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35874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874A
KR20210135874A KR1020200054062A KR20200054062A KR20210135874A KR 20210135874 A KR20210135874 A KR 20210135874A KR 1020200054062 A KR1020200054062 A KR 1020200054062A KR 20200054062 A KR20200054062 A KR 20200054062A KR 20210135874 A KR20210135874 A KR 20210135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pmi
terminal
base station
s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연근
지형주
장영록
박진현
임성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874A/ko
Priority to EP21800186.5A priority patent/EP4135213A4/en
Priority to CN202180033709.XA priority patent/CN115552806A/zh
Priority to US17/998,106 priority patent/US20230299914A1/en
Priority to PCT/KR2021/005393 priority patent/WO2021225325A1/ko
Publication of KR2021013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87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의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 정보는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를 통해 보고할 빔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값(L),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포트 수를 나타내는 제2 값(PCSI-RS), 상기 CSI-RS의 포트 수 중 사용할 빔 포트의 수를 나타내는 제3 값(LCSI-RS)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값들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CSI-RS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CSI-RS의 측정 결과와 상기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PMI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PMI를 포함하는 CSI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상기 CSI-RS의 측정 결과와 상기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감축된 정보 양의 PMI를 생성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E)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LTE advanced) 시스템 이후 (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massive) 배열 다중 입출력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FSK)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의 일 종인 NR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는 단말이 보고하는 다양한 종류의 지시자들을 통칭하며, 채널 품질 지시자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CSI-RS 자원 지시자 (CSI-RS resource indicator; CRI), 동기 신호/물리 방송 채널(synchronization signal / physical broadcast channel; SS/PBCH) 블록 자원 지시자 (SS/PBCH block resource indicator; SSBRI), 레이어 지시자 (layer indicator; LI), 랭크 지시자 (rank indicator; RI), 및/또는 L1-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SI 의 목적들 중의 일부는 채널 품질을 추정하고 적절한 프리코딩 행렬을 기지국에게 추천하는 것이다. 단말 입장에서 CSI의 추정과 보고의 많은 부분은 프리코딩 행렬과 관련된다.
기지국에 단말의 채널 상태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CSI, 특히 PMI를 적절하고 정확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매우 많은 양의 PMI는 상향링크 피드백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PMI를 비롯한 채널 상태를 보고함에 있어서 상태 보고 효율을 가급적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피드백 오버헤드를 효율적으로 감축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기준 신호를 활용하여 생성되는 채널 상태 보고의 양을 감축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기준 신호를 활용하여 단말은 채널 상태 보고의 양을 줄이면서 크기(Amplitude) 및 위상의 보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의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 정보는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를 통해 보고할 빔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값(L),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포트 수를 나타내는 제2 값(PCSI-RS), 상기 CSI-RS의 포트 수 중 사용할 빔 포트의 수를 나타내는 제3 값(LCSI-RS)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값들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CSI-RS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CSI-RS의 측정 결과와 상기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PMI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PMI를 포함하는 CSI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NR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프레임 구조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5는 NR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설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부분 지시 및 변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7b,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채널 상태 측정 및 보고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설정에 따른 상호 관련성 기반의 채널 측정 및 PMI 보고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설정에 따른 상호 관련성 기반의 채널 측정 및 PMI 보고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 PMI의 크기를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설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때, 처리 흐름도를 보이는 도면들의 각 블록과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부(unit or part)'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특정한 역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하 eNB라 칭할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UE라 칭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송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통신 커버리지(coverage)에 관련된 용어, 상태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예: 이벤트(event)),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또는 3GPP NR (new radio)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User Equipment))이 기지국(eNode B)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이후의 향후 통신 시스템으로서, 즉, 5G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등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해 고려되는 서비스로는 증가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대규모 기계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초신뢰 저지연 통신(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ciation: URLLC)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MBB는 기존의 LTE, LTE-A 또는 LTE-Pro가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더욱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5G 통신시스템에서 eMBB는 하나의 기지국 관점에서 하향링크에서는 20Gbps 최대 전송 속도(peak data rate), 상향링크에서는 10G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증가된 단말의 실제 체감 전송 속도(User perceived data rate)를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욱 향상된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전송 기술을 포함하여 송수신 기술의 향상을 요구한다. 또한 현재의 LTE가 사용하는 2GHz 대역 대신에 3~6GHz 또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20MHz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5G 통신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MTC가 고려되고 있다. mMTC는 효율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셀 내에서 대규모 단말의 접속 지원,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향상된 배터리 시간, 단말의 비용 감소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은 여러 가지 센서 및 다양한 기기에 부착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셀 내에서 많은 수의 단말(예를 들어, 1,000,000 단말/km2)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비스의 특성상 건물의 지하와 같이 셀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5G 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대비 더욱 넓은 커버리지를 요구할 수 있다.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저가의 단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단말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기 힘들기 때문에 매우 긴 배터리 생명시간(battery life time)이 요구될 수 있다.
URLLC의 경우, 특정한 목적(mission-critical)으로 사용되는 셀룰러 기반 무선통신 서비스로서, 로봇(Robot) 또는 기계 장치(Machinery)에 대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무인 비행장치(Unmaned Aerial Vehicle), 원격 건강 제어(Remote health care), 비상 상황 알림(emergency alert)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로서, 초 저지연 및 초 신뢰도를 제공하는 통신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0.5 밀리초보다 작은 무선 접속 지연시간(Air interface latency)를 만족해야 하며, 동시에 10-5 이하의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의 요구사항을 갖는다. 따라서,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5G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보다 작은 전송 시간 구간(Transmit Time Interval: TTI)를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는 설계사항이 요구된다. 다만, 전술한 mMTC, URLLC, eMBB는 서로 다른 서비스 유형의 일 예일 뿐, 본 개시의 적용 대상이 되는 서비스 유형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전술한 5G 통신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서비스들은 하나의 프레임워크 (Framework) 기반으로 서로 융합되어 제공되어야 한다. 즉,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 및 제어를 위해 각 서비스들이 독립적으로 운영되기 보다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제어되고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LTE, LTE-A, LTE Pro 또는 NR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LTE, LTE-A 및 5G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5G 시스템의 설계 방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LTE 기반 무선통신 시스템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P-OFDM) 또는 SC-FDMA (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waveform에 기반하는 LTE, LTE-A, 그리고 NR 시스템의 데이터 또는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 자원 영역의 기본 구조가 시간-주파수 도메인을 기반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기본 구조에서 가로축은 시간 도메인을, 세로축은 주파수 도메인을 나타낸다.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의미할 수 있고,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간 도메인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로서, Nsymb 개의 심볼(105)이 모여 하나의 슬롯(115)을 구성할 수 있다. LTE 및 LTE-A의 경우 각각 Nsymb=7개의 심볼(105)로 구성된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40)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5G의 경우 두 가지 타입의 스케줄링, 즉 슬롯 기반 스케줄링과 미니슬롯(mini-slot)(또는 non-slot) 기반 스케줄링이 지원될 수 있다. 5G 슬롯의 경우 Nsymb은 7 또는 1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5G 미니슬롯의 경우 Nsymb은 1, 2, 3, 4, 5, 6 또는 7 중 하나의 값으로 설정(configure)될 수 있다. LTE 및 LTE-A에서 슬롯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으로 고정되지만, NR 시스템의 경우 슬롯 또는 미니슬롯의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다.
LTE 및 LTE-A에서 라디오 프레임(135)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 도메인의 단위이다. LTE 및 LTE-A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15kHz의 서브캐리어이며 (즉 subcarrier spacing = 15kHz),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의 전송 대역폭(Transmission bandwidth)(110)은 총 NBW 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NR 시스템의 유동적 확장형 프레임 구조는 향후 설명된다.
시간-주파수 도메인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130)로서, OFDM 또는 SC-FDMA 심볼 인덱스와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RB)(또는 Physical Resource Block; PRB)(120)은 시간 도메인에서 Nsymb 개의 연속된 OFDM 또는 SC-FDMA 심볼(105)과 주파수 도메인에서 NRB 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125)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RB(120)는 Nsymb x NRB 개의 RE(130)로 구성된다. LTE 및 LTE-A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RB 단위로 시간-주파수 자원에 매핑(mapping)되고,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한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RB-pair 단위로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SC-FDMA 또는 OFDM 심볼들(105)의 개수 Nsymb은 심볼간 간섭 방지를 위해 심볼마다 추가되는 순환 프리픽스(CP; 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정해지는데, 예를 들어 일반형 CP가 적용되면 Nsymb = 7, 확장형 CP가 적용되면 Nsymb = 6 이 된다. 확장형 CP 는 일반형 CP 보다 전파 전송 거리가 상대적으로 큰 시스템에 적용해서 심볼간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ing), CP 길이 등은 OFDM 송수신에 필수적인 정보로서 기지국과 단말이 서로 공통으로 인지해야 원활한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LTE 및 LTE-A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는 통상적인 음성/데이터 통신을 고려한 설계로서, NR 시스템과 같이 다양한 서비스와 요구사항을 만족하기에는 확장성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NR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서비스와 요구사항을 고려해서, 프레임구조를 유연하게(flexible) 정의하여 운용할 필요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NR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 2 내지 도 4의 예에서 확장형 프레임 구조를 정의하는 필수 파라미터 세트는 서브캐리어 간격, CP 길이, 슬롯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향후 5G 시스템이 도입되는 초기에는, 적어도 기존 LTE/LTE-A 시스템과의 공존 또는 듀얼 모드 운영이 예상된다. 이를 통해 기존 LTE/LTE-A 는 안정적인 시스템 동작을 제공하고, 5G 시스템은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5G 시스템의 확장형 프레임 구조는 적어도 LTE/LTE-A 의 프레임 구조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LTE/LTE-A 의 프레임 구조와 같은 5G 프레임 구조와 그를 정의하는 필수 파라미터 세트가 도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 타입 A (200)에서 서브캐리어 간격(206)은 15kHz 이고, 길이 T(208)의 14 심볼이 1ms 슬롯(202)을 구성하고, 12 서브캐리어 (= 180kHz = 12 x15kHz)(204)로 하나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를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 타입 B(300)에서 서브캐리어 간격(306)은 30kHz 이고, 길이 T/2 (308)의 14 심볼이 0.5ms 슬롯(302)을 구성하고, 12 서브캐리어 (= 360kHz = 12×30kHz)(304)로 하나의 PRB를 구성한다. 프레임 구조 타입 A 대비, 서브캐리어 간격(306)과 PRB 크기는 2배 커지고, 슬롯 길이(302)와 심볼 길이(308)는 2배 작아졌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구조 타입 C(400)에서 서브캐리어 간격(406)은 60kHz 이고, 길이 T/4 (408)의 14 심볼이 0.25ms 슬롯(402)을 구성하고, 12 서브캐리어 (= 720kHz = 12×60kHz)(404)로 하나의 PRB를 구성한다. 프레임 구조 타입 A 대비, 서브캐리어 간격(406)과 PRB 크기는 4배 커지고, 슬롯 길이(408)와 심볼 길이(408)는 4배 작아졌다.
