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6409A - Puls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uls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409A
KR20210126409A KR1020200044222A KR20200044222A KR20210126409A KR 20210126409 A KR20210126409 A KR 20210126409A KR 1020200044222 A KR1020200044222 A KR 1020200044222A KR 20200044222 A KR20200044222 A KR 20200044222A KR 20210126409 A KR20210126409 A KR 20210126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ulsator
opening
cover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철
이용건
최희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6409A/en
Publication of KR2021012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409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A pulsator in which a frame and a cover are combined and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formed by injection-mol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epressions; and a cover of a metal material coupled to the frame, wherein the frame includes a step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edge and a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protrusion so that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is supported by the projection while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anitary problems caused by foreign materials accumulated in a joint part of members according to assembly of a pulsator.

Description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PULS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Pulsator and laundry treatment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커버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sator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sator in which a frame and a cover are combined, and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날개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주로 전동기를 주동력으로 하며,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과 헹굼 및 탈수의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의복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분리한다.In general,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for washing laundry by using the emulsification action of detergent, the friction action of the water flo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ashing blade, and the impact action applied by the washing blade. Such a washing machine mainly uses an electric motor as its main power, and by using the action of detergent and water to perform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on processes, contaminants attached to clothes are separated.

한편, 세탁기는 세탁 방식에 따라 드럼식(cylinder type), 교반식(agitator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각 방식의 세탁기 중 와권식 세탁기는 세탁조의 외조 내부에 내조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조의 하부에서 펄세이터가 회전하며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achine is divided into a drum type (cylinder type), agitator type (agitator type), and a pulsator type (pulsator type)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Among these types of washing machines, in the winding type washing machine, the inner tub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outer tub of the washing tub, and the pulsator rotate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tub to generate a water flow to perform washing.

이러한 와권식 세탁기의 경우, 세탁조가 물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세탁조에 설치되는 펄세이터 역시 스테인레스로 형성하는 것이 내구성 뿐만 아니라 세탁조와의 밸런스 및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uch a winding type washing machine, it is common that the washing tub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with strong water resistance. Accordingly, it may be preferable to form the pulsator installed in the washing tub of stainless steel in terms of not only durability but also the balance with the washing tub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그러나,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형성되어야 하는 펄세이터의 특성상 그 전체를 스테인레스로 형성하는 것은 성형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그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pulsator that has to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epressions to generate a water flow, forming the whole of the stainless steel may make it difficult to form as well as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이에 따라,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상에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결합시켜 제작되는 펄세이터에 대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for a pulsator manufactured by combining a cover made of stainless steel on a fram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와 같은 펄세이터가 설치된 세탁기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1999-018255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고 함)는 전자동 세탁기용 펄세이터를 개시하고 있다.In relation to th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pulsator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999-01825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discloses a pulsator for a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구체적으로, 펄세이터를 플라스틱 사출물로 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을 감싼 상태로 결합된 금속판으로 구성하여, 펄세이터의 강성을 강화함과 아울러 스테인레스로 된 기존 내조의 청결감이나 위생감을 배가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pulsator is composed of a plastic injection-molded body and a metal plate combi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wrapped around the body to enhance the rigidity of the pulsator and to double the cleanliness and hygiene of the existing stainless steel inner tub. is starting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세탁기용 펄세이터는 그 외부에서의 청결감이나 위생감은 배가시킬 수 있으나, 사출물과 금속판 사이에 이물질이 집적되어 오염이 발생되는 상황에는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pulsator for a washing machine of Prior Document 1 can double the feeling of cleanliness or hygiene from the outsid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perly respond to a situation in which contamination occurs due to the accumulation of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and the metal plate.

그리고, 한국등록특허 10-0578330호(이하, ‘선행문헌 2’라고 함)는 세탁기용 펄세이터를 개시하고 있다.And, Korean Patent No. 10-05783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2') discloses a pulsator for a washing machine.

구체적으로, 펄세이터는 박판의 스테인레스로 성형되는 상면판과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하부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면판과 하부지지부가 결합되면, 원형리브가 상면판의 하면에 밀착되고, 그 내측의 부분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중심공으로 유입된 물이 통수공을 통하여 하방으로 빠지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pulsator includes an upper surface plate molded from thin stainless steel and a lower support part injection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material. Accordingly, when the upper surface plate and the lower support part are combined, the circular ri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late, and a certain interval is formed in the inner part,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enter hole falls downward through the water hole. have.

그러나, 선행문헌 2의 세탁기용 펄세이터는 원형리브가 형성된 펄세이터 중앙부분에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어 세탁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구성만을 고려하고 있을 뿐, 서로 결합된 상면판과 하부지지부 사이로 수류가 유도되도록 하여 해당 부분의 이물질이 씻겨 나가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ulsator for washing machine of Prior Document 2 only considers a configuration in which water is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pulsator in which the circular rib is formed to improve washing efficiency, and the water flow between the upper surface plate and the lower support part coupled to each other is considered.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corresponding part are washed out by inducing it is not considered at all.

이상과 같이, 프레임과 커버를 결합시켜 제작되는 펄세이터의 경우 펄세이터 내부에서의 위생을 위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나, 종래의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pulsator manufactured by combining a frame and a cover, there is a problem to be solved for hygiene inside the pulsator, but a conventional pulsator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solve these problems properly There is no limit.

