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96A - Adhesive type of mask - Google Patents
Adhesive type of mas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1896A KR20220001896A KR1020200080375A KR20200080375A KR20220001896A KR 20220001896 A KR20220001896 A KR 20220001896A KR 1020200080375 A KR1020200080375 A KR 1020200080375A KR 20200080375 A KR20200080375 A KR 20200080375A KR 20220001896 A KR20220001896 A KR 202200018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mask
- wearing
- wing
- mask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0 CCC*C1=CCCC1 Chemical compound CCC*C1=CCCC1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41D13/1169—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using adhesiv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 본체부, 마스크 본체부의 양 측에서 귀쪽으로 연장되게 위치되는 착용 날개부,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는 점착부를 포함하여 점착으로 마스크를 피부에 부착시켜 착용함으로써 착용 시 편의성을 확보하고, 편안하게 착용이 가능하여 착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mask, which includes a mask body part that covers the nose and mouth of a wearer, a wearing wing part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mask body part toward the ear, a wearing wing part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wing part and adhering to the wearer's skin By attaching the mask to the skin with adhesive, including the adhesive part, it is possible to secure convenience when wearing and to wear comfortably, greatly improving satisfaction when wea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착식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mask.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고, 착용자의 호흡기를 통해 배출되는 비말로 타인에게 감기 등의 바이러스를 옮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로 착용되고 있다.In general, a mask is mainly worn to protect the wearer's respiratory tract and to prevent transmission of viruses such as colds to others by droplets discharged through the wearer's respiratory tract.
그리고, 근래에 들어 미세먼지로 오염된 공기에 대한 문제가 증대되고 있어 미세먼지와 황사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 재질로 제조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s the problem of air polluted with fine dust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a fine dust blocking mask made of a filter material that can filter the air to protect the wearer's respiratory tract from fine dust and yellow dust is also large. It is increasing.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는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양 측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착용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conventional mask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sk body that covers the wearer's mouth and nose, and a wearing band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ask body to be caught on the wearer's ears.
즉,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밴드를 착용자의 양쪽 귀에 걸어 사용하므로 장기간 착용 시 귀에 통증을 유발하고, 귀의 통증으로 착용 시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conventional mask ha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pain in the ear when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a wearable band is hung on both ears of the wearer, and discomfort occurs when worn due to ear pain.
특히,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경우 귀에 걸리는 착용밴드가 안경 다리에 걸려 쓰고 벗는데 불편함을 많이 느끼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erson who wears glasses, the wearing band that is attached to the ear is caught on the leg of the glasses and feels uncomfortable to put on and take off.
그리고,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밴드로 장기간 착용 시 얼굴에 줄자국이 남고, 줄을 얼굴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해야하고, 활동 시 자주 귀에서 착용밴드가 풀어지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ask is a wearable band, and when worn for a long period of time, a tape measure is left on the face, the length must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string to the face, and there is a trouble that the wearing band is often released from the ear during activity.
또한, 장애인, 치매노인 중증 환자들의 외출 시 착용밴드로 착용되는 마스크의 착용에 불편함이 있고, 귀가 아직 펼쳐지지 않은 신생아의 경우 외출 시 착용밴드로 착용되는 마스크의 착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ere inconveniences in wearing a mask worn as a wearable band when going out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re was a difficulty in wearing a mask worn as a wearable band when going out in the case of newborns whose ears were not yet spread out.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으로 마스크를 피부에 부착시켜 착용함으로써 착용 시 편의성을 확보하고, 편안하게 착용이 가능한 점착식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mask that can be worn comfortably and secures convenience when worn by attaching the mask to the skin with an adhesi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 시 얼굴에 끈자국이나 밴드 자국 등이 남는 것이 방지되고 장애인, 유아, 치매노인 등 기존 마스크의 착용이 어려운 사람들이 외출 시 마스크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점착식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leaving string marks or band marks on the face when worn, and to provide an adhesive mask that can be easily worn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nfants, seniors with dementia, etc.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 본체부, 마스크 본체부의 양 측에서 귀쪽으로 연장되게 위치되는 착용 날개부,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는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k body part that covers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a wearing wing part positioned to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mask body part toward the ear, and the wearing wing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and adhered to the wearer's skin.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안쪽면에 위치되고 상기 착용 날개부가 접혀져 상기 점착부가 부착되는 이형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paper portion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portion and to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attached by folding the wearing w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지부는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서 상기 점착부와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support portion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por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w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착용 날개부의 경계에는 상기 착용 날개부가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선이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olding guide line for guiding the folding of the wearing wing portion may be positioned at a boundary between the mask body portion and the wearing w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중앙에 세로로 마스크 본체부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접힘 안내선부가 위치되고, 상기 착용 날개부가 상기 접힘 안내선을 기준으로 접혀져 상기 이형지부에 부착된 후 상기 중앙 접힘 안내선부를 중심으로 상기 마스크 본체부를 접어 보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body portio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entral folding guide line that allows the mask body portion to be vertically folded in half, and the wearing wing portion is folded based on the folding guide line and attached to the release paper, and then the center folding guide The mask body part can be folded around the line part and stored.
