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727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2727A KR20220012727A KR1020200091888A KR20200091888A KR20220012727A KR 20220012727 A KR20220012727 A KR 20220012727A KR 1020200091888 A KR1020200091888 A KR 1020200091888A KR 20200091888 A KR20200091888 A KR 20200091888A KR 20220012727 A KR20220012727 A KR 202200127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neck
- locking
- vacuum cleaner
- nozz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 제1 걸림홈에 구비된 연결파이프 및 흡입노즐을 포함한다. 흡입노즐은, 연결네크, 연결네크와 회전결합된 노즐하우징, 연결네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걸림몸체 및 제1 탄성체를 포함한다. 제1 걸림몸체는, 제1 걸림홈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돌출부를 구비한다. 흡입노즐은 누름부 및 제1 레버를 포함한다. 제1 레버는, 누름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단부, 및 제1 걸림홈과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제1 걸림몸체를 가압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의 상대적인 각도에 따라,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의 체결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입노즐과 흡입노즐에 결합된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가 분리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먼지 등이 진공청소기 내부로 빨려 들어오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 및 흡입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본체 내부에는 모터가 구비되고, 이러한 모터가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청소기본체 내부에서 발생된 흡입력이 흡입노즐로 전달되고, 흡입노즐을 통하여 외부의 먼지 등이 진공청소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 업라이트 타입, 핸디/스틱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는, 바퀴가 달린 청소기본체가 흡입노즐과 별도로 구비되고,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호스를 통하여 연결된다.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는, 밀대에 청소기본체 및 흡입노즐이 함께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핸디/스틱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청소기본체 부분을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핸디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고, 스틱 타입의 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흡입노즐이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다.
또한, 진공청소기에는 로봇청소기가 있으며, 로봇청소기는 여러 센서를 사용하여 스스로 이동하면서 먼지 등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진공청소기는, 복수 개의 흡입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흡입노즐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흡입노즐은, 통상의 바닥면의 청소에 적합하도록 좌우로 긴 흡입구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흡입노즐은 좁은 틈새의 청소에 적합하도록 폭이 좁은 흡입구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또 다른 하나의 흡입노즐은 먼지를 털수 있도록 솔이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841455호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하며,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노즐이 교체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841455호는 사용하지 않는 흡입노즐을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거치대를 개시하며, 이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흡입노즐의 보관이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개시는, 제1 흡입구를 갖는 흡입노즐과 청소기본체가 연결파이프를 통하여 연결되는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의 상대적인 각도에 따라,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의 체결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이루어지는 각도범위와,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각도범위의 경계를 이루는 기준각도를 정하고, 노즐하우징과 연결네크가 이루는 각도가 기준각도보다 작은 경우, 자동으로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개시는, 흡입노즐은 노즐하우징과 연결네크를 포함하고, 연결파이프가 연결네크와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네크가 노즐하우징을 상대로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고, 연결파이프가 연결네크에서 분리되면 연결네크가 노즐하우징과 소정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의 진공청소기를 기술한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청소기본체에 연결되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연결파이프에 결합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청소기본체에는,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회전하는 제1 모터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파이프에는 제1 걸림홈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노즐은, 연결네크, 노즐하우징, 제1 걸림몸체 및 제1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네크는 상기 연결파이프와 착탈되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연결네크의 내부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노즐하우징은,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노즐하우징은, 상기 연결네크를 통하여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흡입구가 저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걸림몸체는, 상기 연결네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걸림홈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돌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걸림몸체를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흡입노즐은 누름부 및 제1 레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제1레버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노즐하우징에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노즐하우징의 위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네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레버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누름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1 걸림몸체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노즐하우징에 의해 눌리기 시작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연결네크의 앞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연결네크는, 내측관 및 외측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관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내측관은 제1 레버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브라켓은 상기 내측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레버브라켓에 상기 제1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측관은,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외측관은 제1 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돌출부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상기 외측관은 스커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1 버튼커버보다 상기 제1 회전축에 가까운 쪽에서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외측관의 밖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제1 버튼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커버는, 상기 제1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제1 걸림몸체의 외측에서 상기 외측관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스커트부의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버튼커버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흡입노즐은 주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름관은, 휘어지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하우징 및 상기 내측관 내부에 삽입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제1 걸림몸체는 상기 연결네크에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3 회전축보다 상기 제1 회전축에 가깝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몸체는, 제1 회전중심부 및 제1 리프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중심부는, 상기 제1 걸림돌출부보다 상기 제1 회전축에서 먼 위치에서, 상기 제1 걸림몸체의 회전축인 제3 회전축을 이룬다.
상기 제1 리프트부는, 상기 제1 걸림돌출부보다 상기 제1 회전축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2 단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걸림몸체는, 제1 탄성체결합부 및 제1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결합부는, 상기 제1 버튼커버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탄성체가 결합되는 공간을 이룬다.
상기 제1 버튼부는, 상기 제2 회전축과 먼 쪽을 향하여 상기 제1 회전중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버튼커버의 바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네크와 이격된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노즐하우징은, 노즐헤드부 및 노즐네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헤드부는, 상기 제1 흡입구가 구비한다.
상기 노즐네크부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헤드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노즐네크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노즐네크부에는 상기 누름부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네크부는 전방부와 후방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부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부는, 상기 전방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되 뒤쪽 부분의 상측이 개구된 형상을 이룬다.
일부 구현들에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전방부의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네크는 상측부와 하측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부는 관 형상을 이룬다.
상기 하측부는 상기 상측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누름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네크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측부는 앞쪽이 개구된 형상이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상측부의 앞쪽 하단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주름관은, 상기 노즐네크부 및 상기 연결네크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진공청소기는,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누름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네크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보다 앞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누름부와 접촉하기 시작한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흡입노즐의 뒤쪽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는 제2 상태까지의 상기 연결파이프의 회전각도 θ1은 60°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흡입노즐의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3 상태까지의 상기 연결파이프의 회전각도 θ2은 θ1의 1/3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노즐네크부의 내측면에는 오목한 멈춤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르면, 진공청소기는 제2 레버 및 제3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연결네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는 멈춤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탄성체는, 상기 연결네크에 결합되고,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레버를 탄력지지한다.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연결네크에 끼워졌을 때,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멈춤홈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제2 레버를 가압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은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노즐은, 누름부 및 제1 레버를 포함한다. 누름부에 의해 제1 레버가 회전하면 제1 레버는 제1 걸림홈과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제1 걸림몸체를 가압한다. 또한, 진공청소기의 사용시의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가 이루는 각도범위(예컨대,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가 이루는 각도가 90~180°인 범위)에서는 누름부와 제1 레버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진공청소기의 보관시의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가 이루는 각도범위(예컨대,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가 이루는 각도가 90°이하)에서는 누름부에 의한 제1 레버의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의 상대적인 각도에 따라,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의 체결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 손으로 연결파이프쪽을 파지한 상태에서 흡입노즐을 상대로 연결파이프를 기울이는 동작만으로 흡입노즐로부터 연결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레버가 노즐하우징의 누름부에 의해 눌리기 시작한 상태(제1 상태)를 기준으로 제1 레버는 연결네크의 앞쪽 부분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회전축은 제2 회전축의 아래쪽에 형성된다. 제1 상태에서, 연결파이프가 흡입노즐의 뒤쪽으로 회전하면 제1 레버와 누름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의 분리됨이 없이 진공청소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상태에서, 흡입노즐을 상대로 연결파이프를 앞쪽으로 회전시킴(노즐하우징과 연결네크가 이루는 각도가 기준각도 이하가 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흡입노즐로부터 연결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흡입노즐은, 연결네크, 노즐하우징(노즐헤드부 및 노즐네크부 포함), 제2 레버 및 제3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즐네크부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네크부의 내측면에 멈춤홈이 형성된다. 제2 레버는 멈춤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멈춤돌기를 포함한다. 연결파이프의 제1 연결부가 연결네크에 끼워졌을 때, 멈춤돌기가 멈춤홈에서 이탈하도록 제1 연결부가 제2 레버를 가압한다. 연결파이프가 연결네크에서 분리되면, 멈춤돌기가 멈춤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파이프가 연결네크와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네크가 노즐하우징을 상대로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연결파이프가 연결네크에서 분리되면 연결네크가 노즐하우징과 소정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연결파이프가 연결네크에서 분리되면, 연결네크는 바닥에 눕혀지지 않고 바닥에서 세워진 상태(예컨대, 연결네크의 축방향이 바닥과 수직을 이루거나 45°이상의 각도를 이룸)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파이프와 연결네크의 용이한 재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청소기본체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진공청소기가 거치대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연결파이프의 제1 연결부에 노즐이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8a의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이동바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진공청소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이동바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b의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진공청소기의 연결파이프가 바닥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3에서 흡입노즐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진공청소기에서 노즐하우징을 상대로 연결네크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4a의 상태에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진공청소기에서 연결파이프 및 연결네크가 흡입노즐의 뒤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c는 도 15a의 진공청소기에서 연결파이프 및 연결네크가 흡입노즐의 앞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진공청소기에서 제1 걸림몸체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c는 도 16b의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가 분리되고 이동바디가 제2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흡입노즐을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에서 일부 구성은 단면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청소기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청소기본체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진공청소기가 거치대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연결파이프의 제1 연결부에 노즐이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8a의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이동바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진공청소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이동바디,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b의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진공청소기의 연결파이프가 바닥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3에서 흡입노즐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진공청소기에서 노즐하우징을 상대로 연결네크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4a의 상태에서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진공청소기에서 연결파이프 및 연결네크가 흡입노즐의 뒤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c는 도 15a의 진공청소기에서 연결파이프 및 연결네크가 흡입노즐의 앞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에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진공청소기에서 제1 걸림몸체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c는 도 16b의 진공청소기에서 흡입노즐과 연결파이프가 분리되고 이동바디가 제2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흡입노즐을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에서 일부 구성은 단면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청소기본체(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청소기본체(100)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진공청소기(1)는, 외부의 공기, 및/또는 먼지,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본체(100), 연결파이프(200) 및 흡입노즐(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의 공기 등은 흡입노즐(300)을 통하여 먼저 유입된 후, 연결파이프(200)를 거쳐 청소기본체(100)로 이동한다.
