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11302A - 공통의 통로에서 두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 Google Patents

공통의 통로에서 두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302A
KR20210111302A KR1020217025100A KR20217025100A KR20210111302A KR 20210111302 A KR20210111302 A KR 20210111302A KR 1020217025100 A KR1020217025100 A KR 1020217025100A KR 20217025100 A KR20217025100 A KR 20217025100A KR 20210111302 A KR20210111302 A KR 20210111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elevator car
suspension means
section
elev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벤첼부르거
Original Assignee
티케이 엘리베이터 이노베이션 앤드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케이 엘리베이터 이노베이션 앤드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케이 엘리베이터 이노베이션 앤드 오퍼레이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1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30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ith separate traction and suspension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7Tandem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the sam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설비는 통로에 배열되고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도시된다.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연결은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1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연결은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2 서스펜션을 추가로 포함한다. 구동 유닛은 제 1 서스펜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되된다.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또한 통로에 배열되고, 엘리베이터 카와 독립적으로 제 2 구동 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통의 통로에서 두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본 발명은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고 통로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연결부는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1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연결부는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2 서스펜션을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엘리베이터 설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대안적인 1:1 서스펜션을 도시한다.
요즘은 특히 고층 건물들에서 사용가능한 공간과 생활 공간이 점점 더 값지고 비싸지고 있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들은 따라서 건물주에게 많은 비용이 들게하는 데 왜냐하면 엘리베이터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은 따로 임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로프로 작동되는 엘리베이터 설비들의 경우에, 설계로 인해, 엘리베이터 통로의 (상부) 단부에 트랙션 시브 또는 드럼을 배열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트랙션 시브 또는 드럼에 걸쳐 로프가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안내된다. 로프는 또한 종종 트랙션 시브에 걸쳐 안내된 후에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카의 이러한 서스펜션은 건물에서 공간을 필요로 한다. 엘리베이터 설비 설계에 따라 서스펜션과 구동 머신은 몇개의 플로어들을 빠르게 점유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 적용된다. 또한, 구동 유닛의 전기적 동려과 기계적 동력 사이의 비는 서스펜션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합한 서스펜션의 선택의 경우에, 구동 유닛은, 예를 들어 동일한 동력 소비로, 특히 구동 샤프트의 영역에서 더 작은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차례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서스펜션에 대한 개선된 개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주제물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물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고 통로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연결부는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1 서스펜션, 특히 1:1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연결부는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2 서스펜션, 특히 1:1 서스펜션을 더 포함한다. 1:1 서스펜션의 설계에서, 제 1 서스펜션은 또한 제 1 1:1 서스펜션으로서, 그리고 유사하게 제 2 서스펜션은 제 2 1:1 서스펜션으로서 설명된다.
2개의 상이한 서스펜션들들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현수할 수 있는 가능성은, 더 큰 트랜스미션 비들의 단점들을 허용할 필요 없이, 더 큰 트랜스미션 비들을 갖는 서스펜션들의 이점들을 더 낮은 트랜스미션 비들을 갖는 2개의 서스펜션들을 통해 얻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서스펜션 양쪽이 1:1 서스펜션으로 설계되는 경우이다.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터웨이트의 이러한 서스펜션에 의해, 1:1 서스펜션과 2:1 서스펜션의 이점들이 조합될 수 있다. 1:1 서스펜션의 이점들은 특히 작은 설비 공간에서 가능한 적은 수의 리버스 벤딩 사이클들로, 특히 리버스 벤딩 사이클 없이,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카운터웨이트로 서스펜션 수단을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기초한다. 2:1 서스펜션의 하나의 이점은, 동일한 전력 소비로, 구동 유닛, 특히 구동 통로의 기계적 설계가 크기에서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엘리베이터 설비의 구동 유닛이 1:1 서스펜션을 사용할 때보다 2:1 서스펜션을 사용할 때 (공간의 관점에서) 더 작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2개의 1:1 서스펜션들의 사용은 서스펜션에 대한 더 낮은 전체 높이 및 기계적 관점에서 구동 유닛의 더 작은 치수 양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더 큰 트랜스미션 비로부터 2개의 더 작은 트랜스미션 비로 변경될 때, 서스펜션들의 다른 조합에 의해 유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1 서스펜션은 1:1 서스펜션보다 더 큰 트랜스미션 비를 갖는다. 추가의 가능한 트랜스미션 비는 3:1, 4:1 또는 다른 더 큰 트랜스미션 비이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더 큰 트랜스미션 비는 또한 더 높은 비 서스펜션으로서 설명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제 2 서스펜션이 구동부를 갖지 않는 것을 도시한다. 