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141A -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8141A KR20210158141A KR1020200076540A KR20200076540A KR20210158141A KR 20210158141 A KR20210158141 A KR 20210158141A KR 1020200076540 A KR1020200076540 A KR 1020200076540A KR 20200076540 A KR20200076540 A KR 20200076540A KR 20210158141 A KR20210158141 A KR 202101581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pos
- key
- excavator
- seat belt
- ar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5—Pilot-operated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벨트 미착용하고 굴삭기를 키 온할 시에 경고음이 발생되고, 굴삭기 내부의 경고등이 작동되며, 굴삭기 외부에 장착된 경광등이 작동되며, 굴삭기 선회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경고창이 표시되며 파킹 해제가 불가능하게 작동하며, 시트 벨트의 착용과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시트벨트 미착용 시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도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으며, 시트벨트 착용 시에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에 연결된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된 아암과; 상기 아암에 연결된 버켓; 및 상기 선회체에 장착된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시트 벨트의 착용과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시트벨트 미착용 시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도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으며; 시트벨트 착용 시에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의 작용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벨트 미착용하고 굴삭기를 키 온할 시에 경고음이 발생되고, 굴삭기 내부의 경고등이 작동되며, 굴삭기 외부에 장착된 경광등이 작동되며, 굴삭기 선회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경고창이 표시되며 파킹 해제가 불가능하게 작동하며, 시트 벨트의 착용과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시트벨트 미착용 시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도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으며, 시트벨트 착용 시에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건설중장비는 중량물의 운반, 적재 등의 작업과정에서 장비 및 작업장치의 선회반경이 크고 위험하게 때문에 안전 레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리모트 컨트롤 밸브에 공급되는 파일럿 압을 제어함으로써, 작업장치가 조종 레버의 조절에 따라 유압펌프의 작동 압에 의하여 구동된다.
건설중장비에 있어서, 운전실에는 대략 운전시트 전방 좌/우측에 버켓과 붐 등의 작업장치 및 장비의 조정을 위하여 다수의 조작 레버가 배치되며, 운전시트 측방에는 콘솔박스 및 안전 레버가 조작 레버에 인접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과정에서 운전자는 부지중에 전술한 각종의 레버들과 신체적인 접촉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필요한 레버의 조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안전 레버는 메인 유압펌프를 제어하는 파일럿 라인을 개폐할 수 있도록 릴레이 스위치 및 솔레노이드 밸브가 기구적으로 결합되며, 안전 레버를 해제모드가 되도록 내릴 경우에는 조작 레버의 조정에 의해 파일럿 압이 발생되며, 이 파일럿 압에 의하여 메인 유압펌프의 압유가 컨트롤 벨브를 거쳐 각각의 엑츄에이터에 공급됨으로써, 작업자는 붐이나 아암 등의 작업장치를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다.
반면에, 작업장치의 정지나 중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안전 레버를 작동모드가 되도록 올려서 중장비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안전 레버를 작동모드로 처리한 경우에도 종종 무의식 중에 운전자의 몸이나 팔 등이 안전 레버를 해제시키고 조종 레버를 건드려서 통제되지 못한 오작동으로 인하여 작업장치와 외부시설의 충돌 및 파손이나 심한 경우 인명까지 다치는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굴삭기와 같은 건설 장비를 사용함에 있어서 운전자는 자신의 안전에 대해서 의식하지 않고 작업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물론 안전 레버 잠김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조작 레버를 움직여도 파일럿 압이 출력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는 있으나, 이는 비작업모드를 의미하며 실제 운전자가 작업을 하는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조작 레버의 작동까지 방지할 수는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운전자의 착석 상태를 압력센서로 감지하여, 착석이 아닐 경우에는 안전 레버와 안전 솔레노이드 사이에 연결하는 릴레이를 끊어 파일럿 압이 나가지 못하게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운전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릴레이를 끊게 되어 비 착석상태에서 작업이 필요한 경우조차도 조작 레버 작동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 벨트의 착용과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시트벨트 미착용 시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도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으며, 시트벨트 착용 시에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는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에 연결된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된 아암과; 상기 아암에 연결된 버켓; 및 상기 선회체에 장착된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시트 벨트의 착용과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시트벨트 