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1802A -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1802A
KR20210121802A KR1020200039118A KR20200039118A KR20210121802A KR 20210121802 A KR20210121802 A KR 20210121802A KR 1020200039118 A KR1020200039118 A KR 1020200039118A KR 20200039118 A KR20200039118 A KR 20200039118A KR 20210121802 A KR20210121802 A KR 20210121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gprx2
protein
mrna
hypersensitivity reaction
expression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4928B1 (ko
Inventor
김태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20003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928B1/ko
Priority to PCT/KR2021/003618 priority patent/WO2021201486A1/ko
Publication of KR2021012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92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8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miRNA, siRNA or ncRN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4Immunology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RGPRX2를 이용한 아나필락시스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MRGPRX2가 약물 과민 반응 환자에서 정상군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된 수준을 보일 뿐만 아니라,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에서 그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MRGPRX2 수준이 12주까지 지속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므로 기존의 약물 과민 반응 및 아나필락시스 마커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Method of determining immediate hypersensitivity patients using MRGPRX2}
본 발명은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약물유해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은 약물을 예방, 진단, 치료 용량으로 사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유해하고 의도되지 않은 반응으로 정의한다. 약물유해반응은 예상할 수 있는 반응인 A형(type A) 반응과 예상할 수 없는 B형(type B) 반응으로 나눈다. 이 중 B형 반응은 약물과민 반응(drug hypersensitivity reaction)이라고도 하는데 용량 의존적이지 않고 고유의 약리작용과는 무관하게 일부에게 나타나는 반응으로 이에 해당되는 반응에는 불내성(intolerance), 약물 특이체질반응(drug idiosyncrasy), 약물알레르기(drug allergy), 알레르기 유사반응(pseudoallergy)이 있다.
아나필락시스는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심한 전신 알레르기 과민 반응으로 드물게는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한 알레르기 질환이다. 아나필락시스의 발생률은 정확하게 보고된 것이 거의 없다. 미국의 한 조사결과는 응급실 내원 환자 1,500명당 1명 정도에서 저혈압과 의식소실을 동반한 아나필락시스 발생을 보고하고 있으나, 경증의 환자까지 포함한다면 그 발생률은 더 높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시행한 빈도조사에서는 약 0.014% 정도로 보고하였고, 2001년부터 2007년까지 건강보험공단에 의뢰하여 관련 질병코드를 이용해서 빈도를 산출하였는데, 18세 이하에서 100,000명당 0.7-1.0건의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하여 유럽이나 북미의 8-30건보다 적었다. 또한 2008년 6월에서 2009년 3월까지 전국 소재 9개 종합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의 방문 10,000건당 7.23건에서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하였다.
아나필락시스는 여러 원인에 의해 다양한 기전으로 발생한다. 면역글로불린 E (immunoglobulin E, IgE)가 관여하는 면역학적 기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로, 음식물(땅콩 등 견과류; 새우, 게 등 갑각류; 생선, 우유, 계란, 복숭아, 번데기, 메밀 등), 곤충독(벌독, 개미독 등), 약물(진통소염제, beta-lactam 항생제, 생물학 제제 등), 라텍스, 직업성 알레르겐, 방사성 조영제 등이 있다. IgE 비의존성으로는 조영제, 진통소염제, 덱스트란(dextran), 단클론항체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비면역학적 기전으로는 비반세포를 직접 활성화시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해당하며, 물리적 요인(운동, 추위, 열, 일광 등), 알코올, 약물(마약성 진통제) 등이 있으나 특별한 원인이 없이 특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아나필락시스의 진단은 병력과 증상에 의해 대부분 이뤄진다. 가장 중요한 임상양상은 원인물질 또는 특정 자극에 노출된 후, 즉시 또는 수시간 내에 피부, 호흡기, 위장관 및 심장혈관 계통 등의 다양하고 심각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것이다. 초기평가 시에 아나필락시스를 시사하는 과거 병력을 포함한 현 병력과 이학적 소견을 확인해야 한다. 증상이 나타나기 전 수시간 이내에 노출된 모든 물질과, 운동, 복용한 약물, 술, 발열 등과 같은 급성감염 소견, 스트레스, 여행력, 생리 등을 포함한 자세한 병력을 청취하여야 한다.
