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010A - Evaporator Device With Evaporator Cartridge - Google Patents
Evaporator Device With Evaporator Cart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32010A KR20210132010A KR1020217024053A KR20217024053A KR20210132010A KR 20210132010 A KR20210132010 A KR 20210132010A KR 1020217024053 A KR1020217024053 A KR 1020217024053A KR 20217024053 A KR20217024053 A KR 20217024053A KR 20210132010 A KR20210132010 A KR 202101320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ridge
- heating element
- evaporator
- receptacle
- wi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하우징, 카트리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저장소 및 위크 하우징, 가열 요소, 및 위킹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증발기 디바이스에서의 리셉터클의 개방된 상단 아래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소는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위크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가열 부분, 및 위크 하우징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분은 리셉터클에서의 리셉터클 접촉부와의 전기적 결합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킹 요소는 위크 하우징 내에서 그리고 가열 요소의 가열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위킹 요소는 가열 요소에 의한 증발을 위하여 증발가능한 재료를 위크 하우징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may include a cartridge housing, a reservoir and wick housing disposed within the cartridge housing, a heating element, and a wicking element. The cartridg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extend below the open top of a receptacle in the evaporator device when the cartridge is engag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reservoi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vaporizable material. The heating element may include a heating portion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side the wick housing and a contact portion disposed at least partially outside the wick housing. 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cartridge contact that forms an electrical coupling with the receptacle contact in the receptacle. The wicking element may be disposed within the wick housing and adjacent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The wicking element may be configured to draw vaporizable material into the wick housing for evaporation by the heating element.
Description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이 출원은 "HEATING ELEMENT"라는 명칭으로 2019년 10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13,135호, "RESERVOIR OVERFLOW CONTROL WITH CONSTRICTION POINTS"라는 명칭으로 2019년 2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12,148호,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라는 명칭으로 2019년 2월 2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812,161호,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라는 명칭으로 2019년 10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15,005호, "VAPORIZER DEVICE"라는 명칭으로 2019년 11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30,508호, "VAPORIZER DEVICE"라는 명칭으로 2019년 12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47,496호, 및 "VAPORIZER DEVICE WITH VAPORIZER CARTRIDGE"라는 명칭으로 2020년 2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981,498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한 출원들의 개시내용들은 그 전체적으로 참조로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This application is a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913,135, filed on October 9, 2019, entitled "HEATING ELEMENT", and a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No. 62/812,148,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812,161, filed on February 28, 2019 under the name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 filed on October 14, 2019 under the name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915,005, filed on November 4, 2019 under the name "VAPORIZER DEVICE" Claims priority to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947,496, and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981,498, filed February 25, 2020, entitled "VAPORIZER DEVICE WITH VAPORIZER CARTRIDGE." The disclosures of the aforementioned app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증발기 디바이스(vaporizer device)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증발기 카트리지(vaporizer cartridge)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증발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relates generally to vaporizer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porizer device configured for engagement with a vaporizer cartridge.
증발기들, 전자 증발기 디바이스들, 또는 e-증발기 디바이스들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증발기 디바이스들은 증발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에어로졸(aerosol)의 흡입에 의해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에어로졸(또는 "증기")의 전달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담배들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전자 담배들은, 전형적으로 배터리 급전되고, 연초(tobacco) 또는 다른 물질들의 연소 없이, 담배 흡연의 경험을 시뮬레이팅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일종의 증발기 디바이스들이다.Evaporator devices,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evaporators, electronic evaporator devices, or e-evaporator devices, are an aerosol (or “vapor”) containing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by inhalation of an aerosol by a user of the evaporating device. can be used for the delivery of For example, electronic cigarettes,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e-cigarettes, are typically battery powered and are a type of evaporator device that can be used to simulate the experience of smoking a cigarette without burning tobacco or other materials. admit.
증발기 디바이스의 이용 시에, 사용자는 액체, 용액, 고체, 왁스(wax), 또는 특정 증발기 디바이스의 이용과 양립가능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일 수 있는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액체 또는 고체가 기체 상(gas phase)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이하게 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지칭함)시키는 가열 요소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보편적으로 증기로 칭해진 에어로졸을 흡입한다. 증발기와 함께 이용된 증발가능한 재료는 (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한)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예컨대, 저장소에서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는 증발기의 부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In use of an evaporator device, a user vaporizes a vaporizable material, which may be a liquid, solution, solid, wax, or any other form compatible with the use of a particular evaporator device (liquid or solid being in a gaseous phase). Inhale an aerosol, commonly referred to as vapor, which can be generated by a heating element that causes at least a partial transition into the gas phase. The vaporizable material used with the evaporator may be provided in a cartridge (eg, the portion of the evaporator that receives the vaporizable material in a reservoir) that includes a mouthpiece (eg, for inhalation by a user).
증발기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을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어떤 예들에서, 퍼프(puff)를 행으로써, 버튼을 누름으로써, 또는 일부 다른 접근법에 의해 증발기 디바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퍼프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이용(그리고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이 공기와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도록, 공기의 체적이 증발기 디바이스로 인출되게 하는 방식으로의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지칭한다.To receive the inhalable aerosol generated by the evaporator device, the user may activate the evaporator device, in some examples, by putting on a puff, pressing a button, or by some other approach. A puff is, as the term is generally used (and also used herein), in such a way that a volume of air is drawn into the evaporator device, such that an inhalable aerosol is produced by the combination of air and vaporized vaporizable material. refers to inhalation by the user of
증발기 디바이스가 증발가능한 재료로부터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전형적인 접근법은 증발가능한 재료가 기체(또는 증기) 상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증발 챔버(또는 히터 챔버)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것을 수반한다. 증발 챔버는 일반적으로, 증발기 디바이스에서의 영역 또는 체적을 지칭하고, 이 영역 또는 체적 내에서, 열원(예컨대, 전도성, 대류성, 및/또는 복사성)은 공기 및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의 혼합물을 생성하여 증발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한 증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증발가능한 재료의 가열을 야기시킨다.A typical approach for an evaporator device to generate an inhalable aerosol from a vaporizable material involves heating the vaporizable material in an vaporization chamber (or heater chamber) to cause the vaporizable material to be converted into a gas (or vapor) phase. Evaporation chamber generally refers to a region or volume in an evaporator device, within which a heat source (eg, conductive, convective, and/or radiative) transports a mixture of air and vaporized vaporizable material. causing heating of the vaporizable material to form vapor for inhalation by a user of the vaporization device.
일부 증발기 디바이스 실시예들에서, 증발가능한 재료는 위킹 요소(wicking element)(위크(wick))를 통해 저장소로부터 증발 챔버로 인출될 수 있다. 증발 챔버로의 증발가능한 재료의 이러한 인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크에 의해 제공된 모세관 작용에 기인할 수 있고, 이 모세관 작용은 증발 챔버의 방향으로 위크를 따라 증발가능한 재료를 견인한다. 그러나, 증발가능한 재료는 저장소로부터 인출되므로, 저장소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진공을 생성하고 모세관 작용에 대항하여 작용한다. 이것은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 챔버로 인출하기 위한 위크의 유효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예컨대, 사용자가 증발 디바이스 상에서 퍼프를 행할 때, 희망된 양의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 디바이스의 유효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저장소에서 생성된 진공은 궁극적으로, 증발가능한 재료의 전부를 증발 챔버로 인출할 수 없는 것으로 귀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증발가능한 재료를 낭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쟁점들을 개선시키거나 극복하는 개선된 증발 디바이스들 및/또는 증발 카트리지들이 희망된다.In some vaporizer device embodiments, the vaporizable material may be withdrawn from the reservoir into the vaporization chamber via a wicking element (wick). This withdrawal of vaporizable material into the evaporation chamber may be due, at least in part, to capillary action provided by the wick, which pulls the vaporizable material along the wick in the direction of the evaporation chamber. However, as the vaporizable material is withdrawn from the reservoir, the pressure inside the reservoir is reduced, thereby creating a vacuum and acting against capillary action. This may reduce the effectiveness of the wick to draw vaporizable material into the vaporization chamber, whereby the effectiveness of the vaporization device to vaporize a desired amount of vaporizable material, eg, when a user puffs on the vaporization device. reduces the Also, the vacuum created in the reservoir may ultimately result in not being able to withdraw all of the vaporizable material into the evaporation chamber, thereby wasting the vaporizable material. As such, improved evaporation devices and/or evaporation cartridges that improve or overcome these issues are desired.
용어 증발기 디바이스는, 본 주제와 부합하는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개인적 이용을 위하여 편리한 휴대용 자립적 디바이스들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외부 제어기(예컨대, 스마트폰, 스마트 시계, 다른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들 등)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최근에 이용가능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증발기 상의 (제어부들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버튼, 터치 감지 디바이스,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기능성 등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는 이 맥락에서, 일반적으로, 히터가 온(on) 및/또는 오프(off)되게 하는 것, 히터가 동작 동안에 가열되는 최소 및/또는 최대 온도를 조절하는 것,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다양한 게임들 또는 다른 상호작용 특징들, 및/또는 다른 동작들 중의 임의의 것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에 영향을 주기 위한 능력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The term evaporator device, as used herein consistent with this subject matter, generally refers to portable, self-contained devices that are convenient for personal use. Typically, a number of devices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ntroller (eg, a smartphone, smart watch, othe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etc.) have recently become available, but these devices are located on the evaporator (generally referred to as controls). may be) one or more switches, buttons, touch sensitive devices, or other user input functionality, or the like. Control, in this context, generally refers to causing a heater to be on and/or off, adjusting the minimum and/or maximum temperature to which the heater is heated during operation, which the user can access on the device. Refers generally to the ability to affect one or more of a variety of operating parameters, which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any of a variety of games or other interactive features, and/or other operations.
다양한 내용물들 및 내용물들의 비율들을 가지는 다양한 증발가능한 재료들은 카트리지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일부 증발가능한 재료들은 예를 들어, 어떤 활성 성분 백분율들을 요구하는 규제들로 인한 것과 같이, 증발가능한 재료의 총 체적 당 활성 성분들의 더 작은 백분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희망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컨대, 카트리지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증발가능한 재료의 전체적인 체적과 비교하여) 다량의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Various vaporizable materials having various contents and ratios of contents may be contained within the cartridge. Some vaporizable materials may have a smaller percentage of active ingredients per total volume of vaporizable material, for example due to regulations requiring certain active ingredient percentages. As such, a user may need to evaporate a large amount of vaporizable material (eg, compared to the overall volume of vaporizable material that may be stored within the cartridge) to achieve a desired effect.
본 주제의 어떤 양태들에서, 전자 증발기 디바이스의 어떤 민감한 컴포넌트(component)들 내의 또는 근처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들의 존재와 연관된 도전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당해 분야에서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은 유사한/동등한 접근법들 중의 하나 이상의 포함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는, 증발기 디바이스를 위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하우징 - 카트리지 하우징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증발기 디바이스에서의 리셉터클(receptacle)의 개방된 상단 아래로 연장되도록 구성됨 -; 카트리지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저장소 - 저장소는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됨 -; 카트리지 하우징 내에 배치된 위크 하우징; 가열 요소 - 가열 요소는 위크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가열 부분 및 위크 하우징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부분은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에서의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접촉부와의 전기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를 포함함 -; 및 위크 하우징 내에 그리고 가열 요소의 가열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위킹 요소 - 위킹 요소는 가열 요소에 의한 증발을 위하여 증발가능한 재료를 저장소로부터 위크 하우징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할 수 있다.In certain aspec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vaporizable liquid materials in or near certain sensitive components of an electronic evaporator device may be overcome by the features described herein or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be addressed by inclusion of one or more of similar/equivalent approaches as described above. In one aspect, a cartridge for an evaporator device is provided. The cartridge comprises a cartridge housing, the cartridge housing configured to extend below an open top of a receptacle in the evaporator device when the cartridge is engag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a reservoir disposed within the cartridge housing, the reservoir configured to receive the vaporizable material; a wick housing disposed within the cartridge housing; heating element, the heating element comprising a heating portion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side the wick housing and a contact portion disposed at least partially outside the wick housing, the contact portion being in electrical coupling with one or more receptacle contacts in a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one or more cartridge contacts configured to form a; and a wicking element disposed within the wick housing and adjacent a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the wicking element configured to withdraw vaporizable material from the reservoir into the wick housing for evaporation by the heating element.
일부 변형예들에서, 다음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특징은 임의의 실행가능한 조합으로 임의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접촉 부분은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과의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적 결합은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를 고정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one or more features disclosed herein, including the following features, may be optionally included in any practicable combination. The contact portion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form a mechanical coupling with a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The mechanical coupling may secure the cartridge in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일부 변형예들에서, 리셉터클은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2 부분보다 더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지는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1 부분일 수 있다. 리세싱된 영역(recessed area)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카트리지 하우징과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2 부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receptacle may be a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dimension than a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A recessed area may be formed between the cartridge housing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일부 변형예들에서, 리셉터클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위크 하우징의 하부에서의 하나 이상의 슬롯과의 유체 결합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슬롯은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에 진입하는 공기가 위크 하우징에 추가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리세싱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대략 0.6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receptacle may include one or more air inlets that form fluidic engagement with one or more slot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ick housing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one or more slots may be configured to allow air entering the one or more air inlets to further enter the wick housing. One or more air inlets may be disposed in the recessed area. The one or more air inlets may have a diameter of approximately 0.6 millimeters to 1.0 millimeters.
일부 변형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슬롯 각각의 내부는 위크 하우징의 하부에서의 하나 이상의 슬롯의 치수보다 더 작은 하나 이상의 슬롯의 내부 치수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차(step)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단차는 위크 하우징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가 하나 이상의 슬롯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니스커스(meniscus)가 형성되는 수축 지점(constriction point)을 제공할 수 있다. 위크 하우징의 하부에서의 하나 이상의 슬롯의 치수는 대략 1.2 밀리미터 길이 x 0.5 밀리미터 폭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슬롯의 내부 치수는 대략 1 밀리미터 길이 x 0.3 밀리미터 폭일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interior of each of the one or more slots can include at least one step defined by an interior dimension of the one or more slots that is smaller than a dimension of the one or more slots at the bottom of the wick housing. The at least one step may provide a constriction point at which a meniscus is formed to prevent evaporable material in the wick housing from escaping from the one or more slots. The dimensions of the one or more slots at the bottom of the wick housing may be approximately 1.2 millimeters long by 0.5 millimeters wide. The internal dimensions of the one or more slots may be approximately 1 millimeter long by 0.3 millimeters wide.
일부 변형예들에서, 가열 요소의 가열 부분 및 가열 요소의 접촉 부분은 기판 재료를 접철(fold)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재료는 가열 요소의 가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타인(tine)을 포함하도록 절단될 수 있다. 기판 재료는 가열 요소의 가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그(leg)를 포함하도록 추가로 절단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may be formed by folding the substrate material. The substrate material may be cut to include one or more tines for forming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The substrate material may be further cut to include one or more legs for forming a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일부 변형예들에서, 가열 요소의 접촉 부분은 적어도 제 1 조인트(joint), 제 2 조인트, 및 제 3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레그 각각을 접철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1 조인트는 제 2 조인트와 제 3 조인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조인트는 하나 이상의 레그 각각의 팁(tip)과 제 1조인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may be formed by folding each of the one or more legs to form at least a first joint, a second joint, and a third joint. The first joi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joint and the third joint. The second join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ip of each of the one or more legs and the first joint.
일부 변형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는 제 2 조인트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제 1 조인트와 제 3 조인트 사이의 하나 이상의 레그 각각의 부분과 위크 하우징의 외부 사이의 제 1 기계적 결합에 의해 위킹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제 2 조인트와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 사이의 제 2 기계적 결합에 의해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에 고정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one or more cartridge contacts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joint. The heating element may be secured to the wicking housing by a first mechanical coupling between a por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legs between the first joint and the third joint and an exterior of the wick housing. The cartridge may be secured to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by a second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second joint and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일부 변형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는 제 1 조인트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팁과 제 2 조인트 사이의 하나 이상의 레그 각각의 부분과 위크 하우징의 외부 사이의 제 1 기계적 결합에 의해 위크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제 1 조인트와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 사이의 제 2 기계적 결합에 의해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에 고정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one or more cartridge contacts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joint. The heating element may be secured to the wick housing by a first mechanical coupling between a por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legs between the tip and the second joint and an exterior of the wick housing. The cartridge may be secured to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by a second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joint and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일부 변형예들에서, 저장소는 저장 챔버 및 수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기는 저장 챔버와 유체 접촉하는 증발가능한 재료의 체적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오버플로우 채널(overflow channel)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미세유체 특징부(microfluidic feature)가 오버플로우 채널의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미세유체 특징부 각각은 저장소에 진입하는 공기가 오버플로우 채널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니스커스가 형성되는 수축 지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reservoir may include a storage chamber and a collector. The collector may include an overflow channel configured to retain a volume of vaporizable material in fluid contact with the storage chamber. One or more microfluidic features may be disposed along the length of the overflow channel. Each of the one or more microfluidic features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retraction point at which a meniscus is formed to prevent air entering the reservoir from passing through the vaporizable material in the overflow channel.
일부 변형예들에서, 카트리지 하우징은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키는 가열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을 위한 유출구에 이어지는 공기유동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기는 공기유동 통로와 유체 연통하는 중앙 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기의 하부 표면은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키는 가열 요소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혼합하도록 구성된 유동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cartridge housing may include an airflow passageway leading to an outlet for an aerosol formed by a heating element that vaporizes the vaporizable material. The collector may include a central tunnel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airflow passageway. The lower surface of the collector may include a flow controller configured to mix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heating element to vaporize the vaporizable material.
일부 변형예들에서, 공기유동 통로의 내부 표면은 유출구로부터 위킹 요소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채널은 에어로졸에 의해 형성된 응축물(condensate)을 수집하고 수집된 응축물의 적어도 부분을 위킹 요소를 향해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inner surface of the airflow passageway may include one or more channels extending from the outlet to the wicking element. The one or more channels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condensate formed by the aerosol and direct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lected condensate toward the wicking element.
일부 변형예들에서, 유동 제어기는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채널은 제 2 채널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채널의 제 1 내부 표면은 제 1 채널을 통해 중앙 터널에 진입하는 에어로졸의 제 1 칼럼(column)을, 제 2 채널을 통해 중앙 터널에 진입하는 에어로졸의 제 2 칼럼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보내기 위하여, 제 2 채널의 제 2 내부 표면과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flow controller can include a first channel and a second channel. The first channel may be offset from the second channel. The first inner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directs a first column of aerosol entering the central tunnel through the first channel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a second column of aerosol entering the central tunnel through the second channel. For this purpose, the second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hannel may be inclined in a different direction.
일부 변형예들에서, 제어기의 하부 표면은 하나 이상의 위크 계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위크 계면은 수집기에서의 하나 이상의 위크 피드(wick feed)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위크 피드는 저장 챔버 내에 수용된 증발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위크 하우징 내에 배치된 위킹 요소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wick interfaces. The one or more wick interfaces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wick feeds at the collector. The one or more wick feeds may be configured to deli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izable material contained within the storage chamber to a wicking element disposed within the wick housing.
일부 변형예들에서, 위크 하우징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flange)는 위크 하우징의 상부 둘레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플랜지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림(rim)의 적어도 일부 위로 연장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wick housing can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within a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A flange is disposed at least partially around an upper perimeter of the wick housing. The flange may extend over at least a portion of a rim of the cartridge receptacle.
또 다른 양태에서는, 증발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증발기 카트리지는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1 부분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 리셉터클은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접촉부를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의 위크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카트리지의 하우징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리셉터클의 개방된 상단 아래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접촉부는 카트리지에서의 가열 요소의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와의 전기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접촉 부분은 위크 하우징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됨 -;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2 부분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전원; 및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전원으로부터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가열 요소로의 전기 전류의 방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 전기 전류는 위크 하우징 내에서 그리고 가열 요소의 가열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위킹 요소를 포화시키는 증발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가열 요소로 방전됨 - 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an evaporator device is provided. The evaporator cartridge is a receptacle comprising a first portion of a body of an evaporator device, the receptacle including one or more receptacle contacts, the receptacle to receive a wick housing of the cartridge that,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receives a vaporizable material wherein the housing of the cartridge extends below the open top of the receptacle when the cartridge is engag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one or more receptacle contacts being in electrical engagement with the one or more cartridge contacts including a contact portion of a heating element in the cartridge.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disposed at least partially outside the wick housing; a power sourc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charge of an electrical current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heating element contained within the cartridge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wherein the electrical current is disposed within the wick housing and adjacent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discharged to the heating element to evapo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izable material that saturates the
일부 변형예들에서, 다음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특징은 임의의 실행가능한 조합으로 임의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가열 요소의 접촉 부분과의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기계적 결합은 증발기 디바이스의 리셉터클에서 카트리지를 고정한다.In some variations, one or more features disclosed herein, including the following features, may be optionally included in any practicable combination. The receptacle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form a mechanical coupling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wherein the mechanical coupling secures the cartridge in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일부 변형예들에서,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1 부분은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2 부분보다 더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리세싱된 영역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2 부분과 카트리지 하우징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dimension than the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The recessed reg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cartridge housing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일부 변형예들에서, 리셉터클은 카트리지가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위크 하우징의 하부에서의 하나 이상의 슬롯과의 유체 결합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슬롯은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에 진입하는 공기가 위크 하우징에 추가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리세싱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대략 0.6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receptacle may include one or more air inlets that form fluidic engagement with one or more slot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ick housing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one or more slots may be configured to allow air entering the one or more air inlets to further enter the wick housing. One or more air inlets may be disposed in the recessed area. The one or more air inlets may have a diameter of approximately 0.6 millimeters to 1.0 millimeters.
일부 변형예들에서, 리셉터클은 리셉터클의 상단 림이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1 부분의 상단 림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도록,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1 부분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receptacl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such that the top rim of the receptacle is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top rim of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일부 변형예들에서, 리셉터클은 위크 하우징의 상부 둘레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플랜지가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상단 림 및/또는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1 부분의 상단 림의 적어도 일부 위로 연장되도록, 위크 하우징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대략 4.5 밀리미터 깊이일 수 있다.In some variations, the receptacle is configured such that a flang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about an upper perimeter of the wick housing extends over a top rim of the cartridge receptacle and/or at least a portion of a top rim of a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receptacle may be approximately 4.5 millimeters deep.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변형예들의 세부사항들은 첨부 도면들 및 이하의 설명에서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의 하나의 특징 및 장점은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The details of one or more vari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set fort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below. One feature and advantage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from the claims.
이 명세서 내에 편입되고 이 명세서의 부분을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주제의 어떤 양태들을 도시하고, 설명과 함께, 개시된 구현예들과 연관된 원리들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을 돕는다.
도 1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2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저장 챔버 및 오버플로우 체적을 가지는 카트리지의 예의 평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저장 챔버 및 오버플로우 체적을 가지는 카트리지의 예의 평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커넥터의 하나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커넥터의 또 다른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커넥터의 하나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평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커넥터의 또 다른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평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커넥터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f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커넥터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평면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4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폐쇄된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분해된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또 다른 폐쇄된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폐쇄된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측면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측면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사시도 및 측면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사시도 및 측면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사시도 및 측면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5f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g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5h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i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j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부분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k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부분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l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에서의 유체 유동 관리 기구의 예를 도시하고;
도 5m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에서의 유체 유동 관리 기구의 예를 도시하고;
도 5n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에서의 유체 유동 관리 기구의 예를 도시하고;
도 6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또 다른 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8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하면도, 및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8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위크 피드 기구의 예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8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위크 피드 기구의 예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8f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위크 피드 기구의 예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9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9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0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 시스템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0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 시스템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10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 시스템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하면도를 도시하고;
도 10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 시스템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또 다른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0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 시스템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또 다른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11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외부 공기유동 경로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1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외부 공기유동 경로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2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위크 하우징의 예의 사시도, 상면도, 하면도, 및 다양한 측면도들을 도시하고;
도 12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 및 위크 하우징의 예의 사시도들을 도시하고;
도 13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사시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13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3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의 예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가열 요소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가열 요소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한 가열 요소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7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디바이스에서의 이용을 위하여 증발기 카트리지에서 위치된 가열 요소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8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8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8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8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 및 위킹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8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위크 하우징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9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0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1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22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23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비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4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비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25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5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6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7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28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29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비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9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비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0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비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30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비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31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atomizer assembly)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2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3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4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4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의 또 다른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5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6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7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38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9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0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를 갖는 기판 재료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41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비절곡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42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2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의 위크 하우징의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43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4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5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기 시스템의 예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5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기 시스템의 예의 제 1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5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기 시스템의 예의 제 2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6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디바이스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47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리셉터클 접촉부들의 예를 도시하고;
도 47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리셉터클 접촉부들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도 47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리셉터클 접촉부들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도 47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7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예를 포함하는 증발기 본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8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 내에 배치된 카트리지의 측면 절개도를 도시하고;
도 48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 내에 배치된 카트리지의 또 다른 측면 절개도를 도시하고;
도 48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본체와 결합된 증발기 카트리지의 측면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48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본체와 결합된 증발기 카트리지의 측면의 또 다른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48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본체와 결합된 증발기 카트리지의 측면의 또 다른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48f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공기 유입구들 주위의 공기 압력 및 공기유동 속도의 분포를 예시하는 히트 맵(heat map)들을 도시하고;
도 49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본체 쉘(vaporizer body shell)의 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9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조립된 증발기 본체 쉘의 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0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위크 하우징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0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위크 하우징의 또 다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1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1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또 다른 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1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또 다른 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51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또 다른 예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52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하면도를 도시하고;
도 52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정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2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또 다른 정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2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2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2f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층류(laminar flow)의 예 및 난류(turbulent flow)의 예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53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의 예를 위한 저항 측정을 도시한다.
실용적일 때,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구조들, 특징들, 또는 요소들을 나타낸다.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certain aspects of the subject matter disclosed herei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some of the principles associated with the disclosed implementations.
1 show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vapora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A show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having a storage chamber and an overflow volum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B show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having a storage chamber and an overflow volum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artridge having one example of a conn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C show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a cartridge having one example of a conn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D shows a top cross-sectional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E show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 example of a conn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F shows a top plan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 example of a conn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A shows a clos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B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C shows another close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D shows a closed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A shows a side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B shows a side plan view of a cartridge including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C show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D show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E show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F show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G shows a front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H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I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J shows a side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K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L shows an example of a fluid flow management mechanism at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M shows an example of a fluid flow management mechanism at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N shows an example of a fluid flow management mechanism at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6A show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6B shows a sid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7 show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8A show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 bottom view, and a top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8B show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8C show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8D shows a top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wick feed mechanism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8E shows a top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wick feed mechanism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8F shows a top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wick feed mechanism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9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9B shows a front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9C shows a sid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0A shows a front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 example of a condensate recirculation system,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0B shows a top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 example of a condensate recirculation system,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0C shows a bottom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 example of a condensate recirculation system,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0D shows another front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 example of a condensate recirculation system,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0E shows another top view of a cartridge having an example of a condensate recirculation system,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1A shows a front view of a cartridge with an example of an external airflow path,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1B shows a front view of a cartridge with an example of an external airflow path,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2A shows perspective, top, bottom, and various side views of an example of a wick housing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2B shows perspective views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and wick housing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3A show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3B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3C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4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ing element for use in an evaporator devic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5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ing element for use in an evaporator devic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6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ing element for use in an evaporator devic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7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ing element positioned in an evaporator cartridge for use in an evaporator devic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8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8B shows a side view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8C shows a front view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8D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and a wick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8E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wick housing including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19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0 shows a sid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1 shows a top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2 shows a front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n un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4 shows a top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n un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5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5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6 shows a sid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7 shows a top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8 shows a front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9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n un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29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n un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0A shows a top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n un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0B shows a top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n un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1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atom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2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nebul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3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ebul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4A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ebul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4B shows another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nebul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5 show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7 shows a sid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8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39 shows a side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 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0 shows a top view of a substrate material having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1 shows a top view of a heating element in an unbent position,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2A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nebul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2B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wick housing of a nebul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3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nebul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ebulizer assembl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5A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condensate recirculator system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5B shows a firs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ndensate recirculator system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5C shows a second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ndensate recirculator system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6 shows an exploded view of an evaporator devic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7A shows an example of receptacle contacts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7B shows another example of receptacle contacts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7C shows another example of receptacle contacts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7D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artridge receptacl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7E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or body including an example of a cartridge receptacle,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8A shows a side cutaway view of a cartridge disposed within a cartridge receptacl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8B shows another side cutaway view of a cartridge disposed within a cartridge receptacle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8C shows a partial view of the side of an evaporator cartridge coupled with an evaporator bod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8D shows another partial view of a side view of an evaporator cartridge coupled with an evaporator bod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8E shows another partial view of a side view of an evaporator cartridge coupled with an evaporator body,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8F shows heat maps illustrating the distribution of air pressure and airflow velocity around air inlets,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9A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vaporizer body shell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9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n assembled evaporator body shell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0A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ck housing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0B show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a wick housing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1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1B shows a sid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1C shows a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1D shows a top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2A shows a bottom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2B shows a cross-sectional front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2C shows another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2D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2E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collector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52F shows an example of laminar flow and an example of turbulent flow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and
53 shows resistance measurements for an example of a heating element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When practical, like reference numbers indicate like structures, features, or elements.
본 주제의 구현예들은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재료들의 증발과 관련되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용어 "증발기"는 증발기 디바이스를 지칭하기 위하여 다음의 설명에서 포괄적으로 이용된다.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들의 예들은 전자 증발기들, 전자 담배들, e-담배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증발기들은 재료의 흡입가능한 도우즈(dose)를 제공하기 위하여 증발가능한 재료를 가열하는 일반적으로 휴대용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들이다.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include devices that relate to the evaporation of one or more materials for inhalation by a user. The term “evaporator” is used generical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refer to an evaporator device. Examples of evaporators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include electronic evaporators, electronic cigarettes, e-cigarettes, and the like. These evaporators are generally portable hand-held devices that heat the vaporizable material to provide an inhalable dose of the material.
증발기와 함께 이용된 증발가능한 재료는 임의적으로, 카트리지(예컨대, 저장소 또는 다른 용기 내에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고, 동일한 또는 상이한 유형의 추가적인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는 새로운 카트리지를 선호하여 비어 있거나 일회용일 때에 다시 채워질 수 있는 증발기의 부분) 내에서 제공될 수 있다. 증발기는 카트리지와 함께 또는 카트리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이용 증발기, 무카트리지(cartridge-less) 증발기, 또는 다중-이용 증발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이용 증발기는 가열 챔버에서 직접적으로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고 또한, 이용가능한 양의 증발가능한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 체적 등을 가지는 카트리지 또는 다른 교체가능한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열 챔버(예컨대, 오븐(oven))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porizable material used with the evaporator is optionally used with a cartridge (eg, containing the vaporizable material in a reservoir or other container, and when empty or disposable, in favor of a new cartridge containing additional vaporizable material of the same or a different type). part of the evaporator that can be refilled). The evaporator may be a cartridge-less evaporator, a cartridge-less evaporator, or a multi-use evaporator that may be used with or without a cartridge. For example, a multi-use evaporator contains a cartridge or other replaceable device having a reservoir, volume, etc., for containing the vaporizable material directly in the heating chamber and at least partially containing an available amount of the vaporizable material. and a heating chamber (eg, an oven) configured to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증발기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예컨대, 활성 및/또는 비활성 성분(들)이 증발가능한 재료 자체의 용액 또는 원액(neat liquid) 형태로 현탁되거나 유지되는 캐리어 용액(carrier solution)) 또는 증발가능한 고체 재료와 함께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발가능한 고체 재료는, (예컨대, 증발가능한 재료가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하여 방출된 후에, 식물 재료의 일부 부분이 폐기물로서 남아있도록) 식물 재료의 일부 부분을 증발가능한 재료로서 방출하거나, 임의적으로, 고체 재료의 전부가 흡입을 위하여 궁극적으로 증발될 수 있도록 증발가능한 재료 자체의 고체 형태(예컨대, "왁스(wax)")일 수 있는 식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는 마찬가지로, 완전히 증발될 수 있거나, 흡입을 위하여 적당한 재료의 전부가 소비된 후에 남아 있는 액체 재료의 일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evaporator is a vaporizable liquid material (eg, a carrier solution in which the active and/or inactive ingredient(s) is suspended or held in the form of a solution or neat liquid of the vaporizable material itself). or for use with a vaporizable solid material. The vaporizable solid material releases a portion of the plant material as vaporizable material (eg, such that after the vaporizable material is released for inhalation by a user, the portion of the plant material remains as waste), or optionally, It may include plant material, which may be in a solid form (eg, “wax”) of the vaporizable material itself such that all of the solid material may ultimately be evaporated for inhalation. The vaporizable liquid material may likewise be completely evaporated or may comprise some portion of the liquid material remaining after all of the material suitable for inhalation has been consumed.