청소기본체(10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기본체(100)는 제1 모터(1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터(11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설명되는 모터들은, BLDC모터 또는 스텝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의 제1 모터(110)에는 팬(fan)이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모터(110)의 회전시 공기의 유동을 발생된다.
청소기본체(100) 내부에서 제1 모터(110) 및 제1 모터(110)에 결합되는 팬이 회전축(111)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청소기본체(100)의 내부와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소기본체(100)에서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흡입노즐(300)은, 공기 및/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구멍인 제1 흡입구(311)를 구비한다. (도 4 참조)
연결파이프(200)는 청소기본체(100)와 흡입노즐(300)을 연결한다. 연결파이프(200)는 관(pipe or tube)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흡입구(311)를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가 청소기본체(100) 쪽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이룬다.
연결파이프(200)는, 의도하지 않게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비교적 단단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는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210)는 외부의 공기가 연결파이프(200)로 유입되는 연결파이프(200)의 입구를 이룰 수 있고, 제2 연결부(220)는 연결파이프(200) 내부의 공기가 청소기본체(100) 쪽으로 빠져나가는 연결파이프(20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연결파이프(200)의 양쪽 단부를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100)는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청소기본체(100)와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따로 움직이지 않고 서로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진공청소기(1)는 '스틱 타입의 청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는 별도의 수단을 매개로 하여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파이프와 청소기본체 사이에 유연하게 휘어지는 별도의 호스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진공청소기는 청소기본체와 연결파이프가 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진공청소기는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청소기본체(100)가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에 고정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청소기본체(100)는 손잡이(120), 먼지통(130), 본체흡입구(140) 및 배터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20)는 청소기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그 형태가 이루어진다. 손잡이(120)는 본체흡입구(140)와 대향되는 쪽(본체흡입구(140)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흡입구(140)가 청소기본체(100)의 앞쪽에 형성된다면, 손잡이(120)는 청소기본체(100)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본체(100)에는, 손잡이(120)와 인접한 위치에서, 진공청소기(1)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160)이 마련될 수 있다.
먼지통(130)은 청소기본체(100) 내부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집되도록 이루어진 용기이다. 여기서, 청소기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사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공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기본체(100) 내부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공기는 별도의 배출구(170)를 통하여 청소기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먼지통(130)은 청소기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먼지통(130)은, 그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150)는, 진공청소기(1)를 이루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150)는 청소기본체(100)의 제1 모터(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체흡입구(140)는, 공기, 먼지 등이 청소기본체(100)로 유입되는 청소기본체(100)의 입구를 이룬다. 본체흡입구(140)는 청소기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의 제2 연결부(220)는 본체흡입구(14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진공청소기(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진공청소기(1)의 흡입노즐(300)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방향인 X1, Y1 및 Z1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X1은 진공청소기(1)의 앞쪽방향일 수 있고, Y1은 진공청소기(1)의 좌측방향일 수 있고, Z1은 진공청소기(1)의 상측방향일 수 있다. X1 및 Y1은 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Z1은 바닥면(B)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사용자(U)는, 청소기본체(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파이프(200)는 사용자(U)의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놓이고, 흡입노즐(300)은 사용자(U)의 앞쪽의 바닥면(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의 사용이 진공청소기(1)의 자연스러운 사용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300)은 사용자(U)의 앞쪽 바닥면(B)에 놓인 상태에서 먼지 등을 흡입하는데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흡입노즐(300)은 그 자체로 전후방향이 서로 구분되고, 또한 상하방향이 서로 구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노즐(300)이 수평방향을 따라 평평한 바닥면(B)에 놓인 경우를 가정하면, 흡입노즐(300)의 앞쪽 방향(X1)과 좌측 방향(Y1)은 각각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흡입노즐(300)의 상측방향(Z1)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흡입노즐(300)은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노즐(300)은 제1 흡입구(3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흡입구(311)는, 공기 및 이물질이 진공청소기(1) 내부로 유입되는 최초의 입구일 수 있으며, 흡입노즐(300)은 이러한 제1 흡입구(311)를 구비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300)은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하우징(301)은 바닥에 놓여 바닥면(B)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흡입구(311)는 노즐하우징(30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에 놓인 노즐하우징(30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노즐하우징(301)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바퀴(캐스터(303))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하우징(301)은 노즐헤드부(310)와 노즐네크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헤드부(310)는 노즐하우징(301)에서 앞쪽 부분을 이루고, 노즐네크부(320)는 노즐헤드부(310)에서 뒤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제1 흡입구(311)는 노즐헤드부(31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네크부(320)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노즐헤드부(310)의 뒤쪽에서 뒤쪽방향으로 연장된다. 노즐하우징(301)에서 노즐네크부(320)는 연결네크(302)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노즐네크부(320)는 연결네크(302)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네크(302)는, 흡입노즐(300)에서 연결파이프(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연결네크(302)는 제1 연결부(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네크(302)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가 제1 흡입구(311)와 연통되고, 또한 연결파이프(200)의 내부와 연통된다.
흡입노즐(300)에서 제1 흡입구(311)로 유입된 이물질은 노즐네크부(320)의 내부와 연결네크(302)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파이프(200)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노즐하우징(301)(특히, 노즐네크부(320)) 및 연결네크(302) 내부에는 별도의 주름관(304)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름관(304)이 구비되는 경우, 제1 흡입구(311)로 유입된 이물질(먼지 등)은 주름관(304)을 통하여 연결파이프(200) 쪽으로 이동한다.
연결네크(302)는, 흡입노즐(300)의 뒤쪽 부분을 이루며, 노즐하우징(301)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노즐하우징(301)(노즐네크부(320))과 연결네크(302)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하우징(301)(노즐네크부(320))과 연결네크(302)는 제1 회전축(S1)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회전축(S1)은 바닥면(B)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노즐(300)에는 회전클리너(305)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클리너(305)는, 대체로 롤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축(305a)을 기준으로 노즐하우징(301)(노즐헤드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클리너(305)는 제1 흡입구(311)보다 앞쪽에서 노즐하우징(301)(노즐헤드부(3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도 1 등 참조)
회전클리너(305)는, 진공청소기의 아지테이터(agitator)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클리너(305)의 회전을 위하여 흡입노즐(300)의 내부에는 모터(제2 모터(306))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클리너(305)의 외주면에는 브러쉬 및/또는 융(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외주면층(305b)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클리너(305)의 외주면층(305b)은 바닥면(B)과 접촉하거나 바닥면(B)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회전클리너(305)가 회전하면서 바닥의 먼지 등을 제1 흡입구(311) 쪽으로 쓸거나 흡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입노즐(300)에는 걸레(307)가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걸레(307)는 납작하게 이루어져 노즐하우징(301)(노즐헤드부(310))의 저면에 결합되되, 바닥면(B)에 수직하거나 바닥면(B)과 대체로 수직한 회전축(307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노즐하우징(301)(노즐헤드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걸레(307)는 2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걸레(307)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걸레(307)의 회전을 위하여 흡입노즐(300)의 내부에는 모터(제3 모터(308))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노즐(30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도 7a는 진공청소기(1)가 거치대(10)에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에 노즐(23)이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200)는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210)에서 제2 연결부(220)를 향하는 방향이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일 수 있고, 또한 제2 연결부(220)에서 제1 연결부(210)를 향하는 방향이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연결부(220)에서 제1 연결부(210)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X2)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는 제1 회전축(S1)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때, 제1 회전축(S1)은 바닥면(B)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회전축(S1)과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Y2)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제1 방향(X2)과 제2 방향(Y2)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흡입노즐(300)(노즐하우징(301))이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바닥에 놓여 사용될 때, 제2 방향(Y2)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1 방향(X2)은 제2 방향(Y2)과 직교하는 임의의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X2) 및 제2 방향(Y2)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3 방향(Z2)으로 정한다. 특히, 연결파이프(200)가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바닥과 평행하게 눕혀질 때 제3 방향(Z2)은 연직방향일 수 있고, 연결파이프(200)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제3 방향(Z2)은 앞쪽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파이프는 그 길이방향이 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파이프(200)는 그 길이방향이 직선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파이프(200)는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파이프(200)의 중심축이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연결부(210)는 연결파이프(200)의 앞쪽의 일부분을 이루고, 제2 연결부(220)는 연결파이프(200)의 뒤쪽의 일부분을 이룬다.
