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48750A -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750A
KR20210148750A KR1020200066048A KR20200066048A KR20210148750A KR 20210148750 A KR20210148750 A KR 20210148750A KR 1020200066048 A KR1020200066048 A KR 1020200066048A KR 20200066048 A KR20200066048 A KR 20200066048A KR 20210148750 A KR20210148750 A KR 2021014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attery pack
connector
device pin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06172B1 (ko
Inventor
김재형
정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6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06172B1/ko
Priority to EP21818339.0A priority patent/EP4099473A4/en
Priority to PCT/KR2021/006013 priority patent/WO2021246676A1/ko
Priority to JP2022550219A priority patent/JP7466954B2/ja
Priority to CN202180015967.5A priority patent/CN115152073A/zh
Priority to US17/802,415 priority patent/US20230091858A1/en
Publication of KR2021014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06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061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접점을 형성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점의 간격과 반대로 거동하는 간격의 제2 접점을 형성하는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with clip-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다중 접점을 가진 클립 타입 커넥터를 구비하여, 커넥터에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대기오염 물질을 유발하는 화석 연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및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ESS) 등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0V ~ 5.0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셀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기도 하며, 또한 셀 모듈 어셈블리를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배터리 팩을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배터리 팩 중 청소기, 전동공구 등의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소형 배터리 팩은 커넥터를 통하여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형 배터리 팩에 적용되는 종래의 커넥터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1은 배터리 팩(10)의 커넥터(11)와 PCB(Printed circuit board, 12)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10) 중 커넥터(11)만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커넥터(11)는 도 2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P)과 하나의 접점(C)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P)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커넥터(11)를 제조하더라도, 빈번하게 디바이스 핀(P)과 삽입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제품의 특성상 접점부가 벌어져서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접촉 저항이 커져 높은 발열로 인한 디바이스의 동작 불량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에서 허용 공차를 매우 좁게 가져가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디바이스 핀(P)의 삽입 각도 등에 따라 벌어짐이 발생하여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 다중 접점을 가진 커넥터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의 배터리 셀, 복수의 배터리 셀이 내장되는 케이스, 배터리 팩과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배터리 팩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커넥터가 결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접점을 형성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점의 간격과 반대로 거동하는 간격의 제2 접점을 형성하는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커넥터가 PCB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의 간격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클립부와 접촉 아암이 상기 디바이스 핀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클립부가 상기 디바이스 핀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접점을 형성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커넥터가 삽입되는 상기 디바이스 핀의 말단부와 접촉하는 제3 접점을 가지는 접촉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접촉 플레이트가 접촉 아암과 이격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클립부, 접촉 아암 및 연결부를 포함하여 배터리 팩과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클립부는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접점을 형성하고, 접촉 아암은 상기 클립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점의 간격과 반대로 거동하는 간격의 제2 접점을 형성하며, 연결부는 상기 배터리 팩의 PC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삽입되는 상기 디바이스 핀의 말단부와 접촉하는 제3 접점을 가지는 접촉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는 진공 청소기 또는 전동공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커넥터가 다중 접점을 가져 하나의 접점부가 벌어져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접점에서 접촉이 유지됨으로써 디바이스 핀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커넥터가 다중 접점을 가져 제조 공정 상에서 허용 오차를 좀 더 크게 가져갈 수 있어서 제조 공정에서의 불량율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접촉 불량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 불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커넥터의 사시도 및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및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및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및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팩(100)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배터리 팩(100)은 케이스(130)내에 복수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어 있고, 케이스(130) 내부 또는 외부의 일면에 배터리 팩(1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커넥터(110)가 결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120)가 위치하며, PCB(120)에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배터리 팩(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11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11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클립부(111), 접촉 아암(112) 및 PCB와의 접합을 위한 연결부(113)를 포함하며, 디바이스 핀(P)이 도 4의 (b)와 같이 삽입되어 클립부(111) 및 접촉 아암(112)과 접점을 형성함으로써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때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P)의 깊이는 제2 접점(C2)을 형성하는 깊이 이상이되, 연결부와 결합되어 있는 PCB에 닿지 않는 깊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클립부(111)는 마주보는 한 쌍의 바를 가지고, 한 쌍의 바는 일측이 연결부(113)에서 이어지고 바 사이의 간격은 삽입된 디바이스 핀(P)과 접점(제1 접점, C1)을 이루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더 좁아지고, 제1 접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구부러져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디바이스 핀(P)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바의 가운데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P)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접촉 아암(112)은 한 쌍의 마주보는 아암으로 구성되며, 아암은일측이 클립부(111)의 바에 연결되고, 타측이 연결부(113) 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암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가져, 타측의 끝단부에서 디바이스 핀(P)과 제2 접점(C2)을 형성한다.
