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11826A -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1826A
KR20220011826A KR1020200090101A KR20200090101A KR20220011826A KR 20220011826 A KR20220011826 A KR 20220011826A KR 1020200090101 A KR1020200090101 A KR 1020200090101A KR 20200090101 A KR20200090101 A KR 20200090101A KR 20220011826 A KR20220011826 A KR 20220011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bone
related diseases
food composition
r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877B1 (ko
Inventor
장대자
김민정
양혜정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8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8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사료 조성물, 동물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bone-related disease comprising Allii Fistulosi Bulbus porridge}
본 발명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뼈(골, Bone)는 인체의 연한 조직과 체중을 지탱해주고 내부기관을 둘러싸고 있어서 내부 장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근육이나 장기를 구조적으로 지탱하며, 체내의 칼슘, 인 또는 마그네슘과 같은 다른 필수 무기질 물질을 저장하는 인체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성장이 끝난 성인의 뼈는 멈추지 않고 죽는 날까지 오래된 뼈를 제거하고 제거된 오래된 뼈 대신 새로운 뼈를 대체하는 생성과 흡수 과정을 매우 역동적이며 지속적으로 반복재생 하면서 균형을 유지한다. 이를 골 재형성(Bone remodeling)이라고 하는데, 오래된 뼈를 제거하고 이를 새로운 뼈로 대체하는 뼈의 순환은 성장과 스트레스에 의해서 일어나는 뼈의 미세한 손상을 회복시키고 적절히 뼈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상기 골의 재형성에는 크게 두 종류의 세포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상기 두 종류의 세포 중 하나는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이고, 다른 하나는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Osteoclast)이다.
상기 조골세포는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과 이것의 유도 수용체인 오스테오프로테제린(Osteoprotegerin, OPG)을 생성한다. 상기 RANKL이 파골 전구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인 RANK에 결합하면 파골세포의 전구세포가 파골세포로 성숙화되어 골 흡수가 일어난다. 그러나, 오스테오프로테제린(OPG)이 RANKL과 결합하면 RANKL과 RANK간 결합이 차단되어 파골세포의 형성이 억제되고 골 흡수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골 관련 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인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질적인 변화로 인해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낮은 골 질량(Mass) 상태로 정의되어 온 골다공증은 중요한 사회적 문제 중 하나로서, 미국의 경우 매년 약 26만 명의 여성들에게 유발되고 있으며 이중 약 12 내지 24% 정도는 사망에 이른다. 사회가 점점 더 노령화되고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활발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노인들이나 폐경 후 여성들의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낮은 골 밀도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조기 폐경, 스테로이드 등의 약제, 동반 질환, 흡연 및 알코올 등이며, 골절의 원인은 낮은 골밀도, 저체중, 과거 골절력, 부모 또는 형제의 골절력, 흡연 및 알코올 등이다. 즉, 뼈를 구성하는 미네랄 (특히 칼슘)과 기질이 감소한 상태이며, 골 재형성의 균형이 깨져서 파골작용이 조골 작용보다 증가된 상태에서 발생한다. 정상적인 뼈 내부는 그물망처럼 치밀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골다공증의 경우에는 골 미세구조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미세구조가 얇아져 약해짐으로써 조그만 충격에도 뼈가 쉽게 골절될 위험이 증가하는 질환이다.
