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7754A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7754A KR20220007754A KR1020200084608A KR20200084608A KR20220007754A KR 20220007754 A KR20220007754 A KR 20220007754A KR 1020200084608 A KR1020200084608 A KR 1020200084608A KR 20200084608 A KR20200084608 A KR 20200084608A KR 20220007754 A KR20220007754 A KR 202200077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contact hole
- layer
- disposed
- thin fil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9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1100532072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rtn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23
- 101000822028 Homo sapiens Solute carrier family 28 member 3 Proteins 0.000 description 111
- 102100021470 Solute carrier family 28 member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1
- 102100036464 Activated RNA polymerase II transcriptional coactivator p1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2
- 101000713904 Homo sapiens Activated RNA polymerase II transcriptional coactivator p15 Proteins 0.000 description 62
- 229910004444 SUB1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101001045744 Sus scrofa Hepatocyte nuclear factor 1-beta Protein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29910004438 SUB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2
- 101100311330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uap56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101150018444 sub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101150091203 Aco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102100025854 Acyl-coenzyme A thioester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108010077333 CAP1-6D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1100060179 Drosophila melanogaster Clk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1150038023 PEX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02100029500 Prosta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01150014555 pas-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8010031970 prosta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101100229953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SCT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1100194362 Schizosaccharomyces pombe (strain 972 / ATCC 24843) res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KXGFMDJXCMQABM-UHFFFAOYSA-N 2-methoxy-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H]OC1=CC=CC([CH])=C1O KXGFMDJXCMQA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01100016388 Arabidopsis thaliana PAS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000897856 Homo sapiens 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2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000836079 Homo sapiens Serpin B8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000821827 Homo sapiens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2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000798702 Homo sapiens Transmembrane protease serine 4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100297150 Komagataella pastoris PEX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100315760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PEX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100021541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2100032471 Transmembrane protease serine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59 nan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568 pheno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2704 AlGa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101000623895 Bos taurus Mucin-15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1000685663 Homo sapiens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100023116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PMHQVHHXPFUNSP-UHFFFAOYSA-M copper(1+);methylsulfanylmethane;bromide Chemical compound Br[Cu].CSC PMHQVHHXPFUNS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38 blue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0 green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37 in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Chemical compound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79 optical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062 red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YHJXGDMRRJCRY-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tin(4+) Chemical compound [O-2].[Zn+2].[Sn+4].[In+3] TYHJXGDMRRJCR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IGFYZPCRLYGLF-UHFFFAOYSA-N Aluminum nitride Chemical compound [Al]#N PIGFYZPCRLYG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RTOMJZYCJJWKI-UHFFFAOYSA-N Tita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i]#N NRTOMJZYCJJW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45 blue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55 blue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20 cer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85 chemical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8 core-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46 green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56 green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5 haf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 hafnium nitr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49 i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6 lantha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ZLIPJUXYLNCLC-UHFFFAOYSA-N lanthanum atom Chemical compound [La] FZLIPJUXYLNCL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07 nanocrystallin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6 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MMGVYCKOGBVEV-UHFFFAOYSA-N oxo(oxoceriooxy)cerium Chemical compound [Ce]=O.O=[Ce]=O BMMGVYCKOGBV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44 red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54 red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54 semiconductor nan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ZLGASXMSKOWSE-UHFFFAOYSA-N tantal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a]#N MZLGASXMSKOW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VWKZXLXHLZXLS-UHFFFAOYSA-N zircon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Zr]#N ZVWKZXLXHLZX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27/1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95—Local interconnects; Local pads, as exemplified by patent document EP089636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H20/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classe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subclasses of H10B, H10D, H10F, H10H, H10K or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 H01L27/1214—
-
- H01L29/78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11—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characterised by materials, geometry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441—Interconnections, e.g. scanning lin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6/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 H10D86/4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 H10D86/6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insulating or conducting substrates, e.g. formed in silicon-on-insulator [SOI] substrates or on stainless steel or glass substrates characterised by multiple TFTs wherein the TFTs are in active matr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1—Wavelength conversion means
- H10H20/8511—Wavelength conversion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e.g. binder
- H10H20/851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10H20/8513—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having two or more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H10H29/142—Two-dimensional arrangements, e.g. asymmetric LED layou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82—Scat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제1 컨택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함몰부를 충진시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상단을 평탄화시키는 충진 부재,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화소들 각각이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발광 소자를 포함함으로써,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 없이도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를 대형 크기로 제조하는 경우, 화소 개수의 증가로 인하여 발광 소자의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고, 생산성 또는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타일형 표시 장치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표시 장치를 연결하여 대형 크기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비표시 영역 또는 베젤 영역으로 인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심(Seam)이라는 경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경계 부분은 전체 화면에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경우 전체 화면에 단절감을 주게 되어 영상의 몰입도를 저하시킨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경계 부분 또는 비표시 영역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하고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일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제1 컨택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함몰부를 충진시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상단을 평탄화시키는 충진 부재,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한다.
상기 충진 부재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층간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컨택홀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배선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타면에 노출되어, 상기 패드부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복수의 발광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복수의 차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일부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파장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다른 일부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광 투과부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층, 및 상기 파장 변환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부에 접속되는 연성 필름, 및 상기 연성 필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접속 배선에 소스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충진시켜 평탄한 상면을 갖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층간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컨택홀은 상기 제1 컨택홀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컨택홀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배선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타면에 노출되어, 상기 패드부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제1 기판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상단을 평탄화시키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층간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2 기판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컨택홀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 배선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의 타면에 노출되어, 상기 패드부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타일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구비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은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제1 컨택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함몰부를 충진시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상단을 평탄화시키는 충진 부재,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에 의하면, 기판의 일면으로부터 기판의 일부를 관통하는 제1 컨택홀 및 기판의 타면으로부터 기판의 다른 일부를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캐리어 기판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 컨택홀을 통해 접속 배선과 패드부를 기판의 타면에서 접속시킴으로써,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비표시 영역 또는 경계 부분을 인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도 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4는 도 1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4는 도 2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36 및 도 37은 도 3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도 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4는 도 1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4는 도 2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36 및 도 37은 도 3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격자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특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장변 또는 단변이 서로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일부의 표시 장치(1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일변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일부의 표시 장치(1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고,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인접한 두 개의 변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의 표시 장치(1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표시 장치들(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되어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전체적으로 평면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입체적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일형 표시 장치(TD)가 입체적 형상을 갖는 경우, 복수의 표시 장치(10) 중 적어도 일부의 표시 장치(10)는 커브드(Curv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은 평면 형상을 갖고 서로 소정의 각도로 연결됨으로써,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입체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인접한 표시 장치들(10) 각각의 비표시 영역(NDA)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는 결합 부재 또는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은 인접한 표시 영역들(D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표시 영역(DA) 사이의 거리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 또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경계 부분이 사용자에게 인지되지 않을 정도로 가까울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표시 영역(DA)의 외광 반사율과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의 외광 반사율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 또는 경계 부분이 인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단절감을 제거하고 영상의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표시 영역(DA)에서 복수의 행과 열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화소 정의막에 의해 정의되는 발광 영역(LA)을 포함할 수 있고, 발광 영역(LA)을 통해 소정의 피크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DA)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각각은 표시 장치(10)의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 장치(10)의 외부로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은 소정의 피크 파장을 갖는 광을 표시 장치(1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제1 발광 영역(LA1)은 제1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제2 발광 영역(LA2)은 제2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3 발광 영역(LA3)은 제3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의 광은 610nm 내지 6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광일 수 있고, 제2 색의 광은 510nm 내지 55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광일 수 있으며, 제3 색의 광은 440nm 내지 48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광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은 표시 영역(DA)의 제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LA1)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폭은 제2 발광 영역(LA2)의 제1 방향의 폭보다 넓을 수 있고, 제2 발광 영역(LA2)의 제1 방향의 폭은 제3 발광 영역(LA3)의 제1 방향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LA1)의 제1 방향(X축 방향)의 폭, 제2 발광 영역(LA2)의 제1 방향의 폭, 및 제3 발광 영역(LA3)의 제1 방향의 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LA1)의 면적은 제2 발광 영역(LA2)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고, 제2 발광 영역(LA2)의 면적은 제3 발광 영역(LA3)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발광 영역(LA1)의 면적, 제2 발광 영역(LA2)의 면적, 및 제3 발광 영역(LA3)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발광 영역(LA)을 둘러싸는 복수의 차광 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은 제1 내지 제3 차광 영역(BA1, BA2, B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차광 영역(BA1, BA2, BA3) 각각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각각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에서 방출되는 광들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DA)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각각은 표시 장치(10)의 발광 다이오드(ED)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 장치(10)의 외부로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기판(SUB), 버퍼층(BF),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컬러 필터층(CFL), 및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고,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퍼층(BF)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은 공기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게이트 절연막(GI), 층간 절연막(ILD), 연결 전극(CNE), 제1 보호층(PAS1), 및 제1 평탄화층(OC1)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버퍼층(BF)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화소 각각의 화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화소 회로의 구동 트랜지스터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반도체 영역(ACT),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영역(ACT),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버퍼층(BF)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영역(ACT)은 게이트 전극(GE)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고, 게이트 절연막(GI)에 의해 게이트 전극(GE)과 절연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반도체 영역(ACT)의 물질을 도체화하여 마련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영역(ACT)과 중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 영역(ACT),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 영역(ACT),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및 버퍼층(BF)을 덮을 수 있고, 반도체 영역(ACT)과 게이트 전극(GE)을 절연시킬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연결 전극(CN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전극(GE)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간 절연막(ILD)은 연결 전극(CN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층간 절연막(ILD)의 컨택홀은 게이트 절연막(GI)의 컨택홀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층간 절연막(IL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과 발광 소자(EL)의 제1 전극(AE)을 접속시킬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DE)에 컨택될 수 있다.
