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56154A - Door for a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oor for a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6154A
KR20210156154A KR1020200073927A KR20200073927A KR20210156154A KR 20210156154 A KR20210156154 A KR 20210156154A KR 1020200073927 A KR1020200073927 A KR 1020200073927A KR 20200073927 A KR20200073927 A KR 20200073927A KR 20210156154 A KR20210156154 A KR 2021015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extension
refrigerator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진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6154A/en
Publication of KR2021015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15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or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a defect rate in an assembly process. The door for a refrigerator comprises: a door frame forming an exterior; a door line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a bracket install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door frame and the door liner. The door frame includes: an upper frame forming an upper surface; a front frame and a side frame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and the side frame. The bracket connects the upper frame with the door liner.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 {Door for a refrigerator}Refrigerator door {Door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f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to store the stored food in an optimal state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torage space and the structure of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도어는 크게 외면을 형성하는 아웃도어, 도어프레임 및 도어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라이너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단열재가 충진된다.The door may include an outdoor, a door frame, and a door liner that largely form an outer surface, and an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door frame and the door lin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67034호에는, 사이드캡데코에 의해 프론트플레이트와 도어라이너가 고정되는 냉장고용 도어가 개시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67034, which is a prior document, discloses a refrigerator door in which a front plate and a door liner are fixed by a side cap decoration.

이러한 선행문헌의 경우, 사이드캡데코 만으로 프론트플레이트와 도어라이너를 고정하며,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트림킷 구조의 냉장고 도어가 개시된다.In the case of these prior documents, a refrigerator door having a trim kit structure in which a front plate and a door liner are fixed only with a side cap decoration, and a handle recessed inwardly is formed on the front plate is disclosed.

다만, 선행기술의 경우, 도어라이너와 도어프레임이 이격되어 결합됨에 조립 과정에서 도어라이너의 위치가 매우 큰 산포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ince the door liner and the door frame are separated and coupled,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door liner has a very large dispersion during the assembly process.

또한, 서랍식 도어의 경우 도어라이너의 배면에 레일부가 결합되는데 도어라이너의 결합위치에 따라 레일부가 결합되었을 때, 도어가 처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외관을 해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rawer-type door, the rail part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and when the rail part is coupled depending on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door liner, the door sags may occur, which may damage the exterio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립 과정에서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oor for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a defect rate in an assembly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체 냉장고의 외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door capable of securing the aesthetics of the entir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for a refrigerator capable of maximizing a thermal insulation effe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도어프레임과 도어라이너를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도어라이너의 위치 산포를 줄여 제품 조립에 있어 불량률을 저감할 수 있고, 단차 유무를 판별하는 캡데코(상측프레임)에 브라켓이 연결됨으로써 도어라이너의 유동산포와 무관하게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connecting the door frame and the door liner to reduce the location distribution of the door liner, thereby reducing the defect rate in product assembly, and Cap Deco ( By connecting the bracket to the upper frame), quality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flow distribution of the door lin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라이너; 및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라이너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A do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frame forming an exterior; a door line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a bracket install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door frame and the door liner.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면을 형성하는 상측프레임; 상기 상측프레임에 결합되는 전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할 수 있다.The door frame may include: an upper frame forming an upper surface; a front frame and a side frame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and the side frame, wherein the bracket may connect the upper frame and the door liner.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라이너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상측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liner, a second coupling part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도어라이너의 배면에는 냉장고의 본체가 인출입되도록 레일을 형성하는 레일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A rail bracket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to form a rail so that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is drawn in and out.

상기 도어라이너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레일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 1 결합부와 상기 브라켓 결합부 및 상기 레일브라켓의 레일결합부가 순차적으로 면접촉될 수 있다.The door liner includes a bracket coupling part to which the bracket and the rail bracket are coupled an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frame, and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bracket, the bracket coupling part, and the rail coupling part of the rail bracket sequentially surface-contact can be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주입하기 위한 단열재 주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coupling part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jection groove for inject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in the inner space.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도어라이너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도어라이너 및 상기 레일 브라켓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door liner, and the guide protrusion may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door liner and the rail bracket.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전면프레임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브라켓과 상기 도어라이너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결합돌출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ront frame, and a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through the rail bracket and the door liner sequentially may be provided.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도어라이너의 배면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와 상기 레일 결합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냉장고 본체가 슬라이딩 인출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 bracket may include a rail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and a rail part bent from the rail coupling part and guiding the refrigerator body to slide in and out.

