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4970A - 스토마용 센서 패치 - Google Patents

스토마용 센서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4970A
KR20210124970A KR1020217022216A KR20217022216A KR20210124970A KR 20210124970 A KR20210124970 A KR 20210124970A KR 1020217022216 A KR1020217022216 A KR 1020217022216A KR 20217022216 A KR20217022216 A KR 20217022216A KR 20210124970 A KR20210124970 A KR 20210124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dhesive layer
central portion
thickness
cent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스벤 스트로에베치
Original Assignee
컬러플라스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컬러플라스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컬러플라스트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1012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97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5Colostomy, ileostomy or urethr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3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having adhesive seals for securing to the body, e.g. of hydrocolloid type seals, e.g. gels, starches, karaya gu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61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 A61B5/4266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sweat secre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1External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기 위한 센서 패치(50) 및 이러한 패치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센서 패치는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는다. 원위면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은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된다. 센서 패치는 복수개의 전극(216)을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204), 및 센서 패치의 근위면을 형성하고 센서 패치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된 제1 센서 접착층(52)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접착층은 제1 중앙 두께의 제1 중앙 부분(62)과, 상기 제1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을 갖는다.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Description

스토마용 센서 패치
본 개시는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기 위한 센서 패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이러한 센서 패치의 두께에 관한 것이다.
스토마 배출물에는 종종 사용자의 피부 및 장루ㆍ요루 기구 모두에 자극적인 체액과 내장 내용물이 함유되어 있어, 장루ㆍ요루 기구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기 위해 도포되는 접착 재료의 효율성과 무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사용자를 위해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효율적인 장루ㆍ요루 기구가 확실히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장루ㆍ요루 보유자가 특히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사안은 장루ㆍ요루 기구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는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제의 접착 불량에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접착 불량으로 인해 당황스럽고 수치스러운 누출 사고가 거의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여러 사용자를 인터뷰한 결과, 이러한 사고들로 인해 삶의 질이 떨어진다고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제의 접착 불량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누출 사고는 예컨대 고르지 않은 피부 표면이나 피부 주름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가 피부에 최적 상태로 붙지 않았기 때문에 스토마 배출물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근위면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로 유입되면서 발생한다. 스토마 배출물이 접착제 "바로 밑"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확산됨에 따라, 장루ㆍ요루 기구의 무게를 지탱하고 밀봉 효과를 제공하는 접착 재료가 열화 및/또는 약화된다. 종종 이러한 접착 불량은 놀랍도록 빠르게 일어나며, 사용자는 누출이 발생했을 때 장루ㆍ요루 기구를 즉시 교체할 수도 있고 어쩌면 사용자가 얼른 옷도 갈아입어야 할 정도로 이미 접착 불량이 많이 심각해진 후에야 겨우 알아차릴 수도 있다.
다른 경우, 접착 불량의 주요 요인은 단지 장루ㆍ요루 기구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처음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인 후 얼마나 많은 시간이 경과했는가의 문제이다. 스토마 자체로부터의 배출물 외에도, 스토마 주위 피부 표면에서 지속적으로 약간의 수분(예컨대, 땀)이 분비된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대부분의 경우,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제는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을 함유하며, 이로써 접착 재료의 고분자 기재를 안정화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품수명("마모 시간")을 연장한다. 그러나, 결국에는, 배출물 수집 주머니의 하중으로 인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힘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력이 더 이상 지탱할 수 없게 되며, 그 때는 기구를 교체해야 한다.
접착 불량과 잠재적 누출 발생의 심각도 및/또는 속도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차이는 위에 제시한 요인들을 비롯한 각종 요인과 적어도 어느 정도 상관 관계가 있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불량 또는 누출이 임박했다거나 이미 발생했음을 그저 표시만 하는 것은 장루ㆍ요루 기구 사용시 갑작스럽게 겪게 되는 당황스럽고 수치스러운 배설물 누출 사고를 막는 문제에 대해 신뢰할 만하고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장루ㆍ요루 기구 사용자는 기구의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곧 시작될 접착 불량 또는 누출에 어떻게, 특히 얼마나 빠르게 대응할지에 관해 더 나은 지침과 옵션을 제공하는 기구 솔루션이 있다면 그 이점을 크게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좀더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갑작스러운 누출 사고의 발생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한 장루ㆍ요루 기구 개선은 장루ㆍ요루 보유자와 의료 전문인 모두에게 환영받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장루ㆍ요루 기구의 접착 불량 위험을 신뢰성 있게 및/또는 더 잘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하거나 누출 위험을 더 잘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센서 패치 및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원에 개시되는 센서 패치 및 베이스 플레이트는 장루ㆍ요루 기구의 접착성 베이스 플레이트와 관련된 접착 불량 위험 및/또는 누출 위험의 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장루ㆍ요루 기구에, 이를테면 장루ㆍ요루 기구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센서 패치를 수월하게 부착시키게 함으로써, 장루ㆍ요루 기구의 성능이 손상되는 위험을 낮추어 특히 사용자의 피부 표면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 사이에서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서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센서 패치의 접착면으로 가능한 한 매끄럽게 넘어가도록 센서 패치의 가장자리 부분을 줄이는 것이 본 개시의 목적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과 그에 부착되는 센서 패치 사이에 형성될 가장자리 부분을 줄이는 데에 있다. 특히, 이러한 가장자리 부분이 있으면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센서 패치의 접착 품질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가장자리 부분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센서 패치 및 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기 위한 센서 패치를 개시한다. 센서 패치는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는다. 원위면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된다.
센서 패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비롯한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여 제1 센서를 형성하는 센서 어셈블리; 및 센서 패치의 근위면을 형성하며 센서 패치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되는 제1 센서 접착층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접착층은 제1 중앙 두께의 제1 중앙 부분과 상기 제1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outer rim portion)을 갖는다.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gradually decrease)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이고,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에서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이다.
센서 패치는 중심점이 있는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스토마용 개구는, 배출물이 통과된 후,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장루ㆍ요루 주머니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면취 가공된 가장자리를 갖는 센서 패치를 제공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센서 패치로 매끄럽게 넘어가도록 한다. 이렇게 가장자리가 면취 가공된 센서 패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 센서 패치가 부착됨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불리한 효과(이를테면, 피부 표면에 대한 접착 품질에 미칠 수 있는 영향)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 패치(이를테면, 전술한, 본 개시에 따른 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며, 이때 센서 패치는 예컨대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되, 원위면이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센서 패치의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1 중앙 부분 및 상기 제1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제1 중앙 부분이 제1 중앙 두께를 가지고,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가지게 되되,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이고,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에서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이다.
상기 방법은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비롯한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여 제1 센서를 형성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센서 어셈블리를 제1 센서 접착층의 원위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센서 접착층의 근위면은 센서 패치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센서 패치로 매끄럽게 넘어갈 수 있게 하는 면취 가공된 가장자리를 갖는 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되는 근위 접착면을 갖는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를 개시한다.
이하 본 개시의 여러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한 가지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베이스 플레이트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예시적인 센서 패치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예시적인 전극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센서 패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예시적인 방법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형태들을 예시하고자 도시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하부", "전방", "후방", "선단", "후단" 등과 같은 방향 지시어는 설명되는 도면(들)에서의 방위를 기준으로 사용된다. 여러 실시형태의 구성요소들이 여러 다른 방향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지시어는 예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들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제한적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달리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징들을 서로 조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 전체에서, "스토마(stoma)" 및 "장루ㆍ요루"란 용어들은 사람의 장 또는 비뇨계통을 우회하도록 외과 수술을 통해 만들어진 개구부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두 용어는 구별없이 사용되며 의미상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하였다. 이들의 모든 파생어 또는 파생 어구, 예컨대, "스토마(용)(stomal)", "장루ㆍ요루들"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스토마에서 배출되는 고형 배설물과 액체 배설물은 스토마 "배출물", "배설물(들)" 및 "유체"로 구별없이 지칭되기도 한다. 장루ㆍ요루 수술을 받은 대상을 "장루ㆍ요루 보유자(ostomist 또는 ostomate)로, 또는 "환자"나 "사용자"로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인(HCP), 이를테면 외과의사나 장루ㆍ요루 관리 간호사나 기타 다른 사람과 관련이 있거나 이들을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사용자"는 "환자" 자신이 아니라는 것을 문맥상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표시할 것이다.