상기 프레임 구조 타입들(200,300,400)을 일반화하면, 필수 파라미터 세트인 서브캐리어 간격, CP 길이, 슬롯 길이 등이 프레임 구조 타입별로 서로 정수배의 관계를 갖도록 함으로서, 높은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 타입들(200,300,400)과 무관한 기준 시간 단위를 나타내기 위해 1ms 의 고정된 길이의 서브프레임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구조 타입 A (200)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하나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프레임 구조 타입 B (300)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두 개의 슬롯으로 구성되고, 프레임 구조 타입 C (400)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네 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확장 가능한 프레임 구조는 앞서 설명한 프레임 구조 타입 A, B, 또는 C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120kHz, 240kHz와 같은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에도 적용될 수 있고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프레임 구조 타입들을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시켜 적용할 수 있다. 셀 크기 관점에서는, CP 길이가 길수록 큰 셀을 지원 가능하므로 프레임 구조 타입 A (200)가 프레임 구조 타입 B, C (300,400)대비 상대적으로 큰 셀을 지원할 수 있다. 동작 주파수 대역 관점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클수록 고주파 대역의 phase noise 복구에 유리하므로 프레임 구조 타입 C(400)가 프레임 구조 타입 A, B (200,300)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동작 주파수를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관점에서는, URLLC 와 같이 초저지연 서비스를 지원하기에는 서브프레임 길이가 짧을수록 유리하므로, 프레임 구조 타입 C (400)가 프레임 구조 타입 A, B (200,300) 대비 상대적으로 URLLC 서비스에 적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개의 프레임 구조 타입을 하나의 시스템 내에 다중화해서 통합 운영할 수도 있다.
NR에서 한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서빙 셀(serving cell)에 대응함)은 최대 250개의 RB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이 LTE와 같이 항상 전체 서빙 셀 대역폭(serving cell bandwidth)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의 파워 소모가 극심할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 대역폭 내에서 하나 이상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을 설정하여 단말이 셀 내 수신 영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NR에서 기지국은 제어 자원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 #0 (혹은 common search space, CSS)의 대역폭인 'initial BWP'를 마스터 정보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이나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하여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SIB 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거나 아이들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후 기지국은 RRC (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의 첫번째 BWP(first BWP)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후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BWP 설정 정보들을 통지할 수 있다. 기지국은 DCI를 통하여 BWP ID를 공지함으로써 단말이 사용할 대역을 지시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특정 시간 이상 동안 현재 할당된 BWP에서 DCI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단말은 RRC 시그널링에 의해 지정된 'default BWP'로 회귀하여 DCI의 수신을 시도한다.
도 5는 NR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 부분(BWP)에 대한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대역폭(500)은 두 개의 대역폭 부분, 즉 대역폭 부분 #1(505)과 대역폭 부분 #2(510)로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대역폭 부분을 설정해줄 수 있으며,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하여 하기 <표 1>의 정보들이 설정될 수 있다.
- 설정정보 1: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대역폭 부분을 구성하는 PRB 수)
- 설정정보 2: 대역폭 부분의 주파수 위치(기준점(A Reference Point) 대비 오프셋(Offset) 값, 기준점은 예컨대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 동기 신호, 동기 신호 래스터(Raster) 등이 있을 수 있다)
- 설정정보 3: 대역폭 부분의 뉴머롤로지(Numerology)(예컨대, 부반송파(Subcarrier) 간격, CP(Cyclic Prefix) 길이 등)
- 그 외
<표 1>의 설정 정보 외에도 대역폭 부분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는 설정 정보들은 상위레이어 시그널링, 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설정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대역폭 부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역폭 부분이 활성화(Activation)될 수 있다. 설정된 대역폭 부분에 대한 활성화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RRC 시그널링을 통해 준정적(semi-static)으로 지시되거나, MAC (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또는 DCI를 통해 동적으로 지시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대역폭 부분에 대한 설정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시스템 대역폭보다 단말이 지원하는 대역폭이 작을 경우에 대역폭 부분 설정을 통해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표 1>에서 대역폭 부분의 주파수 위치(설정정보 2)를 단말에게 설정함으로써 시스템 대역폭 내의 특정 주파수 위치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서로 다른 뉴머롤로지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다수 개의 대역폭 부분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에게 15kHz의 부반송파 간격과 30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을 모두 지원하기 위해서, 두 개의 대역폭 부분을 각각 15kHz와 30kHz의 부반송파 간격을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대역폭 부분은 주파수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될 수 있고, 특정 부반송파 간격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할 경우 해당 부반송파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는 대역폭 부분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목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서로 다른 크기의 대역폭을 갖는 대역폭 부분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이 매우 큰 대역폭, 예컨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하고 상기 대역폭으로 항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 매우 큰 전력 소모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트래픽(Traffic)이 없는 상황에서 단말이 100MHz의 큰 대역폭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불필요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것은 전력 소모 관점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대적으로 작은 대역폭의 대역폭 부분, 예컨대 20MHz의 대역폭 부분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트래픽이 없는 상황에서 단말은 20MHz의 대역폭 부분에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100MHz의 대역폭 부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표 1>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에게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대역폭 부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 대역폭 부분에 대한 설정으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대역폭 부분의 주파수 위치, 대역폭 부분의 뉴머롤로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부분에 대한 동적 설정 지시 및 변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단말에게 단말 대역폭(600) 내에 두 개의 대역폭 부분, 대역폭 부분#1(BPW#1)(605)과 대역폭 부분#2(BWP#2)(610)가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대역폭 부분들(605,610) 중에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대역폭 부분이 활성화 될 수 있다. 슬롯#0(625)에서 설정된 대역폭 부분들(605,610) 중에서 대역폭 부분#1(605)이 활성화되어 있고 단말은 대역폭 부분#1(605) 내에 설정되어 있는 제어 영역#1(645)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대역폭 부분 #1(605)의 나머지 부분(655)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설정된 대역폭 부분들(605,610) 중에서 어떤 대역폭 부분이 활성화되는지에 따라서 단말이 PDCCH를 수신하는 제어 영역이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대역폭이 달라질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대역폭 부분 설정을 변경하는 지시자(615)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역폭 부분 설정을 변경하는 것은 특정 대역폭 부분을 활성화하는 동작(예컨대 대역폭 부분 A에서 대역폭 부분 B로의 활성화 변경)과 동일하게 여겨질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설정 변경 지시자(Configuration Switching Indicator)(615)를 특정 슬롯에서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변경 지시자(615)를 수신한 후 특정 시점에서부터 설정 변경 지시자(615)에 따른 변경된 설정을 적용하여 활성화할 대역폭 부분을 결정하고,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에 설정되어 있는 제어 영역에서 PDCCH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대역폭 부분#1(605)에서 대역폭 부분#2(610)로 변경을 지시하는 설정 변경 지시자(615)를 슬롯#1(630)에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지시자(615)를 수신한 후, 상기 지시자(615)의 내용에 따라 대역폭 부분#2(61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 때 대역폭 부분 변경을 위한 전이 시간(Transition Time)(620)이 요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활성화하는 대역폭 부분(610)을 적용하는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정 변경 지시자(615)를 수신한 후 1 슬롯의 전이 시간(620)이 소요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 전이 시간(620)에는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660). 이에 따라 슬롯#2(635)에서 대역폭 부분#2(610)이 활성화되어 상기 대역폭 부분#2(610)으로 제어채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대역폭 부분을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 변경 지시자(615)를 기지국이 미리 설정한 대역폭 부분들 중 하나와 매핑시키는 방법으로 특정 대역폭 부분의 활성화를 지시할 수 있다. 예컨대 log2N비트의 지시자는 N개의 기 설정된 대역폭 부분들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지시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2비트 지시자를 이용하여 대역폭 부분 설정을 지시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
지시자 값 대역폭 부분 설정
00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대역폭 설정 A
01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대역폭 설정 B
10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대역폭 설정 C
11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대역폭 설정 D
전술한 대역폭 부분에 대한 설정 변경 지시자(615)는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시그널링 또는 L1 시그널링(예컨대 공통 DCI, 그룹-공통 DCI, 단말-특정 DCI)의 형태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대역폭 부분에 대한 설정 변경 지시자(615)에 따라 대역폭 부분 활성화를 적용하는 시점은 다음에 따른다. 설정 변경이 어느 시점부터 적용될지는 기 정의되어 있는 값(예컨대 설정 변경 지시자의 수신 후 N(≥1) 슬롯 뒤부터 적용)에 따르거나, 또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예컨대 RRC 시그널링)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설정 변경 지시자(615)의 내용에 적어도 일부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법의 조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말은 대역폭 부분에 대한 설정 변경 지시자(615)를 수신한 후 상기 방법으로 획득한 시점에서부터 변경된 대역폭 부분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NR에서는 BWP 지시자(indication)를 통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후보 할당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세부적인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방법(frequency domain resource allocation; FD-RA)들을 제공한다.
도 7a, 7b, 7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또는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위한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을 도시한 도면이다. NR에서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 가능한 type 0 (700), type 1 (705), 그리고 dynamic switch (710)의 세 가지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방법들이 도시된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이 RA resource type 0 을 사용하도록 설정된 경우(700), 단말에게 PDSCH 또는 PUSCH를 할당하는 일부 DCI는 NRBG개의 비트로 구성되는 비트맵(715)을 포함한다. 이를 위한 조건은 추후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NRBG는 BWP 지시자가 할당하는 BWP 크기(size) 및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주어지는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rbg-Size에 의해 지시되는 configuration 1 혹은 configuration 2에 따라 아래 <표 3>과 같이 결정되는 RBG (resource block group)의 수를 의미하며, 상기 비트맵(715)에 의하여 1로 표시되는 RBG에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Figure pat00001
도 7b를 참조하면,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이 RA resource type 1 을 사용하도록 설정된 경우(705), 단말에게 PDSCH 또는 PUSCH를 할당하는 일부 DCI는
Figure pat00002
개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를 가진다. 이를 위한 조건은 추후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기지국은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를 통하여 starting VRB(720)와 상기 starting VRB(720)로부터 연속적으로 할당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의 길이(725)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이 RA resource type 0과 resource type 1를 모두 사용하도록 설정된 경우(710), 단말에게 PDSCH 또는 PUSCH를 할당하는 일부 DCI는 RA resource type 0(700)을 설정하기 위한 payload(715)와 RA resource type 1(705)을 설정하기 위한 payload(720, 725) 중 큰 값의 비트들로 구성되는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735)를 가진다. 이를 위한 조건은 추후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DCI내 상기 주파수 도메인 자원 할당 정보(735)의 앞 부분에 한 비트(730)가 MSB로서 추가되고, 상기 비트(730)가 0일 경우 RA resource type 0(700)이 사용됨을 지시하고, 상기 비트(730)가 1일 경우 RA resource type 1(705)이 사용됨을 지시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상태를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는 채널 품질 지시자 (channel quality information; CQI),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CSI-RS 자원 지시자 (CSI-RS resource indicator; CRI), 동기 신호/물리 방송 채널(synchronization signal / physical broadcast channel; SS/PBCH) 블록 자원 지시자 (SS/PBCH block resource indicator; SSBRI), 레이어 지시자 (layer indicator; LI), 랭크 지시자 (rank indicator; RI), 및/또는 L1-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CSI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CSI 측정 및 보고를 위하여, 단말은 N(≥1)개의 CSI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 CSI-ReportConfig, M(≥1) 개의 RS 전송 자원에 대한 설정 정보 CSI-ResourceConfig, 트리거 상태 리스트들 CSI-AperiodicTriggerStateList, CSI-SemiPersistentOnPUSCH-TriggerStateList 중 적어도 하나를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 받을 수 있다.
