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16718A -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718A
KR20220016718A KR1020200097019A KR20200097019A KR20220016718A KR 20220016718 A KR20220016718 A KR 20220016718A KR 1020200097019 A KR1020200097019 A KR 1020200097019A KR 20200097019 A KR20200097019 A KR 20200097019A KR 20220016718 A KR20220016718 A KR 20220016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ductive structure
disposed
button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현
이준
이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718A/ko
Priority to PCT/KR2021/009821 priority patent/WO2022030871A1/ko
Priority to EP21854312.2A priority patent/EP4176797A4/en
Publication of KR2022001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718A/ko
Priority to US18/159,950 priority patent/US20230176530A1/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04G21/025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data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62Apparatus with built-in sensors
    • A61B2560/0468Built-in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일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버튼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부분 및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연결 부재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접촉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 부재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DE BUTTON}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버튼을 통해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장치가 일반화되면서, 스마트 폰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 워치)의 보급 또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폰과 연결되어 스마트 폰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의성 때문에 최근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보급 속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신체 착용이 가능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 신체에 접촉한 상태로 상당 시간을 지속할 수 있으므로, 의료 또는 건강 관리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탑재된 센서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광용적맥파(PPG, photo plethysmo graph), 수면구간, 피부 온도, 심박 또는 심전도와 같은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생체 정보는 전자 장치에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의료 기관으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예를 들면,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 부재 및 전극 부재를 전자 장치 내부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장치는 전극 부재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전성 구조물을 별도의 지지 부재에 배치하고, 도전성 구조물이 배치된 지지 부재를 전극 부재가 결합된 프론트 케이스에 측면 방향으로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도전성 구조물을 통해 프론트 케이스와 도전성 구조물의 수직 방향 조립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일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버튼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부분 및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연결 부재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접촉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 부재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전면, 상기 전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 및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브라켓;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일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버튼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부분 및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연결 부재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접촉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버튼 부재와 접촉하는 평면 영역 및 상기 평면 영역으로부터 구부러지게 연장되는 곡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 부재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에 브라켓의 조립 방향에 대응되는 굴곡 형상을 적용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의 파손 없이 수직 조립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이 브라켓에 안착된 상태에서, 브라켓과 함께 프론트 케이스에 수직 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도전성 구조물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부품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의 단순화 및 재료비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버튼 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버튼 부재 및 도전성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및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및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도전성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론트 케이스, 브라켓 및 리어 케이스의 조립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론트 케이스 및 브라켓의 조립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생체 정보 획득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키 입력 장치(120, 181), 오디오 모듈(115, 116), 센서 모듈(117, 118, 119) 및 결착 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 손목, 발목)에 착용이 가능한 시계(watch) 타입의 전자 장치(예: 스마트 워치)일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는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프론트 케이스(110-1) 및 리어 케이스(1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0-1)와 리어 케이스(110-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프론트 케이스(110-1)와 리어 케이스(110-2)의 결합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예: 도 3 및 도 4의 브라켓(130), 회로 기판(170), 디스플레이(182) 및/또는 배터리(183))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전면(110A), 상기 전면(110A)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110B) 및 상기 전면(110A)과 상기 후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110-1)는 하우징(110)의 전면(110A)과 측면(110C)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리어 케이스(110-2)는 하우징(110)의 후면(110B)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0-1)는 전면(110A)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11) 및 측면(110C)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112)(예: 측면 베젤 또는 측면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하우징(110)은, 전면(110A), 후면(110B) 및 측면(1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면(110A) 및 측면(110C)은 프론트 케이스(110-1)에 포함될 수 있고, 후면(110B)은 리어 케이스(110-2)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110A)은, 적어도 일부가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11)는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1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리어 케이스(110-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0-2)는,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측면(110C)은, 전면 플레이트(111) 및 리어 케이스(110-2)와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112)(예: 측면 베젤 또는 측면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112)은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측면 프레임(112)은 리어 케이스(110-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케이스(110-2) 및 측면 프레임(112)은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예: 도 3 및 도 4의 디스플레이(18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2)의 적어도 일부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되는 전면 플레이트(111)를 통해 하우징(110)의 전면(110A)으로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2)는, 전면 플레이트(11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2)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82)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와 결합되거나. 이들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디오 모듈(115, 116)은, 마이크 홀(115) 및 스피커 홀(1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 홀(115)의 내부에는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여러 방향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16)의 내부에는 외부로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배치될 수 있고, 외부 스피커 및 통화용 리시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스피커 홀(116)과 마이크 홀(115)은 하나의 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스피커 홀(116) 없이 스피커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117, 118, 119)은, 전자 장치(1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17, 118, 119)은, 하우징(110)의 후면(110B)에 배치된 생체 센서 모듈(117)(예: 심박수 측정(HRM) 센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다른 센서 모듈,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ray)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117, 118, 119)은, 하우징(110)의 후면(110B)으로 노출되는 전극 영역(118, 119)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영역(118, 119)은 제1 전극 영역(118) 및 제2 전극 영역(11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모듈(117, 118, 119)은 전극 영역(118, 119)을 통해서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키 입력 장치(120, 181)는, 하우징(110)의 전면(110A)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휠 부재(181)(예: 휠 키 또는 회전 베젤) 및/또는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배치된 버튼 부재(120)(예: 사이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 부재(181)는 전면 플레이트(11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예: 원형 프레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부재(18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 동작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버튼 부재(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 및/또는 누름 동작됨으로써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버튼 부재(120)는 제1 버튼 부재(120a) 및 제2 버튼 부재(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버튼 부재(120a) 및 제2 버튼 부재(120b)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 손가락)가 접촉함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전극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서술한 키 입력 장치(120, 181)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 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120, 181)는 다른 형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82) 상에 소프트 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착 부재(190)는, 전자 장치(100)를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 손목, 발목)에 탈착 가능하게 착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190)는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190)는 하우징(110)의 양 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결착 부재(190-1) 및 제2 결착 부재(19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착 부재(190-1)와 제2 결착 부재(190-2)는 서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착 부재(19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밴드 또는 스트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착 부재(190)는, 직조물, 가죽, 러버, 우레탄, 금속, 세라믹,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일체형 및 복수의 단위 링크가 서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착 부재(190)는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착 부재(190)는 락킹 부재(191, 192)를 이용하여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결착 부재(190)가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취향 및/또는 기호에 따라서 결착 부재(190)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착 부재(190)는 고정 부재(192), 고정 부재 체결 홀(193), 밴드 가이드 부재(194) 및/또는 밴드 고정 고리(19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92)는 하우징(110)과 결착 부재(19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 손목, 발목 등)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 체결 홀(193)은 고정 부재(192)에 대응하여 하우징(110)과 결착 