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02886A - skin care sheet - Google Patents

skin car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886A
KR20220002886A KR1020217032738A KR20217032738A KR20220002886A KR 20220002886 A KR20220002886 A KR 20220002886A KR 1020217032738 A KR1020217032738 A KR 1020217032738A KR 20217032738 A KR20217032738 A KR 20217032738A KR 20220002886 A KR20220002886 A KR 20220002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lotion
skin
sheet member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08088B1 (en
Inventor
이치로 와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0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를 제공한다. 스킨 케어 시트(1)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도포 영역 및 비도포 영역을 갖는 시트 부재(2)와, 도포 영역에 도포된 겔 로션(3)을 구비한다. 겔 로션은, 탄화수소 오일과 스킨 케어제를 포함한다. 시트 부재는,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가지며, 도포 영역에, 겔 로션을 갖는 복수의 겔 영역과, 겔 로션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을 갖는다. 스킨 케어 시트는, 장착자의 피부에 장착될 때 신장되면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Provided is a skin care sheet that can secure a desired installation time without causing itching of the skin. The skin care sheet 1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r a woven fabric, and includes a sheet member 2 having an application region and a non-application region, and a gel lotion 3 applied to the application region. Gel lotion contains hydrocarbon oil and skin care agent. The sheet member has air permeability and elasticity, and has, in the application region, a plurality of gel regions with gel lotion and non-gel regions without gel lotion. The skin care shee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while being stretched when mounted on the wearer's skin.

Description

스킨 케어 시트skin care sheet

본 발명은 스킨 케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care sheet.

스킨 케어에 이용되는 스킨 케어 시트가 알려져 있다. 스킨 케어 시트는, 시트 부재와, 그 시트 부재에 유지되는 스킨 케어제를 구비한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진 기재와, 겔로 구성된 겔층과, 겔의 일부가 기재에 침투하여 구성된 중간층을 가지며, 적어도 겔에 화장료 조성물이 유지되어 구성되며, 겔을 안면에 첩부하여 사용되는 시트형의 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스티렌과 디엔 화합물의 공중합체, 탄화수소, 탄소수 10∼25의 에스테르, 및 약효 성분이 혼합된 기제를 박리 시트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 A skin care sheet used for skin care is known. The skin care sheet includes a sheet member and a skin care agent held by the sheet member.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 substrate made of a nonwoven fabric or woven fabric, a gel layer composed of a gel, and an intermediate layer composed of a part of the gel permeating the substrate, and at least a cosmetic composition is maintained in the gel, and the gel is affixed to the face A sheet-like pack for use is disclosed. 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kin patch characterized in that a base containing a copolymer of styrene and a diene compound, a hydrocarbon, an ester having 10 to 25 carbon atoms, and a pharmaceutical ingredient is applied to a release sheet.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6193846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6193846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제2007-119405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119405

특허문헌 1의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로서 수용성의 겔을 이용하고 있다. 수용성의 겔은, 스킨 케어 시트를 피부에 장착한 직후부터, 피부의 체온에 의해 시트 부재로부터 증발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장착 시간이 길어지면 확실히 수용성 겔의 증발이 진행되어, 수용성의 겔에 의해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In the skin care sheet of Patent Document 1, a water-soluble gel is used as a skin care agent. The water-soluble gel starts to evaporate from the sheet member by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kin immediately after the skin care sheet is attached to the skin. Therefore, if the wearing time is prolonged, the evaporation of the water-soluble gel will surely proceed,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efficiency of moisturizing the skin by the water-soluble gel may decrease.

특허문헌 2의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로서 유성의 겔을 이용하고 있다. 유성의 겔은, 스킨 케어 시트를 피부에 장착한 후에 피부의 체온에 의해서도 시트 부재로부터 증발하기 어려워, 시트 부재에 오래 머무를 수 있다. 그러나, 유성의 겔은, 시트 부재의 피부 접촉면의 거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의 땀샘을 막기 쉬워, 땀샘으로부터 땀이 방출되더라도 그 땀이 빠져나갈 곳이 적다. 그러므로, 장착 시간이 길어지면, 확실히 유성의 겔과 피부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장착자는 스킨 케어 시트를 단시간에 제거할 수 밖에 없어, 원하는 장착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In the skin care sheet of Patent Document 2, an oily gel is used as a skin care agent. The oily gel hardly evaporates from the sheet member even by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kin after the skin care sheet is attached to the skin, so that it can stay on the sheet member for a long time. However, since the oily gel is disposed almost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kin-contacting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are easily blocked, and even if sweat is released from the sweat glands, there are few places where the sweat escapes. Therefore, if the wearing time is prolonged, there is a risk that sweat will certainly build up between the oily gel and the skin, causing itching or burning of the skin. In that case, the wearer has no choice but to remove the skin care sheet in a short time, and there is a fear that it may become difficult to secure a desired wearing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kin care sheet capable of securing a desired wearing time without causing skin itching or the like.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1)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도포 영역 및 비도포 영역을 갖는 시트 부재와, 상기 도포 영역에 도포된 겔 로션을 구비하는 스킨 케어 시트로서, 상기 겔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탄화수소 오일과,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도포 영역에, 상기 겔 로션을 갖는 복수의 겔 영역과, 상기 겔 로션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을 가지며, 상기 스킨 케어 시트는, 장착자의 피부에 장착될 때 신장되면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킨 케어 시트이다.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kin care sheet comprising (1) a sheet memb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r woven fabric, the sheet member having an application region and a non-application region, and a gel lotion applied to the application region, the gel lotion comprising: , a styrenic elastomer, a hydrocarbon oil, and a skin care agent, wherein the sheet member has breathability and elasticity, and in the application region, a plurality of gel regions having the gel lotion, and no gel lotion It has a non-gel area, and the skin care sheet is a skin care sheet configured to be mounted while being stretched when mounted on a wearer's skin.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는 소정 성분을 갖는 유성의 겔 로션을 이용하여, 통기성을 갖는 시트 부재의 도포 영역에, 겔 로션을 갖는 겔 영역과 겔 로션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In the present skin care sheet, a gel area with gel lotion and a non-gel area without gel lotion are formed in the application area of the sheet member having air permeability by using an oily gel lotion having a predetermined component including a skin care agent. are doing

이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는 유성의 겔 로션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겔 로션이 시트 부재로부터 증발하지 않고 그 표면에 오래 머무를 수 있고, 또한, 서방성이기 때문에, 스킨 케어제를 계속적으로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skin care sheet, since an oily gel lotion containing a skin care agent is used, the gel lotion can stay on the surface for a long time without evaporating from the sheet member, and because it is a sustained release, the skin care agent is continuously applied. can be supplied to the skin. Thereby, even if the wearing time is lengthened, it can suppress that the efficiency which moisturizes skin falls.

그와 더불어, 장착시에 있어서, 비겔 영역에는 유성의 겔 로션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겔 영역에 대향하는 피부(이하, 「비겔 대향 피부」라고도 함)의 땀샘은 겔 로션으로 덮이지 않는다. 따라서, 그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은, 비겔 영역과 비겔 대향 피부 사이의 영역에 방출되고, 그 후,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때, 스킨 케어 시트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신축성을 더 갖고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신장되면, 시트 부재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져,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땀은,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한편, 겔 영역에는 유성의 겔 로션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겔 영역에 대향하는 피부(이하, 「겔 대향 피부」라고도 함)의 땀샘은 겔 로션으로 덮여 있다. 그러나, 땀은, 예컨대 피부의 표면에서 어느 정도는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에 근접하는 비겔 대향 피부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의 땀샘이 겔 로션으로 덮여 있더라도, 겔 로션과 겔 대향 피부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자는 스킨 케어 시트를 단시간에 제거하지 않고, 원하는 시간동안 계속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no oily gel lotion is disposed on the non-gel area during wearing,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non-gel-facing skin") facing the non-gel area are not covered with the gel lotion. Accordingly, sweat released from the sweat glands can be discharged to the region between the non-gel region and the non-gel-facing skin, and then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gel region. At this time, since the skin care sheet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r a woven fabric and further has elasticity, when it is stretched during install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heet member becomes large, and air perme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by, sweat can more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gel region. On the other hand, since an oily gel lotion is disposed in the gel region,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gel-facing skin") facing the gel region are covered with the gel lotion. However, since sweat, for example, can diffuse to some extent on the surface of the skin, it can easily reach the non-gel-facing skin close to the gel-facing skin, and can escape out through the non-gel area. Thereby, even if the sweat glands of the gel-facing skin are covered with the gel lo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at sweat builds up between the gel lotion and the gel-facing skin, thereby causing itching or dryness of the skin. Therefore, the wearer can continue to put it on for a desired period of time without removing the skin care sheet in a short time.

이들에 의해,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b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kin care sheet that can easily secure a desired wearing time without causing skin itchiness or the like.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2) 겔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2) may be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1), wherein the gel lotion further contains a styrenic elastomer.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겔 로션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서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킨 케어제를 계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skin care sheet, since the gel lotion further contains a styrenic elastomer, sustained release properties can be improved, and the skin care agent can be continuously and stably supplied to the skin. Thereby, even if the wearing time is lengthened, it can suppress that the efficiency which moisturizes skin falls.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3) 상기 스킨 케어 시트의 10% 신장시의 상기 도포 영역의 통기도는 0.15∼0.5 KPa·s/m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3)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the above (1) or (2), wherein the air permeability of the application area at 10% elongation of the skin care sheet is 0.15 to 0.5 KPa·s/m good.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상기와 같이 통기도가 0.15∼0.5 KPa·s/m이기 때문에,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보다 확실하게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In this skin care shee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ir permeability is 0.15 to 0.5 KPa·s/m, sweat emitted from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can more reliably escape through the non-gel region.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4)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In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protrudes out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from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may be used.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피부(겔 대향 피부)에 접촉했을 때, 겔 로션이 돌출된 두께만큼 비겔 영역의 시트 부재가 피부(비겔 대향 피부)로부터 부상하여, 비겔 영역의 시트 부재와 피부(비겔 대향 피부) 사이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보다 효율적으로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kin care sheet, the gel lotion in a plurality of gel regions protrude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herefore, when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area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gel-facing skin), the sheet member in the non-gel area rises from the skin (non-gel-facing skin) by the thickness at which the gel lotion protrudes, so that the sheet member in the non-gel area and the sheet member in the non-gel area are raised. The area between the skin (non-gel-facing skin) can be widened. Thereby, sweat emitted from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can more efficiently escape through the non-gel region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5)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는 상기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In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permeates from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to the in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may be used.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겔 영역의 구성 섬유는 겔 로션에 의해 대략 고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킨 케어 시트가 장착시에 신장될 때, 복수의 겔 영역은, 겔 로션에 신장이 저해되어 상대적으로 작게 신장하고, 비겔 영역은 겔 로션에 신장이 저해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크게 신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겔 로션이 존재하지 않는 시트 부재를 동일하게 신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겔 영역을 그다지 신장할 수 없게 하여, 비겔 영역을 보다 크게 신장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에서의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비겔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kin care sheet, the gel lotion in a plurality of gel regions permeates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gel region are approximately fixed by the gel lotion. Therefore, when the skin care sheet is stretched at the time of mounting,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can be elongated relatively small due to the inhibition of elongation by the gel lotion, and the non-gel regions can be elongated relatively large because elongation is not inhibited by the gel lotion. .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heet member without the gel lotion is stretched equally, the gel region cannot be stretched much, and the non-gel region can be stretched larger. Thereby,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in the non-gel region can be made larger, and the air permeability per unit area in the non-gel region can be further improved. Accordingly, sweat emitted from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can be more efficien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gel region.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6)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하고 있는 상기 (5)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In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penetrates from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sheet mem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5) above may be used.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의 도중의 위치까지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겔 영역의 각각의 구성 섬유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겔 로션이 도포된 표면(이하, 「도포 표면」이라고도 함)측의 부분은 겔 로션에 의해 대략 고정되고, 겔 로션이 도포되지 않은 표면(이하, 「비도포 표면」이라고도 함)측의 부분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스킨 케어 시트가 장착시에 신장될 때, 두께 방향에 있어서, 비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그 전체가 신장할 수 있고, 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비겔 영역은 신장할 수 있지만, 겔 영역은 겔 로션에 의해 신장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신장의 정도(단, 비겔 영역)가 높아지고,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져, 섬유 밀도가 낮아진다. 한편, 비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신장의 정도가 그다지 높지 않고,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그다지 커지지 않아, 섬유 밀도는 그다지 낮아지지 않는다. 즉, 비겔 영역에서는,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도포 표면으로부터 비도포 표면으로 갈수록 섬유 밀도가 높아진다. 그것에 의해, 도포 표면의 비겔 영역에 도달한 땀이 액상이 되었다 하더라도, 섬유 밀도의 구배에 의해, 도포 표면으로부터 비도포 표면으로 이행할 수 있고, 비도포 표면의 외측의 공기에 닿아 용이하게 증발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kin care sheet, the gel lotion in a plurality of gel regions permeates from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an intermediate position inside the sheet member. Accordingly, in each of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portion on the surfa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pplication surface”) on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is substantially fixed by the gel lotion, and the gel lotion is applied. The part on the side of the uncoated surfac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non-coated surface") is not fixed. Therefore, when the skin care sheet is stretched at the time of moun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entirety can be stretched in the portion on the non-applied surface side, and the non-gel region can be stretched in the portion on the application surface side, but the gel region is It is difficult to stretch with a gel lotion. Accordingly, in the portion on the application surface side, the degree of elongation (however, the non-gel region)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increases, and the fiber density decre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portion on the uncoated surface side, the degree of elongation is not so high,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is not relatively large, and the fiber density is not so low. That is, in the non-gel region, the fiber density increases from the coated surface to the non-coated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As a result, even if the sweat that has reached the non-gel region of the coated surface becomes liquid, it can migrate from the coated surface to the uncoated surface due to the gradient of the fiber density, and can easily evaporate in contact with the air outside the uncoated surface. can Accordingly, sweat emitted from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can be more efficien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gel region.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7)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을 시인할 수 있는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In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he sheet memb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from a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6) may be used.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이 시트 부재의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의 투명도가 복수의 겔 영역과 비겔 영역에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시트 부재의 다른쪽의 표면측으로부터 복수의 겔 영역을 시인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스킨 케어 시트를 피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스킨 케어 시트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kin care sheet, since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penetrates inward from on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he transparency of the sheet member is different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and non-gel regions. Therefore, a plurality of gel regions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heet member. Thereby, the skin care sheet can be arrange|positioned at the appropriate position of skin. Thereby, the skin care sheet can be stably hold|maintained on skin,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in a non-gel area|region.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8)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상기 도포 영역에 아일랜드형 또는 라인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In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y one of (1) to (7) above,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island shape or a line shape in the application region in a plan view.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paragraphs may be used.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각 겔 영역이 아일랜드형 또는 라인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이 각 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고 있다. 그 때문에, 겔 대향 피부로부터 방출된 땀은, 예컨대 피부 위에서 확산되어 겔 대향 피부에 둘러싸도록 근접하는 비겔 대향 피부에 보다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비겔 영역을 통해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의 땀샘이 겔 로션으로 덮여 있더라도, 겔 로션과 겔 대향 피부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kin care sheet, the respective gel region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island shape or a line shape, whereby the non-gel regions surround part or all of each gel region. For this reason, sweat emitted from the gel-facing skin can more easily reach the non-gel-facing skin adjacent to, for example, diffuse over the skin and surround the gel-facing skin, and can more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gel region. have. Thereby, even if the sweat glands of the gel-facing skin are covered with the gel lo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suppress that sweat builds up between the gel lotion and the gel-facing skin, thereby causing itching or erosion of the skin.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9) 평면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30∼95%인 상기 (1) 내지 (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above, wherein (9)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to the area of the sheet member in a plan view is 30 to 95%. The described skin care sheet may be used.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상기와 같이 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이 30∼95%이다. 그 때문에, 복수의 겔 영역의 겔 로션에 의한 시트 부재의 피부에 대한 점착과, 비겔 영역에 의한 통기성의 확보를 적당하게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스킨 케어 시트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skin care sheet, as described above,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gel region is 30 to 9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perly balance the adhesion of the sheet member to the skin by the gel lotion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and the securing of air permeability by the non-gel region. Thereby, the skin care sheet can be stably hold|maintained on skin,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in a non-gel area|region.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10) 상기 스킨 케어 시트는 페이스 스킨 케어 시트이며, 상기 페이스 스킨 케어 시트는, 상기 시트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주변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겔 로션의 평량은, 상기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겔 로션의 평량보다 많은 상기 (1) 내지 (9)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킨 케어 시트이어도 좋다. The skin car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10) the skin care sheet is a face skin care sheet, the face skin care sheet having at least one opening in the sheet member, The skin car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wherein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per unit area is greater than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per unit area in regions other than the peripheral region.

