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38911A - Case for tire repair kit of hybrid vehicle - Google Patents

Case for tire repair kit of hybri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911A
KR20210138911A KR1020200056947A KR20200056947A KR20210138911A KR 20210138911 A KR20210138911 A KR 20210138911A KR 1020200056947 A KR1020200056947 A KR 1020200056947A KR 20200056947 A KR20200056947 A KR 20200056947A KR 20210138911 A KR20210138911 A KR 20210138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pair kit
tire repair
hybrid vehicle
fl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829848B1 (en
Inventor
서정인
서명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29848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569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829848B1/en
Priority to DE102020134955.6A priority patent/DE102020134955B4/en
Publication of KR2021013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9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2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2984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16Arrangement in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5Arrangement in a wheel, e.g. a spar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러기지 보드의 하측 공간을 활용하여 타이어 수리 키트를 차체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러기지룸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and a hybrid vehicle capable of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in a luggage room by allowing the tire repair kit to be mounted on a vehicle body by utilizing the space below the luggage board. It aims to provide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Case for tire repair kit of hybrid vehicle}Case for tire repair kit of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러기지룸의 공간 활용성을 효율적으로 증대하기 위한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efficientl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of a luggage room.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 중 자동차 바퀴의 타이어 펑크 발생에 대비하여 스페어 바퀴(휠&타이어)와 잭(Jack)이 러기지룸에 구비되거나 또는 타이어 모빌리티 키트(TMK, Tire Mobility Kit)가 러기지룸에 구비된다. In general, a spare wheel (wheel & tire) and jack are provided in the luggage room or a tire mobility kit (TMK) is installed in the luggage room in preparation for a tire puncture on the wheels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provided

상기 타이어 모빌리티 키트는 타이어 펑크 발생 시 타이어 수리에 사용되는 것으로 타이어 수리 키트라고도 한다. 상기 타이어 수리 키트는 별도의 스페어 바퀴가 불필요함에 따라 차량의 경량화 및 연비 향상에 유리하다. The tire mobility kit is used to repair a tire when a tire puncture occurs,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tire repair kit. Since the tire repair k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pare wheel, it is advantageous to lighten the vehicle and improve fuel efficiency.

상기 잭과 스페어 바퀴 또는 상기 타이어 수리 키트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경우, EPP(발포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차량 러기지룸의 바닥면 하측 공간에 조립된다.The case for accommodating the jack and the spare wheel or the tire repair kit is made of an EPP (Expanded Polypropylene) material and is assembled in a space below the floor surface of the vehicle luggage room.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러기지룸(S1)은 그 바닥면에 통상적으로 평판형의 러기지 보드(1)가 배치되며, 상기 러기지 보드(1)를 걷어내면 상기 케이스(2)가 설치된 하측 공간(S2)이 개방된다. 상기 하측 공간(S2)은 러기지 보드(1)의 하측에 배치된 차체 플로어 패널(3)에 형성된 공간이다. Referring to FIG. 8 , in the luggage room S1 , a flat-type luggage board 1 is usual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when the luggage board 1 is removed, the case 2 is installed. The lower space S2 is opened. The lower space S2 is a space formed in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3 disposed below the luggage board 1 .

그런데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모터 구동용 배터리를 탑재하기 위해 러기지 보드(1)의 하측 공간(S2)을 사용하는데, 그에 따라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2)를 상기 러기지 보드(1)의 하측 공간(S2)에 조립하기 곤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a mild hybrid vehicle, the lower space S2 of the luggage board 1 is used to mount the battery for driving the motor, and accordingly, the case 2 for the tire repair kit is placed under the luggage board 1 .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assemble in the space S2.

이에 기존에는 상기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를 러기지 보드의 상단(즉, 러기지룸)에 적재하였는데, 그로 인해 러기지룸의 공간 활용성 및 적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Accordingly, conventionally, the case for the tire repair kit was loaded on the upper end of the luggage board (ie, the luggage room),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utilization and loadability of the luggage room were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러기지 보드의 하측 공간을 활용하여 타이어 수리 키트를 차체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러기지룸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s a hybrid vehicle that utilizes the space below the luggage board to mount a tire repair kit on the vehicle body,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luggage room. It aims to provide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이에 본 발명은: 타이어 수리 키트가 조립되는 복수의 조립부가 형성되고, 러기지룸의 하측에 배치된 차체 플로어 패널의 플로어 상판부에 장착되는 클램프 조립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측면부; 상기 케이스 상측면부의 하방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차체 플로어 패널의 함몰판부 내에 탑재된 배터리의 상단과 상기 플로어 상판부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 하측면부; 상기 케이스 상측면부의 전단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조립부가 플로어 상판부에 장착될 때 상기 러기지룸의 전방에 배치된 시트의 후면과 동일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케이스 전측면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per side portion of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assembly parts to which a tire repair kit is assembled are formed, and a clamp assembly part is formed to be mounted on a floor top plate of a vehicle body floor panel disposed below the luggage room; a case lower surface portion formed below the case upper surface portion and dis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mounted in the recessed plate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and the floor upper portion; A hybrid vehicle comprising a; a case front side formed at a front end position of the case upper side portion and obliquely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a rear side of a seat disposed in front of the luggage room when the clamp assembly unit is mounted on the floor top plate of tire repair ki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or the tire repair kit has the following specific features.

