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20391A -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391A
KR20210120391A KR1020200037045A KR20200037045A KR20210120391A KR 20210120391 A KR20210120391 A KR 20210120391A KR 1020200037045 A KR1020200037045 A KR 1020200037045A KR 20200037045 A KR20200037045 A KR 20200037045A KR 20210120391 A KR20210120391 A KR 2021012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bs
message
terminal
communication
se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규
아닐 에기월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391A/ko
Priority to PCT/KR2021/003777 priority patent/WO2021194303A1/ko
Priority to US17/912,279 priority patent/US20230189395A1/en
Priority to EP21774236.0A priority patent/EP4102929A4/en
Publication of KR2021012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9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groups of terminals or 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MBS 통신에 대한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 Time of MBS Reconfigur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및 기지국 동작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과 기지국이 MBS 통신을 수행하는 중에 기지국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단말에게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재설정 메시지 등을 사용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으나,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초기 전송에서 성공적으로 전달이 되지 않아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지연 시간을 겪거나, 단말 별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어서 이로 인해 전송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전송 시간의 차이를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MBS 통신에 대한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동일한 MBS 통신의 데이터를 수시하는 단말들이 동시에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통신의 동작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MBS의 설정이 적용되는 시간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기지국과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기지국과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과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기지국과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 MBS 재설정 구간이 설정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S 통신의 동작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MBS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통신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나의 송신 장치가 여러 개의 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송신 장치는 기지국일 수 있고, 각각의 수신 장치는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송신 장치가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기지국 (gNB) (110)이 송신 장치이고 단말 (120, 130, 140, 150)이 수신장치인 경우의 MBS 통신을 수행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이러한 MBS 통신은, 불특정 다수를 위한 방송 (Broadcast)일 수도 있고, 특정한 다수의 수신 장치를 위한 멀티캐스트(Multicast)일 수도 있다. 만약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은 특정한 단말에게만 해당 멀티캐스트 패킷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해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특정한 멀티캐스트 통신을 수행할 단말의 집합이 설정될 수 있고,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멀티캐스트 그룹 (160)이라 칭한다.
멀티캐스트 그룹 내에 있는 단말들은 동일한 G-RNTI (Group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를 할당 받음으로써, 해당 G-RNTI로 할당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1 (120), 단말 2 (130), 단말 3 (140)이 하나의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설정되고, G-RNTI를 할당 받아서 기지국 (11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가정한다. 단말 4 (150)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G-RNTI를 할당 받지 못하고, 이에 따라 단말 1 (120), 단말 2 (130), 단말 3 (140)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를 단말 4 (150)는 수신할 수 없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그룹은 기지국 (110)의 커버리지에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고, 각각의 멀티캐스트 그룹은 G-RNTI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단말은 하나 이상의 G-RNTI를 기지국 (110)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단말은 연결 모드(RRC CONNECTED MODE)에서 뿐만 아니라 유휴 모드 (RRC IDLE MODE)나 비활성 모드 (RRC INACTIVE MODE)에서도, 연결 모드에서 할당 받은 G-RNTI 값을 사용하여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G-RNTI는 단말이 연결 모드에서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RRC 설립 (Setup), RRC 재설립 (Reestablishment)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에 포함되어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G-RNTI는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G-RNTI 값으로 포함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G-RNTI 값을 설정 받은 단말은, 이후부터 G-RNTI 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MBS의 설정이 적용되는 시간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지국 (200)은 다수의 단말에게 MBS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MBS 통신이 설정된 단말에게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단말 (UE, User Equipment) (210, 220, 230)이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은 이전 시점에 적용한 기존 설정(Old Configuration)을 기반으로 MB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으로는 MB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RNTI 값, G-RNTI로 수신하는 PTM (Point To Multipoint)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세부 설정, 그 외 MBS 통신을 위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값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 (25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 2에 나타나기 이전 시점에 각 단말이 RRC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존 설정 (240)을 적용하여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는 중에 기지국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단말에게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250) 