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555A - Test socket and metho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Test socket and metho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4555A KR20210144555A KR1020210013607A KR20210013607A KR20210144555A KR 20210144555 A KR20210144555 A KR 20210144555A KR 1020210013607 A KR1020210013607 A KR 1020210013607A KR 20210013607 A KR20210013607 A KR 20210013607A KR 20210144555 A KR20210144555 A KR 202101445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be
- hole
- support
- forming
-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검사체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검사소켓 및 그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pection socket for inspec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subjec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고주파 또는 고속 반도체 테스트용 검사소켓은 도전성 블록에 신호용 프로브들을 비접촉 상태로 장착함으로써 인접하는 신호용 프로브들 간의 간섭이나 노이즈를 차폐한다. 신호용 프로브를 도전성 블록에 비접촉 상태로 지지하는 방식은 도전성 블록의 양면에 절연성 지지플레이트를 배치하여 신호용 프로브의 양단부를 지지하였다. 이때, 도전성 블록에는 프로브의 배럴을 수용하는 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고, 절연성 지지플레이트에 배럴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프로브지지공을 형성한 후, 프로브수용공과 프로브지지공이 정렬되도록 도전성 블록과 절연성 지지플레이트를 결합하였다. 종래의 검사소켓을 제조하는 방식은 프로브수용공 제조공정과 프로브지지공 제조공정이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되고 프로브들의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공정오차와 정렬 오차도 커진다. 따라서, 다수의 프로브수용공과 프로브지지공에 수용되어 지지되는 신호용 프로브는 프로브수용공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그 결과 삽입손실(Insertion Loss) 특성, 반사손실(Return Loss) 특성, 크로스토크(Crosstalk) 특성이나 격리(Isolation) 특성, Z-임피던스(Z-Impedance) 특성, 인덕턴스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A high-frequency or high-speed semiconductor test test socket shields interference or noise between adjacent signal probes by mounting signal probes on a conductive block in a non-contact state. In the method of supporting the signal probe to the conductive block in a non-contact state, insulating support plates we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ductive block to support both ends of the signal probe. At this time, a probe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barrel is formed in the conductive block, a probe supporting hole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barrel is formed on the insulating support plate, and then the conductive block and insulating support are formed so that the probe receiving hole and the probe supporting hole are aligned. The plates were join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spection socket, the probe receiving hol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probe supporting hole manufacturing process are individually performed, and as the number of probes increases, the process error and alignment error also increase. Therefore, the signal probe accommodated and supported in the plurality of probe accommodating holes and the probe supporting holes deviate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probe accommodating hole, and as a result, insertion loss characteristics, return loss characteristics, and crosstalk ) characteristics, isolation characteristics, Z-impedance characteristics, and inductance characteristics may deteriorate.
본 발명의 목적은 특성이 우수한 고주파 또는 고속 반도체 테스트용 검사소켓 및 그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st socket for high-frequency or high-speed semiconductor testing having excellent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프로브를 지지하는 검사소켓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전성 재질의 베이스부재에 상기 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프로브공에 소정 깊이로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채워 프로브지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공 내의 프로브지지부재에 상기 프로브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제1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supporting a prob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es: forming a probe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on a base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ming a probe support member by filling the resin of the probe hole, and forming a first support hole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probe to be exposed on the probe support member in the probe hole.
상기 수지를 채우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금형커버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이격된 간격 및 상기 프로브공에 수지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ling of the resin may further include disposing a mold cover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illing the spaced gap and the probe hole with resin.
상기 수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프로브공에 소정 깊이로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The resin may be partially fill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probe hole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수지가 채워지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member may include a through hole that penetrates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is filled with the resin.
제1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은, 절연성 재질의 커버부재에 상기 프로브의 타단부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공에 상기 프로브를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의 양단부를 상기 제1 및 제2지지공에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forming a second support hole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probe to be exposed on a cover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probe ho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upporting both ends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and coupling the cover member to a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갭플레이트를 개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terposing a gap plate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cover member.
상기 프로브공은 상기 프로브지지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be hole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t a position where the probe support part is forme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프로브를 지지하는 검사소켓을 제조하는 방법은 절연성 재질의 베이스부재 일면에 상기 프로브가 배치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지지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공에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을 채워 프로브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부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프로브지지부에 상기 프로브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supporting a prob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es forming a support hole at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where the probe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base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to the support hole. Forming a probe support portion by filling, forming a probe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in the bas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and forming a first support hole in which one end of the probe is supported in the probe support portion includes steps.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은, 절연성 재질의 커버부재에 상기 프로브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수용공에 상기 프로브를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상기 제1 및 제2지지공에 각각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면에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second support hole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probe on a cover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probe receiving ho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uppor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obe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respectively, and coupling the cover mem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은, 절연성 재질의 제2베이스부재 일면에 상기 프로브가 배치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제2지지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지지부공에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채워 제2프로브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지지부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 상기 프로브를 수용하는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프로브지지부에 상기 프로브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수용공과 상기 제2프로브수용공에 상기 프로브를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상기 지지공 및 제2지지공에 각각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면에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타면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second support hole at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where the probe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second base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n the second support hole forming a second probe support portion by filling an insulating material with a resin, and forming a second probe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in the second bas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hole, and the second probe support portion forming a second support hol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probe is supported,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probe receiving hole and the second probe receiving hole, and inser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obe into the supporting hole and the second supporting ho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upporting each of the balls and coupl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mem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프로브를 지지하는 검사소켓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전성 재질의 베이스블록에 상기 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단계, 도전성재질의 제1베이스부재와 제2베이스부재에 각각 상기 프로브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공에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채워 넣어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에 상기 프로브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를 상기 프로브수용공에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의 양단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공에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하면에 상기 제1베이스부재와 제2베이스부재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supporting a prob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probe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in a base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ming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hole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robe;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holes with an insulating resin to form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portions; forming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robe to be ex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portions;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probe receiving hole; and coupling the first base member and the second base membe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block by supporting the support hol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프로브를 지지하는 검사소켓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전성 재질의 제1베이스블록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도전성 재질의 제2베이스블록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에 각각 절연성재질의 수지를 채워넣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의 절연성재질의 수지에 상기 프로브의 일 측 및 타측을 수용하는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에 양단이 상기 제1베이스블록의 일면과 상기 제2베이스블록의 타면에 부분 돌출하도록 상기 프로브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베이스블록의 타면과 상기 제2베이스블록의 일면을 맞대어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supporting a prob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ludes the steps of forming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 first base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ming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direction; filling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with an insulating material, respectively; Forming first and second probe receiving holes for accommod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obe,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robe receiving holes are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block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ase block Inserting the probe so as to partially protrude, and coupl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block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block to each other.
상기 프로브는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신호프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프로브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의 내벽 사이의 일부구간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상기 신호프로브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The probe includes a signal probe for applying an inspection signal, and the forming of the first and second probe accommodating holes includes an air layer in a portion betwee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gnal probe and an inner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The first and second probe accommodating holes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ignal probe so as to form this.