상기 복수의 조립부는, 클램프 조립부의 좌측 위치와 우측 위치 중 어느 한쪽 위치에 형성되는 컴프레서 조립부와 다른 한쪽 위치에 형성되는 실런트 조립부, 및 상기 클램프 조립부와 실런트 조립부의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중 어느 한쪽 위치에 형성되는 토잉훅 조립부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assembling units may include: a compressor assembling unit formed at either one of a left position and a right position of the clamp assembling unit; a sealant assembling unit formed at the other position; It includes a toe-hook assembly part formed in either position.

상기 클램프 조립부가 클램프에 의해 플로어 상판부에 결합될 때,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와 토잉훅 조립부는 차량의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clamp assembly part is coupled to the floor top plate by the clamp,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and the toe hook assembly part may be disposed obliquely in front of the vehicle.

상기 케이스 하측면부에는,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의 하측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상판부에 적층되어 지지되는 제1하측경사면부와;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의 하측 위치 및 상기 제1하측경사면부의 후방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 적층되어 지지되는 제2하측경사면부; 및 상기 토잉훅 조립부의 하측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상판부에 적층되어 지지되는 하측평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mpressor assembly portion and supported by being stacked on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on the case lower surface portion; a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art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and a rear position of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and being stack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and a lower fla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toe hook assembly portion and supported by being stacked on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상기 제1하측경사면부와 상기 제2하측경사면부는, 상기 케이스 전측면부와 소정의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cute angle with the case front surface portion.

상기 케이스 전측면부는, 상기 클램프 조립부가 플로어 상판부에 장착될 때 상기 시트의 후방 및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의 후면을 마주하게 된다.The case front side portion is disposed at the rear and lower sides of the seat when the clamp assembly unit is mounted on the floor top plate to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상기 케이스 하측면부에는 클램프 조립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하측면부가 플로어 상판부에 적층될 때 상기 플로어 상판부의 차체 브라켓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클램프 조립부의 하측면에 접촉하게 된다.A hollow portion disposed below the clamp assembly unit is formed in the case lower surface portion, and when the case lower surface portion is stacked on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the vehicle body bracket of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assembly portion. .

상기 클램프 조립부는 그 중앙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 조립부의 하측면은 너트부를 구비한 차체 브라켓의 상측부에 적층될 수 있고, 상기 클램프의 볼트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와 체결될 수 있다.The clamp assembly part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thereof, a lower surface of the clamp assembly part may be stacked on an upper part of a vehicle body bracket having a nut part, and the bolt part of the clamp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to make the It may be fastened to the nut part.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측경사면부에는 상기 단차부에 맞닿아서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의 상단은 플로어 상판부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A step port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ttery, and a locking protrusion supported by abutting the step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An upper end of the battery may be disposed lower than a floor upper part.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는 그 둘레방향의 일측에 슬롯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롯은 컴프레서 조립부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lot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lot may be formed to open one side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상기 케이스 상측면부는 차체 플로어 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러기지 보드의 하방에 배치된다.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case is a portion of the luggage boar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or panel of the vehicle body. plac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는, 러기지 보드의 하측 공간 중 후석 시트의 뒤쪽 공간에 장착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서 후석 시트의 뒤쪽 공간에 효율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러기지룸이 최대로 확보되어 러기지룸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The case for a tire repair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shape that can be mounted in the space behind the rear seat among the space below the luggage board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mounted in the space behind the rear seat, and accordingly, the luggage room is It is secured to the maximum, enabling efficient use of space in the luggage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가 차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위에 배치된 러기지 보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A에서 본 도면,
도 4는 도 1의 B-B에서 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수리 키트가 미조립된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수리 키트 및 클램프가 조립된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이 조립된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종래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가 차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body floor panel;
2 is a view showing a luggage board disposed on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een from AA of FIG. 2;
Fig. 4 is a view seen from BB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tire repair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ssembled;
6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tire repair kit and a clamp are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ventional case for a tire repair kit is mounted on a vehicle body floor pane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좌우, 상하, 전후 등의 방향은,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차량 또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함을 밝혀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pointed out that the matters expres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e form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drawings schematically for easy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rections of left, right, up and down, front and rear, etc. are based on the vehicle or the state mounted on the vehic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100)는, 차체 플로어 패널(200)과 러기지 보드(240) 사이에 배치되며, 차체 플로어 패널(200)과 배터리(300)에 거치되어 장착된다.1 to 3 , the case 100 for a tire repair k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200 and the luggage board 240, and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 200) and the battery 300 is mounted on it.

여기서 상기 차체 플로어 패널(200)은 짐을 싣기 위한 러기지룸(S)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배터리(300)는 차량의 주행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Here,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200 is disposed below the luggage room S for loading, and the battery 300 is used as a power source of a motor that supplies driving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상기 차체 플로어 패널(200)은 플로어 상판부(210)와 함몰판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차체 플로어 패널(200)은 플로어 상판부(210)와 함몰판부(220)로 구분될 수 있다.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200 may include a floor top plate part 210 and a recessed plate part 220 . In other words,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200 may be divided into a floor top plate part 210 and a recessed plate part 220 .

