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03333A -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 Google Patents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333A
KR20220003333A KR1020200081002A KR20200081002A KR20220003333A KR 20220003333 A KR20220003333 A KR 20220003333A KR 1020200081002 A KR1020200081002 A KR 1020200081002A KR 20200081002 A KR20200081002 A KR 20200081002A KR 20220003333 A KR20220003333 A KR 20220003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water tank
hoist
moving platform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381B1 (ko
Inventor
김종승
이성순
이주호
유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1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8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가 개시된다. 개시된 무빙 플랫폼 장치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테두리에 설치된 안전난간, 상기 플랫폼의 상부에 상기 플랫폼과 이격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호이스트, 및 상기 플랫폼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호이스트의 작용에 의해 상기 플랫폼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양중체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Moving platform device and facility including the same}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 내부의 고소 작업에 유용한 곤돌라형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가 개시된다.
반도체 생산시설의 폐수처리장은 고부식성 폐수를 비롯하여 다양한 성상의 폐수를 종류별 및 단계별로 처리하므로 다수의 수처리용 수조가 필요하다.
수조의 재질로는 주로 콘크리트가 사용되는데, 콘크리트는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고 현장 제작이 용이한 반면에, 부식성 폐수로부터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콘크리트의 균열로 인한 폐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수공사를 고품질로 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계는 수조 내부 고소 작업용 가설물로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조 내부에서의 비계 조립과 해체 작업은 밀폐 공간에서의 고소 작업에 해당하므로, 사고 위험이 높고 투입하는 작업자의 수를 줄이기가 어렵다. 더욱이, 수조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비계의 수량이 증가하고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
유압식 고소 작업대(이하, 간단히 '고소 작업대'라고 함)는 맨홀 크기가 고소 작업대 진출입이 가능할 정도로 크고, 양중 크레인을 사용하여 고소 작업대를 양중할 수 있는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비계와 유압식 고소 작업대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안전성 측면에서 기존의 가설비계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설비나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수조 내부의 고소 작업에 유용한 곤돌라형 무빙 플랫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무빙 플랫폼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테두리에 설치된 안전난간;
상기 플랫폼의 상부에 상기 플랫폼과 이격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호이스트; 및
상기 플랫폼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호이스트의 작용에 의해 상기 플랫폼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양중체인을 포함하는 무빙 플랫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랫폼은 조립식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은 주골조로서 H-빔 및 발판으로서 FRP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상기 H-빔 및 FRP 그레이팅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플랫폼의 승하강 속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플랫폼 장치는 상기 호이스트에 동력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어 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플랫폼 장치는 상기 제어 판넬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플랫폼의 승하강 속도 및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플랫폼 장치는 방호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호장치는 과부하방지장치, 낙하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과권상방지장치, 과권하방지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수조;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된 상기 무빙 플랫폼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수조는 측부 슬래브, 하부 슬래브 및 상부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상부 슬래부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무빙 플랫폼 장치는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양중체인은 상기 상부 슬래브를 관통하여 상기 플랫폼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은 상기 수조의 벽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수조의 벽면과 부딪히지 않고 승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내부 중앙에 수직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수직 기둥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 기둥과 부딛히지 않고 승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빙 플랫폼 장치는 하기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밀폐공간에서 수행하는 비계공사의 안전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수조 내부 작업자에게 개방된 작업 공간을 제공하며, 수직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로부터 밀폐공간 안전성 확보, 방수공사 품질 및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수조 밀폐공간내 고소 작업용 가설공사에 투입되는 인력규모를 줄일 수 있다.