미착용 시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도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으며; 시트벨트 착용 시에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의 작용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은 굴삭기의 선회체에 장착된 키 홀에 키가 삽입되고 회전되어 키 온(Key On)이 되면, 키 온 검출부, 시트벨트 검출부, 파일럿 밸브,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디스플레이 패널, 경고부, 키패드, EPOS가 작동되는 단계와; 상기 키 온 검출부 및 시트벨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키 온 신호 및 시트벨트 착용 신호가 EPOS로 전달되는 단계와; 상기 EPOS에 의해 키 온 상태인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EPOS에 의해 키 온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키 온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키 온 신호가 EPOS로 전달되는 단계로 리턴되고, 상기 EPOS에 의해 키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시트벨트 착용 여부가 EPOS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EPOS에 의해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EPOS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경고부가 작동되는 단계와; 상기 EPOS에 의해 시트벨트가 착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EPOS에 의해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 파일럿 밸브에 의해 유로가 오픈되는 단계와; 상기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가 작동했는 지가 상기 EPOS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EPOS에 의해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종료되고, 상기 EPOS에 의해 키패드의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가 작동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EPOS에 의해 파일럿 밸브가 폐쇄되어 유로가 차단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은 시트벨트 미착용 시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도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아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오 조작으로 인한 작업현장에서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시트벨트 착용 시에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아,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도시도.
도 2는 도 1의 안전장치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키패드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안전장치의 작동 예 도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작동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작동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도 1의 안전장치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키패드의 개략적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안전장치의 작동 예 도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작동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작동 방법의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이하,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는 주행체(510), 선회체(520), 차량 연결부(530), 붐(100), 아암(200), 버켓(300), 붐 실린더(150), 아암 실린더(250), 붐 실린더 핀(120), 제1 아암 실린더 핀(221), 제2 아암 실린더 핀(222), 버켓 링크(400), 제1 조인트 핀(11), 제2 조인트 핀(22), 제3 조인트 핀(33), 버켓 핀(44), 붐 각도 센서(701), 아암 각도 센서(702), 버켓 각도 센서(703) 및 EPOS(Engine Power Optimization System, 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켓(300)은 복수의 버켓 투쓰(bucket tooth, 340)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EPOS(600)는 굴삭기를 제어하는 굴삭기용 전자제어시스템이다.
차량 연결부(530)는 주행체(510)와 선회체(520)를 상호 연결시킨다. 선회체(520)는 차량 연결부(5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선회체(520)는 차량 연결부(530)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붐(100)의 제1 조인트(101)는 선회체(5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붐(100)의 제2 조인트(102)는 아암(200)의 제1 조인트(2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붐(100)의 제1 조인트(101)는 붐(1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붐(100)의 제2 조인트(102)는 붐(10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회체(520)와 붐(100)의 제1 조인트(101)는 제1 조인트 핀(11)에 의해 힌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붐(100)의 제2 조인트(102)와 아암(200)의 제1 조인트(201)는 제2 조인트 핀(22)에 의해 힌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암(200)의 제1 조인트(201)는 붐(100)의 제2 조인트(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암(200)의 제2 조인트(202)는 버켓(300)의 조인트(301)에 연결된다. 