본 발명은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가 가지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a pulsator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펄세이터의 조립에 따른 각 부재간의 결합 부위에 이물질이 집적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ccumulated at the coupling site between each member according to the assembly of the pulsator to prevent sanitary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펄세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구조적으로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설계 및 제작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pulsator to be structurally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rigidity to appropriately respond to deformation caused by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펄세이터의 조립 시 각 부재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펄세이터의 작동 상태에서 부재간의 유격이 발생하여 세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decrease in washing efficiency due to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members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lsator by stably coupling each member during assembling of the pulsator.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펄세이터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이물질의 퇴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커버가 프레임에 돌출 형성된 단차턱과 돌기에 의하여 지지되어 커버 배면이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 pulsator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prevent the deposition of foreign substances by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rame and the cover constituting the pulsator. Specifically, the cover coupled to the frame is supported by the stepped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ame,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ame.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합성수지재의 프레임과 스테인리스 스틸의 커버를 조립시켜 펄세이터를 제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fram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cover made of stainless steel.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펄세이터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프레임의 강성에 의해 적절히 변형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단차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이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uls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perly prevent deformation by the rigidity of the fram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ulsator. In detail, the stepped step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ame so that the frame has a predetermined rigid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서로 결합되는 프레임과 커버 간의 유격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의 돌출부 양 경사면에 돌기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커버의 배면을 보다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ulsator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a gap between the frame and the cover coupl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protrusions ar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protrusions of the frame to more uniformly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커버의 배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커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cover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ame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cover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frame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의 돌출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되고, 프레임의 함몰부에 제2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ator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irst opening formed in a protrusion of the frame, and a second opening may be formed in a depression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따라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ator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respectively formed along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가 프레임의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2 개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frame is smaller than the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depression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가 프레임의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2 개구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ato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frame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depression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는 복수의 관통홀이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may hav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rough the frame along the rim.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olutions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are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to be understood

본 발명에 따른 펄세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uls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커버가 프레임에 돌출 형성된 단차턱과 돌기에 의하여 지지되어 커버 배면이 프레임과 이격되므로,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ver coupled to the frame is supported by the stepped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ame so that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by depositing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frame and the cove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합성수지재의 프레임과 스테인리스 스틸의 커버를 조립시켜 펄세이터를 제작하므로, 세탁조와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세탁물과 접촉되는 부분의 위생상, 구조상 및 미관상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lsator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fram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cover made of stainless steel, the combination with the washing tub is made more stable and the hygiene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laundry, Structural and aesthetic improvements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단차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이 소정의 강성을 가지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프레임의 강성에 의해 적절히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epped jaw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ame and the frame has a predetermined rigidity,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eformation can be appropriately prevented by the rigidity of the frame.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의 돌출부 양 경사면에 돌기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커버의 배면을 보다 균일하게 지지하므로, 프레임과 커버의 결합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s ar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protrusions of the frame to more uniformly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frame and the cover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커버의 배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커버를 지지하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프레임과 커버 간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ame supports the cover while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upport is made without vibration occurring between the frame and the cover.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를 지지하므로, 프레임과 커버 간의 이격 공간을 최대화하면서도 외력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ame supports the cove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support for external force can be achieved while maximizing the space between the frame and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의 돌출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되고, 프레임의 함몰부에 제2 개구가 형성되므로, 수류의 통과 및 배출을 통한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opening is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frame and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in the depression of the frame,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passage and discharge of water flow can be improved. ha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따라서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각각 형성되므로, 펄세이터의 회전 시 이물질이 방사상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respectively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foreign substances can be smoothly discharg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pulsator rotates.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가 프레임의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2 개구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1 개구를 통과하는 빠른 유속의 수류가 제2 개구로 유도되며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protrusion portion of the frame is formed smaller than the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depression portion of the frame, a high-speed water 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is reduced. 2 It is guided through the opening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discharg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의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가 프레임의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2 개구보다 내측에 위치하므로, 펄세이터 중앙부의 이물질이 제1 개구로부터 제2 개구로 향하는 수류에 씻겨나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opening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frame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depression of the frame, foreign substanc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pulsator are removed from the first opening. 2 May be washed away by water currents directed to the opening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관통홀이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 형성되므로, 펄세이터의 테두리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formed to pass through along the edge of the frame, the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edge of the pulsator may be discharg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펄세이터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표시된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표시된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프레임의 단차턱 및 돌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에서 프레임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ulsato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showing a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pulsator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4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4 .
FIG. 9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step and protrusion of the frame in FIG. 6 .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rame in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already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ulsator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hown in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세탁물 처리기기(1000)의 일례로써 세탁기를 예로 드나,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내부 수용공간에 투입된 의류 등의 세탁물(또는, 건조물)을 처리하는 기기로써, 세탁기에 한하지 않고 건조기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될 수도 있음을 명시한다.Hereinafter, a washing machine is taken as an example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0, but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0 is a device that processes laundry (or dry matter) such as clothes put into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and is not limited to a washing machine, but a dryer or Specifies that it can also be a washer-drying machin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본체(10), 세탁조(40) 및 펄세이터(90)를 포함한다.1 to 3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 a washing tub 40 , and a pulsator 90 .

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세탁물 처리기기(1000)의 주요 외관을 구성한다. 이 경우, 본체(10)의 하부는 베이스(20)와 상부는 탑커버(3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is a part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and constitutes the main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0 . In this cas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may be coupled to the base 20 and the upper portion to the top cover 30 , respectively.

