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03986A -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986A
KR20220003986A KR1020210086925A KR20210086925A KR20220003986A KR 20220003986 A KR20220003986 A KR 20220003986A KR 1020210086925 A KR1020210086925 A KR 1020210086925A KR 20210086925 A KR20210086925 A KR 20210086925A KR 20220003986 A KR20220003986 A KR 20220003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urrent collector
wireless charging
industrial equipment
cent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6688B1 (ko
Inventor
송보윤
이교일
강성주
정예찬
서동관
이병주
최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파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파워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파워원
Publication of KR2022000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66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2Circuits or methods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e.g.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22Cooling by heat conduction through solid or powdered fil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8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버스 또는 전기 승용차와 같은 전기 차량과 산업용 장비의 정차 또는 주행 중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집전코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적 설계를 통한 성능 고도화를 수행하여 단위면적 대비 고용량, 고효율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Pickup apparatus using multi pickup coil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and industrial equipment}
본 발명은 전기 버스 또는 전기 승용차와 같은 전기 차량과 산업용 장비의 정차 또는 주행 중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집전코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적 설계를 통한 성능 고도화를 수행하여 단위면적 대비 고용량, 고효율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해방지 및 석유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대안으로서, 전기만으로 구동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보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전기 차량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플러그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 마련된 전원 공급 장치와 장시간 동안 접속하고 있어야 하고, 1회의 충전만으로 운행할 수 있는 거리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 차량의 대안으로서 자기유도방식의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가 부각되고 있다.
자기유도방식의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공급하는 급전도로(또는 급전레일)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의 전기 자동차가 운행에 필요한 전력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급전도로 위를 주행하기만 하면 된다. 즉 전기 자동차는 급전도로 위를 주행하는 중에 급전선에 고주파의 전력이 공급되면 급전선과 전기 자동차에 장착된 집전장치 사이의 전자기유도의 원리에 의해 주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집전장치에는 집전코일이 구성되는데 종래에는 도 16에서와 같이 원형코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코일의 면적 및 턴 수에 따라서 집전용량이 결정된다. 원형코일은 무선충전의 기본적인 구조로써 대칭 구조의 원형 급/집전 구성을 통해 무선충전을 구현한다.
그러나 정차 및 주행 중 무선충전을 모두 고려한 온라인 전기 자동차 무선충전 시스템의 급전 구조에서 원형으로 이루어진 집전코일의 성능은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KR 10-2012-005689 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원형 집전코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적 설계를 통한 성능 고도화를 수행하여 단위면적 대비 고용량, 고효율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는 차량으로부터 먼쪽에 배치되며, 중앙에 형성되도록 배치된 중앙코일, 상기 중앙코일 양측에 배치된 날개코일 및 상기 중앙코일 및 상기 날개코일을 포함하여 외곽에 배치된 외곽코일로 구비되는 멀티 집전코일; 상기 멀티 집전코일과 인접하게 배치된 페라이트 코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발열을 전달받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판; 및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방열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방열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방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멀티 집전코일의 상기 중앙코일 및 외곽코일은 동일한 방향으로 턴되고, 상기 날개코일은 상기 중앙코일 및 외곽코일의 권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턴되는 것이다.
상기 외곽코일은 상기 중앙코일의 자기장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상기 중앙코일 및 상기 날개코일 그리고 상기 외곽코일은 전기적 직렬 또는 병렬 그리고 직병렬 조합 중 하나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멀티 집전코일은 누설 자기장 감쇄를 고려하여 극성이 상쇄 묶음처리된 것이다.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멀티 집전코일의 내전압 분기를 위한 캐패시터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함은 방수, 방진, 절연 및 방열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캐피시터함은 제어 보드가 구비되어 방열 기능 관리 및 모니터링, OT 센서 관리 및 모니터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코일은 중앙에 형성되도록 배치된 중앙코일; 상기 중앙코일 양측에 배치된 날개코일; 및 상기 중앙코일 및 상기 날개코일을 포함하는 외곽에 배치된 외곽코일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코일 및 외곽코일의 전류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날개코일의 전류방향은 상기 중앙코일 및 외곽코일의 전류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이다.
