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950A - 뼈의 천공 구멍을 채우기 위한 임플란트 및 뼈의 천공 구멍을 채우기 위한 방법 (implant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and method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 Google Patents
뼈의 천공 구멍을 채우기 위한 임플란트 및 뼈의 천공 구멍을 채우기 위한 방법 (implant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and method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9950A KR20210119950A KR1020217014936A KR20217014936A KR20210119950A KR 20210119950 A KR20210119950 A KR 20210119950A KR 1020217014936 A KR1020217014936 A KR 1020217014936A KR 20217014936 A KR20217014936 A KR 20217014936A KR 20210119950 A KR20210119950 A KR 202101199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implant
- plate
- bone
- inner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75—Skull or crani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6—Plugs, i.e. elements forming interface between bone hole and implant or fastener, e.g.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reattaching pieces of the skul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04—Metals or alloys
- A61L27/06—Titanium or titanium allo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02—Inorganic materials
- A61L27/12—Phosphorus-containing materials, e.g. apati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A61F2002/30957—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using a positive or a negative model, e.g. moul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005—The prosthesis being constructed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53—Bone cement, e.g. polymethylmethacrylate or PMM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는 생체적합성 플레이트 및 지지구조를 포함한다. 지지구조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경을 정의하는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을 갖는 링-형상 내부 지지 프레임 및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에 임플란트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체결포인트를 갖는 외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외부 지지 프레임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연장된다.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방법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양한 이유로 환자의 두개골 아래쪽에 외과적 접근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천공 구멍(버어홀(burr hole)이라고도 함)은 두개골 천공기(본질적으로, 드릴)를 사용하여 두개골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개두술에서는 일시적으로 뇌에 접근하기 위해 골피판(bone flap)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러개의 천공 구멍이 만들어진다. 골피판은 먼저 두개골에 2개 이상(예를 들면, 3개)의 이격된 천공 구멍을 뚫어 형성된다. 천공 구멍은 천공 구멍과 함께 두개골을 통해 연속적인 절단선을 형성하여 골피판을 해제하는 톱 절단으로 연결된다. 골피판을 들어 올려 하부 조직에 접근할 수 있다. 절차가 끝나면 골피판을 (일반적으로) 교체하고 주변 두개골에 다시 부착한다. 재부착은 봉합사, 금속 와이어, 금속 플레이트, 금속 메쉬 또는 기타 수단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천공 구멍은 저절로 치유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온전한 두개골이 제공하는 보호 기능을 손상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골피판을 교체할 때,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천공 구멍은 또한 예를 들어 경막하 혈종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관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환자의 두개골에 만들어질 수도 있다. 배액관이 제거되면 천공 구멍(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것이 역시 바람직하다.
천공 구멍은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사인(autograph), 동소체(allograph) 또는 합성 비계 재료를 사용하여 채워지는 경우가 있다. 비계 전략에는 종종 금속 메쉬 또는 다공성 세라믹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나, 금속 메쉬를 사용하는 현재 전략은 조직 치유를 유도하지 않는다. 세라믹은 일반적으로 골전도 지지를 제공하는 데에만 사용되며 골피판을 인접한 두개골 뼈에 고정하지 않는다. 가장 일반적으로, 천공 구멍은 처리되지 않은 상태로 두게 된다.
대안으로서, 금속 지지 프레임과 생체적합성 시멘트 플레이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천공 구멍 임플란트는 아래의 출원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2013년 2월 28일자로 “이러한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뼈 조직의 구멍을 채우기 위한 임플란트 및 방법 (Implants 및 Methods for Using Such Implants to Fill Holes in Bone Tissue)”라는 제목으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보 제 2013/0053900A1 호 (“the ‘900 App.”); 2013년 2월 28일자로 "골 조직의 구멍을 채우기 위해 이러한 임플란트를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방법 (Implants 및 Methods for Using Such Implants to Fill Holes in Bone Tissue)”라는 제목으로 공개된 PCT 공보 제 WO 2013/027175 호 (“the ‘175 App.”); 2014년 8월 21일자로 "골 결함 교정을 위한 모자이크 임플란트, 키트 및 방법 (Mosaic Implants, K그의 및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라는 제목으로 공개된 PCT 공보 제 WO 2014/125381 호 (“the ‘175 App.”); 2016년 2월 18일자로 "골 결손 교정을 위한 뼈 임플란트 (Bone Implants for Correcting Bone Defects)”라는 제목으로 공개된 PCT 공보 제 WO 2016/024248 호 (“the ‘248 App.”). 상기 특허 공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뼈의 구멍을 채우기 위한 임플란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 및 기술이 존재할 수 있지만, 본 발명자들 이전의 어느 누구도 여기에 설명된 발명을 만들거나 사용한 적이 없다고 믿는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특정하고 명백하게 청구하는 청구 범위로 결론을 내리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취해진 특정 실시 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으로 믿어진다.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예를 들어 두개골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1의 임플란트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하부 평면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는 내부 및 외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7-9는 도 6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0은 도 7의 라인 10-10을 따라 취한 지지구조의 측단면도로서, 여기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지지 부재는 명확성을 위해 제거하였다.
도 11은 도 10의 지지구조의 측단면도로서, 도 10의 도면에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측단면도로서, 전체 임플란트를 (생체적합성 플레이트 포함) 도시한다.
도 13은 도 6의 지지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 및 15는 도 6의 지지구조의 내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명확성을 위해 제거하였다.
도 16은 도 6의 지지구조의 외부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은 명확성을 위해 제거하였다.
도 17은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8-21은 도 17의 임플란트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하부 평면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2 및 23은 도 17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3은 도 17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25a는 도 24의 임플란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5b는 도 25a의 임플란트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5a의 도면에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도 26은 도 24의 임플란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추가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의 임플란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8a는 도 28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플레이트 내에 위치된 지지 프레임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한다.
도 29는 도 27의 임플란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9a는 도 29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플레이트 내에 위치된 지지 프레임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한다.
도 29b는 도 27의 임플란트의 플레이트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플레이트의 구성을 더 잘 묘사하기 위해 지지구조를 생략하였다.
도 30 및 31은 도 27의 임플란트의 하부 평면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2는 도 27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a는 도 32의 지지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지지 부재가 아래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이다.
도 33은 도 32의 지지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3a는 도 32의 지지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지지 부재가 아래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이다.
도 33b는 도 33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지지구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도 32의 지지구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6a 및 36b는 도 27의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8-41은 도 37의 임플란트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하부 평면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2는 도 37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3-45는 도 42의 지지구조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및 하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6은 도 38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플레이트 내에 위치된 지지 프레임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한다.
도 47은 도 17-23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200), 도 27-36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400), 및 도 37-46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500) 중 2개를 사용하여 두개골에 재부착된 골피판(B)을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각각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유지 아일릿을 통해 골피판 내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골나사(bone screw) 및 임플란트의 유지 아일릿을 통해 골피판의 외부 둘레에 인접한 뼈 내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골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제자리에 고정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양상을 예시하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바의 정확한 배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도면에 반드시 도시되지 않은 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예를 들어 두개골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1의 임플란트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하부 평면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는 내부 및 외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도 7-9는 도 6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0은 도 7의 라인 10-10을 따라 취한 지지구조의 측단면도로서, 여기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지지 부재는 명확성을 위해 제거하였다.
도 11은 도 10의 지지구조의 측단면도로서, 도 10의 도면에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측단면도로서, 전체 임플란트를 (생체적합성 플레이트 포함) 도시한다.
도 13은 도 6의 지지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 및 15는 도 6의 지지구조의 내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명확성을 위해 제거하였다.
도 16은 도 6의 지지구조의 외부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은 명확성을 위해 제거하였다.
도 17은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8-21은 도 17의 임플란트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하부 평면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2 및 23은 도 17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23은 도 17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25a는 도 24의 임플란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5b는 도 25a의 임플란트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5a의 도면에서 90도 회전된 상태이다.
도 26은 도 24의 임플란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추가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의 임플란트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8a는 도 28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플레이트 내에 위치된 지지 프레임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한다.
도 29는 도 27의 임플란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9a는 도 29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여기에서 플레이트 내에 위치된 지지 프레임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한다.
도 29b는 도 27의 임플란트의 플레이트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플레이트의 구성을 더 잘 묘사하기 위해 지지구조를 생략하였다.
도 30 및 31은 도 27의 임플란트의 하부 평면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32는 도 27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2a는 도 32의 지지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지지 부재가 아래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이다.
도 33은 도 32의 지지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3a는 도 32의 지지구조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지지 부재가 아래로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이다.
도 33b는 도 33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지지구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5는 도 32의 지지구조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6a 및 36b는 도 27의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37은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8-41은 도 37의 임플란트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하부 평면도 및 하부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2는 도 37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3-45는 도 42의 지지구조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및 하부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46은 도 38과 동일한 도면으로서, 플레이트 내에 위치된 지지 프레임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한다.
도 47은 도 17-23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200), 도 27-36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400), 및 도 37-46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500) 중 2개를 사용하여 두개골에 재부착된 골피판(B)을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각각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유지 아일릿을 통해 골피판 내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골나사(bone screw) 및 임플란트의 유지 아일릿을 통해 골피판의 외부 둘레에 인접한 뼈 내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골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제자리에 고정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양상을 예시하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바의 정확한 배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도면에 반드시 도시되지 않은 방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에 대한 다음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버전의 기타 특징, 양상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버전은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상이하고 명백한 양상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은 다양한 수술 절차 동안 두개골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뼈의 천공 구멍(버어홀이라고도 함)을 채우기 위한 천공 구멍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두개골 일부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일반적으로 3개) 구멍이 생성된다. 그러면 천공 구멍은 천공 구멍과 함께 두개골을 통해 연속적인 절단선을 형성하는 톱 절단으로 연결되어 아래에 있는 조직에 접근할 수 있도록 들어 올려진 골피판을 해제한다. 본원에 기술된 임플란트(100, 200, 300, 400, 500)는 수술 절차 완료 후 골피판을 다시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7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4개의 임플란트(200, 400, 500)를 사용하는 골피판(B)의 재부착을 도시한다. 본 개시 내용의 임플란트는 또한, 예를 들어 경막하 혈종을 배출하기 위한 배액관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개별적인 천공 구멍과 같이, 기타의 목적을 위해 환자의 두개골에 만들어진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환자의 두개골에 생성된 단일 천공 구멍).
본 개시 내용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내부 및 외부 지지 프레임을 갖는 지지구조 및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내부 지지 프레임은 플레이트 내에 부분적으로 매립되고, 플레이트의 상부 주변부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의 다른 부분은 추가적인 강도 제공 및 플레이트의 무결성 유지를 위하여 환형부에서 플레이트 내로 연장된다. 내부 지지 프레임 및 플레이트는 천공 구멍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외부 지지 프레임은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지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경을 정의하는 외부 표면을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과 같은 회전 표면을) 갖는 링-형상 부재를 (예를 들어, 환형 링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외경은 플레이트의 외경보다 크다. 링-형상 방식은 플레이트의 외주 주위에서, 플레이트의 상부 주변 에지에서, 또는 플레이트의 상부 주변 에지 근처에서 연장되도록 배열되며, 링-형상 부재의 외부 표면은 노출된다 (즉, 플레이트 재료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링-형상 부재의 외부 표면은 천공 구멍에 삽입되기 이전에 플레이트의 외주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도 1-26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의 링-형상 부재는 천공 구멍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정밀한 크기로 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보호 링을 제공한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예를 들어, 도 27-45에서), 링-형상 부재는 천공 구멍의 외부 둘레를 커버하면서 천공 구멍의 외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외부 지지 프레임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노출된 외부 표면에 연결되고, 플레이트 및 링-형상 부재가 천공 구멍에 삽입된 이후에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체결포인트 형태의 유지 특징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체결포인트는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에 임플란트를 부착하기 위해 파스너가 (예를 들어, 골나사 또는 봉합사) 삽입될 수 있는 아일릿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골나사는 유지 아일릿을 통해 뼈 내로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예를 들어,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환자의 뼈 모양과 일치하도록, 및/또는 원하는 위치에 및/또는 원하는 방향으로 체결포인트를 배치하기 위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부분). 따라서, 일부 실시 예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의 요소는 변형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변형 영역을 포함하므로) 지지구조가 최적의 끼워맞춤을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외부 지지 프레임을 내부 지지 프레임의 노출된 외부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외부 지지 프레임을 내부 지지 프레임에 연결하는 요소는 (예를 들면, 스트럿은) 플레이트를 균열시키는 위험 없이 외부 지지 프레임을 조정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외부 지지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내부 지지 프레임 및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고 내부 지지 프레임 및 플레이트 주위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체결포인트를 (예를 들면, 유지 아일릿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또는 심지어 8개의 유지 아일릿이 다양한 패턴으로 내부 지지 프레임 및 플레이트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인접한 아일릿은 와이어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2개의 와이어 부재가 각각의 아일릿으로부터 연장되어 아일릿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와이어 부재 및 아일릿은 내부 지지 프레임을 둘러싸면서 내부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들 와이어 부재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링-형상 부분의 외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스트럿에 의해 부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각각의 아일릿은 하나 이상의 (예를 들어, 2개의) 와이어 부재에 의해 내부 지지 프레임에 (예를 들면, 내부 지지 프레임의 링-형상 부분의 외부 표면에)에 연결되며, 이들 와이어 부재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링-형상 부분의 외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스트럿에 의해 부착된다 (예를 들면, 임플란트(500)).