상기 골다공증은 노년층에서 골 취약성(Fragility)의 증가 및 결과적인 골절 위험의 증가를 초래하는 골 조직의 마이크로 구조상(Micro architectural)의 퇴보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이와 같이 골다공증은 50세 이상 여성의 50%와 50세 이상 남성의 30% 보다 많은 인원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성에게는 폐경기 직후 또는 그 후 몇 년 동안 골 손실의 속도가 가속화된다. 대부분은 증상이 없지만 골절이 발생하면 통증이 생기고, 골절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모든 부위에서 골절이 일어날 수 있지만, 특히 손목뼈, 척추, 고관절(대퇴골)에서 골절이 자주 발생한다. 또한, 연령에 상관없이 질병이나 약물, 알코올, 흡연,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이차 골다공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골다공증의 치료 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전통적으로 폐경기 여성에게 많이 사용되는 여성호르몬 제제(Estrogen), 남성화 스테로이드 호르몬(Androgenic anagolic steroids),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제제, 부갑상선호르몬, 칼슘 제제, 인산염, 불소 제제, 이프리플라본(Ipriflavone), 비타민 D3 등이 있다. 상기 여성호르몬은 골절 감소의 효과가 있지만 혈전증과 유방암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되어야 하며, 에스트로겐은 조골세포의 세포 사멸을 억제하여 세포의 생존 기간을 증가시키고 파골세포의 세포 사멸을 촉진하여 세포의 생존 기간을 감소시켜 폐경 증상의 치료와 골밀도 유지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자궁내막 증식증 등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가 개발되었다. 이 계열의 약제로는 라록시펜(Raloxifene)이 있으며, 척추 골절 예방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에서 유방암의 발생을 낮추었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상기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골다공증 치료제로서, 파골세포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그 수를 줄여 뼈의 파괴를 막는다. 뿐만 아니라, 스트론튬(Strontium ranelate)은 먹는 골다공증 치료제로서 골 형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골 흡수가 억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골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으며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로 제조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680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273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골 관련 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 관련 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강 및 연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총백은 총백 건조물 또는 총백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총백 추출물은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총백 50 내지 200 중량부 및 식초 1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1 내지 50 중량부 및 연근 1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쌀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근, 양파, 마늘 및 청양고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소금, 간장, 참기름 및 깻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 관련 질환은 골다공증,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무릎관절증, 고관절증, 전신 홍반루푸스(SLE), 척추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강직성 척추염, 라이터 증후군, 건선성 관절병증, 장병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병관절병증, 급성 류마티스 열, 통풍, 연골석회화증, 치조골 파괴에 의한 치주질환, 염증성 치조골 흡수질환, 염증성 뼈 흡수질환, 칼슘 수산화인회석 결정 침전 질환 및 라임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통증, 부종, 다리 절뚝임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며, 슬관절 연골에 TNF-a와 MMP-3의 발현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은 골 관련 질환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사료 조성물, 동물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체지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에서 다리에 실리는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에서 슬관절의 부은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절뚝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이 트레드밀에서 뛸 때의 최대 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슬관절 연골에서 MMP-3과 TNF-a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슬관절을 헤마토톡신-에오진(H-E)으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9는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슬관절을 safranin-O fast green(SOFG)으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10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혈당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인슐린 내성 실험 동안의 혈당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골 관련 질환은 골다공증,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무릎관절증, 고관절증, 전신 홍반루푸스(SLE), 척추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강직성 척추염, 라이터 증후군, 건선성 관절병증, 장병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병관절병증, 급성 류마티스 열, 통풍, 연골석회화증, 치조골 파괴에 의한 치주질환, 염증성 치조골 흡수질환, 염증성 뼈 흡수질환, 칼슘 수산화인회석 결정 침전 질환 및 라임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은 총백, 쌀 및 식초를 포함하며, 생강 및 연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총백(蔥白)은 백합과 파(Allium fistulosum L.)의 신선한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감기에 땀을 내고 복부냉통, 소화불량, 사지냉증, 맥박미약, 종기, 피부발진에 사용한다. 또한, 약리작용으로는 억균작용, 발한, 해열, 이뇨, 건위, 거담작용이 보고되었다.
상기 총백은 총백 건조물 또는 총백 추출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총백 추출물은 총백과 추출용매를 1 :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 : 8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90 내지 110 ℃에서 추출한 후 50 내지 60 ℃에서 감압농축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 총백과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총백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총백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총백 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총백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총백의 함량은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부이다. 총백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식초와 함께 사용하더라도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이 더욱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초(食醋)는 고유의 향기를 가진 신맛의 조미료로서, 비만 예방, 간 기능 강화, 성장 촉진, 당 대사 촉진, 면역력 증강, 피로 회복 및 생활에 활력을 준다. 상기 식초를 사용함으로써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상기 식초의 함량은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이다. 식초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강의 약리 작용으로는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생강은 총백 및 식초와 함께 사용되어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생강의 함량은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이다. 생강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근은 피로회복, 불면 및 기침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연근은 총백 및 식초와 함께 사용되어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근의 함량인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부이다. 연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골 관련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능력 및 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당근, 양파, 마늘 및 청양고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또는 소금, 간장, 참기름 및 깻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총백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한 추출물, 이들로부터 분획한 분획물, 이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추가적으로 농축한 농축물, 이를 정제 또는 분리한 정제물도 포함하고, 상기 추출물, 분획물, 농축물 또는 정제물을 건조한 건조물 또는 그를 분쇄한 분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정제물의 제조를 위해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총백, 쌀 및 식초 이외에, 식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포함한다.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은 단당류,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 예를 들어 말토스, 설탕, 유당 등; 올리고당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물엿, 사이클로덱스트린 등; 당알코올, 예를 들어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총백, 쌀 및 식초는 골 관련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총백, 쌀 및 식초는 섭취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젤리 제형, 티백 제형 또는 음료 제형일 수 있다.
