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19863A -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863A
KR20210119863A KR1020200119202A KR20200119202A KR20210119863A KR 20210119863 A KR20210119863 A KR 20210119863A KR 1020200119202 A KR1020200119202 A KR 1020200119202A KR 20200119202 A KR20200119202 A KR 20200119202A KR 20210119863 A KR20210119863 A KR 20210119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ircle
spacer
center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신
유호식
서솟음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7/149,034 priority Critical patent/US12164170B2/en
Priority to TW112141140A priority patent/TWI843672B/zh
Priority to TW110102482A priority patent/TWI824227B/zh
Priority to CN202120580866.XU priority patent/CN215599432U/zh
Priority to CN202311478595.7A priority patent/CN117434676A/zh
Priority to CN202110300493.0A priority patent/CN113514927B/zh
Publication of KR2021011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863A/ko
Priority to KR1020230142772A priority patent/KR20230152624A/ko
Priority to US18/941,687 priority patent/US20250067952A1/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는 광을 통과시키는 개구;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Spacer and lens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구비되며, 복수의 렌즈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배치된다.
스페이서에는 광을 통과시키는 개구가 구비되는데, 광이 개구의 내벽에 근접하게 지나가는 경우 회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플레어가 유발될 수 있다. 플레어가 발생하는 경우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되므로, 플레어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플레어를 개선할 수 있는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는 광을 통과시키는 개구;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에서 광축을 따라 배치된 제1 렌즈와 제2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개구를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는 플레어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개구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복수의 돌기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일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개구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복수의 돌기의 변형예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000)는 렌즈 배럴(200) 및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00) 내에 배치된다.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제1 렌즈(L1) 및 제2 렌즈(L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측을 향하여 배치된 제1 렌즈(L1) 및 제2 렌즈(L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렌즈가 제1 렌즈(L1) 및 제2 렌즈(L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렌즈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렌즈는 3개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는 각각 광학부와 리브를 포함한다.
광학부는 렌즈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은 광학부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제1 렌즈(L1)의 광학부와 제2 렌즈(L2)의 광학부는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리브는 렌즈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200) 또는 다른 렌즈에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리브는 광학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렌즈(L1)의 리브와 제2 렌즈(L2)의 리브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렌즈들 사이에는 스페이서(100)가 구비된다. 예컨대,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는 스페이서(100)가 배치된다.
스페이서(100)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렌즈(L1)의 리브와 제2 렌즈(L2)의 리브는 각각 적어도 일부분이 스페이서(100)와 접촉된다.
스페이서(100)에는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도록 차광층이 구비될 수 있다. 차광층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
스페이서(100)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100)는 비철금속 재질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페이서(100)는 인청동(Phosphor bronze)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100)는 광을 통과시키는 개구(120)를 구비한다. 제1 렌즈(L1)를 통과하며 굴절된 광은 스페이서(100)의 개구(120)를 지나 제2 렌즈(L2)를 통과하며 재차 굴절된다.
스페이서(100)는 내측면(101) 및 외측면(102)을 가지며, 내측면(101)과 외측면(102) 사이에 배치된 바디부(103)를 갖는다. 바디부(103)는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스페이서(100)의 내측면(101)에 의해 개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100)의 내측면(10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개구(120)의 역할을 한다.
스페이서(100)의 내측면(101)과 외측면(102)은 각각 스페이서(100)의 개구(120) 중심(C)을 둘러싼다. 스페이서(100)의 개구(120) 중심(C)으로부터 스페이서(100)의 내측면(101)까지의 거리는, 스페이서(100)의 개구(120) 중심(C)으로부터 스페이서(100)의 외측면(102)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바디부(103)는 내측면(101)과 외측면(102) 사이에 배치되고, 내측면(101)과 외측면(102)을 연결한다.
제1 렌즈(L1)의 광학부의 크기(예컨대, 직경)는 스페이서(100)의 개구(120)의 크기(예컨대, 직경)와 대략 유사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렌즈(L2)의 광학부의 크기(예컨대, 직경)는 스페이서(100)의 개구(120)의 크기(예컨대, 직경)와 대략 유사할 수 있다.