연결파이프(200)는, 그 길이방향(제1 방향(X2))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가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는 원형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다각형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별도의 거치대(10)에 거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가 거치대(10)에 거치될 때, 진공청소기(1)의 배터리(150)는 거치대(10)를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노즐(300)의 연결네크(302)는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에 결합되고, 또한 분리된다.
흡입노즐(300)이 연결파이프(2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에는 흡입노즐(300) 이외의 다른 노즐(21, 22, 23)이 결합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a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8a의 진공청소기(1)에서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에서 이동바디(400),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진공청소기(1)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서 이동바디(400),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b의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진공청소기(1)는, 이동바디(400),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바디(400)는 연결파이프(2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바디(400)는 연결파이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파이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바디(400)는 제1 방향(X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파이프(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바디(400)는, 제1 방향(X2)을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왕복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위치는 상대적으로 뒤쪽의 위치이고, 제2 위치는 상대적으로 앞쪽의 위치이다.
이동바디(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도 10a 및 도 11a 참조),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의 전단은 제1 연결부(210)의 뒤에 위치한다. 이동바디(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연결부(210)가 노출되며, 이에 따라, 흡입노즐(300)(연결네크(302))은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노즐(300)(연결네크(302))이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에서 분리되면, 이동바디(4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도 10b 및 도 11b 참조),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의 전단은 제1 연결부(210)의 앞에 위치하고, 이동바디(400)를 상대로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가 회전(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는 제2 흡입구(501)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바디(400)는 연결파이프(2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1 방향(X2)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바디(400)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파이프(2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다. 이동바디(400)는 그 길이방향이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방향(X2)을 따라 전후가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동바디(400)는, 중앙관(410), 제1 고정브라켓(420) 및 제2 고정브라켓(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관(410)은 그 중심축이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중앙관(410)은 제1 방향(X2)을 따라 그 내경이 대체로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관(410)은 제2 방향(Y2)과 직교하는 중앙면(CS)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즉, 중앙관(410)은 좌우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고정브라켓(420)은,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중앙관(410)의 앞쪽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고정브라켓(430)은,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중앙관(410)의 앞쪽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다만, 상기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고정브라켓(420)과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브라켓(420)이 중앙관(410)의 좌측에 형성될 때 제2 고정브라켓(430)은 중앙관(410)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바디(400)가 연결파이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한 이동바디(400)의 유격(제1 방향(X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없도록, 이동바디(400)의 내측면(중앙관(410)의 내측면)은 연결파이프(200)의 외측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바디(400)가 연결파이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한 이동바디(400)의 회전(연결파이프(2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이동바디(400)의 회전)이 없도록, 이동바디(400)와 연결파이프(20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공청소기(1)는 가이드홈(412), 가이드레일(250) 및 코일스프링(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홈(412)은 이동바디(400)(중앙관(410))의 내측면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412)은, 이동바디(400)의 내측면에서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412)은 제1 방향(X2)을 따라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홈(412)은,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의 후단 끝까지 연장된다. 즉, 제1 방향(X2)의 뒤쪽에서 이동바디(400)를 볼 때 가이드홈(412)의 후단이 노출된다.
가이드홈(412)은,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의 전단 끝까지 연장되지는 않는다. 즉, 제1 방향(X2)의 앞쪽에서 이동바디(400)를 볼 때 가이드홈(412)의 전단이 노출되지 않는다.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가이드홈(412)의 전단에는 막음벽(440)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250)은 연결파이프(2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250)은 연결파이프(200)의 외측면에서 제1 방향(X2)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250)은 제1 방향(X2)을 따라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레일(250)은 가이드홈(412)에 삽입되고, 가이드레일(250)과 가이드홈(412) 간에는 제1 방향(X2) 또는 제1 방향(X2)을 반대방향을 따라 상대이동이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250)의 횡단면과 가이드홈(412)의 횡단면은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모양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9 참조)
가이드레일(250)은,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연결부(210)의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가이드레일(250)의 전단은, 연결파이프(200)의 전단(제1 연결부(210)의 전단)보다 뒤에 위치한다.
이동바디(400)가 연결파이프(200)에 결합되면 가이드레일(250)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홈(412)에 삽입된다.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가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최대한 뒤쪽에 위치할 때(제1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홈(412)에 삽입된 가이드레일(250)의 부분이 최대가 되고,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가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최대한 앞쪽에 위치할 때(제2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홈(412)에 삽입된 가이드레일(250)의 부분이 최소가 된다.
코일스프링(450)은,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이동바디(400)가 제1 방향(X2)으로 이동하도록,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이동바디(400)를 탄력지지한다. 코일스프링(450)은 통상의 코일 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면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인장되면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450)은 제1 방향(X2)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코일스프링(450)은,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가이드레일(250)의 앞에서 가이드홈(412)에 삽입되어, 일단은 이동바디(400)에 지지되고 타단은 연결파이프(20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코일스프링(450)은 그 일단이 이동바디(400)의 막음벽(440)에 지지되고 타단은 연결파이프(200)의 가이드레일(250)의 전단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가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최대한 뒤쪽에 위치할 때(제1 위치에 있을 때) 코일스프링(450)의 압축된 정도가 최대인 상태(코일스프링(45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최대인 상태)에 있게 되고,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가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최대한 앞쪽에 위치할 때(제2 위치에 있을 때) 코일스프링(450)의 압축된 정도가 최소인 상태(코일스프링(45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최소인 상태)에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홈(412), 가이드레일(250) 및 코일스프링(450)은,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된다. 예컨대, 가이드홈(412), 가이드레일(250) 및 코일스프링(450)은,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는 각각 이동바디(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바디(400)를 중심으로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할 수 있고,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체(510)의 회전축과 제2 회전체(520)의 회전축은 제3 방향(Z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는,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의 앞쪽부분에 결합된다.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는,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바디(400)를 중심으로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 각각의 전단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전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연결파이프(200)가 연결네크(302)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바디(400)는 제1 위치에 있고,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회전체(510)의 전단 및 제2 회전체(520)의 전단은 제1 연결부(210)보다 뒤쪽에 위치한다.
이동바디(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 사이에는 연결파이프(200)가 위치하기 때문에, 연결파이프(200)에 의하여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그 전단이 서로 벌어진 상태에 놓이게 된다.
흡입노즐(300)이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에서 분리되면 이동바디(400)와 함께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는 제1 방향(X2)의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회전체(510)의 전단 및 제2 회전체(520)의 전단은 제1 연결부(210)의 앞에 위치한다.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의 전단과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의 전단은 서로 일치하거나 근사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 사이에 이동바디(400)의 제1 연결부(210)가 위치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각각의 전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는, 연결파이프(20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흡입구(501)를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가 제2 흡입구(501)를 형성할 때,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관 형태를 이룬다. 즉,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가 조합되어 이루는 관의 전단에 개구된 구멍인 제2 흡입구(501)가 구비되고,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가 조합되어 이루는 관의 뒤쪽에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가 결합된다.
제2 흡입구(501)는 이물질이 연결파이프(200) 및 청소기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를 이루며, 이러한 범위 내에서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흡입구(501)의 형성을 위하여,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각각 대체로 반관(half tub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가 서로 밀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완성된 하나의 관을 이루게 되고,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가 서로 멀어지도록 벌어지면 반쪽짜리의 관 2개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서,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는 '가변형 노즐'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가변형 노즐(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은 흡입노즐(300) 이외의 새로운 노즐로 사용되며, 흡입노즐(300)을 제1 노즐이라고 할 때 가변형 노즐은 제2 노즐에 해당된다.
가변형 노즐(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연결파이프(2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흡입노즐(300) 이외의 다른 노즐의 사용을 위하여 연결파이프(200)로부터 흡입노즐(300)이 분리되는 즉시 가변형 노즐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이동바디(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연결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고, 특히,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각각 반관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연결파이프(20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에 의한 부피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회전체(510)는, 제1 반관(511) 및 제1 커넥터(5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반관(511)은, 반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한 모서리인 제1 모서리(511a) 및 제2 모서리(511b)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512)는, 제1 반관(511)의 외측에서 연장되어 제1 고정브라켓(4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체(520)는, 제2 반관(521) 및 제2 커넥터(5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반관(521)은 반관 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평행한 모서리인 상기 제3 모서리(521a) 및 상기 제4 모서리(521b)를 포함한다. 제2 반관(521)은 상기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제1 반관(511)과 대칭을 이룬다.
