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597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livery service using shared delivery cent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livery service using shared delivery ce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8597A KR20210148597A KR1020200065652A KR20200065652A KR20210148597A KR 20210148597 A KR20210148597 A KR 20210148597A KR 1020200065652 A KR1020200065652 A KR 1020200065652A KR 20200065652 A KR20200065652 A KR 20200065652A KR 20210148597 A KR20210148597 A KR 20210148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delivery
- shared
- center
- delivery cen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3410 fast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1077419 Dama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16 delivery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역 거점을 활용함으로써 당일 배송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a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선택된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b 단계,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를 확인하는 c 단계,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면, 상기 제2 상품의 종류를 기반으로 배송 수단을 선택하는 d 단계 및 상기 배송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품을 배송 처리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ame-day delivery by utilizing a regional base.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step a of receiving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first product from the store's own applica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user terminal, an order for a second product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ducts from the user terminal Step b of receiving information, step c of checking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in a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the second product to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If there is stock of the second product, a step d of selecting a delivery means based on the type of the second product and a step e of shipping the second product by using the delivery means are characteriz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지역 거점을 공유 배송 센터로 활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by using a regional base as a shared delivery center.
최근 가장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는 배달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이다. O2O 서비스는 온라인이나 모바일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업체를 확인하고, 주문, 결제, 도착에 이르는 전 과정의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기존에 소비자가 직접 업체에 주문하고, 도착할 때까지 기다린 후, 배달되면 현장에서 결제하는 기존의 배달 서비스와 상이하다.One of the most recent areas of attention is the delivery O2O (Online to Offline) service. The O2O service identifies companies that can receive products and services online or through mobile, and provides monitoring services for the entire process from ordering, payment, and arrival. This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elivery service in which the consumer directly places an order with a company, waits for it to arrive, and then pays for it on the spot when it is delivered.
O2O 스타트업의 주도 아래에서, 기존 음식 배달에서 배달 가능 영역 및 서비스 제공이 확대되고 있으며 배달 중심의 온라인 편의점 사업이 확대되고 있다. 일 예로, 지역 중/소형 마트에서 O2O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신선식품/밀킷 관련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초기 단계의 산업임을 고려하였을 때, 전문 판매 채널과 지역 거점, 배달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Under the leadership of O2O startups, delivery areas and service provision are expanding from existing food delivery, and delivery-oriented online convenience store businesses are expanding. For example, local small/medium marts have started to provide O2O services, and fresh food/milkit related services are expanding. However, considering that it is an early stage industry,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ack of specialized sales channels, regional bases, and delivery infrastructur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당일 배송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역 거점을 활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delivery service by utilizing a regional base in order to provide same-day delivery.
또한 본 발명은 신선식품, 간편식품, 일반상품과 같이 다양한 상품 특성에 따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livery service according to various product characteristics such as fresh food, convenience food, and general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주유소, 편의점과 같은 지역 거점을 활용하여 지역 거점에 추가적인 임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create additional rental income at local bases by utilizing local bases such as gas stations and convenience store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유소와 같이 지역 거점으로 활용 가능한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a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선택된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b 단계,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를 확인하는 c 단계,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면, 상기 제2 상품의 종류를 기반으로 배송 수단을 선택하는 d 단계 및 상기 배송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품을 배송 처리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method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that can be used as a regional base, such as a gas station, by receiving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first product from the company's own application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Step a of displaying, step b of receiving order information for a second product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ducts from the user terminal, to a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Step c of checking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if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exists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a step d of selecting a delivery means based on the type of the second product and the delivery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step of processing the delivery of the second product by using it.
또한 본 발명은 주유소와 같이 지역 거점으로 활용 가능한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선택된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 모듈,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that can be used as a regional base, such as a gas station, by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of a first product from a company's own applica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an order module for receiving order information for a second product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ducts from the terminal;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를 확인하는 상품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면, 상기 제2 상품의 종류를 기반으로 배송 수단을 선택하고, 상기 배송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품을 배송 처리하는 배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A product management module for checking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if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exists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 a delivery module that selects a delivery means based on the type of the second product and delivers the second product using the delivery means.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유소나 편의점 같은 지역 거점을 활용하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당일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 거점이 추가적인 임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local base such as a gas station or a convenience store, the same-day delivery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local base can generate additional rental income.