베이스(20)는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그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네 개의 레그(22)를 포함하고, 레그(22)는 각각 그 돌출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base 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stably support the main body 10 . The base 20 includes four legs 2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thereof, and the protruding lengths of each of the legs 22 can be adjusted.

이 경우, 레그(22)들 각각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20) 및 본체(10)가 평형이 맞춰진 상태로 바닥면 위에 견고하게 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by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of each of the legs 22, the base 20 and the main body 10 may be firmly mounted on the floor in a balanced state.

이와 같이, 베이스(20) 및 레그(2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0)를 지지하고, 하중을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0)가 흔들리거나 기울지 않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ase 20 and the legs 22 suppor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stably transmit the load to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does not shake or incline. have.

본체(10)는 베이스(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을 두르는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는 세탁조(40)나 배수부(80)를 포함하는 부속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10 may be coupled to the base 20 . The body 10 may include a wall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surrounding the side surface. Accordingly, accessories including the washing tub 40 or the drain unit 8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

본체(10)의 상면은 탑커버(30)가 결합될 수 있다. 탑커버(30)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32)를 포함한다. 도어(32)는 탑다운 형태일 수 있고, 일측면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탑커버(3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A top cover 3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 The top cover 30 includes a door 32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door 32 may have a top-down shape, and may be hinged to the top cover 30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one side.

이 경우, 도어(32)가 개방되면 본체(10)의 내부, 구체적으로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세탁조(40)가 개방되어 세탁물을 투입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32)가 닫히면 세탁조(40)가 외부와 차단된다.In this case, when the door 32 is opene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 specifically, the washing tub 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may be opened to be in a state in which laundry can be put in. And, when the door 32 is closed, the washing tub 40 is blocked from the outside.

도어(32)는 별도의 센서가 부착되어 도어(32)가 열린 상태로 세탁조(40)의 가동이 차단될 수 있고,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oor 32 has a separate sensor attached to it,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tub 40 can be blocked while the door 32 is open, and can be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which is an example and the disclosure is applied. Depending on the example, it may be implemented in an appropriate form.

또한, 도어(32)와 인접한 위치로서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컨트롤패널(34)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4)은 표시부와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를 터치하거나 누르는 동작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0)를 조작할 수 있고, 표시부를 통해서는 작동상태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34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oor 32 and easily identifiable by a user. The control panel 34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d a manipulation unit.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ouching or pressing the operation unit, and the operation state and information may be checked through the display unit.

본체(10)의 수용공간에는 세탁조(4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세탁조(40)는 외조(41) 및 내조(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세탁조(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부분으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외조(41) 및 외조(41)의 내부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내조(43)를 포함할 수 있다.A washing tub 4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10 . In this case, the washing tub 40 may include an outer tub 41 and an inner tub 43 . That is, the washing tub 4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process the laundry accommodated therein. It may include an inner tank 43 that rotates in the direction or counterclockwise.

외조(41)는 내조(43)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조(41)는 본체(10)와 지지부재(5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outer tub 41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tub 43 is accommodated therein. In this case, the outer tank 41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upport member 50 .

지지부재(50)에는 댐퍼(60)가 구비되어 외조(41)는 본체(10)에 지지되지만 일련의 움직임이 가능하며, 외조(41)가 본체(10)를 상대로 움직일 때는 그 움직이는 운동에너지가 댐퍼(60)를 통해 감쇄 및 완화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50 is provided with a damper 60 so that the outer shell 41 is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 but a series of movements is possible. It can be attenuated and relieved through the damper 60 .

외조(41)는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내조(43)는 외조(10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하며 물살을 형성한다. 내조(43)는 상부로 개방된 투입구(42)를 포함하고, 외조(41)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조(41)에 대응되는 형상의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tank 41 is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and water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inner tank 43 rotates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tank 100 to form a current. The inner tub 43 includes an inlet 42 that is opened upward,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tub 41 , and may have a bottom surface and sidewall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tub 41 .

내조(43)는 측벽에 다수 개의 세탁공이 형성될 수 있다. 내조(43)가 회전하면 세탁공의 형상과 배치에 따라 소정의 물살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tub 43 may have a plurality of laundry holes formed on the sidewall. When the inner tub 43 rotates, a predetermined current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laundry balls.

구체적으로, 급수가 이뤄지면 외조(41)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차오른다. 외조(41) 내부의 세탁수는 내조(43)의 내부에도 유입될 수 있다. 세탁 시 내조(43)가 회전하면 외조(41) 내부에 수용된 세탁수가 일련의 물살을 형성하고, 이 물살에 의해 내조(43)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water is supplied, the washing water fills the inside of the outer tub 41 . Wash water inside the outer tub 41 may also flow into the inner tub 43 . When the inner tub 43 rotates during washing, the wash water accommodated in the outer tub 41 forms a series of water currents, and washing can be performed on the laundry put into the inner tub 43 by the water currents.

내조(43)는 세탁조(40)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부(7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구동부(70)는 내조(43)를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inner tub 43 rotates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unit 70 installed under the washing tub 40 , and the driving unit 70 may rotate the inner tub 43 in at least one direction.