상기 상측프레임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에 후크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frame may include a handle that is recessed downward to insert a user's hand and an extension exten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handl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hook hook-coupled to the extension.

상기 연장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1 연장부와 제 1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연장부 및 제 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and having a hook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후크가 구비되는 후크연장부와 상기 후크연장부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에서 돌출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may include a hook extension part provided with the hook, a horizontal extension part bent from the hook extension part and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vertical exten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and extending vertically.

상기 후크연장부는 추가적인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extens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hole through which an additional coupling member passes,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may include a fixed coupling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상기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2 연장부 사이에 상기 후크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3 연장부 사이에 상기 수직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hook extension par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vertical extension par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상기 도어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패널이 더 포함될 수 있다.A front panel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may be further included.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rom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는 서랍식 도어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외관의 미려함을 확보할 수 있다.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step difference of the drawer-type door, so that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product can be secured.

또한, 도어의 단차를 판별하고 조정하는 도어의 캡데코(상측프레임)와 도어라이너를 연결하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도어라이너의 유동산포와 무관하게 도어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bracket connecting the door liner and the cap deco (upper frame) of the door for determining and adjusting the door step is provided, so that the quality of the door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flow distribution of the door liner.

또한, 도어라이너와 연결되는 브라켓에 단열재 발포를 위한 주입홈을 구비하여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insulation effect by providing an injection groove for foaming the insulation in the bracket connected to the door l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어프레임 및 레일브라켓에 결합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과 상측프레임이 결합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frigerator is installed in a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n which th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and the rail bracket.
6 is a view in which the bracket and the upper frame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가구장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frigerator is installed in a furniture cabin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냉장고(5)와 함께 주방이나 거실 등에 놓일 수 있다. 1 to 2 ,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laced independently or together with another refrigerator 5 in a kitchen or living room.

이때, 주방이나 거실 등에는 냉장고(5, 10)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가구장(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구장(1) 내부의 수용 공간의 높이는 상기 냉장고(5, 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5, 10)의 상면과 상기 가구장(1)의 상측벽 사이 갭이 크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furniture cabinet 1 in which the refrigerators 5 and 10 can be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in the kitchen or living room. The height of the accommodating space inside the furniture cabinet 1 may be set such that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refrigerators 5 and 10 and the upper wall of the furniture cabinet 1 is not large when the refrigerators 5 and 10 are accommodated. have.

상기 냉장고(5, 10)의 상면과 상기 가구장(1)의 상측벽 사이의 갭이 크지 않으면, 외부에서 상기 냉장고(5, 10)의 상측 구조물이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가구장(1)과 냉장고(5, 10)의 일체감이 증가될 수 있다. If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refrigerators 5 and 10 and the upper wall of the furniture cabinet 1 is not large, the upper structures of the refrigerators 5 and 10 cannot be seen from the outside, and the furniture cabinet 1 and The sense of unity of the refrigerators 5 and 10 may be increased.

상기 냉장고(10)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may include a cabinet 11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refrigerator door 1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상기 냉장고 도어(1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도어(13, 14, 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3, 14, 15)의 일부 또는 전부는 슬라이딩 방식 또는 회전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door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doors 13 , 14 , and 1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doors 13 , 14 , and 15 may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in a sliding or rotating manner.

상기 냉장고 도어(12)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결합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12)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door 12 may include a frame assembly 100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door liner 200 coupled to the frame assembly 100 and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2 . .

한편,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상기 도어라이너(200)가 형성하는 공간에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Meanwhile, an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fi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ame assembly 100 and the door liner 200 .

또한, 상기 공간에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300)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bracket 300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door liner 200 in the space may be included.

