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753A -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3753A KR20210103753A KR1020200018307A KR20200018307A KR20210103753A KR 20210103753 A KR20210103753 A KR 20210103753A KR 1020200018307 A KR1020200018307 A KR 1020200018307A KR 20200018307 A KR20200018307 A KR 20200018307A KR 20210103753 A KR20210103753 A KR 202101037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ference
- prb
- base station
- equal
- interference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4—Accuracy or reliability of position solution or of measurements contributing theret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방법은,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각 기지국들에 대한 통신 품질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 품질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발생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 무선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원을 검출할 수 있는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망을 통한 무선통신 서비스의 제공시 기지국 장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 지역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들에 대한 무선통신 서비스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양호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사업자는 이용자들로부터 많은 VOC(Voice of Customer)를 받게 되고, 피해 상황에 따라서는 이용자에 대한 피해 보상까지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사업자 입장에서 다수의 VOC가 발생하기 전에 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문제가 발생된 각각의 기지국에 대한 품질 관련 로우 데이터(raw data)를 통신망 장비 관리 시스템(EMS: Element Management System) 이 수집하면, 수집된 품질 관련 로우 데이터를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 운용 엔지니어가 직접 분석하여 그에 대한 문제 원인을 도출할 수 있다.
다만, 국내 LTE의 경우만 하더라도 전국 수십만개의 기지국(Cell 단위)이 구축되어 있고, 각 지역 국사 별로는 적어도 수만개 이상의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간섭원 존재 유무를 수동으로 감시하고, 간섭원의 예상 발생 지역까지 분석하는 것은, 제한된 인력으로 인하여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간섭원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관리자마다 판단 기준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특정 관리자의 경우에도 항상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장담할 수가 없으므로 간섭원 모니터링 방식을 체계적으로 검증/분석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출원은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간섭원 발생을 즉시 인지하여 대응하도록 할 수 있는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특정 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 여부 및 간섭원의 예상위치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방법은, 간섭원 검출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각 기지국들로부터 통신 품질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 품질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발생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 파라미터는, 상기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 피크(peak) PRB(Physical Resource Block) 간섭 파워, PRB 간섭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및 PRB 간섭 파워의 p-valu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이 발생한 간섭 PRB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간섭 PRB 대역이 동일한 기지국들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 이상이고,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 이상이고,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지국의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피크 PRB 간섭파워가 나타난 PRB 대역을 상기 간섭 PRB 대역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간섭 PRB 대역이 동일한 기지국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이면, 상기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품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주기마다 도출한 각각의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매 수집주기마다 상기 설정지역 내의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은, 상기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 중에서, 상기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대상 기지국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원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기지국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지국을 상기 대상 기지국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섭원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는
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원 위치를 도출하는 것으로, 여기서, k는 상기 설정지역, θk는 k 지역 내의 간섭원의 위치, Nk는 상기 k 지역 내의 대상 기지국의 개수, w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가중치, Z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위치좌표, P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간섭 PRB 대역에서의 간섭 레벨, β는 경로손실계수(PLE: Pathloss Exponen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는,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각 기지국들로부터 통신 품질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통신 품질데이터를 이용하여,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파라미터 도출부; 및 상기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발생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에 의하면, 간섭원의 존재 여부 검출 및 예상 발생 지역 도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간섭원에 의한 무선망 품질 열화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에 의하면, 실제 간섭원을 확인하고 제거하는 현장 인력에게 간섭원의 예상 위치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간섭원 철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에 의하면, 각각의 기지국 별로 실시간 기계 학습기법을 적용하여, 시공간에 따라 적응적으로 반응하는 상대적인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간섭원 검출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간섭원 검출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의 검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지역 내 간섭원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지역 내의 간섭원 위치 도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지역 내의 간섭원 위치 도출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의 검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지역 내 간섭원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지역 내의 간섭원 위치 도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설정지역 내의 간섭원 위치 도출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간섭원 검출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시스템은, 기지국(10), EMS(20, Element Management System) 및 간섭원 검출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시스템을 설명한다.
