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109A - 3상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3상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8109A KR20220008109A KR1020200086295A KR20200086295A KR20220008109A KR 20220008109 A KR20220008109 A KR 20220008109A KR 1020200086295 A KR1020200086295 A KR 1020200086295A KR 20200086295 A KR20200086295 A KR 20200086295A KR 20220008109 A KR20220008109 A KR 202200081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ase
- switch
- auxiliary
- auxiliary switch
-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3상 인버터의 양의 u상 출력전류 및 음의 u상 출력전류에 대한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인버터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인버터의 u상 출력전류 및 u상 빌드업 전류를 도시한 파형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인버터의 양의 u상 출력전류 및 양의 u상 빌드업 전류에 대한 타이밍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상 인버터의 음의 u상 출력전류 및 음의 u상 빌드업 전류에 대한 타이밍도.
STu, STv, STw: u상, v상, w상 상단스위치
SBu, SBv, SBw: u상, v상, w상 하단스위치
ACu, ACv, ACw: u상, v상, w상 보조회로부
Claims (10)
- 직류전원과;
상기 직류전원의 양단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u상 상단스위치 및 u상 하단스위치와;
상기 직류전원의 양단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v상 상단스위치 및 v상 하단스위치와;
상기 직류전원의 양단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w상 상단스위치 및 w상 하단스위치와;
상기 u상 상단스위치 및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사이의 u상 폴에 u상 빌드업 전류를 공급하는 u상 보조회로부와;
상기 v상 상단스위치 및 상기 v상 하단스위치 사이의 v상 폴에 v상 빌드업 전류를 공급하는 v상 보조회로부와;
상기 w상 상단스위치 및 상기 w상 하단스위치 사이의 w상 폴에 w상 빌드업 전류를 공급하는 w상 보조회로부
를 포함하는 3상 인버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보조회로부는,
u상 보조직류전원과;
상기 u상 보조직류전원의 양극단자에 연결되는 u상 제1보조스위치와;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와 상기 u상 보조직류전원의 음극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u상 제2보조스위치와;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및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에 연결되는 u상 보조인덕터와;
상기 u상 보조인덕터와 상기 u상 보조직류전원의 음극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u상 제3보조스위치와;
상기 u상 보조인덕터 및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와 상기 u상 폴 사이에 연결되는 u상 제4보조스위치
를 포함하는 3상 인버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상 보조회로부는,
v상 보조직류전원과;
상기 v상 보조직류전원의 양극단자에 연결되는 v상 제1보조스위치와;
상기 v상 제1보조스위치와 상기 v상 보조직류전원의 음극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v상 제2보조스위치와;
상기 v상 제1보조스위치 및 상기 v상 제2보조스위치에 연결되는 v상 보조인덕터와;
상기 v상 보조인덕터와 상기 v상 보조직류전원의 음극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v상 제3보조스위치와;
상기 v상 보조인덕터 및 상기 v상 제3보조스위치와 상기 v상 폴 사이에 연결되는 v상 제4보조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w상 보조회로부는,
w상 보조직류전원과;
상기 w상 보조직류전원의 양극단자에 연결되는 w상 제1보조스위치와;
상기 w상 제1보조스위치와 상기 w상 보조직류전원의 음극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w상 제2보조스위치와;
상기 w상 제1보조스위치 및 상기 w상 제2보조스위치에 연결되는 w상 보조인덕터와;
상기 w상 보조인덕터와 상기 w상 보조직류전원의 음극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v상 제3보조스위치와;
상기 w상 보조인덕터 및 상기 w상 제3보조스위치와 상기 w상 폴 사이에 연결되는 w상 제4보조스위치
를 포함하는 3상 인버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폴로부터 출력되는 u상 출력전류가 양의 값을 가질 경우,
제1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갖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2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갖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3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4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하단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갖고,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5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6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갖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는 3상 인버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보조인덕터를 흐르는 상기 u상 빌드업 전류는,
상기 제1양시간구간 동안, 0에서 제1전류로 증가하고,
상기 제2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제1전류에서 제2전류로 감소하고,
상기 제3, 제4 및 제5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제2전류로 유지되고,
상기 제6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제2전류에서 0으로 감소하는 3상 인버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폴로부터 출력되는 u상 출력전류가 음의 값을 가질 경우,
제1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2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갖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3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갖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4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갖고,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고,
제5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는 턴-온 상태를 갖고,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는 턴-오프 상태를 갖는 3상 인버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보조인덕터를 흐르는 상기 u상 빌드업 전류는,
상기 제1 및 제2음시간구간 동안, 0으로 유지되고,
상기 제3음시간구간 동안, 0에서 제3전류로 감소하고,
상기 제4 및 제5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제3전류에서 0으로 증가하는 3상 인버터.