일부 실시 예에서, 링-형상 부재의 내경은 링-형상 부재가 플레이트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제어되고, 플레이트 재료가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을 커버하도록 제어된다 (즉, 링-형상 부재의 일부가 플레이트 내에 매립됨).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링-형상 부재의 내경은 (적어도 플레이트와 링-형상 부재의 교차부에서) 플레이트의 외주보다 약간 더 작게 되어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뿐만 아니라 링-형상 부재의 상부 표면의 일부분이 (및 선택적으로 바닥 표면의 일부분이) 플레이트 재료로 커버된다.
일부 실시 예의 내부 지지 프레임은 또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에 (예를 들어, 원통형 표면과 같은 회전 내부 표면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가 플레이트 내에 내장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가 단독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플레이트의 내부를 가로질러 걸쳐지도록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질러 내측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는 어떤 지지 부재도 플레이트의 중심축과 교차하지 않도록 링-형상 부재의 내부를 부분적으로만 가로질러 연장된다. 지지 부재는, 생체적합성 플레이트가 내부 지지 프레임의 링-형상 부재 내부를 채우도록 내부 지지 프레임 위로 그리고 그 주위로 몰딩되도록 (또는 기타 방식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내부 지지 프레임에 추가적인 강도와 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의 무결성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의 균열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 범위를 제한한다).
일부 플레이트 재료, 특히, 시멘트 조성물은 종종 평면을 따라 부서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는 단일 평면 - 특히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플레이트 내로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일부 실시 예에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가 제공되고, 여기에서 각각의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플레이트의 중심축(L)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각도로 (예를 들어, 0°보다 크고 20° 미만이거나 또는 0.5° 내지 15° 사이의 각도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내의 지지 부재의 깊이는 이들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복수의 각진 지지 부재는 내부 표면 주위에 배열된 위치로부터 링-형상 부재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이러한 지지 부재는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연장하더라도 동일한 평면에 놓이지 않게 된다. 다른 예에서, 지지 부재는 그들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만곡되어,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대한 그들의 각도가 지지 부재의 길이를 따라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플레이트 내로 연장됨에 따라 아래쪽으로 만곡되어, 지지 부재와 플레이트 재료 사이의 계면에서 잠재적인 파단면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각진 지지 부재 또는 만곡된 지지 부재에 대한 대안으로서), 지지 부재를 텍스처링할 수 있으므로 고르지 않은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고르지 않은 표면은 지지 부재에 대한 시멘트 접착력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지지 부재를 따라 연장되는 파단면을 따라 시멘트의 파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텍스처링은, 예를 들어, 표면 내 복수의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 및/또는 지지 부재에 대한 매끄러운 표면보다는 거칠어진 표면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내부 지지 프레임의 다른 표면은 (예를 들면,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은) 유사하게 텍스처링되어 플레이트 재료와 접촉하는 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부 실시 예에서, 천공 구멍 임플란트는 (a) 상부 표면, 바닥 표면,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 주위의 외부 회전 표면을 갖는 생체적합성 플레이트 및 (b) 지지구조로 이루어진다. 지지구조는: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링-형상 부재, 및 플레이트 내에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내측 지지 프레임; 및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에 임플란트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예를 들면, 2, 3, 4, 5, 6, 7, 또는 8개) 체결포인트를 포함하는 외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링형 부재는 링-형상 부재의 외경을 정의하는 노출된 외부 표면 및 링-형상 부재의 내경을 정의하는 내부 표면을 가지며, 외부 지지 프레임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유지 아일릿 형태로 된 외부 지지 프레임의 체결포인트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링-형상 부재의 노출된 외부 표면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 부재, 인접한 아일릿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연장될 수 있음, 여기에서 와이어 부재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스트럿에 의하여) 링-형상 부재의 외부 표면에 연결됨; 및/또는 스트럿. 지지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플레이트 내에서 지지 부재(들)의 깊이가 그 길이를 따라 변하도록,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각도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는 지지 부재와 플레이트 재료 사이의 계면에서 잠재적인 파단면의 형성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지지 부재는 각각의 지지 부재의 최하부 에지가 플레이트 최대 두께의 50% 미만, 40% 미만, 30% 미만 또는 20% 미만의 거리만큼 플레이트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플레이트 내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가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만곡되도록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제 1 및 제 2 연결 다리를 갖는 와이어 루프 형태로 될 수 있고, 제 1 다리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의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제 2 다리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의 제 2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과 제 1 및 제 2 다리의 교차부는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면, U-자형 지지 부재). 각각의 이들 지지 부재는 제 1 및 제 2 다리를 연결하는 내부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내부 세그먼트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다. 각각의 내부 세그먼트의 폭은 이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다리의 폭보다 크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플레이트의 최대 직경의 절반 미만인 거리로 연장된다. 따라서, 내부 지지 프레임이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지지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지 부재의 어떤 부분도 플레이트의 중심축과 교차하지 않도록 지지 부재가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임플란트의 무게를 (뿐만 아니라, 필요한 금속 또는 기타 지지구조 재료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유지 기능의 위치를 더 많이 조작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지 부재는 인접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감소된 단면 영역을 포함하여 변형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링-형상 부재가 절단 또는 스탬핑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시트 재료로 (예를 들면,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경우, 이러한 변형 영역은 지지 부재가 플레이트에 대하여 원하는 각도 (곡선 포함)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와이어"는, 단면 형상에 관계없이, 그의 폭 및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스트랜드, 로드, 스트럿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기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일부 실시 예에서, 임플란트의 특정 와이어는 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폭 및/또는 두께를 갖지 않으며, 모양이 불규칙한 세그먼트 또는 영역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와이어는 와이어의 유효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하는 주름진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는 반면, 다른 와이어는 더 큰 유연성의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감소된 폭 및/또는 두께의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는 임플란트에 더 큰 강성 및/또는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증가된 폭 및/또는 두께로 되는 세그먼트를 갖는다. 개별 와이어는 단일의 연속적인 구조의 형태로 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개별 필라멘트 또는 스트랜드가 결합되어 와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랩핑되거나 브레이드됨).
지지구조 및 생체적합성 플레이트 제작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재료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각각은 환자에게 임플란트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생체적합성 재료 중 임의의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지지구조는 다양한 금속 (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폴리머, 또는 2개 이상의 금속 및/또는 폴리머의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머, 세라믹, 및 금속의 다양한 유형 및/또는 조합을 포함하여, 환자에게 임플란트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흡수성(resorbable) 및/또는 안정한 (즉, 비-흡수성(non-resorbable)) 생체적합성 재료 중 임의의 것으로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플레이트를 내부 지지 프레임 상에 몰딩하는 수경성 시멘트 조성물과 같은 몰딩 가능한 바이오세라믹 또는 바이오폴리머 재료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됨) 및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부터 절단되거나 스탬핑된 지지구조로 구성된다.
도 1-16는 천공 구멍 임플란트(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천공 구멍 임플란트(100)는 외부 지지 프레임(120)과 내부 지지 프레임(14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구조(119) 및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도 6 참조). 도 1-5에서는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일부만을 볼 수 있는데, 나머지 부분은 플레이트(112) 내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매립된(embedded)"은 문제의 구조 또는 표면이 플레이트 재료로 커버되어 보이지 않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서는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외부 표면(144)만을 볼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외부 표면(144)은 회전 표면이고, 이 특정 예에서는 원통형 외부 표면(144)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원통형 표면"은 외부 표면(14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직원기둥 표면뿐만 아니라 테이퍼드 원기둥 표면도 포함한다는 것은 이해가능할 것이다 - 즉, 표면(144)의 외경은 그의 높이에 걸쳐 약간 테이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이퍼가 일정할 때 절두원추형 표면). 도 6-11 및 13은 지지구조(119)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것으로, 명확성을 위해 플레이트(112)를 생략하였다. 도 14 및 15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구성을 더 잘 묘사하기 위해 외부 지지 프레임(120) 및 플레이트(112)가 생략 된 내부 지지 프레임(140)을 도시한다. 도 16은 내부 지지 프레임(140) 및 플레이트(112)가 생략된 채로 외부 지지 프레임(120)만을 도시한다.
플레이트(112)는 상부 표면(113), 바닥 표면(114), 중심축(L), 및 중심축(L)에 대한 회전 표면을 포함하는 측벽(116)을 갖는다. 따라서, 플레이트(112)는 그의 중심축(L)에 수직인 임의의 평면을 통과하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도시된 특정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12)의 직경은 그 직경이 바닥 표면(114)에 인접하여 가장 작고 상부 표면(113)에 인접하여 가장 크도록 테이퍼진다. 플레이트(112)의 측벽(116)의 형상은 두개골 천공기로 일반적으로 만들어진 보어(bore)의 형상에 대체로 대응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원통형 섹션(직선형 또는 테이퍼드형 원통형)(117A), 하부 원통형 섹션(직선형 또는 테이퍼드형 원통형)(117B), 및 이들 사이에 연장되는 만곡된 전이 세그먼트(117C)를 포함한다. 따라서, 측벽(116)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오지 곡선 또는 시그모이드 곡선(ogee or sigmoid curve)에 가까운 형상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원통형 섹션(117A)은 몰드에서 플레이트(112)를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환자의 두개골 천공 구멍 내로 플레이트(112)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직경이 약간 테이퍼진다. 플레이트(112)가 직선형 또는 테이퍼드형 원통형 형태, 또는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형태 중 임의의 것으로 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는 회전하는 천공기/드릴에 의해 생성된 천공 구멍의 모양과 가장 가깝게 일치하게 되므로 플레이트(112)를 천공 구멍으로 꼭 알맞게 밀어넣을 수 있다.
지지구조(119)는 내부 지지 프레임(140)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이격된 외부 지지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도 6-13 참조). 내부 지지 프레임(140)은 링-형상 구조로 되는데, 링-형상 구조는 원통형 외부 표면(144) 및 상부 에지(146)를 갖는 환형 플랜지(142)를 포함한다 (도 14-15 참조). 내부 지지 프레임는 내부 지지 프레임(140)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플랜지(14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하부 에지(150)에서 종결되는 측벽(148)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측벽(148)은 본질적으로 환형이다. 그러나, 측벽(148)이 임플란트의 플레이트(112) 내에 매립되므로 (아래에 설명됨), 측벽(148)뿐만 아니라 제작된 임플란트(100)의 플레이트(112) 내에 위치되는 다양한 기타 특징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묘사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형태 중 임의의 것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148)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예를 들어, 육각형, 오각형 등) 링-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48)은 플레이트를 강화하고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벽(148)은 또한 내측으로 경사져서,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플랜지(142) 아래 부분이 직경이 테이퍼진다. 결과적으로, 경사진 측벽(148)의 내부 표면(151)은 본질적으로 환형이며, 내부 지지 프레임의 하부 에지(150)로부터 상부 표면(152)까지 위쪽으로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 예에서, 링-형상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은 경사지지 않고 (또는, 예를 들어 45° 미만, 35° 미만, 또는 20° 미만으로 약간만 경사짐) 따라서 내부 원통형 표면을 제공한다.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상부 표면(152)은, 도 10-11의 단면도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자체가 내부로 경사져있다. 그러나, 중심축(L)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한 상부 표면(152)의 경사도는 측벽(148)의 경사도보다 작다 (즉, 상부 표면(151)은 측벽(148)보다 안쪽으로 약간 덜 경사진다). 대안적으로, 상부 표면(152)은 편평하게 될 수 있다 (즉, 중심축(L)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함). 상부 표면(152)은 측벽(148)의 상부 내부 에지(153)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상부 에지(146)까지 연장된다 (도 13 참조).
측벽(148)의 하부 에지(150)는 불규칙하여 측벽(148)의 길이가 (즉, 상부 내부 에지(153)로부터 하부 에지(150)까지) 그 둘레에 대해 변화된다. 길이의 가변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순서대로 또는 무작위로 정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부 에지(150)는 불규칙하여 측벽(148)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반복 패턴으로 최대와 최소 사이에서 변화된다. 따라서, 하부 에지(150)는 대략 정현파 모양이다. 측벽(148)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그리고 불규칙한 하부 에지(150)를 제공함으로써, 측벽의 하부 에지(150)에 대응하는 평면을 따라 플레이트의 파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에지(150)의 대략적인 정현파 형태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기타 불규칙한 형태가 이용될 수 있다 - 특히 여기에서 하부 에지(150)는 임의의 방향으로 비-평면적이다 (즉, 하부 에지(150)는 어느 단면에서도 편평하지 않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하부 에지(150)는 평면적이다 (예를 들어, 하부 에지(150)의 전체가 중심축(L)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에 놓임).
