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13023A -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3023A
KR20210113023A KR1020207028646A KR20207028646A KR20210113023A KR 20210113023 A KR20210113023 A KR 20210113023A KR 1020207028646 A KR1020207028646 A KR 1020207028646A KR 20207028646 A KR20207028646 A KR 20207028646A KR 20210113023 A KR20210113023 A KR 20210113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feedback information
downlink channel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난 린
주오민 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02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LTE 시스템과 NR 시스템은 모두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상에 네트워크를 배치하여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NR 버전 15 (Rel-15)에서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피드백 타이밍(HARQ-timing)의 동적 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NR Rel-15 시스템은 ACK/NACK 등의 피드백 정보의 다중화 전송도 지원되고 있다. 즉, 복수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가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ACK/NACK 다중화 전송의 경우, 준 정적 ACK/NACK 코드북(semi-static HARQ-ACK codebook)과 동적 ACK/NACK 코드북(dynamic HARQ-ACK codebook)의 2개의 ACK/NACK 정보 생성 방법이 추가로 지원된다. ACK/NACK 정보 생성 방법에 관계없이 피드백 타이밍 집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다.
Rel-16의 NR 기반 비라이센스 스펙트럼 액세스(NR-based Access to Unilicensed Spectrum, NR-U)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서 무한대의 HARQ timing 값의 도입을 지원하고, 이 값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신호(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과 자원을 일시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지만, Rel-15의 ACK/NACK 코드북 결정 방법은 피드백 타이밍 집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HARQ timing 값에 무한대가 포함되는 경우, 기존의 Rel-15의 방식을 재사용 할 수 없다.
따라서, Rel-16 NR-U의 설계에서,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상의 피드백 정보 전송 방식에 관하여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여 피드백 정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가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DCI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됨 - 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함 - 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DCI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구비한다.
제 8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4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제4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구비한다.
제 9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 10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4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한다.
제 11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칩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상기 칩이 설치된 디바이스에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제 1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제 1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제 1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각자의 구현 방식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술한 기술 방안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제로 전송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이해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 헤드를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관성을 보장하여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SCH 전송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 링크 채널 및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책을 설명하지만, 설명되는 실시예는 전부의 실시예는 아니고, 본 발명의 부분적인 실시예에 속하는 것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창조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얻을 수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해결책은,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마이크로 웨이브 액세스를 위한 세계적인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 등의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120)(또는 통신 단말기, 단말기라고도 함)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커버리지 영역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LTE 시스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모바일 교환 센터,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의 공중 육상 이동 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도 있다.
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케이블 직접 연결 등의 유선 회선을 통해 연결 된 장치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장치, 및/또는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설정된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의 장치, 및/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도 포함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말기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의 예로는 위성 또는 휴대 전화; 셀룰러 무선 전화에 데이터 처리, 팩시밀리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기;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Web 브라우저, 메모장, 캘린더 및/또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기존 랩탑 및/또는 팜형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가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디바이스(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휴대 