광이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에 근접하게 개구(120)를 통과하는 경우 회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플레어가 유발될 수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은 스페이서(100)의 개구(120)를 형성하는 내벽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0)는 플레어를 개선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서 돌출된 돌기부(110)를 포함한다. 돌기부(110)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는 스페이서(100)의 개구(120) 중심(C)을 향해 스페이서(100)의 내측면(10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개구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110)가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에서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한다. 예컨대,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는 위치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길이'는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가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에서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향해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돌기부(110)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각 돌기의 길이가 증가하는 영역과 원주 방향을 따라 각 돌기의 길이가 감소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돌기부(110)의 각 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의 증가와 감소가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
돌기부(110)는 톱니 형상을 갖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평면 형상은 삼각 형태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개구(120)의 일부 영역에서 돌기부(110)의 각 돌기의 길이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돌기부(110)의 각 돌기의 길이는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도 3의 최상측에 위치한 돌기의 길이를 D1, 도 3의 최우측에 위치한 돌기의 길이를 D3, 그 사이에 위치한 돌기의 길이를 D2라 하면, 각 돌기의 길이는 D1 < D2 < D3를 만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부(110)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각 돌기의 길이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스페이서(100)의 개구(120)는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는 X-Y 직교 좌표계를 정의하면, 스페이서(100)의 개구(120)는 우측 상단부터 시계 방향을 따라 제1 영역(1), 제2 영역(2), 제3 영역(3) 및 제4 영역(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개구(120)는 개구(120)의 중심(C)에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1), 제2 영역(2), 제3 영역(3) 및 제4 영역(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과 제3 영역(3)은 개구(12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2 영역(2)과 제4 영역(4)은 개구(12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제1 영역(1)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고, 제2 영역(2)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감소하며, 제3 영역(3)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고, 제4 영역(4)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도 4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일 수 있다.
한편, 돌기부(110)는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돌기부(111) 및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의 타측(예컨대,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돌기부(112)를 포함한다.
예컨대, 개구(120)의 중심 축에 교차하고 개구(120)의 중심 축에 수직한 제1 축(X축)을 기준으로, 제1 축(X축)의 일측에 제1 돌기부(111)가 배치되고, 제1 축(X축)의 타측에 제2 돌기부가 배치된다.
제1 돌기부(111)는 제1 영역(1)과 제2 영역(2)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돌기부(112)는 제3 영역(3)과 제4 영역(4)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부(111)와 제2 돌기부(112)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각 돌기의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돌기부(111)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1 원(10)의 중심(C1)과, 제2 돌기부(112)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2 원(20)의 중심(C2)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정점은 각 돌기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정점은 각 돌기에서 스페이서(100)의 개구(120) 중심(C)에 가장 가까운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원(10)과 제2 원(20)은 교점을 갖는다. 또한, 제1 원(10)의 지름과 제2 원(20)의 지름은 동일하다.
스페이서(100)의 중심(C)은 제1 원(10)의 중심(C1)과 제2 원(20)의 중심(C2)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1 원(10)의 중심(C1), 제2 원(20)의 중심(C2) 및 스페이서(100)의 중심(C)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원(10)의 중심(C1)은 스페이서(100)의 중심(C)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2 원(20)의 중심(C2)은 스페이서(100)의 중심(C)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스페이서(100)의 중심(C)과 제1 원(10)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스페이서(100)의 중심(C)과 제2 원(20)의 중심(C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돌기부(110)는 제1 원(10)과 제2 원(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영역(1)과 제2 영역(2)에서는 제1 원(10)의 외측과 제2 원(20)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제1 돌기부(111)가 배치된다. 제3 영역(3)과 제4 영역(4)에서는 제1 원(10)의 내측과 제2 원(20)의 외측 사이의 공간에 제2 돌기부(112)가 배치된다.
한편, 제1 영역(1)과 제2 영역(2)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의 지름과 제1 원(10)의 지름은 동일하다. 여기서, 제1 영역(1)과 제2 영역(2)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은 제2 원(20)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영역(3)과 제4 영역(4)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의 지름과 제2 원(20)의 지름은 동일하다. 여기서, 제3 영역(3)과 제4 영역(4)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은 제1 원(10)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복수의 돌기의 변형예이다.
돌기부(110)의 각 돌기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a를 참조하면, 각각의 돌기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들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스페이서(100)의 중심(C)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각각의 돌기는 스페이서(100)의 중심(C)에 대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일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개구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0')는 돌기부(110')의 각 돌기의 길이가 변화하는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0)와 차이가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110')가 배치된다. 복수의 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에서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110')의 각 돌기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한다. 예컨대, 각 돌기는 위치에 따라 다른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길이'는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가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에서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향해 연장된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돌기부(110')는 톱니 형상을 갖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평면 형상은 삼각 형태일 수 있다.
돌기부(110')의 각 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페이서(100')의 개구(120)는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하는 X-Y 직교 좌표계를 정의하면, 스페이서(100')의 개구(120)는 우측부터 시계 방향을 따라 제1 영역(1), 제2 영역(2), 제3 영역(3) 및 제4 영역(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개구(120)는 개구(120)의 중심(C)에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1), 제2 영역(2), 제3 영역(3) 및 제4 영역(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영역에 배치된 돌기부(110')의 각 돌기는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하고, 제2 영역(2)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며, 제3 영역(3)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하고, 제4 영역(4)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도 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영역(1)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도 8의 최상측에 위치한 돌기의 길이를 D1, 도 8의 최우측에 위치한 돌기의 길이를 D2, 도 8의 최하측에 위치한 돌기의 길이를 D3라 하면, D1 < D2, D3 < D2를 만족할 수 있다. 그리고, D1 = D3일 수 있다.