제1 보호층(PAS1)은 연결 전극(CNE)의 상부에 마련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PAS1)은 발광 소자(EL)의 제1 전극(A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탄화층(OC1)은 제1 보호층(PAS1)의 상부에 마련되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탄화층(OC1)은 발광 소자(EL)의 제1 전극(AE)이 관통하는 컨택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평탄화층(OC1)의 컨택홀은 제1 보호층(PAS1)의 컨택홀과 연결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은 발광 소자(EL), 제1 뱅크(BNK1), 제2 뱅크(BNK2), 제2 보호층(PAS2), 및 제2 평탄화층(OC2)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L)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 소자(EL)는 제1 전극(AE), 제2 전극(CE), 및 발광 다이오드(E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1 평탄화층(OC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AE)은 제1 평탄화층(OC1) 상에 배치된 제1 뱅크(BNK1) 상에 배치되어 제1 뱅크(BNK1)를 덮을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2 뱅크(BNK2)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중 하나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AE)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전극(CE)은 제1 평탄화층(OC1)의 상부에서, 제1 전극(AE)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CE)은 제1 평탄화층(OC1) 상에 배치된 제1 뱅크(BNK1) 상에 배치되어 제1 뱅크(BNK1)를 덮을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제2 뱅크(BNK2)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중 하나의 발광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CE)은 전체 화소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발광 소자(EL)의 캐소드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절연층(IL1)은 서로 인접한 제1 전극(AE)의 일부와 제2 전극(CE)의 일부를 덮을 수 있고,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을 절연시킬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평탄화층(OC1)의 상부에서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절연층(I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의 일단은 제1 전극(AE)에 접속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의 타단은 제2 전극(CE)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ED)는 동일 물질을 갖는 활성층을 포함하여, 동일 파장대의 광, 또는 동일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각각에서 방출되는 광은 동일 색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ED)는 440nm 내지 48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층(EML)은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뱅크(BNK2)은 제1 평탄화층(OC1) 상에 배치되어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뱅크(BNK2)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각각을 둘러쌀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뱅크(BNK2)은 복수의 발광 소자(EL) 각각의 제1 전극(AE) 또는 제2 전극(CE)을 이격 및 절연시킬 수 있다. 제2 뱅크(BNK2)는 제1 내지 제3 차광 영역(BA1, BA2, BA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층(PAS2)은 복수의 발광 소자(EL) 및 제2 뱅크(BNK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층(PAS2)은 복수의 발광 소자(EL)를 덮을 수 있고, 복수의 발광 소자(EL)를 보호할 수 있다. 제2 보호층(PAS2)은 외부로부터 수분 또는 공기 등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EL)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평탄화층(OC2)은 제2 보호층(PAS2) 상에 마련되어, 발광 소자층(EML)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2 평탄화층(OC2)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평탄화층(OC2)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변환층(WLCL)은 제1 캡핑층(CAP1), 제1 차광 부재(BK1), 제1 파장 변환부(WLC1), 제2 파장 변환부(WLC2), 광 투과부(LTU), 제2 캡핑층(CAP2), 및 제3 평탄화층(OC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핑층(CAP1)은 발광 소자층(EML)의 제2 평탄화층(OC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캡핑층(CAP1)은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와 광 투과부(LTU)의 하면을 밀봉할 수 있다. 제1 캡핑층(CAP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캡핑층(CAP1)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BK1)는 제1 캡핑층(CAP1) 상의 제1 내지 제3 차광 영역(BA1, BA2, BA3)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BK1)는 제2 뱅크(BNK2)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BK1)는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BK1)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간에 광이 침범하여 혼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색 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BK1)는 평면 상에서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을 둘러싸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BK1)는 유기 차광 물질과 발액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액 성분은 불소 함유 단량체 또는 불소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불소 함유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광 부재(BK1)는 발액 성분을 포함한 블랙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BK1)는 발액 성분을 포함한 유기 차광 물질의 코팅 및 노광 공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차광 부재(BK1)는 발액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와 광 투과부(LTU)를 대응되는 발광 영역(LA)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와 광 투과부(LTU)가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잉크 조성물이 제1 차광 부재(BK1)의 상면에 흐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차광 부재(BK1)는 발액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잉크 조성물이 각각의 발광 영역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광 부재(BK1)는 잉크 조성물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WLC1)는 제1 캡핑층(CAP1) 상의 제1 발광 영역(L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WLC1)는 제1 차광 부재(BK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파장 변환부(WLC1)는 제1 베이스 수지(BS1), 제1 산란체(SCT1) 및 제1 파장 시프터(WLS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BS1)는 광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수지(BS1)는 투명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수지(BS1)는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카도계 수지 및 이미드계 수지 등의 유기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산란체(SCT1)는 제1 베이스 수지(BS1)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제1 베이스 수지(BS1)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SCT1)는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광 산란 물질 또는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란체(SCT1)는 산화 티타늄(TiO2),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 인듐(In2O3), 산화 아연(ZnO) 또는 산화 주석(SnO2)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거나,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등의 유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산란체(SCT1)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광을 랜덤 방향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WLS1)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제1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시프터(WLS1)는 표시 장치(10)에서 제공된 청색 광을 610nm 내지 650nm 범위의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WLS1)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일 수 있다. 양자점은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면서 특정한 색을 방출하는 입자상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일 수 있다. 양자점은 그 조성 및 크기에 따라 특정 밴드 갭을 가져 빛을 흡수한 후 고유의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양자점의 반도체 나노 결정의 예로는 IV족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V-VI족계 나노 결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전술한 나노 결정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양자점의 쉘은 코어의 화학적 변성을 방지하여 반도체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호층 역할과, 양자점에 전기 영동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차징층(Charging Lay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쉘은 단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코어와 쉘의 계면은 쉘에 존재하는 원소의 농도가 중심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농도 구배(Gradient)를 가질 수 있다. 양자점의 쉘은 금속 또는 비금속의 산화물, 반도체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WLS1)가 방출하는 광은 45nm 이하, 또는 40nm 이하, 또는 30nm 이하의 발광 파장 스펙트럼 반치폭(Full Width of Half Maximum, FWHM)을 가질 수 있고, 표시 장치(10)가 표시하는 색의 색 순도와 색 재현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제1 파장 시프터(WLS1)가 방출하는 광은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여러 방향을 향하여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 영역(LA1)에서 표시되는 적색의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에서 제공된 청색 광의 일부는 제1 파장 시프터(WLS1)에 의해 적색 광으로 변환되지 않고 제1 파장 변환부(WLC1)를 투과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에서 제공된 청색 광 중 제1 파장 변환부(WLC1)에 의해 변환되지 않고 제1 컬러 필터(CF1)에 입사한 광은 제1 컬러 필터(CF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층(EML)에서 제공된 청색 광 중 제1 파장 변환부(WLC1)에 의해 변환된 적색 광은 제1 컬러 필터(CF1)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 영역(LA1)은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부(WLC2)는 제1 캡핑층(CAP1) 상의 제2 발광 영역(L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부(WLC2)는 제1 차광 부재(BK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파장 변환부(WLC2)는 제2 베이스 수지(BS2), 제2 산란체(SCT2) 및 제2 파장 시프터(WL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수지(BS2)는 광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수지(BS2)는 투명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 수지(BS2)는 제1 베이스 수지(BS1)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베이스 수지(BS1)에서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산란체(SCT2)는 제2 베이스 수지(BS2)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제2 베이스 수지(BS2)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산란체(SCT2)는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광 산란 물질 또는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산란체(SCT2)는 제1 산란체(SCT1)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산란체(SCT1)에서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산란체(SCT2)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광을 랜덤 방향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WLS2)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제1 파장 시프터(WLS1)의 제1 피크 파장과 다른 제2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장 시프터(WLS2)는 표시 장치(10)에서 제공된 청색 광을 510nm 내지 550nm 범위의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광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WLS2)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일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WLS2)는 제1 파장 시프터(WLS1)에서 예시된 물질과 동일 취지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장 시프터(WLS2)의 파장 변환 범위는 제1 파장 시프터(WLS1)의 파장 변환 범위와 다르도록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투과부(LTU)는 제1 캡핑층(CAP1) 상의 제3 발광 영역(LA3)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투과부(LTU)는 제1 차광 부재(BK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광 투과부(LTU)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유지하여 투과시킬 수 있다. 