전화,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 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 차량 탑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5G 네트워크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의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단말기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D2D)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로 불릴 수도 있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선택적으로, 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커버리지 범위 내에 다른 수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 등의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을 갖춘 디바이스는 통신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의 통신 시스템 (100)을 예로, 통신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와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110) 및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컨트롤러, 이동성 관리 엔티티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등 통신 시스템(100) 내의 다른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과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종종 호환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고, 3가지 종류의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이 3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의 표기는 일반적으로 이 표기 전후의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에 있음을 나타낸다.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은 국가 및 지역에 따라 할당된 무선 디바이스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스펙트럼이다. 이 스펙트럼은 일반적으로 공유 스펙트럼으로 간주된다. 즉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이 스펙트럼상에 설정된 규제 요건을 충족하면, 이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독점 스펙트럼 라이센스를 정부에 신청할 필요가 없다.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각 통신 시스템이 이 스펙트럼에서 공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부 국가 또는 지역에서는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을 사용할 때 반드시 충족해야 하는 규제 요건이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지역에서는 통신 디바이스는 "리스닝 비포 토크"의 원칙을 따르고, 즉 통신 디바이스는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의 채널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채널 리스닝을 해야 하며, 채널 리스닝 결과 채널이 유휴 상태인 경우에만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의 채널에서의 통신 디바이스의 채널 리스닝 결과 채널이 비지인 경우,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 송신을 할 수 없다.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한 번의 전송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의 채널을 이용하여 신호 전송을 수행하는 기간은 최대 채널 점유 시간(Maximum Channel Occupation Time, MCOT)을 초과할 수 없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LTE 시스템과 NR 시스템은 모두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에서 네트워크를 배치하여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NR 버전 15(Rel-15)는 HARQ 피드백 타이밍(HARQ-timing)의 동적 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먼저 미리 구성된 HARQ timing 집합을 결정하고, 기지국은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HARQ timing 집합 중의 값 k를 지시한다. 해당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슬롯(slot) n에서 전송되는 경우, 대응하는 확인/비확인(ACK/NACK) 정보는 슬롯 n+k에서 전송된다. 여기서, 미리 구성된 HARQ timing 집합에는 최대 8 개의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DCI 포맷(format)의 경우 8 개의 값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DCI format 1_0의 경우, 상기 집합은 프로토콜에 의해 합의 되며, DCI format 1_1의 경우, 상기 집합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NR Rel-15 시스템에서는 ACK/NACK 다중화 전송도 지원되고 있다. 즉, 복수의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가 하나의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ACK/NACK 다중화 전송의 경우, 준 정적 ACK/NACK 코드북(semi-static HARQ-ACK codebook)과 동적 ACK/NACK 코드북(dynamic HARQ-ACK codebook)의 2개의 ACK/NACK 정보 생성 방법이 추가로 지원된다.
여기서, 준 정적 ACK/NACK 코드북은 미리 구성된 피드백 타이밍 집합내의 요소에 근거하여 결정되며, 피드백 타이밍 집합은 프로토콜에 의해 합의되거나 상위 계층에 의해 준 정적으로 구성되기에, ACK/NACK 코드북에 포함된 ACK/NACK 비트 수는 실제 스케줄링 상황에 따라 변하지 않는다. 이 솔루션의 장점은 피드백 정보의 수와 매핑 관계에 대한 기지국과 UE의 이해가 일치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단점은 피드백 오버 헤드가 크고, 소량의 PDSCH가 스케줄링된 경우일 지라도 전체 ACK/NACK 코드북을 전송해야 하며, 그 안에 중복 정보가 많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싱글 캐리어 싱글 코드 워드 전송의 경우, DCI내의 HARQ timing 집합이 지시하는 값이 8 인 것으로 가정하면, 미리 구성된 피드백 타이밍 집합내의 요소의 수는 8이고, 이 미리 구성된 피드백 타이밍 집합은 {1,2,3,4,5,6,7,8}이며, ACK/NACK 비트 수도 8 비트 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 2와 같이 두 개의 PDSCH만 전송되었고, 즉 6 비트의 중복 정보가 포함된다.
반면, 동적 ACK/NACK 코드북은 주로 피드백 오버 헤드 문제를 해결한다. 즉 피드백 타이밍 집합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슬롯에서, 실제로 스케줄링된 PDSCH의 수에 따라 ACK/NACK 정보의 수가 결정된다. PDSCH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특정 DCI에 다운 링크 할당 인덱스(Downlink assignment Index, DAI) 정보 필드를 도입하여, 현재 스케줄링된 PDSCH까지 이미 스케줄링된 PDSCH의 총수를 나타낸다. 도 2를 예로, 싱글 캐리어 싱글 코드 워드 전송의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2 개의 PDSCH, 즉 PDSCH1 및 PDSCH2를 수신하고, 이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단지 2 비트 정보를 피드백하면 된다. 이 방법의 단점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기지국에 의해 송신 된 PDSCH의 일부(예를 들어, 도 2의 마지막 PDSCH2)를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 실제 스케줄링된 PDSCH의 수에 관하여 기지국과 UE의 이해가 불일치하는 문제가 있기에, 피드백 정보의 수에 대한 이해의 불일치를 초래한다.