한편, 돌기부(110')는 제1 돌기부(111), 제2 돌기부(112), 제3 돌기부(113) 및 제4 돌기부(114)를 포함한다. 제1 돌기부(111) 내지 제4 돌기부(114)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기부(111) 내지 제4 돌기부(114)에 포함된 각 돌기는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할 수 있다.
제1 돌기부(111)와 제3 돌기부(113)는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제2 돌기부(112)와 제4 돌기부(114)는 스페이서(1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
제1 돌기부(111)는 제1 영역(1)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돌기부(112)는 제2 영역(2)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제3 돌기부(113)는 제3 영역(3)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를 의미할 수 있고, 제4 돌기부(114)는 제4 영역(4)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돌기부(111)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1 원(10)의 중심(C1)과, 제3 돌기부(113)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2 원(20)의 중심(C2)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원(10)과 제2 원(20)은 교점을 갖는다. 또한, 제1 원(10)의 지름과 제2 원(20)의 지름은 동일하다.
스페이서(100')의 중심(C)은 제1 원(10)의 중심(C1)과 제2 원(20)의 중심(C2)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1 원(10)의 중심(C1), 제2 원(20)의 중심(C2) 및 스페이서(100')의 중심(C)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원(10)의 중심(C1)은 스페이서(100')의 중심(C)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2 원(20)의 중심(C2)은 스페이서(100')의 중심(C)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스페이서(100')의 중심(C)과 제1 원(10)의 중심(C1) 사이의 거리는, 스페이서(100')의 중심(C)과 제2 원(20)의 중심(C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1 돌기부(111)와 제3 돌기부(113)는 제1 원(10)과 제2 원(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영역(1)에서는 제1 원(10)의 외측과 제2 원(20)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제1 돌기부(111)가 배치된다. 제3 영역(3)에서는 제1 원(10)의 내측과 제2 원(20)의 외측 사이의 공간에 제3 돌기부(113)가 배치된다.
한편, 제1 영역(1)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의 지름과 제1 원(10)의 지름은 동일하다. 여기서, 제1 영역(1)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은 제2 원(20)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영역(3)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의 지름과 제2 원(20)의 지름은 동일하다. 여기서, 제3 영역(3)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은 제1 원(10)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돌기부(112)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3 원(30)의 중심(C3)과, 제4 돌기부(114)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4 원(40)의 중심(C4)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3 원(30)과 제4 원(40)은 교점을 갖는다. 또한, 제3 원(30)의 지름과 제4 원(40)의 지름은 동일하다.
스페이서(100')의 중심(C)은 제3 원(30)의 중심(C3)과 제4 원(40)의 중심(C4) 사이에 위치한다.
즉, 제3 원(30)의 중심(C3), 제4 원(40)의 중심(C4) 및 스페이서(100')의 중심(C)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예컨대, 제3 원(30)의 중심(C3)은 스페이서(100')의 중심(C)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4 원(40)의 중심(C4)은 스페이서(100')의 중심(C)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스페이서(100')의 중심(C)과 제3 원(30)의 중심(C3) 사이의 거리는, 스페이서(100')의 중심(C)과 제4 원(40)의 중심(C4)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제2 돌기부(112)와 제4 돌기부(114)는 제3 원(30)과 제4 원(4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2 영역(2)에서는 제3 원(30)의 외측과 제4 원(40)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제2 돌기부(112)가 배치된다. 제4 영역(4)에서는 제3 원(30)의 내측과 제4 원(40)의 외측 사이의 공간에 제4 돌기부(114)가 배치된다.
스페이서(100')의 중심(C)은 제1 원(10)의 중심(C1), 제2 원(20)의 중심(C2), 제3 원(30)의 중심(C3) 및 제4 원(40)의 중심(C4)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제2 영역(2)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의 지름과 제3 원(30)의 지름은 동일하다. 여기서, 제2 영역(2)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은 제4 원(40)을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영역(4)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의 지름과 제4 원(40)의 지름은 동일하다. 여기서, 제4 영역(4)에 위치한 스페이서(100')의 내측면을 호로 하는 원은 제3 원(3)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00, 100')는 길이가 변화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110, 110')를 내측면에 구비하므로, 광의 회절 현상에 따른 간섭을 상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플레어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복수의 돌기의 변형예이다.