상기 외곽코일은 상기 중앙코일의 자기장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상기 중앙코일 및 상기 날개코일 그리고 상기 외곽코일은 전기적 직렬 또는 병렬 그리고 직병렬 조합 중 하나로 연결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차 및 주행 중 무선충전을 모두 고려한 온라인 전기 자동차 무선충전 시스템의 급전 구조에 특화하여 집전코일을 최적화 및 고도화 설계하여, 멀티 집전코일을 구비한 집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멀티 집전코일이 단위면적으로 고용량 고효율적인 효과가 있으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의 위한 멀티 집전코일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에서 유도된 자기력선에 의한 전류방향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에서 외곽코일의 턴과 중앙코일 턴의 변화에 따른 집전코어의 자기장 그래프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턴의 변화에 따른 집전코어의 포화정도와 전압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이 구비된 집전장치와 원형코일이 구비된 집전장치에서 출력되는 코일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보여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이 구비된 집전장치와 원형코일(30)이 구비된 집전장치의 자기장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집전코일의 극성 상쇄 묶음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멀티 집전코일이 다수개 구성될 때 극성 상쇄 묶음처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집전코일의 입출력 케이블의 집합 예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이 구비된 집전장치의 장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따른 집전장치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1에 따른 캐패시터함의 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1에 따른 캐패시터함의 방열팬 및 온도센서 모니터링에 대한 개략도.
도 16은 종래의 원형코일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의 개략도로서, 자기유도 기능의 측면에서 단순화하였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300)은 중앙코일(302))과, 중앙코일(302)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날개코일(303)과, 중앙코일(302) 및 날개코일(303)의 외곽에 구비되는 외곽코일(301)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300)은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세부적인 코일 구조는 나누어지거나 합쳐지는 등의 다른 형태로 배치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집전코일(300)의 중앙코일(302)은 중앙 내부에 에어 상태의 통공부가 형성되도록 턴 되며, 날개코일(303)은 중앙코일(302)의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중앙 내부에 에어 상태의 통공부가 형성되도록 턴 된다. 즉 중앙코일(302)은 중앙에 형성되도록 배치되고, 날개코일(303)은 중앙코일(302) 양측에 배치된다. 외곽코일(301)은 중앙코일(302) 및 날개코일(303)을 포함하는 외곽에 소정간격을 두고 턴이 이루어진다. 즉 중앙코일(302) 및 외곽코일(301)은 동일한 방향으로 턴이 이루어지고, 날개코일(303)은 중앙코일(302) 및 외곽코일(301)의 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곽코일(301)은 중앙코일(302) 및 날개코일(303)을 포함하는 외곽에 배치되며, 중앙코일(302) 및 날개코일(303)의 전류방향은 동일하고 날개코일(303)의 전류 방향은 중앙코일(302) 및 외곽코일(301)의 전류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에서 유도된 자기력선에 의한 전류방향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자기장의 집속 및 집전코어 포화를 고려하여 멀티 집전코일을 배치한 본 발명의 외곽코일(301)과 중앙코일(302)이 같은 방향의 자기력선에 유도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여기 되고, 한 쌍의 날개코일(303)은 외곽코일(301) 및 중앙코일(302)의 반대 방향으로 자기력선에 유도되어 역시 반대방향으로 전류가 여기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도 3의 (a)를 통해서는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을 포함하는 집전장치와 급전부 자기력선(401)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으며, (b)는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의 중앙코일(302)과 날개코일(303) 한 쌍의 조합으로 자기유도 되어 전류가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고, (c)는 외곽코일(301)에 자기유도 되어 전류가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300)은 배치에 따라서 정위치에서 자기력선이 최대로 자기유도 되어 집전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고, 편차상황에서도 자기력선의 변화에 따라서 각각의 멀티 집전코일(300)들은 해당되는 자기력선으로 자기유도 되어 전류 방향을 형성하고 집전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더 높은 전압 형성을 위해 중앙코일(302)의 턴을 추가하는 방식을 회피하고 외곽코일(301)의 턴을 추가함으로써 코일의 전류가 동일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411)에 부담되는 열 축적 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도 4를 통해서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에서 