또한 일반 식품에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총백, 쌀 및 식초를 첨가할 수 있으며, 첨가가 가능한 식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식품위생법 제7조에 따른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예시된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식육 또는 알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절임식품, 조림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 제4조에 따른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축산물공전')에 예시된 유가공품, 식육가공품 및 포장육, 알가공품에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총백, 쌀 및 식초와 함께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초록입홍합추출오일, 황금추출물, N-아세틸글루코사민, 로즈힙 분말, 글로코사민, 차조기, 호프추출물, 비즈왁스 알코올 등의 관절 건겅과 관련된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총백, 쌀 및 식초를 이외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이 아니더라도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단미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 별표 2의 보조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른 보조사료 중 추출제일 수 있고, 상기 보조사료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상기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총백, 쌀 및 식초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총백, 쌀 및 식초는 섭취 동물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골 관련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골 관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총백, 쌀 및 식초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총백, 쌀 및 식초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유당, 포도당, 설탕,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 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설탕 또는 유당,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골 관련 질환의 치료방법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골 관련 질환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골 관련 질환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 여부는, 골 관련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총백 추출물
총백과 주정 수용액을 1 :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 ℃에서 추출하여 총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주정 수용액은 주정과 물을 1 : 0.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다.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멥쌀 100 중량부를 불린 후 불린 멥쌀에 상기 총백 추출물 80 중량부를 첨가하여 함께 볶은 다음 물을 붓고 센불에서 끓인 다음 끓어오르면 불을 약하게 하여 가끔 저으면서 서서히 끓인다. 쌀알이 푹 퍼지도록 충분히 끓인 후 식초 8 중량부를 첨가하여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동물실험
자성 SpragueDawley 랫트(무게 231±20 g)를 실험동물로 이용하였다. 실험동물을 스테인리스 케이지에 각각 넣고 23 ℃, 12시간 명/암 사이클의 조건 하에서 사육하였다. 모든 수술 및 실험 절차는 식품연구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하였다. 케타민 및 자일라진 혼합물(100 및 10 mg/kg 몸무게, 각각)을 랫트의 피하 내 주사하여 마취한 다음 난소 적출(ovariectomy, OVX)을 실시하였
다(Choi SB, et al., Endocrinology 2005; 146:4786-4794). 배 가운데 부분을 절개하고, 난관의 가장 몸쪽 부분을 묶어 각각의 난소를 분리하였다. 양쪽 난소는 가위로 제거하였다.
OVX 수술 후, 랫트를 물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고지방식이를 제공하여 골관절염 및 폐경기 증상을 악화시켰다. 동물실험을 위한 고지방식이는 변형된 AIN-93 배합(formulation)을 포함하는 반정제(semi-purified) 방법을 이용하여 준비하였다(Reeves PG. J Nutri 1997;127:838S-8341S). 상기 고지방식이는 탄수화물 40% 에너지(중량%), 단백질 20 중량% 및 지방 40 중량%로 구성된다.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주요 공급원은 각각 전분이 있는 설탕, 카제인(우유 단백질) 및 라드(CJ Co., 서울, 한국)이다.
고지방식에는 동결건조된 실시예 1의 조성물 또는 덱스트로스(sham군, OVX군, OVX_MIA군) 2%가 추가되었다.
OVX 수술 랫트에 4주 동안 상술한 식이를 제공한 후 MIA(관절염 유도)를 각 실험군의 OVX 랫트 오른쪽 슬관절에 주사하고, 추가적으로 3주간 상술한 식이를 제공하였다.
-5개 군의 마우스-
각 군의 마우스에는 모두 상기 고지방식이를 공급하였다.