상기 프로브는 파워를 인가하는 파워프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파워프로브의 외주면이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파워프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할 수 있다.The probe includes a power probe for applying power, and the forming of the first and second probe accommodating holes corresponds to an outer diameter of the power probe so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wer prob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portions. The first and second probe accommodating holes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베이스블록의 일면 및 상기 제2베이스블록의 타면에서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 주위에 상기 절연성재질의 수지가 채워지는 소정 깊이의 제1 및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with the resin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block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block.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depression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는 상기 인접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관통공들 주위를 포함하도록 통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epressions may be integrated to include around the adjacent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이 제공된다. 검사소켓은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신호프로브, 파워를 인가하는 파워프로브 및 상기 신호프로브와 상기 파워프로브를 각각 수용하는 신호프로브공과 파워프로브공을 가진 도전성재질의 소켓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프로브의 외주면과 상기 신호프로브공의 내벽 사이의 일부구간에 공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프로브의 외주면과 상기 파워프로브공의 내벽 사이에 절연층을 포함한다.A test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test socket includes a signal probe for applying a test signal, a power probe for applying power, and a socket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signal probe hole and a power probe hole for accommodating the signal probe and the power probe, respectively. An air layer is included in a portion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wall of the signal probe hole, and an insulating layer is includ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wer probe and the inner wall of the power probe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의 제조방법은 베이스부재와 프로브지지부재를 일체로 접합하여 접합블록을 형성한 후에, 신호용 프로브들이 수용되는 프로브수용공과 프로브지지공을 단일 공정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신호용 프로브가 프로브수용공의 중심축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고, 그 결과 삽입손실(Insertion Loss), 반사손실(Return Loss), 크로스토크(Crosstalk)나 격리(Isolation), Z-임피던스(Z-Impedance), 인덕턴스(Inductance) 특성들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orming a bonding block by integrally bonding the base member and the probe support member, the probe receiving hole and the probe support hole in which the signal probes are accommodated are formed in a single process. The probe can be position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probe receiving hole, resulting in insertion loss, return loss, crosstalk or isolation, and Z-impedance. , inductance characteristics may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켓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e는 도 1의 검사소켓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갭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접합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접합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12f는 도 11의 소켓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각각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삽입손실, 반사손실, 격리 및 Z-임피던스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A-A선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소켓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의 B-B선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7의 C-C선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신호프로브와 소켓블록의 신호프로브공 내벽면 사이에어(Air)층과 폴리머층(플라스틱층)이 각각 배치되는 경우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3은 신호프로브와 소켓블록의 신호프로브공 내벽면 사이에어(Air)층과 폴리머(플라스틱)층이 각각 배치되는 경우의 리턴손실(Return Loss)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신호프로브와 소켓블록의 신호프로브공 내벽면 사이에어(Air)층과 폴리머(플라스틱)층이 각각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파워프로브와 소켓블록의 파워프로브공 내벽면 사이에어(Air)층과 폴리머(플라스틱)층이 각각 배치되는 경우의 Z-임피던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A 내지 26D은 도 17의 검사소켓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ocket block of Figure 1;
3A to 3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est socket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gap plate of FIG. 2 .
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irst junction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cond junction b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cket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cket blo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cket bloc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cket bloc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to 12F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cket block of FIG. 11 .
13 to 16 are graphs comparing the insertion loss, return loss, isolation and Z-impedance characteristics of the prior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7 is a view showing an inspection socke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7 .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ocket block of FIG. 18 .
FIG. 20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BB of FIG. 17 .
FIG. 21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17 .
22 is a graph showing insertion loss when an air layer and a polymer layer (plastic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signal prob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gnal probe hole of the socket block.
23 is a graph showing the return loss when an air (air) layer and a polymer (plastic)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signal prob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gnal probe hole of the socket block.
24 is a graph showing impedance when an air (air) layer and a polymer (plastic)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signal prob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ignal probe hole of the socket block.
25 is a graph showing Z-impedance when an air (air) layer and a polymer (plastic)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power probe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ower probe hole of the socket block.
26A to 26D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test socket of FIG. 17 .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1)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도 1을 참조하면, 검사소켓(1)은 소켓블록(2)과 다수의 프로브들, 예를 들면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신호프로브 또는 RF프로브(이하, '신호프로브'로 칭함)(7)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소켓(1)은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소켓블록(2)은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1접합블록(3)은 일체로 형성된 제1베이스부재(31)와 제1프로브지지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베이스부재(31)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황동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베이스부재(31)는 절연성 재질을 도전성 재료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제1프로브지지부재(32)는 제1베이스부재에서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를 각각 수용하는 제1파워프로브공(21-1) 및 제1신호프로브공(23-1)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로브지지부재(32)는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프로브지지부재(32)는 절연성 재질 ,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제2접합블록(4)은 일체로 형성된 제2베이스부재(41)와 제2프로브지지부재(42)를 일체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접합은 접착시트, 인서트 사출금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제2베이스부재(41)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황동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베이스부재(41)는 절연성 재질을 도전성 재료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2베이스부재(41)는 제1베이스부재(31)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2프로브지지부재(42)는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의 타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프로브지지부재(42)는 절연성 재질 ,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제2프로브지지부재(42)는 제2파워프로브공(21-2) 내에 삽입되는 파워프로브공 삽입부(421), 제2신호프로브공(23-2)에 삽입되는 신호프로브공 삽입부(422) 및 제2베이스부재(41)의 표면을 커버하는 커버판(4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파워프로브(5)는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에 비접촉 상태로 수용되고 일단부가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지지될 수 있다. 