즉, 제 1 서스펜션만이 구동 유닛에 의해 구동된다. 제 2 서스펜션을 따라, 엘리베이터 카는 그 자체의 고유 중량 또는 카운터웨이트의 고유 중량으로 인해 이동한다. 따라서 더욱이, 비록 카가 두 개의 서스펜션들에 의해 현수되더라도, 하나의 드라이브만이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요구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는 차례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2개의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요구되는 설치 공간의 상당한 감소, 즉, 공간에서 상당한 절감을 의미한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설비는 상기 제 2 서스펜션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 유닛과 협동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추가의 구동 유닛을 갖는다. 따라서, 구동 유닛은 다시 더 작은 치수들을 가질 수 있고, 추가의 구동 유닛은 당연히 또한 공간을 차지한다. 2개의 구동 유닛들의 협동은 그것들이 동시에 작동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에서의 불필요한 응력들은 2개의 구동 유닛들에 의해 회피된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이 보상 요소에 의해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에 커플링되는 것을 도시한다. 특히,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또는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보상 요소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및/또는 카운터웨이트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이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이 커플링된다는 사실은 또한 보상 요소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또는 카운터웨이트에의 2개의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 사이의 연결부는 이때 엘리베이터 카 또는 카운터웨이트를 통해 실시된다. 보상 요소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편향 롤러들, 로커, 스프링, 고무 요소 또는 (제 3) 서스펜션 수단 섹션 또는 전술된 가능한 보상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그러나,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과 엘리베이터 카 사이 또는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과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연결부가 고정되거나 강성인 경우, 즉 보상 요소를 갖지 않는 경우가 유리하다.
또한, 보상 요소는 준정적인 (quasistatic) 것이 유리하다. 이는 이상적인 조건들 하에서, 즉, 특히 제 1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의 정확히 동일한 특성, 양쪽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의 동일한 온도 등에 의해, 보상 요소는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불필요한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조건들 하에서,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 상의 로딩에 의해 또는 온도 차이들에 의해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사용 수명에 걸쳐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의 길이에서의 변동들이 존재하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의 길이의 변동은 전형적으로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의 길이의 변동과 상이하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의 길이에서의 변동은 보상 수단에 의해 보상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에서의 응력들은 감소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과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별개의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각각 실시된다. 대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과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공통의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실시된다.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이때 공통 서스펜션 수단을 형성하도록, 특히 보상 요소의 영역에서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공통의 서스펜션 수단은 보상 요소로서 하나 이상의 편향 롤러들 상에 배열되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편향 롤러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는 로프, 체인 또는 벨트일 수 있다. 이러한 서스펜션 수단의 배열은 저렴하고 실시가 용이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설비는 또한 통로에 추가의 (즉, 제 2) 엘리베이터 카를 가지며,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제 2 구동 유닛에 의해 (제 1) 엘리베이터 카에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 설비는 멀티 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다. 따라서,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동일한 가이드웨이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동일한 주행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 을 사용할 수 있다. 멀티 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에, 적어도 2개의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을 가능한 한 공간 절약되도록 설계할 필요성이 더 크다. 멀티 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종래의 서스펜션들이 엘리베이터 카를 위한 서스펜션 및 구동 유닛(들) 을 수용하도록 세개의 레벨들 (특히 플로어들) 을 요구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이때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는 이러한 세개의 레벨들에 도달할 수 없다. 이는 상단 플로어들까지 도달하기 위해 사람들이 걷거나 운송 수단을 변경해야 하고, 즉 예를 들면 또 다른 엘리베이터 설비 또는 에스컬레이터로 변경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에 의하면, 서스펜션 및 구동 유닛들을 위해 제공되는 레벨들이 적어도 2개의 레벨들로 감소될 수 있고, 또한 유리한 배열에 의해 또한 심지어 하나의 레벨까지 감소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그들의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엘리베이터 설비로부터 변경해야 하는 사람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카는 추가의 (제 2)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배열된다.