일부 양태들에서는, 증발기 카트리지 및/또는 증발기의 다른 부분으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증발기의 가열 요소의 제조 품질의 일관성은 스케일링된 및/또는 자동화된 제조 프로세스들 동안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 이용은, 더 짧은 배터리 작동 시간으로 귀착될 수 있고, 더 낮은 온도들에서의 더 짧은 작동 시간으로 귀착될 수 있고, 더 빠른 배터리 노후화로 귀착될 수 있고, 배터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정한 전력 요건들로 동작할 수 있다.In some aspects, leakage of vaporizable liquid material from the evaporator cartridge and/or other portion of the evaporator may occur. Additionally, the consistency of the manufacturing quality of the heating element of the evaporator may be particularly important during scaled and/or automated manufacturing processes. Also, evaporator utilization may result in shorter battery operating time, may result in shorter operating time at lower temperatures, may result in faster battery aging, and may affect battery performance. It can operate with specific power requirements.
본 주제의 구현예들은 또한, 이 쟁점들에 관하여 장점들 및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특징들이 공기유동 뿐만 아니라 증발가능한 재료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추가적인 이점들을 또한 도입하면서, 기존의 접근법들에 비해 장점들 및 개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증발기 디바이스들 및/또는 카트리지들은 증발기 디바이스 및/또는 카트리지에서의 공기유동을 제어하고 개선시키는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누설들 또는 하나 이상의 내부 채널들 및 유출구들을 따라 수집하는 응축물의 축적에 이를 수 있는 추가적인 특징들을 도입하지 않으면서, 증발기 디바이스에 의해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를 증발시키는 효율 및 유효성을 개선시킨다.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may also provide advantages and advantages with respect to these issues. For example, various features are described herein for controlling the flow of vaporizable material as well as airflow, which has advantages over existing approaches, while also introducing additional advantages as described herein. improvements can be provided. The evaporator devices and/or cartridges described herein include one or more features to control and improve airflow in the evaporator device and/or cartridge, thereby causing leaks or one or more internal channels of vaporizable liquid material. It improves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evaporating the vaporizable liquid material by the evaporator device without introducing additional features that may lead to the accumulation of condensate collecting along the fields and outlets.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재료의 시트로부터 스탬핑(stamp)될 수 있고, 위킹 요소의 적어도 부분의 형상을 준수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가열 요소의 구성들은 가열 요소의 더욱 일관되고 개량된 품질 제조를 허용할 수 있고,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가지는 가열 요소를 조립할 때, 제조 프로세스들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 쟁점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가열 요소는 또한, 감소된 공차 쟁점들을 가지는 가열 요소의 제조능력에서의 개선된 일관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가열 요소로부터 취해진 측정(예컨대, 저항, 전류, 온도 등)의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스탬핑되고 형상화된 가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열 손실들을 최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가열 요소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예측가능하게 거동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For example, the heating element may be stamped from a sheet of material and bent to conform to the shap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wicking element. The configurations of the heating element may allow for more consistent and improved quality manufacturing of the heating element, and may help reduce tolerance issues that may arise during manufacturing processes when assembling a heating element having multiple components. The heating element may also improve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eg, resistance, current, temperature, etc.) taken from the heating element due at least in part to improved consistency in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heating element with reduced tolerance issues. A stamped and shaped heating element can preferably help minimize heat losses and help ensure that the heating element can predictably behave to be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도 1은 증발기(100)의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00)는 전원(112)(예컨대, 비-재충전가능한(non-rechargeable) 1차 배터리, 재충전가능한(rechargeable) 2차 배터리, 연료 전지, 및/또는 기타 등등) 및 제어기(104)(예컨대, 로직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회로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4)는 증발가능한 재료가 응축된 형태(예컨대, 고체, 액체, 용액, 현탁액(suspension),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프로세싱된 식물 재료의 부분 등)로부터 기체 상으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무기(141)로의 열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04)는 전원(112)으로부터 분무기(141)로의 전류의 방전을 적어도 제어함으로써 분무기(141)로의 열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04)는 본 주제의 어떤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들의 부분일 수 있다.To further illustrate, FIG. 1 show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기체 상으로의 증발가능한 재료의 변환 후에, 그리고 증발기의 유형, 증발가능한 재료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들, 및/또는 다른 인자들에 따라, 기체-상 증발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일부는 기체 상과 적어도 부분적인 국부적 평형에서 미립자 물질(particulate matter)을 에어로졸의 부분으로서 형성하기 위하여 응축될 수 있다. 기체 상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와 적어도 부분적인 국부적 평형인 응축된 상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예컨대, 미립자 물질)는 증발기(100) 상에서의 주어진 퍼프 또는 인출을 위하여 증발기(100)에 의해 제공된 흡입가능한 도우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주변 온도, 상대 습도, 화학반응, (증발기 내부 및 인간 또는 다른 동물의 기도(airway)들 내의 둘 모두에서의) 공기유동 경로들에서의 유동 조건들, 다른 공기 스트림과의 증발가능한 기상 재료 또는 에어로졸상 재료의 혼합 등과 같은 인자들은 에어로졸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파라미터들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증발기(1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인 기체 상 및 응축된 상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 사이의 상호작용은 복잡하고 동적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증발기들에서, 그리고 특히, 더 휘발성인 증발가능한 재료들의 전달을 위한 증발기들에 대하여, 흡입가능한 도우즈는 기체 상으로 주로 존재할 수 있다(즉, 응축된 상 입자들의 형성은 매우 제한될 수 있음).After conversion of the vaporizable material to the gas phase,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evaporator,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vaporizable material, and/or other factors,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phase vaporizable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gas phase and at least a portion At local local equilibrium, particulate matter can condense to form as part of the aerosol. The vaporizable material in the condensed phase (eg, particulate matter) in at least partial local equilibrium with the vaporizable material in the gas phase is an inhalable dose provided by the
증발기(100)가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들(예컨대, 원액들, 현탁액들, 용액들, 혼합물들 등)과 함께 이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분무기(141)는 모세관 압력에 의한 유체 운동을 야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로부터 형성된 위킹 요소(또한, 위크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위킹 요소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수량을, 가열 요소(또한,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분무기(141)의 부분으로 운반할 수 있다. 위킹 요소는 일반적으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가열 요소에 의해 생성된 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도록,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그리고 이용 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저장소로부터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를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위킹 요소는 또한 임의적으로, 공기가 저장소에 진입하여 제거된 액체의 체적을 대체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세관 작용은 (이하에서 설명된) 가열 요소에 의한 증발을 위하여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를 위킹 요소로 견인할 수 있고, 공기는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저장소에서의 압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형화하기 위하여 위크를 통해 저장소로 복귀할 수 있다. 압력을 평형화하기 위하여 공기를 다시 저장소로 허용하는 것에 대한 다른 접근법들은 또한,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은 본 주제의 범위 내에 있다.To enable the
가열 요소는 전도성 히터, 복사성 히터, 및 대류성 히터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유형의 가열 요소는 저항성 가열 요소이고, 이 저항성 가열 요소는 전류가 가열 요소의 하나 이상의 저항성 세그먼트들을 통과하게 될 때, 열의 형태로 전기적 전력을 소산시키도록 구성된 재료(예컨대, 금속 또는 합금, 예를 들어, 니켈-크롬 합금 또는 비-금속성 저항기)로 구조화될 수 있거나 적어도 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분무기는, 위킹 요소 주위에 둘러싸이거나, 위킹 요소 내에 위치되거나, 위킹 요소의 벌크 형상으로 통합되거나, 위킹 요소와 열 접촉하도록 가압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저장소로부터 위킹 요소에 의해 인출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기체 및/또는 응축된(예컨대, 에어로졸 입자들 또는 액적(droplet)들) 상으로 사용자에 의한 추후의 흡입을 위해 증발되도록 하기 위하여 열을 위킹 요소로 전달하도록 배열되는, 저항성 코일을 포함하는 가열 요소 또는 다른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위킹 요소, 가열 요소, 및/또는 분무기 조립체 구성들은 또한,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가능하다.The heating element may be or include one or more of a conductive heater, a radiant heater, and a convective heater. One type of heating element is a resistive heating element, wherein the resistive heating element is a material (e.g., a metal or alloy, for example, a nickel-chromium alloy or a non-metallic resistor) or may comprise at least this material. 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atomizer is enclosed around the wicking element, positioned within the wicking element, integrated into the bulk shape of the wicking element, pressed into thermal contact with the wicking element, or otherwise from the reservoir. Transfer heat to the wicking element to cause the vaporizable liquid material drawn by the wicking element to evaporate for later inhalation by the user as a gas and/or condensed (eg, aerosol particles or droplets). a heating element or other heating element comprising a resistive coil, arranged to Other wicking element, heating element, and/or atomizer assembly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as discussed further below.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증발기(100)는 예를 들어, 고체-상 증발가능한 재료(예컨대, 왁스 등) 또는 증발가능한 재료를 함유하는 식물 재료(예컨대, 연초 잎들 및/또는 연초 잎들의 부분들)와 같은 증발가능한 비-액체 재료의 가열 통해 기체-상 및/또는 에어로졸-상 증발가능한 재료의 흡입가능한 도우즈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요소(또는 요소들)는 증발가능한 비-액체 재료가 배치되는 오븐 또는 다른 가열 챔버의 벽들의 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이러한 벽들로 또는 이러한 벽들과 열 접촉하게 편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열 요소(또는 요소들)는 증발가능한 비-액체 재료의 대류성 가열을 야기시키기 위하여 증발가능한 비-액체 재료를 통과하거나 지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저항성 가열 요소 또는 요소들은 식물 재료의 직접적인 전도성 가열이 (예컨대, 오븐의 벽들로부터 내향하는 전도에 의한 것과 대조적으로) 식물 재료의 덩어리 내부로부터 발생하도록, 식물 재료와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nd/or additionally, the
가열 요소는 공기가 공기 유입구로부터, 분무기(예컨대, 위킹 요소 및 가열 요소)를 통과하는 공기유동 경로를 따라,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응축 영역들 또는 챔버들을 통해, 마우스피스에서의 공기 유출구로 유동하게 하기 위하여, 증발기의 마우스피스(130) 상에서의 사용자 퍼핑(puffing)(예컨대, 인출, 흡입 등)과 연관시켜서 활성화될 수 있다(예컨대, 임의적으로 이하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증발기 본체의 부분인 제어기는 전류가 전원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하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증발기 카트리지의 부분인 저항성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회로를 통해 통과하게 할 수 있음). 공기유동 경로를 따라 통과하는 인입 공기는 분무기 위로, 분무기를 통해 등으로 통과하고, 여기서, 기체 상 증발가능한 재료는 공기 내로 동반(entrain)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형태인 증발가능한 재료의 흡입가능한 도우즈가 (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한 마우스피스(130)에서) 공기 유출구로부터 전달될 수 있도록, 동반된 기체-상 증발가능한 재료는 이 재료가 공기유동 경로의 나머지를 통과할 때에 응축할 수 있다.The heating element causes air to flow from the air inlet to the air outlet at the mouthpiece along the airflow path through the atomizer (eg, the wicking element and the heating element), optionally through one or more condensation regions or chambers. To do so, it may be activated in association with user puffing (eg, withdrawal, suction, etc.) on the
가열 요소는 퍼프를 검출하는 것 및/또는 퍼프가 임박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검출은 예를 들어, (예컨대, 주변 압력에 대한 공기유동 경로에 따른 압력, 절대 압력에서의 변화들, 및/또는 기타 등등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들, 모션 센서(motion sensor)들, 유동 센서들, (예컨대, 사용자의 입술과 증발기(100) 사이의 접촉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용량성 센서들과 같은, 증발기(100)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센서(113)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퍼프(또는 임박한 퍼프)는 사용자가 증발기(100)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116)(예컨대, 증발기(100)의 버튼 또는 다른 촉각 제어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검출하는 것, 증발기(100)와 통신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들의 수신, 및/또는 기타 등등에 응답하여 검출될 수 있다. 퍼프의 임박한 발생의 결정을 포함하는 퍼프 검출이 다양한 기법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The heating element may be activated in response to detecting a puff and/or determining that a puff is imminent. For example, puff dete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pressure sensors, a motion sensor (eg, configured to measure pressure along an airflow path relative to ambient pressure, changes in absolute pressure, and/or the like). to one or more sensors 113 included in th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증발기(100)는 증발기와 통신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또는 임의적으로 2 개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예컨대, 무선으로 또는 유선 접속을 통해)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어기(104)는 통신 하드웨어(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4)는 또한, 메모리(108)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증발기(100)를 또한 포함하는 증발기 시스템의 컴포넌트일 수 있고, 증발기(100)의 통신 하드웨어(105)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확립할 수 있는 그 자신의 통신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이용된 컴퓨팅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증발기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범용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시계와 같은 일부 다른 휴대용 디바이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주제의 다른 구현예들에서, 증발기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이용된 이러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소프트(예컨대, 스크린 또는 다른 디바이스 디바이스 상에서 구성가능하고, 터치-감지 스크린, 또는 마우스, 포인터, 트랙볼, 커서 버튼들 등과 같은 일부 다른 입력 디바이스와의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선택가능함) 인터페이스 제어들을 가지는 원격 제어 또는 다른 무선 또는 유선 디바이스와 같은 전용 하드웨어 피스(piece)일 수 있다. 증발기는 또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117) 특징부들 또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증발기 시스템의 부분인 컴퓨팅 디바이스는 도우징(dosing)을 제어하는 것(예컨대, 도우즈 모니터링, 도우즈 설정, 도우즈 제한, 사용자 추적 등), 세셔닝(sessioning)을 제어하는 것(예컨대, 세션 모니터링, 세션 설정, 세션 제한, 사용자 추적 등), 니코틴 전달을 제어하는 것(예컨대, 니코틴 및 비-니코틴 증발가능한 재료 사이의 전환, 전달된 니코틴의 양을 조절하는 것 등), 위치 정보(예컨대,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 소매업자/상업적 장소 위치들, 베이핑(vaping) 위치들, 증발기 자체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위치 등)를 획득하는 것, 증발기 개인화(예컨대, 증발기 명명화, 증발기 잠금/패스워드 보호, 하나 이상의 부모 제어들을 조절하는 것, 증발기를 사용자 그룹과 연관시키는 것, 증발기를 제조업자 또는 보증 유지 기구에 등록하는 것 등), 다른 사용자들과의 소셜 활동(예컨대, 게임, 소셜 미디어 통신, 하나 이상의 그룹과 상호작용하는 것 등)에 참여하는 것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들 중의 임의의 것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세셔닝(sessioning)", "세션", "증발기 세션", 또는 "증기 세션"은 증발기의 이용에 전념된 기간을 지칭하기 위하여 포괄적으로 이용된다. 기간은 시간 기간, 도우즈들의 수, 증발가능한 재료의 양,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A computing device that is part of an evaporator system as defined above may control dosing (eg, dose monitoring, dose setting, dose limiting, user tracking, etc.), sessioning (e.g., session monitoring, session establishment, session limiting, user tracking, etc.), controlling nicotine delivery (e.g., switching between nicotine and non-nicotine vaporizable material, modulating the amount of nicotine delivered, etc.) ,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eg, location of other users, retailer/commercial venue locations, vaping locations, relative or absolute location of the evaporator itself, etc.), evaporator personalization (eg evaporator naming, Evaporator lock/password protection, adjusting one or more parental controls, associating an evaporator with a group of users, registering the evaporator with a manufacturer or warranty maintenance organization, etc.), social activity with other users (eg, gaming , social media communication, interacting with one or more groups, etc.), and the like). The terms “sessioning”, “session”, “evaporator session”, or “steam session” are used generically to refer to a period of time dedicated to the use of an evaporator. The period may include a period of time, a number of doses, an amount of vaporizable material, and/or the like.
컴퓨팅 디바이스가 가열 요소의 활성화에 관련된 신호들을 제공하는 예에서, 또는 다양한 제어 또는 다른 기능들의 구현을 위하여 증발기(100)와의 컴퓨팅 디바이스의 결합의 다른 예들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기초적인 데이터 처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들 세트들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과의 사용자 상호작용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한 검출은 컴퓨팅 디바이스가 가열 요소를 증기/에어로졸의 흡입가능한 도우즈의 생성을 위한 전체 동작 온도로 활성화하기 위하여 증발기(100)에 시그널링하게 할 수 있다. 증발기의 다른 기능들은 증발기(100)와 통신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e example in which the computing device provides signals related to activation of a heating element, or in other examples of coupling the computing device with the
증발기의 가열 요소의 온도는 가열 요소로 전달된 전기적 전력의 양 및/또는 전기적 전력이 전달되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 전자 증발기의 다른 부분들 및/또는 환경으로의 전도성 열 전달, 전체로서 위킹 요소 및/또는 분기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의 증발로 인한 잠열(latent heat) 손실들, 및 공기유동(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증발기 상에서 흡입할 때, 공기가 전체로서 가열 요소 또는 분무기를 가로질러서 이동하는 것)으로 인한 대류성 열 손실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인자들에 종속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를 신뢰성 있게 활성화하거나 가열 요소를 희망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증발기(100)는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용자가 언제 흡입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로부터의 신호들을 이용할 수 있다. 공기가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유출구로 증발기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것과 동시에, 압력 센서가 압력 변화들을 경험하도록, 압력 센서는 공기유동 경로에서 위치될 수 있고 및/또는 공기가 디바이스에 진입하기 위한 유입구 및 사용자가 결과적인 증기 및/또는 에어로졸을 이를 통해 흡입하는 유출구를 연결하는 공기유동 경로에 (예컨대, 통로 또는 다른 경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는 사용자의 퍼프와 연관시켜서, 예를 들어, 퍼프의 자동적 검출에 의해, 예를 들어, 공기유동 경로에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of the evaporator depends on the amount of electrical power delivered to the heating element and/or the duty cycle over which the electrical power is delivered, conductive heat transfer to other parts of the electronic evaporator and/or the environment, wicking as a whole. Latent heat losses due to evaporation of the vaporizable material from the element and/or branch, and airflow (e.g., when a user inhales on an electronic evaporator, the air as a whole moves across the heating element or atomizer). ) can depend on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convective heat losses due to As noted above, in order to reliably activate the heating element or to heat the heating element to a desired temperature, the
전형적으로, 압력 센서(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센서(113))는 제어기(104)(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 또는 다른 유형의 회로 기판) 상에서 위치될 수 있거나, 제어기(104)에 결합(예컨대, 물리적으로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한 것의 어느 하나로 전기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접속됨)될 수 있다. 측정들을 정확하게 행하고 증발기(100)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 밀봉부(150)는 임의적으로, 증발기(100)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공기유동 경로를 분리할 수 있다. 개스킷(gasket)일 수 있는 밀봉부(150)는 증발기의 내부 회로부로의 압력 센서의 접속들이 공기유동 경로에 노출된 압력 센서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압력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기반 증발기의 예에서, 밀봉부(150)는 또한, 증발기 본체(110)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증발기 본체(110)와 증발기 카트리지(1320)(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전기적 접속들의 부분들을 분리할 수 있다. 증발기(100)에서의 밀봉부(150)의 이러한 배열들은 증기 또는 액체 상들에서의 물, 증발가능한 재료와 같은 다른 유체들 들과 같은 환경적 인자들과의 상호작용들로부터 기인하는 증발기 컴포넌트들에 대한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영향들을 완화시킬 시에, 및/또는 증발기에서의 지정된 공기유동 경로로부터의 공기의 탈출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움이 될 수 있다. 증발기의 회로부를 통과하고 및/또는 증발기의 회로부와 접촉하는 원하지 않는 공기, 액체, 또는 다른 유체는 압력 판독치들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원하지 않는 효과들을 야기시킬 수 있고, 및/또는 원하지 않는 효과들이 열악한 압력 신호, 압력 센서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의 열화, 및/또는 증발기의 더 짧은 수명으로 귀착될 수 있는 증발기의 부분들에서, 수분, 증발가능한 재료 등과 같은 원하지 않는 재료의 축적으로 귀착될 수 있다. 밀봉부(150)에서의 누설들은 또한, 증발기 디바이스의 부분들 위로 통과한 사용자 흡입 공기가 흡입되기 위하여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 재료들을 함유하거나 이 재료들로 구조화되는 것으로 귀착될 수 있다.Typically, a pressure sensor (as well as any other sensors 113 ) may be located on or coupled to the controller 104 (eg,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or other type of circuit board).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connected either physically or via a wireless connection). In order to make measurements accurately and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증발기(100)는 언급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기반 증발기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4), 전원(112)(예컨대, 배터리), 하나 이상의 센서(113), 하나 이상의 충전 접촉부(charging contact)(124), 및 밀봉부(150)에 추가적으로, 도 1은 증발기(100)의 증발기 본체(110)를, 다양한 부착 구조들 중의 하나 이상을 통해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하기 위한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증발기 카트리지(1320)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140), 및 흡입가능한 도우즈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마우스피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킹 요소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분무기(141)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가열 요소 및/또는 위킹 요소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증발기 본체(110)에 완전히 연결될 때,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을 동봉하는 벽들이 가열 요소 및/또는 위킹 요소의 전부 또는 적어도 부분을 포위하도록, 증발기 카트리지(13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증발기 본체(11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 삽입되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부분은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또 다른 부분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삽입가능한 부분은 예를 들어,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외부 쉘과 같은 일부 다른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무기(141)의 적어도 부분(예컨대, 위킹 요소 및 가열 요소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은 증발기(100)의 증발기 본체(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분무기(141)의 부분(예컨대, 가열 요소 및/또는 위킹 요소)이 증발기 본체(110)의 부분인 구현예들에서, 증발기(100)는 액체 증발기 재료를 증발기 카트리지(1320)에서의 저장소(140)로부터 증발기 본체(110) 내에 포함된 분무기 부분(들)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a portion of the atomizer 141 (eg, one or both of the wicking element and the heating element) may be disposed within the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예컨대, 위킹 요소의 모세관 인출을 통해) 저장소(140)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02)의 제거는 저장소(140)에서의 주변 공기 압력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 진공(예컨대,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소비에 의해 비워진 저장소의 부분에서 생성된 감소된 압력)을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진공은 위킹 요소에 의해 제공된 모세관 작용을 방해랄 수 있다. 이 감소된 압력은 일부 예들에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02)를 인출하기 위한 위킹 요소의 유효성을 감소시킬 정도로 크기에 있어서 충분히 클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증발기(100) 상에서 퍼프를 행할 때와 같이, 증발가능한 재료(102)의 희망된 양을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100)의 유효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들에는, 저장소(140)에서 생성된 진공이 저장소(140)로부터 증발가능한 재료(102)의 전부를 인출할 수 없는 것으로 귀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증발가능한 재료(102)의 불완전한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풍(venting) 특징부들은 주변 압력(예컨대, 저장소(140)의 외부의 주변 공기에서의 압력)과 저장소(140)에서의 압력의 적어도 부분적 평형화(임의적으로, 완전한 평형화)가 이 쟁점을 완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증발기 저장소(140)와 연관시켜서(증발기 카트리지(1320) 또는 증발기에서의 다른 곳에서의 저장소(140)의 위치결정에 관계 없이) 포함될 수 있다.As noted above, the removal of the vaporizable material 102 from the reservoir 140 (eg, via capillary withdrawal of the wicking element) results in an at least partial vacuum (eg, evaporation) relative to the ambient air pressure in the
일부 경우들에는, 저장소(140) 내에서의 압력 평형을 허용하는 것이 분무기(141)로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전달의 효율을 개선시키지만, 저장소(140) 내의 이와 다르게 비어 있는 공극 체적(void volume)(예컨대,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이용에 의해 비워진 공간)이 공기로 충진(fill)되도록 함으로써 그렇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이 공기-채워진 공극 체적은 추후에 주변 공기에 비해 압력 변화들을 경험할 수 있고, 이것은 어떤 조건들 하에서, 저장소(140)로부터, 그리고 궁극적으로 증발기 카트리지(1320) 및/또는 저장소(140)를 수용하는 증발기의 다른 부분의 외부에서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누설로 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저장소(140)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을 대체하기 위하여 충분히 높은 네거티브 압력 이벤트(negative pressure event)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의 주변 온도, 고도, 및/또는 체적에서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환경적 인자들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본 주제의 구현예들은 또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누설을 제거할 수 있거나 적어도 최소화할 수 있다.In some cases, allowing pressure equilibration within
도 2a 내지 도 2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예의 평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320)는 마우스피스 또는 마우스피스 영역(1330),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수용하는 저장소(1340), 및 분무기(개별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분무기는 구현예에 따라, 가열 요소(1350) 및 위킹 요소(1362)를 함께 또는 별도로 포함할 수 있어서, 위킹 요소(1362)는 위킹 요소(1362)로부터 인출되거나 위킹 요소(1362) 내에 저장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증발시키는 목적을 위하여 가열 요소(1350)에 열적으로 또는 열역학적으로 결합된다.2A-2B show top cross-sectional views of an example of an
접촉부(1326)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가열 요소(1350)와 전원(예컨대, 도 1에서 도시된 전원(112))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저장소(1340)를 통해 또는 저장소(1340)의 측면 상에서 정의된 공기유동 통로(1338)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가열 요소(1350) 영역으로부터 마우스피스 영역(1330)으로 통행하기 위한 루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킹 요소(1362)(예컨대, 위크 하우징은 별도로 도시되지 않음)를 실장하는 카트리지(1320)에서의 영역을, 마우스피스 또는 마우스피스 영역(1330)으로 이어지는 개방부에 연결할 수 있다.
