라스틱은 강화 유리섬유가 아닌 SAN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35%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SAN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되지 않은 TPU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35%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SAN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되지 않은 PP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40%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PP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로 강화되지 않은 SAN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40%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PP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되지 않은 TPU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30%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ABS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되지 않은 ABS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30%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ABS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되지 않은 TPU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30%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ABS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되지 않은 PP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40%의 유리섬유 함량을 갖는 유리섬유 강화 PP이고; 제2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강화되지 않은 ABS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플라스틱은 발포 플라스틱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1 측벽, 제2 측벽, 및 또한 존재하는 경우 제1 연결벽 및 제2 연결벽은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 모두로 제조되며, 플라스틱은 혼합되지 않고, 그러나 대신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이들 벽이 모두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은 본체의 공동에 직접 인접하여, 즉 내부에 배열되고; 제2 플라스틱은 외부에 배치되고, 즉 캐비티에 직접 인접하지 않는다. 제2 플라스틱을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더 나은 절연 및/또는 더 나은 배리어 필름의 접착 및/또는 더 나은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의 본체는 내부에 제1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외부에 제2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내부"는 공동에 인접한 본체의 영역을 의미하고 "외부"는 공동에 인접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1 측벽, 제2 측벽, 글레이징 내벽, 외벽, 그리고 또한 존재한다면, 본체의 제1 연결벽 및 제2 연결벽은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여기서 공동에 직접 인접한 본체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공동에 직접 인접하지 않은 본체의 영역은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본체는 제1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하고, 이는 제2 플라스틱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거나, 즉, 제2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플라스틱으로 만든 중공 프로파일은 내부에서 바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측벽, 제2 측벽, 외벽, 및 또한 존재하는 경우 본체의 제1 연결벽 및 제2 연결벽은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공동에 바로 인접한 본체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공동에 바로 인접하지 않은 본체의 영역은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본체의 글레이징 내벽은 제 2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본체는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든 중공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실질적으로 U자형 프로파일은 외벽, 제1 측벽 영역에서 및 제2 측벽, 그리고 또한 존재하는 경우 제1 연결벽과 제2 연결벽의 영역에서 내부에 배열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측벽, 제2 측벽, 글레이징 내벽, 및 또한 존재하는 경우 본체의 제1 연결벽 및 제2 연결벽은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여기서 공동에 바로 인접한 본체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공동에 바로 인접하지 않은 본체의 영역은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본체의 외벽은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측벽, 제2 측벽, 및 또한 존재한다면, 본체의 제1 연결벽 및 제2 연결벽은 제1 플라스틱 및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공동에 바로 인접한 본체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공동에 바로 인접하지 않은 본체의 영역은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본체의 외벽과 글레이징 내벽은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는 추가로 리세스를 갖는다. 이 리세스는 중공 본체의 측벽과 평행하게 진행되며 판유리를 수용하는 데 적합하다. 리세스의 바닥은 바람직하게는 외벽에 의해 형성된다. 그 결과, 리세스의 가능한 최대 깊이가 얻어지고 리세스에 수용된 판유리를 안정화하기 위한 리세스의 측면 영역이 최대화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내벽을 따라 5mm 내지 80mm, 바람직하게는 10mm 내지 20mm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폭은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는 치수이다. 폭은 서로 마주보는 두 측벽의 표면 사이의 거리이다. 글레이징 내벽의 폭을 선택하면 단열 유리 유닛의 판유리들 사이의 거리가 결정됩니다. 글레이징 내벽의 정확한 치수는 단열 유리 유닛의 치수와 원하는 판유리 간 공간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측벽을 따라 5mm 내지 1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0mm의 높이를 갖는다. 이 범위의 높이에서 스페이서는 유리한 안정성을 갖지만, 다른 한편으로 유리하게는 절연 유리 유닛에서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스페이서의 공동은 적절한 양의 건조제를 수용하기에 유리한 크기를 갖는다. 스페이서의 높이는 외부 벽의 표면과 서로를 향하는 글레이징 내벽 사이의 거리이다.
글레이징 내벽, 외벽, 연결벽 및 측벽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5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8mm 내지 1.0mm이다.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공동 내에 건조제,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 분자체, CaCl2, Na2SO4, 활성탄, 실리케이트,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단열 유리 유닛을 조립하기 직전에 건조제를 채울 수 있다. 이것은 완성된 단열 유리 유닛에서 건조제의 특히 높은 흡수 용량을 보장한다. 글레이징 내벽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포함된 건조제에 의해 대기 습도의 흡수를 허용하는 개구/천공을 갖는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스페이서 설치 시 단열 유리 유닛의 외부 판유리가 장착되는 스페이서의 측면이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체의 외벽은 글레이징 내벽의 반대편에 있고 외부 판유리 사이 공간 방향으로 단열 유리 유닛(내부 판유리간 공간)의 내부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벽이다. 외벽은 바람직하게는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어진다.
