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621A - 타원곡선암호 기반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원곡선암호 기반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7621A KR20220017621A KR1020200097829A KR20200097829A KR20220017621A KR 20220017621 A KR20220017621 A KR 20220017621A KR 1020200097829 A KR1020200097829 A KR 1020200097829A KR 20200097829 A KR20200097829 A KR 20200097829A KR 20220017621 A KR20220017621 A KR 202200176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blic key
- client terminal
- block chain
- time
- me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10200 validation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1 aggre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3—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passwords or one-time 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04L9/3066—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involving algebraic varieties, e.g. elliptic or hyper-elliptic curv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 H04L9/325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using DSA or related signature schemes, e.g. elliptic based signatures, ElGamal or Schnorr sche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 중 공개키 인증서 발급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 중 메시지 서명 요청 및 토큰 발급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 중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20: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100: 블록체인 서버
200: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1: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2: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Verifier)
Claims (14)
- 다수의 노드들 포함하고, 토큰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임의의 노드가 토큰을 생성하여 방송하고, 검증 요청 발생 시 해당 토큰에 의해 공개키 인증서를 검증하여 검증 성공 시 유효 해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기 노드 중 하나로, 공개키 인증서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서버 루트 시그니처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 루트 시그니처에 의한 공개키 인증서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메시지 서명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토큰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토큰 요청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블록체인 서버;
타원곡선암호(ECC) 기반의 일회용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일회용 공개키에 대한 단말 루트 시그니처를 생성한 후, 상기 일회용 공개키, 단말 루트 시그니처 및 상기 일회용 공개키 생성시점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인증서 발급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 발급 요청 정보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부터 공개키 인증서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메시지 발생 시 상기 공개키 인증서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명 요청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 서명 요청 정보의 송신에 대한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인증정보 및 수신자의 공개키로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 메시지를 자신의 공개키로 복호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 메시지에 포함된 공개키 인증서 및 토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성공 시 유효 해시 경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의 토큰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식별정보(IDPA), 상기 루트 시그니처(σA), 타임스탬프(t0), 일회용 공개키(PKAi)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서 발급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공개키 인증서 요청 정보의 수신 시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공개키 인증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일회용 공개키(PKAi)에 따른 R을 검증하고,
[수학식 2]
상기 R 검증에 성공하면 자신의 개인키(SKBi)를 통해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서명하며,
[수학식 3]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공개키 인증서 요청 정보에 대해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하나의 서명 값이 서버 루트 시그니처(σB)를 생성하며,
[수학식 4]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상기 단일 서명인 서버 루트 시그니처()를 검증한 후,
[수학식 5]
상기 단일 서명을 모아 해시 트리의 리프노드로 하여 인증서 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검증된 서버 루트 시그니처가 포함된 공개키 인증서()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공개키 인증서(IDPA, σA, t0, PKAi, IDPB, σB), 일회용 개인키(SKAi) 및 하기 수학식 7에 의해 생성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 서명 요청 정보를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하고,
[수학식 7]
여기서, m은 전자 메시지(내용)
상기 블록체인 서버는,
상기 일회용 개인키와 공개키를 하기 수학식 8에 적용하여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확인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해시 트리를 통해 공개키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하며,