Rel-16 NR-U의 경우,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상의 피드백 정보 전송 방식에 관하여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NR-U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서 무한대의 HARQ timing 값의 도입을 지원하고,이 값은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에 대응하는 ACK/NACK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과 자원을 일시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지만, Rel-15의 ACK/NACK 코드북 결정 방법은 피드백 타이밍 집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HARQ timing 값에 무한대가 포함되는 경우, 기존의 Rel-15의 방식을 재사용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의 지시에 따라 ACK/NACK 코드북을 결정하여, 피드백 정보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200)의 개략 흐름도이다. 이 방법(20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디바이스(120)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200)은 S210과 S220을 포함한다. S2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S220에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한다.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로부터 단말기 디바이스(120)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라이센스 스펙트럼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210 전에, 상기 방법(200)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다운 링크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은 다운 링크 물리 공유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물리 제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의 정보를 단말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내의 일부 또는 모든 다운 링크 채널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아무것도 수신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S2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해야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을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피드백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ACK/NACK 정보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200)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은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내의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채널 점유 시간(Channel Occupation Time, COT)에 따라 또는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DCI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COT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는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COT의 식별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동일한 COT에 위치한 다운 링크 채널이 같은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COT내의 다운 링크 채널 모두가 동일한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속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내의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 자원 지시(PUCCH resource Indicator) 정보 필드는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그것은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이 불확실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는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그것은 상기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이 다른 정보, 예를 들어 제 1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소정의 값은 무한대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소정의 값은 무한대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DCI를 운반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반대로,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상기 소정의 값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상기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 않아도 되며, 예를 들어, 상기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의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상기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을 결정해야 하는 모든 응용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200)의 트리거 시그널링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S22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 코드북은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것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것, 및/또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수 및/또는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위치를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몇 가지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수가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가 미리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 설정된 수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가 미리 설정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이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는 다운 링크 채널 수의 최대 값이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값,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값과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에 따라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해당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한 다음,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해당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미리 설정되는 값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는 미리 설정되므로,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실제 전송 수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설정되는 값은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할 수 있는 다운 링크 채널의 최대수를 나타낼 수 있지만, 실제 전송에서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되는 다운 링크 채널의 수는 상기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동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모두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최대 비트 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링크 채널은 PDSCH이며, 그 피드백 정보가 ACK/NACK 정보인 예를 설명한다. 싱글 코드 워드 전송 모드, 즉 하나의 PDSCH가 하나의 코드 워드를 운반한다고 가정하면, 이에 따라 1 비트 ACK/NACK 정보가 존재한다. 각 PDSCH 그룹이 최대 4 개의 PDSCH를 포함하도록 미리 설정된 경우, 각 PDSCH 그룹은 최대 4 비트 ACK/NACK 정보에 대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3 개의 PDSCH 그룹을 COT1 및 COT2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PDSCH 그룹 1에는 각각 PDSCH1 내지 PDSCH4로 라벨링 된 4 개의 PDSCH가 포함되고, PDSCH 그룹 2에는 각각 PDSCH1 내지 PDSCH3로 라벨링 된 3 개의 PDSCH가 포함되며, PDSCH 그룹 3에는 PDSCH1로 라벨링 된 하나의 PDSCH가 포함되어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단말기 디바이스가 COT2의 마지막 슬롯에서 PDSCH 그룹 1 및 PDSCH 그룹 2에 대응하는 ACK/NACK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각 PDSCH 그룹에 최대 4 개의 PDSCH가 포함되어 있고 하나의 PDSCH 그룹이 1 비트 ACK/NACK 정보에 대응하는 것에 근거하여, 각 PDSCH 그룹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의 비트 수는 4이고, 2 개의 PDSCH 그룹에 대응하는 전송 대기의 ACK/NACK 비트 수는 4*2=8 비트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PDSCH 그룹 1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는 상기 8 비트의 상위 4 비트에 매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PDSCH 그룹 2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는 하위 4 비트에 매핑된다. 또는,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PDSCH 그룹의 피드백 순서가 먼저 PDSCH 그룹 2 다음 PDSCH 그룹 1 인 경우에는 PDSCH 그룹 1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8 비트의 하위 4 비트에 매핑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PDSCH 그룹 2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는 상위 4 비트에 매핑된다.