일부 실시 예에서, 측벽(148)의 내부 표면(151) 및/또는 외부 표면(155)은 텍스처링되어 (즉, 매끄럽지 않음), 고르지 않은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고르지 않은 표면은 측벽(148)에 대한 시멘트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측벽(148)을 따라 연장되는 파단면을 따라 시멘트의 파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텍스처링은 표면 내 복수의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 형태로 될 수 있다. 도시된 특정 실시 예에서는, 측벽(148)의 내부 표면(151) 및 외부 표면(155) 모두의 상부에 범프 형태의 복수의 돌출부(160)가 제공된다. 물론, 리지(ridge), 리지와 결합된 범프, 및 유사한 유형의 텍스처링과 같은 다른 형태의 돌출부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텍스처링된 매끄럽지 않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접촉 표면을 거칠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14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162)를 포함하는 내부 지지구조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62)는 측벽(148)의 내부 표면(151)의 부분들 사이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질러 내측으로 연장된다. 지지 부재(162)는 생체적합성 플레이트가 내부 지지 프레임 위로 그리고 그 주위로 몰딩되도록 하여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를 채우도록 하면서 내부 지지 프레임(140)에 추가적인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이러한 지지 부재(162)가 제공되고, 측벽(148)의 내측으로 이격된 접합부(164)에서, 임플란트의 중심축(L)에서나 또는 그 근처에서 (즉, 지지구조(119)의 내부 중심에서나 또는 그 근처에서) 서로 접합된다. 그러나,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지지 부재가 임의의 개수 및 배열로 제공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62)는 또한 플레이트의 축에 대해 경사진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지지 부재가 제공되어 플레이트의 중심축(L)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각도로 (예를 들면, 0°보다 크고 20°보다 작은 각도 또는 0.5° 및 15° 사이의 각도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플레이트(112) 내에서 지지 부재(162)의 깊이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 또는 바닥 표면에 대해) 일정하지 않다.
측벽(148)과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162)는 선택적으로 텍스처링됨으로써 고르지 않은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고르지 않은 표면은 지지 부재(162)에 대한 시멘트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 부재(162)를 따라 연장되는 파단면을 따라 시멘트의 파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텍스처링은 표면 내 복수의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 형태로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지지 부재(162) 상에 하나 이상의 나선형 리지(166) 형태의 돌출부가 제공된다.
외부 지지 프레임(120)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에 임플란트를 부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체결포인트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지 아일릿(122) 형태로 된 한 쌍의 체결포인트가 제공된다. 유지 아일릿(122)은 골나사, 봉합사, 또는 기타 당업자에게 주지된 파스너와 같은 파스너를 통과시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유지 아일릿(122)은 임플란트(100)의 대향 단부에 위치되어, 유지 아일릿(122)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M)이 임플란트(100)의 중심축(L) 또한 가로지르도록 한다 (도 2 참조). 그러나,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의 주변에 대해 다양한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로부터 이격되게 아일릿(122) 또는 기타 체결포인트가 임의의 수로 제공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아일릿”은 폐쇄되거나 부분적으로 폐쇄된 (예를 들면, >60%, >70%, >80% 또는 >90%) 둘레를 갖는 개구를 의미하지만 특정 모양에 국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아일릿(122)은 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육각형, 눈물-방울형, 난형, 타원형 또는 기타 임의의 적절한 모양으로 될 수 있다. 물론, 아일릿(122)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기타 유형의 부착 구멍 또는 기타 체결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플란트(100, 200, 300, 400, 500)의 아일릿은 완전히 폐쇄된 것으로 기술되지만 (즉, 완전한 원을 형성함),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아일릿"은 '900 App.(미국 특허 공개 번호 제 2013/0053900A1 호)의 C-링처럼 (예를 들면, 도 11a의 개방 루프(1019')) 부분적으로만 폐쇄된 반-환형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외부 지지 프레임(120)은 한 쌍의 와이어 부재(124)를 더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임플란트(100)의 대향 측면을 따라 유지 아일릿(122)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와이어 부재(124) 및 아일릿(122)은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외부 표면(144)을 둘러싸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와이어 부재(124)와 내부 지지 프레임(140) 사이에 갭이 제공된다.
외부 지지 프레임(120)은 복수의 스트럿(126, 128)에 의해 내부 지지 프레임(140)에 연결된다. 엔드 스트럿(126A, 126B)은 임플란트(100)의 대향 단부에 위치된 엔드 스트럿(126A, 126B)과 함께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144)과 각각의 유지 아일릿(122)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한다. 임플란트의 양 측면을 따라, 유지 아일릿(122) 중간에, 측면 스트럿(128)이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외부 표면 (144)과 각각의 와이어 부재(124)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표면(144)의 높이보다 얇은 스트럿은 외부 표면(144)에 연결되어 스트럿(126, 128)의 상부 표면이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에지(146)와 대체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한다 (도 13 참조).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엔드 스트럿(126B)은 엔드 스트럿(126A)보다 더 넓고, 특히 선택적 레이저 소결 또는 선택적 레이저 용융과 같은 적층 제조 기술에 의해 지지구조가 제조되는 경우, 지지구조(119)의 제작 중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플랜지(142)쪽으로 폭이 증가된다. 내부 프레임의 외부 표면(144)과 외부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스트럿(126, 128)은 임의의 수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트럿의 수, 모양, 및 위치는 원하는 대로 변경될 수 있다.
천공 구멍 또는 기타 골 결손부에 임플란트(100)를 고정하기 위해, 플레이트(112)는 천공 구멍 내에 정렬가능하게 위치된다. 또한, 내부 지지 프레임의 노출된 외부 표면 표면(144)의 일부는 천공 구멍에 삽입되고, 와이어 부재(124) 및 유지 아일릿(122)의 바닥 표면은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의 표면에 위치된다. 그런 다음 임플란트는 유지 아일릿(122)을 통해 뼈 내로 압박되는 골나사에 의해 골 결손부를 둘러싸는 뼈에 고정된다. 그 결과, 임플란트는 제자리에 고정되고 플레이트는 천공 구멍 내에 단단히 위치되어 천공 구멍을 채우게 된다. 여기에 설명된 다른 임플란트 실시 예(200, 300, 400, 500) 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천공 구멍에 임플란트된다 (임플란트(400, 500)의 경우에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어떤 부분도 천공 구멍 내에 수용되지 않음). 2개 이상의 체결포인트를 갖는 실시 예에서, 일부 경우에는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모든 체결포인트를 모두 사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400)는 2개의 골나사(203)와 6개의 유지 아일릿 중 2개만을 사용하여 제자리에 고정된다 - 하나의 골나사는 임플란트를 골피판(B)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며 나머지 하나는 임플란트를 골피판에 인접한 뼈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천공 구멍을 둘러싼 뼈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각도로 그리고 종종 한 방향 이상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유지 아일릿(122) 및 와이어 부재(124)의 바닥 표면이 뼈에 대해 편평하게 (또는 거의 편평하게) 놓이도록 유지 아일릿(122) 및 와이어 부재(124)를 배향하기 위하여 외부 지지 프레임 부분을 구부리는 것이 종종 필요하거나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지지 프레임과 주변 뼈 사이의 틈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아일릿을 통해 주변 뼈 내로 구동되는 나사 또는 기타 파스너가 충분히 단단히 조여지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지 아일릿이 와이어 부재(124)의 바깥쪽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주변 뼈에 대하여 보다 단단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아일릿이 와이어 부재와 교차하는 지점에서 아일릿이 변형될 수 있고 (즉, 구부러질 수 있음), 이는 아일릿이 뼈의 외부 표면에 대해 같은 높이로 (또는 거의 같은 높이로)에 놓이도록 조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특히, 하나 이상의 아일릿이 주변 뼈와 더 잘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와이어 부재의 바닥 표면이 주변 뼈에 대해 가능한 한 편평하게 놓이도록 위치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아일릿의 더 나은 재배치가 필요한 경우, 하나 이상의 와이어 부재(124) 및 스트럿(126, 128)의 일부는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유지 아일릿 및/또는 와이어 부재가 천공 구멍을 둘러싼 뼈에 대해 더 잘 배향될 수 있다. 와이어 부재(124)와 스트럿(126, 128)이 플레이트(112)의 외부에서 (즉, 외부 표면(144)에서) 내부 및 외부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기 때문에, 와이어 부재 및 스트럿은 플레이트가 깨질 위험 없이 변형될 수 있다 (즉, 구부질 수 있다).
아일릿(122), 와이어 부재(124) 및/또는 스트럿(126, 128)의 일부는 필요에 따라 위쪽으로 및/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임플란트되기 이전에, 유지 아일릿(122)이 플레이트(112)의 상부 표면(113)의 평면에 대해 180° 미만의 각도로 배향되도록 하나 이상의 아일릿의 일부는 위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 두개골의 오목한 곡면에 위치되거나 이에 바로 인접한 천공 구멍에 (예를 들면, 광대뼈에 바로 인접한 접형골 내의 천공 구멍에) 임플란트를 삽입해야하는 경우, 이러한 구부림이 필요할 수 있다. 물론, 아일릿, 와이어 부재 및/또는 스트럿은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의 표면에 더 잘 맞도록 플레이트(112)의 균열 없이 다양한 방향 (예를 들어, 위쪽 또는 아래쪽) 및 각도 중 임의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외부 지지 프레임의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실시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126, 128)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변형 영역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변형 영역"은 구부러짐 (비틀림 또는 휨 포함), 신장 및/또는 압축과 같이 그 영역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용된 구조의 영역을 의미한다. 변형 영역은 감소된 단면을 (예를 들면, 감소된 폭 및/또는 감소된 두께를) 갖는 구조, 특히 스트럿(126, 128)의 영역이거나 또는 그러한 구조의 인접 영역에 비해 감소된 강성을 갖는 구조의 영역을 포함하여, 변형력이 가해지면 그 구조는 인접 영역이 아닌 변형 영역에서 변형되는 (예를 들면, 구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플란트에서 변형 영역은, 예를 들어, 감소된 단면 영역 - 감소된 단면이 폭, 두께 및/또는 직경의 감소이든 아니든 - 및 주름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각의 스트럿(126, 128)은 플랜지(140)의 외부 표면(144)에 인접한 감소된 두께 영역(130A, 130B, 132)으로 이루어지는 변형 영역을 포함하며, 이는 도 10 및 11에 가장 잘 도시된다. 각각의 감소된-두께 영역(130A, 130B, 132)은 내부 지지 프레임(120)의 외부 표면(144)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 스트럿(126, 128)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노치를 포함한다. 즉, 스트럿(126, 128)은 외부 표면(144)과 만나는 곳에서 가장 얇다. 감소된-두께 영역(130A, 130B, 132)은 또한 그들 각각의 스트럿(126, 128)의 전체 폭에 걸쳐 있으며 외부 표면(144)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중심축(L)에 대해) 대체로 구부러져 있다. 감소된-두께 영역(130A, 130B, 132)에 의해 제공되는 변형 영역은 유지 아일릿 및 와이어 부재의 바닥 표면이 뼈에 대해 가능한 한 편평하게 놓이게 되도록 유지 아일릿 및 와이어 부재의 배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이전에 구부림이나 다른 수동 조작에 의하여 외부 지지 프레임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변형 영역은 또한 나사가 (또는 다른 파스너) 임플란트 동안 아일릿을 통해 뼈 내로 구동됨에 따라 아일릿에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스트럿(126, 128)의 변형을 (예를 들어, 굽힘)을 용이하게 한다. 임플란트가 천공 구멍에 처음 삽입될 때 와이어 부재나 스트럿의 일부 및 하나 이상의 아일릿이 뼈와 같은 높이에 있지 않을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아일릿을 통해 뼈 내로 구동되는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임플란트가 뼈에 고정됨에 따라 아일릿의 바닥 표면뿐만 아니라 관련 스트럿(126A, 126B)의 바닥 표면 및 와이어 부재(124)의 인접 영역이 뼈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많은 경우, 이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이 그들의 변형 영역에서 구부러지게 하는 굽힘력을 초래한다. 따라서, 수동으로 가해지는 것이든 또는 임플란트를 뼈에 고정한 결과로 가해지는 것이든, 굽힘력은 하나 이상의 스트럿(126, 128)이, 플레이트(112)의 외부, 자신들의 변형 영역에서 구부러지도록 하여 플레이트(112)의 균열을 방지한다.
감소된-두께 영역(130, 132)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주름진 영역 형태의 변형 영역 또한 하나 이상의 스트럿 및/또는 와이어 부재(12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진 영역은 외부 지지 프레임의 추가 변형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플리츠(pleats)를 포함하고, 상부에 플리츠가 제공된 스트럿이나 와이어 부재의 주변 부분에 비하여 감소된 단면을 (예를 들면, 감소된 폭 및/또는 감소된 두께)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주름진 영역은 외부 지지 프레임의 변형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환자의 두개골 또는 기타의 뼈와 일치되도록 임플란트의 성형 및 아일릿의 재배치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부 지지 프레임의 주름진 영역을 국부적으로 늘어나게 하거나 압축되게 한다.
임플란트(100)는 변형 영역이 모든 스트럿(126, 128) 상에 제공되지 않도록 수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감소된-두께 영역은 스트럿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영역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스트럿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노치(notch) 또는 기타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감소된-폭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변형 영역이 감소된-두께 영역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스트럿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유형의 변형 영역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 부재(124)의 부분 상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일릿(122) 부분 상에 (즉, 아일릿의 둘레를 형성하는 재료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지지 프레임(120)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외부 지지 프레임이 임플란트 후의 뼈 표면에 안착되기 때문에, 외부 지지 프레임의 두께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좋은 심미적 결과를 얻고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실시 예에서는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외부 지지 프레임의 두께를 가능한 한 작게 한다. 따라서, 도 1-16의 실시 예에서 그리고 도 3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지지 프레임의 두께는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외부 표면(144)의 높이보다 작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약 0.2 내지 약 0.6 mm, 또는 약 0.3 내지 약 0.45 mm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외부 표면(144)은 약 0.5 내지 약 1.3 mm 또는 약 0.6 내지 약 1.0 mm의 두께를 갖는다.