상기 함몰판부(220)는 플로어 상판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플로어 상판부(210)의 중앙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함몰판부(220)는, 차량의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플로어 상판부(210)를 기준으로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The recessed plate part 2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and is dispos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 The recessed plate part 220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of the vehicle, and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with respect to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

상기 배터리(300)는 러기지룸(S)의 하측 공간 중 상기 함몰판부(22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함몰판부(22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 배터리(300)는, 그 상단이 플로어 상판부(210)보다 약간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30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cessed plate part 220 among the lower space of the luggage room (S). Referring to FIG. 3 , the battery 30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cessed plate part 220 may have an upper end positioned slightly lower than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

상기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100)는, 케이스(100)는 EPP(발포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크게 케이스 상측면부(110)와 케이스 하측면부(120)와 케이스 전측면부(130) 및 케이스 후측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ase 100 for the tire repair kit, the case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EPP (Expanded Polypropylene), and largely the case upper side part 110, the case lower side part 120, and the case front side part ( 130) and the case rear side portion 140 is configured.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 상측면부(110)에는, 타이어 수리 키트(150)가 조립되는 복수의 조립부(112,114,116)가 형성되고, 플로어 상판부(210)에 장착되는 클램프 조립부(118)가 형성된다.4 to 7 , a plurality of assembly parts 112 , 114 , 116 to which the tire repair kit 150 is assembled are formed in the case upper side part 110 , and a clamp assembly part mounted on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 (118) is formed.

상기 복수의 조립부(112,114,116)는, 컴프레서(152)가 탈거 가능하게 조립되는 컴프레서 조립부(112)와, 실런트(154)가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실런트 조립부(114)와, 토잉훅(156)이 탈거 가능하게 조립되는 토잉훅 조립부(116)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assembly parts 112 , 114 , and 116 include a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to which the compressor 152 is detachably assembled, a sealant assembly part 114 to which the sealant 154 is detachably assembled, and a towing hook 156 . ) includes a towing hook assembly 116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112)는, 케이스(100)가 플로어 상판부(210)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클램프 조립부(118)의 좌측 위치와 우측 위치 중 어느 한쪽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차체 플로어 패널(200)의 구조상 컴프레서 조립부(112)는 클램프 조립부(118)의 좌측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mpressor assembly unit 112 may be formed at any one of a left position and a right position of the clamp assembly unit 118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case 100 is mounted on the floor top plate 210 . 1 and 6 , in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200 ,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is preferably formed at a left position of the clamp assembly part 118 .

상기 실런트 조립부(114)는, 클램프 조립부(118)의 좌측 위치와 우측 위치 중 다른 한쪽 위치(즉,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112)가 미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실런트 조립부(114)는 클램프 조립부(118)의 우측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alant assembly part 114 may be formed at the other of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clamp assembly 118 (ie, the position where the compressor assembly 112 is not formed). 1 and 6 , the sealant assembly 114 may be formed at a right side of the clamp assembly 118 .

상기 토잉훅 조립부(116)는, 클램프 조립부(118)와 실런트 조립부(114)의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중 어느 한쪽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컴프레서 조립부(112)의 좌측 위치와 우측 위치 중 어느 한쪽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토잉훅 조립부(116)는, 컴프레서 조립부(112)의 우측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부피 축소를 위해 클램프 조립부(118)와 실런트 조립부(114)의 하측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e hook assembly part 116 may be formed at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lamp assembly part 118 and the sealant assembly part 114 ,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 It may be formed at any one of the positions. 1 and 6 , the towing hook assembly unit 116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mpressor assembly unit 112 , and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case 100 , the clamp assembly unit 118 and the sealan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assembly part 114 .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112)와 실런트 조립부(114) 및 클램프 조립부(118)는, 차량의 좌우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1 and 6 ,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 the sealant assembly part 114 , and the clamp assembly part 118 may b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ehicle.

상기 타이어 수리 키트(150)는,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하거나 타이어의 공기압이 기준치보다 낮아지는 등의 경우에 타이어를 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타이어 모빌리티 키트(Tire Mobility Kit, TMK)라고도 하며, 상기의 컴프레서(152)와 실런트(154) 및 토잉훅(156)을 포함한다. The tire repair kit 150 is used to repair a tire when a puncture occurs in the tire or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is also called a Tire Mobility Kit (TMK). It includes a compressor 152 and a sealant 154 and a toe hook 156 of the.

타이어를 수리할 때, 상기 컴프레서(152)는 펑크가 난 타이어에 공기를 소정 압력까지 주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실런트(154)는 컴프레서(152)를 이용하여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할 때 공기와 함께 주입되어 타이어의 펑크 발생 부위를 매워서 공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토잉훅(156)은 운행이 불가한 차량에 장착하여 견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When repairing a tire, the compressor 152 may be used to inject air into the punctured tire up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he sealant 154 may be used to inject air into the tire using the compressor 152 . It may be injected together with a puncture site of the tire and used to prevent air leakage, and the towing hook 156 may be used to tow a vehicle that cannot be driven.

상기 클램프 조립부(118)는, 컴프레서 조립부(112)와 실런트 조립부(114)의 사이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토잉훅 조립부(116)의 전방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lamp assembly unit 11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compressor assembly unit 112 and the sealant assembly unit 114 , and may be formed at a front position of the toe hook assembly unit 116 .

상기 클램프 조립부(118)는, 그 중앙 위치에 클램프(119)의 볼트부(119a)가 관통하는 관통홀(118a)이 형성된다. The clamp assembly part 118 has a through hole 118a through which the bolt part 119a of the clamp 119 passes is formed at its central position.

클램프 조립부(118)에 클램프(119)를 조립할 때 상기 관통홀(118a)을 관통하는 볼트부(119a)에 의해 클램프 조립부(11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클램프 조립부(118)에 장착된 클램프(119)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18a)의 상측부는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clamp assembly part 118 from being damaged by the bolt part 119a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118a when assembling the clamp 119 to the clamp assembly part 118, and the clamp assembly part 118 ),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18a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s shown in FIG.