전술한 CSI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는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4> 내지 <표 10>에 기재된 바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각 보고 설정 CSI-ReportConfig은 해당 보고 설정과 연관(Association)된 CSI 자원 설정 CSI-ResourceConfig로 주어지는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대역폭 부분 식별자 bwp-Id로 식별되는 하나의 하향링크(DL) 대역폭 부분과 연관될 수 있다. 각 보고 설정 CSI-ReportConfig에 대한 시간 도메인 보고는, '비주기적(aperiodic)', '반영구적(semi-persistent)', 또는 '주기적(periodic)' 방식을 지원하며, 이는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reportConfigType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설정될 수 있다. 반영구적 CSI 보고 방법은 semi-PersistentOnPUCCH에 의해 설정되는 PUCCH 상의 반영구적 보고와, semi-PersistentOnPUSCH에 의해 설정되는 PUSCH 상의 반영구적 보고를 지원한다. 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CSI 보고의 경우, 단말은 CSI를 전송할 PUCCH 자원 또는 PUSCH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 받을 수 있다. CSI를 전송할 주기와 슬롯 오프셋은 CSI 보고가 전송되도록 설정된 상향링크(UL) 대역폭 부분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로 주어질 수 있다. 비주기적 CSI 보고의 경우, 단말은 CSI를 전송할 PUSCH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L1 시그널링(일 예로서 DCI 포맷 0_1)을 통해 스케쥴링 받을 수 있다.
전술한 CSI 자원 설정 CSI-ResourceConfig에 대하여, 각 CSI 자원 설정 CSI-ReportConfig은 S(≥1) 개의 CSI 자원 세트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csi-RS-ResourceSetList로 주어지는)를 포함할 수 있다. CSI 자원 세트 리스트는 논-제로 파워 (non-zero power; NZP) CSI-RS 자원 세트와 SS/PBCH 블록 세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CSI 간섭 측정 (CSI-interference measurement; CSI-IM) 자원 세트로 구성될 수 있다. 각 CSI 자원 설정은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bwp-Id로 식별되는 하향링크(DL) 대역폭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CSI 자원 설정은 동일한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의 CSI 보고 설정과 연결될 수 있다. CSI 자원 설정 내의 CSI-RS 자원의 시간 도메인 동작은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resourceType으로부터 '비주기적', '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CSI 자원 설정에 대해서, CSI-RS 자원 세트의 수는 S=1로 제한될 수 있고, 설정된 주기와 슬롯 오프셋은 bwp-Id로 식별되는 하향링크 대역폭 부분의 뉴머롤로지로 주어질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채널 또는 간섭 측정을 위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CSI 자원 설정을 설정받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CSI 자원 설정은 하기의 자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자원
- 간섭 측정을 위한 NZP CSI-RS 자원
- 채널 측정을 위한 NZP CSI-RS 자원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resourceType이 '비주기적', '주기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설정된 자원 설정과 연관되어 있는 CSI-RS 자원 세트들에 대하여, reportType이 '비주기'로 설정되어 있는 CSI 보고 설정에 대한 트리거 상태(Trigger State)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컴포넌트 셀 (component cell; CC)에 대한 채널 또는 간섭 측정에 대한 자원 설정이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CSI-AperiodicTriggerStateList로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의 비주기적 CSI 보고는 PUSCH를 이용할 수 있고, 주기적 CSI 보고는 PUCCH를 이용할 수 있고, 반영구적 CSI 보고는 DCI로 트리거링(triggering) 또는 활성화(Activated)되었을 경우 PUSCH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MAC 제어요소 (MAC control element; MAC CE) 로 활성화(Activated)된 이후에는 PUCCH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CSI 자원 설정 또한 비주기적, 주기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CSI 보고 설정과 CSI 자원 설정 간의 조합은 하기의 <표 11>에 기반할 수 있다.
Figure pat00018
비주기적 CSI 보고는 PUSCH에 대한 스케쥴링 DCI에 해당하는 일 예로 DCI 포맷 0_1 내의 "CSI 요청(request)" 필드로 트리거 될 수 있다. 단말은 PDCCH을 모니터링하여 DCI 포맷 0_1을 획득할 수 있고, DCI 포맷 0_1로부터 PUSCH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 및 CSI 요청 필드를 획득할 수 있다. CSI 요청 필드는 NTS (=0, 1, 2, 3, 4, 5, 또는 6) 비트로 설정될 수 있으며, NTS는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reportTriggerSiz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CSI-AperiodicTriggerStateList로 설정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비주기적 CSI 보고 트리거 상태 중에서 하나의 트리거 상태가 CSI 요청 필드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 CSI 요청 필드의 모든 비트가 0일 경우, 이는 CSI 보고를 요청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 만약 설정된 CSI-AperiodicTriggerStateList 내의 CSI 트리거 상태의 수(M)가 2N^TS-1보다 크다면, 선 정의되어 있는 매핑 관계에 따라, M개의 CSI 트리거 상태가 2N^TS-1개의 CSI 트리거 상태로 매핑될 수 있고, 2N^TS-1의 트리거 상태 중 하나의 트리거 상태가 CSI 요청 필드로 지시될 수 있다.
- 만약 설정된 CSI-AperiodicTriggerStateList 내의 CSI 트리거 상태의 수(M)가 2N^TS-1와 작거나 같다면, M개의 CSI 트리거 상태 중 하나가 CSI 요청 필드로 지시될 수 있다.
하기 <표 12>는 CSI 요청 필드와 그에 의해 지시될 수 있는 CSI 트리거 상태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9
CSI 요청 필드로 트리거된 CSI 트리거 상태 내의 CSI 자원에 대하여 단말은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로부터 CSI(CQI, PMI, CRI, SSBRI, LI, RI, 또는 L1-RSRP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함)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생성한 CSI를 DCI 포맷 0_1이 스케쥴링 하는 PUSCH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DCI 포맷 0_1 내 1비트의 상향링크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지시자(UL-SCH indicator)가 "1"을 지시할 경우, DCI 포맷 0_1이 스케쥴링한 PUSCH 자원 상에서 UL-SCH로부터의 상향링크 데이터와 상기 생성한 CSI를 다중화(Multiplexing)하여 전송할 수 있다. DCI 포맷 0_1 내의 UL-SCH 지시자가 "0"을 지시할 경우, DCI 포맷 0_1이 스케쥴링한 PUSCH 자원 상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없이 CSI 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주기적 채널 상태 보고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PDCCH(800)를 모니터링하여 DCI 포맷 0_1을 획득하며, 상기 DCI 포맷 0_1로부터 PUSCH(808)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및 CSI 요청 필드를 획득할 수 있다. CSI 요청 필드는 단말이 측정할 CSI-RS(802)에 대한 자원 정보를 제공한다. 단말은 DCI 포맷 0_1을 수신한 시점과 CSI 자원 세트 설정 (예를 들어 NZP-CSI-RS-ResourceSet 내의 aperiodicTriggeringOffset에 기반하여 CSI-RS(602) 자원에 대한 측정 시점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주어진 NZP-CSI-RS 자원 세트 내의 파라미터 aperiodicTriggeringOffset에 의해 오프셋 값 X (804)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오프셋 값 X (804)는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 하는 DCI를 수신한 슬롯과 CSI-RS 자원이 전송되는 슬롯 사이의 오프셋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periodicTriggeringOffset의 값과 오프셋 값 X (804)는 하기의 <표 13>에 기재된 매핑 관계를 가질 수 있다.
aperiodicTriggeringOffset Offset X
0 0 slot
1 1 slot
2 2 slots
3 3 slots
4 4 slots
5 16 slots
6 24 slots
도 8에서는 상기 오프셋 값 (804)이 X=0으로 설정된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단말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 하는 DCI 포맷 0_1을 수신한 슬롯 0(810)에서 CSI-RS(802)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DCI 포맷 0_1로부터 CSI 보고를 위한 PUSCH(808)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전술한 DCI 포맷 0_1 내의 자원 할당 필드들)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DCI 포맷 0_1 내의 시간 도메인 자원할당 필드부터 PUSCH(808)를 전송할 슬롯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PDCCH-to-PUSCH 슬롯 오프셋에 해당하는 K2 (806)의 값은 3이며, 이에 따라 CSI-RS(802)와 관련된 CSI를 포함하는 PUSCH(808)는 PDCCH(800)를 수신한 시점, 즉 슬롯 0(810)에서 3 슬롯 떨어진 슬롯 3(812)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단말은 PDCCH(900)를 모니터링하여 DCI 포맷 0_1을 획득하며, 상기 DCI 포맷 0_1로부터 PUSCH(908)에 대한 스케쥴링 정보 및 CSI 요청 필드를 획득할 수 있다. CSI 요청 필드는 단말이 측정할 CSI-RS(902)에 대한 자원 정보를 제공한다. 도 9에서는 CSI-RS에 대한 오프셋 값 (904)이 X=1으로 설정된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단말은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 하는 DCI 포맷 0_1을 수신한 슬롯 0(910)에서 1슬롯 떨어진 시점, 즉 슬롯 1(912)에서 CSI-RS(902)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PDCCH-to-PUSCH 슬롯 오프셋에 해당하는 K2 (906)의 값은 3으로 단말에게 주어지며, 이에 따라 CSI-RS(902)와 관련된 CSI를 포함하는 PUSCH(908)는 PDCCH(900)를 수신한 시점, 즉 슬롯 0(910)에서 3 슬롯 떨어진 슬롯 3(914)에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이 전송하는 CSI-RS와 유사하게, 단말은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전송할 수 있다. SRS는 기지국의 상향링크에 대한 채널 품질 측정 및 상향링크 빔 추적 등에 이용될 수 있다. SRS 전송을 위한 설정 정보는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게 제공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SRS 전송을 위한 설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향링크 BWP마다 적어도 하나의 SRS 설정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SRS 설정마다 적어도 하나의 SRS 자원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일 례로, SRS 설정은 하기와 같은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srs-ResourceSetId: SRS 자원 세트의 인덱스
- srs-ResourceIdList: SRS 자원 세트에서 참조하는 SRS 자원들의 ID들
- resourceType: SRS 자원 세트에서 참조하는 SRS 자원의 시간 도메인 전송 설정으로, 'periodic', 'semi-persistent', 'aperiodic'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periodic' 또는 'semi-persistent'으로 설정될 경우, SRS 자원 세트의 사용처에 따라 associated CSI-RS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aperiodic'으로 설정될 경우, aperiodic SRS 자원 트리거 리스트, 및 슬롯 오프셋이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고, SRS resource set의 용도(usage)에 따라 associated CSI-RS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 usage: SRS 자원 세트에서 참조하는 SRS 자원의 용도에 대한 설정으로, 'beamManagement', 'codebook', 'nonCodebook', 'antennaSwitching'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 alpha, p0, pathlossReferenceRS, srs-PowerControlAdjustmentStates: SRS 자원 세트에서 참조하는 SRS 자원의 송신 전력 조절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을 제공한다.