또한 클립부(111)와 접촉 아암(112)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인하여 지렛대의 원리가 작용하여 제1 접점의 간격이 넓어지면, 오히려 제2 접점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거동을 함으로써, 클립부(111)의 반복사용이나 제조 상의 문제로 인하여 제1 접점의 간격이 넓어져 접촉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제2 접점에서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디바이스와의 접촉이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접촉 불량으로 인한 디바이스의 동작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클립부(111)와 접촉 아암(112)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 제1 접점(C1)과 제2 접점(C2)의 간격이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P)의 두께보다 좁더라도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며, 제1 접점(C1)과 제2 접점(C2)의 간격은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P)의 두께 및 허용 공차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5 및 도 6의 커넥터(210)는 도 3 및 도 4의 커넥터(110)와 대비하여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P)과 제3 접점(C3)을 형성하는 접촉 플레이트(214)가 더 부가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따라서 접촉 플레이트(214)를 중심으로 커넥터(210)를 살펴보면, 접촉 플레이트(214)는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P)의 말단부와 접촉하도록 접촉 아암(212)과 연결부(213)의 사이에 플레이트 형태로 위치한다. 플레이트의 형태는 도 6과 같이 두 개의 플레이트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일정 간격을 가지고, 각각 클립부에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하나의 플레이트가 클립부 사이에 연결되어 이어진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사이의 일정 간격은 디바이스 핀(P)이 삽입될 수 없을 정도로 좁은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3 접점(C3)을 형성하는 접촉 플레이트(214)를 커넥터에 부가함으로써, 클립부(211)와 접촉 아암(212)의 파손이나 불량 등으로 제1 접점(C1) 및 제2 접점(C2)에서 동시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제3 접점에서 디바이스 핀(P)과 접촉을 유지할 수 있어, 접촉 불량으로 인한 디바이스의 동작 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는 동시에 여러 접점을 가져 접촉 면적을 넓히고자 하는 목적뿐만 아니라, 각각의 접점을 형성하는 클립부(111, 211), 접촉 아암(112, 212) 및 접촉 플레이트(214)가 서로 다른 형상과 방식으로 디바이스 핀(P)과 접점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어느 한 부분 또는 두 부분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다른 부분에서 접촉을 보완하여,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접점을 유지함으로써 결론적으로 커넥터와 디바이스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에서 기존의 커넥터와 차이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100, 200 : 배터리 팩
11, 110, 210 : 커넥터
12, 120, 220 : PCB
130, 230 : 케이스
111, 211 : 클립부
112, 212 : 접촉 아암
113, 213 : 연결부
214 : 접촉 플레이트
P : 디바이스 핀
C : 접점
C1 : 제1 접점
C2 : 제2 접점
C3 : 제3 접점

Claims (11)

  1.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이 내장되는 케이스;
    배터리 팩과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상기 배터리 팩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접점을 형성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점의 간격과 반대로 거동하는 간격의 제2 접점을 형성하는 접촉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PCB와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의 간격은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상기 디바이스 핀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와 상기 접촉 아암은 상기 디바이스 핀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디바이스 핀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제1 접점을 형성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삽입되는 상기 디바이스 핀의 말단부와 접촉하는 제3 접점을 가지는 접촉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플레이트는 상기 접촉 아암과 이격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클립부, 접촉 아암 및 연결부를 포함하여 배터리 팩과 디바이스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클립부는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 아암은 상기 클립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접점의 간격과 반대로 거동하는 간격의 제2 접점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터리 팩의 PCB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삽입되는 상기 디바이스 핀의 말단부와 접촉하는 제3 접점을 가지는 접촉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진공 청소기 또는 전동공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200066048A 2020-06-01 2020-06-01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ctive KR102806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048A KR102806172B1 (ko) 2020-06-01 2020-06-01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21818339.0A EP4099473A4 (en) 2020-06-01 2021-05-13 BATTERY PACK WITH CLIP CONNECTOR
PCT/KR2021/006013 WO2021246676A1 (ko) 2020-06-01 2021-05-13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22550219A JP7466954B2 (ja) 2020-06-01 2021-05-13 クリップ型コネクタ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CN202180015967.5A CN115152073A (zh) 2020-06-01 2021-05-13 包括夹式连接器的电池组