이하에서는, 상기 브라켓(3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상기 냉장고 도어(12)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frigerator door 12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3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어프레임 및 레일브라켓에 결합된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oor frame with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iew coupled to the rail bracke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과 상측프레임이 결합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단면도이다.6 is a view in which a bracket and an upper frame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0 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along the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2)는, 서랍식으로 형성된 냉장고 본체의 도어를 의미할 수 있고, 도어(12)를 잡아당겨 상기 냉장고 본체를 인출할 수 있다.3 to 10 , the door 12 may mean a door of the refrigerator main body formed in a drawer type, and the refrigerator main body may be pulled out by pulling the door 12 .

상세히, 상기 도어(12)는, 도어(12)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100)과 상기 도어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도어(12)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door 12 may include a door frame 100 forming an exterior of the door 12 and a door liner 200 coupled to the door frame 100 to form a rear surface of the door 12 . can

도어프레임(100)은, 전면 프레임(110)과 전면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프레임(120) 및 전면프레임(11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프레임(130)과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frame 100 includes the front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frame, and the lower frame 130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110 and the side frame 140 coupled to the side. ) may be included.

상기 전면 프레임(110)과 도어라이너(20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도어프레임(100)과 도어라이너(200)가 형성한 공간으로 단열재(미도시)가 발포되어 공간을 메꿀 수 있다.The front frame 110 and the door liner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is foam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door frame 100 and the door liner 200 . space can be filled.

또한, 도어(12)는 전면패널(111)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고, 플레이트로 형성된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door 12 may include a separate front panel 111 ,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ont frame 110 formed of a plate.

상기 전면패널(111)은, 유리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면패널(111)과 상기 전면 프레임(11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ront panel 111 may be made of glass or metal, and of course, the front panel 111 and the front frame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프레임(1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oor fram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상측프레임(120)은 도어(12)의 상면을 형성하는 프레임으로, 서랍식으로 형성된 냉장고의 본체를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frame 120 is a fram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12, and may include a handle part 122 into which a user's hand can be inserted in order to take out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formed in a drawer type.

상세히, 상측프레임(120)은 전면으로부터 후측을 향해 함몰된 절개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22)는 상기 절개부(121)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In detail, the upper frame 120 may include a cutout 121 recess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 handle 122 may be recessed downward from the cutout 121 .

이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상측프레임(120)의 상면에 간섭받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122)로 삽입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s hand may be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122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20 .

또한, 상기 손잡이부(122)의 하면(122a)에는 상기 분리가능한 전면패널(11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22b)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hole for inserting a fixing member 122b for fixing the detachable front panel 111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122a of the handle part 122 .

또한, 상기 상측프레임(120)은 상기 손잡이부(122)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24, 125, 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120 may further include extension parts 124 , 125 , and 126 extending from the handle part 122 .

상기 연장부(124, 125, 126)는, 상기 손잡이부(122) 하면(122a)의 전방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손잡이부(122)의 양측에서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25) 및 상기 고정부재(122b)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어 상기 손잡이부(12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연장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s 124 , 125 , and 126 are a first extension part 12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lower surface 122a of the handle part 122 and extending down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handle part 122 . and a third extension 126 extending downward of the handle 122 to correspond to a position in which a hole is formed into which the fixing member 122b is inserted.

일 예로, 상기 제 1 연장부(124)는 상기 후크(321)가 구비되는 브라켓(300)의 후크연장부(324)와 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may contact the hook extension part 324 of the bracket 300 provided with the hook 321 .

상세히, 상기 제 1 연장부(124)의 배면과 상기 후크연장부(324)의 전면이 접할 수 있다.In detail,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hook extension part 324 may contact each other.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124)에는 후술하는 브라켓(300)의 후크(321)가 삽입되는 후크결합홀(123)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후크결합홀(123)은 상기 제 1 연장부(124)의 양측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hook coupling hole 123 into which a hook 321 of a bracke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 and the hook coupling hole 123 is the first extension part It may be formed in plurality on both sides of (124).

상기 제 1 연장부(124)에는 상기 복수개의 후크결합홀(123) 사이에 리벳 등의 결합부재(미도시)가 관통하는 고정결합홀(124a)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extension part 124 may further include a fixed coupling hole 124a through which a coupl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rivet passes between the plurality of hook coupling holes 123 .