위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위킹 요소(1362)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 접촉부(예컨대, 플레이트(1326))에 연결되는 분무기 또는 가열 요소(1350)(예컨대, 저항성 가열 요소 또는 코일)에 결합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및/또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가열 요소들)는 다양한 형상들 및/또는 구성들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50, 1350) 또는 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provided above, the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1320)의 가열 요소(1350)는 재료의 시트(sheet)로 만들어질 수 있고(예컨대, 스탬핑됨), 위킹 요소(1362)의 적어도 부분 주위에서 크림핑(crimp)될 수 있거나, 또는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사전형성된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킹 요소(1362)는 가열 요소(1350)로 푸시(push)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가열 요소(1350)는 장력(tension)으로 유지될 수 있고, 위킹 요소(1362) 위로 견인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exemplary implementations, the
가열 요소(1350)가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2 개 또는 3 개의 부분들 사이에 위킹 요소(1362)를 고정하도록, 가열 요소(1350)는 절곡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1350)는 위킹 요소(1362)의 적어도 부분의 형상을 준수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구성들은 가열 요소(1350)의 더 일관되고 개량된 품질의 제조를 허용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제조 품질의 일관성은 스케일링된 및/또는 자동화된 제조 프로세스들 동안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 따른 가열 요소(1350)는 다수의 컴포넌트들을 가지는 가열 요소(1350)를 조립할 때, 제조 프로세스들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공차 쟁점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The
추가적으로, 크림핑된 금속으로 형성된 가열 요소에 관련되는 포함될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는 가열 요소(1350)의 가열 성능을 개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재료들로 완전히 및/또는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전부 또는 부분을 도금하는 것은 열 손실들을 최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금은 또한, 열을 가열 요소(1350)의 부분에 집중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이에 의해, 더 효율적으로 가열되는 가열 요소(1350)를 제공할 수 있고 열 손실들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선택적 도금은 가열 요소(1350)에 제공된 전류를 적당한 위치로 보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선택적 도금은 또한, 가열 요소(1350)를 제조하는 것과 연관된 도금 재료의 양 및/또는 비용들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Additionally, as further discussed below with respect to included embodiments relating to heating elements formed of crimped metal,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위킹 요소(1362)가 가열 요소(1350)(예컨대,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위킹 요소(136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킹 요소(1362)는 플레이트(1326) 근처에서 또는 그 옆에서, 그리고 플레이트(1326)와 접촉하는 저항성 가열 요소들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위크 하우징은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부분을 포위할 수 있고, 가열 요소(1350)를 공기유동 통로(1338)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저장소(134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통로들을 통해 위킹 요소(1362)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1차 통로(1382) 또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도 5a 참조)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위킹 요소(1362)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단부들로, 또는 위킹 요소(1362)의 길이를 따라 방사상으로 라우팅하거나 전달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As noted above,
특히,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 바와 같이,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저장소(1340)로 그리고 저장소(1340)로부터의 공기 및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교환은 유리하게도, 수집기(1313)로서 지칭된 구조를 편입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수집기(1313)의 포함은 또한, (카트리지(1320) 자체의 용량에 대응할 수 있는) 카트리지(1320) 내에 포함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총 체적에 대한 흡입가능한 에어로졸로 궁극적으로 변환되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체적으로서 정의된, 카트리지(1320)의 체적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as provided in greater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A-2B , the exchange of air and vaporizable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1320)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임의적으로, 카트리지의 외부 쉘과 공유되는 벽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벽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저장소(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1340)는 수집기(1313)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 수집기(1313)를 수용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 체적(1344) 및 저장 챔버(1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챔버(1342)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수용할 수 있고, 오버플로우 체적(1344)은 하나 이상의 인자들이 저장소 저장 챔버(1342)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 통행하게 할 때,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을 수집하고 및/또는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1320)는 수집기(1313) 내의 공극 공간이 증발가능한 재료(1302)로 미리 채워지도록, 증발가능한 재료(1302)로 초기에 충진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implementations,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오버플로우 체적(1344)의 체적 크기는 저장 챔버(1342)에서의 내용물의 체적이 저장소(1340)가 주변 압력에 비해 거칠 수 있는 최대 예상된 압력에서의 변화로 인해 팽창할 때, 저장 챔버(1342) 내에 수용된 내용물(예컨대, 증발가능한 재료(1302) 및 공기)의 체적에서의 증가량과 동일하거나,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증가량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demonstrative embodiments, the volume size of the
주변 압력, 온도, 및/또는 다른 인자들에서의 변화들에 따라, 카트리지(1320)는 제 1 압력 상태로부터 제 2 압력 상태로의 변화(예컨대, 저장소의 내부와 주변 압력 사이의 제 1 상대 압력 차분, 및 저장소의 내부와 주변 압력 사이의 제 2 상대 압력 차분)를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압력 상태에서,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은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 2 압력 상태에서는,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을 초과할 수 있다. 카트리지(1320)가 평형 상태에 있을 때,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은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In response to changes in ambient pressure, temperature, and/or other factors,
일부 양태들에서, 오버플로우 체적(1344)은 카트리지(1320)의 외부로의 개방부를 가질 수 있고 저장소 저장 챔버(1342)와 연통할 수 있어서, 오버플로우 체적(1344)은 카트리지(1320)에서의 압력의 평형을 제공하고, (예컨대, 저장 챔버(1342)와 주변 압력 사이의 압력 차분에서의 변동들에 응답하여 저장 챔버(1342)로부터)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 진입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수집하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및/또는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 수집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을 임의적으로 가역적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통풍 채널로서 작용할 수 있다.In some aspects,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압력 차분"은 카트리지(1320)의 내부 부분 내의 압력과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 사이의 차이를 지칭할 수 있다. 증기 또는 에어로졸 상들로의 변환을 위하여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저장 챔버(1342)로부터 분무기로 인출하는 것은 저장 챔버(1342) 내에 남아 있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켜서 주변 압력과의 실질적인 평형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를 저장 챔버(1342)로 복귀시키기 위한 기구가 없다면, 낮은 압력 또는 심지어 진공이 카트리지(1320) 내에서 진전될 수 있다. 낮은 압력 또는 진공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추가적인 수량들을 가열 요소(1350)로 인출하기 위한 위킹 요소(1362)의 모세관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As used herein, “pressure differential” may refer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within the interior portion of the
대안적으로,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은 또한,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의 주변 온도, 고도, 및/또는 체적에서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환경적 인자들로 인해 증가할 수 있고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을 초과할 수 있다. 내부 압력에서의 이러한 증가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과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 사이의 평형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가 저장 챔버(1342)로 복귀된 후에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환경적 인자들에서의 충분한 변화는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과 주변 압력 사이의 평형을 먼저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의 추가적인 공기가 카트리지(1320)에 진입하지 않으면서, 카트리지(1320)에서의 압력이 주변 압력 미만으로부터 주변 압력 초과로(예컨대, 제 1 압력 상태로부터 제 2 압력 상태로의 전이) 증가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충분한 증가를 거치는 결과적인 네거티브 압력 이벤트는 저장 챔버(1342)에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을 변위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1320) 내에서 변위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수집하고 및/또는 보유하기 위한 기구가 없다면, 변위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카트리지(1320)로부터 누설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pressure inside the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는 것을 계속하면, 저장소(1340)는 제 1 영역, 및 제 1 영역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제 2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어서, 저장소(1340)의 체적은 저장 챔버(1342) 및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 분할된다. 저장 챔버(1342)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1차 통로(1382)를 통해 위킹 요소(1362)에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1차 통로(1382)는 길이에 있어서 매우 짧을 수 있다(예컨대, 위킹 요소(1362) 또는 분무기의 다른 부분들을 수용하는 공간으로부터의 관통 구멍). 다른 예들에서, 1차 통로(1382)는 저장 챔버(1342)와 위킹 요소(1362) 사이의 더 긴 유체 경로의 부분일 수 있다. 오버플로우 체적(1344)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 바와 같이, 저장 챔버(1342)에서의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더 큰 제 2 압력 상태에서 저장 챔버(1342)로부터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 진입할 수 있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수집하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 the
제 1 압력 상태에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저장소(1340)의 저장 챔버(134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압력 상태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이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과 대략 동일하거나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 초과일 때에 존재할 수 있다. 이 제 1 압력 상태에서, 1차 통로(1382) 및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구조적 및 기능적 특성들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저장 챔버(1342)로부터 1차 통로(1382)를 통해 위킹 요소(136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위킹 요소(1362)의 모세관 작용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가열 요소(1350)와 인접하도록 인출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에 의해 생성된 열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기체 상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증발가능한 재료(1302)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At the first pressure state,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 1 압력 상태에서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어느 것도 수집기(1313)로, 예를 들어,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유동하지 않을 수 있거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제한된 수량이 수집기(1313)로, 예를 들어,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유동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카트리지(1320)가 제 1 압력 상태로부터 제 2 압력 상태로 전이할 때,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저장 챔버(1342)로부터 저장소(1340)의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 유동할 수 있다. 수집기(1313)에 진입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수집하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유함으로써, 수집기(1313)는 저장소(1340)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바람직하지 않은(예컨대, 과도한) 유동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 2 압력 상태는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이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보다 더 작을 때에 존재할 수 있다. 이 압력 차분은 저장 챔버(1342) 내부의 팽창하는 기포(air bubble)를 야기시킬 수 있고, 이것은 저장 챔버(1342) 내부에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부분을 변위시킬 수 있다.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변위된 부분은 바람직하지 않은 누설을 야기시키기 위하여 카트리지를 진출하는 대신에, 수집기(1313)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유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first pressure state, none of the
유리하게도,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은 제 2 압력 상태에서 저장 챔버(1342)로부터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 구동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라우팅하는 것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체적(1344) 내의 수집기(1313)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바람직하지 않은 누설을 야기시키기 위하여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수집기(1313)를 진출할 수 있는 수집기(1313)의 유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저장 챔버(1342)로부터 푸시된 과도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적어도 일부(그리고 유리하게도 전부)를 수용하는, 수집하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보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세관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기(1313)는 또한 유리하게도, 저장 챔버(1342)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에 비해 감소되고 및/또는 평형화될 때, (예컨대, 주변 압력에 비해 저장 챔버(1342)에서의 과도한 압력에 의해) 수집기(1313)로 푸시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저장 챔버(1342)로 가역적으로 다시 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세관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수집기(1313)를 충진하고 비우는 동안에 공기 및 액체가 서로를 우회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세유체 특징부들 또는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즉, 미세유체 특징부들은 수집기(1313)로 그리고 수집기(1313)로부터의 둘 모두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관리하기 위하여(즉, 유동 반전 특징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렇게 행할 시에, 이 미세유체 특징부들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누설 뿐만 아니라, 저장 챔버(1342) 및/또는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의 기포들의 포획을 방지할 수 있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flow of
구현예에 따라, 위에서 언급된 미세유체 특징부들 또는 특성들은 위킹 요소(1362), 1차 통로(1382), 및/또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크기, 형상, 표면 코팅, 구조적 특징들, 및/또는 모세관 특성들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기(1313)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임의적으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어떤 체적이 저장 챔버(1342) 내부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이 저장 챔버(1342)로부터 변위되는 제 2 압력 상태 동안에 저장 챔버(1342)로부터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 통과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도록, 위킹 요소(1362)로 이어지는 1차 통로(1382)와는 상이한 모세관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above-mentioned microfluidic features or properties may include the size, shape, surface coating, structural features, and /or capillary properties. For example, the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액체가 수집기(1313)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수집기(1313)의 전체 저항은 예를 들어,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제 1 압력 상태 동안에 1차 통로(1382)를 통해 위킹 요소(1362)를 향해 주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위킹 요소(1362)의 전체 저항보다 더 클 수 있다.In one exemplary implementation, the overall resistance of the
1차 통로(1382)는 저장소(1340)에 위킹 요소(1382)는 저장소(1340) 내에 저장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위하여 위킹 요소(1362)를 통해 또는 위킹 요소(1362)로의 모세관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모세관 경로(예컨대, 1차 통로(1382))는 위킹 작용 또는 모세관 작용이 위킹 요소(1362)에서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대체하는 것을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클 수 있지만, 카트리지(1320) 내부의 과도한 압력이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을 저장 챔버(1342)로부터 변위시킬 때, 카트리지(1320)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누설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히 작을 수 있다. 위크 하우징 또는 위킹 요소(1362)는 누설을 방지하도록 취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는 위킹 요소(1362)를 통해 누설 또는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진 후에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증발가능한 코팅(예컨대, 왁스 또는 다른 재료)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코팅이 이용될 수 있다.A
사용자가 카트리지(1320)의 마우스피스 영역(1330)으로부터 흡입할 때, 공기는 위킹 요소(1362)와의 동작 관계에서 유입구 또는 개방부를 통해 카트리지(1320)로 유동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는 (도 1에서 도시된) 하나 이상의 센서(113)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센서(113)는 압력 센서, 모션 센서, 유동 센서, 또는 예를 들어, 공기유동 통로(1338)에서의 변화들의 검출에 의한 것을 포함하는, 퍼프 및/또는 임박한 퍼프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기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가 활성화될 때, 가열 요소(1350)는 플레이트(1326)를 통해 또는 전기적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작용하는 가열 요소(1350)의 또 다른 전기적 저항성 부분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것의 결과로서 온도 상승을 거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를 활성화하는 것은 (예컨대, 도 1에서 도시된) 제어기(104)가 전기 전류를 전원(112)으로부터 가열 요소(1350)로 방전시키기 위하여 전원(112)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When a user inhales from the
하나의 실시예에서, 생성된 열은 위킹 요소(1362)로 인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이 증발되도록, 전도성, 대류성, 및/또는 복사성 열 전달을 통해 위킹 요소(1302)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카트리지(1320)에 진입하는 공기는 위킹 요소(1362) 및 가열 요소(1350에서의 가열된 요소들 위로(또는 주위로, 근처로 등) 유동할 수 있고,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공기유동 통로(1338)로 벗겨낼 수 있고, 여기서, 증기는 임의적으로,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영역(1330)에서의 개방부를 통해 에어로졸 형태로 응축될 수 있고 전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enerated heat is directed to the
도 2b를 참조하면, 저장 챔버(1342)는 주변에 비해 저장 챔버(1342)에서의 증가된 압력에 의해 저장 챔버(1342)로부터 구동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부분들이 증발기 카트리지(1320)로부터 탈출하지 않으면서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 보유되는 것을 허용하는 목적을 위하여, (즉, 오버플로우 체적(1344)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해) 공기유동 통로(1338)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예들은 저장소(1340)를 포함하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에 관련되지만, 설명된 접근법들은 또한, 별도의 카트리지를 갖지 않는 증발기에서의 이용과 양립가능하고 증발기에서의 이용을 위하여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Referring to FIG. 2B , the
예로 돌아가면, 증발기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더 낮을 때에 저장 챔버(1342)로 유입될 수 있는 공기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증발기 카트리지(1320)로 하여금, 증발기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증발기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을 초과하는 제 2 압력 상태로 전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증발기 카트리지(1320)는 주변 온도에서의 변화, (예컨대, 고도, 날씨, 및/또는 기타 등등과 같은 외부 조건들에서의 변화로 인한) 주변 압력에서의 변화, 및/또는 (예컨대,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압착(squeezing)과 같은 외력에 의해 압밀(compact)될 때)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체적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제 2 압력 상태로 전이할 수 있다. 저장 챔버(1342) 내부의 압력에서의 증가는, 예를 들어, 네거티브 압력 이벤트의 경우에, 저장 챔버(1342)의 공극 공간을 점유하는 공기를 적어도 팽창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저장 챔버(1342)에서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을 변위시킬 수 있다.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변위된 부분은 수집기(1313)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적어도 일부 부분을 통해 통행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미세유체 특징부들은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길이를 따르는 유동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단면적을 완전히 피복하는 메니스커스만으로 수집기(1313)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게 할 수 있다.Returning to the example,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미세유체 특징부들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벽들이 형성되는 재료 및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조성에 대하여,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전체 둘레 주위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우선적으로 습윤시키기에 충분히 작은 단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프로필렌 글리콜 및 식물성 글리세린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예에 대하여, 이러한 액체의 습윤 특성들은 유리하게도,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벽들이 형성되는 재료들 및 제 2 통로(1384)의 기하구조의 조합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 챔버(1340)와 주변 압력 사이의 압력 차분의 부호(예컨대, 포지티브, 네트워크, 또는 동일) 및 크기가 변동됨에 따라, 메니스커스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 및 공기가 서로를 지나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 존재하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와 주변 대기로부터 진입하는 공기 사이에 유지된다. 저장 챔버(1342)에서의 압력이 주변 압력에 비해 충분히 하락함에 따라, 그리고 그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저장 챔버에서 충분한 공극 체적이 있을 경우에,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 존재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선단 액체-공기 메니스커스가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과 저장 챔버(1342) 사이의 게이트 또는 포트에 도달하게 하기 위하여 저장 챔버(1342)로 충분하게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에, 주변 압력에 대한 저장 챔버(1342)에서의 압력 차분이 게이트 또는 포트에서 메니스커스를 유지하는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을 극복하기 위하여 충분히 네거티브일 경우에, 하나 이상의 기포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게이트 또는 포트 벽들로부터 메니스커스가 제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기포들은 그 다음으로, 주변 압력에 대하여 저장 챔버(1342) 내부의 압력을 평형화하기 위한 충분한 체적을 갖는 저장 챔버(1342)로 방출된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microfluidic features are such that the vaporizable
(예컨대, 비행기 기내 또는 다른 높은 고도의 위치들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창문이 개방될 때, 기차 또는 차량이 터널을 이탈할 때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주변 압력에서의 하락, 또는 국부적 가열, 형상을 왜곡하고 이에 의해 저장 챔버(1340)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기계적 압력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저장 챔버(1340)에서의 내부 압력의 상승 등으로 인해)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저장 챔버(1340)로 유입된(또는 이와 다르게 그 안에 존재하게 되는) 공기가 주변에 비해 상승된 압력 조건을 경험할 때,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가 반전될 수 있다. 액체는 게이트 또는 포트를 통해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통과하고, 메니스커스는 공기가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진행을 우회하고 이러한 진행과 반대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통과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칼럼의 선단 에지에서 형성된다.(e.g., a drop in ambient pressure, or localized heating, shape as may occur when the window of a moving vehicle is opened, when a train or vehicle exits a tunnel, etc., in an airplane cabin or other high altitude locations)
전술한 미세유체 특성들의 존재로 인해 이 메니스커스를 유지함으로써, 저장 챔버(1340)에서의 상승된 압력이 더 이후에 감소될 때,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칼럼은 저장 챔버(1340)로, 그리고 임의적으로, 메니스커스가 게이트 또는 포트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회수될 수 있다. 압력 차분이 저장 챔버(1342) 내부의 압력에 비해 주변 압력을 충분히 선호할 경우에, 위에서 설명된 기포 형성 프로세스가 2 개의 압력들이 평형화될 때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집기(1313)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이 오버플로우 체적의 적어도 일부(및 바람직하게는 전부 또는 대부분)가 더 이후의 전달을 위하여 저장 챔버(1340)로, 예를 들어, 흡입가능한 에어로졸로의 변환을 위하여 가열 요소(1350)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주변 압력에 비해 더 큰 저장 챔버 압력의 순시적 조건들 하에서 저장 챔버(1342)로부터 푸시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받아들이는 가역적 오버플로우 체적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By maintaining this meniscus due to the presence of the microfluidic properties described above, the column of
구현예에 따라, 저장 챔버(1342)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해 위킹 요소(1362)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이 저장 챔버(1342)와 결합된 제 1 단부, 및 위킹 요소(1362)에 이어지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제 2 단부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진출할 수 있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 중의 임의의 것은 위킹 요소(1362)를 추가로 포화시킬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저장 챔버(1342)는 임의적으로, 마우스피스 영역(1330) 근처에 있는 저장소(1340)의 단부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체적(1344)은 예를 들어, 저장 챔버(1342)와 가열 요소(1350) 사이에서 가열 요소(1350)에 더 근접한 저장소(1340)의 단부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위치에 대하여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체적(1344)은 카트리지(1320)의 상부 부분, 중간 부분, 또는 하부 부분에서 위치될 수 있다. 저장 챔버(1342)의 위치 및 위치결정은 오버플로우 체적(1344)의 위치에 대해 조절될 수 있어서, 저장 챔버(1342)는 하나 이상의 변형예들에 따라 카트리지(1320)의 상부 부분, 중간 부분, 또는 하부 부분에서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용량으로 충진될 때,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체적은 저장 챔버(1342)의 내부 체적 플러스 오버플로우 체적(1344)과 동일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체적의 내부 체적은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저장 챔버(1340)에 연결하는 게이트 또는 포트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유출구 사이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체적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증발기 카트리지(1320)는 수집기(1313)의 내부 체적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가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로 점유되도록,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로 초기에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는 사용자로의 전달을 위하여 필요한 바와 같이 (예컨대, 위킹 요소(1362) 및 가열 요소(1350)를 포함하는) 분무기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부분을 전달하기 위하여,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부분은 저장 챔버(134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기가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 존재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지나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미세유체 특성들에 의해 유지된 메니스커스로 인해, 공기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해 진입할 수 없으므로,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 존재하는 임의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저장 챔버(1340)로 다시 인출되게 할 수 있다. 수집기(1313)의 원래의 체적이 저장 챔버(1340)로 인출되게 하기 위하여,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충분한 수량이 (예컨대, 증발 및 사용자 흡입을 위하여) 저장 챔버(1340)로부터 분무기로 전달된 후에, 위에서 논의된 작용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부분이 저장 챔버(1340)로부터 제거될 때에 (예컨대, 주변 압력에 대하여) 저장 챔버(1340) 내부의 압력을 평형화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포들은 2차 통로(1384)와 저장 챔버(1340) 사이의 게이트 또는 포트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저장 챔버(1340) 내부의 압력이 (예컨대, 제 1 압력 상태에서의 공기의 유입, 온도에서의 변화, 주변 압력에서의 변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체적에서의 변화, 및/또는 기타 등등으로 인해) 주변 압력을 초과하여 증가할 때, 저장 챔버(1340) 내부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부분은 변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저장 구획부에서의 상승된 압력 조건이 진정되고, 이때,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저장 챔버(1340)로 다시 인출될 수 있을 때까지, 저장 챔버(1340)로부터 게이트 또는 포트를 지나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이동할 수 있다.In one implementation, when the
어떤 실시예들에서, 오버플로우 체적(1344)은 저장 챔버(1342)의 용량의 최대로 대략 100 %를 포함하는, 저장 챔버(1342) 내에 저장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백분율을 수용하기 위하여 충분히 클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수집기(1313)는 저장 챔버(1342) 내에 저장가능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체적의 적어도 6 % 내지 25 %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범위들도 또한 본 주제의 범위 내에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수집기(1313)의 구조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오버플로우 부분들이 (예컨대, 모세관 압력을 통해) 제어된 방식으로 오버플로우 체적(1314) 내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수용되거나, 포함되거나, 저장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이한 형상들로 그리고 상이한 특성들을 가지도록,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 구성될 수 있거나, 구조화될 수 있거나, 성형(mold)될 수 있거나, 제작될 수 있거나, 위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카트리지(1320)로부터 누설되거나 위킹 요소(1362)를 과도하게 포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참조하는 위의 설명은 단일의 이러한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 또는 임의적으로 하나 초과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하나 또는 하나 초과의 게이트 또는 포트를 통해 저장 챔버(134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단일 게이트 또는 포트는 하나 초과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 연결될 수 있거나, 단일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추가적인 오버플로우 체적 또는 다른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 초과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분할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 통풍구(air vent)(1318)는 오버플로우 체적(1344)을, 궁극적으로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공기 환경으로 이어지는 공기유동 통로(1338)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공기 통풍구(1318)는 수집기(1313)에서 형성되었거나 포획되었을 수 있는 공기 또는 기포들을 위한 경로가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이 저장 챔버(1342)로부터 변위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부분으로 충진되는 제 2 압력 상태 동안에, 공기 통풍구(1318)를 통해 탈출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an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공기 통풍구(1318)는 역방향 통풍구로서 작용할 수 있고,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오버플로우가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부터 저장 챔버(1342)로 다시 복귀할 때, 제 2 압력 상태로부터 평형 상태로의 복귀 동안에 카트리지(1320) 내의 압력의 평형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구현예에서, 주변 압력이 카트리지(1320)에서의 내부 압력을 초과할 때, 주변 공기는 공기 통풍구(1318)를 통해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유동할 수 있고, 오버플로우 체적(1344)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역방향으로 저장 챔버(1342)로 다시 푸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다.According to some aspects, the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는, 제 1 압력 상태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이 공기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점유될 수 있다. 제 2 압력 상태에서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저장 챔버(1342)와 오버플로우 체적(1344) 사이의 계면의 지점에서, 예를 들어, 개방부(즉, 통풍구)를 통해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 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공기는 (예컨대, 인입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에 의해) 변위될 수 있고, 공기 통풍구(1318)를 통해 진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기 통풍구(1318)는, 공기가 오버플로우 체적(1344)을 진출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 공기유동 통로(1338)로 진출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 밸브(예컨대, 선택적 삼투막(osmosis membrane), 미세유체 게이트 등)로서 작용할 수 있거나 이러한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집기(1313)가 저장 챔버(1342)에서의 과도한 압력에 의해 변위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로 충진되고 저장 챔버(1342)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과 실질적으로 평형화될 때에 비워지므로, 공기 통풍구(1318)는 공기가 수집기(1313)에 진입하고 수집기(1313)를 진출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공기 교환 포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즉, 공기 통풍구(1318)는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더 작은 제 1 압력 상태,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을 초과하는 제 2 압력 상태, 및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 및 주변 압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형 상태 사이의 전이 동안일 때, 공기가 수집기(1313)에 진입하고 수집기(1313)를 진출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at the first pressure state, the
따라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예컨대,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지정된 평형을 충족시킬 때에) 안정화될 때까지, 또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예컨대, 증발을 위하여 분무기로 인출됨으로써)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부터 제거될 때가지, 수집기(1313) 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레벨은 주변 압력이 변화할 때, 수집기(1313)로 그리고 수집기(1313)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관리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저장 챔버(1342)로부터 오버플로우 체적(1344)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오버플로우는 환경에서의 검출된 변화들에 따라(예컨대,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오버플로우하게 한 압력 이벤트가 진정되거나 종결될 때) 반전될 수 있거나 가역적일 수 있다.Thus, the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는,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보다 더 낮아지는(예컨대, 제 2 압력 상태로부터 제 1 압력 상태로 다시 전이하는) 상태에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부터 저장소(1340)의 저장 챔버(1342)로 다시 유동하게 하는 방향으로 반전될 수 있다. 따라서, 구현예에 따라, 오버플로우 체적(1344)은 카트리지(1320) 내부의 높은 압력이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을 저장 챔버(1342)로부터 변위시키는 제 2 압력 상태 동안에,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오버플로우 부분들의 일시적인 보유를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주변 압력 미만인 제 1 압력 상태로의 반전 동안에 또는 이러한 반전 후에, 수집기(1313) 내에 보유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오버플로우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챔버(1342)로 다시 복귀될 수 있다.As noted above, 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with the pressure inside the
카트리지(1320)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 유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주제의 다른 구현예들에서, 수집기(1313)는 임의적으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해 통행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오버플로우를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수집하거나 보유하기 위한 흡수성 또는 반-흡수성 재료(예컨대, 스폰지-유사 특성들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재료가 수집기(1313) 내에 포함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부터 다시 저장 챔버(1342)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역방향 유동은 수집기(1313)에서의 흡수성 재료 없이(또는 그만큼 많이 없이) 구현되는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실용적이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흡수성 또는 반-흡수성 재료의 존재는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 수집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저장 챔버(1342)로 다시 복귀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챔버(1342)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가역성(reversibility) 및/또는 가역성 레이트(reversibility rate)는 수집기(1313)에서의 흡수성 재료의 더 많거나 더 적은 밀도들 또는 체적들을 포함함으로써, 또는 흡수성 재료의 질감(texture)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특성들은 즉시 또는 더 긴 시간 기간들에 걸쳐 중의 어느 하나로 흡수의 더 높거나 더 낮은 레이트로 귀착된다.To control
도 3a 내지 도 3d는 카트리지(1320)와 증발기(100)의 증발기 본체(110) 사이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커넥터들을 위한 다양한 설계 대안들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커넥터들의 다양한 예들의 사시도들을 각각 도시하는 반면, 도 3c 내지 도 3d는 커넥터들의 다양한 예들의 평면 단면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에서 도시된 커넥터들의 예들은 상보적인 수형(mael) 커넥터(예컨대, 돌출부) 및 암형(female) 커넥터(예컨대, 리셉터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a 내지 도 2b, 및 도 3a 내지 도 3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320)의 하나의 단부는 카트리지(1320)와 증발기(100)의 증발기 본체(110) 사이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의 하나의 단부는 카트리지(1320)와 증발기 본체(110) 사이의 전기적 결합, 기계적 결합, 및/또는 유체 결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기계적 커넥터들, 전기적 커넥터들, 및 유체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커넥터들은 다양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3A-3D show various design alternatives for connectors to form a coupling between the
도 1, 도 3a, 및 도 3c에서 도시된 본 주제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카트리지(1320)의 하나의 단부는 증발기 본체(110)에서 암형 커넥터(예컨대, 카트리지 리셉터클(118)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수형 커넥터(710)(예컨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카트리지(1320)가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될 때, 수형 커넥터(710) 상에 배치된 접촉부(1326)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서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접촉부(125)와의 전기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형 커넥터(710) 상의 접촉부(1326)는 증발기 본체(11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서 카트리지(13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냅-잠금(snap-lock) 방식으로 카트리지 리셉터클에서의 카트리지 접촉부(125)와 기계적으로 계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3b 및 도 3d는 카트리지(1320)의 하나의 단부가 암형 커넥터(712)를 포함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암형 커넥터(712)는 증발기 본체(110) 상에서 대응하는 수형 커넥터(예컨대,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일 수 있다. 이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접촉부(1326)는 암형 커넥터(7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증발기 본체(110) 상의 수형 커넥터 상의 대응하는 접촉부와의 전기적 결합뿐만 아니라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implem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shown in FIGS. 1 , 3A, and 3C , one end of the
도 3e 내지 도 3f는 도 3a 및 도 3c에서 도시된 수형 커넥터(710)를 가지는 카트리지(1320)의 추가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카트리지(1320)의 예의 사시 단면도들을 도시하는 도 3e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320)는 카트리지(1320)의 적어도 가열 요소(1350) 및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위크 하우징 영역(9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크 하우징 영역(9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트리지(1320)의 하나의 단부에서 수형 커넥터(7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형 커넥터(710)가 증발기 본체(11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내에 삽입될 때, 가열 요소(1350) 및 위킹 요소(1362)를 포함하는 위크 하우징 영역(910)은 증발기 본체(11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가 가열 요소(1350)를 위한 추가적인 절연을 제공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도 3f는 카트리지(1320)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9b는 수형 커넥터(710)가 위크 하우징 영역(910)에서 또는 위크 하우징 영역(910)에 인접하게 배치된 하나 이상의 통풍구 구멍(92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통풍구 구멍(920)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 내에서의 응축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모세관 작용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및/또는 기타 등등을 위하여, 위킹 요소(1362)로의 핀포인트 증기 배기(pinpoint vapor evacuation) 및/또는 공기유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3E-3F show additional views of the
도 4a 내지 도 4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1320)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320)는 수집기(1313), 가열 요소(1350), 위킹 요소(1362), 접촉부(1326), 및 공기유동 통로(133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기(1313)는 언급된 바와 같이,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저장소(1340)로 그리고 저장소(1340)로부터의 공기 및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교환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집기(1313)는 카트리지(1320)의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수집기(1313)는 카트리지(1320)의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설계될 수 있거나, 제조될 수 있거나, 제작될 수 있거나, 구조화될 수 있다. 또한, 수집기(1313)는 예를 들어, 저장 챔버(1342), 공기유동 통로(1338), 저장 챔버(1342), 가열 요소(1350), 위킹 요소(1362),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하는 카트리지(1320)의 다른 컴포넌트들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4A-4D show examples of
예를 들어, 본 주제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카트리지(1320)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는 모놀리식 중공 구조(monolithic hollow structure)로 형성된 카트리지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제 1 단부(즉, 카트리지 하우징의 수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된 제 1 단부)는 적어도 수집기(1313)를 삽입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하우징의 제 2 단부는 오리피스(orfice) 또는 개방부를 갖는 마우스피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오리피스 또는 개방부는 수집기(1313)가 삽입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하우징의 수용 단부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방부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의 본체 및 수집기(1313)를 통해 연장될 수 있는 공기유동 통로(1338)를 통해 수용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과 부합하는 다른 카트리지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분무기,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위킹 요소(1362) 및 가열 요소(1350)를 포함하는 것은,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흡입가능한 형태, 또는 임의적으로, 흡입가능한 형태의 전구체(precursor)가 분무기로부터, 오리피스 또는 개방부를 향해 공기유동 통로(1338)를 통과하는 공기 내로 방출될 수 있도록, 공기유동 통로(1338)에 인접하게 또는 공기유통 통로(1338)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수집기(1313)는 저장소(1340)로 그리고 저장소(1340)로부터의 공기 및 증발가능한 재료(1320)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게이트들 및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도 5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1313)의 예의 측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수집기(1313)의 예를 포함하는 카트리지(1320)의 측면 평면도가 도 5b에서 도시된다. 수집기(1313)의 대안적인 구현예들은 추가적인 게이트들 및/또는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도 5a 내지 도 5b에서 도시된 수집기(1313)의 예는 단일 게이트(1102) 및 단일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에서 도시된 수집기(1313)의 예에서, 게이트(1102)는 수집기(1313)가 저장소의 저장 챔버(1342)와 접촉하거나 유체 연통하는 수집기(1313)의 제 1 부분(예컨대, 상부 부분)을 향하는 개방부에서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1102)는 수집기(1313)의 제 2 부분(예컨대, 중간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버플로우 체적(1344)과 저장 챔버(1342) 사이의 유체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수집기(1313)의 제 2 부분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형성하는 리브형(ribbed) 또는 멀티-핀-형상(multi-fin-shap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게이트(1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공기 교환 포트(1106)를 향해 나선형으로 될 수 있고, 테이퍼링될 수 있고, 및/또는 경사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 수집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이 공기 교환 포트(1106)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거나 야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챔버(1342)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게이트(1102)를 통해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 진입할 수 있다. 공기 교환 포트(1106)는 마우스피스에 연결되는 공기 경로 또는 공기유동 통로를 통해 주변 공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공기 경로 또는 공기유동 통로는 도 5a 내지 도 5b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는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second portion of the