본 발명에서 상기 이형지부에는 복수의 통풍용 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y be located in the release branch.
본 발명에서 상기 통풍용 구멍은 상기 이형지부 및 상기 이형지부가 부착된 상기 마스크 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release paper portion and the mask body portion to which the release paper portion is attached.
본 발명에서 상기 점착부는 어느 한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제1점착부재, 다른 한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제2점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부재와 상기 제2점착부재는 한쌍의 상기 착용 날개부가 서로 겹쳐질 때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part includes a first adhesive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wearing wing parts,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wearing wing part,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The adhesive member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when the pair of the wearing wings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점착부재에는 상기 제2점착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점착부재에는 상기 제1점착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공간이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has a first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can be inserted. 2 The insertion space may be located.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고 상기 착용 날개부가 접혀져 상기 점착부가 부착되는 이형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부는 어느 한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며 한쌍의 상기 착용 날개부가 서로 겹쳐질 때 반대쪽 상기 착용 날개부에 위치된 상기 제2점착부재가 부착되는 제1이형지부재 및 다른 한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며 한쌍의 상기 착용 날개부가 서로 겹쳐질 때 반대쪽 상기 착용 날개부에 위치된 상기 제1점착부재가 부착되는 제2이형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w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release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attached by folding the worn wing portion, and the release support portion is an inner surface of any one of the wearing wing portions. The first release member to which the second adhesive memb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aring wing is attached when the pair of the worn wing parts overlap each other and the other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orn wing and the pair of the worn wings It may include a second release member to which the first adhesive memb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aring wing portion is attached when the parts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점착부재에는 상기 제2점착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점착부재에는 상기 제1점착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공간이 위치되며, 상기 제1이형지부재는 상기 제1삽입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2이형지부재는 제2삽입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has a first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can be inserted. The second insertion space may be located, the first release supporting member may be located at the first insertion space, and the second release supporting member may be located at the second insertion space.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형지부재와 상기 제2이형지부재에는 각각 복수의 통풍용 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release paper member and the second release paper member,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상기 통풍용 구멍은 상기 제1이형지부재와 상기 제2이형지부재 및 상기 착용 본체부 또는 상기 착용 날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release paper member, the second release paper member, and the wearing body portion or the wearing wing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중앙에 세로로 마스크 본체부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접힘 안내선부가 위치되고, 상기 중앙 접힘 안내선부를 중심으로 상기 마스크 본체부가 접혀지면 상기 제1점착부는 반대편의 상기 착용 날개부에 위치된 제2이형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점착부는 반대편의 상기 착용 날개부에 위치된 제1이형지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entral folding guide line for allowing the mask body to be vertically folded in half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ask body, and when the mask body is folded around the center folding guide, the first adhesive portion is on the opposite side. It may be attached to a second release support member positioned on the wearing wing portion, and the second adhesive portion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release support memb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aring wing portion.