일부 실시 예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의 외주 역시 테이퍼지므로 외부 지지 프레임이 그 외부 주변에서 가장 얇게 된다. 이는 도 10 및 11에 가장 잘 도시되는데, 여기에서 와이어 부재(124)의 외주(125)뿐만 아니라 유지 아일릿의 외주(123)가 테이퍼지므로 와이어 부재 및 유지 아일릿은 그들의 외측 에지에서 가장 얇게 된다. 이러한 테이퍼링은 주변 뼈의 표면과 임플란트의 상부 표면 사이에 매끄럽고 감소된 높이 전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임플란트의 피팅(fitting) 및 심미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예에서 와이어 부재(124) 및 유지 아일릿(122)의 외부 에지는 약 0.05 내지 약 0.3 mm, 또는 약 0.05 내지 약 0.15 mm의 두께를 갖는다.
다른 실시 예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의 두께는 일정하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특히 임플란트의 지지구조가 재료 시트(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다른 금속)를 절단 (예를 들어, 레이저를 사용), 스탬핑, 또는 기타 다른 방식으로 제조될 때, 외부 지지 프레임의 외주는 날카로운 에지를 제거하기 위해 둥글게 처리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내부 지지 프레임 주위로 플레이트를 몰딩(또는 형성)하기 이전에 지지구조를 텀블링(배럴 링이라고도 함)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지지구조(119, 219, 319, 419, 519) 중 임의의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의 단면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는 내부 지지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 지지 프레임이 플레이트(112) 내에 부분적으로 매립된다. 이 특정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62), 측벽(148) 전체, 및 대부분의 환형 플랜지(142) 대부분은 플레이트(112) 내에 매립된다. 플랜지(142)의 바닥 표면(145)의 작은 일부 및 외부 표면(144)만이 노출된다 (즉, 플레이트(112) 내에 위치되지 않음). 또한, 플레이트(112)의 상부 표면(113)은 내부 지지 프레임(140)의 상부 표면(152)의 적어도 대부분 그리고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전부에 걸쳐 연장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지지 부재, 측벽(148) (또는 링-형상 구조의 기타 내부 표면), 및 선택적으로 링-형상 구조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의 일부만이 플레이트 재료로 커버된다.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의 상부 표면(113)은, 특히 플레이트의 상부 외부 둘레에 대하여 (예를 들면, 임플란트 (400)에서와 같이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경우), 외부 지지 프레임(120)의 상부 표면(121)과 같은 높이(또는 거의 같은 높이)로 된다 (도 3 및 12 참조). 아일릿(122)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하게 될 수 있어서, 이를 통해 삽입된 나사의 헤드가 외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 표면(121) 위로 연장되지 않게 된다.
도 1-16의 실시 예는 거의 모든 천공 구멍(골피판과 관련된 천공 구멍 포함, 도 47 참조)을 채우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골피판과 연관되지 않은 천공 구멍을 채우는 데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천공 구멍의 전체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단단한 뼈(예를 들면, 환자의 두개골)가 있으므로 2개의 체결포인트로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 충분하게 된다 - 특히 임플란트는 아일릿을 원하는 위치에 (예를 들면, 각각의 아일릿 아래에 충분한 뼈가 있는 곳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천공 구멍에서 쉽게 배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 내용의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다른 실시 예는 플레이트 주위에 배열된 2개 이상의 체결포인트, 예를 들면, 3, 4, 5, 6, 7 또는 8개의 체결포인트(예를 들면, 유지 아일릿)를 갖는다. 일부 예에서,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체결포인트 사용을 허용하기 위하여 및/또는 180° 이격되어 위치되는 2개 이상의 다른 체결포인트 옵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 2개 이상의 체결포인트가 바람직하게 되거나 필요하게 될 수 있다. 골피판을 주변 두개골에 다시 부착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골피판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체결포인트뿐만 아니라 임플란트를 골피판에 인접한 환자의 두개골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체결포인트를 (즉, 적어도 4개의 체결포인트)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에서, 천공 구멍을 둘러싼 뼈의 모양, 두께, 및/또는 생존 가능성, 또는 골피판을 생성하는 데에 단일의 구멍이 사용되는지 또는 여러 구멍이 사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2개 이상의 체결포인트 옵션이 바람직하게 되거나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천공 구멍 임플란트는 3개 이상의 체결포인트를 갖도록 구성되지만, 임플란트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포인트 전부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대신에, 임플란트의 체결포인트 전부보다 작은 수의 체결포인트를 (예를 들면, 4개 중 2개, 6개 중 2개, 6개 중 4개 등) 선택할 수 있고, 뼈의 모양, 두께, 및/또는 생존 가능성을 기반으로 임플란트 고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체결포인트를 선택한다.
도 17-23은 골피판 재부착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4개의 체결포인트(유지 아일릿(222))를 갖는 천공 구멍 임플란트(200)의 대안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7 참조하면, 나사(203)를 사용하여 골피판(B)을 재부착하는 데 2개의 임플란트(200)가 사용되는 것이 도시된다). 도 17-23의 참조 번호는 이전 임플란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번호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예를 들면, 아일릿(222), 플레이트(212), 등)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임플란트(200)는 일반적으로 외부 지지 프레임(220) 및 내부 지지 프레임(24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구조(219) 및 생체적합성 플레이트(21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12) 및 내부 지지 프레임(240)은 전술한 실시 예의 플레이트(112) 및 내부 지지 프레임(14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플랜지(242) 바닥 표면의 작은 부분 및 외부 표면(244)만이 노출된다 (즉, 플레이트(212) 내에 매립되지 않음).
도 22 및 23은 지지구조(219)를 더욱 상세히 도시하는 것으로, 명확성을 위하여 플레이트(212)는 생략된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지지구조(219)는 내부 지지 프레임(240)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된 외부 지지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외부 지지 프레임(220)은 복수의 체결포인트를 포함하는데 - 이 예에서는 4개의 유지 아일릿(222) 형태로 된 체결포인트를 포함한다. 유지 아일릿(222)은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에 임플란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골나사, 봉합사, 또는 기타 당업자에게 주지된 파스너와 같은 파스너를 통과시켜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유지 아일릿(222)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배열로 임플란트(200)의 주위에 배열된다. 따라서, 제 1 쌍의 유지 아일릿(222A)은 임플란트(200)의 한쪽 에지를 따라 위치되고, 제 2 쌍의 유지 아일릿(222B)은 임플란트의 반대쪽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임플란트(200)를 사용하여 골피판을 재부착하는 경우, 한 쌍의 유지 아일릿을 통해 삽입된 골나사를 사용하여 골피판에 임플란트(200)를 고정하고, 나머지 쌍의 유지 아일릿을 통해 삽입된 골나사를 사용하여 재부착 부위에 인접한 두개골에 임플란트(200)를 고정하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212)는 골피판 개구부에 인접한 두개골과 골피판 사이에 연장되는 천공 구멍 내에 위치된다. 그러나, 일부 예에서, 특히 골피판을 재부착하기보다는 단일의 천공 구멍을 채우는 데에 임플란트(200)를 사용하는 경우, 임플란트(200)를 제자리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전체보다 적은 수의 유지 아일릿이 사용됨이 이해될 것이다.
유지 아일릿(222)은 도시된 직사각형 배열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일릿은 제 2 쌍의 아일릿(222B) 사이의 거리가 제 1 쌍의 아일릿(222A) 사이의 거리보다 크도록 사다리꼴 배열로 배열될 수있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쌍의 아일릿(222A, 222B)은 생체적합성 플레이트(212)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한 쌍의 아일릿이 다른 한 쌍보다 플레이트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는 대안적인 배열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23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가상의 직사각형의 중심이 플레이트(212)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도록). 아일릿은 또한 정사각형 배열로 배열될 수도 있다 (즉, 인접한 아일릿으로부터 등거리에 플레이트(212) 주위에 위치됨). 다양한 패턴으로 플레이트 주위에 배열되는 3개, 5개, 6개, 7개 또는 심지어 8개의 유지 아일릿처럼 4개 미만으로 또는 4개를 초과하여 아일릿(222)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전 실시 예에서와 같이, 외부 지지 프레임(220)은 제 1 쌍의 볼록하게 만곡된 와이어 부재(224)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유지 아일릿(222A)과 유지 아일릿(222B) 사이에서 연장되어 와이어 부재(224)가 임플란트 (200)의 대향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쌍의 오목한 형태의 와이어 부재(234A, 234B)도 제공된다. 와이어 부재(234A)는 제 1 쌍의 유지 아일릿(222A) 사이에서 연장되고, 와이어 부재(234B)는 제 2 쌍의 유지 아일릿(222B)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와이어 부재(224, 234A, 234B) 및 아일릿(222)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244)을 둘러싸며 그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다시 한번, 외부 지지 프레임(220)은 복수의 스트럿에 의해 내부 지지 프레임(240)에 연결된다. 엔드 스트럿(235A, 235B)은 와이어 부재(234A, 234B)과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244) 사이에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며, 본질적으로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244)과 연결되는 와이어 부재(234A, 234B)의 연장이다. 외부 지지 프레임(220)은 아일릿 스트럿(226)에 의하여 내부 지지 프레임(240)에 더욱 연결되며, 각각의 아일릿 스트럿(226)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244)과 유지 아일릿(222A, 222B) 사이에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한다. 따라서, 이러한 4개의 아일릿 스트럿(226)이 제공된다. 임플란트의 양쪽을 따라 유지 아일릿(222A)과 유지 아일릿(222B)의 중간에서, 측면 스트럿(228)이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244)과 각각의 와이어 부재(224) 사이에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한다. 이전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엔드 스트럿(235B)은 엔드 스트럿(235A)보다 넓고, 특히 SLM 및 유사한 추가 제조 기술에 의해 지지구조(119)가 제조되는 경우, 제작 중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플랜지(142)쪽으로 폭이 증가된다. 특히, 엔드 스트럿(235A, 235B)의 구성은 지지구조(219)가 SLM 제조 동안 자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전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스트럿(226, 228, 235A, 235B)은 외부 표면(144)의 높이보다 더욱 얇고, 외부 표면(144)에 연결되어 스트럿의 상부 표면이 내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 에지와 대체로 같은 높이로 (또는 거의 같은 높이로) 된다. 물론, 내부 프레임의 외부 표면(144)과 외부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스트럿은 임의의 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는 아일릿 스트럿(226)이 생략되어 외부 지지 프레임이 임플란트 이전에 조정의 목적으로 더욱 쉽게 변형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트럿의 수, 모양, 및 위치는 원하는 대로 변경될 수 있다.
외부 지지 프레임이 플레이트(212)의 외부에서 (즉, 외부 표면(244)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기 때문에, 와이어 부재 및 스트럿은 플레이트(212)의 균열 위험 없이 변형(즉, 구부림)가능하다. 이전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변형 영역은 외부 지지 프레임의 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랜지(240)의 외부 표면(244)에 인접한 스트럿(226, 228, 235A, 235B) 부분 상에 제공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전술한 실시 예와 유사하게, 각각의 스트럿(226, 228, 235A, 235B)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144)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스트럿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노치 형태의 감소된-두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변형 영역을 포함한다 (도 20 및 21 참조). 따라서, 스트럿(226, 228, 235A, 235B)은 원통형 외부 표면(244)과 만나는 곳에서 가장 얇다. 다시 한 번 말하자면,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감소된-두께 영역은 그들 각각의 스트럿의 전체 폭에 걸쳐 있으며 원통형 외부 표면(244)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대체로 만곡되어 있다. 엔드 스트럿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하여 그리고 지지구조(219)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개구부(256A, 256B)가 엔드 스트럿(235A, 235B)에 제공된다 (도 22 참조).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스트럿(226, 228, 235A, 235B) 상의 감소된-두께 영역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신하여, 주름진 영역 형태의 변형 영역 또한 임의의 스트럿 및/또는 와이어 부재(224, 234A, 234B)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변형 영역이 모든 스트럿(226, 228, 235A, 235B) 상에 제공되지 않도록 임플란트(200)가 수정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감소된-두께 영역은 스트럿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스트럿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노치 또는 기타 리세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감소된-폭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변형 영역이 감소된-두께 영역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스트럿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지지 프레임(220)의 외주 역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다. 외부 지지 프레임 둘레의 이러한 테이퍼링은 주변 뼈의 표면과 임플란트의 상부 표면 사이에 매끄럽고 감소된 높이 전이부를 제공함으로써 임플란트의 피팅(fitting) 및 심미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외부 지지 프레임은 약 0.2 내지 약 0.6 mm 또는 약 0.3 내지 약 0.45 mm의 두께를 가지며, 유지 아일릿(222) 및 와이어 부재(224)의 외부 에지는 약 0.05 내지 약 0.3 mm, 또는 약 0.05 내지 약 0.15 mm의 두께를 갖는다.