한편, 탈수 시에는 배수밸브(82)가 열리고 외조(41)에 수용되었던 물이 배수밸브(8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밸브(82)가 열린 상태에서 내조(43)가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이 머금고 있던 물이 내조(43)에 형성된 세탁공을 통해 배출되어 배수유로(84)로 유입된다.Meanwhile, during dehydration, the drain valve 82 is opened and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outer tank 4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valve 82 . When the inner tub 43 rotates while the drain valve 82 is op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laundry is discharged through the laundry holes formed in the inner tub 43 by centrifugal force and flows into the drain passage 84 .

이 경우, 배수유로(84)는 별도의 배수펌프(8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배수펌프(86)를 통해 외조(41) 및 내조(43) 내부에 수용되었던 물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ain passage 84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rain pump 86 , and more smoothly discharge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outer tank 41 and the inner tank 43 through the drain pump 86 . can do.

세탁조(40) 중 내조(43)의 하부면에는 수류(water current)를 형성하는 펄세이터(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술한 구동부(70)에 의하여 내조(43) 뿐만 아니라 펄세이터(90)가 구동될 수 있다.A pulsator 90 for forming a water curren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tub 43 of the washing tub 40 . In addition, the pulsator 90 as well as the inner tank 43 can be driven by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70 .

이러한 펄세이터(90)는 내조(43)에서 수류를 형성함으로써 교반운동에 의해 세탁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와 세탁물과의 마찰력, 펄세이터(90) 또는 내조(43)와 세탁물이 접촉함에 따른 마찰력, 세제의 유화작용 등의 복합작용에 의해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The pulsator 90 can flow the wash water by agitating motion by forming a water flow in the inner tub 43 . Accordingly, washing may be performed on the laundry by a complex action such as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wash water and the laundry, a friction force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pulsator 90 or the inner tub 43 and the laundry, and an emulsification action of the deterg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showing a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는 프레임(100) 및 커버(200)를 포함한다.4 and 5 , the pulsator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0 and a cover 200 .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조(40)의 경우, 물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금속 재질,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세탁조(40)에 설치되는 펄세이터(90) 역시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하는 것이 내구성 뿐만 아니라 세탁조(40)와의 밸런스 및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washing tub 40 that accommodates laundry and performs washing, it is general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with strong water resistance, in particular, stainless steel. Accordingly, it may be preferable to form the pulsator 90 installed in the washing tub 40 of stainless steel in terms of not only durability but also the balance with the washing tub 40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그러나,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복수의 요철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는 펄세이터(90)의 특성상 그 전체를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하는 것은 성형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그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될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lsator 90 that must be formed in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structures to generate a water flow, forming the entirety of the stainless steel may make it difficult to form as well as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이에 따라,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0) 상에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박판의 커버(200)를 결합시켜 펄세이터(9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ly, it may be preferable to manufacture the pulsator 90 by coupling the cover 200 of a thin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on the frame 10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구체적으로 프레임(100)은 복수의 돌출부(110)와 함몰부(120)가 형성되어, 펄세이터(90)의 전체적인 요철 구조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100)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설계된 형상에 맞게 사출 형성하여 제작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rame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and depressions 120, so that the overall concave-convex structure of the pulsator 90 can be realized. In this case, the frame 10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according to a designed shape.

커버(200)는 프레임(100) 상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서, 상술한 프레임(100)의 돌출부(110)와 함몰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100)에 구현된 요철 구조가 그대로 커버(200)에 반영되어 전체적인 펄세이터(90)의 요철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ver 200 is a thin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coupled to the frame 100 , and may be processed into shape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110 and the depressions 120 of the frame 10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mplemented in the frame 100 is reflected in the cover 200 as it is, so that the concave-convex structure of the overall pulsator 90 can be formed.

이 경우, 커버(200)는 일정한 두께의 금속판재를 소성 가공(예를 들어, 프레싱(pressing))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ver 200 may be formed by plastically processing (eg, pressing) a metal plate of a certain thickness.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합성수지재의 프레임(100)과 스테인리스 스틸의 커버(200)를 조립시켜 펄세이터(90)를 제작하므로, 세탁조(40)와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세탁물과 접촉되는 부분의 위생상, 구조상 및 미관상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semble the frame 100 of synthetic resin and the cover 200 of stainless steel to manufacture the pulsator 90, While the connection with the washing tub 40 is made more stable, the sanitary, structural, and aesthetic improvement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aundry may be improved.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펄세이터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표시된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표시된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프레임의 단차턱 및 돌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pulsator shown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4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4 . FIG. 9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step and protrusion of the frame in FIG. 6 .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에서, 프레임(100)은 단차턱(130) 및 돌기(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100)의 구조에 따라 커버(200) 배면의 일부분은 단차턱(130)과 돌기(1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커버(200) 배면의 나머지 부분은 프레임(100)과 이격된다.6 to 9 , in the pulsator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0 includes a stepped jaw 130 and a protrusion 140 .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frame 100 ,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is supported by the stepped protrusion 130 and the protrusion 140 ,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100 .

구체적으로, 단차턱(130)은 프레임(100)의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분으로, 프레임(100)의 상면과 결합되는 커버(200) 배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테두리는 프레임(100)의 단차턱(130) 상에 안착된다.Specifically, the stepped jaw 130 is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frame 100 , an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edge of the cover 200 is seated on the step 130 of the frame 100 .