상기 고정결합홀(124a)은, 후술하는 브라켓(300)의 결합홀(32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리벳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결합홀(124a)과 상기 결합홀(322)이 순차적으로 관통될 수 있다.The fixed coupling hole 124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22 of the bracke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xed coupling hole 124a and the coupling hole are formed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rivet. 322 may be sequentially pierced.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제 2 연장부(125) 및 상기 제 3 연장부(126)는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제 2 연장부(125) 및 상기 제 3 연장부(126) 사이의 공간에 브라켓(3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 the second extension part 125 ,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126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may be provided. A portion of the bracket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125 and the third extension 126 .

상세히, 상기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제 2 연장부(125) 사이에 브라켓(300)의 후크연장부(324)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제 3 연장부(126) 사이에 브라켓(300)의 후술하는 수직연장부(325)가 삽입될 수 있다.In detail, the hook extension part 324 of the bracket 30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5 ,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125 may be inserted. A vertical extension part 325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bracket 30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extension parts 126 .

상기 하측프레임(130)은, 수직부(131)와 상기 수직부(131)에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frame 130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131 and a horizontal portion 132 bent at the vertical portion 131 an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수직부(131)는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하측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132)는 도어라이너(200)를 지지함과 아울러 단열재(미도시)가 발포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detail, the vertical part 131 is coupled to the lower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10 , and the horizontal part 132 supports the door liner 200 and forms a space in whi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is foamed. can be formed

또한, 측면프레임(140)은,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일면은 상기 전면프레임(110)에 결합되고 다른 일면은 상기 도어라이너(20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frame 14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frame 110 , so that one surface may be coupled to the front frame 110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coupled to the door liner 200 .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라이너(2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oor lin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상기 도어프레임(100)의 상측프레임(120), 측면프레임(140) 및 하측프레임(130)에 각각 사면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전면프레임(11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door liner 2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frame 120 , the side frame 140 , and the lower frame 130 of the door frame 100 at all four sides, and through this, the front frame 110 and They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상세히,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도어프레임(100)의 상측프레임(120), 측면프레임(140) 및 하측프레임(130)에 결합되는 테두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테두리부(210)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어 플레이트(220)를 형성할 수 있다.In detail, the door liner 200 may include an edge portion 210 coupled to the upper frame 120 , the side frame 140 , and the lower frame 130 of the door frame 100 , and the edge portion The inside of the 2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the plate 220 .

특히,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상기 플레이트(220)에 후술하는 브라켓(300) 및 레일브라켓(400)과 결합되는 브라켓결합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oor liner 200 may be provided with a bracket 300 and a bracket coupling part 230 coupled to the rail bracket 400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plate 220 .

상세히, 상기 브라켓결합부(230)는, 상기 플레이트(220)로부터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전면에는 상기 브라켓(300)이 결합되고, 후면에는 상기 레일브라켓(400)가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late 220 toward the front side, the bracket 3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ide, and the rail bracket 40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ide. have.

즉,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결합부(230) 및 상기 레일브라켓(400)는 적층된 상태일 수 있다.That is, the bracket 300,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and the rail bracket 400 may be in a stacked state in the assembled state.

또한, 상기 브라켓결합부(230)는, 상기 브라켓(300) 및 레일브라켓(40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홀(231)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31 into which a coupl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can be inserted in order to couple the bracket 300 and the rail bracket 400 . can

상기 복수의 관통홀(231)은,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합부재관통홀(231a)과 후술하는 상기 브라켓(300)의 가이드돌출부(312)가 삽입되는 가이드돌출부관통홀(231b)이 포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1 include a coupling member through hole 231a through whic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passes and a guide projection through hole 231b into which the guide projection 312 of the bracket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may be included.

한편, 상기 단열재가 발포된 후에 상기 도어라이너(200)가 도어프레임(100)에 결합됨에 따라 제조하는 과정에서 위치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어라이너(200)의 위치산포가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어의 앞뒤단차가 발생하여 외관의 심미성을 헤치고, 서랍식 본체가 인출됨에 있어 원할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door liner 20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100 afte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oamed, a difference in position may occu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at is, the position distribution of the door liner 200 is present, and accordingly,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door is generated, which impairs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and an undesirable problem may occur when the drawer-type body is drawn out.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2)는 별도의 브라켓(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door 12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bracket 300 .

