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43795A -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3795A
KR20210143795A KR1020217032300A KR20217032300A KR20210143795A KR 20210143795 A KR20210143795 A KR 20210143795A KR 1020217032300 A KR1020217032300 A KR 1020217032300A KR 20217032300 A KR20217032300 A KR 20217032300A KR 20210143795 A KR20210143795 A KR 20210143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diameter
substrate
oscillator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2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24086B1 (ko
Inventor
노부유키 이바
Original Assignee
노부유키 이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부유키 이바 filed Critical 노부유키 이바
Publication of KR2021014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40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61C13/1013Arch forms
    • A61C13/1016Methods or apparatus for mounting, holding or positioning a set of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5Parallel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베이스(1)에 자석내장의 기축(4)이 회전 가능하게 돌출 설치된다. 요동체(7)는 정방형의 기판(8)과, 구(9)와, 기판의 중심을 통해서 기판에 대하여 수직인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한 구 홀더(10)와, 구 홀더를 소망하는 회전위치에 고정하는 스토퍼를 가진다. 구 홀더는 구를 소망하는 회전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테이지가 지지 로드(20)를 통해서 구에 장착된다. 구의 하부가 구 홀더 및 기판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요동체가 구의 하단에서 기축에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승강체(21)가 기축에 삽입되고, 세트칼라(22)에 의해 소망하는 높이 위치에 고정된다. 승강체에 구의 하부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개구하고 있다. 요동체는 승강체가 요동체의 기판에 접촉할 때, 수평위치를 취하지만, 승강체가 하강하는 동시에, 기판의 1변이 승강체의 상면에 접촉되었을 때, 경사위치를 취한다. 승강체의 높이에 따른 요동체의 경사위치에서의 경사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기구(2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본 발명은 치과 기공용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특히, 결손치에 대용되는 가철성 국소의치의 클래스프나 플레이트(床)의 설계시에 사용하는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가철성 국소의치를 석고모형에 장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철성 국소의치(33)는 인공치(34)와, 가철성 국소의치(33)에 인접하는 클래스프 치아(35)에 착탈 자유롭게 삽입하는 클래스프(36)를 구비하고 있다.
가철성 국소의치(33)의 제작공정에서는 우선, 환자의 구강 내에서 대상이 되는 치아와 점막을 본떠서 석고모형(37)이 제작되고, 이어서, 석고모형(37) 중의 잔존치 중에서 가철성 국소의치(33)에 대한 클래스프 치아(35)가 선택되고, 그리고 클래스프 치아(35)의 곡면형상에 적합하도록 클래스프(36)가 설계, 제작된다.
클래스프(36)에는 금속선 재료를 구부려서 제작하는 선 클래스프와, 합금을 주조해서 제작하는 주조 클래스프가 있다.
도 8의(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래스프(36)는 가철성 국소의치(33)에 끼워 넣고, 이것과 일체화되는 클래스프 다리부(38)와, 클래스프 다리부(38)에 접속하고, 클래스프 치아(35)의 인접면에 접하는 클래스프 바디부(39)와, 클래스프 바디부(39)에 접속하고, 클래스프 치아(35)의 언더컷 영역(치아의 최대풍륭선(서베이어 라인)의 하측의 영역)에서 클래스프 치아(35)를 둘러 싸는 클래스프 암부(clasp arm)(40)로 이루어져 있다. 또, 클래스프 암부(40)는 클래스프 바디부(39)로부터 가까운 순서로, 상완부(40a)와, 중앙의 중완부(40b)와, 선단의 클래스프 첨단부(40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철성 국소의치(33)가 치아의 결손부에 장착되었을 때, 가철성 국소의치(33)로부터 클래스프 치아(35)를 에워 싸서 연장되는 클래스프 암부(40)가 클래스프 치아(35)의 언더컷 영역에 걸어 맞추고, 그것에 의해서 가철성 국소의치(33)의 이탈이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 경우, 클래스프 암부(40)의 언더컷 영역으로의 구부림(bending) 진입량은 가철성 국소의치(33)의 장착감이나, 심미성, 장착시의 클래스프 치아에 미치게 되는 부하에 크게 영향을 주므로, 클래스프 암부(40)의 벤딩 상태의 설정은 클래스프(36)의 설계, 제작 상, 매우 중요하고, 가철성 국소의치(33)에 관한 가장 중요한 설계사항의 하나이다.
그리고 본원의 발명자는 선 클래스프의 설계법으로서, IBA 의치 설계법을 지금까지 제안해 오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도 9(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석고모형(M)을 초기 설정 위치로 설정하고(도 9(A) 참조. 수직방향을 직선(D1)으로 나타냈다.), 석고모형(M)에 대하여 베이스라인(최대풍륭선)(L1)을 그린 후, 석고모형(M)을 볼 측 및 혀 측으로 각각 소정의 각도(통상은 15°) 회전시켜서(도 9(B)참조. 수직방향을 직선(D2)으로 나타냈다.), 그 때마다 클래스프 치아(35)의 측면에 경사선(클래스프 외형선)(L2)을 그린다. 그리고 베이스라인과 클래스프외 형선을 대조하면서, 이것들의 라인의 혀 측과 볼 측에서의 밸런스를 보고, 밸런스가 나쁜 경우에는, 석고모형(M)의 초기 설정 위치를 변경(미조정)하고, 다시 한번 클래스프 외형선을 그린다. 그리고 이 설계법에서는 클래스프 암부의 전체의 암(클래스프 첨단부, 중완부 및 상완부)이 언더컷 영역에 위치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해서, IBA 의치 설계법에서는 석고모형을 초기 설정 위치로부터 경사시켜서 클래스프 암부의 라인을 그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방법에 의한 클래스프 설계를 지원하는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가 종래 기술에 있서서 몇 가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류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베이스에 설치한 지주에 대하여, 제1 회전부재를 수평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제1 회전부재의 내부공간에는 제2 회전부재를 수용하고, 수평 축에 대하여 수직인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고, 제1 회전부재는 지주에 대하여 소망하는 회전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하고, 제2 회전부재는 제1 회전부재에 대하여 소망하는 회전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하고, 추가로, 제2 회전부재에 유니버셜 조인트 기구를 설치하고, 유니버셜 조인트 기구의 회전 중심을 수직의 축 상에 위치시키고, 지지 로드의 하단을 유니버셜 조인트 기구를 통해서 제2 회전부재에 연결하고, 지지 로드의 상단에 스테이지를 고정하고, 지지 로드를 소망하는 경사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제3 고정수단)과, 지지 로드를 이 소망하는 경사위치로부터 수평축 또는 수평축에 평행한 축 가운데 유니버셜 조인트 기구의 회전 중심을 통하는 축의 주위로 소망하는 각도 회전시켜서 고정하기 위한 수단(제4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1 참조).