본 발명은 점착으로 마스크를 피부에 부착시켜 착용함으로써 착용 시 편의성을 확보하고, 편안하게 착용이 가능하여 착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convenience when wearing the mask by attaching it to the skin with an adhesive, and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satisfaction when wearing it because it can be worn comfortably.
본 발명은 끈 또는 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점착으로 착용되어 착용 시 얼굴에 끈자국이나 밴드 자국 등이 남는 것이 방지되고 장애인, 유아, 치매노인 등 기존 마스크의 착용이 어려운 사람들도 외출 시 마스크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dhesive without using a string or band, so that string marks or band marks are prevented from remaining on the face when worn, and people who have difficulty wearing existing masks, such as the disabled, infants, and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can easily use the mask when going out.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comfortable to w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착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접어 보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접어 보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and storing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and stor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 본체부(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마스크 본체부(100)는 부직포, 면소재, 폴리우레탄, 네오플랜 등 공지된 마스크 소재로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마스크 본체부(100)는 중앙에 세로로 마스크 본체부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접힘 안내선부가 위치된다.In the center of the
마스크 본체부(100)는 중앙 접힘 안내선부를 중심으로 제1마스크 본체와 제2마스크 본체로 구분된다.The
중앙 접힘 안내선부는 착용자가 마스크 본체부(100)를 착용할 때 콧날에 대응되게 위치되고 착용자의 코와 입이 마스크 본체부(100)의 안쪽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중앙 부분이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마스크 본체부(100)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central fold guide line part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nose bridge when the wearer wears the
마스크 본체부(100)의 양 측 즉, 제1마스크 본체와 제2마스크 본체의 양 단부 측에는 귀쪽으로 연장되고 마스크 본체부(100)와 일체로 제조되는 착용 날개부(200)가 위치된다.On both sides of the
착용 날개부(200)는 마스크 본체부(100)의 양 측에서 귀쪽으로 연장되어 뺨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리도록 위치된다.The wearing
착용 날개부(200)는 마스크 본체부(100)의 양 측에서 한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뺨과 귀의 경계부분까지 연장되어 뺨의 끝부분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부(300)로 부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Wearing
착용 날개부(200)는 마스크 본체부(100)의 양 측에서 한쌍으로 구비되고, 각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는 피부와 점착되어 부착될 수 있는 점착부(300)가 위치된다.Wings to be worn 200 are provid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점착부(300)는 착용 날개부(200)의 양 단부 측에서 안쪽면에 위치되어 뺨의 끝부분에서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어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도록 착용된 마스크 본체부(100)의 위치를 고정한다. The
점착부(300)는 부직포, 면소재, 폴리우레탄, 네오플랜 등 공지된 마스크 소재에 점착되어 고정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반복해서 점착될 수 있는 공지의 점착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점착부(300)의 안쪽면은 부직포, 면소재, 폴리우레탄, 네오플랜 등 공지된 마스크 소재에 접착될 수 있는 제1점착제를 사용하고, 바깥쪽면에는 피부에 저자극성이고, 독성이 없는 핫멜트 방식 등의 제2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The inner surface of the
점착부(300)에 사용되는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는 공지의 점착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점착부(300)는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에 탈부착 가능한 점착 시트부재(310)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점착 시트부재(310)의 안쪽면에는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제1점착제가 위치되고, 점착 시트부재(310)의 바깥쪽면에는 착용자의 피부와 점착되어 부착되는 제2점착제가 위치된다.As an example, the
그리고, 제1점착제는 피부에 점착되는 제2점착제의 점착 강도보다 큰 점착 강도로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 점착 시트부재(310)를 점착시켜 점착 시트부재(310)가 제2점착제가 위치된 바깥쪽면으로 피부와 탈부착될 때 점착 시트부재(310)를 착용 날개부(200)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adheres the