제2 커넥터(522)는, 제2 반관(521)의 외측에서 연장되어 제2 고정브라켓(4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커넥터(522)는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제1 커넥터(512)와 대칭을 이룬다.
진공청소기(1)는 제1 회전스프링(530)과 제2 회전스프링(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스프링(530)과 제2 회전스프링(540)은 각각 판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스프링(530)과 제2 회전스프링(540)은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스프링(530)은 제1 고정브라켓(420)과 제1 커넥터(512)에 결합되고, 제1 회전체(510)의 전단(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한 전단)이 제2 회전체(520) 쪽으로 회전하도록 제1 회전체(510)를 탄력지지한다.
제2 회전스프링(540)은 제2 고정브라켓(430)과 제2 커넥터(522)에 결합되고, 제2 회전체(520)의 전단(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한 전단)이 제1 회전체(510) 쪽으로 회전하도록 제2 회전체(520)를 탄력지지한다.
이동바디(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회전스프링(530)에 의하여 제1 회전체(510)는 연결파이프(20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2 회전스프링(540)에 의하여 제2 회전체(520)는 연결파이프(20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회전스프링(530)에 의하여 제1 회전체(510)가 회전하고, 또한 제2 회전스프링(540)에 의하여 제2 회전체(520)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를 제2 흡입구(501)를 형성한다.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가 제2 흡입구(501)를 이룰 때, 제1 모서리(511a)는 제3 모서리(521a)와 밀착되고, 제2 모서리(511b)는 제4 모서리(521b)와 밀착된다.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가 제2 흡입구(501)를 이룰 때,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의 내부공간의 단면적은 제1 방향(X2)의 앞쪽을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흡입구(501)는 비교적 좁은 간격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흡입구(501)의 폭은 제1 연결부(210)의 내경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가 제2 흡입구(501)를 형성할 때, 조합된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하나의 크레바스 툴(crevice tool 또는 crevice nozzle)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서 연결네크(302)에는 제1 수용부(342) 및 제2 수용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342)와 제2 수용부(343)는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각각 연결네크(302)의 후단 부분을 이룬다. 제1 수용부(342)가 연결네크(302)의 후단 좌측을 이룬다면, 제2 수용부(343)는 연결네크(302)의 후단 우측을 이룰 수 있다. 제1 수용부(342)와 제2 수용부(343)는 연결네크(302)의 내부 공간을 이루고, 제1 수용부(342)와 제2 수용부(343)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멀어지면서 연결네크(302)의 내부공간이 확장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수용부(342)와 제2 수용부(343)의 바로 앞에서 연결네크(302)의 내부공간 및 폭은, 제1 수용부(342)와 제2 수용부(343)가 형성된 부분에서 연결네크(302)의 내부공간 및 폭 보다 좁게 이루어진다.
연결네크(302)와 연결파이프(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수용부(342)는 제1 회전체(51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수용부(343)는 제2 회전체(52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3은 진공청소기(1)의 연결파이프(200)가 바닥면(B)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3에서 흡입노즐(30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진공청소기(1)에서 노즐하우징(301)을 상대로 연결네크(302)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4a의 상태에서 진공청소기(1)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b는 도 15a의 진공청소기(1)에서 연결파이프(200) 및 연결네크(302)가 흡입노즐(300)의 뒤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c는 도 15a의 진공청소기(1)에서 연결파이프(200) 및 연결네크(302)가 흡입노즐(300)의 앞쪽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진공청소기(1)는 제1 걸림홈(230), 제1 걸림몸체(600) 및 제1 탄성체(6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걸림홈(230)은 제1 연결부(210)의 외측면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걸림홈(230)은, 제1 연결부(21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파이프(200)가 바닥면(B)과 평행하게 놓여진 경우 제1 걸림홈(230)은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의 상측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고, 연결파이프(200)가 바닥면(B)과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 제1 걸림홈(230)은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의 앞쪽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연결네크(302)는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와 착탈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네크(302)와 제1 연결부(210)는 모두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끼워지는 형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네크(302) 내부로 제1 연결부(210)가 삽입되면서(끼워지면서) 연결네크(302)와 제1 연결부(21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210)가 제1 방향(X2)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네크(302) 내부로 삽입되어 양자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네크(302)와 제1 연결부(210)는 서로 꼭 맞게 결합된다. 즉, 연결네크(302)와 제1 연결부(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네크(302)와 제1 연결부(210) 간에 제1 방향(X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없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네크(302)는 내측관(330), 외측관(340) 및 제1 버튼커버(6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관(330)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연결파이프(2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내측관(330)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제1 레버(3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버브라켓(3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버브라켓(331)은 내측관(33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된다. 제1 레버브라켓(331)은 내측관(33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방향(X2)을 따라 길게 이루어진다. 제1 레버브라켓(331)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쌍의 제1 레버브라켓(331) 사이에 제1 레버(35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레버브라켓(331) 사이의 폭은 제1 레버(350)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측관(330)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제2 레버(3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레버브라켓(3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버브라켓(332)은 내측관(33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된다. 제2 레버브라켓(332)은 내측관(330)에서 제2 방향(Y2)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레버브라켓(332)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방향(X2)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쌍의 제2 레버브라켓(332) 사이에 제2 레버(3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레버브라켓(332) 사이의 폭은 제2 레버(360)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관(340)은 내측관(330)의 외측에 위치한다. 외측관(340)은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측관(330)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관(340)에는 관통된 구멍인 제1 개구(34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구(341)는 외측관(34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된다. 제1 개구(341)는 제1 걸림몸체(600)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특히 제1 걸림몸체(600)의 제1 걸림돌출부(610)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관(340)은 스커트부(34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커트부(340a)는 외측관(340)의 일부를 이루며 내측관(330)의 외측에 위치한다. 스커트부(340a)는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외측관(340)의 앞쪽 부분을 이루고, 또한 제3 방향(Z2)에서 외측관(340)의 앞쪽 부분을 이룬다.
스커트부(340a)는 그 단부 모서리가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오목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커트부(340a)의 바로 내측에 상기 제1 레버브라켓(33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버튼커버(670)는 제1 개구(341)를 차폐하며 제1 걸림몸체(600)의 외측에서 외측관(340)에 고정결합된다.
제1 레버(350)는 내측관(330)과 외측관(3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레버(350)의 제1 단부(351)가 외측관(340)의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특히, 제1 레버(350)의 제1 단부(351)는 스커트부(340a)의 단부 밖으로 돌출된다.
제1 걸림몸체(600)는 제1 걸림돌출부(61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걸림몸체(600)는 제1 회전중심부(620), 제1 버튼부(630) 및 제1 리프트부(6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걸림돌출부(610), 제1 회전중심부(620), 제1 버튼부(630) 및 제1 리프트부(640)는 모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걸림몸체(600)는 연결네크(302)에 제3 회전축(S3)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걸림몸체(600)는, 제3 방향(Z2)의 앞쪽에서 연결네크(30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걸림몸체(600)의 제3 회전축(S3)은 제2 방향(Y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회전중심부(620)는 제1 걸림몸체(600)의 회전축(제3 회전축(S3))을 이룬다. 제1 회전중심부(620)는 제1 걸림돌출부(610)보다 제1 회전축(S1)에서 먼 위치에 위치한다. 제1 회전중심부(620)는 연결네크(302)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걸림돌출부(610)는 연결네크(302)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제1 걸림돌출부(610)는 제3 방향(Z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제1 걸림돌출부(610)는 제1 개구(341)를 통하여 연결네크(302)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네크(302)를 상대로 한 제1 걸림몸체(600)의 회전정도에 따라, 제1 걸림돌출부(610)는 연결네크(302)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또는 제1 걸림돌출부(610)는 연결네크(302)의 내측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거나 같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걸림돌출부(610)가 연결네크(302)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1 걸림돌출부(610)는 제1 걸림홈(230)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제1 버튼부(630)는, 제1 회전중심부(620)를 중심으로 제1 걸림돌출부(610)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버튼부(630)는 제1 회전중심부(620)에서 연장되어 제1 버튼커버(670)의 바깥으로 돌출된다. 제1 버튼부(630)는 연결네크(302) 외측에서 연결네크(302) 외측면과 이격되며, 사용자는 제1 버튼부(630)를 눌러 제1 회전중심부(62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걸림몸체(6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리프트부(640)는 제1 걸림돌출부(610)에서 연장되고 제1 걸림몸체(600)의 단부를 이룰 수 있다. 제1 리프트부(640)는 제1 걸림돌출부(610)보다 제1 회전축(S1)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제1 레버(350)의 제2 단부(352)의 바깥쪽에서 제2 단부(352)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탄성체(660)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체(660)는, 제1 걸림돌출부(610)가 연결네크(30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 걸림몸체(600)를 탄력지지한다. 제1 탄성체(660)는, 제1 걸림돌출부(610)가 제1 걸림홈(230)에 삽입되도록 제1 걸림몸체(600)를 탄력지지한다.