광 투과부(LTU)는 제3 베이스 수지(BS3) 및 제3 산란체(SCT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수지(BS3)는 광 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베이스 수지(BS3)는 투명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베이스 수지(BS3)는 제1 또는 제2 베이스 수지(BS1, BS2)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또는 제2 베이스 수지(BS1, BS2)에서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산란체(SCT3)는 제3 베이스 수지(BS3)와 상이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고, 제3 베이스 수지(BS3)와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산란체(SCT3)는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는 광 산란 물질 또는 광 산란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산란체(SCT3)는 제1 또는 제2 산란체(SCT1, SCT2)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또는 제2 산란체(SCT1, SCT2)에서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산란체(SCT3)는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실질적으로 변환시키지 않으면서, 입사광의 입사 방향과 무관하게 광을 랜덤 방향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파장 변환층(WLCL)은 발광 소자층(EML)의 제2 평탄화층(OC2) 상에 직접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는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와 광 투과부(LTU)를 위한 별도의 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와 광 투과부(LTU)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각각에 용이하게 얼라인될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제2 캡핑층(CAP2)은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 광 투과부(LTU), 및 제1 차광 부재(BK1)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캡핑층(CAP2)은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와 광 투과부(LTU)를 밀봉하여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와 광 투과부(LTU)의 손상 또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캡핑층(CAP2)은 제1 캡핑층(CAP1)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1 캡핑층(CAP1)에서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평탄화층(OC3)은 제2 캡핑층(CAP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파장 변환부(WLC1, WLC2)와 광 투과부(LTU)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3 평탄화층(OC3)은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평탄화층(OC3)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층(CFL)은 제2 차광 부재(BK2),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CF1, CF2, CF3), 및 제3 보호층(PA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BK2)는 파장 변환층(WLCL)의 제3 평탄화층(OC3) 상에서, 제1 내지 제3 차광 영역(BA1, BA2, BA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BK2)는 제1 차광 부재(BK1) 또는 제2 뱅크(BNK2)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BK2)는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BK2)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간에 광이 침범하여 혼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색 재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차광 부재(BK2)는 평면 상에서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을 둘러싸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CF1)는 제3 평탄화층(OC3) 상의 제1 발광 영역(L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CF1)는 제2 차광 부재(BK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CF1)는 제1 파장 변환부(WLC1)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컬러 필터(CF1)는 제1 색의 광(예를 들어, 적색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제2 색의 광(예를 들어, 녹색 광) 및 제3 색의 광(예를 들어, 청색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컬러 필터(CF1)는 적색 컬러 필터일 수 있으며, 적색의 색재(Red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적색의 색재(Red Colorant)는 적색 염료(Red Dye) 또는 적색 안료(Red Pigme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CF2)는 제3 평탄화층(OC3) 상의 제2 발광 영역(L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CF2)는 제2 차광 부재(BK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CF2)는 제2 파장 변환부(WLC2)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컬러 필터(CF2)는 제2 색의 광(예를 들어, 녹색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제1 색의 광(예를 들어, 적색 광) 및 제3 색의 광(예를 들어, 청색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컬러 필터(CF2)는 녹색 컬러 필터일 수 있으며, 녹색의 색재(Green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녹색의 색재(Green Colorant)는 녹색 염료(Green Dye) 또는 녹색 안료(Green Pigme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CF3)는 제3 평탄화층(OC3) 상의 제3 발광 영역(LA3)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CF3)는 제2 차광 부재(BK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CF3)는 광 투과부(LTU)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CF3)는 제3 색의 광(예를 들어, 청색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제1 색의 광(예를 들어, 적색 광) 및 제2 색의 광(예를 들어, 녹색 광)을 차단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컬러 필터(CF3)는 청색 컬러 필터일 수 있으며, 청색의 색재(Blue 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청색의 색재(Blue Colorant)는 청색 염료(Blue Dye) 또는 청색 안료(Blue Pigmen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CF1, CF2, CF3)는 표시 장치(1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광의 일부를 흡수하여 외광에 의한 반사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CF1, CF2, CF3)는 외광 반사에 의한 색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CF1, CF2, CF3)는 파장 변환층(WLCL)의 제3 평탄화층(OC3) 상에 직접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는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CF1, CF2, CF3)를 위한 별도의 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제3 보호층(PAS3)은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CF1, CF2, CF3)를 덮을 수 있다. 제3 보호층(PAS3)은 제1 내지 제3 컬러 필터(CF1, CF2, CF3)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TFE)은 컬러 필터층(CFL)의 제3 보호층(PAS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TFE)은 표시층의 상면 및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하여,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층(TFE)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하여, 표시 장치(10)를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화소(SP) 각각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은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을 통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은 동일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은 동일 종류의 발광 다이오드(ED)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소(SP1)는 제1 색의 광 또는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제2 서브 화소(SP2)는 제2 색의 광 또는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3 서브 화소(SP3)는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은 제1 및 제2 전극(AE, CE), 발광 다이오드(ED), 복수의 접촉 전극(CTE), 및 복수의 제2 뱅크(BNK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AE, CE)은 발광 다이오드(E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는 특정 파장대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AE, CE)의 적어도 일부는 화소(SP) 내에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는 전기장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AE)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마다 분리된 화소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CE)은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에 공통으로 연결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 중 어느 하나는 발광 다이오드(ED)의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발광 다이오드(ED)의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 줄기부(AE1), 및 제1 전극 줄기부(AE1)로부터 분지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가지부(AE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의 제1 전극 줄기부(AE1)는 인접한 서브 화소의 제1 전극 줄기부(AE1)와 이격될 수 있고, 제1 전극 줄기부(AE1)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인접한 서브 화소의 제1 전극 줄기부(AE1)와 가상의 연장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의 제1 전극 줄기부(AE1)는 서로 다른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고,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전극 가지부(AE2)는 제1 전극 줄기부(AE1)로부터 분지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극 가지부(AE2)의 일단은 제1 전극 줄기부(AE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전극 가지부(AE2)의 타단은 제1 전극 줄기부(AE1)와 대향하는 제2 전극 줄기부(CE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 줄기부(CE1), 및 제2 전극 줄기부(CE1)로부터 분지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전극 가지부(CE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의 제2 전극 줄기부(CE1)는 인접한 서브 화소의 제2 전극 줄기부(CE1)와 접속될 수 있다. 제2 전극 줄기부(CE1)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화소(SP)를 가로지를 수 있다. 제2 전극 줄기부(CE1)는 표시 영역(DA)의 외곽부, 또는 비표시 영역(NDA)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 가지부(CE2)는 제1 전극 가지부(AE2)와 이격되어 대향할 수 있다. 