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이때 제 1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이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트레블 경로 외측에서 주행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특히 양쪽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은 완전히, 즉 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트레블 경로 외측에서 주행해야 한다. 따라서, (제 1) 엘리베이터 카를 유지하는 서스펜션 수단과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 사이의 충돌이 발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또한 (제 1)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과 상이한 서스펜션을 갖는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를 도시하며, 특히 추가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은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과 상이한 타입이다. 엘리베이터 카는 예를 들어 2개의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에 의해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될 수 있는 한편,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전형적인 1:1 서스펜션에 의해 카운트웨이트에 연결된다. 2개의 서스펜션들 중 하나, 특히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을 더 높은 비 서스펜션, 예를 들어 2:1 또는 3:1 서스펜션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2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의 서스펜션들은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서스펜션들은 서로 상이한 것이 유리하다. 이는 승강기 설비의 서스펜션을 컴팩트 방식으로, 즉 작은 구조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서스펜션 및/또는 제 2 서스펜션은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카운터웨이트로 편향시키도록 공통의 레벨에 배열되는 제 1 편향 롤러 및 제 2 편향 롤러를 갖는다. 용어 편향 롤러는 서스펜션 수단 섹션이 제 1, 특히 수직 방향으로부터 제 2,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게 하는 임의의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이는, 예를 들어, 먼저 서스펜션 수단 섹션이 편향 롤러들을 통해 다른 서스펜션 수단 섹션과 함께 이동되어 이후 양쪽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을 공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비들의 배열들과 비교하여 유리하다. 2개의 서브-섹션들의 함께 이동 (bringing-together) 은, 예를 들어, 연속적인 벤딩 사이클들 사이의 거리를 가능한 크게 하고 서스펜션 수단 섹션에 가능한 적게 응력을 주도록, 전형적으로 전체 레벨을 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제 2 구동 유닛과 엘리베이터 카의 구동 유닛은 공통의 레벨, 특히 엘리베이터 설비가 설치되는 건물의 공통의 플로어에 배열된다. 츠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구동 유닛들은 또한 제 1 및/또는 제 2 1:1 서스펜션의 제 1 및 제 2 편향 롤러와 동일한 레벨 상에 배열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1:1 서스펜션의 제 1 및 제 2 편향 롤러와 함께 구동 유닛 (또는 제 2 구동 유닛) 을 제 1 공통의 레벨 상에 배열하고, 제 2 구동 유닛을 제 2 레벨 상에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 유닛들은 또한 상호교환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 및 또한 (제 1) 엘리베이터 카의 (제 1) 구동 유닛 및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제 2 구동 유닛을 편향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모든 편향 롤러들은 하나의 레벨 상에, 특히 엘리베이터 설비가 설치되는 건물의 공통의 플로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즉,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구동 유닛을 통해 카운터웨이트로 편향시키고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카운터웨이트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롤러가 공통의 레벨에 배열될 수 있으며, 공통의 레벨은 특히 엘리베이터 카의 구동 유닛 및/또는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제 2 구동 유닛이 또한 배열되는 동일한 레벨이다. 이러한 경우, 용어 편향 롤러들은 제 1 1:1 서스펜션의 하나 이상의 편향 롤러들 및 제 2 1:1 서스펜션의 하나 이상의 편향 롤러들 양쪽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2개의 1:1 서스펜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2개의 편향 롤러를 갖는 경우, 멀티 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는 서스펜션 수단이 다른 엘리베이터 카의 트레블 경로 외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설명된 1:1 서스펜션보다 더 높은 비의 서스펜션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1:1 서스펜션은 가장 큰 공간 절감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 1 및/또는 제 2 서스펜션은 제 1 및 제 2 편향 롤러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편향 롤러는 엘리베이터 카와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거리보다 큰 서로로부터의 (수평) 거리에 있다. 이는 2개의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 중 하나의 서스펜션 수단이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트레블 경로 외측에서 엘리베이터 카 및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카운터웨이트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측 상에서 안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서스펜션 수단 섹션이 제 1 및 제 2 편향 롤러들을 통해 카운터웨이트로 안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카에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서스펜션 수단들에 의해 구동되는 멀티 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또는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리버스 벤딩 사이클을 갖지 않는다. 리버스 벤딩 사이클은 서스펜션 수단의 벤딩 상태로부터 직선 상태로, 다시 반대로 벤딩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서스펜션 수단이 하나의 레벨 상에서 다음의 레벨로 벤딩된다면 반대로 벤딩된 상태도 존재한다. 벤딩 사이클은 또한 적어도 40°, 적어도 60°, 또는 적어도 80°에 의한 서스펜션 수단의 임의의 벤드 또는 편향을 나타낸다. 리버스 벤딩 사이클들은 서스펜션 수단의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리버스 벤딩 사이클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에서의 리버스 벤딩 사이클들의 수를 최대 2회 또는 심지어 단지 1회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최대 2회의 리버스 벤딩 사이클들은 하나의 서스펜션 수단 섹션으로 제한되고 다른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리버스 벤딩 사이클들이 없다.