제1 걸림몸체(600)에는 제1 탄성체결합부(6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체결합부(650)는 제1 걸림몸체(600)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탄성체결합부(650)는 제1 버튼커버(670)와의 사이에서 제1 탄성체(660)가 결합되는 공간을 이룬다. 제1 걸림돌출부(610)가 연결네크(302)의 내측을 향하는 면일 때, 제1 탄성체결합부(650)는 연결네크(302)의 외측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1 연결부(210)가 연결네크(302)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제1 버튼부(630)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1 탄성체(660)에 의하여 제1 걸림돌출부(610)가 제1 걸림홈(23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와 흡입노즐(300)(연결네크(302))의 결합(체결)이 유지된다.
제1 연결부(210)가 연결네크(302)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버튼부(630)를 눌러 제1 걸림몸체(600)를 회전시키면, 제1 탄성체(660)가 압축되고 제1 걸림돌출부(610)가 제1 걸림홈(230)에서 이탈한다. 이에 따라,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는 흡입노즐(300)(연결네크(302))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흡입노즐(300)로부터 연결파이프(200)를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다.
흡입노즐(300)은, 누름부(321) 및 제1 레버(3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부(321)는 상기 노즐하우징(301)에 형성된다. 특히 누름부(321)는 노즐하우징(301)의 노즐네크부(320)에 형성되며, 노즐네크부(320)의 상측 후단에 형성된다. 누름부(321)는, 노즐네크부(320)의 상측 후단의 모서리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제1 레버(350)는, 대체로 제1 방향(X2)을 따라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레버(350)는, 제1 회전축(S1)과 평행한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연결네크(3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레버(350)는 제1 레버브라켓(3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축(S2)은 제3 회전축(S3)보다 제1 회전축(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레버(350)는 제1 단부(351) 및 제2 단부(352)를 포함한다. 제1 단부(351)와 제2 단부(352)는 제2 회전축(S2)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다. 제1 단부(351)와 제2 단부(352)는 각각 제1 레버(350)의 양쪽 단부를 이룬다.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단부(351)는 제1 레버(350)의 앞쪽 부분이고 제2 단부(352)는 제1 레버(350)의 뒤쪽 부분이다.
제1 단부(351)는 누름부(321)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단부(352)는 제1 걸림몸체(600)의 제1 리프트부(640)를 가압(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제2 단부(352)는, 제1 걸림홈(230)과 제1 걸림돌출부(610)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제1 걸림몸체(600)의 제1 리프트부(640)를 들어올리도록 이루어진다.
누름부(321)에 의해 제1 단부(351)가 눌려 제1 레버(350)가 회전하면 제2 단부(352)는 제1 걸림몸체(600)를 회전시키며, 이때, 제1 탄성체(660)가 압축되고 제1 걸림돌출부(610)가 제1 걸림홈(230)에서 이탈한다.
이에 따라,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는 흡입노즐(300)(연결네크(302))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흡입노즐(300)로부터 연결파이프(200)를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서, 제2 회전축(S2)으로부터 제1 단부(351)까지의 길이는, 제2 회전축(S2)으로부터 제2 단부(352)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321)에 의해 제1 단부(351)가 가압될 때, 제2 단부(352)가 보다 용이하게 제1 걸림몸체(6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노즐네크부(320)는 전방부(320a)와 후방부(320b)로 구분될 수 있다.
흡입노즐(300)이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바닥에 놓일 때, 전방부(320a)는 노즐네크부(320)의 앞쪽 부분을 이루고, 후방부(320b)는 노즐네크부(320)의 뒤쪽 부분을 이룬다.
전방부(320a)는 관 형상을 이루고, 노즐헤드부(310)에 고정된다. 후방부(320b)는, 전방부(320a)의 뒤에서 뒤쪽으로 연장되고, 그 뒤쪽 부분의 상측이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즉, 전방부(320a)는 일반적인 관 형태를 이루는 부분이고, 후방부(320b)는 관 형상을 이루되 뒤쪽의 상측 부분은 삭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후방부(320b)의 상측 후단 모서리는 후방부(320b)의 다른 부분의 후단 모서리보다 앞에 위치한다.
후방부(320b)의 후단 모서리는 전체적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후방부(320b)의 상측 후단 모서리 또한 전체적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즐네크부(320)의 회전축(제1 회전축(S1))은 후방부(320b)에 형성된다.
누름부(321)는 후방부(320b)의 상측 후단에 구비된다. 누름부(321)는 후방부(320b)의 상측 후단 모서리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부(320a)와 후방부(320b)는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방부(320a)와 후방부(320b)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방부(320a)를 상대로 하여 후방부(320b)는, 노즐네크부(320)의 중심축을 회전축(후방부(320b)의 회전축은 X1과 평행하거나 X1과 대체로 평행하게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네크(302)는 상측부(302a)와 하측부(302b)로 구분될 수 있다.
연결네크(302)가 그 길이방향이 바닥면(B)과 수직하도록 세워질 때, 상측부(302a)는 연결네크(302)의 위쪽 부분이고, 하측부(302b)는 연결네크(302)의 아래쪽 부분이다.
상측부(302a)는 관 형상을 이룬다. 하측부(302b)는 상측부(302a)에서 제1 방향(X2)의 앞쪽으로 연장된다. 하측부(302b)는 제3 방향(Z2)의 앞쪽 부분이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즉, 상측부(302a)는 일반적인 관 형태를 이루는 부분이고, 하측부(302b)는 관 형상을 이루되 제3 방향(Z2)의 앞쪽 부분은 삭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단부(351)가 누름부(321)와 접촉하도록 연결네크(302)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측부(302a)의 하단 모서리는 전체적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하측부(302b)의 전단 및 하단 모서리 또한 전체적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네크(302)의 회전축(제1 회전축(S1))은 하측부(302b)에 형성된다.
제1 레버(350)의 제1 단부(351)는 상측부(302a)의 앞쪽 하단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노즐(300)의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는 제1 회전축(S1)을 기준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회전축(S1)은 바닥면(B)과 평행(좌우로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파이프(200)는 연결네크(302)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진공청소기(1)의 사용시 흡입노즐(300)의 노즐하우징(301)과 연결파이프(200)가 이루는 각도는 변경될 수 있고, 바닥면(B)과 제1 방향(X2)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연결파이프(200))가 이루는 각도가 기준각도보다 클때 누름부(321)와 제1 레버(350)(제1 단부(351))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연결파이프(200))가 이루는 각도가 상기 기준각도보다 작을때 누름부(321)가 제1 레버(350)(제1 단부(351))와 접촉하여 누름부(321)에 의한 제1 레버(35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기준각도는, 누름부(321)와 제1 레버(350)(제1 단부(351))가 접촉할 때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또는 연결파이프(200))가 이루는 각도일 수 있고, 바닥면(B)과 제1 방향(X2)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부(351)가 누름부(321)와 접촉하기 시작한 상태를 제1 상태로 칭한다.(도 15a 참조)
제1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0)(연결네크(302))가 흡입노즐(300)의 뒤쪽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도 15b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0)(연결네크(302))가 흡입노즐(300)의 뒤쪽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한 상태를 제2 상태로 칭한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연결파이프(200)(연결네크(302))가 흡입노즐(300)의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걸림홈(230)과 제1 걸림돌출부(610)의 걸림이 해제되는 상태를 제3 상태로 칭한다.(도 15c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까지의 연결파이프(200)(연결네크(302))의 회전각도 θ1은 60°이상일 수 있다. 예컨대, θ1은 70°일 수 있고, 또는 9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상태에서 제3 상태까지의 연결파이프(200)(연결네크(302))의 회전각도 θ2은 θ1의 1/3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θ2은 10°일 수 있고, 또는 20°일 수 있다.