부재(190)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밴드 가이드 부재(194)는 고정 부재(192)가 고정 부재 체결 홀(193)에 체결 시, 고정 부재(192)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결착 부재(190)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밀착하여 결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밴드 고정 고리(195)는 고정 부재(192)와 고정 부재 체결 홀(193)이 체결된 상태에서, 결착 부재(190)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20, 181) 또는 센서 모듈(117, 118, 119))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커넥터 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미도시)은, 외부 전자 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USB 커넥터)를 수용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이어폰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 또는 도 2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버튼 부재(120), 브라켓(130), 연결 부재(140), 도전성 구조물(150), 회로 기판(170), 디스플레이(182), 배터리(183), 및 실링 부재(18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는 전자 장치(100)의 결착 부재(예: 도 1 및 도 2의 결착 부재(190))가 생략된 도면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전면 플레이트(111)와 측면 프레임(112)을 포함하는 프론트 케이스(110-1) 및 프론트 케이스(110-1)와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110-1)와 리어 케이스(110-2)가 결합됨에 따라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디스플레이(182), 브라켓(130), 회로 기판(170) 및 배터리(183)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론트 케이스(110-1)는, 디스플레이(182)가 배치되는 전면 플레이트(111) 및 버튼 부재(120)와 휠 부재(181)가 배치되는 측면 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112)은 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 플레이트(111)는 상기 개구 영역을 통해 제1 방향(D1)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11)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프레임(112)에 부착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11)는 디스플레이(182)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0-2)의 일 면은 전면 플레이트(111)의 일 면과 마주보도록 측면 프레임(112)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0-2)와 측면 프레임(112)의 사이에는 실링 부재(184)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184)는 리어 케이스(110-2)와 측면 프레임(112)이 서로 접촉하는 영역을 실링함으로써, 리어 케이스(110-2)와 측면 프레임(1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부터 이물질 및/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휠 부재(181)는 하우징(110)의 전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부재(181)는 실질적으로 원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 프레임(1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휠 부재(181)의 회전 동작을 감지 및/또는 검출하여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휠 부재(181)의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2) 상에 표시되는 화면이 변경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모드에서 음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 부재(120)는 하우징(110)의 측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부재(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부재(120)는 제1 버튼 부재(120a) 및 제2 버튼 부재(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버튼 부재(12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버튼 부재(예: 제3 버튼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예: 제1 버튼 부재(120a))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부재(120)는 도전성 물질(예: 도 5 및 도 6의 전극 부재)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다른 부품들, 예를 들면, 연결 부재(140) 및 도전성 구조물(150)을 통해서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 부재(12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조는,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30)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예: 연결 부재(140), 도전성 구조물(150), 회로 기판(170) 및/또는 배터리(183))들을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130)은 프론트 케이스(110-1)에 제1 방향(D1)으로 조립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측면 프레임(1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30)은 측면 프레임(112)에 연결되거나, 측면 프레임(1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30)은 회로 기판(170)과 디스플레이(1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배터리(183)가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수용 공간(135)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30)의 일 면(예: 제2 방향(D2)을 향하는 면)에는 회로 기판(170)이 배치될 수 있고, 브라켓(130)의 타 면(예: 제1 방향(D1)을 향하는 면)에는 지지 플레이트(160)(예: SUS, steel use stainless)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60)의 일 면은 디스플레이(182)의 일 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배터리(183)는 회로 기판(170)과 지지 플레이트(16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브라켓(1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로 기판(170)은 브라켓(130)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70)은 리어 케이스(110-2)와 브라켓(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70)은 리어 케이스(110-2)와 마주보게 배치되며, 브라켓(130)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18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70)은 브라켓(130)의 일 면(예: 제2 방향(D2)을 향하는 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82)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우징(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로 기판(170)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모듈, 각종 센서 모듈, 인터페이스 또는 연결 단자와 같은 전자 부품이 위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GPU(graphic processing unit), 센서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g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USB 커넥터, SD 커넥터, 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82)는 전면 플레이트(111)와 브라켓(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2)는 전면 플레이트(111)를 통해서 하우징(110)의 전면 방향(예: 제1 방향(D1))으로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2)는 전면 플레이트(111)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2)는 회로 기판(1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2)는 브라켓(130)을 사이에 두고 회로 기판(17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브라켓(13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디스플레이(182)의 커넥터(미도시)가 회로 기판(17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183)는,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83)는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83)는 브라켓(13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83)의 적어도 일부는 브라켓(1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브라켓(130)에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배터리(183)는 제1 방향(D1)으로 지지 플레이트(160)와 마주보고, 제2 방향(D2)으로 회로 기판(170)과 마주볼 수 있다. 배터리(183)는 브라켓(130), 지지 플레이트(160) 및 회로 기판(170)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 수용 공간(135)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배터리(183)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일체로 배치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0)와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00)는 평판(flat plate) 또는 박막(film) 형태로 제공되는 안테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는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무선 충전 안테나 또는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디스플레이(182)와 브라켓(130)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회로 기판(170)과 리어 케이스(1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외부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하거나, 충전에 필요한 전력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신호 또는 결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기-기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면 프레임(112) 및/또는 브라켓(130)의 일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안테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버튼 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버튼 부재 및 도전성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에서 C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후면 사시도에서 버튼 부재와 도전성 구조물이 도시되도록 프론트 케이스가 생략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버튼 부재(120), 브라켓(130), 연결 부재(140), 도전성 구조물(150), 지지 플레이트(160), 회로 기판(170), 디스플레이(182) 및 배터리(18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일부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11), 측면 프레임(112) 및 리어 케이스(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11)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리어 케이스(110-2)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측면 프레임(112)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110C)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112)은 버튼 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는 버튼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홀은 측면 프레임(1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홀은 제1 방향(D1) 및/또는 제2 방향(D2)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예: 제3 방향(D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 부재(120)는 하우징(110)(예: 측면 프레임(112))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 부재(12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electrode)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버튼 부재(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버튼 부재(120a)로 참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버튼 부재(120)는 제2 버튼 부재(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연결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의 제2 버튼 부재(120b)에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 부재(120)는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전극 또는 센서로 기능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물질(예: 전극 부재(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부재(120)는, 버튼 부재(120)와 회로 기판(170)에 직간접적으로 연결 및/또는 접촉되는 연결 구조물(예: 도전성 구조물(150) 및 연결 부재(140))을 통해서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 부재(120)는 사용자에 의한 누름 동작(P)에 따라 스위치(148)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 부재(12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P)에 따라 스위치(148)를 향하는 방향(예: 제3 방향(D3))으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치(148)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부재(120)는 도전성 구조물(150)의 적어도 일부(예: 도 9의 접촉 부분(152))를 스위치(148)를 향하는 방향(예: 제3 방향(D3))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버튼 부재(120)에 의해 가압된 도전성 구조물(150)의 상기 일부가 스위치(148)를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 부재(120)는, 전극 부재(121), 전극 부재(121)를 지지하도록 전극 부재(12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지지 부재(122) 및 전극 부재(121)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극 부재(121)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예: 손가락)와 접촉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의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극 부재(121)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부재(121)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회로 기판(170)에 배치되는 제어 회로(또는 프로세서)(예: 도 12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1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극 부재(121)는, 하우징(110)(예: 측면 프레임(1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관통 형성된 버튼 홀(미도시)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부터 하우징(11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전극 부재(121)는 헤드(head) 부분(123) 및 헤드 부분(123)으로부터 하우징(110)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로드(rod) 부분(1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부분(123)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도록 구성된 부분일 수 있다. 