본 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개구부의 주변 영역에서의 겔 로션의 평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시트 부재가 피부로부터 떨어지기 쉬운 개구부의 주변 영역의 점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스킨 케어 시트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skin care sheet,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opening is relatively increased. For this reason, the adhesiveness of the peripheral area|region of the opening part where a sheet member easily comes off from skin can be improved. Thereby, the skin care sheet can be stably hold|maintained on skin,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in a non-gel area|region.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skin care sheet which can ensure the desired installation time without inducing skin itchiness etc. can be provided.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및 부분 배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장착시의 땀의 이동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장착시의 신축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및 부분 배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face mask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rear view which show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face mask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wearing state of the face mask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movement of the sweat at the time of wearing of the face mask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expansion-contraction state at the time of mounting|wearing of the face mask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other structural example of the face mask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rear view showing another structural example of the fac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킨 케어 시트에 관해, 안면(의 팩)용의 페이스 마스크(이하, 단순히 「페이스 마스크」라고도 함)를 예로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주제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스킨 케어 시트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스킨 케어 시트로는, 안면 전체뿐만 아니라 안면의 부분(예시: 눈가, 코, 입가)이나, 신체의 부위(예시: 팔, 손, 복부, 목, 흉부, 데콜테, 발)용의 스킨 케어 시트를 들 수 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bout the skin care sheet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e face mask (henceforth simply referred to as a "face mask") for the face (pack)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However,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It can apply with respect to various skin care sheets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bject of this invention. For skin care sheets, skin care sheets for not only the entire face, but also parts of the face (eg, around the eyes, nose, mouth) and body parts (eg, arms, hands, abdomen, neck, chest, décolleté, feet) can be heard

도 1 및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은 페이스 마스크(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1의 페이스 마스크(1)의 부분 배면도이며, 도 2의 (a)는 도 2의 (b)의 IIa-IIa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페이스 마스크(1)는,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L)과 가로 방향(W)과 두께 방향(T)을 갖는다. 평면상에 놓은 페이스 마스크(1)를 그 평면의 수직 상측으로부터 두께 방향(T)으로 보는 것을 「평면시」라고 하고, 평면시에서 파악되는 형상을 「평면 형상」이라고 하고, 세로 방향(L) 및 가로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임의 방향을 「면내 방향」이라고 한다.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란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시에, 페이스 마스크(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장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 및 먼 쪽을 각각 의미한다.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face mask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 :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al example of the face mask 1, FIG. 2(b) is a partial rear view of the face mask 1 of FIG. 1, (a) is FIG. 2(b) )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IIa-IIa line. The face mask 1 has a vertical direction L, a horizontal direction W, and a thickness direction T that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Viewing the face mask 1 placed on a plan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from the vertical upper side of the plane is called "planar view", the shape grasped in planar view is called "planar shape", and the vertical direction (L) and an arbitrary direction in a plane including the lateral direction W is called an "in-plane direction". "Skin side" and "non-skin side" mean the side relatively close to and farther from the wearer's skin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face mask 1 at the time of wearing the face mask 1, respectively. .

페이스 마스크(1)는, 시트 부재(2)와, 시트 부재(2)에 도포된 겔 로션(3)을 구비한다. 겔 로션(3)은 스킨 케어에 기여하는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있다. The face mask 1 includes a sheet member 2 and a gel lotion 3 applied to the sheet member 2 . The gel lotion 3 contains a skin care agent that contributes to skin care.

시트 부재(2)는, 한쪽의 면인 제1면(S1)과, 제1면(S1)과는 반대측의 다른쪽의 면인 제2면(S2)을 갖고 있다. 제1면(S1)은 겔 로션(3)이 도포된 면이다. 제2면(S2)은 겔 로션(3)이 도포되지 않은 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2)의 형상은, 사용자의 안면을 덮을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페이스 마스크의 형상을 이용할 수 있다. 혹은, 시트 부재(2)의 형상은, 예컨대 삼차원의 안면을 이차원의 평면으로 전개한 형상이나, 타원 형상,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좋다. 시트 부재(2)에는 복수의 개구부(4a∼4d)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개구부(4a, 4a)는 오른쪽 눈 및 왼쪽 눈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개구부(4b)는 콧구멍의 위치에 절개선으로서 형성되고, 개구부(4c)는 입의 위치에 형성되고, 2개의 개구부(4d, 4d)는 오른쪽 귀 및 왼쪽 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 부재(2)의 형상이나, 복수의 개구부(4a∼4d)의 위치나 형상에 관해서는, 페이스 마스크(1)의 사용자로서 상정되는 인물의 평균적인 안면의 형상이나 귀, 눈, 코, 입의 형상이나 위치 등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구부(4a∼4d)의 적어도 하나는 적절하게 생략해도 좋다. The sheet member 2 has a first surface S1 that is one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S2 that is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S1. The first surface S1 is a surface on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The second surface S2 is a surface on which the gel lotion 3 is not applied.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sheet member 2 will not be restrict|limited in particular as long as it can cover a user's face, A well-known shape of a face mask can be used. Alternatively, the shape of the sheet member 2 may be, for example, a shap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face is developed in a two-dimensional plane, an oval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A plurality of openings 4a to 4d are formed in the sheet member 2 . Two openings 4a and 4a are formed at the positions of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respectively, the opening 4b is formed as an incision at the position of the nostril, the opening 4c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mouth, 2 The dog openings 4d and 4d are formed at the positions of the right and left ears. Regarding the shape of the sheet member 2 and the positions and shapes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4a to 4d, the average facial shape and ears, eyes, nose, and mouth of a person assumed as the user of the face mask 1 are It can be appropriately designed based on the shape or location of Note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4a to 4d may be omitted as appropriate.

시트 부재(2)는, 도포 영역(AT)과 비도포 영역(AU)을 갖는다. 도포 영역(AT)은,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시에 스킨 케어의 대상이 되는 피부에 대향하고, 겔 로션(3)이 도포되는 영역이다. 도포 영역(AT)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에서의, 가로 방향(W)의 안면의 중앙부 영역, 즉 대략 오른쪽 볼의 외연으로부터 왼쪽 볼의 외연과의 사이의 부분을 덮는 영역이다. 비도포 영역(AU)은,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시에 스킨 케어의 대상이 되지 않는 피부에 대향하고, 겔 로션(3)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이며, 따라서 시트 부재(2)에서의 도포 영역(AT) 이외의 영역이다. 비도포 영역(AU)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에서의, 안면의 양쪽 단부의 영역, 즉 대략 오른쪽 귀 및 왼쪽 귀의 주변 부분을 덮는 영역이며, 도포 영역(AT)의 가로 방향(W)의 양 외측의 영역이다. 또, 비도포 영역(AU)은, 실질적으로 면적 제로(0)의 비도포 영역(AU)이어도 좋다. 도포 영역(AT)의 면적은, 예컨대 시트 부재(2)의 면적의 30∼95%를 들 수 있고, 50∼90%가 바람직하다.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스킨 케어의 효율이 낮아지고, 지나치게 크면 핸들링이 어려워진다. The sheet member 2 has an application area|region AT and non-application area|region A U. The application region AT is a region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while facing the skin to be subjected to skin care when the face mask 1 is mounted. The application area 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in the sheet member 2 , the central area of the fa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that is, approximately from the outer edge of the right cheek to the left cheek. This is the area that covers the part between the outer margin and the outer margin. The non-applied area A U is an area that faces the skin that is not subjected to skin care when the face mask 1 is mounted, and is an area where the gel lotion 3 is not applied, and thus It is an area|region other than application|coating area|region AT. The non-applied area A U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in the sheet member 2 , the area at both ends of the face, that is, the area approximately covering the peripheral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ears. , are regions on both sides of the application region A 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Moreover, the non-coated area| region A U may be substantially non-coated area|region A U of area zero (0). As for the area of application|coating area|region AT , 30 to 95% of the area of the sheet member 2 is mentioned, for example, 50 to 90% of the area is preferable. If the area is too small, the efficiency of skin care becomes low, and if it is too large, handling becomes difficult.

시트 부재(2)는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직포나 부직포의 재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화학 섬유를 들 수 있지만, 천연 섬유이어도 좋다. 화학 섬유로는,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섬유로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의 공지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수지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섬유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단섬유, 심초형 섬유, 사이드·바이·사이드형 섬유, 섬/바다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 중공 타입의 섬유; 편평, Y자형, C자형 등의 이형 단면형 섬유; 잠재 권축 또는 현재 권축의 입체 권축 섬유 ; 수류, 열, 엠보스 가공 등의 물리적 부하에 의해 분할하는 분할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섬유를 병용해도 좋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일 수 있고, 그리고 친수화제에 의해 친수화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수성 섬유로서, PE/PP 심초형 복합 섬유와 PE/PET 심초형 복합 섬유를 소정비(예시: 85∼65:15∼35)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천연 섬유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섬유로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섬유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코튼과 같은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과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펄프 섬유와 같은 정제 셀룰로오스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와 같은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The sheet member 2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r a woven fabric. The material for the woven fabric or nonwoven fabri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hemical fibers, but may be natural fibers. As a chemical fiber, a thermoplastic resin fiber is mentioned, for example. There is no restriction|limiting in particular as a thermoplastic resin fiber, if it is a fiber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olefin-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and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lactic acid (PLA). Well-known resin, such as polyamide-type resin, such as resin and 6-nylon, is mentioned. These resins may be used independently and may use 2 or more types of resin together.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fiber made of such a thermoplast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short fibers, core-sheath fibers, side-by-side fibers, and conjugate fibers such as island/sea fibers; hollow fiber; irregular cross-sectional fibers such as flat, Y-shaped, and C-shaped; three-dimensional crimped fibers of latent crimp or current crimp; and split fibers divided by physical loads such as water flow, heat, and embossing. The fibers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of fib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se thermoplastic resin fibers may be hydrophilic or hydrophobic, and may be hydrophilized with a hydrophilizing ag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hydrophobic fibers, PE/PP core-sheath composite fibers and PE/PET core-sheath composite fibers are mixed and used in a predetermined ratio (eg, 85 to 65:15 to 35). Examples of natural fibers include cellulose fibers. The cellulosic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er containing cellulose, and examples include natural cellulose fibers such as cotton, regenerated cellulose fibers such as rayon, refined cellulose fibers such as pulp fibers, and semisynthetic cellulose fibers such as acetate fibers. have.

부직포의 형성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웨브를 에어스루법, 서멀본딩법, 니들펀치법, 케미컬본딩법, 스펀레이스법 등의 방법으로 구성 섬유끼리 결합·교락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The method for forming the nonwoven fabri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ethods such as a card method, a spun bond method, a melt blown method, and an air-laid method can be used. In addition, a method of bonding and entangling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web formed by this method by methods such as an air-through method, a thermal bonding method, a needle punch method, a chemical bonding method, and a spunlace method is exemplified.

시트 부재(2)의 섬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8∼15 dtex를 들 수 있다. 시트 부재(2)의 구성 섬유의 섬유 길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5∼100 mm를 들 수 있다. 시트 부재(2)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0∼200 g/㎡를 들 수 있다. 시트 부재(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0.1∼5 mm를 들 수 있다. The fineness in particular of the sheet member 2 is not restrict|limited, For example, 0.8-15 dtex is mentioned. The fiber length of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sheet membe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5 to 100 mm. The basis weight in particular of the sheet member 2 is not restrict|limited, For example, 10-200 g/m<2> is mentioned. The thickness in particular of the sheet member 2 is not restrict|limited, For example, 0.1-5 mm is mentioned.

시트 부재(2)는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갖고 있다. The sheet member 2 has elasticity and air permeability.

신축성으로는, 예컨대 시트 부재(2)의 제조시의 반송 방향(MD)에서의 최대점 신도는 110∼180%, 횡단 방향(CD)에서의 최대점 신도는 150∼350%를 들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시트 부재(2)의 제조시의 반송 방향(MD)에서의 최대점 강도는 20∼100 N/50 mm, 횡단 방향(CD)에서의 최대점 강도는 100∼200 N/50 mm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2)를 가로 방향(W)으로 신장시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여, 시트 부재(2)의 제조시의 횡단 방향(CD)이 시트 부재(2)의 제품시의 가로 방향(W)이 되도록 하여 페이스 마스크(1)를 형성한다. As the elasticity, for example, the maximum point elongation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heet member 2 is 110 to 180%, and the maximum point elonga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D is 150 to 350%. Further, for example, when the sheet member 2 is manufactured, the maximum point strength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is 20 to 100 N/50 mm, and the maximum point str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D is 100 to 200 N/50 mm. can be heard 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sheet member 2 is exten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and use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C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heet member 2 is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sheet member 2 . The face mask 1 is formed so as to be in the direction W.