아암(200)의 제1 조인트(201)는 아암(2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며, 아암(200)의 제2 조인트(202)는 아암(20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아암(200)의 제2 조인트(202)와 버켓(300)의 조인트(301)는 제3 조인트 핀(33)에 의해 힌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켓(300)의 조인트(301)는 아암(200)의 제2 조인트(2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버켓(300)의 조인트(301)는 버켓(30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버켓(300)의 타측 단부에는 복수의 버켓 투쓰(34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붐 실린더(150)의 일측 단부는 붐(100)의 실린더 연결부(110)에 연결된다. 이때, 붐 실린더(150)의 일측 단부는 붐 실린더 핀(120)을 통해 붐(100)의 실린더 연결부(110)에 연결된다. 붐 실린더(150)의 일측 단부는 붐(100)의 실린더 연결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붐 실린더(150)의 타측 단부는 아암(200)의 제1 실린더 연결부(211)에 연결된다. 이때, 붐 실린더(150)의 타측 단부는 제1 아암 실린더 핀(221)을 통해 아암(200)의 제1 실린더 연결부(211)에 연결된다. 붐 실린더(150)의 타측 단부는 아암(200)의 제1 실린더 연결부(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암 실린더(250)의 일측 단부는 아암(200)의 제2 실린더 연결부(212)에 연결된다. 이때, 아암 실린더(250)의 일측 단부는 제2 아암 실린더 핀(222)을 통해 아암(200)의 제2 실린더 연결부(212)에 연결된다. 아암 실린더(250)의 일측 단부는 아암(200)의 제2 실린더 연결부(2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아암 실린더(250)의 타측 단부는 버켓 링크(400)에 연결된다. 이때, 아암 실린더(250)의 타측 단부는 버켓 핀(44)을 통해 버켓 링크(400) 및 버켓(300)의 실린더 연결부(410)에 연결된다. 아암 실린더(250)의 타측 단부는 그 버켓 링크(400) 및 그 버켓(300)의 실린더 연결부(410)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버켓 링크(400)의 일측 단부는 아암(200)의 제3 조인트(2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버켓 링크(400)의 타측 단부는 아암 실린더(250)의 타측 단부 및 버켓(300)의 실린더 연결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붐 각도 센서(701)는 붐(1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조인트 핀(11)의 외측에 장착되어, 붐(100)의 회전에 따른 붐(100)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아암 각도 센서(702)가 아암(2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 조인트 핀(22)의 외측에 장착되어, 아암(200)의 회전에 따른 아암(200)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버켓 각도 센서(703)가 버켓(3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버켓 링크(400)의 일측 단부와 아암(200)의 제3 조인트(203)를 연결시키는 버켓 핀(44)의 외측에 장착되어, 버켓(300)의 회전에 따른 버켓(300)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EPOS(600)는 붐 각도 센서(701)를 통해 제2 조인트 핀(22)의 지면(900)에서의 높이와, 아암 각도 센서(702)를 통해 제3 조인트 핀(33)의 지면(900)에서의 높이와, 버켓 각도 센서(703)을 통해 버켓 투쓰(340)의 지면(900)에서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 도면 참조 부호숫자 380은 버켓(300)의 버켓 백을 나타내며, 도면 참조 부호숫자 230은 EPOS(600)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안전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230)의 개략적 구성은 선회체(520)에 장착된 키 홀더에 키가 삽입되고 회전되어 키 온 상태인 지를 검출하는 키 온 검출부(231)와, 시트벨트가 착용되었는 지를 검출하는 시트벨트 검출부(232)와, 선회체(520)에 장착되어 압유가 흐르거나 흐르지 못하도록 유로를 오픈 및 차단하는 파일럿 밸브(234)와, 선회체(520)에 장착되어 파일럿 밸브(234)를 작동시키기 위한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235)와, 선회체(520)에 장착되어 경고창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36)과, 선회체(520)에 장착되어 선회체(520) 내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선회체(520) 외부에 장착된 경광등을 작동시키는 경고부(237)와, 작업자의 좌측이나 우측에 작업자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키패드(240), 및 키 온 검출부(231), 시트벨트 검출부(232), 파일럿 밸브(234),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235), 디스플레이 패널(236), 경고부(237), 키패드(240)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EPOS(600)를 포함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도 2의 키패드의 개략적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240)의 개략적 구성은 외부로 경적을 울리기 위한 혼 스위치(241)와, 선회체(520) 내부의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램프 스위치(243)와, 선회체(520) 외부의 경광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경광등 스위치(245)와, 파일럿 밸브(234)를 차단하기 위한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247)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재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키 홀더에 키가 삽입되고 회전되어 키 온 상태인 것이 키 온 검출부(231)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것이 EPOS(600)로 전달되면, EPOS(600)가 키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굴삭기를 제어한다. EPOS(600)가 굴삭기를 제어할 시에, 시트벨트가 착용되었다는 것이 시트벨트 검출부(232)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것이 EPOS(600)로 전달되면, EPOS(600)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235)를 해제시켜 파일럿 밸브(234)에 의해 유로를 오픈시킴으로써 압유가 흐르게 하여 붐(100), 아암(200), 버켓(300)이 작동되게 한다. 여기서, EPOS(600)가 키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굴삭기를 제어할 시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36), 경고부(237), 키패드(240)는 작동된다.