그리고 케이스(100)의 성형을 위한 금형의 단순화를 위해, 상기 관통홀(118a)의 하측부는 둘레방향의 일정 구간이 하방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8a)의 하측부가 하방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슬라이딩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상형과 하형을 이용하여 케이스(10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And for the simplification of the mold for molding the case 100,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18a may be formed such that a certain s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gradually expands downward.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18a is formed in a shape extending downward, the case 100 can be molded using the upper and lower molds without using a separate sliding core (see FIG. 4 ).

이러한 클램프 조립부(118)의 하방 위치에는 케이스 하측면부(120)의 중공부(128)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28)에 차체 브라켓(230)의 상측부가 삽입 배치되어 클램프 조립부(118)의 하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 조립부(118)의 하측면은 케이스 하측면부(120)가 플로어 상판부(210)에 배치될 때 차체 브라켓(230)의 상측부에 적층되어 접촉된다. A hollow portion 128 of the case lower surface portion 120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lamp assembly portion 118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28 to insert the clamp assembly portion 118 . )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lamin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and contacts when the case lower surface part 120 is disposed on the floor upper plate part 210 .

상기 차체 브라켓(230)의 상측부 하면에는 너트부(232)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부(232)는 관통홀(118a)을 통과한 볼트부(119a)와 체결된다. 상기 차체 브라켓(230)은 그 하측부가 플로어 상판부(210)에 접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차체 브라켓(230)의 상측부는 클램프 조립부(118)의 하측면에 표면접촉 상태로 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A nut part 23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 and the nut part 232 is fastened to the bolt part 119a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8a.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is fixed by being bonded to the floor top plate 210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is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assembly unit 118 in a surface contact state.

상기 케이스 하측면부(120)는, 케이스 상측면부(110)의 하측 위치에 형성된 부분이며, 제1하측경사면부(122)와 제2하측경사면부(124) 및 하측평면부(126)가 형성된다. The case lower surface portion 120 is a portion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ase upper surface portion 110 , and a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2 , a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 and a lower flat portion 126 are formed. .

상기 제1하측경사면부(122)는, 컴프레서 조립부(112)의 하측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플로어 상판부(210)에 적층되어 접촉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제1하측경사면부(122)는, 케이스 전측면부(130)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케이스 전측면부(130)와 90° 미만의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2 may be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 and may be stacked on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and supported in a contact state.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2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ase front side portion 130,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n angle of less than 90° with the case front side surface portion 130. .

이러한 제1하측경사면부(122)는, 클램프 조립부(118)의 상측면 및 하측면과 평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하측경사면부(122)는, 클램프 조립부(118)가 플로어 상판부(210)의 차체 브라켓(230)에 체결되고 제1하측경사면부(122)가 플로어 상판부(210)에 적층될 때,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2 may be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lamp assembly portion 118 . In addition, in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2 ,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of the floor upper plate part 210 and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2 is laminated on the floor upper plate part 210 . In this case, it may be arranged in a state close to th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하측경사면부(124)는, 컴프레서 조립부(112)의 하측 위치 및 제1하측경사면부(122)의 후방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하측경사면부(124)는 컴프레서 조립부(112)의 하측 위치 및 후방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4 may be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and a rear position of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2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may be formed at a lower position and a rear position of the compressor assembly unit 112 .

제2하측경사면부(124)는, 케이스 전측면부(130)와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케이스 전측면부(130)와 90° 미만의 각도(즉, 예각)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하측경사면부(124)는, 케이스 후측면부(140)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케이스 후측면부(140)와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4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ase front side surface part 130 , and specifically,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n angle (ie, an acute angle) of less than 90° with the case front side surface part 130 . can be formed with In addition,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may b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ase rear surface portion 140 , and specifically may be form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case rear surface portion 140 .

이러한 제2하측경사면부(124)는, 클램프 조립부(118)의 상측면 및 하측면과 평행을 이룰 수 있으며, 또한 클램프 조립부(118)가 플로어 상판부(210)의 차체 브라켓(230)에 체결되고 제2하측경사면부(124)이 배터리(300)의 상단에 적층될 때 차량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4 may be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lamp assembly part 118 , and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of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 When fastened and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is stacked on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300 , it may be disposed in a state close to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한편, 상기 배터리(300)의 상단에는 제2하측경사면부(124)의 전후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단차부(3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하측경사면부(124)에는 제2하측경사면부(124)가 배터리(300)의 상단에 적층될 때 상기 단차부(310)에 걸리는 걸림턱(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00)의 상단은, 구체적으로 배터리 커버의 상단일 수 있으며, 플로어 상판부(210)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tep portion 310 for limit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300 , and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has a second lower portion. Whe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battery 300 , a locking protrusion 124a caught on the step portion 310 may be formed.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300 may be, specifically,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over, and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210 .

클램프 조립부(118)가 차체 브라켓(230)을 통해 플로어 상판부(210)에 체결될 때, 상기 걸림턱(124a)이 단차부(310)에 맞닿은 상태로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케이스(100)의 전후방향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fastened to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through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 the locking jaw 124a is caught and suppor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step part 3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ase 100 . movement can be prevented.

그리고 이때, 케이스 하측면부(120) 중 제1하측경사면부(122)와 제2하측경사면부(124) 사이에 영역은, 플로어 상판부(210)와 배터리(300) 사이의 공간에 떠있게 된다.And at this time, the area between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2 and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4 of the case lower surface part 120 is floating in the space between the floor upper plate part 210 and the battery 300 .