또한, 통기성으로는, 시트 부재(2)에 겔 로션(3)이 도포된 상태(후술)로 시트 부재(2)를 10% 신장했을 때, 겔 로션(3)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비겔 영역(BU): 후술)의 통기도는, 예컨대 0.05∼0.15 KPa·s/m을 들 수 있다. 또한, 겔 로션(3)이 도포되어 있는 영역(겔 영역(BG): 후술)의 통기도는, 예컨대 0.5∼0.7 KPa·s/m을 들 수 있다. 겔 로션(3)이 도포되어 있는 영역(겔 영역(BG))과 도포되지 않은 영역(비겔 영역(BU))이 혼재하는 영역(도포 영역(AT): 후술)의 통기도는, 예컨대 0.15∼0.5 KPa·s/m을 들 수 있다. In terms of air permeability, when the sheet member 2 is stretched by 10% in a state in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to the sheet member 2 (described later), the area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not applied (non-gel area) As for the air permeability of (B U ): mentioned later), 0.05-0.15 KPa*s/m is mentioned, for example. In addition, gel lotion 3 are regions in the coating: the air permeability (gel region (G B) described below), there may be mentioned, for example from 0.5 to 0.7 the KPa · s / m. The air permeability of a region (application region AT : to be described later) in which a region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gel region B G ) and a region not to be applied (non-gel region B U ) coexist is, for example, 0.15-0.5 KPa·s/m is mentioned.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페이스 마스크(1)의 사용자(P)는, 시트 부재(2)를 주로 가로 방향(W)으로 신장하면서, 겔 로션(3)이 도포된 제1면(S1)이 피부로 향하도록 하여 안면에 얹고, 오른쪽 귀 및 왼쪽 귀를 각각 2개의 개구부(4d, 4d)에 삽입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1)를 안면에 장착한다. 3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wearing state of the face mask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The user P of the face mask 1 stretches the sheet member 2 main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and puts the first surface S1 on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to the skin to face the face. The face mask 1 is mounted on the face by putting it on and inserting the right ear and the left ear into the two openings 4d and 4d, respectively.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에 도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겔 로션(3)은, 도포 영역(AT)인 시트 부재(2)의 제1면(S1)에서의 스킨 케어의 대상이 되는 피부에 대향하는 영역, 즉 안면의 중앙부의 영역이며, 즉 대략 오른쪽 볼의 외연으로부터 왼쪽 볼의 외연과의 사이의 부분을 덮는 영역에 도포되어 있다. The gel lotion 3 is applied to the application area AT of the sheet member 2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l lotion 3 is applied to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which is the application area AT , in a region facing the skin to be treated, that i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ace. It is an area|region, that is, it apply|coated to the area|region which substantially covers the part between the outer edge of a right cheek and the outer edge of a left cheek.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는, 도포 영역(AT)에, 겔 로션(3)을 갖는 복수의 겔 영역(BG)과, 겔 로션(3)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BU)을 갖고 있다. 즉,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에서의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에,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평면 형상으로 도포되고, 도포 영역(AT)에서의 비겔 영역(BU)에 도포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겔 로션(3)의 스킨 케어제는, 겔 영역(BG)이 피부에 접함으로써 겔 영역(BG)으로부터 피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그것에 더하여, 그 스킨 케어제는 겔 영역(BG)으로부터 시트 부재(2) 내에서 면내 방향으로 확산되어 비겔 영역(BU)에 도달하고, 거기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부에 공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sheet member 2 has, in the application region A T , a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having the gel lotion 3 and a non-gel region without the gel lotion 3 . It has (B U ). That is, the gel lotion 3 is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areas B G in the application area A T of the sheet member 2 in the planar sha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areas B G . and is arranged so as not to be applied to the non-gel area B U in the application area AT . However, the skin care agent of the gel moisturizer (3) is supplied to the skin region from the gel (G B) by contact with the gel region (G B) skin. And, in addition to that, the skin care agent diffuses in the in-plane direction within the sheet member 2 from the gel region B G to reach the non-gel region B U , and can be supplied to the skin directly or indirectly therefrom. have.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아일런드(섬)형 또는 라인(선)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비겔 영역(BU)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비겔 영역(BU)은, 평면시에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에 관해, 각 겔 영역(BG)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접하도록 둘러싸고 있고, 통기성의 관점에서는, 전부에 접하도록 둘러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일랜드형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원형, 타원형, 정방형, 직사각형, 다각형, 하트형, 꽃모양, 나뭇잎 모양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라인형의 형상은, 소정 폭을 가지며, 소정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장된 직선, 곡선, 파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형상은, 서로 동일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달라도 좋고, 아일랜드형의 형상과 라인형의 형상이 혼합되어도 좋다. 형상이나 그 크기(면적)나 조합 등은, 페이스 마스크(1)의 겔 로션(3)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사용자가 기억하는 인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arranged in an island (island) shape or a line (line) shape in the application region AT in plan view,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non-gel area|region B U is formed so that each of the some gel area|region B G may be enclosed in the application area|region AT in planar view. The non-gel region B U surrounds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n plan view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r all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each gel region B G , and in terms of air permeability, It is preferable to surroun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whole. Here, the shape of the isl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circle, an oval, a square, a rectangle, a polygon, a heart, a flower, a leaf,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linear shape includes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 broken line, or a combination thereof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extending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Each shape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some or all of them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n island shape and a line shape may be mixed. The shape, size (area), combination, and the like ar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required for the gel lotion 3 of the face mask 1, the impression that the user remembers, and the like.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에 있어서, 가장 근접한 겔 영역(BG)의 서로의 간격(최단 거리)은, 예컨대 0.2∼10 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5 mm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 mm를 들 수 있다. 제2 근접의 겔 영역(BG)의 서로의 간격(최단 거리)은, 예컨대 0.4∼20 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8∼10 mm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mm를 들 수 있다. 간격이 지나치게 좁으면,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비겔 영역(BU))의 통기성을 높이기 어려워지고, 간격이 지나치게 넓으면, 겔 로션(3)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가 낮아진다. In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 the interval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losest gel regions B G is, for example, 0.2 to 10 mm, preferably 0.4 to 5 mm. , and more preferably 0.8 to 2 mm. The distanc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djacent gel regions B G is, for example, 0.4 to 20 mm, preferably 0.8 to 10 mm, more preferably 1 to 8 mm. can be heard If the interval is too narrow, it becomes difficult to increas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region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non-gel region B U ), and if the interval is too wide, skin care with the gel lotion 3 . the effect is lowered.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면적은, 예컨대 1 ㎟∼9 ㎠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4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 ㎟∼1 ㎠이다.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겔 로션(3)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가 낮아지고, 면적이 지나치게 크면,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비겔 영역(BU))의 통기성을 높이기 어려워진다. Each area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for example, 1 mm 2 to 9 cm 2 , preferably 4 mm 2 to 4 cm 2 , more preferably 9 mm 2 to 1 cm 2 . If the area is too small, the skin care effect of the gel lotion 3 is lowered, and if the area is too larg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area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areas B G (non-gel area B U ) is reduced. difficult to raise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각 겔 영역(BG)이 임의의 제1 방향(예시: 세로 방향(L))으로 제1 간격을 두고(또는 간격을 두지 않고) 열을 이뤄 나열되고, 또한, 각 열이 제1 방향과는 수직인 제2 방향(예시: 가로 방향(W))으로 제2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도 좋다. 그와 같은 배열로는, 예컨대, 겔 영역(BG)이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경우, 바둑판 무늬(체커)형이나 스트라이프형을 들 수 있다.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은, 예컨대 0.2 mm∼2 cm을 들 수 있고, 0.4 mm∼1 cm이 바람직하고, 0.8 mm∼1 cm이 보다 바람직하다. 간격이 지나치게 좁으면,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비겔 영역(BU))의 통기성을 높이기 어려워지고, 간격이 지나치게 넓으면, 겔 로션(3)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가 낮아진다.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arranged such that each gel region B G is first spaced (or not spaced apart) in a first arbitrary direction (eg, longitudinal direction L). They may be arranged in a row, and each row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t a second interval in a second direction (eg, the horizontal direction W)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s such an arrangement, for example, when the gel regions B G have the same shape, a checkerboard pattern (checker) shape or a stripe shape is exemplified. As for the 1st space|interval and 2nd space|interval, 0.2 mm - 2 cm are mentioned, for example, 0.4 mm - 1 cm are preferable, and 0.8 mm - 1 cm are more preferable. If the interval is too narrow, it becomes difficult to increas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region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non-gel region B U ), and if the interval is too wide, skin care with the gel lotion 3 . the effect is lowered.

또, 평면시에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일부가 서로 연결되어 복수의 겔 영역(BG)을 그룹화해도 좋고, 대응하여, 비겔 영역(BU)은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도 좋다. 비겔 영역(BU)은, 평면시에서, 각 겔 영역(BG)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에 접하도록 둘러싸는 것 뿐만 아니라, 각 겔 영역(BG)의 외주 가장자리의 일부에 접하도록 하여 겔 영역(BG)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 좋다. 또 간격은 최단 거리로 측정하는 것으로 하고, 겔 영역(BG)의 형상이 부정형 등으로 서로의 거리 등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 겔 영역(BG)을, 그 무게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일 면적의 원에 근사한 것으로 한다. Further, in plan view, some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group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 and correspondingly, the non-gel region B U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 The non- gel region B U not only surrounds the entire outer peripheral edge of each gel region B G in a plan view, but also come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each gel region B G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el region. (B G ) may be partially surrounded. In addition, the distance shall be measured by the shortest distance, and when the shape of the gel region (B G ) is irregular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cannot be specified, the gel region (B G ) is the same centered on the center of gravity. It is assumed to be approximate to a circle of area.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바둑판 무늬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 경우, 겔 영역(BG)은 대략 정방형(예시: 한 변은 3∼10 mm)이며, 가장 근접한 겔 영역(BG)의 정방형의 모서리끼리는 서로 미세한 거리(예시: 0.8∼2 mm)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로션(3)에 의한 스킨 케어 효과와,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의 사이의 영역(비겔 영역(BU))의 통기성의 밸런스를 적정하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checkerboard pattern in the application region AT in plan view. In that case, the gel region (B G ) is approximately square (eg, 3 to 10 mm on one side), and the square corners of the closest gel region (B G ) are separated by a small distance from each other (eg, 0.8 to 2 mm). are spaced apart Thereby, the skin care effect of the gel lotion 3 and the air permeability of the area| region (non-gel area|region B U ) between each of the some gel area|regions B G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시에서의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의 면적에 대한 복수의 겔 영역(BG)의 면적의 비율 R1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페이스 마스크(1)의 겔 로션(3)에 요구되는 기능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 비율 R1은, 예컨대 30∼80%를 들 수 있고, 35∼70%가 바람직하다. 이들에 대응하여,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의 면적에 대한 비겔 영역(BU)의 면적의 비율 R2는, 예컨대 70∼20%를 들 수 있고, 65∼30%가 바람직하다. R1이 작으면(R2가 크면), 겔 영역(BG)에서의 겔 로션(3)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R1이 크면(R2가 작으면), 비겔 영역(BU)이 작아져 땀을 통기시키기 어려워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atio R1 of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to the area of the application region AT of the sheet member 2 in a plan view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face mask 1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functions required for the gel lotion 3 of the As for the ratio R1, 30 to 80 % is mentioned, for example, 35 to 70 % is preferable. Corresponding to these, the ratio R2 of the area of the non-gel region B U to the area of the application region AT of the sheet member 2 is, for example, 70 to 20%, preferably 65 to 30%. do. When R1 is small (when R2 is large), it is difficult to exert the function of the gel lotion 3 in the gel region (B G ), and when R1 is large (when R2 is small), the non-gel region (B U ) becomes small and sweat becomes difficult to ventilate.

본 실시형태에서는, 겔 로션(3)의 평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페이스 마스크(1)의 겔 로션(3)에 요구되는 기능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겔 로션(3)의 평량은, 예컨대 50∼500 g/㎡를 들 수 있고, 100∼400 g/㎡이 바람직하다. 평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겔 영역(BG)에서의 겔 로션(3)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평량이 지나치게 크면, 비겔 영역(BU)이 작아져 땀을 통기시키기 어려워진다. 겔 로션(3)의 두께 dM은, 예컨대 0.1∼6 mm를 들 수 있고, 0.2∼4 mm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얇으면, 장시간 스킨 케어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두께가 두꺼우면, 겔 로션(3)이 지나치게 많아 끈적함 등이 생길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functions required for the gel lotion 3 of the face mask 1 or the like.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3 is, for example, 50 to 500 g/m 2 , preferably 100 to 400 g/m 2 . When the basis weight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exert the function of the gel lotion 3 in the gel region B G , and when the basis weight is too large, the non-gel region B U becomes small, making it difficult to permeate sweat. The thickness d M of the gel lotion 3 is, for example, 0.1 to 6 mm, preferably 0.2 to 4 mm. When the thickness is thin, it is difficult to exert a skin care effect for a long time, and when the thickness is thick, the gel lotion 3 is excessively large, and stickiness or the like may occur.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BG)에서의 겔 로션(3)은, 겔 로션(3)이 도포된 시트 부재(2)의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의 제1면(S1)으로부터 두께 방향(T)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a)를 포함한다. 돌출부(3a)의 두께 dK>0이다. 돌출부(3a)는, 페이스 마스크(1)를 안면에 장착했을 때, 시트 부재(2)의 제1면(S1)과 안면의 피부 사이에 미세하게나마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두께 dK의 크기로는, 시트 부재(2)의 두께 dM 이하의 조건으로, 예컨대 0.05∼3 mm를 들 수 있고, 0.1∼2 mm이 바람직하다. 혹은, 시트 부재(2)의 두께 dM에 대한 두께 dK의 비율로는, 20∼90%를 들 수 있고, 30∼80%가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얇으면(지나치게 작으면), 비겔 영역(BU)에서의 땀의 통기가 어려워진다. 지나치게 두꺼우면(지나치게 크면), 비겔 영역(BU)에서의 땀의 통기는 용이하지만,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 내에서 비겔 영역(BU)에 확산되더라도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l lotion 3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applied from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It protrudes out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at is, the gel lotion 3 includes the protrusion 3a protruding out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from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3a is d K >0. When the face mask 1 is mounted on the face, the protrusion 3a can form a small gap between the first 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and the skin of the face. The size of the thickness d K is, for example, 0.05 to 3 mm, preferably 0.1 to 2 mm, under the condition of the thickness d M of the sheet member 2 or less. Alternatively, the ratio of the thickness d K to the thickness d M of the sheet member 2 is 20 to 90%, preferably 30 to 80%. If it is too thin (too small), ventilation of sweat in the non- gel area B U becomes difficult. If it is too thick (too large), permeation of sweat in the non-gel area B U is easy, but even if the gel lotion 3 diffuses into the non-gel area B U within the sheet member 2 , it is difficult to contact the skin. it gets difficult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은, 겔 로션(3)이 도포된 시트 부재(2)의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바람직하게는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의 제1면(S1)으로부터 두께 방향(T)의 내측으로 침투한 침투부(3b)를 포함한다. 침투부(3b)의 두께 dL>0이다. 두께 dL을 두껍게 하면, 침투부(3b)는, 페이스 마스크(1)가 신장되면서 안면에 장착되었을 때, 겔 영역(BG)의 구성 섬유를 겔 영역(BG)에 고정하여, 겔 영역(BG)의 구성 섬유가 그다지 신축하지 않고, 비겔 영역(BU)의 구성 섬유를 보다 신축할 수 있다. 한편, 두께 dL을 얇게 하면, 시트 부재(2)에서의 제1면(S1)측의 부분과 제2면(S2)측의 부분에서, 구성 섬유의 섬유 밀도의 차가 생길 수 있다. 두께 dL의 크기로는, 시트 부재(2)의 두께 dM 이하의 조건으로, 예컨대, 0.05∼4 mm를 들 수 있고, 0.1∼2 mm이 바람직하다. 혹은, 시트 부재(2)의 두께 dM에 대한 두께 dL의 비율로는, 10∼80%를 들 수 있고, 20∼70%가 바람직하다. 지나치게 얇으면(지나치게 작으면) 겔 로션(3)의 스킨 케어제를 시트 부재(2)에서 비겔 영역(BU)에 확산시키기 어려워져, 비겔 영역(BU)으로부터 비겔 영역(BU)에 대향하는 피부에 스킨 케어제를 공급하기 어려워지고, 지나치게 두꺼우면(지나치게 크면) 시트 부재(2)의 제2면(S2)측으로 새기 쉬워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l lotion 3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has a thickness of the sheet member 2 from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It permeates to the inside of the direction T, Preferably it permeates to the middle of the inside of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heet member 2 . Accordingly, the gel lotion 3 includes the penetrating portion 3b penetrating in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from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 The thickness d L> 0 of the penetrating portion 3b. When the thickness d L is thickened, the penetrating portion 3b fixes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gel region B G to the gel region B G when the face mask 1 is stretched and mounted on the face, thereby forming the gel region. The constituent fibers of (B G ) do not expand and contract much, and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non-gel region (B U ) can be stretched more.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d L is made thin, a difference in fiber density of the constituent fibers may occur between the portion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and the portion on the second surface S2 side of the sheet member 2 . The size of the thickness d L is, for example, 0.05 to 4 mm, preferably 0.1 to 2 mm, under the condition of the thickness d M of the sheet member 2 or less. Alternatively, the ratio of the thickness d L to the thickness d M of the sheet member 2 is 10 to 80%, preferably 20 to 70%. On becomes too thin if the (too small,) difficult to spread on bigel region (B U), a skin-care agent of the gel moisturizer 3 in the sheet member 2, bigel region (B U) bigel region (B U) from It becomes difficult to supply a skin care agent to the skin which opposes, and when it is too thick (excessively large), it will become easy to leak to the 2nd surface S2 side of the sheet member 2 side.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2)는, 복수의 겔 영역(BG)에서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기 때문에, 영역 사이의 광반사율 또는 광투과율의 차이로부터, 겔 로션(3)이 도포된 시트 부재(2)의 제1면(S1)과는 반대측의 제2면(S2)측으로부터, 복수의 겔 영역(BG)을 시인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heet member 2 , since the gel lotion 3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penetrates inside the sheet member 2, the light reflectance or light transmittance between the regions is From the difference,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surface S2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 마스크(1)는, 시트 부재(2)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갖고 있다. 그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주변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겔 로션(3)의 평량은, 그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겔 로션(3)의 평량보다 많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페이스 마스크(1)는, 시트 부재(2)에 복수의 개구부(4a∼4d)를 갖고 있다. 그 복수의 개구부(4a∼4d)의 각각의 주변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겔 로션(3)의 평량은, 그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겔 로션(3)의 평량보다 많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ce mask 1 has at least one opening in the sheet member 2 .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3 per unit area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at least one opening is greater than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3 per unit area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peripheral region.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ce mask 1 has a plurality of openings 4a to 4d in the sheet member 2 .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3 per unit area in the peripheral reg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penings 4a to 4d is greater than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3 per unit area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peripheral region.