아나필락시스와 관련된 임상검사로 혈중 총 트립타제(tryptase) 농도를 특정할 수 있으며 이상적인 채혈시간은 증상 발생 후 15분-3시간 사이로, 매우 짧다. 또한, 혈중 히스타민 농도는 증상 발생 후 15-60분 사이에 측정하여야 하며 검체 취급에도 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검사들은 특수검사로 일반적인 응급상황에서는 보편적으로 실시하기 어려운 여건이며, 특히, 혈중 트립타제는 아나필락시스 진단에 도움이 되나, 혈압이 정상이거나 특히, 발생 후 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이미 혈청 수치가 정상화되므로 그 이용이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트립타제나 히스타민 농도가 정상 범위 내라고 하더라도 완전히 아나필락시스를 배제할 수 없다.
J Korean Med Assoc. 2014 Nov;57(11):934-940. Korea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MRGPRX2를 이용해 아나필락시스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약물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있었던 환자의 MRGPRX2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12주까지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MRGPRX2 (Mas-rela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member 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RGPRX2의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MRGPRX2 (Mas-rela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member 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MRGPRX2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MRGPRX2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MRGPRX2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MRGPRX2 mRNA는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지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료는 혈액, 혈장 또는 혈청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료는 트립타제 수치가 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피검체는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이 증가된 경우 약물 과민 반응으로 진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즉시형 과민 반응은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피검체는 약물 과민 반응 환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료는 트립타제 수치가 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피검체는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MRGPRX2의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또는 즉시형 과민 반응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또는 즉시형 과민 반응의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약물 과민 반응 또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MRGPRX2가 약물 과민 반응 환자에서 정상군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된 수준을 보일 뿐만 아니라,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에서 그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에서 MRGPRX2 수준이 12주까지 지속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므로 기존의 약물 과민 반응 및 아나필락시스 마커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MRGPRX2 (Mas-rela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member 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 및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즉시형 과민 반응”은 제1형 과민 반응이라고도 하며, 주로 IgE 항체 매개형 면역반응 또는 약제가 직접적으로 비만세포를 자극하여 발생하며, 두드러기, 혈관부종, 비염, 기도수축, 가려움증, 구토, 설사, 및 아나필락시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나필락시스”는 알레르기 쇼크라고도 하며, 원인 노출 후 급격히 진행하는 전신 중증 알레르기 반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단백질”은 '폴리펩타이드(polypeptide)' 또는 '펩타이드(peptide)'와 호환성 있게 사용되며, 예컨대, 자연 상태의 단백질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 또는 “핵산”은 단일 또는 이중 가닥의 형태로 된 데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또는 리보핵산(ribonucleic acid, RNA)를 말한다. 다른 제한이 없는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뉴클레오티드와 비슷한 방법으로 핵산에 혼성화되는 자연적 뉴클레오티드의 공지된 아날로그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DNA는 아데닌(adenine, A), 구아닌(guanine, G), 시토신(cytosine, C), 티민(thymine, T) 등 네 가지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RNA는 티민 대신 우라실(Uracil, U)을 가지고 있다. 핵산 이중 가닥에서 A는 T 또는 U, C는 G 염기와 수소결합을 이루는데, 이러한 염기의 관계를 ‘상보적(complementary)'이라고 한다.
한편, 'mRNA(messenger RNA 또는 전령 RNA)'는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특정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유전 정보를 리보솜(ribosome)으로 전달하여 폴리펩티드 합성(단백질 번역, translation)의 청사진 역할을 하는 RNA이다. 유전자를 주형(template)으로 하여 단일 가닥의 mRNA가 전사(transcription) 과정을 통하여 합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MRGPRX2 (Mas-rela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member X2)”는 비만 세포 수용체 단백질로, 유사 알레르기성 약물 반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MRGPRX2 단백질은 포유류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에서 유래한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의 MRGPRX2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인간의 MRGPRX2 (NP_473371.1)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괄호 안은 NCBI Genebank accession number).