도 24-26은 천공 구멍 임플란트(3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임플란트(300)는 임플란트(200)와 구조가 거의 동일하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4개의 체결포인트(유지 아일릿(322))를 갖는 외부 지지 프레임(320)과 내부 지지 프레임(34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구조 및 생체적합성 플레이트(31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312) 및 내부 지지 프레임은 앞서 설명된 실시 예의 플레이트(112, 212) 및 내부 지지 프레임(140, 24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전 실시 예에서와 같이, 내부 지지 프레임의 플랜지(340) 바닥 표면의 작은 부분 및 외부 표면(344)만이 노출된다 (즉, 플레이트(312) 내에 매립되지 않음). 다시 한 번 말하자면, 도 14-26의 참조 번호는 이전 임플란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번호의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아일릿(322), 플레이트(312), 등).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이 외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 표면과 같은 높이로 (또는 거의 같은 높이로) 되고 임플란트(300)의 외부 지지 프레임(320)이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만곡되도록, 전술한 실시 예의 외부 지지 프레임은 제조된 대로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 212)의 상부 표면(113, 213)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었다. 도시된 특정 실시 예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축(N)을 중심으로 만곡되며 (도 26 참조), 이 축은 와이어 부재(334A, 334B)의 중심 및 이들 각각의 엔드 스트럿(335A, 335B)을 통해 임플란트의 상부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따라서, 스트럿(326, 328, 335A, 335B)은 외부 표면(344)의 높이보다 역시 더 얇고 엔드 스트럿(335A, 335B)의 상부 표면은 외부 표면(344)의 상부 에지와 대체로 같은 높이로 되지만, 아일릿 스트럿(326) 및 측면 스트럿(328)은 외부 표면(344) 상에서 순차적으로 아래쪽으로 위치된다. 특히, 측면 스트럿(328)의 바닥 표면은 외부 표면(344)의 하부 에지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고, 아일릿 스트럿(326)은 외부 표면(344)의 상부 및 하부 에지 중간에 위치된다. 그 결과, 와이어 부재(334A, 334B) 및 아일릿(322A, 322B)은 만곡되고, 그들의 바닥 표면은 (즉, 임플란트 후 환자의 두개골에 닿는 표면) 오목하게 구부러져 일반적인 두개골 영역의 곡률에 근접한다 (도 25a 참조). 임플란트(300)의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 부재(324)도 역시 만곡되지만, 일반적으로 곡률 축(N)을 따라 연장되기 때문에 더 적은 정도로 만곡된다. 대안적으로, 외부 지지 프레임은 측면 스트럿(328)의 상부 표면이 외측 표면(344)의 상부 에지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축(N)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만곡될 수 있다. 추가 대안으로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만곡되는 것과 같이 단순하거나 복잡한 다양한 곡률 중 임의의 것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술된 바와 유사한 변형 영역 역시 스트럿(326, 328, 335A, 335B) 및 외부 지지 프레임의 기타 부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지지 프레임이 만곡되도록 임플란트를 제작함으로써, 외부 지지 프레임은 환자의 두개골 곡률에 더 가깝게 될 수 있고, 따라서 외부 지지 프레임이 실질적으로 평면인 경우에 필요한 조정(즉, 변형)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27-36은 천공 구멍 임플란트(40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특히 골피판을 재부착하는 데 유용하게 6개의 체결포인트(유지 아일릿(422))를 갖는다 (도 47 참조, 여기에서 임플란트(400)는 6개의 아일릿 중 2개 및 한 쌍의 나사(203)를 사용하여 골피판(B)을 재부착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27-36의 참조 번호는 이전 임플란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번호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예를 들면, 아일릿(422), 플레이트(412), 등)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패턴으로 내부 지지 프레임 및 플레이트 주위에 배열되는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또는 심지어 8개의 유지 아일릿처럼 임의의 수의 아일릿이 이 실시 예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임플란트(400)는 일반적으로 내부 지지 프레임(440)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된 외부 지지 프레임(420)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구조(419) 및 생체적합성 플레이트(41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412)는 앞선 실시 예의 플레이트(112, 212)와 유사하게 구성되지만, 다소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플레이트(412)는 상부 표면(413), 바닥 표면(414), 중심축(L’), 및 중심축(L’)에 대한 회전 표면을 포함하는 측벽(416)을 가지며, 따라서, 그의 중심축(L’)에 수직인 임의의 평면을 통과하는 원형 횡단면을 갖는다. 플레이트(412)의 직경은 그 직경이 바닥 표면(414)에 인접하여 가장 작고 상부 표면(413)에 인접하여 가장 크도록 테이퍼진다. 플레이트(412)는 테이퍼드형 상부 원통형 섹션(417A), 테이퍼드형 하부 원통형 섹션(417B), 및 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만곡된 전이 세그먼트(417C)를 포함한다 (도 29b 참조). 상부 및 하부 섹션(417A, 417B)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테이퍼지며, 하부 섹션(417B)의 하부 에지(418)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피하기 위해 바닥 표면(414)과 만나는 것에서 반경을 갖는다. 상부 원통형 섹션(417A)의 테이퍼드 특성은 몰드에서 플레이트(112)를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천공 구멍 내로 플레이트(112)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구조(419)의 내부 지지 프레임(440)은 상술된 바의 내부 지지 프레임(140, 240)과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27-36의 실시 예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440)은 외부 표면(444), 내부 표면(451), 환형 상부 표면(452), 및 환형 바닥 표면(445)을 갖는 편평한 환형 링(442)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및 내부 표면(444, 451)은 회전 표면이며, 이 구체적인 예에서 원통형 표면이다. 외부 및 내부 표면(444, 451)은 직원기둥 표면 (즉, 비-테이퍼드형)으로 도시되지만, 이들 표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테이퍼드 원기둥 표면으로 될 수도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 예를 들면, 표면(444, 451)의 외경은 그의 높이에 걸쳐 약간 테이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테이퍼가 일정할 때 절두원추형 표면). 내부 지지 프레임(440)은 임플란트 중에 어떤 부분도 천공 구멍 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대신에, 내부 지지 프레임은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의 표면에 대하여 위치된 채로 천공 구멍 외부에 남게 된다.
환형 링(442) (즉, 그의 외면(444))은 플레이트 상단의 외경 (즉, 내부 지지 프레임의 바닥 표면(445)과 만나는 플레이트의 외경 및/또는 상부 표면(413)의 직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갖는다. 일 실시 예에서, 환형 링(442)은 플레이트(412)의 상단부 외경보다 약 0.03 내지 약 0.15 cm 더 큰 외경을 갖는다. 특정한 일 실시 예에서, 환형 링(442)은 플레이트(412)의 외경보다 약 0.07 내지 약 0.09 cm 더 큰 외경을 갖는다. 환형 링(442)의 폭 (즉, 링의 외경과 내경 간의 차이)은 링(442)이 플레이트(412) 내에 얼마나 매립될 것인지를 정의한다. 환형 링의 폭은 또한, 천공 구멍의 내벽과 플레이트 사이의 섬유 조직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의 외경과 천공 구멍의 직경 사이의 작은 갭이 환형 링(442)에 의하여 커버됨을 보장하도록 선택되며, 이는 천공 구멍의 내벽과 플레이트 사이의 갭에서 뼈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412)의 상단 외경은 적어도 환형 링(442)의 내경 (즉, 내부 표면(451))만큼 크게 되어, 환형 링(442)의 내부 표면(451)은 그 전체가 플레이트 재료로 커버된다. 내부 표면(451)과 플레이트(412) 사이에는 갭이 없다.
특히, 내측 지지 프레임 상에 플레이트를 몰딩함으로써 임플란트를 형성하는 경우, 플레이트(412)의 외부 표면과 링 사이에 갭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정밀한 치수로 플레이트를 몰딩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36a 및 36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링(442)의 상부 표면(452) 및 바닥 표면(445)의 일부는 플레이트 재료로 커버된다. 변형 영역 (예를 들면, 후술되는 노치(430A, 430B))가 환형 링(442) 상에 제공되는 경우, 플레이트 재료의 균열을 피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재료는 일반적으로 변형 영역을 커버하지 않아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환형 링(442)의 폭은 환형 링(442)의 환형 상부 표면(452) 폭의 75% 미만, 65% 미만, 50% 미만, 또는 30% 미만이 플레이트 재료로 커버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 예에서는, 링(442) 폭의 약 50%가 플레이트(412) 재료에 의해 커버된다 (도 36a 및 36b 참조). 그러나, 플레이트가 내부 지지 프레임 상에 몰딩될 때, 상부 표면(452) 위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재료의 양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형 링의 바닥 표면(445)을 커버하는 플레이트 재료의 양은 상부 표면(452)을 커버하는 양보다 적다 (예를 들면, 환형 바닥 표면(445) 폭의 65% 미만, 50% 미만, 또는 20% 미만).
외부 지지 프레임 (420)은 내부 지지 프레임 (440)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이격되며, 임플란트를 뼈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체결포인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유지 아일릿(422) 형태의 6개의 체결포인트가 제공된다. 유지 아일릿(422)은 골나사, 봉합사, 또는 기타 당업자에게 주지된 파스너와 같은 파스너를 통과시켜 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일릿(422)은 육각형 배열로 임플란트 주변에 고르게 배열된다. 따라서, 인접한 아일릿(422)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은 육각형을 형성하고, 아일릿은 그 꼭지점에 위치된다 (도 30 참조). 임플란트(400)를 사용하여 골피판을 재부착하는 경우, 임플란트(400)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2개 이상(예를 들면, 6개 전부 또는 6개 미만)의 유지 아일릿을 통해 골나사를 삽입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지 아일릿(422)은 도 30에 도시된 육각형 배열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아일릿(422)이 생체적합성 플레이트(412)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하나 이상의 아일릿이 나머지보다 플레이트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는 대안적인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아일릿(422)은 그 사이로 연장되는 와이어 부재(434)에 의해 2개의 인접한 아일릿 각각에 연결된다. 각각의 와이어 부재(434)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435)에 의해 환형 링(442)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와이어 부재(434)는 인접한 아일릿(422) 사이의 직선을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와이어 부재(434)는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 - 이 경우,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오목하게 만곡된다 (그리하여, 지지구조(419)가 재료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부재(434)를 환형 링에 연결하는 스트럿(435)은 와이어 부재의 대략 중간점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와이어 부재(434A)는 제 1 및 제 2 아일릿(422A, 422B)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 1 스트럿(435A)에 의해 환형 링(442)에 (와이어 부재의 중간점에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와이어 부재(434B)는 제 2 및 제 3 아일릿(422B, 422C)을 연결하고, 제 2 와이어 부재(434B)는 제 2 스트럿(435B)에 의해 환형 링(442)에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 부재(434)와 아일릿(422)이 함께 내부 지지 프레임의 환형 링(442)을 둘러싸고 있다.
외부 지지 프레임이 플레이트(412) 외부에서 (즉, 환형 링(442)의 외부 표면(444)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기 때문에, 와이어 부재(434) 및 스트럿(435)은 플레이트(212)가 균열될 위험 없이 변형 (즉, 구부러짐) 가능하다. 다시 한 번 말하자면, 변형 영역은 유지 아일릿 및 와이어 부재가 주변 뼈의 곡률과 더 잘 일치하도록 유지 아일릿 및 와이어 부재를 배향하기 위해 변형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감소된 단면 영역(폭 및/또는 두께)과 주름진 영역을 포함하여, 전술한 유형의 변형 영역 중 임의의 것이 사용가능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 33b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아치형 노치(430A)가 와이어 부재(434)에 제공되고, 노치는 와이어 부재(43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지지구조의 중심을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 2 아치형 노치(430B)는 와이어 부재(434), 인접한 스트럿(435)의 일측, 및 스트럿(435)에 인접한 환형 링(442)의 일부 내로 연장된다. 제 3 아치형 노치(430C)는 와이어 부재(434), 인접한 스트럿(435)의 대향측, 및 스트럿(435)의 대향측에 인접한 환형 링(442)의 일부 내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감소된-폭 영역 형태로 3개의 변형 영역이 제공된다 (도 33a에서 점선으로 표시됨): 제 1 노치(430A)와 제 2 노치(430B) 사이에 연장되는 하나; 제 1 노치(430A)와 제 3 노치(430C) 사이에 연장되는 하나; 및 하나는 제 2 노치(430B)와 제 3 노치(430C) 사이에 연장되는 하나. 이러한 3개의 변형 영역이 나머지 와이어 부재(434) 및 스트럿(435)에 유사하게 제공되어, 외부 지지 프레임(420)이 내부 지지 프레임(440)에 부착되는 지지구조의 변형을 허용한다. 노치에 의해 제공되는 변형 영역은 외부 지지 프레임으로 하여금 임플란트 이전에 구부림에 의하여 조정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가 뼈에 부착될 때 변형되도록 하여 유지 아일릿 및 와이어 부재의 바닥 표면이 가능한 한 뼈에 대해 편평하게 놓이도록 한다.
임플란트(400)의 내부 지지 프레임(440)은 또한 플레이트 내에 매립된 내부 지지구조를 포함한다. 내부 지지 프레임(440)은, 전술한 임플란트(100, 200, 300)에 사용된 것과 유사하게 (즉, 지지 부재(162)와 유사함), 그의 내부 표면(451)의 부분 사이에서 내부 환형 링(442)의 내부를 가로질러 내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러나,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462)가 환형 링(442)의 내부 표면(45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지지 부재(462)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각도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플레이트 내에서 지지 부재(462)의 깊이는 그의 길이를 따라 변하게 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는 환형 링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므로, 지지 부재가 그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만곡된다. 지지 부재(462)는 기계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플레이트를 보강하는 한편, 플레이트가 내부 지지 프레임 위로 그리고 그 주위로 몰딩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4개의 지지 부재(462)가 환형 링(442)의 내부 주위에 배열된다. 도 33b에서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 부재(462)는 와이어 루프의 형태로 되며, 이러한 와이어 루프는 환형 링(442)의 내부 표면(451)의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 1 다리(462A), 내부 표면(451)의 제 2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 2 다리(462C), 그리고 제 1 및 제 2 다리(462A, 462C)의 내부 단부를 연결하는 아래쪽으로 경사진 내부 세그먼트(462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다리(462A, 462C)와 내부 표면(451)의 교차점은 이격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462)의 제 1 및 제 2 다리(462A, 462C)는 환형 링(442)의 중심축을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환형 링(442)의 중심을 향해 폭이 증가된다. 또한, 내부 세그먼트(462B)의 폭은 제 1 및 제 2 다리(462A, 462C)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각각의 지지 부재(462)는 일반적으로 위에서 볼 때 U-자형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33).