도 2의 실시예에서는 RRC 재설정 메시지를 사용하여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가정했으나 해당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 형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기지국은 RRC 재설정 메시지 등을 사용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으나, 이 메시지가 단말에게 도착하는 시점은 각각 다를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초기 전송에서 성공적으로 전달이 되지 않아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지연 시간을 겪거나, 단말 별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전송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서 단말 1 (210)과 단말 2 (220)에게 전송되는 RRC 재설정 메시지는 동시에 초기전송이 수행되었지만 단말 1은 해당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반면, 단말 2는 해당 메시지의 초기 전송이 실패하여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성공적인 메시지의 수신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단말 3 (230)에 대한 RRC 재설정 메시지는 단말 1과 단말 2에 전송되기 시작한 시점과 다른 시점에 전송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각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 (New Configuration) (260)이 적용되는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MBS 통신의 송신 장치 역할인 기지국의 관점에서는 해당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은 하나의 시점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단말마다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이 달라진다면, 일부 단말이 적용하는 MBS 통신을 위한 설정과 기지국이 적용하는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단말이 일정 시간동안 정상적으로 MBS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MBS 통신의 데이터를 수시하는 단말들이 동시에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도 3은 기지국과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300)은 다수의 단말에게 MBS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MBS 통신이 설정된 단말에게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말 (310, 320, 330)이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은 이전 시점에 적용한 기존 설정(Old Configuration)을 기반으로 MB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으로는 MB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RNTI 값, G-RNTI로 수신하는 PTM (Point To Multipoint)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세부 설정, 그 외 MBS 통신을 위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값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 (350)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도 3에서는 도 3에 나타나기 이전 시점에 각 단말이 RRC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존 설정 (340)을 적용하여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는 중에 기지국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단말에게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350) 도 3의 실시예에서는 RRC 재설정 메시지(350)를 사용하여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가정했으나 해당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 형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기지국은 RRC 재설정 메시지 등을 사용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으나, 이 메시지가 단말에게 도착하는 시점은 각각 다를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초기 전송에서 성공적으로 전달이 되지 않아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지연 시간을 겪거나, 단말 별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전송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1 (310)과 단말 2 (320)에게 전송되는 RRC 재설정 메시지는 동시에 초기전송이 수행되었지만 단말 1은 해당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반면, 단말 2는 해당 메시지의 초기 전송이 실패하여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성공적인 메시지의 수신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단말 3 (330)에 대한 RRC 재설정 메시지는 단말 1과 단말 2에 전송되기 시작한 시점과 다른 시점에 전송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각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 (New Configuration)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 (300)이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은 하나의 시점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설정이 적용되는 시점 (355)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단말이 MBS 통신에 대한 새로운 설정이 적용되는 시점부터 해당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MBS 통신에 대한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 (355)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주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는 MBS 통신에 대한 설정을 전송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RRC 재설정 메시지 (350)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정보로는 대표적으로 SFN (System Frame Nubmer) 값이 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SFN 값을 전달받는 경우, 다가오는 미래에 처음 도달하는 해당 SFN을 가지는 SFN 경계 (Boundary)에 새로운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간을 구체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SFN 값 뿐만 아니라, 서브프레임 번호, 슬롯 번호, 심볼 번호 중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FN, 슬롯 번호, 심볼 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SFN의 해당 슬롯 번호에서 해당 심볼 번호가 시작하는 시점에 새로운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PCell에서 전달받은 SFN, 서브프레임 번호, 슬롯 번호, 심볼 번호가 지시하는 경계점을 기준으로 새로운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해당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사용하는 모든 단말은 동시에 새로운 설정(360)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해당 설정을 수신하는 즉시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위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나타냈듯이 단말 (410)은 기지국 (400)으로부터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 (420)를 수신하더라도 이 메시지에 지시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즉시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해당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기지국에게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디코딩을 완료한 경우 해당 설정의 수신을 완료하였다는 메시지 (430)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뿐만 아니라, 해당 설정을 적용할 예정이라면 해당 설정을 수신 완료하였다는 메시지를 트리거링 할 수 있다. 