단말은 SRS 자원 세트에서 참조하는 SRS 자원 인덱스의 집합에 포함된 SRS 자원이 SRS 자원 세트에 설정된 정보를 따른다고 이해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은 SRS 자원에 대한 개별 설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상위레이어 파라미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례로, SRS 자원에 대한 개별 설정 정보는 SRS 자원의 슬롯 내 시간-주파수 도메인 매핑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SRS 자원의 슬롯 내 또는 슬롯 간 주파수 호핑(hopping)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SRS 자원에 대한 개별 설정 정보는 SRS 자원의 시간 도메인 전송 설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간 도메인 전송 설정은 'periodic', 'semi-persistent', 또는 'aperiodic'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시간 도메인 전송 설정은 SRS 자원이 포함된 SRS 자원 세트와 같은 시간 도메인 전송 설정을 가지도록 제한될 수 있다. 만일 SRS 자원의 시간 도메인 전송 설정이 'periodic' 또는 'semi-persistent'로 설정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SRS 전송을 위한 주기 및 슬롯 오프셋(예를 들어, periodicityAndOffset)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SRS 자원에 대한 개별 설정 정보는 SRS 자원을 전송하는 단말의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에 대한 설정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SRS를 위한 공간 관련 정보 spatialRelationInfo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SRS 자원에 대한 개별 설정 정보에 포함된 spatialRelationInfo가 CSI-RS 자원 또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SSB)의 인덱스를 참조하는 경우, 단말은 참조하는 CSI-RS 자원 또는 SSB를 수신할 때 사용한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spatial domain receive filter)와 같은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spatialRelationInfo가 다른 SRS 자원 인덱스를 참조하는 경우, 단말은 참조하는 SRS 자원을 전송할 때 사용한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 시그널링을 포함한 상위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DCI를 포함한 L1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SRS 전송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하거나 트리거 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periodic SRS 전송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기지국은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resourceTypeperiodic으로 설정된 SRS 자원 세트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단말은 활성화된 SRS 자원 세트 내에서 참조하는 SRS 자원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하는 SRS 자원의 슬롯 내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 매핑은 SRS 자원으로 설정된 자원 매핑 정보를 따르며, 전송 주기 및 슬롯 오프셋을 포함한 슬롯 매핑은 SRS 자원으로 설정된 periodicityAndOffset을 따른다. 또한, 전송하는 SRS 자원에 적용하는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는 SRS 자원으로 설정된 spatialRelationInfo를 참조할 수 있고, 또는 SRS 자원이 포함된 SRS 자원 세트에 설정된 associated CSI-RS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단말은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활성화된 주기적 SRS 자원에 대해 활성화된 상향링크 BWP 내에서 SRS 자원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semi-persistent SRS 전송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기지국은 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SRS 자원 세트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단말은 활성화된 SRS 자원 세트에서 참조하는 SRS 자원을 전송할 수 있다. 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활성화되는 SRS 자원 세트는 resourceTypesemi-persistent로 설정된 SRS 자원 세트로 한정할 수 있다. 전송하는 SRS 자원의 슬롯 내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 매핑은 SRS 자원으로 설정된 자원 매핑 정보를 따르며, 전송 주기 및 슬롯 오프셋을 포함한 슬롯 매핑은 SRS 자원으로 설정된 periodicityAndOffset을 따른다. 또한, 전송하는 SRS 자원에 적용하는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는 SRS 자원으로 설정된 spatialRelationInfo를 참조할 수 있고, 또는 SRS 자원이 포함된 SRS 자원 세트에 설정된 associated CSI-RS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만일 SRS 자원 내에 spatialRelationInfo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를 따르지 않고 semi-persistent SRS 전송을 활성화하는 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되는 spatialRelationInfo에 대한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은 상위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활성화된 semi-persistent SRS 자원에 대해 활성화된 상향링크 BWP 내에서 SRS 자원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DCI를 통해 aperiodic SRS 전송을 트리거 할 수 있다. 기지국이 전송하는 DCI 내의 SRS 요청 필드는 aperiodic SRS 자원 세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단말은 SRS 자원 세트 내의 aperiodicSRS-ResourceTriggerList에서 DCI 내의 SRS 요청 필드를 통해 지시된 SRS 자원 세트가 트리거 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단말은 트리거된 SRS 자원 세트에서 참조하는 SRS 자원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하는 SRS 자원의 슬롯 내 시간-주파수 도메인 자원 매핑은 SRS 자원으로 설정된 자원 매핑 정보를 따른다. 또한, 전송하는 SRS 자원의 슬롯 매핑은 SRS 요청 필드를 포함하는 DCI와, SRS 자원 세트의 실제 전송 간의 슬롯 오프셋을 통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SRS 자원 세트에 설정된 slotOffset에 포함된 값(들)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CI와, SRS resource 세트 간의 슬롯 오프셋은 SRS 자원 세트 내에 slotOffset으로 설정된 값(들) 중에서 DCI 내의 시간 도메인 자원 할당 필드에서 지시한 값을 적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송하는 SRS 자원에 적용하는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는 SRS 자원으로 설정된 spatialRelationInfo를 참조할 수 있고, 또는 SRS 자원이 포함된 SRS 자원 세트 내에 설정된 associated CSI-RS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단말은 DCI를 통해 트리거 된 aperiodic SRS 자원에 대해 활성화된 상향링크 BWP 내에서 SRS 자원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에 DCI를 통해 aperiodic SRS 전송을 트리거 하는 경우, 단말은 SRS 자원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SRS를 전송하기 위해, aperiodic SRS 전송을 트리거하는 DCI를 포함하는 PDCCH와 전송하는 SRS 사이의 최소 타임 인터벌 (minimum time interval)을 고려할 수 있다. 단말의 SRS 전송을 위한 타임 인터벌은, aperiodic SRS 전송을 트리거하는 DCI를 포함하는 PDCCH의 마지막 심볼부터, 전송하는 SRS 자원(들) 중에 가장 먼저 전송되는 SRS 자원이 매핑된 첫 번째 심볼 사이의 심볼 개수로 정의할 수 있다. 최소 타임 인터벌 은 단말이 PUSCH 전송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PUSCH 준비 절차 시간(preparation procedure time)을 참조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최소 타임 인터벌은 전송하는 SRS 자원을 포함한 SRS 자원 세트의 용도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타임 인터벌은 단말의 PUSCH 준비 절차 시간을 참조하여 단말의 성능(capability)에 따른 단말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정의된 N2 심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하는 SRS 자원을 포함한 SRS 자원 세트의 용도를 고려하는 경우, SRS 자원 세트의 사용처가 'codebook' 또는 'antennaSwitching'으로 설정된 경우, 최소 타임 인터벌은 N2 심볼로 정해지고, SRS 자원 세트의 용도가 'nonCodebook' 또는 'beamManagement'로 설정된 경우 최소 타임 인터벌은 N2+14 심볼로 정해질 수 있다. 단말은 SRS 전송을 위한 타임 인터벌이 최소 타임 인터벌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aperiodic SRS를 전송하고, 단말의 SRS 전송을 위한 타임 인터벌이 최소 타임 인터벌보다 작은 경우 aperiodic SRS를 트리거하는 DCI를 무시할 수 있다.
CSI의 전송에 있어서, 단말은 채널을 추정하여 하향링크에서 사용될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프리코딩 매트릭스에 따라 코드북에 설정된 PMI의 값을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은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코드북 설정 내의 codebookType을 통해서 typeII-PortSelection을 설정 받을 수 있다.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CSI-RS 포트 수는 nrofPorts로 설정되며, CSI-RS 포트 수로서 설정될 수 있는 값은 PCSI-RS∈{4, 8, 12, 16, 24, 32}이다. 단말은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PCSI-RS 개의 빔포밍된 포트 중에 각 편파당 L개의 안테나 포트(L antenna ports per polarization)를 선택하여 보고 해야 하며, L은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numberOfBeams'에 의해 설정되고 PCSI-RS=4일 때 L=2이고 PCSI-RS > 4 때 L={2, 3, 4}이다. RI의 값이 2 보다 작거나 같을 때 (즉, v≤2) 단말이 보고하는 PMI는 하기 <표 14>와 같다.
Type II Port Selection PMI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여기서 ν는 RI의 값, 즉 랭크의 값이며, 각 PMI 값은 코드북 인덱스들 i1 및 i2에 해당한다.
단말은 wideband PMI를 i1를 통해 보고하고 subband PMI는 i2를 통해 보고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은 PCSI-RS 개의 빔포밍된 포트 중에 각 편파당 L개를 선택하여 보고하는데 L개의 빔포밍된 포트 중 첫번째 포트의 인덱스를
Figure pat00022
을 통해 보고하며 d∈{1,2,3,4}는 portSelectionSamplingSize으로 설정된다. 일례로 i1,1=2, d=2이면 PCSI-RS의 포트 중 4번째 포트부터 편파당 L개의 포트가 선택됨을 가리킨다. PMI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단말은 i1,3,l에 의해 l 번째 레이어의 2L개의 포트들 중 측정된 채널의 크기(amplitude)가 가장 큰 포트의 인덱스를 보고한다. Wideband PMI의 크기는 i1,4,l에 의해 보고되며, subband PMI의 크기(amplitude)와 위상(phase)은 각각 i2,2,l과 i2,1,l에 의해 보고된다. 크기 지시자 i1,4,l 및 i2,2,l은 하기 <표 15> 내지 <표 17>로 설정된다.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Subband PMI의 위상 지시자는
Figure pat00029
와 같이 설정된다. 단말은 PMI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Figure pat00030
을 보고하지 않으며
Figure pat00031
,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으로 설정된다.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subbandAmplitude가 'false'면 subband PMI의 크기는 보고하지 않으며 크기는
Figure pat00034
로 설정하며, wideband PMI의 크기가 0인 subband의 위상은 보고하지 않으며, 상기 위상의 값은
Figure pat00035
으로 설정한다. Wideband PMI 중 크기가 0보다 큰 값의 수를 M1이라고 하면 wideband PMI에 대해 총
Figure pat00036
개의 위상들이 보고되며 상기 위상들의 값들은
Figure pat00037
으로 설정되고
Figure pat00038
는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phaseAlphabetSize에 의해 설정된다.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subbandAmplitude가 'true'면 i1,3,1번째 포트를 제외한
Figure pat00039
개의 강한 wideband PMI의 포트에 대한 subband PMI의 크기와 위상이 보고되며,
Figure pat00040
로 설정될 수 있다. K(2)
Figure pat00041
는 하기 <표 18>에 의해 결정된다. 남은 2L-
Figure pat00042
개의 subband PMI의 크기는 보고하지 않으며,
Figure pat00043
로 설정한다. Subband PMI의 위상 중에
Figure pat00044
개는
Figure pat00045
으로 설정하여 보고하며 남은 2L-
Figure pat00046
개의 subband PMI의 위상은 보고하지 않으며
Figure pat00047
으로 설정한다.