각각의 지지 부재(462)는 환형 링(442)의 내부 표면(451)으로부터 플레이트(412)의 최대 직경의 절반 미만의 거리만큼 내측으로 연장되어, 그들의 내부 세그먼트(462B)가 플레이트 내에서 서로 이격되게 한다. 따라서, 지지 부재(462)는 플레이트 내부에서 서로 접촉하거나 중첩되지 않는다 (대안적인 구성에서는 지지 부재가 플레이트의 중심 근처에서 중첩되도록 지지 부재가 상이한 범위로 구부러지는 것이 허용됨). 일부 실시 예에서, 아래쪽으로 구부러지기 이전에 각각의 지지 부재(462)의 길이(Z)는 (도 33a 참조) 환형 링(442) 내경의 약 20% 내지 약 45% 사이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길이(Z)는 환형 링(442)의 내경의 약 30% 내지 약 35% 사이로 된다.
또한, 지지 부재(4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만곡되어, 각각의 지지 부재의 최하부 에지(463)가 (즉, 내부 세그먼트(462B)의 내부 에지가) 플레이트(412)의 바닥 표면(414)으로부터 플레이트(412) 최대 두께의 50% 미만인 거리만큼 이격된다 (도 29a 참조). 다른 실시 예에서, 최하부 에지(463)는 플레이트(412)의 바닥 표면(414)으로부터 플레이트(412) 두께의 40% 미만, 30% 미만, 또는 20% 미만인 거리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환형 링(442)의 상부 표면(452)으로부터 각각의 지지 부재(462)의 최하단 에지(463)까지 측정된 내부 지지 프레임(440)의 깊이(X)는 (도 29a 참조) 플레이트(412) 최대 두께의 50%, 60%, 또는 65%를 초과한다. 그러나, 내부 지지 프레임(440)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가 임의의 수 및 배열로 제공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지지 부재(162)는 선택적으로 텍스처링됨으로써 고르지 않은 표면을 제공할 수 있고, 고르지 않은 표면은 지지 부재(462)에 대한 시멘트 접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지지 부재(462)를 따라 이어지는 파단면을 따라 시멘트 균열 방지를 돕는다. 이러한 텍스처링은 전술한 나선형 리지 또는 심지어 거칠어진 (즉, 매끄럽지 않은) 표면처럼 표면 내 복수의 돌출부 및/또는 함몰부 형태로 될 수 있다.
도 32a 및 33a는 편평한 시트 재료로 (예를 들어, 티타늄) 제작된 지지구조(419)를 도시한다. 초기에는 지지 부재(462)가 지지구조 전체와 동일한 평면에서 편평하다. 지지구조가 시트 재료로부터 절단 또는 스탬핑된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형성된) 이후, 각각의 지지 부재(462)는 도 32 및 34에 도시된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구부러진다. 지지 부재는 손으로 또는 임의의 다양한 도구 및/또는 지그를 사용하여 구부릴 수 있다 (지지 부재가 원하는 방향으로 적절히 구부러지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462)의 굽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 부재의 제 1 및 제 2 다리(462A, 462C)가 환형 링(442)의 내부 표면(451)과 교차하는 곳에 변형 영역(465)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변형 영역은 아치형 노치(465A, 465B)를 포함하며, 아치형 노치(465A, 465B)는 지지 부재(462)의 제 1 및 제 2 다리(462A, 462C)의 외부 말단 단부 대향측에 제공되어, 제 1 및 제 2 다리(462A, 462C)가 내부 표면(451)을 교차하는 감소된-폭 영역을 생성한다. 물론, 아치형 노치(465A, 465B) 대신으로 또는 이에 추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변형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7-46은 2개의 체결포인트(유지 아일릿(522))를 갖는 천공 구멍 임플란트(500)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37-46에서 참조 번호는 이전 임플란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번호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아일릿 (522), 플레이트 (512), 등).
도 37-46의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512) 및 내부 지지 프레임(540)은 전술한 임플란트(400)의 플레이트(412) 및 내부지지 프레임(440)과 동일하다. 따라서, 지지구조(519)의 내부 지지 프레임(540)은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4개의 내부 지지 부재(562) 및 환형 링(542)을 포함하며, 내부 지지 부재(562)는 위에서 설명한 지지 부재(462)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지지구조(519)의 제작 후에 임플란트(400)에 대해 전술한 방식으로 지지 부재(562)를 아래쪽으로 구부리는 것을 포함).
그러나, 이 실시 예에서, 외부 지지 프레임(520)은 파스너를 통과시켜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지 아일릿(522) 형태의 한 쌍의 체결포인트를 포함한다. 유지 아일릿(522)은 유지 아일릿(522)의 중심을 교차하는 가상의 선이 플레이트의 중심축과도 교차하도록 임플란트(500)의 대향 단부에 위치된다. 외부 지지 프레임(520)의 각각의 아일릿(522)은 그들 사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534)에 의해 환형 링(542)의 외부 표면(544)에 연결된다. 각각의 아일릿을 환형 링에 연결하는 와이어 부재(534)는 환형 링(542)에 인접한 와이어 부재(534) 사이의 거리가 아일릿(522)에 인접한 와이어 부재(534)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되도록 서로 멀어지게 분기된다. 와이어 부재(534)는 인접한 아일릿(522)과 환형 링 사이의 직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 예에서의 와이어 부재(534)는 약간 오목하게 만곡된다. 이러한 동일한 배열이 (각각의 아일릿을 환형 링에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가) 2개 이상의 아일릿 (예를 들어, 3개, 4개 또는 5개의 아일릿)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될 것이다.
외부 지지 프레임이 플레이트(512)의 외부(즉, 환형 링(542)의 외부 표면(544))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에 연결되기 때문에, 와이어 부재(534)는 플레이트(512)의 균열 위험 없이 변형(즉, 구부러짐)될 수 있다. 다시 한 번 말하자면, 외부 지지 프레임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변형 영역이 제공되어 유지 아일릿 및 와이어 부재가 주변 뼈의 곡률에 더 잘 맞도록 배향될 수 있다. 감소된 단면 영역(폭 및/또는 두께) 및 주름진 영역을 포함하여 전술된 유형의 변형 영역 중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도 42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아치형 노치(530A)는 와이어 부재(534)의 내부 단자 단부의 일측 및 와이어 부재에 인접한 환형 링(542)의 일부 내로 연장된다. 제 2 아치형 노치(530B)는 와이어 부재(534)의 내부 단자 단부의 대향측 및 와이어 부재의 그 측에 인접한 환형 링(542)의 일부로 내로 연장된다. 그 결과, 와이어 부재(534)의 내부 단자 단부와 환형 링의 외부 표면(544) 사이에 짧은 스트럿(535)이 형성되고, 짧은 스트럿은 환형 링(542)의 중심축을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짧은 스트럿(535)이 연장되어 나오는 와이어 부재(534)의 폭에 비하여 짧은 스트럿(535)이 갖게 되는 감소된 폭 및 환형 링에 대한 짧은 스트럿(535)의 반경 방향 연장 특성(와이어 부재(534)의 내부 단자 단부에 거의 접선 방향 배향에 비하여)으로 인하여, 짧은 스트럿(535)은 각각의 와이어 부재(534)가 환형 링과 만나는 변형 영역을 제공한다. 물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변형 영역이 아치형 노치(530A, 530B)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지지구조(119, 219, 319, 419, 519)는 환자에게 임플란트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생체적합성 물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어 다양한 금속, 폴리머, 또는 2개 이상의 금속 및/또는 폴리머의 복합 재료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카프로락톤, 티타늄, 티타늄 합금 (예를 들면 Ti-6Al-4V), 스테인리스강 및 니티놀과 같은 형상 기억 합금과 같은 생체적합성 및/또는 생분해성 폴리머가 포함된다. 지지구조는 단조, 주조, 몰딩, 압출, 절단 (레이저 절단 포함), 에칭, 스탬핑, 용접, 적층 제조 기술,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지지구조(119, 219, 319, 419, 519)는 일정한 두께의 단일 지지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소정 패턴으로 스탬핑되거나 절단된 (예를 들면, 자동화된 프로그램-가능한 레이저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 시트로 형성된다. 그러한 지지구조(예를 들면, 419 또는 519)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구조(419, 519)는 약 0.2 내지 약 0.6 mm, 또는 약 0.3 내지 약 0.45 mm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제조 기술에 적합한 금속은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예를 들면, 등급 1, 2, 3, 4, 5 또는 23 티타늄)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지지구조(119, 219, 319, 419, 519)는 절단, 에칭, 스탬핑, 몰딩,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형성된 폴리카프로락톤과 같은 생분해성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 212, 312, 412, 512)를 몰딩하기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몰드 네거티브 및 지지구조(119, 219, 319, 419, 519)는 적층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때로는 3D 프린팅이라고도 함). 스테레오리소그래피, 융합 적층 모델링 (융합 필라멘트 제조라고도 함), 선택적 레이저 소결 (직접 금속 레이저 소결 포함), 선택적 레이저 용융( "SLM"), 전자빔 용융, 및 기타 당업자에게 주지되었거나 이후에 개발된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적층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 레이저 용융은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기타 금속으로 지지구조(119, 219, 319)를 제작하는 데에 특히 유용하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은 폴리아미드로 네거티브 몰드를 제작하는 데에 유용한 한 편, 융합 증착 모델링은 예를 들어 PLA 또는 ABS로 네거티브 몰드를 제작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지지구조는 단일의 일체적인 구조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2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 (예를 들면, 내부 및 외부 지지 프레임) 제작될 수 있다.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지지구조 상에 제공될 수 있으나, 플레이트를 내부 지지 프레임 상으로 또는 그 주위로 몰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지지구조(119, 219, 319, 419, 519)가 제작되면, 지지구조는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 212, 312, 412, 512)에 적합한 형태의 몰드 내에 배치된다. 그 다음 플레이트는 내부 지지 프레임(140, 240, 340, 440, 540) 상에서 몰딩된다. 외부 지지 프레임의 일부가 피팅을 위하여 구부질 때 플레이트가 파손될 위험을 사실상 제거하는 것 및 플레이트의 후프 응력에 저항하는 것 이외에도, 내부 지지 프레임의 노출된 외부 표면(144, 244, 344, 444, 544)은 몰딩 공정을 단순화한다. 특히, 내부 및 외부 지지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트럿이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 212, 312, 412, 512) 내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몰딩 중에 플레이트 재료가 스트럿을 커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가드 또는 기타 덮개로 스트럿을 (또는 지지구조의 기타 부분을) 커버할 필요가 없다. 외부 표면(144, 244, 344, 444, 544)이 노출된 회전 표면의 형태로 되므로, 플레이트 몰드는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즉, 플레이트 재료로 커버되지 않는) 내부 지지 프레임(140, 240, 340, 440, 540)의 부분을 꼭 맞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144, 244, 344, 444, 544)과 몰드의 외벽 사이에 갭이 없으므로 몰딩 중에 플레이트 재료가 외부 표면을 커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내부 지지 프레임의 노출된 외부 표면(144, 244, 344, 444, 544)은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에 결함없이 플레이트의 몰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의 상부 에지를 보호한다 (예를 들면, 상부 에지의 균열 방지). 임플란트(100, 200, 300)의 경우, 노출된 외부 표면(144, 244, 344)은 또한 임플란트 동안 천공 구멍에 부분적으로 피팅될 수 있는 매끄러운 원통형 표면을 제공한다.
생체적합성 플레이트(112, 212, 312, 412, 512)는 채워질 천공 구멍의 크기에 따라 임의의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를 천공 구멍에 쉽게 삽입하고 삽입 중에 플레이트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천공 구멍에 삽입될 플레이트 부분의 최대 외경은 일반적으로 천공 구멍의 직경보다 약간 작아야 한다 (예를 들면, 약 0.3 내지 약 1.5mm 더 작음).