또한, EPOS(600)가 키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굴삭기를 제어할 시에,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았다는 것이 시트벨트 검출부(232)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것이 EPOS(600)로 전달되면, EPOS(600)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235)를 작동시켜 파일럿 밸브(234)에 의해 유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압유가 흐르지 못하게 하여 붐(100), 아암(200), 버켓(3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파일럿 밸브(234)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도, 디스플레이 패널(236), 경고부(237), 키패드(240)는 EPOS(600)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EPOS(600)가 키 온 상태 및 시트벨트가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여, EPOS(600)가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235)를 해제시켜 파일럿 밸브(234)에 의해 유로를 오픈시킴으로써 압유가 흐른다 하더라도, 키패드(240)의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247)가 작동됨으로써 파일럿 밸브(234)가 폐쇄되어 유로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EPOS(600)가 키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굴삭기를 제어할 시에,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았다는 것이 시트벨트 검출부(232)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것이 EPOS(600)로 전달되면, EPOS(600)는 디스플레이 패널(236), 경고부(237)를 작동시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여기서, EPOS(600)가 시트벨트가 미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면, EPOS(6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36)상에 경고창이 표시되고 경고부(217)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주의 환기시킴으로써, 시트벨트가 착용되어 지게 한다. 이와 동시에 EPOS(600)가 굴삭기를 제어할 시에 작동되는 굴삭기 외부에 장착된 경광등의 색상이 평상시와는 다른 색상으로 바뀌게 되고 삐삐거리는 비프음을 발생시켜 외부에서도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감지하게 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의 경고 작동의 일 예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의 경고 작동의 일 예로써, EPOS(6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36)상에 경고창이 표시되어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시트벨트가 작동되어 지게 한다. 또한, 비록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고창 외에도 경고음, 경광등, 비프음, 파킹 해제 불가능 등에 의해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정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은 먼저, 굴삭기의 선회체(520)에 장착된 키 홀에 키가 삽입되고 회전되어, 키 온(Key On)이 되면 키 온 검출부(231), 시트벨트 검출부(232), 파일럿 밸브(234),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235), 디스플레이 패널(236), 경고부(237), 키패드(240), EPOS(600)가 작동된다(S51O). 보다 상세히 언급하면, 키 온에 의해 EPOS(600)가 작동되고, EPOS(600)에 의해 키 온 검출부(231), 시트벨트 검출부(232), 파일럿 밸브(234),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235), 디스플레이 패널(236), 경고부(237), 키패드(240)가 작동된다.
이후, 키 온 검출부(231) 및 시트벨트 검출부(232)에 의해 검출된 키 온 신호 및 시트벨트 착용 신호가 EPOS(600)로 전달된다(S520).
그 후, EPOS(600)에 의해 키 온 상태인지가 판단된다(S530).
이후, EPOS(600)에 의해 키 온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키 온 검출부(231)에 의해 검출된 키 온 신호가 EPOS(600)로 전달되는 단계로 리턴되고, EPOS(600)에 의해 키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시트벨트 착용 여부가 EPOS(600)에 의해 판단된다(S540).
그 후, EPOS(600)에 의해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EPOS(6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36) 및 경고부(237)를 작동시키며(S550), EPOS(600)에 의해 시트벨트가 착용되었다고 판단되면,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235)를 해제시켜 파일럿 밸브(234)에 의해 유로를 오픈 시킨다(S560). 여기서, EPOS(6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36) 및 경고부(237)가 작동되면, 디스플레이 패널(236)상에 경고창이 점멸 표시되고 경고음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주의 환기시킴으로써, 시트벨트가 작동되어 지게 한다. 이와 동시에 굴삭기 외부에 장착된 경광등의 색상이 평상시와는 다른 색상으로 바뀌게 되고 삐삐거리는 비프음을 발생시켜 외부에서도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감지하게 한다.
이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247)가 작동했는 지가 EPOS(600)에 의해 판단된다(S570).