파워프로브(5)는 배럴(51), 제1플런저(52), 제2플런저(53) 및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런저(52)와 제2플런저(53)는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며, 소켓블록(2)의 상하면에 부분 돌출하여 피검사체의 파워접점과 검사회로의 파워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접지프로브(6)는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에 접촉 상태로 지지되고 양단부가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재(32,42)를 통과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접지프로브(6)는 배럴(61), 제1플런저(62), 제2플런저(63) 및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런저(62)와 제2플런저(63)는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며, 소켓블록(2)의 상하면에 부분 돌출하여 피검사체의 접지접점과 검사회로의 접지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신호프로브(7)는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에 비접촉 상태로 수용되고 일단부가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지지될 수 있다. 신호프로브(7)는 배럴(71), 제1플런저(72), 제2플런저(73) 및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런저(72)와 제2플런저(73)는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며, 소켓블록(2)의 상하면에 부분 돌출하여 피검사체의 신호접점과 검사회로의 신호접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 사이에는 다수 프로브들(5,6,7)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갭플레이트(8)를 포함할 수도 있다. A
갭플레이트(8)에는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신호프로브(7)의 배럴(51,61,71) 외경에 대응하는 파워홀(81), 접지홀(82) 및 신호홀(83)이 형성되어 있다.The
갭플레이트(8)는 절연성의 재질,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갭플레이트(8)는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을 결합할 때 정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The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는 전술한 포고타입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신축 가능한 프로브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할 수 있다. The
도 2는 도 1의 소켓블록(2)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2를 참조하면, 소켓블록(2)은 제1 및 제2접합블록(31,41)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블록(2)은 파워프로브(5)를 비접촉 상태로 수용하는 파워프로브공(21), 접지프로브(6)를 접촉 상태로 수용하는 접지프로브공(22), 신호프로브(7)를 비접촉 상태로 수용하는 신호프로브공(2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제1접합블록(3)은 서로 접합된 제1베이스부재(31)와 제1프로브지지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합블록(4)은 서로 접합된 제2베이스부재(41)와 제2프로브지지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파워프로브공(21)은 제1 및 제2접합블록(31,41)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파워프로브공(21-1,2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파워프로브공(21-1)은 파워프로브(5)의 일부를 비접촉 상태로 수용하도록 제1베이스부재(31)에 형성되는 제1파워프로브 수용공(211), 파워프로브(5)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형성되는 제1파워프로브 지지공(2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probe hole 21-1 is a first power
제2파워프로브공(21-2)은 파워프로브(5)의 나머지 일부를 비접촉 상태로 수용하도록 제2베이스부재(41)에 형성되는 제2파워프로브 수용공(213), 파워프로브(5)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형성되는 제2파워프로브 지지공(2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wer probe hole 21-2 includes a second power
제1 및 제2파워프로브 수용공(211, 213)은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 41)를 파워프로브(5)의 배럴(51)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일정하게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ower
제1파워프로브 지지공(212)은 파워프로브(5)의 배럴(51)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형성되는 제1배럴지지홈(2121)과, 제1배럴지지홈(2121)에 연통하고 제1플런저(52)가 통과하도록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형성되는 제1플런저통과공(21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제2파워프로브 지지공(214)은 파워프로브(5)의 배럴(51)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형성되는 제2배럴지지홈(2141)과, 제2배럴지지홈(2141)에 연통하고 제2플런저(53)가 통과하도록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형성되는 제2플런저통과공(21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wer
접지프로브공(22)은 제1 및 제2접합블록(31,41)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접지프로브공(22-1,2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1접지프로브공(22-1)은 접지프로브(6)의 일부를 접촉 상태로 수용하도록 제1베이스부재(31)에 형성되는 제1접지프로브 수용공(2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round probe hole 22-1 may include a first ground
제2접지프로브공(22-2)은 접지프로브(6)의 나머지 일부를 접촉 상태로 수용하도록 제2베이스부재(41)에 형성되는 제2접지프로브 수용공(223), 및 접지프로브(6)의 제2플런저(63)가 통과하도록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형성되는 접지프로브 통과공(2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round probe hole 22-2 includes a second ground
제1 및 제2접지프로브 수용공(221,223)은 접지프로브(6)의 배럴(6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일정하게 연장하도록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배럴수용공(2211,2231), 접지프로브(6)의 배럴(61)의 양단부를 수용하도록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배럴단부수용홈(2212,22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round
제2접지프로브 통과공(224)은 제2플런저수용공(2233)에 연통하고, 접지프로브(6)의 제2플런저(62,63)가 통과하도록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round
신호프로브공(23)은 제1 및 제2접합블록(31,41)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신호프로브공(23-1,2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신호프로브공(23-1)은 신호프로브(7)의 일부를 비접촉 상태로 수용하도록 제1베이스부재(31)에 형성되는 제1신호프로브 수용공(231), 신호프로브(7)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형성되는 제1신호프로브 지지공(2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probe hole 23-1 includes a first signal
제2신호프로브공(23-2)은 신호프로브(7)의 나머지 일부를 비접촉 상태로 수용하도록 제2베이스부재(41)에 형성되는 제2신호프로브 수용공(233), 신호프로브(7)의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형성되는 제2신호프로브 지지공(2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probe hole 23-2 includes a second signal
제1 및 제2신호프로브 수용공(231, 233)은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 41)를 신호프로브(7)의 배럴(71)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일정하게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ignal
제1신호프로브 지지공(232)은 신호프로브(7)의 배럴(71)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형성되는 제1배럴지지홈(2321)과, 제1배럴지지홈(2321)에 연통하고 제1플런저(72)가 통과하도록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형성되는 제1플런저통과공(23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제2신호프로브 지지공(234)은 신호프로브(7)의 배럴(71)의 타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형성되는 제2배럴지지홈(2341)과, 제2배럴지지홈(2341)에 연통하고 제2플런저(73)가 통과하도록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형성되는 제2플런저통과공(23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도 3a 내지 3e는 도 1의 검사소켓(1)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A to 3E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베이스부재(31)는 상면과 하면 사이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1파워프로브공(21-1), 제1접지프로브공(22-1) 및 제1신호프로브공(23-1)을 예를 들면 드릴(100)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베이스부재(41)는 상면과 하면 사이를 나란하게 연장하는 제2파워프로브공(21-2), 제1접지프로브공(22-2) 및 제1신호프로브공(23-2)을 예를 들면 드릴(100)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황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A, the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금형에 의해, 제1베이스부재(31)의 제1파워프로브공(21-1) 및 제1신호프로브공(23-1)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제1프로브지지부재(32)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금형에 의해, 제2베이스부재(41)의 제2파워프로브공(21-2) 및 제2신호프로브공(23-2)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제2프로브지지부재(4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재(32,42)는 절연성의 재질,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질 수 있다.3B,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power probe hole 21-1 and the first signal probe hole 23-1 of the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각각 파워프로브(5)와 신호프로브(7)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되는 제 1파워프로브 지지공(212) 및 제1신호프로브 지지공(232)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파워프로브(5)와 신호프로브(7)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되는 제 2파워프로브 지지공(214) 및 제2신호프로브 지지공(234)을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C , the first