또한 본 발명은 신선식품, 간편식품, 일반상품과 같이 다양한 상품 특성에 맞는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맞춤형 배송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ustomized delivery infrastructure by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suitable for various product characteristics, such as fresh food, convenience food, and general goo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of a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며,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단수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단수 표현에 대한 언급은 또한 복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nd all combination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combined in any manner. And unless otherwise provid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references to the singular may include one or more, and references to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plural expressi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한정할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적 표현들은 또한, 해당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 "그리고/또는"은 그 관련되어 나열되는 항목들의 모든 조합들 및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고 있는", "구비하는", "갖는", "가지고 있는" 등은 내포적 의미를 갖는 바, 이에 따라 이러한 용어들은 그 기재된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를 특정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혹은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들, 프로세스들, 동작들은, 구체적으로 그 수행 순서가 확정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들의 수행을 논의된 혹은 예시된 그러한 특정 순서로 반드시 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추가적인 혹은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specific exemplary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may also be intended to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the sentence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term “and/or,” “and/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the items listed therewith. 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comprising", "comprising", "having", "having" and the like have an implied meaning, so that these terms refer to their described features, integers, It specifie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thereof. The steps, processes, and acts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performing their performance in such a specific order as discussed or exemplified, unless a specific order of performance is determined. .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additional or alternative steps may be used.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는 각각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고, 위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위 구성요소들이 서로 조합되어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processor,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hardware processor, or the above compon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hardware processor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유 배송 센터는 지역 거점으로 활용 가능한 주유소, 편의점, 지역 물류 센터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주유소는 도보고객과 무관한 입지에 위치한 다수의 주유소가 도심 마이크로 물류센터로 기능할 수 있으며, 유휴공간이 많아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어, 본 발명은 주유소를 그 대표적인 예시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red delivery cen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a gas station, a convenience store, a local distribution center, etc. that can be used as a regional base. A gas station has the advantage that a number of gas stations located in locations that are not related to walking customers can function as a micro distribution center in the city center, and there are many idle spaces, s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gas station can be us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110에서, 사용자 단말(10)은 미리 설치된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데스크탑의 웹 사이트일 수도 있다.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10)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서버(20)로부터 내려받기하고 설치할 수 있다.In step 110, the
특히 사용자 단말(10)은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 설치와 함께 사용자 인증 및 보안을 위한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서버(20) 또는 별도의 웹사이트 서버에게 상품 정보 수신에 대한 사용자 동의를 제공하는 절차도 진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단계 120에서, 사용자 단말(10)은 터치스크린 또는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등의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상품명, 다양한 각도의 상품 이미지, 상품 종류, 사용 방법, 구매 후기, 제조사, 판매처 또는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 상품과 사용자의 기록 로그를 이용한 추천 상품과의 연결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상품의 종류는 회나 정육 같은 신선식품, 밀킷과 같은 간편식품, C2C(Customer to Customer), B2C(Business to Customer), 그리고 C2B(Customer to Business)와 같은 일반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In step 120, the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을 관리 및 제어하는 서버(20)는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에 표시하는 상품 정보를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홈페이지로부터 수신하여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것이며,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저장하는 방식은 종래 기술을 따를 수 있다. The
서버(20)는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입점 업체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근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거나,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에 주기적으로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은 입점 업체가 별도로 상품을 등록하지 않아도 하나의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다양하고 많은 제품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0)는 상품 정보를 입점 업체의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홈페이지 뿐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에 존재하는 상품 관리 단말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배송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단계 130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1 상품 중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하면,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결제 방식은 종래 기술을 따를 것이다.In step 130 , when receiving an order request for at least one second product that the user wants to purchase among the first produ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rom the user, the