θ1 및 θ2는, 사용되는 진공청소기(1)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각도 또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1)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각도는, 진공청소기(1)의 사용이 이루어지는 각도범위와, 진공청소기(1)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각도범위의 경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각도는 80~100°중 임의의 각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준각도는 9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각도가 90°인 경우,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연결파이프(200))가 이루는 각도가 90°를 초과할 때 누름부(321)와 제1 레버(350)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때, θ1은 9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연결파이프(200))가 이루는 각도가 90~180°인 범위에서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 간의 분리됨이 없이 사용자는 진공청소기(1)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각도가 90°이면서, θ2은 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연결파이프(200))가 이루는 각도가 90°이하(예컨대, 75°)가 되도록 흡입노즐(300)을 상대로 연결파이프(200)를 회전(연결파이프(200)를 앞쪽으로 회전)시킴으로서 누름부(321)에 의해 제1 레버(350)가 눌려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파이프(200)(제1 연결부(210))는 흡입노즐(300)(연결네크(302))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흡입노즐(300)로부터 연결파이프(200)를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당겨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 의하면,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가 이루는 각도가 기준각도 이상의 각도범위(예컨대, 90~180°)에서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의 분리됨이 없이 진공청소기(1)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노즐(300)을 상대로 연결파이프(200)를 앞쪽으로 회전시킴(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가 이루는 각도가 기준각도 이하가 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흡입노즐(300)로부터 연결파이프(2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한 손으로 청소기본체(100)(또는 연결파이프(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기본체(100)(또는 연결파이프(200))를 흡입노즐(300)의 앞쪽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흡입노즐(300)로부터 연결파이프(2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레버(350)는 내측관(330)과 외측관(340) 사이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제1 레버(350)는 연결네크(302)의 내부에 구비되는 주름관(304)과 서로 간섭되지 않고, 제1 레버(350)는 연결네크(302) 내부로 이동하는 공기 또는 먼지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으며, 제1 레버(350)의 안정된 작동(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에서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진공청소기(1)에서 제1 걸림몸체(600)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c는 도 16b의 진공청소기(1)에서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분리되고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진공청소기(1)는 제2 걸림홈(240), 제2 걸림몸체(700) 및 제2 탄성체(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걸림홈(240)은 연결파이프(200)의 외측면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걸림홈(240)은,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제1 걸림홈(230)의 뒤에서 연결파이프(2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걸림홈(240)은, 연결파이프(200)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X2)을 따라 제2 걸림홈(240)은 제1 걸림홈(230)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파이프(200)가 바닥면(B)과 평행하게 놓여진 경우 제2 걸림홈(240)은 연결파이프(200)의 상측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고, 연결파이프(200)가 바닥면(B)과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 제2 걸림홈(240)은 연결파이프(200)의 앞쪽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제2 걸림몸체(700)는 제2 걸림돌출부(71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걸림몸체(700)는 제2 회전중심부(720), 제2 버튼부(730) 및 제2 리프트부(7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걸림돌출부(710), 제2 회전중심부(720), 제2 버튼부(730) 및 제2 리프트부(740)는 모두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걸림몸체(700)는 이동바디(400)에 제4 회전축(S4)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걸림몸체(700)는, 제3 방향(Z2)의 앞쪽에서 이동바디(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림몸체(700)의 제4 회전축(S4)은 제2 방향(Y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중심부(720)는 제2 걸림몸체(700)의 회전축(제4 회전축(S4))을 이룬다. 제2 회전중심부(720)는 이동바디(40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걸림돌출부(710)는 이동바디(4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제2 걸림돌출부(710)는 제3 방향(Z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이동바디(400)를 상대로 한 제2 걸림몸체(700)의 회전정도에 따라, 제2 걸림돌출부(710)는 이동바디(40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또는 제2 걸림돌출부(710)는 이동바디(400)의 내측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거나 같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바디(400)에는, 관통된 구멍인 제2 개구(411)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걸림돌출부(710)는 이러한 제2 개구(411)를 통하여 이동바디(4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이동할 수 있다.
이동바디(400)에는 제2 버튼커버(77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버튼커버(770)는 제2 개구(411)를 차폐하며 제2 걸림몸체(700)의 외측에서 이동바디(400)에 고정결합된다.
제2 걸림돌출부(710)가 이동바디(400)의 내측면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2 걸림돌출부(710)는 제2 걸림홈(240)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제2 버튼부(730)는, 제2 회전중심부(720)를 중심으로 제2 걸림돌출부(710)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튼부(730)는 제2 회전중심부(720)에서 연장되어 제2 버튼커버(770)의 바깥으로 돌출된다. 제2 버튼부(730)는 이동바디(400) 외측에서 이동바디(400) 외측면과 이격되며, 사용자는 제2 버튼부(730)를 눌러 제2 회전중심부(72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걸림몸체(7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리프트부(740)는 제2 걸림돌출부(710)에서 연장되고 제2 걸림몸체(700)의 단부를 이룰 수 있다. 제2 리프트부(740)는 제2 걸림돌출부(710)보다 제1 회전축(S1)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제2 리프트부(740)는 걸림해제돌기(370)의 바깥쪽에서 걸림해제돌기(370)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 탄성체(760)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체(760)는, 제2 걸림돌출부(710)가 이동바디(40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 걸림몸체(700)를 탄력지지한다. 제2 탄성체(760)는,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2 걸림홈(240)에 삽입되도록 제2 걸림몸체(700)를 탄력지지한다.
제2 걸림몸체(700)에는 제2 탄성체결합부(7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체결합부(750)는 제2 걸림몸체(700)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과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탄성체결합부(750)는 제2 버튼커버(770)와의 사이에서 제2 탄성체(760)가 결합되는 공간을 이룬다. 제2 걸림돌출부(710)가 이동바디(400)의 내측을 향하는 면일 때, 제2 탄성체결합부(750)는 이동바디(400)의 외측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분리되고 이동바디(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제2 버튼부(730)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 탄성체(760)에 의하여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2 걸림홈(24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이동바디(400)는 제1 위치에 고정된다.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분리되고 이동바디(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버튼부(730)를 눌러 제2 걸림몸체(700)를 회전시키면, 제2 탄성체(760)가 압축되고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2 걸림홈(240)에서 이탈한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450)에 의해 이동바디(400)가 가압되면서 이동바디(400)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분리되고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제2 탄성체(760)에 의하여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1 걸림홈(23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이동바디(400)는 제2 위치에 고정된다.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버튼부(730)를 눌러 제2 걸림몸체(700)를 회전시키면, 제2 탄성체(760)가 압축되고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1 걸림홈(230)에서 이탈한다. 이에 따라, 이동바디(400)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할 때 코일스프링(450)은 압축되며 탄성에너지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200)에 결합된 이동바디(400)가 제1 방향(X2)을 따라 이동(왕복이동)함에 따라, 제2 걸림돌출부(710)는 제1 걸림홈(230) 또는 제2 걸림홈(240)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이루어지고, 이동바디(400)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는 걸림해제돌기(3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해제돌기(370)는 흡입노즐(300)의 연결네크(302)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해제돌기(370)는, 연결네크(302)에서 제3 방향(Z2)의 앞쪽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해제돌기(370)는 제1 방향(X2)을 따라 제1 걸림몸체(600)와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해제돌기(370)는 제1 방향(X2)을 따라 제2 걸림몸체(700)와 동일선상에 형성되고, 제1 걸림홈(230) 및 제2 걸림홈(240)과 동일선상에 형성된다.
걸림해제돌기(370)는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연결네크(302)의 후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네크(302)가 바닥면(B)과 평행하게 놓여진 경우 걸림해제돌기(370)는 연결네크(302)의 상측 후단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고, 연결네크(302)가 바닥면(B)과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 걸림해제돌기(370)는 연결네크(302)의 앞쪽 상단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걸림해제돌기(370)는 연결네크(302)의 외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걸림해제돌기(370)는 제1 방향(X2)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걸림해제돌기(370)는,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2 걸림홈(240)에서 이탈하도록 제2 걸림몸체(700)의 제2 리프트부(740)를 들어올리고 제2 걸림몸체(700)를 회전시킨다.
또한 걸림해제돌기(370)는,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1 걸림홈(230)에서 이탈하도록 제2 걸림몸체(700)의 제2 리프트부(740)를 들어올리고 제2 걸림몸체(700)를 회전시킨다.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결합되고 이동바디(4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걸림해제돌기(370)는 제2 걸림몸체(700)(제2 리프트부(740))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 탄성체(760)는 압축되고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2 걸림홈(240)에서 이탈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제1 버튼부(630)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1 탄성체(660)에 의하여 제1 걸림돌출부(610)가 제1 걸림홈(23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2 걸림돌출부(710)와 제2 걸림홈(240) 간의 걸림은 해제되고, 제1 걸림돌출부(610)와 제1 걸림홈(230) 간의 걸림은 유지되며, 이에 따라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 간의 결합(체결)이 유지된다.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버튼부(630)를 눌러 제1 걸림몸체(600)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누름부(321)에 의해 제1 레버(350)가 가압 및 회전되어 제1 걸림몸체(600)가 회전되면, 제1 탄성체(660)가 압축되고 제1 걸림돌출부(610)가 제1 걸림홈(230)에서 이탈한다. 즉, 제1 걸림돌출부(610)와 제1 걸림홈(230) 간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제2 걸림돌출부(710)와 제2 걸림홈(240) 간의 걸림도 해제된 상태에 있으므로, 연결파이프(200)는 흡입노즐(300)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코일스프링(450)은 연결파이프(200)를 상대로 이동바디(400)를 가압하므로,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이동바디(400)가 연결파이프(200)의 앞쪽으로 이동한다.
흡입노즐(300)이 바닥에 놓여 있는 경우에는, 연결네크(302) 및 이동바디(400)가 바닥면(B)과 더 가까워지도록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연결네크(302) 및 이동바디(400)를 상대로 연결파이프(200)가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흡입노즐(300)로부터 연결파이프(200)를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당기지 않더라도, 흡입노즐(300)로부터 연결파이프(200)가 제1 방향(X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사용자는 쉽게 연결파이프(200)를 흡입노즐(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가 서로 분리되고 이동바디(4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걸림돌출부(710)와 제1 걸림홈(230) 간의 걸림이 유지된다. 그리고 이때,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는 제2 흡입구(501)를 이루며, 사용자는 새로운 노즐로서 제1 회전체(510)와 제2 회전체(520)를 이용할 수 있다.