상기 하측평면부(126)는, 클램프 조립부(118)와 실런트 조립부(114) 및 토잉훅 조립부(116)의 하측 위치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스 하측면부(120)에서 제1하측경사면부(122)와 제2하측경사면부(124)를 제외한 영역의 대부분이 상기 하측평면부(126)일 수 있다. The lower flat part 126 may be formed entirely at lower positions of the clamp assembly part 118 , the sealant assembly part 114 , and the toe hook assembly part 116 . In other words, most of the area of the case lower surface portion 120 except for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2 and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may be the lower flat portion 126 .

상기 하측평면부(126)는, 클램프 조립부(118)의 상측면 및 하측면과 평행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프 조립부(118)가 플로어 상판부(210)의 차체 브라켓(230)과 체결될 때 상기 플로어 상판부(210)에 적층되어 접촉될 수 있다. The lower flat part 126 may be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lamp assembly part 118 , and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of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 It may be laminated and contacted with the floor top plate portion 210 when fastened with the .

이러한 하측평면부(126)의 중앙 위치에 상기의 중공부(12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128)는 클램프 조립부(118)의 하측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hollow portion 128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lower flat portion 126 , and the hollow portion 128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amp assembly unit 118 .

상기 하측평면부(126)가 플로어 상판부(210)에 적층될 때, 차체 브라켓(230)의 상측부 및 볼트부(119a)의 하측부가 상기 중공부(128)에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flat part 126 is stacked on the floor upper plate part 210 ,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and the lower part of the bolt part 119a may be positioned in the hollow part 128 .

케이스 전측면부(130)는, 케이스 상측면부(110)의 전단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이며, 클램프 조립부(118)가 차체 브라켓(230)을 통해 플로어 상판부(210)에 결합될 때 후석 시트(400)의 후면을 마주하게 된다.The case front side part 130 is a part formed at the front end position of the case upper side part 110 , and when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coupled to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through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 the rear seat 400 . ) face the rear.

이러한 케이스 전측면부(130)는, 제1하측경사면부(122) 및 제2하측경사면부(124)와 예각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존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가 장착되기 어려운 위치(즉, 후석 시트(400)의 후방 및 하측 위치)에 케이스(10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The case front side part 130 may be formed in a plane forming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2 and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4 ,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case for the conventional tire repair kit. It enables the installation of the case 100 in the position (ie, the rear and lower positions of the rear seat 400).

상기 케이스 전측면부(130)는, 클램프 조립부(118)가 차체 브라켓(230)에 체결되고 제1하측경사면부(122)가 플로어 상판부(210)에 적층되고 제2하측경사면부(124)가 배터리(300)의 상단에 적층될 때, 후석 시트(400)의 후면과 평행을 이루거나 평행에 가까운 상태가 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케이스(100)를 후석 시트(400)의 바로 뒤에 장착가능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 전측면부(130)는 후석 시트(400)의 각도 조절을 위한 일정 간격을 두고 후석 시트(400)의 후방 및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e case front side part 130,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bracket 230,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2 is laminated on the floor upper plate part 210, and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4 is formed. When stacked on top of the battery 300 , it may be parallel to or close to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eat 400 . Accordingly, the case 100 can be mounted directly behind the rear seat 400 . In this case, the case front side portion 13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eat 4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rear seat 400 .

차량 실내의 후석 공간에 배치되는 후석 시트(400)는, 러기지룸(S)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후석 공간과 러기지룸(S)을 구분한다. 상기 후석 시트(400)는, 기본적으로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누운 상태로 장착되며, 따라서 상기 후석 시트(400)의 후방 위치에 기존의 케이스(도 8의 2 참조)를 장착하는 경우 러기지룸(S)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된다.The rear seat 400 disposed in the rear seat space of the vehicle interio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uggage room S to separate the rear seat space from the luggage room S. The rear seat 400 is basically mounted in a state lying obliquely to the rear, so when the existing case (see 2 in FIG. 8 ) is mounted in the rear position of the rear seat 400, the luggage room (S) ), the space utilization is reduced.

케이스 후측면부(140)는, 케이스 상측면부(110)의 후단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이며, 상기 케이스 전측면부(130)의 후방 위치에 형성된다. The case rear side portion 140 is a portion formed at a rear end position of the case upper side surface unit 110 , and is formed at a rear position of the case front side surface unit 130 .

이러한 케이스 후측면부(140)는, 케이스 전측면부(130)와 평행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케이스(100)를 성형 후 금형에서 취출할 때 상형과 하형의 이탈이 용이해질 수 있다. The case rear side part 140 may be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case front side part 130, and accordingly, when the case 100 is taken out from the mold after molding,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can be easily separated. .

한편, 타이어 수리 키트(150)의 조립을 위한 각 조립부(112,114,116)들은, 케이스(100)의 취출 시 하형의 이탈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타이어 수리 키트(150)가 삽입될 수 있고, 케이스(100)의 취출 시 상형의 이탈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타이어 수리 키트(150)가 탈거될 수 있다. Meanwhile, in each of the assembly parts 112 , 114 , and 116 for assembling the tire repair kit 150 , the tire repair kit 150 may be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eparture direction of the lower mold when the case 100 is taken out, and the case 100 . ), the tire repair kit 150 may be re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eparture direction of the upper mol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타이어 수리 키트(150)가 각 조립부(112,114,116)에 삽입되는 조립방향은, 케이스 전측면부(130)의 배치방향과 동일방향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전측면부(130)의 배치방향은, 클램프(119)의 볼트부(119a)가 클램프 조립부(118)의 관통홀(118a)을 관통하는 방향과 90° 미만의 일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볼트부(119a)는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관통홀(118a)을 관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assembly direction in which the tire repair kit 150 i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assembly parts 112 , 114 , and 116 may be the same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se front side part 130 .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se front side part 130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less than 90°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lt part 119a of the clamp 119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18a of the clamp assembly part 118. . The bolt part 119a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18a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컴프레서 조립부(112)에 삽입되는 컴프레서(152)의 조립방향과, 실런트 조립부(114)에 삽입되는 실런트(154)의 조립방향과, 토잉훅 조립부(116)에 삽입되는 토잉훅(156)의 조립방향은, 케이스 전측면부(130) 및 케이스 후측면부(140)의 배치방향과 동일방향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compressor 152 inserted into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sealant 154 inserted into the sealant assembly part 114 , and the toe hook assembly part 116 inserted into the tow hook assembly part 116 . The assembly direction of the ink hook 156 may b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se front side portion 130 and the case rear side surface portion 140 .