로드 부분(124)은 지지 부재(122)의 관통 홀(1221)을 통과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로드 부분(124)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 홀(12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 부재(121)는,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로드 부분(124)의 일 단부가, 도전성 구조물(150)에 접촉됨으로써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헤드 부분(123)은 로드 부분(124)이 연장되는 중심 부분(123a) 및 중심 부분(123a)의 가장자리로부터 로드 부분(124)과 이격하도록 연장되는 측벽 부분(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 부분(123b)은 로드 부분(124)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측벽 부분(123b)과 로드 부분(124) 사이에는 지지 부재(122)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극 부재(121)의 중심 부분(123a)과 지지 부재(122)의 일 단부(예: 제1 부분(125)의 단부)는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 부재(121)가 지지 부재(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극 부재(121)를 누르면, 전극 부재(121)가 지지 부재(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중심 부분(123a)과 지지 부재(122)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전극 부재(121)는 지지 부재(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부재(12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지지 부재(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드 부분(124)은 전극 부재(121)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홈(12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홈(128)은 로드 부분(124)의 외주면 일 영역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27)와 결합됨으로써, 전극 부재(121)가 하우징(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 홈(128)은 로드 부분(124) 중에서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홈(128)은 로드 부분(124)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22)는 전극 부재(121)가 하우징(110)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22)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10)의 버튼 홀(미도시)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전극 부재(1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 홀(122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22)는 전극 부재(121)와 하우징(110)(예: 측면 프레임(11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전극 부재(121)를 하우징(110)에 대하여 절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2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연성 물질(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22)는 전극 부재(121)의 로드 부분(124)을 둘러싸고, 지지 부재(122)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 부재(121)의 헤드 부분(123)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22)는 서로 다른 크기의 관통 홀(1221)이 형성되는 제1 부분(125)과 제2 부분(12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25)에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제2 부분(126)에는 제1 관통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25)의 일부와 제2 부분(126)은 버튼 홀(미도시) 내부에 배치되고, 버튼 홀의 내벽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부분(125)과 제2 부분(126)의 내부에는 로드 부분(12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125)의 적어도 일부는, 전극 부재(121)의 로드 부분(124)과 측벽 부분(123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부분(125)의 내측면과 로드 부분(124)의 외측면 사이에는 탄성 부재(129)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부재(127)는 전극 부재(121)의 고정 홈(128)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27)는 고정 홈(128)에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 프레임(112)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7)는 전극 부재(121) 및 지지 부재(122)가 버튼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극 부재(121)의 고정 홈(128)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극 부재(121)가 하우징(1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고정 부재(127)는 일 측이 개방된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27)는 씨-링(C-ring) 또는 이-링(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부재(127)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7)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측면 프레임(112)의 내벽과 고정 부재(127) 사이에는 절연 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절연 부재는 전극 부재(121)를 하우징(110)에 대하여 절연시킬 수 있다. 다만, 고정 부재(127)는 도전성 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고정 부재(127)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절연 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129)는, 전극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29)는 전극 부재(121)의 로드 부분(124)과 지지 부재(122)의 제1 부분(1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9)는 로드 부분(124)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일 단부가 지지 부재(122)에 의해 지지되고, 타 단부가 전극 부재(12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129)는 버튼 부재(120)의 누름 동작(P)이 가능하도록 전극 부재(121)를 향하여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극 부재(121)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지지 부재(122)에 대하여 양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부재(121)가 가압 방향(P)(또는, 제3 방향(D3))으로 가압되는 경우, 전극 부재(121)는 지지 부재(12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3 방향(D3)(예: 하우징(110) 내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스위치(148)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탄성 부재(129)는 압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전극 부재(121)의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압축된 탄성 부재(129)는 전극 부재(121)에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예: 하우징(110) 외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스위치(148)와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전극 부재(121)는 상기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가압 전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30)은 연결 부재(140), 도전성 구조물(150) 및 회로 기판(170)을 지지할 수 있다. 브라켓(130)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브라켓(130)의 측면은 측면 프레임(112)의 내벽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 및 연결 부재(140)의 적어도 일부는 브라켓(1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브라켓(130)은 연결 부재(140)가 배치되는 영역(예: 도 8의 안착 영역(131))를 포함할 수 있고, 도전성 구조물(150)은 연결 부재(140)의 적어도 일부(예: 도 8의 제1 부분(14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30)은 버튼 부재(120)와 회로 기판(170)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과 연결 부재(14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브라켓(130)과 버튼 부재(120)(예: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 부재(121)는 브라켓(130)에 배치된 도전성 구조물(150)과 연결 부재(140)를 통해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 부재(121)는 도전성 구조물(150)과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은, 연결 부재(140)의 각기 다른 부분이 회로 기판(170) 및 도전성 구조물(150)에 직접 연결 및/또는 접촉됨으로써,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 연결 부재(140) 및 회로 기판(170) 사이의 연결 구조는,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버튼 부재(120)와 연결 부재(1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구조물(150)은 연결 부재(140)의 일 부분(예: 도 7의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에 배치되고, 버튼 부재(120)의 전극 부재(121)와 접촉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은 전극 부재(121) 및 연결 부재(140)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전성 구조물(150)과 전극 부재(121)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전극 부재(121)와 회로 기판(170)의 전기적 연결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전극 부재(121)에 접촉되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발생한 전기 신호는 전극 부재(121)를 통해 회로 기판(170)에 위치한 전자 부품(예: 프로세서 또는 도 12의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210))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사용자가 전극 부재(121)를 누를 때, 적어도 일부(예: 접촉 부분(152))가 전극 부재(121)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스위치(148)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148)는 연결 부재(140)의 일 부분(예: 도 7의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에 배치될 수 있고, 도전성 구조물(1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위치(148)와 중첩하도록 연결 부재(140)의 상기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과 스위치(148)는 전극 부재(121)의 가압 방향(P)(예: 제3 방향(D3))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구조물(150)을 제3 방향(D3)에서 바라볼 때, 도전성 구조물(150)은 스위치(148)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의 접촉 부분(152)은, 전극 부재(121)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대응하여, 스위치(148)와 가까워지는 방향(예: 제3 방향(D3))으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치(148)를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전극 부재(12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부분(152) 및 접촉 부분(152)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부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분(152)은, 접촉 부분(152)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 부재(140) 또는 스위치(148)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부분(152)은, 평면 영역(152a) 및 평면 영역(152a)으로부터 연장되는 곡면 영역(15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곡면 영역(152b)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 방향(예: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스위치(148) 및/또는 연결 부재(1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접촉 부분(152)이 연결 부재(140)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부분(152)은 스위치(148)(또는, 연결 부재(140))와 가까워지는 방향(예: 제3 방향(D3))으로 이동하면서 스위치(148)를 가압할 수 있도록 연결 부재(140)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은, 접촉 부분(152)과 연결 부재(140)가 고정 부분(153)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분(153)은 접촉 부분(152)과 연결 부재(140)를 이격시키도록 접촉 부분(152)으로부터 연결 부재(14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접촉 부분(152)의 형상을 통해서 전자 장치(100)의 조립 시에 도전성 구조물(150)이 버튼 부재(120)에 대해 수직한 방향(예: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버튼 부재(1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전성 구조물(150)의 형상은,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전성 구조물(15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자 장치(100)가 조립되는 과정은,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및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브라켓 및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연결 부재와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연결 부재가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6의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5의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브라켓(130), 브라켓(130)의 측면에 배치되는 연결 부재(140), 연결 부재(140)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브라켓(130)의 일 면(예: 제2 방향(D2)을 향하는 면)에 안착되는 회로 기판(170), 및 연결 부재(140)의 일 부분(예: 제1 부분(141))에 배치되는 도전성 구조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30)은 연결 부재(140) 및 회로 기판(17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40) 및 회로 기판(170)은 브라켓(130)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110)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30)은 실질적으로 원형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브라켓(130)은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6의 전자 장치(100))는, 브라켓(130)에 연결 부재(140), 회로 기판(170) 및 지지 플레이트(160)가 배치됨으로써, 내부 구조물(inner structure)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내부 구조물이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5의 하우징(110))에 조립됨에 따라 연결 부재(140), 회로 기판(170) 및 지지 플레이트(160)가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 도 10 및 도 11 참조).