이하, 장치 또는 장치 일부의 근위면을 말할 때 이의 기준은 사용자가 장루ㆍ요루 기구를 착용하였을 때 피부를 향하는 쪽의 면이다. 마찬가지로, 장치 또는 장치 일부의 원위면을 말할 때 이의 기준은 사용자가 장루ㆍ요루 기구를 착용하였을 때 피부를 등지는 쪽의 면이다. 다시 말해서, 근위면은 기구가 사용자에 장착되었을 때 사용자에 가장 근접하는 면이고, 원위면은 그 반대측의 면, 즉 사용시 사용자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면이다.
축방향은 사용자가 기구를 착용하였을 때의 스토마 방향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축방향은 사용자의 피부나 복부 표면에 대체로 수직인 방향이다.
반경 방향은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스토마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 다시 말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위면/근위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몇몇 문장에서, "내부" 및 "외부"란 용어들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들 수식어는 일반적으로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인지해야 하며, 이에 따라, "외부" 부재는 "내부"로 불리는 부재보다 장루ㆍ요루 기구의 중앙 부분에서 더 멀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최내측"은 구성요소의 중앙 부분을 형성하고/하거나 구성요소의 중앙 부분에 인접한 구성요소 부분인 것으로 해석하면 된다. 이와 유사하게, "최외측"은 구성요소의 외측 가장자리 또는 외곽부를 형성하고/하거나 이러한 외측 가장자리 또는 외곽부에 인접한 구성요소 부분인 것으로 해석하면 된다.
본 개시내용에서 어떤 특징 또는 효과에 대한 수식어로 "실질적으로"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단순히 임의의 편차가 당업자에 의해 보통 예상될 수 있는 공차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자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어떤 특징 또는 효과에 대한 수식어로 "대체로"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단순히, 구조적 특징의 경우에는 그 특징의 대부분이나 주요 부분이 당해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그리고 기능적 특징 또는 효과의 경우에는 해당 특성과 관련된 결과의 대부분이 효과를 제공하되 예외적인 경우에는 결과가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고자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어떤 구조적 기능적 특징 또는 효과에 대한 수식어로 "본질적으로"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어떤 것의 가장 중요한 주안점이 무엇인지 또는 어떤 것에 대한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즉, 한 특징이 다양한 효과를 갖거나 충족시킬 수는 있지만, 본 개시가 하나의 효과를 "본질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라 설명하는 경우 이는 본 개시와 관련하여 주안점이자 가장 중요한 효과라는 의미다).
본 개시내용 전체에서, "제1", "제2", "제3", "제4", "일차", "이차", "삼차" 등의 용어 사용은 특정 순서나 중요성을 암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개별 부재들을 식별하고자 포함되었다. 또한, 제1 부재라 명명한다고 해서 제2 부재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기 위한 센서 패치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붙이기 위해 제공된 접착 재료에서 수분이 퍼지는 현상을 검출하는 것은 물론, 누출 위험의 증가를 검출하는 것이 수월해진다. 예를 들어, 센서 패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성능에 대한 전자적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하거나, 누출 위험의 증가를 수월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하고/하거나,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성 감소를 수월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장루ㆍ요루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장루ㆍ요루 파우치(장루ㆍ요루 주머니로도 불림)를 포함한다. 장루ㆍ요루 기구는 결장루 기구, 회장루 기구, 또는 요루 기구일 수 있다. 장루ㆍ요루 기구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장루ㆍ요루 기구일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기계식 및/또는 접착식 결합(coupling)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와 장루ㆍ요루 파우치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복수개의 장루ㆍ요루 파우치를 활용(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결합 고리가 있어, 장루ㆍ요루 파우치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하게 되어 있다. 또한,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장루ㆍ요루 기구의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스토마 영역을 더 잘 볼 수 있으므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정확하게 피부에 쉽게 붙일 수 있게 한다. 대안으로, 장루ㆍ요루 기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장루ㆍ요루 파우치가 서로 고착된 일체형 장루ㆍ요루 기구일 수 있다. 이때의 베이스 플레이트는 사용자의 스토마 및/또는 스토마 둘레의 피부(예컨대, 스토마 주위의 피부 영역)에 붙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1 접착층, 즉 접착 재료로 된 제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시, 이러한 제1 접착층의 근위면이 사용자의 스토마 주위 피부에 붙고/붙거나 또 다른 실링부(이를테면, 실링 페이스트, 실링 테이프, 및/또는 실링 고리)에 접착된다. 제1 접착층은 제1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폴리이소부텐 및/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성물은 의료용으로 적합한 감압 접착성 조성물로서 고무질 엘라스토머 기재와 1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은 원위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착층의 근위면은 사용자의 피부에 붙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접착층의 원위면은 사용자의 피부를 등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접착층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착층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1 접착층, 즉 접착 재료로 된 제2 층(테두리 접착층으로도 불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제1 접착층과 상이한 접착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제2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이소부텐 및/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성물은 의료용으로 적합한 감압 접착성 조성물로서 고무질 엘라스토머 기재와 1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원위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착층의 근위면(예컨대, 제2 접착층의 적어도 테두리 부분)은 사용자의 피부에 붙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의 원위면은 사용자의 피부를 등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제1 접착층보다 큰 면적을 커버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접착층의 근위면은 제1 접착층을 둘러싸는 접착 테두리 부분을 형성한다.
함량비를 다르게 하여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착층(제1 조성물)과 제2 접착물(제2 조성물)에서의 폴리이소부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및/또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의 비율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에 비해 제2 접착층이 피부에 더 강하게 붙여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2 접착층이 제1 접착층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1 접착층에 비해 제2 접착층에 물 및/또는 땀이 덜 흡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1 접착층에 비해 제2 접착층의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누출에 반하는 제2 차단층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이 함께,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은 중앙 두께를 갖는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외측 테두리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테두리 부분은 예컨대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외측 테두리 두께는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오목한 형태로,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점감될 수 있다.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외측 테두리 두께가 중앙 두께일 수 있다. 외측 주연부에서의 외측 테두리 두께가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일 수 있다. 중앙 두께는 0.5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는 0.5 mm 미만, 이를테면 0.4 mm 미만, 0.3 mm 미만, 또는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은 개구(이를테면, 스토마용 개구)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은 중앙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 테두리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내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내측 주연부에서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내측 테두리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내측 테두리 두께는 상기 내측 주연부에서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오목한 형태로,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점증될 수 있다.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내측 테두리 두께가 중앙 두께일 수 있다. 내측 주연부에서의 내측 테두리 두께가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일 수 있다.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는 0.5 mm 미만, 이를테면 0.4 mm 미만, 0.3 mm 미만, 또는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과 같은 접착제가 외측 테두리로 갈수록 적어지고/지거나 내측 테두리로 갈수록 많아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공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닿는 사용자의 피부로 더 매끄럽게 넘어갈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옷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달라붙는 바람에 베이스 플레이트가 피부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위험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사용자의 피부에 충분히 붙지 않아서 발생되는 누출 위험이 낮아진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이형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이형 라이너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피부에 붙이기 전에 사용자가 떼어버려도 되는 부분이다. 이형 라이너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피부에 붙여지기 전까지 접착층을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는 원위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다. 이형 라이너는,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가 피부에 붙여지기 전까지, 제1 접착층의 근위면을 커버하고/하거나 제2 접착층의 근위면(이를테면, 제1 접착층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제2 접착층의 근위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형 라이너의 원위면은,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가 피부에 붙여지기 전까지, 제1 접착층의 근위면 및/또는 제2 접착층의 근위면(이를테면, 제1 접착층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제2 접착층의 근위면)과 맞닿는 구조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보강층(back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층은, 사용시, 접착층들, 이를테면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을 외부 변형 및 응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보강층은 또한 접착층들, 이를테면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을 커버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베이스 플레이트 위로 입고 있는 옷에 접착층들이 달라붙지 않게 한다. 보강층은 원위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다. 보강층의 원위면은 사용자의 피부를 등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층의 근위면은 제2 접착층과 맞닿는 구조일 수 있다. 제2 접착층이 보강층의 근위면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스토마용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각 층이 스토마용 개구를 포함하는 식으로 다 같이 단체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마용 개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이 스토마용 개구를 둘러싸는 구조일 수 있다. 스토마용 개구는 사용자의 스토마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스토마에서 나오는 배출물이 스토마용 개구를 통과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장루ㆍ요루 파우치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마용 개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근위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원위면까지 배출물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를 붙이기 전에 사용자나 간호사는 일반적으로 스토마용 개구의 크기 및/또는 모양을 조정하여 사용자의 스토마를 수용하게끔 만들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센서 패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센서 패치는 사용자의 피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근위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패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접착층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패치의 원위면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접착층의 근위면과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패치(이를테면, 센서 패치의 원위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접착층의 근위면과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패치는 스토마용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센서 패치의 각 층이 스토마용 개구를 포함하고/하거나 다 같이 단체로 센서 패치의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패치의 스토마용 개구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토마용 개구와 정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 및 센서 패치가 다 같이 단체로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센서 패치를 부착시키기 전에 사용자나 간호사는 센서 패치의 스토마용 개구의 크기 및/또는 모양을 조정하여 사용자의 스토마를 수용하게끔 만들 수 있다. 예컨대 센서 패치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고 나서, 센서 패치의 스토마용 개구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토마용 개구의 크기 및/또는 모양을 다 함께 조정할 수도 있다. 스토마용 개구(들)는 중심점을 가질 수 있다.