겔 로션(3)은 겔화제와 로션을 포함하고 있다. 겔화제는 로션을 유지하기 위한 성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있다. 로션은 탄화수소 오일 및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있다. The gel lotion 3 contains a gelling agent and a lotion. The gelling agent is a component for holding the lotion, and in this embodiment, a styrenic elastomer is included. Lotions contain hydrocarbon oils and skin care agents.

겔 로션(3)에서는, 로션(탄화수소 오일, 스킨 케어제)이, 일정량 겔 로션의 표면에 계속적으로 블리드한다. 따라서, 겔 로션(3)은, 겔 로션(3)의 표면에 스킨 케어제를 계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즉, 겔 로션(3)은 스킨 케어제에 관해 서방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스킨 케어제가 장착자의 피부에 방출되어, 겔 로션(3)의 표면으로부터 사라졌다 하더라도, 겔 로션(3)의 내부로부터 겔 로션(3)의 표면에 새로운 스킨 케어제를 공급할 수 있어, 스킨 케어제를 장착자의 피부에 계속 방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스킨 케어제를 장시간에 걸쳐, 시트 부재(2)에 대향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장착자의 안면의 피부에 작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e gel lotion 3, the lotion (hydrocarbon oil, skin care agent) continuously bleeds to the surface of the gel lotion in a certain amount. Accordingly, the gel lotion 3 can continuously release the skin care agent to the surface of the gel lotion 3 . That is, the gel lotion 3 has sustained-release properties with respect to the skin care agent. Therefore, even if the skin care agent is released on the wearer's skin and disappears from the surface of the gel lotion 3, a new skin care agent can be supplied to the surface of the gel lotion 3 from the inside of the gel lotion 3, The skin care agent can be continuously released to the wearer's skin. Thereby, the skin care agent can be made to act on the skin of the wearer's face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tact with the sheet member 2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even if the wearing time is prolong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moisturizing the skin.

페이스 마스크(1)(스킨 케어 시트)의 효과에 관해 설명한다. The effect of the face mask 1 (skin care sheet) is demonstrated.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의 장착시의 땀의 이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페이스 마스크(1)(스킨 케어 시트)에서는,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는 소정 성분을 갖는 유성의 겔 로션(3)을 이용하여, 통기성을 갖는 시트 부재(2)의 도포 영역(AT)에, 겔 로션(3)을 갖는 겔 영역(BG)과 겔 로션(3)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BU)을 형성하고 있다. Fig. 4 schematically shows movement of sweat when the fac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worn. In the face mask 1 (skin care sheet) of this embodiment, the application area A of the sheet member 2 having air permeability is using an oily gel lotion 3 having a predetermined component containing a skin care agent. In T ), a gel region B G with the gel lotion 3 and a non-gel region B U without the gel lotion 3 are formed.

이 페이스 마스크(1)에서는, 겔 로션(3)이 유성이기 때문에, 시트 부재(2)의 시트 부재(2)로부터 증발하지 않고 시트 부재(2)의 표면에 오래 머무를 수 있고, 또한, 서방성이기 때문에, 스킨 케어제를 계속적으로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is face mask 1, since the gel lotion 3 is oily, it can stay on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2 for a long time without evaporating from the sheet member 2 of the sheet member 2, and is also a sustained release. Therefore, the skin care agent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skin. Thereby, even if the wearing time is lengthened, it can suppress that the efficiency which moisturizes skin falls.

그와 더불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시에 있어서, 비겔 영역(BU)에는 유성의 겔 로션(3)이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착자(50)의 피부(50S) 중, 비겔 영역(BU)에 대향하는 피부(이하, 「비겔 대향 피부」라고도 함)(50SU)의 땀샘(62)은 겔 로션(3)으로 덮이지 않는다. 따라서, 그 땀샘(62)으로부터 방출된 땀(64)은, 비겔 영역(BU)과 비겔 대향 피부(50SU) 사이의 영역(V)에 방출되고, 그 후,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 때, 페이스 마스크(1)는, 부직포(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신축성을 더 갖고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신장되면, 시트 부재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져,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땀(64)은, 비겔 영역(BU)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한편, 겔 영역(BG)에는 유성의 겔 로션(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겔 영역(BG)에 대향하는 피부(이하, 「겔 대향 피부」라고도 함)(50SG)의 땀샘(61)은 겔 로션(3)으로 덮여 있다. 그러나, 땀(63)은, 예컨대 피부(50SG)의 표면에서 어느 정도는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50SG)에 근접하는 비겔 대향 피부(50SU)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50SG)의 땀샘(61)이 겔 로션(3)으로 덮여 있더라도, 겔 로션(3)과 겔 대향 피부(50SG)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자는 페이스 마스크(1)를 단시간에 제거하지 않고, 원하는 시간, 계속 장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since the oily gel lotion 3 is not disposed in the non-gel region B U at the time of wearing, in the skin 50S of the wearer 50, The sweat glands 62 of the ski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non-gel-facing skin") 50SU facing the non-gel region B U are not covered with the gel lotion 3 . Accordingly, the sweat 64 released from the sweat glands 62 is released to the region V between the non-gel region B U and the non-gel-facing skin 50SU, and then through the non- gel region B U . can go outside. At this time, since the face mask 1 is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r woven fabric) and further has elasticity, when it is stretched during wea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sheet member increases, and the air perme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 Thereby, the sweat 64 can more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 gel region B U . On the other hand, the gel region (B G) ha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gel-facing skin") because the oil-based gel moisturizer (3) is arranged, the skin facing the gel region (B G) glands (61 (50SG) ) is covered with gel lotion (3). However, since the sweat 63 can diffuse to some extent, for example, on the surface of the skin 50SG, thereby easily reaching the non-gel-facing skin 50SU close to the gel-facing skin 50SG, It can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gel region B U . Thereby, even if the sweat glands 61 of the gel-facing skin 50SG are covered with the gel lotion 3, sweat builds up between the gel-lotion 3 and the gel-facing skin 50SG, causing itching or burning of the skin. can be restrained Accordingly, the wearer can continue to wear the face mask 1 for a desired period of time without removing the face mask 1 in a short time.

이들에 의해, 피부의 가려움 등을 유발하지 않고, 원하는 장착 시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페이스 마스크(1)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by,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face mask 1 that can easily secure a desired wearing time without causing skin itchiness or the like.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스킨 케어 시트의 10% 신장시의 도포 영역(AT)의 통기도는 0.15∼0.5 KPa·s/m이다. 그 때문에,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보다 확실하게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In a preferable aspect of this embodiment, the air permeability of the application area|region AT at the time of 10% elongation of a skin care sheet is 0.15-0.5 KPa*s/m. Therefore, sweat emitted from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can more reliably escape through the non- gel region B U to the outside.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표면인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이 피부(겔 대향 피부)(50SG)에 접촉했을 때, 겔 로션(3)이 돌출된 두께만큼 비겔 영역(BU)의 시트 부재(2)가 피부(비겔 대향 피부)(50SU)로부터 부상하여, 비겔 영역(BU)의 시트 부재(2)와 피부(비겔 대향 피부)(50SU) 사이의 영역(V)을 넓힐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보다 효율적으로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gel lotion 3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heet member 2 . ) projecting outward. Therefore, when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gel-facing skin) 50SG, the sheet member 2 in the non- gel region B U by the thickness in which the gel lotion 3 protrudes. may rise from the skin (non-gel-facing skin) 50SU, thereby widening the region V between the sheet member 2 of the non- gel region B U and the skin (non-gel-facing skin) 50SU. Thereby, sweat emitted from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can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 gel region B U more efficiently.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표면인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다. 따라서, 겔 영역(BG)의 구성 섬유는, 겔 로션(3)이 없는 영역, 즉 비겔 영역(BU)과 비교하여, 겔 로션(3)에 의해 움직이기 어렵게 되어 있다고, 즉 대략 고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페이스 마스크(1)가 장착시에 신장될 때, 복수의 겔 영역(BG)은, 겔 로션(3)에 신장이 저해되어 상대적으로 작게 신장하고, 비겔 영역(BU)은 겔 로션(3)에 신장이 저해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크게 신장할 수 있다. 따라서, 겔 로션(3)이 존재하지 않는 시트 부재를 동일하게 신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겔 영역(BG)을 그다지 신장할 수 없게 하여, 비겔 영역(BU)을 보다 크게 신장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BU)에서의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를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비겔 영역(BU)에서의 단위 면적당 통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gel lotion 3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heet member 2 from the first surface S1 .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Accordingly,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gel region B G are rendered difficult to move by the gel lotion 3 , ie, approximately fixed, compared to the region without the gel lotion 3 , that is, the non-gel region B U .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Therefore, when the face mask 1 is stretched at the time of wearing,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are stretched relatively small because the gel lotion 3 is inhibited from stretching, and the non-gel regions B U are the gel lotion. In (3), elongation is not inhibited, and relatively large elongation can be achieved.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heet member in which the gel lotion 3 is not present is stretched equally, the gel region B G cannot be stretched much , and the non-gel region B U can be stretched larger. . Thereby, bigel region (U B) can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at, can be more enhanced breathability per unit area in the region bigel (B U). Accordingly, sweat emitted from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can be more efficien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gel region.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의 장착시의 신축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단, 도 5의 (a)는 페이스 마스크(1)의 시트 부재(2)의 신장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5의 (b)는 페이스 마스크(1)의 시트 부재(2)의 신장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표면인 제1면(S1)으로부터,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하고 있다. 예컨대, 겔 로션(3)의 두께 dM에 대한 침투부(3b)의 두께 dL의 비율은 30∼60%를 들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은, 시트 부재(2)를 두께 방향(T)으로는 관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겔 영역(BG)의 구성 섬유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겔 로션(3)이 도포된 표면인 제1면(S1)(도포 표면)측의 부분은 겔 로션(3)에 의해 대략 고정되고, 겔 로션(3)이 도포되지 않은 표면인 제2면(S2)(비도포 표면)측의 부분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스 마스크(1)의 시트 부재(2)가 장착시에 신장될 때,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제2면(S2)(비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그 전체가 신장할 수 있고, 제1면(S1)(도포 표면)측의 부분에서는 비겔 영역(BU)은 신장할 수 있지만, 겔 영역(BG)은 겔 로션(3)에 의해 신장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비겔 영역(BU)에서는, 제1면(S1)측의 부분에서는 신장의 정도가 높고,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가 커져, 섬유 밀도가 낮아지지만, 제2면(S2)측의 부분에서는 신장의 정도가 그다지 높지 않고, 구성 섬유 사이의 거리가 그다지 커지지 않아, 섬유 밀도는 그다지 낮아지지 않는다. 즉, 비겔 영역(BU)에서는, 시트 부재(2)의 두께 방향(T)으로, 제1면(S1)으로부터 제2면(S2)으로 갈수록 섬유 밀도가 높아진다. 5 :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expansion-contraction state at the time of attachment of the face mask 1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However, Fig. 5 (a) shows the state before the sheet member 2 of the face mask 1 is stretched, and Fig. 5 (b) shows the face mask 1 when the sheet member 2 is stretched. show the status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gel lotion 3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the first surface S1 of the sheet member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heet member 2 . ) penetrates to the middle of the inner side.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thickness d L of the penetrating portion 3b to the thickness d M of the gel lotion 3 may be 30 to 60%. In other words, the gel lotion 3 of the gel region B G does not penetrate the sheet member 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Accordingly,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gel region B G ,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portion on the first surface S1 (application surface) side, which is the surface on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is the gel lotion 3 The portion on the second surface S2 (non-applied surface) side, which is the surface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not applied, is not fixed. Therefore, as shown in Fig. 5, when the sheet member 2 of the face mask 1 is extended at the time of attachm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second surface S2 (non-applied surface) side In the part, the whole can be stretched, and in the part on the side of the first surface S1 (application surface) , the non-gel region B U can be stretched, but the gel region B G is formed by the gel lotion 3 . It becomes difficult to extend. Accordingly, in the non-gel region B U , the degree of elongation is high in the portion on the first surface S1 sid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increases, and the fiber density decreases, but in the portion on the second surface S2 side The degree of elongation is not very hig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is not very large, so the fiber density is not very low. That is, in the non-gel region B U , the fiber density increases from the first surface S1 to the second surface S2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sheet member 2 .