(3) 본공사(방수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되므로, 방수공 인원 절감이 가능하다. 시험설치 실적에 따르면, 비계 대비 투입 인원을 34.8% 줄이는 효과가 예상되고, 방수공사는 19% 정도 생산성 향상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빙 플랫폼 장치가 수조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무빙 플랫폼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상기 무빙 플랫폼 장치에 장착된 장치들을 함께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가설비계 대비 도 1의 무빙 플랫폼 장치의 예상 기대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빙 플랫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및 "하부"란 각각 상대적으로 중력의 역방향에 위치한 부분 및 상대적으로 중력의 순방향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빙 플랫폼 장치(100)가 수조(200)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빙 플랫폼 장치(100)는 플랫폼(110), 안전난간(120), 하나 이상의 호이스트(130) 및 하나 이상의 양중체인(140)을 포함한다.
플랫폼(110)은 작업자를 지탱하는 발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110)은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110)은 주골조로서 H-빔 및 발판으로서 FRP 그레이팅(fiber reinforced plastics grat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빔 및 FRP 그레이팅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110)은 수조 맨홀(미도시, 보통 1m x 1m 크기)을 통해 넣고 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조(200) 내부에서도 조립될 수 있다.
플랫폼(110)은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전난간(120)은 플랫폼(110)의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랫폼(110)이 사각형으로 구성된 경우, 안전난간(120)은 플랫폼(110)을 둘러싸도록 플랫폼(110)의 4개 테두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120)은 플랫폼(110)과 마찬가지로 인력 운반과 맨홀을 통한 반입과 반출이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되고, 그 크기는 맨홀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호이스트(130)는 후술하는 양중체인(140)을 매개로 하여 플랫폼(110)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호이스트(130)는 플랫폼(110)의 상부에 플랫폼(110)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이스트(130)는 플랫폼(110)의 상부에 플랫폼(110)과 이격되게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호이스트(130)는 플랫폼(110)의 승하강 속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이스트(130)는 플랫폼(110)의 승하강 속도를 0.65~6.5m/min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양중체인(140)은 플랫폼(110) 및 호이스트(130)에 그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호이스트(130)의 작용에 의해 플랫폼(110)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중체인(140)은 플랫폼(110) 내의 4개 모서리와 4개의 호이스트(130)에 하나씩 결합되도록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양중라인으로 와이어 대신 체인을 채택함으로써 승하강시 체인의 평면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수조(200)의 상부 슬래브(230)의 관통 구멍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슬래브(230)를 관통하는 양중라인(체인)을 설치하기 위해 플랫폼(110)의 승하강시 양중라인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임시 관통홀의 크기를 정하고, 상부 슬래브(230)에 관통홀을 형성한다. 체인 형식의 호이스트(130)는 승하강시 체인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와이어 형식의 호이스트에 비해 관통홀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와이어 형식의 호이스트는 승하강시 와이어가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와이어의 위치가 변하게 되므로, 와이어의 이동 범위보다 크도록 관통홀을 만들어야 하며, 이 때문에 관통홀의 크기가 체인 형식의 호이스트 보다 커진다. 관통홀이 클수록 영구용 배관 슬리브 또는 Half PC와 간섭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지게 되고, 무빙 플랫폼 장치의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임시 관통 구멍은 그 크기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빙 플랫폼 장치(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무빙 플랫폼 장치(10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무빙 플랫폼 장치(100)에 장착된 장치들을 함께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무빙 플랫폼 장치(100)는 제어 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판넬은 호이스트(130)에 동력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빙 플랫폼 장치(100)는 리모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모콘은 작업자가 상기 제어 판넬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플랫폼(110)의 승하강 속도 및 정지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 무빙 플랫폼 장치(100)는 방호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호장치는 과부하방지장치, 낙하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과권상방지장치, 과권하방지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부하방지장치는 상기 호이스트에 설치된 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부하방지장치는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한 무게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보음을 울리거나, 및/또는 상기 제어 판넬을 통해 호이스트(130)의 작동을 제어하여 플랫폼(110)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플랫폼(110)의 하강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플랫폼(110)의 