센서 패치는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센서 어셈블리는 센서 어셈블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는 원위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다. 센서 패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여 센서 어셈블리의 원위면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성 근위면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제1 센서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제3 전극, 제4 전극, 제5 전극 및/또는 제6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공통 접지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과 제3 전극이 제2 센서를, 제1 전극과 제4 전극이 제3 센서를, 제1 전극과 제5 전극이 제4 센서를, 및/또는 제1 전극과 제6 전극이 제5 센서를 형성할 수 있다. 각 전극은 연결부를 구비하여 모니터 장치의 단자 부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전기전도성 전극이며, 금속 재료(예컨대, 은, 구리, 금, 티타늄,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세라믹 재료(예컨대, ITO), 중합체 재료(예컨대, PEDOT, PANI, PPy), 또는 탄소질 재료(예컨대, 카본블랙, 탄소 나노튜브, 탄소 섬유, 그래핀, 흑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루프 및/또는 개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개루프 전극(들)은 몇개의 층 또는 단일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는 예컨대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는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이러한 지지층의 근위면 상에 구비(이를테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지지층의 근위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는 예컨대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는 마스킹 부재(mask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킹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의 적어도 일부를 가까이 있는 층들(이를테면, 제1 센서 접착층)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축방향에서 보면 마스킹 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의 일부를 커버하거나 그와 오버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센서 패치는 예컨대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는 제1 센서 접착층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접착층은 센서 어셈블리의 근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이를테면, 제1 센서 접착층의 근위면)이 센서 패치의 근위면을 형성한다. 제1 센서 접착층의 근위면은 사용자의 피부에 붙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패치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후 이렇게 서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센서 패치는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도록 구성되는 접착 근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은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또는 제3 조성물과 같은 제1 센서 접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3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이소부텐 및/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조성물은 의료용으로 적합한 감압 접착성 조성물로서 고무질 엘라스토머 기재와 1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은 제1 중앙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중앙 부분은 제1 중앙 두께를 갖는다. 제1 센서 접착층은 제1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을 갖는다.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는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오목한 형태로,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점감될 수 있다.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이다.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에서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이다. 제1 중앙 두께는 0.5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는 0.5 mm 미만, 이를테면 0.4 mm 미만, 0.3 mm 미만, 또는 0.1 mm 미만일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15 내지 35 mm일 수 있다.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0.5 내지 20 mm일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15.5 내지 55 mm, 이를테면 20 내지 45 mm, 25 내지 40 mm, 30 내지 35 mm일 수 있다.
이에 제공되는 센서 패치(구체적으로는, 센서 패치의 제1 센서 접착층)가 면취 가공된 가장자리를 가짐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센서 패치로 매끄럽게 넘어가도록 한다. 이렇게 매끄럽게 넘어가는 구성 덕분에,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 센서 패치가 부착됨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불리한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자리가 면취 가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가 피부 표면에 충분히 붙지 않아서 발생되는 누출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거나, 예컨대 면취 가공되지 않은 가장자리에 의해 피부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어 피부 부작용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은 스토마용 개구와 같은 개구 및/또는 스토마용 개구보다 큰 개구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은 제1 중앙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에서 제1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제1 내측 테두리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내측 테두리 두께는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에서 제1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오목한 형태로,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점증될 수 있다.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일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에서의 제1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일 수 있다. 제1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는 0.5 mm 미만, 이를테면 0.4 mm 미만, 0.3 mm 미만, 또는 0.1 mm 미만일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내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10 내지 30 mm일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에서 제1 중앙 부분(이를테면,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중앙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0.5 내지 20 mm일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중앙 부분(이를테면,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중앙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10.5 내지 50 mm, 이를테면 15 내지 40 mm, 20 내지 35 mm, 20 내지 30 mm일 수 있다.
센서 패치의 제조에서,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한 다음, 센서 패치의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여, 전술한 제1 중앙 부분, 제1 외측 테두리 부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은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이를테면,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1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 및/또는 제1 외측 테두리 최대 결정입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1 중앙 평균 결정입도 및/또는 제1 중앙 최대 결정입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이를테면,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1 내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 최대 결정입도를 가질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의 평균 결정입도는 0.2 mm 미만, 이를테면 0.1 mm 미만일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최대 결정입도는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1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는 0.2 mm 미만, 이를테면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1 외측 테두리 최대 결정입도는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1 내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는 0.2 mm 미만, 이를테면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1 내측 테두리 최대 결정입도는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1 중앙 평균 결정입도는 0.2 mm 미만, 이를테면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1 중앙 최대 결정입도는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일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1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가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가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절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대안으로는, 제1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제1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함으로써 더 작은 결정입도를 얻도록, 예컨대, 제1 센서 접착층의 외측 주연부 및/또는 내측 주연부가 더 얇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 재료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결정입도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접착 재료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하는 단계는 평균/최대 결정입도가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인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얻기 위해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한 접착층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하이드로콜로이드의 특성이 유지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1 중앙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 제1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층을 성형(이를테면,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몰드는 전술한 제1 외측 테두리, 제1 중앙 부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의 형상을 제공하는 모양의 비평면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전술한 제1 외측 테두리, 제1 중앙 부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의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형상의 비평면형 표면(예컨대, 제1 이형 라이너의 원위면 또는 센서 어셈블리의 근위면)으로 스크레이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센서 패치는 예컨대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는 제2 센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은 센서 어셈블리의 원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의 원위면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근위면(이를테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접착층의 근위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은 제1 조성물, 제2 조성물, 제3 조성물, 또는 제4 조성물과 같은 제2 센서 접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제4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폴리이소부텐 및/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조성물은 의료용으로 적합한 감압 접착성 조성물로서 고무질 엘라스토머 기재와 1종 이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 재료는 제1 센서 접착 재료와 같을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을 센서 어셈블리의 원위면 상에 배치하면 대칭적 센서 패치를 제공할 수 있어, 센서 패치의 각 면을 피부 표면에 붙일 수 있게 되거나, 또는 제2 센서 접착층이 센서 어셈블리를 에워싸며 밀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제2 센서 접착층은 제2 중앙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2 중앙 부분은 제2 중앙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은 제2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2 외측 테두리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2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2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외측 테두리 두께는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오목한 형태로,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점감될 수 있다.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중앙 두께일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외측 주연부에서의 제2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일 수 있다. 제2 중앙 두께는 0.5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제2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는 0.5 mm 미만, 이를테면 0.4 mm 미만, 0.3 mm 미만, 또는 0.1 mm 미만일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15 내지 35 mm일 수 있다.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외측 주연부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0.5 내지 20 mm일 수 있다. 제2 중앙 부분에서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외측 주연부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15.5 내지 60 mm, 이를테면 20 내지 50 mm, 25 내지 40 mm, 30 내지 35 mm일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은 스토마용 개구와 같은 개구 및/또는 스토마용 개구보다 큰 개구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은 제2 중앙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은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내측 주연부에서 제2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제2 내측 테두리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내측 테두리 두께는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내측 주연부에서 제2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오목한 형태로, 또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점증될 수 있다.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중앙 두께일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내측 주연부에서의 제2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일 수 있다. 제2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는 0.5 mm 미만, 이를테면 0.4 mm 미만, 0.3 mm 미만, 또는 0.1 mm 미만일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내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10 내지 30 mm일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내측 주연부에서 제2 중앙 부분(이를테면,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중앙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0.5 내지 20 mm일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2 중앙 부분(이를테면,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중앙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10.5 내지 50 mm, 이를테면 15 내지 40 mm, 20 내지 35 mm, 20 내지 30 mm일 수 있다.