외곽코일의 턴과 중앙코일의 턴 변화에 따른 집전코어의 자기장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300)에서 외곽코일 4턴/ 중앙코일 8턴에 해당하는 자기장의 변화이며, (b)는 외곽코일 5턴/ 중앙코일 7턴에 해당하는 자기장의 변화로, 중앙코일 1턴을 외곽코일 1턴으로 옮겼을 때 자기장이 적어지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턴의 변화에 따른 집전코어의 포화정도와 전압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시스템 요구치의 전압을 유지하면서 집전코어의 포화정도를 낮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에 이에 부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각각 집전코일들의 전류방향을 다양한 상황에서 자기장을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주행 중 무선충전 시 편차 상황에서 더 유리하게 무선충전이 가능하고 발열도 효과적으로 관리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300)이 구비된 집전장치와 원형코일(30)이 구비된 집전장치에서 출력되는 코일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300)이 구비된 집전장치와 원형코일(30)이 구비된 집전장치의 자기장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도 6에서의 멀티 집전코일(300) 및 원형코일(30) 하부에는 사다리 형태의 급전장치의 급전선 및 급전코어가 도시되어 있으며, (a)는 원형 집전코일(30)이며, (b)는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300)로서, 동일한 턴 수를 지니는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300)과 원형 집전코일(30)의 출력 전압을 각각의 편차에서 비교하고 있다. 즉 정위치, 100mm, 200mm 의 모든 위치에서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300)의 출력 전압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통해서는 원형 집전코일이 설치된 (a)의 경우와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이 설치된 (b)의 자기장이 집전코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집전장치는 차량으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진 방열판, 집전코어, 집전코일을 포함하고 급전장치의 선로 및 급전코어는 온라인 전기 자동차 무선충전 시스템의 급전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집전장치의 발열량은 집전코어의 영향이 큰 부분을 차지한다. 집전코어에 자기장이 포화되는 정도에 따라서 발열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출력 용량을 일정 이상 유지하면서 자기장 포화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b)의 경우가 (a)의 경우보다 자기장 포화에 대한 영향이 더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집전코일의 극성 상쇄 묶음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 집전코일(300)은 외부로 노출되는 멀티 집전코일 케이블(502) 및 다수의 멀티 집전코일 집합의 입출력 케이블(503)의 누설 자기장 감쇄를 위하여 극성을 상쇄시킨 묶음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멀티 집전코일(300)의 내전압 분기를 위한 다수의 캐패시터함(500)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분기 케이블(502)은 불요 자기장을 상쇄하기 위해서 극성이 교차하도록 배열하였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멀티 집전코일이 다수개 구성될 때 극성 상쇄 묶음처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다수의 멀티 집전코일을 구성할 대 각각의 멀티 집전코일의 입출력 케이블(503)들의 극성이 교차하도록 정리하여 불요 자기장을 상쇄시키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집전코일의 입출력 케이블의 집합 예시 단면도로써, 입출력 케이블의 극성이 교차하면서 확장이 가능하고, 극성 상쇄 묶음 처리 케이블 집합(521)에 알루미늄 차폐(522)를 추가함으로써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이 구비된 집전장치(3)의 장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집전장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집전코일(300), 집전코어(310), 캐패시터함(500), 그리고 방열판(320)으로 구성되는 집전장치(3)를 전기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하단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대(10)가 이용되며, 이 지지대(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집전장치(30)가 지지되고 있다. 지지대(10)와 방열판(320)은 장착하는 대상의 프레임 구조 상황에 따라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캐피시터함(500)은 전력회로로 지칭할 수 있다. 방열판(320)은 캐패시터함(500), 집전코일(300) 및 집전코어(310))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불요 자기장이 장착 대상에게 줄 수 있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집전장치(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먼 쪽에 멀티 집전코일(300)이 배치되고, 멀티 집전코일(300)과 인접하게 페라이트 코어(310)가 배치되며, 페라이트 코어(310)의 상단에 페라이트 코어(310)의 발열을 전달받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판(320)이 배치된다. 그리고 페라이트 코어(310)와 방열판(320) 사이에는 페라이트 코어(310)와 방열판(320)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방열판(320)의 열전도율을 높이는 소재로 이루어진 방열부재(315)가 배치된다. 