구체적으로는, 도 5의 (a)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면(S1)에 있어서, 가로 방향(W)으로 나열된 겔 영역(BG)의 폭 e2, e4와, 비겔 영역(BU)의 폭 e1, e3, e5를 서로 전부 같게 한다. 즉, e2=e4=e1=e3=e5로 한다. 그 때, 제2면(S2)에 있어서, 제1면(S1)에서의 가로 방향(W)으로 나열된 겔 영역(BG)(폭 e2, e4)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f2, f4와, 비겔 영역(BU)(폭 e1, e3, e5)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f1, f3, f5는 서로 전부 같아지고, 또한, e2, e4, e1, e3, e5와 같아진다. 즉, f2=f4=f1=f3=f5=e2=e4=e1=e3=e5가 된다. 단, 겔 영역(BG) 및 비겔 영역(BU)과, 겔 영역(BG)에 대응하는 영역 및 비겔 영역(BU)에 대응하는 영역 사이의 두께 방향(T)의 경계는, 시트 부재(2)의 절반의 두께의 위치로 한다. 그 때, 도 5의 (b)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를 가로 방향(W)으로 신장한 경우, 제1면(S1)에 있어서, 가로 방향(W)으로 나열된 겔 영역(BG)의 폭 e2, e4가 폭 E2(>e2), E4(>e4)로 신장하고, 비겔 영역(BU)의 폭 e1, e3, e5가 폭 E1(>e1), E3(>e3), E5(>e5)이 되고, 또한, 대략 (E2=E4)<(E1=E3=E5)이 된다. 한편, 제2면(S2)에 있어서, 제1면(S1)에서의 가로 방향(W)으로 나열된 겔 영역(BG)(폭 e2, e4)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f2, f4가 폭 F2(>f2), F4(>f4)로 신장하고, 비겔 영역(BU)(폭 e1, e3, e5)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 f1, f3, f5가 폭 F1(>f1), F3(>f3), F5(>f5)가 되고, 또한, 대략 F2=F4=F1=F3=F5가 된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대략 (E2=E4)<(F2=F4=F1=F3=F5)<(E1=E3=E5)이 된다. 따라서, 시트 부재(2)는, 폭이 E1=E3=E5가 되는 영역, 즉 제1면(S1)의 비겔 영역(BU)의 폭이 가장 넓어지도록 신장한다. 이어서, 시트 부재(2)는, 폭이 F2=F4=F1=F3=F5가 되는 영역, 즉 제2면의 비겔 영역(BU) 및 겔 영역(BG)의 폭이 다음으로 넓어지도록 신장한다. 그리고, 시트 부재(2)는, 폭이 E2=E4가 되는 영역, 즉 제1면(S1)의 겔 영역(BG)의 폭이 가장 넓어지지 않도록 신장한다. 여기서, 각 영역끼리에서의 폭의 대소 관계는, 대략 각 영역끼리에서의 섬유 밀도의 대소 관계에 대응한다. 예컨대, 한쪽 영역의 폭이 다른쪽 영역의 폭보다 큰 경우, 한쪽 영역의 섬유 밀도가 다른쪽 영역의 섬유 밀도보다 크다. 따라서, 제1면(S1)의 비겔 영역(BU)의 섬유 밀도보다, 제2면의 비겔 영역(BU) 및 겔 영역(BG)의 섬유 밀도가 높아진다. 그것에 의해, 제1면(S1)의 비겔 영역(BU)에 도달한 땀이 액상이 되었다 하더라도, 섬유 밀도의 구배에 의해, 제1면(S1)으로부터 제2면(S2)으로 이행할 수 있고, 제2면(S2)의 외측의 공기에 닿아 용이하게 증발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땀샘으로부터 방출되는 땀을, 비겔 영역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5A , in the first surface S1 , the widths e2 and e4 of the gel region B G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and the non-gel region The widths e1, e3, and e5 of (B U ) are all equal to each other. That is, e2 = e4 = e1 = e3 = e5. At that time, in the second surface S2, the widths f2 and f4 of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gel regions B G (widths e2 and e4)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on the first surface S1, and The widths f1, f3, and f5 of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non-gel regions B U (widths e1, e3, e5) are all equal to each other and also equal to e2, e4, e1, e3, e5. That is, f2=f4=f1=f3=f5=e2=e4=e1=e3=e5. Boundaries of the stage, the gel region (B G) and bigel region (B U) and, in the thickness direction betwee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el zone (B G) region and bigel region (B U) corresponding to (T), the sheet It is set as the position of the half thickness of the member (2). At that time, as schematically shown in FIG. 5B , when the sheet member 2 is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it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on the first surface S1. The widths e2, e4 of the gel region (B G ) extend to the widths E2 (>e2), E4 (>e4), and the widths e1, e3, e5 of the non- gel region (B U ) are the widths E1 (>e1), E3 (>e3), E5 (>e5), and approximately (E2=E4)<(E1=E3=E5).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surface S2 , the widths f2 and f4 of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gel regions B G (widths e2 and e4 )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 on the first surface S1 are the widths F2 . (>f2), F4 (>f4), the widths f1, f3, f5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non-gel region B U (widths e1, e3, e5) are the widths F1 (>f1), F3 (> f3), F5 (>f5), and approximately F2=F4=F1=F3=F5. From this relationship, it becomes approximately (E2=E4)<(F2=F4=F1=F3=F5)<(E1=E3=E5). Therefore, the sheet member 2 is extended so that the width|variety of the area|region where E1=E3=E5 becomes, ie, the non-gel area|region B U of the 1st surface S1 may become widest. Then, the sheet member 2 is stretch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region where F2=F4=F1=F3=F5 becomes, that is , the width of the non-gel region B U and the gel region B G of the second surface becomes wider next. do. And the sheet member 2 is extended so that the width|variety of the area|region where the width|variety becomes E2=E4, ie, the gel area|region B G of the 1st surface S1, does not become widest. Here, the magnitude relationship of the width in each region corresponds to the magnitude relationship of the fiber density in each region approximately.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one region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region, the fiber density of one region is greater than the fiber density of the other region. Thus, the first area than the fiber density of bigel (U B) of the surface (S1), the higher the density of the fiber bigel region (U B) and a gel region (G B) of the second surface. As a result, even if the sweat that has reached the non-gel region B U of the first surface S1 becomes liquid, it can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surface S1 to the second surface S2 by the gradient of the fiber density. and may easily evaporate in contact with the air outside of the second surface S2. Accordingly, sweat emitted from the sweat glands of the skin can be more efficien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non-gel region.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이 시트 부재(2)의 한쪽 표면인 제1면(S1)으로부터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2)의 투명도가 복수의 겔 영역(BG)과 비겔 영역(BU)에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시트 부재(2)의 다른쪽 표면인 제2면(S2)측으로부터, 복수의 겔 영역(BG)을 시인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페이스 마스크(1)를 피부에 부착할 때, 겔 로션(3)이 도포된 제1면(S1)을 피부측으로 하여, 거울 등으로 제2면(S2)을 보면서, 페이스 마스크(1)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BU)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페이스 마스크(1)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aspect of this embodiment , since the gel lotion 3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penetrates inward from the first surface S1 which is on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2, the sheet member ( The transparency of 2) is different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 and non- gel regions (B U ).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second surface S2 side, which is the other surface of the sheet member 2 . Thereby, when the face mask 1 is attached to the skin, the first surface S1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is on the skin side, and while the second surface S2 is viewed with a mirror or the like, the face mask 1 ) can be placed in an appropriate location. Thereby, the face mask 1 can be stably hold|maintained on skin,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in non-gel area|region B U.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아일랜드형 또는 라인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비겔 영역(BU)은, 도포 영역(AT)에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겔 대향 피부(50SG)로부터 방출된 땀은, 예컨대 피부(50S) 위에서 확산되어 겔 대향 피부(50SG)에 둘러싸도록 근접하는 비겔 대향 피부(50SU)에 보다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고, 비겔 영역(BU)을 통해 외부에 보다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겔 대향 피부(50SG)의 땀샘(61)이 겔 로션(3)으로 덮여 있더라도, 겔 로션(3)과 겔 대향 피부(50SG) 사이에 땀이 차서, 피부의 가려움이나 짓무름이 유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island shape or a line shape in the application region A T in plan view, and the non-gel region B U . Silver is formed so as to sur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n the application region A T . For that reason, sweat emitted from the gel-facing skin 50SG can spread over the skin 50S and reach the non-gel-facing skin 50SU which is adjacent to surround the gel-facing skin 50SG, for example, more easily, and the non-gel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gion B U . Thereby, even if the sweat glands 61 of the gel-facing skin 50SG are covered with the gel lotion 3, sweat builds up between the gel-lotion 3 and the gel-facing skin 50SG, causing itching or burning of the skin. can be more restrained.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시트 부재(2)의 면적에 대한 복수의 겔 영역(BG)의 면적의 비율은 30∼95%이다. 그 때문에, 복수의 겔 영역(BG)의 겔 로션(3)에 의한 시트 부재(2)의 피부에 대한 점착과, 비겔 영역(BU)에 의한 통기성의 확보를 적당하게 균형을 이루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BU)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페이스 마스크(1)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a plan view,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to the area of the sheet member 2 is 30 to 9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perly balance the adhesion of the sheet member 2 to the skin by the gel lotion 3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and the securing of air permeability by the non-gel region B U . have. Thereby, the face mask 1 can be stably hold|maintained on skin,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in non-gel area|region B U.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페이스 마스크(1)는, 개구부(4a∼4d)의 적어도 하나에서의 주변 영역의 겔 로션(3)의 평량이,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의 겔 로션(3)의 평량보다 증가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시트 부재(2)가 피부로부터 떨어지기 쉬운 개구부의 주변 영역의 점착성을 높일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비겔 영역(BU)에서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페이스 마스크(1)를 안정적으로 피부에 유지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face mask 1,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3 in the peripheral region in at least one of the openings 4a to 4d is the gel lotion 3 in the region other than the peripheral region. is increased from the basis weight of For this reason, the adhesiveness of the peripheral area|region of the opening part where the sheet|seat member 2 easily comes off from skin can be improved. Thereby, the face mask 1 can be stably hold|maintained on skin, ensuring the air permeability in non-gel area|region B U.

겔 로션(3)은, 특별한 제한없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가열한 로션 중에 겔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 도포액을 제조하고, 그 도포액을 겔 로션(3)을 도포해야 할 시트 부재(2)에 도포함으로써, 페이스 마스크(1) 상에 겔 로션(3)이 제조될 수 있다. The gel lotion 3 can be manufactur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For example, a coating solution is prepared by adding and mixing a gelling agent in a heated lotion, and the coating solution is applied to the sheet member 2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to be applied, so that the face mask 1 is placed on the face mask 1 . A gel lotion 3 can be prepared.

겔 로션(3)은, 필요에 따라, 휘발성 용매, 예컨대, 알코올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방향족계 용매 등을 포함하는 도포액으로서 시트 부재(2)에 도포할 수 있다. 그 도포액이 휘발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그 도포액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도포가 용이해지고, 도장시의 가온이 불필요해지는 등의 도포 공정의 간이화가 도모된다. The gel lotion 3 can be applied to the sheet member 2 as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 volatile solvent such as an alcohol solvent, an ester solvent, an aromatic solvent, or the like, if necessary. When the coating liquid contains a volatile solvent, since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liquid becomes low, application becomes easy, and the application process simplification is achieved, such as heating at the time of painting becoming unnecessary.

도포액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도포액을 가열하여, 예컨대, 비접촉식 코터, 접촉식 코터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비접촉식 코터로는, 예컨대, 스파이럴 코터, 커튼 코터, 스프레이 코터, 딥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접촉식의 코터로는, 예컨대, 슬롯 코터, 패턴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The coating method in particular is not restrict|limited, The coating liquid is heated as needed, For example, it can apply|coat by a non-contact type coater, a contact type coater, etc. As a non-contact type coater, a spiral coater, a curtain coater, a spray coater, a dip coat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As a contact type coater, a slot coater, a pattern coat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다음으로, 겔 로션(3)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Next, the detail of the gel lotion 3 is demonstrated.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하드 세그멘트 및 소프트 세그멘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세그멘트로는 폴리스티렌 블록이 바람직하고, 소프트 세그멘트로는 폴리올레핀 블록이 바람직하다. As the styrenic elastom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hard segment and a soft segment. The hard segment is preferably a polystyrene block, and the soft segment is preferably a polyolefin block.

폴리스티렌 블록으로는, 예컨대, 스티렌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즉, 폴리스티렌 블록), α-메틸스티렌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즉, 폴리α-메틸스티렌 블록), 및, 스티렌과 α-메틸스티렌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이 포함된다. 폴리올레핀 블록으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 및, 폴리올레핀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호모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으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블록,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부틸렌 블록 및 폴리부타디엔 블록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으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및 부타디엔 등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을 들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부타디엔도 올레핀계 모노머로서 취급한다. 소프트 세그멘트에는, 폴리부타디엔 블록의 수소 부가물, 및 부타디엔과,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및 부타디엔 등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블록의 수소 부가물도 포함된다. As the polystyrene block, for example, a block made of a homopolymer of styrene (ie, a polystyrene block), a block made of a homopolymer of α-methylstyrene (ie, a polyα-methylstyrene block), and styrene and α-methylstyrene block consisting of a copolymer of As a polyolefin block, the block which consists of a homopolymer of polyolefin, and the block which consists of a copolymer of polyolefin, for example is mentioned. As a block which consists of a homopolymer of polyolefin, a polyethylene block, a polypropylene block, a polybutylene block, and a polybutadiene block are mentioned, for example. Examples of the block made of a copolymer of polyolefin include a block made of a copolymer of ethylene, propylene, butylene and butadien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butadiene is also handled as an olefinic monomer for convenience. The soft segment includes hydrogen adducts of polybutadiene blocks and hydrogen adducts of blocks composed of butadiene and copolymers such as ethylene, propylene, butylene and butadiene.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양쪽 말단에 하드 세그멘트를 가지며, 이들의 사이에 1종 또는 복수종의 소프트 세그멘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SEP),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EPS), 및, 이들 2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The styrenic elastomer preferably has hard segments at both ends and one or more soft segments therebetween. Specific examples of the styrene-based elastomer include, for example,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BS), styrene-iso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SIBS),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SIS), styren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SEP), styrene-ethylene-propylene-styrene block copolymer (SEPS),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SEBS), styrene-ethylene-ethylene-propylene styrene block copolymer coalescing (SEEPS), and combinations of two or more thereof.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5,000∼5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4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3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미만이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겔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초과이면, 장착감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The styrenic elasto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referably 5,000 to 500,000, more preferably 10,000 to 400,000, still more preferably 50,000 to 300,000.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5,000, it tends to be difficult for the styrenic elastomer to maintain the gel structure, and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more than 500,000, the feeling of wearing tends to decrease. In addition, the measuring method of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mentioned later.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의 폴리스티렌 블록과, 50∼90 질량%의 폴리올레핀 블록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 질량%의 폴리스티렌 블록과, 60∼85 질량%의 폴리올레핀 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8∼35 질량%의 폴리스티렌 블록과, 65∼82 질량%의 폴리올레핀 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폴리스티렌 블록의 양이 10 질량% 미만이면, 폴리스티렌 블록이 후술하는 미크로층 분리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폴리스티렌 블록의 양이 50 질량% 초과이면, 로션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블록의 양이 적어지고, 나아가서는 유지할 수 있는 로션의 양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 블록의 미크로층 분리 구조의 양이 많아지고, 형성되는 겔 로션이 딱딱해져, 장착감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The styrenic elastomer preferably contains 10 to 50 mass % of polystyrene blocks and 50 to 90 mass % of polyolefin blocks, more preferably 15 to 40 mass % of polystyrene blocks, and 60 to 85 mass % of polystyrene blocks. It contains polyolefin blocks. The styrenic elastomer further preferably contains 18 to 35 mass % of polystyrene blocks and 65 to 82 mass % of polyolefin blocks. When the amount of the polystyrene block is less than 10% by mass, it tends to be difficult for the polystyrene block to form a microlayer separation structure described later. When the amount of the polystyrene block is more than 50% by mass, the amount of the polyolefin block capable of holding the lotion decreases, and by extension, the amount of the lotion that can hold the lotion tends to decrease. 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microlayer separation structure of the polystyrene block increases, the gel lotion formed becomes hard, and the feeling of wearing tends to deteriorate.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겔 로션을 생성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멘트는, 서로 응집하여 도메인을 형성하여 가교점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소프트 세그멘트는, 이들 가교점을 연결하는 메쉬의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탄성체로서 기능한다. The reason why the styrenic elastomer produces a gel lotion is as follows. The hard segments of the styrenic elastomer aggregate with each other to form domains and act as a crosslinking point. On the other hand, the soft segment serves as a mesh connecting these cross-linking points. As a result, the styrenic elastomer functions as an elastic body.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로션과 혼합하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멘트가 로션을 유지하는 한편, 하드 세그멘트는 도메인을 형성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로션의 혼합물(겔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단체보다 낮은 압축 응력을 갖는 탄성체로서 기능한다. 또,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멘트의 헐거운 메쉬에 유지되어 있을 뿐이며, 겔 로션의 표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styrenic elastomer is mixed with the lotion, the soft segments of the styrenic elastomer hold the lotion, while the hard segments form domains. As a result, the mixture of the styrenic elastomer and the lotion (gel lotion) functions as an elastic body having a compressive stress lower than that of the styrenic elastomer alone. In addition, the lotion is only held in a loose mesh of soft segments of styrenic elastomer, and can move to the surface of the gel lotion.