상기 MRGPRX2 mRNA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인간 MRGPRX2 mRNA (NM_054030.4)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괄호 안은 NCBI Genebankaccession number). 상기한 인간의 MRGPRX2 mRNA transcript variant들의 coding region(exon) 등의 특징 사항은 괄호 안에 기재된 Genebank accession number로 NCBI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나오는 서열정보에서 확인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보적(complementary)"은 소정의 혼성화 또는 어닐링 조건, 구체적으로는 생리학적 조건 하(세포 내)에서 핵산 분자 내 타겟팅 모이어티가 타겟(예컨대, MRGPRX2 유전자)에 선택적으로 혼성화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스매치(mismatch)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보적(substantially complementary) 및 완전히 상보적(perfectly complementary)인 것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를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완전히 상보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검출'은 목적하는 물질(본 발명에서의 마커 단백질, MRGPRX2)의 존재(발현) 여부를 측정 및 확인하는 것, 또는 목적하는 물질의 존재 수준(발현 수준)의 변화를 측정 및 확인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같은 맥락에서, 본 발명에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측정하는 것은 발현 여부를 측정하는 것(즉, 발현 유무를 측정하는 것), 또는 상기 단백질의 질적, 양적 변화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측정은 정성적인 방법(분석)과 정량적인 방법을 모두 포함하여 제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단백질 수준의 측정에 있어서 정성적 방법과 정량적 방법의 종류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실험법들이 이에 포함된다. 각 방법 별로 구체적 단백질 수준 비교 방식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 MRGPRX2 단백질 검출은 MRGPRX2 단백질의 존재 여부 검출, 또는 상기 단백질 발현량의 증가(상향 조절) 또는 감소(하향 조절)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진단”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대한 한 객체의 감수성(susceptibility)을 판정하는 것, 한 객체가 특정 질병 또는 질환을 현재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 특정 질병 또는 질환에 걸린 한 객체의 예후(prognosis)를 판정하는 것, 또는 테라메트릭스(therametrics)(예컨대, 치료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객체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것)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의 진단은 MRGPRX2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여 약물 과민 반응 또는 아나필락시스의 존재 또는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백질의 '발현 증가(또는 고발현)'라는 의미는 발현되지 않던 것이 발현된 것(즉, 검출되지 않던 것이 검출된 것) 또는 정상적인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과발현된 것(즉, 검출량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의 반대적 용어의 의미는 당업자라면 상기 정의에 준하여, 반대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MRGPRX2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MRGPRX2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MRGPRX2의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MRGPRX2의 mRNA는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지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라이머(primer)'는 DNA 합성의 개시점(starting point)으로 작용하는 짧은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single strand oligonucleotide)이다. 프라이머는 적합한 완충액(buffer)와 온도 조건에서 주형(template)인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DNA 중합효소가 프라이머에 주형 DNA에 상보적인 염기를 갖는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를 추가하여 연결함으로써 DNA가 합성된다. 프라이머는 일반적으로 15 내지 30개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염기 구성과 길이에 따라 주형 가닥에 결합하는 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달라진다. 프라이머의 서열은 주형의 일부 염기 서열과 완전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주형과 혼성화되어 프라이머 고유의 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충분한 상보성을 가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MRGPRX2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프라이머는 각 유전자 서열에 완벽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DNA 합성을 통해 mRNA 또는 cDNA의 특정 구간을 증폭하여 mRNA의 양을 측정하려는 목적에 맞는 길이와 상보성을 갖는 것이면 충분하다. 상기 증폭 반응을 위한 프라이머는 증폭하고자 하는 mRNA의 특정 구간의 양쪽 끝부분의 주형(또는 센스, sense)과 반대편(안티센스, antisense)에 각각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한 세트(쌍)으로 구성된다. 프라이머는 당업자라면 MRGPRX2의 mRNA 또는 cDNA 염기서열을 참조하여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probe)'는 특정 유전자의 mRNA나 cDNA(complementary D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짧게는 수개 내지 길게는 수백 개의 염기(base pair) 길이의 RNA 또는 DNA 등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단편을 의미하며, 표지(labeling)되어 있어서 결합하는 대상 mRNA나 cDNA의 존재 유무, 발현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MRGPRX2 mRNA에 상보적인 프로브를 피검체의 시료와 혼성화 반응(hybridization)을 수행하여 MRGPRX2 mRNA의 발현양을 측정함으로써 약물 과민 반응의 진단 또는 아나필락시스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프로브의 선택 및 혼성화 조건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포스포아미다이트(phosphoramidite) 고체지지체 합성법이나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는 MRGPRX2 mRNA와의 혼성화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티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 그리고 형광 또는 효소를 이용한 표지 물질(labeling material)의 결합 등이 있다.