또한, 엘리베이터 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도시되는 데,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를 통로에 배열하는 단계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고, 연결부는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1 서스펜션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2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상기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스펜션을 구동하는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에서 보상 요소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제 2 실시예에서 보상 요소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제 3 실시예에서 보상 요소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는 제 4 실시예에서 보상 요소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멀티 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하부 엘리베이터 카의 공지된 서스펜션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 은, 예를 들어,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하부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제 5 실시예에서 보상 요소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공지된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는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의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하부 엘리베이터 카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을 갖는다.
도 10 은 도 9 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략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실제 요소, 대상 및/또는 구조에 대해, 다양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들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고, 또는 서로 적용될 수도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 은 엘리베이터 설비 (20) 의 개략도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설비 (20) 는 통로 (22), 그안에 배열된 엘리베이터 카 (24) 및 마찬가지로 통로 (22) 에 배치된 카운터웨이트 (26) 를 갖는다. 엘리베이터 카 (24) 는 카운터웨이트 (26) 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카 (24) 와 카운터웨이트 (26) 사이의 연결은 2개의 서스펜션을 통해 실시되고, 2개의 1:1 서스펜션은 최소한의 양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1:1 서스펜션은 항상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또한 이것을 더 높은 비의 서스펜션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1:1 서스펜션 (30) 은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을 갖는다.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은 엘리베이터 카 (24) 를 카운터웨이트 (26) 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트랙션 시브 (50') 및 전환 롤러 (50c) 에 걸쳐 안내된다. 제 2 1:1 서스펜션 (34) 은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 (36) 을 갖는다.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 (36) 은 엘리베이터 카 (24) 를 카운터웨이트 (26) 에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편향 롤러 (50a, 50b) 에 걸쳐 안내된다. 그러나, 트랙션 시브 (50') 의 배열은 도 1 에 도시된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트랙션 시브는 또한 상이한 위치에, 예를 들어 편향 롤러들 (50a, 50b, 50c) 이 도시된 지점들 중 하나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전환 롤러 (50c) 는 예를 들어 트랙션 시브 (50c) 와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도록 트랙션 시브 (50') 에 대해 상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단지 몇 가지 예를 언급하자면, 전환 롤러 (50c) 는 예를 들어 트랙션 시브 (50') 에 대해 하향으로 오프셋되어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은 전환 롤러 (50c) 와 트랙션 시브 (50') 양쪽을 한 번 또는 여러 번 함께 랩핑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 (20) 는 제 1 1:1 서스펜션 (32) 을 제 2 1:1 서스펜션 (36) 에 커플링하도록 선택적으로 보상 요소를 갖는다. 보상 요소는 엘리베이터 카 (24) 상에, 즉 예를 들어 (제 1) 위치 (40a) 에, 또는 카운터웨이트 (26) 상에, 즉 예를 들어 (제 2) 위치 (40b) 에 배열될 수 있다. 상이한 보상 요소들의 예들은 다음의 도면들에 도시된다.
선택적으로, 엘리베이터 설비는 또한 하부 가이드 (38) (예를 들어, 보상 로프 또는 보상 체인) 를 가지며, 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24) 및 카운터웨이트 (26) 의 하부 측들은 서로 연결된다. 보상 로프 (38) 는 편향 롤러 (50d, 50e) 에 의해 안내되고 선택적으로 인장될 수 있다.