기지국(10)은 커버리지 내에 무선망을 제공하여,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들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기지국(10)은 5G NR(Newo Radio) 기지국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네트워크 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CU(Central Unit), DU(Distirbuted Unit), RU(Radio Unit)의 3단 구조로 기능에 따라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CU, DU, RU는 모두 분리되어 구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CU-DU 일체형 또는 DU-RU 일체형 등의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RU는 기지국(10)에서 셀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며 무선망 품질 관리는 각각의 RU, 즉 셀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통신품질데이터는 RU 단위로 수집될 수 있으며, RU에서 수집된 통신품질데이터들은 해당 DU 및 CU를 거치면서 정해진 포맷으로 저장되어 EMS(2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품질데이터는 무선망 품질에 대한 통계정보일 수 있으며, 하나의 통신품질데이터에 수백개 단위의 복수의 무선망 품질 관련 파라미터정보가 포함되는 벡터형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EMS(20)로 전달된 통신품질데이터는 일부 재가공되어 NMS(Network Management Systme)(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EMS(20)는 커버리지를 고려하여, 설정 지역 내에 분산 위치된 개별 기지국(10) 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지국(10)에 대한 통신품질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즉, EMS(20)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100)들에 대한 무선망 품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무선망의 품질열화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품질복구를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간섭원 검출장치(100)는 EMS(20)로부터 통신품질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한 통신품질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지역 내 무선 간섭을 발생시키는 간섭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간섭원이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체감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간섭원 검출장치(100)를 이용하여 무선 간섭 신호를 발생시키는 간섭원의 발생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또한,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간섭원의 위치를 도출하여 운용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줄 수 있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 발생하는 간섭원으로 인한 무선망 품질 열화에 즉시 대응하도록 하여, 고객의 서비스 품질을 항상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나 타사 장비 불량으로 인한 발진, 안테나 불량, 카드결제기 등의 전자 단말기 불량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의도치 않은 간섭 신호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대역 내에 간섭 유입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이동통신 서비스의 무선 품질을 대표하는 신호 대 간섭-잡음비(SINR: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성능을 열화시키게 되므로, 사용자 체감 품질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품질관리를 위한 다양한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중에서, 간섭(interference)은 EMS 또는 NMS에서 제공하는 통신품질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간섭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간섭원 검출장치(100)는 EMS(20)로부터 수집 주기 동안의 전체 대역의 평균간섭파워, PRB(Physical Resource Block) 단위의 평균 간섭파워 정보를 계산할 수 있는 통신품질데이터를 원시데이터(Raw Data)로 수집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체 대역의 평균 간섭 파워 및 PRB 단위의 평균 간섭 파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후, 평균 간섭 파워 또는 PRB 단위의 평균 간섭 파워가 특정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모니터링 대상 기지국들 중 평균 간섭 파워 또는 PRB 단위의 평균 간섭 파워가 높은 값 위주로 상시 모니터링을 운용자가 직접 수행하였다. 즉, 고정된 임계값을 기반으로 운용자의 노하우에 따라 수동으로 간섭원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간섭 값들에 대한 고정기준값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간섭원 검출을 자동화하였으나, 검출 정확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전국 수십만개의 기지국(Cell 단위)이 구축되어 있고, 각 지역 국사 별로는 적어도 수만개 이상의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섭원 존재 유무를 수동으로 감시하고, 예상 발생 지역을 도출하기에는, 제한된 인력으로 인한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간섭원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운용자마다 판단 기준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특정 운용자의 경우에도 항상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장담할 수가 없으므로 간섭원의 모니터링 방식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분석하기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에 의하면, 기계 학습 기반의 기지국별 특정 PRB 간섭 파워에 대한 이벤트 발생 확률 정보를 고려한 간섭원 자동 검출 및 간섭원 위치 도출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운용자 숙련도에 의한 의존도를 최소화하면서 간섭원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장치(100)는, 수집부(110), 파라미터 도출부(120) 및 판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각 기지국(10)들에 대한 통신 품질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EMS(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EMS(20)로부터 각각의 기지국(10)들의 통신 품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EMS(20)는 복수의 기지국(10)들을 각각의 지역별로 구별하여 관리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집부(110)는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기지국(10)들에 대한 통신 품질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설정지역이 "분당구"인 경우, 