이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에 의하면, 회전부분 및 회전위치 고정부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장치구성의 단순화, 장치의 제조 코스트의 저감, 및 장치의 조작성 향상을 어느 정도까지 달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는 여전히 고가이고, 메인터넌스가 용이하지 않고, 또, 장치의 조작에 익숙해질 때까지 장기간을 요하고 있다.
즉, 이 각도 조정장치에는 장치구성을 단순화하고, 또 조작성을 향상시킬 여지가 아직 충분하게 있다.
일본 특허 제6150093호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더욱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조작성이 우수한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배치되고, 그 위에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가 고정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를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 지지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돌출 설치되고, 자석이 내장된 기축과, 상기 기축의 선단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요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체는, 정방형의 기판과, 강자성체로 형성된 구(sphere)와, 상기 기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중심을 통해서 상기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된 구 홀더와, 상기 구 홀더를 상기 기판에 대하여 소망하는 회전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제1 스토퍼를 가지고, 상기 구 홀더는 상기 구를 상기 구의 중심이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있는 배치로, 당해 중심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동시에 소망하는 회전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요동체는 추가로, 상기 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상기 스테이지의 하면이 연결된 지지 로드를 가지고, 상기 구의 하부가 상기 구 홀더의 하면 및 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돌출하고 있어서, 상기 요동체가 상기 구의 하단에서, 상기 기축의 선단에 설치된 리시빙부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지 지지기구는 추가로, 상기 기축의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기축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 및/또는 상기 기축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체를 상기 기축에 대하여 소망하는 높이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체의 상면은 수평면을 이루고, 상기 상면에 상기 구의 상기 하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가 개구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체의 하면에 달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기축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기축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요동체는 상기 승강체가 최고점에 위치해서 상기 승강체의 상면이 상기 요동체의 상기 기판의 하면에 접촉할 때, 수평위치를 취하지만, 상기 승강체가 상기 최고점에서 하강해서 상기 승강체의 상면이 상기 요동체의 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이간하고, 상기 기판의 4변 중의 어느 1변이 상기 승강체의 상면에 접촉되었을 때, 경사위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고, 추가로, 상기 승강체의 높이에 따른 상기 요동체의 상기 경사위치에서의 경사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기구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요동체의 상기 기판의 하면의 중앙에 제1 원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원형 오목부의 저면의 중심에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달하는 상기 구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제1 원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요동체의 상기 구 홀더는,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는 대구경 부분과, 상기 대구경 부분의 하단면에 동축으로 접속하는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 및 상기 제1 원형 개구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소구경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홀더 본체를 가지고, 상기 대구경 부분의 상단면 중심에 상기 구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제2 원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원형 오목부의 저면의 중심에는 상기 소구경 부분의 하단면에 달하는 제2 원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원형 개구는 상기 구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구 홀더는 추가로, 두께가 상기 제1 원형 오목부의 깊이보다도 작고, 외경이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직경보다도 크지만, 상기 제1 원형 오목부의 직경보다도 작고, 내경이 상기 제2 원형 개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환상 부재를 가지고, 상기 소구경 부분이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원형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구경 부분의 하단면에 상기 환상 부재가 동심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홀더 본체가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 홀더는 추가로, 외경이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직경과 동일하고, 내경이 상기 구의 직경보다도 작은 환상의 구 홀딩부재를 가지고, 상기 구 홀딩부재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둔 3개 이상의 위치에, 상기 구 홀딩부재의 양단면을 관통하는 제1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제2 원형 오목부의 저면에서의 상기 제1 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제2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 홀더는 추가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 나사를 가지고, 상기 구가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제2 원형 오목부의 저면 및 상기 구 홀딩부재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가 상기 구 홀딩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소구경 부분의 외주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등각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한편,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내벽에서의 상기 소구경 부분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반경방향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반경방향의 구멍 내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시, 상기 소구경 부분의 외주면을 향해서 탄성 가세되고, 상기 소구경 부분의 오목부에 걸어 맞출 수 있는 볼 플런저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축이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기축의 하부에 플랜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각도 표시기구는 서로 중심의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선형판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한쪽의 선형판의 반경방향 1측면 에지의 선단부, 또는 상기 한쪽의 선형판에서 상기 반경방향 1측면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상기 기축의 상기 플랜지부에 장착되어 수평한 축의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다른 쪽 선형판에서의 상기 한쪽의 선형판의 상기 반경방향 1측면 에지에 가까운 쪽의 반경방향 측면 에지의 선단부, 또는 상기 다른 쪽의 선형판에서 상기 반경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상기 승강체의 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한 축에 평행한 축의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동반해서, 상기 한 쌍의 선형판이 수직면 내에서 서로 상기 중심의 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한쪽의 선형판의 주벽면 위에는, 상기 요동체의 상기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 눈금이 새겨지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다른 쪽 선형판의 주벽면 위에는 영점 눈금이 새겨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축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도 표시기구는 서로 중심의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선형판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한쪽의 선형판의 반경방향 1측면 에지의 선단부, 또는 상기 한쪽의 선형판에서 상기 반경방향 1측면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수평한 축의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다른 쪽의 선형판에서의 상기 한쪽의 선형판 상기 반경방향 1측면 에지에 가까운 쪽의 반경방향 측면 에지의 선단부, 또는 상기 다른 쪽의 선형판에서 상기 반경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상기 승강체의 측벽에 장착되어서 상기 수평한 축에 평행한 축의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동반해서, 상기 한 쌍의 선형판이 수직면 내에서 서로 상기 중심의 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한쪽 선형판의 주벽면 위에는, 상기 요동체의 상기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 눈금이 새겨지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다른 쪽 선형판의 주벽면 위에는 영점 눈금이 새겨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상기 스테이지 위에 고정된 상기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에 대하여 설계용의 마킹을 실시하기 위한 마킹 유닛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킹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돌출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폴과, 상기 폴에 장착되고, 상기 폴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폴에 직교하는 면 위에서 폴의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한 암과, 상기 암의 선단에 설치된 펜 홀더와, 상기 펜 홀더에 지지되고, 상기 펜 홀더에서 아래쪽으로 상기 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펜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예와 비교해서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삭감되고, 장치구성이 더욱 간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장치의 제조 코스트가 대폭 저감되는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장치의 메인터넌스도 더욱 용이해진다.