또한 각 PDSCH 그룹 내의 각 PDSCH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순서는 각 PDSCH의 송신 시간 순서 또는 수신 시간 순서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각 PDSCH의 식별자 또는 번호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드백 정보는 각 PDSCH에 대응하는 DAI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매핑 할 수 있다. 여기서 DAI는 연속적인 카운터(counter-DAI)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즉 PDSCH1에 대응하는 DAI 값은 1, PDSCH 2에 해당하는 DAI 값은 2이며, 이하 동일하다. 스케줄링된 PDSCH의 총수가 4보다 작은 경우, 해당 4 비트의 마지막에 플레이스 홀더 정보가 설정된다.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PDSCH 그룹의 전송 대기 ACK/NACK 정보는 {bG1,1, bG1,2, bG1,3, bG1,4, bG2,1, bG2,2, bG2,3, 0} 일 수 있으며, 여기서 bG1,1는 PDSCH 그룹 1의 PDSCH1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나타내고, 이하 동일이며, 0은 플레이스 홀더 정보이다.
상기 미리 설정된 방법에 의해 결정되는 피드백 정보는 여전히 일부 중복 정보를 가질 수 있지만, 중복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절한 스케줄링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다운 링크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할당된 다운 링크 채널이 최대 수의 상한에 도달하거나 최대한 접근하도록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 또는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다. 즉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트리거 시그널링은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거나,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한 다음,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및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시그널링이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수,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중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와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모든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합산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서로 다른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미리 설정된 것 일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의 최대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리고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시그널링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모든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합산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서로 다른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운 링크 채널은 PDSCH이고, 그 피드백 정보가 ACK/NACK 정보인 예를 계속 설명한다. 그리고, 단일 코드 워드 전송 모드, 즉 하나의 PDSCH가 하나의 코드 워드를 운반하고 1 비트 ACK/NACK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예로 PDSCH 그룹의 구체적인 분포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고, 여기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COT2의 마지막 슬롯에서 PDSCH 그룹 1 및 PDSCH 그룹 2에 대응하는 ACK/NACK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또한, 트리거 시그널링은 PDSCH 그룹 1에 4 개의 PDSCH가 포함되고 PDSCH 그룹 2에는 3 개의 PDSCH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추가로 나타낸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하나의 PDSCH가 하나의 코드 워드를 운반하고 1 비트 ACK/NACK 정보에 대응하는 것 및 트리거 시그널링으로 지시된 PDSCH 그룹에 포함된 PDSCH의 수에 기초하여, 전송 대기 ACK/NACK 비트 수가 4+3=7 비트 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피드백되는 2 개의 PDSCH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순서 및 각 PDSCH 그룹의 PDSCH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순서는, 송수신의 순서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관련 지시 정보, 예를 들어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각 PDSCH의 식별자 또는 번호, 예를 들어 각 PDSCH의 DAI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PDSCH 그룹의 전송 대기 ACK/NACK 정보는 {bG1,1, bG1,2, bG1,3, bG1,4, bG2,1, bG2,2, bG2,3} 일 수 있다. 여기서, bG1,1은 PDSCH 그룹 1의 PDSCH1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나타내고, bG1,2는 PDSCH 그룹 1의 PDSCH2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나타내며, 이하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방법으로 결정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은, 실제로 전송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이해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 헤드를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관성을 보장하여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 또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다른 정보, 예를 들어 다운 링크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을 예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이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해당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한 다음,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해당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해당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고 그들을 합산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다운 링크 채널은 PDSCH이고, 그 피드백 정보가 ACK/NACK 정보인 예를 계속 설명한다. 그리고, 단일 코드 워드 전송 모드, 즉 하나의 PDSCH가 하나의 코드 워드를 운반하고 1 비트 ACK/NACK 정보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예로, PDSCH 그룹의 구체적인 분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고, 여기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COT2의 마지막 슬롯에서 PDSCH 그룹 1 및 PDSCH 그룹 2에 대응하는 ACK/NACK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따라 각 PDSCH 그룹에 해당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에서는 DCI에 포함된 DAI에 따라 각 PDSCH 그룹 내의 PDSCH의 수가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고, 대략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DAI는 연속 카운터 방식을 이용하고, 즉 PDSCH1에 대응하는 DAI의 값은 1, PDSCH2에 대응하는 DAI의 값은 2이며, 이하 동일하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마지막으로 수신된 PDSCH의 DAI 값 또는 수신된 DAI 값의 최대값에 따라, 상기 PDSCH 그룹에 포함된 PDSCH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PDSCH 그룹 1의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마지막으로 수신된 PDSCH 그룹 1의PDSCH는 PDSCH4이기에 해당 DAI 값은 4이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PDSCH 그룹 1에 4 개의 PDSCH가 포함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단점은 NR 시스템에서의 기존의 동적 HARQ-ACK 코드북에 존재하는 문제와 동일하다. 즉, 마지막 PDSCH에 해당하는 DCI가 손실되면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에 대한 단말기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이해의 불일치를 야기할 것이다. 그러나 DCI 손실의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한 일정량의 블라인드 검출을 통해 DCI 손실로 인한 이해의 불일치를 수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DAI에는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유형은 카운터 DAI(counter-DAI)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첫 번째 방법의 설명과 같이 연속 카운팅 방식으로 PDSCH 그룹 내의 PDSCH를 표기 할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은 총 DAI(total DAI)로 지칭될 수도 있으며, 상기 그룹에 포함된 PDSCH의 수를 직접 지시함으로써,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총 DAI에 기초하여 현재 PDSCH 그룹에 포함된 PDSCH의 수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PDSCH 그룹 1 및 PDSCH 그룹 2에 대해 피드백 될 필요가 있는 ACK/NACK 정보의 비트 수가 4+3=7 비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전 2 개의 실시예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피드백되는 2 개의 PDSCH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순서 및 각 PDSCH 그룹의 PDSCH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순서는, 송수신의 순서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관련 지시 정보, 예를 들어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각 PDSCH의 식별자 또는 번호, 예를 들어 각 PDSCH의 DAI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약하면,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PDSCH 그룹의 전송 대기 ACK/NACK 정보는 {bG1,1, bG1,2, bG1,3, bG1,4, bG2,1, bG2,2, bG2,3} 일 수 있다. 