도 6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수집기(1313)는 수집기(1313)가 저장 챔버(1342)에서의 수용 공동(receiving cavity) 또는 리셉터클로 삽입된 후에, 수집기(1313)를 저장 챔버(1342)의 내부 벽들에 용접하기 위한 적당한 표면을 생성하기 위하여 수집기(1313)의 하부 둘레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평평한 리브(21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체 둘레 용접(perimeter weld) 또는 택 용접(tack weld) 옵션은 저장 챔버(1342)에서의 수용 공동 또는 리셉터클 내에서 수집기(1313)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채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찰-타이트(friction-tight) 및 누설-방지(leak-proof) 결합은 용접 기법을 채용하지 않으면서 확립될 수 있고, 및/또는 접착제 재료는 위에서 언급된 결합 기법들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 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도 6b를 지금부터 참조하면, 밀봉 비드 프로파일(seal bead profile)(2104)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정의하는 수집기(1313) 나선형 리브들의 둘레에서 만들어질 수 있어서, 밀봉 비드 프로파일(2104)은 신속 회전 사출 성형 프로세스(quick turn injection molding process)를 지원할 수 있다. 밀봉 비드 프로파일(2104) 기하구조는 수집기(1313)가 마찰-타이트 방식으로 저장 챔버(1342)에서의 수용 공동 또는 리셉터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들로 고안될 수 있고, 여기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밀봉 비드 프로파일(2104)를 따라 임의의 누설 없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Referring now to FIG. 6B , a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수집기(1313)는 마우스피스로 이어지는 공기유동 채널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예컨대, 도 5d에서 도시된) 중앙 터널(110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동 채널은 공기 교환 포트(1106)에 연결될 수 있어서,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 내부의 체적은 공기 교환 포트(1106)를 통해 주변 공기에 연결되고, 게이트(1102)를 통해 저장 챔버(1342)에서의 체적에 또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게이트(1102)는 오버플로우 체적(1344)과 저장 챔버(1342) 사이의 액체 및 공기 유동을 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체 밸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공기 교환 포트(1106)는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체적(1344)과 마우스피스에 이어지는 공기 경로 사이의 공기 및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카트리지(1320)의 세장형 본체에 대한 관계에서 대각선, 수직, 또는 수평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카트리지(1320)가 충진될 때에, 게이트(1102)를 통해 수집기(1313)와의 적어도 초기 계면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와 게이트(1102) 사이의 초기 계면이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 포획된 공기가 저장 챔버(134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계면은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 그리고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이 무시가능한 평형 상태를 붕괴시키지 않으면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제한된 수량이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 진입할 수 있도록, 증발가능한 재료(1302)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벽들 사이의 모세관 상호작용을 시작시킬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벽들과 증발가능한 재료(1302) 사이의 모세관 작용(또는 상호작용)은 저장 챔버(1342)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과 대략 동일할 때, 카트리지(1320)가 제 1 압력 상태에 있는 동안에 전술한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증발가능한 재료(1302)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벽들 사이의 평형 상태 및 추가의 모세관 상호작용은 채널의 길이를 따라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체적 크기를 적응시키거나 조절하는 것을 통해 확립될 수 있거나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이 원형 단면을 가지지 않는 본 주제를 구현예들을 포함하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단면적의 크기의 척도를 포괄적으로 지칭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직경은, 압력에서의 변화들에 따라, 수집기(1313)로 그리고 수집기(1313)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직접적 및 역방향 유동들을 제공하는 충분히 강력한 모세관 상호작용을 허용하기 위하여, 그리고 공기가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액체를 지나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니스커스 형성을 위한 게이트 지점들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오버플로우 채널의 큰 전체 체적을 추가로 허용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간격 또는 지점들에서, 또는 전체 채널의 길이의 전반에 걸쳐 수축될 수 있다.Equilibrium and additional capillary interactions between the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직경(또는 단면적)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 내에서의 응집(cohesion)에 의해 야기된 표면 장력, 및 증발가능한 재료(1302)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벽들 사이의 습윤력들의 조합이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유동의 축을 횡단하는 치수로 공기로부터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를 분리하는 메니스커스의 형성을 야기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다. 이 메니스커스는 공기 및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서로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니스커스는 고유한 곡률을 가지므로, 유동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치수에 대한 참조는 공기-액체 계면이 이러한 또는 임의의 다른 치수에서 평면인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The diameter (or cross-sectional area) of the
도 2b 및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킹 요소(1362)는 위킹 요소(1362)로 인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이 가열 요소(1350)에 의해 생성된 열에 의해 증발될 수 있도록, 가열 요소(1350)와 열적 또는 열역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공기 교환 포트(1106)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의 공기(및/또는 다른 기체들)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2B and 5B , the
도 5a 내지 도 5b를 다시 참조하면, 수집기(1313)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직접적 또는 역방향 유동들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보유 벽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모세관 특성들을 도입하고 및/또는 활용하기 위하여 적당한 구조(예컨대, 미세채널 구성)를 구현하는 것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예컨대, 개량될 수 있거나 약화될 수 있음). 예를 들어, 길이, 직경, 내부 표면 질감(예컨대, 거친 것 대 매끄러운 것), 수축 지점들, 채널 구조들의 방향성 테이퍼링, 수축들, 게이트(1102), 오버플로우 채널(1104), 또는 공기 교환 포트(1106)의 표면을 구조화하거나 코팅하기 위하여 이용된 재료와 연관된 인자들은 액체가 모세관 작용 또는 카트리지(1320) 상에 작용하는 다른 영향력 있는 힘들에 의해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인출되거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해 이동하는 레이트에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5A-5B , direct or reverse flows of
위에서 언급된 하나 이상의 인자들은, 구현예에 따라,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수집기(1313)의 채널 구조들에서 수집될 때,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변위를 제어하여 바람직한 가역성의 정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집기(1313)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은 위에서 언급된 다양한 인자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통해, 그리고 카트리지(132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압력 상태에서의 변화들에 따라 완전히 가역적일 수 있거나 반-가역적일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factor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ay cause displacement of the
도 5a 내지 도 5b 및 도 11a 내지 도 1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수집기(1313)는 단일-채널 단일-통풍구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거나, 구조화될 수 있거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게이트(1102)를, 위킹 요소(1362) 근처에 임의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공기 교환 포트(1106)에 연결하기 위한 연속적인 통로, 튜브, 채널, 또는 다른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게이트(1102)로부터 그리고 특이하게 구조화된 채널을 통해 수집기(1313)에 진입할 수 있거나 수집기(1313)를 진출할 수 있고, 여기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오버플로우 체적(1344)이 충진되고 있을 때에 제 1 방향으로 유동하고, 오버플로우 체적(1344)이 배수(drain)되고 있을 때에 제 2 방향으로 유동한다.5A-5B and 11A-11B , 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및/또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채널(1104), 게이트(1102), 및/또는 공기 교환 포트(1106)의 형상 및 구조적 구성은 상이한 압력 상태들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량(rate of flow)을 균형화하도록 적응될 수 있거나 수정될 수 있다. 본 주제의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단면 치수(예컨대, 직경, 면적, 및/또는 기타 등등)가 게이트(1102)를 향해 감소하는 반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단면 치수(예컨대, 직경, 면적, 및/또는 기타 등등)는 공기 교환 포트(1106)를 향해 증가하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즉,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단면 치수들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이 저장 챔버(1342)와 결합되는 게이트(1102)에서 최소일 수 있는 반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단면 치수들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이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환경에 결합되는 공기 교환 포트(1106)에서 최대일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테이퍼링(tapering)은 연속적이거나 이산적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수축 지점들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길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To help maintain equilibrium and/or control flow of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단면 치수들이 최소인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비테이퍼링된 단부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마우스피스(예컨대, 공기유동 통로(1338)에 연결되는, 도 2a에서 도시된 공기 통풍구(1318))로 전달되는 공기유동 경로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비테이퍼링된 단부는 또한, 위크 하우징(1315)(예컨대, 도 7 참조) 근처의 영역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진출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은 위킹 요소(1362)를 포화시킬 수 있다.The non-tapered end of the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테이퍼링된 구조는 필요한 바와 같이, 수집기(1313)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에 대한 한정을 감소시킬 수 있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이 게이트(1102)를 향해 테이퍼링되는 실시예에서, 역방향 유동을 향한 유리한 모세관 압력은 테이퍼링에 의해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 유도되어, 증발가능한 재료(1302) 유동의 방향은 압력 상태가 변화할 때(예컨대, 네거티브 압력 이벤트가 제거되거나 진정될 때) 수집기(1313)로부터 저장 챔버(1342)로 향한다. 특히, 더 작은 개방부를 갖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구현하는 것은 수집기(1313)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자유로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게이트(1102)를 향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테이퍼링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게이트(1102)로부터 (예컨대, 다시 저장 챔버(1342)로) 유동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고, (예컨대, 저장 챔버(1342)로부터) 게이트(1102)를 통해 그리고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막을 수 있다. 한편, 공기 교환 포트(1106)를 향해 이어지는 방향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위한 비테이퍼링된 구성은, 카트리지(1320) 내의 증가된 압력이 저장 챔버(1342)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으로 하여금,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더 좁은 섹션들로부터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더 큰 체적 섹션들로 수집기(1313)로 유동하게 하는 제 2 압력 상태 동안에 수집기(1313)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효율적인 저장을 제공한다.The tapered structure of the
이와 같이, 수집기(1313)의 치수(예컨대, 직경) 및 형상은 게이트(1102)를 통해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이 바람직한 레이트로 제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압력 상태 동안에, 수집기(1313)의 치수 및 형상은 (예컨대, 카트리지(1320) 내부의 압력 및 카트리지(1320) 외부의 주변 압력이 실질적인 평형을 달성할 때) 다시 저장 챔버(1342)로의 역방향 유동을 선호하면서, (예컨대,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으로 저장 챔버(1342)로부터 변위시키는 카트리지(1320) 내부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해)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너무 자유롭게 (예컨대, 어떤 유량 또는 임계치를 지나서) 수집기(1313)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풍구(1318), 오버플로우 체적(1344)을 구성하는 수집기(1313)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 및 공기 교환 포트(1106) 사이의 상호작용들의 조합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환경적 인자들 뿐만 아니라,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그리고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제어된 유동으로 인해, 카트리지로 도입될 수 있는 기포들의 적절한 통풍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As such, the dimensions (eg, diameter) and shape of the
도 5b를 다시 참조하면, 저장 챔버(1342)를 포함하는 카트리지(1320)의 부분은 또한,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흡입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 통로(1338)는 저장 챔버(1342)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이에 의해 증발 챔버를 연결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공기유동 통로(1338)는 예를 들어,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하여 저장 챔버(1342) 내부에 채널을 형성하는 빨대-형상(straw-shaped) 구조 또는 중공 원통(hollow cylinder)일 수 있다. 공기유동 통로는 원형 또는 적어도 대략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공기유동 통로를 위한 다른 단면 형상들은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Referring back to FIG. 5B , the portion of the
공기유동 통로(1338)의 제 1 단부는 사용자가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흡입할 수 있는 저장 챔버(1342)의 제 1 마우스피스 단부에서의 개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단부와 반대측인) 공기유동 통로(1338)의 제 2 단부는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 바와 같이, 수집기(1313)의 제 1 단부에서의 개방부에서 수용될 수 있다. 구현예에 따라, 공기유동 통로(1338)의 제 2 단부는, 수집기(1313)를 통해 이어지고, 위킹 요소(1362)가 실장될 수 있는 위크 하우징에 연결되는 수용 공동을 통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end of th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유동 통로(1338)는, 공기유동 통로(1338)가 저장 챔버(1342)를 통해 연장되는 저장 챔버(1342)를 포함하는 모놀리식 성형된 마우스피스의 일체부일 수 있다. 다른 구성들에서, 공기유동 통로(1338)는 저장 챔버(1342)로 별도로 삽입될 수 있는 독립적인 구조일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공기유동 통로(1338)는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부분에서의 개방부로부터 내부적으로 연장되는 바와 같이, 수집기(1313) 또는 카트리지(1320)의 본체의 구조적 연장부일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제한 없이, 마우스피스(및 마우스피스 내부의 공기유동 통로(1338)를 수집기에서의 공기 교환 포트(1106)에 연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상이한 구조적 구성들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수집기(1313)는 저장 챔버(1342)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저장 챔버(1342)로서 작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1320)의 본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공기유동 통로(1338)는 모놀리식 카트리지 본체의 일체적 부분인 내부 슬리브(sleeve)로서 구조화될 수 있어서, 수집기(1313)의 제 1 단부에서의 개방부는 공기유동 통로(1338)를 형성하는 슬리브 구조의 제 1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도 5b에서 도시된 단일 배럴 마우스피스(barrel mouthpiece), 또는 다수의 공기유동 통로들이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더 높은 도우즈를 전달하도록 제공되는 멀티-배럴 마우스피스, 예를 들어, 이중 배럴 마우스피스일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Without limitation, a variety of different structural configurations may be possible for connecting the mouthpiece (and the
언급된 바와 같이, 수집기(1313)는 수집기(1313)(예컨대, 오버플로우 체적(1344))로 그리고 수집기(1313)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순방향 유동 및 역방향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인자들의 일부는 게이트(1102)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 유체 통풍구의 모세관 구동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1102)의 모세관 구동은 예를 들어, 위킹 요소(1362)의 그것보다 더 작을 수 있는 반면, 수집기(1313)의 유동 저항은 위킹 요소(1362)의 그것보다 더 클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해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매끄럽고 및/또는 물결형 내부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제 1 압력 상태 동안에 게이트(1102)를 통해 그리고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의 유량을 제한하기 위한 적절한 모세관 상호작용 및 힘들을 제공하여 제 2 압력 상태 동안에 게이트(1102)를 통해 그리고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부터의 역방향 유량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경사질 수 있고 및/또는 테이퍼링될 수 있다.As noted, the
수집기(1313) 컴포넌트들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수정들은 수집기(1313)로 또는 수집기(1313)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추가로 조정하거나 미세-조율하는 것을 돕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h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즉, 예리한 회전들 또는 에지들을 갖는 채널과는 대조적으로) 매끄럽게 만곡된 나선형 채널 구성은 하나 이상의 통풍구들, 채널들, 애퍼처(aperture)들, 및/또는 수축 구조들과 같은 추가적인 특징부들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들로 수집기(1313) 내에 포함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 바와 같이, 이러한 추가적인 특징부들, 구조들, 및/또는 구성들은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따라 또는 게이트(1102)를 통해 증발가능한 재료(1302)에 대한 더 높은 레벨의 유동 제어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Additional modifications to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경사 나선형 표면은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내부 체적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을 정의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내부를 따라 구현될 수 있어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 진입할 때,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한 모세관 압력(또는 중력)으로 인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중앙 터널(1100)은 수집기(1313)의 길이를 횡단할 수 있다. 제 1 단부에서, 수집기(1313)를 통한 중앙 터널(1100)은 위킹 요소(1362) 및 가열 요소(1350)가 배치되는 위크 하우징(1315)(예컨대, 도 7 참조)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위크 하우징(1315)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단부에서, 중앙 터널(1100)은 카트리지(1320)의 마우스피스 부분에서 공기유동 통로(1338)를 형성하는 덕트 또는 튜브의 하나의 단부와 상호작용할 수 있거나, 이러한 하나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거나, 이러한 하나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공기유동 통로(1338)의 제 1 단부는 (예컨대, 삽입을 통해) 중앙 터널(1100)의 제 2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유동 통로(1338)의 제 2 단부는 마우스피스 영역에서 형성된 개방부 또는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A-5E , the fully or partially inclined helical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define one or more sides of the interior volume of the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가열하는 가열 요소(1350)에 의해 생성된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수집기(1313)에서의 중앙 터널(1100)의 하나의 단부를 통해 진입할 수 있고, 중앙 터널(1100)을 통과할 수 있고, 추가로 중앙 터널(1100)의 제 2 단부로부터 공기유동 통로(1338)의 제 1 단부로 통과할 수 있다.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그 다음으로, 공기유동 통로(1338)를 통해 통행할 수 있고, 공기유동 통로(1338)의 제 2 단부에서 형성된 마우스피스 개방부를 통해 진출할 수 있다.Evaporated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게이트(1102)는 수집기(1313)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그리고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 교환 포트(1106)는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 바와 같이 수집기(1313)에서의, 그리고 궁극적으로 카트리지(1320)의 저장 챔버(1342)에서의 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주변 공기에 대한 연결 경로를 통해,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그리고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의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공기 교환 포트(1106)는 (예컨대, 카트리지(1320) 내부의 과도한 압력에 의해 변위되는 것으로 인해)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 존재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진출하는 것 및 공기유동 통로(예컨대, 중앙 터널(1100))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공기 교환 포트(1106)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위킹 요소(1362)가 실장되는 영역으로 이어지는 루트를 향해 진출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현예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저장 챔버(1342)로부터 변위될 때, 마우스피스로 이어지는 공기유동 통로(예컨대, 중앙 터널(1100))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누설을 회피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 교환 포트(1106)는, 기체 재료(예컨대, 기포들)의 유입 및 유출을 허용하지만,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공기 교환 포트(1106)를 통해 수집기(1313)에 진입하거나 수집기(1313)를 진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을 가질 수 있다.The
도 5c 내지 도 5h를 지금부터 참조하면, 게이트(1102)를 통해 수집기(1313)로 그리고 수집기(1313)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량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 내부의 체적 압력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1102)를 통한 수집기(1313)로 그리고 수집기(1313)로부터의 유량은, (예컨대, 균일하게, 또는 다수의 수축 지점들을 도입하는 것을 통해 중의 어느 하나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전체적인 체적을 감소시키는 것이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증가된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유압 직경(또는 단면적)을 조작하는 것 및 수집기(1313)로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구현예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유압 직경(또는 단면적)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나선형 경로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또는 하나 이상의 수축 지점(1111a)을 도입하는 것을 통한 것 중의 어느 하나로 감소될 수 있다(예컨대, 좁혀지거나, 핀칭(pinch)되거나, 수축되거나, 한정될 수 있음). 예를 들어, 도 5c 내지 도 5e에서 도시된 수집기(1313)의 예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게이트(1102)와 공기 교환 포트(1106) 사이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다양한 수축 지점(1111a 및 1111b)을 갖는 다수의 하향 경사 나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나선들의 수량 뿐만 아니라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길이를 따른 수축 지점들의 수량은 수집기(1313)에서의 체적 압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집기(1313) 내부의 체적 압력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수축 지점들의 구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now to FIGS. 5C-5H , the flow rate of
예를 들어,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지점(1111a)은 범프들, 융기된 에지들, 돌출부들, 또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내부 표면(즉, 수집기(1313)의 블레이드)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축 지점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수축 지점(1111a)의 형상은 범프, 손가락(finger), 프롱(prong), 지느러미(fin), 에지, 또는 오버플로우 채널에서 유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단면적을 수축시키는 임의의 다른 형상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5c에서 도시된 예에서, 수축 지점(1111a)은 예를 들어, 수축 지점(1111a)의 근위 단부(distal end)가 에지로 테이퍼링되는 상어 지느러미(shark fin)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팔형 에지가 또한 예리한 단부로 테이퍼링될 수 있지만, 상어 지느러미 형상의 지시형(pointed) 또는 외팔형(cantilevered) 에지는 둥글게 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수축 지점들의 형상, 크기, 상대 위치, 및 총 수량은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채널(1104) 내에서 형성하기 위한 메니스커스의 경향을 미세-조율함으로써(예컨대,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 및 공기를 분리함),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 그리고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의 유입 및 유출을 추가로 제어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C , the point of
예를 들어, 유출하는 유동보다 더 높은 레이트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의 인입하는 유동을 그 대신에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에, 메니스커스가 저장 구획부(1340)를 향해 다시 대면하는 수축 지점의 측면을 벗어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면서, (예컨대, 저장 챔버(1340)로부터 멀어지는) 액체의 외향 유동에 저항하는 메니스커스의 형성 및 보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수축 지점들은 유출하는 유동과 대면하는 평평한 표면 및 인입하는 유동과 대면하는 둥근 표면을 가지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련의 이러한 수축 지점들은 저장 구획부로의 액체의 복귀 유동이 저장 구획부로부터의 외향 유동에 비해 미세유체적으로 촉진되는 일종의 "유압 래칫(hydraulic ratchet)" 시스템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효과는 반대 측으로부터보다 수축 지점들의 저장 챔버 측으로부터 파열하기 위한 메니스커스의 상대적인 경향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desirable to instead maintain the incoming flow in the
도 5c를 다시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바닥 또는 천장들로부터 연장되는 수축 지점들에 추가적으로(또는 그 대신에), 일부 수축 지점들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내부 벽들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5f에서 더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지점은 동일한 수축 지점(1111a)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내부 벽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여기서, 2 개의 추가적인 수축 지점들은 C-형상 수축 지점(1111a)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바닥 및 천장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5d 및 도 5f에서 예시된 일부 구현예는 도 5c에서의 구현예에 비해, 액체 유동이 저장 챔버(1340)를 향해 후퇴하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미세유체 특성들을 더 효과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유압 직경이 도 5d 및 도 5f에서 도시된 수축 지점(1111a)에서 더 많이 수축(즉, 좁아짐)되기 때문이다.Referring back to FIG. 5C , in one exemplary implementation,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retraction points extending from the floor or ceilings of the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따라 형성된 수축 지점들은 형상들, 크기, 빈도, 또는 대칭성에서 균일할 필요가 없다. 즉, 구현예에 따라, 상이한 수축 지점(1111a 또는 1111b)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따라 상이한 크기, 설계, 형상, 위치, 또는 빈도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수축 지점(1111a 또는 1111b)의 형상은 둥근 내부 직경을 갖는 글자 C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내부 직경을 둥근 C 형상으로서 형성하는 대신에, 수축 지점의 내부 벽은 도 5f 및 도 5g에서 도시된 것들과 같은 코너(예컨대, 예리한 코너)를 가질 수 있다.The constriction points formed along the
일부 예들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제 1 레벨에서,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천장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축 지점들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제 2 레벨에서, 수축 지점들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 3 레벨에서, 수축 지점들은 예를 들어, 내부 벽들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위의 구현예들에 대한 대안들은 수축 지점들의 수 및 수축 지점들의 형상들을 조절하거나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 내의 2 개의 방향에서의 유동에 대한 미세유체 효과를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상이한 시퀀스(sequence)들 또는 레벨들에서의 수축 지점들의 위치결정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수축 지점(1111a)은 예를 들어, 수집기(1313)의 하나 이상의(또는 모든) 레벨, 측면, 또는 폭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도 5e 내지 도 5g를 지금부터 참조하면,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더 긴 길이 또는 수집기(1313)의 더 넓은 측면을 따라 수축 지점(1111a)을 정의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여분의 수축 지점(1111b)은 수집기(1313)의 더 좁은 측면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5e 내지 도 5g에서 예시된 예시적인 구현예는 도 5d에서의 구현예와 비교하여, 메니스커스 분리에 대한 저항의 조절 또는 메니스커스 분리의 촉진을 개선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전체적인 유압 직경(또는 유동 체적)이 여분의 수축 지점(1111b)의 추가로 인해 더 많이 수축되기 때문이다.Referring now to FIGS. 5E-5G , in addition to defining a
도 5h를 지금부터 참조하면,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게이트(1102)는, 수축 지점(1111a 또는 1111b)과 유사하게, 하나의 방향에서 더 평평한 테이퍼링된 에지, 림, 또는 플랜지를 가지는 애퍼처 또는 개방부 구성을 포함하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1102) 애퍼처의 림은 하나의 측면(예컨대, 저장 챔버(1342)를 향하여 대면하는 측면) 상에서 평평하고 또 다른 측면(예컨대, 저장 챔버(1342)로부터 멀어지도록 대면하는 측면) 상에서 둥글게 형상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저장 챔버(1340)로부터 멀어지는 유동에 대하여 저장 챔버(1340)를 다시 향하는 유동을 촉진시키는 미세유체 힘들은 더 둥근 측면에 비해 덜 둥근 측면 상에서의 더 용이한 메니스커스 분리로 인해 개량될 수 있다.Referring now to FIG. 5H , 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subject matter,
따라서, 수축 지점들 및 게이트(1102)의 구조 또는 구성에서의 구현예 및 변형예들에 따라, 수집기(1313)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에 대한 저항은 수집기(1313)로 그리고 저장 챔버(1340)를 향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에 대한 저항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어떤 구현예들에서, 저장 챔버(1342)가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과 연통하는 매체에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층이 존재하도록, 게이트(1102)는 액체 밀봉(liquid seal)을 유지하도록 구조화된다. 액체 밀봉의 존재는 저장 챔버(1342)에서의 충분한 레벨의 진공(예컨대, 부분적인 진공)을 촉진시켜서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오버플로우 체적(1344)으로 완전히 배수되는 것 뿐만 아니라, 위킹 요소(1362)가 적당한 포화를 박탈당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 챔버(1342)와 오버플로우 체적(1344) 사이의 압력 평형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Thus, depending on the retraction points and implementations and variations in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수집기(1313)에서의 단일 통로 또는 채널은 2 개의 통풍구들을 통해 저장 챔버(1342)에 연결될 수 있어서, 2 개의 통풍구들은 카트리지(1320)의 위치결정에 관계 없이 액체 밀봉을 유지한다. 게이트(1102)에서의 액체 밀봉의 형성은 또한, 카트리지(1320)가 수평에 대하여 대각선으로 유지될 때, 또는 카트리지(1320)가 마우스피스가 하향으로 대면하면서 위치될 때에도, 수집기(1313)에서의 공기가 저장 챔버(134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것은 수집기(1313)로부터의 기포들이 저장소에 진입할 경우에, 저장 챔버(1342) 내부의 압력이 주변 압력의 압력과 평형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즉, (예컨대,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위크 피드(1368)를 통해 배수되는 것의 결과로서 생성된) 저장 챔버(1342) 내부의 부분적인 진공은 주변 공기가 저장 챔버(1342)로 유동될 경우에 오프셋될 것이다.In one or more exemplary implementations, a single passageway or channel in the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헤드스페이스 진공(headspace vacuum)은 저장 챔버(1342)에서의 빈 공간(즉, 증발가능한 재료(1302) 위의 헤드스페이스)이 게이트(1102)와 접촉할 때에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더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게이트(1102)에서 확립된 액체 밀봉이 파괴될 수 있다. 이 효과는 수집기(1313)가 배수되고 헤드스페이스가 게이트(1102)와 접촉하게 되어, 부분적인 헤드스페이스 진공의 손실로 이어질 때에 게이트(1102)가 유체 막을 유지할 수 없는 것에 기인할 수 있다.In some scenarios, a headspace vacuum may not be maintained when the empty space in the storage chamber 1342 (ie, the headspace above the vaporizable material 1302 ) contacts the
어떤 실시예들에서, 저장 챔버(1342)에서의 헤드스페이스는 주변 압력을 가질 수 있고, 카트리지(1320)에서의 분무기와 게이트(1102) 사이의 정역학적 오프셋(hydrostatic offset)이 존재할 경우에, 저장 챔버(1342)의 내용물들은 분무기로 배수할 수 있어서, 위크-박스(wick-box) 범람 및 누설로 귀착될 수 있다. 누설을 회피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게이트(1102)와 분무기 사이의 정역학적 오프셋을 제거하고 저장 챔버(1342)가 거의 배수될 떼에 게이트(1102) 기능성을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headspace in the
도 5i 내지 도 5k는 게이트(1102)에서 액체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집기(1313)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과 게이트(1102) 사이의 고-구동(high-drive) 연결을 확립하도록 게이트(1102) 주위에 구조화될 수 있는 미로-형상 구조(1190)를 도시한다. 도 5j에서 도시된 예에서, 해자-형상 구조(1190)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 따라 게이트(1102)에서 액체 밀봉의 유지를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5I-5K show gates to establish a high-drive connection between
도 5l 내지 도 5n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게이트(1102)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기(1313)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은 예를 들어, V-형상 또는 뿔-형상(horn-shaped) 제어된 유체 게이트(1102)를 통해 저장 챔버(1342)에 연결될 수 있어서, V-형상 게이트(1102)는 저장 챔버(1342)에 연결되는 적어도 2 개(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 개)의 개방부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제공된 바와 같이, 액체 밀봉은 카트리지(1320)의 수직 또는 수평 배향에 관계 없이 게이트(1102)에서 유지될 수 있다.5L-5N show various views of a
도 5l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구의 제 1 측면 상에서, 통풍구 통로는 오버플로우 채널(1104)과 게이트(1102)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포들은 수집기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 저장소로 탈할 수 있다. 제 2 측면 상에서, 저장소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고-구동 채널들은,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부터 그리고 저장소로의 기포들의 조기 통풍 뿐만 아니라, 저장소로부터 오버플로우 채널(1104)로의 공기 또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바람직하지 않은 진입을 방지하는 액체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핀치-오프(pinch-off) 지점(1122)에서 핀치-오프를 촉진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L , on the first side of the vent, a vent passage can be maintained between the
구현예에 따라, 도 5l의 우측 상에 예로서 도시된 고-구동 채널들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 저장소에서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에 의해 가해진 모세관 압력으로 인해 밀봉되어 유지된다. (즉, 도 5l에서의 좌측 상에 도시된) 반대 측 상에 형성된 저-구동(low-drive) 채널들은, 고-구동 채널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낮은 모세관 구동을 가지지만, 제 1 압력 상태에서, 액체 밀봉이 고-구동 채널들 및 저-구동 채널들의 둘 모두에서 유지되도록 충분한 모세관 구동을 여전히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high-actuation channels shown by way of example on the right side of FIG. 5L are preferably kept sealed due to the capillary pressure exerted by the vaporizable
따라서, 제 1 압력 상태에서(예컨대, 저장소 내부의 압력이 대략 주변 공기 압력 이상일 때), 액체 밀봉은 저-구동 및 고-구동 채널들의 둘 모두에서 유지되어, 임의의 기포들이 저장소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제 2 압력 상태에서(예컨대, 저장소 내부의 압력이 주변 공기 압력 미만일 때), (예컨대, 공기 교환 포트(1106)를 통한 진입을 거쳐) 오버플로우 채널(1104)에서 형성된 기포들, 또는 더 일반적으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공기 계면의 선단 메니스커스 에지는 제어된 유체 게이트(1102)를 향해 그리고 위로 통행할 수 있다. 메니스커스가 통풍구(1104)의 저-구동 및 고-구동 채널들 사이에 위치된 핀치-오프 지점(1122)에 도달할 때, 더 높은 모세관 저항이 고-구동 채널(들)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공기는 우선적으로 저-구동 채널 또는 채널들을 통해 라우팅된다.Thus, in a first pressure state (e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reservoir is approximately above ambient air pressure), the liquid seal is maintained in both the low-actuation and high-actuation channels, preventing any air bubbles from flowing into the reservoir. prevent. Conversely, at the second pressure state (e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reservoir is below ambient air pressure), bubbles formed in the overflow channel 1104 (eg, via entry through the air exchange port 1106 ), or more The generally leading meniscus edge of the vaporizable liquid material-air interface may pass toward and up the controlled
일단 기포들이 게이트(1102)의 저-구동 채널 부분을 통과하였으면, 기포들은 저장소에 진입하고, 저장소 내부의 압력을 주변 공기의 압력과 평형화한다. 이와 같이, 제어된 유체 게이트(1102)와 조합하는 공기 교환 포트(1106)는 평형 압력 상태가 저장소와 주변 공기 사이에서 확립될 때까지, 오버플로우 채널(1104)을 통해 진입하는 주변 공기가 저장소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더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 프로세스는 저장소 통풍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일단 평형 압력 상태가 확립되면(예컨대, 제 2 압력 상태로부터 다시 제 1 압력 상태로의 전이), 저장소에서 저장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에 의해 피딩되는 고-구동 채널들 및 저-구동 채널들 둘 모두에서의 액체의 존재로 인해, 액체 밀봉이 핀치-오프 지점(1122)에서 다시 확립된다.Once the bubbles have passed through the low-drive channel portion of 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테이퍼링된 채널들은 제어된 통풍을 향한 구동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2 개의 전진하는 메니스커스들의 핀치-오프를 고려하면, 저장소의 탱크 벽 및 채널 하부는 구동을 제공하는 것을 계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 측벽들은 메니스커스들을 위한 핀치-오프 위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성에서, 전진하는 메니스커스들의 순 구동은 후퇴하는 메니스커스들의 순 구동을 초과하지 않고, 이에 따라, 시스템을 정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한다.In some implementations, tapered channels can be designed to increase drive towards controlled ventilation. Given the pinch-off of the two advancing meniscus, the tank wall and channel bottom of the reservoir can be configured to continue providing actuation, while the sidewalls provide a pinch-off position for the meniscus. . In one configuration, the net actuation of the advancing meniscus does not exceed the net actuation of the receding meniscus, thus keeping the system statically stable.
도 4c 내지 도 4d 및 도 5b를 다시 참조하면, 어떤 변형예들에서, 수집기(1313)는 저장 챔버(1342)의 수용 단부에 의해 삽입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 챔버(1342)에 의해 수용되는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수집기(1313)의 단부는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크-형상(fork-shaped) 수축 지점들은 위킹 요소(1362)를 확실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크 하우징(1315)은 수축 지점들 사이의 고정된 위치에서 위킹 요소(1362)를 추가로 고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 구성은 또한, 위킹 요소(1362)가 과다 포화로 인해 상당한 팽윤(swelling) 및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4C-4D and 5B , in some variations, the
도 5c 내지 도 5e를 참조하면, 구현예에 따라, 수집기(1313)를 통해 통행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덕트들, 채널들, 튜브들, 또는 공동들은 저장 챔버(13420에서 저장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위킹 요소(1362)에 피딩하는 경로들로서 구조화될 수 있거나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 것들과 같은 어떤 구성들에서, 위크 피딩 덕트, 튜브, 또는 공동(즉, 위크 피드(1368))은 중앙 터널(1100)에 대략 평행하게 이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독립적으로, 또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위크 피드들을 포함하는 위크 교환과 조합하는 것의 어느 하나로, 수집기(1313)의 길이를 따라 대각선으로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위크 피드들이 존재할 수 있다.5C-5E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or more additional ducts, channels, tubes, or cavities passing through the
어떤 실시예들에서, 아마도 서로 교차하는 피딩 경로들의 분기점이 위크 하우징 영역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위크 피드들은 멀티-링크된 구성에서 상호작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어, 위크 피드 분기점에서의 하나 이상의 피딩 경로들이 기체 거품(gas bubble)들의 형성 또는 다른 유형들의 막힘을 통해 방해될 경우에, 위크 피딩 기구의 완전한 차단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유리하게도, 다수의 피딩 경로들의 수단은 위크 피드 분기점에서의 경로들 또는 어떤 루트들의 일부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막히거나 차단될 경우에도,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하나 이상의 경로(또는 상이하지만 개방된 경로로의 교차)를 통해 위크 하우징 영역을 향해 안전하게 통행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plurality of wick feeds may be interactively connected in a multi-linked configuration, such that the junction of the feeding paths possibly intersecting each other may lead to the wick housing area. This configuration can help prevent complete blockage of the wick feeding mechanism, for example, if one or more feeding paths at the wick feed junction are obstructed through the formation of gas bubbles or other types of clogging. . Advantageously, the means of multiple feeding paths allows the
구현예에 따라, 위크 피드 경로는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다면화된 교차-직경 형상을 갖는 튜브로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크 피드의 중공 단면은 삼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위크 피드의 단면 둘레는 예를 들어, 중공 십자(hollow cross)의 형상일 수 있어서, 십자의 아암(arm)들은 아암들이 연장되는 십자의 중앙 교차 부분의 직경에 대한 관계에서 더 좁은 폭을 가진다. 더 일반적으로, 위크 피드 채널(또한, 제 1 채널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됨)은 기포가 위크 피드의 단면적의 나머지를 차단할 경우에,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이를 통해 유동하기 위한 대안적인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규칙부(돌출부, 측면 채널 등)를 갖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의 십자-형상 단면은 이러한 구조의 예이지만, 당업자는 다른 형상들이 본 개시내용과 부합하여 또한 고려되고 실행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wick feed path may be shaped as a tube having, for example, a circular or faceted cross-diameter shape. For example, the hollow cross-section of the wick feed may be triangular, rectangular, pentagonal, or any other suitable geometric shape. In one or more embodiments, the cross-sectional perimeter of the wick feed can be,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hollow cross such that the arms of the cross are related to the diameter of the central cross section of the cross from which the arms extend. has a narrower width in More generally, the wick feed channel (also referred to herein as the first channel) provides an alternative path for vaporizable liquid material to flow therethrough when the bubble blocks the remainder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ick feed. It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with at least one irregular portion (projection, side channel, etc.). Although the cross-shaped cross-section of this example is an example of such a structure,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other shapes are also contemplated and feasib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위크 피드 경로를 통해 형성되는 십자-형상 덕트 또는 튜브 구현예는 막힘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십자-형상 튜브가 5 개의 별도의 통로(예컨대, 십자의 중공 중앙에 형성된 중앙 통로, 및 십자의 중공 아암들에서 형성된 4 개의 추가적인 통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필수적으로 고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기체 거품을 통한 피딩 튜브에서의 차단은 십자-형상 튜브의 중앙 부분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어서, 하위-통로(즉, 십자-형상 튜브의 아암을 통해 지나는 통로)가 유동에 대해 개방되도록 한다.A cross-shaped duct or tube implementation formed through a wick feed path can overcome clogging problems because the cross-shaped tube has five separate passages (e.g., a central passage formed in the hollow center of the cross, and 4 additional passageways formed in the hollow arms of the cross).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a blockage in the feeding tube through gas bubbles would likel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oss-shaped tube, such that a sub-passage (ie, passageway through the arm of the cross-shaped tube) would be formed. ) is open to flow.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따르면, 위크-피딩 통로들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피딩 통로들을 통해 그리고 위크를 향해 자유롭게 통행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충분히 넓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크 피드를 통한 유동은 위크 피드 경로를 통해 통행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에 대해 모세관 견인 또는 압력을 강제하기 위하여 위크 피드의 어떤 부분들의 상대적인 직경을 고안하는 것을 통해 개량될 수 있거나 수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형상 또는 다른 구조적 또는 재료 인자들에 따라, 일부 위크 피딩 통로들은 위크-하우징 부분을 향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중력 또는 모세관 힘들에 의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or more aspects, the wick-feeding passages may be wide enough to allow
십자-형상 튜브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십자-형상 튜브의 아암들을 통해 지나는 피딩 경로들은 중력에 대한 의존성 대신에 모세관 압력을 통해 위크를 피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십자-형상 튜브의 중앙 부분은 예를 들어, 중력으로 인해 위크를 피딩할 수 있는 반면, 십자-형상 튜브의 아암들에서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은 모세관 압력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십자-형상 튜브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 주목된다.In a cross-shaped tube embodiment, for example, the feeding paths passing through the arms of the cross-shaped tube may be configured to feed the wick through capillary pressure instead of dependence on gravity. 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oss-shaped tube can feed the wick due to gravity, for example, while the flow of
위크 피드 경로의 십자-형상 단면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다수의 잠재적인 구성들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현된 개념들 및 기능성은 상이한 단면 형상들을 갖는 위크 피드 경로들로 연장될 수 있다(예컨대, 2 개 이상의 아암들을 가지는 중공 별-형상 단면들을 갖는 튜브들은 위크 피드 경로를 따라 이어지는 중앙 터널로부터 연장됨). 본 주제의 이 양태와 부합하는 일반적인 특징은, 위크 피드 경로를 형성하는 재료 및 이용되어야 할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습윤 각도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기포가 예를 들어, 단면의 전체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것으로 귀착되는 단면 형상인데, 그 이유는 단면에서의 하나 이상의 돌출 형상들이 임의의 이러한 기포 주위에서 (예컨대, 단면의 돌출하는 부분을 형성하는 위크 피드 경로의 부분에서) 연속적인 액체 유동 경로를 유지하기 위하여 메니스커스가 돌출 형상에 걸쳐 형성되도록 크기결정되기 때문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cross-shaped cross-section of the wick feed path is a number of potential configurations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In other words, the concepts and functionality implemented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may extend to wick feed path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eg, tubes having hollow star-shaped cross-sections having two or more arms are wick feed extending from the central tunnel that runs along the route). A general feature consistent with this aspect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is that, with respect to the wetting angle of the material forming the wick feed path and of the vaporizable liquid material to be used, preferentially, the bubble cannot completely block, for example, the entirety of the cross-section. A cross-sectional shape that results in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one or more protruding shapes in the cross-section maintain a continuous liquid flow path around any such bubble (eg, in the portion of the wick feed path that forms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ross-section). This is because the meniscus is sized to form over the protruding shape.