이후,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를 다시 결합시키면, 우선 걸림해제돌기(370)는 제2 걸림몸체(700)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제2 탄성체(760)는 압축되고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1 걸림홈(230)에서 이탈한다.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의 결합을 더욱 진행시키면, 연결네크(302)는 이동바디(400)를 연결파이프(200)의 뒤쪽(제1 방향(X2)에서 뒤쪽)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연결네크(302)가 이동바디(400)를 제1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걸림해제돌기(370)는 여전히 제2 걸림몸체(700)를 가압하며 제2 걸림돌출부(710)가 제2 걸림홈(240)에서 이탈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제1 걸림돌출부(610)는 제1 걸림홈(230)에 삽입되어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17a 및 도 17b는 흡입노즐(300)을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에서 일부 구성은 단면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제2 레버(360) 및 제3 탄성체(36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노즐네크부(320)에는 멈춤홈(322)에 형성될 수 있다.
멈춤홈(322)은 노즐네크부(320)의 내측면에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멈춤홈(322)은 노즐네크부(320)의 상단까지 연장된다. 즉, 상측에서 바라볼 때 멈춤홈(322)의 상단이 노출된다.
제2 레버(360)는, 대체로 제1 방향(X2)을 따라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레버(360)는 연결네크(3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레버(360)는 제2 레버브라켓(3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레버(360)의 회전축은 제3 방향(Z2)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레버(360)는 제1 누름단부(361) 및 멈춤돌기(362)를 포함한다. 제1 누름단부(361)와 멈춤돌기(362)는 각각 제2 레버(360)의 양쪽 단부를 이룰 수 있고, 제2 레버(360)의 회전축(S5)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다. 제1 방향(X2)을 기준으로, 멈춤돌기(362)는 제2 레버(360)의 앞쪽 부분을 이루고 제1 누름단부(361)는 제2 레버(360)의 뒤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멈춤돌기(362)는 멈춤홈(322)에 삽입되어 멈춤홈(322)과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제1 누름단부(361)는 연결파이프(200)의 제1 연결부(210)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연결부(210)에 의해 가압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210)에 의해 제1 누름단부(361)가 눌려 제2 레버(360)가 회전하면 멈춤돌기(362)는 멈춤홈(322)에서 이탈하며 멈춤돌기(362)와 멈춤홈(322)의 걸림이 해제된다.
제3 탄성체(365)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탄성체(365)는 연결네크(302)의 내측에 결합되어, 멈춤돌기(362)가 멈춤홈(322)에 삽입되도록, 제2 레버(360)를 탄력지지한다.
진공청소기(1)에서 제2 레버(360) 및 제3 탄성체(365)는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버(360) 및 제3 탄성체(365)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레버(360)가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제2 레버(360)와 다른 하나의 제2 레버(360)는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제2 레버(360)가 좌측에 위치할 때, 다른 하나의 제2 레버(360)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탄성체(365)가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제3 탄성체(365)와 다른 하나의 제3 탄성체(365)는 중앙면(CS)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부(210)가 연결네크(302)에 끼워졌을 때, 제1 연결부(210)는 제1 누름단부(361)를 가압하여 제2 레버(360)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제3 탄성체(365)는 압축되며 멈춤돌기(362)가 멈춤홈(322)에서 이탈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연결네크(302)는 노즐하우징(301)(노즐네크부(320))과 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연결네크(302)가 바닥과 대체로 수직을 이루도록 세워졌을 때 연결파이프(200)는 흡입노즐(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210)에 의한 제1 누름단부(361)의 가압이 해제되므로, 제3 탄성체(36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레버(360)가 회전하고 멈춤돌기(362)가 멈춤홈(32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 간의 회전(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차단(또는 제한)되고, 노즐하우징(301)과 연결네크(302)간의 소정의 각도(예컨대, 90°)가 유지된다.
이처럼, 연결파이프(200)가 흡입노즐(300)에서 분리됐을 때, 연결네크(302)는 바닥면(B)에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연결파이프(200)를 다시 흡입노즐(300)에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연결네크(302) 위쪽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200) 등(이동바디(400), 제1 회전체(510) 및 제2 회전체(520) 포함)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연결파이프(200)와 흡입노즐(30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흡입노즐(300)이 바닥면(B)에 놓여있기 때문에 흡입노즐(300)이 의도하지 않게 다른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지 않게 된다. 즉, 사용자는 한손으로만 청소기본체(100)(또는 연결파이프(200))를 파지한채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본 발명과 달리, 멈춤홈(322) 및 제2 레버(360)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흡입노즐(300)에서 연결파이프(2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네크(302)는 바닥면(B)에 눕혀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 경우 우선, 연결파이프(200)와 연결네크(302)의 결합시 사용자는 연결파이프(200) 또한 눕혀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를 모두 파지하여 서로 결합시켜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손만을 사용하여 흡입노즐(300)과 연결파이프(200)를 결합시킬 수 없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진공청소기
10:거치대
21, 22, 23:노즐 100:청소기본체
110:제1 모터 120:손잡이
130:먼지통 140:본체흡입구
150:배터리 160:조작버튼
170:배출구 200:연결파이프
210:제1 연결부 220:제2 연결부
230:제1 걸림홈 240:제2 걸림홈
250:가이드레일 300:흡입노즐
301:노즐하우징 302:연결네크
302a:상측부 302b:하측부
303:캐스터 304:주름관
305:회전클리너 305b:외주면층
306:제2 모터 307:걸레
308:제3 모터 310:노즐헤드부
311:제1 흡입구 320:노즐네크부
320a:전방부 320b:후방부
321:누름부 322:멈춤홈
330:내측관 331:제1 레버브라켓
332:제2 레버브라켓 340:외측관
340a:스커트부 341:제1 개구
342:제1 수용부 343:제2 수용부
350:제1 레버 351:제1 단부
352:제2 단부 360:제2 레버
361:제1 누름단부 362:멈춤돌기
370:걸림해제돌기 400:이동바디
410:중앙관 411:제2 개구
412:가이드홈 420:제1 고정브라켓
430:제2 고정브라켓 440:막음벽
450:코일스프링 510:제1 회전체
511:제1 반관 511a:제1 모서리
511b:제2 모서리 512:제1 커넥터
520:제2 회전체 521:제2 반관
521a:제3 모서리 521b:제4 모서리
522:제2 커넥터 530:제1 회전스프링
540:제2 회전스프링 600:제1 걸림몸체
610:제1 걸림돌출부 620:제1 회전중심부
630:제1 버튼부 640:제1 리프트부
650:제1 탄성체결합부 660:제1 탄성체
670:제1 버튼커버 700:제2 걸림몸체
710:제2 걸림돌출부 720:제2 회전중심부
730:제2 버튼부 740:제2 리프트부
750:제2 탄성체결합부 760:제2 탄성체
770:제2 버튼커버 S1:제1 회전축
S2:제2 회전축 S3:제3 회전축
S4:제4 회전축
21, 22, 23:노즐 100:청소기본체
110:제1 모터 120:손잡이
130:먼지통 140:본체흡입구
150:배터리 160:조작버튼
170:배출구 200:연결파이프
210:제1 연결부 220:제2 연결부
230:제1 걸림홈 240:제2 걸림홈
250:가이드레일 300:흡입노즐
301:노즐하우징 302:연결네크
302a:상측부 302b:하측부
303:캐스터 304:주름관
305:회전클리너 305b:외주면층
306:제2 모터 307:걸레
308:제3 모터 310:노즐헤드부
311:제1 흡입구 320:노즐네크부
320a:전방부 320b:후방부
321:누름부 322:멈춤홈
330:내측관 331:제1 레버브라켓
332:제2 레버브라켓 340:외측관
340a:스커트부 341:제1 개구
342:제1 수용부 343:제2 수용부
350:제1 레버 351:제1 단부
352:제2 단부 360:제2 레버
361:제1 누름단부 362:멈춤돌기
370:걸림해제돌기 400:이동바디
410:중앙관 411:제2 개구
412:가이드홈 420:제1 고정브라켓
430:제2 고정브라켓 440:막음벽
450:코일스프링 510:제1 회전체
511:제1 반관 511a:제1 모서리
511b:제2 모서리 512:제1 커넥터
520:제2 회전체 521:제2 반관
521a:제3 모서리 521b:제4 모서리
522:제2 커넥터 530:제1 회전스프링
540:제2 회전스프링 600:제1 걸림몸체
610:제1 걸림돌출부 620:제1 회전중심부
630:제1 버튼부 640:제1 리프트부
650:제1 탄성체결합부 660:제1 탄성체
670:제1 버튼커버 700:제2 걸림몸체
710:제2 걸림돌출부 720:제2 회전중심부
730:제2 버튼부 740:제2 리프트부
750:제2 탄성체결합부 760:제2 탄성체
770:제2 버튼커버 S1:제1 회전축
S2:제2 회전축 S3:제3 회전축
S4:제4 회전축
Claims (19)
- 제1 모터가 구비된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와 연결되고, 제1 걸림홈이 구비되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연결파이프와 착탈되는 관 형태의 연결네크, 및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네크를 통하여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흡입구가 저면에 구비되는 노즐하우징을 포함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연결네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걸림홈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돌출부가 구비되는 제1 걸림몸체;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1 걸림몸체를 탄력지지하는 제1 탄성체;
상기 노즐하우징에 형성되는 누름부;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한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네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누름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1 걸림몸체를 가압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1 레버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네크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외측관의 밖으로 돌출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네크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가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1 레버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버브라켓이 구비되는 내측관;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걸림돌출부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는 제1 개구가 구비되는 외측관; 및
상기 제1 개구를 차폐하며 상기 제1 걸림몸체의 외측에서 상기 외측관에 결합되는 제1 버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관은,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1 버튼커버보다 상기 제1 회전축에 가까운 쪽에서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 위치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스커트부의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버튼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네크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측관; 및
상기 내측관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관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노즐은,
휘어지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하우징 및 상기 내측관 내부에 삽입되는 주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사이에 위치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몸체는 상기 연결네크에 제3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3 회전축보다 상기 제1 회전축에 가까운,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몸체는,