[수학식 8]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블록체인 서버의 공개키 인증서의 유효성 검증을 토큰 요청으로 인지하여 상기 메시지를 통해 글로벌 해시 트리를 생성한 후, 루트값(Root Value)에 세계 협정 시간을 링킹(Linking)하여 글로벌 타임스탬프(St)를 생성한 후 내부 합의( Consensus)를 통해 토큰(St, SkBi)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 서버 및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공개키 인증서 및 일회용 개인키, 토큰 및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메시지를 획득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공개키 인증서 및 토큰을 포함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검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유효 해시 경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아 토큰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검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포함된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공개키 인증서를 해시 트리로 검증하고, 검증 성공 시 유효 해시 경로 정보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타원곡선암호(ECC) 기반의 일회용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일회용 공개키에 대한 단말 루트 시그니처를 생성한 후, 상기 일회용 공개키, 단말 루트 시그니처 및 상기 일회용 공개키 생성시점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인증서 발급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키 생성 및 공개키 인증서 생성 요청 과정;
다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인 블록체인 서버가 공개키 인증서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서버 루트 시그니처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 루트 시그니처에 의한 공개키 인증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공개키 인증서 발급 과정;
상기 공개키 인증서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있고, 메시지를 송신할 클라이언트 단말기인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메시지 발생 시 상기 공개키 인증서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서명 요청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 송신하는 메시지 서명 요청 과정;
블록체인 서버가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서명 요청 정보의 수신 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토큰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토큰 요청 과정;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토큰 요청 정보의 수신에 따른 토큰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임의의 노드가 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 및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방송하는 토큰 발행 과정;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메시지 서명 요청 정보의 송신에 대한 토큰을 수신하여 상기 토큰을 포함하는 인증정보 및 수신자의 공개키로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수신자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인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송신하는 암호화 메시지 송신 과정; 및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 메시지를 자신의 공개키로 복호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 메시지에 포함된 공개키 인증서 및 토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성공 시 유효 해시 경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의 토큰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암호화 메시지 수신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인증키 생성 및 공개키 인증서 생성 요청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공개키(IDPA) 및 개인키(IDSA)를 타원곡선암호(ECC)에 적용하여 일회용 공개키(PKAi) 및 일회용 개인키(SKAi)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일회용 인증키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일회용 공개키에 대한 단말 루트 시그니처(σA)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생성하는 단말 루트 시그니처 생성 단계; 및
상기 일회용 공개키, 단말 루트 시그니처 및 상기 일회용 공개키 생성시점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인증서 발급 요청 정보(IDPA, σA, t0, PKAi)를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서 생성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
[수학식 1]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개키 인증서 발급 과정은,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공개키 인증서 요청 정보의 수신 시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상기 공개키 인증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일회용 공개키(PKAi)에 따른 R을 검증하는 R 검증 단계;
[수학식 2]
상기 R 검증에 성공하면 자신의 개인키(IDPB)를 통해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서명하는 서명 단계;
[수학식 3]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공개키 인증서 요청 정보에 대해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하나의 서명 값인 서버 루트 시그니처(σB)를 생성하는 서버 루트 시그니처 생성 단계;
[수학식 4]
블록체인 서버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상기 단일 서명인 서버 루트 시그니처(σB)를 검증하는 루트 시그니처 검증 단계;
[수학식 5]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상기 루트 시그니처 검증 단계에서 검증에 성공하면 상기 단일 서명을 모아 해시 트리의 리프노드로 하여 인증서 관리를 수행하는 인증서 관리 단계;
상기 검증된 서버 루트 시그니처가 포함된 공개키 인증서(IDPA, σB, t0, PKAi, IDPB, σA)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개키 인증서 발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발행 과정은,
상기 블록체인 서버가 상기 일회용 개인키와 일회용 공개키를 하기 수학식 8에 적용하여 상기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확인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해시 트리를 통해 공개키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공개키 인증서 유효성 검증 단계; 및