여기서, bG1,1은 PDSCH 그룹 1의 PDSCH1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나타내고, bG1,2는 PDSCH 그룹 1의 PDSCH2에 대응하는 ACK/NACK 정보를 나타내며, 이하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제로 전송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이해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 헤드를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관성을 보장하여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300)을 더 제공하며, 단말기 디바이스는 마찬가지로 트리거 시그널링의 지시에 따라 ACK/NACK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300)의 개략 흐름도를 나타내고, 상기 방법(300)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도 1의 단말기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300)은 S310을 포함하며, S3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지시한는 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라이센스 스펙트럼에 적용되거나, 또는 라이센스 스펙트럼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310 전에, 방법(300)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된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을 단말기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내의 일부 또는 모든 다운 링크 전송을 수신하거나 또는 아무것도 수신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S3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결정하고,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은 단말기에 사용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스케줄링된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목표 값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값은 시간 범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 시간 범위는 슬롯(slot)의 수를 나타낼 수 있어, 단말기 디바이스는 이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간 범위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대한 시간 범위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상기 시간 범위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으로 한다. 또는 상기 시간 범위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에 대한 시간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을 상기 시간 범위의 시작 시간 또는 종료 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값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수를 직접 지시할 수도 있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 정보를 지시하여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HARQ 프로세스 정보를 기반으로 피드백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 내의 목표 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다음 각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에 따라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결정한다. 여기서, 각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또한 각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동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동일한 값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수와의 곱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이다. 또는, 각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개별적으로 결정한 다음 이들을 합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포함된 목표 값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직접 나타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단말기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두 가지 방법을 자세히 설명했지만, 다음은 도 6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400)의 개략 흐름도를 나타내고, 이 방법(4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400)는 S410을 포함하며, S4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피드백 정보 코드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다운 링크 채널은 다운 링크 물리 공유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물리 제어 채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400)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방법(400)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DCI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중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제로 전송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이해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 헤드를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관성을 보장하여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500)의 개략 흐름도이다. 이 방법(5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500)은 S510을 포함하고, S51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고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목표 값은 시간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시간 범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수이며, 또는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이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치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 절차의 일련 번호는 실행 전후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각 절차의 실행 순서는 기능 및 내부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 실시예의 구현 절차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3 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만 존재하거나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만 존재하는 3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의 표기는 일반적으로 이 표기 전후의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이상,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했지만, 다음은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처리 유닛(610)와 송수신 유닛(6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이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2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송수신 유닛(620)은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처리 유닛(610)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다운 링크 채널은 다운 링크 물리 공유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물리 제어 채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처리 유닛(610)은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거나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처리 유닛(6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해당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따라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처리 유닛(610)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 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에 따라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는 최대 다운 링크 채널 수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최대 다운 링크 채널 수는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할 수 있는 다운 링크 채널의 최대수를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수신 유닛(620)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6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 따라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또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최대 다운 링크 채널 수가 미리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처리 유닛(610)은 목표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목표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의 최대 값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처리 유닛(610)은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중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처리 유닛(610)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채널 점유 시간 COT에 따라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COT의 식별자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처리 유닛(610)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CI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2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600)의 각 유닛의 전술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1 내지 도 4의 각 방법 중 단말기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 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트리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제로 전송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이해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 헤드를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관성을 보장하여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3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송수신 유닛(620)은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610)은 상기 목표 값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목표 값은 시간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처리 유닛(610)은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수이며, 또는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채널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처리 유닛(61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수에 따라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3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600)의 각 유닛의 전술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5의 각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 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말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치성을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600)는 