단계 140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제2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서버(20)에 결제 내역을 전송할 것이다. 결제 내역은 사용자 단말(10)의 고유 식별 정보, 배송지, 입점 업체명, 상품명, 상품 고유 식별 번호, 수량, 제조사 또는 결제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140 , when payment for the second product is completed, the
단계 150에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결제 내역을 수신하면, 결제 내역을 이용하여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고, 주문 리스트를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In step 150 , when the
단계 160에서, 서버(20)는 결제 내역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 처리를 담당할 제1 공유 배송 센터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20)는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배송 센터를 식별할 수 있다. In step 160, the
식별된 공유 배송 센터가 둘 이상일 경우, 서버(20)는 배송지 정보와 거리가 가장 짧은 제1 공유 배송 센터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20)는 선택되지 않은 제2 공유 배송 센터를 임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제2 공유 배송 센터를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은 이후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제2 상품의 재고가 없을 경우 이용하기 위함이다.When the identified shared distribution center is two or more, the
단계 170에서, 서버(20)는 식별된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대응하는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결제 내역에 포함된 제2 상품을 검색하여, 제2 상품이 해당 수량만큼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보관되어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재고 데이터베이스는 공유 배송 센터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모든 공유 배송 센터에 보관된 재고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든 공유 배송 센터가 하나의 재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경우, 재고 데이터베이스는 공유 배송 센터 별로 태그를 부착하여 공유 배송 센터로 상품의 재고를 구분할 수 있다.In step 170, the
한편, 서버(20)는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2 공유 배송 센터의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는 지 검색하고,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는 제2 공유 배송 센터를 제1 공유 배송 센터로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만약 제2 공유 배송 센터에도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지 않으면, 서버(20)는 입점 업체의 담당자 단말에 제2 상품에 대한 재고를 요청할 수 있다.If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shared delivery center, the
단계 180에서, 서버(20)는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제2 상품의 종류를 기반으로 배송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신선식품, 간편식품과 같이 상품의 성질에 따라 빠르게 배송해야 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신선한 상태의 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배송 수단은 퀵 오토바이, 배달 오토바이, 다마스와 같은 트럭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180, if the
예를 들어 설명하면, 회나 정육 같은 신선식품은 금방 상하는 식품의 특성 상 퀵 오토바이를 배송 수단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밀킷과 같은 간편 식품은 신선식품보다는 신속성의 중요성이 덜하나 배송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면 식품이 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배달 오토바이를 배송 수단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외의 의류, 서적, 생활용품 등 C2C, B2C, C2B의 성격을 갖는 일반 상품은 다마스나 현재 택배의 운송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트럭 등을 배송 수단으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fresh food such as sashimi or meat, a quick motorcycle can be selected as a delivery method due to the nature of food that spoils quickly. Because food can go perishable, delivery motorcycles can be chosen as a means of delivery. For general products with C2C, B2C, and C2B characteristics, such as clothing, books, and daily necessities, Damas or a truck currently used as a delivery means can be used as delivery means.
단계 190에서, 서버(20)는 공유 배송 센터(30)에 주문 리스트 및 배송 수단을 전송할 수 있다.In step 190 , the
단계 200에서, 공유 배송 센터(30)는 수신한 주문 리스트 및 배송 수단을 이용하여 제2 상품을 사용자에 배송 처리하고,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배송 상태를 업데이트할 것이다.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하여 운송 수단 및/또는 운송 인력의 모바일 단말에 GPS 센서가 부착되어 있을 것이다. 업데이트 되는 배송 상태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서버(2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배송 상태 요청 입력을 수신하면,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송 상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step 200, the shar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상품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10), 배송 서비스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20), 상품을 보관, 관리 그리고 배송하는 공유 배송 센터(30)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 a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includes a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된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부(화면, 스크린)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입점 업체와 그에 대응하는 제1 상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에 디스플레이 된 제1 상품 중 구매하고자 하는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요청을 수신할 것이다.The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에 표시되는 제1 상품의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액션 스크립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제1 상품의 정보와 링크될 수 있다.Information of the first product displayed on the delivery service program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text, image, and action script, each of which may be linked with information of the first product.
