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341A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Google Patents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7341A KR20210137341A KR1020200055393A KR20200055393A KR20210137341A KR 20210137341 A KR20210137341 A KR 20210137341A KR 1020200055393 A KR1020200055393 A KR 1020200055393A KR 20200055393 A KR20200055393 A KR 20200055393A KR 20210137341 A KR20210137341 A KR 202101373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monia
- fuel supply
- pipe
- combustion engine
- fu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 respectively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167 toxic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2 gas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03—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gaseous fuel
- F02M21/0206—Non-hydrocarbon fuels, e.g. hydrogen, ammonia or carbon monoxid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21—Fuel storage reservoirs, e.g. cryogenic ta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35—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3—Treating the boil-off
- F17C2265/031—Treating the boil-off by discha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액상암모니아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로부터 액상암모니아를 제1 연소기관으로 공급하는 제1 연료공급관과,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어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암모니아의 공급압력을 높이는 승압펌프와, 승압펌프 후단의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어 제1 연소기관으로 공급되는 액상암모니아의 온도를 높이는 온도조절유닛과,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액상암모니아가 자연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를 배출하는 BOG배출관과, BOG배출관에 연결되어 암모니아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분기되어 암모니아를 제2 연소기관으로 공급하는 제2 연료공급관과, 압축기 후단의 BOG배출관에 연결되는 열교환기, 및 일단이 승압펌프 전단의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제2 연료공급관에 연결되는 제1 연료이송관을 포함하되, 열교환기 후단의 BOG배출관은 상기 저장탱크로 연결될 수 있다.An ammonia fuel supply device is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moni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torage tank for storing liquid ammonia, a first fuel supply pipe for supplying liquid ammonia from the storage tank to a first combustion engin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for storage A boosting pump for increasing the supply pressure of the liquid ammonia supplied from the tank, a temperatur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at the rear end of the boosting pump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ammonia supplied to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a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liquid phase A BOG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ammonia generated by natural vaporization of ammonia, a compressor connected to the BOG discharge pipe to compress ammonia, a second fuel supply pipe branching from the compressor to supply ammonia to a second combustion engine, and BOG at the rear end of the compressor 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and a first fuel transpor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at the front end of the boosting pum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uel supply pipe via the heat exchanger, wherein the BOG discharge pipe at the rear end of the heat exchanger is It can be connected to a storage tank.
Description
본 발명은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구되는 연료 조건이 서로 다른 연소기관에 각각 대응하는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monia fuel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mmonia fuel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fuel corresponding to combustion engines having different required fuel conditions,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각종 엔진은 연료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하며,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하고 있다. 대기오염이 증가함에 따라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도 유엔 산화기관인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로부터 배출규제를 받고 있다. 실제, 국제해사기구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08년 대비 40% 줄이고,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70% 줄이는 것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저탄소 또는 탈탄소 연료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성하는 친환경 선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차세대 친환경 연료 중 하나로 연소 시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는 암모니아가 대두되고 있다.In general, various engines installed in ships generate power by burning fuel, and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mbustion of fuel includes nitrogen oxides, sulfur oxides, carbon dioxide, and the like. As air pollution increases, regulations on various harmful substances included in exhaust gas are becoming stricter, and not only nitrogen oxides and sulfur oxides, but also carbon dioxide have been regulated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the UN oxidizing agency. are receiving In fact,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s in the process of reducing carbon dioxide emissions by 40% compared to 2008 by 2030 and 70% by 2050 compared to 2008. Accordingly, development of an eco-friendly ship that generates power using a low-carbon or decarbonized fuel is required, and ammonia, which does not emit carbon dioxide during combustion, is emerging as one of the next-generation eco-friendly fuels.
한편, 암모니아를 연료로 하는 종래의 선박은, 연소기관이 액상의 암모니아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하므로, 저장탱크 또는 배관 내에 있는 액상의 암모니아가 기화되어 생성된 기상의 암모니아를 대기로 방출하였다. 또한, 연소기관이 트립(trip, 차단기 자동 개방)되거나 연소기관의 이상 시, 암모니아를 공급하는 배관 및 엔진 사이드 쪽에 있는 연료잔여물을 퍼징하고, 퍼징된 연료를 한데 모아 대기로 방출하였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독성물질이고, 대기로 방출 시 신속하게 흩어져 퍼지는 것이 아니므로, 암모니아를 대기로 방출하는 것은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conventional ship using ammonia as a fuel, a combustion engine generates power by burning liquid ammonia, and thus liquid ammonia in a storage tank or pipe is vaporized to release ammonia in the gaseous phase to the atmosphere. In addition, when the combustion engine trips (automatically open circuit breaker) or the combustion engine malfunctions, the fuel residues on the pipe supplying ammonia and the engine side are purged, and the purged fuel is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However, since ammonia is a toxic substance and does not spread quickly when released to the atmosphere, releasing ammonia into the atmosphere has a safety problem.