도 5c를 다시 참조하면, 예시적인 수집기(1313) 구성이 도시되고, 여기서, 2 개의 위크 피드(1368)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피드에 진입할 수 있고 위크를 위한 하우징이 형성되는 수집기(1313)의 다른 단부에서 공동 영역을 향해 직접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중앙 터널(1100)의 2 개의 반대 측부 상에서 위치된다.Referring again to FIG. 5C , an
위크 피드 기구들은 수집기(1313)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위크 피드 경로가 다면화된 교차-직경 중공 튜브로서 형상화될 수 있도록, 수집기(1313)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크 피드의 중공 단면은 플러스 부호의 형상(예컨대, 상부 단면도로부터 관측될 경우에 중공 십자-형상 위크 피드)일 수 있어서, 십자의 아암들은 아암들이 연장되는 십자의 중앙 교차 부분의 직경에 대한 관계에서 더 좁은 폭을 가진다.The wick feed mechanisms may be formed through the
기체 거품의 이러한 중앙 위치결정은 궁극적으로, 중앙 경로가 기체 거품에 의해 차단될 때에도,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에 대해 개방되도록 유지되는 하위-통로(즉, 십자-형상 튜브의 아암을 통해 지나는 통로)를 남길 것이다. 기체 거품들을 포획하거나, 포획된 기체 거품들이 위크 피드 통로를 완전히 막는 것을 회피하는 것에 대하여 위에서 개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위크 피드 통로 구조를 위한 다른 구현예들이 가능하다.This central positioning of the gas bubble ultimately results in a sub-passage (i.e., through the arm of the cross-shaped tube) that remains open to the flow of
수집기(1313)의 구조에서의 더 많은 통풍구들의 추가는 구현예에 따라 더 빠른 유량들을 허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추가적인 통풍구들이 이용가능할 때,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상대적으로 더 큰 집합적 체적이 변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더라도, 2 개 초과의 통풍구(예컨대, 3중-통풍구 구현예, 4중-통풍구 구현예 등)를 갖는 실시예들은 또한, 개시된 주제의 범위 내에 있다.The addition of more vents in the structure of the
도 8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수집기(1313)의 예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하면도, 및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8a에서 도시된 수집기(1313)의 예에서, 게이트(1102)는 V-형상일 수 있다. 수집기(1313)는 추가적인 컴포넌트(예컨대, 위킹 요소(1362), 가열 요소(1350), 및 위크 하우징(1315))와 함께, 카트리지(1320)에서의 중공 공동 내부에 맞추어질 수 있다. 위킹 요소(1362)는 수집기(1313)의 제 2 단부와 위킹 요소(1362) 주위에 포장된 가열 요소(13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조립 동안에, 수집기(1313), 위킹 요소(1362), 및 가열 요소(1350)는 카트리지(1320) 내부의 공동으로 삽입되기 전에, 함께 맞추어질 수 있고 위크 하우징(1315)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8A shows a perspective view, a front view, a side view, a bottom view, and a top view of an example of a
위크 하우징(1315)은 다른 언급된 컴포넌트들과 함께, 압력-밀봉된(pressure-sealed) 또는 압력-맞춤된(pressure-fit) 방식으로 컴포넌트들을 내부에 유지하기 위하여 마우스피스의 반대 측에 있는 카트리지(1320)의 단부로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1320)의 수용 슬리브의 내부 벽들 내부의 위크 하우징(1315) 및 수집기(1313)의 밀봉 또는 맞춤은 바람직하게는, 카트리지(1320)의 저장소에서 유지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타이트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크 하우징(1315) 및 수집기(1313) 및 카트리지(1320)의 수용 슬리브의 내부 벽들 사이의 압력 밀봉은 또한, 사용자의 맨손으로의 컴포넌트들의 수동적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타이트하다.The
도 8b 내지 도 8c를 지금부터 참조하면,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위킹 요소(1362)의 단부들을 향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더 큰 포화 영역을 유지하여 위킹 요소(1362)의 중앙 부분이 더욱 건조하고 덜 누설하는 경향이 있도록 유지함으로써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한 압축 리브(1110)를 통해, 위킹 요소(1362)는 그 길이를 따라(예컨대, 위크 피드(1368) 바로 아래에 위치된 위킹 요소(1362)의 종방향 원위 단부들을 향해) 어떤 위치에서 구속될 수 있거나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압축 리브(1110)의 이용은 분무기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킹 요소(1362)를 분무기 하우징으로 추가로 가압할 수 있다.Referring now to FIGS. 8B-8C , 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for example, maintaining a larger area of saturation of the
도 8d 내지 도 8f는 수집기(13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수집기(1313)를 통해 구조화될 수 있는 위크 피드 기구들의 예들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d에서 도시된 예에서, 수집기(1313)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위크 피드(1368) 경로는 다면화된 교차-직경 중공 튜브(multifaceted cross-diameter hollow tube)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크 피드(1368) 경로의 중공 단면은 플러스 부호의 형상(예컨대, 상부 단면도로부터 관측될 경우에 중공 십자-형상 위크 피드)일 수 있어서, 십자의 아암들은 아암들이 연장되는 십자의 중앙 교차 부분의 직경에 대한 관계에서 더 좁은 폭을 가진다. 한편, 도 8e에서 도시된 예에서, 위크 피드(1368) 경로를 통해 형성된 십자-형상 직경을 갖는 덕트 또는 튜브는 막힘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십자-형상 직경을 갖는 튜브가 5 개의 별도의 통로(예컨대, 십자의 중공 중앙에 형성된 중앙 통로 및 십자의 중공 아암들에서 형성된 4 개의 추가적인 통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기체 거품(예컨대, 기포)를 통한 피딩 튜브에서의 차단은 도 8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상 튜브의 중앙 부분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다. 기포의 중앙 위치결정은 궁극적으로, 중앙 경로가 기포에 의해 차단될 때에도,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에 대해 개방되도록 유지되는 하위-통로(즉, 십자-형상 튜브의 아암을 통해 지나는 통로)를 남길 것이다.8D-8F show top plan views of examples of wick feed mechanisms that may be formed by or structured through the
도 8f를 지금부터 참조하면, 위크 피드백 기구는 또한, 기체 거품들을 포획할 수 있거나 포획된 기체 거품들이 위크 피드(1368) 경로를 완전히 막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위크 피드(1368) 경로 구조일 수 있다. 도 8f의 예시적인 예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액적-형상(droplet-shaped) 수축 지점(1368a 및/또는 1368b)(예컨대, 그 사이에 위크 피드(1368) 경로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분리된 니플(nipple)과 형상에 있어서 유사함)은 위크 피드(1368) 경로의 단부에서 형성될 수 있고, 위크 피드(1368) 경로를 통해,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기체 거품이 위크 피드(1368) 경로의 중앙 영역에서 포획될 경우에,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위크 피드(1368) 경로를 통해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저장 챔버(1342)로부터 수집기(1313)로 유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합리적으로 제어가능하고 일관된 유동은 위크를 향해 스트리밍될 수 있어서, 위크가 증발가능한 재료(1302)로 부적절하게 포화되는 시나리오를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now to FIG. 8F , the wick feedback mechanism may also be a
도 7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1320)의 예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320)는 슬리브를 통해 정의된 공기유동 통로(1338)를 갖는 슬리브의 형태로 형상화된 마우스피스-저장소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320)에서의 영역은 수집기(1313), 위킹 요소(1362), 가열 요소(1350), 및 위크 하우징(1315)을 실장한다. 수집기(1313)의 제 1 단부에서의 개방부는 마우스피스에서의 공기유동 통로(1338)로 이어지고,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가열 요소(1350) 영역으로부터 사용자가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로 통행하기 위한 루트를 제공한다.7 shows perspective, front, side, and exploded views of an example of a
도 9a 내지 도 9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1320)의 예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은 카트리지(1320)는, 수집기(1313), 가열 요소(1350), 및 컴포넌트들이 카트리지의 본체로 삽입될 대에 카트리지 컴포넌트들을 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위크 하우징(1315)을 포함하는 다수의 컴포넌트들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레이저 용접은 수집기(1313)의 하나의 단부가 위크 하우징(1313)과 만나는 지점에서 대략 위치된 원주 접합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수집기(1313)와 가열 챔버(1315) 사이의 레이저 용접은 수집기(1313)에서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분무기가 배치되는 가열 챔버(1315)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9A-9C show perspective, front, and side views of an example of a
증발가능한 재료를 에어로졸로 증발시키는 것은 응축물이 일부 증발기들의 하나 이상의 내부 채널들 및 유출구들을 따라(예컨대, 마우스피스를 따라) 수집되는 것으로 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응축물은, 저장소로부터 인출되고, 에어로졸로 형성되고, 증발기를 진출하기 이전에 응축물로 응축되었던 증발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증발 프로세스를 피한 증발가능한 재료는 또한, 하나 이상의 내부 채널들 및/또는 공기 유출구들을 따라 축적될 수 있다. 이것은 응축물 및/또는 비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가 마우스피스 유출구를 진출하고 사용자의 입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귀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불쾌한 사용자 경험을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다르게 이용가능한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응축물의 축적 및 손실은 궁극적으로, 저장소로부터 증발 챔버로 증발가능한 재료의 전부를 인출할 수 없는 것으로 귀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증발가능한 재료를 낭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가능한 재료 미립자들은 증발 챔버의 하류의 공기 튜브의 내부 채널들에서 축적되므로, 공기유동 통로의 유효 단면적이 좁아지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항력(drag force)들을 축적된 유체 상으로 적용하고, 결과적으로, 유체를 내부 채널들로부터 그리고 마우스피스 유출구를 통해 동반하기 위한 잠재력을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증발기 카트리지(1320)는 예를 들어, 응축물 수집기(3201), 및 마우스피스의 개방부로부터 위킹 요소(13620로 연장되는 응축물 재순환 채널(3204)(예컨대, 미세유체 채널)을 포함하는 응축물 재순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 시스템의 예를 포함하는 카트리지(1320)의 다양한 도면들을 도시한다.Evaporating the vaporizable material into an aerosol may result in condensate collecting along one or more internal channels and outlets of some evaporators (eg, along the mouthpiece). For example, such condensate may comprise vaporizable material withdrawn from the reservoir, formed into an aerosol, and condensed into condensate prior to exiting the evaporator. Additionally, vaporizable material avoiding the evaporation process may also accumulate along one or more interior channels and/or air outlets. This may result in condensate and/or non-evaporated vaporizable material exiting the mouthpiece outlet and depositing into the user's mouth, thereby creating an unpleasant user experience as well as otherwise available inhal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possible aerosols. Further, accumulation and loss of condensate can ultimately result in the inability to withdraw all of the vaporizable material from the reservoir to the evaporation chamber, thereby wasting vaporizable material. For example, as vaporizable material particulates accumulate in the inner channels of the air tube downstream of the evaporation chamber, the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flow passage narrows, thus increasing the flow rate of air, thereby causing drag. forces) onto the accumulated fluid, and consequently amplifies the potential to entrain the fluid from the internal channels and through the mouthpiece outlet. As such, 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조하면, 응축물 수집기(3201)는 응축된 액적들을 수집하고 응축된 액적들을 응축물 재순환기 채널(3204)로 라우팅하기 위하여, 냉각되고 마우스피스에서 액적으로 변환되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응축물 재순환기 채널(3204)은 응축물 및 큰 증기 액적을 수집하여 위크로 복귀시키고,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로부터 퍼핑하거나 흡입하는 동안에, 마우스피스에서 형성된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사용자의 입으로 적층되는 것을 방지한다. 응축물 재순환기 채널(3204)은, 임의의 액체 액적 응축물을 포획하고, 이에 의해, 액체 형태로의 증발가능한 재료의 직접적인 흡입을 제거하고 사용자의 입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감각 또는 맛을 회피하도록 미세유체 채널로서 구현될 수 있다.10A-10E , the
응축물 재순환기 채널들의 추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들, 및/또는 증발기 디바이스에서 응축물을 제어하고, 수집하고, 및/또는 재순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 도 45a 내지 도 45c에 대하여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 45a 내지 도 45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응축물 재순환기 시스템(36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응축물 재순환기 시스템(360)은 증발가능한 재료 응축물을 수집하고 재이용을 위하여 응축물을 위크로 다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5a 내지 도 4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물 재순환기 시스템(360)은 마우스피스로부터 증발 챔버(342)를 향해 연장되는 공기유동 통로(338)를 생성하는 내부적으로 홈이 있는 공기 튜브(334)를 포함할 수 있고, 임의의 증발가능한 재료 응축물을 수집하고 이를 (모세관 작용을 통해) 재이용을 위하여 위크로 다시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 and/or alternative embodiments of condensate recirculator channels, and/or one or more other features for controlling, collecting, and/or recirculating condensate in an evaporator device are shown with respect to FIGS. 45A-C. do. For example, FIGS. 45A-45C show another example of a
홈들의 하나의 기능은 증발가능한 재료 응축물이 포획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 홈들 내에 위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물은, 일단 홈들 내부에 위치되면, 위킹 요소에 의해 생성된 모세관 작용으로 인해 위크 아래로 배수된다. 홈들 내의 응축물의 배수는 모세관 작용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임의의 응축이 공기 튜브 내부에서 존재할 경우에, 홈들이 존재하지 않았을 경우에, 공기 튜브 내부에서 응축물의 벽을 형성하거나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증발가능한 재료 미립자들은 홈들 내로 충진될 수 있다. 홈들이 위크와의 유체 연통을 확립할 정도로 충진될 때, 응축물은 홈들을 통해 그리고 홈들로부터 배수되고, 증발가능한 재료로서 재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홈들은 홈들이 위크를 향해 더 좁고 마우스피스를 향해 더 넓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링은 더 좁은 지점에서 더 높은 모세관 작용을 통해 더 많은 응축물이 홈들에서 수집될 때에 유체가 증발 챔버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One function of the grooves may include that the vaporizable material condensate is trapped or otherwise located within the grooves. Condensate, once placed inside the grooves, drains down the wick due to the capillary action created by the wicking element. Drainage of the condensate in the grooves may be achieved at least in part through capillary action. If any condensation is present inside the air tube, the vaporizable material particulates may fill into the grooves, rather than forming or building up a wall of condensate inside the air tube if the grooves were not present. When the grooves are filled enough to establish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wick, the condensate drains through and from the grooves and can be reused as a vaporizable material. In some embodiments, the grooves may be tapered such that the grooves are narrower towards the wick and wider towards the mouthpiece. This tapering may promote fluid movement towards the evaporation chamber as more condensate collects in the grooves through higher capillary action at a narrower point.
도 45a는 공기 튜브(33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공기 튜브(334)는 공기유동 통로(338), 및 증발 챔버(342)를 향해 감소하는 유압 직경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내부 홈들을 포함한다. 홈들은 홈들 내에 배치된 (응축물과 같은) 유체가 모세관 작용을 통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수송될 수 있도록 크기결정되고 형상화된다. 내부 홈들은 공기 튜브 홈(364) 및 챔버 홈(365)을 포함한다. 공기 튜브 홈(364)은 공기 튜브(33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기 튜브 제 1 단부(362)에서의 공기 튜브 홈(364)의 단면이 공기 튜브 제 2 단부(363)에서의 공기 튜브 홈(364)의 단면보다 더 클 수 있도록 테이퍼링될 수 있다. 챔버 홈(365)은 공기 튜브 제 2 단부(36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공기 튜브 홈(364)과 결합될 수 있다. 내부 홈은 위크와 유체 연통할 수 있고, 위크가 내부 홈으로부터 증발가능한 재료 응축물을 연속적으로 배수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 통로(338)에서의 응축물의 막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응축물은 우선적으로, 내부 홈들의 모세관 구동으로 인해 내부 홈에 진입할 수 있다. 내부 홈에서의 모세관 구동의 경도(gradient)는 유체 이주(fluid migration)를 위크 하우징(346)을 향해 보내고, 여기서, 증발가능한 재료 응축물은 위크를 재포화시킴으로써 재순환된다.45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도 45b 및 도 45c는 각각 공기 튜브 제 1 단부(362) 및 공기 튜브 제 2 단부(363)로부터 보여진 바와 같은 응축물 재순환기 시스템(360)의 내부 도면을 도시한다. 공기 튜브 제 1 단부(362)는 마우스피스 및/또는 공기 유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 튜브 제 2 단부(363)는 증발 챔버(342) 및/또는 위크 하우징(346)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챔버 홈(365) 및/또는 위크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공기 튜브 홈(364)은 제 1 직경(366) 및 제 2 직경(368)을 가질 수 있다. 제 2 직경(368)은 제 1 직경(366)보다 더 좁을 수 있다.45B and 45C show internal views of the
공기유동 통로에서의 응축물의 축적에 의해 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설계에 의해, 공기 유동 통로의 유효 단면이 좁아짐에 따라, 공기 튜브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여, 축적된 유체(예컨대, 응축물) 상에 항력들을 적용한다. (예컨대, 증발기 상에서의 흡입에 응답하여) 유체를 사용자를 향해 견인하는 항력들이 유체를 위크를 향해 견인하는 모세관 힘들보다 더 높을 때, 유체가 공기 유출구를 진출한다.As the effective cross-section of the airflow passage narrows, either by accumulation of condensate in the airflow passage or by design as discussed herein, the flow rate of air moving through the air tube increases, causing the accumulated fluid ( For example, the application of drag forces on the condensate). When the drag forces pulling the fluid towards the user (eg, in response to suction on the evaporator) are higher than the capillary forces pulling the fluid towards the wick, the fluid exits the air outlet.
이러한 쟁점을 극복하고 응축물을 마우스피스 유출구로부터 멀어지도록 그리고 다시 증발 챔버(342) 및/또는 위크를 향해 촉진시키기 위하여, 테이퍼링된 공기유동 통로는 증발 챔버(342)에 인접한 공기 튜브 홈(364)의 단면이 마우스피스에 인접한 공기 튜브 홈(364)의 단면보다 더 좁도록 제공된다. 또한, 내부 홈 각각은 좁아져서, 공기 튜브 제 1 단부(362)에 인접한 내부 홈의 폭이 공기 튜브 제 2 단부(363)에 인접한 내부 홈의 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좁아지는 통로는 공기 튜브 홈(364)의 모세관 구동을 증가시키고, 챔버 홈(365)을 향하는 응축물의 유체 이동을 촉진시킨다. 또한, 공기 튜브 제 2 단부(363)에 인접한 챔버 홈(365)은 위크에 인접한 챔버 홈(365)의 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즉, 공기유동 통로 자체가 위크 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것에 추가적으로, 각각의 홈 채널은 위크에 접근하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진다.To overcome these issues and promote condensate away from the mouthpiece outlet and back towards the
응축물 재순환기 시스템 설계에 의해 제공된 모세관 작용의 유효성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홈 크기에 대한 공기 튜브 단면 크기가 고려될 수 있다. 모세관 구동은 홈 폭이 좁아짐에 따라 증가할 수 있지만, 더 작은 홈 크기들은 응축물이 홈들을 오버플로우하고 공기 튜브를 막는 것으로 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홈 폭은 대략 0.1 mm로부터 대략 0.8 mm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apillary action provided by the condensate recirculator system design, the air tube cross-sectional size relative to the groove size may be considered. Capillary actuation can increase as the groove width narrows, but smaller groove sizes can result in condensate overflowing the grooves and clogging the air tube. As such, the groove width may range from approximately 0.1 mm to approximately 0.8 mm.
일부 실시예들에서, 홈들의 기하구조 또는 수는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들은 위크를 향한 감소하는 유압 직경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크를 향한 감소하는 유압 직경은 모세관 구동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홈들 및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직선 구조, 테이퍼링된 구조, 나선형 구조, 및/또는 다른 배열들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geometry or number of grooves may vary. For example, the grooves need not necessarily have a decreasing hydraulic diameter towards the wick. In some embodiments, decreasing hydraulic diameter towards the wick may improve the performance of capillary actuation, although other embodiments are contemplated. For example, the interior grooves and channels may have a substantially straight structure, a tapered structure, a helical structure, and/or other arrangements.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외부 공기유동 경로의 예를 가지는 카트리지(1310)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a 내지 도 1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 구멍들로서 또한 지칭된 하나 이상의 게이트들은 증발기 본체(110)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유입구 구멍들은, 사용자가 카트리지(1320)와 결합된 증발기(100)를 잡고 있을 때, 사용자가 개별적인 공기 유입구 구멍들을 비의도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결정되는 폭, 높이, 및 깊이를 갖는 공기 유입구 채널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공기 유입구 채널 구성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들이 공기 유입구 채널의 영역을 막을 때, 공기 유입구 채널을 통한 공기유동을 상당히 차단하거나 한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히 길 수 있다.11A-11B show front and side views of a cartridge 1310 hav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airflow path, consistent wi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1A-11B , one or more gates, also referred to as air inlet holes, may be provided on th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 유입구 채널의 기하학적 구성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손, 및/또는 또 다른 신체 부분으로 공기 유입구 채널에서의 공기 유입구 구멍들을 완전히 피복하거나 차단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최소 길이, 최소 깊이, 또는 최대 폭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 채널의 길이는 평균 인간 손가락의 폭보다 더 길 수 있고, 공기 유입구 채널의 폭 및 깊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채널의 상단 상에서 가압될 때, 생성된 피부 접철부들이 공기 유입구 채널 내부의 공기 유입구 구멍들과 인터페이싱하지 않도록 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the geometry of the air inlet channel means that the user cannot completely cover or block the air inlet holes in the air inlet channel with, for example, a finger, hand, and/or another body part. At least one of a minimum length, a minimum depth, or a maximum width may be provided to ensure.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air inlet channel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an average human finger, and the width and depth of the air inlet channel is such that when a user's finger is pressed on the top of the channel, the resulting skin folds are It may not be interfacing with the internal air inlet holes.
공기 유입구 채널은 둥근 에지들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조화될 수 있거나 형성될 수 있거나, 증발기 본체(110)의 하나 이상의 코너들 또는 영역들 주위를 포장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어서, 공기 유입구 채널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신체 부분에 의해 용이하게 피복될 수 없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임의적인 커버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공기 유입구 채널로의 공기유동을 차단하거나 완전히 제한할 수 없도록 공기 유입구 채널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공기 유입구 채널은 증발기 카트리지(1320)와 증발기 본체(110) 사이의 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 채널은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될 때, 증발기 카트리지(1320)와 증발기 본체(110) 사이에 형성되는 리세싱된 영역, 예를 들어, 심(seam), 공동, 홈, 갭, 및/또는 기타 등등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리세싱된 영역은 사용자의 손가락(또는 다른 신체 부분)이 리세싱된 영역의 오직 부분을 피복할 수 있고 공기는 리세싱된 영역의 비피복된 부분을 통해 공기 유입구 채널에 여전히 진입할 수 있도록, 증발기 카트리지(1320) 및 증발기 본체(110)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주 주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The air inlet channel may be structured or formed as having rounded edges, or it may be shaped to wrap around one or more corners or regions of the
도 12a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위크 하우징(1315)의 예의 사시도, 상면도, 하면도, 및 다양한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위크 하우징(1315)으로 그리고 위크 하우징(1315)에서 위치된 위크 요소(1362) 주위에 및/또는 이를 지나서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천공들, 구멍들, 또는 슬롯(596)은 위크 하우징(1315)의 하부 부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충분한 수의 슬롯(596)은 위크 하우징(1315)을 통한 적당한 공기유동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이것은 위킹 요소(1362) 근처 또는 주위에 위치된 가열 요소(1350)에 의해 생성된 열에 대한 반응 시에 위킹 요소(1362)로 흡수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당한 그리고 시기적절한 증발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12A shows perspective, top, bottom, and various side views of an example of a
위크 하우징(1315)에서 존재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 예를 들어, 위킹 요소(1362)로 인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위크 하우징(1315)으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롯(596)의 내부 치수(예컨대, 단면적, 직경, 폭, 길이, 및/또는 기타 등등)는 메니스커스가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추가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축 지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차화될 수 있다.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도 50a 내지 도 50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위크 하우징(1315)의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0a 내지 도 50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596)의 내부가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나타내도록, 슬롯(596)의 내부 치수가 위크 하우징(1315)의 하단에서의 슬롯(596)의 치수보다 더 작을 수 있다는 점에서, 슬롯(596)은 단차화될 수 있다.To prevent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위크 하우징(1315)의 하부에서의 슬롯(596)의 치수는 1.0 내지 1.4 밀리미터 사이의 길이 x 0.3 내지 0.7 밀리미터 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596)은 위크 하우징(1315)의 하단에서 1.2 밀리미터 길이 x 0.5 밀리미터 폭일 수 있지만, 슬롯의 내부 치수가 대략 1.0 밀리미터 길이 x 0.3 밀리미터 폭이 되도록 단차화된 내부를 나타낼 수 있다. 단차는 수축 지점을 제공할 수 있고, 수축 지점에서, 메니스커스는 슬롯(596)으로부터의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추가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슬롯(596)의 단차화된 내부 내에서 공기-액체 계면을 유지하는 것은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1302)가 위크 하우징(1315)의 하단을 구멍 뚫는 것과, 예를 들어,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하는 곳에 인접한 위치(예컨대,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서의 증발기 본체(110)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dimension of the
도 12b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1320)의 적어도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될 수 있는 수집기(1313) 및 위크 하우징(1315)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위크-하우징 부분을 포함하는) 위크 하우징(1315)은 하나 이상의 돌출 부재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탭(4390)은 조립 중에 수집기(1313)의 수용 단부와 정합하는 위크 하우징(1315)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탭(4390)은 예를 들어, 수집기(1313)의 하단 부분에서의 수용 노치 또는 수용 공동(1390)에서의 하나 이상의 면(facet)들에 대응하거나 일치하는 하나 이상의 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공동(1390)은 예를 들어, 스냅-핏 계합을 위하여 탭(4390)을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냅-핏 배열은 조립 동안 또는 조립 후에 수집기(1313) 및 위크 하우징(1315)을 함께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12B shows, for example, a perspective view of a
어떤 실시예들에서, 탭(4390)은 조립 동안에 위크 하우징(1315)의 배향을 지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진동 기구(예컨대, 진동 보울)는 카트리지(1320)의 다양한 컴포넌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스테이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탭(4390)은 용이한 계합 및 정확한 자동화된 조립의 목적을 위하여 기계적 그립퍼(gripper)를 위한 위크 하우징(1315)의 상부 부분을 배향시키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수집기(1313)는 공기유동 통로(1338)에서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혼합을 촉진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중앙 터널(1100)은 가열 요소(1350) 및 위킹 요소(1362)가 배치되는 위크 하우징(1315)과 공기유동 통로(1338) 사이의 유체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수집기(1313)를 횡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위킹 요소(1362)로부터 인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를 가열하는 가열 요소(135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사용자로의 전달을 위하여 공기유동 통로(1338)로 유동하기 전에, 위크 하우징(1315)으로부터 수집기(1313)에서의 중앙 터널(1100)로 통행할 수 있다.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중앙 터널(1100) 및 공기유동 통로(1338)를 통해 통행할 때에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수집기(1313)와 위크 하우징(1315) 사이의 계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수집기(1313)의 하단 표면은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보내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subject matter, the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도 52a 내지 도 52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유동 제어기(5220)의 예를 갖는 수집기(1313)를 도시한다. 도 52a 내지 도 52e를 참조하면, 수집기(1313)는 그 하부 표면 상에서, 유동 제어기(5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기(1313)의 하단 표면은 예를 들어, 제 1 결합 기구(5210a) 및 제 2 결합 기구(5210b)를 포함하는, 수집기(1313)를 위크 하우징(1315)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결합 기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 기구(5210a) 및 제 2 결합 기구(5210b)는 위크 하우징(1315)에서의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예컨대, 리셉터클)로 삽입되고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들과 마찰적으로 계합하도록 구성되는 수형 커넥터(예컨대, 포크)일 수 있다. 도 52a 내지 도 52e에서 도시된 수집기(1313)의 예에서, 수집기(1313)의 하단 표면은 예를 들어, 제 1 위크 계면(5230a) 및 제 2 위크 계면(5230b)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위크 계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위크 계면(5230a) 및 제 2 위크 계면(5230b)은 위크 피드(1368)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위크 계면(5230a)은 제 1 위크 피드(1368a)의 단부와 위크 하우징(13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제 2 위크 계면(5230b)은 제 2 위크 피드(1368b)의 단부와 위크 하우징(13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위크 계면(5230a) 및 제 2 위크 계면(5230b)은 각각, 위크 피드(1368)를 통해 유동하는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어도 부분을, 위크 하우징(1315) 내에 배치된 위킹 요소(1360)로 전달하기 위한 도관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o further illustrate, FIGS. 52A-52E show a
도 52a 내지 도 52e를 다시 참조하면, 유동 제어기(5220)는 중앙 터널(1100)과 유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중앙 터널(1100)은 결국, 공기유동 통로(1338)와 유체 연통한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유동 제어기(5220)는 중앙 터널(1100) 및/또는 공기유동 통로(1338)에서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혼합을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혼합은 예를 들어, 사용자로 전달된 에어로졸에서의 증발된 미립자들의 온도 및/또는 분포를 조정하기 위한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유들로 바람직할 수 있다.52A-52E ,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유동 제어기(5220)는 예를 들어,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2a 내지 도 52e에서 도시된 수집기(1313)의 예에서, 중앙 터널(1100)로의 제 1 채널(5225a)의 제 1 개방부가 중앙 터널(1100)로의 제 2 채널(5226b)의 제 2 개방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프셋되도록,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의 상대적인 위치들이 오프셋(또는 엇갈림)될 수 있다. 또한,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은 예를 들어, 별도의 깔때기-유사(funnel-like) 구조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테이퍼링될 수 있다.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의 단면 치수들은 또한,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이 중앙 터널(1100)을 만나는 단부를 향해 테이퍼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은 각각 (수집기(1313)의 하단에서의) 2.62 밀리미터 x 5.85 밀리미터로부터 1.35 밀리미터 x 0.70 밀리미터로 대략 2.25 밀리미터의 높이 이상으로 테이퍼링될 수 있다. 또한,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의 내부 벽들은 중앙 터널(1100)의 중앙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은 각각, 위크 하우징(1315)으로부터 유동 제어기(5220)에 진입하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로부터,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별도의 칼럼을 형성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또한,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 각각의 칼럼은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의 경사진 내부 윤곽들에 오프셋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유동 통로(1338)를 향해 직선상 위로 통행하는 대신에,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칼럼들은 중앙 터널(1100) 및 공기유동 통로(1338)의 벽들을 향해 보내질 수 있다. 즉, 유동 제어기(5220)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층류를 붕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층류에서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각각의 층이 그 자신의 속도로 통행하고 그 자신의 온도를 가지고,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층들은 층들 사이의 임의의 붕괴 또는 혼합 없이 독립적으로 통행한다. 층류에서의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층들 사이의 횡방향 혼합은 최소일 뿐만 아니라 (예컨대, 확산 혼합을 통해) 느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 제어기(5220)에 의해 도입된 붕괴가 없다면,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사용자로의 전달을 위하여 공기유동 통로(1338)에 진입하기 전에 충분한 혼합을 거치지 못할 것이다.Further, each column of evaporated
대조적으로, 제 1 채널(5225a) 및 제 2 채널(5225b)은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을 오프셋하도록 구성되므로, 유동 제어기(5220)는 난류를, 유동 제어기(5220)를 통과하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로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유동 방향을 오프셋하는 것은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각각의 칼럼이 중앙 터널(1100) 및 공기유동 통로(1338)의 벽들 뿐만 아니라 서로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강제할 수 있다. 이 상호작용들은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층들의 혼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속도들에서 통행하고 상이한 온도들을 가지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층들을 붕괴시킬 수 있다.In contrast, the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도 52f는 중앙 터널(1100) 및 공기유동 통로(1338)를 통해 층류의 예 및 난류의 예를 도시한다. 도 52f의 좌측 상에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칼럼들이 중앙 터널(1100) 및 공기유동 통로(1338)를 통해 통행할 때,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칼럼들은 별도로 남아 있다. 이와 같이,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는 최소 혼합이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층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당한 층류를 유지한다. 대조적으로, 도 52f의 우측 상에는,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칼럼들이 중앙 터널(1100) 및 공기유동 통로(1338)의 벽들 뿐만 아니라 서로와 상호작용하도록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칼럼들의 유동 방향을 오프셋하는 것에 의한 것을 포함하여, 유동 제어기(5220)는 난류를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로 도입하였다. 언급된 바와 같이,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난류는 사용자에게 전달된 결과적인 에어로졸이 증발된 미립자들의 온도 및/또는 분포에서 더 많은 동종성(homogeneity)을 나타낼 수 있도록,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상이한 층들의 혼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To further illustrate, FIG. 52F shows an example of laminar flow and an example of turbulent flow through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는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와 같은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 따르면, 가열 요소(1350)는 바람직하게는,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고 및/또는 위킹 요소(1362)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크림핑되거나 가압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가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2 개 또는 3 개의 부분들 사이에 위킹 요소(1362)를 고정하도록, 가열 요소(1350)는 절곡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는 위킹 요소(1362)의 적어도 부분의 형상을 준수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는 전형적인 가열 요소들보다 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는 또한, 저항 가열에 적합한 전기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는 가열 요소(및 따라서 증발가능한 재료)가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다른 재료의 선택적 도금을 포함할 수 있다.As noted above, an
도 13a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예의 분해도를 예시하고, 도 13b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3c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예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4a 내지 도 4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카트리지(1320)는 (위키 하우징(1315)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수집기(1313), 위크 하우징(1315), 및 가열 요소(13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위크 하우징(1315), 가열 요소(1350), 및 위킹 요소(1362)는 도 1에서 도시된 분무기 조립체(141)를 형성할 수 있다.13A illustrate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160)과 위크 하우징(1315) 사이에 위치되며, 증발기 본체(110)의 일부와 결합되도록(예컨대,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전기적으로 결합됨) 노출된다. 위크 하우징(1315)은 4 개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크 하우징(1315)은 2 개의 대향하는 짧은 측면 및 2 개의 대향하는 긴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2 개의 대향하는 긴 측면은 각각 적어도 하나(2 개 이상)의 리세스(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는 위크 하우징(1315)의 긴 측면을 따라 그리고 위크 하우징(1315)의 긴 측면과 짧은 측면 사이의 개개의 교차부들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리세스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내의 증발기 본체(110)에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고정하기 위해 증발기 본체(110) 상의 대응하는 특징부(예컨대, 스프링)와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리세스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증발기 본체(110)에 결합하기 위한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고정 수단을 제공한다.As will b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at least a portion of 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위크 하우징(1315)은 또한 증발기 상에 위치된 대응하는 칩 판독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식별 칩(174)을 포함한다. 식별 칩(174)은 예를 들어 위크 하우징(1315)의 짧은 측면 상에서 위크 하우징(1315)에 접착될 수 있고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부착될 수 있다. 위크 하우징(1315)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식별 칩(17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칩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칩 리세스는 2 개, 4 개, 또는 그 초과의 벽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칩 리세스는 식별 칩(174)을 위크 하우징(1315)에 고정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the
도 14 내지 도 17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1350)의 개략도들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도 14는 비접철된 위치에서의 가열 요소(1350)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철된 위치에서, 가열 요소(1350)는 평면 가열 요소를 형성한다. 가열 요소(1350)는 초기에 기판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 재료는 그 다음으로, 스탬핑, 레이저 절단, 포토 에칭, 화학적 에칭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기계적 프로세스들을 통해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되고 및/또는 스탬핑된다.14-17 illustrate schematic views of a
기판 재료는 저항 가열에 적합한 전기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는 니켈-크롬 합금, 니켈 합금, 스테인리스 강,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는 (가열 요소(1350)의 전부 또는 부분일 수 있는) 기판 재료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서의 가열 요소의 저항을 개량하거나, 제한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변경하기 위하여 기판 재료의 표면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서 코팅으로 도금될 수 있다.The substrate material may consist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suitable for resistive heating. In some implementations,