좀더 말하면, 컴프레서(152)는 컴프레서 조립부(112)에 조립될 때 케이스 전측면부(130)의 배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실런트(154)는 실런트 조립부(114)에 조립될 때 케이스 전측면부(130)의 배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고, 토잉훅(156)은 토잉훅 조립부(116)에 조립될 때 케이스 전측면부(130)의 배치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mpressor 152 may be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se front side part 130 when assembling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 and the sealant 154 may be assembled into the sealant assembly part 114 . When the case front side portion 130 can be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the toe hook 156 is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se front side surface portion 130 when assembled to the toe hook assembly unit 116 . can be

이때 컴프레서(152)와 토잉훅(156) 및 실런트(154)는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112)와 토잉훅 조립부(116) 및 실런트 조립부(114)에 각각 압입식으로 강제 조립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pressor 152, the towing hook 156, and the sealant 154 may be forcibly assembled or detached from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the toe hook assembly part 116, and the sealant assembly part 114 in a press-fit manner, respectively. have.

상기 컴프레서(152)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112)는 그 둘레방향의 일측에 슬롯(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112a)은 케이스 전측면부(130)에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facilitate removal of the compressor 152 , a slot 112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or assembly 11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s shown in FIG. 5 , the slot 112a may be formed in the case front side 130 .

상기 슬롯(112a)은, 컴프레서 조립부(112)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컴프레서 조립부(112)에 조립되어 있는 컴프레서(152)의 일측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슬롯(112a)을 통해 노출된 컴프레서(152)의 일측을 잡고 컴프레서(152)를 컴프레서 조립부(112)에서 용이하게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The slot 112a is formed to open one side of the compressor assembling unit 112 , so that a user can hold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2 assembled to the compressor assembling unit 112 .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compressor 152 from the compressor assembly 112 by holding one side of the compressor 152 exposed through the slot 112a.

또한 토잉훅 조립부(116)의 둘레방향의 일측에도 슬롯(116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롯(116a)을 통해 토잉훅(156)의 탈거 용이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lot 116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oeing hook assembly part 11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ease of removal of the toeing hook 156 may be secured through the slot 116a.

그리고 실런트 조립부(114)에 삽입된 실런트(154)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랩(158)이 추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trap 158 may be additionally used to prevent shaking of the sealant 154 inserted into the sealant assembly unit 114 .

상기 스트랩(158)은, 케이스(100)에 조립되어서 실런트(154)를 실런트 조립부(114)에 추가 고정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랩(158)은, 실런트 조립부(114)에 삽입된 실런트(154)와 토잉훅 조립부(116)에 삽입된 토잉훅(156)을 감싸도록 케이스(100)에 조립될 수 있다. The strap 158 may be assembled to the case 100 to additionally fix the sealant 154 to the sealant assembly unit 114 . Specifically, the strap 158 may be assembled to the case 100 so as to surround the sealant 154 inserted into the sealant assembly unit 114 and the toe hook 156 inserted into the toe hook assembly unit 116 . .

이때 스트랩(158)이 케이스(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스트랩 걸림부(162,164,1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걸림부(162,164,166)는 케이스 상측면부(110)와 케이스 전측면부(130) 및 케이스 후측면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strap 158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se 100 , strap locking portions 162 , 164 , and 16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 The strap locking parts 162 , 164 , and 166 may be formed on the case upper side part 110 , the case front side part 130 , and the case rear side part 140 .

스트랩(158)은 상기 스트랩 걸림부(162,164,166)에 조립되어서 실런트(154)와 토잉훅(156)을 추가로 고정해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실런트(154)와 토잉훅(156)의 유동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trap 158 may be assembled to the strap locking portions 162 , 164 , and 166 to additionally fix the sealant 154 and the toeing hook 156 , thereby more effectively preventing the sealant 154 and the toeing hook 156 from flowing. can be prevented.

상기 스트랩(158)은 스트랩 걸림부(162,164,166)에 끼워져서 조립되며, 케이스 하측면부(120)에도 스트랩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trap 158 is assembled by being fitted to the strap locking parts 162 , 164 , and 166 , and the strap locking part may also be formed on the case lower side part 12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100)는, 클램프 조립부(118)가 플로어 상판부(210)에 장착될 때, 제1하측경사면부(122)와 하측평면부(126)는 플로어 상판부(210)에 적층되고, 제2하측경사면부(124)는 배터리(300)의 상단에 적층되며, 케이스 전측면부(130)는 후석 시트(400)의 후면과 동일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 전측면부(130)가 후석 시트(400)의 후면과 동일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됨으로써, 후석 시트(400)의 뒤쪽 공간에 효율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되며 러기지룸(S)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100 for the tire repair k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mounted on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art 122 and the lower flat part 126 are the floor top plate part ( 210 ,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is stacked on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300 , and the case front surface portion 130 is disposed oblique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eat 400 . do. In the case 100, the case front side 130 is disposed obliquely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ar side of the rear seat 400, so that it can be efficiently mounted in the space behind the rear seat 400 and the luggage room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S).