일 실시 예에서, 브라켓(130)의 일 면(예: 제2 방향(D2)을 향하는 면)에는 회로 기판(170)이 배치될 수 있고, 브라켓(130)의 상기 일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면(예: 제1 방향(D1)을 향하는 면)에는 지지 플레이트(160)가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70)과 지지 플레이트(160) 사이에 배터리(예: 도 4의 배터리(183))가 배치될 수 있다(예: 도 4 참조). 브라켓(130)의 측면에는 연결 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3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연결 부재(140)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131)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영역(131)은 연결 부재(140)에 대응하는 형상을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140)는 브라켓(130)의 안착 영역(131)에 안착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0)는 브라켓(130)의 안착 영역(131)에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예: 제1 부분(141)의 제2 면(141b), 제2 부분(142)의 제4 면(미도시) 및/또는 제3 부분(143)의 제6 면(미도시))은 안착 영역(13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연결 부재(140)의 상기 일부 영역과 안착 영역(131)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접착 부재(예: 양면 테이프)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0)가 고정되는 방법은 접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연결 부재(140)는 안착 영역(13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 부재(예: 나사)에 기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140)는 도전성 구조물(150)과 회로 기판(17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부재(140)는 회로 기판(170) 및 도전성 구조물(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구조물(150)은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연결 부재(140)의 커넥터(144)는 회로 기판(170)에 연결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150)과 회로 기판(170)이 연결 부재(1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에 표면 실장될 수 있다(예: SMT(surface mount technology) 또는 SMD(surface mount device)).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140)는 도전성 구조물(150)과 회로 기판(17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140)는, 인쇄 회로 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flexible PCB)), 또는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RFPCB(rigid-flexible PCB))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140)는, 연결 부재(140)의 각기 다른 부분에 전자 장치(100)의 다른 부품(예: 도전성 구조물(150), 스위치(148) 및/또는 마이크(149))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140)는, 제1 스위치(148a)와 도전성 구조물(150)이 배치되는 제1 부분(141), 제1 부분(141)으로부터 연장되고 마이크(149)가 배치되는 제2 부분(142), 제2 부분(142)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스위치(148b)가 배치되는 제3 부분(143) 및 제2 부분(142)으로부터 타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로 기판(170)과 연결되는 커넥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144)가 제2 부분(142)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제3 부분(143)이 제2 부분(142)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140)는, 제1 부분(141)과 제2 부분(142) 사이, 제2 부분(142)과 제3 부분(143) 사이, 및 제2 부분(142)과 커넥터(144)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분(1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140)가 RFPCB(rigid-flexible PCB)로 구성되는 경우, 부품들이 배치되는 제1 부분(141), 제2 부분(142) 및 제3 부분(143)은 rigid PCB로 형성되고, 복수의 연결 부분(145)은 flexible PCB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연결 부재(140)의 재질은 서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은, 제1 스위치(148a) 및 도전성 구조물(150)이 배치되는 제1 면(141a) 및 제1 면(141a)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141b)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40)의 제2 부분(142)은, 제1 면(141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3 면(142a) 및 제3 면(142a)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 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42)의 제4 면(미도시)에는 마이크(149)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0)의 제3 부분(143)은 제1 면(141a) 및/또는 제3 면(142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5 면(143a) 및 제5 면(143a)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6 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143)의 제5 면(143a)에는 제2 스위치(148b)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141)의 제2 면(141b), 제2 부분(142)의 제4 면(미도시) 및 제3 부분(143)의 제6 면(미도시)은 연결 부재(140)가 브라켓(130)에 안착되면, 브라켓(130)의 안착 영역(131)과 마주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위치(148a) 및 제2 스위치(148b)는 버튼 부재(예: 도 1 내지 도 6의 버튼 부재(12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버튼 부재(120)의 입력 동작을 위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위치(148a)는 제1 버튼 부재(예: 도 1 내지 도 3의 제1 버튼 부재(120a))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제2 스위치(148b)는 제2 버튼 부재(예: 도 1 내지 도 3의 제2 버튼 부재(120b))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48a) 및 제2 스위치(148b)는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버튼 부재(120)에 의해 가압되거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148a) 및 제2 스위치(148b)는 돔 스위치(dome switch)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부분(141)의 제1 면(141a) 및 제3 부분(143)의 제3 면(142a)에 표면 실장(SMT 또는 SMD)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스위치(148a) 및 제2 스위치(148b)는 버튼 부재(120)에 의해 작동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른 형태의 스위치(예: 택트 스위치(tact switch))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제1 스위치(148a) 및 제2 스위치(148b)는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스위치(148a)는 제1 부분(141)의 제1 면(141a)을 위에서 바라볼 때, 도전성 구조물(15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48a)는 사용자가 제1 버튼 부재(120a)를 누를 때, 도전성 구조물(150)(예: 도전성 구조물(150)의 접촉 부분(152))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148a)는, 제1 부분(141)의 제1 면(141a)을 위에서 바라볼 때(예: 도 5의 제3 방향(D3)에서 바라볼 때), 도전성 구조물(15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15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예: 도 5 참조).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149)는 제2 부분(142)의 제4 면(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149)는, 연결 부재(140)가 브라켓(130)에 안착되면, 제4 면(미도시)과 브라켓(13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49)는 브라켓(130)의 안착 영역(131)에 형성되는 마이크 수용 공간(133)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0)의 제2 부분(142)은 마이크(149)로 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제3 면(142a)과 제4 면(미도시)의 일부 영역을 관통하는 개구(14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1421)는 하우징(110)(예: 도 1의 하우징(110))에 형성된 마이크 홀(예: 도 1의 마이크 홀(115))과 정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우징(110) 외부로부터 소리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곡면 영역(152b)이 제1 방향(D1)을 향하도록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은, 고정 부분(153)의 적어도 일부(예: 도 9의 제2 연장 부분(153-2))가 제1 부분(141)의 제1 면(141a)에 고정되면, 접촉 부분(152)이 제1 면(141a)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도전성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도전성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9의 (b)는 도전성 구조물의 D-D' 단면도이다. 도 9의 (c)는 도전성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9의 (d)는 도전성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 내지 도 6의 전자 장치(100))의 도전성 구조물(15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구조물(150)은, 도전성 구조물(150)의 일부(예: 접촉 부분(152))가 다른 일부(예: 고정 부분(15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150)의 형상이 부분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베이스 부분(151), 베이스 부분(151)의 각기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촉 부분(152) 및 고정 부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부분(152)은 베이스 부분(151)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고정 부분(153)은, 접촉 부분(152)의 양 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부분(151)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접촉 부분(152) 및 고정 부분(153)은 베이스 부분(151)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방향(D1),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은, 앞서 도 3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향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예: 도 1의 하우징(110)의 전면(110A))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전면 플레이트(예: 도 3 내지 도 5의 전면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예: 도 2의 하우징(110)의 후면(110B))을 향하는 방향, 또는 리어 케이스(예: 도 3 내지 도 5의 리어 케이스(110-2))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또는 제2 방향(D2)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서, 브라켓(예: 도 3 내지 도 8의 브라켓(130))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전극 부재(121)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예: 도 5의 가압 방향(P))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접촉 부분(1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버튼 부재(예: 도 5 및 도 6의 버튼 부재)의 전극 부재(예: 도 5 및 도 6의 전극 부재(121))와 접촉할 수 있다(예: 도 5 및 도 6 참조). 접촉 부분(152)은 베이스 부분(151)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와 접촉하는 평면 영역(152a), 및 평면 영역(152a)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곡면 영역(152b)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 영역(152b)은 평면 영역(152a)으로부터 굴곡지게 연장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영역(152b)은 평면 영역(152a)으로부터 제1 방향(D1)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3 방향(D3)을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 영역(152b)은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브라켓(예: 도 5 내지 도 8의 브라켓(130)) 및/또는 연결 부재(예: 도 5 내지 도 8의 연결 부재(1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예: 도 5 내지 도 7 참조).