[수학식 8]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블록체인 서버의 공개키 인증서의 유효성 검증을 토큰 요청으로 인지하여 상기 메시지를 통해 글로벌 해시 트리를 생성한 후, 루트값(Root Value)에 세계 협정 시간을 링킹(Linking)하여 글로벌 타임스탬프(St)를 생성한 후 내부 합의(Consensus)를 통해 토큰(St, SkBi)을 생성한 후 상기 블록체인 서버 및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방송하는 토큰 방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암호화 메시지 수신 처리 과정은,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메시지를 획득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공개키 인증서 및 토큰을 포함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검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검증 요청 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검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포함된 송신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공개키 인증서를 해시 트리로 검증하고, 검증 성공 시 유효 해시 경로 정보를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해시 경로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수신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유효 해시 경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유효 해시 경로 정보를 통해 블록체인의 상기 토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토큰 유효성 검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원곡선암호 기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829A KR20220017621A (ko) | 2020-08-05 | 2020-08-05 | 타원곡선암호 기반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829A KR20220017621A (ko) | 2020-08-05 | 2020-08-05 | 타원곡선암호 기반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7621A true KR20220017621A (ko) | 2022-02-14 |
Family
ID=8025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7829A Ceased KR20220017621A (ko) | 2020-08-05 | 2020-08-05 | 타원곡선암호 기반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17621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25257A (zh) * | 2022-07-29 | 2022-10-21 | 北京北科融智云计算科技有限公司 | 一种接收方身份隐私保护与追踪方法和系统 |
KR20230147318A (ko) | 2022-04-14 | 2023-10-23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비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CN118250689A (zh) * | 2024-03-22 | 2024-06-25 | 江南信安(北京)科技有限公司 | 一种无人机群批量接入认证方法及系统 |
CN118368155A (zh) * | 2024-06-20 | 2024-07-19 | 广东省电信规划设计院有限公司 | 基于区块链和可信执行环境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
CN118656853A (zh) * | 2024-08-21 | 2024-09-17 | 福建省星云大数据应用服务有限公司 | 一种基于区块链大数据的安全认证管理方法及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0000B1 (ko) | 2018-10-31 | 2019-09-09 | 주식회사 스위클 | 사용증명방식 블록체인 기반의 일회용 개인키를 이용한 개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2020
- 2020-08-05 KR KR1020200097829A patent/KR20220017621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0000B1 (ko) | 2018-10-31 | 2019-09-09 | 주식회사 스위클 | 사용증명방식 블록체인 기반의 일회용 개인키를 이용한 개인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47318A (ko) | 2022-04-14 | 2023-10-23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비디지털 자산에 대한 nft 발행 방법 및 시스템 |
CN115225257A (zh) * | 2022-07-29 | 2022-10-21 | 北京北科融智云计算科技有限公司 | 一种接收方身份隐私保护与追踪方法和系统 |
CN118250689A (zh) * | 2024-03-22 | 2024-06-25 | 江南信安(北京)科技有限公司 | 一种无人机群批量接入认证方法及系统 |
CN118368155A (zh) * | 2024-06-20 | 2024-07-19 | 广东省电信规划设计院有限公司 | 基于区块链和可信执行环境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
CN118656853A (zh) * | 2024-08-21 | 2024-09-17 | 福建省星云大数据应用服务有限公司 | 一种基于区块链大数据的安全认证管理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03991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ignatures | |
US11323276B2 (en) | Mutual authentication of confidential communication | |
US686816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sharing of electronic data | |
KR20220017621A (ko) | 타원곡선암호 기반의 일회용 키와 루트 시그니처를 이용한 블록체인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
US10511591B2 (en) | Generation of shared secrets using pairwise implicit certificates | |
CN109743171B (zh) | 一种解决多方数字签名、时间戳及加密的密钥串联方法 | |
US730857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key certification | |
US9252955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secure transfer of electronic data | |
US20090217041A1 (en) | Provisional signature schemes | |
CN101821987B (zh) | 有效认证电子邮件协议 | |
CN101459517B (zh) | B2b数据交换系统 | |
US9385872B2 (en) | Reissue of cryptographic credentials | |
JP2006511104A (ja) | セキュア認証の暗号方法および暗号装置 | |
US6243466B1 (en) | Auto-escrowable and auto-certifiable cryptosystems with fast key generation | |
KR20010040248A (ko) | 과도 키 디지탈 시간 스탬프 방법 및 시스템 | |
CN110572257B (zh) | 基于身份的数据来源鉴别方法和系统 | |
EP1461891A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digital certificates | |
KR100654933B1 (ko) |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에 따라서 동적 생성되는 인증서를인증하는 인증시스템 및 인증방법 | |
KR20010096036A (ko) | 도메인내에서 검증가능한 사인크립션 방법 | |
JP2513170B2 (ja) | 利用者認証方法 | |
CN114050930B (zh) | 一种基于工业互联网云计算的数据通信认证方法及系统 | |
JP3331329B2 (ja) | 公開検証可依頼復元ブラインド署名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 |
KR20010017358A (ko) | 공정한 은닉 서명 방법 | |
JP2003143137A (ja) | 失効確認装置及び方法 | |
Tanwar et al. | Applications of Digital Signatures in Cryptograph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1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