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189A -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3189A KR20220013189A KR1020200092413A KR20200092413A KR20220013189A KR 20220013189 A KR20220013189 A KR 20220013189A KR 1020200092413 A KR1020200092413 A KR 1020200092413A KR 20200092413 A KR20200092413 A KR 20200092413A KR 20220013189 A KR20220013189 A KR 202200131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motor
- driving
- refrigerator
-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tim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5/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 H02P5/4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two or more electric motors for speed regulation of two or more dynamo-electric motors in relation to one an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acoustical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camera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22—Function thereof for open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1—Force or torque control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6—Speed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0—Electrical power characteristics, e.g. pulsed or alternating powered and powerless mod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1—Vo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개시된다. 본 개시의 냉장고는, 제1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모터 및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2 모터 및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고,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를 이용하는 냉동 사이클(refrigeration cycle)을 통해 먹고 마실 수 있는 음식(또는, 식품, food)을 냉장 보관 또는 냉동 보관 가능한 전자 장치(또는, 가전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뿐만 아니라 약품(medicine), 주류(alcoholic liquor) 또는 화장품(cosmetics)을 보관할 수도 있다.
기존의 냉장고의 경우,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사용자가 양손에 무거운 그릇을 들고 있어서 냉장고 도어를 직접 개방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냉장고 도어의 자동 개방 기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냉장고와 관련된 기술에 대한 사용자 니즈 및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 급증하였다.
한편, 냉장고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해서는 도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냉장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큰 힘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모터는 빠르게 회전하여야 한다.
다만, 복수의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모터가 구동되어야 하는데, 복수의 모터에 높은 용량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도어가 개폐되는 순서 및 시간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2 모터; 및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후, 상기 제1 도어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될 때까지 상기 돌입 전류보다 작은 크기인 동작 전류로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어는 회전 바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이 완료되고 제1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2 시간 후, 상기 제1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상기 제2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 한 후, 상기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인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각각이 임계 각도만큼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 각각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각각의 무게 및 상기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어가 먼저 닫힌 후,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회전 바에 의해 닫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고 제2 임계 시간 후, 상기 제2 도어를 먼저 닫은 뒤에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2 모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 후, 상기 제1 도어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될 때까지 상기 돌입 전류보다 작은 크기인 동작 전류로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어는 회전 바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이 완료되고 제1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2 시간 후, 상기 제1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상기 제2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 한 후, 상기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인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각각이 임계 각도만큼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 각각의 RPM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 각각의 PRM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각각의 무게 및 상기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RPM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도어가 먼저 닫힌 후,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회전 바에 의해 닫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고 제2 임계 시간 후, 상기 제2 도어를 먼저 닫은 뒤에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냉장고는 복수의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순서 및 시간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최소한의 전원 공급으로 도어를 효율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개시의 실시 예로 인하여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도어가 개방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힐 때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폐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도어가 개방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 및 제2 도어가 닫힐 때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폐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및 도 1b 각각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및 냉장고(100)의 정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본체(110), 모터(120), 입력부(130), 프로세서(140), 출력부(150), 통신부(160), 센서(170) 및 