일 실시 예에서, 접촉 부분(152)은 고정 부분(15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치(예: 도 5 및 도 6의 스위치(148) 또는 도 7의 제1 스위치(148a))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부분(152)은 고정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스위치(148 또는 148a) 또는 연결 부재(예: 도 5 내지 도 8의 연결 부재(140))에 가까워지거나,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접촉 부분(152)과 고정 부분(153)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 홈(15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홈(154)은 접촉 부분(152)과 고정 부분(153) 사이에 형성된 절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탄성 홈(154)은 베이스 부분(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접촉 부분(152)은 탄성 홈(154)에 의해서 고정 부분(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3 방향(D3) 또는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접촉 부분(152)이 제3 방향(D3)으로 가압되는 경우, 접촉 부분(152)은 일 단부가 베이스 부분(151)에 구속된 상태에서 고정 부분(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3 방향(D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접촉 부분(15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접촉 부분(152)은 고정 부분(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압 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예컨대, 접촉 부분(152)이 이동하여 제3 방향(D3) 또는 제3 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도전성 구조물(150)의 형상이 전극 부재(예: 도 5 및 도 6의 전극 부재(121))를 통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부분(153)은 연결 부재(예: 도 7의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및/또는 고정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150)을 연결 부재(1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분(153)은, 제1 연장 부분(153-1) 및 제1 연장 부분(153-1)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연장 부분(15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부분(153)은 베이스 부분(151)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부분(153-1), 제1 연장 부분(153-1)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 부분(153-3) 및 제3 연장 부분(153-3)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부분(15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연장 부분(153-3)은 제1 연장 부분(153-1)의 일 부분(예: 제1 연장 부분(153-1)의 제1 방향(D1) 단부 중 일부)으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고, 제2 연장 부분(153-2)은 제3 연장 부분(153-3)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 부분(153-1)과 제2 연장 부분(153-2)은, 제3 연장 부분(153-3)에 의해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연장 부분(153-3)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연장 부분(153-1)의 단부와 제2 연장 부분(153-2)의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제1 연장 부분(153-1)과 제2 연장 부분(153-2) 사이에 지정된 간격을 갖는 이격 공간(G)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 부분(153-1)과 제2 연장 부분(153-2)은 이격 공간(G)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연장 부분(153-2)의 적어도 일부는 제3 방향(D3)으로 굴곡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 부분(153-2)의 일 부분과 제1 연장 부분(153-1)의 일 부분 사이의 제1 이격 공간(G1)은 제2 연장 부분(153-2)의 다른 부분과 제1 연장 부분(153-1)의 다른 부분 사이의 제2 이격 공간(G2)과 상이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격 공간(G1)은 제2 이격 공간(G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제1 이격 공간(G1)이 제2 이격 공간(G2)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제2 방향(D2)으로 갈수록 이격 공간(G)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이격 공간(G)을 포함함으로써, 접촉 부분(152)이 연결 부재(예: 도 5 내지 도 8의 연결 부재(140))로부터 이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분(153)의 제2 연장 부분(153-2)은 연결 부재(140)에 접촉 및 고정될 수 있고, 고정 부분(153)의 제1 연장 부분(153-1)과 접촉 부분(152)(예: 평면 영역(152a))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장 부분(153-2)이 연결 부재(140)(예: 도 7의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에 접촉되면, 이격 공간(G)에 의해 제1 연장 부분(153-1)과 접촉 부분(152)이 연결 부재(140)의 일 면(예: 도 7의 제1 부분(141)의 제1 면(141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격 공간(G)은 도전성 구조물(150)이 스위치(예: 도 4 및 도 5의 스위치(148), 또는 도 7의 제1 스위치(148a))와 중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격 공간(G)은 도전성 구조물(150)의 접촉 부분(152)이 고정 부분(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 부분(153)은 접촉 부분(152)의 양 측으로 연장되는 제1 고정 부분(153a) 및 제2 고정 부분(15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부분(153a)과 제2 고정 부분(153b)은 접촉 부분(152)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부분(153a) 및 제2 고정 부분(153b) 각각은, 제1 연장 부분(153-1), 제2 연장 부분(153-2) 및 제3 연장 부분(15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구조물(150)은, 제1 고정 부분(153a)의 제2 연장 부분(153-2) 및 제2 고정 부분(153b)의 제2 연장 부분(153-2)이 각각 연결 부재(예: 도 7의 연결 부재(140)의 제1 부분(141))에 접촉 및 고정될 수 있다. 접촉 부분(152)은 제1 고정 부분(153a)과 제2 고정 부분(153b)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고정 부분(153a) 및 제2 고정 부분(153b)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3 방향(D3)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전극 부재(121)에 의한 가압 시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하고, 도전성 구조물(150)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강 구조(예: 복수의 벤딩 부분(159) 및/또는 복수의 슬릿(15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고정 부분(153)의 제1 연장 부분(153-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5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슬릿(158)은 하나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슬릿(158)은, 제1 연장 부분(153-1)의 일부가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길게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158)은 베이스 부분(151)까지 연장되거나, 제1 연장 부분(153-1)의 제1 방향(D1)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슬릿(158)은 탄성 홈(154)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릿(158)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제1 슬릿(158a) 및 제2 슬릿(15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158a)은 제1 연장 부분(153-1)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부분(151)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절개될 수 있고, 제2 슬릿(158b)은 베이스 부분(151)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제1 연장 부분(153-1)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절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분(153)의 제1 연장 부분(153-1)은, 제1 슬릿(158a)과 제2 슬릿(158b)에 의해서 지그재그 형상, 또는 Z자 모양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 부분(153-1)은, 베이스 부분(151)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155), 제1 영역(155)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156)및 제2 영역(156)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3 영역(1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158a)은 제1 영역(155)과 제2 영역(156)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슬릿(158b)은 제2 영역(156)과 제3 영역(15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분(153)의 제3 연장 부분(153-3)은 제3 영역(157)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150)은 고정 부분(153)에 복수의 슬릿(158)이 형성됨에 따라, 도전성 구조물(150)에 전달되는 하중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슬릿(158)의 개수 및/또는 형상은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슬릿(158)이 생략되거나, 제3 슬릿(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베이스 부분(151)의 단부 또는 제1 연장 부분(153-1)의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벤딩 부분(159)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벤딩 부분(159)은 베이스 부분(151)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3 방향(D3)으로 벤딩되는 제1 벤딩 부분(159a) 및 제1 연장 부분(153-1)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3 방향(D3)으로 벤딩되는 제2 벤딩 부분(159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전성 구조물(150)은 베이스 부분(151)의 단부와 제1 연장 부분(153-1)의 단부를 제3 방향(D3)으로 벤딩시켜 복수의 벤딩 부분(159)을 형성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150)의 전체 면적을 증가시키되, 도전성 구조물(150)이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벤딩 부분(159a)은, 제2 슬릿(158b)이 절개되는 베이스 부분(151)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벤딩 부분(159b)은, 제1 슬릿(158a)이 절개되는 제1 연장 부분(153-1)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릿(158)을 지지할 수 있는 도전성 구조물(150)의 전체 면적이 증가할 수 있고, 도전성 구조물(150)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벤딩 부분(159)의 개수 및/또는 위치는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벤딩 부분(159a) 및 제2 벤딩 부분(159b)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150)은 전극 부재(예: 도 5 및 도 6의 전극 부재(121))가 접촉되는 접촉 부분(152)을 포함할 수 있고, 접촉 부분(152)은 전극 부재(121)의 누름 동작(예: 전극 부재(121)가 제3 방향(D3)으로 이동)에 대응하여 고정 부분(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150)은, 접촉 부분(152)에 곡면 영역(152b)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곡면 영역(152b)은 제3 방향(D3), 예를 들면, 연결 부재(예: 도 5 내지 도 8의 연결 부재(140)) 또는 스위치(예: 도 5의 스위치(148) 또는 도 7의 제1 스위치(148a))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전성 구조물(150)의 수직 조립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예: 도 10 및 도 11 참조).