상세히,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상측프레임(120)과 상기 도어라이너(200)를 연결할 수 있다.In detail, the bracket 300 may connect the upper frame 120 and the door liner 200 .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전면에 연결되는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상측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cket 30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310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liner 200 and a second coupling part 320 coupled to the upper frame 120 .

상세히, 상기 제 1 결합부(310)는 결합플레이트(311)가 포함되고, 도어라이너(200)의 브라켓결합부(230)에 면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coupling part 310 may include a coupling plate 311 , and may be coupled by surface contact with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of the door liner 200 .

상기 결합플레이트(311)는, 상기 도어라이너(200)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가이드돌출부(312) 및 상기 전면프레임(110)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돌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plate 311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312 protruding toward the door liner 200 and a coupling protrusion 313 protruding toward the front frame 110 .

상세히, 상기 가이드돌출부(312)는,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가이드돌출부관통홀(23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도어라이너(200)를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detail, the guide protrusion 312 may protrude toward the door liner 2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through hole 231a of the door liner 200 , and the position of the door liner 200 . can play a role in guiding

일 예로, 상기 가이드돌출부(312)는, 상기 결합플레이트(311)의 외측 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protrusion 312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plate 311,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또한, 상기 결합돌출부(313)는, 단열재가 발포됨에 의해서도 결합부재의 결합에 간섭받지 않도록 전면프레임(110)을 향해 돌출된 형상일 수 있고, 상기 결합돌출부(313)의 내부는 비어있는 공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313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toward the front frame 1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member even when the insulating material is foamed, and the in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3 is an empty space. can

즉, 조립과정에서 상기 레일브라켓(400)에서부터 삽입되는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돌출부(313)의 내부공간에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That is, in the assembly process, the coupling member inserted from the rail bracket 400 may be seated and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3 .

상기 제 2 결합부(320)는, 상기 제 1 결합부(310)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상측프레임(120)의 연장부(124)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exten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art 3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xtended part 124 of the upper frame 120 .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320)는, 후크(321)가 구비되는 후크연장부(32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장부(124)에 후크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be provided with a hook extension part 324 provided with a hook 321 , and may be hook-coupl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

상세히, 상기 후크연장부(324)로부터 돌출된 후크(321)가 상기 제 1 연장부(124)의 후크결합홀(123)에 삽입될 수 있다.In detail, the hook 321 protruding from the hook extension part 324 may be inserted into the hook coupling hole 123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

또한, 상기 제 2 결합부(320)는, 상기 상측프레임(120)의 고정결합홀(124a)에 대응되는 결합홀(3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hole 322 corresponding to the fixed coupling hole 124a of the upper frame 120 .

한편, 상기 제 2 결합부(320)는, 상기 후크연장부(324)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평연장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수직연장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extension part bent at the hook extension part 324 and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vertical extension part extending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 325) may be included.

상세히, 상기 수직연장부(325)는 'ㄷ'형상으로, 전면프레임(110)을 향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In detail, the vertical extension part 325 may have a 'C' shape and open toward the front frame 110 .

이에 따라, 상기 수직연장부(325)는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전면패널(111)을 결합할 때, 상기 고정부재(122b)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ccordingly,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325 may form an upwardly open spac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ixing member 122b when the front panel 111 is coupled.

즉, 상측프레임(120)과 전면프레임(110) 및 전면패널(111)이 결합될 때의 고정부재(122b)가 배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프레임(120)은 연장부(124, 125, 126)를 포함하게 되고, 상기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제 3 연장부(126)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제 2 연장부(125) 사이의 거리보다 멀어지게 된다.That is, in order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fixing member 122b is disposed when the upper frame 120, the front frame 110, and the front panel 111 are coupled, the upper frame 120 includes the extension parts 124 and 125. , 126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and the third extension part 126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5 . will lose

이에 따라, 상측프레임(120)에 보다 견고하게 상기 브라켓(300)이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상측프레임(120)의 연장부(124, 125, 126)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상기 후크연장부(324)와 상기 수직연장부(325)가 형성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more firmly fix the bracket 300 to the upper frame 120 , the hook extension 324 and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325 is formed.