Sham군: 식염수 투여
OVX군: OVX 후 식염수 투여
OVX_MIA(OA)군: OVX 후 식염수 투여 + MIA 주입
OA_실시예 1_L군: OVX 후 실시예 1의 조성물 0.1 g/kg rat BW + MIA 주입
OA_실시예 1_H군: OVX 후 실시예 1의 조성물 0.3 g/kg rat BW + MIA 주입
실시예 1. 체중 및 체지방 함량 측정
도 1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는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체지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체지방은 복부 지방을 나타내는 peri-uterine fat과 retroperitoneal fat mass를 측정하여 합으로 계산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am군에 비하여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체중 증가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슬관절강에 MIA를 주입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한 OVX_MIA(OA)군은 OVX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가 현저하게 낮았으며 오히려 체중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이용한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은 OVX_MIA(OA)군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총백죽을 섭취한 군에서 통증이 OA 대조군에 비해 적은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과 유사하게 OVX군은 Sham군에 비하여 체지방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체중과는 달리 골관절을 유발시킨 OVX_MIA(OA)군이 OVX군에 비하여 체지방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체지방량은 다른 군에 비하여 OA_실시예 1_H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실시예 2. 골관절염이 유발된 다리에 실리는 체중 측정
도 3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에서 다리에 실리는 체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관절강에 MIA를 주입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한 후 2, 7, 14, 21일에 중량 분포(weight distribution)를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체중계에서 골관절염을 유발한 다리에 체중이 실리는 정도를 측정한 결과, MIA를 주입하지 않은 Sham군과 OVX군은 골관절염을 유발한 다리에 실리는 체중이 50%인 것을 확인하였다.
슬관절강에 MIA 주입하여 골관절염을 유발한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에서는 골관절염을 유발한 다리에 실리는 체중이 MIA 주입 후 2일에 낮았으나 그 후 점차 증가하였으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경우에는 Sham군만큼 증가하였다.
실시예 3. 골관절염 유발 후 슬관절의 부은 정도
도 4는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에서 슬관절의 부은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Scoring point는 1점: 육안에 붓기 차이가 없음, 2점: 육안의 차이는 없으나 만지면 부은 차이가 있음, 3점: 육안으로 붓기 차이가 있음, 4점: 육안으로 붓기가 심하고 염증이 있음으로 점수화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관절에 식염수를 사용한 Sham군과 OVX군의 무릎은 붓지 않았다. 그러나 슬관절에 MIA를 주입한 OVX_MIA(OA)군은 3일후에도 어느정도 부은 증상이 나타났고 그 후 7일에 가장 많이 부었으며 14일에는 부은 증세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OA_실시예 1_L군은 OA_실시예 1_H군에 비하여 7일과 14일에 슬관절의 부기가 더 낮았으며, 21일에는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 모두 Sham군과 거의 유사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골관절염 유발 후 절뚝임 정도
도 5는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절뚝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Scoring point는 1점: 절뚝임이 없음, 2점: 걸을 때 다리를 약간 끌지만 다니는데 무리 없음, 3점: 걸을 때 다리를 끌고 걷는 속도 느려짐, 4점: 걷기에 어려움이 있음으로 점수화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관절에 식염수를 사용한 Sham군과 OVX군은 절뚝임이 없었다. 그러나 OVX_MIA(OA)군은 3일후에 절뚝임이 나타났으며 부은 정도와 마찬가지로 7일에 절뚝임이 더 심했고 그 후 절뚝이 조금은 완화되었지만 아주 많이 향상되지는 않았다.
한편,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은 절뚝임이 3일에 가장 높았고 그 후 점차 절뚝임이 완화되었는데, 7일 이후부터는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 모두 현저하게 절뚝임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트레드밀(treadmill)에서의 뛸 때의 속도 측정
도 6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이 트레드밀에서 뛸 때의 최대 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트레드밀(treadmill)의 속도를 0.6 m/min으로 시작해서 점차 속도를 높이면서 각 군의 마우스들이 뛸 때 마우스가 뛸 수 있는 최대속도를 보면 무릎이 아픈 정도를 알 수 있으므로 각 군의 마우스들의 트레드밀(treadmill)에서 뛸 수 있는 최대 속도를 찾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am군은 OVX군에 비하여 더 높은 속도에서 걸을 수 있었고, MIA를 슬관절강에 넣어 관절염을 유발한 OVX_MIA(OA)군은 최대 속도가 OVX군에 비해 낮았다.