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론트 케이스, 브라켓 및 리어 케이스의 조립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론트 케이스 및 브라켓의 조립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프론트 케이스(110-1)와 리어 케이스(110-2)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프론트 케이스(110-1)의 측면 프레임(112)에 결합되는 버튼 부재(120) 및 연결 부재(140)와 도전성 구조물(150)이 배치되는 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프론트 케이스(110-1), 브라켓(130) 및 리어 케이스(110-2)의 조립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0-1), 브라켓(130) 및 리어 케이스(110-2)는 각각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110-1), 브라켓(130) 및 리어 케이스(110-2)는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프론트 케이스(110-1)와 수직 방향(예: 조립 방향(V))으로 조립되고, 리어 케이스(110-2)는 브라켓(130) 및 프론트 케이스(110-1)와 수직 방향(예: 조립 방향(V))으로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프론트 케이스(110-1), 브라켓(130) 및 리어 케이스(110-2)의 조립 방향(V)은 실질적으로 제1 방향(D1)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 및 연결 부재(140)는 브라켓(130)에 배치된 상태에서, 브라켓(130)과 함께 프론트 케이스(110-1)에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구조물(150)과 연결 부재(140)는 브라켓(1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과 연결 부재(140)는 브라켓(130)이 프론트 케이스(110-1)에 조립될 때, 브라켓(130)과 함께 이동하여 측면 프레임(112)과 브라켓(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브라켓(130)과 함께 프론트 케이스(110-1)에 대해 수직 방향(예: 제1 방향(D1))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곡면 영역(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예: 도 9 참조), 도전성 구조물(150)은 접촉 부분(152)이 고정 부분(15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스위치(148)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스위치(14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예: 도 9의 탄성 홈(154))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분(152)은 평면 영역(152a) 및 평면 영역(152a)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곡면 영역(152b)을 포함하며, 곡면 영역(152b)은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스위치(148)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전극 부재(121)와 중첩되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부재(120)는 프론트 케이스(110-1)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30)은 도전성 구조물(150)과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가 지정된 두께(t1)로 오버랩되도록 프론트 케이스(110-1)에 대해 제1 방향(D1)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버튼 부재(120)는 프론트 케이스(110-1)에 조립된 상태에서,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가 측면 프레임(112)으로부터 지정된 두께(t2)만큼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부재(121)가 고정 부재(127)에 결합되면, 전극 부재(121)의 적어도 일부는 측면 프레임(112)의 내벽보다 지정된 두께(t2)만큼 제3 방향(D3)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전성 구조물(150)은 브라켓(130)이 프론트 케이스(110-1)와 수직 방향(예: 제1 방향(D1))으로 조립될 때, 곡면 영역(152b)에 의해서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30)이 프론트 케이스(110-1)를 향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도전성 구조물(150)의 곡면 영역(152b)과 전극 부재(121)가 접촉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150)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구조물(150)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가 곡면 영역(152b)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2 방향(D2)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150)의 제1 방향(D1)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150)과 전극 부재(121)가 오버랩(예: 지정된 두께(t1)만큼 중첩)됨에 따라, 접촉 부분(152)은 고정 부분(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3 방향(D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전성 구조물(150)과 전극 부재(121)가 오버랩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경우, 브라켓(130)이 프론트 케이스(110-1)에 완전히 조립되면, 도전성 구조물(150)은 접촉 부분(152)이 고정 부분(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3 방향(D3)으로 이동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실시 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도전성 구조물(150)과 전극 부재(121)는 오버랩되지 않고, 접촉 부분(152)의 표면과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도전성 구조물(150)의 적어도 일부에 곡면 영역(152b)이 형성될 수 있고, 곡면 영역(152b)은 브라켓(130)의 조립 방향(V)으로 갈수록 스위치(148)와 가까워지도록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150)이 브라켓(130)에 배치된 상태에서, 브라켓(130)과 함께 프론트 케이스(110-1)에 수직 방향(예: 제1 방향(D1)) 조립이 가능하므로, 도전성 구조물(150)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전성 구조물(150)이 수직 방향으로 조립될 때, 전극 부재(121)가 곡면 영역(152b)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도전성 구조물(150)의 파손 없이 수직 방향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전성 구조물(150)이 브라켓(130)과 함께 프론트 케이스(110-1)에 수직 방향(예: 제1 방향(D1))으로 조립된 경우, 도전성 구조물(150)의 접촉 부분(152)은 스위치(148)와 이격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자 생체 정보 획득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 내지 도 6의 전자 장치(10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210)(예: 제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 아날로그 전단(AFE; analog front end)(220)(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digital converter)), 디스플레이(230)(예: 도 3 내지 도 5, 도 10 및 도 11의 디스플레이(182)), 스위치 부재(240)(예: 도 5 및 도 11의 스위치(148) 또는 도 7의 제1 스위치(148a)), 복수의 전극(25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 통신 모듈, 배터리(예: 도 4 및 도 5의 배터리(183)), 또는 안테나 연결 단자와 같은 각종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전극(250) 중 제1 전극(251)은, 예를 들면, 버튼 부재(예: 도 1, 도 3 내지 도 6, 도 10 및 도 11의 버튼 부재(120))의 전극 부재(예: 도 5, 도 6 및 도 11의 전극 부재(121))로서, 도전성 구조물(예: 도 4 내지 도 9 및 도 11의 도전성 구조물(150)) 및 연결 부재(예: 도 4 내지 도 8 및 도 11의 연결 부재(140))를 통해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 및 도 8의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극(251)은 아날로그 전단(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전극(250) 중 제2 전극(252) 및/또는 제3 전극(253)은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5의 하우징(110))에 배치된 전극(예: 도 2의 제1 전극 영역(118) 및/또는 제2 전극 영역(119))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전극(252) 및/또는 제3 전극(253)은 아날로그 전단(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제2 전극(252)과 제3 전극(253)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라면, 적어도 제2 전극(252)과 제3 전극(253)은 사용자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착용한 부위(예: 손목)가 아닌, 다른 신체 부위(예: 손가락)를 제1 전극(251)에 접촉함으로써 전자 장치(200)는 제1 전극(251), 제2 전극(252) 및 제3 전극(253)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착용하고 제1 전극(251)에 접촉했을 때, 사용자 신체를 통해 제1 전극(251)과 제2 전극(252) 사이에 또는 제1 전극(251)과 제3 전극(253) 사이에 전기 신호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는 이러한 전기 신호의 흐름으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왼쪽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오른손을 제1 전극(251)에 접촉했을 때, 전기 신호의 흐름은 사용자 신체 상에서 심장에 가까운 부위를 지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착용된 신체 부위가 아닌 다른 신체 부위와 제1 전극(251)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생체 정보(예: 심전도) 획득에 있어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날로그 전단(22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전단(220)은 제1 전극(251), 제2 전극(252) 및/또는 제3 전극(253)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아날로그 전단(220)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프로세서, 예컨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하우징(예: 도 1 내지 도 5의 하우징(110))의 내부, 예를 들면, 회로 기판(예: 도 3 내지 도 5 및 도 8의 회로 기판(170))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아날로그 전단(22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획득된 생체 정보를 디스플레이(230)로 출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 및/또는 안테나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에 기반한 생체 정보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예: 경고용 화면이나 음향)를 디스플레이(230)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제공하거나 관련 기관(예: 병원)으로 해당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조건은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 부재(240)(예: 도 5 및 도 11의 스위치(148) 또는 도 7의 제1 스위치(148a))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제1 전극(251)(예: 도 5, 도 6 및 도 11의 전극 부재(121))에 사용자 신체가 접촉한 상태라면, 전자 장치(200)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전극(251)에 신체 부위를 접촉시키면, 전자 장치(200)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제1 전극(251)과 제2 전극(252)(또는 제3 전극(253)) 사이에서 사용자 신체를 통해 신호의 흐름이 형성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신호의 흐름이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신호의 흐름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여 신호의 흐름이 유지된다면, 전자 장치(200) 또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사용자가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200)는, 제1 전극(251)(예: 도 5, 도 6 및 도 11의 전극 부재(121))에 사용자 신체가 접촉하더라도 생체 정보를 검출하지 않고, 스위치 부재(240)(예: 도 5 및 도 11의 스위치(148), 또는 도 7의 제1 스위치(148a))가 입력 신호를 발생시켰을 때 일정 시간 동안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스위치 부재(240)가 작동하는 것은 버튼 부재(예: 도 1, 도 3 내지 도 6, 도 10 및 도 11의 버튼 부재(120))가 누름 조작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신체가 제1 전극(251)에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버튼 부재(120)를 눌러 스위치 부재(240)를 작동시킴으로써, 전자 장치(200)에서 생체 정보 검출하는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스위치 부재(240)의 작동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부재(240)는 제1 전극(251)과 아날로그 전단(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시점으로부터 전자 장치(200)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 또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정해진 시간에 이르는 동안에 감지된 신호 또는 신호의 흐름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시점에 이르러 임시로 저장된 신호 또는 신호의 흐름을 현재의 사용자 생체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 또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정해진 시간에 이르기까지의 신호를 생체 정보로 저장함과 아울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시점으로부터 추가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더 검출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260)(예: 도 2의 센서 모듈(117, 118, 119))는 도시되지 않은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온도/습도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 내부의 작동 상태나 외부의 작동 환경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센서(26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예: 제1 센서(261), 제2 센서(262) 및/또는 제3 센서(263)).