또한, 상기 후크연장부(324)는 상기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제 2 연장부(125) 사이로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수직연장부(325)는 상기 제 1 연장부(124)와 상기 제 3 연장부(12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ok extension part 324 is partial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5 , and the vertical extension part 325 includes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25 . I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third extension parts 126 .

상세히, 상기 후크연장부(324)의 전면과 상기 제 1 연장부(124)의 배면 및 상기 후크연장부(324)의 배면과 상기 제 2 연장부(125)의 전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In detail, the front surface of the hook extension part 324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4 ,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extension part 324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125 may contact each other.

또한, 상기 수직연장부(325)와 상기 제 1 연장부(124)가 형성하는 공간에 상기 고정부재(122b)가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수직연장부(325)의 배면과 상기 제 3 연방부(126)의 전면은 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122b may be positioned in a space formed by the vertical extension 325 and the first extension 124 , and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extension 325 and the third federal part The front surface of (126) can be tangent.

또한,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2 결합부(320)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3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330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

상세히, 상기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2 결합부(320)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상면과 상기 제 2 결합부(320)의 하면이 상기 연결부(3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 The lower surface of the 320 may be coupled by the connecting part 330 .

일 예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2 결합부(320)를 연결하는 수평연결부(331)와 상기 수평연결부(331)를 지지하는 리브(33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330 includes a horizontal connection part 331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and a rib 332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331 . may include

상기 수평연결부(331)는, 상기 제 1 결합부(310)와 상기 제 2 결합부(320)의 양측면에서만 연결되어 결합될 수도 있고, 견고함을 위하여 복수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331 may be coupled only by being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for robustness.

상기 리브(332)는, 상기 수평연결부(331)의 하부와 상기 제 1 결합부(310)의 일면을 연결할 수 있다.The rib 332 may connect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331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한편, 서랍식의 냉장고 본체는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슬라이딩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라이너(200)에 결합되는 레일브라켓(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awer-type refrigerator body can be withdrawn by sliding to the outside by a user, and for this purpose, a rail bracket 400 coupled to the door liner 200 may be further provided.

상세히, 상기 레일브라켓(400)은,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브라켓결합부(230)에 결합되는 레일결합부(410)와 상기 레일결합부(410)로부터 절곡되어 후측으로 연장되는 레일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rail bracket 400 includes a rail coupling part 410 coupled to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of the door liner 200 and a rail part bent from the rail coupling part 410 and extending to the rear side ( 420) may be included.

상세히, 상기 레일브라켓(400)은,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양측에서 한 쌍으로 대칭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결합부(410)는,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배면에서 상기 브라켓결합부(230)와 면접촉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rail bracket 40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door liner 200 , and the rail coupling part 410 is coupled to the bracket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200 . It may be combined with the unit 230 through an interview contact.

일 예로, 상기 레일결합부(410)에는 상기 브라켓 결합부(230)와 면접촉되는 레일 플레이트(412) 및 상기 브라켓결합부(230)의 복수의 관통홀(23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레일 플레이트(412)에 구비되는 복수의 레일관통홀(411)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rail coupling part 410 , the rail plate 412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and the rail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1 of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are provide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ail through-holes 411 provided in the plate 412 .

상기 브라켓결합부(230)의 복수의 관통홀(231)과 동일하게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 또는 상기 브라켓(300)의 가이드돌출부(312)가 삽입될 수 있다.Similar to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31 of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a guide protrusion 312 of the bracket 300 may be inserted.

상세히,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레일결합부(410) 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 1 결합부(310)까지 관통될 수 있고, 상기 브라켓(300)의 가이드돌출부(312)는, 브라켓(300)의 제 1 결합부(310)로부터 돌출되어 도어라이너의 관통홀(231) 및 상기 레일브라켓(300)의 레일관통홀(4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In detail,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rail coupling part 410 and penetrates up to the first coupling part 310 , and the guide protrusion 312 of the bracket 300 is the first of the bracket 300 . 1 It may protrude from the coupling part 310 and sequentially penetrate the through-hole 231 of the door liner and the rail through-hole 411 of the rail bracket 300 .