그 후, EPOS(600)에 의해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247)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종료되고, EPOS(600)에 의해 키패드(240)의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247)가 작동했다고 판단되면, EPOS(600)에 의해 파일럿 밸브(234)가 폐쇄되어 유로를 차단시킨다(S58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은 시트벨트 미착용 시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도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아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오 조작으로 인한 작업현장에서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시트벨트 착용 시에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아,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제1 조인트 핀
22: 제2 조인트 핀
33: 제3 조인트 핀 44: 버켓 핀
100: 붐 200: 아암
300: 버켓 120: 붐 실린더 핀
150: 붐 실린더 231: 키온 검출부
232: 시트벨트 검출부 234: 파일럿 밸브
235: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236: 디스플레이 패널
237: 경고부 240: 키패드
241: 혼 스위치 243: 램프 스위치
245: 경광등 스위치 247: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
250: 아암 실린더 340: 버켓 투쓰
400: 버켓 링크 600: EPOS
701: 붐 각도 센서 702: 아암 각도 센서
703: 버켓 각도 센서 900: 지면
33: 제3 조인트 핀 44: 버켓 핀
100: 붐 200: 아암
300: 버켓 120: 붐 실린더 핀
150: 붐 실린더 231: 키온 검출부
232: 시트벨트 검출부 234: 파일럿 밸브
235: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236: 디스플레이 패널
237: 경고부 240: 키패드
241: 혼 스위치 243: 램프 스위치
245: 경광등 스위치 247: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
250: 아암 실린더 340: 버켓 투쓰
400: 버켓 링크 600: EPOS
701: 붐 각도 센서 702: 아암 각도 센서
703: 버켓 각도 센서 900: 지면
Claims (11)
-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에 연결된 붐과;
상기 붐에 연결된 아암과;
상기 아암에 연결된 버켓; 및
상기 선회체에 장착된 안전장치를 포함하며;
시트 벨트의 착용과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시트벨트 미착용 시에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도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벨트 착용 시에도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의 작용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 굴삭기가 작동하지 않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와 상기 붐의 제1 조인트를 연결하는 제1 조인트 핀;
상기 붐의 제2 조인트와 상기 아암의 제1 조인트를 연결하는 제2 조인트 핀;
상기 아암의 제2 조인트와 상기 버켓의 조인트를 연결하는 제3 조인트 핀;
상기 붐의 실린더 연결부 및 상기 아암의 제1 실린더 연결부에 연결된 붐 실린더;
상기 아암의 제2 실린더 연결부 및 상기 버켓의 실린더 연결부에 연결된 아암 실린더;
상기 버켓의 실린더 연결부 및 상기 아암의 제3 조인트에 연결된 버켓 링크;
상기 붐의 실린더 연결부와 상기 붐 실린더를 연결하는 붐 실린더 핀;
상기 아암의 제1 실린더 연결부와 상기 붐 실린더를 연결하는 제1 아암 실린더 핀;
상기 아암의 제2 실린더 연결부와 상기 아암 실린더를 연결하는 제2 아암 실린더 핀; 및
상기 아암 실린더, 상기 버켓 링크 및 상기 버켓의 실린더 연결부를 연결하는 버켓 핀을 더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선회체에 장착된 키 홀더에 키가 삽입되고 회전되어 키 온 상태인 지를 검출하는 키 온 검출부와;
시트벨트가 착용되었는 지를 검출하는 시트벨트 검출부와;
상기 선회체에 장착되어 압유가 흐르거나 흐르지 못하도록 유로를 오픈 및 차단하는 파일럿 밸브와;
상기 선회체에 장착되어 파일럿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와;
상기 선회체에 장착되어 경고창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선회체에 장착되어 선회체 내부에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선회체 외부에 장착된 경광등을 작동시키는 경고부와;
작업자의 좌측이나 우측에 작업자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키패드; 및
상기 키 온 검출부, 시트벨트 검출부, 파일럿 밸브,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디스플레이 패널, 경고부, 키패드와 각각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EPOS를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에 의해 작동되는 경광등은 색상이 평상시와는 다른 색상으로 바뀌게 되고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 굴삭기의 선회체에 장착된 키 홀에 키가 삽입되고 회전되어 키 온(Key On)이 되면, 키 온 검출부, 시트벨트 검출부, 파일럿 밸브,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 디스플레이 패널, 경고부, 키패드, EPOS가 작동되는 단계와;
상기 키 온 검출부 및 시트벨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키 온 신호 및 시트벨트 착용 신호가 EPOS로 전달되는 단계와;
상기 EPOS에 의해 키 온 상태인지가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EPOS에 의해 키 온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키 온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키 온 신호가 EPOS로 전달되는 단계로 리턴되고, 상기 EPOS에 의해 키 온 상태라고 판단되면 시트벨트 착용 여부가 EPOS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와;