이에, 액상의 암모니아를 연소하는 연소기관과, 기상의 암모니아를 연소하는 연소기관을 모두 구비한 선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요구되는 연료 조건이 서로 다른 각각의 연소기관에 대응하는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hip equipped with both a combustion engine for burning liquid ammonia and a combustion engine for burning gaseous ammonia, and a device capable of supplying fuel corresponding to each combustion engine having different required fuel conditions. became necessary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요구되는 연료 조건이 서로 다른 연소기관에 각각 대응하는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mmonia fuel supply device capable of supplying fuels corresponding to combustion engines having different required fuel condi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액상암모니아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액상암모니아를 제1 연소기관으로 공급하는 제1 연료공급관과, 상기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상암모니아의 공급압력을 높이는 승압펌프와, 상기 승압펌프 후단의 상기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소기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액상암모니아의 온도를 높이는 온도조절유닛과,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액상암모니아가 자연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를 배출하는 BOG배출관과, 상기 BOG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암모니아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서 분기되어 상기 암모니아를 제2 연소기관으로 공급하는 제2 연료공급관과, 상기 압축기 후단의 상기 BOG배출관에 연결되는 열교환기, 및 일단이 상기 승압펌프 전단의 상기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연료공급관에 연결되는 제1 연료이송관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BOG배출관은 상기 저장탱크로 연결된다.Ammoni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torage tank for storing liquid ammonia, a first fuel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liquid ammonia from the storage tank to a first combustion engine; A boosting pump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to increase the supply pressure of the liquid ammonia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and the liquid ammonia supplied to the first combustion engine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at the rear end of the boosting pump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a BOG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to discharge ammonia generated by natural vaporization of the liquid ammonia; A compressor connected to the BOG discharge pipe to compress the ammonia; a second fuel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ammonia to a second combustion engine, 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BOG discharge pipe at the rear end of the compresso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before the booster pum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 and a first fuel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fuel supply pipe via a gas, wherein the BOG discharge pipe at the rear end of the heat exchanger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상기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제1 연료이송관에 설치되는 제1 감압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mmonia fuel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essure reducing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fuel transfer pipe at the rear end of the heat exchanger.
하 상기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BOG배출관에 설치되는 제2 감압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mmonia fuel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installed in the BOG discharge pipe at the rear end of the heat exchanger.
상기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승압펌프 후단의 상기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료공급관 내부의 상기 액상암모니아를 배출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암모니아를 저장하는 녹아웃드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mmonia fuel supply device includes a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at the rear end of the booster pump for discharging the liquid ammonia inside the first fuel supply pipe, and a knockout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to store the liquid ammonia It may further include a drum.
상기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일단이 상기 제1 연소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녹아웃드럼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소기관 내부의 액상암모니아 또는 상기 제1 연소기관 내부의 액상암모니아가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를 상기 녹아웃드럼으로 배출하는 연료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mmonia fuel supply devic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knockout drum, so that the liquid ammonia in the first combustion engine or the liquid ammonia in the first combustion engine is vaporized to generate ammonia It may further include a fuel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o the knockout drum.
상기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상기 녹아웃드럼과 상기 제2 연료공급관을 연결하여 상기 녹아웃드럼 내부의 암모니아를 상기 제2 연료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제2 연료이송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mmonia fuel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uel transport pipe connecting the knockout drum and the second fuel supply pipe to supply ammonia in the knockout drum to the second fuel supply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요구되는 연료 조건이 서로 다른 연소기관에 각각 대응하는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액상의 연료를 연소하는 제1 연소기관에 액상암모니아를 공급하고, 기상의 연료를 연소하는 제2 연소기관에 암모니아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이 각각 액상암모니아와 암모니아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아 국제해사기구의 배출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fuel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combustion engines having different required fuel conditions. That is, liquid ammonia may be supplied to a first combustion engine that burns liquid fuel, and ammonia may be supplied to a second combustion engine that burns gaseous fuel. Since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generate power by burning liquid ammonia and ammonia, respectively, carbon dioxide is not gener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emission regulations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또한,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암모니아를 배출하여 압축한 후 제2 연소기관에 공급하거나 압축 및 냉각한 후 감압하여 저장탱크로 회수하므로, 저장탱크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면서 장치 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mmonia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is discharged and compressed, then supplied to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or compressed and cooled and then decompressed and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the system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hile preventing the pressure increase in the storage tank.