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21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260)를 통해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230)와 같은 다른 전자 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부재(12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170)이 안착되는 브라켓(130); 상기 브라켓(130)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140); 및 상기 버튼 부재(120)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140)의 일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140) 및 상기 버튼 부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구조물(150);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은, 상기 버튼 부재(1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부분(152) 및 상기 접촉 부분(152)과 상기 연결 부재(140)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접촉 부분(152)으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140)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153)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152)은, 상기 접촉 부분(15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 부재(140)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은 베이스 부분(15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152)과 상기 고정 부분(153)은, 상기 베이스 부분(151)의 각기 다른 부분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접촉 부분(152)은, 상기 베이스 부분(15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버튼 부재(120)와 접촉하는 평면 영역(152a) 및 상기 평면 영역(152a)으로부터 연장되는 곡면 영역(152b)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영역(152b)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 부재(1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접촉 부분(152)과 상기 고정 부분(153) 사이에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길게 연장되는 탄성 홈(154)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부분(152)은, 상기 고정 부분(153)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140)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상기 연결 부재(1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 부분(153)은, 상기 베이스 부분(151)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부분(153-1) 및 상기 제1 연장 부분(153-1)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연장 부분(153-1)의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를 향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부분(15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 부분(153-2)은, 상기 제1 연장 부분(153-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 부재(140)에 접촉 및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 부분(153)은, 상기 제1 연장 부분(153-1)과 상기 제2 연장 부분(153-2)을 연결하는 제3 연장 부분(15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장 부분(153-3)은, 상기 제1 연장 부분(153-1) 및 상기 제2 연장 부분(153-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연장 부분(153-1)의 일부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lit)(158)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110A), 상기 전면(110A)의 반대를 향하는 후면(110B) 및 상기 전면(110A)과 상기 후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D1)은 실질적으로 상기 전면(110A)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D2)은 실질적으로 상기 후면(110B)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140)는, 제1 스위치(148a)가 배치되는 제1 부분(141) 및 상기 제1 부분(141)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로 기판(170)과 연결되는 커넥터(144)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은, 상기 제1 스위치(148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부분(141)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140)의 상기 제1 부분(141)은, 상기 제1 스위치(148a) 및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이 배치되는 제1 면(141a) 및 상기 제1 면(141a)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14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148a)는, 상기 제1 면(141a)을 위에서 볼 때,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치(148a)는, 상기 버튼 부재(120)의 누름 동작(P) 시에,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에 의해 상기 버튼 부재(120)의 상기 누름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140)는, 상기 제1 부분(141)으로부터 연장되고, 마이크(149)가 배치되는 제2 부분(142) 및 상기 제2 부분(142)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스위치(148b)가 배치되는 제3 부분(14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144)는 상기 제2 부분(142)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3 부분(143)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브라켓(130)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 부재(140)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13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영역(131)은 상기 연결 부재(1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는 상기 버튼 부재(1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버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부재(1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측면(110C)으로 노출되고, 상기 버튼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연장되는 전극 부재(121)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튼 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부재(121)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전극 부재(121)는, 상기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가 상기 접촉 부분(15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버튼 부재(120)는, 상기 전극 부재(121)와 상기 지지 부재(122)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12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부재(121)는, 상기 전극 부재(121)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1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129)는, 상기 가압의 해제 시에, 상기 전극 부재(121)를 상기 가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회로 기판(170)에 배치되는 제어 회로(예: 프로세서);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생체 센서 모듈(117, 118, 119);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전극 부재(121) 및 상기 생체 센서 모듈(117, 118, 119)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00)는, 전면(110A), 상기 전면(110A)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110B), 및 상기 전면(110A) 및 상기 후면(1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10C)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100)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전면(110A)을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82);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110C)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부재(120); 상기 디스플레이(182)와 상기 후면(110B) 사이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170)이 안착되는 브라켓(130);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측면(110C)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브라켓(130)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140); 및 상기 버튼 부재(120)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140)의 일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140) 및 상기 버튼 부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구조물(150);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은, 상기 버튼 부재(12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부분(152) 및 상기 접촉 부분(152)과 상기 연결 부재(140)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접촉 부분(152)으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140)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153)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152)은, 상기 버튼 부재(120)와 접촉하는 평면 영역(152a) 및 상기 평면 영역(152a)으로부터 구부러지게 연장되는 곡면 영역(152b)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영역(152b)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전면(110A)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 부재(1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측면(110C)에는 상기 버튼 부재(1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버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부재(1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상기 측면(110C)으로 노출되고, 상기 버튼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연장되는 전극 부재(121)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부재(121)는, 상기 전극 부재(121)의 일 단부가 상기 접촉 부분(15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 및 상기 연결 부재(140)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140)는, 스위치(148) 및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이 배치되는 기판 부분(141, 142, 143) 및 상기 기판 부분(141, 142, 143)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로 기판(170)과 연결되는 커넥터(144)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부분(141, 