센서 패치의 제조에서,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한 다음, 센서 패치의 제2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여, 전술한 제2 중앙 부분, 제2 외측 테두리 부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은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외측 주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이를테면, 제2 외측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2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 및/또는 제2 외측 테두리 최대 결정입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2 중앙 평균 결정입도 및/또는 제2 중앙 최대 결정입도를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내측 주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이를테면,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2 내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 최대 결정입도를 가질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의 평균 결정입도는 0.2 mm 미만, 이를테면 0.1 mm 미만일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최대 결정입도는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2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는 0.2 mm 미만, 이를테면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2 외측 테두리 최대 결정입도는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2 내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는 0.2 mm 미만, 이를테면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2 내측 테두리 최대 결정입도는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2 중앙 평균 결정입도는 0.2 mm 미만, 이를테면 0.1 mm 미만일 수 있다. 제2 중앙 최대 결정입도는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일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2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가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가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절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대안으로는, 제2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제2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2 센서 접착 재료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결정입도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 접착 재료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하는 단계는 평균/최대 결정입도가 0.3 mm 미만, 이를테면 0.2 mm 미만, 0.1 mm 미만인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얻기 위해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2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2 중앙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 제2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2 외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2 센서 접착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2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이루도록 배치하는 단계는 제2 센서 접착층을 성형(이를테면,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몰드는 전술한 제2 외측 테두리, 제2 중앙 부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의 형상을 제공하는 모양의 비평면형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2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전술한 제2 외측 테두리, 제2 중앙 부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의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형상의 비평면형 표면(예컨대, 제2 이형 라이너의 근위면 또는 센서 어셈블리의 원위면)으로 스크레이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는 제1 센서 접착층의 원위면 및/또는 제2 센서 접착층의 근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의 복수개의 전극은 제1 센서 접착층 및/또는 제2 센서 접착층의 내측 및/또는 외측 테두리 부분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접착층들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접착층들의 일부에 걸쳐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덕분에 신뢰성 있는 측정 및/또는 측정값들의 후속 해석이 용이해질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의 복수개의 전극은 예컨대 중심점 둘레로 루프들(이를테면, 개루프 또는 폐루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은 제1 루프를, 제2 전극은 제2 루프를, 제3 전극은 제3 루프를, 제4 전극은 제4 루프를, 제5 전극은 제5 루프를, 및/또는 제6 전극은 제6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전극(이를테면, 제1 전극)이 복수개의 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은, 제1 일차 루프, 제1 이차 루프, 제1 삼차 루프 등을 비롯한 복수개의 제1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루프까지, 제2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루프까지, 제3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3 루프까지, 제4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4 루프까지, 제5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5 루프까지, 및/또는 제6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6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중심점에서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이를테면,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루프까지, 제2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루프까지, 제3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3 루프까지, 제4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4 루프까지, 제5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5 루프까지, 및/또는 제6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6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중심점에서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이를테면,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내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루프까지, 제2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루프까지, 제3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3 루프까지, 제4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4 루프까지, 제5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5 루프까지, 및/또는 제6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6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중심점에서 제2 외측 테두리 부분(이를테면,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루프까지, 제2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루프까지, 제3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3 루프까지, 제4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4 루프까지, 제5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5 루프까지, 및/또는 제6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6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중심점에서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이를테면,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내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2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중심점에서 제1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3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중심점에서 제2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4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중심점에서 제3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5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중심점에서 제4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6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중심점에서 제5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센서 패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이형 라이너(들), 이를테면 제1 센서 이형 라이너 및/또는 제2 센서 이형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이형 라이너는 원위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 이형 라이너는 제1 센서 접착층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 이형 라이너의 원위면은 제1 센서 접착층의 근위면과 맞닿는 구조일 수 있다. 제1 센서 이형 라이너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 패치를 피부에 붙이기 전에 사용자가 떼어버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 이형 라이너의 원위면 상에, 제1 센서 접착 재료의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 이형 라이너는 원위면과 근위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 이형 라이너는 제2 센서 접착층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센서 이형 라이너의 근위면은 제2 센서 접착층의 원위면과 맞닿는 구조일 수 있다. 제2 센서 이형 라이너는 센서 패치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기 전에 사용자가 떼어버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 이형 라이너의 근위면 상에, 제2 센서 접착 재료의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패치는 모니터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 인터페이스부는 센서 패치(이를테면, 센서 패치의 복수개의 전극)를 모니터 장치에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 인터페이스부는 센서 패치(이를테면, 센서 패치의 복수개의 전극)를 모니터 장치에 무선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 인터페이스부는 센서 패치와 모니터 장치를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된 센서 패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예컨대 센서 어셈블리 부분(이를테면, 전술한 것과 같은 센서 어셈블리 부분)과 통합될 모놀리식 일체형 베이스 플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는 센서 어셈블리(이를테면, 센서 패치와 관련하여 설명한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는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접착층의 원위면이 센서 어셈블리의 근위면과 맞닿을 수 있고/있거나, 센서 어셈블리의 원위면이 제2 접착층의 근위면과 맞닿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은 각각 제1 센서 접착층 및/또는 제2 센서 접착층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루프까지, 제2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루프까지, 제3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3 루프까지, 제4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4 루프까지, 제5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5 루프까지, 및/또는 제6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6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중심점에서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외측 테두리 부분(이를테면,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외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중심점에서, 제1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루프까지, 제2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루프까지, 제3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3 루프까지, 제4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4 루프까지, 제5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5 루프까지, 및/또는 제6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6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중심점에서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내측 테두리 부분(이를테면,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내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길 수 있다.