유연성과 열전도율이 다른 두 플라스틱을 결합하여 스페이서 본체의 특정 위치를 열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최적화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특히, 제1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중공 프로파일을 제2 플라스틱으로 완전히 피복하는 경우, 제2 플라스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필름에 대한 접착력, UV 저항성 또는 시각적 외관과 같은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플라스틱은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외관을 보장하기 위해 완전히 피복될 때 제2 플라스틱으로 덮이는 재활용 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 및/또는 제2 플라스틱은 발포 플라스틱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페이서의 열적 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는 배리어 필름을 갖는다. 배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외벽, 제1 연결벽 및 제2 연결벽, 그리고 적어도 측벽의 일부에 배치된다. 배리어 필름은 예를 들어 접착제로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배리어 필름은 예를 들어 7μm 두께의 알루미늄 금속 함유 배리어층, 12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머 층 및 10nm 두께의 알루미늄 금속 함유 박층(thin layer)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PET 필름이 특히 높은 인열 저항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7μm 두께의 알루미늄 층을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필름층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층, 즉 금속 함유 배리어층 및 금속 함유 박층이 외측에 있도록 배열된다.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함유 배리어층이 외벽을 향하도록 본체 상에 배열된다. 그러면 금속 함유 박층이 외측을 향함과 동시에 2차 실런트의 재료에 대한 접착층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금속 함유 박층은 배리어 효과 뿐만 아니라 접착 촉진제의 기능도 갖는다. 배리어 필름은 열적 특성의 추가 개선을 위해 발포 폴리머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본체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플라스틱과 제2 플라스틱을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제1 판유리, 제2 판유리, 제1 판유리와 제2 판유리 사이에 둘레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내부 판유리간 공간, 및 외부 판유리간 공간을 갖는 단열 유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주변 스페이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제1 판유리는 1차 실런트를 통해 스페이서의 제1 측벽에 부착되고, 제2 판유리는 1차 실런트를 통해 제2 측벽에 부착된다. 이것은 1차 실란트가 제1 측벽과 제1 판유리 사이 뿐만 아니라 제2 측벽과 제2 판유리 사이에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차 실런트는 측벽 또는 배리어 필름과 접촉하며, 이는 측벽, 선택적 연결벽 및 본체의 외벽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판유리와 제2 판유리는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합동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두 판유리의 가장자리는 에지 영역에서 동일 평면적으로 배열된다. 즉, 동일한 높이에 있다. 내부 판유리 사이 공간은 제1 및 제2 판유리와 글레이징 내벽으로 구분된다. 외부 판유리 사이 공간은 제1 판유리, 제2 판유리 및 외벽 또는 본체의 외벽상의 선택적 배리어 필름에 의해서 구분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외부 판유리 사이 공간은 2차 실란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2차 실란트는 단열 유리 유닛의 기계적 안정성에 기여하고 에지 씰에 작용하는 일부 기후 하중을 흡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리어 필름의 존재하에, 1차 실런트는 글레이징 내벽에 인접한 제1 및 제2 측벽의, 배리어 필름이 없는 영역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1차 실란트는 본체와 배리어 필름 사이의 전이(transition)를 덮어서 단열 유리 유닛의 특히 우수한 밀봉이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리어 필름이 플라스틱에 인접한 스페이서의 공동으로 수분의 확산이 감소된다(계면 확산이 적음).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를 따라 2차 실란트가 적용되어 외벽의 중앙 영역에 2차 실란트가 없도록 한다. "중앙 영역"은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에 인접한 외벽의 2개의 외부 영역과 대조적으로, 2개의 외부 판유리에 대해 중앙에 배열된 영역을 지칭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열 유리 유닛의 양호한 안정화(stabilization)가 획득되는 동시에 2차 실란트의 재료비가 절감된다. 동시에, 이러한 배열은 각각의 경우에 외부 판유리에 인접한 외부 영역의 외벽에 두 가닥의 2차 실란트를 적용함으로써 쉽게 만들어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차 실란트는 전체 외부 판유리 사이 공간이 2차 실란트로 완전히 채워지도록 부착된다. 이로써 단열 유리 유닛의 최대 안정화를 이룬다.
바람직하게는, 2차 실란트는 폴리머 또는 실란-개질된 폴리머,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실온-가황(RTV) 실리콘 고무, 과산화물-가황 실리콘 고무, 및/또는 부가-가황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및/또는 또는 부틸 고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란트들은 특히 우수한 안정화 효과를 갖는다.