Full resolution subband coefficients when subbandAmplitude is set to 'true'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2 4
3 4
4 6
단말이 보고한 PMI로부터 얻어지는 코드북은 하기의 <표 19>로 주어진다. <표 19>에서
Figure pat00050
는 하기와 같으며,
Figure pat00051
Figure pat00052
번째 요소가 1이고 나머지가 0인
Figure pat00053
길이의 벡터이다.
Figure pat00054
PMI의 또 다른 예로, 단말은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코드북 설정 내의 codebookType을 통해서 typeII-PortSelection-r16을 설정 받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typeII-PortSelection는 코드북을 빔 도메인에서 압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typeII-PortSelection-r16은 subband에 대한 PMI를 주파수 도메인에서 압축하여 보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CSI-RS 설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d는 상위레이어 파라미터인 portSelectionSamplingSize-r16에 의해서 설정된다. 선택할 포트의 수 L과 subband PMI의 압축률에 대한 파라미터인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의 값들은 paramCombination-r16에 의해서 설정되며 하기 <표 20>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v는 RI의 값이다.
Figure pat00057
단말이 보고하는 PMI는 하기 <표 21>와 같다.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PMI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단말은 wideband PMI와 주파수 도메인 압축을 위한 basis를 i1를 통해 보고하고 압축된 subband PMI는 i2를 통해 보고한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은 PCSI-RS 개의 빔포밍된 포트 중에 각 편파(polarization)당 L개의 안테나 포트를 선택하여 보고하는데,
Figure pat00060
개의 빔포밍된 포트 중 첫번째 포트의 인덱스를
Figure pat00061
을 통해 보고하며
Figure pat00062
portSelectionSamplingSize-16으로 설정된다. 일 례로 i1,1=2, d=2이면 PCSI-RS개의 포트 중 4번째 포트부터 편파당 L개의 포트가 선택됨을 가리킨다.
코드북 설정이 typeII-PortSelection로 주어진 경우에는 subband의 PMI가 subband마다 보고되는 반면에, typeII-PortSelection-r16로 주어진 경우에는 PMI의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단말은 subband의 PMI를 DFT matrix의 행을 basis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압축하여 동시에 보고한다. Subband당 프리코딩 행렬은 최대 R개가 적용될 수 있으며 R은 numberOfPMISubbandsPerCQISubbnad로 설정되며 1 또는 2의 값을 가진다. Subband의 개수가 NSB라 할 때 총 프리코딩 행렬의 수는 N3=RNSB이 되며 주파수 도메인 압축을 위한 DFT matrix의 크기는 N3ㅧN3가 된다. N3개의 행렬에 DFT matrix를 적용한 이후, 유효한 값을 가지는 non-zero element의 수는
Figure pat00063
이며 주파수 도메인(FD) basis의 수가 된다. 주파수 도메인 basis의 수인
Figure pat00064
및 각 basis가
Figure pat00065
중 몇 번째 basis인지는 i1,5와 i1,6,l로 보고하며 하기 <표 22>와 같이 설정된다.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7
주파수 도메인 basis가 정해지면 단말은 총
Figure pat00068
개의 element 중에서 non-zero element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Figure pat00069
에 보고하며, 이는 하기 <표 23>]과 같이 설정된다.
Figure pat00070

Figure pat00071

Figure pat00072
레이어당 최대 non-zero element 수는
Figure pat00073
로 설정되며, non-zero element의 총 수는 2K0로 설정된다. 단말은 wideband 프리코딩 행렬의 편파당 크기는 i2,3,l에 보고하며, 압축된 subband의 크기는 i2,4,l에 보고하고, 이들 PMI 값들은 하기 <표 24> 내지 <표 26>와 같이 설정된다. 또한, subband PMI의 위상 지시자는 하기 <표 27>와 같이 설정된다.
Figure pat00074

Figure pat00075

Figure pat00076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Figure pat00080
Figure pat00081

Figure pat00082

Figure pat00083
단말은 피드백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i2,4,l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진 포트의 정보를 i1,8,l에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이 보고한 PMI로부터 얻어지는 코드북은 하기 <표 28>로 주어진다. <표 28>에서
Figure pat00084
은 (
Figure pat00085
) 번째 요소가 1이고 나머지가 0인
Figure pat00086
길이의 벡터이다.
Figure pat00087
에서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Figure pat00090
로 보고하는 FD basis의 인덱스이다.
Figure pat00091
본 개시에서는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에서 기지국이 SRS를 기반으로 하향링크의 채널상태의 일부를 추정하였을 때, 단말이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상태 정보는 방향(angle), 지연(delay), 크기(amplitude), 및 위상(phase)에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한다. 채널 상태는 코히런트 시간(coherence time) 내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 상호 관련성(reciprocity)을 가진다. TDD (time division duplex)에서는 채널의 방향, 지연, 크기, 위상 모두에 대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간 상호 관련성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며, FDD에서는 방향과 지연의 상호 관련성이 성립한다고 가정한다. TDD에서는 상호 관련성을 활용하여 SRS를 통해 채널 상태를 추정하여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빔의 채널 상태를 계산하였으나, FDD에서는 상호 관련성이 온전히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FDD에서 단말은 CSI-RS를 통해 빔의 채널 상태를 계산한 뒤 PMI를 보고하여 기지국이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빔을 결정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FDD에서의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 상호 관련성을 활용하여 기지국은 SRS를 통해 방향과 지연의 추정이 가능하기에, 단말은 하향링크 채널의 방향 및 지연에 대한 정보의 양을 줄이거나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방향과 지연에 대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 상호 관련성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이 SRS로 추정한 빔 포밍 방향과 단말이 CSI-RS를 통해 추정한 빔 포밍 방향 간에 상호 관련성이 성립한다.
본 개시에서는 기지국이 SRS를 통해 방향과 지연의 추정이 가능할 때, 단말이 CSI 보고에 사용하는 코드북을 reciprocity-based codebook(이하 상호 관련성 기반 코드북 이라 함) 정의 한다. 본 개시의 코드북은 단말이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PMI와 관련된다. 상호 관련성 기반의 코드북을 사용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단말은 CSI-RS를 통해 빔 포밍 방향을 추정하지 않을 수 있다.
- 기지국이 보내는 CSI-RS 포트의 수를 줄여 하향링크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 단말은 빔 포밍 방향에 대한 PMI를 보고하지 않거나 그 정보 양을 줄임으로써, 채널 상태 보고를 위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 Type II port selection PMI 및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PMI와 비교할 때, 같은 PMI 오버헤드 양으로 채널의 크기와 위상의 양자화 레벨(quantization level)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채널 상태 측정 및 보고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과정 1000에서 단말은 SRS를 전송하며, 과정 1005에서 기지국은 상기 SRS를 기반으로 상향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채널 상태에 따른 방향과 지연을 통해 하향링크에서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하향링크 빔 후보를 결정한다. 기지국은 상기 하향링크 빔 후보의 크기와 위상을 결정하기 위해, 과정 1010에서 단말에게 상기 상향링크 빔 후보를 반영하여 빔포밍된 포트를 사용하여 CSI-RS를 전송한다. 상기 CSI-RS의 전송과 동시에 혹은 그 이전에 기지국은 CSI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다. 과정 1015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사전에 보낸 채널 상태의 측정 및 보고에 대한 설정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CSI-RS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CSI-RS를 이용하여 상기 하향링크 빔 후보가 반영된 채널 상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채널의 크기와 위상을 포함하는 PMI를 상호 관련성 기반 코드북을 기반으로 생성한다. 과정 1020에서 상기 PMI를 포함하는 CSI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과정 1025에서 기지국은 상기 PMI를 기반으로 하향링크에 적용할 프리코딩 행렬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과 단말의 운용 관점에서 다음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 이슈 1: 단말이 빔포밍된 CSI-RS 포트의 인덱스를 보고하지 않거나 적은 양의 오버헤드로 PMI를 보고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지국이 SRS를 수신하는 방법과 CSI-RS를 전송하는 방법은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단말의 채널의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 이슈 2: 기존 코드북에 대해서 기지국은 단말이 몇 번째 CSI-RS 포트의 채널 정보를 측정하고 보고를 할 것인지 결정하였지만, 상호 관련성 기반의 코드북에 대해서는 기지국이 몇 번째 CSI-RS 포트에 대한 CSI를 보고 받을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채널 정보 측정 및 보고를 위해 사용하는 CSI-RS 포트가 몇 번째 포트인지에 대한 설정 방법이 경우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 이슈 3: 기존 코드북 대비 PMI 오버헤드가 감소하여 채널의 크기와 위상 정보를 더 정확하게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보고해야 할 채널 정보에 대한 설정 방법이 다양 할 수 있다.
위 이슈들에 대해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해 단말의 채널 상태 측정 및 보고하는 실시예들을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CSI-RS 빔 포트 설정에 따른 채널 측정 및 보고>
상호 관련성 기반의 코드북을 사용하기 위해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CSI-RS를 통해 채널을 측정해야 한다. 기지국은 CSI-RS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이 전송한 SRS를 통해 빔포밍 된 CSI-RS 포트(혹은 CSI-RS 빔 포트라 칭함)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이 PMI를 측정하거나 보고하기 위해 기지국에서 받는 설정 정보는 하기의 파라미터들설정 중에서 최소한 하나를 포함한다.
- PMI를 통해 보고할 빔의 수: 'NumberOfBeams'의 값 (L)
- CSI-RS 포트 수: 'nrofPorts'의 값 (PCSI-RS)
- 사용할 빔 포트의 수: SRS를 통해 선택된 빔 후보군 또는 CSI-RS 포트의 수, 'nrofUsedPorts'의 값, 또는 'nrofPorts-r16' 또는 'NumberOfBeams-r16'의 값 (LCSI-RS)
상기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위레이어 또는 MAC CE 또는 DCI를 통해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설정 방법들에 따른 단말의 채널 측정 및 보고 동작은 하기와 같다.
* 방법 1: L, PCSI-RS, LCSI-RS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됨.
- 단말은
Figure pat00092
개의 포트가 SRS를 통해 선택된 빔포밍된 포트인 것으로 판단한다.
-
Figure pat00093
일 때, 단말은 후술될 제1-1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Figure pat00094
인 경우, 단말은 'NumberOfBeams'의 값을
Figure pat00095
로 기대할 수 있다. 일례로
Figure pat00096
인 경우
Figure pat00097
인 설정을 기대할 수 있다.
-
Figure pat00098
인 경우, 단말은
Figure pat00099
에 설정된 값을 무시하고
Figure pat00100
개의 포트들에 해당하는 CSI-RS를 통해 채널을 측정하고 보고한다.