상기 항체란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체는 단클론 또는 다클론 항체, 면역학적으로 활성인 단편(예를 들어, Fab 또는 (Fab)2 단편), 항체 중쇄, 인간화 항체, 항체 경쇄, 유전자 조작된 단일쇄 Fν 분자, 키메릭 항체 등일 수 있다.
MRGPRX2 단백질은 공지된 단백질이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체는 단백질을 항원으로 하여 면역학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의 항원으로서 사용되는 MRGPRX2 단백질은 천연에서 추출하거나 합성될 수 있으며 DNA 서열을 기초로 하여 재조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할 경우 MRGPRX2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을 적절한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에서 MRGPRX2 단백질이 발현되도록 숙주 세포를 배양한 후 형질전환체로부터 MRGPRX2 단백질을 회수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클론 항체는 MRGPRX2 단백질 항원을 동물에 주사하고 동물로부터 채혈하여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수득하는 방법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항체는 말, 소, 염소, 양, 개, 닭, 칠면조, 토끼, 마우스 또는 래트와 같은 여러 온혈 동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클론 항체도 공지된 융합방법(fusion method)(Kohler and Milstein, European J. Immnunol. 6:511-519, 1976), 재조합 DNA 방법(미국특허 제4816567호) 및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Clackson et al., Nature, 352, 624-628, 1991; Marks et al., J. Mol. Biol. 222, 58:1-597, 1991)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키트 또는 아나필락시스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MRGPRX2의 단백질 항체 이외에 면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당 업계에 공지된 도구 및/또는 시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면역학적 분석은 항원과 항체의 결합을 측정할 수 있는 있는 방법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면역세포화학 및 면역조직화학, 방사선 면역 분석법(radioimmunoassays), 효소결합면역법(ELISA: Enzyme Linked Immunoabsorbent assay), 면역 블롯(immunoblotting), 파아르 분석법(Farr assay), 면역침강, 라텍스 응집, 적혈구 응집, 비탁계법, 면역확산법, 카운터-전류 전기영동법, 단일 라디칼 면역확산법, 단백질 칩 및 면역형광법이 있다.
면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도구 및/또는 시약으로는 적합한 담체 또는 지지체,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 용해제, 세정제가 포함된다. 또한, 표지물질이 효소인 경우에는 효소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질 및 반응 정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출용 또는 진단용 키트에 포함되는 MRGPRX2는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 또는 지지체에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Antibodies: A Labotory Manual, Harlow & Lane;Cold SpringHarbor, 1988), 적합한 담체 또는 지지체의 예로는 아가로스, 셀룰로즈, 니트로셀룰로즈, 덱스트란, 세파덱스, 세파로즈, 리포솜,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스테린, 반려암, 여과지, 이온교환수지,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튜브, 유리, 폴리아민-메틸 비닐-에테르-말레산 공중합체, 아미노산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 나일론, 컵, 플랫 팩(flat packs) 등이 포함된다. 그 외의 다른 고체 기질로는 세포 배양 플레이트, ELISA 플레이트, 튜브 및 폴리머성 막이 있다. 상기 지지체는 임의의 가능한 형태, 예를 들어 구형(비드), 원통형(시험관 또는 웰 내면), 평면형(시트, 시험 스트립)을 가질 수 있다.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는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을 정성 또는 정량적으로 측정가능하게 하며, 이의 예로는 효소, 형광물질, 리간드, 발광물질, 미소입자(microparticle), 레독스 분자 및 방사성 동위원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효소로는 β-글루쿠로니다제, β-D-글루코시다제, 우레아제, 퍼옥시다아제,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글리코즈 옥시다아제, 헥소키나제, 말레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글루코스-6-인산디하이드로게나아제, 인버타아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형광물질로는 플루오레신,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로다민, 피코에리테린, 피코시아닌, 알로피코시아닌, 플루오르신이소티옥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리간드로는 바이오틴 유도체 등이 있으며, 발광물질로는 아크리디늄 에스테르, 루시페린, 루시퍼라아제 등이 있다. 