로션은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탄화수소 오일」은,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의미한다. 탄화수소 오일로는, 예컨대, 쇄형 탄화수소 및 환형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쇄형 탄화수소로는, 예컨대, 파라핀계 탄화수소(이중 결합 및 삼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음; 알칸), 올레핀계 탄화수소(이중 결합을 하나 포함; 알켄), 아세틸렌계 탄화수소(삼중 결합을 하나 포함; 알킨), 및, 이중 결합 및 삼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하는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환형 탄화수소로는, 예컨대, 방향족 탄화수소 및 지환식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탄화수소 오일로는, 쇄형 탄화수소 및 지환식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쇄형 탄화수소가 보다 바람직하고, 파라핀계 탄화수소, 올레핀계 탄화수소 및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하는 탄화수소(삼중 결합을 포함하지 않음)가 더욱 바람직하고, 파라핀계 탄화수소가 더욱 바람직하다. 단, 쇄형 탄화수소에는, 직쇄형 탄화수소 및 분기쇄형 탄화수소가 포함된다. Lotions contain hydrocarbon oils. In this specification, "hydrocarbon oil" means a compound consisting of carbon and hydrogen. The hydrocarbon oil includes, for example, chain hydrocarbons and cyclic hydrocarbons. Chain hydrocarbons include, for example, paraffinic hydrocarbons (without double and triple bonds; alkanes), olefinic hydrocarbons (with one double bond; alkenes), acetylenic hydrocarbons (including one triple bond; alkynes), and hydrocarbons including two or more bon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uble bonds and triple bonds. Examples of the cyclic hydrocarbon include an aromatic hydrocarbon and an alicyclic hydrocarbon. As the hydrocarbon oil, chain hydrocarbons and alicyclic hydrocarbons are preferable, chain hydrocarbons are more preferable, and paraffinic hydrocarbons, olefinic hydrocarbons and hydrocarbons containing two or more double bonds (not including triple bonds) are more preferable. and paraffinic hydrocarbons are more preferable. However, straight-chain hydrocarbons and branched-chain hydrocarbons are included in the chain hydrocarbons.

탄화수소 오일은, 40℃에서의 0.01∼80 ㎟/s의 동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션이 겔 로션(3)의 표면에 블리드하는 작용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탄화수소 오일은, 피부 점착성 부여제로서 이용하는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해도 좋다. 피부 점착성 부여제로서의 탄화수소 오일은, 40℃에서의 80∼400 ㎟/s의 동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점착성 부여제로서의 탄화수소 오일은, 탄화수소 오일 중의 20∼80 질량%이 바람직하다. 20 질량% 미만의 경우, 피부에 점착하기 어려워지고, 80 질량% 초과의 경우, 겔을 형성하기 어려워진다. The hydrocarbon oil preferably has a kinematic viscosity of 0.01 to 80 mm 2 /s at 40°C, and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1,000. This is because the lotion may contribute to the action of bleeding on the surface of the gel lotion 3 . Moreover, the hydrocarbon oil may contain the hydrocarbon oil used as a skin tackifi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ydrocarbon oil as a skin tackifier has a kinematic viscosity of 80-400 mm<2>/s at 40 degreeC. The hydrocarbon oil as the skin tackifier is preferably 20 to 80% by mass in the hydrocarbon oil. When it is less than 20 mass %, it becomes difficult to adhere to the skin, and when it exceeds 80 mass %, it becomes difficult to form a gel.

로션은 스킨 케어제를 포함한다. 스킨 케어제는, 스킨 케어(예시: 에몰리언트 효과)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스킨 케어제로는, 예컨대,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제제, 지방산류의 제제, 지방족 알코올류의 제제나, 이들을 조합한 제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글리세린, 올레인산, 이코센산, 도코사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제제를 포함하는 물질로서, 예컨대,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너츠(종자) 오일, 호호바(종자) 오일, 동백 오일을 들 수 있다. Lotions include skin care agents. The skin care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for skin care (eg, emollient effect), and a known agen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skin care agent include a formulation of fatty acid esters, a formulation of fatty acids, a formulation of aliphatic alcohols, and a combination thereof, and specifically, tri(caprylic/capric acid) glycerin; Oleic acid, icosenoic acid, docosanol, etc. are mentioned. Examples of the material containing these agents include olive oil, macadamia nut (seed) oil, jojoba (seed) oil, and camellia oil.

로션은, 바람직하게는 50∼90 질량%의 탄화수소 오일과, 50∼10 질량%의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85 질량%의 탄화수소 오일과, 45∼15 질량%의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있다. 로션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질량%의 탄화수소 오일과, 40∼20 질량%의 스킨 케어제를 포함한다. 탄화수소 오일의 양이 90 질량% 초과, 즉 스킨 케어제의 양이 10 질량% 미만이면, 스킨 케어제의 피부에 대한 부착량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탄화수소 오일의 양이 50 질량% 미만, 즉 스킨 케어제의 양이 50 질량% 이상이면, 겔의 강도가 저하되어 겔을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The lotion preferably contains 50 to 90 mass% of hydrocarbon oil and 50 to 10 mass% of a skin care agent, more preferably 55 to 85 mass% of hydrocarbon oil, and 45 to 15 mass% of skin Contains care. The lotion more preferably contains 60 to 80 mass % of hydrocarbon oil and 40 to 20 mass % of a skin care agent. When the amount of the hydrocarbon oil is more than 90 mass %, that is, when the amount of the skin care agent is less than 10 mass %, the adhesion amount of the skin care agent to the skin tends to decrease. When the amount of the hydrocarbon oil is less than 50 mass %, that is, when the amount of the skin care agent is 50 mass % or more, the strength of the gel is lowered and the gel tends to be difficult to form.

겔 로션(3)은, 겔화제 및 로션에 더하여, 예컨대 실리콘 오일을 혼합해도 좋다. 실리콘 오일을 넣음으로써 겔 로션(3)의 평활성을 높일 수 있다. The gel lotion 3 may be mixed with, for example, a silicone oil in addition to a gelling agent and lotion. The smoothness of the gel lotion 3 can be increased by adding silicone oil.

겔 로션(3)은, 바람직하게는 0.01∼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0.03의 정적 마찰계수를 갖는다. 장착자의 피부 염증이 생기기 어려운 관점에서이다. 정적 마찰계수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겔 로션(3)은, 예컨대, 감마제를, 겔 로션 100 질량부(겔화제 및 로션의 합계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2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0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7 질량부의 양으로 포함한다. The gel lotion 3 has a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f preferably 0.01 to 1.00, more preferably 0.02 to 0.50, still more preferably 0.03 to 0.03. It i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wearer's skin inflammation is difficult to occur. In order to bring the static friction coefficient into the above range, the gel lotion 3 contains, for example, an anti-friction agent, preferably 0.01 to 2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gel lotion (the total of the gelling agent and the lotion is 100 parts by mass). , More preferably, it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05-10 mass parts, More preferably, it is 0.1-7 mass parts.

겔 로션(3)은, 로션으로서, 전술한 탄화수소 오일이나 스킨 케어제 이외에, 해당 기술분야에서 로션으로서 알려져 있는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gel lotion 3, as a lo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ingredients known as lotions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hydrocarbon oil or skin care agent described above.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비타민, 예컨대, 천연 비타민 또는 합성 비타민을 들 수 있고, 혹은 수용성 비타민 또는 지용성 비타민을 들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예컨대, 비타민 B군, 예컨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7, 비타민 B9, 비타민 B12 등, 비타민 C를 들 수 있다.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예컨대, 비타민 A군, 비타민 D군, 비타민 E군 및 비타민 K군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에는 이들의 유도체도 포함된다. 또 다른 성분으로서, 예컨대, 알라닌,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프롤린 및 히드록시프롤린과 같은 아미노산, 및, 펩티드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콜레스테롤, 히알루론산, 레시틴, 세라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Other ingredients include, for example, vitamins, such as natural vitamins or synthetic vitamins, or water-soluble vitamins or fat-soluble vitamins. Examples of water-soluble vitamins include vitamin B group, such as vitamin B 1 , vitamin B 2 , vitamin B 3 , vitamin B 5 , vitamin B 6 , vitamin B 7 , vitamin B 9 , vitamin B 12 and the like, vitamin C. can Examples of the fat-soluble vitamins include vitamin A group, vitamin D group, vitamin E group, and vitamin K group. Vitamins also include their derivatives. As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mino acids such as alanine, arginine, lysine, histidine, proline and hydroxyproline, and peptides can be mentioned. Another component may include, for example, cholesterol, hyaluronic acid, lecithin, ceramide, and the like.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고, 제올라이트로는, 예컨대 천연 제올라이트 및 합성 제올라이트를 들 수 있다. 천연 제올라이트로는, 예컨대, 방비석, 능비석, 휘비석, 나트롤라이트, 속비석 및 톰소나이트를 들 수 있다. Other components include, for example, zeolites, and examples of the zeolites include, for example, natural zeolites and synthetic zeolites. Natural zeolites include, for example, chaliceolite, zeolite, pyrite, natrolite, zeolite, and tomsonite.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약제를 들 수 있고, 약제로는, 예컨대, 피부 수렴제, 항여드름제, 항주름제, 항셀룰라이트제, 미백제, 항균제, 항곰팡이제 등을 들 수 있다. Other ingredients include, for example, drugs, and the drugs include, for example, skin astringents, anti-acne agents, anti-wrinkle agents, anti-cellulite agents, whitening agents, antibacterial agents, antifungal agents, and the like.

그 중, 피부 수렴제로는, 예컨대, 산화아연, 황산알루미늄, 탄닌산 등, 유용성 폴리페놀과 같은 유용성 피부 수렴제를 들 수 있다. 유용성 폴리페놀로는, 천연의 유용성 폴리페놀을 들 수 있다. 천연의 유용성 폴리페놀로는, 예컨대, 황백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카모밀라 추출물, 우엉 추출물, 샐비어 추출물, 참피나무 추출물, 서양보리수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샐비어 추출물, 수타호두 추출물, 하이비스커스 추출물, 비파잎 추출물, 보리수 추출물, 홉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율무쌀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항여드름제로는, 예컨대, 살리실산, 과산화벤조일, 레졸시놀, 황, 에리트로마이신,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항주름제로는, 예컨대, 락트산, 살리실산, 살리실산 유도체, 글리콜산, 피틴산, 리포산, 리소포스파티드산을 들 수 있다. 항셀룰라이트제로는, 예컨대, 크산틴 화합물, 예컨대, 아미노피린, 카페인, 테오피린, 테오브로민 등을 들 수 있다. 미백제로는, 예컨대, 나이아신아미드, 코지산, 알부틴, 글루코사민 및 유도체, 피토스테롤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및 그 유도체, 및 뽕 추출물 및 태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Among them, examples of the skin astringent include oil-soluble skin astringents such as oil-soluble polyphenols such as zinc oxide, aluminum sulfate, and tannic acid. Examples of oil-soluble polyphenols include natural oil-soluble polyphenols. Natural oil-soluble polyphenols include, for example, yellow white extract, red pepper extract, clown beard extract, chamomila extract, burdock extract, sage extract, basil extract, bodhi tree extract, birch extract, horsetail extract, sage extract, sage extract. extracts, hand walnut extract, hibiscus extract, loquat leaf extract, barley water extract, hop extract, horse chestnut extract, barley rice extract,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nti-acne agent include salicylic acid, benzoyl peroxide, resorcinol, sulfur, erythromycin, zinc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nti-wrinkle agent include lactic acid, salicylic acid, salicylic acid derivatives, glycolic acid, phytic acid, lipoic acid, and lysophosphatidic acid. Examples of the anti-cellulite agent include xanthine compounds, such as aminopyrine, caffeine, theophyrine, theobromi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whitening agent include niacinamide, kojic acid, arbutin, glucosamine and derivatives, phytosterol derivatives, ascorbic acid and derivatives thereof, and mulberry extract and placental extract.

또한, 다른 성분으로는, 예컨대, 항염증 성분, pH 조정제, 항균제, 보습제, 향료, 예컨대, 아로마 오일, 색소, 염료, 안료, 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항염증 성분으로는, 예컨대, 천연 유래의 항염증제, 예컨대, 모란, 황금, 고추나물, 카모마일, 감초, 복숭아잎, 쑥, 차조기 추출물 등, 합성 항염증제, 예컨대, 알란토인,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는,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 예컨대, 말산, 숙신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로는, 예컨대, 산화티탄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성분으로는,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Moreover, as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n anti-inflammatory component, a pH adjuster, an antibacterial agent, a moisturizing agent, a fragrance|flavor, such as an aromatic oil, a pigment, dye, a pigment, a plant extract, etc. are mentioned. Anti-inflammatory ingredients include, for example, naturally-derived anti-inflammatory agents, such as peony, gold, red pepper sprouts, chamomile, licorice, peach leaf, mugwort, perilla extract, and the like, synthetic anti-inflammatory agents, such as allantoin, dipotassium glycyrrhizinate,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pH adjuster include those for keeping the skin slightly acidic, such as malic acid, succin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and lactic acid. As a pigment, titanium oxide is mentioned, for example. Moreover, mineral oil is mentioned as an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다분산계의 화합물(예시: 축차 중합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 복수의 지방산과, 복수의 지방족 1가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에스테르)과, 단일 화합물(예시: 1종의 지방산과, 1종의 지방족 1가 알코올로부터 생성된 에스테르)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Ni개의 분자량 Mi의 분자(i=1, 또는 i=1, 2, …)로 이루어진 계에 있어서, 다음 식: Mw=ΣNiMi 2/ΣNiMi에 의해 구해지는 Mw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refers to a polydisperse compound (eg, a compound prepared by sequential polymerization, a plurality of fatty acids and an ester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aliphatic monohydric alcohols), and a single compound (eg: 1 In a system consisting of N i molecules of molecular weight M i (i=1, or i=1, 2, ...) , means M w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M w =ΣN i M i 2 /ΣN i M i .

겔 로션(3)은, 겔화제와 로션의 합계를 100 질량부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40 질량부의 겔화제와, 98∼60 질량부의 로션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질량부의 겔화제와, 95∼70 질량부의 로션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 질량부의 겔화제와, 90∼75 질량부의 로션을 포함한다. 겔화제의 비율이 2 질량부를 하회하면, 형성되는 겔 로션(3)이, 탄성체로서 작용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겔 로션(3)의 탄성 한계를 넘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겔화제의 비율이 40 질량부를 넘으면, 형성되는 겔 로션(3)의 탄성이 높아, 장착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The gel lotion 3 contains 100 parts by mass of the total of the gelling agent and the lotion, preferably 2 to 40 parts by mass of the gelling agent and 98 to 60 parts by mass of the lotion, more preferably 5 to 30 parts by mass A gelling agent, 95 to 70 parts by mass of lotion, and more preferably 10 to 25 parts by mass of a gelling agent and 90 to 75 parts by mass of lotion are included. When the proportion of the gelling agent is less than 2 parts by mass, the formed gel lotion 3 may hardly function as an elastic body or deform beyond the elastic limit of the gel lotion 3 when pressure is applied. When the proportion of the gelling agent exceeds 40 parts by mass, the elasticity of the formed gel lotion 3 is high, and the feeling of wearing may be poor.