점착 시트부재(310)는 제2점착제가 위치된 바깥쪽면이 다수회 사용으로 점착력이 떨어지거나 외부 이물질이 사용 중 제2점착제에 부착되어 점착력이 떨어지는 경우 제1점착제로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서 분리되어 새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The
즉, 점착부(300)는 착용 날개부(200)에서 분리되어 새 것으로 교체되어 마스크 본체부(100)를 재활용할 수 있고, 면소재, 폴리우레탄, 네오플랜 등의 재질로 제조되어 패션용으로 사용되고 세척하여 다수회 사용되거나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마스크의 경우 특히 점착부 즉, 점착 시트부재(310)를 새로 교체할 수 있어 사용 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at is, the
또한, 점착부(300) 즉, 점착 시트부재(310)는 제2점착제의 형태를 즉, 면적당 점착제의 양을 조절하여 일회용, 다회용, 반영구형으로 구분될 수 있어 마스크의 용도에 따라 제2점착제의 양을 조절하여 해당 용도의 마스크에 맞게 일회용, 다회용, 반영구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 본체부(100)의 안쪽면에 위치되고 착용 날개부(200)가 접혀져 점착부(300)가 탈부착되는 이형지부(400)를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이형지부(400)는 점착부(300)가 탈부착될 수 있는 공지의 이형지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The
이형지부(400)는 마스크 본체부(100)의 안쪽면 즉, 제1마스크 본체의 안쪽면과 제2마스크 본체의 안쪽면에 각각 위치되어 각 착용 날개부(200)가 접혀져 부착될 수 있다. The
이형지부는 점착부(300)의 크기와 같거나 큰 크기로 형성되어 점착부(300)의 전체 면적이 모두 부착될 수 있다. The release support part is formed to have a siz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서 점착부(300)와 이격되게 위치되어 착용 날개부(200)가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It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마스크 본체부(100)의 양 측에는 착용 날개부(200)의 점착부(300)와 이형지부(400)의 사이에 점착부(300)가 위치된 부분을 접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선(210)이 위치된다.On both sides of the
접힘 안내선(210)은 점착부(300)가 위치된 착용 날개부(200)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다.The
접힘 안내선(210)은 점선일 수도 있고, 직선일 수도 있으며 마스크 본체부(100)의 양 측에서 마스크 본체부(100)의 안쪽면에 세로로 파여진 형태로 형성되어 점착부(300)가 위치된 착용 날개부(200)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다.The
접힘 안내선(210)은 착용 날개부(200)의 접힘 위치를 안내하여 접혀지는 점착부(300)가 이형지부(400)에 전체 면적이 부착될 수 있게 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미사용 시 점착부(300)가 위치된 착용 날개부(200)를 접어 점착부(300)를 이형지부(400)에 점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t in use, the
점착부(300)는 마스크의 미 사용 시 착용 날개부(200)가 접힘 안내선(210)을 기준으로 접혀져 이형지부(400)에 부착되어 보관됨으로써 공기 중으로 노출되어 이물질 등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회 반복해서 피부에 점착시켜 재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또한, 이형지부(400)에는 복수의 통풍용 구멍(400a)이 위치되어 착용 시 이형지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서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KF94 또는 KF80, 덴탈 마스크 등 미세먼지 또는 비말 등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마스크에서는 통풍용 구멍(400a)이 이형지부(400)에만 위치되고, 마스크 본체부(100)에 형성되지 않는다.In a mask used for blocking fine dust or splashes, such as KF94 or KF80, a dental mask, etc., the
이는 통풍용 구멍(400a)을 통해 필터링되지 않는 공기가 착용된 마스크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air that is not filtered through the
다만, 면소재, 폴리우레탄, 네오플랜 등의 재질로 제조되어 패션용으로 사용되는 마스크의 경우 통풍용 구멍(400a)은 이형지부(400) 및 이형지부(400)가 부착된 마스크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착용된 마스크 본체부(100)의 내부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마스크의 착용 시 숨쉬는 불편함과 땀이 차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mask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tton, polyurethane, neoprene, etc. and used for fashio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착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 본체부(100)로 코와 입을 가리도록 착용한 후 착용 날개부(200)를 점착부(300)로 양쪽 뺨에 점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착용될 수 있다.