게다가, 스테이지의 각도 조정을 위해서 조작해야 할 부분도 감소하고, 또, 그 조작의 방법도 더욱 간단해진다. 이 때문에 초보자라고 하여도 단기간 중에 장치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1실시예에 의한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스테이지 지지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요동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측면도다.
도 5는 도 1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스테이지에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스테이지 지지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가철성 국소의치를 석고모형에 장착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IBA 의치 설계법에 의한 선 클래스프의 설계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석고모형을 볼측측에서 본 측면도이고, (B)는 (A)의 D1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C)는 석고모형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발명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1실시예에 의한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스테이지 지지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1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요동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는 베이스(1)와, 베이스(1)의 위쪽에 배치되고, 그 위에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가 고정되는 스테이지(2)와, 베이스(1)에 설치되고, 스테이지(2)를 그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기구(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1)는 이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평판상을 이루고, 베이스(1)의 하면 네모서리에 고무 다리(1a)가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 지지기구(3)는 베이스(1)에 스러스트 베어링(5)을 통해서 돌출 설치되어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된 기축(4)을 가지고 있다.
기축(4)에는 자석(6)이 내장되고, 자석(6)의 상단면이 기축(4)의 선단에 형성된 구(sphere)(9)(후술한다)를 받는 리시빙부(4a)의 저면에 노출하고 있다.
또, 기축(4)의 하부에는 플랜지부(4b)가 설치되고 있다.
스테이지 지지기구(3)는 또, 기축(4)의 선단(리시빙부(4a))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요동체(7)를 가지고 있다.
요동체(7)는 정방형의 기판(8)과, 강자성체로 형성된 구(9)와, 기판(8)의 중앙에 배치되고, 기판(8)의 중심을 통해서 기판(8)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Z)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된 구 홀더(10)를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기판(8)의 하면 중앙에 제1 원형 오목부(8b)가 형성되고, 제1 원형 오목부(8b)의 중심에는 기판(8)의 상면에 달하는 구(9)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제1 원형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구 홀더(10)는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원형 개구(8a)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는 대구경 부분(11)과, 대구경 부분(11)의 하단면에 동축으로 접속하는, 제1 원형 개구(8a)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 및 제1 원형 개구(8a)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소구경 부분(12)으로 이루어지는 홀더 본체(13)를 가지고 있다.
대구경 부분(11)의 상단면 중심으로 구(9)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제2 원형 오목부(11a)가 형성되고, 제2 원형 오목부(11a)의 저면에는 소구경 부분(12)의 하단면에 달하는 제2 원형 개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원형 개구(12a)는 구(9)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다.
구 홀더(10)는 또, 두께가 제1 원형 오목부(8b)의 깊이보다도 작고, 외경이 제1 원형 개구(8a)의 직경보다도 크지만, 제1 원형 오목부(8b)의 직경보다도 작고, 내경이 제2 원형 개구(12a)의 직경에 대응하는 환상 부재(1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홀더 본체(13)의 소구경 부분(12)이 기판(8)의 제1 원형 개구(8a)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구경 부분(12)의 하단면에 환상 부재(14)가 동심적으로 나사 고정되어 홀더 본체(13)가 기판(8)에 대하여 축(Z)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구경 부분(12)의 외주면에,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오목부(12b)가 등각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기판(8)의 제1 원형 개구(8a)의 내벽에서의 소구경 부분(12)의 오목부(12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기판(8)의 축(Z)으로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반경방향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반경방향의 구멍에는 볼 플런저(plunger)(15)가 배치되고, 상시 소구경 부분(12)의 외주면을 향해서 탄성 가세되고 있다.
볼 플런저(15)는 구 홀더(10)를 요동체(7)의 기판(8)에 대하여 소망하는 회전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제1 스토퍼를 구성한다.
또, 제1 스토퍼의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볼 플런저(15)는 90도씩 회전한 위치에서 소구경 부분(12)의 오목부(12b)와 걸어 맞추지만, 볼 플런저(15)가 오목부(12b)와 걸어 맞추는 1개 회전위치에 의해서, 스테이지(2)에 고정된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의 기준위치가 규정된다(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 홀더(10)는 또, 제1 원형 개구(8a)의 직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내경이 구(9)의 직경보다도 작은 환상의 구 홀딩부재(16)를 가지고 있다.