종래의 로션 코팅, 스킨 케어제 등에서는, 유효 성분을 소정의 장소에 고정할 때에는, 이들을 고점도화(점성체화)하는 수법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고점도화하면, 유효 성분(에몰리언트제 등)이 로션 코팅, 스킨 케어제 등의 내부에 갇혀, 그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종래의 로션 코팅, 스킨 케어제 등은, 점성체에 불과하며, 장착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소정의 장소에 고정되지 않고, 시트 부재의 내부로 이동하여, 장착자의 피부에 계속 작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겔 로션(3)은, 체장착의 압력 등이 가해지는 범위에서 탄성체로서의 거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겔 로션(3)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 변형되는 것에 그치고, 시트 부재(2)의 구성 섬유 등의 사이에 압입되지 않고, 압력이 낮아지면 탄성 회복하여, 원래의 위치(제1면(S1) 부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겔 로션(3)에 포함되는 로션이 원하는 위치에서 그 작용을 할 수 있다. In conventional lotion coatings, skin care agents, and the like, when an active ingredient is fixed in a predetermined place, a method of increasing the viscosity (viscosity) is adopted. However, when these are made high in viscosity, active ingredients (e.g., emollients) are trapped inside lotion coatings, skin care agents, etc., making it difficult to exert their functions. In addition, conventional lotion coatings, skin care agents, etc. are only viscous substances,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by mounting, they are not fixed in a predetermined place, but move to the inside of the sheet member and continue to act on the wearer's skin.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the gel lotion 3 exhibits a behavior as an elastic body in a range to which the pressure of body mounting is applied. Therefore,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gel lotion 3, it only elastically deforms, does not press-fit between the constituent fibers of the sheet member 2, etc., and elastically recovers when the pressure is lowere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first surface). (S1) vicinity). Accordingly, the lotion included in the gel lotion 3 can act at a desired position.

상기 겔 로션은, 전술한 각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는, 예컨대, 산화 방지제, 예컨대, BHT(2,6-디-t-부틸-p-크레졸), BHA(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등을 들 수 있다. The gel lotion may include other ingredient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each of the above-described effects. Examples of other components include antioxidants such as BHT (2,6-di-t-butyl-p-cresol) and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또, 페이스 마스크의 구성은, 도 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페이스 마스크(1a)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의 (b)는 도 6의 페이스 마스크(1)의 부분 배면도이며, 도 7의 (a)는 도 7의 (b)의 VIIa-VIIa선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의 페이스 마스크(1a)는, 도포 영역(AT)에서의 복수의 겔 영역(BG)이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하는 점에서, 복수의 겔 영역(BG)이 바둑판 무늬로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페이스 마스크(1)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주로 상이점에 관해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a face mask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FIG. 6 :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other structural example of the face mask 1a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FIG. 7B is a partial rear view of the face mask 1 of FIG. 6 , and FIG. 7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a-VIIa of FIG. 7B . In the face mask 1a of FIG. 6 ,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n the application region AT are arranged in a stripe shape, and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are arranged in a checkerboard pattern. It is different from the face mask 1 of FIG. Hereinafter, differences are mainly described.

페이스 마스크(1a)의 도포 영역(AT)에 있어서, 복수의 겔 영역(BG)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세로 방향(L)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고, 가로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비겔 영역(BU)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 서로 인접하는 겔 영역(BG)의 사이에, 세로 방향(L)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겔 영역(BG) 및 비겔 영역(BU)의 단속적인 개소에는, 각각 비겔 영역(BU) 및 겔 영역(BG)이 배치된다. 이 경우, 복수의 비겔 영역(BU)은, 인접하는 비겔 영역(BU)이 가로 방향(W)으로 양측으로부터 겔 영역(BG)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겔 영역(BG)의 폭(가로 방향(W)의 치수) dW1은, 예컨대 1∼30 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0 mm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 mm를 들 수 있다. 비겔 영역(BU)의 폭(가로 방향(W)의 치수) dW2는, 예컨대 0.2∼10 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4∼5 mm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 mm를 들 수 있다. In the application region AT of the face mask 1a,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extend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to the application region AT in plan view. and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non- gel regions B U extend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between the gel regions B G adjacent to each other to the application region AT in plan view. placed so as to Further, in intermittent portions of the gel region (G B) and bigel region (U B), respectively bigel region (U B) and a gel region (G B) it is arrange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bigel region (B U)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gel region (G B) bigel region (U B)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W) which are adjacent. However, the width (dimens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 d W1 of the gel region B G is, for example, 1 to 30 mm, preferably 2 to 20 mm, more preferably 3 ˜10 mm. The width (dimension of the transverse direction W) d W2 of the non-gel region B U is, for example, 0.2 to 10 mm, preferably 0.4 to 5 mm, more preferably 0.8 to 2 mm can be mention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페이스 마스크(1a)에 있어서도, 도 1∼도 5에 도시되는 페이스 마스크(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페이스 마스크(1a)에 있어서는, 평면시에서, 도포 영역(AT)에서의 복수의 겔 영역(BG)의 면적의 비율이, 복수의 비겔 영역(BU)의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스킨 케어제를 보다 계속적으로 피부에 공급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장착 시간을 길게 하더라도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Also in the face mask 1a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same effect as the face mask 1 shown in FIGS. 1-5 can be acquired. In addition, in the face mask 1a, in a plan view, the ratio of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B G in the application region 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ratio of the plurality of non-gel regions B U . For this reason, the skin care agent can be supplied to the skin more continuously, and by this, even if the wearing time is lengthened, it can suppress more that the efficiency which moisturizes the skin decreases.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종 값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계측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various values shall b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중량 평균 분자량)(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구해지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을 의미한다. GPC의 측정 조건으로는, 예컨대 다음 조건을 들 수 있다. 기종은,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스 제조: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램 Lachrom Elite이다. 컬럼은, 쇼와덴꼬 주식회사 제조 SHODEX KF-801, KF-803 및 KF-804이다. 용리액은 THF이며, 유량은 1.0 mL/분이며, 주입량은 100 μL이며, 검출은 RI(시차 굴절계)이다.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ns the value of polystyrene conversion calculated|requi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s the measurement conditions of GPC,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mentioned, for example. Model is Hitachi High-Technologies Co., Ltd. product: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m Lachrom Elite. The columns are SHODEX KF-801, KF-803 and KF-804 manufactured by Showa Denko Corporation. The eluent is THF, the flow rate is 1.0 mL/min, the injection volume is 100 μL, and the detection is RI (differential refractometer).

(시트 부재의 평량, 두께 및 섬유 밀도)(Basic weight, thickness and fiber density of the sheet member)

시트 부재의 평량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시트 부재를 5 cm×5 cm의 크기로 잘라내어 시료로 하여, 100℃ 이상의 분위기에서의 건조 처리후에 질량을 측정한다. 측정한 질량을 시료의 면적으로 나누어 시료의 평량을 산출한다. 10개의 시료의 평량을 평균한 값을 시트 부재의 평량으로 한다. The measuring method of the basis weight of a sheet|seat member is as follows. A sheet member is cut out to a size of 5 cm x 5 cm as a sample, and the mass is measured after drying in an atmosphere of 100 DEG C or higher. The basis weight of the sampl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measured mass by the area of the sample. Let the value obtained by averaging the basis weights of ten samples be the basis weight of the sheet member.

시트 부재의 두께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15 ㎠의 측정자를 구비한 두께계(주식회사 다이에 화학 정기 제작소 제조 모델 FS-60DS)를 이용하여, 3 g/㎠의 측정 하중의 조건으로 시트 부재의 두께를 측정한다. 하나의 시료에서 3개소의 두께를 측정하고, 3개소의 두께의 평균치를 시트 부재의 두께로 한다. The measuring method of the thickness of a sheet|seat member is as follows. The thickness of the sheet member i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of a measurement load of 3 g/cm 2 using a thickness meter (Model FS-60DS manufactured by Daie Chemical Seisakusho Co., Ltd.) provided with a 15 cm 2 measuring ruler. In one sample, the thickness of three places is measured, and let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of three places be the thickness of a sheet|seat member.

(통기도 및 신축도의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air permeability and elasticity)

시트 부재의 통기도(통기 저항)의 측정 방법으로는, KES 통기성 시험기(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품번 KES-F8-AP1)로 측정한다. 이 시험기는, 시험편의 압력 손실(표준 측정에서 일정 유량 4 ㎤/㎠·s일 때의 시험편의 저항에 의한 대기압과의 차압)을 압력 센서로 측정하고, 「통기 저항(kPa·s/m)」으로서 출력한다. 단, 페이스 마스크(1)의 신장시의 통기도에서는, 소정의 시트 부재(2)의 일부를 시료편으로서 신장하여 측정한다. As a method of measuring the air permeability (air permeability resistance) of the sheet member, it is measured with a KES air permeability tester (manufactured by Katotech Co., Ltd.; part number KES-F8-AP1). This testing machine measures the pressure loss of the test piece (differential pressure from atmospheric pressure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test piece at a constant flow rate of 4 cm 3 /cm 2 ·s in standard measurement) with a pressure sensor, output as '. However, in the air permeability at the time of extending|stretching of the face mask 1, a part of the predetermined|prescribed sheet member 2 is extended as a sample piece, and it measures.

시트 부재의 신축성의 측정 방법으로는,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JISL 1913: 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에 준거)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 페이스 마스크(1)의 신축성에서는, 소정의 시트 부재(2)의 일부를 시료편으로서 측정한다. As a method for measuring the elasticity of the sheet member, it is assumed that it is measured with a constant rate elongation type tensile tester (based on JISL 1913: general nonwoven fabric test method). However, in the elasticity of the face mask 1, a part of the predetermined sheet member 2 is measured as a sample piece.

(동점도의 측정 방법)(Measuring method of kinematic viscosity)

동점도의 측정 방법은, JIS K 2283: 2000의 「5. 동점도 시험 방법」에 따라서, 캐논펜스케 역류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40℃의 시험 온도로 측정한다. The measuring method of kinematic viscosity is "5. Kinematic viscosity test method", using a Canon-Fenske countercurrent viscometer, it measures at a test temperature of 40 degreeC.

(겔 로션의 평량의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basis weight of gel lotion)

겔 로션(3)의 평량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3 is as follows.

(1) 겔 로션(3)이 도포된 시트 부재(2)의 측정해야 할 범위(비피부 접촉 영역을 포함하지 않음)를, 예리한 날붙이, 예컨대, 커터의 교체용 날로 잘라내어 시료를 얻는다. (1) The area to be measured (not including the non-skin contact area) of the sheet member 2 to which the gel lotion 3 is applied is cut out with a sharp knife, for example, a replacement blade of a cutter to obtain a sample.

(2) 시료의 면적: S(㎡) 및 질량: M0(g)을 측정한다. (2) The area of the sample: S (m 2 ) and the mass: M 0 (g) are measured.

(3) 시료를, 겔 로션(3)이 가용인 용매, 예컨대, 방향족계 용매, 예컨대, 크실렌 등의 중에서 적어도 3분간 교반하여, 겔 로션을 용매 중에 용해시킨다. (3) The sample is stirred for at least 3 minutes in a solvent in which the gel lotion 3 is soluble, such as an aromatic solvent, such as xylene, to dissolve the gel lotion in the solvent.

(4) 시료를, 질량을 측정한 여과지 상에서 여과하고, 여과지 상에서 시료를 용매로 충분히 세정한다. 여과지 상의 시료를 100℃의 오븐 내에서 건조시킨다. (4) The sample is filtered on a filter paper whose mass is measured, and the sample is sufficiently washed with a solvent on the filter paper. The sample on the filter paper is dried in an oven at 100°C.

(5) 여과지 및 시료의 질량을 측정하고, 그것으로부터 여과지의 질량을 감하여, 건조후의 시료의 질량: M1(g)을 산출한다. (5) The mass of the filter paper and the sample is measured, and the mass of the filter paper is subtracted therefrom to calculate the mass of the sample after drying: M 1 (g).

(6) 겔 로션(3)의 평량 GBW(g/㎡)을, 다음 식: (6) The basis weight G BW (g/m2) of the gel lotion (3), the following formula:

GBW(g/㎡)=[M0(g)-M1(g)]/S(㎡)G BW (g/m2)=[M 0 (g)-M 1 (g)]/S(m2)

에 의해 산출한다. 또, 오차를 적게 하기 위해, 시료의 총면적이 100 ㎠를 넘도록, 복수의 페이스 마스크로부터 복수의 시료를 채취하고, 복수회 실험을 반복하여, 이들의 평균치를 채용한다. is calculated by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a plurality of samples are taken from a plurality of face masks so that the total area of the sample exceeds 100 cm 2 , the experiment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adopted.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1. 겔 로션의 배합 성분1. Ingredients of gel lotion

실시예의 페이스 마스크에서의 겔 로션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는, 각종 배합 성분으로서 각각 이하의 시판품을 이용했다. In manufacturing the gel lotion in the face mask of an Example, the following commercial items were used as various compounding components, respectively.

(1) 스티렌계 엘라스토머(1) Styrene-based elastomer

(a) 저분자량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a) low molecular weight styrenic elastomer

·PIONIER GEL 12 PAO(중량 평균 분자량: 약 10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Hansen&Rosenthal KG사 제조)·PIONIER GEL 12 PAO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bout 100,000,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SIS), manufactured by Hansen&Rosenthal KG)

(b)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b) high molecular weight styrenic elastomer

·크레이톤 G1654(중량 평균 분자량: 약 20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크레이톤 폴리머사 제조)· Kraton G1654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bout 200,000,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SEBS), manufactured by Kraton Polymers)

(2) 탄화수소 오일(2) hydrocarbon oil

·팔림(PARLEAM) 6(37.8℃에서의 동점도: 20 ㎟/s, 수첨 폴리이소부텐, 니찌유 주식회사 제조)· PARLEAM 6 (Kinematic viscosity at 37.8°C: 20 mm2/s, hydrogenated polyisobutene, manufactured by Nichiyu Corporation)

·팔림 18(37.8℃에서의 동점도: 300 ㎟/s, 수첨 폴리이소부텐, 니찌유 주식회사 제조)· Sale 18 (Kinematic viscosity at 37.8°C: 300 mm2/s, hydrogenated polyisobutene, manufactured by Nichiyu Corporation)

(3) 스킨 케어제(3) skin care agent

·파나세트 810S(40.0℃에서의 동점도: 13 ㎟/s,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니찌유 주식회사 제조)・Panaset 810S (Kinematic viscosity at 40.0°C: 13 mm2/s, glycerin fatty acid ester, manufactured by Nichiyu Corporation)

·올리브 오일(20℃에서의 점도: 107 mPa·s, 대표 성분이 올레인산, DSP 고쿄 푸드&케미컬 주식회사 제조)・Olive oil (viscosity at 20°C: 107 mPa·s, representative ingredient is oleic acid, DSP manufactured by Kokyo Foods & Chemicals Co., Ltd.)

·마카다미아 너츠 오일(20℃에서의 점도: 35 mPa·s, 대표 성분이 올레인산, 닛코케미컬 주식회사 제조)・Macadamia nut oil (viscosity at 20°C: 35 mPa·s, representative ingredient is oleic acid, manufactured by Nikko Chemical Co., Ltd.)

