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162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8162A KR20210158162A KR1020200076594A KR20200076594A KR20210158162A KR 20210158162 A KR20210158162 A KR 20210158162A KR 1020200076594 A KR1020200076594 A KR 1020200076594A KR 20200076594 A KR20200076594 A KR 20200076594A KR 20210158162 A KR20210158162 A KR 202101581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wall
- electrode
- case
- cap plate
- secondary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07 heat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81—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button or coin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01M50/56—Cup shaped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이차 전지는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노출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의 외곽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노출하는 관통홀 및 상기 제1 측벽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절연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단자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접합하는 제1 접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기재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최근,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헤드폰, 이어폰, 스마트워치(smartwatch), 신체 부착형 의료 기기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초소형 이차 전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초소형 이차 전지는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밀폐 보존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예는,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에 대한 밀폐 보존 능력이 향상된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은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노출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의 외곽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노출하는 관통홀 및 상기 제1 측벽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절연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단자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접합하는 제1 접합층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을 상기 수평 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벽의 길이 대비 길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제1 측벽의 제1 부분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 너비는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비중첩된 상기 제1 측벽의 제2 부분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 너비 대비 좁을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캡 플레이트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제2 부분의 테두리는 상기 제2 측벽의 테두리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2 측벽을 상기 수평 방향으로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의 길이는 상기 제1 측벽의 길이 대비 길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제2 측벽의 제3 부분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 너비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비중첩된 상기 제2 측벽의 제4 부분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 너비 대비 좁을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의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케이스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의 상기 제4 부분의 테두리는 상기 제1 측벽의 테두리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절연 접합하는 제2 접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제2 전극 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층은 열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에 대한 밀폐 보존 능력이 향상된 이차 전지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초소형 이차 전지로서, 코인형 전지(coin cell) 또는 버튼형 전지(button cel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 또는 핀(pin)형 전지일 수 있다.
여기서, 코인형 전지 또는 버튼형 전지는 얇은 동전 또는 단추 형태의 전지로서, 직경에 대한 높이(높이/직경)의 비율이 1 이하인 전지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코인형 전지 또는 버튼형 전지는 주로 원통형이므로 수평 방향의 단면이 원형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방향의 단면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형태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직경은 전지의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 거리를 의미할 수 있고, 높이는 전지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최대 거리(편평한 바닥면에서 편평한 최상단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전극 조립체(100), 케이스(200), 캡 플레이트(300), 단자 플레이트(400), 제1 접합층(500), 및 제2 접합층(600)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0)는 케이스(200)에 수납된다. 전극 조립체(100)의 하부는 케이스(200)의 저부와 대향하며, 전극 조립체(100)의 상부는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를 커버하는 캡 플레이트(300) 및 단자 플레이트(400)와 대향한다. 전극 조립체(100)의 상부 및 하부는 서로 평행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세퍼레이터(130), 제1 전극 탭(140), 제2 전극 탭(150)을 포함한다.
제1 전극(110) 및 제2 전극(12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에는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130)가 위치한다. 제1 전극(110)은 음극(anode)이고, 제2 전극(120)은 양극(catho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110)이 양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120)이 음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형태를 가지며, 금속박(일례로, Cu 포일)의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층이 도포된 영역인 음극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음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음극 무지부는 제1 전극(110)의 연장 방향으로 일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120)은 세퍼레이터(130)를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10)과 이격되어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형태를 가지며, 금속박(일례로, Al 포일)의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층이 도포된 영역인 양극 코팅부와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인 양극 무지부를 포함한다. 양극 무지부는 제2 전극(120)의 연장 방향으로 일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130)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제1 전극(110), 세퍼레이터(130), 제2 전극(12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감겨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0), 제2 전극(120), 세퍼레이터(130) 각각은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탭(140)은 전극 조립체(100)의 제1 전극(110)으로부터 케이스(200)로 연장된다. 제1 전극 탭(140)은 케이스(200)의 저부와 결합되어 제1 전극(110)과 케이스(200) 사이를 연결한다. 제1 전극 탭(140)은 제1 전극(110) 및 케이스(200)와 접촉한다. 