구 홀딩부재(16)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둔 3개 이상의 위치에, 구 홀딩부재(16)의 양단면을 관통하는 제1 나사 구멍(17)이 형성되는 한편, 홀더 본체(13)의 원형 오목부(11a)의 저면에는 제1 나사 구멍(17)에 대응하는 제2 나사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구 홀더(10)는 추가로 제1 및 제2 나사 구멍(17, 18)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 나사(19)를 가지고 있다.
구(9)가 구(9)의 중심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Z) 위에 위치하는 배치로, 홀더 본체(13)의 원형 오목부(11a)의 저면 및 구 홀딩부재(16) 사이에 협지되고, 동시에, 구(9)의 하부가 구 홀더(10)의 하면 및 기판(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고정 나사(19)가 구 홀딩부재(16)의 외측으로부터 제1 및 제2 나사 구멍(17, 18)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 나사(19)를 느슨하게 되는 것에 의해서, 구(9)는 리시빙부(4a)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고, 고정 나사(19)를 조이는 의해서, 구(9)는 홀더 본체(13)의 제2 원형 오목부(12a)의 저면 및 구 홀딩부재(16) 사이에 고정된다.
요동체(7)는 추가로, 구(9)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로드(20)를 가지고 있다. 지지 로드(20)의 선단에는 스테이지(2)의 하면이 연결되어 있다.
요동체(7)는 구(9)의 하단에서, 기축(4)의 선단 리시빙부(4a)(자석(6))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자석(6)은 일정 정도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구(9)의 리시빙부(4a)에 대한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크기의 자기적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자력을 가지고 있다.
스테이지 지지기구는 또, 기축(4)의 외측에 삽입되고, 기축(4)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는 승강체(21)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체(21)는 직사각형(또는 정방형) 평판상의 상부(21c)와, 상부(21c)의 하면의 중심에 동심적으로 접속하는 원주상의 하부(21d )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21c)의 상면은 수평면을 이루고, 상면에 구(9)의 하부(기판(8)의 하면 및 구 홀더(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21a)가 개구하고, 오목부(21a)의 저면에는 승강체(21)의 하면에 달하는 관통구멍(21b)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21b)은 기축(4)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있다.
승강체(21)의 하면에는 관통구멍(21b)에 대응하는 내경의 세트칼라(22)가 장착되고, 기축(4)이 관통구멍(21b) 및 세트칼라(22)를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세트칼라(22)의 조임나사(22a)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서, 승강체(21)는 기축(4)을 따라서 슬라이드 운동 가능하게 되고, 조임나사(22a)를 조이는 있는 것에 의해서, 승강체(21)가 기축(4)에 대하여 소망하는 높이에 고정된다.
세트칼라(22)는 승강체(21)를 기축(4)에 대하여 소망하는 높이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스토퍼를 구성한다.
또, 제2 스토퍼의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요동체(7)는 승강체(21)가 최고점에 위치해서 승강체(21)의 상면이 요동체(7)의 기판(8)의 하면에 접촉할 때, 수평위치를 취하지만(도 2 참조), 승강체(21)가 최고점으로부터 하강해서 승강체(21)의 상면이 요동체(7)의 기판(8)의 하면에서 이간하고, 기판(8)의 4변 중의 어느 1변이 승강체(21)의 상면에 접촉되었을 때, 경사위치를 취하도록(도 4 참조) 되어 있다.
이 경우, 요동체(7)가 수평위치를 취할 때, 축(Z)은 수직 축(승강체(21)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인 축)에 일치하고(도 2 참조), 이 때, 고정 나사(19)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스테이지(2)(지지 로드(20))가 구(9)를 통해서 자유롭게 경사지게 되고, 고정 나사(19)를 조임으로써 스테이지(2)(지지 로드(20))는 소망하는 경사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스테이지(2)(지지 로드(20))가 소망하는 경사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요동체(7)가 경사위치를 취할 때, 스테이지(2)(지지 로드(20))는 구(9)의 중심을 통하고, 동시에 수직 축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수평한 2축(X-Y축) 중의 한쪽 축 주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요동체(7)의 경사 각도만큼 회전한다.
본 발명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는 추가로, 승강체(21)의 높이에 따른 요동체(7)의 경사위치에서의 경사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기구(23)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표시기구(23)는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중심의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선형판(24, 25)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선형판(24, 25) 중의 한쪽 선형판(24)은 선형판(24)에서 반경방향 1측면 에지(24a)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b)를 가지고, 또, 한 쌍의 선형판(24, 25) 가운데 다른 쪽 선형판(25)은 선형판(25)에서 선형판(24)의 반경방향 1측면 에지(24a)에 가까운 쪽의 반경방향 측면 에지(25a)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선형판(24)의 연장부(24b)의 선단이, 기축(4)의 플랜지부(4b)의 주벽에서 반경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장착 축(26)에 대하여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형판(25)의 연장부(25b)의 선단이 승강체(21)의 하부(21d)의 측벽에서 반경방향으로, 장착 축(26)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장착 축(27)에 대하여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서, 승강체(21)의 승강에 동반해서 한 쌍의 선형판(24, 25)이 수직면 내에서 서로 중심(연결점)의 주위로 회전한다.
또, 선형판(24)의 주벽면 위에 요동체(7)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 눈금(S1)이 새겨지는 한편, 선형판(25)의 주벽면 위에는 영점 눈금(S2)이 새겨지고 있다.
각도 눈금(S1)은 다음과 같이 해서 미리 제작되고 있다.
우선, 승강체(21)가 최고점에 고정되고(요동체(7)는 수평위치를 취한다), 각도 눈금(S1)에서의 영점 눈금(S2)에 일치하는 점에 제로 눈금이 새겨진다. 이어서, 승강체(21)의 높이를 바꾸면서, 그 때마다, 요동체(7)의 기판(8)의 경사위치에서의 경사 각도가 측정되고, 그 때 각도 눈금(S1)에서의 영점 눈금(S2)에 일치하는 점에 당해 측정각도가 새겨진다.