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wearing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접어 보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마스크의 미 사용 시 착용 날개부(200)를 접힘 안내선(210)을 기준으로 접어 점착부(300)를 이형지부(400)에 부착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and storing an embodiment of an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도 5는 점착부(300)가 접혀져 이형지부(400)에 부착된 후 중앙 접힘 안내선부를 중심으로 마스크 본체부(100)를 접어 제1마스크 본체와 제2마스크 본체가 포개진 상태로 보관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5 shows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의 미 사용 시 도 4와 같이 착용 날개부(200)를 접힘 안내선(210)을 기준으로 접어 이형지부(400)에 접어 부착시킨 후 도 5에서와 같이 중앙 접힘 안내선부를 중심으로 제1마스크 본체와 제2마스크 본체를 접어 보관할 수 있다. That is, in an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sk is not used, the wearin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6을 참고하면 점착부(300)는 어느 한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제1점착부재(310), 다른 한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제2점착부재(320)를 포함하고, 제1점착부재(310)와 제2점착부재(320)는 한쌍의 착용 날개부(200)가 서로 겹쳐질 때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위치된다. 6 is a rear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 the
제1점착부재(310)에는 제2점착부재(320)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공간(310a)이 구비되고, 제2점착부재(320)에는 제1점착부재(310)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공간(320a)이 위치된다. A
제1점착부재(310)와 제2점착부재(320)는 서로 제1삽입공간(310a)과 제2삽입공간(320a)에 각각 일부분씩 삽입되면서 암수 구조로 결합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한쌍의 착용 날개부(200)에서 각각 피부에 점착되어 마스크 본체부(100)의 착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The first
또한, 이형지부(400)는 어느 한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 위치되며 한쌍의 착용 날개부(200)가 서로 겹쳐질 때 제2점착부재(320)가 부착되는 제1이형지부재(410)와 다른 한 착용 날개부(200)의 안쪽면에 위치되며 한쌍의 착용 날개부(200)가 서로 겹쳐질 때 제1점착부재(310)가 부착되는 제2이형지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이형지부재(410)는 제2점착부재(320)와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2이형지부재(420)는 제1점착부재(310)와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The first
제1이형지부재(410)는 제1삽입공간(310a)에 위치되어 제2점착부재(320)와 마주보고 제2점착부재(320)가 부착될 수 있고, 제2이형지부재(420)는 제2삽입공간(320a)에 제1점착부재(310)와 마주보고 제2점착부재(310)가 부착될 수 있다. The first
제1이형지부재(410)와 제2이형지부재(420)에는 각각 복수의 통풍용 구멍(400a)이 위치되어 착용 시 이형지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서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A plurality of
통풍용 구멍(400a)은 제1이형지부재(410)와 제2이형지부재(420) 및 착용 본체부(100) 또는 착용 날개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통기성을 최대한 확보하여 면소재, 폴리우레탄, 네오플랜 등의 재질로 제조되어 패션용으로 사용되는 마스크의 경우 착용자의 피부에서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는 미사용 시 한쌍의 착용 날개부(200)를 겹쳐져 제1점착부재(310)를 제2이형지부재(420)에 부착시키고, 제2점착부재(320)를 제1이형지부재(410)에 부착시켜 제1점착부재(310)와 제2점착부재(3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verlaps a pair of wearing
즉,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는 미 사용 시 한쌍의 착용 날개부(200)를 겹쳐 제1점착부재(310)와 제2점착부재(320)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점착부재(310)와 제2점착부재(320)의 점착력을 최대한 유지시켜 수회 반복해서 피부에 점착시켜 재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That 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t in use, a pair of wearin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접어 보관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는 마스크의 미 사용 시 중앙 접힘 안내선부를 중심으로 마스크 본체부(100)를 접어 제1마스크 본체와 제2마스크 본체를 밀착시키고, 제1마스크 본체와 제2마스크 본체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된 착용 날개부를 맞붙여 제1점착부재(310)를 제2이형지부재(420)에 부착시키고, 제2점착부재(320)를 제1이형지부재(410)에 부착시켜 마스크 본체부(100)의 접힌 상태를 유지시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folding and stor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 reference to FIG. 7 , another embodimen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f the adhesiv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ask is not in use, the
본 발명은 점착으로 마스크를 피부에 부착시켜 착용함으로써 착용 시 편의성을 확보하고, 편안하게 착용이 가능하여 착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the convenience when wearing the mask by attaching it to the skin with an adhesive, and can be worn comfortably,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satisfaction when wearing.