상기 레일부(420)는, 상기 냉장고 본체를 슬라이딩을 통해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양측에서 대칭으로 후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냉장고 본체와 결합되기 위한 별도의 결합브라켓(미도시)이 더 결합될 수도 있다.The rail part 420 is for pulling out the refrigerator body through sliding, and may extend symmetrically from both sides of the door liner 200 toward the rear side, and includes a separate coupling bracket for coupling with the refrigerator body ( (not shown) may be further combined.

한편, 상기 도어(12)는,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결합 후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배면에서 테두리를 커버하는 가스켓(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12 may further include a gasket 150 that covers an edge of the door liner 200 on the rear surface after the door liner 200 is coupled.

조립과정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12)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door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assembly process as follows.

우선 도어프레임(100)의 구성들이 먼저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110)에 상측프레임(120), 하측프레임(130) 및 측면프레임(140)이 결합될 수 있다.First, the components of the door frame 100 may be assembled first. That is, the upper frame 120 , the lower frame 130 , and the side frame 14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frame 110 .

그 후, 상기 상측프레임(120)의 하측에 상기 브라켓(30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도어라이너(200)를 가결합할 수 있다.After that, the bracket 3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120 , and the door liner 200 may be temporarily coupled.

상세히, 상기 브라켓(300)의 후크(321)가 상기 상측프레임(120)의 후크결합홀(123)에 삽입되어 가결합된 후, 리벳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브라켓(300)과 상기 상측프레임(120)이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after the hook 321 of the bracket 300 is inserted into the hook coupling hole 123 of the upper frame 120 and temporarily coupled, the bracket 300 and the upper frame are used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rivet. (120) may be combined.

그 후,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가이드돌출부관통홀(231a)에 상기 브라켓(300)의 가이드돌출부(312)가 삽입되도록 상기 도어라이너(200)를 안착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door liner 200 may be seated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312 of the bracket 3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through hole 231a of the door liner 200 .

상기 도어라이너(200)에는 단열재를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주입홈(2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300)에 상기 도어라이너(200)가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주입홈을 통해 단열재를 주입할 수도 있다.The door liner 200 may include a separate injection groove 240 for injecting the insulating material, an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liner 200 is temporarily coupled to the bracket 300, the insulating material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groove. It can also be injected.

상기 주입홈은 단열을 위해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브라켓결합부(230)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jection groove may be provided in the bracket coupling part 230 of the door liner 200 for thermal insulation.

단열재의 발포 시 상기 브라켓(300)과 상기 도어라이너(200)가 접촉하는 면에는 상기 단열재가 위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When the insulation is foamed, care should be taken not to place the insulation on the surface where the bracket 300 and the door liner 200 contact each other.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안착 후, 상기 가스켓(500)을 결합할 수 있고, 상기 단열재가 모두 부풀어올라 안정화되면, 상기 레일브라켓(400)의 레일결합부(410)를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브라켓결합부(230)에 대응되도록 하여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After the door liner 200 is seated, the gasket 500 can be coupled, and when all of the insulating material is inflated and stabilized, the rail coupling part 410 of the rail bracket 400 is attached to the door liner 200. It can be fixed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to correspond to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230 of the.

한편, 상기 도어라이너(200)와 레일브라켓(400)이 먼저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300)의 가이드돌출부(312)가 도어라이너(200)의 가이드돌출부관통홀(213b) 및 상기 레일브라켓(400)의 레일관통홀(411)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도어라이너(200) 및 레일브라켓(400)이 도어프레임(100) 및 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liner 200 and the rail bracket 400 are tentatively coupled first, the guide protrusion 312 of the bracket 300 moves through the guide protrusion through hole 213b of the door liner 200 and the rail bracket. The door liner 200 and the rail bracket 400 may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100 and the bracket 300 by being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rail through hole 411 of the 400 .