이렇게 해서, 영점 눈금(S2)이 지시하는 각도가 소망하는 각도가 되는 높이에서 승강체(21)가 고정되고, 그 후에 요동체(7)의 기판(8)의 4변 중의 1변이 승강체(21)의 상면에 접촉된다. 그것에 의해서, 스테이지(2)(지지 로드(20))가 구(9)의 중심을 통하고, 동시에 수직 축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수평한 2축(X-Y축) 중의 한쪽의 축 주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당해 소망하는 각도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선형판(24, 25)의 각각에 연장부(24b, 25b)를 설치했지만, 연장부(24b, 25b)를 설치하지 않고, 한 쌍의 선형판(24, 25)을, 각각 반경방향 1측면 에지(24a)의 선단부 및 반경방향 측면 에지(25a)의 선단부에서, 관계되는 장착 축(26, 27)에 대하여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도 5는 스테이지(2)에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2)는 평판상을 이루고, 그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구멍(2a)을 구비하고, 한 쌍의 리시빙 핀(2b, 2b)과, 조임나사(2d)를 구비한 조임용 핀(2c)이 이것들의 구멍(2a)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는 한 쌍의 리시빙 핀(2b, 2b) 및 조임나사(2d) 사이에 조임 고정됨으로써 스테이지(2) 위에 세팅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 스테이지(2) 위에 고정된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에 대하여 설계용의 마킹을 실시하기 위한 마킹 유닛(28)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마킹 유닛(28)은 베이스(1)에 돌출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폴(29)과, 폴(29)에 장착되고, 폴(29)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폴(29)에 직교하는 면 위에 폴(29)의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한 암(30)과, 암(30)의 선단에 설치된 펜 홀더(31)와, 펜 홀더(31)에 지지되고, 펜 홀더(31)에서 아래쪽으로 폴(29)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펜(32)을 가지고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를 클래스프 및 의치상의 설계에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로서 석고모형을 상정하고 있고, 그 때문에 석고모형에 서베이어 라인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유닛(28)을 설치하고 있지만,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는 석고모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를 절삭이나 연마해야 하는 경우에는 마킹 유닛(28) 대신에 적당한 절삭 유닛 또는 연마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는 어태치먼트의 설치나, 임플란트의 스텐트 제작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용의 석고모형에 서베이어 라인을 마킹하는 경우에는,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W)로서 석고모형을 스테이지(2)에 고정한다. 이 때, 요동체의 기판(8)의 볼 플런저(15)가 구 홀더(10)의 오목부(12b)와 걸어 맞추고, 석고모형(M)이 기준위치(도 9(C)에 나타낸다)에 배치된다.
이어서, 승강체(21)를 각도 표시기구(23)의 영점 눈금(S2)이 각도 눈금(S1)의 영점에 일치하는 높이(최고점)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요동체(7)의 고정 나사(19)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석고모형의 좌우 치아 밸런스를 보면서, 스테이지(2)(석고모형(M))를 초기 설정 위치까지 경사시킨 후, 고정 나사(19)를 조이고, 스테이지(2)를 초기 설정 위치에 고정한다.
초기 설정 위치에서, 스테이지(2), 요동체(7), 승강체(21) 및 기축(4)을 일체로서 수직 축의 주위로 회전시키면서, 마킹 유닛(28)(펜(32))에 의해 석고모형(W)에 베이스 라인(최대풍륭선)을 그린다(도 9(A)의 L1).
그 후에 세트칼라(22)의 조임나사(22a)를 풀고, 승강체(21)를 각도 표시기구(23)의 영점 눈금(S2)이 각도 눈금(S1)의 15도에 일치할 때까지 하강시킨 후, 조임나사(22a)를 다시 조여서 승강체(21)를 그 높이에 고정한다.
다음에, 요동체(7)에 경사위치를 취하게 해서 스테이지(2)를 석고모형(M)의 좌우로 각각 경사시키고(도 9(C)의 X축에 대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때마다, 스테이지(2), 요동체(7), 승강체(21) 및 기축(4)을 일체로서 수직 축의 주위로 회전시키면서, 펜(32)에 의해 석고모형(W)의 클래스프 치아(35)의 혀 측과 볼 측으로 경사선(클래스프 외형선)을 그린다(도 9(A)의 (L2)).
그리고 베이스 라인(L1)과 클래스프 외형선(L2)을 대조하면서, 그것들의 라인의 치아 혀 측과 볼 측에서의 밸런스를 본다. 밸런스가 양호할 때는, 그것으로 작업은 완료되지만, 밸런스가 나쁠 때는 스테이지(2)의 초기 설정 위치의 변경(미세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 초기 설정 위치의 변경(미세 조정)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변경(미세 조정)을 도 9(C)의 X축 또는 Y축의 주위로 실시하는 경우
세트칼라(22)의 조임나사(22a)를 풀어 승강체(21)를 하강시키고, 각도 표시기구(23)를 보면서, 소망하는 각도로 조임나사(22a)를 조인다.
그 후에 고정 나사(19)를 푼다. 그것에 의해서, 요동체(7) 및 구(9) 사이의 고정이 해제되지만, 스테이지(2)를 지지하는 구(9)는 기축(4)의 자석(6)에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있으므로, 스테이지(2)의 경사는 변화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리 상태의 요동체(7)의 기판(8)이 관계되는 1변을 승강체(21)의 상면에 접촉시켜서 X축 또는 Y축에 대해서 소망하는 경사 각도로 맞추고, 고정 나사(19)를 감아서 구(9)를 요동체(7)에 고정한다. 다음에, 세트칼라(22)의 조임나사(22a)를 풀어서 승강체(21)를 상승시키고, 각도 표시기구(23)의 영점 눈금으로 되돌리는 것에 의해, 스테이지(2)의 초기 설정 위치의 변경(미세 조정)가 완료된다.