수집부(110)는 "분당구"에 포함된 기지국(10)들의 통신 품질 데이터를 EMS(20)에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수집부(110)는 EMS(20)로부터 일정한 수집주기(예를들어, 5분 또는 15분)마다 통신 품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통신 품질 데이터들은 각각의 기지국별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통신 품질 데이터는 하나의 수집주기동안의 특정 기지국의 평균 품질 특성을 대표하는 다양한 종류의 통계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도출부(120)는 통신 품질데이터를 이용하여,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품질데이터는 PRB 단위의 간섭파워 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미리 전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파라미터 도출부(120)는 매 수집주기마다 도출되는 PRB 단위의 간섭파워 값을 바탕으로, 각 기지국별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파라미터는,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 피크(peak) PRB(Physical Resource Block) 간섭 파워, PRB 간섭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및 PRB 간섭 파워의 p-valu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체 대역 간섭파워(dBm)는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총 간섭 파워이고, 피크 PRB 간섭파워(dBm)는 전체 주파수 대역 내 간섭값이 가장 큰 PRB에서의 간섭 파워에 해당한다. 또한, PRB 간섭 PAPR[dB]는 전체 대역 평균 PRB 간섭 파워 대비 피크 PRB 간섭 파워 비율이며, PRB 간섭 파워의 p-value는 간섭원이 존재하지 않는 일반적인 상황인 경우에, 해당 PRB가 현재 측정된 간섭 파워값 이상일 확률에 해당한다. 여기서, p-value는 미리 기계 학습(Machine Learing) 등을 이용하여 생성한 각각의 PRB별 누적 분포 함수(CDF: Cumulative Distibution Function)을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판별부(130)는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발생여부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별부(130)는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이 발생한 간섭 PRB 대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간섭 PRB 대역이 동일한 기지국들의 개수를 비교하여,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부(130)는 각 기지국 별로 특정 PRB 대역에서 간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우선 판단할 수 있으며,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flag_0 =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해당 지역 내 동일한 PRB 대역에 대해 유의미한 간섭이 존재하는 기지국의 수가 미리 설정한 기준값인 N보다 같거나 크다면, 해당 지역 내 간섭원이 존재한다고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즉, “flag_0 = 1” 값인 기지국들 중에서 동일한 특정 PRB에 대해 “flag_0 = 1” 인 기지국을 별도 필터링 하여 그 수의 합이 N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는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판별부(130)는 먼저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각각의 기지국들에 대한 n 시점의 간섭 여부 발생에 대하여, flag_0[n]=0으로 설정할 수 있다(S11). 여기서, 도4의 각 단계들은 각각의 기지국별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기지국들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A_0) 이상이고,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A_1)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S12). 여기서, 해당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A_0) 미만이거나,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A_1) 미만이면,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들이 체감하는 체감품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의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기지국에서 유의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다음 수집주기(n+1)에서 다시 간섭원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S18, S19).
반면에,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 이상이고,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기지국의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A_2)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S13). 즉, 전체 대역에서의 평균 PRB 간섭 파워 대비 피크 PRB 간섭 파워 비율인 PRB 간섭 PAPR을 확인할 수 있으며,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A_2) 이상인 경우에는 특정 PAR 대역에서 유의미한 간섭이 존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A_2) 미만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트래픽 증가에 의한 보편적인 현상 등에 의한 것에 해당하여, 외부의 간섭원에 의한 영향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해당 기지국의 특정 PRB에서 유의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므로, 다음 수집주기(n+1)에서 다시 간섭원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S18, S19).
한편,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p)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S14). 즉, 해당 기지국에서의 해당 피크 PRB에 대한 누적 분포 함수를 참고하여,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p)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p-value는 간섭원이 존재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해당 피크 PRB에서의 간섭 파워값이 현재 측정된 간섭 파워값 이상일 확률에 해당한다. 즉, 일반적으로는 확률적으로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하므로, 해당 피크 PRB에서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피크 PRB에 대한 누적 분포 함수는 피크 PRB의 확률 밀도 함수 (PD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로부터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에 축적되어 있는 평상시의 PRB 별 간섭 파워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수적 밀도함수 추정(Parametric Density Estimation) 방식을 이용하여, 가우시안(Gaussian), 포아송(Poisson), 지수(Expoential) 등의 이미 잘 알려진 확률 분포 함수들 중에 실제 분포와 가장 가까운 확률 분포의 유형과 특성 파라미터를 찾아낼 수 있다.