1차 실란트는 폴리이소부틸렌을 함유한다. 폴리이소부틸렌은 가교 또는 비가교 폴리이소부틸렌일 수 있다.
단열 유리 유닛의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세라믹, 및/또는 폴리머, 특히 바람직하게는 석영 유리, 붕규산 유리, 소다 석회 유리,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한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는 2mm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16mm의 두께를 가지며, 두 판유리는 가능하게는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의 스페이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스페이서는 완전한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스페이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길이 방향 커넥터 또는 모서리 커넥터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모서리 커넥터는 예를 들어 2개의 연귀 스페이서가 접하는 씰이 있는 플라스틱 성형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단열 유리 유닛의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사다리꼴 및 둥근 형상이 가능하다. 둥근 형상을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가열된 상태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열 글레이징은 2개보다 많은 판유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스페이서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판유리가 배열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판유리는 적층 유리판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의 제조 방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단계,
- 스페이서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페이서를 접합하는 단계,
-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스페이서를 1차 실란트를 통해 제1 판유리와 제2 판유리 사이에 고정하는 단계,
- 2개의 판유리들과 스페이서로 구성된 판유리 어셈블리를 압착하는 단계,
- 외부 판유리 사이 공간을 2차 실란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단계.
단열 유리 유닛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이중 글레이징 시스템 상에서 기계에 의해 생산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프레임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 프레임은 용접, 접착 및/또는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제1 판유리와 제2 판유리가 제공되고, 스페이서 프레임은 1차 실란트를 통해 제1 판유리와 제2 판유리 사이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프레임은 스페이서의 제1 측벽과 함께 제1 판유리에 배치되고 1차 실런트를 통해 고정된다. 그 다음, 제2 판유리는 스페이서의 제2 측벽 상의 제1 판유리와 합동으로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1차 실란트를 통해 고정되고 판유리 어셈블리가 압착된다. 외부 판유리 사이 공간은 2차 실란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열 유리 유닛의 간단하고 경제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설계 덕분에,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스페이서에 대해 이미 이용 가능한 종래의 기계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새로운 기계가 필요하지 않다.
제1 판유리 및 제2 판유리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프레임을 제공하기 전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 프레임이 제공되는 경우, 스페이서의 본체는 제2 플라스틱과 함께 제1 플라스틱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은 건물 내부 글레이징, 건물 외부 글레이징, 및/또는 파사드 글레이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의 용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위에서 언급되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예시된 조합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순전히 개략도이며 축척이 아니다.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일 실시예의 단면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I)는 제1 측벽(2.1), 그에 평행하게 배열된 제2 측벽(2.2), 글레이징 내벽(3), 외벽(4),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및 공동(5)으로 형성된 본체(1)를 포함한다. 제1 측벽(2.1) 및 제2 측벽(2.2)은 글레이징 내벽(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외벽(4)은 글레이징 내벽(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1 연결벽(6.1)을 통해 제1 측벽(2.1)에 연결되고 제2 연결벽(6.2)을 통해 제2 측벽(2.2)에 연결된다.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은 선택 사항이다. 대안적으로, 제1 측벽(2.1) 및 제2 측벽(2.2)은 또한 글레이징 내벽(3)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공동(5)은 제1 측벽(2.1), 글레이징 내벽(3), 제2 측벽(2.2),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및 외벽(4)에 의해 둘러싸인다. 연결벽(6.1, 6.2)은 바람직하게는 외벽(4)에 대해 30° 내지 60°의 각도 α(알파)로 연장된다.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은 본체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더 나은 접합 및 단열을 가능하게 한다.
본체(1)는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벽(2.1), 제2 측벽(2.2), 글레이징 내벽(3), 외벽(4),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진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을 가지며, 공동(5)과 직접 인접한 제1 플라스틱(7)으로 만든 본체(1)의 영역 및 공동(5)과 직접 인접하지 않는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든 본체(1)의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1)는 제2 플라스틱(8)에 의해 완전히 피복된 제1 플라스틱(7)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즉 다시 말해서 제2 플라스틱(8)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플라스틱(7)으로 제조된 중공 프로파일이 내부에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다.
본체(1)의 벽 두께는 예를 들어 1.5mm이고, 제1 플라스틱(7)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의 벽 두께는 0.75mm이고 제2 플라스틱(8)에 의한 외피의 두께도 0.75mm이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3)을 따른 본체(1)의 폭(b)은 예를 들어 12mm이다. 본체(1)의 전체 높이(g)는 예를 들어 6.5mm이다.
제1 플라스틱(7)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함량이 40%인 폴리프로필렌(PP)이고 제2 플라스틱(8), 예를 들어 유리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PP).