제1 전극 탭(140)에 의해 케이스(200)는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제2 전극 탭(150)은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120)으로부터 단자 플레이트(400)로 연장된다. 제2 전극 탭(150)은 단자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20)와 결합되어 제2 전극(120)과 단자 플레이트(400) 사이를 연결한다. 제2 전극 탭(150)은 제2 전극(120) 및 단자 플레이트(400)와 접촉한다. 제2 전극 탭(150)에 의해 단자 플레이트(400)는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한편, 전극 조립체(100)의 중앙 부분에는 전극 조립체(100)의 중심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센터 핀이 위치할 수 있고, 이 센터 핀이 제1 전극 탭(140) 및 제2 전극 탭(150)을 지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제1 전극(110)과 연결되어 전극 조립체(100)를 수납한다. 케이스(200)의 저부는 제1 전극 탭(140)에 의해 전극 조립체(100)의 제1 전극(110)과 연결되어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케이스(200)는 젤리 롤 형태의 전극 조립체(100)를 수납하는 원통 형태를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와 함께 공지된 다양한 전해액을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외부 표면은 이차 전지(1000)의 제1 전극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단자 플레이트(400)의 외부 표면인 플랜지부(410)의 외부 표면은 이차 전지(1000)의 제2 전극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케이스(200)의 외부 표면에는 도금층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코팅층이 케이스(200)의 외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또는 니켈 및 구리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상부를 노출하는 개구부(210) 및 개구부(210)를 형성하는 제1 측벽(220)을 포함한다.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는 캡 플레이트(300) 및 단자 플레이트(400)에 의해 커버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케이스(200)의 저부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어 개구부(210)를 형성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수평 방향(X)으로 제2 측벽(320)에 의해 커버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제1 부분(221) 및 제2 부분(222)을 포함한다.
제1 부분(221)은 제2 측벽(320)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되는 부분이며, 제2 부분(222)은 제1 부분(221)으로부터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어 제2 측벽(320)과 수평 방향(X)으로 비중첩된 부분이다. 개구부(210)를 형성하는 제1 부분(221)의 수평 방향(X)의 제1 너비(W1)는 제2 부분(222)의 수평 방향(X)의 제2 너비(W2) 대비 좁다. 제1 부분(221)은 넥킹(necking) 공정 등을 이용해 제2 부분(222)으로부터 소성 변형된 부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부분(221)의 제1 너비(W1)가 제2 부분(222)의 제2 너비(W2) 대비 좁기 때문에, 제1 측벽(220)의 제2 부분(222)의 테두리는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테두리와 수직 방향(Y)으로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위치한다.
즉,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수평 방향(X)으로의 최외곽 테두리와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수평 방향(X)으로의 최외곽 테두리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위치함으로써, 이차 전지(1000) 자체의 부피에 의해 이차 전지(1000)가 장착되는 장치의 다른 구성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길이는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길이 대비 수직 방향(Y)으로 길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단부는 캡 플레이트(300)와 접촉하며,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이 캡 플레이트(300)와 접촉함으로써, 캡 플레이트(300)는 케이스(200) 및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캡 플레이트(300)와 단순히 접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 등에 의해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이 캡 플레이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캡 플레이트(300)는 케이스(200)와 결합하여 개구부(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한다. 캡 플레이트(300)는 개구부(210)의 중앙 영역을 노출하는 관통홀(310) 및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하는 제2 측벽(320)을 포함한다. 캡 플레이트(300)는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를 형성하는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과 접촉하고,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이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을 수평 방향(X)으로 커버하도록 결합되어 개구부(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한다. 캡 플레이트(300)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310)에 의해 고리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캡 플레이트(300)는 케이스(200)와 결합되어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캡 플레이트(300)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또는 니켈 및 구리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300)의 외부 표면은 이차 전지(1000)의 제1 전극 단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캡 플레이트(300)의 외부 표면에는 도금층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코팅층이 캡 플레이트(300)의 외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은 수평 방향(X)으로 제1 측벽(220)과 중첩되어 제1 측벽(220)을 커버한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은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제1 부분(221)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되며, 제1 측벽(220)의 제2 부분(222)과 수평 방향(X)으로 비중첩한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테두리는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제2 부분(222)의 테두리와 수직 방향(Y)으로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위치한다.
즉,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수평 방향(X)으로의 최외곽 테두리와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수평 방향(X)으로의 최외곽 테두리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위치함으로써, 이차 전지(1000) 자체의 부피에 의해 이차 전지(1000)가 장착되는 장치의 다른 구성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길이는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길이 대비 수직 방향(Y)으로 짧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과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제1 부분(221) 사이는제1 접합층(500)에 의해 접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접합 물질에 의해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과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 사이가 접합될 수 있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제2 전극(120)과 연결되어 캡 플레이트(300)에 절연 접합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캡 플레이트(300)의 관통홀(310)을 커버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캡 플레이트(300) 상에 위치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캡 플레이트(300)의 관통홀(310)이 노출하는 케이스(200)의 개구부(210)의 중앙 영역을 커버한다. 단자 플레이트(400)가 개구부(210)의 중앙 영역을 커버하고 캡 플레이트(300)가 개구부(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함으로써,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는 단자 플레이트(400) 및 캡 플레이트(30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 탭(150)과 연결되어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120)과 연결된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단자 플레이트(400)는 플랜지부(410) 및 돌출부(420)를 포함한다.