본 발명은 끈 또는 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점착으로 착용되어 착용 시 얼굴에 끈자국이나 밴드 자국 등이 남는 것이 방지되고 장애인, 유아, 치매노인 등 기존 마스크의 착용이 어려운 사람들도 외출 시 마스크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by adhesive without using a string or band, so that string marks or band marks are prevented from remaining on the face when worn, and people who have difficulty wearing existing masks, such as the disabled, infants, and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can easily use the mask when going out. make it comfortable to wear.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마스크 본체부
200 : 착용 날개부
210 : 접힘 안내선
300 : 점착부
310 : 제1점착부재
310a : 제1삽입공간
320 : 제2점착부재
320a : 제2삽입공간
400 : 이형지부
400a : 통풍용 구멍
410 : 제1이형지부재
420 : 제2이형지부재100: mask body part 200: wear wing part
210: fold guide line 300: adhesive part
310: first
320: second
400:
410: first release paper member 420: second release paper member
Claims (14)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양 측에서 귀쪽으로 연장되게 위치되는 착용 날개부; 및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고 착용자의 피부에 점착되는 점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Mask body covering the nose and mouth of the wearer;
Wearing wings positioned to extend toward the ears from both sides of the mask body; and
Adhesive mask, which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wing and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that is adhered to the wearer's skin.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안쪽면에 위치되고 상기 착용 날개부가 접혀져 상기 점착부가 부착되는 이형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dhesive mask, which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part and further comprises a release paper part to which the adhesive part is attached by folding the wearing wing part.
상기 이형지부는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서 상기 점착부와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elease support part is an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par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wing part.
상기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착용 날개부의 경계에는 상기 착용 날개부가 접히도록 안내하는 접힘 안내선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a folding guide line for guiding the folding of the wearing wing is positioned at a boundary between the mask body and the wearing wing.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중앙에 세로로 마스크 본체부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접힘 안내선부가 위치되고,
상기 착용 날개부가 상기 접힘 안내선을 기준으로 접혀져 상기 이형지부에 부착된 후 상기 중앙 접힘 안내선부를 중심으로 상기 마스크 본체부를 접어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central folding guide line portion for vertically folding the mask body portion in half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ask body portion,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rable wing portion is folded based on the folding guide line and attached to the release branch, and then the mask body portion can be folded and stored around the central folding guide line portion.
상기 이형지부에는 복수의 통풍용 구멍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located in the release paper portion.
상기 통풍용 구멍은 상기 이형지부 및 상기 이형지부가 부착된 상기 마스크 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ventilation hole is an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release support portion and the mask body portion to which the release paper portion is attached.
상기 점착부는 어느 한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제1점착부재, 다른 한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는 제2점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부재와 상기 제2점착부재는 한쌍의 상기 착용 날개부가 서로 겹쳐질 때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hesive part includes a first adhesive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wing part, and a second adhesive member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wearing wing part,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dhesive member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are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when the pair of the wearing wings overlap each other.
상기 제1점착부재에는 상기 제2점착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점착부재에는 상기 제1점착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공간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has a second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can be inserted.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고 상기 착용 날개부가 접혀져 상기 점착부가 부착되는 이형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부는,
어느 한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며 한쌍의 상기 착용 날개부가 서로 겹쳐질 때 반대쪽 상기 착용 날개부에 위치된 상기 제2점착부재가 부착되는 제1이형지부재; 및
다른 한 상기 착용 날개부의 안쪽면에 위치되며 한쌍의 상기 착용 날개부가 서로 겹쳐질 때 반대쪽 상기 착용 날개부에 위치된 상기 제1점착부재가 부착되는 제2이형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9. The method of claim 8,
It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w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release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attached by folding the worn wing portion,
The release branch,
a first release paper member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any one of the wearing wing parts and to which the second adhesive memb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aring wing part is attached when the pair of the wearing wing parts overlap each other; and
Another adhesive ty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release paper member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wing portion and to which the first adhesive memb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aring wing portion is attached when the pair of the worn wing portions overlap each other. Mask.