메모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a에 도시된 구성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적절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이 냉장고(10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냉장고(100)의 본체(110)는 저장실(미도시),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는 복수의 도어 및 복수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구성 요소(예를 들어, 기어(gear), 레버(lever)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은 영상의 온도에서 음식물이 차게 보관되는 냉장실과, 영하의 온도에서 각종 음식물이 보관되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도어에는 각종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캐비닛(cabinet) 등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 포함된 도어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 상단에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단에 제3 도어(110-3) 및 제4 도어(11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도어의 위치 및 모양도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 및 저장실의 배치에 따라 냉장고(100)는 프렌치 도어 타입(French Door Type) 냉장고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by-side Type) 냉장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도어에는 냉장고 내부의 냉기가 도어 틈 사이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 바(rotating bar)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 바와 관련된 실시예는 도 1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회전 바는 프렌치 히터(French heater), 냉기 가림막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모터(120)는 회전 동작 등을 수행함으로써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본체에 외력(예를 들어, 회전력 등)을 제공하는 구성이며, 각 도어마다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20)는 본체에 결합된 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는 본체(100)에 부착(또는, 결합)된 도어의 레버에 모터(120)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전달하고, 레버는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초하여 도어에 외력(또는,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도어는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모터(120)는 복수의 도어 각각의 상단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어의 하단 영역, 측면 영역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구성이다. 입력부(130)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획득하는 마이크,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턴 온(on) 되는 스위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획득하는 터치 스크린,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서 및 사용자의 신체 또는 오브젝트가 근접했음을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서도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냉장고(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외부에 구비되어 냉장고(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냉장고(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입력부(130), 통신부(160) 및 센서(17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40)는 마이크를 통해 도어를 개방하라는 음성 명령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마이크를 통해 획득된 음성 명령을 메모리(180)에 저장된 대화 시스템(Dialogue system)에 입력하여 도어를 개방하라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서(140)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신체 또는 오브젝트가 냉장고(100)로부터 임계 거리 내로 근접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냉장고의 임계 거리 내로 사용자 신체 또는 오브젝트가 근접하였다고 식별되면, 프로세서(140)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획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근접 센서는 냉장고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냉장고(100)의 측면 영역,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 등 다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터치 스크린 상에 기등록된 사용자 터치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사용자 터치를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압력 센서에 터치 등과 같은 물리적인 인터렉션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40)는 감지된 물리적인 인터렉션을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가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한다는 것은 프로세서(140)가 제1 모터가 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제1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 제어에 의해 제1 모터에 전력이 제공되기 시작되면, 제1 모터에 포함된 코일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터에 포함된 코일에 흐르는 최초의 전류의 반대 방향으로 제1 모터 상에 역 기전력(counter electromotive force)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하고 회전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할 때, 제1 모터에는 돌입 전류(inrush current)가 발생할 수 있다. 돌입 전류는, 모터에 전력이 인가될 때, 모터에 순간적으로 흐르는 대용량의 전류를 의미하며, 과도 상태의 써지 전류(surge current)라고도 표현된다. 돌입 전류의 크기는 일정 시간 동안 급격히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여 정격 전류(또는, 동작 전류)의 크기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가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구동을 동시에 시작할 경우, 제1 모터와 제2 모터 각각에 역 기전력 및 돌입 전류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각 모터에서 동시에 발생되는 역 기전력 및 큰 값의 돌입 전류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의 양은 하나의 모터에서 발생하는 역 기전력 및 돌입 전류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의 양보다 대략 2배 정도 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와 제2 모터의 구동을 동시에 시작하기 위해서, 냉장고(100)는 매우 높은 용량의 전원 공급 장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프로세서(140)는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제1 시간은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제1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는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임계값은 기설정된 값이거나 실험 등에 의해 획득된 측정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140)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제1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라고 식별되면, 프로세서(140)는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있다.