플랜지부(410)는 캡 플레이트(300) 상에 위치하며, 캡 플레이트(300)와 중첩하여 관통홀(310)을 커버한다. 플랜지부(410)는 돌출부(420) 대비 더 넓은 면적을 가진다. 일례로, 플랜지부(410)는 돌출부(420) 대비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410)는 돌출부(420) 대비 더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플랜지부(410)의 하부 표면은 제2 접합층(600)과 접촉하며, 플랜지부(410)는 제2 접합층(600)에 의해 캡 플레이트(300)에 절연 접합된다. 플랜지부(410)의 외부 표면은 이차 전지(1000)의 제2 전극 단자일 수 있다.
돌출부(420)는 플랜지부(410)로부터 돌출되어 관통홀(310)을 관통한다. 돌출부(420)는 플랜지부(410)로부터 관통홀(310)을 관통하여 제2 전극(120)과 연결된다. 돌출부(420)의 하부 표면은 제2 전극 탭(150)과 접촉한다. 돌출부(420)가 제2 전극 탭(150)과 결합됨으로써, 단자 플레이트(400)의 돌출부(420) 및 플랜지부(410)가 제2 전극(12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돌출부(420) 및 플랜지부(41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재료가 결합되어 단자 플레이트(400)를 형성할 수 있다.
단자 플레이트(400)의 외부 표면에는 도금층이 코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코팅층이 단자 플레이트(400)의 외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는 캡 플레이트(300)와 전극 조립체(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돌출부(420)는 플랜지부(410)로부터 연장되어 관통홀(310)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부(410)의 하부 표면이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 탭(150)과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자 플레이트(400)는 캡 플레이트(300) 상에 위치하는 플랜지부(41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캡 플레이트(300)의 관통홀(310)을 통해 전극 조립체(100)의 제2 전극 탭(150)이 플랜지부(410)의 하부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합층(500)은 케이스(200)와 캡 플레이트(300) 사이를 접합한다. 제1 접합층(500)은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제1 부분(221)과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측벽(220)과 제2 측벽(320) 사이를 접합한다. 제1 접합층(500)은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층(500)은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과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 사이에서 열 또는 레이저 빔 등을 이용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접합층(500)은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과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 사이를 접합하는 공지된 다양한 접합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층(500)은 열에 의해 경화된 상태이나, 설정된 온도에서 녹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합층(500)이 녹는 설정된 온도는 제1 접합층(500)을 경화시키는 열의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제1 접합층(500)은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층(500)의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접합층(500)의 열경화성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된 상태이며,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등의 공지된 다양한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층(500)의 열가소성 수지는 설정된 온도에서 녹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공지된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층(600)은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 사이에 위치하며,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 사이를 절연 접합한다. 제2 접합층(600)은 절연 재료를 포함하며,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 사이를 절연한다. 제2 접합층(600)은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의 플랜지부(410) 사이에서 열 또는 레이저 빔 등을 이용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접합층(600)은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 사이를 절연 접합하는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층(600)이 캡 플레이트(300)와 단자 플레이트(400) 사이를 접합하고, 제1 접합층(500)이 케이스(200)와 캡 플레이트(300) 사이를 접합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가 수납된 케이스(200)의 개구부(210)가 캡 플레이트(300), 단자 플레이트(400), 제1 접합층(500), 제2 접합층(600)에 의해 완전히 밀봉된다.
제2 접합층(600)은 열에 의해 경화된 상태이나, 설정된 온도에서 녹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합층(600)이 녹는 설정된 온도는 제2 접합층(600)을 경화시키는 열의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제2 접합층(600)은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층(600)의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접합층(600)의 열경화성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된 상태이며,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등의 공지된 다양한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합층(600)의 열가소성 수지는 설정된 온도에서 녹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공지된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0)는 전극 조립체(100)가 수납된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이 개구부(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하는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하고, 제1 측벽(220)과 제2 측벽(320) 사이가 제1 접합층(500)에 의해 접합되고, 개구부(210)의 중앙 영역이 캡 플레이트(300)에 접합된 단자 플레이트(400)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가 수납된 케이스(200)의 개구부(210)가 캡 플레이트(300), 단자 플레이트(400), 제1 접합층(500), 제2 접합층(600)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기 때문에, 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100) 및 전해액에 대한 밀폐 보존 능력이 향상된다.