power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파워프로브공(21-1,21-2), 제1 및 제2접지프로브공(22-1,22-2), 및 제1 및 제2신호프로브공(23-1,23-2)에 각각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를 삽입한 후에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을 예를 들면, 볼트 또는 나사(미도시)로 결합할 수 있다.3D, the first and second power probe holes 21-1 and 21-2, the first and second ground probe holes 22-1 and 22-2, and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fter insert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접합블록(3,4)에서 제1 및 제2신호프로브 수용공(231,233)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신호프로브 지지공(232,234)을 한번의 공정으로 드릴링하기 때문에, 검사소켓(1)에 많은 수의 신호프로브공(23)을 형성하더라도 정렬에 따른 오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호프로브(7)는 신호프로브공(23)의 중심축에 맞게 지지될 수 있고, 그 결과 삽입손실(Insertion Loss), 반사손실(Return Loss), 크로스토크(Crosstalk)나 격리(Isolation), Z-임피던스(Z-Impedance), 인덕턴스(Inductance) 특성들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using 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be receiving holes 231,233 in the first and second junction blocks 3 and 4, 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be support holes 232 and 234 are formed in one process. Because of drilling, even if a large number of signal probe holes 23 are formed in the
도 4는 도 2의 갭플레이트(8)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 갭플레이트(8)에는 파워프로브(5)의 배럴(51), 접지프로브(6)의 배럴(61) 및 신호프로브(7)의 배럴(71)의 각 외경에 대응하는 파워홀(81), 접지홀(82) 및 신호홀(83)이 예를 들면, 드릴(1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갭플레이트(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이하, 제1 및 제2접합블록(3)을 제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blocks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접합블록(3)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A to 5C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황동으로 이루어진 제1베이스부재(31)에 제1파워프로브공(21-1), 제1접지프로브공(22-1) 및 제1신호프로브공(23-1)을 드릴링하여 형성한다.As shown in FIG. 5A , for example, a first power probe hole 21-1, a first ground probe hole 22-1, and a first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1베이스부재(31)의 하면으로부터 제1파워프로브공(21-1), 제1접지프로브공(22-1) 및 제1신호프로브공(23-1)을 금형부재(34)로 채운다. 이때, 제1베이스부재(31)의 제1파워프로브공(21-1) 및 제1신호프로브공(23-1)는 제1프로브지지부재(32)가 채워지는 소정 깊이를 비워 놓고, 제1접지프로브공(22-1)는 전체를 금형부재(34)로 막는다. 이후, 예를 들면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금형부재(34)로 채워지지 않은 빈 부분에 채워 넣고 예를 들면 430℃, 3.5초 동안, 160kf/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1베이스부재(31)에 제1프로브지지부재(32)를 접합한다.5B, for exampl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제 1파워프로브 지지공(212) 및 제1신호프로브 지지공(232)을 드릴링 한다.As shown in FIG. 5C , a first power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접합블록(4)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C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황동으로 이루어진 제2베이스부재(41)에 제2파워프로브공(21-2), 제2접지프로브공(22-2) 및 제2신호프로브공(23-2)을 드릴링하여 형성한다.As shown in FIG. 6A , for example, a second power probe hole 21-2, a second ground probe hole 22-2, and a second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2베이스부재(41)의 상면으로부터 제2파워프로브공(21-2), 제2접지프로브공(22-2) 및 제2신호프로브공(23-2)을 채우는 금형부재(34)로 채운다. 이때, 제2베이스부재(41)의 제2파워프로브공(21-2) 및 제2신호프로브공(23-2)는 제2프로브지지부재(42)가 채워지는 부분을 소정 깊이로 비워 놓고, 제2접지프로브공(22-2)는 전체를 금형부재(34)로 막는다. 또한, 제2베이스부재(41)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금형커버(35)를 씌운다. 이후, 예를 들면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금형부재(34)로 채워지지 않은 빈 부분 및 금형커버(35) 내의 공간에 채워 넣고, 예를 들면 430℃, 3.5초 동안, 160kf/cm2의 압력을 가하여, 제1베이스부재(31)에 제2프로브지지부재(42)를 접합한다.6B, for exampl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제2파워프로브 지지공(214), 접지프로브 통과공(224) 및 제2신호프로브 지지공(234)을 드릴링 한다.As shown in FIG. 6C , a second power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1)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A to 7D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베이스부재(31)의 상면에서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가 위치하는 부분에 소정 깊이로 제1프로브지지부홈(317)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베이스부재(41)의 하면에서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가 위치하는 부분에 소정 깊이로 제2프로브지지부홈(318)을 예를 들면 드릴(100)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홈(317,318)은 입구를 향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7A , a first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프로브지지홈(317,318)에 절연성 재질,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의해 채워넣어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재(32,42)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7B , the first and second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와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재(32,42)에 각각 제1 및 제2파워프로브공(21-1,21-2), 제1 및 제2접지프로브공(22-1,22-2) 및 제1 및 제2신호프로브공(23-1,23-2)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7C , the first and second power probe holes 21 - 1 and 2 - respectively in the first and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를 각각 파워프로브공(21), 접지프로브공(22) 및 신호프로브공(23)에 삽입한 후에, 제1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을 결합하여 검사소켓(1)을 완성할 수 있다.7D, after inserting 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2)을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8을 참조하면, 소켓블록(2)은 서로 결합된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제1접합블록(3)은 도전성 재질의 제1베이스부재(31)와 절연성 재질의 제1프로브지지부재(32)를 일체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프로브지지부재(32)는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금형에 의해, 제1베이스부재(31)의 일면에서 제1파워프로브공(21-1)과 제1신호프로브공(23-1) 내부에 소정 깊이로 접합될 수 있다.The
제1프로브지지부재(32)는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The first
제2접합블록(4)은 도전성 재질의 제2베이스부재(41)와 절연성 재질의 제2프로브지지부재(42)를 일체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프로브지지부재(42)는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금형에 의해, 제2베이스부재(41)의 일면에서 제2파워프로브공(21-2)과 제2신호프로브공(23-2) 내부에 소정 깊이로 접합될 수 있다.The
제2프로브지지부재(42)는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 사이에는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갭플레이트(8)를 포함할 수도 있다. A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2)을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9를 참조하면, 소켓블록(2)은 서로 결합된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제1접합블록(3)은 제1베이스부재(31)와 제1프로브지지부재(32)를 일체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접합은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금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제2접합블록(4)은 제2베이스부재(41)와 제2프로브지지부재(42)를 일체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접합은 접착시트, 인서트 사출금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는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를 비접촉 상태로 수용하고, 접지프로브(6)를 접촉 상태로 수용할 수 있다. The first and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황동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베이스부재(41)는 제1베이스부재(31)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and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재(32,42)는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의 양단부가 소켓블록(2)의 상하면에 노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재(32,42)는 절연성 재질 ,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재(32,42)는 파워프로브공(21)의 양측 단부 내에 삽입되는 파워프로브공 삽입부(321,421), 파워프로브공 삽입부(321,42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는 제1 및 제2접합부(322,422) 및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의 표면을 커버하는 제1 및 제2커버판(323,4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접합부(322,422)는 제1 및 제2커버판(323,423)를 향해 단면적이 점차 작아짐으로써, 제1 및 제2커버판(323,423)가 제1 및 제2베이스부재(31,41)에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제1접합블록(3)과 제2접합블록(4) 사이에는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갭플레이트(8)를 포함할 수도 있다.A
도 10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2)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10을 참조하면, 소켓블록(2)은 접합블록(3)과 커버부재(9)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접합블록(3)은 예를 들면 황동과 같은 도전성 재질의 베이스부재(31)와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재질의 프로브지지부재(32)를 일체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로브지지부재(32)는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금형에 의해, 베이스부재(31)의 일면에서 파워프로브공(21)과 신호프로브공(23) 내부에 소정 깊이로 접합될 수 있다.The