도 1은 장루ㆍ요루 기구의 예시적인 베이스 플레이트(4)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베이스 플레이트(4)는 원위면(200A)과 근위면(200B)을 갖는 제1 접착층(200)을 포함한다. 사용시, 제1 접착층(200)의 근위면(200B)을 사용자의 피부에 붙인다. 베이스 플레이트(4)는 원위면(202A)과 근위면(202B)을 갖는 제2 접착층(20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착층(202)은 제1 접착층(200)보다 큰 표면적에 걸쳐 있으면서, 제1 접착층(200) 근위면(200)을 둘러싸는 제2 접착층(202) 근위면(202)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는 이형 라이너(206)를 포함한다. 이형 라이너는 베이스 플레이트(4)를 피부에 붙이기 전에 사용자가 떼어버려도 되는 부분이다. 이형 라이너(206)는 원위면(206A)과 근위면(206B)을 가질 수 있다. 이형 라이너(206)의 원위면(206A)은 제1 접착층(200)의 근위면을 커버하고, 제1 접착층(200)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제2 접착층(202)의 근위면을 커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는 보강층(208)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층(208)은, 사용시, 접착층들, 이를테면 제1 접착층(200) 및/또는 제2 접착층(202)을 외부 변형 및 응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이다. 더 나아가, 보강층(208)은 또한 접착층들, 이를테면 제1 접착층(200) 및/또는 제2 접착층(202)을 커버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베이스 플레이트(4) 위로 입고 있는 옷에 접착층들(200, 202)이 달라붙지 않게 한다. 보강층(208)은 원위면(208A)과 근위면(208B)을 갖는다. 보강층(208)의 원위면(208A)은 사용자의 피부를 등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층(208)의 근위면(208B)은 제2 접착층(202)을 커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는 두 부분으로 된 장루ㆍ요루 기구이며, 이에 따라, 장루ㆍ요루 파우치를 베이스 플레이트(4)(이를테면, 베이스 플레이트(4)의 원위면)에 결합시키는 결합 고리(209)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는 스토마용 개구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제1 접착층(200), 제2 접착층(202) 및 보강층(208)과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4)의 층들이 스토마용 개구(18)를 포함하는 식으로 다 같이 단체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베이스 플레이트(이를테면, 도 1에 예시된 베이스 플레이트(4))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센서 패치(50)와 같은, 예시적인 센서 패치(50)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센서 패치(50)는 사용자의 피부와 베이스 플레이트(4)의 근위면 사이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센서 패치는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접착층(200)(이를테면, 제1 접착층(200)의 근위면(200B))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 패치(50)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센서 패치(50)의 원위면(50A)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근위면(이를테면, 베이스 플레이트(4)의 제1 접착층(200)의 근위면(200B))에 부착시킨다.
센서 패치(50)는 복수개의 전극(216)을 갖는 센서 어셈블리(204)를 포함한다. 각 전극(216)이 연결부(217)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전극(216)은 모니터 장치의 단자 부재에 각각 연결된다. 센서 어셈블리(204)는 센서 어셈블리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204)는 원위면(204A)과 근위면(204B)을 갖는다. 센서 어셈블리(204)는 근위면(214B)을 갖는 지지층(214)을 포함한다. 전술한 전극들(216)은 이러한 지지층(214)의 근위면(214B) 상에 구비(이를테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들(216)은 지지층(214)의 근위면(214B)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204)는 원위면(218A)과 근위면(218B)을 갖는 마스킹 부재(218)를 포함한다. 마스킹 부재(218)는 상기 전극들(216)의 적어도 일부를 인접해 있는 층들(이를테면, 제1 센서 접착층(52))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축방향에서 보면 마스킹 부재(218)는 상기 전극들(216)의 일부를 커버하거나 그와 오버랩되는 구조이다.
센서 패치(50)는 원위면(52A)과 근위면(52B)을 갖는 제1 센서 접착층(52)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접착층(52)은 센서 어셈블리(204)의 근위면(204B) 상에 배치된다. 제1 센서 접착층(52)의 근위면(52B)은 사용자의 피부에 붙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센서 패치가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후 이렇게 서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센서 패치(50)는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도록 구성되는 접착 근위면을 형성한다.
센서 패치(50)는 제1 센서 이형 라이너(54)를 포함한다. 제1 센서 이형 라이너(54)는 원위면(54A)과 근위면(54B)을 가질 수 있다. 제1 센서 이형 라이너(54)는 제1 센서 접착층(52)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 이형 라이너(54)의 원위면(54A)은 제1 센서 접착층(52)의 근위면(52B)과 맞닿는 구조이다. 제1 센서 이형 라이너(54)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 패치를 피부에 붙이기 전에 사용자가 떼어버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센서 이형 라이너(54)의 원위면(54A) 상에, 제1 센서 접착층(52)이 배치될 수 있다.
센서 패치(50)는 원위면(56A)과 근위면(56B)을 갖는 제2 센서 접착층(56)을 포함한다. 제2 센서 접착층(56)은 센서 어셈블리(204)의 원위면(204A) 상에 배치된다. 제2 센서 접착층(52)의 근위면(56B)은 베이스 플레이트(이를테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접착층의 근위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본 예시적인 센서 패치는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를 포함한다.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는 원위면(58A)과 근위면(58B)을 가질 수 있다.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는 제2 센서 접착층(56)을 보호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의 근위면(58B)은 제2 센서 접착층(56)의 원위면(56a)과 맞닿는 구조이다.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는 센서 패치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기 전에 사용자가 먼저 떼어버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의 근위면(58B) 상에, 제2 센서 접착층(56)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적인 센서 패치(50)는 센서 어셈블리(204)의 원위면(204A) 상에 배치되는 제2 센서 접착층(56)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에 따른 대안적 센서 패치는 이러한 제2 센서 접착층(56)과 그에 동반되는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 없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대신, 이러한 대안적 센서 패치에서는 센서 패치의 원위면이 센서 어셈블리(204)의 원위면인, 구체적으로는 지지층(214)의 원위면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대안적 센서 패치에서는 지지층(214)의 원위면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 접착층(52)과 제2 센서 접착층(56)을 갖는 센서 패치(50)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제2 센서 접착층(56)과 그에 동반되는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가 없는 유사한 센서 패치 역시 본 개시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센서 패치(50)는 스토마용 개구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제1 센서 접착층(52), 지지층(214) 및 제2 센서 접착층(56)과 같은, 센서 패치(50)의 층들이 스토마용 개구(60)를 각자 포함하는 식으로 다 같이 단체로 센서 패치(50)의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센서 패치의 스토마용 개구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스토마용 개구와 정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 및 센서 패치(50)가 다 같이 단체로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센서 어셈블리(이를테면,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센서 어셈블리(204))의 복수개의 전극(216)에 대한 예시적인 전극 구조(2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216)은 제1 전극(222), 제2 전극(224), 제3 전극(226), 제4 전극(228), 제5 전극(230), 및 제6 전극(232)을 포함한다.
제1 전극(222)은 제1 연결부(222A)를 포함하고, 제2 전극(224)은 제2 연결부(224A)를 포함한다. 제3 전극(226)은 제3 연결부(226A)를 포함한다. 제4 전극(228)은 제4 연결부(228A)를 포함한다. 제5 전극(230)은 제5 연결부(230A)를 포함한다. 제6 전극(232)은 제6 연결부(232A)를 포함한다.
제1 전극(222)은 예컨대 나머지 전극들에 대해 센서들을 형성하기 위한 공통 접지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222)은 제2 전극(224)에 대해 접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전극 부분(234)을 포함한다. 제1 전극(222)은 제3 전극(226)에 대해 접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전극 부분(236)을 포함한다. 제1 전극(222)은 제4 전극(228)에 대해 접지를 형성하기 위한 제3 전극 부분(238)을 포함한다. 제1 전극(222)은 제5 전극(230) 및 제6 전극(232)에 대해 접지를 형성하기 위한 제4 전극 부분(240)을 포함한다.