제2 전극 가지부(CE2)의 일단은 제2 전극 줄기부(CE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전극 가지부(CE2)의 타단은 제1 전극 줄기부(AE1)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전극(CE)은 제2 컨택홀(CNT2)을 통해 표시 장치(10)의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택홀(CNT1)은 복수의 제1 전극 줄기부(AE1)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컨택홀(CNT2)은 제2 전극 줄기부(CE1)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뱅크(BNK2)는 복수의 화소(SP) 간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 줄기부(AE1)는 제2 뱅크(BNK2)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뱅크(BNK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SP)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뱅크(BNK2)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열된 화소들(SP)의 경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2 뱅크(BNK2)는 복수의 화소(SP)의 경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뱅크(BNK2)는 표시 장치(10)의 제조 시, 발광 다이오드(ED)가 분산된 잉크를 분사할 때 잉크가 화소들(SP)의 경계를 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뱅크(BNK2)는 서로 다른 발광 소자들(ED)이 분산된 잉크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이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의 일단은 제1 전극(AE)에 접속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의 타단은 제2 전극(CE)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접촉 전극(CTE1)을 통해 제1 전극(AE)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접촉 전극(CTE2)을 통해 제2 전극(CE)에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ED)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상호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발광 소자들(ED)이 이격되는 간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ED) 중 일부의 발광 소자들(ED)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일부의 발광 소자들(ED)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부의 발광 소자들(ED)은 불균일한 밀집도를 가지되 특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ED) 각각은 제1 전극 가지부(AE2) 또는 제2 전극 가지부(CE2)가 연장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ED) 각각은 제1 전극 가지부(AE2) 또는 제2 전극 가지부(CE2)가 연장된 방향과 비스듬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ED)는 동일 물질을 갖는 활성층을 포함하여, 동일 파장대의 광 또는 동일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는 동일 색의 광을 방출할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ED)는 440nm 내지 480nm 범위의 피크 파장을 갖는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의 발광 소자층(EML)은 제3 색의 광 또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서브 화소(SP1, SP2, SP3) 각각은 서로 다른 활성층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ED)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접촉 전극(CTE)은 제1 및 제2 접촉 전극(CTE1, CT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1 전극 가지부(AE2)와 발광 다이오드(ED)의 일부를 덮을 수 있고, 제1 전극 가지부(AE2)와 발광 다이오드(ED)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제2 전극 가지부(CE2)와 발광 다이오드(ED)의 다른 일부를 덮을 수 있고, 제2 전극 가지부(CE2)와 발광 다이오드(ED)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1 전극 가지부(AE2)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발광 다이오드(ED)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접촉 전극(CTE1)을 통해 제1 전극(A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제2 전극 가지부(CE2)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제1 접촉 전극(CTE1)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발광 다이오드(ED)의 타단과 접촉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제2 접촉 전극(CTE2)을 통해 제2 전극(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 전극(CTE1, CTE2) 각각의 폭은 제1 및 제2 전극 가지부(AE2, CE2)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 전극(CTE1, CTE2) 각각은 제1 및 제2 전극 가지부(AE2, CE2) 각각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의 발광 소자층(EML)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지 제3 절연층(IL1, IL2, IL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뱅크(BNK1)는 제1 내지 제3 발광 영역(LA1, LA2, LA3)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뱅크(BNK1) 각각은 제1 전극(AE) 또는 제2 전극(CE)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AE, CE) 각각은 대응되는 제1 뱅크(BNK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 가지부(AE2, CE2) 각각은 대응되는 제1 뱅크(BNK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뱅크(BNK1)는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제1 뱅크(BNK1)는 제1 평탄화층(OC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뱅크(BNK1) 각각의 측면은 제1 평탄화층(OC1)으로부터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AE, CE) 각각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뱅크(BNK1)의 경사면 상에 배치되어 발광 다이오드(ED)에서 방출된 광을 표시 장치(10)의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 5를 도 4에 결부하면, 제1 전극 줄기부(AE1)는 제1 평탄화층(OC1)을 관통하는 제1 컨택홀(CNT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줄기부(AE1)는 제1 컨택홀(CNT1)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AE)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로부터 소정의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극 줄기부(CE1)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가 배치되지 않는 비발광 영역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 줄기부(CE1)는 제1 평탄화층(OC1)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CNT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 줄기부(CE1)는 제2 컨택홀(CNT2)을 통해 전원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전원 전극으로부터 소정의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AE, CE)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AE, CE) 각각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및 ITZO(Indium Tin-Zinc 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전극(AE, CE)은 반사율이 높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AE, CE)은 반사율이 높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AE, CE)은 발광 다이오드(ED)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표시 장치(10)의 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AE, CE)은 투명 전도성 물질과 반사율이 높은 금속 각각이 한층 이상 적층된 구조를 이루거나, 이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AE, CE)은 ITO/은(Ag)/ITO/IZO의 적층 구조를 갖거나, 알루미늄(Al), 니켈(Ni), 란타늄(La) 등을 포함하는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절연층(IL1)은 제1 평탄화층(OC1),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은 제1 및 제2 전극(AE, CE) 각각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층(IL1)은 제1 및 제2 전극(AE, CE) 중 제1 뱅크(BNK1)의 상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고, 제1 및 제2 전극(AE, CE) 중 상면에 대응되지 않는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연층(IL1)은 제1 뱅크(BNK1)의 상면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전극(AE, CE)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연층(IL1)은 무기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전극(AE, CE)의 사이에서 함몰된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L2)은 제1 절연층(IL1)의 함몰된 단차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제2 절연층(IL2)은 제1 절연층(IL1)의 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및 제2 절연층(IL1, I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은 제1 및 제2 전극(AE, CE)을 보호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전극(AE, CE)을 상호 절연시킬 수 있다. 제1 절연층(IL1)은 발광 다이오드(ED)가 다른 부재들과 직접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및 제2 절연층(IL1, IL2) 상에서,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의 일단은 제1 전극(AE)에 접속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의 타단은 제2 전극(CE)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접촉 전극(CTE1)을 통해 제1 전극(AE)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접촉 전극(CTE2)을 통해 제2 전극(CE)에 접속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L3)은 제1 및 제2 전극(AE, CE) 사이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ED) 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L3)은 발광 다이오드(ED)의 외면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제3 절연층(IL3)은 발광 다이오드(ED)를 보호할 수 있다.
접촉 전극(CTE)은 제1 및 제2 접촉 전극(CTE1, CT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 전극(CTE1)은 제1 전극 가지부(AE2)와 발광 다이오드(ED)의 일부를 덮을 수 있고, 제1 전극 가지부(AE2)와 발광 다이오드(ED)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접촉 전극(CTE2)은 제2 전극 가지부(CE2)와 발광 다이오드(ED)의 다른 일부를 덮을 수 있고, 제2 전극 가지부(CE2)와 발광 다이오드(ED)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접촉 전극(CTE)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전극(CTE)은 ITO, IZO, ITZO, 알루미늄(A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ED)는 마이크로 미터(Micro-meter) 또는 나노 미터(Nano-meter) 단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무기물을 포함하는 무기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무기 발광 다이오드는 서로 대향하는 두 전극들 사이에 특정 방향으로 형성된 전계에 따라 두 전극 사이에서 정렬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로드, 와이어, 튜브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ED)는 원통형 또는 로드형(Rod)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ED)는 정육면체, 직육면체, 육각기둥형 등 다각기둥의 형상을 갖거나, 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부분적으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의 복수의 반도체는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거나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제1 반도체층(111), 제2 반도체층(113), 활성층(115), 전극층(117), 및 절연막(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은 n형 반도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ED)가 청색 광을 방출하는 경우, 제1 반도체층(111)은 AlxGayIn1-x-yN(0≤x≤1, 0≤y≤1, 0≤x+y≤1)의 화학식을 갖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은 n형으로 도핑된 AlGaInN, GaN, AlGaN, InGaN, AlN 및 InN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은 Si, Ge, Sn 등의 n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은 n형 Si로 도핑된 n-GaN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111)의 길이는 1.5㎛ 내지 5㎛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반도체층(113)은 활성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ED)가 청색 또는 녹색 광을 방출하는 경우, 제2 반도체층(113)은 AlxGayIn1-x-yN(0≤x≤1, 0≤y≤1, 0≤x+y≤1)의 화학식을 갖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도체층(113)은 p형으로 도핑된 AlGaInN, GaN, AlGaN, InGaN, AlN 및 InN 중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13)은 Mg, Zn, Ca, Se, Ba 등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13)은 p형 Mg로 도핑된 p-GaN일 수 있다. 제2 반도체층(113)의 길이는 0.05㎛ 내지 0.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반도체층(111, 113) 각각은 하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반도체층(111, 113) 각각은 클래드층(Clad Layer) 또는 TSBR(Tensile Strain Barrier Reducing)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가질 수 있다.