이후 전송이 가능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만약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가 RRC 재설정 메시지이고, 설정 수신 완료 메시지가 RRC 재설정 완료(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인 경우,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가 트리거링 되는 시점은 해당 메시지의 재설정이 완료된 시점이 아닌, 해당 메시지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이 되는 것이다. 만약 RRC 재설정 메시지에 MBS 통신을 위한 설정과 그 외 단말의 설정이 모두 포함되었다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은 정해진 설정의 적용 시점 (440)에 적용되지만, 그 외에는 단말의 설정은 RRC 재설정 메시지 (420)를 수신한 시점에 적용되고 그 이후에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 (430)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에 새로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한다. (440) 그리고 해당하는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이 적용되었음을 알리는 설정 적용 완료 메시지 (450)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메시지에는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 또는 MBS 통신 관련 설정이 적용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RRC 메시지에 의해 전송되거나, MAC CE (Medium Access Control - Control Element) 형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설정 수신 완료 메시지 (430)와 설정 적용 완료 메시지 (450)는 둘 중에 하나만 전송될 수도 있다. 둘 중 어떤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는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기지국과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500)은 다수의 단말에게 MBS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MBS 통신이 설정된 단말에게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말 (510, 520, 530)이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은 이전 시점에 적용한 기존 설정(Old Configuration)을 기반으로 MB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으로는 MB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RNTI 값, G-RNTI로 수신하는 PTM (Point To Multipoint)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세부 설정, 그 외 MBS 통신을 위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값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 (550)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도 5에서는 도 5에 나타나기 이전 시점에 각 단말이 RRC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존 설정 (540)을 적용하여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는 중에 기지국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단말에게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550) 도 5의 실시예에서는 RRC 재설정 메시지를 사용하여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가정했으나 해당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 형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의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에는 여러 개의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설정은 한 단말의 경우 한 시점에 하나만 적용될 수 있다. 이후에 어떤 설정을 적용할지 식별하기 위해, MBS 통신을 위한 각 설정은 설정 ID (Configuration Identity)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재설정 메시지 등을 사용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으나, 이 메시지가 단말에게 도착하는 시점은 각각 다를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초기 전송에 성공적으로 전달이 되지 않아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지연 시간을 겪거나, 단말 별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전송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1 (510)과 단말 2 (520)에게 전송되는 RRC 재설정 메시지는 동시에 초기전송이 수행되었지만 단말 1은 해당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반면, 단말 2는 해당 메시지의 초기 전송이 실패하여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성공적인 메시지의 수신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단말 3 (530)에 대한 RRC 재설정 메시지는 단말 1과 단말 2에 전송되기 시작한 시점과 다른 시점에 전송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각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 (New Configuration) 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 (500)이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은 하나의 시점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설정이 적용되는 시점 (555)을 모든 단말이 동일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단말이 MBS 통신에 대한 새로운 설정이 적용되는 시점부터 해당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MBS 통신에 대한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 (555)에 기지국이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서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를 전송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해야 함을 단말들에게 알려주는 방법을 나타낸다. (552) 이 DCI에는 550 단계에서 사전에 설정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실제 적용해야 함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550 단계에서 다수의 설정이 단말에게 전달되었다면, DCI에는 어떤 설정을 적용할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 ID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어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DCI는 사전에 설정된 G-RNTI로 지시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동일한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이 동시점에 DCI를 수신할 수 있다면, 다른 RNTI로 지시되는 DCI이어도 무방하다. 