US17/802,415 US20230091858A1 (en) 2020-06-01 2021-05-13 Battery pack including clip typ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048A KR102806172B1 (ko) 2020-06-01 2020-06-01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750A true KR20210148750A (ko) 2021-12-08
KR102806172B1 KR102806172B1 (ko) 2025-05-13

Family

ID=7883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048A Active KR102806172B1 (ko) 2020-06-01 2020-06-01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91858A1 (ko)
EP (1) EP4099473A4 (ko)
JP (1) JP7466954B2 (ko)
KR (1) KR102806172B1 (ko)
CN (1) CN115152073A (ko)
WO (1) WO20212466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0672A1 (en) * 2022-04-25 2023-11-01 Greenworks (Jiangsu) Co., Ltd. Female terminal, socket, battery pack, power tool and power to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39003A1 (en) * 2023-08-17 2025-02-20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adap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980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트림 고정용 클립 체결 구조
KR20160125219A (ko) * 2015-04-21 2016-10-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157Y1 (ko) * 1993-12-31 1999-05-15 전성원 자동차의 트림장착용 클립
US6394823B1 (en) * 2000-05-26 2002-05-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terminals having increased capacitance
KR100337887B1 (ko) * 2000-06-14 2002-05-24 김순택 전지의 충방전 시스템
KR100829737B1 (ko) * 2002-04-11 2008-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충방전 시스템의 전극 접촉용 클립
JP4333715B2 (ja) * 2006-09-07 2009-09-16 日立工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充電器、及び電動工具
JP5083630B2 (ja) 2009-03-13 2012-11-28 日立工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電動工具、充電器
KR101036060B1 (ko) * 2009-05-14 2011-05-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8758068B2 (en) * 2010-05-18 2014-06-24 HARTING Electronics GmbH Contact spring for plug connector socket
KR101342507B1 (ko) * 2011-09-02 2013-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JP5875910B2 (ja) 2012-03-16 2016-03-02 株式会社マキタ 端子機構
JP2013196816A (ja) 2012-03-16 2013-09-30 Makita Corp 端子機構
JP6091968B2 (ja) 2013-04-04 2017-03-08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JP6926770B2 (ja) * 2017-07-21 2021-08-25 工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を用いた電気機器
KR102217302B1 (ko) 2018-11-30 2021-02-18 주식회사 포스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첨가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980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트림 고정용 클립 체결 구조
KR20160125219A (ko) * 2015-04-21 2016-10-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0672A1 (en) * 2022-04-25 2023-11-01 Greenworks (Jiangsu) Co., Ltd. Female terminal, socket, battery pack, power tool and power to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66954B2 (ja) 2024-04-15
US20230091858A1 (en) 2023-03-23
WO2021246676A1 (ko) 2021-12-09
JP2023515508A (ja) 2023-04-13
EP4099473A4 (en) 2023-08-16
KR102806172B1 (ko) 2025-05-13
EP4099473A1 (en) 2022-12-07
CN115152073A (zh)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3662B (zh) 用于结合电极引线的汇流条组件和包括该汇流条组件的电池模块
JP6083824B2 (ja) 接続信頼性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セル・ホルダー、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CN107851749B (zh) 具有其中电池管理系统直接连接至端子板的结构的电池模块
KR100456857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전지 셀간 커넥팅 장치
CN110114932B (zh) 电池模块以及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CN117219942A (zh)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KR20140044440A (ko) 전지팩
JP7466954B2 (ja) クリップ型コネクタ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CN110268551A (zh) 电池模块和电池模块制造方法
CN114128020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CN103633277B (zh) 电芯连接件、电池电芯模块及其制造方法、电池和机动车
KR20120121680A (ko) 전원차단이 용이한 배터리 모듈
KR102050033B1 (ko) 충방전 단자모듈과 이를 갖춘 전지셀 고온 가압장치
CN109891636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101816708B1 (ko) 배터리팩
WO2018126439A1 (zh) 动力电池顶盖结构、动力电池及电池模组
US20240072398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216288837U (zh) 汇流条组件、电池组和电驱动设备
KR20220102023A (ko)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10443591U (zh) 电池组充放电装置
KR20170044472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8878994B (zh) 车辆用电池模块
CN110544759B (zh) 电池单池和电池模块
US20250070402A1 (en) Battery module using side-pole battery cells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battery cell to battery cell
EP3714496A1 (en)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with uneven terminal p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