한편,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제1 모터에는 돌입 전류보다 작은 크기인 동작 전류(또는, 정격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될 때까지 동작 전류로 제1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점은 제1 모터에는 정격 전류가 흐르고 있는 시점과 겹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00)는 제1 모터의 정격 전류 및 제2 모터가 구동할 때 발생되는 역 기전력과 돌입 전류를 극복할 수 있는 전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의 정격 전류 및 제2 모터가 구동할 때 발생되는 역 기전력과 돌입 전류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 장치의 용량은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동시에 구동할 때 필요한 전원 장치의 용량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시간은 실험에 의해 측정된 시간이거나 기정의된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를 구동한 후 제1 시간이 경과하면, 프로세서(140)는 제1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식별하지 않고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2 도어(110-1)에는 회전 바(또는, 프렌치 히터(French heater))이 부착(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도어(110-1)가 닫혔을 때, 회전 바는 제2 도어(110-1)의 수평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으며 냉장고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c의 (a)를 참조하면, 제2 도어(110-1)가 닫혔을 때, 회전 바(10)는 제2 도어(110-1)의 수평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바(10)에 의해 냉장고(100) 내부의 냉기가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의 틈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c의 (b)를 참조할 때,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 제2 도어(110-1)만이 개방되면, 본체(100)에 포함된 구조물 또는 제1 도어(110-2)의 기구적 간섭에 의해, 회전 바(10)가 제2 도어(110-1)의 수평 방향에서 냉장고의 내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즉, 제1 도어(110-2)와 제2 도어(110-1)가 모두 닫혀있는 경우, 회전 바가 부착되어 있는 제2 도어를 먼저 개방하기 위해서는 본체(100)에 포함된 구조물 또는 제1 도어(110-2)에 의한 기구적 간섭을 극복해야 하므로, 제2 모터의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를 먼저 개방하기 위하여 제1 모터를 구동한 후, 회전 바(10)가 결합되어 있는 제2 도어(110-1)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2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제2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 각각이 임계 각도만큼 개방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제1 모터 및 제2 모터 각각의 분당 회전수(또는, RPM(Revolutions per Minute))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도어가 회전된 개방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도어의 개방 동작이 완료된다는 것은 도어가 90도만큼 개방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개방 동작이 완료되었다고 식별할 수 있는 도어의 각도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임계 각도는 90도 미만의 기설정된 각도 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 각각이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었다고 식별되면,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 각각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또는 임계 오차 범위 내로 완료되도록 제1 모터 및 제2 모터 각각의 분당 회전수(또는,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의 RPM 값이 클수록, 모터가 생성하는 회전력의 크기가 커지므로 모터에 대응되는 도어의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 그리고, 도어의 무게가 커질수록, 도어의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모터는 더 큰 회전력을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 각각의 무게 및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도어의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도어(110-2)가 제2 도어(110-1) 각각의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는 부착되어 있는 캐비닛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따라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도어(110-2)의 무게가 제2 도어(110-1)의 무게보다 크다고 식별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에 대응되는 제1 모터의 RPM을 제2 도어(110-1)에 대응되는 제2 모터의 RPM보다 큰 값으로 결정하여 제1 도어(110-2)와 제2 도어(110-1)가 개방 동작이 동시에 또는 임계 오차 범위 내로 완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 각각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된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를 먼저 개방하기 위하여 제1 모터를 먼저 구동하였으나 제1 도어(110-2)가 제2 도어(110-1)보다 무거워서 제2 도어(110-1)가 먼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에 대응되는 제1 모터의 RPM을 제2 도어(110-1)에 대응되는 제2 모터의 RPM보다 큰 값으로 결정하여 제1 도어(110-2)와 제2 도어(110-1)가 개방 동작이 동시에 또는 임계 오차 범위 내로 완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가 개방되는 동작이 완료되고 제1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40)는 제2 도어(110-1)를 닫기 위하여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다만,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이 완료되고 임계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사용자가 냉장고(100)에 근접해있다고 식별되면, 프로세서(140)는 제2 도어(110-1)의 폐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도어를 닫기 위하여 제2 모터의 구동이 프로세서(140)에 의해 시작되면, 제2 모터에는 역 기전력이 발생하고,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동시에 구동을 시작할 경우, 냉장고(100)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서 발생되는 역 기전력 및 돌입 전류를 극복하기 위하여 큰 용량의 전원 장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2 시간 후,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를 닫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제2 시간은,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제2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 한 후,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인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100)는 제2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00)는 기저장된 제2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2 시간 후,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커지는 시점은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감소하여 정격 전류의 크기로 유지되고 있는 시점일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00)는 제2 모터에 흐르는 정격 전류 및 제1 모터에 발생한 역 기전력 및 돌입 전류를 극복하기 위한 전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에 흐르는 정격 전류 및 제1 모터에 발생한 역 기전력 및 돌입 전류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 장치의 용량은 제1 모터 및 제2 모터가 동시에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 장치의 용량보다 훨씬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2 시간은,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제2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는 시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00)는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를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제2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이라고 식별되면, 냉장고(100)는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어 제1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커지는 시점은 제2 모터에 정격 전류가 흐르고 있는 시점과 겹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00)는 적은 용량의 전원 장치로도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c의 (c)를 참조할 때,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제2 도어(110-1)의 회전 바(10)가 사용자에 의해 또는 다른 기구적 간섭에 의해 냉장고(100)의 내부 방향에서 제2 도어(110-1)의 수평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회전 바(10)가 제2 도어(110-1)의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도어(110-2)가 먼저 닫힌 경우, 프로세서(140)가 제2 도어(110-1)를 닫기 위하여 제2 모터를 구동하더라도 회전 바가 제1 도어(110-2)에 걸려서 제2 도어(110-1)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다. 