21일째에 OA_실시예 1_L군은 OVX군만큼 최대속도를 나타내므로 관절염이 많이 회복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슬관절 연골에서 MMP-3과 TNF-a mRNA 발현 정도 측정
도 7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슬관절 연골에서 MMP-3과 TNF-a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슬관절에서 연골을 채취하여 콜라겐의 분해를 일으키는 효소인 MMP-3의 발현과 염증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TNF-a의 mRNA 발현을 realtime PC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슬관절에 연골에서 MMP-3의 발현은 OVX_MIA(OA)군에 대한 fold changes로 측정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OVX군은 Sham군에 비해 MMP-3 발현 및 TNF-a 발현이 높았으나 이중에서 TNF-a 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슬관절의 연골에서 MMP-3와 TNF-a의 발현은 OVX_MIA(OA)군에 비해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에서 감소되었다. 슬관절의 연골에서 TNF-a 발현은 실시예 1 조성물의 용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실시예 7. 슬관절의 H-E 염색
도 8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슬관절을 헤마토톡신-에오진(H-E)으로 염색한 사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am군 및 OVX군은 MIA를 주사하지 않아 골관절염이 유발되지 않았으나 Sham군에 비해 OVX군에서 관절 끝부분에 변경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슬관절에 MIA를 주입한 OVX_MIA(OA)군은 슬관절 사이에 간격도 좁아지고 뼈에 변형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으나,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경우에는 관절사이에 간격이 줄어드는 것이 방지되고 뼈의 변형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safranin-O fast green(SOFG) 염색
도 9는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슬관절을 safranin-O fast green(SOFG)으로 염색한 사진이다.
safranin-O fast green(SOFG) 염색은 콜라겐이 붉은색으로 염색되는 것으로 콜라겐의 양이 감소하는 것과 관절뼈의 파괴를 측정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am군은 콜라겐이 가장 많고 뼈의 세포 배열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OVX군 역시 Sham군과 유사한 정도의 콜라겐이 존재하고 세포 배열도 거의 변경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OVX_MIA(OA)군은 콜라겐이 줄어들고 뼈의 세포도 뼈의 말단으로 침투(penetration)되었다.
OA_실시예 1_H군은 콜라겐이 유지되고 뼈의 변형이나 뼈의 말단으로의 침투(penetration)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경구내당능 검사에서 혈당 변화
도 10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혈당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군의 마우스를 16시간 동안 금식시킨 후 2 g/kg body weight으로 포도당을 경구투여한 다음 혈당을 측정하였을 때 모든 군에서 30-40분까지는 혈당이 높아지고 이후에 점차 감소하였다. OVX군과 OVX_MIA(OA)군에서 최고혈당이 가장 높았으며 그 후에 혈당이 다른 군에 비해 천천히 감소하여 불내당증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은 최고혈당이 20-30분에서 나타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최고혈당도 다른 군에 비하여 낮으므로 실시예 1의 조성물 섭취는 불내당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10. 인슐린 내성 실험
도 11은 Sham군, OVX군, OVX_MIA(OA)군,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인슐린 내성 실험 동안의 혈당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식 6시간 후에 1 IU insulin을 피하로 주사한 후 혈당 변화를 90분 동안 조사하였을 때 모든 군에서 30분까지는 혈당이 감소하고 그 후에는 낮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75분 이후에 반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은 금식 6시간 후의 혈당이 OVX군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지만 인슐린 주사 후에 혈당 감소는 OVX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실시예 1의 조성물 섭취하였을 때 금식 6시간 후에 혈당은 OVX군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지만, 인슐린 주사 후에 혈당 감소는 OVX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OVX군은 Sham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량 및 체지방량이 많았으며, MIA를 슬관절에 주입한 OVX_MIA(OA)군은 체중 증가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OVX_MIA(OA)군에서 체지방량은 감소하지 않았다.