프로브지지부재(32)는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커버부재(9)는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부재(31)의 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9)는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커버부재(9)는 파워프로브(5) 및 신호프로브(7)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접합블록(3)과 커버부재(4) 사이에는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갭플레이트(8)를 포함할 수도 있다.A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소켓블록(2)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11을 참조하면, 소켓블록(2)은 베이스블록(2-1), 제1접합블록(2-2), 및 제2접합블록(2-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베이스블록(2-1)은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황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블록(2-1)은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를 각각 수용하는 파워프로브 수용공(211), 접지프로브 수용공(221) 및 신호프로브 수용공(231)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block 2-1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brass. The base block 2-1 has a power
제1접합블록(2-1)은 일체로 접합된 제1베이스부재(31)와 제1프로브지지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접합블록(2-1)은 파워프로브(5)와 신호프로브(7)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bonding block 2-1 may include a
제1베이스부재(31)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황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베이스부재(31)는 제1프로브지지부재(32)가 일체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제1프로브지지부공(311)과 접지프로브(6)의 제1플런저(62)가 통과하는 제1플런저통과공(3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1프로브지지부재(32)는 절연성 재질,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프로브지지부재(32)는 제1파워프로브 지지공(212)과 제1신호프로브 지지공(23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제2접합블록(2-3)은 일체로 접합된 제2베이스부재(41)와 제2프로브지지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합블록(2-2)은 파워프로브(5)와 신호프로브(7)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bonding block 2-3 may include a
제2베이스부재(41)는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황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베이스부재(41)는 제2프로브지지부재(42)가 일체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제2프로브지지부공(313)과 접지프로브(6)의 제2플런저(63)가 통과하는 제2플런저통과공(314)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제2프로브지지부재(42)는 절연성 재질, 예를 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프로브지지부재(42)는 제2파워프로브 지지공(213)과 제2신호프로브 지지공(23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도 12a 내지 12f는 도 11의 소켓블록(2)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2A to 12F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재질의 베이스블록(2-1) 상하면을 관통하는 파워프로브 수용공(211), 접지프로브 수용공(221) 및 신호프로브 수용공(231)을 드릴링한다.As shown in FIG. 12A , a power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재질의 제1베이스부재(31)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1프로브지지부공(311)과 제1플런저통과공(312)을 드릴링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재질의 제2베이스부재(41)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2프로브지지부공(313)과 제2플런저통과공(314)을 드릴링한다.As shown in FIG. 12B , a first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로브지지부공(311) 내에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금형에 의해 삽입하여 제프로브지지부재(32)를 형성한한다. 마찬가지로, 제2프로브지지부공(313) 내에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금형에 의해 삽입하여 제2프로브지지부재(42)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2C , the second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로브지지부재(32)에 제1파워프로브 지지공(212)과 제1신호프로브 지지공(232)을 드릴링한다. 이때, 제1파워프로브 지지공(212)과 제1신호프로브 지지공(232)의 형성은 예를 들면 볼트(111)에 의해 베이스블록(2-1)과 제1베이스부재(31)를 견고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파워프로브 수용공(211), 접지프로브 수용공(221) 및 신호프로브 수용공(231)를 통하여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2D , a first power
도 1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프로브지지부재(42)에 제2파워프로브 지지공(213)과 제2신호프로브 지지공(233)을 드릴링한다. 이때, 제2파워프로브 지지공(213)과 제2신호프로브 지지공(233)의 형성은 예를 들면 볼트(111)에 의해 베이스블록(2-1)과 제2베이스부재(41)를 견고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파워프로브 수용공(211), 접지프로브 수용공(221) 및 신호프로브 수용공(231)를 통하여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2E , a second power
도 1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워프로브 수용공(211), 접지프로브 수용공(221) 및 신호프로브 수용공(231)에 파워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신호프로브(7)를 삽입한 후에 베이스블록(2-1)의 상하면에 제1접합블록(2-2)과 제2접합블록92-3)을 볼트(111)를 이용하여 결합한다.12F, the
도 13 내지 도 1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검사소켓(1)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 특성, 반사손실(Return Loss) 특성, 격리(Isolation) 특성, Z-임피던스(Z-Impedance)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13 to 16 show an insertion loss characteristic, a return loss characteristic, an isolation characteristic, and a Z-impedance characteristic of the
삽입손실은 이상적으로 제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허용 삽입손실(-1.0dB)를 기준으로 볼 때, 종래기술은 약 22.0GHz에서 기준을 넘어가는 반면에, 본 발명은 약 45.2GHz로 매우 우수한 삽입손실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The insertion loss is ideally zero. Referring to FIG. 13 , it can be seen that, based on the allowable insertion loss (-1.0 dB), the prior art exceeds the standard at about 22.0 GHz, while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very good insertion loss characteristic at about 45.2 GHz. can
반사손실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허용 반사손실(-10dB)을 기준으로, 종래기술은 약 17.1GHz에서 기준을 넘어가는 반면에, 본 발명은 약 46.5GHz로 매우 우수한 반사손실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It is desirable that the return loss be as small as possible. Referring to FIG. 14 , based on the allowable return loss (-10 dB), it can be seen that the prior art exceeds the standard at about 17.1 GHz, while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very good return loss characteristic at about 46.5 GHz.
격리특성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를 참조하면, 허용 격리특성(-40dB)을 기준으로, 종래기술은 약 24.4GHz에서 허용 격리특성(-40dB)를 기준을 넘어가는 반면에, 본 발명은 약 27.0GHz로 다소 우수하고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다.It is desirable that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be as small as possible. Referring to FIG. 15 , based on the allowable isolation characteristic (-40 dB), the prior art exceeds the standard for the allowable isolation characteristic (-40 dB) at about 24.4 GHz, 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somewhat superior and changes to about 27.0 GHz.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little
Z-임피던스(Z-Impedance)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를 참조하면, 허용 Z-임피던스(1GHz)을 기준으로, 종래기술은 약 0.9Ω을 나타내는 반면에, 본 발명은 약 0.9Ω으로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It is desirable that the Z-impedance be as small as possible. Referring to FIG. 16 , based on the allowable Z-impedance (1 GHz), it can be seen that the prior art shows about 0.9 Ω, 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superior with about 0.9 Ω.
도 1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검사소켓(1)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A-A선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소켓블록(2)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도 17의 B-B선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도 17의 C-C선따라 절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도 17을 참조하면, 검사소켓(1)은 도전성재질의 소켓블록(2)과 소켓블록(2)에 지지된 신호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파워프로브(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소켓블록(2)은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을 포함할 수 있다.18 and 19 , the