회전 바가 제1 도어에 걸려서 제2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다시 제1 도어(110-2)를 개방하도록 제1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가 개방되고 제2 임계 시간 후, 프로세서(140)는 제2 도어(110-1)를 먼저 닫은 뒤에 제1 도어가 닫히도록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도어(110-2)를 개방하고 제2 임계 시간 이후, 제2 도어(110-1)가 먼저 닫히도록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2 도어(110-1)가 완전히 닫히거나 기설정된 각도만큼 닫힌 경우, 제1 도어(110-2)가 닫혀지도록 제1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8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140)는 인공지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AI 전용 프로세서인 GPU(graphics-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VPU(Visual Processing Un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각종 정보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가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는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40)가 스피커로 구현된 경우, 스피커는 도어를 개폐하는 동작을 시작한다는 메시지 또는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지 않았다는 메시지 등을 음성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스피커는 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60)가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것은 제3 기기(예로, 중계기, 허브, 엑세스 포인트,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 등)를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60)는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통신부(160)는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셀룰러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장치 등)로부터 수신되는 도어 개방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 명령이 획득되면, 획득된 음성 명령을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외부 서버는 입력된 음성에 대한 응답을 출력할 수 있는 인공 지능 모델인 대화 시스템(Dialogue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60)는 외부 서버로부터 도어를 개방하라는 명령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170)는 냉장고(100)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로, 센서(170)는 각 모터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류의 방향, 크기 등)를 감지할 수 있는 전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170)는 도어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170)는 도어의 위치 또는 도어가 개방된 각도(또는,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도어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위치 센서의 경우, 도어의 위치 또는 회전 각도를 감지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위치 센서는 도어의 하단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어의 상단 영역 또는 냉장고(100)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170)는 모터가 회전하는 속도를 감지하는 회전 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170)는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오브젝트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170)는 물리적인 인터렉션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0)는 냉장고(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8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8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80), 프로세서(14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80)에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1 및 제2 도어 각각을 개방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모터 각각에 시간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a의 (a)는 시간에 따라 제1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전류-시간 그래프이며, 도 2a의 (b)는 시간에 따라 제2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시간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에서 냉장고(100)의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 2a의 그래프와 관련지어 설명하도록 한다.
0초부터 t1초 이전까지는 냉장고(100)의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는 도 2b의 (a)와 같이 닫혀있을 수 있다. t1초에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면, 냉장고(100)는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1초에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여 제1 모터에 전력이 입력되면, 제1 모터에는 t2 초 내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역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1 모터에 발생하는 역 기전력은 제1 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t3 초부터는 제1 모터에는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냉장고(100)는 제1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x1) 미만의 값으로 되는 시간(t4)에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즉, t4 시점에, 냉장고(100)는 제2 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제2 모터에는 역 기전력이 발생하고 돌입 전류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한편, 제1 모터에는 t4 시점부터 임계 각도만큼 개방될 때까지 돌입 전류보다 작은 크기인 동작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하고 돌입 전류의 크기가 커지는 시점은 제1 모터에 동작 전류가 흐르는 시점일 수 있다. 이 때, 도 2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0-2)를 먼저 개방한 뒤에 제2 도어(110-1)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2 모터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 및 제2 도어 각각이 임계 각도만큼 개방된 경우, 냉장고(100)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또는 임계 오차 범위 내에 완료되도록 제1 모터 및 제2 모터 각각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00)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 각각의 무게 및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a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의 개방이 완료되는 시점(t6)과 제2 도어의 개방이 완료되는 시점(t7)는 임계 오차 범위 내일 수 있다.