도 2 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비 (20) 를 도시한다. 도 1 과 대조적으로, 엘리베이터 설비 (20) 는 위치 (40a) 에서 보상 요소로서 추가의 편향 롤러 (50d) 를 갖는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36) 은 단일 서스펜션 수단으로부터 유리하게 실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공통의 서스펜션 수단은 편향 롤러 (50d) 주위로 안내될 수 있어서,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 (36) 에 대한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의 상이한 연장부의 경우에, 편향 롤러 (50d) 는 상이한 연장부를 보상하도록 이동, 특히 회전한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36) 은 또한 서스펜션 수단의 가이딩 어라운드 (guiding-around) 에 의해서가 아닌 일부 다른 방식으로 편향 롤러 (50d) 에 체결될 수 있어서, 서로로부터 분리된 2개의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36) 으로 이러한 배열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은 추가의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설비 (20) 를 도시한다. 도 2 와 대조적으로, 추가의 편향 롤러 (50d) 는 위치 (40a) 에서가 아니라 위치 (40b) 에서, 즉 카운터웨이트 (26) 상에 배열된다. 그렇지 않다면, 도 2 의 설명은 도 3 으로부터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 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를 도시하며, 이는 보상 요소의 타입의 관점에서 도 2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하다. 편향 롤러 대신에, 로커 (52) 가 위치 (40a) 에 배열된다. 로커 (52) 는 도 2 의 편향 롤러 (50d) 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한다. 이는 특히 도 2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적용되며, 여기서 2개의 별개의 서스펜션 수단이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 (36) 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도 2 로부터의 편향 롤러가 또한 위치 (40b) (도 3 참조) 에 배열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로커 (52) 는 또한 위치 (40b) 에, 즉 카운터웨이트 (26)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 5 는 보상 요소로서 스프링 (54) 및 선택적으로 추가의 스프링 (54') 을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 설비 (20) 를 도시한다. 도 5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보상 요소의 선택의 관점에서만 상이하다. 스프링 (54) 은 제 2 서스펜션 수단 (36) 과 엘리베이터 카 (24)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32) 도 엘리베이터 카에 배열되기 때문에, 스프링 (54) 은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32) 과 제 2 서스펜션 수단 (36) 사이에도 배열되어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32) 은 스프링 (54) 에 의해 제 2 서스펜션 수단 (36) 에 커플링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서,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은 또한 스프링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24) 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의 스프링 (54') 은 스프링 (54) 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서스펜션 수단 (36) 과 엘리베이터 카 (24)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추가의 가능한 보상 수단이 공개 공보 명세서 WO 2006 097 138 A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은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하부 엘리베이터 카 (24) 의 공지된 배열을 도시한다. 위치 (40a) 에서의 보상 요소는 2개의 편향 롤러 (50d 및 50e) 를 갖는다. 편향 롤러 (50d 및 50e) 는 서스펜션 수단 (36) 이 엘리베이터 카 (24) 의 트레블 경로 외측으로 (수직으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24)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스펜션 수단 (36') 은 롤러 블록 (60) 에서 2개의 스트랜드들로 분할되고, 하나의 (제 1) 스트랜드는 편향 롤러 (50c) 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24) 로 안내되고 다른 (제 2) 스트랜드는 편향 롤러 (50f) 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24) 로 안내된다. 그러나 롤러 블록 (60) 은 전체 레벨, 예를 들어 전체 플로어를 차지하고 따라서 많은 공간을 요구한다. 이러한 배열은 공개 공보 명세서 WO 2006 097 140 A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은 엘리베이터 카 (24) 의 대안적인 서스펜션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를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설비 (20) 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을 갖는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다. 도 6 과 비교하면, 도 7 로부터의 실시예는 롤러 블록 (60) 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편향 롤러 (50d, 50e) 의 배열은 도 6 에 대해 변경되지 않는다. 서스펜션 수단 (36') 의 2개의 스트랜드들로의 분할을 생략함으로써, 롤러 블록 (60) 을 생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여기서 스트랜드들은 그렇지 않다면 그것들이 구동 유닛을 통해 함께 안내될 수 있도록 함께 이동되어야 한다. 편향 롤러 (50a, 50b, 50c) 와 트랙션 시브 (50') 는 또한 단일 레벨에 배열될 수 있다. 도 6 으로부터의 롤러 블록에 대한 제 2 레벨은 생략될 수 있다.