하강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정지장치는 사고 등으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정상적인 정지 절차를 무시하고 플랫폼(110)의 승하강을 긴급히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권상방지장치는 양중체인(140)의 권상 속도에 관계없이 양중체인(140)을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양중체인(140)의 파손을 방지하며, 호이스트(130)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권하방지장치는 양중체인(140)의 권하 속도에 관계없이 양중체인(140)을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양중체인(140)의 파손을 방지하며, 호이스트(130)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무빙 플랫폼 장치(100)는 전기동력으로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수조(200)의 내부와 같은 밀폐공간에서 고소(高所) 작업의 안전성, 시공품질 및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빙 플랫폼 장치(100)는 안전성 측면에서 기존의 가설비계 기능을 대체할 수 있으며, 전기동력을 이용하여 고소 작업에 필요한 위치로 플랫폼(100)을 상하이동시키면서 작업자로 하여금 수조(200)의 네 벽면(210)과 천장 공사를 동시에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수조(200) 및 이러한 수조(200)에 설치된 상술한 무빙 플랫폼 장치(100)를 포함하는 설비를 제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수조(200)는 측부 슬래브(210), 하부 슬래브(220) 및 상부 슬래브(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호이스트(130)가 상부 슬래부(23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무빙 플랫폼 장치(100)가 수조(2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양중체인(140)이 상부 슬래브(230)를 관통하여 플랫폼(110) 및 호이스트(130)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랫폼(110)은 수조(200)의 벽면(즉, 측부 슬래브(210))과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수조(200)의 벽면(210)과 부딪히지 않고 승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롤러로 인하여 플랫폼(110)은 흔들림 없이 수조(200)의 벽면(210)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는 플랫폼(110)의 각 모서리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수조(200)는 내부 중앙에 수직 기둥(240)을 포함하고, 플랫폼(110)은 수직 기둥(24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 기둥과 부딛히지 않고 승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빙 플랫폼 장치(100)는 플랫폼(110)이 수직 기둥(240)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가설비계 대비 도 1의 무빙 플랫폼 장치(100)의 예상 기대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설비계 대비 도 1의 무빙 플랫폼 장치(100)는 가설 작업일수를 28.6%만큼 단축하고, 가설 투입인원을 34.8%만큼 절감하고, 밀폐공간 생산성(즉, 방수작업 생산성)을 19.2%만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빙 플랫폼 장치 110: 플랫폼
120: 안전난간 130: 호이스트
140: 양중체인 200: 수조
210: 측부 슬래브 220: 하부 슬래브
230: 상부 슬래브 240: 수직 기둥

Claims (12)

  1. 플랫폼;
    상기 플랫폼의 테두리에 설치된 안전난간;
    상기 플랫폼의 상부에 상기 플랫폼과 이격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호이스트; 및
    상기 플랫폼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상기 호이스트의 작용에 의해 상기 플랫폼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양중체인을 포함하는 무빙 플랫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조립식으로 구성된 무빙 플랫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주골조로서 H-빔 및 발판으로서 FRP 그레이팅을 포함하고, 상기 H-빔 및 FRP 그레이팅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무빙 플랫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플랫폼의 승하강 속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무빙 플랫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에 동력을 공급하고 제어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제어 판넬을 더 포함하는 무빙 플랫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판넬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플랫폼의 승하강 속도 및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무빙 플랫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방호장치를 더 포함하는 무빙 플랫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장치는 과부하방지장치, 낙하방지장치, 비상정지장치, 과권상방지장치, 과권하방지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무빙 플랫폼 장치.
  9. 수조;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된 제1항 내지 제8항에 따른 무빙 플랫폼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측부 슬래브, 하부 슬래브 및 상부 슬래브를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상부 슬래부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무빙 플랫폼 장치는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양중체인은 상기 상부 슬래브를 관통하여 상기 플랫폼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 설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수조의 벽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수조의 벽면과 부딪히지 않고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내부 중앙에 수직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수직 기둥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관통홀을 포함하여 상기 수직 기둥과 부딛히지 않고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설비.