미소입자로는 콜로이드 금, 착색된 라텍스 등이 있고 레독스 분자로는 페로센, 루테늄 착화합물, 바이올로젠, 퀴논, Ti 이온, Cs 이온, 디이미드, 1,4-벤조퀴논, 하이드로퀴논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예시된 것들 외에 면역학적 분석법에 사용할 수 있은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또는 아나필락시스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나필락시스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는 약물 과민 반응 환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아나필락시스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MRGPRX2 수준은 약물 과민 반응 발생일로부터 12주 이상 지속적으로 높게 발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MRGPRX2는 트립타제가 증상 발생 후 15분 내지 3시간 내에 측정해야하는 것과 달리, 증상 발생 후 12주 이상 고발현되므로 기존 아나필락시스 진단 방법의 한계를 개선한 마커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RNA의 발현량 측정은 RT-PCR, 정량적 또는 반정량적 RT-PCR(Quantitative or semi-Quantitative RT-PCR), 정량적 또는 반정량적 리얼 타임 RT-PCR(Quantitative or semi-Quantitative real-time RT-PCR), 노던 블롯(northern blot) 및 DNA 또는 RNA 칩(chip)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백질 발현량 측정은 웨스턴 블롯, ELISA, 방사선면역분석법, 방사면역확산법,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침전분석, 보체고정분석, FACS 및 단백질 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료는 약물 과민 반응을 진단하거나 아나필락시스를 진단하고자 하는 피검체로부터 채취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생검 등으로 얻어진 세포나 조직, 혈액, 전혈, 혈청, 혈장, 타액, 뇌척수액, 각종 분비물, 소변, 대변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액, 혈장, 혈청, 타액, 비액, 객담, 복수, 질 분비물 및 소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혈액, 혈장, 또는 혈청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검출 또는 진단에 사용하기 전에 전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질화(homogenization), 여과, 증류, 추출, 농축, 방해 성분의 불활성화, 시약의 첨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료는 트립타제 수치가 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트립타제 등 염증성 물질이 주변 조직 또는 혈액으로 분비되므로, 증상이 생긴 시점의 트립타제 수치는 평상시 기본 수치 (정상)보다 높으며, 피검체에 따라 그 수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검체는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나필락시스 증상은 단순한 두드러기부터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과민 반응 물질에 접촉한 직후부터 대부분 1시간 안에 기침, 흉통, 입과 손발에 저린 감각, 빈맥, 소양증을 동반한 발진,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어 호흡곤란, 저혈압, 의식 소실 등이 나타나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단계의 방법으로 측정한 피검체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이 증가한 경우, 상기 피검체를 약물 과민 반응 또는 아나필락시스에 걸린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 방법>
1.1 대상 및 시료
건강한 그룹, 약물 과민 반응 그룹 (ADR) 또는 약물 과민 반응 그룹에서도 약물로 인한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나타낸 즉시형 과민 반응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환자에게 투여한 약물의 종류는 IgE 매개 약물인 세팔로스포린 (cephalosporin) 계열 항생제, 페니실린 (penicillin) 계열 항생제, H2 수용체 길항제; 및 비 IgE 매개 약물인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아스피린 (aspirin) 등이 있으며, 약물 과민 반응의 유무 및 약물 타입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였다.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고, Serum을 분리하여 MRGPRX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1.2 MRGPRX2 측정 및 통계적 분석
MRGPRX2 (Mas-rela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member X2) 수준은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MyBioSource의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MyBioSource 사의 Human MRGPRX2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방법에 따라 Sandwich ELISA를 시행하였다. Plates에 Standard와 Serum을 각각 50 μl씩 넣었으며, Standard는 100ng/ml을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HRP-conjugate reagent 100 μl를 추가로 더하여, 60 분 동안 37°C에서 반응시켰다. 60 분 후 용액을 버리고, wsah buffer로 남은 HRP-conjugate reagent를 모두 제거해주었다. Chromogen Solution A 50 μl와 Chromogen Solution B 50 μl을 넣어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37°C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50μl Stop Solution을 넣어 반응을 멈추게 한 후, ELISA reader (TECAN sunrise)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실험 결과>