가열 요소(1350)는 가열 부분(504)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타인(tine)(502)(예컨대, 가열 세그먼트), 전이 영역(508)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예컨대, 1 개, 2 개, 또는 그 초과의) 연결 부분 또는 레그(506), 및 전기 접촉 영역(510)에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레그(506) 각각의 단부 부분에 형성된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포함한다. 타인(502)와, 레그(506)와,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인(502), 레그(506), 및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기판 재료로부터 스탬핑되고 및/또는 절단되는 가열 요소(1350)의 부분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레그(506)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타인(502), 레그(506), 및 카트리지 접촉부(12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열 차폐부(518)를 포함한다.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의 적어도 부분은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저장소(1340)로부터 위킹 요소로 인출된 증발가능한 재료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다.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은 희망된 저항을 생성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고, 크기결정될 수 있고, 및/또는 이와 다르게 취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부분(504)에 위치된 타인(502)은 타인(502)의 저항이 가열 부분(504)에서의 국부화된 가열에 영향을 미치는 적절한 양의 저항과 일치하여 위킹 요소로부터 증발가능한 재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가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타인(502)은 희망된 양의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얇은 경로 가열 세그먼트들 또는 트레이스들을 직렬로 및/또는 병렬로 형성한다.In some implementations, at least a portion of the
타인(502)(예컨대, 트레이스)은 다양한 형상, 크기, 및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인(502)은 증발가능한 재료가 위킹 요소로부터 위킹되고, 여기로부터, 타인(502) 각각의 측면 에지들로부터 증발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타인(502)의 다른 특성들 중에서 형상, 길이, 폭, 조성 등은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 내로부터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효율을 최대화하고 전기 효율을 최대화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타인(502)의 다른 특성들 중에서 형상, 길이, 폭, 조성 등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타인(502)(또는 가열 부분(504)에서와 같이 타인(502)의 부분)의 길이에 걸쳐 열을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인(502)의 폭은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가열 부분(504)에 걸쳐 온도 프로파일을 제어하기 위하여 타인(502)의 길이를 따라 균일할 수 있거나 가변적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타인(502)의 길이는 예를 들어 가열 부분(504)에서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부분을 따라 희망된 저항을 달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45 내지 도 4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인(502)들은 각각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타인(502)들은 대략 정렬되고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평평한 또는 정사각형의 외부 에지(503) 또는 둥근 외부 에지(503)인 외부 에지(503)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인(502)은 정렬되지 않고 및/또는 상이하게 크기결정될 수 있거나 형상화될 수 있는 외부 에지(5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타인(502)들은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거나, 인접한 타인(502)들 사이에 가변적인 이격을 가질 수 있다. 타인(502)의 특정한 기하구조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부분(504)을 가열하기 위한 특정한 국부화된 저항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증발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고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가열 요소(1350)의 성능을 최대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The tines 502 (eg, traces) may include a variety of shapes, sizes, and configurations. In some configurations, one or
가열 요소(1350)는 타인(502)에 비해 더 넓은 및/또는 더 두꺼운 기하학적 구조 및/또는 상이한 조성의 부분들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분들은 전기 접촉 영역 및/또는 더 많은 전도성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및/또는 증발기 카트리지 내에 가열 요소(1350)를 장착하기 위한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들은 각각의 최외곽 타인(502A)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레그(506)는 전형적으로 타인(502) 각각의 폭보다 더 넓은 폭 및/또는 두께를 가지는 가열 요소(1350)의 부분을 형성한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들에서, 레그(506)는 타인(502) 각각의 폭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좁은 폭 및/또는 두께를 가진다. 레그(506)는 가열 요소(1350)를 위크 하우징(1315) 또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또 다른 부분에 결합하여, 가열 요소(1350)는 하우징(16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동봉된다. 레그(506)는 가열 요소(1350)가 제조 동안 및 제조 후에 기계적으로 안정적으로 되도록 촉진시키기 위한 강성을 제공한다. 레그(506)는 또한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가열 부분(504)에 위치된 타인(502)과 연결한다. 레그(506)는 가열 요소(1350)가 가열 부분(504)의 전기적 요건들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상화되고 크기결정된다.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506)는 가열 요소(1350)가 증발기 카트리지(1320)와 조립될 때,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단부로부터 가열 부분(504)을 이격시킨다. 레그(506)는 또한, 증발가능한 재료(1302)가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가열 요소(1350)의 다른 부분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고 및/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된 모세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레그(506)들 중의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특징부(516)를 포함한다. 위치결정 특징부(516)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다른(예컨대, 인접한) 컴포넌트와 인터페이싱함으로써 조립 동안 및/또는 조립 후에 가열 요소(1350) 또는 그 부분의 상대적인 위치결정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위치결정 특징부(516)는, 가열 요소(1350)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판 재료를 절단하고 및/또는 스탬핑하기 위하여, 또는 가열 요소(1350)의 후처리를 위하여, 기판 재료를 적절하게 위치시키도록 제조 동안 또는 제조 후에 이용될 수 있다. 위치결정 특징부(516)는 가열 요소(1350)를 크림핑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절곡하기 전에 전단될 수 있고 및/또는 절단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ne or more of 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는 하나 이상의 열 차폐부(518)를 포함한다. 열 차폐부(518)는 레그(506)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열 요소(1350)의 부분을 형성한다. 접철되고 및/또는 크림핑될 때, 열 차폐부(518)는 타인(502)으로부터 동일한 평면에서 제 1 방향 및/또는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위치된다. 가열 요소(1350)가 증발기 카트리지(1320)에서 조립될 때, 열 차폐부(518)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타인(502)(및 가열 부분(504))과 본체(예컨대, 플라스틱 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열 차폐부(518)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본체로부터 가열 부분(504)을 절연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열 차폐부(518)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 본체의 구조적 무결성을 보호하고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용융 또는 다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본체에 대한 가열 부분(504)로부터 발산되는 열의 효과들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 열 차폐부(518)는 또한, 가열 부분(504) 내에 열을 보유함으로써 가열 부분(504)에서 일관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이에 의해, 증발이 발생하는 동안에 열 손실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증발기 카트리지(1320)는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가열 요소(135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열 차폐부(518A)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the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는 레그(506) 각각의 단부 부분을 형성하는 적어도 2 개의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절첩 라인(507)을 따라 절첩되는 레그(506)들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레그(506)에 대해 대략 90 도의 각도로 절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레그(506)에 대해, 대략 15 도, 25 도, 35 도, 45 도, 55 도, 65 도, 75 도 또는 그 사이의 다른 범위의 각도와 같은 다른 각도로 접철될 수 잇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구현예들에 따라, 가열 부분(504)을 향해 또는 가열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접철될 수 있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또한, 예컨대, 레그(506)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를 따라 가열 요소(1350)의 또 다른 부분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에서 조립될 때에 환경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As noted above, the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전도성 핀, 탭, 포스트, 수용 구멍, 또는 핀 또는 포스트를 위한 표면, 또는 다른 접촉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유형들의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증발기 카트리지 상의 카트리지 접촉부(124)와 증발기 본체(110) 상의 리셉터클 접촉부(125) 사이의 더 양호한 물리적 및 전기적 접촉을 야기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또는 다른 가압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카트리지 접촉부(124)와 다른 접촉부 또는 전원 사이의 연결을 클리닝하도록 구성되는 와이핑(wiping) 접촉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와이핑 접촉부는 삽입 방향에 평행하거나 수직인 방향으로 마찰적으로 결합되고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2 개의 평행하지만 오프셋된 보스(boss)를 포함할 것이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증발기(10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베이스 근처에 배치된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되어, 카트리지 접촉부(124) 및 리셉터클 접촉부(125)은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 삽입되어 이와 결합될 때 전기적 접속을 행한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예컨대, 리셉터클 접촉부(125) 등을 통해) 증발기 디바이스의 전원(112)과 전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접속에 의해 완성된 회로는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부분을 가열하기 위해 저항성 가열 요소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추가 기능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저항성 가열 요소의 열 저항 계수에 기초하여 저항성 가열 요소의 온도를 결정하고 및/또는 제어할 시에 이용하기 위한 저항성 가열 요소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항성 가열 요소 또는 증발기 카트리지의 다른 회로부의 하나 이상의 전기적 특성들에 기초하여 카트리지를 식별하는 등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예를 들어, 전도성 도금, 표면 처리, 및/또는 적층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개선된 전기적 특성(예컨대, 접촉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취급될 수 있다.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는 가열 요소(1350)를 희망된 3 차원 형상으로 형상화하기 위하여 일련의 크림핑 및/또는 절곡 동작들을 통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는 (가열 부분(502)의 대향하는 부분들 사이와 같은)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2 개의 부분(예컨대, 대략 평행한 부분들) 사이에서 위킹 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도록 수행될 수 있거나 그 주위로 크림핑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를 크림핑하기 위하여, 가열 요소(1350)는 접철 라인(520)을 따라 서로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접철 라인(520)들을 따라 가열 요소(1350)를 접철하는 것은 접철 라인들(520) 사이의 영역에 의해 정의된 플랫폼 타인 부분(524), 및 접철 라인(520)과 타인(502)의 외부 에지(503) 사이의 영역에 의해 정의된 측면 타인 부분(526)을 형성한다. 플랫폼 타인 부분(524)은 위킹 요소(1362)의 하나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측면 타인 부분(526)은 위킹 요소(1362)의 반대 측면들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플랫폼 타인 부분(524) 및 측면 타인 부분(526)은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고 및/또는 위킹 요소(1362)의 적어도 부분의 형상을 준수하도록 형상화되는 포켓(pocket)을 형성한다. 포켓은 위킹 요소(1362)가 포켓 내에서 가열 요소(1350)에 의해 고정되고 보유되도록 한다. 플랫폼 타인 부분(524) 및 측면 타인 부분(526)은 위킹 요소(1362)와 접촉하여 가열 요소(1350)와 위킹 요소(1362) 사이에 다차원 접촉을 제공한다. 가열 요소(1350)와 위킹 요소(1362) 사이의 다차원 접촉은 증발되어야 할 (위킹 요소(1362)를 통해)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저장소(1340)로부터 가열 부분(504)으로의 증발가능한 재료의 더 효율적이고 및/또는 더 신속한 전달을 제공한다.In some implementations,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들의 부분들은 또한 접철 라인(522)을 따라 서로 멀어지게 절곡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들의 부분들을 접철 라인(522)을 따라 서로 멀어지게 접철하는 것은, (예컨대, 동일한 평면에서) 제 1 방향 및/또는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및 타인(50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격된 위치에서 레그(506)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접철 라인(522)을 따라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들의 부분들을 서로 멀어지게 접철하는 것은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본체로부터 가열 부분(504)을 이격시킨다. 도 15는 위킹 요소(1362) 주위에서 접철 라인(520) 및 접철 라인(522)을 따라 접철된 가열 요소(135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킹 요소는 접철 라인(520 및 522)을 따라 가열 요소(1350)를 접철함으로써 형성된 포켓 내에 위치된다.In some implementations, portions of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는 또한 접철 라인(523)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접촉부(124)들은 접철 라인(523)을 따라 서로를 향해(도 16에서 도시된 페이지의 내부 및 외부로) 절곡될 수 있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1350)의 접촉 부분은 카트리지 접촉부(124)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고 리셉터클 접촉부(125)를 계합할 수 있도록, 위크 하우징(1315)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크 하우징(13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사용자가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마우스피스(130)를 퍼핑하는 이용 시에, 가열 요소(1350)가 증발기 카트리지(1320)로 조립될 때, 공기는 증발기 카트리지로 그리고 공기 경로를 따라 유동한다. 사용자 퍼프와 연관시켜서, 가열 요소(1350)는 예컨대, 압력 센서를 통한 퍼프의 자동 검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버튼의 누름 검출에 의해, 모션 센서, 유동 센서, 용량성 립 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에 의해, 및/또는 공기를 증발기(100)로 진입시키고 적어도 공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퍼핑하고 있거나 막 퍼핑하고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흡입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또 다른 접근법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가 활성화될 때, 전력이 증발기 디바이스로부터 카트리지 접촉부(124)에서의 가열 요소(1350)로 공급될 수 있다.In the use of a user puffing the
가열 요소(1350)가 활성화될 때, 열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열 요소(1350)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인해 온도 상승이 발생한다. 열은 전도성, 대류성, 및/또는 복사성 열 전달을 통해 일부 양의 증발가능한 재료로 전달되어, 증발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증발한다. 열 전달은 저장소 내의 증발가능한 재료 및/또는 가열 요소(1350)에 의해 보유된 위킹 요소(1362)로 인출된 증발가능한 재료에게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증발가능한 재료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타인(502)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증발할 수 있다. 증발기 디바이스로 통과하는 공기는 가열 요소(1350)를 가로질러서 공기 경로를 따라 유동하고, 가열 요소(1350)로부터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를 벗겨낸다.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는 냉각, 압력 변화들 등으로 인해 응축될 수 있어서, 증발된 증발가능한 재료는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로서 마우스피스(130)를 진출한다.When the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는 니크롬, 스테인리스 강, 또는 다른 저항성 히터 재료와 같은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개 이상의 재료의 조합이 가열 요소(1350)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은 가열 요소 전체에 걸쳐 2 개 이상의 재료의 동종 분포들, 또는 2 개 이상의 재료들의 상대적인 양이 공간적으로 이종적인 다른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인(502)은 저항성이 더 큰 부분들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타인 또는 가열 요소(1350)의 다른 섹션보다 더 뜨거워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예컨대, 가열 부분(504) 내의) 적어도 타인(502)은 높은 전도성 및 열 저항을 가지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As noted above,
가열 요소(1350)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전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가 스테인리스 강, 니크롬, 또는 다른 열적 및/또는 전기적 전도성 합금과 같은 열적 및/또는 전기적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가열 요소(1350)는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와 타인(502) 사이의 경로에서 전기적 또는 가열 손실들을 겪을 수 있다. 가열 및/또는 전기적 손실을 줄이는 것을 돕기 위해,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부분은 가열 부분(504)으로 이어지는 전기 경로에서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재료로 도금될 수 있다. 본 주제와 부합하는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부분(504)(예컨대, 타인(502))이 도금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며, 레그(506) 및/또는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적어도 부분은 그 부분에서 저항(예컨대, 벌크 및 접촉 저항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을 감소시키는 도금 재료로 도금된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는 상이한 재료로 도금되는 다양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가열 요소(1350)는 층상 재료로 도금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부분을 도금하는 것은 가열 요소(1350)의 다른 부분에서 전기 및/또는 열 손실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열 부분(504)으로 흐르는 전류를 집중시키는 것을 돕는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와 가열 요소(1350)의 타인(502) 사이의 전기 경로에서 낮은 저항을 유지하여 전기 경로에서 전기 및/또는 열 손실들을 줄이고 가열 부분(504)을 가로질러 집중되는 전압 강하를 보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어떤 재료로 선택적으로 도금하면, 측정이 수행되고 카트리지 접촉부(124)와 리셉터클 접촉부 사이에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에서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카트리지 접촉부(124)에서 낮은 저항을 제공하는 것은 보다 정확한 전압, 전류 및/또는 저항 측정 및 판독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의 현재 실제 온도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적어도 부분 및/또는 레그(506)의 적어도 부분은 하나 이상의 외부 도금 재료(550)로 도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적어도 부분 및/또는 레그(506)의 적어도 부분은 적어도 금 또는 백금, 팔라듐, 은, 구리 등과 같은 낮은 접촉 저항을 제공하는 다른 재료로 도금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at least a portion of 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낮은 저항 외부 도금 재료가 가열 요소(1350)에 고정되기 위해, 가열 요소(1350)의 표면은 부착 도금 재료로 도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에서, 부착 도금 재료는 가열 요소(1350)의 표면 상에 적층될 수 있고, 외부 도금 재료는 제 1 도금 층 및 제 2 도금 층을 각각 정의하는 부착 도금 재료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부착 도금 재료는 외부 도금 재료가 부착 도금 재료 상에 적층될 때 접착 특성들을 갖는 재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착 도금 재료는 니켈, 아연, 알루미늄, 철,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implementations, in order for the low resistance external plating material to be secured to 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의 표면은 부착 도금 재료로 가열 요소(1350)의 표면을 도금하는 것보다는 비-도금 프라이밍(non-plating priming)을 이용하여 외부 도금 재료가 가열 요소(1350) 상에 적층되도록 프라이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의 표면은 부착 도금 재료를 적층하는 것보다 에칭을 이용하여 프라이밍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the surface of 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레그(506) 및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전부 또는 부분은 부착 도금 재료 및/또는 외부 도금 재료로 도금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가열 요소(1350)의 카트리지 접촉부(124) 및/또는 레그(506)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갖는 외부 도금 재료를 가지는 적어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 및/또는 레그(506)는 타인(502) 및/또는 가열 부분(504)에 비해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all or a portion of
일부 구현예들에서, 단일 기판 재료의 가열 요소(1350)를 형성하고 기판 재료를 도금하는 대신에, 가열 요소(1350)는 (예컨대, 레이저 용접, 확산 프로세스 등을 통해) 함께 결합되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함께 결합되는 가열 요소(1350)의 각 부분의 재료들은 가열 요소(1350)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 카트리지 접촉부(124)에서 낮은 저항을 제공하거나 저항을 제공하지 않고 타인(502) 또는 가열 부분(504)에서는 높은 저항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instead of forming 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는 은 잉크로 전기도금될 수 있고 및/또는 부착 도금 재료 및 외부 도금 재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도금 재료로 분사 코팅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는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하고 증발가능한 재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발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상들, 크기들 및 기하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noted above, the
도 19 내지 도 24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135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는 가열 부분(504)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타인(502), 타인(502)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506), 및 단부 부분에 및/또는 하나 이상의 레그(506)들 각각의 일부로서 형성된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19-24 show another example of a
타인(502)은 위킹 요소(1362)(예컨대, 평평한 패드)가 위치하는 포켓을 정의하기 위해 접철되거나 및/또는 크림핑될 수 있다. 타인(502)은 플랫폼 타인 부분(524) 및 측면 타인 부분(526)을 포함한다. 플랫폼 타인 부분(524)은 위킹 요소(1362)의 하나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측면 타인 부분(526)은 위킹 요소(1362)의 다른 반대 측면들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플랫폼 타인 부분(524) 및 측면 타인 부분(526)은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고 및/또는 위킹 요소(1362)의 적어도 부분의 형상을 준수하도록 형상화되는 포켓을 형성한다. 포켓은 위킹 요소(1362)가 포켓 내에서 가열 요소(1350)에 의해 고정되고 보유되게 한다.The
이 예에서, 타인(502)은 다양한 형상들 및 크기를 가지며, 동일한 또는 변동되는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타인 부분(526) 각각은 적어도 4 개의 타인(502)을 포함한다. 인접한 타인(502)들의 제 1 쌍(570)에서, 인접한 타인(502)들 각각은 플랫폼 타인 부분(524) 근처에 위치된 내부 영역(576)으로부터 외부 에지(503) 근처에 위치된 외부 영역(578)까지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다. 인접한 타인(502)들의 제 2 쌍(572)에서, 인접한 타인(502)들은 내부 영역(576)으로부터 외부 영역(578)까지 변동되는 거리만큼 이격된다. 예를 들어, 제 2 쌍(572)의 인접한 타인(502)들은 외부 영역(578)에서보다 내부 영역(576)에서 더 큰 폭만큼 이격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열 부분(504)의 타인(502)들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고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타인(502)들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최대 온도가 전체 가열 부분(504)에 걸쳐 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품질의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레그(506)들 각각은 증발기(100)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포함하고 및/또는 정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레그(506)들(및 카트리지 접촉부(124))들의 각각의 쌍은 단일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레그(506)는 절곡되도록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리테이너 부분(180)을 포함한다. 리테이너 부분(180)은 위크 하우징(1315)에서의 대응하는 리세스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 부분(180)은 레그(506)의 단부를 형성한다. 리테이너 부분(180)은 가열 요소(1350) 및 위킹 요소(1362)를 위크 하우징(1315)(및 증발기 카트리지(1320))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리테이너 부분(180)은 리테이너 부분(180)의 단부로부터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을 향해 연장하는 팁 부분(180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리테이너 부분이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다른 부분 또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디바이스와 접촉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As noted above, each of the
가열 부분(504)에서의 타인(502)의 외부 에지(503)는 탭(580)을 포함할 수 있다. 탭(580)은 1 개, 2 개, 3 개, 4 개, 그보다 많은 탭(580)을 포함할 수 있다. 탭(580)은 외부 에지(503)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가열 요소(135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탭(580)은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측면 타인 부분(526)에 의해 정의된 내부 체적을 둘러싸는 가열 요소(1350)의 에지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탭(580)은 위킹 요소(1362)의 내부 체적으로부터 외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탭(580)은 또한, 플랫폼 타인 부분(524)과 반대인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위킹 요소(1362)의 내부 체적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위치된 탭(580)들은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위킹 요소(1362)의 내부 체적으로 이어지는 개방부를 넓히는 것을 돕고, 이에 의해 위킹 요소(1362)가 가열 요소(1350)와 조립될 때 포착되고, 찢어질 및/또는 손상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위킹 요소(1362)의 재료로 인해, 위킹 요소(1362)는 가열 요소(1350)와 조립(예컨대, 내부에 위치되거나 내부로 삽입됨)될 때에 용이하게 포착되고, 찢어지고, 및/또는 이와 다르게 손상될 수 있다. 위킹 요소(1362)와 타인(502)의 외부 에지(503) 사이의 접촉은 또한 가열 요소에 대한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탭(580)의 형상 및/또는 위치결정은 위킹 요소(1362)가 타인(502)에 의해 형성된 포켓(예컨대, 가열 요소(1350)의 내부 체적) 내에 또는 이 포켓으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위킹 요소(1362) 및/또는 가열 요소가 손상될 가능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따라서, 탭(580)은 위킹 요소(1362)가 가열 요소(1350)와 열 접촉하도록 진입 시에 가열 요소(1350) 및/또는 위킹 요소(1362)에 야기된 손상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탭(580)의 형상은 또한, 가열 부분(504)의 저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적어도 부분 및/또는 레그(506)의 적어도 부분은 가열 요소(1350)가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외부 도금 재료(550)로 도금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at least a portion of the
도 25a 내지 도 25b, 도 26 내지 도 28, 및 도 30a 내지 도 30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135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는 가열 부분(504)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타인(502), 타인(502)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레그(506), 및 단부 부분에 및/또는 하나 이상의 레그(506) 각각의 일부로서 형성된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포함한다.25A-25B, 26-28, and 30A-30B illustrate another example of a
타인(502)은 위킹 요소(1362)(예컨대, 평평한 패드)가 위치하는 포켓을 정의하기 위해 접철되거나 및/또는 크림핑될 수 있다. 타인(502)은 플랫폼 타인 부분(524) 및 측면 타인 부분(526)을 포함한다. 플랫폼 타인 부분(524)은 위킹 요소(1362)의 하나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측면 타인 부분(526)은 위킹 요소(1362)의 다른 반대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플랫폼 타인 부분(524) 및 측면 타인 부분(526)은 위킹 요소(1362)를 수용하고 및/또는 위킹 요소(1362)의 적어도 부분의 형상을 준수하도록 형상화되는 포켓을 형성한다. 포켓은 위킹 요소(1362)가 포켓 내에서 가열 요소(1350)에 의해 고정되고 보유되도록 한다.The
이 예에서, 타인(502)들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동일한 거리로 서로 이격된다. 여기서, 타인(502)은 플랫폼 타인 부분(524)에 의해 이격되는 제 1 측면 타인 부분(526A) 및 제 2 측면 타인 부분(526B)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측면 타인 부분(526A, 526B)들 각각은 플랫폼 타인 부분(524) 근처에 위치된 내부 영역(576) 내지 외부 에지(503) 근처에 위치된 외부 영역(578)을 포함한다. 외부 영역(578)에서, 제 1 측면 타인 부분(526A)은 제 2 타인 부분(526A)에 대략 평행하게 위치된다. 내부 영역(576)에서, 제 1 측면 타인 부분(526A)은 제 2 타인 부분(526B)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위치되고, 제 1 및 제 2 측면 타인 부분(526A, 526B)들은 평행하지 않다. 이러한 구성은 가열 부분(504)의 타인(502)의 길이를 따라 일정하고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타인(502)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최대 온도가 전체 가열 부분(504)에 걸쳐 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품질의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레그(506)들 각각은 증발기(100)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포함하고 및/또는 정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레그(506)들(및 카트리지 접촉부(124)들)의 각각의 쌍은 단일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레그(506)는 절곡되도록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리테이너 부분(180)을 포함한다. 리테이너 부분(180)은 위크 하우징(1315)에서의 대응하는 리세스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 부분(180)은 레그(506)의 단부를 형성한다. 리테이너 부분(180)은 가열 요소(1350) 및 위킹 요소(1362)를 위크 하우징(1315)(및 증발기 카트리지(1320))에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리테이너 부분(180)은 리테이너 부분(180)의 단부로부터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을 향해 연장하는 팁 부분(180A)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리테이너 부분이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다른 부분 또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 디바이스와 접촉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As noted above, each of the
가열 부분(504)에서의 타인(502)의 외부 에지(503)는 탭(580)을 포함할 수 있다. 탭(580)은 외부 에지(503)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가열 요소(135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탭(580)은 위킹 요소(1362)가 타인(502)에 의해 형성된 포켓 내에 보다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형상화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위킹 요소(1362)가 외부 에지(503) 상에서 포착될 가능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탭(580)의 형상은 가열 부분(504)의 저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Th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적어도 부분 및/또는 레그(506)의 적어도 부분은 가열 요소(1350)가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외부 도금 재료(550)로 도금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at least a portion of the
도 24 및 도 30a 내지 도 30b를 참조하면, 가열 요소(1350)의 기하구조는 비접철된 상태에서, 레그(506)의 중심에 실질적으로 걸쳐 배치된 가열 부분(504)을 갖는 글자 "H"와 유사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온도는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 걸쳐 가열 요소(1350)의 저항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의 온도는 가열 요소(1350)의 비저항(resistivity) 및 저항의 열 계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요소(1350)의 온도는 가열 요소(1350)에 걸쳐,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 걸쳐 저항을 적어도 측정함으로써 (예컨대, 제어기(104)에 의해) 결정되고 및/또는 제어될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의 기하학적 구성은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 걸쳐 저항의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즉, 가열 부분(504)에 걸친 저항은 격리 시에 (예컨대, 가열 요소(1350)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저항 측정의 정확도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저항 결정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24 and 30A-30B, the geometry of
추가로 예시하기 위하여, 도 53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1350)의 예를 위한 저항 측정을 도시한다. 도 53을 참조하면,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 걸친 저항은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들의 개개의 팁 부분(180A)에서 위치된 제 1 지점(1a)으로부터 제 2 지점(2b)으로의 전류를 적어도 인가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전류가 제 1 지점(1a)으로부터 제 2 지점(2b)으로 흐를 수 있지만, 제 3 지점(2a)과 제 4 지점(1b)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To further illustrate, FIG. 53 shows a resistance measurement for an example of a
제 1 지점(1a)과 제 3 지점(2a) 사이의 결과적인 전압 강하는 제 5 지점(C)과 제 6 지점(D) 사이의 전압 강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지점(C) 및 제 6 지점(D)은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의 개개의 단부 부분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 5 지점(C) 및 제 6 지점(D)에 걸친 전압 강하는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 걸친 전압 강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점(1a) 및 제 3 지점(2a)에 걸친 전압 강하를 측정하는 것은 제 5 지점(C) 및 제 6 지점(D)에 걸친 전압 강하를 측정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 걸친 저항(R)은 이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수학식 (1)은 가열 부분(504)에 걸친 저항(R)을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 걸친 전압(V) 및 전류(I)에 관련시킨다.The resulting voltage drop between the
R=VI (1)R=VI (On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의 팁 부분(180a)에 위치되는 제 1 지점(1a) 및 제 3 지점(2a)은 증발기 본체(11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서의 리셉터클 접촉부(125)와의 전기적 결합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접촉부(12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 요소(1350)의 기하학적 구성은, 위크 하우징(1315)의 외부에 배치되고 위크 하우징(1315)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배치된 가열 부분(504)보다 더 접근가능한, 레그(506)의 팁 부분(180a)들(예컨대, 제 1 지점(1a) 및 제 3 지점(2a))에 걸친 전압 강하를 측정함으로써,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에 걸친 저항의 격리된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도 31 내지 도 32는 가열 요소(1350)가 위크 하우징(1315)과 조립된 상태에서, 분무기 조립체(141)의 예를 도시하고, 도 33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141)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위크 하우징(1315)은 플라스틱, 폴리 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크 하우징(1315)은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들 각각의 적어도 부분이 위치될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는 4 개의 리세스(59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크 하우징(1315)은 또한 내부 체적(594)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개방부(593)를 포함하고, 이 개방부(593)에서, 적어도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 및 위킹 요소(1362)가 위치된다.31-32 show an example of a
위크 하우징(1315)은 또한, 별도의 열 차폐부(518A)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차폐부(518A)는 위크 하우징(1315)의 벽들과 가열 요소(1350) 사이의 위크 하우징(1315) 내의 내부 체적(594) 내에서 위치된다. 열 차폐부(518A)는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가열 요소(1350)를 위크 하우징(1315)의 측면 벽으로부터 이격하도록 형상화된다. 열 차폐부(518A)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본체 및/또는 위크 하우징(1315)으로부터 가열 부분(504)을 절연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열 차폐부(518A)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본체 및/또는 위크 하우징(1315)에 대한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발산되는 열의 효과들을 최소화하는 것에 도움이 되므로,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본체 및/또는 위크 하우징(1315)의 구조적 무결성을 보호하고 증발기 카트리지(1320) 및/또는 위크 하우징(1315)의 용융 또는 다른 변형을 방지한다. 열 차폐부(518A)는 또한, 가열 부분(504) 내에 열을 보유함으로써 가열 부분(504)에서 일관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이에 의해 열 손실들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The
열 차폐부(518A)는 위크 하우징(1315)의 베이스(도 32 및 도 43 참조)와 같은, 개방부(593) 반대측의 위크 하우징(1315)의 부분에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롯(예컨대, 1 개, 2 개, 3 개, 4 개, 5 개, 6 개, 또는 7 개 이상의 슬롯)(596)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590)(예컨대, 3 개의 슬롯)을 하나의 단부에서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슬롯(590, 596)은 증발가능한 재료의 액체 유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열 부분(504) 내의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의 유동 및 증발가능한 재료의 증발에 의해 야기된 압력의 배출을 허용한다.The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예컨대, 레그(506))와 위크 하우징(1315)의 외부 벽 사이에(또는 가열 요소(1350)의 부분 사이에) 범람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경로(599)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와 위크 하우징(1315)의 외부 벽 사이의 모세관 압력으로 인해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는, 저장소 및/또는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를 인출하기 위하여 충분한 모세관 압력이 있을 수 있다.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위크 하우징(1315)(또는 가열 부분(504))의 내부 체적을 탈출하는 것을 제한하고 및/또는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위크 하우징(1315) 및/또는 가열 요소(1350)는 모세관 압력에서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시키는 모세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추가적인 밀봉(예컨대, 밀폐 밀봉)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특징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모세관 특징부는 위크 하우징(1315) 및/또는 가열 요소(1350)에서의 예리한 지점, 절곡부, 만곡된 표면, 또는 다른 표면에 의해 형성된 모세관 파괴부(capillary break)를 정의할 수 있다. 모세관 특징부는 전도성 요소(예컨대, 가열 요소(1350))가 습식 및 건식 영역 모두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In some implementations, flooding may occur between the heating element 1350 (eg, the leg 506 ) and the outer wall of the wick housing 1315 (or between a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1350 ). For example, as indicated by
모세관 특징부는 가열 요소(1350) 및/또는 위크 하우징(1315)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및/또는 그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모세관 압력에서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시킨다. 예를 들어, 모세관 특징부는 절곡부, 예리한 지점, 만곡된 표면, 각진 표면, 또는 다른 표면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표면 특징부는 가열 요소 또는 증발기 카트리지의 다른 컴포넌트의 길이를 따라 가열 요소와 위크 하우징 사이의 모세관 압력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시킨다. 모세관 특징부는 또한, 모세관 채널이 액체를 모세관 채널로 인출하지 않도록 모세관 채널 내의 모세관 압력을 낮추기에 충분한(예컨대, 모세관 특징부는 위크 하우징으로부터 가열 요소를 이격시킴) 가열 요소의 일부 사이, 가열 요소와 위크 하우징 사이 등에 형성된 모세관 채널과 같은 모세관 채널을 넓히는 가열 요소 및/또는 위크 하우징의 돌출부 또는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세관 특징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세관 압력에서의 급격한 변화 및/또는 감소로 인해, 모세관 특징부를 지나서 액체 경로를 따라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한다. 모세관 특징부의 크기 및/또는 형상(예컨대, 절곡부, 예리한 지점, 만곡된 표면, 각진 표면, 돌출부 등)은 가열 요소 및 위크 하우징, 또는 컴포넌트들 사이에 형성된 모세관 채널의 다른 벽과 같은 재료들 사이에 형성된 습윤 각도의 함수일 수 있고, 가열 요소 및/또는 위크 하우징 또는 다른 컴포넌트의 재료의 함수일 수 있고, 및/또는 다른 특성들 중에서 모세관 채널을 정의하는 가열 요소 및/또는 위크 하우징과 같은 2 개의 컴포넌트 사이에 형성된 갭의 크기의 함수일 수 있다.The capillary features may be located on and/or form part of the
예로서, 도 34a 및 도 34b는 모세관 압력에서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시키는 모세관 특징부(598)를 가지는 위크 하우징(1315)을 도시한다. 모세관 특징부(598)는 액체가 모세관 특징부(598)를 지나서 액체 경로(599)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하고, 액체가 레그(506)와 위크 하우징(1315) 사이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위크 하우징(1315) 상의 모세관 특징부(598)는 위크 하우징(1315)(예컨대,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컴포넌트)으로부터 가열 요소(1350)(예컨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컴포넌트)를 이격시키고, 이에 의해 2 개의 컴포넌트 사이의 모세관 강도를 감소시킨다.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된 모세관 특징부(598)는 또한, 액체가 모세관 특징부(598)를 지나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위크 하우징의 각진 표면의 단부에서 예리한 에지를 포함한다.By way of example, FIGS. 34A and 34B show a
도 34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는 또한, 가열 요소(1350) 및/또는 위크 하우징(1315)의 내부 체적을 향해 내향으로 각질 수 있다. 각진 레그(506)는 액체가 가열 요소의 외부 표면 위로 그리고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를 따라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돕는 모세관 특징부를 형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4B , the