돌기부(110')의 각 돌기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a를 참조하면, 각각의 돌기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들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스페이서(100')의 중심(C)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각각의 돌기는 스페이서(100')의 중심(C)에 대해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스페이서
110: 복수의 돌기
120: 개구
200: 렌즈 배럴
L1: 제1 렌즈
L2: 제2 렌즈
1000: 렌즈 조립체

Claims (17)

  1. 광을 통과시키는 개구;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면; 및
    상기 내측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각 돌기의 길이가 증가하는 영역과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각 돌기의 길이가 감소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의 증가와 감소가 교대로 반복되는 스페이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제1 축 및 제2 축에 의해 구분되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가 증가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4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가 감소하는 스페이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개구의 중심 축에 교차하고 상기 개구의 중심 축에 수직한 제1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축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축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2 돌기부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각 돌기의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스페이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1 원의 중심과,
    상기 제2 돌기부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2 원의 중심은 서로 이격 배치된 스페이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중심은 상기 제1 원의 중심과 상기 제2 원의 중심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2 원은 교점을 가지며,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1 원의 외측과 상기 제2 원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1 원의 내측과 상기 제2 원의 외측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의 지름과 상기 제2 원의 지름은 동일한 스페이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는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돌기부, 제2 돌기부, 제3 돌기부 및 제4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부 내지 상기 제4 돌기부에 포함된 각 돌기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스페이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상기 제3 돌기부는 상기 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기부와 상기 제4 돌기부는 상기 개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돌기부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1 원의 중심과,
    상기 제3 돌기부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2 원의 중심은 서로 이격 배치된 스페이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3 원의 중심과,
    상기 제4 돌기부에 포함된 복수의 돌기의 정점을 연결하는 곡선을 호로 하는 제4 원의 중심은 서로 이격 배치된 스페이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중심은 상기 제1 원의 중심, 상기 제2 원의 중심, 상기 제4 원의 중심 및 상기 제4 원의 중심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2 원은 교점을 가지며,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제1 원의 외측과 상기 제2 원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돌기부는 상기 제1 원의 내측과 상기 제2 원의 외측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원과 상기 제4 원은 교점을 가지며,
    상기 제2 돌기부는 상기 제3 원의 외측과 상기 제4 원의 내측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4 돌기부는 상기 제3 원의 내측과 상기 제4 원의 외측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
  17.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에서 광축을 따라 배치된 제1 렌즈와 제2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개구를 갖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구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의 각 돌기의 길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렌즈 조립체.
KR1020200119202A 2020-03-25 2020-09-16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Ceased KR20210119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49,034 US12164170B2 (en) 2020-03-25 2021-01-14 Spacer and lens assembly including spacer
TW112141140A TWI843672B (zh) 2020-03-25 2021-01-22 間隙物以及包括間隙物之透鏡組合
TW110102482A TWI824227B (zh) 2020-03-25 2021-01-22 間隙物以及包括間隙物之透鏡組合
CN202120580866.XU CN215599432U (zh) 2020-03-25 2021-03-22 间隔件和包括间隔件的透镜组件
CN202311478595.7A CN117434676A (zh) 2020-03-25 2021-03-22 间隔件和包括间隔件的透镜组件
CN202110300493.0A CN113514927B (zh) 2020-03-25 2021-03-22 间隔件和包括间隔件的透镜组件
KR1020230142772A KR20230152624A (ko) 2020-03-25 2023-10-24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US18/941,687 US20250067952A1 (en) 2020-03-25 2024-11-08 Spacer and lens assembly including spa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6451 2020-03-25
KR1020200036451 2020-03-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2772A Division KR20230152624A (ko) 2020-03-25 2023-10-24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863A true KR20210119863A (ko) 2021-10-06

Family

ID=7807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02A Ceased KR20210119863A (ko) 2020-03-25 2020-09-16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98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774A (ko) 2022-04-18 2023-10-25 한국화학연구원 그래핀 차광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774A (ko) 2022-04-18 2023-10-25 한국화학연구원 그래핀 차광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024B1 (ko)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구조
CN112394524A (zh) 匀光元件及其制造方法和系统以及电子设备
CN108459395B (zh) 光学成像镜头
CN110007425A (zh) 光学成像系统
KR20210119863A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KR101832590B1 (ko) 카메라 모듈
JP6735056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TWI821640B (zh) 反射構件以及包括反射構件之反射模組
CN215599432U (zh) 间隔件和包括间隔件的透镜组件
TWI794814B (zh) 透鏡組合
KR102450594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158684A (ko)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US20230221620A1 (en) Optical element having stray light suppression structure
TWM638912U (zh) 透鏡組合
KR20220037877A (ko) 렌즈 어셈블리
KR20250010234A (ko) 렌즈 조립체
KR20230027396A (ko) 마스크에 벤트부가 형성된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KR20230027395A (ko) 지지대에 벤트부가 형성된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촬상 광학계
WO2020009035A1 (ja) マーカ
KR20210102012A (ko) 촬상 광학계
CN115145091A (zh) 遮光组件及应用该遮光组件之光学成像镜头
JPH0485514A (ja) 結像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307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3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20905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