사용자 단말(10)은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가 완료되면, 제2 상품에 대한 배송을 조회할 수 있다. 제2 상품의 배송 상태가 배송 중인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공유 배송 센터(20)로부터 제2 상품의 배송 상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order and payment for the second product are completed, the
서버(20)는 입점 업체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상품의 정보를 수신하여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The
서버(20)는 입점 업체로부터 수신한 제1 상품의 정보에 따라 제1 상품을 종류 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상품의 종류는 회나 정육 같은 신선식품, 밀킷과 같은 간편식품, C2C(Customer to Customer), B2C(Business to Customer), 그리고 C2B(Customer to Business)와 같은 일반 택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신선식품, 간편식품과 같이 상품의 성질에 따라 빠르게 배송해야 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신선한 상태의 상품을 배송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0)는 제1 입점 업체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제2 입점 업체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가 동일하면, 두 입점 업체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하여 묶음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공유 배송 센터(30)에 제1 입점 업체와 제2 입점 업체의 제1 상품이 모두 보관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며, 이를 통해 배송 대행 수수료(배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ype of the product sold by the first vendor and the product sold by the second vendor is the same, the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내역을 수신하면, 해당 결제 내역을 이용하여 주문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20)는 생성된 주문 리스트를 이용하여 공유 배송 센터를 배정할 것이다.When the
서버(20)는 주문 리스트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를 기반으로, 공유 배송 센터를 배정할 수 있다. 서버(20)는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배송 센터를 식별하여, 그 중 가장 짧은 거리를 갖는 공유 배송 센터를 제1 공유 배송 센터로 설정하고 그 외의 공유 배송 센터를 제2 공유 배송 센터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공유 배송 센터는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제2 상품의 재고가 부족할 경우에 발생할 혼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공유 배송 센터(30)는 서버(20)로부터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결제 내역이 포함된 주문 리스트를 수신하면 주문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2 상품을 배송할 수 있다. 또한, 공유 배송 센터(30)는 배송 수단 및/또는 배송 인력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서버(20)에 더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har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서버(20)는 크게 주문 모듈(210), 상품 관리 모듈(220), 배송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서버(20)는 주문 모듈(210), 상품 관리 모듈(220), 배송 모듈(23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모듈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관리 모듈(220)은 공유 배송 센터의 배송 시스템(미도시)에 물리적으로 존재하고,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버(20)의 주문 모듈(210) 및 배송 모듈(230)과 연결될 수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for explaining in more detail a server of a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the
주문 모듈(210)은 통신부(211), 프로그램 관리부(213), 주문 처리부(215) 그리고 결제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The order module 2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1 , a program management unit 213 , an order processing unit 215 , and a payment unit 217 .
프로그램 관리부(213)는 사용자 단말(10)에 미리 설치된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관리부(213)는 통신부(211)가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홈페이지로부터 수신한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에 표시될 제1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에 제1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 등의 이미지 및/또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gram manager 213 may manage a delivery service program pre-installed in the
상술한 상품 정보는 상품명, 다양한 각도의 상품 이미지, 상품 종류, 사용 방법, 구매 후기, 제조사, 판매처 또는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 상품과 사용자의 기록 로그를 이용한 추천 상품과의 연결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상품의 종류는 회나 정육 같은 신선식품, 밀킷과 같은 간편식품, C2C(Customer to Customer), B2C(Business to Customer), 그리고 C2B(Customer to Business)와 같은 일반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name, product image from various angles, product type, usage method, purchase review, manufacturer, vendor, or price information, etc. may be included. The type of product may include fresh food such as sashimi or meat, convenience food such as a meal kit, general product such as C2C (Customer to Customer), B2C (Business to Customer), and C2B (Customer to Business).
프로그램 관리부(213)는 주기적으로 통신부(211)로 하여금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입점 업체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근하여 상품 정보를 획득하게 하거나,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에 주기적으로 상품 정보를 요청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은 입점 업체가 별도로 상품을 등록하지 않아도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gram management unit 213 periodically causes the communication unit 211 to obtain product information by periodically accessing the database managed by the store company in conjunction with the store's own application, or periodically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the store's own application. may be requested. In this way, the delivery service program can provide product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linking with the store's own application, even if the retailer does not separately register the product.