도 4는 센서 패치(50)(이를테면,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센서 패치(5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설명을 위해, 센서 패치(50)의 층들을 분리시켜 도시하였다. 센서 패치(50)는 중심점(19)이 있는 스토마용 개구(60)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적인 센서 패치에서, 스토마용 개구(60)는 사용자가 만들 수 있다. 즉, 중심점(19)이 있는 스토마용 개구(6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영역이 마련되어 있지만 스토마용 개구(60)는 없는 상태로 센서 패치가 제조되고/되거나 시판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패치(50)는 센서 어셈블리(204), 제1 센서 접착층(52), 제2 센서 접착층(56), 제1 센서 이형 라이너(54), 및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센서 패치에 의하면, 제1 센서 접착층(52), 제2 센서 접착층(56), 제1 센서 이형 라이너(54) 또는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특히, 도면에 나타낸 예시적인 센서 패치(50)는 센서 어셈블리(204)의 원위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센서 접착층(56)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에 따른 대안적 센서 패치는 이러한 제2 센서 접착층(56)과 그에 동반되는 제2 센서 이형 라이너(58) 없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대신, 이러한 대안적 센서 패치에서는 센서 패치의 원위면이 센서 어셈블리(204)의 원위면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제1 센서 접착층(52)은 제1 중앙 부분(62)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접착층(52)은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접착층(52)은 제1 내측 테두리 부분(66)을 포함한다. 제1 중앙 부분(62)은 제1 내측 테두리 부분(66)을 둘러싼다.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은 제1 중앙 부분(62)을 둘러싼다.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과 제2 내측 테두리 부분(66)이 센서 패치(50)의 면취 가공된 가장자리로 불리기도 하는 특징 부분이다. 다시 말해, 센서 패치(50)의 면취 가공된 가장자리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과 제1 내측 테두리 부분(66)의 두께를 줄이거나/늘림으로써 센서 패치에 구현된다.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의 반경 방향 거리(D82)는 제1 중앙 부분(62)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에서 제1 센서 접착층(52)의 제1 외측 주연부(68)까지이다. 제1 내측 테두리 부분(66)의 반경 방향 거리(D86)는 제1 센서 접착층(52)의 제1 내측 주연부(69)에서 제1 중앙 부분(62)(이를테면, 제1 내측 테두리 부분(66)에 인접한 곳의 제1 중앙 부분(62))까지이다. 중심점(19)에서 제1 내측 테두리 부분(66)에 인접한 곳의 제1 중앙 부분(62)까지의 반경 거리(D84)도 도시되어 있다. 중심점(19)에서 제1 중앙 부분(62)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80)도 도시되어 있다.
제1 중앙 부분(62)은 제1 중앙 두께(D62)를 갖는다.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은 제1 중앙 부분(62)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52)의 제1 외측 주연부(68)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제1 중앙 부분(62)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D62)이다. 제1 센서 접착층(52)의 제1 외측 주연부(68)에서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D68)이다.
제1 내측 테두리 부분(66)은 제1 센서 접착층(52)의 제1 내측 주연부(69)에서 제1 중앙 부분(62)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제1 내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제1 중앙 부분(62)에 인접한 곳의 제1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D62)이고, 제1 센서 접착층(52)의 제1 내측 주연부(69)에서의 제1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D69)이다.
제2 센서 접착층(56)은 제2 중앙 부분(72)을 포함한다. 제2 센서 접착층(56)은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을 포함한다. 제2 센서 접착층(56)은 제2 내측 테두리 부분(76)을 포함한다. 제2 중앙 부분(72)은 제2 내측 테두리 부분(76)을 둘러싼다.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은 제2 중앙 부분(72)을 둘러싼다.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의 반경 방향 거리(D92)는 제2 중앙 부분(72)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에서 제2 센서 접착층(56)의 제2 외측 주연부(78)까지이다. 제2 내측 테두리 부분(76)의 반경 방향 거리(D96)는 제2 센서 접착층(56)의 제2 내측 주연부(79)에서 제2 중앙 부분(72)(이를테면, 제2 내측 테두리 부분(76)에 인접한 곳의 제2 중앙 부분(72))까지이다. 중심점(19)에서 제2 내측 테두리 부분(76)에 인접한 곳의 제2 중앙 부분(72)까지의 반경 거리(D94)도 도시되어 있다. 중심점(19)에서 제2 중앙 부분(72)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90)도 도시되어 있다.
제2 중앙 부분(72)은 제2 중앙 두께(D72)를 갖는다.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은 제2 중앙 부분(72)에 인접한 곳에서 제2 센서 접착층(56)의 제2 외측 주연부(78)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2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제2 중앙 부분(72)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중앙 두께(D72)이다. 제2 센서 접착층(56)의 제2 외측 주연부(78)에서의 제2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D78)이다.
제2 내측 테두리 부분(76)은 제2 센서 접착층(56)의 제2 내측 주연부(79)에서 제2 중앙 부분(72)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제2 내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제2 중앙 부분(72)에 인접한 곳의 제2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중앙 두께(D72)이고, 제2 센서 접착층(56)의 제2 내측 주연부(79)에서의 제2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D79)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 제1 내측 테두리 두께, 제2 외측 테두리 두께, 및 제2 내측 테두리 두께가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점감/점증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대안으로, 제1 외측 테두리 두께, 제1 내측 테두리 두께, 제2 외측 테두리 두께, 또는 제2 내측 테두리 두께 중 하나 이상이 반경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또는 오목한 형태로 점감/점증할 수 있다.
중심점(19)에서 복수개의 전극(216) 중 제1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0)는 중심점(19)에서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이를테면, 제1 중앙 부분(62)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80)보다 짧다. 중심점(19)에서 제1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0)는 중심점(19)에서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이를테면, 제2 중앙 부분(72)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90)보다 짧다.
중심점(19)에서 복수개의 전극(216) 중 제2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2)는 중심점(19)에서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이를테면, 제1 중앙 부분(62)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80)보다 짧다. 중심점(19)에서 제2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2)는 중심점(19)에서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이를테면, 제2 중앙 부분(72)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90)보다 짧다. 중심점에서 제2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2)는 중심점에서 제1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0)보다 짧다.
중심점(19)에서 복수개의 전극(216) 중 제3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3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4)는 중심점(19)에서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이를테면, 제1 중앙 부분(62)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64))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80)보다 짧다. 중심점(19)에서 제3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4)는 중심점(19)에서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이를테면, 제2 중앙 부분(72)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부분(74))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90)보다 짧다. 중심점에서 제3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4)는 중심점에서 제2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D12)보다 짧다.
도 5는 센서 패치(이를테면, 이전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설명한 센서 패치)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1000)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상기 방법(1000)은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1002)와, 센서 패치의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004)를 포함한다.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배치하여(1004) 제1 중앙 부분 및 상기 제1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되, 제1 중앙 부분이 제1 중앙 두께를 가지고,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가지게 형성한다. 또한,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배치(1004)함으로써,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가 되고,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에서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가 된다.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1004)는 제1 중앙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에서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004)는 제1 센서 접착층을 압출하는 단계, 제1 센서 접착층을 성형(이를테면,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또는 제1 센서 접착층을 움푹 들어간 모양의 표면으로 스크레이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004)는 테두리 부분들을 형성 또는 개선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1000)은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 어셈블리(이를테면, 이전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1006)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제1 센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전극을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방법(1000)은 센서 어셈블리를 제1 센서 접착층의 원위면에 배치하는 단계(1008)를 포함하며, 이때 제1 센서 접착층의 근위면은 센서 패치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법(1000)은 제1 센서 이형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1010)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004)는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상기 제1 센서 이형 라이너의 원위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1002)는 제1 센서 접착 재료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결정입도별로 분류하는 단계(1012)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1012)함으로써 더 작은 평균 및/또는 최대 결정입도를 얻도록, 예컨대, 제1 접착층의 테두리 부분이 더 얇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004)는 제1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1 중앙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와, 제1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을 각각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제1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또는 제1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는 제1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보다 작다. 이로써, 제1 테두리 부분들의 두께가 예컨대 주연부에서 제1 중앙 부분보다 얇아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방법(1000)은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1102)와, 센서 패치의 제2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104)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낸/개시된 방법은 제2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1102)를 포함하지만, 대안적 방법은 이러한 제2 센서 접착층과 관련된 단계들을 생략하므로, 이에 따른 센서 패치의 원위면이 센서 어셈블리의 원위면이 되며, 센서 패치는 제1 센서 접착층만 갖게 된다.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배치하여(1104) 제2 중앙 부분 및 상기 제2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2 외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되, 제2 중앙 부분이 제2 중앙 두께를 가지고, 제2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2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가지게 형성한다. 또한,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배치(1104)함으로써, 제2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중앙 두께가 되고,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외측 주연부에서의 제2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2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가 된다.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1104)는 제2 중앙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은 제2 센서 접착층의 제2 내측 주연부에서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2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제2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갖는다.