즉,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에 대한 밀폐 보존 능력이 향상된 이차 전지(1000)가 제공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2)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2)는 전극 조립체(100), 케이스(200), 캡 플레이트(300), 단자 플레이트(400), 제1 접합층(500), 및 제2 접합층(600)을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전극 조립체(100)의 상부를 노출하는 개구부(210) 및 개구부(210)를 형성하는 제1 측벽(220)을 포함한다.
케이스(200)의 개구부(210)는 캡 플레이트(300) 및 단자 플레이트(400)에 의해 커버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케이스(200)의 저부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어 개구부(210)를 형성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수평 방향(X)으로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을 커버한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은 제3 부분(321) 및 제4 부분(322)을 포함한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제3 부분(321)은 제1 측벽(220)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되는 부분이며, 제4 부분(322)은 제3 부분(321)으로부터 수직 방향(Y)으로 연장되어 제1 측벽(220)과 수평 방향(X)으로 비중첩된 부분이다. 제2 측벽(320)의 제3 부분(321)의 수평 방향(X)의 제3 너비(W3)는 제4 부분(322)의 수평 방향(X)의 제4 너비(W4) 대비 좁다. 제3 부분(321)은 넥킹(necking) 공정 등을 이용해 제4 부분(322)으로부터 소성 변형된 부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제3 부분(321)의 제3 너비(W3)가 제4 부분(322)의 제4 너비(W4) 대비 좁기 때문에,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제4 부분(322)의 테두리는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테두리와 수직 방향(Y)으로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위치한다.
즉,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수평 방향(X)으로의 최외곽 테두리와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수평 방향(X)으로의 최외곽 테두리가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위치함으로써, 이차 전지(1002) 자체의 부피에 의해 이차 전지(1002)가 장착되는 장치의 다른 구성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길이는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길이 대비 수직 방향(Y)으로 길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제3 부분(321)의 단부는 케이스(200)의 저부와 접촉하며, 이로 인해 캡 플레이트(300)는 케이스(200) 및 제1 전극(110)과 동일한 극성을 가진다.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은 케이스(200)와 단순히 접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 등에 의해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이 케이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은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제3 부분(321)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되며, 제2 측벽(320)의 제4 부분(322)과 수평 방향(X)으로 비중첩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테두리는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제4 부분(322)의 테두리와 수직 방향(Y)으로 동일한 가상의 수직선(VL) 상에 위치한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의 길이는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길이 대비 수직 방향(Y)으로 짧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과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의 제3 부분(321) 사이는 제1 접합층(500)에 의해 접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접합 물질에 의해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과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 사이가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2)는 전극 조립체(100)가 수납된 케이스(200)의 제1 측벽(220)이 개구부(210)의 외곽 영역을 커버하는 캡 플레이트(300)의 제2 측벽(320)과 수평 방향(X)으로 중첩하고, 제1 측벽(220)과 제2 측벽(320) 사이가 제1 접합층(500)에 의해 접합되고, 개구부(210)의 중앙 영역이 캡 플레이트(300)에 접합된 단자 플레이트(400)에 의해 커버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가 수납된 케이스(200)의 개구부(210)가 캡 플레이트(300), 단자 플레이트(400), 제1 접합층(500), 제2 접합층(600)에 의해 완전히 밀봉되기 때문에, 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100) 및 전해액에 대한 밀폐 보존 능력이 향상된다.