주문 처리부(215)는 통신부(211)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배송 서비스 프로그램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신하면,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주문 절차는 일반적인 온라인/오프라인 상거래에서 사용되는 방식을 따른다.When the communication unit 211 receives the user's order request for the second product received from the delivery service program from the
결제부(217)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 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결제 내역은 사용자 단말(10)의 고유 식별 정보, 배송지, 입점 업체명, 상품명, 상품 고유 식별 번호, 수량, 제조사 또는 결제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yment unit 217 may perform a payment process for the second product that the user wants to purchase, and may generate payment details when payment is completed. The payment details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결제부(217)에서 결제 내역이 생성되면, 통신부(211)는 상품 관리 모듈(220)에 결제 내역을 전송할 것이다.When the payment details are generated by the payment unit 217 , the communication unit 211 will transmit the payment details to the product management module 220 .
상품 관리 모듈(220)은 통신부(221), 주문 리스트 생성부(223), 배송 센터 선택부(235) 그리고 배송 수단 선택부(237)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duct management module 22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21 , an order list generation unit 223 , a delivery center selection unit 235 , and a delivery means selection unit 237 .
통신부(221)는 주문 모듈(210)로부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1 may receive payment details for the second product that the user wants to purchase from the order module 210 .
통신부(221)는 배송 모듈(30)에서 제2 상품에 대한 배송 처리가 완료되면, 배송 모듈(30)로부터 제2 상품에 대한 배송 상태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221)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배송 상태 요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면, 배송 상태를 사용자 단말(10)에 전송할 것이다.When the delivery process for the second product is completed in the
주문 리스트 생성부(223)는 제2 상품에 대한 결제 내역을 이용하여 주문 리스트를 생성하고, 주문 리스트를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주문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저장 방식은 종래 기술을 따를 수 있다.The order list generator 223 may generate an order list by using the payment details for the second product and store the order list in an order database. The design and storage method of the order database may follow the prior art.
배송 센터 선택부(225)는 결제 내역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문 처리를 담당할 제1 공유 배송 센터를 식별할 수 있다. 배송 센터 선택부(225)는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배송 센터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공유 배송 센터가 둘 이상일 경우, 배송 센터 선택부(225)는 배송지 정보와 거리가 가장 짧은 제1 공유 배송 센터를 선택하고, 선택되지 않은 제2 공유 배송 센터를 임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delivery center selector 225 may identify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that will handle the order processing based on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yment details. The distribution center selection unit 225 may identify at least one shared distribution cent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When the identified shared distribution center is two or more, the distribution center selection unit 225 may select the first shared distribution center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store the unselected second shared distribution center in a temporary memory.
배송 센터 선택부(225)는 선택된 제1 공유 배송 센터의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결제 내역에 포함된 제2 상품을 검색하여, 제2 상품이 해당 수량만큼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보관되어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The delivery center selection unit 225 searches for the second product included in the payment history in the inventory database of the selected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product is stored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by the corresponding quantity. can
배송 센터 선택부(225)는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제2 공유 배송 센터의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는 지 검색하고,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는 제2 공유 배송 센터를 제1 공유 배송 센터로 설정할 수 있다.If the delivery center selection unit 225 determines that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does not exist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it searches whether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exists in the inventory database of the second shared delivery center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and , it is possible to set the second shared distribution center in which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exists as the first shared distribution center.
제2 공유 배송 센터에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배송 센터 선택부(225)는 입점 업체의 담당자 단말에 제2 상품에 대한 재고를 요청할 수 있다.When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does not exist in the second shared delivery center, the delivery center selection unit 225 may request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from the terminal in charge of the store company.