공간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도 7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도 6의 엘리베이터 설비에 비해 2개의 서스펜션 수단 섹션들 (32, 36) 을 갖는 서스펜션 수단이 리버스 벤딩 사이클을 거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편향 롤러 (50e) 와 트랙션 시브 (50') 사이의 곡률의 변경은 편향 롤러 (50e) 와 트랙션 시브 (50') 사이의 큰 거리로 인해 리버스 벤딩 사이클로 간주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리버스 벤딩 사이클이 수반하는 전형적인 인자들, 특히 단순한 벤딩 사이클에 비해 서스펜션 수단에 더 높은 응력이 여기에 적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도 6 로부터의 서스펜션 수단은 각각 편향 롤러들 (50f 및 50b 및 50c 및 50a) 사이에서 리버스 벤딩 사이클을 거친다. 더욱이, 편향 롤러 (50a 및 50b) 로부터 트랙션 시브 (50') 로 주행할 때에, 서스펜션 수단은 가능한 많은 공간이 절감될 수 있다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리버스 벤딩 사이클을 거친다. 따라서, 서스펜션 수단 (36') 은 보다 많은 수의 리버스 벤딩 사이클들로 인해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및 36) 을 갖는 도 7 의 서스펜션 수단보다 더 강하게 응력을 받는다. 도 6 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도 7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추가의 이점은 트랙션 시브 (50') 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의 보다 낮은 힘 효과, 즉 트랙션 시브 (50') 또는 트랙션 시브 (50') 를 구동하는 구동 유닛의 전체의 보다 낮은 기계적 로딩이다. 따라서, 구동 유닛은 (기계적으로) 보다 작은 구성일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동력 소비로) 동일한 엘리베이터 카, 즉, 특히 동일한 중량을 갖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 (36) 이 제 2 1:1 서스펜션을 형성하도록 2개의 편향 롤러 (50a, 50b) 에 걸쳐 안내되는 것을 도시한다. 2개의 편향 롤러 (50a, 50b) 는 유리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24) 와 카운터웨이트 (26) 사이의 거리보다 큰 서로로부터의 거리에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24) 로부터 카운터웨이트 (26) 로 서스펜션 수단 섹션 (36) 을 그리고 프로세스 브리지에서, 예를 들어 횡방향으로 제 1 1:1 서스펜션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은 도 6 으로부터의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설비를 도시하며,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가 여기에 추가로 도시된다. 하부 엘리베이터 카 (24) 가 트랙션 시브 (50') 에 의해 구동되는 동안,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는 트랙션 시브 (50") 에 의해 구동된다. 하부 엘리베이터 카 (24) 는 일 단부에서 서스펜션 수단 (36') 으로부터 현수된다. 그 다른 단부에서, 서스펜션 수단 (36') 은 카운터웨이트 (26) 에 연결된다.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는 추가의 서스펜션 수단 (58) 에 의해 추가의 카운터웨이트 (26') 에 연결된다. 여기서, 3개의 레벨이 양쪽 엘리베이터 카 (24, 24') 에 대한 서스펜션의 배열을 위해 요구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도 9 는 도 8 로부터의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교체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을 갖는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도 9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7 로부터의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하며, 여기서 하부 엘리베이터 카 (24) 위에 배열되고 특히 하부 엘리베이터 카 (24) 와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가 또한 도시된다.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는 추가의 서스펜션 수단 (58) 에 의해 추가의 카운터웨이트 (26') 에 연결된다.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는 추가의 트랙션 시브 (50') 를 통해 구동된다. 예를 들어, 도 9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의 서스펜션의 타입은 도 8 로부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의 서스펜션의 타입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편향 롤러들의 공간적 배열 및 깊이의 관점에서, 즉 도면의 평면에 수직인 서스펜션 수단 (58) 의 안내부는 도 8 로부터의 멀티-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배열이 아래에 도 10 에서 설명된다.