본 발명자들은 비만세포의 IgE에 대하여 비의존적으로 활성화 되는 수용체인 MRGPRX2의 혈중 농도를 약물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있는 환자에서 측정함으로써 트립타제 농도보다 더 오랜 시간 높게 유지되는지 확인하여 MRGPRX2가 약물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증상 감별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물 과민 반응 (ADR)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와 비교하여 약물 과민 반응 환자의 혈액에서 MRGPRX2의 농도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등록된 환자들이 약물 과민 반응이 있고 난 후 샘플 채취일 까지의 기간별로 나누어 농도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약물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나타낸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들의 혈액에서 MRGPRX2의 농도가 12주까지도 지속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min max mean sd STAT p.val
control 2.135 41.98 12.85 9.75 -14.9251 0.000
ADR 1.848 186.60 59.03 41.63
Total 1.848 186.60 49.40 41.06
Figure pat00001
# : number
1 : non-IgE type 약물의 아나필락시스
O : IgE type 약물의 아나필락시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약물 과민 반응이 있는 환자에서 MRGPRX2의 혈중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트립타제보다 장시간이 지난 후에도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THE ASAN FOUNDATION University of Ulsan Foundation For Industry Cooperation <120> Method of determining immediate hypersensitivity patients using MRGPRX2 <130> MP20-010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RGPRX2 [Homo sapiens] <400> 1 Met Asp Pro Thr Thr Pro Ala Trp Gly Thr Glu Ser Thr Thr Val Asn 1 5 10 15 Gly Asn Asp Gln Ala Leu Leu Leu Leu Cys Gly Lys Glu Thr Leu Ile 20 25 30 Pro Val Phe Leu Ile Leu Phe Ile Ala Leu Val Gly Leu Val Gly Asn 35 40 45 Gly Phe Val Leu Trp Leu Leu Gly Phe Arg Met Arg Arg Asn Ala Phe 50 55 60 Ser Val Tyr Val Leu Ser Leu Ala Gly Ala Asp Phe Leu Phe Leu Cys 65 70 75 80 Phe Gln Ile Ile Asn Cys Leu Val Tyr Leu Ser Asn Phe Phe Cys Ser 85 90 95 Ile Ser Ile Asn Phe Pro Ser Phe Phe Thr Thr Val Met Thr Cys Ala 100 105 110 Tyr Leu Ala Gly Leu Ser Met Leu Ser Thr Val Ser Thr Glu Arg Cys 115 120 125 Leu Ser Val Leu Trp Pro Ile Trp Tyr Arg Cys Arg Arg Pro Arg His 130 135 140 Leu Ser Ala Val Val Cys Val Leu Leu Trp Ala Leu Ser Leu Leu Leu 145 150 155 160 Ser Ile Leu Glu Gly Lys Phe Cys Gly Phe Leu Phe Ser Asp Gly Asp 165 170 175 Ser Gly Trp Cys Gln Thr Phe Asp Phe Ile Thr Ala Ala Trp Leu Ile 180 185 190 Phe Leu Phe Met Val Leu Cys Gly Ser Ser Leu Ala Leu Leu Val Arg 195 200 205 Ile Leu Cys Gly Ser Arg Gly Leu Pro Leu Thr Arg Leu Tyr Leu Thr 210 215 220 Ile Leu Leu Thr Val Leu Val Phe Leu Leu Cys Gly Leu Pro Phe Gly 225 230 235 240 Ile Gln Trp Phe Leu Ile Leu Trp Ile Trp Lys Asp Ser Asp Val Leu 245 250 255 Phe Cys His Ile His Pro Val Ser Val Val Leu Ser Ser Leu Asn Ser 260 265 270 Ser Ala Asn Pro Ile Ile Tyr Phe Phe Val Gly Ser Phe Arg Lys Gln 275 280 285 Trp Arg Leu Gln Gln Pro Ile Leu Lys Leu Ala Leu Gln Arg Ala Leu 290 295 300 Gln Asp Ile Ala Glu Val Asp His Ser Glu Gly Cys Phe Arg Gln Gly 305 310 315 320 Thr Pro Glu Met Ser Arg Ser Ser Leu Val 325 330 <210> 2 <211> 207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RGPRX2 [Homo sapiens] <400> 2 actccagatc ctgcaggcat ctccccatcc tcagctgttt gccagtccca ggaaagcact 60 tctcaactca ccaactccag tagaaagaag ggtgttaagg ggcaccagtg gaggttttct 120 gagcatggat ccaaccaccc cggcctgggg aacagaaagt acaacagtga atggaaatga 180 ccaagccctt cttctgcttt gtggcaagga gaccctgatc ccggtcttcc tgatcctttt 240 cattgccctg gtcgggctgg taggaaacgg gtttgtgctc tggctcctgg gcttccgcat 300 gcgcaggaac gccttctctg tctacgtcct