(2) 변경(미세 조정)을 도 9(C)의 α축의 주위로 실시하는 경우
스테이지(2)가 초기 설정 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 구 홀더(10)를 α축이 X축 또는 Y축에 일치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그 후는, 상기 (1)과 동일하게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변경(미세 조정)이 완료된다.
스테이지(2)의 초기 설정 위치의 변경(미세 조정)이 완료된 후, 새로운 초기 설정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다시한번 석고모형(M)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설정해서 클래스프 외형선(L2)을 그리는 것에 의해서, 이상적인 선 클래스프의 클래스프 외형선이 수득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와 비교해서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삭감되고, 장치구성이 더욱 간단해지고, 그것에 의해서, 장치의 제조 코스트가 대폭 저감되는 동시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장치의 메인티넌스도 더욱 용이하게 된다.
부가해서, 스테이지(2)의 각도 조정을 위해서 조작해야 하는 부분도 감소하고, 또, 그 조작의 방법도 매우 간단하게 된다. 이 때문에 초보자라고 하여도, 단기간 중에 장치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스테이지 지지기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1∼도 5의 실시예와, 기축의 베이스에 대한 부착의 방법과, 각도 표시기구의 부착 위치가 다를 뿐이다. 따라서, 도 6 및 도 7 중, 도 1∼도 5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번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것들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기축(4’)은 베이스(1)에 고정되어 있어서,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경우가 없고, 또, 플랜지부를 구비하지 않고 있다.
기축(4’)에는 자석(6)이 내장되고, 자석(6)의 상단면이 기축(4’)의 선단에 형성된 구(9)를 받는 리시빙부(4a’)의 저면에 노출하고 있다.
또, 각도 표시기구(23)의 선형판(25)의 연장부(25b)의 선단이 승강체(21)의 장착 축(27)에 대하여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고, 선형판(24)의 연장부(24b)의 선단이 베이스(1)의 측면에 고정된 장착 축(27)에 평행한 장착 축(6’)에 대하여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것에 의하고, 승강체(21)의 승강에 동반해서 한 쌍의 선형판(24, 25)이 수직면 내에서 서로 중심(연결점)의 주위로 회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테이지(2)의 초기 설정 위치에서의 수직 축 주위의 회전이 요동체(7)의 기판(8)의 하면을 승강체(21)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스테이지(2) 및 요동체(7)를 일체적으로 축(Z)의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 스테이지(2)의 경사위치에서의 수직 축 주위의 회전이 요동체(7)의 기판(8)의 해당하는 1변을 승강체(21)의 상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스테이지(2) 및 요동체(7)를 일체적으로 기축(4’)의 리시빙부(4a’)를 지점으로 해서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상, 본발명의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가 본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형예를 안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구 홀더(10)는 기판(8)의 중앙에 배치되고, 기판(8)의 중심을 통해서 기판(8)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Z)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구(9)를 구(9)의 중심이 축(Z) 위에 있는 배치로, 당해 중심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동시에 소망하는 회전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각도 표시기구(23)는 승강체(21)의 높이에 따른 요동체(7)의 경사위치에서의 경사 각도를 표시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1: 베이스 1a: 고무 다리
2: 스테이지 2a: 구멍
2b: 리시빙 핀 2c: 조임용 핀
3: 스테이지 지지기구 4, 4’: 기축
4a, 4a’: 리시빙부 4b: 플랜지부
5: 스러스트 베어링 6: 자석
7: 요동체 8: 기판
8a: 제1 원형 개구 8b: 제1 원형 오목부
9: 구(sphere) 10: 구 홀더
1: 대구경 부분 11a: 제2 원형 오목부
12: 소구경 부분 12a: 제2 원형 개구
12b: 오목부 13: 홀더 본체
14: 환상 부재 15: 볼 플런저(plunger)(제1 스토퍼)
16: 구 홀딩부재 17: 제1 나사 구멍
18: 제2 나사 구멍 19: 고정 나사
20: 지지 로드 21: 승강체
21a: 오목부 2lb: 관통구멍
21c: 상부 21d: 하부
22: 세트칼라(제2 스토퍼) 22a: 조임나사
23: 각도 표시기구 24: 선형판
24a: 반경방향 1측면 에지 24b: 연장부
25: 선형판 25a: 반경방향 측면 에지
25b: 연장부 26, 26’, 27: 장착 축
28: 마킹 유닛 29: 폴
30: 암 31: 펜 홀더
3: 펜 33: 가철성 국소의치
34: 인공치 35: 클래스프 치아
36: 클래스프 37: 석고모형
38: 클래스프 다리부 39: 클래스프 바디부
40: 클래스프 암부 40a: 상완부
40b: 중완부 40c: 클래스프 첨단부
D1: 초기 설정 방향 D2: 경사방향
L1: 베이스라인(최대풍륭선) L2: 경사선
M: 석고모형 S1: 각도 눈금
S2: 영점 눈금 W: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
Z: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

Claims (6)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배치되고, 그 위에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가 고정되는 스테이지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지를 경사 각도를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지 지지기구는,
    상기 베이스에 돌출 설치되고, 자석이 내장된 기축과,
    상기 기축의 선단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요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체는,
    정방형의 기판과,
    강자성체로 형성된 구(sphere)와,
    상기 기판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의 중심을 통해서 상기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된 구 홀더와,
    상기 구 홀더를 상기 기판에 대하여 소망하는 회전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제1 스토퍼를 가지고,
    상기 구 홀더는 상기 구를 상기 구의 중심이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 상에 있는 배치로, 당해 중심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동시에 소망하는 회전위치에 고정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요동체는 추가로,
    상기 구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단에 상기 스테이지의 하면이 연결된 지지 로드를 가지고,
    상기 구의 하부가 상기 구 홀더의 하면 및 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돌출하고 있어서, 상기 요동체가 상기 구의 하단에서, 상기 기축의 선단에 설치된 리시빙부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지 지지기구는 추가로,
    상기 기축의 외측에 삽입되고, 상기 기축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 및/또는 상기 기축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체를 상기 기축에 대하여 소망하는 높이에 고정할 수 있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체의 상면은 수평면을 이루고, 상기 상면에 상기 구의 상기 하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가 개구하고, 상기 오목부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체의 하면에 달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기축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기축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요동체는 상기 승강체가 최고점에 위치해서 상기 승강체의 상면이 상기 요동체의 상기 기판의 하면에 접촉할 때, 수평위치를 취하지만, 상기 승강체가 상기 최고점에서 하강해서 상기 승강체의 상면이 상기 요동체의 상기 기판의 하면에서 이간하고, 상기 기판의 4변 중의 어느 1변이 상기 승강체의 상면에 접촉되었을 때, 경사위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고, 추가로,