또한,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이 트립되거나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의 이상 시 배관, 제1 연소기관, 제2 연소기관에 있는 액상암모니아 또는 기상암모니아를 배출하여 녹아웃드럼에 저장하고 순환시켜 연료로 재사용하므로, 독성물질인 암모니아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are tripped or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are abnormal, liquid ammonia or gaseous ammonia in the piping,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is discharged to the knockout drum. Since it is stored, circulated, and reused as fuel, ammonia, a toxic substance, can be treated more safely and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mmoni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operation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mmonia fuel supply devic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 ammoni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소기관에 암모니아를 공급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Ammoni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upplying ammonia to a combustion engine using ammonia as a fuel, for example, may be installed in an offshore structure such as a ship.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는 요구되는 연료 조건이 서로 다른 연소기관에 각각 대응하는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액상의 연료를 연소하는 제1 연소기관에 액상암모니아를 공급하고, 기상의 연료를 연소하는 제2 연소기관에 암모니아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이 각각 액상암모니아와 암모니아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아 국제해사기구의 배출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에서 발생한 암모니아를 배출하여 압축한 후 제2 연소기관에 공급하거나 압축 및 냉각한 후 감압하여 저장탱크로 회수하므로, 저장탱크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면서 장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이 트립되거나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의 이상 시 배관, 제1 연소기관, 제2 연소기관에 있는 액상암모니아 또는 기상암모니아를 배출하여 녹아웃드럼에 저장하고 순환시켜 연료로 재사용하므로, 독성물질인 암모니아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ammonia fuel supply device may supply fuel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combustion engines having different required fuel conditions. That is, liquid ammonia may be supplied to a first combustion engine that burns liquid fuel, and ammonia may be supplied to a second combustion engine that burns gaseous fuel. Since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generate power by burning liquid ammonia and ammonia, respectively, carbon dioxide is not genera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atisfy the emission regulations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n addition, since ammonia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is discharged and compressed, then supplied to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or compressed and cooled and then decompressed and recovered to the storage tank, the system efficiency can be increased while preventing the pressure increase in the storage tank.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are tripped or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are abnormal, liquid ammonia or gaseous ammonia in the piping,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is discharged to the knockout drum. Since it is stored, circulated, and reused as fuel,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ble to safely and effectively treat ammonia, a toxic substance.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the ammoni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mmonia fuel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1)는 저장탱크(10)와, 제1 연료공급관(20)과, 승압펌프(30)와, 온도조절유닛(40)과, BOG배출관(50)과, 압축기(51)와, 제2 연료공급관(60)과, 열교환기(52), 및 제1 연료이송관(26)을 포함한다.The ammonia
저장탱크(10)는 내부가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어 액상암모니아를 저장하는 탱크로, 내부 압력이 1barg 이하인 멤브레인 타입의 상압탱크로 형성되거나, 내부 압력이 1barg를 초과하되 10barg 미만인 C타입의 가압탱크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10)가 멤브레인 타입의 상압탱크인 경우, 내부에 저장된 액상암모니아의 온도는 -18.3℃ 이하일 수 있으며, 저장탱크(10)가 C타입의 가압탱크인 경우, 내부에 저장된 액상암모니아의 온도는 -18.3℃를 초과하되 28℃ 미만일 수 있다. 저장탱크(10)가 1barg 이하인 상압탱크로 형성되거나 10barg 미만인 가압탱크로 형성됨으로써, 고압의 탱크를 사용하는 종래의 경우보다 탱크 설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탱크 중량도 줄일 수 있어 선박의 운항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암모니아는 제1 연료공급관(20)을 통해 배출된다.The
제1 연료공급관(20)은 저장탱크(10)로부터 액상암모니아를 제1 연소기관(100)으로 공급하는 관으로, 일단이 저장탱크(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연소기관(1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연소기관(100)이라 함은, 액상암모니아를 연소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메인 엔진(ME, Main engine)일 수 있다. 제1 연료공급관(20)은 일단이 저장탱크(10)를 관통하여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된 가압펌프(11)에 연결되며, 타단은 저장탱크(10) 외부로 연장되어 제1 연소기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료공급관(20)의 일단이 가압펌프(11)에 연결됨에 따라, 저장탱크(10) 내부에 저장된 액상암모니아는 가압펌프(11)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연료공급관(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10)가 멤브레인 타입의 상압탱크인 경우, 액상암모니아는 가압펌프(11)에 의해 펌핑되어 약 20barg, -30.91℃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연료공급관(20)으로 공급된 액상암모니아는 승압펌프(30)로 이동한다.The first