이 DCI는 그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이 모두 수신이 가능한 공통자원 형태의 DCI일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설정 받은 단말은 해당 DCI를 수신하는 즉시 해당하는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555)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해당 DCI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시간 후에 해당하는 설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사전에 설정된 시간 길이는 RRC 설정 등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PDCCH의 DCI는 전송의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DCI를 수신하는 단말은 동일 시점에 새로운 설정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기지국과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 (600)은 다수의 단말에게 MBS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MBS 통신이 설정된 단말에게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단말 (610, 620, 630)이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은 이전 시점에 적용한 기존 설정(Old Configuration)을 기반으로 MB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으로는 MB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RNTI 값, G-RNTI로 수신하는 PTM (Point To Multipoint)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세부 설정, 그 외 MBS 통신을 위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값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 (650)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도 6에서는 도 6에 나타나기 이전 시점에 각 단말이 RRC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존 설정 (640)을 적용하여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는 중에 기지국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단말에게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650) 도 6의 실시예에서는 RRC 재설정 메시지를 사용하여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가정했으나 해당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 형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의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에는 여러 개의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포함하여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설정은 한 단말의 경우 한 시점에 하나만 적용될 수 있다. 이후에 어떤 설정을 적용할지 식별하기 위해, MBS 통신을 위한 각 설정은 설정 ID (Configuration Identity)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재설정 메시지 등을 사용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으나, 이 메시지가 단말에게 도착하는 시점은 각각 다를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초기 전송에 성공적으로 전달이 되지 않아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지연 시간을 겪거나, 단말 별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전송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1 (610)과 단말 2 (620)에게 전송되는 RRC 재설정 메시지는 동시에 초기전송이 수행되었지만 단말 1은 해당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반면, 단말 2는 해당 메시지의 초기 전송이 실패하여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성공적인 메시지의 수신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단말 3 (630)에 대한 RRC 재설정 메시지는 단말 1과 단말 2에 전송되기 시작한 시점과 다른 시점에 전송되는 것을 가정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각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 (New Configuration) 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 (600)이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은 하나의 시점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설정이 적용되는 시점 (655)을 모든 단말이 동일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단말이 MBS 통신에 대한 새로운 설정이 적용되는 시점부터 해당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MBS 통신에 대한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 (655)에 기지국이 MAC CE를 전송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해야 함을 단말들에게 알려주는 방법을 나타낸다. (662) 이 MAC CE에는 650 단계에서 사전에 설정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실제 적용해야 함을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650 단계에서 다수의 설정이 단말에게 전달되었다면, MAC CE에는 어떤 설정을 적용할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 ID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은 어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MAC CE는 사전에 설정된 G-RNTI로 지시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동일한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이 동시점에 MAC CE를 수신할 수 있다면, 다른 RNTI로 지시되는 MAC CE이어도 무방하다. 이 MAC CE는 그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이 모두 수신이 가능한 공통자원 형태의 MAC CE일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설정 받은 단말은 해당 MAC CE를 수신하는 즉시 해당하는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655)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해당 MAC CE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사전에 설정 된 시간 후에 해당하는 설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사전에 설정된 시간 길이는 RRC 설정 등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MAC CE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로 인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나, 해당 지연 길이는 수 밀리초에 불과하여 전송의 안정성이 높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MAC CE를 수신하는 단말은 거의 동일 시점에 새로운 설정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기지국과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하기 위해 MBS 재설정 구간 (Reconfiguration Period)이 설정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게 MBS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MBS 통신이 설정된 단말에게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한 단말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MBS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은 이전 시점에 적용 받은 기존 설정을 기반으로 MB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으로는 MBS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RNTI 값, G-RNTI로 수신하는 PTM (Point To Multipoint)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세부 설정, 그 외 MBS 통신을 위한 설정 값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값은 RRC 재설정(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MBS 설정을 위한 시스템 정보 블록 (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서 해당 설정을 전송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 7에서는 도 7에 나타나기 이전 시점에 각 단말이 RRC 재설정 메시지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을 수신하여 기존 설정 (700)을 적용하여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그러는 중에 기지국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단말에게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750) 도 7의 실시예에서는 RRC 재설정 메시지를 사용하여 해당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 가정했으나 해당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블록 등 다른 메시지 형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기지국은 RRC 재설정 메시지나 시스템 정보 블록 등을 사용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으나, 이 메시지가 단말에게 도착하는 시점은 각각 다를 수 있다.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초기 전송에 성공적으로 전달이 되지 않아 재전송을 수행하게 되어 지연 시간을 겪거나, 단말 별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전달하는 메시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전송 시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이 새로운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은 하나의 시점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설정이 적용되는 시점이 각 MBS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단말들 간에 동일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단말이 MBS 통신에 대한 새로운 설정이 적용되는 시점부터 해당 설정 (770)을 적용할 수 있다. (760)