또한 상기 케이스(100)는, 클램프 조립부(118)가 클램프(119)에 의해 플로어 상판부(210)에 결합될 때, 컴프레서 조립부(112)와 토잉훅 조립부(116)가 차량의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됨으로써, 러기지룸(S)의 공간 활용도를 더 증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100, when the clamp assembly part 118 is coupled to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by the clamp 119,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and the toe hook assembly part 116 move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By obliquely disposed,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luggage room (S).

이러한 케이스(100)의 형상을 고려하여, 러기지 보드(240)는 접이식으로 형성된 러기지 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러기지 보드(240)는 제1판부(242)와 상기 제1판부(242)의 전단에 선회가능하게 형성된 제2판부(2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판부(244)는 제1판부(242)의 전단을 기준으로 제2판부(244)에 대해 일정 각도로 선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판부(244)는 컴프레서 조립부(112) 및 토잉훅 조립부(116)의 경사도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선회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러기지룸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Considering the shape of the case 100 , the luggage board 240 may be a folding luggage board. In detail, the luggage board 240 may include a first plate part 242 and a second plate part 244 rotatably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plate part 242 . The second plate part 244 may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plate part 244 based on the front end of the first plate part 242 . For example, the second plate part 244 can be rotated by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112 and the toe hook assembly part 116, so that efficient space utilization of the luggage room is possible. do.

상기 러기지 보드(240)는 러기지 사이드트림(250)에 조립될 때 제2판부(244)가 제1판부(242)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러기지 보드(240)는 한 쌍의 러기지 사이드트림(25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러기지 사이드트림(250)은 플로어 상판부(210)의 좌측부와 우측부 위에 장착되어 함몰판부(220)의 양측에 배치된다.The luggage board 240 is assembled such that the second plate 244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plate 242 when it is assembled to the luggage side trim 250 . Specifically, the luggage board 240 is disposed between a pair of luggage side trims 250 , and the pair of luggage side trims 250 is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oor top plate 210 . It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late portion 220 .

상기 러기지 보드(240)는, 러기지 사이드트림(250)에 의해 지지되어 케이스 상측면부(110) 및 플로어 상판부(210)의 상측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케이스(100)에 장착된 타이어 수리 키트(150) 및 배터리(300)와 일정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된다.The luggage board 240 may be supported by the luggage side trim 250 and disposed above the case upper side part 110 and the floor top plate part 210 , and in this case, the tire mounted on the case 100 . The repair kit 150 and the battery 300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A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also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nce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110 : 케이스 상측면부 112 : 컴프레서 조립부
112a : 슬롯 114 : 실런트 조립부
116 : 토잉훅 조립부 116a : 슬롯
118 : 클램프 조립부 118a : 관통홀
119 : 클램프 119a : 볼트부
120 : 케이스 하측면부 122 : 제1하측경사면부
124 : 제2하측경사면부 124a : 걸림턱
126 : 하측평면부 128 : 중공부
130 : 케이스 전측면부 140 : 케이스 후측면부
150 : 타이어 수리 키트 152 : 컴프레서
154 : 실런트 156 : 토잉훅
158 : 스트랩 162,164,166 : 스트랩 걸림부
200 : 차체 플로어 패널 210 : 플로어 상판부
220 : 함몰판부 230 : 차체 브라켓
232 : 너트부 240 : 러기지 보드
250 : 러기지 사이드트림 300 : 배터리
310 : 단차부 400 : 후석 시트
S : 러기지룸
100: (for tire repair kit) case
110: case upper side part 112: compressor assembly part
112a: slot 114: sealant assembly
116: toe hook assembly 116a: slot
118: clamp assembly 118a: through hole
119: clamp 119a: bolt part
120: case lower side portion 122: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124a: locking jaw
126: lower flat part 128: hollow part
130: case front side 140: case rear side
150: tire repair kit 152: compressor
154: sealant 156: toe hook
158: strap 162,164, 166: strap hooking part
200: body floor panel 210: floor top plate part
220: recessed plate 230: body bracket
232: nut unit 240: luggage board
250: luggage side trim 300: battery
310: step 400: rear seat seat
S : Luggage Room