예를 들어, 플레이트 상단의 외경은 (즉, 상부 표면(113, 213, 313, 413 513)의 직경 및/또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바닥 표면(145, 245, 345, 445, 545)과 만나는 플레이트의 외경)의 내부 지지 프레임은) 약 0.7 내지 약 1.7 cm 사이로 될 수 있고, 플레이트 하단의 직경은 약 0.5 내지 약 1.4cm 사이로 된다. 임플란트(400, 500)의 특정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상단의 외경은 약 1.25 내지 약 1.35 cm 사이로 되고 (14 mm 천공 구멍에 피팅하기 위하여), 임플란트(400, 500)의 다른 특정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상단의 외경은 약 0.95 내지 약 1.05 cm로 된다 (11mm 천공 구멍에 피팅하기 위하여). 임플란트(100, 200, 300)의 특정 실시 예에서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노출된 외부 표면(144, 244, 344)의 일부가 천공 구멍에 삽입되고,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144, 244, 344)의 외경이 유사한 치수로 될 수 있다 (약 1.25 내지 약 1.35 cm 사이 또는 약 0.95 내지 약 1.05 cm 사이). 이러한 치수를 통해 임플란트를 일반적인 직경(11 mm 또는 14 mm)의 천공 구멍에 삽입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12, 212, 312, 412, 512)는 약 0.2 내지 약 0.5 cm 사이 또는 약 0.25 내지 약 0.35 cm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플레이트의 중심에서 측정됨).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113, 213, 313, 413, 513)은 편평하게 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13, 213, 313), 또는 전형적인 두개골 부분의 곡률에 가깝게 약간 볼록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413, 513). 볼록하게 만곡된 상부 표면을 갖는 일부 실시 예에서, 이러한 곡률로 인하여 플레이트(112, 212, 312, 412, 512)는 그의 외부 에지에서의 두께에 비해 그 중심에서 약 0.02 내지 약 0.07 cm 더 두껍게 된다. 따라서, 볼록하게 만곡된 경우에도,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은 일반적으로 유지 아일릿의 상부 표면과 수평을 이루며 (외부 지지 프레임의 변형 이전에),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은 유지 구멍의 상부 표면의 높이의 약 0.1 cm 이하로 위쪽으로 연장되거나 약 0.05 cm 이하로 위쪽으로 연장된다 (측면에서 볼 때, 예를 들면, 도 29a). 플레이트의 바닥 표면(114, 214, 314, 414, 514)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편평하지만, 필요에 따라 약간 만곡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천공 구멍 임플란트의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폴리머, 세라믹, 및 금속의 다양한 유형 및/또는 조합을 포함하여 다양한 흡수성 및/또는 안정한 (즉, 비-흡수성) 생체적합성 재료 중 임의의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는 골전도성 및/또는 골유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골전도 물질은 뼈 세포가 그 상부에서 부착, 이동, 성장, 및 분열하여 플레이트 표면에 새로운 뼈를 형성하는 스캐 폴드 역할을 한다. 골유도성 물질은 플레이트 주위에 새로운 뼈 형성을 유도한다. 골전도성 및/또는 골유도성 플레이트 재료는 플레이트와 주변 뼈 사이의 갭에서 뼈 성장을 촉진한다. 더욱이, 이러한 물질은 골피판과 주변 두개골 사이의 갭을 막음으로써 주변 뼈, 특히 주변 뼈와 연결되지 않은 뼈 피판의 흡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몰딩 가능한 바이오 세라믹 또는 바이오 폴리머 물질로 구성된다. 바이오 세라믹 재료는 세라믹 분말을 소결하여 생산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 복잡한 형상을 생산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대안으로, 바이오 세라믹은 시멘트 경화 및 경화 반응과 같은 화학 반응에 의해 세라믹 재료가 형성되는 화학 결합 경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수경성 시멘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이오 세라믹 재료는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를 몰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는 황산 칼슘, 인산 칼슘, 규산 칼슘, 탄산 칼슘,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Ca-염으로 이루어지는 시멘트 전구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더욱 기재된 바와 같이,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지지 프레임 부분의 주위에 시멘트 조성물을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분말 시멘트 전구체 조성물은 비-수성 수혼화성 액체 또는 물과 비-수성 수혼화성 액체의 혼합물과 결합된다. 그 다음, 혼합물은 지지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몰드에 부어지거나 주입되고, 지지 프레임 주위에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물-함유조(water-containing bath)에서) 경화된다.
플레이트 몰딩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시멘트 조성물은, 예를 들어, 2014년 6월 19일에 "시멘트-형성 조성물, 모네타이트 시멘트, 임플란트, 및 골결손 교정 방법 (Cement-Forming Compositions, Monetite Cements, Implan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이라는 제목으로 공개된 PCT 공보 제 WO 2014/091469 A1 호에 기재되어 있다. 플레이트 몰딩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시멘트 조성물은 저장 안정성 예비 혼합 수경성 시멘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저장 안정성 예비혼합 수경성 시멘트 조성물, 시멘트, 방법, 및 제품 (Storage Stable Premixed Hydraulic Cement Compositions, Cements, Methods, and Articles)"이라는 제목으로 2013년 3월 14일에 공개된 PCT 공보 제 WO 2013/035083 A2 호에 기재되어 있다. 플레이트 몰딩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시멘트 조성물은, 예를 들어, 골결손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임플란트 (Implan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Tissue Defects)라는 제목으로 2011년 9월 15일에 공개된 PCT 공보 제 WO 2011/112145 A1 호, 및 “유압 시멘트, 방법, 및 제품 (Hydraulic Cements, Methods and Products)”이라는 제목으로 2010년 5월 20일에 공개된 PCT Pub. No. WO 2010/055483 A2 호 및 '175 App.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플란트의 플레이트를 몰딩하기 위한 또 다른 적합한 시멘트 조성물은 "시멘트-형성 조성물, 인회석 시멘트, 및 골결손 교정 방법 및 임플란트 (Cement-Forming Compositions, Apatite Cements, Implan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라는 제목으로 2017년 3월 30일에 공개된 PCT 공보 제 WO 2017/051356 호에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 출원 및 간행물 각각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성물은 모네타이트-형성 칼슘-계 전구체 분말 및 비-수성 수혼화성 액체를 포함하는 인산 칼슘 시멘트-형성 조성물이다. 하나의 특정 실시 예에서, 모네타이트-형성 칼슘-계 전구체 분말은, 피로인산 이칼슘 분말(본원에서는 피로인산 칼슘이라고도 함)의 전구체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40:6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2 내지 30 중량%까지의 단칼슘 인산염 단수화물 (monocalcium phosphate monohydrate, MCPM) 및/또는 무수 모노칼슘 포스페이트 (anhydrous monocalcium phosphate, MCPA) 및 β-인산 삼칼슘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분말 대 액체(wt/vol) 비율은 2 내지 6 g/ml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조성물은 모네타이트-형성 칼슘-계 전구체 분말을 포함하고 수성 액체와 혼합되거나 수성 액체에 노출되어 경화를 달성하도록 조정되는 인산 칼슘 시멘트-형성 조성물이다. 특정 일 실시 예에서, 모네타이트-형성 칼슘-계 전구체 분말은 피로인산 이칼슘 분말(본원에서는 피로인산 칼슘이라고도 함)의 전구체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40:60 내지 60:40의 중량비로 2 내지 30 중량%까지의 단칼슘 인산염 단수화물 (monocalcium phosphate monohydrate, MCPM) 및/또는 무수 모노칼슘 포스페이트 (MCPA) 및 β-인산 삼칼슘을 포함한다.
다공성이 뼈 성장(bone in-growth) 및 생체 내 흡수 시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몰딩된 플레이트의 다공성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은 전구체 조성물에서 모노칼슘 포스페이트 입자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및/또는 전구체 조성물에 하나 이상의 포로겐(porogen)을 첨가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몰딩된 플레이트는 40 내지 50%의 다공성을 가지며, 다른 실시 에에서 다공성은 약 46%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 예에서, 모네타이트-형성 칼슘-계 전구체 분말 혼합물은, 선택적으로 최대 20%의 물을 (총 액체 부피 기준) 포함하는 글리세롤과 같은 비-수성 수혼화성 액체와 혼합된다. 혼합 후, 전구체 혼합물은 지지 프레임이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몰드에 주입된다. 그런 다음 채워진 몰드를 수조에 넣는 등 물에 노출시키고 시멘트가 경화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실온 수조에서 24 시간). 그런 다음 임플란트를 몰드로부터 제거합니다. 글리세롤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물에 담그는 것과 같은 추가 처리가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이렇게 형성된 임플란트 플레이트는, β-인산 삼칼슘 및 소량의 브러사이트 (CaHPO4 2H20) (예를 들면, 2 wt.% 미만 또는 1 wt.% 미만)와 같은 다양한 양의 기타 물질과 함께, 모네타이트 (CaHPO4) 및 2-30 wt.%의 피로인산 이칼슘을 포함하게 된다 (브러사이트는 임플란트 이전에 오토클레이브에서 임플란트를 멸균할 때 모네타이트로 전환된다). 일부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는 적어도 65 wt.%, 적어도 70%, 적어도 75%, 적어도 80%, 적어도 85%, 또는 적어도 90% 모네타이트를 포함한다. 피로인산 이칼슘의 존재는 플레이트의 원치 않는 빠른 흡수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골유도성을 제공한다 (즉, 피로인산 이칼슘을 포함하지 않는 유사한 모네타이트 제제와 비교하여, 플레이트 주변과 플레이트 사이의 새로운 뼈 성장을 촉진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는, 적어도 70 wt.%의 모네타이트 및 3 내지 30 wt.%의 피로인산 이칼슘을 포함하는,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 적어도 80 wt.%의 모네타이트 및 3 내지 20 wt.%의 피로인산 이칼슘을 포함하는, 경화된 모네타이트 시멘트로 형성된다. 경화된 모네타이트 시멘트는 β-인산 삼칼슘(β-TCP)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 예에서, 경화된 모네타이트 시멘트는 적어도 75 wt.%의 모네타이트, 3 내지 20 wt.%의 피로인산 이칼슘, 및 1 내지 15 wt.%의 β-TCP, 또는 적어도 80 wt.%의 모네타이트, 3 내지 15 wt.%의 피로인산 이칼슘, 및 3 내지 12 wt.%의 β-TCP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피로인산 이칼슘은 β-피로인산 이칼슘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경화된 모네타이트 시멘트는 모네타이트-형성 전구체 분말로 형성되며, 모네타이트-형성 전구체 분말은 모노칼슘 포스페이트, β-TCP, 및 전구체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30 wt.%, 또는 3 내지 20 wt.%의 피로인산 이칼슘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전구체 분말 내 모노칼슘 포스페이트 및 β-TCP의 중량비는 40:60 내지 60:40 범위이며,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45:55 내지 52:48 범위이다. 추가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모노칼슘 포스페이트는 모노칼슘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는 1 내지 30 wt.%의 피로인산 이칼슘을 포함하는 경화된 인회석 시멘트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경화된 인회석 시멘트는 80 wt.%를 초과하는 인회석을 포함한다. 경화된 인회석 시멘트는 β-인산 삼칼슘(β-TCP)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경화된 인회석 시멘트는 80 wt.%를 초과하는 인회석, 1 내지 15 wt.%의 β-인산 삼칼슘, 및 1 내지 15 wt.%의 β-피로인산 이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피로인산 이칼슘은 β-피로인산 이칼슘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경화된 인회석 시멘트는 인산 칼슘 시멘트-형성 조성물로 형성되며, 인산 칼슘 시멘트-형성 조성물은 α-인산 삼칼슘 및/또는 사칼슘 인산염, 및 전구체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30 wt.%의 피로인산 이칼슘 분말로 이루어지는 인회석-형성 칼슘-계 전구체 분말을 포함한다.