-
Figure pat00101
인 경우, 단말은 기존의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또는 type II codebook 또는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또는 enhanced type II codebook 동작을 수행한다.
* 방법 2: PCSI-RS, L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됨.
- 단말이 상호 관련성 기반 코드북 보고를 지시 받았을 경우
Figure pat00102
개의 포트가 SRS를 통해 선택된 빔포밍된 포트인 것으로 판단한다.
- 'NumberOfBeams' 값은 PCSI-RS와 같거나 작다고 기대될 수 있다. 일례로
Figure pat00103
인 경우
Figure pat00104
인 설정을 기대할 수 있다.
-
Figure pat00105
인 경우 단말은 제 1-1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Figure pat00106
인 경우 단말은 제 1-2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방법 3: PCSI-RS, LCSI-RS 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됨.
-
Figure pat00107
이 'NumberOfBeams'로 설정되지 않고, 'paramCombination-r16'에서 주어질 때 단말은
Figure pat00108
개의 포트가 SRS를 통해 선택된 빔포밍된 포트인 것으로 판단한다.
- 'paramCombination-r16'으로 설정되는 테이블에서 어떤
Figure pat00109
Figure pat00110
에 대해 선택 가능한
Figure pat00111
Figure pat00112
의 조합의 행들(rows)는 모두 가능하다. 일례로
Figure pat00113
에서 'paramCombination-r16'
Figure pat00114
인 설정을 기대할 수 있다.
- 'paramCombination-r16'에서
Figure pat00115
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Figure pat00116
로 기대한다.
- 단말은 제 1-1 실시예의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방법 1과 방법 2는 <표 14>]의 Type II port selection 기반의 PMI에 적용이 가능한 반면, <표 21>의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기반의 PMI에 적용 시에
Figure pat00117
과 같은 설정이 필요할 때 'paramCombination-r16'으로 설정하는 테이블(예를 들어 <표 20>)을 매우 크게 만들거나 별도의 'NumberOfBeams'를 중복으로 설정해줘야 한다. 상기 전술한 방법 3은 'paramCombination-r16'으로 설정하는 테이블을 크게 만들거나 별도의 'NumberOfBeams' 설정 없이
Figure pat00118
만을 설정하여, 단말에 의한 제1-1 실시예의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제1-1 실시예와 제1-2 실시예는 하기에 상세히 서술한다.
<표 19>의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기반의 PMI에 적용 시, 경우에 따라 압축된 서브밴드의 주파수 도메인 basis의 상호 관련성이 성립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기지국은 SRS로 주파수 도메인 basis를 측정하고 상위레이어 설정 또는 MAC CE 또는 DCI를 통해 상기 측정 값들을 단말에게 알려주거나, 상기 측정 값들을 보고하지 않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호 관련성 기반으로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빔 후보군을 선택하는 방법은 두 가지 스테이지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두 가지 스테이지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스테이지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이 송신한 SRS로 채널의 방향과 지연을 측정하여 빔 후보군을 선택한다. 두 번째 스테이지에서는 기지국이 송신한 CSI-RS에 대해 단말이 채널의 방향과 지연을 측정하여 단말이 빔 후보군을 선택한다.
단말이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설정 정보는 'reportQuantity'를 포함한다. 'reportQuantity'는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 설정하는 하기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None
cri-RI-PMI-CQI
cri-RI-LI-PMI-CQI
cri-RI-i1
cri-RI-i1-CQI
cri-RI-CQI
cri-RSRP
cri-RI-RSRP
ssb-Index-RSRP
cri-SINR-r16
ssb-Index-SINR-r16
cri-RI-i2-r17
cri-RI-i2-CQI-r17
cri-RI-pPMI-CQI-r17
cri-RI-pPMI-r17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reportQuantity'를 통해 'cri-RI-i2-r17' 또는 'cri-RI-i2-CQI-r17'를 설정받으면 단말은 보고되는 PMI에 i1 없이 i2만을 포함시킬 수 있다.
단말이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보고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설정 정보는 또한 'codebookConfig'를 포함한다. 단말은 'codebookConfig'를 통해, PMI를 보고할 때 사용할 코드북 종류를 설정 받을 수 있다. 'codebookConfig'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는 코드북들은 하기와 같으며, 최소 하나가 설정되거나 경우에 따라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typeI-SinglePanel: Type I single-panel codebook
typeI-MultiPanel: Type I multi-panel codebook
typeII: Type II codebook
typeII-PortSelection: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표 19>)
typeII-r16: enhanced Type II codebook
typeII-PortSelection-r16: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표 28>)
typeII-SRS-PortSelection-r17: Reciprocity-based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typeII-SRS-PortSelection-r17'은 상호 관련성 기반의 PMI 보고를 위한 코드북 중 하나이며, 상기에 언급된 다양한 코드북도 설정에 따라 상호 관련성 기반의 PMI 보고를 위한 코드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른 빔 후보군 선택 및 단말의 PMI 보고 방법은 제1-1 실시예 및 제1-2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제1-1 실시예: single stage reciprocity 기반의 PMI 보고>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빔 후보군을 선택하는 방법 중 일례로 첫 번째 스테이지 만이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스테이지에서 선택된 빔 후보군은 하향링크에서 사용할 빔 포트가 된다. 따라서 단말은 사용할 빔 포트가 빔포밍된 CSI-RS의 포트 중 몇 번째 포트인지를 측정하거나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PMI를 보고하기 위해 단말은 수신 받은 CSI-RS의 포트 중 보고해야 할 PMI가 몇 번째 포트에 해당 하는지를 'PortIndication'으로 설정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경우에 대한 설정 방법은 제2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단말은 상호 관련성 기반의 PMI를 보고 하기 위한 'reportQuantity'를 통해 일 예로 'cri-RI-PMI-CQI', 'cri-RI-LI-PMI-CQI', 'cri-RI-i2-r17', 'cri-RI-i2-CQI-r17', 'cri-RI-pPMI-CQI-r17', 'cri-RI-pPMI-r17' 중에 하나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codebookConfig'를 통해 일 예로 'typeII-PortSelection', 'typeII-PortSelection-r16', 'typeII-SRS-PortSelection-r17' 중에 하나를 설정 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codebookConfig'을 통해 'typeII' 또는 'typeII-r16' 또한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설정에 따른 상호 관련성 기반의 채널 측정 및 PMI 보고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관런성 기반의 PMI 보고는 'reportQuantity'와 'codebookConfig'의 설정에 따라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과정 1100에서 단말이 'reportQuantity'를 통해 'cri-RI-i2-r17' 또는 'cri-RI-i2-CQI-r17'를 설정 받으면 과정 1105에서 단말은 설정된 코드북에서 'i1'을 보고하지 않으며, 'PortIndication'에 해당하는 CSI-RS 포트의 subband PMI 또는 압축된 subband PMI를 측정하여 'i2'를 생성하고 이를 PMI로서 보고한다. 일례로 'typeII-PortSelection-r16'이 설정되면 단말은 'i1'에 포함된 선택된 포트가 몇 번째 포트인지에 대한 지시자와 주파수 도메인 basis 및 non-zero element의 비트맵을 PMI 보고에서 생략할 수 있다.
과정 1100에서 단말이 'reportQuantity'를 통해 'cri-RI-pPMI-CQI-r17' 또는 'cri-RI-pPMI-r17'를 설정 받으면 과정 1125에서 단말은 설정된 코드북, 즉 'codebookConfig'을 확인한다. 상기 설정된 코드북을 통해서, 'i1'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감축된(reduced) 'i1'과 'i2'가 보고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과정 1125에서 상기 설정된 코드북을 통해 'typeII-PortSelection'이 설정되면 과정 1110에서 단말은 일 예로 하기 <표 29>에 보이는 바와 같이 'i1'에서, 선택된 포트가 몇 번째 포트인지에 대한 지시자, 즉
Figure pat00119
Figure pat00120
을 포함시키지 않음으로써 감축된 'i1'을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PortIndication'에 해당하는 CSI-RS 포트의 subband PMI를 측정하여 'i2'를 생성하고, wideband PMI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기 감축된 'i1'을 생성하며, 상기 감축된 'i1'과 상기 'i2'를 PMI로서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이때 <표 19>의 코드북의 프리코딩 행렬이 사용될 수 있으며,
Figure pat00121
은 기지국이 SRS를 통해 계산할 수 있으므로 PMI 보고에서 생략된다.
과정 1125에서 상기 설정된 코드북을 통해 단말에게 'typeII-PortSelection-r16'이 설정되면, 과정 1130에서 단말은 일 예로 <표 30>에 보이는 바와 같이, ''i1'에서
Figure pat00122
Figure pat00123
을 생략함으로써 감축된 'i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단말은 'PortIndication'에 해당하는 CSI-RS 포트의 압축된 subband PMI를 측정하여 'i2'를 생성하고, 주파수 도메인(FD) basis를 측정하여 상기 감축된 'i1'을 생성하며, 상기 감축된 'i1'과 상기 'i2'를 PMI로서 보고한다. 이때 <표 28>의 코드북의 프리코딩 행렬이 사용될 수 있으며
Figure pat00124
은 기지국이 SRS를 통해 계산할 수 있으므로 PMI 보고에서 생략될 수 있다.
Reciprocity-based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PMI
Figure pat00125

Figure pat00126
Reciprocity-based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PMI (Type A)
Figure pat00127

Figure pat00128
또 다른 일례로 <표 3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위레이어 설정에 의해 단말은 주파수 도메인 basis를 지시하는
Figure pat00129
또는
Figure pat00130
그리고 non-zero element 비트맵을 지시하는
Figure pat00131
중에서 최소 하나 이상을 PMI 보고에서 생략할 수 있다. 이때 <표 28>의 프리코딩 행렬이 사용될 수 있으며
Figure pat00132
Figure pat00133
은 기지국이 SRS를 통해 계산할 수 있으므로 PMI 보고에서 생략될 수 있다.
Reciprocity-based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PMI (Type B)
Figure pat00134

Figure pat00135
과정 1100에서 단말이 'reportQuantity'를 통해 'cri-RI-PMI-CQI'를 설정 받으면 과정 1115에서 단말은 설정된 코드북, 즉 'codebookConfig'을 확인한다. 상기 설정된 코드북을 통해 단말은 모든 밴드에 대한 프리코더 매트릭스 또는 서브 밴드에 대한 프리코더 매트릭스를 보고할 수 있다. 일례로 과정 1115에서 'codebookConfig'에 'typeII-SRS-PortSelection-r17'이 포함되어 있으면, 과정 1120에서 단말은 상호 관련성 기반의 모든 밴드 또는 서브 밴드의 프리코더 매트릭스를 결정하여 보고한다. 다시 말해서 'PortIndication'에 해당하는 CSI-RS 포트의 'i1'과 'i2'를 측정하여 PMI에 포함시켜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과정 1100에서 확인된 'reportQuantity'와 과정 1115에서 확인된 'codebookConfig" 중에서 앞서 설명되지 않은 나머지 설정의 경우, 단말은 과정 1135으로 진행하여 기존 'codebookConfig' 및 'reportQuantity'의 파라미터들에 따른 채널 측정 및 보고 동작을 수행한다.