다만, 모수적 밀도함수 추정과 같이 알려진 분포 형태 또는 그 분포들의 혼합 모델로 추정한 결과가 실제 분포와의 일치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더 일반적인 밀도 추정 방식인 비모수적 밀도함수 추정(Non-parametric Density Estimation)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커널밀도추정(KDE: Kernel Density Estimation), 최근접이웃기법(k-NN: k Nearest Neighbor) 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간섭 파워는 잡음과 간섭이 더해진 값에 해당하므로, 바람직하게는, 가우시안 분포를 이용하여 피크 PRB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를 도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PRB 별 간섭 파워의 확률 밀도 함수를 특정 시간대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시간대별로 p-value에 대한 제4 간섭설정값(p)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간섭원이 발생한 경우와, 다른 원인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추가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각각의 기지국 별로 실시간 기계 학습(ML: Machine Learning)기법을 적용하여, 시공간에 따라 적응적으로 반응하는 상대적인 제4 간섭설정값(p)을 설정함으로써, 간섭원 검출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후,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기지국의 flag_0[n]=1로 설정하고, 피크 PRB 간섭파워가 나타난 PRB 대역을 간섭 PRB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S15).
또한, 간섭 PRB 대역이 동일한 기지국의 개수가 설정개수(N) 이상이면(S16),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S17). 즉, “flag_0 = 1” 값인 기지국들 중에서, 동일한 간섭 PRB 대역에 대해 “flag_0 = 1” 인 기지국을 별도로 필터링하여, 그 수의 합이 설정개수(N)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S16). 여기서, 설정개수(N) 이상이면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하지만(S17), 설정개수(N)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하고, 다음 수집주기(n+1)에서 다시 간섭원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S18, S19).
이후, 판별부(130)는 통신 품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주기마다 도출한 각각의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매 수집주기마다 설정지역 내의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8, S19).
한편, 판별부(130)는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10) 중에서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대상 기지국(P)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후, 대상 기지국(P)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간섭원 위치(θk)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기지국은, 설정지역 내 존재하는 M개의 기지국 중에서 선정될 수 있으며, M개의 기지국 중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flag_1 = 1” 인 기지국에 해당한다. 이하, 도6에서는 판별부(130)가 대상 기지국을 자동으로 선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운용자가 간섭원 검출장치(100)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통해 직접 대상 기지국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6을 참조하면, 판별부(130)는 먼저 설정지역 내에 존재하는 m번째 기지국에 대해 "flag_1=0"으로 설정할 수 있다(S21). 이후, m번째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B_0) 이상이고,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B_1)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S22). 여기서, 간섭원에 근접할수록 간섭파워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B_0) 미만이거나,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B_1) 미만인 기지국은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 이상이고,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판별부(130)가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B_2)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S23). 간섭원에 근접할수록 평균 PRB 간섭파워와 피크 PRB 간섭 파워 사이의 차이도 크게 나타날 것이므로,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B_2) 미만인 기지국은 대상 기지국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후,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S24).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파워의 p_value도 간섭원에 근접할수록 높게 나타날 것이므로,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미만인 기지국은 대상 기지국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기지국을 대상 기지국으로 선정하고, 해당 m번째 기지국에 대한 "flag_1[m]=1"로 설정할 수 있다(S25).
여기서, 판별부(130)는 설정지역 내 존재하는 전체 M개의 기지국에 대하여 대상 기지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S26), 전체 M개의 기지국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면, 대상 기지국을 이용하여 간섭원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S27).
구체적으로, 판별부(130)는
를 이용하여 간섭원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설정지역, θk는 k 지역 내의 간섭원의 위치, Nk는 k 지역 내의 대상 기지국의 개수, w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가중치, Z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위치좌표, P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간섭 PRB 대역에서의 간섭 레벨, β는 경로손실계수(PLE: Pathloss Exponent)에 각각 해당한다.
