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8996A - 뚜껑 있는 복공판 - Google Patents

뚜껑 있는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996A
KR20210128996A KR1020210138815A KR20210138815A KR20210128996A KR 20210128996 A KR20210128996 A KR 20210128996A KR 1020210138815 A KR1020210138815 A KR 1020210138815A KR 20210138815 A KR20210138815 A KR 20210138815A KR 20210128996 A KR20210128996 A KR 20210128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ir
support frame
beams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3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996A/ko
Publication of KR20210128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99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 있는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있는 복공판은 측면이 마주보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는 한 쌍의 주빔과, 양 말단부가 상기 주빔의 말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주빔을 연결하고 측면이 마주보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으며 상기 주빔과 함께 안쪽 영역이 빈 지지틀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횡빔과,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횡빔 중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뚜껑 및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횡빔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을 위로 들어올려 양쪽으로 벌리면 상기 지지틀의 안쪽 영역을 가로지르는 어떠한 부재도 없도록 상기 지지틀의 안쪽 영역이 개방되고,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을 모두 닫으면 상기 지지틀의 안쪽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이 동일 수평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뚜껑 있는 복공판 {LINING BOARD WITH COVER}
본 발명은 가시설 중 지하공사를 위하여 설치하는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필요 시 복공판의 뚜껑만 여닫으면 되는 뚜껑 있는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복공판은 가시설로서 차량 등이 통행하는 곳의 지하에서 공사를 할 때, 지하 공사 중에서도 차량이 통행 가능하도록 공사기간 동안 노면에 임시로 설치하는 가시설이다.
복공판의 기능은 첫째, 공사 중 도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차량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안전해야 하며, 둘째, 지하 구조물공사를 위한 각종 자재 출입과 콘크리트 타설 등을 위하여 복공판을 열고 닫을 수 있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공판은 구조적으로 안전하면서도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사용 재료는 주로 강재를 사용하고 크기는 보통 750×2,000mm(높이 200mm)를 사용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차량의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복공판 상면에 미끄럼 방지 기능을 추가하거나 상면에 콘크리트를 합성한 복공판도 있는데, 일반형 복공판이 강재를 절단 및 용접하여 제작하고 무게가 280kg인 반면, 합성형 복공판은 강재와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제작하고 무게가 350kg이다.
공사기간 중 지하공사의 자재 반출입 등 필요에 의해 종종 복공판을 열고 닫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복공판의 경우 작업을 위하여 공사 중 복공판을 연 뒤 다시 닫을 때, 옆 복공판과의 틈새가 없어져서 닫는 작업이 수월하지 않고, 복공판의 무게 때문에 복공판 개폐 시 크레인을 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복공판 상면에 콘크리트를 합성한 복공판의 경우 콘크리트가 파손되기도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2013년에 출원하여 제10-1310047호로 등록받은 특허발명 '뚜껑 있는 복공판'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크기가 1500×2000×20mm로서 차량 임시통행용으로 복공판에 뚜껑을 설치한 것으로서,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필요 시 인력으로 개폐하여 지하공사에 필요한 자재 등을 반출입할 수 있으며, 인력으로 개폐가 가능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발명은 뚜껑이 열렸을 때 복공판 중간에 설치된 횡빔 때문에 크기가 큰 물건은 반출입할 수 없는 등 실제 작업 공간이 매우 줄어들게 되어 작업성 면에서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04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이 필요할 때 복공판의 뚜껑만 여닫으면 되므로 크레인 장비 없이 인력만으로 언제든 즉시 복공판을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공사비 절감 효과가 있으며, 작업을 위한 열린 공간이 넓어져서 작업 효율성이 우수한 뚜껑 있는 복공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있는 복공판은 측면이 마주보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는 한 쌍의 주빔과, 양 말단부가 상기 주빔의 말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주빔을 연결하고 측면이 마주보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으며 상기 주빔과 함께 안쪽 영역이 빈 지지틀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횡빔과,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횡빔 중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뚜껑 및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횡빔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을 위로 들어올려 양쪽으로 벌리면 상기 지지틀의 안쪽 영역을 가로지르는 어떠한 부재도 없도록 상기 지지틀의 안쪽 영역이 개방되고,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을 모두 닫으면 상기 지지틀의 안쪽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지지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이 