돌기(140)는 프레임(100)의 돌출부(110)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술한 단차턱(130)과 마찬가지로 프레임(100)의 상면과 결합되는 커버(200) 배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100)의 돌출부(110) 상에 결합되는 커버(200)의 배면 부분은 돌기(140) 상에 안착된다.The protrusion 140 is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protrusion 110 of the frame 100 , and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 similarly to the step 130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rear portion of the cover 200 coupled to the protrusion 110 of the frame 100 is seated on the protrusion 140 .

이처럼, 커버(200)의 배면은 단차턱(130)과 돌기(140)에 의해 적어도 두 지점이 지지되므로, 커버(200) 배면의 나머지 부분은 프레임(100)의 상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uc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is supported at at least two points by the stepped protrusion 130 and the protrusion 140, so tha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can maintain a spaced apart stat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have.

즉, 커버(200)의 배면과 프레임(100)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 공간을 따라 세탁수가 안내되는 유로로써 작용할 수 있다.That is,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 and may act as a flow path through which washing water is guided along the separation space.

펄세이터(90) 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이격 공간내로 유입되며, 펄세이터(90)의 회전 과정에서 이격 공간내에서 형성된 수류가 커버(200)의 배면과 프레임(100)의 상면 사이를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개구(111), 제2 개구(121) 및 관통홀(150) 등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Wash water introduced into the pulsator 90 flows into the separation space, and the water flow formed in the separation space during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90 washes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 . As shown in FIG. 5 ,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cleaning process may be discharged through a first opening 111 , a second opening 121 , and a through hole 15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 상에 결합되는 커버(200)가 프레임(100)에 돌출 형성된 단차턱(130)과 돌기(1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커버(200) 배면이 프레임(100)과 이격되므로, 프레임(100)과 커버(200) 사이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200 coupled to the frame 1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rame 100 with the stepped jaw 130 and Since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100 by being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40 ,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by depositing foreign substances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

한편, 도면상에는 돌기(140)가 돌출부(110)에 두 쌍으로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펄세이터(90)의 규격 및 구조 등을 고려하여 돌기(140)의 형성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ojection 140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wo pairs are formed on the protrusion 110 in the drawing,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ormation of the projection 140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and structure of the pulsator 90 . The number may be variously modif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단차턱(130)은 프레임(100)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턱(130)은 프레임(100)의 테두리에서 끊어짐 없이 연속적인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ped jaw 130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ame 100 . That is, as shown in FIG. 6 , the stepped jaw 130 may be formed in a continuous circular band shape without being cut off at the edge of the frame 100 .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세이터(90) 및 프레임(100)의 형상은 중앙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고 테두리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얇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7 and 8, the shape of the pulsator 90 and the frame 100 is generally formed to have a relatively thick central portion and a relatively thin shape toward the rim.

이에 따라, 프레임(100)의 단차턱(130)에서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크지 못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파손은 커버(200)의 안착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pped shoulder 130 of the frame 100 has a relatively low rigidity, so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 and damage due to external force, and such deformation and breakage may make the seating of the cover 200 unstable. .

한편, 커버(200)와 프레임(100)을 이격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00)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단차턱(130)은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확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차턱(130)이 일체로 연속되지 않고 단속적으로 형성된다면 해당부분에서만 두께가 확장될 뿐 단차턱(13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여전히 얇은 두께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pace the cover 200 and the frame 100 apart, the stepped jaw 130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frame 1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thereof is relatively expanded. However, if these stepped bumps 130 are formed intermittently instead of being integrally continuous, the thickness may be increased only in the corresponding portion, and may still be thin in the portion where the stepped bump 130 is not formed.

따라서, 프레임(100)의 테두리에 단차턱(130) 형성 시 일체로 연속된 원형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레임(100) 테두리의 두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프레임(100)의 강성 증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tepped ridge 130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frame 100, by forming it in a continuous circular band shape, the frame 100 not only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edge but also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frame 100 so as to be integrated as a whole. effect can be exer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의 테두리를 따라 단차턱(130)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이 소정의 강성을 가지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프레임(100)의 강성에 의해 적절히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ped jaw 130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frame 100 has a predetermined rigidity. Therefor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eformation can be appropriately prevented by the rigidity of the frame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돌기(140)는 돌출부(110)의 양 경사면 상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된 형상으로 돌기(14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14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protrusion 110 . That is, as shown in FIG. 6 , the protrusions 140 may protrude in a symmetrical shape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protrusion 110 .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00)가 프레임(100) 상에 결합되는 경우, 프레임(100)의 돌출부(110) 및 함몰부(120)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커버(200)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그러나, 프레임(100)의 상면과 커버(200)의 배면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므로 일정 부분 프레임(100)과 커버(200) 간에는 슬립(slip) 등과 같은 상대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200 is coupled to the frame 100 , the cover 2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10 and the recessed portion 120 of the frame 100 . is coupled to However, since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relative displacement such as a slip may occur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in a certain portion.

이러한 상대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프레임(100)의 회전력이 커버(200)로 충분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세탁물에 대한 세탁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커버(200)와 프레임(100) 간의 상대 변위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When this relative displacement occur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rame 100 may not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cover 200 , so that washing efficiency for laundry may be reduced. Displacement needs to be minimized.