이하의 내용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송수신 유닛(620)은 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CI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내의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DCI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결정되지 않고, 또는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제 1 정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소정의 값은 무한대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DCI를 운반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처리 유닛(710) 및 송수신 유닛(7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4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상기 송수신 유닛(720)은 처리 유닛(710)에 의해 생성된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며,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다운 링크 채널은 다운 링크 물리 공유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물리 제어 채널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수신 유닛(72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수신 유닛(720)은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DCI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중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며,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4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700)의 각 유닛의 전술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6의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단말기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제로 전송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이해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 헤드를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관성을 보장하여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5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송수신 유닛(720)은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대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목표 값은 시간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시간 범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간 범위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수이며, 또는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또는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채널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5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700)의 각 유닛의 전술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도 7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 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단말기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할 수 있으며, 피드백 정보 내의 중복 정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실제로 전송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기 디바이스 간의 이해 불일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 헤드를 줄이면서 전송 시그널링에 대한 이해의 일관성을 보장하여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700)는 이하 내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유닛(710)은 DCI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송수신 유닛(720)은 상기 DCI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내의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DCI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결정되지 않고, 또는 상기 DCI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제 1 정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소정의 값은 무한대이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DCI를 운반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8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800)는 프로세서(81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81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800)는 메모리(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메모리(8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10)에서 분리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8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800)는 송수신기(8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810)는 송수신기(830)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다른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기(8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830)는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디바이스(800)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8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해당 흐름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통신 디바이스(800)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디바이스(800)는 본 발명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해당 흐름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칩(900)은 프로세서(91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910)는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900)은 메모리(9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메모리(920)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10)으로부터 독립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9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900)은 입력 인터페이스(930)를 더 포함할 수있다. 프로세서(9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930)가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에 의해 전송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900)은 출력 인터페이스(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940)가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다른 디바이스 또는 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칩은 본 발명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해당 흐름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해당 흐름을 구현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00)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통신 시스템(1000)은 단말기 디바이스(10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10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1010)은 상기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1020)는 상기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도록 구성될 수 잇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신호 처리 능력을 구비한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완료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해 실행되어 완료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해당 기술 분야에서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배치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읽고 그 하드웨어와 함께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또는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확장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 다양한 형태의 RAM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메모리에 대한 설명은 한정이 아닌 예시적인 것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실시예의 메모리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확장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 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 실시예의 메모리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흐름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발명 실시의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흐름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흐름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흐름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본 발명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흐름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이동 단말기/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되는 해당 흐름을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상의 제약 조건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특정 용도에 따라 부동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아니 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기타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에 따른 구분이며, 실제로 실현할 때는 기타 구분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 요소가 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부 특징이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나타내거나 논의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으며,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도 있다.