승압펌프(30)는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암모니아의 공급압력을 높이는 것으로, 제1 연료공급관(20) 상에 적어도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승압펌프(30)는 연소기관(100)에서 요구하는 압력 이상으로 액상암모니아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암모니아는 승압펌프(30)에서 가압되어 약 70barg, -21.58℃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승압펌프(30)에 의해 가압된 액상암모니아는 일부가 후술할 회수관(23)을 통해 저장탱크(10)로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가 제1 연료공급관(20)을 통해 온도조절유닛(40)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온도조절유닛(40)은 승압펌프(30) 후단의 제1 연료공급관(20)에 연결되어 제1 연소기관(100)으로 공급되는 액상암모니아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청수 또는 글리콜 워터와 열교환하여 액상암모니아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액상암모니아는 온도조절유닛(40)에 의해 가온되어 약 65barg, 35℃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승압펌프(30) 및 온도조절유닛(40)을 차례로 통과하며 가압 및 가온된 액상암모니아는 제1 연료공급관(20)을 통해 제1 연소기관(100)으로 공급되어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연소기관(100)이 액상암모니아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아 국제해사기구의 이산화탄소 배출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제1 연소기관(100)은 통상,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시켜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가변주파수드라이브(VFD, Variable Frequency Drive)에 의해 연료의 유량이 조절되는데, 가변주파수드라이브만으로는 연료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1 연료공급관(20) 상에는 연료의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회수관(23)과 보조회수관(25)이 분기될 수 있다. 회수관(23)은 승압펌프(30)와 온도조절유닛(40) 사이의 제1 연료공급관(20)으로부터 분기되어 저장탱크(10)로 연결되며, 승압펌프(30)에서 승압된 액상암모니아 중 일부를 저장탱크(10)로 회수할 수 있다. 보조회수관(25)은 승압펌프(30) 전단의 제1 연료공급관(20)으로부터 분기되어 저장탱크(10)로 연결되며, 가압펌프(11)에서 펌핑된 액상암모니아 중 일부를 저장탱크(10)로 회수할 수 있다. 이러한 회수관(23)과 보조회수관(25) 상에는 각각 제1 유량조절밸브(23a)와 제2 유량조절밸브(25a)가 설치되어 저장탱크(10)로 회수되는 액상암모니아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는 1barg 이하인 상압탱크로 형성되거나 10barg 미만인 가압탱크로 형성되어 탱크 설계 비용과 탱크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내부 압력이 높지 않아 액상암모니아가 쉽게 자연 기화될 수 있다. 또는, 슬로싱(sloshing) 등의 원인으로 액상암모니아가 자연 기화될 수도 있다. 액상암모니아가 자연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는 탱크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하므로, 저장탱크(10)의 상단에 BOG배출관(50)을 연결하여 액상암모니아가 자연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10)가 멤브레인 타입의 상압탱크인 경우, BOG배출관(50)으로 배출된 암모니아는 약 0.09barg, 45℃의 상태일 수 있다. BOG배출관(50)에는 압축기(5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압축기(51)는 다단 압축기로 형성되어 제1 연소기관(100)에서 요구하는 압력으로 암모니아를 압축할 수 있다. 즉, 압축기(51)는 BOG배출관(50)에 직렬로 연결된 다단 압축기로 구성되며, 다단 압축기의 중간단에서 제2 연료공급관(60)이 분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제2 연료공급관(60)은 압축된 암모니아를 제2 연소기관(200)으로 공급하는 관으로, 일단이 압축기(51)의 중간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연소기관(2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연소기관(200)이라 함은, 기상의 암모니아를 연소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발전기 엔진(GE, Generator Engine)일 수 있다. 저장탱크(10)가 멤브레인 타입의 상압탱크인 경우, 제2 연료공급관(60)으로 분기된 암모니아는 약 5barg, 50℃의 상태일 수 있다. 제2 연료공급관(60)에는 제1 컨트롤밸브(60a)와 제3 개폐밸브(60b)가 설치되며, 제1 컨트롤밸브(60a)와 제3 개폐밸브(60b)는 각각 제2 연소기관(200)으로 공급되는 암모니아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압축기(51) 후단의 BOG배출관(50)은 저장탱크(10)로 연결되며, 압축기(51) 후단에 열교환기(52)가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52)는 압축기(51)에서 다단으로 압축된 암모니아를 냉각하여 액화시키는 것으로, BOG배출관(50)과 제1 연료이송관(26)을 열교환할 수 있다. 제1 연료이송관(26)은 일단이 승압펌프(30) 전단의 제1 연료공급관(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열교환기(52)를 경유하여 제2 연료공급관(6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열교환기(52)에서는 압축기(51)에서 압축된 암모니아와, 가압펌프(11)에서 펌핑된 액상암모니아가 열교환하며, 이로 인해, 암모니아는 액화되어 액화암모니아가 되고, 액상암모니아는 기화되어 기화암모니아가 된다. 예를 들어, 저장탱크(10)가 멤브레인 타입의 상압탱크인 경우, 압축기(51)에서 다단으로 압축된 암모니아는 약 65barg, 150℃의 상태가 되고, 열교환기(52)에서 냉각된 후 약 20barg, 23℃의 액화암모니아가 될 수 있다. 이 때, 제1 연료이송관(26)을 유동하는 액상암모니아는 열교환기(52) 전단에서 약 20barg, -30.91℃의 상태일 수 있으며, 열교환기(52) 통과 후 약 20barg, 25℃의 기화암모니아가 될 수 있다. 열교환기(52) 후단의 제1 연료이송관(26)에는 제1 감압밸브(26a)가 설치되므로, 기화암모니아는 제2 연소기관(200)에서 요구되는 압력으로 감압된 후 제2 연료공급관(60)에 합류될 수 있다. 저장탱크(10)가 멤브레인 타입의 상압탱크인 경우, 기화암모니아는 제1 감압밸브(26a) 통과 후, 약 5barg, 20℃의 상태이며, 암모니아와 기화암모니아가 혼합되면, 약 5barg(5~7barg), 40℃(5~55℃)의 상태가 될 수 있다.The
열교환기(52) 후단의 BOG배출관(50)에는 제2 감압밸브(53)가 설치되며, 제2 감압밸브(53)는 저장탱크(10)로 회수되는 액화암모니아를 감압하면서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탱크(10)가 멤브레인 타입의 상압탱크인 경우, 제2 감압밸브(53)를 통과한 액화암모니아는 약 1barg, ℃의 상태일 수 있다. 감압되어 냉각된 액화암모니아가 저장탱크(10)로 회수됨으로써, 저장탱크(10)의 내부 압력을 낮출 수 있다.A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53 is installed in the