소켓블록(2)은 파워프로브공(21), 접지프로브공(22) 및 신호프로브공(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파워프로브공(21)은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파워프로브공(21-1,2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접지프로브공(22)은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접지프로브공(22-1,2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신호프로브공(23)은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신호프로브공(23-1,2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소켓블록(2)은 상하면에 파워프로브(도 18의 7)가 돌출하는 주위에 제1 및 제2함몰부(211-1,211-2), 그리고 신호프로브(5)가 돌출하는 제3 및 제4함몰부(231-1,2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및 제2함몰부(211-1,211-2)는 수평방향 단면적이 제1 및 제2파워프로브공(21-1,21-2)의 수평반향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함몰부(211-1)와 제1파워프로브공(21-1) 사이에는 제1걸림턱(212-1)이 형성되어 제1파워프로브지지부(31-2)가 제1베이스블록(31)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함몰부(211-2)와 제2파워프로브공(21-2) 사이에는 제2걸림턱(212-2)이 형성되어 제2파워프로브지지부(41-2)가 제2베이스블록(41)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211-1 and 211-2 may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probe holes 21-1 and 21-2. As a result, a first locking jaw 212-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cessed part 211-1 and the first power probe hole 21-1, so that the first power probe support part 31-2 is connected to the first It may be supported so as not to be drawn out from the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함몰부(231-1,231-2)는 수평방향 단면적이 제1 및 제2신호프로브공(23-1,23-2)의 수평반향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3함몰부(231-1)와 제1신호프로브공(23-1) 사이에는 제3걸림턱(232-1)이 형성되어 제1신호프로브지지부(31-1)가 제1베이스블록(31)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4함몰부(231-2)와 제2신호프로브공(23-2) 사이에는 제4걸림턱(232-2)이 형성되어 제2신호프로브지지부(41-1)가 제2베이스블록(41)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Similarly, the third and fourth recessed portions 231-1,231-2 may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be holes 23-1 and 23-2. As a result, a third locking protrusion 232-1 is formed between the third recessed part 231-1 and the first signal probe hole 23-1, so that the first signal probe support part 31-1 is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probe hole 23-1. It may be supported so as not to be drawn out from the
소켓블록(2)은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에 형성된 제1 및 제2신호프로브지지부(31-1,41-1) 및 제1 및 제2파워프로브지지부(31-2,4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파워프로브지지부(31-2)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게 배열된 2 이상의 파워프로브(7) 주위를 하나로 통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이, 절연성의 파워프로브지지부(31-2)는 검사 시에 피검사체에 마련된 단자가 도전성 소켓블록(2)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파워프로브지지부(41-2), 제1 및 제2신호프로브지지부(31-1,41-1)는 인접하는 2 이상의 파워프로브(7) 또는 신호프로브로들(5) 주위를 하나로 통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7 , the first power probe support part 31-2 may be formed to be integrated around two or
제1 및 제2신호프로브지지부(31-1,41-1)는 도 18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신호프로브공(23-1,23-2) 내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는 에어(Air)층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be support parts 31-1 and 41-1 are first and second formed on the
제1 및 제2파워프로브지지부(31-2,41-2)는 도 18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파워프로브공(21-1,21-2)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워프로브(7)와 소켓블록(2)의 파워프로브공(21) 내벽면 사이에는 폴리머(플라스틱)층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ower probe support parts 31-2 and 41-2 are first and second formed on the
도 22는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어(Air)층과 폴리머층(플라스틱층)이 각각 배치되는 경우의 삽입손실(Insertion Loss)을 나타낸 그래프이다.22 is an insertion loss when an air layer and a polymer layer (plastic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도 22를 참조하면,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 에어층이 배치될 때의 삽입손실은 20GHz에서 -0.09(dB)이고, 폴리머층이 배치될 때의 삽입손실은 20GHz에서 -0.91(dB)이다. 삽입손실은 0(dB)에 가깝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는 에어층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22, the insertion loss when the air layer is disposed between the
도 23은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어(Air)층과 폴리머(플라스틱)층이 각각 배치되는 경우의 리턴손실(Return Loss)을 나타낸 그래프이다.23 is a graph showing a return loss when an air layer and a polymer (plastic)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도 23을 참조하면,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 에어층이 배치될 때의 리턴손실은 20GHz에서 -20(dB)이고, 폴리층이 배치될 때의 삽입손실은 20GHz에서 -7.5(dB)이다. 리턴손실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므로,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 에어층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23, between the
도 24는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어(Air)층과 폴리머(플라스틱)층이 각각 배치되는 경우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24 is a graph showing impedance when an air layer and a polymer (plastic)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도 24를 참조하면,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 에어층이 배치될 때의 200ps 동안의 최소 임피던스는 48.3Ω이고, 폴리층이 배치될 때의 200ps 동안의 최소 임피던스는 40.1Ω이다. 임피던스는 50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 에어층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24, between the
이상과 같이, 신호프로브(5)와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벽면 사이에는 에어층이 마련되는 것이 폴리머층을 배치하는 것보다 삽입손실, 리턴손실 및 임피던스 측면에서 우수하다. As described above, providing an air layer between the
따라서, 검사소켓의 제조 시에, 소켓블록(2)의 신호프로브공(23) 내에 채워진 폴리머 수지를 신호프로브(5)의 양단을 지지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nspection socket is manufactured, the polymer resin filled in the
도 25는 파워프로브(7)와 소켓블록(2)의 파워프로브공(21) 내벽면 사이에어(Air)층과 폴리머(플라스틱)층이 각각 배치되는 경우의 Z-임피던스를 나타낸 그래프이다.25 is a graph showing Z-impedance when an air layer and a polymer (plastic) layer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도 25를 참조하면, 파워프로브(7)와 소켓블록(2)의 파워프로브공(21) 내벽면 사이에, 에어층이 배치될 때의 Z-임피던스는 1[GHz)에서 0.71Ω이고, 폴리층이 배치될 때의 Z-임피던스는 1[GHz)에서 0.64Ω이다. Z-임피던스는 작을수록 바람직하므로, 파워프로브(7)와 소켓블록(2)의 파워프로브공(21) 내벽면 사이에 폴리머층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Referring to FIG. 25 , between the
따라서, 검사소켓의 제조 시에, 소켓블록(2)의 파워프로브공(21) 내에 채워진 폴리머 수지는 파워프로브(7)의 외면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제거하여 파우프로브(7)가 폴리머층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manufacturing the inspection socket, the polymer resin filled in the
도 26A 내지 26D은 도 17의 검사소켓(1)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6A to 26D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도 26A에서, 예를 들면 황동과 같은 도전성 재질의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을 마련할 수 있다.26A, for example, the
도 26B에서, 제1베이스블록(31)과 제2베이스블록(41)에 각각 접지프로브(6)의 외면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접지프로브공(22-1,22-2), 파워프로브(7)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제1 및 제2관통공(210-1,210-2), 및 신호프로브(5)의 외경보다 큰 내경의 제3 및 제4관통공(230-1,230-2)을 가공, 예를 들면 드릴링할 수 있다.26B, the first and second ground probe holes 22-1 and 22-2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제1 내지 제4관통공(211-1,210-2,230-1,230-2)은 각각 제1 내지 제4관통공(210-1,210-2,230-1,230-2)의 수평방향 단면적보다 큰 제1 내지 제4함몰부(211-1, 211-2, 231-1,2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관통공(211-1,210-2,230-1,230-2)은 각각 제1관통공(210-1)과 제1함몰부(211-1) 사이, 제2관통공(210-2)과 제2함몰부(211-2) 사이, 제3관통공(230-1)과 제3함몰부(231-1) 사이 및 제4관통공(230-2)과 제4함몰부(231-2) 사이에 제1 내지 제4관통공(210-1,210-2,230-1,230-2)의 수평방향 단면적보다 작은 내경의 제1 내지 제4플런저공(212-1,212-2, 232-1, 23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through-holes 211-1, 210-2, 230-1,230-2 are each larger than the first to fourth recessed area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irst to fourth through-holes 210-1, 210-2, 230-1 and 230-2, respectively. It may include parts 211-1, 211-2, and 231-1,231-2. In addition, the first to fourth through-holes 211-1, 210-2, 230-1, and 230-2 are between the first through-hole 210-1 and the first recessed portion 211-1, respectively, and the second through-hole 210- 2) and between the second recessed part 211-2, between the third through hole 230-1 and the third recessed part 231-1, and between the fourth through hole 230-2 and the fourth recessed part ( 231-2) between the first to fourth plunger holes (212-1, 212-2, 232-1, 232-2) may be included.
도 26C에서, 도 26B의 제1 내지 제4관통공(210-1,210-2,230-1,230-2) 내에 폴리머 수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가 가 채워지도록 인서트 사출하거나 또는 액상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In FIG. 26C, insert injection or injection of a liquid resin so that a polymer resin, for example, an epoxy resin, is filled in the first to fourth through holes 210-1,210-2,230-1,230-2 of FIG. 26B can be cured have.