이와 관련하여, 프레임(100)의 테두리에서는 단차턱(130)에 의하여 커버(200)의 테두리가 일정 부분 균일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함몰부(120)에서는 사실상 커버(20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없다는 점에서, 프레임(100)의 돌출부(110)에서의 균일한 지지가 더욱 중요할 수 있다.In this regard, at the edge of the frame 100 , the edge of the cover 200 may be uniformly supported in a certain portion by the stepped ridge 130 , and in the recessed portion 120 of the frame 100 , the cover 200 is actually In that it cannot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0 , uniform support at the protrusion 110 of the frame 100 may be more important.

따라서,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140)가 커버(200)의 배면을 보다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상대 변위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ly, it may be desira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relative displacement by allowing the protrusions 140 protruding from the frame 100 to more uniformly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의 돌출부(110) 양 경사면에 돌기(140)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커버(200)의 배면을 보다 균일하게 지지하므로, 프레임(100)과 커버(200)의 결합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s 140 ar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protrusions 110 of the frame 100, Since the rear surface is more uniformly supported,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may be more stably mainta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돌기(140)는 커버(200)의 배면과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140)는 프레임(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공간의 간격만큼 돌출되어 커버(200)의 배면과 접할 수 있다.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140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In this case, the protrusion 140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by an interval of the spaced apart space and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프레임(100)의 상면은 커버(200)의 배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돌기(140)가 커버(200)의 배면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져 커버(200)가 프레임(100)측으로 눌려 지더라도 프레임(100)과 커버(200)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and the protrusion 140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prevent the cover 200 from being pressed toward the frame 100. Even wh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may be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된 돌기(140)가 커버(200)의 배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커버(200)를 지지하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프레임(100)과 커버(200) 간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140 protruding from the frame 10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upport can be made without vibration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돌기(140)는 커버(20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200)의 배면은 돌기(140)가 프레임(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또는, 높이) 이상으로 프레임(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on 14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by a length (or height) of the protrusion 14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

돌기(140)는 커버(200)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커버(200)의 배면은 돌기(140)의 높이에 돌기(140)와 커버(200)의 배면 사이의 간격을 더한 거리만큼 프레임(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커버(200)가 눌려지더라도 일정 부분 눌려진 후에는 프레임(100)의 상면과 닿게 되어 더 이상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40 may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is 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140 . The gap between the protrusion 1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by a distance plus . Therefore, even if the cover 200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after a certain portion is pressed, thereby preventing further deforma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된 돌기(140)가 커버(200)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200)를 지지하므로, 프레임(100)과 커버(200) 간의 이격 공간을 최대화하면서도 외력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such,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s 140 protruding from the frame 100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200 . ),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can be maximized while supporting the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프레임(100)은 돌출부(110)에 형성되는 제1 개구(111) 및 함몰부(120)에 형성되는 제2 개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0 is formed in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depression 120 formed in the protrusion 110 . A formed second opening 121 may be further included.

즉,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돌출부(110) 중 일부분에는 프레임(100)의 양면을 관통하는 제1 개구(111)가 형성되고, 프레임(100)의 함몰부(120) 중 일부분에는 프레임(100)의 양면을 관통하는 제2 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5 , 6 and 9 , a first opening 111 penetrating both surfaces of the frame 100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protrusion 110 of the frame 100 , and the frame 100 . ), a second opening 121 penetrating both surfaces of the frame 100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recessed portion 120 .

이에 따라, 펄세이터(90)에서의 수류는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2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프레임(100)과 커버(2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유도된 후,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2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펄세이터(9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flow in the pulsator 90 is guided to the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and then the first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lsator 9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세척과정에서 발생되어 펄세이터(90) 내부에 퇴적되는 이물질이 펄세이터(90) 외부로 함께 배출될 수 있다.In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washing process and deposited inside the pulsator 90 may be discharged together to the outside of the pulsator 90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의 돌출부(110)에 제1 개구(111)가 형성되고, 프레임(100)의 함몰부(120)에 제2 개구(121)가 형성되므로, 수류의 통과 및 배출을 통한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111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10 of the frame 100 , and the frame 100 is recessed. Since the second opening 121 is formed in the part 120 ,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passage and discharge of the water flow may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21)는 각각 프레임(1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each have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100 . can be formed according to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구(111)는 프레임(100)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부(110)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121)는 프레임(100)의 중심으로부터 함몰부(120)를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first opening 111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100 along the protrusion 110 . Also, the second opening 121 may be formed to radially extend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100 along the depression 120 .

펄세이터(90)의 회전 시 펄세이터(90) 내부로 유도된 수류는 원심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수류 및 이물질은 펄세이터(9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pulsator 90 rotates, the water flow induced into the pulsator 90 receives a centrifugal force, and accordingly, the water flow and foreign substances may be moved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pulsator 90 .

따라서, 제1 개구(111) 및 제2 개구(121)를 프레임(1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따라 형성한다면, 수류 및 이물질이 펄세이터(90)의 회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are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100 , the water flow and foreign substances may be naturally discharg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90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따라서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21)가 각각 형성되므로, 펄세이터(90)의 회전 시 이물질이 방사상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are respectively form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100 . Since it is formed, foreign substances can be smoothly discharg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pulsator 90 rotat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제1 개구(111)는 제2 개구(1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개방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ning 111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open area than the second opening 121 . .