이때 방열판(320)은 알루미늄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방열부재(315)의 소재로는 실리콘 내지 세라믹을 이용하지만 이로써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캐패시터함(500)은 집전코일(300) 및 집전코어(3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압 문제를 해결하고자 집전코일(300) 분기를 위한 캐패시터를 수납한 함이다. 이러한 캐패시터함(500)은 캐패시터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방열,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도 13 내지 도 14는 도 11에 따른 캐패시터함의 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도 13은 프론트 뷰에서 보인 단면도이고, 도 14는 탑 뷰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캐패시터(905)의 직렬 조합을 예시로 보였지만 이는 버스바(904)를 이용해서 직/병렬 조합으로 변경 가능하며, 필요한 캐패시턴스를 얻을 수 있다. 캐패시터 모듈은 절연 이격재(906)를 사용함으로써 외벽(902)으로부터 완전히 절연되어 외함의 방수 및 방진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 및 방진으로야기될 수 있는 캐패시터(905)의 발열로 인한 열축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캐패시터함 외벽(902) 및 방열판(901)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동시에 열전도율을 높이는 소재로 이루어진 방열부재(903)를 배치한다. 또한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방열팬(907)을 장착함으로써 캐패시터함(500)의 발열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때 공냉을 예시로 한 경우이고 상황에 따라서 공냉, 수냉, 및 모든 방열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방수, 방진 기능이 있는 커넥터(911)를 외벽(902)에 설치함으로써 배선 연결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에 따른 캐패시터함의 방열팬 및 온도센서 모니터링에 대한 개략도이다. 캐패시터함(500)에 부착된 다수의 방열팬(510)을 병렬 연결로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전원선의 전류를 CT(Current Transformer) 센서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팬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정상동작 할 때의 전류값에 비해서 변동이 있을 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온도센서(520)의 경우 캐패시터함(500)의 내부 및 외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일정 온도가 초과할 시 제어보드(600)에서 감지하여 이상 유무를 모니터링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3: 집전장치
10: 집전장치 지지대
300: 멀티 집전코일
301: 외곽코일
302: 중앙코일
303: 날개코일
310: 집전코어
315: 방열부재
320: 방열판
401: 자기력선
411: 코일의 전류가 동일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
500: 캐패시터함
502: 멀티 집전코일 분기 케이블
503: 멀티 집전코일 입출력 케이블
510: 방열팬
520: 온도센서
521: 극성 상쇄 묶음처리 케이블 집합
522: 케이블 알루미늄 차폐
600: 제어보드
901: 방열판
902: 외벽
903: 방열부재
904: 버스바
905: 캐패시터
906: 절연 이격재
907: 방열팬
911: 커넥터

Claims (12)

  1. 차량으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며, 중앙에 형성되도록 배치된 중앙코일, 상기 중앙코일 양측에 배치된 날개코일 및 상기 중앙코일 및 상기 날개코일을 포함하여 외곽에 배치된 외곽코일로 구비되는 멀티 집전코일;
    상기 멀티 집전코일과 인접하게 배치된 페라이트 코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발열을 전달받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판; 및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방열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방열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방열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 집전코일의 상기 중앙코일 및 외곽코일은 동일한 방향으로 턴되고, 상기 날개코일은 상기 중앙코일 및 외곽코일의 권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턴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코일은 상기 중앙코일의 자기장을 분산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코일 및 상기 날개코일 그리고 상기 외곽코일은 전기적 직렬 또는 병렬 그리고 직병렬 조합 중 하나로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 집전코일은 누설 자기장 감쇄를 고려하여 극성이 상쇄 묶음처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및 산업용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전장치는,
    상기 멀티 집전코일의 내전압 분기를 위한 캐패시터함을 더 포함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함은 방수, 방진, 절연 및 방열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및 산업용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캐피시터함은 제어 보드가 구비되어 방열 기능 관리 및 모니터링, OT 센서 관리 및 모니터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 및 산업용 무선충전을 위한 집전장치.