이를 위해 도 7의 실시예에서는 MBS 재설정 구간 (MBS Reconfiguration Period) 개념을 도입할 수 있다. MBS 재설정 구간의 주기는 SFN (System Frame Number)의 정수배 또는 시간 길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MBS 재설정 구간은 해당 주기마다 반복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MBS 재설정 구간의 주기가 n개의 SFN 길이로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이렇게 되면 n개의 SFN이 지나갈 때마다 새로운 MBS 재설정 구간이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0 MBS 재설정 구간은 SFN 0부터 SFN n-1까지 (710), 제 1 MBS 재설정 구간은 SFN n부터 SFN 2n-1까지 (720), 제 2 MBS 재설정 구간은 SFN 2n부터 3n-1까지 (730), 제 3 MBS 재설정 구간은 SFN 3n부터 4n-1까지 (740)가 될 수 있다. 만약 현재 SFN 값을 MBS 재설정 구간의 주기인 n으로 나누었을 때 몫을 m이라고 하면 해당 SFN 시간은 m번째 MBS 재설정 구간에 위치한다. MBS 재설정 구간의 주기는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RRC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수신한 후 실제 그 설정을 적용할 때까지 소요되는 MBS 재설정 구간의 길이 k를 추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 k 값은 시스템 정보 블록 또는 RRC 재설정 메시지에 포함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수신하는 경우 (750) 해당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k개의 완전한 MBS 재설정 구간을 지난 후에 수신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 x MBS 재설정 구간에서 수신하는 경우, 해당 재설정은 x+k+1번째 MBS 재설정 구간의 시작시점부터 적용할 수 있다. (x+k+1가 [(최대 SFN 값+1)/n보다 작지 않은 최소 정수]보다 클 경우, x+k+1을 [(최대 SFN 값+1)/n보다 작지 않은 최소 정수]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로 적용) 도 7에서는 제 0 MBS 재설정 구간에서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였고 (x=0), k가 1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 2 MBS 재설정 구간의 시작 시점에 수신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760, 770)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은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수신하는 경우 (750) 해당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k개의 MBS 재설정 구간을 지난 후에 수신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MBS 통신을 위한 새로운 설정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제 x MBS 재설정 구간에서 수신하는 경우, 해당 재설정은 x+k번째 MBS 재설정 구간의 시작시점부터 적용할 수 있다. (x+k가 [(최대 SFN 값+1)/n보다 작지 않은 최소 정수]보다 클 경우, x+k를 [(최대 SFN 값+1)/n보다 작지 않은 최소 정수]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로 적용) 도 7에서는 제 0 MBS 재설정 구간에서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였고 (x=0), k가 2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 2 MBS 재설정 구간의 시작 시점에 수신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760, 770)
도 7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결합하여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완료됨을 보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410)이 기지국 (400)으로부터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 (420, 750)를 수신하더라도 이 메시지에 지시된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즉시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해당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했다는 것을 기지국에게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여 디코딩을 완료한 경우 해당 설정의 수신을 완료하였다는 메시지 (430)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뿐만 아니라, 해당 설정을 적용할 예정이라면 해당 설정을 수신 완료하였다는 메시지를 트리거링 할 수 있다. 이후 전송이 가능한 상향링크 무선 자원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만약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가 RRC 재설정 메시지이고, 설정 수신 완료 메시지가 RRC 재설정 완료(RRC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인 경우,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가 트리거링 되는 시점이 해당 메시지의 재설정이 완료된 시점이 아닌, 해당 메시지의 수신이 완료된 시점이 되는 것이다. 만약 RRC 재설정 메시지에 MBS 통신을 위한 설정과 그 외 단말의 설정이 모두 포함되었다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은 정해진 설정의 적용 시점 (440, 760)에 적용하지만 그 외 단말의 설정은 RRC 재설정 메시지 (420, 750)를 수신한 시점에 적용하고 그 이후에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 (430)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MBS 통신을 위한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을 적용하는 시점에 새로운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한다. (440, 760) 그리고 해당하는 MBS 통신을 위한 설정을 적용했음을 알리는 설정 적용 완료 메시지 (450)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RRC 재설정 완료 메시지에 MBS 통신 관련 설정이 적용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이 포함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RRC 메시지에 의해 사용되거나, MAC CE (Medium Access Control - Control Element) 형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설정 수신 완료 메시지 (430)와 설정 적용 완료 메시지 (450)는 둘 중에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다. 둘 중 어떤 메시지를 사용할 것인지는 기지국이 사전에 설정 해 줄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810), 제어부 (820), 저장부 (8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8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8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8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820)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8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830)는 상기 송수신부 (8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82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910), 제어부 (920), 저장부 (9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9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9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920)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9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930)는 상기 송수신부 (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92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KR1020200037045A 2020-03-26 2020-03-26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ending KR20210120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45A KR20210120391A (ko) 2020-03-26 2020-03-26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CT/KR2021/003777 WO2021194303A1 (ko) 2020-03-26 2021-03-26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7/912,279 US20230189395A1 (en) 2020-03-26 2021-03-26 Method and device for time point for starting mbs configuration