활성층(115)은 제1 및 제2 반도체층(111, 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활성층(115)은 단일 또는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115)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양자층(Quantum Layer)과 우물층(Well Layer)이 서로 교번적으로 복수 개 적층될 수 있다. 활성층(115)은 제1 및 제2 반도체층(111, 113)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전자-정공 쌍의 결합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층(115)이 청색 광을 방출하는 경우, AlGaN, AlGaInN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115)이 다중 양자 우물 구조로 양자층과 우물층이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인 경우, 양자층은 AlGaN 또는 AlGaInN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우물층은 GaN 또는 AlInN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115)은 양자층으로 AlGaInN를, 우물층으로 AlInN를 포함함으로써,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활성층(115)은 밴드 갭(Band gap) 에너지가 큰 종류의 반도체 물질과 밴드 갭 에너지가 작은 반도체 물질이 서로 교번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방출하는 광의 파장대에 따라 3족 내지 5족 반도체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층(115)이 방출하는 광은 청색 광으로 제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적색 또는 녹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활성층(115)의 길이는 0.05㎛ 내지 0.10㎛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층(115)에서 방출되는 광은 발광 다이오드(ED)의 길이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고, 양 측면으로도 방출될 수 있다. 활성층(115)에서 방출되는 광은 방향성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전극층(117)은 오믹(Ohmic) 접촉 전극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극층(117)은 쇼트키(Schottky) 접촉 전극일 수도 있다. 발광 다이오드(ED)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층(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층(117)은 발광 다이오드(ED)가 전극 또는 접촉 전극(CT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발광 다이오드(ED)와 전극 또는 접촉 전극(CTE)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극층(117)은 전도성이 있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층(117)은 알루미늄(Al), 티타늄(Ti), 인듐(In), 금(Au), 은(Ag),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및 ITZO(Indium Tin-Zinc 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층(117)은 n형 또는 p형으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절연막(118)은 복수의 반도체층 및 전극층들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절연막(118)은 활성층(115)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절연막(118)은 발광 다이오드(ED)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막(118)은 발광 다이오드(ED)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ED)의 길이 방향의 양 단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절연막(118)은 절연 특성을 가진 물질들,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Silicon oxide, SiOx), 실리콘 질화물(Silicon nitride, SiNx), 산질화 실리콘(SiOxNy), 질화알루미늄(Aluminum nitride, AlN),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Al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막(118)은 활성층(115)이 발광 다이오드(ED)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 전극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118)은 활성층(115)을 포함하여 발광 다이오드(ED)의 외면을 보호함으로써, 발광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형 표시 장치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일 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결합 부재(20), 및 커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10-4)를 포함할 수 있으나, 표시 장치(10)의 개수는 도 7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장치(10)의 개수는 표시 장치(10) 및 타일형 표시 장치(TD) 각각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기판(SUB), 제1 접속 배선(CWL1), 충진 부재(FIL), 표시층(DPL), 봉지층(TFE), 제1 패드부(PD1), 제2 패드부(PD2), 연성 필름(FPCB), 및 소스 구동부(SIC)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고,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가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SUB)은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 및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제5 컨택홀(CNT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컨택홀(CNT3)은 기판(SUB)의 상면으로부터 기판(SUB)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고, 제5 컨택홀(CNT5)은 기판(SUB)의 하면으로부터 기판(SUB)의 다른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SUB)은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관통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5 컨택홀(CNT5)에 삽입되는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최외곽에 배치된 별도의 패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베젤 영역 또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장치(10)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기판의 최외곽에 패드부가 배치되는 경우 또는 기판의 측면에 연성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보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간의 간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컨택홀(CNT3)의 깊이는 제5 컨택홀(CNT5)의 깊이보다 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컨택홀(CNT3)은 표시층(DPL)이 적층되기 전에 먼저 형성될 수 있고, 제5 컨택홀(CNT5)은 표시층(DPL)이 적층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컨택홀(CNT3)의 면적은 제5 컨택홀(CNT5)의 면적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기판(SUB)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을 통해 기판(SUB)의 타면에 마련된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컨택홀(CNT3)의 크기에 대응되는 함몰부 또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1 패드부(PD1)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제2 접속 배선(CWL2)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에 공급할 수 있다.
충진 부재(FIL)는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켜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충진 부재(FIL)의 상면은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 부재(FIL)는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마련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킴으로써, 버퍼층(BF)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면서 제1 접속 배선(CWL1), 충진 부재(FIL), 및 기판(SUB)의 상면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충진 부재(FIL)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 부재(FIL)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DPL)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도 3에 도시된 버퍼층(BF),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및 컬러 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에서 전술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버퍼층(BF)은 기판(SUB), 제1 접속 배선(CWL), 및 충진 부재(FI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은 공기 또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버퍼층(BF),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 영역(ACT),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절연막(GI)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G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 게이트 절연막(GI), 및 버퍼층(BF)은 제2 접속 배선(CWL2)이 관통하는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컨택홀(CNT4)은 평면 상에서 제3 컨택홀(CNT3)과 이격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층간 절연막(ILD) 상에 배치된 제2 접속 배선(CW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제4 컨택홀(CNT4)을 통해 기판(SUB) 상에 배치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어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스캔 라인에 접속되어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속 배선(CWL2)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연결 전극(CNE)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접속 배선(CWL2)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GE)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기판(SUB)의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과, 버퍼층(BF),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에 마련된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함으로써,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2 접속 배선(CWL2)을 이용하여 제1 패드부(PD1)의 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면 상에서 서로 이격된 제3 컨택홀(CNT3) 및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하여 컨택홀을 이중으로 형성함으로써, 층간 절연막(ILD)에서부터 기판(SUB)을 관통하는 컨택홀이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보다 컨택홀의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3 및 제4 컨택홀(CNT3, CNT4) 각각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접속 배선(CWL1, CWL2)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되고,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이 관통하는 제3 컨택홀(CNT3) 및 제1 패드부(PD1)가 관통하는 제5 컨택홀(CNT5)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접속 필름(ACF)은 연성 필름(FPCB)을 제2 패드부(PD2)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접속 필름(ACF)의 일면은 제2 패드부(PD2)에 부착되고, 접속 필름(ACF)의 타면은 연성 필름(FPCB)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필름(ACF)은 제2 패드부(PD2) 전체를 덮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필름(ACF)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필름(ACF)이 이방성 도전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접속 필름(ACF)은 제2 패드부(PD2)와 연성 필름(FPCB)의 컨택 패드가 접촉되는 영역에서 도전성을 가질 수 있고, 연성 필름(FPCB)을 제2 패드부(PD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일측은 제2 패드부(PD2)에 접속될 수 있고, 연성 필름(FPCB)의 타측은 기판(SUB)의 타면에서 소스 회로 보드(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소스 구동부(SIC)의 신호를 표시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구동부(SIC)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일 수 있다. 소스 구동부(SIC)는 타이밍 제어부의 소스 제어 신호를 기초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고, 연성 필름을 통해 표시 영역(DA)의 데이터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의 사이마다 배치된 결합 부재(20)를 이용하여 인접한 표시 장치들(10)의 측면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20)는 격자 형태로 배열된 제1 내지 제4 표시 장치(10-1~10-4)를 측면끼리 연결함으로써, 타일형 표시 장치(TD)를 구현할 수 있다. 결합 부재(20)는 서로 인접한 표시 장치들(10) 각각의 기판(SUB) 및 봉지층(TFE)의 측면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20)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결합 부재(20)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결합 프레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사용자가 복수의 표시 장치(10) 사이의 비표시 영역(NDA) 또는 경계 부분을 인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30)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및 결합 부재(20)의 상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표시 장치(10) 및 결합 부재(20)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부재(30)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각각의 봉지층(TFE)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는 타일형 표시 장치(TD)의 상면을 보호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도 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서, 기판(SUB)은 제1 캐리어 기판(CG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기판(CG1)은 캐리어 글라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캐리어 기판(CG1)은 기판(SUB) 상에 표시층(DPL) 및 봉지층(TFE)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판(SUB)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은 기판(SUB)의 일면으로부터 기판(SUB)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기판(SUB)의 다른 일부는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1 캐리어 기판(CG1)을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기판(SUB)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의 크기에 대응되는 함몰부 또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 충진 부재(FIL)는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켜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충진 부재(FIL)의 상면은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 부재(FIL)는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마련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킴으로써, 버퍼층(BF)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면서 제1 접속 배선(CWL1), 충진 부재(FIL), 및 기판(SUB)의 상면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충진 부재(FIL)는 잉크젯 공정 또는 코팅 공정을 통해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킬 수 있으나, 충진 부재(FIL)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진 부재(FIL)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 부재(FIL)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평탄화된 제1 접속 배선(CWL1) 및 충진 부재(FIL)와, 기판(SUB)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은 버퍼층(BF)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11에서, 제4 컨택홀(CNT4)은 층간 절연막(ILD), 게이트 절연막(GI), 및 버퍼층(BF)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4 컨택홀(CNT4)은 평면 상에서 제3 컨택홀(CNT3)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층간 절연막(ILD)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컨택홀(CNT4)을 통해 기판(SUB) 상에 배치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속 배선(CWL2)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연결 전극(CNE)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접속 배선(CWL2)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GE)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이 게이트 전극(GE)과 동일 층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접속 배선(CWL2)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서, 제1 보호층(PAS1)은 제2 접속 배선(CWL2) 및 층간 절연막(ILD)을 덮을 수 있고, 제1 평탄화층(OC1)은 제1 보호층(PAS1)을 덮을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컬러 필터층(CFL), 및 봉지층(TFE)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은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캐리어 기판(CG2)은 캐리어 글라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은 기판(SUB)의 타면에 제1 패드부(PD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표시 장치(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이 배치된 후 제조 중인 표시 장치는 반전될 수 있고, 제2 캐리어 기판(CG2)이 표시 장치를 지지하고 제1 캐리어 기판(CG1)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기판(CG1)은 표시층(DPL) 및 봉지층(TFE)의 적층이 완료된 후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기판(SUB)의 다른 일부는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1 캐리어 기판(CG1)을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3 컨택홀(CNT3)이 기판(SUB)을 전부 관통하지 않고, 제1 접속 배선(CWL1)이 제1 캐리어 기판(CG1)과 이격됨으로써, 제1 캐리어 기판(CG1)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캐리어 기판(CG1)은 표시 장치(10)의 제조 과정에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도 13에서, 제5 컨택홀(CNT5)은 기판(SUB)의 타면으로부터 기판(SUB)의 다른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5 컨택홀(CNT5)은 제3 컨택홀(CNT3)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된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5 컨택홀(CNT5)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도 14에서, 제1 패드부(PD1)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되고,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일측은 제2 패드부(PD2)에 접속될 수 있고, 연성 필름(FPCB)의 타측은 기판(SUB)의 타면에서 소스 회로 보드(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소스 구동부(SIC)의 신호를 표시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5의 타일형 표시 장치는 도 8의 타일형 표시 장치에서, 기판(SUB)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결합 부재(20), 및 커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기판(SUB), 제1 접속 배선(CWL1), 충진 부재(FIL), 표시층(DPL), 봉지층(TFE), 제1 패드부(PD1), 제2 패드부(PD2), 연성 필름(FPCB), 및 소스 구동부(SIC)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고,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가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SUB)은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컨택홀(CNT3)은 기판(SUB)의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은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최외곽에 배치된 별도의 패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베젤 영역 또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장치(10)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기판의 최외곽에 패드부가 배치되는 경우 또는 기판의 측면에 연성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보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간의 간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기판(SUB)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을 통해 기판(SUB)의 타면에 마련된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컨택홀(CNT3)의 크기에 대응되는 함몰부 또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1 패드부(PD1)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제2 접속 배선(CWL2)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에 공급할 수 있다.