도 10 은 편향 롤러 (50) 및 구동 유닛 (56) 의 가능한 공간 배열 및 서스펜션 수단 (58) 및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36) 의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 9 로부터의 멀티 캐빈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따라서, 서스펜션 수단 (36) 은 추가의 트랙션 시브 (50") 를 구동하고 따라서 상부 (제 2) 엘리베이터 카 (24') 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56a) 위로 안내될 수 있다. 트랙션 시브 (50') 를 구동하고 따라서 하부 (제 1) 엘리베이터 카 (24) 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 유닛 (56b) 은, 예를 들어, 구동 유닛 (56a) 에 대해 평행하게 오프셋되어 배열될 수 있다. 구동 유닛 (56a) 은 또한 제 2 구동 유닛을 칭한다. 제 1 트랙션 시브 (50') 및 편향 롤러 (50a) 는,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32)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 (36) 이 하부 엘리베이터 카 (24) 에 도달하도록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에 다음에 반대쪽 측들을 지나 안내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트랙션 시브 (50") 는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위에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58) 은 엘리베이터 카 (24') 의 중심, 예를 들어 무게 중심에 수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의 연관된 공간 안내부 및 편향 롤러들의 이러한 공간 배열은 양쪽 구동 유닛들 (56a, 56b), 상부 엘리베이터 카 (24) 를 위한 서스펜션, 및 하부 엘리베이터 카 (24) 를 위한 제 1 및 제 2 1:1 서스펜션이 하나의 레벨, 특히 하나의 플로어에 배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양상들이 장치와 함께 설명되었지만, 이들 양상들은 또한 상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나타내고, 따라서 장치의 블록 또는 구성요소는 또한 상응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방법 단계와 관련하여 또는 방법 단계로서 설명된 양상들은 또한 상응하는 장치의 상응하는 블록 또는 상세 또는 특징의 설명을 나타낸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배열 및 상세의 변경 및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 및 도해에 기초하여 여기에서 제공되는 특정한 상세들에 의하지 않고, 아래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의도된다.
20 엘리베이터 설비
22 통로
24 엘리베이터 카
26 카운터웨이트
30 제 1 (1:1) 서스펜션
32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34 제 2 (1:1) 서스펜션
36 제 2 펜션 수단 섹션
38 하부 가이드
40 보상 요소
50 편향 롤러
50' 트랙션 시브
52 로커
54 스프링
56 드라이브 유닛
58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용 서스펜션 수단
60 롤러 블록

Claims (16)

  1. 엘리베이터 설비 (20) 로서,
    다음의 특징들:
    통로 (22) 에 배열되고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카로서, 연결부는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1 서스펜션, 특히 1:1 서스펜션,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2 서스펜션, 특히 1:1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 1 서스펜션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구동 유닛 (56) 을 포함하고;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 (24') 는 상기 통로 (22) 에 배열되고,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와 독립적으로 제 2 구동 유닛 (56a) 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스펜션은 구동부를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비는, 상기 제 2 서스펜션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 유닛 (56) 과 협동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추가의 구동 유닛 (56) 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보상 요소에 의해 상기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에 커플링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요소는 다음의 특징들:
    편향 롤러, 로커, 스프링, 고무 요소, 서스펜션 수단 섹션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 상기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별개의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각각 실시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 상기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공통의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실시되고;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 상기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보상 요소의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는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아래에 배열되며,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로 안내되어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이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트레블 경로 외측으로 주행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 (24') 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과 상이한 서스펜션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제 2 구동 유닛 (56a)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구동 유닛 (56) 은 공통의 레벨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스펜션 및/또는 상기 제 2 서스펜션은 상기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로부터 상기 카운터웨이트로 편향시키도록 공통의 레벨에 배열되는 제 1 편향 롤러 및 제 2 편향 롤러를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구동 유닛 (56) 및/또는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제 2 구동 유닛 (56a) 은 또한 공통의 레벨에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로부터 상기 카운터웨이트로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편향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로부터 상기 카운터웨이트로 상기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롤러들이 공통의 레벨에 배열되고, 상기 공통의 레벨은 특히 동일한 레벨이고, 상기 동일한 레벨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구동 유닛 (56) 및/또는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의 제 2 구동 유닛 (56a) 이 또한 배열되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스펜션 및/또는 상기 제 2 서스펜션은 제 1 편향 롤러 및 제 2 편향 롤러를 가지며, 상기 제 1 편향 롤러 및 상기 제 2 편향 롤러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24) 와 상기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거리보다 큰 서로로부터의 거리에 있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 및/또는 상기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은 리버스 벤딩 사이클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설비 (20).