EP21774236.0A EP4102929A4 (en) 2020-03-26 2021-03-26 MBS CONFIGURATION STARTUP INSTANT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045A KR20210120391A (ko) 2020-03-26 2020-03-26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91A true KR20210120391A (ko) 2021-10-07

Family

ID=7789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045A Pending KR20210120391A (ko) 2020-03-26 2020-03-26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89395A1 (ko)
EP (1) EP4102929A4 (ko)
KR (1) KR20210120391A (ko)
WO (1) WO2021194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69689B2 (en) * 2021-12-08 2024-08-2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multicast broad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0215C (zh) * 2005-04-21 2007-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媒体广播组播业务中的异频/异系统测量方法
CN101998244B (zh) * 2009-08-11 2013-05-1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配置mbms控制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US8885578B2 (en) * 2009-08-28 2014-11-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transmitting multicast broadcast service
KR101781194B1 (ko) * 2009-12-23 2017-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US8948073B2 (en) * 2010-03-04 2015-0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arrier of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KR101815088B1 (ko) * 2011-07-22 2018-0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존 구성 방법 및 그 장치
WO2014007692A1 (en) * 2012-07-03 2014-01-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MBMS CONTROL PLANE SYNCHRONIZATION
KR102178660B1 (ko) * 2013-10-16 2020-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bms 서비스 패킷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기법
CN106416358B (zh) * 2014-10-13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广播数据包的发送频度的方法、装置和终端
JP6456794B2 (ja) * 2015-03-31 2019-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462839B2 (en) * 2015-04-08 2019-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idelink terminal inform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tilizing the method
WO2017021939A1 (en) * 2015-08-05 2017-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information block enhancements
JP2019145870A (ja) * 2016-07-05 2019-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9121202A (zh) * 2017-06-26 2019-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组播数据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261841A (zh) * 2020-12-08 2023-06-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目标组播广播服务(mbs)通知信令
US11617159B2 (en) * 2020-12-30 2023-03-28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for multicast/broadcast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2929A4 (en) 2023-07-19
US20230189395A1 (en) 2023-06-15
WO2021194303A1 (ko) 2021-09-30
EP4102929A1 (en)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63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SGA retransmissions during two step random access proced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866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0479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procedure
TWI824044B (zh) 用於兩步隨機存取程序的訊息2和四步隨機存取程序的共存的方法、裝置及非暫時性電腦可讀取媒體
KR20240112798A (ko)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갭 설정 방법 및 장치
US103056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74867A (ko) 랜덤 액세스 절차를 위한 방법 및 장치
TW202121920A (zh) 用於非地面網路的波束配置和參數管理
KR20210068475A (ko) 비면허 캐리어에서 시스템 정보(si) 변경 통지 방법 및 장치
CN112753253A (zh) 用于更新波束配置信息的同步定时
KR201901214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3273248A (zh) 用于处理2步和4步随机接入之间的切换的方法和装置
US11659565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retransmission using adjacent configured grant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N105027657A (zh) 终端装置、基站装置、集成电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3475113A (zh) 处理多个活动bwp的方法和装置
KR20220160590A (ko) 멀티미디어 우선 순위 및 미션 크리티컬 서비스들에 대한 랜덤 액세스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EP4128571A1 (en) Beam sweep based random access msg 3 and msg 4
KR102664557B1 (ko) Dual Connectivity 지원 망에서 RRC_IDLE 상태 단말을 위한 SN(Secondary Node)에서의 V2X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N105009631A (zh) 基站装置、终端装置、集成电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3330804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释放分配用于随机接入的pusch资源的方法和装置
KR2022003764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부 기지국을 비활성화와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963283A (zh) 一种lte小区的实现方法
KR20210120391A (ko) Mbs 설정의 시작 시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391296B (zh) 用于两步随机接入规程的消息配置
EP4183077A1 (en) Feedback design for network coding termination in broad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