공동(5)은 건조제(9)(도 1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할 수 있다. 단열 유리 유닛에서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에 연결을 확립해주는 천공(10)(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은 글레이징 내벽(3)에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건조제(9)는 청공(10)을 통해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본체(1)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I)는 제1 측벽(2.1), 이에 평행하게 배열된 제2 측벽(2.2), 글레이징 내벽(3), 외벽(4), 제1 측벽(2.1),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및 공동(5)으로 형성된 본체(1)를 포함한다. 제1 측벽(2.1) 및 제2 측벽(2.2)은 글레이징 내벽(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외벽(4)은 글레이징 내벽(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1 연결벽(6.1)을 통해 제1 측벽(2.1)에 연결되고 제2 연결벽(6.2)을 통해 제2 측벽(2.2)에 연결된다. 공동(5)은 제1 측벽(2.1), 글레이징 내벽(3), 제2 측벽(2.2),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및 외벽(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연결벽(6.1, 6.2)은 바람직하게는 외벽(4)에 대해 30°내지 60°의 각도 α(알파)로 연장된다. 제1연결벽(6.1)과 제2연결벽(6.2)의 각진 형상은 본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접착 및 단열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글레이징 내벽(3)은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진다. 제1 측벽(2.1), 제2 측벽(2.2), 외벽(4),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은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공동(5)에 직접 인접한 제1 플라스틱(7)으로 만들어진 본체(1)의 영역 및 공동(5)에 직접 인접하지 않은 제2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본체(1)의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1)는 제2 플라스틱(8)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제1 플라스틱(7)으로 제조된 실질적으로 U자형 프로파일이 외벽(4),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제1 측벽(2.1) 및 제2 측벽(2.2)의 영역에서 내부에 배열된다.
본체(1)의 벽 두께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 모두에 의해 벽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예를 들어 1.5mm이고, 벽 두께에서 제1 플라스틱(7)의 부분은 0.75mm이고 벽 두께에서 제2 플라스틱(8)의 부분은 마찬가지로 0.75mm이다. 제2 플라스틱(8)만으로 벽이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예를 들면 벽 두께가 0.75㎜이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3)을 따른 본체(1)의 폭(b)은 예를 들어 12mm이다. 본체(1)의 전체 높이(g)는 예를 들어 6.5mm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7)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함량이 30%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고, 제2 플라스틱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공동(5)은 건조제(9)(도 2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할 수 있다. 단열 유리 유닛(II)의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에 연결을 만들어주는 천공(10)(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은 글레이징 내벽(3)에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건조제(9)는 글레이징 내벽(3)의 천공(10)을 통하여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실시예의 본체(1)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페이서(I)는 제1 측벽(2.1), 이에 평행하게 배열된 제2 측벽(2.2), 글레이징 내벽(3), 및 외벽(4), 제1 연결벽(6.1), 제2 연결 벽(6.2) 및 공동(5)으로 형성된 본체(1)을 포함한다. 제1 측벽(2.1) 및 제2 측벽(2.2)은 글레이징 내벽(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외벽(4)은 글레이징 내벽(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제1 연결벽(6.1)을 통해 제1 측벽(2.1)에 연결되고 제2 연결벽(6.2)을 통해 제2 측벽(2.2)에 연결된다. 공동(5)은 제1 측벽(2.1), 글레이징 내벽(3), 제2 측벽(2.2),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및 외벽(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연결벽(6.1, 6.2)은 바람직하게는 외벽(4)에 대해 30°내지 60°의 각도 α(알파)로 연장된다. 제1 연결벽(6.1)과 제2 연결벽(6.2)의 각진 형상은 본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접착 및 단열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벽(4)은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진다. 제1 측벽(2.1), 제2 측벽(2.2), 글레이징 내벽(3),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은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공동(5)에 직접 인접한 제1 플라스틱(7)으로 만들어진 본체(1)의 영역과 공동(5)에 직접 인접하지 않는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진 본체(1)의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1)는 제2 플라스틱(8)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플라스틱(7)으로 제조된 프로파일은 내부에 글레이징 내벽(3),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제1 측벽(2.1) 및 제2 측벽(2.2)의 영역에서 내부에 배열된다.
본체(1)의 벽 두께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 모두에 의해 벽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예를 들어 1.5mm이고, 벽 두께에서 제1 플라스틱(7)의 부분은 0.75mm이고 벽 두께에서 제2 플라스틱(8)의 부분은 마찬가지로 0.75mm이다. 제2 플라스틱(8)만으로 벽이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벽 두께가 예를 들면 0.75㎜이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3)을 따른 본체(1)의 폭(b)은 예를 들어 12mm이다. 본체(1)의 전체 높이(g)는 예를 들어 6.5mm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플라스틱(7)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함량이 30%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고, 제2 플라스틱(8)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다.