  9. 중앙에 형성되도록 배치된 중앙코일;
    상기 중앙코일 양측에 배치된 날개코일; 및
    상기 중앙코일 및 상기 날개코일을 포함하는 외곽에 배치된 외곽코일
    을 포함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앙코일 및 외곽코일의 전류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날개코일의 전류방향은 상기 중앙코일 및 외곽코일의 전류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 코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곽코일은 상기 중앙코일의 자기장을 분산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 코일.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중앙코일 및 상기 날개코일 그리고 상기 외곽코일은 전기적 직렬 또는 병렬 그리고 직병렬 조합 중 하나로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KR1020210086925A 2020-07-02 2021-07-02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 Active KR102696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1701 2020-07-02
KR1020200081701 2020-07-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86A true KR20220003986A (ko) 2022-01-11
KR102696688B1 KR102696688B1 (ko) 2024-08-22

Family

ID=7935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925A Active KR102696688B1 (ko) 2020-07-02 2021-07-02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68114A1 (ko)
KR (1) KR102696688B1 (ko)
WO (1) WO2022005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03417B2 (en) * 2021-11-15 2024-10-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amaterial panel for enhancing wireles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689A (ko) 2010-07-09 2012-01-17 한국과학기술원 Emf 능동상쇄 기능을 구비하는 집전장치
KR101482599B1 (ko) * 2013-08-16 2015-01-14 한국과학기술원 공심코어 집전장치
KR101971884B1 (ko) * 2018-11-14 2019-04-25 (주)그린파워 냉각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KR20200007310A (ko) * 2018-07-12 2020-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3851B2 (ja) * 2012-02-20 2013-09-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11095137B2 (en) * 2017-03-09 2021-08-17 Amosense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689A (ko) 2010-07-09 2012-01-17 한국과학기술원 Emf 능동상쇄 기능을 구비하는 집전장치
KR101482599B1 (ko) * 2013-08-16 2015-01-14 한국과학기술원 공심코어 집전장치
KR20200007310A (ko) * 2018-07-12 2020-01-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971884B1 (ko) * 2018-11-14 2019-04-25 (주)그린파워 냉각패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05250A1 (ko) 2022-01-06
US20230268114A1 (en) 2023-08-24
KR102696688B1 (ko) 202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25640B2 (en) Current detection device
US20210159736A1 (en) Transmission module and wireless power data transmission device
CN105957859B (zh) 半导体功率组件及使用其的电力转换装置
US9425707B2 (en) Inverter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fixing a power module having a switching element and a smoothing capacitor in a limited region
US10245965B2 (en) Transmission coil for the inductive transfer of energy
EP3664274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power conversion device
US10381922B2 (en) Power converter
US10596911B2 (en) Power electronic system for an electricity charging station and corresponding electricity charging station
US9893610B2 (en) Power unit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WO2015122343A1 (ja) コイルユニット及びそれを有する給電システム
US20240015916A1 (en) Inverter with current sensor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filter
US20240015915A1 (en) Vehicle controller and vehicle with same
JP6324362B2 (ja) ワイヤレス伝送装置
KR20220003986A (ko) 전기 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무선충전을 위한 멀티 집전코일 및 이를 구비한 집전장치
EP2725594A1 (en) Capacitance element housing unit
WO2020230541A1 (ja) 電力変換装置
CN204230992U (zh) 用于感应式能量传输的系统以及系统的组成部分
US10854861B2 (en) Mounting rack for a power electronics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comprising a mounting rack of this kind
US20240260240A1 (en) Inverter with capacitor discharge and cooling system
JP6111891B2 (ja) 電力供給装置
US10355586B2 (en) Power converter
US20120326507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having casing accommodated with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US20240072579A1 (en) Coil assembly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CN219812419U (zh) 电机控制器及包括该电机控制器的电驱系统、车辆
CN211869163U (zh) 电机控制器、动力总成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2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