상기 분리 부재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의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의 해결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고, 또한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공헌한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일부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한 대의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구비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USB 메모리, 모바일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콤팩트 디스크 등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가능한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구상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90)

  1. 단말기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됨 - 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다운 링크 채널은 다운 링크 물리 공유 채널 및 다운 링크 물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중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가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할 수 있는 다운 링크 채널의 최대수를 나타내는 최대 다운 링크 채널 수에 기초하여,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또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다운 링크 채널 수가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목표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의 최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중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채널 점유 시간 COT에 기초하여,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COT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단말기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목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값은 시간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목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이며, 또는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에 대응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HARQ 프로세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단말기 디바이스가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DCI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그룹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결정되지 않고; 또는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제 1 정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무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DCI를 운반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됨 - 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다운 링크 채널은 다운 링크 물리 공유 채널 및 다운 링크 물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값은 시간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시간 범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이며, 또는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에 대응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HARQ 프로세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DCI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을 그룹화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결정되지 않고; 또는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제 1 정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무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DCI를 운반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송수신 유닛과,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다운 링크 채널은 다운 링크 물리 공유 채널 및 다운 링크 물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4.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위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가 미리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할 수 있는 다운 링크 채널의 최대수를 나타내는 최대 다운 링크 채널 수에 기초하여, 상기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또한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다운 링크 채널 수는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목표 파라미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수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를 결정하고,
    상기 목표 파라미터의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각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비트 수의 최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2. 제41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중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채널 점유 시간 COT에 기초하여,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이 위치한 COT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6.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는,
    상기 목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값은 시간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이며, 또는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에 대응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HARQ 프로세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0. 제56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2.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DCI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결정되지 않고; 또는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제 1 정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4. 제62항 또는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무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5. 제6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DCI를 운반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66. 트리거 시그널링 -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피드백 정보를 포함한 피드백 정보 코드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됨 - 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8. 제66항 또는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다운 링크 채널은 다운 링크 물리 공유 채널 및 다운 링크 물리 제어 채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9. 제66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0. 제66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그룹 내의 제 1 다운 링크 채널 그룹에 포함된 다운 링크 채널의 수를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1. 제66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채널 내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임의의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전송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수신된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2. 트리거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고 또한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의 피드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값은 시간 범위를 나타내고, 상기 시간 범위는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 및 다운 링크 전송 자원 중의 적어도 하나의 수이며, 또는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운 링크 전송 채널에 대응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HARQ 프로세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6.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은 목표 값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값은 상기 전송 대기의 피드백 정보의 총 비트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7. 다운 링크 제어 정보 DCI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DCI 내의 물리 업 링크 제어 채널 PUCCH 자원 지시 정보 필드는 상기 DCI에 대응하는 다운 링크 채널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다운 링크 채널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결정되지 않고; 또는