cagcctggcc ggggccgact tcctcttcct 360 ctgcttccag attataaatt gcctggtgta cctcagtaac ttcttctgtt ccatctccat 420 caatttccct agcttcttca ccactgtgat gacctgtgcc taccttgcag gcctgagcat 480 gctgagcacc gtcagcaccg agcgctgcct gtccgtcctg tggcccatct ggtatcgctg 540 ccgccgcccc agacacctgt cagcggtcgt gtgtgtcctg ctctgggccc tgtccctact 600 gctgagcatc ttggaaggga agttctgtgg cttcttattt agtgatggtg actctggttg 660 gtgtcagaca tttgatttca tcactgcagc gtggctgatt tttttattca tggttctctg 720 tgggtccagt ctggccctgc tggtcaggat cctctgtggc tccaggggtc tgccactgac 780 caggctgtac ctgaccatcc tgctcacagt gctggtgttc ctcctctgcg gcctgccctt 840 tggcattcag tggttcctaa tattatggat ctggaaggat tctgatgtct tattttgtca 900 tattcatcca gtttcagttg tcctgtcatc tcttaacagc agtgccaacc ccatcattta 960 cttcttcgtg ggctctttta ggaagcagtg gcggctgcag cagccgatcc tcaagctggc 1020 tctccagagg gctctgcagg acattgctga ggtggatcac agtgaaggat gcttccgtca 1080 gggcaccccg gagatgtcga gaagcagtct ggtgtagaga tggacagcct ctacttccat 1140 cagatatatg tggctttgag aggcaacttt gcccctgtct gtctgatttg ctgaactttc 1200 tcagtcctga ttttaaaaca gttaagagag tccttgtgag gattaagtga gacagtgcct 1260 atgaaacaaa cactaagtgc agtgtctctg gaactgcctt actcacaggc ttccaccaca 1320 gccctatgag agctttgcca actctgcggt ccatgactgt tcccactttt aatgaatcct 1380 acctttcgca gaaggctgaa agcagggcag aaaagatcta catttctttg gacactgcac 1440 ttgataggga ctcaaagaat gttatatttt taattaattt ctttttctct tccgtacaat 1500 ttctgtctca acaaaattag aagaattaaa tttaaaacta gctccaaaag agcagtcgtc 1560 tttcattttg gcagacctta gaatatcccc ctagcttaat aaatctttgt tgaatggctt 1620 aatgaatgaa taaactggtt aatgtttaag ttaaacctct gaaaagtctc catttaccag 1680 atttgagtca ctaaatttat tgctttcact acttttgaat tttgcaaaca tgaaattaag 1740 ttttataatt agataaatca atgtcaacac atatttaaag tttgaggtac actgtcttcc 1800 tgtggtttcc tttcacatgc catcccttaa aatcccagct acacgccttc ccattccttc 1860 ccctttgcct ttgttctaat cttccctctc tgggggctct ctaattcgtc ctggaagttt 1920 ccagtggtct tatagactcc atgttcttgg aggacaggct gtatgtcaga tttacctttt 1980 attccgaaga actcggagca tttattttgt taattaaatt gcacatattt ttaaaagtta 2040 cgtgttccac agaataaaat actaattgta aa 2072

Claims (20)

  1. MRGPRX2 (Mas-related G-protein coupled receptor member 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MRGPRX2의 m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로브 또는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MRGPRX2의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GPRX2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이루어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RGPRX2 mRNA는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지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
  6.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액, 혈장 또는 혈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트립타제 수치가 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는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이 증가된 경우 약물 과민 반응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물 과민 반응 진단용 키트.
  12.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즉시형 과민 반응은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조성물.
  14. 피검체의 시료에서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액, 혈장 또는 혈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트립타제 수치가 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는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MRGPRX2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이 증가된 경우 즉시형 과민 반응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체는 약물 과민 반응 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MRGPRX2의 단백질 또는 이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즉시형 과민 반응 진단용 키트.