한편, 제1 도어 및 제2 도어 각각의 개방이 완료되면,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전력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으므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 각각에 포함된 코일의 전류가 변화하므로 역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a의 (a) 및 (b) 각각의 그래프의 t6초 및 t7 부근에 발생된 역 기전력에 의해 전류의 크기가 커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1 및 제2 도어 각각을 닫기 위하여 제1 및 제2 모터 각각에 흐르는 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a의 (a)는 시간에 따라 제1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전류-시간 그래프이며, 도 3a의 (b)는 시간에 따라 제2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나타내는 전류-시간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도어가 폐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에서 냉장고(100)의 도어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 3a의 전류-시간 그래프와 관련지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가 개방되는 동작이 완료되고 제1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냉장고(100)는 제2 도어(110-1)를 닫기 위하여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제2 도어(110-1)가 개방된 시점(t7) 이후로 제1 임계 시간이 경과되고 난 시점(t8)에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제1 도어(110-2) 및 제2 도어(110-1)가 개방된 후 제1 임계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사용자가 냉장고(100)에 근접해있다고 식별되면, 냉장고(100)는 제2 도어를 닫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어 제2 모터에 전력이 입력되면, 제2 모터에는 역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2 시간 후,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0-2)를 닫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제2 시간은,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제2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 한 후,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인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는 시점(t8) 이후에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t9)에 제1 도어(110-2)를 닫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되는 시점(t10)은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크기가 감소하여 정격 전류의 크기가 되는 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제1 도어(110-2)가 닫히면서 양 쪽 도어가 모두 닫힐 수 있다.
한편, 냉장고(100)는 제2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 한 후,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인 시간인 제2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00)는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고, 기저장된 제2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2 시간 후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도 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제2 모터를 먼저 구동하여 제2 도어(110-1)를 닫은 뒤에 제1 도어(110-1)를 닫기 위하여 제1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냉장고(100)는,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제2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면, 제1 도어를 닫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00)는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한 후, 제2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센서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다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었다는 것을 식별하면, 냉장고(100)는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하고 돌입 전류가 발생하는 시점에는 제2 모터에 정격 전류가 흐르고 있는 시점이므로, 냉장고(100)는 큰 용량의 전원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냉장고(100)는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S410).
그리고, 냉장고(100)는,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S420). 이 때, 제1 시간은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제1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는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터에 전력이 인가됨으로써 제2 모터 상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거지는 시점에 제1 모터에는 돌입 전류보다 작은 크기인 동작 전류가 흐르는 시점일 수 있다. 즉, 냉장고(100)는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제1 도어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될 때까지 돌입 전류보다 작은 크기인 동작 전류로 제1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제2 도어에는 회전바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어 및 제2 도어 각각이 임계 각도만큼 개방된 경우, 냉장고(100)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제1 모터 및 제2 모터 각각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00)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 각각의 무게 및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RPM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이 완료되고 제1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냉장고(100)는 제2 도어를 닫기 위하여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2 시간 후, 냉장고(100)는 제1 도어를 닫기 위하여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제2 시간은,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역 기전력이 발생 한 후,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인 시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시간은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제2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 되는 시간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본체