한편, 승압펌프(30) 후단의 제1 연료공급관(20)에는 분기관(21)이 연결될 수 있다. 분기관(21)은 제1 연료공급관(20) 내부의 액상암모니아를 배출하는 것으로, 제1 연소기관(100)이 트립되거나 제1 연소기관(100)의 이상 시 개방될 수 있다. 분기관(21) 상에는 액상암모니아의 유동을 제어하는 분기관밸브(21a)가 설치되며, 분기관(21)을 사이에 두고 제1 연료공급관(20)의 양단에는 각각 제1 개폐밸브(22a)와 제2 개폐밸브(22b)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소기관(100)의 작동 시, 제1 개폐밸브(22a)와 제2 개폐밸브(22b)가 모두 개방되고 분기관밸브(21a)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소기관(100)이 트립되거나 제1 연소기관(100)의 이상 시, 분기관(21)이 연결되는 지점 전단에 위치한 제1 개폐밸브(22a)와, 분기관(21)이 연결되는 지점 후단에 위치한 제2 개폐밸브(22b)는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분기관밸브(21a)는 개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료공급관(20) 상의 액상암모니아를 분기관(21)으로 배출하는 경우, 제1 개폐밸브(22a)는 개방되고 제2 개폐밸브(22b)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소기관(100) 내부의 액상암모니아 또는 기상암모니아를 분기관(21)으로 배출하는 경우, 제1 개폐밸브(22a)는 폐쇄되고 제2 개폐밸브(22b)는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액상암모니아가 분기관(21)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회수관(23)과 온도조절유닛(40) 사이의 제1 연료공급관(20)에는 불활성가스주입유닛(80)이 연결될 수 있다. 불활성가스주입유닛(80)은 제1 연료공급관(20)에 질소와 같은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며, 이로 인해, 제1 연료공급관(20) 상에 수용된 액상암모니아가 불활성가스에 밀려 용이하게 분기관(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불활성가스주입유닛(80) 전단의 연료공급관(20)에는 유동제어밸브(2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유동제어밸브(24)는 불활성가스주입유닛(80)이 동작할 때 제1 연료공급관(20)을 폐쇄하여 액상암모니아의 추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동제어밸브(24)와, 전술한 분기관밸브(21a), 제1 개폐밸브(22a), 제2 개폐밸브(22b), 제3 개폐밸브(60b), 제1 유량조절밸브(23a), 제2 유량조절밸브(25a), 제1 감압밸브(26a), 제2 감압밸브(53), 제1 컨트롤밸브(60a), 및 후술할 제2 컨트롤밸브(91a)는 각각 제어부(7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어부(70)는 연소기관(100)의 가변주파수드라이브, 로드컨트롤시스템(PMS), 후술할 압력센서(61), 및 온도센서(62) 등과 연동되어 펌프를 비롯한 각종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분기관(21)에는 녹아웃드럼(90)이 연결될 수 있다. 녹아웃드럼(90)은 일종의 버퍼탱크로, 분기관(21)을 통해 배출되는 액상암모니아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녹아웃드럼(90)에는 연료배출관(110)이 연결될 수 있다. 연료배출관(110)은 제1 연소기관(100) 내부의 액상암모니아 또는 제1 연소기관(100) 내부의 액상암모니아가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를 녹아웃드럼(50)으로 배출하는 관으로, 일단이 제1 연소기관(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녹아웃드럼(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연료배출관(110)을 통해 녹아웃드럼(90)으로 배출되는 액상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는 약 60℃의 고온이므로, 녹아웃드럼(90)에 저장된 액상암모니아가 적어도 일부 기화될 수 있다. 즉, 제1 연소기관(100)이 트립되거나 제1 연소기관(100)의 이상 시, 제1 연료공급관(20)과 제1 연소기관(100) 내부에 있는 액상암모니아와 기상암모니아는 분기관(21)과 연료배출관(110)을 통해 녹아웃드럼(50)에 저장되고, 제1 연소기관(100)의 트립이 종료되거나 제1 연소기관(100)의 이상이 해결된 경우, 액상암모니아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저장탱크(10)로 순환되고 암모니아는 제2 연료이송관(91)을 통해 제2 연소기관(200)으로 공급된다.A
제2 연료이송관(91)은 녹아웃드럼(90)과 제2 연료공급관(60)을 연결하여 녹아웃드럼(90) 내부의 암모니아를 제2 연료공급관(60)으로 공급하는 관으로, 일단이 녹아웃드럼(90)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연료이송관(26) 후단의 제2 연료공급관(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료이송관(91)에는 제2 컨트롤밸브(91a)가 설치되며, 제2 컨트롤밸브(91a)는 제2 연소기관(200)으로 공급되는 암모니아의 유량, 및 유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녹아웃드럼(90) 내부의 암모니아가 제2 연료이송관(91)을 통해 제2 연료공급관(60)으로 공급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제2 연료공급관(60) 내부의 암모니아가 제2 연료이송관(91)을 통해 녹아웃드럼(90)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제2 연소기관(200) 전단의 제2 연료공급관(60)에는 제2 연소기관(200)으로 공급되는 암모니아의 압력과 온도를 각각 측정하는 압력센서(61)와 온도센서(62)가 설치되며, 제어부(70)는 압력센서(61)와 온도센서(62)에서 측정된 측정값에 따라 BOG배출관(50)에 설치된 제1 컨트롤밸브(60a), 제1 연료이송관(26)에 설치된 제1 감압밸브(26a), 제2 연료이송관(91)에 설치된 제2 컨트롤밸브(91a)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mmonia
도 2 내지 도 5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2 to 5 are operation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mmonia fuel suppl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1)는 요구되는 연료 조건이 서로 다른 연소기관에 각각 대응하는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액상의 연료를 연소하는 제1 연소기관(100)에 액상암모니아를 공급하고, 기상의 연료를 연소하는 제2 연소기관(200)에 암모니아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연소기관(100)과 제2 연소기관(200)이 각각 액상암모니아와 암모니아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아 국제해사기구의 배출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0)에서 발생한 암모니아를 배출하여 압축한 후 제2 연소기관(200)에 공급하거나 압축 및 냉각한 후 감압하여 저장탱크(10)로 회수하므로, 저장탱크(10)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면서 장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연소기관(100)과 제2 연소기관(200)이 트립되거나 제1 연소기관(100)과 제2 연소기관(200)의 이상 시 배관, 제1 연소기관, 제2 연소기관에 있는 액상암모니아 또는 기상암모니아를 배출하여 녹아웃드럼(90)에 저장하고 순환시켜 연료로 재사용하므로, 독성물질인 암모니아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The ammonia
도 2는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이 정상 작동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a first combustion engine and a second combustion engine operate normally.