배송 수단 선택부(227)는 제2 상품의 종류를 기반으로 배송 수단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상품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선식품, 간편식품, 그리고 일반 상품 등을 포함할 것이다. 배송 수단 선택부(227)에서 배송 수단이 선택되면, 통신부(221)는 배송 모듈(230)에 주문 리스트 및 배송 수단을 전송할 수 있다.The delivery means selection unit 227 may identify the delivery means based on the type of the second product. The second type of product may include fresh food, convenience food, and general product as described above. When a delivery means is selected by the delivery means selection unit 227 , the communication unit 221 may transmit an order list and delivery means to the delivery module 230 .
배송 모듈(230)은 통신부(231), 운송장 생성부(233) 그리고 GPS 수신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livery module 23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31 , a waybill generating unit 233 , and a GPS receiving unit 235 .
통신부(231)가 상품 관리 모듈(220)로부터 주문 리스트 및 그에 대응하는 배송 수단을 수신하면, 운송장 생성부(233)가 운송장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운송장은 주문 리스트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택배 운송장과 같은 형식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unit 231 receives the order list and the delivery means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product management module 220 , the waybill generating unit 233 may generate and output a waybill. The waybill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order list, and may have the same format as a commonly used delivery waybill.
GPS 수신부(235)는 배송 수단 및/또는 배송 인력의 모바일 단말에 부착된 GPS 센서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배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GPS receiver 235 may periodically receive the location of the GPS sensor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of the delivery means and/or delivery personnel to track and update the delivery status in real time.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8)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a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선택된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b 단계;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를 확인하는 c 단계;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면, 상기 제2 상품의 종류를 기반으로 배송 수단을 선택하는 d 단계; 및
상기 배송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품을 배송 처리하는 e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that can be used as a regional base, such as a gas station,
A step of receiving the product information of the first product from the company's own application and displaying it on the user terminal;
b step of receiving order information for a second product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ducts from the user terminal;
c step of checking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d step of selecting a delivery means based on the type of the second product when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exists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and
and an e step of shipping and processing the second product using the delivery means.
상기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홈페이지와 연동하되,
상기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주기적으로 접근하거나,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제1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a,
Interlocking with the company's own application and/or website,
A delivery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of the first product by periodically accessing the database of the store's own application or by requesting product information.
제1 입점 업체와 제2 입점 업체에서 판매하는 유사한 상품을 묶음 주문 가능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a,
A method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ervice that enables a bundle order of similar products sold by a first store company and a second store company.
상기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공유 배송 센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공유 배송 센터 중 상기 배송지 정보와 가장 가까운 제1 공유 배송 센터를 식별하고,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 외의 제2 공유 배송 센터를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c,
identifying at least one shared delivery cent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further comprising: identifying a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closest to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mong the shared delivery centers, and storing a second shared delivery center other tha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in a temporary memory How to provide.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의 재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보관 중인 상기 제2 상품의 재고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1 상품의 재고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공유 배송 센터의 재고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는 상기 제2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1 상품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tock status of the second product stored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by using the inventory database of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stock of the first product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accessing the inventory database of the second shared delivery center;
The method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questing the first product to the second shared delivery center in which the stock of the first product exists.
상기 재고 데이터베이스는 제1 상품이 입고 또는 출고될 때마다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ventory database is a method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pdated whenever the first product is stocked or shipped.
상기 제2 상품의 종류는 신선식품, 간편식품, 및 일반상품을 포함하고,
상기 배송 수단은 트럭, 다마스, 오토바이 등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상품의 종류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배송 수단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type of the second product includes fresh food, convenience food, and general product,
The delivery means include trucks, damas, motorcycles, etc.,
A method of providing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elivery means is identifi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econd product.
입점 업체의 자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상품 중 적어도 하나 선택된 제2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주문 모듈;
상기 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송지 정보와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를 확인하는 상품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공유 배송 센터에 상기 제2 상품의 재고가 존재하면, 상기 제2 상품의 종류를 기반으로 배송 수단을 선택하고, 상기 배송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품을 배송 처리하는 배송 모듈을 포함하는 공유 배송 센터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제공 방법.