다른 예로서, 가열 요소(1350)는 하나 이상의 레그(506)로 형성되고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레그(506)를 이격시키는 모세관 특징부(예컨대, 브릿지(585))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585)는 접철 라인(520, 522)을 따라 가열 요소(1350)를 접철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브릿지(585)는 예컨대, 모세관 작용으로 인해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증발가능한 재료의 오버플로우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도 25a 내지 도 30b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가열 요소들(1350)과 같은 일부 예들에서, 브릿지(585)는 가열 부분(504)으로부터의 유체 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각지고 및/또는 절곡부를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다른 예로서, 가열 요소(1350)는 모세관 압력에서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시키기 위하여 예리한 지점을 정의하는 모세관 특징부(598)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모세관 특징부(598)를 지나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세관 특징부(598)는 레그(506)와 가열 부분(504)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거리만큼 가열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외향으로 연장되는 브릿지(585)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브릿지(585)의 단부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레그(506)로 및/또는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로 돕기 위한 예리한 에지일 수 있고, 이에 의해 누설을 감소시키고 가열 부분(504) 내에 남아있는 증발가능한 재료의 양을 증가시킨다.As another example, the
도 35 내지 도 37은 도 19 내지 도 24에서 도시된 가열 요소(1350)의 변형예를 예시한다. 가열 요소(1350)의 이러한 변형예에서,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는 변곡 영역(511)에서 절곡부를 포함한다. 레그(506)에서의 절곡부는 모세관 특징부(598)를 형성할 수 있고, 모세관 특징부(598)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모세관 특징부(598)를 지나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절곡부는 모세관 압력에서의 급격한 변화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절곡부를 지나서 유동하고 및/또는 레그(506)와 위크 하우징(1315) 사이에 고이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35-37 illustrate a variant of the
도 3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그(506)는 예를 들어, 제 1 조인트(534a), 제 2 조인트(534b), 및 제 3 조인트(534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를 생성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7에서 도시된 가열 요소(1350)의 예에서, 레그(506)는 제 1 조인트(534a)가 제 2 조인트(534b)와 제 3 조인트(534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제 2 조인트는 (레그(506)들의) 팁(180a)과 제 1 조인트(534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도금 재료(550) 및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제 2 조인트(534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그(506)를 절곡하면, 레그(506)가 증발기 본체(110)의 리셉터클(118)에서의 리셉터클 접촉부(125)와의 기계적 결합(예컨대, 마찰적 계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레그(506)를 적어도 스프링 로딩할 수 있다.35,
도 38 내지 도 39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1350)의 다른 변형예들을 예시한다. 가열 요소(1350)의 이러한 변형예에서,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는 변곡 영역(511)에서 절곡부를 포함한다. 레그(506)에서의 절곡부는 모세관 특징부(598)를 형성할 수 있고, 모세관 특징부(598)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모세관 특징부(598)를 지나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절곡부는 모세관 압력에서의 급격한 변화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절곡부를 지나서 유동하고 및/또는 레그(506)와 위크 하우징(1315) 사이에 고이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또한 돕고, 증발가능한 액체 재료가 가열 부분(504)으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38-39 illustrate other variations of a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1350)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의 리테이너 부분(180)의 팁 부분(180A)은 (예를 들어, 도 19 내지 도 22에서 도시된 방식으로 외향으로 절곡되는 대신에) 내향으로 절곡된다. 레그(506)들 각각은 증발기(100)의 대응하는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 접촉부(124)를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506)들(및 카트리지 접촉부(124)들)의 각각의 쌍은 단일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접촉할 수 있다. 레그(506)는 레그(506)가 리셉터클 접촉부(125)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스프링-로딩될 수 있다. 레그(506)는 리셉터클 접촉부(125)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만곡되는 레그(506)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506) 및/또는 레그(506)의 만곡부를 스프링-로딩하는 것은 레그(506)와 리셉터클 접촉부(125) 사이의 일관된 압력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레그(506)는 레그(506)와 리셉터클 접촉부(125) 사이의 일관된 압력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유지하는 것을 돕는 지지체(176)와 결합된다. 지지체(176)는 레그(506)와 리셉터클 접촉부(125)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한 플라스틱, 고무, 또는 다른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지지체(176)는 레그(506)의 일부로서 형성된다.18A-18E show other variations of a
도 51a 내지 도 51d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가열 요소(135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의 리테이너 부분(180)의 팁 부분(180A)은 (예를 들어, 도 19 내지 도 22에서 도시된 방식으로 외향으로 절곡되는 대신에) 내향으로 절곡된다. 레그(506)의 리테이너 부분(180)은 위크 하우징(1315)에서의 대응하는 리세스 내에서 위치되지만, 리테이너 부분(180)의 팁 부분(180A)은 위크 하우징(1315)과 접촉할 수 있다. 도 5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레그(506)를 접철하면, 예를 들어, 제 1 조인트(534a), 제 2 조인트(534b), 및 제 3 조인트(534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인트(534a)는 제 2 조인트(534b)와 제 3 조인트(534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제 2 조인트(534b)는 팁(180a)과 제 1 조인트(534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1a 내지 도 51d에서 도시된 가열 요소(1350)의 예에서, 카트리지 접촉부(124) 및 도금 재료(550)는 레그(506)에서의 제 1 조인트(534a)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를 절곡하면, 레그(506)가 증발기 본체(110)의 리셉터클(118)에서의 리셉터클 접촉부(125)와의 기계적 결합(예컨대, 마찰적 계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레그(506)를 적어도 스프링 로딩할 수 있다.51A-51D illustrate another variation of a
예를 들어, 도 5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에서의 제 1 접철부는 레그(506)의 리테이너 부분(180)의 팁 부분(180A)을 내향으로 절곡할 수 있고 제 2 조인트(534b)를 형성할 수 있다. 레그(506)의 리테이너 부분(180)은 (예컨대, 위크 하우징(1315)에서의 대응하는 리세스들에 배치됨으로써) 가열 요소(1315)를 위크 하우징(1315)에 고정할 수 있지만, 제 1 조인트(534a)를 형성할 수 있는,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에서의 제 2 접철부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증발기 본체(110)에 추가로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 접촉부(124)는 리셉터클 접촉부(125)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지만, 레그(506)에서의 제 2 접철부에 의해 형성된 제 1 조인트(534a)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증발기 본체(110)에 고정하기 위하여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 대해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가열 요소(1350)의 이 구성은 레그(506)의 길이를 따라 더 균등하게 분포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 대한 레그(506)의 힘 때문에 가열 요소(1350)가 세 번째 접철되는 가열 요소(1350)에서의 제 3 조인트(534c)에서 최소 응력과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1B , the first fold in the
도 42a 내지 도 42b, 및 도 43은 가열 요소(1350)가 위크 하우징(1315) 및 열 차폐부(518A)와 조립되어 있는 분무기 조립체(141)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도 44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분무기 조립체(141)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위크 하우징(1315)은 플라스틱, 폴리 프로필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크 하우징(1315)은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들 각각의 적어도 부분이 위치될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는 4 개의 리세스(592)를 포함한다. 리세스(592) 내부에서, 위크 하우징(1315)은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의 레그(506)의 적어도 부분과 위크 하우징 보유 특징부(172) 사이의 스냅-핏 배열을 통해, 가열 요소(1350)를 위크 하우징(1315)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위크 하우징 보유 특징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위크 하우징 보유 특징부(172)는 또한, 열이 위크 하우징에 작용하고 위크 하우징(1315)의 부분을 용융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위크 하우징(1315)의 표면으로부터 가열 요소(1350)를 이격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42A-42B, and 43 show another example of a
도시된 바와 같이, 위크 하우징(1315)은 또한 내부 체적(594)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개방부(593)를 포함하고, 이 개방부(593)에서, 적어도 가열 요소(1350)의 가열 부분(504) 및 위킹 요소(1362)가 위치된다.As shown, the
위크 하우징(1315)은 또한, 위크 하우징(1315)의 표면과 접촉하는 열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크 하우징(1315)의 표면으로부터 가열 요소(1350)를 이격시키는 것을 돕는 하나 이상의 다른 컷아웃(cutout)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크 하우징(1315)은 컷아웃(170)을 포함할 수 있다. 컷아웃(170)은 개방부(593)에 인접한 위크 하우징(1315)의 외부 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컷아웃(170)은 또한, 모세관 특징부(598)와 같은 모세관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컷아웃(170)의 모세관 특징부는 (위크 하우징의 벽들과 같은) 인접한(또는 교차하는) 벽들 사이의 접선 지점(tangency point)들을 파괴하는 표면(예컨대, 만곡된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만곡된 표면은 위크 하우징의 인접한 외벽들 사이에 형성된 모세관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에 충분한 반경을 가질 수 있다.The
도 42a를 참조하면, 위크 하우징(1315)은 탭(168)을 포함할 수 있다. 탭(168)은 증발기 카트리지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에 대하여, 증발기 카트리지의 조립 동안에 위크 하우징을 적절하게 위치시키고 및/또는 배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탭(168)을 형성하는 추가된 재료는 위크 하우징(1315)의 질량 중심을 시프트(shift)시킨다. 시프트된 질량 중심으로 인해, 위크 하우징(1315)은 조립 동안에 증발기 카트리지의 다른 컴포넌트의 대응하는 특징부와 정렬하기 위하여 어떤 배향으로 회전하거나 슬라이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2A , the
도 46은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본체(110)의 예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증발기 본체(110)는 예를 들어, 수집기(1313), 지느러미형 응축물 수집기(352), 및/또는 기타 등등을 가지는 카트리지(1320)를 포함하는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부들을 가지는 카트리지를 수용하고 및/또는 이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46 illustrate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an
도 4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본체(110)는 화장품 시스(cosmetic sheath)(1219)를 포함하는 쉘(1220), 배터리(1212), 인쇄 회로 기판 조립체(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CBA)(1203), 안테나(1217), 골격(1211), 전하 배지(charge badge)(1213),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및 단부 캡(1201), 및 LED 배지(1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증발기 본체(110)의 조립은 골격(1211)(도 46의 좌측)의 하위 단부(inferior end)에서의 골격(1211) 내에서 배터리(1212)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안테나(1217)는 배터리(1212)의 내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PCBA(1203), 및 배터리(121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결합 수단을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A(1203)의 하위 단부는 배터리(1212)의 상위 단부(superior end)에 결합될 수 있고, PCBA(1203)의 상위 단부는 가압 맞춤(press fit), 납땜 조인트, 및/또는 임의의 다른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 결합될 수 있다. 화장품 시스(1219)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이 화장품 시스(1219)에 배치될 때,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46 , the
도 4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시스(1219)는 화장품 시스(1219)의 제 1 측면 상에서 전하 배지(1213)를 수용하도록 크기결정되고 형상화된 애퍼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시스(1219)의 제 2 측부는 화장품 시스(1219)로 만들어질 수 있거나 LED 배지(1215)를 수용하도록 크기결정되고 형상화된 또 다른 애퍼처에 배치될 수 있는 LED 배지(12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화장품 시스(1219)는 스테인리스 강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대략 0.2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LED 배지(1215)는 흑색 인쇄 회로로 성형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전하 배지(1213)는 액정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및/또는 인 청동 접촉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 배지(1213)는 마일라 필름(mylar film)을 이용함으로써 전하 패드들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하 배지의 도금은 팔라듐-니켈, 흑색 니켈,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또는 또 다른 흑색 도금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조립된 배터리(1212), PCBA(1203),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및 화장품 시스(1219)는 골격(1211) 내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고, 골격(1211)은 쉘(1220) 내에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화장품 시스(1219)는 0.2 mm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리스 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쉘(1220)은 접지 패드들, 단부캡 데이터, LED 인터페이스, (카트리지(1320)가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될 때, 위크 하우징(1315)의 하단에서 슬롯(596)과 유체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 및 골격(1211)이 쉘(1220) 내로 삽입될 때에 자소로 스냅(snap)되는 골격 스냅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 캡(1201)은 화장품 시스(1219)와 반대인 쉘(1220)의 하위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단부 캡(1201)은 쉘(1220) 내에서 증발기 본체(210)의 내부 컴포넌트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쉘(1220)의 하위 단부 상의 통풍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46 ,
전원(112)이 증발기 본체(110)의 부분이고 가열 요소가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증발기 카트리지(1320)에 배치되는 증발기에서, 증발기(100)는 제어기(104)(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 마이크로제어기, 등), 전원,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회로를 완성하기 위한 전기 접속 특징부(예컨대, 회로를 완성하기 위한 수단)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징부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하단 표면 상의 적어도 2 개의 접촉부(카트리지 접촉부(124)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됨) 및 증발기(10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베이스 근처에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접촉부(125)(리셉터클 접촉부(125)로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어서, 카트리지 접촉부(124) 및 리셉터클 접촉부(125)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 삽입되고 카트리지 리셉터클(118)과 결합될 때에 전기적 접속을 행한다. 이러한 전기적 접속에 의해 완성된 회로는 저항성 가열 요소로의 전류를 전달을 허용할 수 있고, 또한, 추가 기능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저항성 가열 요소의 열 저항 계수에 기초하여 저항성 가열 요소의 온도를 결정하고 및/또는 제어할 시에 이용하기 위한 저항성 가열 요소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항성 가열 요소 또는 증발기 카트리지의 다른 회로부의 하나 이상의 전기적 특성에 기초하여 카트리지를 식별하는 등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In an evaporator where the power source 112 is part of the
본 주제의 일부 예들에서, 적어도 2 개의 카트리지 접촉부 및 적어도 2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는 적어도 2 개의 배향 중의 어느 하나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하나 이상의 회로는 (카트리지를 가지는 증발기 카트리지의 단부가 증발기 본체(11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 삽입되는 축 주위의) 제 1 회전 배향으로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서의 증발기 카트리지(120)의 삽입에 의해 완성될 수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카트리지 접촉부의 제 1 세트는 적어도 2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125)의 리셉터클 접촉부의 제 1 세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적어도 2 개의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카트리지 접촉부의 제 2 세트는 적어도 2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125)의 리셉터클 접촉부의 제 2 세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증발기(100)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하나 이상의 회로는 제 2 회전 배향으로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에서의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삽입에 의해 완성될 수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카트리지 접촉부의 제 1 세트는 적어도 2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125)의 리셉터클 접촉부의 제 2 세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적어도 2 개의 카트리지 접촉부(124)의 카트리지 접촉부의 제 2 세트는 적어도 2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125)의 리셉터클 접촉부의 제 1 세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증발기 본체(11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 가역적으로 삽입가능한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이 특징은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In some examples of this subject matter, the at least two cartridge contacts and the at least two receptacle contacts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in either of at least two orientations. For example, one or more circuits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evaporator may be arranged in the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증발기 본체(110)에 결합하기 위한 부착 구조의 하나의 예에서, 증발기 본체(110)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향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디텐트(detent)(예컨대, 딤플, 돌출부, 스프링 커넥터 등)를 포함한다.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하나 이상의 외부 표면은 대응하는 리세스(도 1에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리세스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단부가 증발기 본체(110) 상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 삽입될 때 이러한 디텐트 상에서 맞추어질 수 있고 및/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스냅될 수 있다. 증발기 카트리지(1320) 및 증발기 본체(110)가 (예컨대, 증발기 본체(110)의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의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단부의 삽입에 의해) 결합될 때, 증발기 본체(110)로의 디텐트는 조립될 때에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정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리세스들 내에 맞추어질 수 있고 및/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이러한 리세스들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디텐트-리세스 조립체는 사용자가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합리적인 힘으로 당겨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부터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분리할 때 증발기 본체(110)로부터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해제를 허용하면서, 적어도 2 개의 카트리지 접촉부(124)와 적어도 2 개의 리셉터클 접촉부(125)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증발기 카트리지(1320)를 정위치에 유지하기에 충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주제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적어도 2 개의 디텐트는 화장품 시스(1219)의 외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장품 시스(1219)의 외부 상의 디텐트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에서, 예를 들어, 화장품 시스(1219)(및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적어도 부분을 피복하기 위하여 화장품 시스(1219)(및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개방된 상단 아래로 연장되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하우징의 부분의 내부 표면에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리세스를 계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an attachment structure for coupling the
카트리지 리셉터클에서의 증발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2 개의 회전 배향이 가능하도록, 가역적인 증발기 카트리지와 증발기 본체 사이의 전기적 접속들에 대한 위의 논의에 추가하여, 일부 증발기들에서, 증발기 카트리지(120)의 형상, 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로의 삽입을 위하여 구성되는 증발기 카트리지(120)의 단부의 적어도 형상은 적어도 2차의 회전 대칭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증발기 카트리지 또는 적어도 증발기 카트리지의 삽입가능한 단부는 증발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리셉터클로 삽입되는 축 주위에서 180° 회전 시에 대칭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증발기의 회로부는 증발기 카트리지의 어떤 대칭적 배향이 발생하는지에 관계 없이 동일한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회전 위치는 제 2 회전 위치로부터 180° 초과 또는 미만일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discussion of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reversible evaporator cartridge and the evaporator body, such that at least two rotational orientations of the evaporator cartridge in the cartridge receptacle are possible, in some evaporators the shape of the evaporator cartridge 120, Alternatively, at least the shape of the end of the evaporator cartridge 120 configured for insertion into the cartridge receptacle may have at least a second order rotational symmetry. In other words, the insertable end of the evaporator cartridge, or at least the evaporator cartridge, may be symmetrical upon 180° rotation around the axis into which the evaporator cartridge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receptacle. In this configuration, the circuitry of the evaporator can support the same operation regardless of which symmetrical orientation of the evaporator cartridge occurs. In some aspects, the first rotational position may be greater than or less than 180 degrees from the second rotational position.
일부 예들에서, 증발기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 리셉터클에서의 삽입을 위하여 구성된 증발기 카트리지의 적어도 단부는 증발기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리셉터클로 삽입되는 축을 가로지르는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원형 단면은 대략 직사각형, 대략 타원형(예컨대, 대략 난형 형상을 가짐), 평행하거나 대략 평행한 대향하는 변들의 2 개의 세트를 갖는(예컨대, 평행 사변형 형상을 가지는) 비-직사각형, 또는 적어도 2 차의 회전 대칭성을 가지는 다른 형상들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략적으로 형상을 가지는 것은, 설명된 형상에 대한 기본적인 유사성이 분명하지만, 제기 중인 형상의 변들이 완전히 선형일 필요는 없고 정점들이 완전히 예리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면 형상의 에지들 또는 정점들의 둘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라운딩은 본 명세서에서 지칭된 임의의 비-원형 단면의 설명에서 고려된다.In some examples, at least an end of an evaporator cartridge, or evaporator cartridge configured for insertion in a cartridge receptacle, may have a non-circular cross-section transverse to an axis into which the evaporator cartridge is inserted into the cartridge receptacle. For example, a non-circular cross-section may be approximately rectangular, approximately elliptical (eg, having an approximately oval shape), parallel or approximately parallel non-rectangular (eg, having a parallelogram shape) having two sets of opposing sides. , or other shapes having at least second order rotational symmetry. In this context, having an approximate shape indicates that the sides of the shape in question need not be perfectly linear and the vertices need not be perfectly sharp, although basic similarities to the described shape are evident. Rounding of either or both of the edges or vertices of the cross-sectional shape is contemplated in the description of any non-circular cross-section referred to herein.
도 47a 내지 도 47c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리셉터클 접촉부(125)의 다양한 예들을 도시한다. 도 47a는 포드 ID 오버몰드(308)로부터 연장되는 예시적인 포드 ID 접촉부(307A)를 도시한다. 포드 ID 접촉부(307A)는 식별 칩(174)의 접촉부(293)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7b는 포드 ID 오버몰드(308)로부터 연장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포드 ID 접촉부(307B)를 도시한다. 도 47c는 포드 ID 오버몰드(308)로부터 연장되는 또 다른 예시적인 포드 ID 접촉부(307C)를 도시한다.47A-47C show various examples of receptacle contacts 125 consistent with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47A shows an exemplary
도 47a 내지 도 47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320)는 페이지의 상단으로부터 카트리지 리셉터클(318)로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카트리지(1320)가 카트리지 리셉터클(318)로 삽입되고 있을 때, 포드 ID 접촉부(307A 내지 307C)들은 카트리지(1320) 삽입에 응답하여 페이지의 내향 또는 좌측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드 ID 접촉부(307A 내지 307C)는 카트리지(1320)가 카트리지 리셉터클(318)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124)(예컨대, 접촉부들(293))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47A-C,
도 4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드 ID 접촉부(307A)는 위치(407)에서 포드 ID 접촉부(307a) 재료에서의 180° 절곡부를 포함한다. 도 47c의 포드 ID 접촉부(307C)는 도 47b의 포드 ID 접촉부(307B)와 유사하고 도 47b의 포드 ID 접촉부(307B)로부터 적응된다. 도 47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드 ID 접촉부(307C)는 포드 ID 접촉부(307C)의 부분을 적어도 둘러싸는 보호 부재(예컨대, 푸트(foot) 또는 부트(boot))(408)를 포함한다.47A ,
도 47d는 증발기 본체(110)의 조립된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을 도시한다. 도 47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 리셉터클(418)의 제 1 측부(404) 상에서, 예를 들어, 포드 ID 접촉부(307A, 307B, 및 307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포드 ID 접촉부를 포함한다. 도 47d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제 2 측부(402) 상에서 2 개의 히터/카트리지 리셉터클 접촉부(125A 및 125B)를 추가로 예시한다.47D shows the assembled
도 47e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예를 포함하는 증발기 본체(110)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7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화장품 시스(121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7e에서 도시된 예에서,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상단 림 및 화장품 시스(1219)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일 수 있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내부는 하나 이상의 포드 ID 접촉부(예컨대, 포드 ID 접촉부(307A, 307B, 및 307C) 및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접촉부(예컨대, 리셉터클 접촉부(125A 및 12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 본체(110)는 또한,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내부 및/또는 화장품 시스(1219)의 외부 상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포드 보유 특징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포드 보유 특징부(415)의 예는 핀, 클립, 돌출부, 디텐트, 및/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포드 보유 특징부(415)는, 카트리지(1320)에 대하여, 자기력, 접착력, 압축력, 마찰력, 및/또는 기타 등등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카트리지(1320)를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내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47E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포드 보유 특징부(415)가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내부에 배치되는 구현예들에서, 포드 보유 특징부(415)는 예를 들어, 가열 요소(1350)의 적어도 부분(예컨대, 위크 하우징(1315) 외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레그(506)의 부분) 및/또는 위크 하우징(1315)의 부분(예컨대, 위크 하우징(1315)에서의 리세스)과의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포드 보유 특징부(415)가 화장품 시스(1219)의 외부 상에 배치되는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포드 보유 특징부(415)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의 하우징과의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드 보유 특징부(415)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내에서 카트리지(1320)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드 보유 특징부(415)는 증발기 본체(110)에서의 임의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In implementations where the
도 48a 내지 도 48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내에 배치된 카크리지(1320)의 측면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48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드 ID 접촉부(307)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제 1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카트리지(1320) 상의 식별 칩(174)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포드 ID 접촉부(309)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제 1 측부에 반대인)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제 2 측부 상에서 위치될 수 있고, 카트리지(13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8a는 포드 ID 접촉부(309)를, 식별 칩(250)의 접촉부(293)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추가로 도시한다.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은 예를 들어, 위크 하우징(1315)의 적어도 부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13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은 대략 4.5 밀리미터 깊이일 수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상부 둘레 주위에 배치된 플렌지를 포함하는, 대략 5.2 밀리미터의 높이를 가지는 위크 하우징(1315)은 카트리지 리셉터(118) 내에서(예컨대, 플랜지 위로)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될 때에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외부에 남아 있을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트리지 리셉터클(118)의 림 및 화장품 시스(1219) 위로 연장될 수 있다.48A-48B show side cutaway views of a
언급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1320)가 예를 들어, 카트리지 리셉터클(118)로 삽입됨으로써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되는 동안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유지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위크 하우징(1315)에서의 하나 이상의 슬롯(596)과 유체 연통할 수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통해 진입하는 공기는 위킹 요소(1362)를 지나서 및/또는 위킹 요소(1362) 주위에서 유동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슬롯(596)을 통해 위크 하우징(1315)에 추가로 진입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위크 하우징(1315)을 통한 적당한 공기유동은 위킹 요소(1362)로 인출된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적당하고 시기적절한 증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공기 유입구가 있는 예들에서, 이 복수의 공기 유입구는 카트리지(1320) 및 증발기 본체(110)를 포함하는 조립체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 및 증발기 본체(110)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실질적으로 반대 측부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 카트리지(1320) 및 증발기 본체(110)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동일한 측부 상에 배치된 하나 초과의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것, 또는 이러한 조립체의 상이한지만 실질적으로 반대가 아닌(예컨대, 인접한) 측부들 상에서 공기 유입구를 가지는 것은 본 주제의 범위 내에 있다.As noted, one or more air inlets may be formed and/or maintained while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 유입구들은 증발가능한 재료(1302)의 증발 및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충분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언급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손, 또는 다른 신체 부분에 의한 차단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은 증발기 카트리지(1320)와 증발기 본체(110) 사이의 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8a 내지 도 48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싱된 영역(1395)(예컨대, 공동, 홈, 갭, 심, 및/또는 기타 등등)은 증발기 카트리지(1320)가 증발기 본체(110)와 결합될 때, 증발기 카트리지(1320)와 증발기 본체(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은 카트리지(1320)의 부분(예컨대, 하우징(160)) 및 증발기 본체(110)가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영역을 지나서 연장될 수 있도록, 리세싱된 영역(139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또는 다른 신체 부분)이 리세싱된 영역(1395)의 부분만을 피복할 수 있으므로, 리세싱된 영역(1395)은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들을 위한 간극(clearance)을 제공하기 위하여 증발기 카트리지(1320) 및 증발기 본체(110)의 원주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8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또는 다른 신체 부분)이 리세싱된 영역(1395)의 하나의 부분을 피복하고 있더라도, 공기는 리세싱된 영역의 비피복된 부분을 통해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에 여전히 진입할 수 있다.In some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subject matter, the air inlets may be configured to introduce sufficient air to enable evaporation of
공기 유입구는 증발기 카트리지(1320)로의 공기유동에 적어도 일부 수축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48f에서 도시된 압력 맵들에서, 가장 큰 국부화된 압력 하락은 공기 유입구에서 관찰되고, 여기서, 언급된 바와 같이, 주변 공기는 증발가능한 재료(1320)의 증발 및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충분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카트리지(1320)에 진입할 수 있다. 공기유동의 최대 속도는 또한, 주변 공기가 공기 유입구의 수축된 공간에 진입할 때에 공기 유입구를 통해 관찰될 수 있다. 공기유동의 속도에서의 하락은 공기 유입구를 통한 흡기에 후속하여 관찰된다.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e air inlet may present at least some constriction to the airflow to the
도 49a는 정면과 대면하는 LED 배지(1215)를 갖는 조립된 증발기 본체 쉘(122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9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쉘(1220)은 하나 이상의 포드 보유 특징부를 갖는 제 2 측부(402)를 가지는 카트리지 리셉터클(118), 카트리지 리셉터클 접촉부(125A 및 125B), 및 포드 ID 접촉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9a는 쉘(1220)을, 쉘(1220)의 우측 측부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1604)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추가로 도시하지만, 쉘(1220)은 도시된 것과는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된 추가적인 공기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 유입구(1605)는 전원(112)(예컨대, 배터리(121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화장품 시스(1219) 아래의 쉘(1220)의 제 2 부분보다 더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지는 (화장품 시스(1219)를 포함하는) 쉘(1220)의 제 1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쉘(1220)에서의 릿지(ridge)(1387)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605)는 주변 공기가 카트리지(1320)에 진입하고 분무기(141)에서 생성된 증기와 혼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605)는 카트리지(1320)의 본체를 통해 연장되는 공기유동 통로(1338)와 유체 연통할 수 있어서, 주변 공기는 카트리지(1320)가 쉘(1220)과 결합될 때, 공기 통풍구(1605)를 통해 공기유동 통로(1338)에 진입할 수 있다. 주변 공기 및 분무기(141)에서 생성된 증기의 혼합물은 마우스피스(130)를 통해 (예컨대, 사용자의 입으로의) 흡입을 위하여 공기 통로(1338)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49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공기 유입구(1605)는 수집기(1313)의 오버플로우 체적(1344)에서의 오버플로우 채널(1104)의 하나 단부에 배치된 공기 통풍구(1318)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기는 공기 통풍구(1318)를 통해 수집기(1313)로 그리고 수집기(1313)로부터 통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기(1313) 내부에 포획된 기포들은 공기 통풍구(1318)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소(134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기가 공기 통풍구(1318)를 통해 수집기(1313)에 또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1605)의 치수들, 공기 유입구(1605)의 형상, 및/또는 쉘(1220) 상의 공기 유입구(1605)의 위치는 공기 유입구(1605)에 진입하는 주변 공기의 적어도 부분이 공기 통풍구(1318)를 통해 수집기(1313)에 진입할 수 있고 공기 통풍구(1318)로부터 수집기(1313)로부터 방출된 공기의 적어도 부분은 공기 유입구(1605)를 통해 진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공기 유입구(1605)는 실질적으로 둥글 수 있고, 0.6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 유입구(1605)는 실질적으로 둥글 수 있고, 대략 0.8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주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공기 통풍구(1318)는 또한, 공기 통로(1338)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1605)에 진입하는 주변 공기는 (예컨대, 공기 통풍구(1318)를 통해) 수집기(1313) 및 (예컨대,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하여) 공기 통로(1338)에 공급할 수 있다.Alternatively and/or additionally, the air inlet 1605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n
도 49b는 본 주제의 구현예들과 부합하는 증발기 본체 쉘(12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9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쉘(1220)은 압력 센서 경로(1602), 화장품 시스(1219), 포드 식별 공동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공기 유입구(1605), 및 포드 ID 스프링(307 또는 309) 및/또는 히터 접촉부(125A 및 125B)(또는 302)로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는 포드 ID 하우징(1607)을 포함할 수 있다.49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용어Terms
본 명세서에서 특징 또는 요소가 다른 특징 또는 요소 "상에 있는" 것으로서 지칭될 때, 그것은 다른 특징 또는 요소 상에 직접 존재할 수 있거나 개재하는 특징들 및/또는 요소들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특징 또는 요소가 다른 특징 또는 요소 "바로 위에" 있는 것으로서 지칭될 때, 개재된 특징들 또는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특징 또는 요소가 다른 특징 또는 요소에 "연결된", "부착된", 또는 "결합된" 것으로서 지칭될 때, 그것은 다른 특징 또는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부착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거나, 개재된 특징들 또는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특징 또는 요소가 다른 특징 또는 요소에 "직접 연결된", "직접 부착된", 또는 "직접 결합된" 것으로서 지칭될 때, 개재된 특징들 또는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When a feature or element is referred to herein as being “on” another feature or element, it may be directly on the other feature or element, or intervening features and/or elements may also be present. In contrast, when a feature or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immediately on” another feature or element, there are no intervening features or elements present. When a feature or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ttached to,” or “coupled to,” another feature or element,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ttached to, coupled to, or interposed with, the other feature or element.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specific features or elements may be present. In contrast, when a feature or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directly attached to,”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feature or element, the intervening features or elements are absent.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그렇게 설명되거나 도시된 특징들 및 요소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특징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조 또는 특징에 대한 지칭들은 인접한 특징과 겹치거나 밑에 놓이는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features and elements so described or illustrated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references to structures or features that are disposed “adjacent” to another feature may have portions that overlap or underlie the adjacent feature.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을 설명하는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 및 "상기"는 문맥이 이와 다르게 명확하게 표시하지 않으면, 복수 형태들을 마찬가지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들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이 명세서에서 이용될 때,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컴포넌트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해당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열거된 항목들 중의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과 모든 조합들을 포함하고, "/"로서 축약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and implementation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For example,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nd "the" are intended to include plural forms as wel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as used herein, specify the presence of a described feature,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will be further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 steps, act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thereof.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associated listed items and may be abbreviated as “/”.