도 2를 참조하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암모니아는 가압펌프(11)에 의해 펌핑되어 일부가 제1 연료공급관(20)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가 보조회수관(25)을 통해 저장탱크(10)로 회수될 수 있다. 제1 연료공급관(20)을 유동하는 액상암모니아는 일부가 제1 연료이송관(26)으로 분기되어 열교환기(52)로 이동하며, 나머지 일부가 승압펌프(30)에서 가압된다. 가압된 액상암모니아는 일부가 회수관(23)을 통해 저장탱크(10)로 회수되고, 나머지 일부가 제1 연료공급관(20)을 통해 온도조절유닛(40)으로 이동한다. 액상암모니아는 온도조절유닛(40)에서 청수 또는 글리콜 워터와 열교환하여 가온된 후 제1 연료공급관(20)을 통해 제1 연소기관(100)으로 공급된다. 이 때, 제1 개폐밸브(22a)와 제2 개폐밸브(22b)는 개방되고, 제1 분기관밸브(21a)는 폐쇄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liquid ammonia stored in the
한편,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암모니아가 자연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는 BOG배출관(50)을 통해 배출되며, 압축기(51)에서 압축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컨트롤밸브(60a)와 제3 개폐밸브(60b)가 개방되어 암모니아는 일부가 압축기(51)의 중간단에서 분기된 제2 연료공급관(60)을 통해 제2 연소기관(200)으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가 다단으로 압축된 후 BOG배출관(50)을 통해 열교환기(52)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연료이송관(26)을 유동하는 액상암모니아와, BOG배출관(50)을 유동하는 암모니아는 열교환기(52)에서 열교환하며, 이로 인해, 암모니아는 액화되어 액화암모니아가 되고, 액상암모니아는 기화되어 기화암모니아가 된다. 액화암모니아는 BOG배출관(50)을 통해 이동하여 제2 감압밸브(53)에서 감압된 후 저장탱크(10)로 회수되며, 기화암모니아는 제1 감압밸브(26a)에서 감압된 후 제2 연료공급관(60)으로 합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mmonia generated by natural vaporization of liquid ammonia stored in the
제1 연소기관(100)과 제2 연소기관(200)이 각각 액상암모니아와 암모니아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아 국제해사기구의 이산화탄소 배출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Since the
도 3 및 도 4는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이 트립되거나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are tripped or an abnormality occurs.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소기관(100)과 제2 연소기관(200)이 트립되거나 이상이 발생한 경우, 유동제어밸브(24)가 폐쇄되고 가압펌프(11)와 승압펌프(30)의 동작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밸브(22a)와 분기관밸브(21a)는 개방되고, 제2 개폐밸브(22b)는 폐쇄될 수 있다. 유동제어밸브(24)가 폐쇄되고, 가압펌프(11)와 승압펌프(30)의 동작이 중단됨에 따라 유동제어밸브(24) 전단의 제1 연료공급관(20) 상에 수용된 액상암모니아는 제1 연료공급관(20) 내에 그대로 머무르거나 회수관(23) 또는 보조회수관(25)을 통해 저장탱크(10)로 회수될 수 있다. 유동제어밸브(24)가 폐쇄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불활성가스주입유닛(80)이 제1 연료공급관(20)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며, 이로 인해, 유동제어밸브(24) 후단의 제1 연료공급관(20) 상에 수용된 액상암모니아가 불활성가스에 밀려 용이하게 분기관(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분기관(21)으로 배출된 액상암모니아는 녹아웃드럼(9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암모니아가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는 BOG배출관(50)을 통해 배출되며, 제2 연료공급관(60), 및 제2 연료이송관(91)을 따라 이동하여 녹아웃드럼(9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컨트롤밸브(60a)와 제2 컨트롤밸브(91a)는 개방되고, 제1 감압밸브(26a)와 제2 감압밸브(53), 및 제3 개폐밸브(60b)는 폐쇄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유동제어밸브(24) 후단의 제1 연료공급관(20) 상에 수용된 액상암모니아, 및 제2 연료공급관(60)과 제2 연료이송관(91) 상의 암모니아가 녹아웃드럼(90)에 모두 저장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밸브(21a), 제1 컨트롤밸브(60a)가 폐쇄되고, 제3 개폐밸브(60b)가 개방될 수 있다. 분기관밸브(21a)와 제1 컨트롤밸브(60a)가 폐쇄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1 연소기관(100) 내부의 액상암모니아 또는 기상암모니아가 연료배출관(110)을 통해 녹아웃드럼(9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개폐밸브(60b)가 개방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2 연소기관(200) 내부의 기상암모니아가 제2 연료공급관(60), 및 제2 연료이송관(91)을 통해 녹아웃드럼(90)에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liquid ammonia accommodated on the first
도 5 및 도 6은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의 트립이 종료되거나 제1 연소기관과 제2 연소기관의 이상이 해결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when the trip of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is terminated or abnormalities of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second combustion engine are resolved.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소기관(100)과 제2 연소기관(200)의 트립이 종료되거나 이상이 해결된 경우, 제1 유동제어밸브(24)가 개방되고, 가압펌프(11)와 승압펌프(30)가 다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밸브(22a)와 제2 개폐밸브(22b)가 개방되고 분기관밸브(21a)가 폐쇄될 수 있다. 제1 유동제어밸브(24)가 개방되고, 가압펌프(11)와 승압펌프(30)가 다시 동작함에 따라, 가압펌프(11)에서 펌핑된 액상암모니아 중 일부가 승압펌프(30), 및 온도조절유닛(40)을 차례로 통과하며 압축 및 가온된 후 제1 연소기관(1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녹아웃드럼(90)에 저장된 암모니아는 제2 연료이송관(91), 및 제2 연료공급관(60)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연소기관(200)에 공급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 when the trip of the
녹아웃드럼(90)에 저장된 암모니아가 모두 제2 연소기관(200)에 공급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트롤밸브(60a)와 제1 감압밸브(26a), 및 제2 감압밸브(53)를 개방하고, 제2 컨트롤밸브(91a)를 폐쇄하여, 압축기(51)에서 압축된 암모니아 또는 열교환기(52)에서 암모니아와 열교환하여 기화된 기화암모니아를 제2 연소기관(200)으로 공급할 수 있다.When all the ammonia stored in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