상기 제1 걸림돌출부보다 상기 제1 회전축에서 먼 위치에서, 상기 제1 걸림몸체의 회전축인 제3 회전축을 이루는 제1 회전중심부; 및
상기 제1 걸림돌출부보다 상기 제1 회전축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의 바깥쪽에서 상기 제2 단부와 접촉하는 제1 리프트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네크는,
상기 제1 걸림돌출부가 이동하는 통로를 이루는 제1 개구가 구비되는 외측관; 및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외측관에 결합되는 제1 버튼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몸체는,
상기 제1 버튼커버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탄성체가 결합되는 공간을 이루는 제1 탄성체결합부; 및
상기 제2 회전축과 먼 쪽을 향하여 상기 제1 회전중심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버튼커버의 바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네크와 이격되는 제1 버튼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1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2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긴,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하우징은,
상기 제1 흡입구가 구비된 노즐헤드부; 및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헤드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누름부가 형성되는 노즐네크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네크부는,
관 형상의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되, 뒤쪽 부분의 상측이 개구된 형상인 후방부로 구분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후방부의 상측 후단에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네크는,
관 형상의 상측부; 및
상기 상측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후방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부로 구분되고,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누름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네크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측부는 앞쪽이 개구된 형상이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상측부의 앞쪽 하단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진공청소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휘어지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노즐네크부 및 상기 연결네크 내부에 삽입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누름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연결네크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보다 앞에 위치하는,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누름부와 접촉하기 시작한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흡입노즐의 뒤쪽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는 제2 상태까지의 상기 연결파이프의 회전각도 θ1은 60°이상이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흡입노즐의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3 상태까지의 상기 연결파이프의 회전각도 θ2은 θ1의 1/3 이하인,
진공청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상기 연결파이프가 내부로 끼워지는 상기 연결네크;
상기 제1 흡입구가 구비된 노즐헤드부;
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헤드부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면에 멈춤홈이 형성되는 노즐네크부;
상기 연결네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는 멈춤돌기가 구비되는 제2 레버; 및
상기 연결네크에 결합되고,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레버를 탄력지지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연결네크에 끼워졌을 때, 상기 멈춤돌기가 상기 멈춤홈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제2 레버를 가압하는,
진공청소기. - 제1 모터가 구비된 청소기본체;
상기 청소기본체와 연결되고, 제1 걸림홈이 구비된 연결파이프; 및
상기 연결파이프와 착탈되는 연결네크,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네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네크를 통하여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흡입구가 저면에 구비되는 노즐하우징, 및 상기 연결네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걸림홈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돌출부가 구비되는 제1 걸림몸체를 포함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노즐은,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네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노즐하우징에 의해 눌려 상기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제1 걸림돌출부를 이동시키는,
진공청소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은 서로 평행한,
진공청소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노즐하우징에 의해 눌리기 시작한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흡입노즐의 뒤쪽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는 제2 상태까지의 상기 연결파이프의 회전각도 θ1은 60°이상이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흡입노즐의 앞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걸림홈와 상기 제1 걸림돌출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3 상태까지의 상기 연결파이프의 회전각도 θ2은 θ1의 1/3 이하인,
진공청소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노즐하우징은, 상기 제1 레버와 접촉하는 누름부가 위쪽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레버가 상기 노즐하우징에 의해 눌리기 시작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레버는 상기 연결네크의 앞쪽 부분에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888A KR20220012727A (ko) | 2020-07-23 | 2020-07-23 | 진공청소기 |
US17/379,410 US11751741B2 (en) | 2020-07-23 | 2021-07-19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1888A KR20220012727A (ko) | 2020-07-23 | 2020-07-23 | 진공청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2727A true KR20220012727A (ko) | 2022-02-04 |
Family
ID=7968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1888A Pending KR20220012727A (ko) | 2020-07-23 | 2020-07-23 | 진공청소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751741B2 (ko) |
KR (1) | KR2022001272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1038556S1 (en) * | 2019-09-20 | 2024-08-06 | Yihu Zhuo | Vacuum |
TWD223040S (zh) * | 2020-08-28 | 2023-01-11 |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 真空吸塵器主體 |
USD966637S1 (en) * | 2021-04-22 | 2022-10-11 | Suzhou Sweep Electric Appliance Co., Ltd. | Vacuum cleaner |
US20230140788A1 (en) * | 2021-11-03 | 2023-05-04 | Techtronic Cordless Gp | Vacuum cleaner |
USD1041110S1 (en) * | 2022-05-06 | 2024-09-03 | Lg Electronics Inc. | Air outlet for vacuum cleaner |
USD1066841S1 (en) * | 2022-06-16 | 2025-03-11 | Lg Electronics Inc. | Vacuum cleaner body |
USD1048613S1 (en) * | 2023-02-08 | 2024-10-22 | Suzhou Dibea Electrical Technology Co., Ltd | Dust collector |
USD1067560S1 (en) * | 2023-03-06 | 2025-03-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acuum cleaner |
USD1067563S1 (en) * | 2023-03-06 | 2025-03-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acuum clean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1455B1 (ko) | 2016-08-25 | 2018-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거치대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475894B (en) * | 1997-12-26 | 2002-02-11 | Tec Corp | Suction port body for vacuum-cleaner and vacuum-cleaner having the same |
KR20030072000A (ko) * | 2002-03-05 | 2003-09-13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의 관절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
KR101534063B1 (ko) * | 2008-12-09 | 2015-07-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
CA2658161A1 (en) * | 2009-03-13 | 2010-09-13 | G.B.D. Corp. | Surface cleaning head |
US8375508B2 (en) * | 2010-03-12 | 2013-02-19 | G.B.D. Corp. | Torque balancer for a surface cleaning head |
GB2525224B (en) * | 2014-04-16 | 2018-12-26 | Dyson Technology Ltd | Cleaning apparatus |
-
2020
- 2020-07-23 KR KR1020200091888A patent/KR20220012727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07-19 US US17/379,410 patent/US1175174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1455B1 (ko) | 2016-08-25 | 2018-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거치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751741B2 (en) | 2023-09-12 |
US20220022710A1 (en) | 2022-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12727A (ko) | 진공청소기 | |
KR20220012730A (ko) | 진공청소기 | |
CN100493434C (zh) | 清洁头 | |
KR102238138B1 (ko) |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 |
US7681279B2 (en) | Vacuum cleaner | |
KR101143659B1 (ko) |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 |
KR100429113B1 (ko) | 전기 진공 청소기 | |
CA2374892C (en) | Telescoping handle for upright vacuum cleaner | |
KR20060130259A (ko) | 원형의 진공청소기 핸들 | |
EP3320821A1 (en) | Cleaning device | |
KR102072381B1 (ko) | 청소기 | |
US11160426B1 (en) | Amalgamated handheld vacuum appliance dusting attachment | |
KR20150056488A (ko) | 표면청소기용 회동핸들 | |
EP4226828A1 (en) | Vacuum cleaner | |
JP5865700B2 (ja) |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 |
JP2009504305A (ja) | アップライト型真空掃除機用の角度調節装置 | |
KR102268576B1 (ko) | 진공청소기 | |
US20090056055A1 (en) | Upright vacuum cleaner | |
JP5804935B2 (ja) | 電気掃除機 | |
JP5762275B2 (ja) |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 |
JPH10155705A (ja) | 小型電気掃除機 | |
JP2013132477A (ja) |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 |
KR101370821B1 (ko) | 업라이트 및 캐니스터 겸용 진공청소기 | |
TWI825624B (zh) | 清掃機 | |
KR20060128098A (ko) | 진공청소기의 복합노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7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