    상기 DCI 내의 피드백 타이밍 정보 필드가 소정의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피드백 정보의 전송 시간은 제 1 정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도록 단말기 디바이스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9. 제77항 또는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값은 무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0. 제77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링크 채널은 상기 DCI를 운반하는 물리 다운 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기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물리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1.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82.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제2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83.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칩이 설치된 디바이스에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84. 메모리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제2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칩이 설치된 디바이스에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85.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86. 제2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87.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8. 제2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9.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90. 제2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28646A 2019-01-11 2019-01-11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eased KR20210113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71466 WO2020143052A1 (zh) 2019-01-11 2019-01-11 用于传输反馈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23A true KR20210113023A (ko) 2021-09-15

Family

ID=7152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646A Ceased KR20210113023A (ko) 2019-01-11 2019-01-11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0999041B2 (ko)
EP (2) EP3737015A4 (ko)
JP (1) JP7311525B2 (ko)
KR (1) KR20210113023A (ko)
CN (2) CN111788786A (ko)
AU (1) AU2019420405B2 (ko)
BR (1) BR112020018964A2 (ko)
CA (1) CA3093486C (ko)
MX (1) MX2020010041A (ko)
SG (1) SG11202008814YA (ko)
WO (1) WO2020143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18964A2 (pt) 2019-01-11 2021-07-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para transmissão de informações de retroalimentação e dispositivo terminal
ES2964733T3 (es) 2019-02-01 2024-04-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para transmitir información de retroalimentación, dispositivo terminal y dispositivo de red
WO2020155109A1 (zh) * 2019-02-01 2020-08-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度混合自动重传的方法及装置
CN114270758B (zh) * 2019-08-23 2024-02-23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确定harq-ack码本的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5028B2 (ja) 1996-11-22 2007-10-24 スプリント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カンパニイ,エル.ピー. 電気通信網において通話を転送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359709B2 (en) 2004-06-29 2008-04-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BSC soft handoff
EP2276315B8 (en) 2007-09-28 2014-07-16 Signal Trust for Wireless Innovation Method for completing an enhanced dedicated channel (E-DCH)
CN102014510B (zh) * 2009-11-03 2015-02-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控制信道资源配置的方法、设备及系统
US20110150049A1 (en) * 2009-12-23 2011-06-23 Dent Paul W Mimo channel loopback
WO2012044088A2 (ko) * 2010-09-29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피드백 방법 및 장치
CN102918793B (zh) * 2010-09-30 2016-05-18 Lg电子株式会社 发送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CN103427938B (zh) * 2012-05-18 2018-11-2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配置信道测量和dl csi反馈的方法、系统及设备
CN104348597A (zh) * 2013-08-08 2015-02-1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pusch的调度和harq-ack信息的传输方法
CN104518845B (zh) 2013-09-27 2020-08-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系统中测量参考信号功率控制参数配置方法和系统
CN113438060A (zh) * 2015-04-09 2021-09-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增强载波聚合系统的harq-ack传输方法和设备
WO2017010767A1 (ko) * 2015-07-12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092347B1 (ja) 2015-11-05 2017-03-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CN106714320B (zh) * 2015-11-16 2019-07-0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控制信息dci传输方法及装置
EP3447953B1 (en) * 2016-05-10 2020-07-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elevant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7529224B (zh) * 2016-06-21 2020-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信息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2069665B2 (en) 2016-09-09 2024-08-20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7919948B (zh) * 2016-10-09 2020-03-2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下行接收反馈信息的传输控制方法、基站和终端
US20190253204A1 (en) 2016-10-28 2019-08-15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1336416B2 (en) * 2017-03-08 2022-05-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CN110945936B (zh) * 2017-05-04 2023-08-2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Ue组,ue组管理者ue和ue组成员ue
US11728938B2 (en) 2017-06-26 2023-08-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595952B2 (en) * 2018-04-27 2023-02-28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sharing across user equipment
CN109644119B (zh) * 2018-05-08 2020-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0017240A1 (en) * 2018-07-20 2020-01-23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for csi reporting
US20200106569A1 (en) * 2018-09-27 2020-04-02 Mediatek Inc. Mechanisms for postpon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harq-ack) feedback
BR112020018964A2 (pt) 2019-01-11 2021-07-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para transmissão de informações de retroalimentação e dispositivo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99041B2 (en) 2021-05-04
EP4050828A1 (en) 2022-08-31
EP3737015A4 (en) 2021-03-17
CA3093486C (en) 2023-08-22
CN111786767A (zh) 2020-10-16
US11863493B2 (en) 2024-01-02
US20220385434A1 (en) 2022-12-01
MX2020010041A (es) 2020-10-14
US20200382260A1 (en) 2020-12-03
CN111788786A (zh) 2020-10-16
AU2019420405B2 (en) 2024-11-14
US20210226757A1 (en) 2021-07-22
SG11202008814YA (en) 2020-10-29
WO2020143052A1 (zh) 2020-07-16
AU2019420405A1 (en) 2020-10-01
CA3093486A1 (en) 2020-07-16
EP3737015A1 (en) 2020-11-11
JP7311525B2 (ja) 2023-07-19
JP2022522073A (ja) 2022-04-14
BR112020018964A2 (pt) 2021-07-27
US11476996B2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68577A1 (zh) 传输上行反馈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714468B1 (ko)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943782B2 (en) Data channel transmiss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186349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375533B2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A3098094A1 (en)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device
WO2020093399A1 (zh) 无线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JP7655868B2 (ja) Harqコードブック決定方法及び装置、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
RU2782248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братной связ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10057755A (ko) 상향 제어 정보 전송 자원의 수를 결정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EP44858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00118480A (ko) 무선 통신 방법과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