142, 143)은, 상기 스위치(148) 및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이 배치되는 제1 면(141a) 및 상기 제1 면(141b)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브라켓(130)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 면(141b)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148)는, 상기 제1 면(141a)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도전성 구조물(15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0, 200))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0, 200))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21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일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버튼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부분 및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연결 부재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접촉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 부재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베이스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분의 각기 다른 부분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버튼 부재와 접촉하는 평면 영역 및 상기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곡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 부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고정 부분 사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탄성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고정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상기 연결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부분 및 상기 제1 연장 부분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 연장 부분의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를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 부분은, 상기 제1 연장 부분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결 부재에 접촉 및 고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제1 연장 부분과 상기 제2 연장 부분을 연결하는 제3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장 부분은, 상기 제1 연장 부분 및 상기 제2 연장 부분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부분의 일부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slit)이 형성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면, 상기 전면의 반대를 향하는 후면 및 상기 전면과 상기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 전면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 후면을 향하는 방향인,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제1 스위치가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제1 스위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부분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도전성 구조물이 배치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면을 위에서 볼 때, 상기 도전성 구조물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버튼 부재의 누름 동작 시에, 상기 도전성 구조물에 의해 상기 버튼 부재의 상기 누름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마이크가 배치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스위치가 배치되는 제3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3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영역은 상기 연결 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버튼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버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버튼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는 전극 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버튼 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재는, 상기 전극 부재의 일 단부가 상기 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버튼 부재는, 상기 전극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 부재는, 상기 전극 부재의 가압 및 가압 해제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압의 해제 시에, 상기 전극 부재를 상기 가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제어 회로;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생체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전극 부재 및 상기 생체 센서 모듈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8.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면, 상기 전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후면, 및 상기 전면 및 상기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회로 기판이 안착되는 브라켓;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의 일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버튼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성 구조물은,
    상기 버튼 부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부분 및 상기 접촉 부분과 상기 연결 부재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접촉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결 부재로 연장되는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버튼 부재와 접촉하는 평면 영역 및 상기 평면 영역으로부터 구부러지게 연장되는 곡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영역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면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결 부재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에는 상기 버튼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버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버튼 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는 전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부재는, 상기 전극 부재의 일 단부가 상기 접촉 부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도전성 구조물 및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스위치 및 상기 도전성 구조물이 배치되는 기판 부분 및 상기 기판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부분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도전성 구조물이 배치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상기 브라켓의 측면과 마주보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면을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도전성 구조물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0200097019A 2020-08-03 2020-08-03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ending KR20220016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19A KR20220016718A (ko) 2020-08-03 2020-08-03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1/009821 WO2022030871A1 (ko) 2020-08-03 2021-07-28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21854312.2A EP4176797A4 (en) 2020-08-03 2021-07-28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de button
US18/159,950 US20230176530A1 (en) 2020-08-03 2023-01-26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de but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019A KR20220016718A (ko) 2020-08-03 2020-08-03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18A true KR20220016718A (ko) 2022-02-10

Family

ID=8011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019A Pending KR20220016718A (ko) 2020-08-03 2020-08-03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76530A1 (ko)
EP (1) EP4176797A4 (ko)
KR (1) KR20220016718A (ko)
WO (1) WO20220308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506A (ja) * 1991-12-25 1993-07-02 Casio Comput Co Ltd バンドスイッチ
EP0845718B1 (fr) * 1996-12-02 2000-05-10 Eta SA Fabriques d'Ebauches Dispositif d'interrupteur électrique sur un circuit imprimé, et montr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101843940B1 (ko) * 2013-08-09 2018-05-14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용 촉각 스위치
CN106901721B (zh) * 2017-03-13 2023-10-20 歌尔科技有限公司 智能腕戴设备和智能腕戴设备心电测量方法
EP4252632A3 (en) * 2017-09-05 2024-05-01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des for sensing biological parameters
US11194298B2 (en) *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6797A1 (en) 2023-05-10
EP4176797A4 (en) 2023-11-22
WO2022030871A1 (ko) 2022-02-10
US20230176530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1433B2 (ja) 電子デバイス用のタクタイルスイッチ
US11980479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act of living body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737294B1 (ko) 명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771193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조립 방법
US1155923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member
US11759137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KR20210046211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와치형 전자 장치
KR102780302B1 (ko) 생체 신호 측정용 전자 장치
KR20210087793A (ko) 생체 센서 및 전극용 키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1657A (ko)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7192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16718A (ko) 전극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24394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159651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and electrode for acquiring biometric signal
KR20210010080A (ko)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EP4393375A1 (en) Electronic device for sensing moisture
KR20220133010A (ko)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KR20230080255A (ko) 안테나 및 전극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20117570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85042A (ko) 지문 센싱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50038559A (ko) 다른 웨어러블 장치의 착용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8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