·호호바 오일(25℃에서의 점도: 40 mPa·s, 대표 성분이 올레인산, 마루젠 약품 산업 주식회사 제조)・Jojoba oil (viscosity at 25°C: 40 mPa·s, representative ingredient is oleic acid, manufactured by Maruzen Pharmaceutical Industry Co., Ltd.)

(4) 기타(4) Others

(a) 실리콘 오일(a) silicone oil

·SH200-100cs(25℃에서의 동점도가 100 ㎟/s인 디메틸폴리실록산, 도레이·다우코닝 주식회사 제조)·SH200-100cs (Dimethylpolysiloxane having a kinematic viscosity of 100 mm2/s at 25°C, manufactured by Toray Dow Corning Co., Ltd.)

2. 겔 로션의 제조2. Preparation of gel lotion

상기 각종 배합 성분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각 조성으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넣고, 내용물을 교반하면서 140℃에서 5시간 용융 혼합한 후 냉각시켜, 겔 로션의 시료 1을 얻었다. The above various ingredients were put in a separable flask with each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melt-mixed at 140° C. for 5 hours while stirring, and then cooled to obtain a gel lotion sample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3. 겔 로션의 평가 방법3. Evaluation method of gel lotion

제조된 겔 로션에 관해,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양 및 성분에 관해,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또한, 가려움에 관한 감응 평가에 관해,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했다. Regarding the prepared gel lotion, the amount and component of the oil transferred to the skin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In addition, the following method evaluated the sensitivity evaluation regarding an itch.

(1)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양의 측정 방법(1)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oil transferred to the skin

피부로 이행하는 겔 로션의 오일의 양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A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oil in the gel lotion that transfers to the skin is as follows.

(i) 상기 "2. 겔 로션의 제조"에서 제조된 겔 로션이 전면에 도포된 시트 부재로부터, 4cm×4cm의 범위를, 예리한 날붙이, 예컨대 커터의 교체용 날로 잘라내어 시료를 얻는다. 시료는 복수매 준비한다. (i) From the sheet member on which the gel lotion prepared in the above "2. Preparation of gel lotion" is applied, a range of 4 cm x 4 cm is cut out with a sharp blade, such as a replacement blade of a cutter, to obtain a sample. A plurality of samples are prepared.

(ii) 각 시료의 질량: MT0(g)을 측정한다. (ii) The mass of each sample: M T0 (g) is measured.

(iii) 각 시료를 5 cm×5 cm의 약 포장지 위에, 겔 로션이 약 포장지를 향하도록 하여, 각각 소정 시간(예시: 15, 30, 90, 180, 300분) 정치한다. (iii) Each sample is placed on a 5 cm x 5 cm medicine wrapper, with the gel lotion facing the medicine wrapping paper, and left to stand for a predetermined time (eg: 15, 30, 90, 180, 300 minutes), respectively.

(iv) 겔 로션의 오일이 약 포장지로 이행한 후의 각 시료의 질량: MT1(g)을 측정한다. (iv) The mass of each sample after the oil of the gel lotion migrates to the medicine wrapper: M T1 (g) is measured.

(v) 각 시료에 관해 겔 로션의 이행량 GTW(g/㎡)을, 다음 식: (v) the amount of transfer of gel lotion G TW (g/m 2 ) for each sample, the following formula:

GTW(g/㎡)=[MT0(g)-MT1(g)]/(0.04×0.04)(㎡)G TW (g/m2)=[M T0 (g)-M T1 (g)]/(0.04×0.04)(m2)

에 의해 산출한다. 복수회(예시: 5회) 실험을 행하여, 이들의 평균치를 채용한다. is calculated by The experiment is performed multiple times (eg, 5 times), and the average value thereof is adopted.

(2)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성분의 동정 방법(2) Identification method of oil components that migrate to the skin

피부로 이행하는 겔 로션의 오일의 성분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component of the oil of the gel lotion which transfers to the skin is as follows.

(i) 상기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양의 측정 방법"의 (i)∼(iii)을 행한다. (i) Perform steps (i) to (iii) of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amount of oil transferred to the skin".

(ii) 각 시료에 대응하는, 겔 로션의 오일이 이행한 각 약 포장지를 각각 스크류관에 넣는다. 그리고, 각 스크류관에 있어서, 각 약 포장지를 중클로로포름 1 mL 중에 15분 침지하여 오일을 추출한다. (ii) Each drug wrapper to which the oil of the gel lotion has migrated corresponding to each sample is put into the screw tube, respectively. Then, in each screw tube, each drug wrapper is immersed in 1 mL of heavy chloroform for 15 minutes to extract oil.

(iii) H1-NMR에 의해 각 중클로로포름 중의 오일을 동정한다. (iii) Identify the oil in each deuterated chloroform by H 1 -NMR.

(3) 가려움의 감응 평가(3) Evaluation of itch sensitivity

가려움의 감응 평가의 방법은 이하와 같다. The method of evaluation of sensitivity of itch is as follows.

(i) 상기 "2. 겔 로션의 제조"에서 제조된 겔 로션이 도포된 도 1∼도 2에 도시하는 페이스 마스크를 제조한다. (i) Prepare the face mask shown in FIGS. 1 to 2 to which the gel lotion prepared in "2. Preparation of gel lotion" is applied.

(ii) 페이스 마스크를 복수의 피험자에게 장착시켜, 소정 시간(예시: 15, 30, 90, 180, 300분)후의 가려움의 유무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평균을 구했다. (ii) A face mask was put on a plurality of subject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tching after a predetermined time (eg, 15, 30, 90, 180, 300 minute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nd the average was obtained.

○: 가려움이 없다, △: 가려움은 있지만 신경쓰이지 않는다, ×: 가렵다○: no itch, △: itch but not concerned, ×: itchy

4. 겔 로션의 평가 결과4. Evaluation result of gel lotion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양 및 피부로 이행하는 오일의 성분의 평가 결과, 및 가려움의 감응 평가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Table 2 below show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amount of oil transferred to the skin and the components of the oil transferred to the skin,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itch sensitivity.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오일(스킨 케어제)은 피부를 모방한 약 포장지에 계속적으로 이행시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300분(5시간)후에도 오일이 계속 방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오일로서 스킨 케어제인 파나세트 810S,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마카다미아 너츠 오일이 방출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감응 평가로서, 300분(5시간)후에도 가려움이 느껴지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It was confirmed that the oil (skin care agent) was continuously transferred to the drug packaging that mimics the ski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il was continuously discharged even after 300 minutes (5 hou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kin care agent Panacet 810S, olive oil, jojoba oil, and macadamia nut oil were released as oils. In addition, as a sensitivity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no itchiness was felt even after 300 minutes (5 hours).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인 PIONIER GEL 12 PAO(흡유성 중시 타입; 저분자량 엘라스토머)와, 크레이톤 G1654(신축성 중시 타입; 고분자량 엘라스토머)와, 팔림 6(탄화수소 오일)으로 겔을 형성하고 있다. 팔림 18(탄화수소 오일)이 피부 점착 부여제로서 작용하고 있다. SH200-100cs(실리콘 오일)이 평활성 부여제로서 작용하고 있다. 파나세트 810S, 올리브 오일, 마카다미아 너츠 오일, 호호바 오일은, 스킨 케어제이며, 지방산이나 지방산에스테르로 분류되고, 분자 구조 내에 극성(산소)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스킨 케어제는, 팔림 6과의 상용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팔림 6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겔을 형성하지만, 이들 스킨 케어제는, 겔의 표면에 블리드아웃하기 쉬워, 피부로 효율적으로 이행할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 a gel was formed with PIONIER GEL 12 PAO (oil absorption-oriented type; low-molecular-weight elastomer), which is a styrene-based elastomer, Krayton G1654 (stretch-oriented type; high molecular weight elastomer), and Pallim 6 (hydrocarbon oil), have. Parim 18 (hydrocarbon oil) is acting as a skin tackifier. SH200-100cs (silicone oil) acts as a smoothing agent. Panacet 810S, olive oil, macadamia nut oil, and jojoba oil are skin care agents, classified as fatty acids or fatty acid esters, and have polarity (oxygen) in their molecular structure. Therefore, these skin care agents differ in compatibility with Sale 6. Therefore, although Paragraph 6 forms a gel with the styrene-based elastomer, these skin care agents easily bleed out on the surface of the gel and can efficiently transfer to the skin.

본 발명의 스킨 케어 시트는, 전술한 각 실시형태의 페이스 마스크(1)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고, 다른 종류의 스킨 케어 시트에 적용할 수 있다. The skin care sheet of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ace mask 1 of each embodiment mentioned above, A combination, a change, etc. are suitably possible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a change, etc. are possible, and different types It can be applied to the skin care sheet of

1: 페이스 마스크(스킨 케어 시트)
2: 시트 부재
3: 겔 로션
1: Face Mask (Skin Care Sheet)
2: sheet member
3: Gel lotion

Claims (10)

부직포 또는 직포로 형성되고, 도포 영역 및 비도포 영역을 갖는 시트 부재와, 상기 도포 영역에 도포된 겔 로션을 구비하는 스킨 케어 시트로서,
상기 겔 로션은, 탄화수소 오일과 스킨 케어제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통기성 및 신축성을 가지며,
상기 도포 영역에, 상기 겔 로션을 갖는 복수의 겔 영역과, 상기 겔 로션을 갖지 않는 비겔 영역을 가지며,
상기 스킨 케어 시트는, 장착자의 피부에 장착될 때 신장되면서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스킨 케어 시트.
A skin care sheet comprising: a sheet member formed of a nonwoven fabric or woven fabric and having an application region and a non-application region; and a gel lotion applied to the application region, the skin care sheet comprising:
The gel lotion includes a hydrocarbon oil and a skin care agent,
The sheet member,
It has breathability and elasticity,
a plurality of gel regions having the gel lotion and a non-gel region not having the gel lotion in the application region;
The skin care shee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while being stretched when mounted on the wearer's sk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로션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는 스킨 케어 시트.
According to claim 1,
The gel lotion is a skin care sheet further comprising a styrene-based elastom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케어 시트의 10% 신장시의 상기 도포 영역의 통기도는 0.15∼0.5 KPa·s/m인 스킨 케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air permeability of the application area when the skin care sheet is stretched by 10% is 0.15 to 0.5 KPa·s/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킨 케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protrudes outwar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from a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으로 침투하고 있는 스킨 케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permeates from the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to the in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heet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에서의 상기 겔 로션은,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두께 방향의 내측의 도중까지 침투하고 있는 스킨 케어 시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el lotion in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permeates from a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to an inner half of the sheet member in a thickness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는, 상기 겔 로션이 도포된 상기 시트 부재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을 시인할 수 있는 스킨 케어 시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eet member is a skin care sheet in which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a surface side opposite to a surface of the sheet member to which the gel lotion is appli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의 각각은, 평면시에서, 상기 도포 영역에 아일랜드형 또는 라인형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스킨 케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Each of the plurality of gel areas is disposed in the application area in an island shape or a line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lan view.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면적에 대한 상기 복수의 겔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30∼95%인 스킨 케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In a plan view,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plurality of gel regions to the area of the sheet member is 30 to 9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 케어 시트는 페이스 마스크이며,
상기 페이스 마스크는 상기 시트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의 주변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겔 로션의 평량은, 상기 주변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단위 면적당 상기 겔 로션의 평량보다 많은 스킨 케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kin care sheet is a face mask,
The face mask has at least one opening in the sheet member,
A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per unit area in a peripheral area of the at least one opening is greater than a basis weight of the gel lotion per unit area in an area other than the peripheral area.
KR1020217032738A 2019-04-19 2020-03-10 skin care sheet Active KR1026080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0546A JP7170579B2 (en) 2019-04-19 2019-04-19 skin care sheet
JPJP-P-2019-080546 2019-04-19
PCT/JP2020/010364 WO2020213300A1 (en) 2019-04-19 2020-03-10 Skin car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86A true KR20220002886A (en) 2022-01-07
KR102608088B1 KR102608088B1 (en) 2023-11-29

Family

ID=7283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738A Active KR102608088B1 (en) 2019-04-19 2020-03-10 skin care shee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70579B2 (en)
KR (1) KR102608088B1 (en)
CN (1) CN113710220B (en)
WO (1) WO2020213300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743A (en) * 2001-09-13 2003-03-19 Lion Corp Sheet containing cosmetic
JP2005104929A (en) * 2003-10-01 2005-04-21 Kanae Technos:Kk Sheet for pack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7119405A (en) 2005-10-28 2007-05-17 Sansho Kaken Kk Skin care plaster
KR20170026355A (en) * 2014-06-30 2017-03-0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Outer-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JP6193846B2 (en) 2013-12-27 2017-09-0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pa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640A (en) * 1998-09-24 2000-04-04 Uni Charm Corp Pack using highly hydrous gel
JP2005348974A (en) * 2004-06-11 2005-12-22 Kurosshingu Kk Seal for face paint
CN104244896B (en) * 2012-04-18 2016-12-28 株式会社Taica Improve the mattress of nursing/medical treatment fitness
CN103948534A (en) * 2014-05-16 2014-07-30 赵紫雄 Plant fiber membrane
JP6415119B2 (en) * 2014-06-06 2018-10-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668081B2 (en) * 2016-01-14 2020-03-18 株式会社ニッピ Pack cosmetics and toiletries
KR20180006141A (en) * 2016-07-08 2018-01-17 고경찬 A mask patch for sports
KR20190029724A (en) * 2016-09-28 2019-03-20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Nonwoven fabric for gel mask
CN206508266U (en) * 2016-11-08 2017-09-22 珠海水丝新材料有限公司 A kind of variable porous dehydrated hydrogel film in aper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743A (en) * 2001-09-13 2003-03-19 Lion Corp Sheet containing cosmetic
JP2005104929A (en) * 2003-10-01 2005-04-21 Kanae Technos:Kk Sheet for pack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7119405A (en) 2005-10-28 2007-05-17 Sansho Kaken Kk Skin care plaster
JP6193846B2 (en) 2013-12-27 2017-09-0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pack
KR20170026355A (en) * 2014-06-30 2017-03-0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Outer-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76098A (en) 2020-10-29
CN113710220A (en) 2021-11-26
KR102608088B1 (en) 2023-11-29
CN113710220B (en) 2024-01-16
WO2020213300A1 (en) 2020-10-22
JP7170579B2 (en)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7076B2 (en)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US10751265B2 (en)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KR20100088097A (en) Facial treatment mask comprising an isolation layer
KR20050028023A (en) Mask composition containing emulsified liquid composition
ES2411012T3 (en) Low weight wet wipes per unit of surface with pleasant touch
CN111148452A (en) Facial mask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9575071U (en) Absorbent commodity
JP2005530740A (en) Body care products with identifiable active zones
JP2017507985A (en) Solid support with multifunctional surface
CN102014850A (en) Stretchable cosmetic mask
WO2014163075A1 (en) Sheet-shaped hair cosmetic and hair treatment method and scalp-wiping method using same
JP6193846B2 (en) pack
JP4215705B2 (en) Sheet and sheet-like cosmetic using the same
KR102608088B1 (en) skin care sheet
KR20210021993A (en) Absorbent article
KR102305170B1 (en) Outer-surface sheet for absorbent article
CN109414413A (en) Personal skin comprising skin-care agent improves covering
WO2016208044A1 (en) Pack
JP6157447B2 (en) Absorbent articles
JP6982306B2 (en) Separate sheet face mask
JP2010150251A (e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and antipruritic agent
JP7679660B2 (en) Pack cosmetics and sheet packs
BR102012002591A2 (en) Sweating treatment.
JP5943575B2 (en) Face protection sheet
JP2015189726A (en) Sheet-shaped hair cosmetic and hai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