- u상 보조회로부가 직류전원의 양단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u상 상단스위치 및 u상 하단스위치 사이의 u상 폴에 u상 빌드업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v상 보조회로부가 상기 직류전원의 양단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v상 상단스위치 및 v상 하단스위치 사이의 v상 폴에 v상 빌드업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w상 보조회로부가 상기 직류전원의 양단자에 직렬로 연결되는 w상 상단스위치 및 w상 하단스위치 사이의 w상 폴에 w상 빌드업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v상 상단스위치, 상기 v상 하단스위치, 상기 w상 상단스위치 및 상기 w상 하단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하여 상기 u상 폴, v상 폴 및 w상 폴로부터 각각 u상 출력전류, v상 출력전류 및 w상 출력전류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상 인버터의 구동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폴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u상 출력전류가 양의 값을 가질 경우,
상기 u상 보조회로부가 상기 u상 폴에 상기 u상 빌드업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는,
제1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를 턴-온 하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2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를 턴-온 하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3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4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하단스위치를 턴-온 하고,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5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6양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는 턴-온 하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상 인버터의 구동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u상 폴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u상 출력전류가 음의 값을 가질 경우,
상기 u상 보조회로부가 상기 u상 폴에 상기 u상 빌드업 전류를 공급하는 단계는,
제1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2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를 턴-온 하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3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온 하고,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4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온 하고,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와;
제5음시간구간 동안, 상기 u상 하단스위치, 상기 u상 제4보조스위치를 턴-온 하고, 상기 u상 상단스위치, 상기 u상 제1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2보조스위치, 상기 u상 제3보조스위치를 턴-오프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상 인버터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6295A KR102402453B1 (ko) | 2020-07-13 | 2020-07-13 | 3상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6295A KR102402453B1 (ko) | 2020-07-13 | 2020-07-13 | 3상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8109A true KR20220008109A (ko) | 2022-01-20 |
KR102402453B1 KR102402453B1 (ko) | 2022-05-25 |
Family
ID=8005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6295A Active KR102402453B1 (ko) | 2020-07-13 | 2020-07-13 | 3상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245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6545A (ko) * | 1997-06-03 | 1999-01-25 | 사와 구니히코 | 전력 변환 장치 |
JPH1155961A (ja) * | 1997-07-31 | 1999-02-26 | Fuji Electric Co Ltd | 電力変換回路 |
JP2005245089A (ja) * | 2004-02-25 | 2005-09-08 | Sanken Electric Co Ltd | 電力変換装置 |
-
2020
- 2020-07-13 KR KR1020200086295A patent/KR10240245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6545A (ko) * | 1997-06-03 | 1999-01-25 | 사와 구니히코 | 전력 변환 장치 |
JPH1155961A (ja) * | 1997-07-31 | 1999-02-26 | Fuji Electric Co Ltd | 電力変換回路 |
JP2005245089A (ja) * | 2004-02-25 | 2005-09-08 | Sanken Electric Co Ltd | 電力変換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2453B1 (ko) | 2022-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318272B (zh) | 半导体装置 | |
JP5457449B2 (ja) | 電力変換装置 | |
EP2461473B1 (en) | Power supply controlled by pulse width modulation and phase shift modulation | |
JP6206502B2 (ja) |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 |
US10075056B2 (en) | Modular embedded multi-level converter | |
US6643157B2 (en) | Resonant inverter circuit | |
US20020131285A1 (en) | Control device for power converter | |
JP7142609B2 (ja) | 電力変換装置 | |
US8390241B2 (en) | Motor drive based on III-nitride devices | |
EP348403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phase-leg of a three-level active neutral point clamped converter | |
CN102844977B (zh) | 电力转换设备 | |
US20170110970A1 (en) | A rectifier bridge circuit, correspond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2402453B1 (ko) | 3상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 |
CN113872460A (zh) | 一种逆变器和anpc型三电平逆变电路的切换调制方法 | |
CN114465512A (zh) | 半导体装置和逆变器装置 | |
JP7192889B2 (ja) |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CN118783778A (zh) | 双有源桥电路和用于驱动双有源桥电路的方法 | |
JP4288614B2 (ja) | 電圧形三相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 |
CN116317653A (zh) | 减小电压应力的基于anpc拓扑的换流方法及系统 | |
JP6338145B2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 |
JP6045203B2 (ja) | モータ駆動装置 | |
CN114665735A (zh) | Anpc三电平逆变拓扑电路、控制方法及控制装置 | |
CN205105135U (zh) | 无刷直流电机驱动器拓扑结构 | |
KR101280424B1 (ko) | 비대칭 pwm 방식을 위한 3상 비대칭 인버터회로 | |
KR101729146B1 (ko) | 데드타임을 갖지 않는 npc 타입의 멀티 레벨 인버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