충진 부재(FIL)는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켜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충진 부재(FIL)의 상면은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진 부재(FIL)는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마련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킴으로써, 버퍼층(BF)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면서 제1 접속 배선(CWL1), 충진 부재(FIL), 및 기판(SUB)의 상면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충진 부재(FIL)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 부재(FIL)는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및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DPL)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버퍼층(BF),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및 컬러 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되어,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기판(SUB)의 타면에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의 표시 장치 제조 과정은 도 12의 표시 장치 제조 과정의 다음 과정일 수 있다.
도 16에서, 기판(SUB)의 타면은 제1 접속 배선(CWL1)이 노출될 때까지 제거될 수 있다. 기판(SUB)의 타면 전체는 평탄면을 가지면서 식각될 수 있고, 제1 접속 배선(CWL1)은 추가적인 컨택홀 없이 기판(SUB)의 타면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7에서, 제1 패드부(PD1)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되어, 기판(SUB)의 타면에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8의 타일형 표시 장치는 도 8의 타일형 표시 장치에서, 제1 접속 배선(CWL1)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결합 부재(20), 및 커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기판(SUB), 제1 접속 배선(CWL1), 표시층(DPL), 봉지층(TFE), 제1 패드부(PD1), 제2 패드부(PD2), 연성 필름(FPCB), 및 소스 구동부(SIC)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고,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가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SUB)은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 및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제5 컨택홀(CNT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컨택홀(CNT3)은 기판(SUB)의 상면으로부터 기판(SUB)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고, 제5 컨택홀(CNT5)은 기판(SUB)의 하면으로부터 기판(SUB)의 다른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SUB)은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관통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5 컨택홀(CNT5)에 삽입되는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최외곽에 배치된 별도의 패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베젤 영역 또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장치(10)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기판의 최외곽에 패드부가 배치되는 경우 또는 기판의 측면에 연성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보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간의 간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기판(SUB)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을 통해 기판(SUB)의 타면에 마련된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1 패드부(PD1)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제2 접속 배선(CWL2)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고,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배선(CWL1)은 잉크젯 공정, 커팅 공정, 또는 도금 공정을 통해 제3 컨택홀(CNT3)에 충진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고 평탄한 상면을 가짐으로써, 버퍼층(BF)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1 접속 배선(CWL1) 및 기판(SUB)의 상면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표시층(DPL)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버퍼층(BF),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및 컬러 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기판(SUB) 및 제1 접속 배선(CW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버퍼층(BF)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 게이트 절연막(GI), 및 버퍼층(BF)은 제2 접속 배선(CWL2)이 관통하는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컨택홀(CNT4)은 제3 컨택홀(CNT3)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층간 절연막(ILD) 상에 배치된 제2 접속 배선(CW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제4 컨택홀(CNT4)을 통해 기판(SUB) 상에 배치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어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스캔 라인에 접속되어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속 배선(CWL2)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연결 전극(CNE)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접속 배선(CWL2)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GE)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기판(SUB)의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과, 버퍼층(BF),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에 마련된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함으로써,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2 접속 배선(CWL2)을 이용하여 제1 패드부(PD1)의 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3 컨택홀(CNT3) 및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하여 컨택홀을 이중으로 형성함으로써, 층간 절연막(ILD)에서부터 기판(SUB)을 관통하는 컨택홀이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보다 컨택홀의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되고,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이 관통하는 제3 컨택홀(CNT3) 및 제1 패드부(PD1)가 관통하는 제5 컨택홀(CNT5)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4는 도 1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에서, 기판(SUB)은 제1 캐리어 기판(CG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기판(CG1)은 캐리어 글라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캐리어 기판(CG1)은 기판(SUB) 상에 표시층(DPL) 및 봉지층(TFE)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판(SUB)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은 기판(SUB)의 일면으로부터 기판(SUB)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기판(SUB)의 다른 일부는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1 캐리어 기판(CG1)을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기판(SUB)의 일면에 배치되어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고,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배선(CWL1)은 잉크젯 공정, 커팅 공정, 또는 도금 공정을 통해 제3 컨택홀(CNT3)에 충진될 수 있다.
도 20에서, 버퍼층(BF)은 평탄화된 제1 접속 배선(CWL1) 및 충진 부재(FIL)와, 기판(SUB) 상에 적층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은 버퍼층(BF)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고 평탄한 상면을 가짐으로써, 버퍼층(BF)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1 접속 배선(CWL1) 및 기판(SUB)의 상면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도 21에서, 제4 컨택홀(CNT4)은 층간 절연막(ILD), 게이트 절연막(GI), 및 버퍼층(BF)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4 컨택홀(CNT4)은 제3 컨택홀(CNT3)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층간 절연막(ILD)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컨택홀(CNT4)을 통해 기판(SUB) 상에 배치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2에서, 제1 보호층(PAS1)은 제2 접속 배선(CWL2) 및 층간 절연막(ILD)을 덮을 수 있고, 제1 평탄화층(OC1)은 제1 보호층(PAS1)을 덮을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컬러 필터층(CFL), 및 봉지층(TFE)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은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캐리어 기판(CG2)은 캐리어 글라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은 기판(SUB)의 타면에 제1 패드부(PD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표시 장치(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이 배치된 후 제조 중인 표시 장치는 반전될 수 있고, 제2 캐리어 기판(CG2)이 표시 장치를 지지하고 제1 캐리어 기판(CG1)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기판(CG1)은 표시층(DPL) 및 봉지층(TFE)의 적층이 완료된 후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기판(SUB)의 다른 일부는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1 캐리어 기판(CG1)을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3 컨택홀(CNT3)이 기판(SUB)을 전부 관통하지 않고, 제1 접속 배선(CWL1)이 제1 캐리어 기판(CG1)과 이격됨으로써, 제1 캐리어 기판(CG1)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캐리어 기판(CG1)은 표시 장치(10)의 제조 과정에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도 23에서, 제5 컨택홀(CNT5)은 기판(SUB)의 타면으로부터 기판(SUB)의 다른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5 컨택홀(CNT5)은 제3 컨택홀(CNT3)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된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5 컨택홀(CNT5)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도 24에서, 제1 패드부(PD1)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되고,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일측은 제2 패드부(PD2)에 접속될 수 있고, 연성 필름(FPCB)의 타측은 기판(SUB)의 타면에서 소스 회로 보드(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소스 구동부(SIC)의 신호를 표시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25의 타일형 표시 장치는 도 18의 타일형 표시 장치에서, 기판(SUB)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결합 부재(20), 및 커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기판(SUB), 제1 접속 배선(CWL1), 표시층(DPL), 봉지층(TFE), 제1 패드부(PD1), 제2 패드부(PD2), 연성 필름(FPCB), 및 소스 구동부(SIC)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고,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가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SUB)은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컨택홀(CNT3)은 기판(SUB)의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은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최외곽에 배치된 별도의 패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베젤 영역 또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장치(10)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기판의 최외곽에 패드부가 배치되는 경우 또는 기판의 측면에 연성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보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간의 간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기판(SUB)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을 통해 기판(SUB)의 타면에 마련된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고,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고 평탄한 상면을 가짐으로써, 버퍼층(BF)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제1 접속 배선(CWL1) 및 기판(SUB)의 상면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표시층(DPL)은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버퍼층(BF),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및 컬러 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되어,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기판(SUB)의 타면에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의 표시 장치 제조 과정은 도 22의 표시 장치 제조 과정의 다음 과정일 수 있다.