즉,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0)에 형성된 제1 개구(111)의 개방 면적이 함몰부(120)에 형성된 제2 개구(121)의 개방 면적보다 작도록 프레임(100)이 제작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5, 6 and 9 , the open area of the first opening 111 formed in the protrusion 110 is smaller than the open area of the second opening 121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120 . The frame 100 may be manufactured.

이와 같이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21)의 개방 면적을 다르게 하는 경우, 펄세이터(90) 내부로 유도된 수류의 유속이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21)에서 각각 달라질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opening areas of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are different,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flow induced into the pulsator 90 is at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 each may be different.

구체적으로, 개방 면적이 작은 제1 개구(111)를 통과하는 수류의 유속은 개방 면적이 큰 제2 개구(121)를 통과하는 수류의 유속보다 상대적으로 빠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111 having a small open area may be relatively faster than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flow passing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1 having a large open area.

따라서, 유속이 빠른 제1 개구(111)로부터 유속이 느린 제2 개구(121)를 향하여 수류가 이동하게 되어, 펄세이터(90) 내부의 수류는 제1 개구(111)에서 제2 개구(121)를 향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flow moves from the first opening 111 with a high flow rate toward the second opening 121 with a low flow rate, and the water flow inside the pulsator 90 flows from the first opening 111 to the second opening 121 . ) can be directed toward

특히, 프레임(100)의 평면 상에서 돌출부(110)가 함몰부(1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돌출부(110)에 형성된 제1 개구(111)로부터 함몰부(120)에 형성된 제2 개구(121) 방향으로 수류가 유도되는 것이 이물질의 배출 효율 상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at the protrusion 110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depression 120 on the plane of the frame 100 , it is formed in the depression 120 from the first opening 111 formed in the protrusion 110 . It may be more preferable for the water flow to be in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21 in view of the efficiency of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의 돌출부(110)에 형성되는 제1 개구(111)가 프레임(100)의 함몰부(120)에 형성되는 제2 개구(121)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제1 개구(111)를 통과하는 빠른 유속의 수류가 제2 개구(121)로 유도되며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As such,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111 formed in the protrusion 110 of the frame 100 is a recessed portion of the frame 100 . Since it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opening 121 formed in the 120 , a high-velocity water 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111 is guided to the second opening 121 , and foreign substances can be smoothly dis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프레임(100)의 중심으로부터 제1 개구(111)의 외곽까지 거리(L1)는 프레임(100)의 중심으로부터 제2 개구(121)의 외곽까지 거리(L2)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L1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100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111 is the frame 100 . It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distance L2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opening 121 to the periphery of the second opening 121 .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평면 상에서 제1 개구(111)는 제2 개구(121)보다 상대적으로 중앙측에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 the first opening 111 on the plane of the frame 10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biased toward the center than the second opening 121 .

상술한 바와 같이, 펄세이터(90)의 내부로 유도된 수류가 제1 개구(111)로부터 제2 개구(121) 방향으로 유도된다면, 펄세이터(90)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을 고려하여 제1 개구(111)는 중심부에 가깝고 제2 개구(121)는 외곽부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water flow induced into the pulsator 90 is induced in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opening 111 to the second opening 121 , in considera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90 , the first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opening 111 is close to the center and the second opening 121 is close to the outer part.

또한,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21)가 프레임(100)의 중심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다면 수류가 펄세이터(9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이물질의 배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are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100, the washing path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water flow pulsator 90 is relatively short, so that foreign substances emiss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따라서, 제1 개구(111)와 제2 개구(121)는 평면상에서 어긋나도록 배치하되, 제1 개구(111)가 제2 개구(121)보다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opening 111 and the second opening 121 may be disposed to be displaced on a plane, but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first opening 111 be disposed relatively inside the second opening 121 .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프레임(100)의 돌출부(110)에 형성되는 제1 개구(111)가 프레임(100)의 함몰부(120)에 형성되는 제2 개구(121)보다 내측에 위치하므로, 펄세이터(90) 중앙부의 이물질이 제1 개구(111)로부터 제2 개구(121)로 향하는 수류에 씻겨나갈 수 있다.As such,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111 formed in the protrusion 110 of the frame 100 is a recessed portion of the frame 100 . Since it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opening 121 formed in 120 , foreign substanc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pulsator 90 can be washed away by the water flow from the first opening 111 to the second opening 12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에서, 프레임(100)은 테두리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50 penetrating along the edge.

즉, 도 5,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테두리에는 프레임(100)의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50)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5, 6 and 9 ,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50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frame 100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frame 100 .

상술한 과정을 통해 펄세이터(90) 내부의 이물질이 수류를 따라 씻겨나가는 경우, 프레임(100)의 테두리까지 밀려난 이물질은 단차턱(130) 등에 의해 막혀 배출되지 못하고 퇴적될 우려가 있다.When the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pulsator 90 are washed away along the water flow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foreign substances pushed up to the edge of the frame 100 are blocked by the stepped jaw 130 and the like, and there is a risk of being deposited without being discharged.