<제1-2 실시예: dual-stage reciprocity 기반의 PMI 보고>
하향링크 채널에 대한 빔 후보군을 선택하는 방법 중 일례로 첫 번째 스테이지를 수행한 후에 두 번째 스테이지가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 스테이지에서 선택된 빔 후보군은 하향링크에서 사용할 빔 포트가 된다. 일례로 N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2 (Frequency Range 2: FR2)에서는 빔 후보군의 수가 많으므로 기지국이 SRS를 사용하여 빔 후보군의 수를 줄이면, 단말이 상기 줄어든 빔 후보군 중에서 빔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SRS를 통한 빔추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단 하에 기지국이 빔 후보군을 여러 개 선택하고, CSI-RS를 통해 단말이 상기 빔 후보군 중에서 최종적으로 빔 포트를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사용할 빔 포트가 빔포밍된 CSI-RS의 포트 중 몇 번째 포트인지를 측정하거나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Figure pat00136
이면 단말은 보고해야 할 빔포밍된 포트의 인덱스를 보고하지 않는다고 기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PMI 보고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1-1 실시예를 따를 수 있다. 일례로
Figure pat00137
이면 단말은
Figure pat00138
개의 포트 중에서
Figure pat00139
개의 포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포트의 인덱스를 보고 해야 하며, 단말은
Figure pat00140
를 기대할 수 있다. 일례로
Figure pat00141
이고
Figure pat00142
인 설정을 기대할 수 있다.
단말은 상호 관련성 기반의 PMI 보고를 위해 'reportQuantity'를 통해 'cri-RI-PMI-CQI', 'cri-RI-LI-PMI-CQI', 'cri-RI-i1', 'cri-RI-i1-CQI', 'cri-RI-pPMI-CQI-r17', 'cri-RI-pPMI-r17' 중에 하나를 설정 받을 수 있다. 'codebookConfig'는 일례로 'typeII-PortSelection', 'typeII-PortSelection-r16', 'typeII-SRS-PortSelection-r17' 중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typeII' 또는 'typeII-r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portQuantity'와 'codebookConfig'에 따른 상호 관련성 기반의 PMI 보고 동작을 하기에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위레이어 파라미터 설정에 따른 상호 관련성 기반의 채널 측정 및 PMI 보고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과정 1200에서 단말은 상위레이어를 통해 수신된 파라미터인 'reportQuantity'를 식별한다. 상기 'reportQuantity'를 통해 'cri-RI-pPMI-CQI-r17' 또는 'cri-RI-pPMI-r17'를 설정 받으면, 단말은 설정된 코드북에 따라 'i1'의 일부를 포함하는 감축된 'i1'과 'i2'를 보고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과정 1205에서 설정된 코드북을 나타내는 'codebookConfig'을 식별한다. 과정 1205에서 상기 설정된 코드북을 통해 'typeII-PortSelection-r16'이 설정되면, 과정 1210에서 단말은 일 예로 하기 <표 3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주파수 도메인 basis를 지시하는
Figure pat00143
또는
Figure pat00144
또는 non-zero element 비트맵을 지시하는
Figure pat00145
중에서 최소 하나 이상을 PMI 보고의 'i1'에서 생략할 수 있다. 즉 단말은, CSI-RS 포트의 subband PMI를 측정하여 'i2'를 생성하고, 빔포밍된 포트의 인덱스를 측정하여 감축된 'i1'을 생성하며, 상기 감축된 'i1'과 상기 'i2'를 PMI로서 보고한다. 이때 <표 28>의 코드북의 프리코딩 행렬이 사용될 수 있으며
Figure pat00146
은 기지국이 SRS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Reciprocity-based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codebook PMI (Type C)
Figure pat00147

Figure pat00148

과정 1205에서 상기 설정된 코드북이 'typeII-PortSelection-r16'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과정 1230에서 단말은 상기 설정된 코드북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따라 해당하는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한다.
과정 1200에서 단말이 'reportQuantity'를 통해 'cri-RI-PMI-CQI'를 설정 받으면, 과정 1215에서 단말은 설정된 코드북을 나타내는 'codebookConfig'을 확인한다. 상기 설정된 코드북, 즉 'codebookConfig'의 설정에 따라 과정 1220에서 단말은 모든 밴드에 대한 프리코더 매트릭스 또는 서브 밴드에 대한 프리코더 매트릭스를 PMI로서 보고할 수 있다. 일례로 과정 1215에서 'codebookConfig'을 통해 'typeII-SRS-PortSelection-r17'을 설정 받으면, 과정 1220에서 단말은 상호 관련성 기반의 모든 밴드 또는 서브 밴드의 프리코더 매트릭스를 결정하여 PMI로서 보고할 수 있다.
과정 1215에서 단말이 'codebookConfig'를 통해 'typeII-PortSelection' 또는 'typeII-PortSelection-r16'를 설정 받으면, 과정 1225에서 단말은 기존의 type II port selection 또는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에 따라 채널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Figure pat00149
인 값을 기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SRS로부터 선택된 CSI-RS 빔 포트 설정>
본 실시예는 제1-1 실시예에서 단말이 'i1'에서 몇 번째 빔 포트인지를 보고하기 않도록 설정 받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기지국은 CSI-RS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이 전송한 SRS의 측정을 통해 빔포밍 된 CSI-RS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상호 관련성 기반의 PMI를 보고하기 위해 단말은 수신 받은 CSI-RS의 포트 중 보고해야 할 PMI가 몇 번째 포트에 해당 하는지를 'PortIndication'으로 설정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경우에 대한 설정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단말은 상위레이어 또는 MAC CE 또는 DCI로 'PortIndication'를 설정받을 수 있다.
경우 1:
Figure pat00150
Figure pat00151
를 설정 받고
Figure pat00152
을 확인하면, 단말은 CSI-RS의 포트가 SRS를 통해 선택된 포트임을 기대할 수 있다. 단말은 설정된 모든 포트에 대하여 채널을 측정하고 PMI로서 보고한다.
경우 2: 'PortIndication'은 'startingPorts'를 포함하고, 'startingPorts'
Figure pat00153
이다. 'startingPorts'는
Figure pat00154
의 포트 중 상호 관련성 기반의 코드북이 적용된 PMI로서 보고되는 첫번째 빔 포트를 지시한다. 단말은 'startingPorts'로 설정된 첫번째 포트부터 각 편파당 총
Figure pat00155
개의 포트를 선택하여 채널을 측정하고 PMI로 보고한다.
Figure pat00156
는 'numberOfUsedPorts' 또는 'numberOfUsedPorts-r16'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경우 3: 'startingPorts'와
Figure pat00157
가 모두 설정되며, 단말은 'startingPorts'에 의해 설정된 첫번째 포트부터 각 편파당 총
Figure pat00158
개의 포트를 선택하여 채널을 측정하고 PMI로 보고한다.
경우 4: 'PortIndication'은 선택된 포트들을 식별하는 비트맵인 'selectedPorts'를 포함한다. 'selectedPorts'의 비트 수는
Figure pat00159
이며, 단말은 상기 비트맵에서 '1'로 설정된 포트의 인덱스를 선택하여 채널을 측정하고 PMI로 보고한다.
경우 5: 'reportQuantity'에 'cri-RI-i2-r17' 또는 'cri-RI-i2-CQI-r17'가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은 CSI-RS의 포트가 SRS에 의해 선택된 포트임을 기대할 수 있다. 단말은 설정된 모든 포트에 대하여 채널을 측정하고 PMI로 보고한다.
상기 전술한 경우 1과 경우 5는 기지국이 전송하는 CSI-RS의 포트 수가 SRS를 통해 선택된 빔포밍된 포트 수와 같음을 단말에게 알려 줄 수 있으며, CSI-RS 포트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술한 경우 2, 경우 3, 경우 4는 SRS 기반으로 선택된 빔포밍된 포트의 설정과 다른 다양한 용도의 CSI-RS 포트의 설정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하나의 CSI-RS 포트 설정으로 두 개 이상의 단말의 CSI-RS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경우 2 내지 경우 3은 기존의 type II port selection 내지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와 동일한 빔 선택 구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전술한 경우 4는 연속된 빔 포트 설정을 포함한 분산된 빔 포트 설정이 가늠함으로써 단말의 하향링크 빔 운용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Subband PMI 관련 파라미터 설정>
본 실시예에서 상호 관련성 기반의 PMI 보고가 설정되었을 때 subband PMI의 양자화 레벨은 상위레이어 파라미터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제1-1 실시예와 같이 단말은 'i1'을 보고하지 않거나 'i1'의 일부가 생략된 감축된 'i1'을 PMI 보고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단말은 wideband PMI의 줄어든 정보 양 대신 subband 당 PMI의 정보 또는 압축된 subband PMI의 정보를 늘려, PMI 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밴드 PMI의 크기를 결정하는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1 실시예: Type II Port Selection 기반 코드북의 PMI 파라미터 설정>
도 13을 참조하면, 과정 1300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portQuantity'가 'cri-RI-i2-r17', 'cri-RI-i2-CQI-r17', 'cri-RI-pPMI-CQI-r17', 'cri-RI-pPMI-r17' 중에 하나를 포함하고, 'codebookConfig'가 'typeII-PortSelection' 또는 'typeII-SRS-PortSelection-r17'를 포함하고 앞서 설명한 <표 29>의 Type II Port selection 기반 코드북의 PMI가 사용될 때, subband PMI를 하기의 과정 1305와 같이 생성할 수 있다.방법 1: 과정 1305에서 단말은 상위레이어 시그널링, 일 예로 'reportQuantity'에 의해 설정된 'amplitudeQuantizationSize-r17'에 의해
Figure pat00160
를 획득하면, 과정 1310에서 상기 'amplitudeQuantizationSize-r17'에 의해 주어진 값에 따라 K비트의 양자화 레벨에 의해 wideband PMI 중 채널의 크기를 나타내는 i1,4,l을 양자화할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양자화 레벨에 따른
Figure pat00161
의 값은 하기 <표 33>과 같다.
Figure pat00162
방법 2: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상위레이어를 통해 'phaseAlphabetSize-r17'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기 파라미터를 확인하면, 채널을 측정할 때,
Figure pat00163
의 계산에서
Figure pat00164
이 사용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3: 다른 실시예로서 'amplitudeQuantizationSize-r17' 또는 'phaseAlphabetSize-r17'가 설정되지 않거나, 혹은 상기 파라미터들이 설정되었지만 MAC CE를 통해 사용하지 않도록 trigger되었다면, 단말은 'phaseAlphabetSize'의 값에 따라 설정되는 파라미터
Figure pat00165
을 이용하여 채널을 측정하고 보고한다.