동일 수평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주빔의 내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을 받쳐주기 위한 뚜껑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뚜껑 있는 복공판은 작업 필요 시 복공판 전체를 들었다 놓을 필요 없이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복공판의 뚜껑만 여닫으면 되므로 크레인 장비 없이 인력만으로도 언제든지 복공판을 여닫을 수 있어서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공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복공판과 이를 지지하는 빔과의 상하간 체결은 복공판 설치 시 최초 한번이면 족하므로 확실한 체결이 가능하고, 복공판의 뚜껑을 열었을 때 열린 공간을 지나는 중간 횡빔이 없이 널찍하게 열리므로 작업을 위한 열린 공간이 넓어짐으로써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되며, 유지 관리 면에서도 기존 복공판은 일체화된 제품이기 때문에 일부 변형 발생 시 고철로 처리되는 데 반하여 본 복공판은 사각 틀과 뚜껑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변형된 부재만 교체하면 되므로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형 복공판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합성형 복공판을 나타낸 사진.
도 3a 및 도 3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뚜껑 달린 복공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뚜껑 달린 복공판을 나타낸 사시도 대용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뚜껑 있는 복공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뚜껑 있는 복공판은 지지틀(10), 뚜껑 받침부(20), 제1 뚜껑(30) 및 제2 뚜껑(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틀(10)은 네 개의 일자형 빔이 직사각형 테두리를 형성하고 테두리의 안쪽 영역이 비어있는 형태의 틀로서, 한 쌍의 평행한 주빔(11)과 한 쌍의 평행한 횡빔(12)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만나서 구성된다. 지지틀(10)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빔이 주빔(11)이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빔이 횡빔(12)이다. 지지틀(10)의 네 모서리부의 상면에는 인양고리용 구멍(13)이 형성되어 지지틀(10)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데 사용한다.
주빔(11)과 횡빔(12)은 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며, 주빔(11)은 I형 빔도 사용 가능하지만 비틀림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각형 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은 제1 뚜껑(30)과 제2 뚜껑(40)의 두 개가 구비되어 양쪽으로 활짝 열리는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제1 뚜껑(30)은 한쪽 가장자리가 한 쌍의 횡빔(12) 중 어느 하나에 힌지(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뚜껑(40)은 한쪽 가장자리가 한 쌍의 횡빔(12)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4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뚜껑(30)과 제2 뚜껑(40)은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뚜껑은 전체적으로 두껍게 만드는 대신, 뚜껑의 상면을 형성하는 비교적 얇은 상판과, 뚜껑의 상판을 보강하기 위하여 다수 개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뚜껑 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U자형 리브들로 뚜껑을 구성함으로써 뚜껑의 무게를 줄이고 제작 단가를 낮추도록 한다.
뚜껑 받침부(20)는 평평한 상면이 제1 뚜껑(30) 및 제2 뚜껑(40)의 하면과 맞닿아서 제1 뚜껑(30)과 제2 뚜껑(40)을 받쳐주고 제1 뚜껑(30)과 제2 뚜껑(40) 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기 위한 것으로서,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주빔(11)의 안쪽 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세 개씩의 뚜껑 받침부(20)가 용접 결합되어 모두 여섯 개의 뚜껑 받침부(20)가 구비된다.
하나의 주빔(11)에 결합되는 세 개의 뚜껑 받침부(20) 중 가운데 뚜껑 받침부(20)는 뚜껑을 닫았을 때 제1 뚜껑(30)의 가장자리부와 제2 뚜껑(40)의 가장자리부를 동시에 받쳐주기 위한 것이고, 나머지 뚜껑 받침부(20)는 각각의 뚜껑을 받쳐주기 위한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뚜껑(30) 및 제2 뚜껑(40)의 힌지 결합된 가장자리의 반대쪽 가장자리에는 하나의 뚜껑마다 두 개씩의 여닫이용 도구 구멍(32,42)이 관통 형성된다. 여닫이용 도구의 끝에는 걸림쇠 또는 걸고리가 달려 있어서 여닫이용 도구의 끝 부분을 여닫이용 도구 구멍(32,42)에 넣어서 여닫이용 도구 구멍(32,42)의 주변부가 여닫이용 도구의 끝에 걸리게 한 다음 여닫이용 도구를 잡아당기면 제1 뚜껑(30)이나 제2 뚜껑(40)을 열 수 있다.
제1 뚜껑(30) 및/또는 제2 뚜껑(40)이 열려 있다가 원치 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버팀바와 제2 버팀바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버팀바는 제1 뚜껑(30)이 열린 상태에서 제1 뚜껑(30)과 주빔(11) 사이에 끼워지는 막대 형태의 부재이고, 제2 버팀바는 제2 뚜껑(40)이 열린 상태에서 제2 뚜껑(40)과 주빔(11) 사이에 끼워지는 막대 형태의 부재로서, 제1 및 제2 버팀바의 한쪽 말단은 주빔(11)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버팀바의 다른 한쪽 말단은 제1 및 제2 뚜껑(30,40)의 바닥면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 뚜껑(30,40)을 닫을 때는 제1 및 제2 버팀바를 제1 및 제2 뚜껑(30,40)으로부터 분리시켜 놓고 제1 및 제2 뚜껑(30,40)을 완전히 연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버팀바를 제1 및 제2 뚜껑(30,40)과 결합시켜서 제1 및 제2 뚜껑(30,40)이 제1 및 제2 버팀바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닫히지 않게 한다.
뚜껑이 더 크고 무거워져서 인력으로 뚜껑을 개폐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을 대비하여, 뚜껑 하면에 스프링 등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여는 힘, 즉, 드는 힘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지지틀 11: 주빔
12: 횡빔 20: 뚜껑 받침부
30: 제1 뚜껑부 40: 제2 뚜껑
31,41: 힌지 32,42: 여닫이용 도구