제2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104)는 제2 센서 접착층을 압출하는 단계, 제2 센서 접착층을 성형(이를테면,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또는 제2 센서 접착층을 움푹 들어간 모양의 표면으로 스크레이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104)는 테두리 부분들을 형성 또는 개선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1000)은 제2 센서 이형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1110)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104)는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상기 제2 센서 이형 라이너의 근위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1102)는 제2 센서 접착 재료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결정입도별로 분류하는 단계(1112)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1112)함으로써 더 작은 평균 및/또는 최대 결정입도를 얻도록, 예컨대, 제2 접착층의 테두리 부분이 더 얇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1104)는 제2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2 중앙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와, 제2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2 외측 테두리 부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 부분을 각각 형성하도록 제2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되, 제2 외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 및/또는 제2 내측 테두리 평균/최대 결정입도는 제2 중앙 평균/최대 결정입도보다 작다. 이로써, 제2 테두리 부분들의 두께가 예컨대 주연부에서 제2 중앙 부분보다 얇아질 수 있다.
외측 테두리가 점감하고/하거나 내측 테두리가 점증하는 형태의 접착층을 갖는 센서 패치를 제공함으로써 센서 패치와 상기 센서 패치가 부착될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 사이의 경계면에서 매끄럽게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와 센서 패치의 접착면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접착면 사이에 주름이 생길 위험 가능성이 낮아진다. 접착면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에 주름이 생기면 접착력이 약해져 누출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 패치로 인한 누출 위험은 점감형 외측 테두리 및/또는 점증형 내측 테두리를 제공함으로써 낮아질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대안적 및/또는 대등한 구현예들이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실시형태를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장루ㆍ요루 기구용 본체 사이드 부재들의 모든 구성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 범위 및 그의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7)

  1.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시키기 위한 센서 패치로서,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되, 상기 원위면은,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도록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센서 패치에 있어서,
    -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비롯한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여 제1 센서를 형성하는 센서 어셈블리; 및
    - 센서 패치의 근위면을 형성하고 센서 패치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되는 제1 센서 접착층으로서, 상기 제1 센서 접착층은 제1 중앙 두께의 제1 중앙 부분과 상기 제1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을 가지며,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가지며,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이고,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에서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인, 제1 센서 접착층
    을 포함하고,
    센서 패치는 중심점이 있는 스토마용 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스토마용 개구는, 배출물이 통과된 후,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된 장루ㆍ요루 주머니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 센서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중앙 두께가 0.5 mm 내지 1.5 mm인, 센서 패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가 0.5 mm 미만인, 센서 패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점에서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15 내지 35 mm인, 센서 패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0.5 내지 20 mm인, 센서 패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층은 제1 중앙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에서 제1 중앙 부분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증되는 제1 내측 테두리 두께를 가지되, 상기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이고,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에서의 제1 내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인, 센서 패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최소 내측 테두리 두께가 0.5 mm 미만인, 센서 패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점에서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중앙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10 내지 30 mm인, 센서 패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내측 주연부에서 제1 중앙 부분까지, 제1 내측 테두리 부분의 반경 방향 거리가 0.5 내지 20 mm인, 센서 패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층이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센서 패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콜로이드는,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제1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를 갖고, 제1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하이드로콜로이드가 제1 중앙 평균 결정입도를 갖도록 배치되되, 제1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가 제1 중앙 평균 결정입도보다 작은, 센서 패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가 제1 중앙 평균 결정입도의 절반 크기보다 작은, 센서 패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콜로이드는 평균 결정입도가 0.2 mm 미만인, 센서 패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층을 보호하도록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피부에 붙이기 전에 사용자가 떼어버리도록 구성된 제1 센서 이형 라이너
    를 포함하는, 센서 패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전극은 중심점을 둘러싸는 제1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중심점에서 제1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상기 중심점에서 제1 외측 테두리 부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은, 센서 패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전극은 중심점을 둘러싸는 제2 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중심점에서 제2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가 상기 중심점에서 제1 루프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보다 짧은, 센서 패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는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점감되는 것인, 센서 패치.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는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태로 점감되는 것인, 센서 패치.
  19.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는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로 점감되는 것인, 센서 패치.
  20. 근위면과 원위면을 갖되,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도록 구성된 장루ㆍ요루 기구용 베이스 플레이트 접착면에 상기 원위면이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패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 센서 패치의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로서,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1 중앙 부분 및 상기 제1 중앙 부분을 둘러싸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치하며, 제1 중앙 부분이 제1 중앙 두께를 가지고,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은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가지되,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중앙 두께이고,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에서의 제1 외측 테두리 두께가 제1 최소 외측 테두리 두께인, 단계;
    -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비롯한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여 제1 센서를 형성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상기 센서 어셈블리를 제1 센서 접착층의 원위면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제1 센서 접착층의 근위면이 센서 패치를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붙이도록 구성되는 것인,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이형 라이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상기 제1 센서 이형 라이너의 원위면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 재료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결정입도별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중앙 평균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1 중앙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와, 제1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의 하이드로콜로이드를 포함하는 제1 외측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제1 외측 테두리 평균 결정입도가 제1 중앙 평균 결정입도보다 작은,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하는 단계는 평균 결정입도가 0.2 mm 미만인 하이드로콜로이드를 얻기 위해 하이드로콜로이드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6.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층의 성형, 이를테면 사출 성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 단계에 사용되는 몰드는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제공하는 모양의 비평면형 표면을 갖는 것인, 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센서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층으로 만들어 배치하는 단계는 제1 센서 접착 재료를 제1 중앙 부분에 인접한 곳에서 제1 센서 접착층의 제1 외측 주연부까지 반경 방향을 따라 점감되는 제1 외측 테두리 두께를 제공하는 모양의 비평면형 표면으로 스크레이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217022216A 2019-01-31 2020-01-30 스토마용 센서 패치 Pending KR202101249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1970070 2019-01-31
DKPA201970070 2019-01-31
PCT/DK2020/050027 WO2020156625A1 (en) 2019-01-31 2020-01-30 A stomal sensor pa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970A true KR20210124970A (ko) 2021-10-15

Family

ID=7184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216A Pending KR20210124970A (ko) 2019-01-31 2020-01-30 스토마용 센서 패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087851A1 (ko)
EP (2) EP4275662A3 (ko)
JP (2) JP2022519063A (ko)
KR (1) KR20210124970A (ko)
CN (1) CN113365582B (ko)
AU (1) AU2020214098B2 (ko)
BR (1) BR112021013811A2 (ko)
DK (1) DK3917466T3 (ko)
LT (1) LT3917466T (ko)