Claims (14)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로서,
타이어 수리 키트가 조립되는 복수의 조립부가 형성되고, 러기지룸의 하측에 배치된 차체 플로어 패널의 플로어 상판부에 장착되는 클램프 조립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측면부;
상기 케이스 상측면부의 하방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차체 플로어 패널의 함몰판부 내에 탑재된 배터리의 상단과 상기 플로어 상판부 위에 배치되는 케이스 하측면부;
상기 케이스 상측면부의 전단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조립부가 플로어 상판부에 장착될 때 상기 러기지룸의 전방에 배치된 시트의 후면과 동일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케이스 전측면부;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comprising:
a case upper sid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assembly portions to which the tire repair kit is assembled are formed, and a clamp assembly portion is formed to be mounted on a floor upper plate portion of a vehicle body floor panel disposed below the luggage room;
a case lower surface portion formed below the case upper surface portion and dispos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mounted in the recessed plate portion of the vehicle body floor panel and the floor upper portion;
a case front side portion formed at a front end position of the case upper side portion and obliquely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a rear surface of a seat disposed in front of the luggage room when the clamp assembly unit is mounted on the floor top plate portion;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립부는, 클램프 조립부의 좌측 위치와 우측 위치 중 어느 한쪽 위치에 형성되는 컴프레서 조립부와 다른 한쪽 위치에 형성되는 실런트 조립부, 및 상기 클램프 조립부와 실런트 조립부의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중 어느 한쪽 위치에 형성되는 토잉훅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assembling units may include a compressor assembling unit formed at either one of a left position and a right position of the clamp assembling unit, and a sealant assembling unit formed at the other position, and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lamp assembling unit and the sealant assembling unit.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oe hook assembly part formed at either posi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부가 클램프에 의해 플로어 상판부에 결합될 때,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와 토잉훅 조립부는 차량의 전방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lamp assembly part is coupled to the floor top plate by the clamp,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and the toe hook assembly part are disposed at an angle to the front of the vehic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측면부에는,
컴프레서 조립부의 하측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상판부에 적층되어 지지되는 제1하측경사면부와;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의 하측 위치 및 상기 제1하측경사면부의 후방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 적층되어 지지되는 제2하측경사면부;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a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mpressor assembly portion and supported by being laminated on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a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compressor assembly unit and a rear position of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supported by being stacked on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하측경사면부와 상기 제2하측경사면부는, 상기 케이스 전측면부와 소정의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wherein the first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ar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cute angle with the case front surface por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측면부에는, 토잉훅 조립부의 하측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어 상판부에 적층되어 지지되는 하측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case has a lower flat portion formed at a lower position of the toeing hook assembly portion and supported by being stacked on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전측면부는, 상기 클램프 조립부가 플로어 상판부에 장착될 때 상기 시트의 후방 및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의 후면을 마주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case is disposed on the rear and lower sides of the seat to face the rear of the seat when the clamp assembly portion is mounted on the floor top pl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하측면부에는 클램프 조립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하측면부가 플로어 상판부에 적층될 때 상기 플로어 상판부의 차체 브라켓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클램프 조립부의 하측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hollow portion disposed below the clamp assembly portion is formed in the case lower surface portion, and when the case lower surface portion is stacked on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the vehicle body bracket of the floor upper plat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clamp assembly portion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조립부는 그 중앙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조립부의 하측면은 너트부를 구비한 차체 브라켓의 상측부에 적층되고, 상기 클램프의 볼트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9. The method of claim 8,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clamp assembly part, a lower surface of the clamp assembly part is laminated on an upper side of a vehicle body bracket having a nut part, and a bolt part of the clamp penetrates the through hole and is fastened with the nut part.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측경사면부에는 상기 단차부에 맞닿아서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tep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ttery, and a locking protrusion supported by abutting the step portion is formed on the second lower inclined surface por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상단은 플로어 상판부보다 낮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11. The method of claim 10,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is disposed lower than the floor upper pl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 조립부는 그 둘레방향의 일측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은 컴프레서 조립부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wherein a slo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slot is formed to open one side of the compressor assembly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측면부는 차체 플로어 패널의 상측에 배치된 러기지 보드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case is a portion of the luggage boar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or panel of the vehicle body. A case for a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bel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몰판부는 상기 플로어 상판부의 중앙 위치에 차량의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타이어 수리 키트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for a tire repair kit for a hybri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plate part is formed to be recessed below the vehicle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floor top plate part.
KR1020200056947A 2020-05-13 2020-05-13 Case for tire repair kit of vehicle Active KR1028298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47A KR102829848B1 (en) 2020-05-13 Case for tire repair kit of vehicle
DE102020134955.6A DE102020134955B4 (en) 2020-05-13 2020-12-28 CASE FOR TIRE REPAIR KIT OF A HYBRI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47A KR102829848B1 (en) 2020-05-13 Case for tire repair kit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11A true KR20210138911A (en) 2021-11-22
KR102829848B1 KR102829848B1 (en) 2025-07-03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34955A1 (en) 2021-11-18
DE102020134955B4 (en) 202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129B2 (en) Energy storage arrangement in the floor area of a vehicle
US20080000703A1 (en) Carrying structure for a vehicle battery pack
KR101762276B1 (en) Mounting structure of battery and spare tire for vehicle
US20080106115A1 (en) Recreational vehicle top and doors assembly
WO2013027576A1 (en) Structure for front portion of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KR20210138911A (en) Case for tire repair kit of hybrid vehicle
US20160046335A1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KR102829848B1 (en) Case for tire repair kit of vehicle
US10566588B2 (en) Battery cell support assembly
JP2007118796A (en) Vehicle structure for mounting battery
JP6155645B2 (en) Battery pack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CN217396659U (en) Vapour car trunk apron, vapour car trunk and car
KR100203160B1 (en)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battery
US11203384B2 (en) Spare tire mounting structure
US20130062236A1 (en) Toolbox
US11491925B2 (en)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nd interior compartment of a vehicle having same
JP2006213252A (en) Spare tire storage for vehicles
JP6481195B2 (en) In-vehicle structure of battery pack
CN214607358U (en) Light high stability vapour car trunk toolbox
CN218021367U (en) Motorcycle carrying assembly
CN218558666U (en) Installation fixed knot of carpet constructs before vapour car trunk
CN219360968U (en) Vehicle tool supporting plate and vehicle
CN220430053U (en) Turnover structure of vehicle trunk carpet and vehicle trunk carpet assembly
KR100788070B1 (en) Spare tire mounting device
US11319000B2 (en) Stak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4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5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