    상기 승강체의 높이에 따른 상기 요동체의 상기 경사위치에서의 경사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표시기구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체의 상기 기판의 하면의 중앙에 제1 원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원형 오목부의 저면의 중심에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 달하는 상기 구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제1 원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요동체의 상기 구 홀더는,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는 대구경 부분과, 상기 대구경 부분의 하단면에 동축으로 접속하는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 및 상기 제1 원형 개구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소구경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홀더 본체를 가지고,
    상기 대구경 부분의 상단면 중심에 상기 구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제2 원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원형 오목부의 저면의 중심에는 상기 소구경 부분의 하단면에 달하는 제2 원형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원형 개구는 상기 구의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구 홀더는 추가로, 두께가 상기 제1 원형 오목부의 깊이보다도 작고, 외경이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직경보다도 크지만, 상기 제1 원형 오목부의 직경보다도 작고, 내경이 상기 제2 원형 개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환상 부재를 가지고,
    상기 소구경 부분이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원형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소구경 부분의 하단면에 상기 환상 부재가 동심적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홀더 본체가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구 홀더는 추가로,
    외경이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직경과 동일하고, 내경이 상기 구의 직경보다도 작은 환상의 구 홀딩부재를 가지고,
    상기 구 홀딩부재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둔 3개 이상의 위치에, 상기 구 홀딩부재의 양단면을 관통하는 제1 나사 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제2 원형 오목부의 저면에서의 상기 제1 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제2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 홀더는 추가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는 고정 나사를 가지고,
    상기 구가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제2 원형 오목부의 저면 및 상기 구 홀딩부재 사이에 협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나사가 상기 구 홀딩부재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본체의 상기 소구경 부분의 외주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등각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한편,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원형 개구의 내벽에서의 상기 소구경 부분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기판의 상기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반경방향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반경방향의 구멍 내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시, 상기 소구경 부분의 외주면을 향해서 탄성 가세되고, 상기 소구경 부분의 오목부에 걸어 맞출 수 있는 볼 플런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축이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기축의 하부에 플랜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각도 표시기구는 서로 중심의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선형판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한쪽의 선형판의 반경방향 1측면 에지의 선단부, 또는 상기 한쪽의 선형판에서 상기 반경방향 1측면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상기 기축의 상기 플랜지부에 장착되어 수평한 축의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다른 쪽 선형판에서의 상기 한쪽의 선형판의 상기 반경방향 1측면 에지에 가까운 쪽의 반경방향 측면 에지의 선단부, 또는 상기 다른 쪽의 선형판에서 상기 반경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상기 승강체의 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한 축에 평행한 축의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동반해서, 상기 한 쌍의 선형판이 수직면 내에서 서로 상기 중심의 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한쪽의 선형판의 주벽면 위에는, 상기 요동체의 상기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 눈금이 새겨지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다른 쪽 선형판의 주벽면 위에는 영점 눈금이 새겨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축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각도 표시기구는 서로 중심의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선형판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한쪽의 선형판의 반경방향 1측면 에지의 선단부, 또는 상기 한쪽의 선형판에서 상기 반경방향 1측면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어 수평한 축의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다른 쪽의 선형판에서의 상기 한쪽의 선형판 상기 반경방향 1측면 에지에 가까운 쪽의 반경방향 측면 에지의 선단부, 또는 상기 다른 쪽의 선형판에서 상기 반경방향 측면 에지를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상기 승강체의 측벽에 장착되어서 상기 수평한 축에 평행한 축의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동반해서, 상기 한 쌍의 선형판이 수직면 내에서 서로 상기 중심의 주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한쪽 선형판의 주벽면 위에는, 상기 요동체의 상기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각도 눈금이 새겨지는 한편, 상기 한 쌍의 선형판 중의 다른 쪽 선형판의 주벽면 위에는 영점 눈금이 새겨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상기 스테이지 위에 고정된 상기 치과 기공용 워크피스에 대하여 설계용의 마킹을 실시하기 위한 마킹 유닛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킹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돌출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폴과,