도 26D에서, 제1 및 제2관통공(210-1,210-2) 내에 폴리머 수지는 파워프로브(7)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 예를 들면 드릴링될 수 있다.In FIG. 26D , the polymer resin in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10 - 1 and 210 - 2 may be processed, for example, drill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또한, 제3 및 제4관통공(230-1,230-2) 내에 폴리머 수지는 신호프로브(5)의 외주면(배럴(51)의 외주면)과 제3 및 제4관통공(230-1,230-2) 내면 사이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mer resin in the third and fourth through-holes 230-1 and 230-2 includ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gnal probe 5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rrel 51) and the third and fourth through-holes 230-1 and 230-2. You can remove everything in between.
마지막으로, 신호프로브(5), 접지프로브(6) 및 파워프로브(7)를 제1 및 제2베이스블록(31,41)의 제1 및 제2신호프로브공(23-1,23-2), 제1 및 제2접지프로브공(22-1,22-2), 제1 및 제2파워프로브공(21-1,21-2)에 삽입한 후에 제1 및 제2베이스블록(31,41)을 결합함으로써, 검사소켓(1)을 제조할 수 있다.Finally, th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6C의 공정을 생략하고 26D에 나타낸 형상으로 직접 인서트 사출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FIG. 26C may be omitted and insert injection may be performed directly in the shape shown in 26D.
앞서 설명한 명세서에서, 본 발명 및 그 장점들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아래의 청구항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이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에 따라, 명세서와 도면은 한정 보다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모든 이러한 가능한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the invention and its advantage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ccordingly,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rather than limiting. All such possible modifications should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검사소켓
2: 소켓블록
21, 21-1,21-2: 파워프로브공
212,213: 파워프로브지지공
22, 22-1,22-2: 접지프로브공
222,224: 접지프로브 통과공
23, 23-1,23-2: 신호프로브공
232,234: 신호프로브 지지공
3: 제1접합블록
31: 베이스부재
312: 커버
313, 314, 315: 접합홈
316: 접합공
32: 제1절연부재
33: 접착시트
34: 금형부재
35: 금형커버
4: 제2접합블록
41: 제2베이스블록
42: 제2절연부재
5: 파워프로브
6: 접지프로브
7: 신호프로브
8: 갭플레이트
9: 커버부재
100: 드릴1: Inspection socket
2: socket block
21, 21-1, 21-2: Power probe ball
212,213: power probe support hole
22, 22-1, 22-2: ground probe hole
222,224: ground probe through hole
23, 23-1, 23-2: signal probe hole
232,234: signal probe support hole
3: first junction block
31: base member
312: cover
313, 314, 315: joint groove
316: jointer
32: first insulating member
33: adhesive sheet
34: mold member
35: mold cover
4: second junction block
41: second base block
42: second insulating member
5: Power probe
6: Ground probe
7: Signal probe
8: gap plate
9: Cover member
100: drill
Claims (17)
도전성 재질의 베이스부재에 상기 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프로브공에 소정 깊이로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채워 프로브지지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공 내의 프로브지지부재에 상기 프로브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제1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supporting a prob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probe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on a base member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ming a probe support member by filling the probe hole with a resin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and forming a first support hole for supporting one end of the probe to be exposed on the probe support member in the probe hole.
상기 수지를 채우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금형커버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이격된 간격 및 상기 프로브공에 수지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filling the resin,
disposing a mold cover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d filling the spaced apart intervals and the probe holes with resin.
상기 수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프로브공에 소정 깊이로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in which the resin is partially filled in the probe hole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수지가 채워지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including a through hole in which the base member penetrates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the resin is filled.
절연성 재질의 커버부재에 상기 프로브의 타단부가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공에 상기 프로브를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의 양단부를 상기 제1 및 제2지지공에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forming a second support hole in the cover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probe to be exposed;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probe hole and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robe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upling the cover membe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갭플레이트를 개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terposing a gap plate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cover member.
상기 프로브공은 상기 프로브지지부가 형성되는 위치에 중심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probe hol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including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t a position where the probe support portion is formed.
절연성 재질의 베이스부재 일면에 상기 프로브가 배치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지지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공에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을 채워 프로브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부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프로브지지부에 상기 프로브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supporting a prob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support hole to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where the probe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 probe support portion by filling the support hole with an insulating resin; and
and forming a probe accommodat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in the bas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hole, and forming a first support hole in which one end of the probe is supported in the probe support part. Way.
절연성 재질의 커버부재에 상기 프로브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수용공에 상기 프로브를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상기 제1 및 제2지지공에 각각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면에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forming a second support hole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probe in a cover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probe receiving hole and suppor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obe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respectively;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upling the cover mem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절연성 재질의 제2베이스부재 일면에 상기 프로브가 배치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로 제2지지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지지부공에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채워 제2프로브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지지부공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베이스부재에 상기 프로브를 수용하는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2프로브지지부에 상기 프로브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브수용공과 상기 제2프로브수용공에 상기 프로브를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상기 지지공 및 제2지지공에 각각 지지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면에 상기 제2베이스부재의 타면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forming a second support hole to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where the probe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second base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 second probe support part by filling the hole of the second support part with a resin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second probe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is formed in the second bas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upport hole, and a second support hole through which the other end of the probe is supported is formed in the second probe supporting portion. to do;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probe receiving hole and the second probe receiving hole and suppor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obe in the supporting hole and the second supporting hole, respectively; and
and coupl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member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도전성 재질의 베이스블록에 상기 프로브를 수용하는 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단계;
도전성재질의 제1베이스부재와 제2베이스부재에 각각 상기 프로브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공에 절연성 재질의 수지를 채워 넣어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에 상기 프로브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브를 상기 프로브수용공에 삽입하고 상기 프로브의 양단을 상기 제1 및 제2지지공에 지지하여,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하면에 상기 제1베이스부재와 제2베이스부재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supporting a prob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probe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probe in a base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ming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hole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robe, respectively, on the first and second base member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ming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parts by filling the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parts with an insulating material;
forming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robe to be ex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 portions; and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probe receiving hole and supporting both ends of the probe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holes, respectively, coupling the first base member and the second base member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block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도전성 재질의 제1베이스블록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도전성 재질의 제2베이스블록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에 각각 절연성재질의 수지를 채워넣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의 절연성재질의 수지에 상기 프로브의 일 측 및 타측을 수용하는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에 양단이 상기 제1베이스블록의 일면과 상기 제2베이스블록의 타면에 부분 돌출하도록 상기 프로브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베이스블록의 타면과 상기 제2베이스블록의 일면을 맞대어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or supporting a probe that is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base block of a conductive material in a thickness direction;
forming at least one second through-hole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base block in a thickness direction in a conductive material;
filling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with an insulating material resin;
forming first and second probe receiving holes for accommoda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robe in the resin of an insulating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inserting the probe into the first and second probe receiving holes so that both ends partiall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block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block; and
and coupling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base block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base block to each other.
상기 프로브는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신호프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프로브의 외주면과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의 내벽 사이의 일부구간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상기 신호프로브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be includes a signal probe for applying a test signal,
The forming of the first and second probe receiving holes includes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probe receiving holes so that an air layer is formed in a portion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gnal probe an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pection socket tha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ignal probe.