Claims (1)

  1. 측면이 마주보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고, 사각형 빔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주빔;
    양 말단부가 상기 주빔의 말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한 쌍의 주빔을 연결하고, 측면이 마주보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뻗으며, 상기 주빔과 함께 용접결합되어 직사각형 테두리를 형성하고 안쪽 영역이 비어있는 형태의 지지틀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횡빔;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횡빔 중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뚜껑;
    한쪽 가장자리가 상기 한 쌍의 횡빔 중 나머지 하나에 힌지 결합되는 제2 뚜껑; 및
    상기 주빔의 내측면 일부에 돌출구성되고, 상면이 상기 제1 뚜껑의 일측 모서리 하면 및 상기 제2 뚜껑의 일측 모서리 하면과 맞닿도록 평평하게 구성되며, 상기 상면은 상기 주빔의 길이방향과 수평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을 동시에 지지하는 뚜껑 받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을 위로 들어올려 양쪽으로 벌리면, 상기 지지틀의 안쪽 영역을 가로지르는 어떠한 부재도 없도록 상기 지지틀의 상기 안쪽 영역이 개방되고,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을 모두 닫으면, 상기 지지틀의 상기 안쪽 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이 상기 지지틀의 상기 안쪽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뚜껑 받침부의 상기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주빔, 상기 한 쌍의 횡빔, 상기 제1 뚜껑 및 상기 제2 뚜껑이 동일 수평면 상에 놓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뚜껑과 상기 제 2뚜껑은, 상판과, 상기 상판을 보강하기 위하여 다수 개가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상기 상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U자형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횡빔 이외에, 상기 한 쌍의 주빔을 연결하는 추가적인 빔이 구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있는 복공판.

KR1020210138815A 2017-11-22 2021-10-18 뚜껑 있는 복공판 Ceased KR20210128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815A KR20210128996A (ko) 2017-11-22 2021-10-18 뚜껑 있는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108A KR20190058810A (ko) 2017-11-22 2017-11-22 뚜껑 있는 복공판
KR1020210138815A KR20210128996A (ko) 2017-11-22 2021-10-18 뚜껑 있는 복공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108A Division KR20190058810A (ko) 2017-11-22 2017-11-22 뚜껑 있는 복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996A true KR20210128996A (ko) 2021-10-27

Family

ID=666759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108A Ceased KR20190058810A (ko) 2017-11-22 2017-11-22 뚜껑 있는 복공판
KR1020210138815A Ceased KR20210128996A (ko) 2017-11-22 2021-10-18 뚜껑 있는 복공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108A Ceased KR20190058810A (ko) 2017-11-22 2017-11-22 뚜껑 있는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0588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47B1 (ko) 2013-01-21 2013-09-24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뚜껑 있는 복공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47B1 (ko) 2013-01-21 2013-09-24 주식회사 케이씨이엔지니어링 뚜껑 있는 복공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810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556760U (zh) 預鑄版與預鑄版之間的梁位間隙封底結構
JP6102306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運搬方法及び設置方法
AU2012212389A1 (en) A barrier screen for multi-storey scaffolding
KR20210128996A (ko) 뚜껑 있는 복공판
JPH0663733U (ja) 折畳式仮設梯子用枠部材
JP6748438B2 (ja) 吊り上げ装置
JP6909000B2 (ja) 重機支持機構
JP5491302B2 (ja) 組立式資材置場
JP2006096476A (ja) 吊り具
JP2017031657A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JP3877420B2 (ja) 壁パネルおよび壁パネル用補強プレート
JP3379813B2 (ja) 吊り足場
JP5831971B2 (ja) 仮設シェルターの扉構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1310047B1 (ko) 뚜껑 있는 복공판
KR200478694Y1 (ko) 경량 윙바디 프레임 구조
JP2020033724A (ja) 仮設吊り足場及びその足場パネル並びにその施工方法
US9297138B2 (en) Trench box with plane walls
JP2000120263A (ja) 吊枠足場パネル
JP7282569B2 (ja) 建物の施工方法
JP7321105B2 (ja) 足場用防護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足場
CZ291635B6 (cs) Pažicí deska
CN210286431U (zh) 一种箱梁吊具
KR200229773Y1 (ko) 낙하물 방호선반
JPH082267Y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KR101992677B1 (ko) 물품 적재랙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112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156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0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1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