    상기 폴에 장착되고, 상기 폴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폴에 직교하는 면 위에서 폴의 축 주위로 선회 가능한 암과,
    상기 암의 선단에 설치된 펜 홀더와,
    상기 펜 홀더에 지지되고, 상기 펜 홀더에서 아래쪽으로 상기 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펜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KR1020217032300A 2019-03-28 2019-03-28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Active KR102724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13820 WO2020194721A1 (ja) 2019-03-28 2019-03-28 歯科技工用角度調整ステー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795A true KR20210143795A (ko) 2021-11-29
KR102724086B1 KR102724086B1 (ko) 2024-10-29

Family

ID=6910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2300A Active KR102724086B1 (ko) 2019-03-28 2019-03-28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102496B2 (ko)
EP (1) EP3949900B1 (ko)
JP (1) JP6624540B1 (ko)
KR (1) KR102724086B1 (ko)
CN (1) CN113645923B (ko)
WO (1) WO2020194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0451B (zh) * 2022-07-01 2023-07-14 深圳新致美精密齿研有限公司 一种义齿瓷粉涂抹装置
CN116473704B (zh) * 2023-06-28 2023-08-25 泰州市奥美齿科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义牙切割装置
CN117898745B (zh) * 2024-01-17 2024-10-25 浙江大学 一种角度可调型多道夹持微电极推进操作器
CN118490150B (zh) * 2024-07-19 2024-10-08 杭州皓芽科技有限公司 基于图像采集和ai处理的口腔牙菌斑检测方法及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093U (ko) 1984-09-07 1986-04-04
US6186781B1 (en) * 1997-09-08 2001-02-13 Nobuyuki Iba Surveyor for false tooth design
KR100625086B1 (ko) * 2003-06-12 2006-09-20 박수강 치기공용 서베이어
KR20120091807A (ko) * 2011-02-10 2012-08-2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수술 가이드 제작 방법
WO2017065278A1 (ja) * 2015-10-16 2017-04-20 信行 射場 歯科技工用角度調整ステー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0704A (en) 1978-09-14 1980-03-22 Toray Ind Inc Preparation of polyester having improved transparency
JPS60163654A (ja) * 1984-02-04 1985-08-26 水野 誠 歯科用可動性平行測定器
CN1121846C (zh) * 1997-09-08 2003-09-24 射场信行 假牙设计用划线装置
GB0201362D0 (en) * 2002-01-22 2002-03-13 Renishaw Plc Reversible sample holder
JP2006051046A (ja) * 2002-08-09 2006-02-23 Nobuyuki Iba 2軸調節設定可能なサベイヤー用模型台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義歯設計用サベイヤー装置
US20040126731A1 (en) * 2002-10-08 2004-07-01 Tbl Partnership Clutch transfer device
JP2005074047A (ja) * 2003-09-02 2005-03-24 Komatsu:Kk 顎模型用ベース装置
CN101262832B (zh) * 2005-09-16 2010-04-21 射场信行 假牙设计用测量装置
JP2008228842A (ja) * 2007-03-19 2008-10-02 Ichiro Niuchi 義歯サーベイヤー
US8021149B2 (en) * 2007-04-17 2011-09-20 Gnath Tech Dental System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icating mandibular movement
JP4970194B2 (ja) * 2007-08-23 2012-07-04 株式会社松風 咬合平面分析器および咬合器並びに咬合平面分析方法
CN101801307A (zh) * 2007-09-13 2010-08-11 爱德芳世株式会社 牙科镶嵌物测量加工系统
JP2011160940A (ja) * 2010-02-09 2011-08-25 High Dental Japan Kk 歯科技工用平行測定器
JP5838602B2 (ja) * 2011-06-10 2016-01-06 直樹 西浜 3次元咬合コンタクト測定器
TW201302166A (zh) * 2011-07-06 2013-01-16 Univ Nat Cheng Kung 齒模置位方法
CN104771238B (zh) * 2015-02-02 2016-08-24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用于牙尖斜度测量的装置
CN108938130B (zh) * 2018-09-27 2023-12-08 安徽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可万向调节的曲线排牙导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093U (ko) 1984-09-07 1986-04-04
US6186781B1 (en) * 1997-09-08 2001-02-13 Nobuyuki Iba Surveyor for false tooth design
KR100625086B1 (ko) * 2003-06-12 2006-09-20 박수강 치기공용 서베이어
KR20120091807A (ko) * 2011-02-10 2012-08-2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수술 가이드 제작 방법
WO2017065278A1 (ja) * 2015-10-16 2017-04-20 信行 射場 歯科技工用角度調整ステー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9900A4 (en) 2022-11-16
JP6624540B1 (ja) 2019-12-25
EP3949900C0 (en) 2023-06-28
EP3949900A1 (en) 2022-02-09
EP3949900B1 (en) 2023-06-28
CN113645923A (zh) 2021-11-12
US12102496B2 (en) 2024-10-01
KR102724086B1 (ko) 2024-10-29
JPWO2020194721A1 (ja) 2021-04-08
US20220218451A1 (en) 2022-07-14
CN113645923B (zh) 2022-08-09
WO2020194721A1 (ja)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3795A (ko) 치과 기공용 각도 조정 스테이지 장치
JPH0924056A (ja) 人体の一部、好ましくは顎に取付具を取付ける一つまたはそれ以上の点をマークし形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WO1999012493A1 (fr) Gabarit de mesure pour modele de fausse dent
WO2010031188A1 (en) Dental implant bar system
JP6150093B1 (ja) 歯科技工用角度調整ステージ装置
US20090155737A1 (en) Dental surveyor apparatus for the denture designing
WO2017153617A1 (es) Dispositivo de escaneo intraoral para el registro digital de la posición de un implante dental mediante un escáner
JP2011160940A (ja) 歯科技工用平行測定器
US5551873A (en) Detector of the clasp region of a denture
US5989024A (en) Dental parallelometer
JPH0747089A (ja) クラスプ設計用サーベイヤー装置
CN216257437U (zh) 手术器械校准装置
KR200388294Y1 (ko) 측량기 수평유지장치
JP2535463B2 (ja) 携帯型サベヤ―
CN219493692U (zh) 一种建筑施工测绘装置
JPH0421494B2 (ko)
JP2006051046A (ja) 2軸調節設定可能なサベイヤー用模型台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義歯設計用サベイヤー装置
CN219895904U (zh) 一种导航系统标定装置
CN219147909U (zh) 一种示踪器的结构
JP3466402B2 (ja) 測定器クランプ用ブラケットおよび測定器支持用スタンド
CA2505283A1 (en) Adjustable surveyor table and method of use for adjusting dental implant drill guides
KR970001322Y1 (ko) 환형 세선 파단시편 단면적 측정지그
CN218639633U (zh) 一种义齿加工观测仪
CN213301076U (zh) 一种颌平面倾斜角度检测装置
CN222218154U (zh) 一种腰椎手术用水平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