공동(5)은 건조제(9)(도 3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할 수 있다. 단열 유리 유닛(II)의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에 연결을 만들어주는 천공(10)(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은 글레이징 내벽(3)에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건조제(9)는 글레이징 내벽(3)의 천공(10)을 통하여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실시예의 본체(1)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본체(1)가 제2 플라스틱(8)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여기서 제1 플라스틱(7)으로 만들어진 프로파일이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제1 측벽(2.1) 및 제2 측벽(2.2)의 영역에만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1 연결벽(6.1), 제2 연결벽(6.2), 제1 측벽(2.1) 및 제2 측벽(2.2)은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고; 글레이징 내벽(3) 및 외벽(4)은 제2 플라스틱(8)으로만 만들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실시예의 본체(1)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스페이서(I)는 도 1에 도시된 스페이서(I)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여기서 본체(1)는 글레이징 내벽(3)에 리세스(11)를 가지며, 측벽(2.1 및 2.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판유리를 수용한다. 리세스(11)의 바닥은 외벽(4)에 의해 형성되며, 이 외벽(4)은 리세스(11)의 영역에서 제2 플라스틱(8)으로만 구성된다. 그러나 리세스(11)의 바닥이 외벽(4)에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두 개의 공동(5)이 리세스(11) 아래로 연장될 수도 있고 또는 리세스(11)의 바닥이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체(1)의 벽 두께는, 예를 들어, 리세스(11)의 영역에서 0.5mm이고 본체(1)의 다른 영역에서 1mm이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3)을 따른 본체(1)의 폭(b)은 예를 들어 25mm이다. 본체(1)의 전체 높이(g)는 예를 들어 6.5mm이다.
제1 플라스틱(7)은 예를 들어 유리섬유 함량이 30%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고, 제2 플라스틱(8)은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다.
공동(5)은 건조제(9)(도 5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할 수 있다. 단열 유리 유닛의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에 연결을 만들어주는 천공(10)(도 5에 도시되지 않음)은 글레이징 내벽(3)에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건조제(9)는 글레이징 내벽(3)의 천공(10)을 통해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실시예의 본체(1)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스페이서(I)는 도 3에 도시된 스페이서(I)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여기서 본체(1)는 글레이징 내벽(3)에 측벽(2.1, 2.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판유리를 수용하는 리세스(11)를 갖는다. 리세스(11)의 바닥은 외벽(4)에 의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벽은 제2 플라스틱(8)으로만 만들어진다. 리세스(11)의 바닥이 외벽(4)에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두 개의 공동(5)이 리세스(11) 아래로 연장될 수도 있고 리세스(11)의 바닥이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체(1)의 벽 두께는, 예를 들어, 리세스부(11)의 영역에서 0.5mm이고 본체(1)의 다른 영역에서 1mm이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3)을 따른 본체(1)의 폭(b)은 예를 들어 25mm이다. 본체(1)의 전체 높이(g)는 예를 들어 6.5mm이다.
제1 플라스틱(7)은 예를 들어 유리섬유 함량이 30%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고, 제2 플라스틱(8)은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다.
공동(5)은 건조제(9)(도 6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할 수 있다. 단열 유리 유닛의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에 연결을 만들어주는 천공(10)(도 6에 도시되지 않음)은 글레이징 내벽(3)에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건조제(9)는 글레이징 내벽(3)의 천공(10)을 통해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실시예의 본체(1)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I)는 도 4에 도시된 스페이서(I)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여기서 본체(1)는 글레이징 내벽(3)에 측벽(2.1 및 2.2)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유리를 수용하는 리세스(11)를 갖는다. 리세스(11)의 바닥은 외벽(4)에 의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벽은 제2 플라스틱(8)으로만 만들어진다. 또한 리세스(11)의 바닥이 외벽(4)에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두 개의 공동(5)이 리세스(11) 아래로 연장될 수도 있고 또는 리세스(11)의 바닥이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의 측벽은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진다.
본체(1)의 벽 두께는, 예를 들어, 리세스(11)의 영역에서 0.5mm이고 본체(1)의 다른 영역에서 1mm이다. 글레이징 내부 표면(3)을 따른 본체(1)의 폭(b)은 예를 들어 25mm입니다. 본체(1)의 전체 높이(g)는 예를 들어 6.5mm이다.
제1 플라스틱(7)은 예를 들어 유리섬유 함량이 30%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고, 제2 플라스틱(8)은 유리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이다.