여러 장치 및 그 구성 요소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설명된 구성 요소, 특징, 구성 및 설명된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위에서 제공된 문맥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장치 중 하나의 맥락에서 설명된 구성 요소, 특징, 구성, 및 사용 방법은 다른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지지 프레임은 전술한 실시 예의 외부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지지 프레임의 지지 부재 배열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외부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 및 내부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462)는 지지 부재(162)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양한 실시 예의 플레이트 배열은 상호교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112) 대신 플레이트(412)를 사용). 더욱이, 추가적이고 대안적인 적절한 구성 요소, 특징, 구성, 및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이 결합되고 상호교환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에 비추어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에서 다양한 버전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및 시스템의 추가 적응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수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수정 중 몇 가지가 언급되었으며, 다른 것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400: 임플란트
412: 플레이트
413: 상부 표면
420: 외부 지지 프레임
422: 유지 아일릿
434: 와이어 부재
435: 스트럿
412: 플레이트
413: 상부 표면
420: 외부 지지 프레임
422: 유지 아일릿
434: 와이어 부재
435: 스트럿
Claims (65)
- (a) 외경을 갖는 생체적합성 플레이트; 및
(b) 지지구조;로 이루어지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로서,
지지구조는:
(i) 링-형상 내부 지지구조
링-형상 내부 지지구조는
-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경을 구획하는 외부 표면, 및
- 내부 표면을 가짐;
및
(ii) 외부 지지 프레임
외부 지지 프레임은 플레이트가 삽입된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에 임플란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채택된 복수의 체결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지지 프레임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연장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은 링-형상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이 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되도록 상기 플레이트 내에 부분적으로 매립되고, 상기 내부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위치하는 영역이 플레이트에 의해 채워지고, 또한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은 플레이트 외부에서 플레이트의 상부 주변부 주위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 바닥 표면, 중심축, 및 상기 중심 축 주위의 외부 회전 표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체결 포인트는 유지 아일릿(retention eyelet)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지 프레임은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로 연장되며, 상기 아일릿은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지 프레임은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며, 복수의 와이어 부재 각각은: (i) 한 쌍의 상기 유지 아일릿 사이; 또는 (ii) 유지 아일릿과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 사이; 중 하나 사이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며, 복수의 와이어 부재 각각은 한 쌍의 상기 유지 아일릿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7에 있어서, 인접한 아일릿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 부재는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6에 있어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복수의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부재 중 적어도 2개는 각각의 유지 아일릿과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3, 4, 5, 6, 7 또는 8개의 유지 아일릿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은 복수의 와이어 부재 및 외부 지지 프레임의 대향 단부에 위치한 한 쌍의 상기 유지 아일릿을 포함하고, 각각의 와이어 부재는: (i) 한 쌍의 상기 유지 아일릿 사이; 또는 (ii) 유지 아일릿과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 사이;에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8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의 외주 둘레에 배열된 6개의 상기 유지 아일릿 및 6개의 상기 와이어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와이어 부재는 와이어 부재 및 아일릿이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도록 인접한 유지 아일릿 사이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외부 지지 프레임을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하는 복수의 스트럿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8에 있어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상기 와이어 부재를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하는 복수의 스트럿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외부 지지 프레임은 상기 와이어 부재를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하는 복수의 스트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부재 각각은 상기 유지 아일릿 중 하나에 연결된 제 1 단부 및 상기 스트럿 중 하나에 연결된 제 2 단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지 프레임은 외부 지지 프레임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변형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6-9, 11, 12, 14 또는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지지 프레임의 상기 와이어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와이어 부재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변형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3-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중 하나 이상은 스트럿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변형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변형 영역은 감소된 단면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변형 영역은 하나 이상의 상기 와이어 부재 상에 위치한 감소된 두께 영역 또는 감소된 폭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변형 영역은 상기 스트럿에 위치한 감소된 두께 영역 또는 감소된 폭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 와이어 부재를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하는 상기 스트럿 각각은 스트럿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변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영역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상기 외부 표면에 바로 인접한 스트럿 상에 위치한 감소된 두께 영역 또는 감소된 폭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4, 15 또는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와이어 부재는 와이어 부재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변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영역은 와이어 부재를 내부 지지 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연결하는 스트럿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 감소된 두께 영역 또는 감소된 폭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6-9, 11, 12, 14, 15, 17, 20, 22 또는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 바닥 표면,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 주위의 외부 회전 표면을 가지며, 추가로 상기 와이어 부재 각각은 플레이트의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오목하게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내부 지지 프레임은 편평한 환형 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 바닥 표면,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 주위의 외부 회전 표면을 가지며, 추가로 내부 지지 프레임의 상기 편평한 환형 링은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직각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25 또는 26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지 프레임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상기 편평한 환형 링과 동일 평면 상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1-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가 직경이 가늘어지도록 내부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에지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그리고 안쪽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각각의 상기 유지 아일릿 및 상기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을 가지며, 여기에서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이 상기 유지 아일릿의 상부 표면 높이에서 약 0.1 cm 이하로 위쪽으로 또는 약 0.05 cm 이하로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은 유지 아일릿의 상부 표면과 대체로 수평을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링-형상 내부 지지 프레임은 상기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환형 상부 표면을 가지며, 추가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환형 상부 표면의 일부분 위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링-형상 내부 지지 프레임의 환형 상부 표면 폭의 75% 미만, 65% 미만, 50% 미만 또는 30% 미만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링-형상 내부 지지 프레임은 상기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환형 상부 표면을 가지며, 여기에서 상기 환형 상부 표면은 플레이트의 내부를 향해 아래로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은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플레이트 내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 바닥 표면,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 주위의 외부 회전 표면을 가지며; 추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는, 플레이트 내에서 지지 부재의 깊이가 그 길이를 따라 변하도록,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각도로 내부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은 플레이트 내에서 각각의 지지 부재의 깊이가 그 길이를 따라 변하도록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주위에 이격되는 복수의 상기 지지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3-3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플레이트의 최대 직경의 절반 미만인 거리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3-3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제 1 및 제 2 연결 다리를 갖는 와이어 루프 형태이고, 제 1 다리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의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제 2 다리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의 제 2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안쪽 및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여기에서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다리의 교차부는 이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7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각각의 지지 부재의 최하부 에지가 플레이트 최대 두께의 50% 미만, 40% 미만, 30% 미만 또는 20% 미만의 거리만큼 플레이트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플레이트 내로 아래쪽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3-3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3-3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감소된 단면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은 내부 지지 프레임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접합부에서 상기 플레이트 내에서 서로 접합된 복수의 상기 지지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외부 지지 프레임의 외주는 외부 프레임이 그의 외주에서 가장 얇도록 테이퍼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a) 상부 표면, 바닥 표면 및 중심축을 갖는 생체적합성 플레이트; 및
(b) 지지구조;로 이루어지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로서,
지지구조는:
(i) 내부 지지 프레임
내부 지지 프레임은
-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링-형상 부재,
상기 링-형상 부재는 링-형상 부재의 외경을 정의하는 노출된 외부 표면 및 링-형상 부재의 내경을 정의하는 내부 표면을 가짐,
- 상기 플레이트 내에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함;
및
(ii) 외부 지지 프레임
외부 지지 프레임은 플레이트가 삽입된 천공 구멍을 둘러싸는 뼈에 임플란트를 부착하기 위하여 채택된 복수의 체결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지지 프레임은 링-형상 부재의 외부 표면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연장됨; 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플레이트 내에서 지지 부재의 깊이가 그 길이를 따라 변하도록, 플레이트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각도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 프레임은, 플레이트 내에서 각각의 지지 부재의 깊이가 그 길이를 따라 변하도록,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의 주위에서 이격되는 복수의 상기 지지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 또는 44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플레이트의 최대 직경의 절반 미만인 거리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4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지지 부재가 그들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만곡되도록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4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제 1 및 제 2 연결 다리를 갖는 와이어 루프 형태이고, 제 1 다리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의 제 1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안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제 2 다리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의 제 2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안쪽 및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여기에서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다리의 교차부는 이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7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제 1 및 제 2 다리를 연결하는 내부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세그먼트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8에 있어서, 각각의 내부 세그먼트의 폭은 이에 연결된 상기 제 1 및 제 2 다리의 폭보다 크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4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각각의 지지 부재의 최하부 에지가 플레이트 최대 두께의 50% 미만, 40% 미만, 30% 미만 또는 20% 미만의 거리만큼 플레이트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플레이트 내로 아래쪽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5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 내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5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의 어떤 부분도 플레이트의 중심축과 교차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5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링-형상 부재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된 감소된 단면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43-5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은 고르지 않은 표면을 제공하도록 텍스처링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플레이트가 중심축에 수직인 임의의 평면을 통해 원형 단면을 갖도록 상부 표면, 바닥 표면,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 주위에 회전하는 외부 표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상부 표면, 바닥 표면 및 중심축을 가지며, 플레이트는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을 통하여 비-원형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55 또는 56에 있어서,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은 플레이트의 바닥 표면보다 더 큰 원주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임플란트는 환자의 두개골에 있는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지지 프레임은 변형 가능하여 임플란트가 환자 두개골의 곡률과 일치하도록 변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수경성 시멘트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는 적어도 70 wt.%의 모네타이트 및 3 내지 30 wt.%의 피로인산이칼슘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지지구조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에서, 상기 지지구조는 편평한 금속 시트로부터 절단되거나 스탬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뼈의 천공 구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우는 임플란트.
- 임의의 선행 청구항의 임플란트의 지지구조.
- 청구항 1-62 중 어느 한 항의 임플란트 형성 방법으로서:
(a) 지지구조를 제작하는 단계; 및
(b) 지지구조의 링-형상 내부 지지 프레임의 일부분에 생체적합성 플레이트를 몰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청구항 1-62 중 어느 한 항의 임플란트 형성 방법. - 청구항 1-62 중 어느 한 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환자의 두개골에 천공 구멍을 채우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746305P | 2018-10-16 | 2018-10-16 | |
US62/746,305 | 2018-10-16 | ||
PCT/IB2019/058796 WO2020079597A1 (en) | 2018-10-16 | 2019-10-15 | Implant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and method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9950A true KR20210119950A (ko) | 2021-10-06 |
Family
ID=6829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4936A Withdrawn KR20210119950A (ko) | 2018-10-16 | 2019-10-15 | 뼈의 천공 구멍을 채우기 위한 임플란트 및 뼈의 천공 구멍을 채우기 위한 방법 (implant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and method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20210338286A1 (ko) |
EP (1) | EP3866711B8 (ko) |
JP (1) | JP2022508798A (ko) |
KR (1) | KR20210119950A (ko) |
CN (1) | CN112969422B (ko) |
AU (1) | AU2019362467A1 (ko) |
BR (1) | BR112021007281A2 (ko) |
CA (1) | CA3116841A1 (ko) |
WO (1) | WO202007959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57955B2 (en) * | 2019-05-16 | 2022-10-04 | Zimmer Biomet CMF and Thoracic, LLC | Compound plate for craniotomy closures |
EP4023179A1 (en) * | 2020-12-30 | 2022-07-06 | Stryker European Operations Limited | A system comprising a foam structure and a surgical fixation device |
US20230347013A1 (en) * | 2022-04-29 | 2023-11-02 | Depuy Ireland Unlimited Company | Bendable Titanium-Alloy Implan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78036A (en) * | 1993-12-06 | 1996-11-26 | Stone; Kevin T. | Method and apparatus for fixation of bone during surgical procedures |
US5503164A (en) * | 1994-01-28 | 1996-04-02 | Osteogenics, Inc. | Device and method for repair of craniomaxillofacial bone defects including burr holes |
US7008226B2 (en) * | 2002-08-23 | 2006-03-07 | Woodwelding Ag | Implant, in particular a dental implant |
US20050216008A1 (en) * | 2004-03-24 | 2005-09-29 | Zwirnmann Ralph F | Bone fixation implants |
FR2874809B1 (fr) * | 2004-09-06 | 2008-02-01 | Newdeal Sa Sa | Implant de fixation d'un greffon osseux au sein d'une articulation en vue d'assurer l'arthrodese de l'articulation |
US8709149B2 (en) | 2008-11-12 | 2014-04-29 | Ossdsign Ab | Hydraulic cements, methods and products |
RU2562596C2 (ru) | 2010-03-10 | 2015-09-10 | Осс-К Аб | Имплантаты и способы коррекции дефектов ткани |
EP2465549A1 (en) * | 2010-11-17 | 2012-06-20 | Zimmer GmbH | Porous metal structures made from polymer preforms |
CN102008346B (zh) * | 2010-12-28 | 2012-12-12 | 梁淑君 | 骨支架 |
US9463046B2 (en) * | 2011-08-22 | 2016-10-11 | Ossdsign Ab | Implants and methods for using such implants to fill holes in bone tissue |
WO2013035083A2 (en) | 2011-09-09 | 2013-03-14 | Oss-Q Ab | Storage stable premixed hydraulic cement compositions, cements, methods, and articles |
AU2013358613B9 (en) | 2012-12-14 | 2017-11-02 | Ossdsign Ab | Cement-forming compositions, monetite cements, implan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
US10076416B2 (en) | 2013-02-12 | 2018-09-18 | Ossdsign Ab | Mosaic implants, ki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
JP5862726B1 (ja) * | 2014-08-12 | 2016-02-16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シュート |
EP3179961B1 (en) | 2014-08-14 | 2020-12-02 | OssDsign AB | Bone implant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
BR102014031426B1 (pt) * | 2014-12-15 | 2018-07-24 | Jjgc Ind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 implante |
EP3352807A1 (en) | 2015-09-23 | 2018-08-01 | OssDsign AB | Cement-forming compositions, apatite cements, implan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
CN106361468B (zh) * | 2016-08-26 | 2019-01-15 | 天津市赛宁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大阶段骨缺损的骨修复系统 |
US10213317B2 (en) * | 2017-03-13 | 2019-02-26 | Institute for Musculoskeletal Science and Education | Implant with supported helical members |
-
2019
- 2019-10-15 KR KR1020217014936A patent/KR20210119950A/ko not_active Withdrawn
- 2019-10-15 CN CN201980069259.2A patent/CN112969422B/zh active Active
- 2019-10-15 JP JP2021546051A patent/JP2022508798A/ja active Pending
- 2019-10-15 AU AU2019362467A patent/AU201936246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10-15 EP EP19790301.6A patent/EP3866711B8/en active Active
- 2019-10-15 BR BR112021007281-0A patent/BR112021007281A2/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10-15 WO PCT/IB2019/058796 patent/WO2020079597A1/en unknown
- 2019-10-15 CA CA3116841A patent/CA311684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10-15 US US17/286,218 patent/US20210338286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19362467A1 (en) | 2021-05-27 |
EP3866711B1 (en) | 2024-10-02 |
CN112969422A (zh) | 2021-06-15 |
EP3866711A1 (en) | 2021-08-25 |
EP3866711B8 (en) | 2024-11-06 |
WO2020079597A1 (en) | 2020-04-23 |
CN112969422B (zh) | 2024-07-12 |
US20210338286A1 (en) | 2021-11-04 |
CA3116841A1 (en) | 2020-04-23 |
JP2022508798A (ja) | 2022-01-19 |
BR112021007281A2 (pt) | 2021-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113339A1 (en) | Bone implant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 |
US11865005B2 (en) | Bone implan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 |
US10076416B2 (en) | Mosaic implants, ki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 |
US9220597B2 (en) | Mosaic implants, ki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 |
US20230181293A1 (en) | Dental devices for extraction site reconstruction | |
EP3866711B1 (en) | Implants for filling bore holes in bone | |
CA2279526A1 (en) | Bone anchoring el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