도 26에서, 기판(SUB)의 타면은 제1 접속 배선(CWL1)이 노출될 때까지 제거될 수 있다. 기판(SUB)의 타면 전체는 평탄면을 가지면서 식각될 수 있고, 제1 접속 배선(CWL1)은 추가적인 컨택홀 없이 기판(SUB)의 타면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7에서, 제1 패드부(PD1)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되어, 기판(SUB)의 타면에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기판(SUB)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8은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28의 타일형 표시 장치는 도 8 또는 도 18의 타일형 표시 장치에서, 제2 기판(SUB2)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결합 부재(20), 및 커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1 기판(SUB1), 제1 접속 배선(CWL1), 제2 기판(SUB2), 표시층(DPL), 봉지층(TFE), 제1 패드부(PD1), 제2 패드부(PD2), 연성 필름(FPCB), 및 소스 구동부(SI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SUB1)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고,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SUB1)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SUB1)가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 제1 기판(SUB1)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기판(SUB1)은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 및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제5 컨택홀(CNT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컨택홀(CNT3)은 제1 기판(SUB1)의 상면으로부터 제1 기판(SUB1)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고, 제5 컨택홀(CNT5)은 제1 기판(SUB1)의 하면으로부터 제1 기판(SUB1)의 다른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판(SUB1)은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관통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 및 제5 컨택홀(CNT5)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5 컨택홀(CNT5)에 삽입되는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최외곽에 배치된 별도의 패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베젤 영역 또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장치(10)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기판의 최외곽에 패드부가 배치되는 경우 또는 기판의 측면에 연성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보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간의 간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1 기판(SUB1)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을 통해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마련된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컨택홀(CNT3)의 크기에 대응되는 함몰부 또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1 패드부(PD1)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제2 접속 배선(CWL2)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기판(SUB2)은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킬 수 있고, 제1 기판(SUB1) 및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2 기판(SUB2)은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SUB2)은 제1 기판(SUB1)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기판(SUB2)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층(DPL)은 제2 기판(SUB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버퍼층(BF),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및 컬러 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제2 기판(SUB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버퍼층(BF)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 게이트 절연막(GI), 버퍼층(BF), 및 제2 기판(SUB2)은 제2 접속 배선(CWL2)이 관통하는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컨택홀(CNT4)은 평면 상에서 제3 컨택홀(CNT3)과 이격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은 층간 절연막(ILD) 상에 배치된 제2 접속 배선(CW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제4 컨택홀(CNT4)을 통해 제1 기판(SUB1) 상에 배치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어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스캔 라인에 접속되어 스캔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1 기판(SUB1)의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과, 제2 기판(SUB2), 버퍼층(BF), 게이트 절연막(GI), 층간 절연막(ILD)에 마련된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함으로써,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2 접속 배선(CWL2)을 이용하여 제1 패드부(PD1)의 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에 공급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3 컨택홀(CNT3) 및 제4 컨택홀(CNT4)을 포함하여 컨택홀을 이중으로 형성함으로써, 층간 절연막(ILD)에서부터 제1 기판(SUB1)을 관통하는 컨택홀이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보다 컨택홀의 깊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되고,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이 관통하는 제3 컨택홀(CNT3) 및 제1 패드부(PD1)가 관통하는 제5 컨택홀(CNT5)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4는 도 28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에서, 제1 기판(SUB1)은 제1 캐리어 기판(CG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기판(CG1)은 캐리어 글라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캐리어 기판(CG1)은 제1 기판(SUB1) 상에 표시층(DPL) 및 봉지층(TFE)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1 기판(SUB1)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은 제1 기판(SUB1)의 일면으로부터 제1 기판(SUB1)의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제1 기판(SUB1)의 다른 일부는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1 캐리어 기판(CG1)을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1 기판(SUB1)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의 크기에 대응되는 함몰부 또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에서, 제2 기판(SUB2)은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킬 수 있고, 제1 기판(SUB1) 및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2 기판(SUB2)은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SUB2)은 제1 기판(SUB1)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기판(SUB2)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퍼층(BF)은 평탄화된 제2 기판(SUB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은 버퍼층(BF)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31에서, 제4 컨택홀(CNT4)은 층간 절연막(ILD), 게이트 절연막(GI), 버퍼층(BF), 및 제2 기판(SUB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4 컨택홀(CNT4)은 평면 상에서 제3 컨택홀(CNT3)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접속 배선(CWL2)은 층간 절연막(ILD)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4 컨택홀(CNT4)을 통해 제1 기판(SUB1) 상에 배치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속 배선(CWL2)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연결 전극(CNE)과 동일 층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2에서, 제1 보호층(PAS1)은 제2 접속 배선(CWL2) 및 층간 절연막(ILD)을 덮을 수 있고, 제1 평탄화층(OC1)은 제1 보호층(PAS1)을 덮을 수 있다.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컬러 필터층(CFL), 및 봉지층(TFE)은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은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캐리어 기판(CG2)은 캐리어 글라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은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제1 패드부(PD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표시 장치(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캐리어 기판(CG2)이 배치된 후 제조 중인 표시 장치는 반전될 수 있고, 제2 캐리어 기판(CG2)이 표시 장치를 지지하고 제1 캐리어 기판(CG1)이 노출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기판(CG1)은 표시층(DPL) 및 봉지층(TFE)의 적층이 완료된 후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관통되지 않은 제1 기판(SUB1)의 다른 일부는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과 제1 캐리어 기판(CG1)을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제3 컨택홀(CNT3)이 제1 기판(SUB1)을 전부 관통하지 않고, 제1 접속 배선(CWL1)이 제1 캐리어 기판(CG1)과 이격됨으로써, 제1 캐리어 기판(CG1)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캐리어 기판(CG1)은 표시 장치(10)의 제조 과정에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도 33에서, 제5 컨택홀(CNT5)은 제1 기판(SUB1)의 타면으로부터 제1 기판(SUB1)의 다른 일부를 관통할 수 있다. 제5 컨택홀(CNT5)은 제3 컨택홀(CNT3)과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된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5 컨택홀(CNT5)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도 34에서, 제1 패드부(PD1)는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되고, 제5 컨택홀(CNT5)을 통해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일측은 제2 패드부(PD2)에 접속될 수 있고, 연성 필름(FPCB)의 타측은 제1 기판(SUB1)의 타면에서 소스 회로 보드(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다. 연성 필름(FPCB)은 소스 구동부(SIC)의 신호를 표시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5는 도 7의 절단선 III-III'을 따라 자른 또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35의 타일형 표시 장치는 도 28의 타일형 표시 장치에서, 제1 기판(SUB1)의 구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타일형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 결합 부재(20), 및 커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1 기판(SUB1), 제1 접속 배선(CWL1), 제2 기판(SUB2), 표시층(DPL), 봉지층(TFE), 제1 패드부(PD1), 제2 패드부(PD2), 연성 필름(FPCB), 및 소스 구동부(SI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SUB1)은 베이스 기판 또는 베이스 부재일 수 있고,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SUB1)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SUB1)가 플렉서블 기판인 경우, 제1 기판(SUB1)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기판(SUB1)은 일면에 마련된 제3 컨택홀(CNT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컨택홀(CNT3)은 제1 기판(SUB1)의 일면으로부터 타면까지 관통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은 표시 영역(DA)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되는 제1 접속 배선(CWL1)은 표시 영역(D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는 최외곽에 배치된 별도의 패드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표시 장치(10)의 베젤 영역 또는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표시 장치(10)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기판의 최외곽에 패드부가 배치되는 경우 또는 기판의 측면에 연성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보다 복수의 표시 장치(10) 간의 간격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1 기판(SUB1)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컨택홀(CNT3)을 통해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마련된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3 컨택홀(CNT3)에 삽입될 수 있고, 제3 컨택홀(CNT3)의 크기에 대응되는 함몰부 또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배선(CWL1)은 제1 패드부(PD1)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제2 접속 배선(CWL2)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에 공급할 수 있다.