공동(5)은 건조제(9)(도 7에 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할 수 있다. 단열 유리 유닛의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에 연결을 만들어주는 천공(10)(도 7에 도시되지 않음)은 글레이징 내벽(3)에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면 건조제(9)는 글레이징 내벽(3)의 천공(10)을 통해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실시예의 본체(1)는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의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의 실시예의 단면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스페이서(I)는 도 4에 도시된 스페이서(I)에 대응한다. 투시도이기 때문에, 글레이징 내벽(3)의 천공(10)을 도 8에서 볼 수 있다.
도 9는 제1 판유리(13)와 제2 판유리(14) 사이에 스페이서(I)가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II)의 단면을 도시하며, 스페이서(I)는 도 4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여기서 도 9의 단열 유리 유닛(II)에 사용된 스페이서(I)는 배리어 필름(12)을 갖는다. 배리어 필름(12)은 외벽(4),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 및 측벽(2.1, 2.2))의 일부에 배치된다. 제1 판유리(13), 제2 판유리(14) 및 배리어 필름(12)은 단열 유리 유닛(II)의 외부 판유리간 공간(16)을 한정한다. 제1 판유리(13)의 에지(21)와 제2 판유리(14)의 에지(22)는 동일한 높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실리콘을 포함하는 2차 실란트(18)는 외부 판유리간 공간(16)에 배열된다. 실리콘은 에지 씰에 작용하는 힘을 특히 잘 흡수하고 따라서 절연 유리 유닛(II)의 높은 안정성에 기여한다. 배리어 필름(12)은 2차 실란트(18)와 함께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을 단열하고 본체(1)에서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으로의 열 전달을 감소시킨다. 배리어 필름(12)은 예를 들어 PUR 핫멜트 접착제로 본체(1)에 부착될 수 있다. 1차 실란트(17)는 바람직하게는 측벽(2.1, 2.2)과 판유리(13, 14)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부틸을 함유한다. 1차 실란트(17)는 가능한 계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배리어 필름(12)과 중첩된다. 제1 판유리(13) 및 제2 판유리(14)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치수 및 두께를 갖는다. 판유리는 바람직하게는 85% 초과의 광학 투명도를 갖는다. 판유리(13, 14)는 바람직하게는 유리 및/또는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평판 유리, 플로트 유리, 석영 유리, 붕규산 유리, 소다 석회 유리,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제1 판유리(13) 및 제2 판유리(14)의 두께는 예를 들어 3mm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판유리(13) 및/또는 제2 판유리(14)는 복합 유리 판유리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자체(molecular sieve)와 같은 건조제(9)는 본체(1)의 공동(5) 내에 배열된다. 이 건조제(9)는 단열 유리 유닛(II)의 조립 전에 스페이서(I)의 공동(5)에 채워질 수 있다. 글레이징 내벽(3)은 내부 판유리간 공간(15)과 가스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천공(10)을 포함한다.
배리어 필름(12)은, 예를 들어 7㎛ 두께의 알루미늄 금속함유 배리어층, 12㎛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폴리머층 및 10nm 두께의 알루미늄 금속 함유 박층을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PET 필름이 특히 높은 인열 저항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7μm 두께의 알루미늄 층을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필름층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층, 즉 금속함유 배리어층 및 금속 함유 박층이 외측에 있도록 배열된다. 필름은 금속함유 배리어층이 외벽(4)과 대면하도록 본체(1) 상에 배치된다. 그러면, 금속함유 박층은 외측을 향함과 동시에 2차 실란트의 재료에 대한 접착층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금속함유 박층은 차단효과 뿐만 아니라 접착촉진제로서도 기능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II)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제1 단계(I)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I)가 제공된다. 제2 단계(II)에서 스페이서(I)는 스페이서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결합된다. 제3 단계(III)에서, 제1 판유리(13) 및 제2 판유리(14)가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제3 단계(III)는 제1 단계(I)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제4 단계(IV)에서, 스페이서(I)는 1차 실란트(17)를 통해 제1 판유리(13)와 제2 판유리(14) 사이에 고정된다. 제5 단계(V)에서, 판유리(13, 14)와 스페이서(I)로 구성된 판유리 어셈블리는 단열 유리 프레스에서 압착됩니다. 제6 단계(VI)에서, 외부 판유리간 공간(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2차 실란트(18)로 채워진다.