따라서, 이러한 프레임(100)의 테두리에 별도의 관통홀(150)을 형성함으로써, 프레임(100)의 테두리까지 밀려난 이물질이 수류와 함께 펄세이터(9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to form a separate through-hole 150 in the rim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pushed up to the rim of the frame 10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lsator 90 together with the water flow. hav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9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1000)는 복수의 관통홀(150)이 프레임(100)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 형성되므로, 펄세이터(90)의 테두리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ulsator 90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0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0 are formed through the frame 100 along the edge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edge may be discharg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에서 프레임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rame in the puls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100)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프레임(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이다.In the case of the frame 100 shown in FIG. 10 , it is an embodiment that can be applied when the diameter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frame 100 shown in FIG. 6 .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00)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다는 점에서 별도의 돌기(140) 없이도 테두리에 형성된 단차턱(130)만으로 프레임(100)과 커버(200)의 이격 공간이 유효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the space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is effective only with the stepped jaw 130 formed on the edge without a separate protrusion 140 . can be formed.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펄세이터(90)의 경우, 커버(200)의 휨변형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자체적인 커버(200)의 강성만으로도 프레임(100)과의 이격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돌기(140)를 통한 커버(200)의 지지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ulsator 90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cover 200 is not relatively large, so only the rigidity of the cover 200 itself can maintain a spaced apart space from the frame 100, protr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support of the cover 200 through the 140 is not essential.

또한, 상대적으로 큰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개구(111)나 제2 개구(121)의 크기를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며, 관통홀(150)의 개수 또한 보다 많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relatively large rigidity is not required, the size of the first opening 111 or the second opening 121 may be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150 may also be increased.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커버(2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수류를 유도하여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100)과 도 6에 도시된 프레임(100)의 주요 특징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inducing a water flow into the space between the frame 100 and the cover 200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the frame 100 shown in FIG. 10 and the frame 100 shown in FIG. ), since the main features are the same or simila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40: 세탁조
41: 외조 43: 내조
90: 펄세이터 100: 프레임
110: 돌출부 111: 제1 개구
120: 함몰부 121: 제2 개구
130: 단차턱 140: 돌기
150: 관통홀 200: 커버
1000: 세탁물 처리기기
10: body 40: washing tub
41: outer assistant 43: inner assistant
90: pulsator 100: frame
110: protrusion 111: first opening
120: recessed portion 121: second opening
130: stepped jaw 140: protrusion
150: through hole 200: cover
1000: laundry treatment device

Claims (18)

복수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사출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단차턱 및
상기 돌출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배면의 일부분은 상기 단차턱과 상기 돌기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커버 배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는, 펄세이터.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epressions are formed by injection; and
Including; a cover made of a metal material coupled to the frame;
the frame is
A stepped jaw protruding from the edge and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rotrusi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is supported by the step and the protrusion so tha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턱은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펄세이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ped jaw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frame, puls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출부의 양 경사면 상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펄세이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sion is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inclined surfaces of the protrusion, puls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커버의 배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펄세이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jectio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puls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커버의 배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펄세이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the pulsato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는, 펄세이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frame is
a first opening formed in the protrus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depression, puls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펄세이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each formed along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the pulsa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2 개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개방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펄세이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opening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open area than the second opening, the pulsat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의 외곽까지 거리(L1)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의 외곽까지 거리(L2)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펄세이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tance (L1)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is formed relatively shorter than the distance (L2)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pening, the pulsa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펄세이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rame is
The pulsato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at are formed to pass through along the rim.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복수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사출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단차턱 및
상기 돌출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 배면의 일부분은 상기 단차턱과 상기 돌기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커버 배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프레임과 이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washing tub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pulsato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tub;
The pulsator is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depressions are formed by injection; and
and a cover made of a metal material coupled to the frame;
the frame is
A stepped jaw protruding from the edge and
Including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rotrusion,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is supported by the step and the protrusion so that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공급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외조 및
상기 외조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조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내조의 하부에서 수류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washing machine
an outer tank that receives the supplied washing water; and
Including an inner tank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outer tank,
The pulsator is installed to form a water flow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tub, laundry treatment equipme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rame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cover is made of stainless steel, laundry treatment equipment.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the frame is
a first opening formed in the protrusion; and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opening formed in the depress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re each formed along a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2 개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개방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opening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open area than the second opening,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개구의 외곽까지 거리(L1)는 상기 프레임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개구의 외곽까지 거리(L2)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istance (L1)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opening is formed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distance (L2) from the center of the fram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opening,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frame is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at are formed to pass through along the edge.
KR1020200044222A 2020-04-10 2020-04-10 Puls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ending KR202101264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222A KR20210126409A (en) 2020-04-10 2020-04-10 Puls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222A KR20210126409A (en) 2020-04-10 2020-04-10 Puls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409A true KR20210126409A (en) 2021-10-20

Family

ID=7826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222A Pending KR20210126409A (en) 2020-04-10 2020-04-10 Puls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640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5832B2 (en) Pulsa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US20120180532A1 (en) Washing machine and pulsator thereof
US5927105A (en) Pulsator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KR10278956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136141A (en) Wall 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GB2322140A (en) Pulsator for a washing machine
KR20180015872A (en) Washing Machine
JP2020124478A (en)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KR20210126409A (en) Puls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GB2285270A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water sprinkling structure
US9458563B2 (en) Front loading washer baffle
CN113355860B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1519394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13355858B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6670350A (en) washing machine
KR10249138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3340828B2 (en) Dehydration combined washing machine
CN111519379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90033502A (en) Washing machine
US7415846B2 (en) Button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H0141408Y2 (en)
JPH08164290A (en) Spin-drying washing machine
KR100450268B1 (en) Washing Machine
KR200298578Y1 (en) Washing machine
CN111519380A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