상기 EPOS에 의해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EPOS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경고부가 작동되는 단계와;
상기 EPOS에 의해 시트벨트가 착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EPOS에 의해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가 해제되어 파일럿 밸브에 의해 유로가 오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POS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 및 경고부가 작동되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경고창이 점멸 표시되고 경고음이 발생되어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며;
굴삭기 외부에 장착된 경광등의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바뀌고 비프음이 발생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POS가 키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굴삭기를 제어할 시에, 상기 시트벨트가 착용되었다고 상기 EPOS가 판단하면, 상기 EPOS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를 해제시켜 파일럿 밸브에 의해 유로를 오픈시킴으로써 압유가 흐르게 하여 붐, 아암, 버켓이 작동되게 하며;
상기 EPOS가 키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굴삭기를 제어할 시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경고부, 키패드도 작동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
- 제8에 있어서,
상기 EPOS가 키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굴삭기를 제어할 시에, 상기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았다고 상기 EPOS가 판단하면, 상기 EPOS는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를 작동시켜 파일럿 밸브에 의해 유로를 폐쇄시킴으로써 압유가 흐르지 못하게 하여 붐, 아암, 버켓의 작동을 중지시키며;
상기 파일럿 밸브에 의해 유로가 폐쇄되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경고부, 키패드는 상기 EPOS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POS가 키 온 상태 및 시트벨트 착용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EPOS가 파일럿 컷 오프 스위치를 해제시켜 파일럿 밸브에 의해 유로를 오픈시킴으로써 압유가 흐른다 하더라도, 상기 키패드의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가 작동됨으로써 파일럿 밸브가 폐쇄되어 유로가 차단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가 작동했는 지가 상기 EPOS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EPOS에 의해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종료되고, 상기 EPOS에 의해 키패드의 파일럿 밸브 차단 스위치가 작동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EPOS에 의해 파일럿 밸브가 폐쇄되어 유로가 차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작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540A KR20210158141A (ko) | 2020-06-23 | 2020-06-23 |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540A KR20210158141A (ko) | 2020-06-23 | 2020-06-23 |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8141A true KR20210158141A (ko) | 2021-12-30 |
Family
ID=7917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540A Pending KR20210158141A (ko) | 2020-06-23 | 2020-06-23 |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58141A (ko) |
-
2020
- 2020-06-23 KR KR1020200076540A patent/KR20210158141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85108B2 (en) | Work machine and periphery monitoring system | |
JP7289232B2 (ja) |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システム | |
CN107923155B (zh) | 工程机械的安全装置 | |
JPWO2017168686A1 (ja) | 建設機械の駆動制御装置 | |
JP7489287B2 (ja) | 建設機械 | |
KR102631628B1 (ko) | 작업 기계 | |
JP7544961B2 (ja) | 建設機械 | |
JP2004076351A (ja) | 建設機械の警報装置 | |
JP2020105879A (ja) | 無線操作式油圧ショベル | |
JP7269853B2 (ja) | 作業機械 | |
US20230286525A1 (en) | Work vehicle | |
KR20210158141A (ko) | 안전장치가 구비된 굴삭기 및 그 작동 방법 | |
JP2020159045A (ja) | 建設機械 | |
WO2021085448A1 (ja) | 建設機械 | |
JPH0950584A (ja) | 油圧機械の盗難防止装置 | |
JP4486466B2 (ja) | 建設機械の動作機能監視装置 | |
JP4319529B2 (ja) | クレーン機能付き油圧ショベル | |
JP2022146687A (ja) | ショベル | |
WO2018128130A1 (ja) | 建設機械 | |
JP4223377B2 (ja) | クレーン機能付き油圧ショベル | |
WO2021039855A1 (ja) | 建設機械 | |
JP7441699B2 (ja) | 作業機械 | |
JP2020190094A (ja) | 作業機械 | |
JP2003253704A (ja) | 建設機械の盗難防止装置 | |
JPH10292436A (ja) | 旋回式建設機械の走行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