KR1020200039118A 2020-03-31 2020-03-31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Active KR102494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18A KR102494928B1 (ko) 2020-03-31 2020-03-31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PCT/KR2021/003618 WO2021201486A1 (ko) 2020-03-31 2021-03-24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118A KR102494928B1 (ko) 2020-03-31 2020-03-31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802A true KR20210121802A (ko) 2021-10-08
KR102494928B1 KR102494928B1 (ko) 2023-02-03

Family

ID=77930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118A Active KR102494928B1 (ko) 2020-03-31 2020-03-31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4928B1 (ko)
WO (1) WO202120148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4382A (ja) * 2014-08-01 2017-08-31 ザ・ジョンズ・ホプキンス・ユニバーシティー 偽アレルギー薬物反応を検出するためおよび有害反応を予防する遮断薬を同定するためのmrgprx2/mrgprb2発現細胞ベースのアッセイ
CN107703312A (zh) * 2017-11-15 2018-02-16 西安交通大学 筛查药物类过敏反应敏感人群的蛋白标记物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42325A (zh) * 2017-06-28 2017-09-08 西安交通大学 一种用于药物类过敏反应敏感人群筛查的基因标志物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4382A (ja) * 2014-08-01 2017-08-31 ザ・ジョンズ・ホプキンス・ユニバーシティー 偽アレルギー薬物反応を検出するためおよび有害反応を予防する遮断薬を同定するためのmrgprx2/mrgprb2発現細胞ベースのアッセイ
CN107703312A (zh) * 2017-11-15 2018-02-16 西安交通大学 筛查药物类过敏反应敏感人群的蛋白标记物和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Korean Med Assoc. 2014 Nov;57(11):934-940. Kore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1486A1 (ko) 2021-10-07
KR102494928B1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437B1 (ko) 바이오마커
KR101771697B1 (ko) 트립토파닐 티알엔에이 합성효소를 이용한 감염 질환 또는 감염 합병증의 진단용 조성물과 진단 마커 검출 방법
KR20140108718A (ko) 가와사키 질환용 바이오마커
KR20110135911A (ko) 바이오마커
KR20210119131A (ko) 천식 진단 및 중증도와 치료 반응 예측용 조성물
KR101945348B1 (ko) 혈액 내 chi3l1 발현 수준을 이용한 정상압 수두증 진단용 조성물과 진단 마커 검출 방법
US8609432B2 (en) Method and kit for detection of autoimmune chronic urticaria
JP2019507594A (ja) 大腸がん診断用組成物と診断マーカー検出方法
KR102233640B1 (ko) 구강암 예후 진단용 조성물 및 키트
KR20190083110A (ko) 마약 중독 또는 금단증상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마약 중독 또는 금단증상 진단용 키트
KR102494928B1 (ko) Mrgprx2를 이용한 즉시형 과민 반응 환자를 판별하는 방법
US20240142456A1 (en) Composition for diagnosing pancreatic cancer
KR101789910B1 (ko) 쇼그렌 증후군 진단 마커로서 siglec5의 용도
JP7016110B2 (ja) スティル病と敗血症との鑑別用バイオマーカー
JP2005253434A (ja) 2型糖尿病の診断方法
KR20220129816A (ko) 미만형 위암의 예후 진단 마커
KR102487100B1 (ko) Edn을 이용한 천식 조절 상태 모니터링용 조성물
MXPA06014924A (es) Procedimientos para predecir la respuesta terapeutica frente a agentes que actuan en el receptor de la hormona del crecimiento.
KR20200083371A (ko) 뇌수막염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KR102064136B1 (ko) 호산구-유래 신경독을 이용한 호흡기 감염증에서 천명을 판별하는 방법
KR102544219B1 (ko) 코펩틴의 농도를 이용한 외상성 뇌 손상의 진단 방법
KR102259708B1 (ko) 대장암에 대한 항암제 감수성 예측을 위한 신규 바이오마커
KR102355568B1 (ko) 베체트 장염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KR102202120B1 (ko) 알츠하이머 질환의 진단 또는 치료를 위한 Ube2h의 용도
KR20240173248A (ko) 알레르기비염 발생 여부 또는 발생 시기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 진단 키트, 정보제공방법 및 알레르기비염 예방 또는 치료제 선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