In a system that provides a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that can be used as a regional base, such as a gas station,
an order module for receiving product information of a first product from a self-application of a store company, displaying the product information on a user terminal, and receiving order information for a second product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ducts from the user terminal;
a product management module for checking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located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rder information; and
When the stock of the second product exists in the first shared delivery center, a delivery module is selected for selecting a delivery means based on the type of the second product, and using the delivery means to deliver the second product. How to provide delivery service using a shared delivery cen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5652A KR20210148597A (en) | 2020-06-01 | 2020-06-0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livery service using shared delivery ce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5652A KR20210148597A (en) | 2020-06-01 | 2020-06-0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livery service using shared delivery cen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8597A true KR20210148597A (en) | 2021-12-08 |
Family
ID=7886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5652A Ceased KR20210148597A (en) | 2020-06-01 | 2020-06-0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livery service using shared delivery ce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48597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19197A1 (en) * | 2022-05-09 | 2023-11-16 | 쿠팡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nformation for item delivery, and method therefor |
WO2023249150A1 (en) * | 2022-06-24 | 2023-12-28 | 쿠팡 주식회사 |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
KR20240016580A (en) * | 2022-07-29 | 2024-02-06 | 주식회사 블루웨일컴퍼니 | Space management system for the operation of shared logistics MFC in the urban area |
WO2025070841A1 (en) * | 2023-09-25 | 2025-04-03 | 주식회사 블루웨일컴퍼니 | Space management system for operating shared logistics mfcs in urban area |
-
2020
- 2020-06-01 KR KR1020200065652A patent/KR2021014859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19197A1 (en) * | 2022-05-09 | 2023-11-16 | 쿠팡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nformation for item delivery, and method therefor |
KR20230157051A (en) * | 2022-05-09 | 2023-11-16 | 쿠팡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nformation for item delivery and method thereof |
TWI851141B (en) * | 2022-05-09 | 2024-08-01 | 韓商韓領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nformation for item delivery and method thereof |
KR20240145961A (en) * | 2022-05-09 | 2024-10-07 | 쿠팡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nformation for item delivery and method thereof |
WO2023249150A1 (en) * | 2022-06-24 | 2023-12-28 | 쿠팡 주식회사 |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
TWI864836B (en) * | 2022-06-24 | 2024-12-01 | 韓商韓領有限公司 | 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supporting thereof |
KR20240016580A (en) * | 2022-07-29 | 2024-02-06 | 주식회사 블루웨일컴퍼니 | Space management system for the operation of shared logistics MFC in the urban area |
WO2025070841A1 (en) * | 2023-09-25 | 2025-04-03 | 주식회사 블루웨일컴퍼니 | Space management system for operating shared logistics mfcs in urban are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148597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elivery service using shared delivery center | |
KR10180826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for vacancy information and reservation | |
US20130085888A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using integrating shopping cart | |
EP3193292A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replenishment and management of inventory | |
KR20090003488A (en) |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 |
JP2020129389A (en) | Transaction support system | |
CN108600323B (en) | Multi-center data sharing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 |
KR20170080814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shopping service | |
CN107240004B (en) | Shared retail business platform | |
KR101714274B1 (en) |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user posts, an appratus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 |
US9152987B1 (en) | Surfacing local inventory | |
CN102124478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interaction with customers in a retail establishment | |
US10861074B2 (en) | Furniture ordering and marke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 |
US20090063275A1 (en) |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setup of a proxy web store by an itemized selection approach | |
KR102362506B1 (en) | Real estate sale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JP7123437B1 (en) | System for automatic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sales information and provided service information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and notification | |
KR102227651B1 (en) | Method for Supporting Online Purchase of Products on Display in Offline Locations,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 |
CN116384859A (en) | Virtual store business processing method, system and computing equipment based on intelligent cabinet | |
KR20210103267A (en) | Open platform for automating shopping mall for sales agents | |
KR102653234B1 (en) | Global Online Shopping Mall Operating System | |
KR20030074346A (en) |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 commerce combining purchasing and delivery | |
CN110570272A (en) | Suppl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JP2001273420A (en) |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purchase of article | |
US20030088477A1 (en) | Method of selling product online and computer product | |
KR10219029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e sha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4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1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