10: 저장탱크
11: 가압펌프
20: 제1 연료공급관
21: 분기관
21a: 분기관밸브
22a: 제1 개폐밸브
22b: 제2 개폐밸브
23: 회수관
23a: 제1 유량조절밸브
24: 유동제어밸브
25: 보조회수관
25a: 제2 유량조절밸브
26: 제1 연료이송관
26a: 제1 감압밸브
30: 승압펌프
40: 온도조절유닛
50: BOG배출관
51: 압축기
52: 열교환기
53: 제2 감압밸브
60: 제2 연료공급관
60a: 제1 컨트롤밸브
60b: 제3 개폐밸브
61: 압력센서
62: 온도센서
70: 제어부
80: 불활성가스주입유닛
90: 녹아웃드럼
91: 제2 연료이송관
91a: 제2 컨트롤밸브
100: 제1 연소기관
110: 연료배출관
200: 제2 연소기관1: Ammonia fuel supply
10: storage tank 11: pressurized pump
20: first fuel supply pipe 21: branch pipe
21a:
22b: second on-off valve 23: return pipe
23a: first flow control valve 24: flow control valve
25:
26: first
30: boost pump 40: temperature control unit
50: BOG discharge pipe 51: compressor
52: heat exchanger 53: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60: second
60b: third on-off valve 61: pressure sensor
62: temperature sensor 70: control unit
80: inert gas injection unit 90: knockout drum
91: second
100: first combustion engine 110: fuel discharge pipe
200: second combustion engine
Claims (6)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액상암모니아를 제1 연소기관으로 공급하는 제1 연료공급관;
상기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상암모니아의 공급압력을 높이는 승압펌프;
상기 승압펌프 후단의 상기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소기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액상암모니아의 온도를 높이는 온도조절유닛;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액상암모니아가 자연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를 배출하는 BOG배출관;
상기 BOG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암모니아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분기되어 상기 암모니아를 제2 연소기관으로 공급하는 제2 연료공급관;
상기 압축기 후단의 상기 BOG배출관에 연결되는 열교환기, 및
일단이 상기 승압펌프 전단의 상기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연료공급관에 연결되는 제1 연료이송관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BOG배출관은 상기 저장탱크로 연결되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a storage tank for storing liquid ammonia;
a first fuel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liquid ammonia from the storage tank to a first combustion engine;
a boosting pump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to increase the supply pressure of the liquid ammonia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a temperatur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at the rear end of the booster pump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ammonia supplied to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 BOG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to discharge ammonia generated by natural vaporization of the liquid ammonia;
a compressor connected to the BOG discharge pipe to compress the ammonia;
a second fuel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compressor to supply the ammonia to a second combustion engine;
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BOG discharge pipe at the rear end of the compressor; and
A first fuel transfer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at the front end of the booster pump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uel supply pipe via the heat exchanger,
The BOG discharge pipe at the rear end of the heat exchanger is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for ammonia fuel supply.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제1 연료이송관에 설치되는 제1 감압밸브를 더 포함하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According to claim 1,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irst pressure reducing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fuel transfer pipe at the rear end of the heat exchanger.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BOG배출관에 설치되는 제2 감압밸브를 더 포함하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Ammonia fuel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ressure reducing valve installed in the BOG discharge pipe at the rear end of the heat exchanger.
상기 승압펌프 후단의 상기 제1 연료공급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료공급관 내부의 상기 액상암모니아를 배출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암모니아를 저장하는 녹아웃드럼을 더 포함하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According to claim 1,
a branch pipe connected to the first fuel supply pipe at the rear end of the booster pump to discharge the liquid ammonia in the first fuel supply pipe;
Ammonia fuel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knockout drum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for storing the liquid ammonia.