OA_실시예 1_L군 및 OA_실시예 1_H군의 체중 증가량은 OVX군에 비하여 적었으나 OVX_MIA(OA)군보다는 많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체지방량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난소가 제거된 마우스에서 체지방량의 증가를 억제하고 슬관절에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이 OVX_MIA(OA)군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통증, 부종, 다리 절뚝임 등의 증상을 완화시켰으며 슬관절 연골에 TNF-a와 MMP-3의 발현을 낮추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난소가 제거된 마우스에서 나타나는 경구불내당증, 인슐린 저항성 등을 완화시키므로 폐경기 여성과 폐경기 여성에서 많이 나타나는 골관절염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아래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5: 음료 제형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제예 6: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조성물 분말 0.1 kg, 옥수수 25.5 kg, 소맥 15.04 kg, 소맥분 8.15 kg, 미강 7.4 kg, 대두박 18 kg, 옥구르텐 1kg, 닭부산물 14 kg, 동물성유지 9 kg, 가공염 0.3 kg, 인산제삼칼슘 0.3 kg, 석회석 1 kg, 염화콜린 0.01 kg, 비타민 0.05 kg, 미네랄 0.05 kg 및 소화효소제 0.1 kg을 혼합하여 동물(개, 애완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14)

  1.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생강 및 연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백은 총백 건조물 또는 총백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총백 추출물은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총백 50 내지 200 중량부 및 식초 1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생강 1 내지 50 중량부 및 연근 1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근, 양파, 마늘 및 청양고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소금, 간장, 참기름 및 깻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관련 질환은 골다공증,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무릎관절증, 고관절증, 전신 홍반루푸스(SLE), 척추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강직성 척추염, 라이터 증후군, 건선성 관절병증, 장병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병관절병증, 급성 류마티스 열, 통풍, 연골석회화증, 치조골 파괴에 의한 치주질환, 염증성 치조골 흡수질환, 염증성 뼈 흡수질환, 칼슘 수산화인회석 결정 침전 질환 및 라임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1.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골 관련 질환은 골다공증, 골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무릎관절증, 고관절증, 전신 홍반루푸스(SLE), 척추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 근육통, 강직성 척추염, 라이터 증후군, 건선성 관절병증, 장병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병관절병증, 급성 류마티스 열, 통풍, 연골석회화증, 치조골 파괴에 의한 치주질환, 염증성 치조골 흡수질환, 염증성 뼈 흡수질환, 칼슘 수산화인회석 결정 침전 질환 및 라임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3.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14. 총백, 쌀 및 식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090101A 2020-07-21 2020-07-21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ctive KR10246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01A KR102464877B1 (ko) 2020-07-21 2020-07-21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01A KR102464877B1 (ko) 2020-07-21 2020-07-21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826A true KR20220011826A (ko) 2022-02-03
KR102464877B1 KR102464877B1 (ko) 2022-11-10

Family

ID=8026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01A Active KR102464877B1 (ko) 2020-07-21 2020-07-21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8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15B1 (ko) 2013-04-02 2014-12-03 한국식품연구원 면역 증강 활성 및 항종양 활성이 있는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15836A (ko) * 2016-04-08 2017-10-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7326B1 (ko) 2016-02-04 2018-02-09 문수영 숙취해소용 한약재 조성물
KR20190054997A (ko) * 2017-11-14 2019-05-22 한국식품연구원 뼈 성장 촉진 활성을 갖는 총백죽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15B1 (ko) 2013-04-02 2014-12-03 한국식품연구원 면역 증강 활성 및 항종양 활성이 있는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27326B1 (ko) 2016-02-04 2018-02-09 문수영 숙취해소용 한약재 조성물
KR20170115836A (ko) * 2016-04-08 2017-10-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4997A (ko) * 2017-11-14 2019-05-22 한국식품연구원 뼈 성장 촉진 활성을 갖는 총백죽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신형 외 3명. 생명과학회지. 21(6):pp.796~804(2011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877B1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77800A1 (ja) 高脂血症改善剤、並びに、貧血改善組成物、尿酸値低下組成物及び飲食品
JP2024009190A (ja) 骨強化剤
KR102487651B1 (ko) 밀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132703A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JP2004091464A (ja) 肥満抑制剤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531552A (ja) 熟地黄と五加皮の混合生薬材抽出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骨粗鬆症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2068339B1 (ko)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2464877B1 (ko) 총백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4690B1 (ko) 대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05001461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6273440B2 (ja) Glp−1産生促進剤、dppiv阻害剤及びグルコース吸収阻害剤
KR20190017704A (ko) 자바강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형성 촉진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632034B1 (ko) 익지,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6838752B2 (ja) 血流改善組成物
KR101207991B1 (ko)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99492B1 (ko) 숙지황과 골쇄보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3028593A (ja) エリンギと五加皮の混合生薬抽出物、およびこれを含む骨成長促進活性を有する組成物
KR101761822B1 (ko) 진지버 오피시날 추출물 및 캠페리아 파비플로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50098202A (ko) 다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조성물
KR20220102280A (ko) 구운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 증후군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