제2 기판(SUB2)은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속 배선(CWL1)의 함몰부를 충진시킬 수 있고, 제1 기판(SUB1) 및 제1 접속 배선(CWL1)의 상단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2 기판(SUB2)은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SUB2)은 제1 기판(SUB1)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기판(SUB2)은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층(DPL)은 제1 기판(SUB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층(DPL)은 버퍼층(BF), 박막 트랜지스터층(TFTL), 발광 소자층(EML), 파장 변환층(WLCL), 및 컬러 필터층(CF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부(PD1)는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되어, 제3 컨택홀(CNT3)에 의해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6 및 도 37은 도 35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의 표시 장치 제조 과정은 도 32의 표시 장치 제조 과정의 다음 과정일 수 있다.
도 36에서, 제1 기판(SUB1)의 타면은 제1 접속 배선(CWL1)이 노출될 때까지 제거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의 타면 전체는 평탄면을 가지면서 식각될 수 있고, 제1 접속 배선(CWL1)은 추가적인 컨택홀 없이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7에서, 제1 패드부(PD1)는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되어,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노출된 제1 접속 배선(CWL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제1 기판(SUB1)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패드부(PD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리드 라인(LDL)을 통해 제1 패드부(PD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패드부(PD2)는 연성 필름(FPCB)으로부터 각종 전압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전압 또는 신호를 제1 패드부(PD1), 제1 접속 배선(CWL1), 및 제2 접속 배선(CWL2)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TD: 타일형 표시 장치
10: 표시 장치 20: 결합 부재
30: 커버 부재 SUB: 기판
CWL1: 제1 접속 배선 FIL: 충진 부재
DPL: 표시층 BF: 버퍼층
TFTL: 박막 트랜지스터층 CWL2: 제2 접속 배선
EML: 발광 소자층 WLCL: 파장 변환층
CFL: 컬러 필터층 TFE: 봉지층
PD1, PD2: 제1 및 제2 패드부 ACF: 접속 필름
FPCB: 연성 필름 SIC: 소스 구동부
SUB1, SUB2: 제1 및 제2 기판
10: 표시 장치 20: 결합 부재
30: 커버 부재 SUB: 기판
CWL1: 제1 접속 배선 FIL: 충진 부재
DPL: 표시층 BF: 버퍼층
TFTL: 박막 트랜지스터층 CWL2: 제2 접속 배선
EML: 발광 소자층 WLCL: 파장 변환층
CFL: 컬러 필터층 TFE: 봉지층
PD1, PD2: 제1 및 제2 패드부 ACF: 접속 필름
FPCB: 연성 필름 SIC: 소스 구동부
SUB1, SUB2: 제1 및 제2 기판
Claims (20)
-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제1 컨택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함몰부를 충진시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상단을 평탄화시키는 충진 부재;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부재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층간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컨택홀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배선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타면에 노출되어, 상기 패드부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복수의 발광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을 둘러싸는 복수의 차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일부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파장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중 다른 일부의 발광 영역에 대응되는 광 투과부를 포함하는 파장 변환층; 및
상기 파장 변환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부에 접속되는 연성 필름; 및
상기 연성 필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접속 배선에 소스 전압을 공급하는 소스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충진시켜 평탄한 상면을 갖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 및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층간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택홀은 상기 제1 컨택홀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표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컨택홀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배선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타면에 노출되어, 상기 패드부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제1 기판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상단을 평탄화시키는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연결 전극과 동일 층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배선은 상기 층간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2 기판을 관통하는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컨택홀에 연결되는 제3 컨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접속 배선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배선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기판의 타면에 노출되어, 상기 패드부에 접속되는 표시 장치. - 복수의 화소를 구비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장치; 및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은,
일면에 마련된 제1 컨택홀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마련된 패드부에 접속되는 제1 접속 배선;
상기 제1 컨택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함몰부를 충진시켜 상기 제1 접속 배선의 상단을 평탄화시키는 충진 부재;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 접속 배선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층;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층을 포함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상기 제1 접속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접속 배선을 더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4608A KR20220007754A (ko) | 2020-07-09 | 2020-07-09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US17/350,846 US20220013576A1 (en) | 2020-07-09 | 2021-06-17 |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CN202110724124.4A CN113921562A (zh) | 2020-07-09 | 2021-06-29 | 显示装置及包括显示装置的拼接式显示装置 |
EP21182752.2A EP3937252A3 (en) | 2020-07-09 | 2021-06-30 |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4608A KR20220007754A (ko) | 2020-07-09 | 2020-07-09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7754A true KR20220007754A (ko) | 2022-01-19 |
Family
ID=7674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4608A Pending KR20220007754A (ko) | 2020-07-09 | 2020-07-09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013576A1 (ko) |
EP (1) | EP3937252A3 (ko) |
KR (1) | KR20220007754A (ko) |
CN (1) | CN11392156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282783A1 (en) * | 2022-03-01 | 2023-09-07 |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548860B (en) * | 2001-06-20 | 2003-08-21 | Semiconductor Energy Lab |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049735B1 (ko) * | 2013-04-30 | 2019-11-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JP6308007B2 (ja) * | 2013-07-16 | 2018-04-11 | ソニー株式会社 | 配線基板および配線基板の製造方法 |
WO2015198183A1 (en) * | 2014-06-23 | 2015-12-30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TWI727041B (zh) * | 2016-05-20 | 2021-05-11 |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 顯示裝置 |
CN107256870A (zh) * | 2017-06-09 | 2017-10-1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阵列基板及制作方法、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 |
KR102476136B1 (ko) * | 2017-09-05 | 2022-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US10437402B1 (en) * | 2018-03-27 | 2019-10-08 | Shaoher Pan | Integrated light-emitting pixel arrays based devices by bonding |
KR102581137B1 (ko) * | 2018-08-29 | 2023-09-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706504B1 (ko) * | 2018-12-20 | 2024-09-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장치 |
CN110335542B (zh) * | 2019-04-03 | 2021-04-30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
KR20210030539A (ko) * | 2019-09-09 | 2021-03-1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WO2021138920A1 (zh) * | 2020-01-10 | 2021-07-15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US11444120B2 (en) * | 2020-01-14 | 2022-09-13 | Au Optronics Corporatio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CN113632232B (zh) * | 2020-01-22 | 2024-10-15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驱动背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
KR20220021062A (ko) * | 2020-08-12 | 2022-02-2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KR20220039918A (ko) * | 2020-09-21 | 2022-03-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
KR20220079713A (ko) * | 2020-12-04 | 2022-06-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KR20220124305A (ko) * | 2021-03-02 | 2022-09-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KR20220127410A (ko) * | 2021-03-10 | 2022-09-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2020
- 2020-07-09 KR KR1020200084608A patent/KR20220007754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06-17 US US17/350,846 patent/US20220013576A1/en active Pending
- 2021-06-29 CN CN202110724124.4A patent/CN113921562A/zh active Pending
- 2021-06-30 EP EP21182752.2A patent/EP3937252A3/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37252A2 (en) | 2022-01-12 |
CN113921562A (zh) | 2022-01-11 |
EP3937252A3 (en) | 2022-05-04 |
US20220013576A1 (en) | 2022-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02816B2 (en) |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20041970A (ko) | 타일형 표시 장치 | |
US12237360B2 (en) | Tiled display device | |
US12119332B2 (en) | Tiled display | |
US20220069167A1 (en) | Display device | |
CN113963653A (zh) | 显示装置以及包括该显示装置的瓦片型显示装置 | |
KR20220124305A (ko) | 표시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US20250040386A1 (en) |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60573A (ko) | 표시 장치 | |
KR20220031803A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US11882744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devices connected together via protrusions and grooves | |
US20220085098A1 (en) | Tiled display device | |
KR20220007754A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US12148788B2 (en) |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20077957A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KR20220129141A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KR20220097758A (ko) | 표시 장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US20220128740A1 (en) | Tiled display device | |
KR102771958B1 (ko)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KR20220075023A (ko) |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 |
KR20230126282A (ko) | 발광 소자,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
KR20220140064A (ko) | 표시 장치 | |
KR20220112316A (ko) | 표시 장치 | |
CN116471878A (zh) |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