12: 도어 100: 도어프레임
200: 도어라이너 300: 브라켓
12: door 100: door frame
200: door liner 300: bracket

Claims (15)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라이너; 및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라이너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면을 형성하는 상측프레임;
상기 상측프레임에 결합되는 전면프레임과 측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도어라이너를 연결하는 냉장고의 도어.
a door frame forming an exterior;
a door line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and a bracket install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door frame and the door liner,
The door frame is
an upper frame forming an upper surface;
a front frame and a side frame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and the side frame,
The bracket is a door of the refrigerator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door l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라이너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상측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is
a first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liner;
A refrigerator door comprising: a second coupling part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upper frame; and a coupl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냉장고의 도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front-rear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의 배면에는 냉장고의 본체가 인출입되도록 레일을 형성하는 레일 브라켓이 구비되는 냉장고의 도어.
3. The method of claim 2,
A door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rail bracket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to allow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to be drawn in and ou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레일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제 1 결합부와 상기 브라켓 결합부 및 상기 레일브라켓의 레일결합부가 순차적으로 면접촉되는 냉장고의 도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oor liner includes a bracket coupling part to which the bracket and the rail bracket are coupled an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frame,
A door of a refrigerator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bracket, the bracket coupling part, and the rail coupling part of the rail bracket are sequentially in surface contac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결합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주입하기 위한 단열재 주입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includes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jection groove for inject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in the inner sp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도어라이너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도어라이너 및 상기 레일 브라켓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냉장고의 도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upling part,
and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door liner,
The guide protrusion is a door of the refrigerator tha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door liner and the rail brack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전면프레임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브라켓과 상기 도어라이너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결합돌출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냉장고의 도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upling par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front frame,
A door of a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rail bracket and the door li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도어라이너의 배면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와
상기 레일 결합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냉장고 본체가 슬라이딩 인출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ail bracket is
a rail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line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ncluding a rail part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rail coupling part and guides the refrigerator main body to slide in and ou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프레임은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연장부에 후크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frame includes a handle portion recessed downward to insert the user's hand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includes a hook hook-coupled to the extension par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결합홀이 구비되는 제 1 연장부와
제 1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연장부 및 제 3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xtension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and having a hook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A door of a refrigerator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art and a third extensi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후크가 구비되는 후크연장부와 상기 후크연장부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에서 돌출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coupling part,
A refrigerator door comprising: a hook extension having the hook; a horizontal extension bent from the hook extension portion to extend horizontally; and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to extend verticall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연장부는 추가적인 결합부재가 관통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결합홀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ok extension further includes a coupling hole through which an additional coupling member passes,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erein the first extension includes a fixed coupling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2 연장부 사이에 상기 후크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3 연장부 사이에 상기 수직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냉장고의 도어.
13. The method of claim 12,
At least a portion of the hook extension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A door of a refrigerato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vertical extension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third exten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패널이 더 포함되는 냉장고의 도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front panel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frame.
KR1020200073927A 2020-06-17 2020-06-17 Door for a refrigerator Pending KR202101561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27A KR20210156154A (en) 2020-06-17 2020-06-17 Door for a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927A KR20210156154A (en) 2020-06-17 2020-06-17 Door for a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154A true KR20210156154A (en) 2021-12-24

Family

ID=7917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927A Pending KR20210156154A (en) 2020-06-17 2020-06-17 Door for a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615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63724B2 (en) Refrigerator
EP3926272A1 (en) Refrigerator
KR20220054275A (en) refrigerator
KR102285845B1 (en) Refrigerator
US10557663B2 (en) Refrigerator
US11650002B2 (en) Refrigerator
KR20240030777A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1624549B2 (en) Refrigerator
KR20210156158A (en) Refrigerator
KR20190106494A (en) Refrigerator
KR20210156154A (en) Door for a refrigerator
KR20210156166A (en) Refrigerator
EP3926273B1 (en) Refrigerator
KR20230156486A (en) Refrigerator
KR200254215Y1 (en) Door of refrigerator for cabbage and radish pickle
KR20210156156A (en) Door for a refrigerator
US12025366B2 (en) Refrigerator
JP3471205B2 (en) Storage
KR100432214B1 (en) Cabinet of Kimchi Refrigerator
KR101090761B1 (en) Mounting structure of shelf and rail for refrigerator
KR20220068119A (en) Refrigerator
KR102414950B1 (en) refrigerator
KR20210156164A (en) Refrigerator
KR200220817Y1 (en) A hinge assembly for refrigerator
KR20220034603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