상기 프로브는 파워를 인가하는 파워프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파워프로브의 외주면이 제1 및 제2프로브지지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파워프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상기 제1 및 제2프로브수용공을 형성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be includes a power probe for applying power,
The forming of the first and second probe accommodating holes includes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probe accommodating holes with sizes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s of the power probes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ower probes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probe support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rming inspection socket.
상기 제1베이스블록의 일면 및 상기 제2베이스블록의 타면에서 상기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관통공 주위에 상기 절연성재질의 수지가 채워지는 소정 깊이의 제1 및 제2함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Forming first and second depression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which the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with the resin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block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base block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제1 및 제2함몰부는 상기 인접하는 복수의 제1 및 제2관통공들 주위를 포함하도록 통합되는 검사소켓의 제조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cessed portions are integrated to include around the adjacent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검사신호를 인가하는 신호프로브;
파워를 인가하는 파워프로브; 및
상기 신호프로브와 상기 파워프로브를 각각 수용하는 신호프로브공과 파워프로브공을 가진 도전성재질의 소켓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프로브의 외주면과 상기 신호프로브공의 내벽 사이의 일부구간에 공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프로브의 외주면과 상기 파워프로브공의 내벽 사이에 절연층을 포함하는 검사소켓.In the inspection socket,
a signal probe for applying a test signal;
a power probe for applying power; and
and a socket block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signal probe hole and a power probe hole for accommodating the signal probe and the power probe, respectively,
An air layer is included in a portion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gnal probe and the inner wall of the signal probe hole,
and an insulating layer betwee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wer probe and an inner wall of the power probe hole.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10113673A TWI799834B (en) | 2020-05-22 | 2021-04-16 | Test socke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JP2022519731A JP7430253B2 (en) | 2020-05-22 | 2021-05-18 | Inspection sock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US17/777,221 US20220413008A1 (en) | 2020-05-22 | 2021-05-18 | Test socke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PCT/KR2021/006239 WO2021235844A1 (en) | 2020-05-22 | 2021-05-18 | Test socke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US18/619,080 US20240248118A1 (en) | 2020-05-22 | 2024-03-27 | Test socke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1463 | 2020-05-22 | ||
KR20200061463 | 2020-05-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4555A true KR20210144555A (en) | 2021-11-30 |
KR102570428B1 KR102570428B1 (en) | 2023-08-25 |
Family
ID=7872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3607A Active KR102570428B1 (en) | 2020-05-22 | 2021-01-29 | Test socket and metho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042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6673A (en) * | 2022-07-29 | 2024-02-06 |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 Test socket |
KR20240099579A (en) * | 2022-12-22 | 2024-07-01 | 리노공업주식회사 | Test socket |
WO2024167260A1 (en) * | 2023-02-10 | 2024-08-15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Testing connector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2441A (en) * | 2002-04-10 | 2003-10-24 | Suncall Corp | Id socket for test |
KR20040093023A (en) * | 2003-04-25 | 2004-11-04 |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 Inspection coaxial probe and inspection unit incorporating the same |
KR20060005285A (en) * | 2004-07-12 | 2006-0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rights object |
JP2007178165A (en) * | 2005-12-27 | 2007-07-12 | Yokowo Co Ltd | Inspection unit |
JP2010237133A (en) * | 2009-03-31 | 2010-10-21 | Yokowo Co Ltd | Inspection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KR101534778B1 (en) * | 2014-01-24 | 2015-07-09 | 리노공업주식회사 | A test device |
US20150233973A1 (en) * | 2013-12-17 | 2015-08-20 | Tim WOOD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Body of an Impedance-Matched Test Socket |
KR20170090854A (en) * | 2016-01-29 | 2017-08-08 | 퀄맥스시험기술 주식회사 | test socket using air gap |
US20190018045A1 (en) * | 2016-03-23 | 2019-01-17 | Leeno Industrial Inc. | Test socket assembly |
KR20190051764A (en) * | 2017-11-07 | 2019-05-15 | 리노공업주식회사 | A test probe assembly and test socket |
US20190206750A1 (en) * | 2018-01-04 | 2019-07-04 | Winway Technology Co., Ltd. | Testing method for testing wafer level chip scale packages |
-
2021
- 2021-01-29 KR KR1020210013607A patent/KR1025704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2441A (en) * | 2002-04-10 | 2003-10-24 | Suncall Corp | Id socket for test |
KR20040093023A (en) * | 2003-04-25 | 2004-11-04 |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 Inspection coaxial probe and inspection unit incorporating the same |
KR20060005285A (en) * | 2004-07-12 | 2006-0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rights object |
JP2007178165A (en) * | 2005-12-27 | 2007-07-12 | Yokowo Co Ltd | Inspection unit |
JP2010237133A (en) * | 2009-03-31 | 2010-10-21 | Yokowo Co Ltd | Inspection so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US20150233973A1 (en) * | 2013-12-17 | 2015-08-20 | Tim WOOD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Test Socket Body of an Impedance-Matched Test Socket |
KR101534778B1 (en) * | 2014-01-24 | 2015-07-09 | 리노공업주식회사 | A test device |
KR20170090854A (en) * | 2016-01-29 | 2017-08-08 | 퀄맥스시험기술 주식회사 | test socket using air gap |
US20190018045A1 (en) * | 2016-03-23 | 2019-01-17 | Leeno Industrial Inc. | Test socket assembly |
KR20190051764A (en) * | 2017-11-07 | 2019-05-15 | 리노공업주식회사 | A test probe assembly and test socket |
US20190206750A1 (en) * | 2018-01-04 | 2019-07-04 | Winway Technology Co., Ltd. | Testing method for testing wafer level chip scale packag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6673A (en) * | 2022-07-29 | 2024-02-06 |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 Test socket |
KR20240099579A (en) * | 2022-12-22 | 2024-07-01 | 리노공업주식회사 | Test socket |
WO2024167260A1 (en) * | 2023-02-10 | 2024-08-15 |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 Testing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0428B1 (en) | 2023-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430253B2 (en) | Inspection sock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210144555A (en) | Test socket and metho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 |
US8911266B2 (en) | Contact holder | |
US10375838B2 (en) | Sleeved coaxial printed circuit board vias | |
US20200241042A1 (en) | Test probe assembly and test socket | |
US10884047B2 (en) | Probe socket | |
US10534033B2 (en) | IC socket | |
US9693445B2 (en) | Printed circuit board with thermal via | |
JP7513760B2 (en) | Inspection Socket | |
US11150270B2 (en) | Test device | |
US11283206B2 (en) | Impedance controlled metallized plastic socket | |
KR102373067B1 (en) | Test socke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11892472B2 (en) | Test device | |
KR102321126B1 (en) | A fabricating method of the test socket | |
US20220238978A1 (en) | Apparatus radiating and receiving microwaves, radar apparatus comprising such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n apparatus | |
KR102321112B1 (en) | A fabricating method of the test socket | |
US20240053380A1 (en) | Probe unit | |
CN108493564A (en) | The adjustable directional coupler of the degree of coupling and its degree of coupling adjusting method | |
CN110118883B (en) | Probe card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 piece thereof | |
US20230171891A1 (en) | Circuit board | |
US12345738B2 (en) | Probe holder and probe unit | |
KR100949357B1 (en) | Connector for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