과정 1310에서 'amplitudeQuantizationSize-r17'가 설정되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과정 1315에서 단말은 기존 사용되던 고정 크기의 양자화 레벨, 일 예로 3비트를 사용하여 채널의 크기를 양자화할 것임을 결정한다.기존의 Type II port selection 기반 코드북은
Figure pat00166
으로 고정되어 설정이 가능하지 않았으며,
Figure pat00167
는 'phaseAlphabetSize'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였으나 그 최대값은 8이다. 반면에 'amplitudeQuantizationSize-r17'에 의한
Figure pat00168
과 'phaseAlphabetSize-r17'에 의한
Figure pat00169
의 설정은 PMI 보고의 품질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amplitudeQuantizationSize-r17' 또는 'phaseAlphabetSize-r17'의 비활성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PMI의 오버헤드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
<제3-2 실시예: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기반 코드북의 PMI 파라미터 설정>
도 13을 참조하면, 과정 1300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된 'reportQuantity'가 'cri-RI-i2-r17', 'cri-RI-i2-CQI-r17', 'cri-RI-pPMI-CQI-r17', 'cri-RI-pPMI-r17' 중에 하나를 포함하고, 'codebookConfig'가 'typeII-PortSelection-r16' 또는 'typeII-SRS-PortSelection-r17'를 포함하고, 앞서 설명한 <표 30> 내지 <표 32>의 PMI가 사용될 때, subband PMI에 대한 설정을 하기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방법 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numberOfPMISubbandsPerCQISubband-17'에 의해
Figure pat00170
이 설정됨을 확인한다.
방법 2: 과정 1305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된 'amplitudeQuantizationSize-r17'에 의해
Figure pat00171
가 설정됨을 확인하고, 과정 1310에서 상기 'amplitudeQuantizationSize-r17'에 의해 주어진 값에 따라 K비트의 양자화 레벨에 의해 PMI 값 i2,4,l을 양자화할 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양자화 레벨에 따른
Figure pat00172
의 값은 하기 <표 34>와 같다.
Figure pat00173
방법 3: 다른 실시예로서 기지국은 상위레이어를 통해 'phaseAlphabetSize-r17'를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은 상기 파라미터를 확인하면, 채널을 측정할 때,
Figure pat00174
의 계산에서
Figure pat00175
가 사용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4: 다른 실시예로서, 'numberOfPMISubbandsPerCQISubband-17' 또는 'amplitudeQuantizationSize-r17' 또는 'phaseAlphabetSize-r17'가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혹은 상기 파라미터들이 설정되었지만 MAC CE를 통해 사용하지 않도록 trigger되었다면, 단말은 'numberOfPMISubbandsPerCQISubband'에 따라 식별된 CQI 서브밴드별 PMI 서브밴드의 개수에 따라 채널을 측정하고 보고한다.
상기 전술한 방법 2는 0에 가까운 크기를 더 정확하게 보고하는 제3-1 실시예의 방법 1과 달리, 1에 가까운 크기를 더 정확하게 보고한다. 'typeII-PortSelection-r16' 기반의 코드북은 non-zero element를 보고 하지 않기에 0에 가까운 크기를 정확하게 보고하기 보다 1에 가까운 크기를 정확하게 보고 하는 것이 PMI 보고의 품질을 더 높일 수 있다.
기존의 Enhanced type II port selection 기반 코드북은
Figure pat00176
그리고
Figure pat00177
으로 고정되어 있다. 반면에 상기 전술한 방법 2와 방법 3은
Figure pat00178
Figure pat00179
의 설정을 통해 PMI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방법 1은 보고되는 PMI 내에 포함되는 주파수 도메인의 basis 개수를 늘려 압축된 subband PMI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방법 4은 PMI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과정 1405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의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설정 정보는 앞서 설명한 파라미터들, 특히 PMI를 통해 보고할 빔의 수(L)와 CSI-RS 포트 수(PCSI-RS)와 사용할 빔 포트의 수(LCSI-RS) 중 적어도 2개와, 'reportQuantity' 및 'codebookConfig'를 포함한다. 과정 1410에서 단말은 CSI-RS를 수신하고, 과정 1415에서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감축된 정보를 포함하는 (압축된) wideband PMI를 포함하는 PMI를 생성한다. 상기 PMI는 또한 subband PMI 혹은 제3 실시예에 따라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subband PMI를 포함한다. 과정 1420에서 단말은 상기 PMI를 포함하는 CSI를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과정 1505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채널 상태의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설정 정보는 앞서 설명한 파라미터들, 특히 PMI를 통해 보고할 빔의 수(L)와 CSI-RS 포트 수(PCSI-RS)와 사용할 빔 포트의 수(LCSI-RS) 중 적어도 2개와, 'reportQuantity' 및 'codebookConfig'를 포함한다. 과정 1510에서 기지국은 CSI-RS를 전송하고, 과정 1515에서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에 따라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감축된 정보를 포함하는 (압축된) wideband PMI를 포함하는 PMI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PMI는 또한 subband PMI 혹은 제3 실시예에 따라 추가 정보를 포함하는 subband PMI를 포함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transceiver)(1600, 1610),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부(processor)(1605)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단말의 통신 방법에 따라, 단말의 처리부(1605)는 송수신부(1600, 16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600, 1610), 및 처리부(1605)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1600, 1610)는 기지국과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600, 1610)는 전송되는 신호들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1600, 1610)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1600, 1610)의 구성 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1600, 16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들을 수신하여 처리부(1605)로 출력하고, 처리부(160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605)는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605)는 단말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처리부(1605)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605)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1605)는 SRS를 송신하거나 PMI를 비롯한 CSI를 송신하거나 PMI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지시 및 설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CSI-RS 를 수신하도록 단말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PMI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지시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단말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1700, 1710)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부(1705)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기지국의 통신 방법에 따라, 기지국의 처리부(1705)는 송수신부(1700, 17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송수신부(1700, 1710), 처리부(1705)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1700, 1710)는 단말과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700, 1710)는 전송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1700, 1710)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1700, 1710)의 구성 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1700, 17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부(1705)로 출력하고, 처리부(170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처리부(1705)는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705)는 기지국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처리부(1705)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705)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1705)는 SRS를 수신하거나 PMI를 비롯한 CSI 를 수신하거나 PMI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지시 및 설정 정보를 송신하거나, CSI-RS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고, PMI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지시 및 설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기지국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 혹은 단말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보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상태의 측정 및 보고를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 정보는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를 통해 보고할 빔들의 수를 나타내는 제1 값(L),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포트 수를 나타내는 제2 값(PCSI-RS), 상기 CSI-RS의 포트 수 중 사용할 빔 포트의 수를 나타내는 제3 값(LCSI-RS)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값들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CSI-RS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CSI-RS의 측정 결과와 상기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PMI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PMI를 포함하는 CSI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MI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CSI-RS의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광대역 PMI와 경우에 따라 주파수 도메인 압축을 위한 베이시스를 나타내는 PMI_i1, 및 서브밴드 PMI 또는 압축된 서브밴드 PMI를 나타내는 PMI_i2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PMI_i1에 포함된 선택된 포트가 몇 번째 포트인지에 대한 지시자와 주파수 영역 basis 및 non-zero element의 비트맵의 지시자를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PMI_i1를 감축하는 과정과,
    상기 감축된 PMI_i1 및 상기 PMI_i2를 포함하는 상기 PMI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00054062A 2020-05-06 2020-05-0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Pending KR20210135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62A KR20210135874A (ko) 2020-05-06 2020-05-0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EP21800186.5A EP4135213A4 (en) 2020-05-06 2021-04-28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202180033709.XA CN115552806A (zh) 2020-05-06 2021-04-28 无线通信系统中报告信道状态的方法和装置
US17/998,106 US20230299914A1 (en) 2020-05-06 2021-04-28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21/005393 WO2021225325A1 (ko) 2020-05-06 2021-04-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62A KR20210135874A (ko) 2020-05-06 2020-05-0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74A true KR20210135874A (ko) 2021-11-16

Family

ID=7846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062A Pending KR20210135874A (ko) 2020-05-06 2020-05-0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99914A1 (ko)
EP (1) EP4135213A4 (ko)
KR (1) KR20210135874A (ko)
CN (1) CN115552806A (ko)
WO (1) WO20212253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9881A1 (en) * 2020-08-26 2022-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si reporting based on a codebook
US12185139B2 (en) * 2021-05-10 2024-12-3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W1, W2, and WF for port selection codebook enhancement
CN118369857A (zh) * 2021-12-17 2024-07-19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配置联合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资源和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端口选择码本的技术
US12225569B2 (en) * 2022-01-31 2025-02-11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for time domain correlation information reporting
US20250055634A1 (en) * 2023-07-27 2025-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to-resource mapping
WO2025007551A1 (zh) * 2024-01-23 2025-01-09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处理方法、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4250713A1 (en) * 2024-01-29 2024-12-12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ype ii codeboo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9027A1 (en) * 2010-06-25 2011-12-29 Motorola, Inc. Method for channel quality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3497813B1 (en) * 2016-08-11 2022-04-06 Convida Wireless, LLC Csi feedback design for new radio
EP3497819A1 (en) * 2016-08-12 2019-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ayer 1 and layer 2 channel state information rich reporting mechanisms
US10200103B2 (en) * 2016-11-23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multi-resolution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2364258B1 (ko) * 2017-03-23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56887B2 (en) * 2017-03-23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Differen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for higher resolution CSI
KR101992407B1 (ko) * 2017-11-28 201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csi 보고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US11611380B2 (en) * 2018-07-27 2023-03-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830092B (zh) * 2018-08-10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指示预编码矩阵和确定预编码矩阵的方法以及通信装置
WO2020060345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높은 해상도의 코드북에 기반한 채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
WO2020061952A1 (en) * 2018-09-27 2020-04-02 Qualcomm Incorporated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guided downlink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 scan
CA3211680A1 (en) * 2021-04-12 2022-10-20 Lenovo (Singapore) Pte. Ltd. Csi reporting with subset of coefficient indic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25325A1 (ko) 2021-11-11
EP4135213A1 (en) 2023-02-15
CN115552806A (zh) 2022-12-30
EP4135213A4 (en) 2023-10-04
US20230299914A1 (en)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45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56273B2 (en)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7161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beam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514315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的多波束操作的方法和装置
US1186347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between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0764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the unlicensed spectrum
CN11106637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波束指示的装置和方法
KR10195887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CN112567680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和指示波束信息的方法和设备
US102851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structure for advanced communication systems
CA3053235C (en) Method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16076135A (zh) 用于快速波束指示的方法和设备
KR2021013587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CN110249573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波束管理的装置和方法
CN115211198A (zh) 波束指示信道支持方法及设备
KR202001148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측정 및 보고 방법 및 장치
CN115516965A (zh) 用于动态波束指示机制的方法和装置
US202200297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arq-ack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4631386A (zh) 用于快速波束管理的方法和装置
KR102409304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대역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3533428A (ja) 複数のダウンリンクリソースに関する拡張csi報告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5699955A (zh) 多分量载波的多波束操作
CN113950861A (zh) 用于非周期性参考信号发送和接收的方法和装置
CN115428358A (zh) 基于组的动态波束指示机制
KR202100077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 처리 유닛의 점유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