I 스페이서
II 단열 유리 유닛
1 본체
2.1 제1 측벽
2.2 제2 측벽
3 글레이징 내벽
4 외벽
5 공동(cavity)
6.1 제1 연결벽
6.2 제2 연결벽
7 제1 플라스틱
8 제2 플라스틱
9 건조제
10 글레이징 내벽에 있는 천공
11 리세스(recess)
12 배리어 필름
13 제1 판유리
14 제2 판유리
15 내부 판유리간 공간(inner interpane space)
16 외부 판유리간 공간(outer interpane space)
17 1차 실란트
18 2차 실란트
21 제1 판유리의 에지
22 제2 판유리의 에지
b 글레이징 내부 표면을 따른 폴리머 본체의 폭
g 판유리 접촉면을 따른 본체의 총 높이

Claims (15)

  1.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I)로서, 상기 스페이서(I)는 적어도
    -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부터 공압출된 본체(1)를 포함하며, 본체(1)는
    - 제1 측벽(2.1) 및 이에 평행하게 배열된 제2 측벽(2.2);
    - 측벽(2.1, 2.2)을 서로 연결하는 글레이징 내벽(3);
    - 상기 글레이징 내벽(3)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측벽(2.1, 2.2)을 직접 또는 연결벽(6.1, 6.2)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외벽(4);
    - 측벽(2.1, 2.2), 글레이징 내벽(3), 외벽(4)에 의해 또는 측벽(2.1, 2.2), 글레이징 내벽(3), 외벽(4) 및 연결벽(6.1, 6.2)에 의해 둘러 싸이는 공동(4)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2 플라스틱(8)은 제1 플라스틱(7)보다 더 낮은 열전도율 및 더 높은 유연성을 갖고, 본체(1)는 제2 플라스틱(8)으로 형성된 중공 프로파일로서 설계되고, 여기서 중공 프로파일에 제1 플라스틱(7)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중공 프로파일에 직접 인접한 내부에 배열되는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I).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플라스틱(7)은 적어도 측벽(2.1, 2.2)의 영역에 배열되는 스페이서(I).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플라스틱(7)은 재활용 재료를 함유하거나 재활용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2 플라스틱(8)은 재활용 재료를 함유하지 않는 스페이서(I).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라스틱(7)은 특히 유리섬유 함량이 10% 내지 40%인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이고, 제2 플라스틱(8) 제1 플라스틱(7)보다 유리섬유 함량이 낮거나 유리 섬유가 없는 플라스틱인 스페이서(I).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은 상이한 폴리머 또는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스페이서(I).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동(5)에 직접 인접한 본체(1)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7)으로 만들어지고, 공동(5)에 직접 인접하지 않은 본체(1)의 영역은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는 스페이서(I).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의 제1 측벽(2.1), 제2 측벽(2.2), 외벽(4),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은 스페이서(I). 본체(1)의 연결 벽(6.2)은 제1 플라스틱(7)과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공동(5)에 직접 인접한 본체(1)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7)으로 만들어지고, 공동(5)에 직접 인접하지 않은 본체(1)의 영역은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본체(1)의 글레이징 내벽(3)은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는 스페이서(I).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의 제1 측벽(2.1), 제2 측벽(2.2), 글레이징 내벽(3),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은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공동(5)에 직접 인접한 본체(1)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7)으로 만들어지며, 공동(5)에 직접 인접하지 않은 본체(1)의 영역은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본체(1)의 외벽(4)은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는 스페이서(I).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의 제1 측벽(2.1), 제2 측벽(2.2), 제1 연결벽(6.1), 및 제2 연결벽(6.2)은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공동(5)에 직접 인접한 본체(1)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7)으로 만들어지며, 공동(5)에 직접 인접하지 않은 본체(1)의 영역은 제2 플라스틱(8)으로 만들어지며, 여기서 본체(1)의 글레이징 내벽(3)과 외벽(4)이 제2 플라스틱(8)로 만들어지는 스페이서(I).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레이징 내벽(3)은 판유리를 수용하기 위해 측벽(2.1, 2.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세스(11)를 갖는 스페이서(I).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플라스틱(7) 및/또는 제2 플라스틱(8)은 발포 플라스틱인 스페이서(I).
  12. 본체(1)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플라스틱(7) 및 제2 플라스틱(8)을 공압출하는 단계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페이서(I)제조 방법.
  13. 제1 판유리(13), 제2 판유리(14), 상기 제1 판유리(13)와 제2 판유리(14) 사이에서 주변으로 배열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페이서(I)를 적어도 포함하는 단열 유리 유닛(II)으로서, 여기서
    - 제1 판유리(13)는 1차 실란트(17)를 통해 제1 측벽(2.1)에 부착되고,
    - 제2 판유리(14)는 1차 실란트(17)를 통해 제2 측벽(2.2)에 부착되고,
    - 스페이서(I)는 내부 판유리간 공간(15)을 외부 판유리간 공간(16)과 분리하고,
    - 2차 실란트(18)가 외부 판유리간 공간(16)에 배치되는 단열 유리 유닛(II).