120: 모터
130: 프로세서
130: 프로세서
Claims (18)
- 냉장고에 있어서,
제1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2 모터; 및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inrush current)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후, 상기 제1 도어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될 때까지 상기 돌입 전류보다 작은 크기인 동작 전류로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는 냉장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는 회전 바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이 완료되고 제1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2 시간 후, 상기 제1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냉장고.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상기 제2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 한 후, 상기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인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각각이 임계 각도만큼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 각각의 RPM을 제어하는 냉장고.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각각의 무게 및 상기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RPM을 제어하는 냉장고.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도어가 먼저 닫힌 후,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회전 바에 의해 닫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고 제2 임계 시간 후, 상기 제2 도어를 먼저 닫은 뒤에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냉장고. - 제1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제2 모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획득되면,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1 시간 후, 상기 제2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상기 제1 모터에 인가되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의 값으로 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 후, 상기 제1 도어가 임계 각도만큼 개방될 때까지 상기 돌입 전류보다 작은 크기인 동작 전류로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는 회전 바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이 완료되고 제1 임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되고 제2 시간 후, 상기 제1 도어를 닫기 위하여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이 시작됨에 따라, 상기 제2 모터에 역 기전력이 발생 한 후, 상기 제2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기 전인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각각이 임계 각도만큼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개방 동작이 동시에 완료되도록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 각각의 RPM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 각각의 PRM을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각각의 무게 및 상기 임계 각도만큼 개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RPM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가 먼저 닫힌 후,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회전 바에 의해 닫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제1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어가 개방되고 제2 임계 시간 후, 상기 제2 도어를 먼저 닫은 뒤에 상기 제1 도어가 닫히도록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2413A KR20220013189A (ko) | 2020-07-24 | 2020-07-24 |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
CN202180059728.XA CN116134280A (zh) | 2020-07-24 | 2021-07-15 | 冰箱及其控制方法 |
US17/376,680 US12071801B2 (en) | 2020-07-24 | 2021-07-15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EP21846316.4A EP4153923A4 (en) | 2020-07-24 | 2021-07-15 | REFRIGERATOR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
PCT/KR2021/009113 WO2022019570A1 (en) | 2020-07-24 | 2021-07-15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US18/774,288 US20240368933A1 (en) | 2020-07-24 | 2024-07-16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2413A KR20220013189A (ko) | 2020-07-24 | 2020-07-24 |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3189A true KR20220013189A (ko) | 2022-02-04 |
Family
ID=7972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2413A Pending KR20220013189A (ko) | 2020-07-24 | 2020-07-24 |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12071801B2 (ko) |
EP (1) | EP4153923A4 (ko) |
KR (1) | KR20220013189A (ko) |
CN (1) | CN116134280A (ko) |
WO (1) | WO2022019570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85471A1 (ko) * | 2022-10-17 | 2024-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WO2024101675A1 (ko) * | 2022-11-11 | 2024-05-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1870B1 (ko) * | 2016-11-03 | 2019-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
CN114646181B (zh) * | 2022-03-11 | 2024-06-28 | 海信冰箱有限公司 | 一种冰箱的辅助关门控制方法及冰箱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53378B2 (ja) * | 1998-10-26 | 2009-04-08 | ツカサ工業株式会社 | 粉粒体受入装置 |
US6481160B1 (en) * | 1999-02-04 | 2002-11-19 | The Stanley Works | Axial door operator |
JP3880821B2 (ja) | 2001-09-06 | 2007-02-14 | 株式会社東芝 | 冷蔵庫の扉開放装置 |
TW200535389A (en) | 2004-01-29 | 2005-11-01 | Toshiba Kk | Refrigerator |
JP4151966B2 (ja) | 2004-01-29 | 2008-09-17 | 株式会社東芝 | 冷蔵庫 |