상기 제1점착부재에는 상기 제2점착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점착부재에는 상기 제1점착부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제2삽입공간이 위치되며,
상기 제1이형지부재는 상기 제1삽입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제2이형지부재는 제2삽입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adhesive member is provided with a first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adhesive member can be inserted, and the second adhesive member has a second insertion spac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dhesive member can be inserted. is located,
The first release paper member is positioned in the first insertion space, and the second release paper member is positioned in the second insertion space.
상기 제1이형지부재와 상기 제2이형지부재에는 각각 복수의 통풍용 구멍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first release paper member and the second release paper member.
상기 통풍용 구멍은 상기 제1이형지부재와 상기 제2이형지부재 및 상기 착용 본체부 또는 상기 착용 날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ventilation hole is an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the first release paper member, the second release paper member, and the wearing body portion or the wearing wing portion.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중앙에 세로로 마스크 본체부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중앙 접힘 안내선부가 위치되고,
상기 중앙 접힘 안내선부를 중심으로 상기 마스크 본체부가 접혀지면 상기 제1점착부는 반대편의 상기 착용 날개부에 위치된 제2이형지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점착부는 반대편의 상기 착용 날개부에 위치된 제1이형지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마스크.11. The method of claim 10,
A central folding guide line portion for vertically folding the mask body portion in half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ask body portion,
When the mask body part is folded around the central fold guide line part, the first adhesive part is attached to a second release support memb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aring wing part, and the second adhesive part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aring wing part. Adhesive mask,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first release paper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375A KR20220001896A (en) | 2020-06-30 | 2020-06-30 | Adhesive type of ma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0375A KR20220001896A (en) | 2020-06-30 | 2020-06-30 | Adhesive type of mas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896A true KR20220001896A (en) | 2022-01-06 |
Family
ID=79348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0375A Abandoned KR20220001896A (en) | 2020-06-30 | 2020-06-30 | Adhesive type of mas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1896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5384A (en) | 2018-10-22 | 2020-05-04 | 주식회사 제이웨이브 | Disposable mask with adjustable hook band |
-
2020
- 2020-06-30 KR KR1020200080375A patent/KR20220001896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5384A (en) | 2018-10-22 | 2020-05-04 | 주식회사 제이웨이브 | Disposable mask with adjustable hook ban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2081650T3 (en) | Breathing Nasal Filter | |
US20080087286A1 (en) | Disposable nasal filter | |
KR100927336B1 (en) | Sanitary Mask with Locking Support | |
KR102284062B1 (en) | Mask with elastic support frame | |
KR102316215B1 (en) | Mask | |
KR20180129228A (en) | Eye protection Integral type Protective mask | |
US20250065069A1 (en) | Nose respirator device | |
KR102698254B1 (en) | Nasal Masks and Associated Filters | |
KR102286176B1 (en) | Nose mask for fine dust | |
KR20220001896A (en) | Adhesive type of mask | |
KR102518522B1 (en) | A Lineless Mask | |
CN212754370U (en) | Mask combined structure with simple goggles | |
KR20210133018A (en) | Guard for mask and filter replaceable type mask having the same | |
KR20170060464A (en) | Mask comprising in nose filter | |
KR102225035B1 (en) | Mask | |
KR102445480B1 (en) | Nose mask | |
CN221382625U (en) | Mask auxiliary tool | |
CN213188189U (en) | A3M gauze mask for an ray of medical personnel | |
KR20220000748U (en) | Tape for mask | |
JP2007021026A5 (en) | ||
TWM462612U (en) | Nasal mask | |
KR20220031163A (en) | Inner layer for mask | |
KR20220055062A (en) | A no-line mask | |
KR20220102835A (en) | a mask equipped with a chain of necklaces | |
KR20240072758A (en) | Sleeping mas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2-nap-PC1904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3-oth-PC190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