  14. 제13항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II)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적어도
    (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페이서(I)가 제공되고;
    (b) 스페이서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페이서(I)가 결합되고;
    (c) 제1 판유리(13) 및 제2 판유리(14)가 제공되고;
    (d) 스페이서(I)는 1차 실란트(17)를 통해 제1 판유리(13)와 제2 판유리(14) 사이에 고정되고,
    (e) 판유리(13, 14)와 스페이서(I)로 구성된 판유리 어셈블리가 가압되고;
    (f) 외부 판유리간 공간(16)은 2차 실란트(18)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제조 방법.
  15. 건물 내부 글레이징, 건물 외부 글레이징 및/또는 파사드 글레이징으로서의 제13항에 따른 단열 유리 유닛(II)의 용도.
KR1020227000635A 2019-07-17 2020-07-14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Ceased KR20220018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86751 2019-07-17
EP19186751.4 2019-07-17
PCT/EP2020/069901 WO2021009176A1 (de) 2019-07-17 2020-07-14 Abstandhalter für isolierglaseinheit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037A true KR20220018037A (ko) 2022-02-14

Family

ID=6743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635A Ceased KR20220018037A (ko) 2019-07-17 2020-07-14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243526A1 (ko)
EP (1) EP3999709B1 (ko)
JP (1) JP2022540685A (ko)
KR (1) KR20220018037A (ko)
CN (1) CN114096735A (ko)
CA (1) CA3142978C (ko)
PL (1) PL3999709T3 (ko)
WO (1) WO20210091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45666A1 (de) 2023-05-31 2024-12-05 Saint-Gobain Glass France Segmentierter abstandhalter für isolierglaseinheit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3905A (en) * 1977-01-06 1978-09-12 Gerald Kessler D.i.g. foam spacer
DE19530838A1 (de) * 1995-08-22 1997-02-27 Interpane Entw & Beratungsges Abstandshalter für Isolierscheibenanordnung
SI0852280T2 (sl) 1996-12-20 2009-12-31 Saint Gobain Distančnik za izdelavo izolacijskega sklopa šip
DE19805348A1 (de) 1998-02-11 1999-08-12 Caprano & Brunnhofer Abstandhalterprofil für Isolierscheibeneinheit
DE19807454A1 (de) 1998-02-21 1999-08-26 Ensinger Abstandhalter
CN101253303B (zh) * 2005-08-01 2013-09-25 泰诺风玻璃隔热控股股份有限公司 中空玻璃单元使用可熔合连接器时的间隔件结构
DE102011009359A1 (de) 2011-01-25 2012-07-26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Abstandshalterprofil und Isolierscheibeneinheit mit einem solchen Abstandshalterprofil
DE202012013345U1 (de) 2012-01-13 2016-06-17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s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KR20180021248A (ko) 2013-09-30 2018-02-28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CN105793511A (zh) 2013-12-12 2016-07-20 法国圣戈班玻璃厂 具有经挤出的密封型材的用于绝缘窗玻璃的距离保持件
WO2016091646A1 (de) * 2014-12-08 2016-06-16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s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EP3241972A1 (en) 2016-05-04 2017-11-08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Spacer for an insulating glazing unit
WO2018050357A1 (de) * 2016-09-14 2018-03-22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s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abstandshalters und mehrfachisolierverglas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96735A (zh) 2022-02-25
CA3142978C (en) 2023-08-22
CA3142978A1 (en) 2021-01-21
PL3999709T3 (pl) 2024-06-24
US20220243526A1 (en) 2022-08-04
JP2022540685A (ja) 2022-09-16
EP3999709B1 (de) 2024-03-20
EP3999709A1 (de) 2022-05-25
WO2021009176A1 (de)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418B1 (ko) 삼중 단열 글레이징용 스페이서
KR102056036B1 (ko) 단열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KR102567521B1 (ko) 보강 요소를 갖는 스페이서
US20160201381A1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KR20160095128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이중 글레이징
JP6526812B2 (ja)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
US20200056422A1 (en) Insulating glazing unit, in particular a triple insulating glazing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ulating glazing unit
JPH11247540A (ja) 複層ガラス用のスペーサ及び複層ガラス
JP2015145569A (ja) 多重ガラス障子
KR20220130200A (ko) 단속(斷續)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KR20220018037A (ko) 단열 유리 유닛용 스페이서
JP7312331B2 (ja) 向上した接着性を有するスペーサ
KR20220158284A (ko) 보강 프로파일을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단열 글레이징
WO1996033334A1 (en) Glazed window unit
KR20210039463A (ko) 금속 측면부들을 구비한 스페이서
US20220186548A1 (en) Spacer for insulated glazing
JPH11130475A (ja) 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40110433A1 (en) Spacer with coextruded hollow profile
JPH11117632A (ja) 複層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法
NZ730418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