일단이 상기 제1 연소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녹아웃드럼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연소기관 내부의 액상암모니아 또는 상기 제1 연소기관 내부의 액상암모니아가 기화되어 생성된 암모니아를 상기 녹아웃드럼으로 배출하는 연료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bustion engin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knockout drum, so that the liquid ammonia in the first combustion engine or the liquid ammonia in the first combustion engine is vaporized to discharge ammonia generated to the knockout drum Ammonia fuel suppl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uel discharge pipe.
상기 녹아웃드럼과 상기 제2 연료공급관을 연결하여 상기 녹아웃드럼 내부의 암모니아를 상기 제2 연료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제2 연료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암모니아 연료 공급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econd fuel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knockout drum and the second fuel supply pipe to supply ammonia in the knockout drum to the second fuel supply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393A KR102776655B1 (en) | 2020-05-08 | 2020-05-08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5393A KR102776655B1 (en) | 2020-05-08 | 2020-05-08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7341A true KR20210137341A (en) | 2021-11-17 |
KR102776655B1 KR102776655B1 (en) | 2025-03-10 |
Family
ID=7870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393A Active KR102776655B1 (en) | 2020-05-08 | 2020-05-08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665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26627A (en) * | 2022-07-22 | 2022-09-30 | 青岛科技大学 | Marine liquid ammonia fuel storage and supply system and use method |
KR102654819B1 (en) * | 2022-10-05 | 2024-04-0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Green House Gas Emission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Ships |
KR102654822B1 (en) * | 2022-10-04 | 2024-04-0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Green House Gas Emission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Ships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9731A (en) * | 2010-11-09 | 2012-05-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gas supply |
KR20150059032A (en) | 2013-11-21 | 2015-05-2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Liquid Injection Type Ammoina/Gasoline Dual Fuel System |
KR20160018630A (en) * | 2016-01-29 | 2016-02-1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Treatment System Liquefied Gas |
KR20160127880A (en) * | 2015-04-27 | 2016-11-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KR20180036256A (en) * | 2016-09-30 | 2018-04-09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Regasification System Of Gas and Vessel having same |
KR20180134451A (en) * | 2017-06-08 | 2018-12-1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uel gas supply system |
KR20190025302A (en) * | 2017-09-01 | 2019-03-1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Liquefied fuel vessel |
KR102002951B1 (en) * | 2018-01-29 | 2019-07-24 | 주식회사 파나시아 | LNG Fuel Gas Supply System |
KR20200025039A (en) * | 2018-08-29 | 2020-03-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Fuel Supplying System And Method For Ship Using Liquefied Gas |
-
2020
- 2020-05-08 KR KR1020200055393A patent/KR1027766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9731A (en) * | 2010-11-09 | 2012-05-1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fuel gas supply |
KR20150059032A (en) | 2013-11-21 | 2015-05-2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Liquid Injection Type Ammoina/Gasoline Dual Fuel System |
KR20160127880A (en) * | 2015-04-27 | 2016-11-0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Treatment System of Liquefied Gas |
KR20160018630A (en) * | 2016-01-29 | 2016-02-1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Treatment System Liquefied Gas |
KR20180036256A (en) * | 2016-09-30 | 2018-04-09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Regasification System Of Gas and Vessel having same |
KR20180134451A (en) * | 2017-06-08 | 2018-12-19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Fuel gas supply system |
KR20190025302A (en) * | 2017-09-01 | 2019-03-1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Liquefied fuel vessel |
KR102002951B1 (en) * | 2018-01-29 | 2019-07-24 | 주식회사 파나시아 | LNG Fuel Gas Supply System |
KR20200025039A (en) * | 2018-08-29 | 2020-03-10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Fuel Supplying System And Method For Ship Using Liquefied Ga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26627A (en) * | 2022-07-22 | 2022-09-30 | 青岛科技大学 | Marine liquid ammonia fuel storage and supply system and use method |
CN115126627B (en) * | 2022-07-22 | 2023-09-12 | 青岛科技大学 | Marine liquid ammonia fuel storage and supply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
KR102654822B1 (en) * | 2022-10-04 | 2024-04-0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Green House Gas Emission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Ships |
KR102654819B1 (en) * | 2022-10-05 | 2024-04-05 | 한화오션 주식회사 | Green House Gas Emission Re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Ship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76655B1 (en) | 2025-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76656B1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JP6366642B2 (en) | Ship liquefied gas treatment system | |
KR10164076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boil-off gas for a ship | |
KR101356003B1 (en) | System for treating boil-off gas for a ship | |
KR102776645B1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KR20210137341A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JP2016173184A5 (en) | ||
KR102776651B1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KR20140075606A (en) | Hybrid fuel supply system of engine for ship | |
KR20140052885A (en) | Fuel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ship engines | |
KR20210137311A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KR101519537B1 (en) | System for treating boil-off gas for a ship | |
KR20210145035A (en) | Fuel supply system for vessel | |
KR20210137322A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KR20140052887A (en) |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fuel gas for a ship | |
KR102776652B1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KR102776648B1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KR102776650B1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KR101356004B1 (en) | Method for treating boil-off gas for a ship | |
KR102776646B1 (en) | Ammonia fuel supply apparatus | |
KR102189743B1 (en) | Fuel gas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ship | |
KR101823028B1 (en) | Handling System And Method Of Boil Off Gas | |
KR102814660B1 (en) | Ammonia fuel vessel | |
KR101531489B1 (en) | Venting apparatus for ships | |
KR102528496B1 (en) | Fuel gas treating system in shi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5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