WO (1) WO2020156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6807B2 (en) 2007-04-24 2015-06-30 Jpmorgan Chase Bank, N.A. Closure system for a drainable pouch
US10285847B2 (en) 2011-09-29 2019-05-14 Convatec Technologies Inc. Ostomy pouch with filtering system
US10531977B2 (en) 2014-04-17 2020-01-14 Coloplast A/S Thermoresponsive skin barrier appliances
DK3134040T3 (da) 2014-04-24 2021-05-25 Convatec Technologies Inc Ostomiposefiltersystem
WO2019120458A1 (en)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 monitor device and a system for an ostomy appliance
US11612508B2 (en) 2017-12-22 2023-03-28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assembly part
US10849781B2 (en) * 2017-12-22 2020-12-01 Coloplast A/S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US11679021B2 (en) 2017-12-22 2023-06-20 Coloplast A/S Base plate and a sensor assembly part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se plate and sensor assembly part
US11534323B2 (en) 2017-12-22 2022-12-27 Coloplast A/S Tools and methods for placing a medical appliance on a user
US11589811B2 (en) 2017-12-22 2023-02-28 Coloplast A/S Monitor device of a medical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operating a monitor device
EP3727246B1 (en) 2017-12-22 2024-07-10 Coloplast A/S Tools and methods for cutting holes in an ostomy appliance
EP3727245A1 (en) 2017-12-22 2020-10-28 Coloplast A/S Data transmission schemes for an ostomy system, monitor devic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related methods
WO2019120434A1 (en)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Processing schemes for an ostomy system, monitor devic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related methods
US11590015B2 (en) 2017-12-22 2023-02-28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US11717433B2 (en) 2017-12-22 2023-08-08 Coloplast A/S Medical appliance with angular leakage detection
EP3727229A1 (en) 2017-12-22 2020-10-28 Coloplast A/S Coupling part with a hinge for an ostomy base plate and sensor assembly part
WO2019120444A1 (en)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A monitor device of an ostomy system having a connector for coupling to both a base plate and an accessory device
LT3727240T (lt) 2017-12-22 2022-03-10 Coloplast A/S Ostomijos sistemos papildomi įrenginiai ir susiję būdai veikimo būsenai perduoti
LT3727243T (lt) 2017-12-22 2023-08-25 Coloplast A/S Ostomijos sistemos pagrindo plokštė ir jutiklių konstrukcija, turinti nuotėkio jutikį
EP4248920A3 (en) 2017-12-22 2023-12-27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system, monitor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n ostomy appliance
EP3727241A1 (en) 2017-12-22 2020-10-28 Coloplast A/S Data collection schemes for an ostomy appliance and related methods
US11628084B2 (en) 2017-12-22 2023-04-18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 medical appliance and a device for connecting to a base plate or a sensor assembly part
US11627891B2 (en) 2017-12-22 2023-04-18 Coloplast A/S Calibration methods for medical appliance tools
JP2021508269A (ja) 2017-12-22 2021-03-04 コロプラスト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オストミー装具用のベースプレート及びベースプレート用のセンサ組立体部分、並びに、ベースプレート及びセンサ組立体部分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EP4275663A3 (en) 2017-12-22 2024-01-17 Coloplast A/S Moisture detecting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moisture propagation in a base plate and/or a sensor assembly part
US11986418B2 (en) 2017-12-22 2024-05-21 Coloplast A/S Medical system and monitor device with angular leakage detection
US10799385B2 (en) 2017-12-22 2020-10-13 Coloplast A/S Ostomy appliance with layered base plate
WO2019120443A1 (en) * 2017-12-22 2019-06-27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se plate or a sensor assembly part
DK3727232T3 (da) 2017-12-22 2022-04-19 Coloplast As Stomiindretning med selektive sensorpunkter og tilhørende fremgangsmåde
US10500084B2 (en) 2017-12-22 2019-12-10 Coloplast A/S Accessory devices of an ostomy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communicating leakage state
EP3755282B1 (en) 2018-02-20 2024-05-08 Coloplast A/S Sensor assembly part and a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a device for connecting to a base plate and/or a sensor assembly part
EP3755286A1 (en) 2018-02-20 2020-12-30 Coloplast A/S Accessory devices of an ostomy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changing an ostomy appliance based on future operating state
US12208029B2 (en) 2018-02-20 2025-01-28 Coloplast A/S Base plate having a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or
WO2019174698A1 (en) 2018-03-15 2019-09-19 Coloplast A/S Methods of configuring ostomy notifications and related accessory devices
US11998474B2 (en) 2018-03-15 2024-06-04 Coloplast A/S Apparatus and methods for navigating ostomy appliance user to changing room
WO2020035121A1 (en) 2018-08-15 2020-02-20 Coloplast A/S Accessory device of an ostomy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issue identification
EP4368155A3 (en) 2018-10-09 2024-08-07 Hollister Incorporated Ostomy appliance comprising thermal sensors
BR112021011496A2 (pt) 2018-12-20 2021-08-31 Coloplast A/S Método para classificar uma condição de ostomia
CN113194891A (zh) 2018-12-20 2021-07-30 科洛普拉斯特公司 利用图像数据变换进行造口术状况分类的装置和相关方法
US12232998B2 (en) 2019-01-31 2025-02-25 Coloplast A/S Application of a stomal sensor patch
US11612512B2 (en) 2019-01-31 2023-03-28 Coloplast A/S Moisture detecting base plate for an ostomy appliance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moisture propagation in a base plate and/or a sensor assembly part
US11737906B2 (en) 2019-02-07 2023-08-29 Convatec Technologies, Inc. Adjustable convex ostomy device
WO2020173534A1 (en) * 2019-02-28 2020-09-03 Coloplast A/S A sensor patch for attachment to a base plate
CN114007558B (zh) 2019-04-25 2024-08-02 康沃特克科技公司 结合有粘合物和泡沫层的造口术薄片、包括该造口术薄片的造口术装置以及施加方法
EP3946178B1 (en) 2019-04-25 2025-03-26 ConvaTec Technologies Inc. Perforated chamber ostomy wafers
AU2020262496A1 (en) 2019-04-25 2021-11-18 Convatec Technologies Inc. Ostomy wafers incorporating adhesives, ostomy device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applying
CN114080204A (zh) 2019-06-14 2022-02-22 霍利斯特公司 造口术器具的渗漏检测系统
WO2020259775A1 (en) * 2019-06-24 2020-12-30 Coloplast A/S A stomal sensor patch
EP4512377A2 (en) 2020-04-14 2025-02-26 Coloplast A/S Method for a monitor device for a personal care system
TW202139929A (zh) * 2020-04-23 2021-11-01 智準生醫科技股份有限公司 生物訊息感測貼片
US20240180736A1 (en) * 2021-03-29 2024-06-06 Coloplast A/S Liquid sensing in ostomy appliance
WO2024012644A1 (en) * 2022-07-14 2024-01-18 Coloplast A/S Sensor patch for an ostomy appliance having auxetic cu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343B1 (en) * 1988-04-21 1998-03-17 Kimberly Clark Co Absorbent products containing hydrogels with ability to swell against pressure
US6093276A (en) * 1998-06-11 2000-07-25 Hollister Incorporated In-line method of manufacture of ostomy appliance faceplate
FR2785526B1 (fr) * 1998-11-06 2001-03-30 Plasto Sa Dispositif de securite pour colostomie
EP1610736A2 (en) * 2003-03-27 2006-01-04 Coloplast A/S An ostomy appliance
DK176790B1 (da) * 2003-03-31 2009-09-07 Coloplast As Klubende plaster
US20070292491A1 (en) * 2003-11-28 2007-12-20 Grazyna Hansen Adhesive Patch
US8398603B2 (en) * 2006-02-28 2013-03-19 Coloplast A/S Leak sensor
BRPI0812911A2 (pt) * 2007-06-19 2014-12-09 Coloplast As Dispositivo de coleta de resíduo de corpo
WO2012088147A1 (en) * 2010-12-20 2012-06-28 Euromed Inc. Ostomy device
US9928341B2 (en) * 2015-11-12 2018-03-27 Vivante Heal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prehensive care for stoma patients
US11406525B2 (en) * 2017-11-09 2022-08-09 11 Health And Technologies Limited Ostom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5039751A (ja) 2025-03-21
EP4275662A3 (en) 2024-01-10
AU2020214098B2 (en) 2025-01-02
CN113365582A (zh) 2021-09-07
EP4275662A2 (en) 2023-11-15
BR112021013811A2 (pt) 2021-09-21
LT3917466T (lt) 2023-09-11
WO2020156625A1 (en) 2020-08-06
DK3917466T3 (da) 2023-10-30
EP3917466B1 (en) 2023-08-09
EP3917466A1 (en) 2021-12-08
US20220087851A1 (en) 2022-03-24
AU2020214098A1 (en) 2021-08-19
JP2022519063A (ja) 2022-03-18
CN113365582B (zh) 202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4970A (ko) 스토마용 센서 패치
EP3958801B1 (en) A sensor patch for attachment to a base plate
CN111432755B (zh) 包括造口术器具的皮肤可接合元件的系统
US12232998B2 (en) Application of a stomal sensor patch
US12257172B2 (en) Sensor patch for attachment to a base plate
KR20210124971A (ko) 장루ㆍ요루 기구용 센서 패치
WO2020169162A1 (en) A monitor device for an ostomy appliance
US20230141297A1 (en) A Sensor Patch for Attachment to a Base Plate
EP3986343B1 (en) A stomal sensor patch
WO2024012643A1 (en) Ostomy appliance with adhesive having trough and crest portions
WO2024012645A1 (en) Ostomy appliance having adhesive layers with different moisture vapour transmission rates
WO2024012644A1 (en) Sensor patch for an ostomy appliance having auxetic c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