KR1020200081002A 2020-07-01 2020-07-01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Active KR10239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02A KR102392381B1 (ko) 2020-07-01 2020-07-01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002A KR102392381B1 (ko) 2020-07-01 2020-07-01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33A true KR20220003333A (ko) 2022-01-10
KR102392381B1 KR102392381B1 (ko) 2022-04-29

Family

ID=7934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002A Active KR102392381B1 (ko) 2020-07-01 2020-07-01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8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922U (ko) * 1990-09-10 1992-04-21 황기주 간이 좌변기
JPH0566150U (ja) * 1992-02-14 1993-08-3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所作業台
JPH0925719A (ja) * 1995-04-13 1997-01-28 Shimizu Corp 深礎用移設足場
KR19990008777A (ko) * 1997-07-03 1999-02-05 조규향 압력용기의 내부 이동용 리프트카 시스템
KR20090099182A (ko) * 2008-03-17 2009-09-22 이노건설주식회사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JP2012167468A (ja) * 2011-02-14 2012-09-06 Seiji Takechi 荷降ろし装置
KR20170043379A (ko) * 2015-10-13 2017-04-21 한국기계연구원 건물외벽 작업툴 및 이를 포함하는 곤돌라 유닛
KR101979236B1 (ko) * 2019-01-08 2019-05-1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조 승하강용 곤돌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922U (ko) * 1990-09-10 1992-04-21 황기주 간이 좌변기
JPH0566150U (ja) * 1992-02-14 1993-08-3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高所作業台
JPH0925719A (ja) * 1995-04-13 1997-01-28 Shimizu Corp 深礎用移設足場
KR19990008777A (ko) * 1997-07-03 1999-02-05 조규향 압력용기의 내부 이동용 리프트카 시스템
KR20090099182A (ko) * 2008-03-17 2009-09-22 이노건설주식회사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JP2012167468A (ja) * 2011-02-14 2012-09-06 Seiji Takechi 荷降ろし装置
KR20170043379A (ko) * 2015-10-13 2017-04-21 한국기계연구원 건물외벽 작업툴 및 이를 포함하는 곤돌라 유닛
KR101979236B1 (ko) * 2019-01-08 2019-05-16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조 승하강용 곤돌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381B1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877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struction site device and construction site device
KR100928870B1 (ko) 승강식 지주대
CN201679222U (zh) 双桅柱爬升工作平台
JPH0585681A (ja) エレベータホイストウエイ作業プラツトホー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構成部品の据付方法
JP5936869B2 (ja) 設備機器浸水対策システム
CN110761193B (zh) 索塔施工设备
KR20110137864A (ko) 건축공사용 리프트
CN113329965A (zh) 风力涡轮机和用于在风力涡轮机内运输货物的方法
CN102502378A (zh) 建筑施工中的爬升式电梯
WO2002095164A1 (fr) Procede de demolition de batiment
KR102392381B1 (ko) 무빙 플랫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설비
CN206273951U (zh) 附着式升降脚手架的起重装置
KR101796138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CN108675116B (zh) Pc构件的施工方法
KR100967174B1 (ko) 케이지 리프트
CN204532423U (zh) 回风井井筒应急抢险系统
CN116290764A (zh) 一种室内装修及外装工程用卷扬机施工工艺
CN210561720U (zh) 一种墩柱养护修补操作平台
KR102338934B1 (ko) 격납건물의 돔부 라이너플레이트 접근설비
CN111411624B (zh) 一种限高区域地下连续墙钢筋笼吊装方法
CN207513201U (zh) 一种屋面挑檐安装用移动装置
CN210655915U (zh) 爬架与吊塔连通装置
RU2482053C2 (ru) Башенный подъемный кран с пассажирским лифтом
CN206530037U (zh) 一种用于竖井施工的升降平台装置
CN217781885U (zh) 一种可满足水下快速钻孔的码头挂架施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