위의 설명들 및 청구항들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과 같은 어구들은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접속 리스트에 선행하여 나타날 수 있다. 용어 "및/또는"은 또한, 2 개 이상의 요소 또는 특징의 리스트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용되는 문맥에 의해 이와 다르게 암시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한, 이러한 어구는 열거된 요소들 또는 특징들 중의 임의의 것을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인용된 요소들 또는 특징들 중의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인용된 요소들 또는 특징들 중의 임의의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A와 B 중 적어도 하나"; "A와 B 중 하나 이상" 및 "A 및/또는 B"라는 문구는 각각 "A 단독, B 단독, 또는 A와 B 함께"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3 개 이상의 항목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에 대해 유사한 해석이 또한 의도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및 "A, B 및/또는 C"라는 문구는 각각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 함께, A와 C 함께, B와 C 함께, 또는 A와 B와 C 함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및 청구항들에서 "기초하는"이라는 용어의 이용은 인용되지 않은 특징 또는 요소가 또한 허용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s and claims,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r "one or more" may appear preceding a linked list of elements or features. The term “and/or” may also occur in a list of two or more elements or features. Unless otherwise implicitly or explicitly contradicted by the context in which it is used, such phrases refer to any of the recited elements or feature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any of the other recited elements or features. is intended to mean any of the recited elements or feature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and B"; The phrases "at least one of A and B" and "A and/or B" are intended to mean "A alone, B alone, or A and B together", respectively. A similar interpretation is also intended for lists containing three or more item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B and C"; The phrases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B and/or C" respectively refer to "A alone, B alone, C alone, A and B together, A and C together, B and C together, or A and B and C together". The use of the term “based on” in the foregoing and in the claims is intended to mean “based at least in part on” such that a feature or element not recited is also permitted.
"전방으로", "후방으로", "아래에", "밑에", "하부", "위에", "상부"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묘사된 배향에 추가하여 이용 또는 동작 중인 디바이스의 다른 배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의 디바이스가 반전된 경우,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아래" 또는 "하위"로서 설명된 요소들은 그 다음으로,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의 "위"로 배향될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아래"는 위 및 아래의 배향을 모두 망라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달리 배향(90 도 또는 다른 배향들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설명자들은 그에 따라 해석된다. 유사하게, "상향", "하향", "수직", "수평" 등의 용어들은 특별히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anteriorly”, “posteriorly”, “below”, “below”, “lower”, “above”, “above”, etc. refer to one element or feature and one element or feature, as shown in the figures. It may be used herei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 element(s) or feature(s). It will be understood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other orientations of the device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depicted in the figures. For example, if the device in the figures is inverted,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r “below” other elements or features would then be oriented “above” the other elements or features.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encompass both an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The device may be otherwise oriented (rotated 90 degrees or at other orientations), and spatially relative descriptor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ccordingly. Similarly, terms such as "upward", "downward", "vertical", "horizontal" and the like are used herein for descriptive purposes unless specifically indicated otherwise.
용어들 "제 1" 및 "제 2"가 다양한 특징들/요소들(단계들을 포함함)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수 있지만, 문맥이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이러한 특징들/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하나의 특징/요소를 다른 특징/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논의된 제 1 특징/요소는 제 2 특징/요소로 칭해질 수 있고, 유사하게, 아래에서 논의된 제 2 특징/요소는 본 명세서에 제공된 교시사항들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제 1 특징/요소로 칭해질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features/elements (including steps), unless the context indicates otherwise, these features/elements are I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feature/element from another feature/element. Thus, a first feature/element discussed below may be termed a second feature/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feature/element discussed below can be termed a first feature/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provided herein. It may be referred to as a feature/element.
예들에서 이용된 바와 같은 것을 포함하여,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그리고 달리 명시적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모든 숫자들은, 용어가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약" 또는 "대략"이라는 단어가 앞에 있는 것처럼 판독될 수 있다. 어구 "약" 또는 "대략"은 설명된 값 및/또는 위치가 값들 및/또는 위치들의 합리적인 예상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크기 및/또는 위치를 설명할 때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치 값은 기재된 값(또는 값들의 범위)의 +/- 0.1 %, 기재된 값(또는 값들의 범위)의 +/- 1 %, 기재된 값(또는 값들의 범위)의 +/- 2 %, 기재된 값(또는 값들의 범위)의 +/- 5 %, 기재된 값(또는 값들의 범위)의 +/- 10 % 등인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주어진 임의의 수치 값들은 또한, 문맥이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약 또는 대략 그 값을 포함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값 "10"이 개시될 경우에, "약 10"이 또한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수치 범위는 그 안에 포함된 모든 하위 범위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값이 개시될 때, "이하인" 값, "이상인 값", 및 값들 사이의 가능한 범위는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이해된 바와 같이 개시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값 "X"가 개시되어 있을 경우에, "X 이하" 뿐만 아니라 "X 이상"(예컨대, X는 수치 값임)이 또한 개시된다. 또한, 본 출원 전반에 걸쳐, 데이터는 다수의 상이한 포맷들로 제공되고, 이 데이터는 데이터 포인트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한 종점들 및 시점들, 및 범위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 포인트 "10" 및 특정 데이터 포인트 "15"가 개시될 경우에, 10 및 15 초과, 이상, 미만, 이하, 및 동일은 개시된 것 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사이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2 개의 특정 단위들 사이의 각각의 단위가 또한 개시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10 및 15가 개시될 경우에, 11, 12, 13 및 14가 또한 개시된다.A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including as used in the examples, and unless explicitly specified otherwise, all numbers refer to "about" or "approximately", even if the term is not explicitly indicated. Words can be read as if they were in front. The phrases “about” or “approximately” may be used in describing a size and/or location to indicate that the stated value and/or location is within a reasonable expected range of values and/or locations. For example, a numerical value is +/- 0.1 % of the stated value (or range of values), +/- 1 % of the stated value (or range of values), +/- 2 of the stated value (or range of values). %, +/- 5 % of the stated value (or range of values), +/- 10 % of the stated value (or range of values), and the like. Any numerical values given herein should also be understood to include about or approximately that value, 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For example, where the value “10” is disclosed, “about 10” is also disclosed. Any numerical range recited herein is intended to include all subranges subsumed therein. It is also understood that when values are disclosed, values "less than", "above", and possible ranges between values are also disclosed as suitab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where the value “X” is disclosed, “below X” as well as “more than X” (eg, X is a numerical value) are also disclosed. Also, throughout this application, it is understood that data is provided in a number of different formats, and that the data represents endpoints and time points, and ranges for any combination of data points. For example, when a particular data point "10" and a particular data point "15" are disclosed, it is understood that 10 and greater than, greater than, less than, less than, and equal to, are contemplated as being between 10 and 15, as well as those disclosed. do. Also, it is understood that each unit between two specific units is also disclosed. For example, where 10 and 15 are disclosed, 11, 12, 13 and 14 are also disclosed.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지만, 본 명세서에서 교시사항들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수의 변경들 중의 임의의 것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설명된 방법 단계들이 수행되는 순서는 종종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변경될 수 있고,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방법 단계들이 모두 건너뛸 수 있다. 다양한 디바이스 및 시스템 실시예들의 임의적인 특징들은 다른 것들이 아니라, 일부 실시예들에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하여 주로 제공되고,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해독되지 않아야 한다.While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are described above, any of a number of changes may be made to various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herein. For example, the order in which the various described method steps are performed may often be changed in alternative embodiments, and in other alternative embodiments, one or more method steps may all be skipped. Optional features of various device and system embodiments may be included in some embodiments, but not others. Therefore,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provided primarily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 또는 특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부, 집적 회로부, 특수 설계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밍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들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그 조합들로 실현될 수 있다. 이 다양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결합된, 특수 또는 일반 목적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가능하고 및/또는 해독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서의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또는 컴퓨팅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들 및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로부터 원격이고, 전형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관계는 개개의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고 서로에 대한 클라이언트-서버 관계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의해 발생한다.One or more aspects or feature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integrated circuitry, specially designed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It may be implemented in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and/or combinations thereof. These various aspects or features are directed to receiving data and instructions from a storage system,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t least one output device and directing the data and instructions to the storage system, at least one input device, and at least one output device. and implementation in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executable and/or readable on a programmabl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programmable processor, which may be special or general purpose, coupled to transmit. A programmable system or computing system may include clients and servers. A client and server are generally remote from each other and typically interact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The relationship of client and server arises by virtue of computer programs running on separate computers and having a client-server relationship to each other.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애플리케이션들, 컴포넌트들 또는 코드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대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급 절차 언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기능적 프로그래밍 언어, 논리적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조립/기계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머신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 판독 가능 신호로서 기계 명령어를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에 기계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및 PLC(Programmable Logic Devices)와 같은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장치, 및/또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용어 "머신-판독가능 신호"는 머신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로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된 임의의 신호를 지칭한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비-일시적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또는 자기 하드 드라이브 또는 임의의 동등한 저장 매체와 같은, 이러한 머신 명령들을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러한 머신 명령들을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물리적 프로세서 코어와 관련된 프로세서 캐시 또는 다른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일시적인 방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Such computer programs,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programs,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s, applications, components, or code, include machine instructions for a programmable processor and include a high-level procedural language, an 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a functional programming language. , a logical programming language, and/or an assembly/machine language. As used herein, the term “machine-readable medium” includes a machine-readable medium that receives machine instructions as a machine-readable signal, for example, to provide machine instructions and/or data to a programmable processor. used to mean any computer program product, apparatus, and/or device, such as magnetic disks, optical disks, memories, and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Cs). The term “machine-readable signal” refers to any signal used to provide machine instructions and/or data to a programmable processor. A machine-readable medium may non-transitory store such machine instructions, such as, for example, a non-transitory solid-state memory or magnetic hard drive or any equivalent storage medium. The machine-readable medium may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store such machine instructions in a transitory manner, such as, for example, in a processor cache or other random access memory associated with one or more physical processor cores.
본 명세서에서 포함된 예들 및 예시들은 주제가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을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도시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로부터 유도될 수 있어서,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구조적 및 논리적 치환들 및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다. 발명의 주제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편의를 위해 그리고, 하나 초과의 발명이 사실상 개시되어 있는 경우, 본 출원의 범위를 임의의 단일 발명 또는 발명적 개념으로 자발적으로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용어 "발명"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계산된 임의의 배열이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을 위하여 치환될 수 있다. 이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개조들 또는 변형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위의 실시예들의 조합들, 및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다른 실시예들은 위의 설명을 검토할 시에 당해 분야에서의 당업자들에게 분명할 것이다.The examples and examples included herein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and not limit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subject matter may be practiced. As mentioned,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derived therefrom, so that structural and logical substitu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se 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are presented for convenience only and,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without the intention of voluntarily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any single invention or inventive concept where more than one invention is actually disclosed. may be referred to by the term “invention”. Accordingly, whil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erein, any arrangement calculated to achieve the same purpose may be substituted for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This disclosure is intended to cover any and all adaptations or variations of the various embodiments. Combinations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other embodiments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view of the above description.
Claims (27)
카트리지 하우징으로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에서의 리셉터클의 개방된 상단 아래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카트리지 하우징;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저장소로서, 상기 저장소는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저장소;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 내에 배치된 위크 하우징(wick housing)으로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위크 하우징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도록 위크 하우징의 상단 아래로 연장되는 것인 위크 하우징;
가열 요소로서,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위크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가열 부분, 및 상기 위크 하우징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에서의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접촉부와의 전기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인 가열 요소;
상기 위크 하우징 내에 그리고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가열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위킹 요소(wicking element)로서, 상기 위킹 요소는 상기 가열 요소에 의한 증발을 위하여 상기 증발가능한 재료를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위크 하우징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위킹 요소
를 포함하는, 카트리지.A cartridge for an evaporator device, comprising:
a cartridge housing, the cartridge housing configured to extend below an open top of a receptacle in the evaporator device when the cartridge is engag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a reservoir disposed within the cartridge housing, the reservoir configured to receive a vaporizable material;
a wick housing disposed within the cartridge housing, the cartridge housing extending below a top of the wick housing to enclose at least a portion of a perimeter of the wick housing;
A heating element, the heating element comprising: a heating portion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side the wick housing; and a contact portion disposed at least partially outside the wick housing,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at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a heating element comprising one or more cartridge contacts configured to form an electrical coupling with one or more receptacle contacts of a;
a wicking element disposed within the wick housing and adjacent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the wicking element withdrawing the vaporizable material from the reservoir into the wick housing for evaporation by the heating element a wicking element configured to
A cartridge comprising a.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과의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기계적 결합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 내에 상기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것인, 카트리지.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contact portion is further configured to form a mechanical coupling with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the mechanical coupling securing the cartridge within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2 부분보다 더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지는,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리세싱된 영역(recessed area)이 형성되는 것인, 카트리지.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ceptacle comprises a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dimension than a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wherein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cartridge housing and and a recessed area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위크 하우징의 하단에서의 하나 이상의 슬롯과의 유체 결합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은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에 진입하는 공기가 상기 위크 하우징에 추가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상기 리세싱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카트리지.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eptacle includes one or more air inlets that,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form fluid coupling with one or more slots in a lower end of the wick housing, the one or more slots comprising the one or more air inlets. and wherein the one or more air inlets are disposed in the recessed area, configured to allow air entering the wick to further enter the wick housing.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대략 0.6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지는 것인, 카트리지.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 least one air inlet has a diameter of approximately 0.6 millimeters to 1.0 millimeters.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 각각의 내부는, 상기 위크 하우징의 상기 하단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의 치수보다 더 작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의 내부 치수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차는 상기 위크 하우징에서의 상기 증발가능한 재료가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니스커스(meniscus)가 형성되는 수축 지점을 제공하는 것인, 카트리지.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interior of each of the one or more slots includes at least one step defined by an inner dimension of the one or more slots that is smaller than a dimension of the one or more slots at the lower end of the wick housing, the at least one step provides a retraction point at which a meniscus is formed to prevent the vaporizable material in the wick housing from escaping from the one or more slots.
상기 위크 하우징의 상기 하단에서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의 상기 치수는 대략 1.2 밀리미터 길이 x 0.5 밀리미터 폭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의 상기 내부 치수는 대략 1.0 밀리미터 길이 x 0.30 밀리미터 폭인 것인, 카트리지.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mensions of the one or more slots at the bottom of the wick housing are approximately 1.2 millimeters long by 0.5 millimeters wide and the inner dimensions of the one or more slots are approximately 1.0 millimeters long by 0.30 millimeters wide.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가열 부분 및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접촉 부분은 기판 재료를 접철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기판 재료는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가열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타인(tine)을 포함하도록 절단되고, 상기 기판 재료는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접촉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레그를 포함하도록 추가로 절단되는 것인, 카트리지.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are formed by folding a substrate material, wherein the substrate material is cut to include one or more tines for forming the heating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 wherein the substrate material is further cut to include one or more legs for form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접촉 부분은, 적어도 제 1 조인트, 제 2 조인트, 및 제 3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레그 각각을 접철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는 상기 제 2 조인트와 상기 제 3 조인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레그 각각의 팁(tip)과 상기 제 1 조인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카트리지.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is formed by folding each of the one or more legs to form at least a first joint, a second joint, and a third joint, wherein the first joint comprises the second joint and the third joint. and wherein the second join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joint and the tip of each of the one or more legs.
상기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는 상기 제 2 조인트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제 1 조인트와 상기 제 3 조인트 사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레그 각각의 부분과 상기 위크 하우징의 외부 사이의 제 1 기계적 결합에 의해 상기 위크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 2 조인트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 사이의 제 2 기계적 결합에 의해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는 것인, 카트리지.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ne or more cartridge contacts are disposed in the second joint, and the heating element is connected by a first mechanical coupling between a por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legs between the first joint and the third joint and the exterior of the wick housing. and wherein the cartridge is secured to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by a second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second joint and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상기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는 상기 제 1 조인트에 배치되고, 상기 가열 요소는 상기 팁과 상기 제 2 조인트 사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레그 각각의 부분과 상기 위크 하우징의 외부 사이의 제 1 기계적 결합에 의해 상기 위크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 1 조인트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 사이의 제 2 기계적 결합에 의해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에 고정되는 것인, 카트리지.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ne or more cartridge contacts are disposed in the first joint, and the heat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wick by first mechanical coupling between a por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legs between the tip and the second joint and an exterior of the wick housing. and wherein the cartridge is secured to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by a second mechan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joint and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상기 저장소는 저장 챔버 및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기는 상기 저장 챔버와 유체 접촉하는 상기 증발가능한 재료의 체적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오버플로우 채널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미세유체 특징부가 상기 오버플로우 채널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미세유체 특징부 각각은 상기 저장소에 진입하는 공기가 상기 오버플로우 채널에서 상기 증발가능한 재료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니스커스가 형성되는 수축 지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카트리지.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The reservoir comprises a storage chamber and a collector, the collector comprising an overflow channel configured to hold a volume of the vaporizable material in fluid contact with the storage chamber, and wherein one or more microfluidic features comprise a length of the overflow channel. wherein each of the one or more microfluidic features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traction point at which a meniscus is formed to prevent air entering the reservoir from passing through the vaporizable material in the overflow channel. One thing, the cartridge.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키는 상기 가열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을 위한 유출구에 이어지는 공기유동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기는, 상기 공기유동 통로와 유체 연통하는 중앙 터널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기의 하단 표면은 상기 증발가능한 재료를 증발시키는 상기 가열 요소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혼합하도록 구성된 유동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인, 카트리지.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artridge housing comprises an airflow passage leading to an outlet for an aerosol formed by the heating element for evaporating the vaporizable material, the collector comprising a central tunnel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airflow passag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lector comprises a flow controller configured to mix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heating element to evaporate the vaporizable material.
상기 공기유동 통로의 내부 표면은 상기 유출구로부터 상기 위킹 요소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채널은, 상기 에어로졸에 의해 형성된 응축물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응축물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위킹 요소를 향해 보내도록 구성되는, 카트리지.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inner surface of the airflow passage includes one or more channels extending from the outlet to the wicking element, the one or more channels collecting condensate formed by the aerosol and wick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llected condensate to the wicking. A cartridge configured to be directed towards an element.
상기 유동 제어기는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2 채널로부터 오프셋되고, 상기 제 1 채널의 제 1 내부 표면은 상기 에어로졸의 제 2 칼럼이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중앙 터널에 진입하는 것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채널을 통해 상기 중앙 터널에 진입하는 상기 에어로졸의 제 1 칼럼을 보내기 위하여, 상기 제 2 채널의 제 2 내부 표면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인, 카트리지.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flow controller comprises a first channel and a second channel, the first channel offset from the second channel, a first inner surface of the first channel such that a second column of the aerosol directs the second channel to direct the first column of aerosol entering the central tunnel through the first channel in a different direction than entering the central tunnel through One thing, the cartridge.
상기 유동 제어기의 하단 표면은 하나 이상의 위크 계면(wick interface)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위크 계면은 상기 수집기에서의 하나 이상의 위크 피드(wick feed)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위크 피드는 상기 저장 챔버 내에 수용된 상기 증발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위크 하우징에 배치된 상기 위킹 요소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카트리지.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wick interfaces, the one or more wick interface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wick feeds at the collector, the one or more wick feeds comprising the and deli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izable material contained within the storage chamber to the wicking element disposed in the wick housing.
상기 위크 하우징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플랜지가 상기 위크 하우징의 상부 둘레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림의 적어도 일부 위로 연장되는 것인, 카트리지.1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The wick housing is disposed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when the cartridge is engag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flange being disposed at least partially around an upper perimeter of the wick housing, the flange comprising the and extending over at least a portion of a rim of the cartridge receptacle.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본체의 제 1 부분을 포함하는 리셉터클로서, 상기 리셉터클은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증발가능한 재료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의 위크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리셉터클의 개방된 상단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은 위크 하우징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도록 위크 하우징의 상단 아내로 연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접촉부는 상기 카트리지에서의 가열 요소의 접촉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접촉부와의 전기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접촉 부분은 상기 위크 하우징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리셉터클;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제 2 부분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전원;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상기 가열 요소로의 전기 전류의 방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로서, 상기 전기 전류는, 상기 위크 하우징 내에 그리고 상기 가열 요소의 가열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된 위킹 요소를 포화시키는 상기 증발가능한 재료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열 요소로 방전되는 것인 제어기
를 포함하는, 증발기 디바이스.An evaporator device comprising:
a receptacle comprising a first portion of a body of said evaporator device, said receptacle comprising one or more receptacle contacts, said receptacle comprising: a wick housing of a cartridge for receiving vaporizable material when the cartridge is engaged with said evaporator device wherein the housing of the cartridge extends below an open top of the receptacle when the cartridge is engag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housing of the cartridge en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a perimeter of the wick housing; Extending into a top wife of the wick housing, the one or more receptacle contacts are configured to form electrical coupling with one or more cartridge contacts comprising a contact portion of a heating element in the cartridge, the contact portion being external to the wick housing. a receptacle that is at least partially disposed;
a power sourc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discharge of an electrical current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heating element contained within the cartridge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electrical current causing heating of the heating element and within the wick housing a controller being discharged to the heating element for evapo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izable material that saturates a wicking element disposed adjacent the portion.
A evaporator device comprising: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가열 요소의 상기 접촉 부분과의 기계적 결합을 형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기계적 결합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리셉터클 내에 상기 카트리지를 고정시키는 것인, 증발기 디바이스.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the receptacle is further configured to form a mechanical coupling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the mechanical coupling securing the cartridge within the receptacle of the evaporator device.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 2 부분보다 더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지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 2 부분과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 사이에 리세싱된 영역이 형성되는 것인, 증발기 디바이스.21. The method of claim 19 or 20,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dimension than the second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wherein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and a recessed regio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part and the cartridge housing.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위크 하우징의 하단에서의 하나 이상의 슬롯과의 유체 결합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슬롯은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에 진입하는 공기가 상기 위크 하우징에 추가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상기 리세싱된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증발기 디바이스.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receptacle includes one or more air inlets that,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form fluid coupling with one or more slots in a lower end of the wick housing, the one or more slots comprising the one or more air inlets. configured to allow air entering the wick to further enter the wick housing, and wherein the one or more air inlets are disposed in the recessed area.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대략 0.6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지는 것인, 증발기 디바이스.23. The method of claim 21 or 22,
and the one or more air inlets have a diameter of approximately 0.6 millimeters to 1.0 millimeters.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의 상단 림이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단 림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도록,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부분 내에 배치되는 것인, 증발기 디바이스.2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3,
wherein the receptacle is disposed within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such that a top rim of the receptacle is substantially flush with a top rim of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device.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위크 하우징의 상부 둘레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플랜지가 상기 카트리지 리셉터클의 상기 상단 림 및/또는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상단 림의 적어도 일부 위로 연장되도록, 상기 위크 하우징의 일부를 수용하게 구성되는 것인, 증발기 디바이스.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receptacle is such that a flange at least partially disposed around an upper perimeter of the wick housing extends 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rim of the cartridge receptacle and/or the top rim of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of the evaporator device. , configured to receive a portion of the wick housing.
상기 리셉터클은 대략 4.5 밀리미터의 깊이를 갖는 것인, 증발기 디바이스.2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5,
and the receptacle has a depth of approximately 4.5 millimeters.
상기 리셉터클의 벽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증발기 디바이스와 결합될 때,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위크 하우징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증발기 디바이스.2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9 to 26,
and the wall of the receptacle is disposed at least partially between the cartridge housing and the wick housing when the cartridge is coupled with the evapora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962812148P | 2019-02-28 | 2019-02-28 | |
US201962812161P | 2019-02-28 | 2019-02-28 | |
US62/812,161 | 2019-02-28 | ||
US62/812,148 | 2019-02-28 | ||
US201962913135P | 2019-10-09 | 2019-10-09 | |
US62/913,135 | 2019-10-09 | ||
US201962915005P | 2019-10-14 | 2019-10-14 | |
US62/915,005 | 2019-10-14 | ||
US201962930508P | 2019-11-04 | 2019-11-04 | |
US62/930,508 | 2019-11-04 | ||
US201962947496P | 2019-12-12 | 2019-12-12 | |
US62/947,496 | 2019-12-12 | ||
US202062981498P | 2020-02-25 | 2020-02-25 | |
US62/981,498 | 2020-02-25 | ||
PCT/US2020/020535 WO2020176901A2 (en) | 2019-02-28 | 2020-02-28 | Vaporizer device with vaporizer cartrid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2010A true KR20210132010A (en) | 2021-11-03 |
Family
ID=7015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4053A Pending KR20210132010A (en) | 2019-02-28 | 2020-02-28 | Evaporator Device With Evaporator Cartridge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1) | EP3930493A2 (en) |
JP (1) | JP2022523089A (en) |
KR (1) | KR20210132010A (en) |
CN (1) | CN115460939A (en) |
AU (1) | AU2020228669A1 (en) |
CA (1) | CA3127014A1 (en) |
MX (1) | MX2021010308A (en) |
PH (1) | PH12021552037A1 (en) |
SG (1) | SG11202109096YA (en) |
WO (1) | WO2020176901A2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6772A1 (en) * | 2022-11-14 | 2024-05-23 | Kt&G Corporation | Heater modul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62779A1 (en) * | 2019-09-30 | 2021-04-08 |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 Electronic vaporization device and vaporizer thereof |
JP7281555B2 (en) * | 2019-11-19 | 2023-05-25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Atomization unit and non-combustion heating type flavor inhaler |
CN112385891A (en) * | 2020-09-17 | 2021-02-23 |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 Electronic atomization assembly and device thereof |
CN114504126A (en) * | 2020-11-17 | 2022-05-17 |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 Atomizers and Electronic Atomizers |
CN114504127A (en) * | 2020-11-17 | 2022-05-17 |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 Atomizers and Electronic Atomizers |
CN216088897U (en) * | 2021-07-07 | 2022-03-22 |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and atomizer thereof |
US20250049123A1 (en) * | 2021-12-20 | 2025-02-13 |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 A device |
EP4430972A1 (en) * | 2023-03-14 | 2024-09-18 | Storz & Bickel GmbH | Convection and conduction heater for a vaporizer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314389A (en) * | 1928-06-26 | 1930-04-17 | Benigne Pierre Marie Le Gouz D | A device for the extinction of fires in chimneys |
WO1999030833A1 (en) * | 1997-12-17 | 1999-06-24 | Universidad De Sevilla |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dry particles |
CN201379072Y (en) * | 2009-02-11 | 2010-01-13 | 韩力 | Improved atomizing electronic cigarette |
EP2340729A1 (en) * | 2009-12-30 | 2011-07-06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n improved heater for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
CN103859604B (en) * | 2014-01-23 | 2017-05-31 | 深圳市康尔科技有限公司 | The heat generating component and atomiza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igarette |
CN105768224B (en) * | 2014-12-18 | 2018-12-25 | 林光榕 | Electronic cigarette liquid storing cup automatic injecting device |
ES2659414T3 (en) * | 2015-05-18 | 2018-03-15 | E.G.O. Elektro-Gerätebau GmbH | Heating device for fluid heating and method for putting into operation such a heating device |
US10021910B2 (en) * | 2015-11-13 | 2018-07-17 | Altria Client Services Llc | E-vaping section and e-vap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SG11201806793TA (en) * | 2016-02-11 | 2018-09-27 | Juul Labs Inc |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
US10757976B2 (en) * | 2016-02-12 | 2020-09-01 | Altria Client Services Llc |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puff detector |
GB201605101D0 (en) * | 2016-03-24 | 2016-05-11 | Nicoventures Holdings Ltd |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
US11660403B2 (en) * | 2016-09-22 | 2023-05-30 | Juul Labs, Inc. | Leak-resistant vaporizer device |
CN108308711B (en) * | 2018-01-15 | 2023-10-10 |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
-
2020
- 2020-02-28 PH PH1/2021/552037A patent/PH12021552037A1/en unknown
- 2020-02-28 CA CA3127014A patent/CA3127014A1/en active Pending
- 2020-02-28 MX MX2021010308A patent/MX2021010308A/en unknown
- 2020-02-28 EP EP20716600.0A patent/EP3930493A2/en active Pending
- 2020-02-28 WO PCT/US2020/020535 patent/WO2020176901A2/en unknown
- 2020-02-28 JP JP2021544423A patent/JP2022523089A/en active Pending
- 2020-02-28 KR KR1020217024053A patent/KR20210132010A/en active Pending
- 2020-02-28 SG SG11202109096YA patent/SG11202109096YA/en unknown
- 2020-02-28 CN CN202080011621.3A patent/CN115460939A/en active Pending
- 2020-02-28 AU AU2020228669A patent/AU2020228669A1/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6772A1 (en) * | 2022-11-14 | 2024-05-23 | Kt&G Corporation | Heater modul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76901A2 (en) | 2020-09-03 |
PH12021552037A1 (en) | 2022-05-23 |
WO2020176901A3 (en) | 2020-10-08 |
CN115460939A (en) | 2022-12-09 |
AU2020228669A1 (en) | 2021-09-02 |
SG11202109096YA (en) | 2021-09-29 |
WO2020176901A4 (en) | 2020-12-17 |
CA3127014A1 (en) | 2020-09-03 |
JP2022523089A (en) | 2022-04-21 |
MX2021010308A (en) | 2021-09-23 |
EP3930493A2 (en) | 2022-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53001B2 (en) | Vaporizer device with vaporizer cartridge | |
US20250072509A1 (en) |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 | |
CN220326832U (en) | Collector element for a vaporizer for use with a liquid vaporizable material | |
KR20210132010A (en) | Evaporator Device With Evaporator Cartridge | |
US20230108827A1 (en) | Cartridge for Vaporizer Device | |
KR20220079959A (en) | Evaporator Devices Microfluidic Systems and Instruments | |
EP3930494A2 (en) | Cartridge for a vaporizer device | |
TWI840520B (en) | Vaporizer device with vaporizer cartridge | |
JP2025041942A (en) | Vaporizer device with vaporizer cartridge | |
RU2812957C2 (en) | Vaporizer device and cartridge for it | |
RU2816648C2 (en) | Evaporator cart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7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