  16. 엘리베이터 설비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음 단계들:
    통로에 엘리베이터 카를 배열하는 단계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카운터웨이트에 연결되고, 연결부는 제 1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1 서스펜션 및 제 2 서스펜션 수단 섹션을 갖는 제 2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상기 통로에 엘리베이터 카를 배열하는 단계;
    제 1 서스펜션을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단계;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통로에 배열하는 단계;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독립적으로 제 2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추가의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217025100A 2019-01-15 2020-01-09 공통의 통로에서 두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Withdrawn KR202101113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00375.3A DE102019200375A1 (de) 2019-01-15 2019-01-15 Aufzugsanlage mit einer ersten Aufhängung und einer zweiten Aufhängung an einem Fahrkorb
DE102019200375.3 2019-01-15
PCT/EP2020/050359 WO2020148139A1 (de) 2019-01-15 2020-01-09 Aufzugsanlage mit zwei fahrkörben in einem gemeinsamen schac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302A true KR20210111302A (ko) 2021-09-10

Family

ID=6915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100A Withdrawn KR20210111302A (ko) 2019-01-15 2020-01-09 공통의 통로에서 두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44591A1 (ko)
EP (1) EP3911591A1 (ko)
KR (1) KR20210111302A (ko)
CN (1) CN113302143A (ko)
DE (1) DE102019200375A1 (ko)
WO (1) WO20201481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23668A1 (en) * 2004-12-10 2006-07-26 Inventio Ag Pulley arrangement for elevators
EP2662323B1 (en) * 2004-12-16 2018-03-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hoistway
KR100946018B1 (ko) * 2005-03-01 2010-03-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EP1700811B1 (de) 2005-03-12 2013-01-09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DE502005009483D1 (de) 2005-03-12 2010-06-10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CN101522553B (zh) * 2006-12-05 2012-02-0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US7857103B2 (en) * 2006-12-14 2010-12-28 Inventio Ag Elevator system
WO2008125704A1 (es) * 2007-04-17 2008-10-23 Dynatech, Dynamics & Technology, S.L. Sistema de elevación para ascensores con separación de tracción y suspensión
CN103086231A (zh) * 2013-01-28 2013-05-08 舒马克电梯(张家港)有限公司 一种双井道四轿厢电梯
DE102013110778A1 (de) * 2013-09-30 2015-04-02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JP2016166063A (ja) * 2015-03-09 2016-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200375A1 (de) 2020-07-16
CN113302143A (zh) 2021-08-24
US20220144591A1 (en) 2022-05-12
WO2020148139A1 (de) 2020-07-23
EP3911591A1 (de)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1265A (en) Rope climbing elevator
AU2002339285B2 (en) Elevator system
US9248994B2 (en) Elevator system with elevator cars which can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N101224834A (zh) 在竖井中电梯轿厢一个在另一个的上方的电梯
CN110997543B (zh) 电梯系统
JP5330666B2 (ja) 昇降路内に2つのエレベータケージを互いに上下に配置して備えるエレベータ
CN101801833B (zh) 电梯和电梯布置
US10625982B2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shaft
KR100971519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1626971A (zh) 具有双牵引滑轮的电梯
KR100870389B1 (ko) 승강기 장치
US20060266592A1 (en) Compact bedplate with integrated, accessible dead end hitches
CN101239685B (zh) 具有至少一个换乘层的建筑物内的电梯装置
CN101219747A (zh) 具有至少一个换乘层的建筑物内的电梯装置
KR20210111302A (ko) 공통의 통로에서 두개의 엘리베이터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설비
CN110040601B (zh) 用于双层电梯的h形框架
KR20080055705A (ko) 승강기 설비
US20220048736A1 (en) Elevator system
CN101522555A (zh) 无机房的电梯装置
HK40024999A (en) Elevator system
HK1242282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shaft
CA2608895A1 (en)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lift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2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