즉, 내부에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에 대한 밀폐 보존 능력이 향상된 이차 전지(1002)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극 조립체(100), 케이스(200), 제1 측벽(220), 캡 플레이트(300), 제2 측벽(320), 단자 플레이트(400), 제1 접합층(500), 제2 접합층(600)
Claims (16)
- 제1 전극,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를 노출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의 외곽 영역을 커버하며, 상기 개구부의 중앙 영역을 노출하는 관통홀 및 상기 제1 측벽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제2 전극에 연결되어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절연 접합되며,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단자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캡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를 접합하는 제1 접합층
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1항에서,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1 측벽을 상기 수평 방향으로 커버하는 이차 전지. - 제2항에서,
상기 제1 측벽의 길이는 상기 제2 측벽의 길이 대비 긴 이차 전지. - 제2항에서,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제1 측벽의 제1 부분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 너비는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비중첩된 상기 제1 측벽의 제2 부분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 너비 대비 좁은 이차 전지. - 제4항에서,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캡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이차 전지. - 제4항에서,
상기 제1 측벽의 상기 제2 부분의 테두리는 상기 제2 측벽의 테두리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 제1항에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2 측벽을 상기 수평 방향으로 커버하는 이차 전지. - 제7항에서,
상기 제2 측벽의 길이는 상기 제1 측벽의 길이 대비 긴 이차 전지. - 제7항에서,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제2 측벽의 제3 부분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 너비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수평 방향으로 비중첩된 상기 제2 측벽의 제4 부분의 상기 수평 방향으로 너비 대비 좁은 이차 전지. - 제9항에서,
상기 제2 측벽의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는 이차 전지. - 제9항에서,
상기 제2 측벽의 상기 제4 부분의 테두리는 상기 제1 측벽의 테두리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 제1항에서,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여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12항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를 절연 접합하는 제2 접합층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12항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제1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1 전극 탭; 및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 플레이트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는 제2 전극 탭
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며,
상기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전극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 - 제1항에서,
상기 제1 접합층은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이차 전지.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594A KR20210158162A (ko) | 2020-06-23 | 2020-06-23 | 이차 전지 |
US17/754,014 US20220336897A1 (en) | 2020-06-23 | 2021-03-09 | Rechargeable battery |
PCT/KR2021/002866 WO2021261706A1 (ko) | 2020-06-23 | 2021-03-09 | 이차 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594A KR20210158162A (ko) | 2020-06-23 | 2020-06-23 | 이차 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8162A true KR20210158162A (ko) | 2021-12-30 |
Family
ID=7917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594A Pending KR20210158162A (ko) | 2020-06-23 | 2020-06-23 | 이차 전지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336897A1 (ko) |
KR (1) | KR20210158162A (ko) |
WO (1) | WO202126170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50854A3 (en) * | 2022-10-04 | 2024-04-24 | Samsung SDI Co., Ltd. | Button cell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46672A (en) * | 1997-11-14 | 1998-12-08 |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 Indented electrode cup for a miniature galvanic cell |
KR101373218B1 (ko) * | 2012-09-11 | 2014-03-14 | 주식회사 루트제이드 | 적층형 이차전지 |
US10366844B2 (en) * | 2016-01-15 | 2019-07-30 | Seiko Instruments Inc. | Electrochemical cell |
CN107425145B (zh) * | 2017-06-20 | 2023-06-20 |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 一种钮扣式锂电芯密封结构及密封方法 |
KR102637933B1 (ko) * | 2018-07-13 | 2024-02-1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US12224446B2 (en) * | 2018-08-16 | 2025-02-11 | Lg Energy Solution, Ltd. | Secondary battery |
WO2020057127A1 (zh) * | 2018-09-20 | 2020-03-26 | 深圳市秸川材料科技有限公司 | 纽扣电池 |
KR102561627B1 (ko) * | 2020-02-07 | 2023-07-31 | 닝더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기 장치 |
-
2020
- 2020-06-23 KR KR1020200076594A patent/KR20210158162A/ko active Pending
-
2021
- 2021-03-09 WO PCT/KR2021/002866 patent/WO202126170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3-09 US US17/754,014 patent/US20220336897A1/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350854A3 (en) * | 2022-10-04 | 2024-04-24 | Samsung SDI Co., Ltd. | Button cel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336897A1 (en) | 2022-10-20 |
WO2021261706A1 (ko) | 2021-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45709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US20240291078A1 (en) | Button cell | |
EP4376144A1 (en) | Button cell | |
KR20220000672A (ko) | 이차 전지 | |
KR20220003396A (ko) | 이차 전지 | |
KR20210158162A (ko) | 이차 전지 | |
EP4030538A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220007528A (ko) | 이차 전지 | |
KR20210156607A (ko) | 이차 전지 | |
KR20220009203A (ko) | 이차 전지 | |
KR20220000671A (ko) | 이차 전지 | |
EP4398355A1 (en) | Button cell | |
KR20220118834A (ko) | 이차 전지 | |
US20240283064A1 (en) | Button cell | |
EP4498484A2 (en) | Button cell | |
US20240170775A1 (en) | Button cell | |
US20240113370A1 (en) | Button cell | |
US20240347827A1 (en) | Button cell | |
US20220166093A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220003395A (ko) |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