US7173516B2 (en) * | 2004-02-06 | 2007-02-06 | Wayne-Dalton Corp. | Operating system for a motorized barrier operator |
KR100602218B1 (ko) | 2004-12-28 | 2006-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렌치도어 타입 냉장고의 냉장실도어 실링장치 |
DE202005011427U1 (de) * | 2005-07-20 | 2006-11-23 |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 Kühl- und/oder Gefriergerät |
JP4901555B2 (ja) * | 2007-04-02 | 2012-03-21 | 株式会社東芝 | 冷蔵庫 |
KR101447291B1 (ko) | 2008-01-09 | 2014-10-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
KR101409605B1 (ko) | 2008-02-25 | 2014-06-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
KR101077911B1 (ko) | 2009-06-05 | 2011-10-31 | (주)소명 | 철도차량의 자동문 제어 장치 |
KR20140121187A (ko) | 2013-04-05 | 2014-10-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JP6177574B2 (ja) * | 2013-04-23 | 2017-08-09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開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冷蔵庫 |
KR101537377B1 (ko) | 2014-04-16 | 2015-07-16 | 주식회사 지산시스템 | 냉장고 도어용 자동개폐 장치 |
KR101655801B1 (ko) * | 2014-09-05 | 2016-09-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
KR101618552B1 (ko) | 2014-09-05 | 2016-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20160090704A (ko) | 2015-01-22 | 2016-08-01 | 류인철 | 순차적인 개폐가 가능한 창문 자동개폐장치 및 그 장치가 구비된 창문 |
KR101871057B1 (ko) * | 2016-11-03 | 2018-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897356B1 (ko) | 2016-11-03 | 2018-09-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2331081B1 (ko) * | 2017-05-17 | 2021-11-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DE102017214201A1 (de) * | 2017-08-15 | 2019-02-21 |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ystems eines Kraftfahrzeugs |
KR102530915B1 (ko) * | 2017-11-27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
CN109826925B (zh) | 2018-12-11 | 2020-07-28 |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 自动开门装置及具有其的冰箱 |
CN111578612A (zh) * | 2019-02-15 | 2020-08-25 |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 冰箱的抽屉门控制方法和冰箱 |
CN113639515A (zh) * | 2020-05-11 | 2021-11-12 |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 自动双开门组件结构及其装配方法、冰箱 |
-
2020
- 2020-07-24 KR KR1020200092413A patent/KR20220013189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07-15 CN CN202180059728.XA patent/CN116134280A/zh active Pending
- 2021-07-15 EP EP21846316.4A patent/EP4153923A4/en active Pending
- 2021-07-15 WO PCT/KR2021/009113 patent/WO2022019570A1/en unknown
- 2021-07-15 US US17/376,680 patent/US12071801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7-16 US US18/774,288 patent/US20240368933A1/en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85471A1 (ko) * | 2022-10-17 | 2024-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WO2024101675A1 (ko) * | 2022-11-11 | 2024-05-1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368933A1 (en) | 2024-11-07 |
WO2022019570A1 (en) | 2022-01-27 |
CN116134280A (zh) | 2023-05-16 |
EP4153923A4 (en) | 2023-11-15 |
US20220025690A1 (en) | 2022-01-27 |
US12071801B2 (en) | 2024-08-27 |
EP4153923A1 (en) | 2023-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71801B2 (en)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0298412B2 (en) | User-configurable interactive region monitoring | |
CN104775267B (zh) | 家用电器及家用电器的控制方法 | |
CN115698615A (zh) | 冰箱及其控制方法 | |
US10554437B2 (en) | Appliance state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s | |
KR20210157151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CN104775268A (zh) | 家电产品及家电产品控制方法 | |
KR20140072585A (ko) |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방법 | |
KR20170138110A (ko) |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WO2021057820A1 (zh) | 制冷电器和用于跟踪所储存物品的方法 | |
KR20200051253A (ko) | 가전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20140177157A1 (en) | Notebook computer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pening cover of notebook computer | |
CN110701865A (zh) | 饮料降温的控制方法、装置及冰箱 | |
CN108124476A (zh) | 多操作系统的显示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 |
CN109405015A (zh) | 一种油烟机导烟板的控制方法、装置、油烟机及存储介质 | |
US20240118021A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refrigerator | |
KR20240053306A (ko)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US11800068B1 (en) | Refrigerator camera modules and methods for conserving energy at the same | |
CN106322888A (zh) | 冰箱 | |
CN115388600A (zh) | 冰箱的控制方法与冰箱 | |
CN117853307A (zh) | 车辆模型的显示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 |
KR20240051038A (ko)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 |
KR20240069460A (ko) |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40028256A (ko) | 모터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 제어 방법 | |
KR20230052540A (ko) | 냉장 장치 및 냉장 장치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