즉, 판별부(130)는 대상 기지국들의 간섭 파워별로 가중치를 도출하고, 각각의 대상 기지국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지도상의 무게중심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실제 간섭원을 확인하고 제거하는 현장 인력에게, 간섭원의 예상 위치를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간섭원 철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β는 각각의 설정지역의 지리적 환경 특성을 반영하는 파라미터로, β에 의하여, 간섭원의 위치 계산시 해당 설정지역의 지리 특성까지 고려한 적절한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β이외에 지수의 분자부분에 PRB 간섭 파워의 물리적인 의미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섭원 검출방법의 각 단계들은, 간섭원 검출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먼저, 간섭원 검출장치가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각 기지국들에 대한 통신 품질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110). 간섭원 검출장치는 EMS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EMS(20)로부터 설정지역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기지국들의 통신 품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간섭원 검출장치가 EMS로부터 일정한 수집주기(예를들어, 5분 또는 15분)마다 통신 품질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매 수집주기마다 간섭원을 검출할 수 있다.
이후, 간섭원 검출장치는 통신 품질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할 수 있다(S120). 여기서, 통신 품질데이터는 PRB 단위의 간섭파워 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미리 전처리되어 있을 수 있다.
간섭원 검출장치는 매 수집주기마다 도출되는 PRB 단위의 간섭파워 값을 바탕으로, 각 기지국별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파라미터는,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 피크(peak) PRB(Physical Resource Block) 간섭 파워, PRB 간섭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및 PRB 간섭 파워의 p-valu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검출 파라미터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간섭원 검출장치는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발생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30). 즉,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이 발생한 간섭 PRB 대역을 검출할 수 있으며, 간섭 PRB 대역이 동일한 기지국들의 개수를 비교하여,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 이상이고,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 미만이거나,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 미만이면,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들이 체감하는 체감품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의 간섭이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해당 기지국에서 유의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해당 기지국에서는 간섭원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 이상이고,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간섭원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지국의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A_2) 미만인 경우는, 일반적인 트래픽 증가에 의한 보편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으므로, 해당 기지국에서는 간섭원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간섭원이 검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 이상인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p-value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해당 피크 PRB에서의 간섭 파워값이 현재 측정된 간섭 파워값 이상일 확률로,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 이상인 경우는 간섭원 발생 등 특이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기지국에서 간섭원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피크 PRB 간섭파워가 나타난 PRB 대역을 간섭 PRB 대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후, 간섭 PRB 대역이 동일한 기지국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이면,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일정개수 이상의 기지국에서 동시에 간섭원이 검출되었으므로,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원 검출장치는, 통신 품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주기마다 도출한 각각의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매 수집주기마다 설정지역 내의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간섭원 검출장치가 추가적으로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S140). 여기서, 간섭원 검출장치는, 먼저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전체 기지국 중에서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대상 기지국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후, 각각의 대상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간섭원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먼저, 간섭원 검출장치는 대상 기지국을 선정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 이상이고,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 즉, 간섭원에 근접할수록 간섭파워가 크게 나타날 것이므로,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 미만이거나,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 미만이면, 해당 기지국은 대상 기지국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후,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 이상이고,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 즉, 간섭원에 근접할수록 평균 PRB 간섭파워와 피크 PRB 간섭 파워 사이의 차이도 크게 나타날 것이므로,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 미만인 기지국도 대상 기지국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후,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 즉,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파워의 p_value도 간섭원에 근접할수록 높게 나타날 것이므로,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미만인 기지국은 대상 기지국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해당 기지국을 대상 기지국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간섭원 검출장치는 설정지역 내 존재하는 전체 M개의 기지국에 대하여 대상 기지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전체 기지국에 대한 확인이 완료되면, 대상 기지국을 이용하여 간섭원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간섭원 검출장치는
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원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상기 설정지역, θk는 k 지역 내의 간섭원의 위치, Nk는 상기 k 지역 내의 대상 기지국의 개수, w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가중치, Z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위치좌표, Pn,k는 k 지역의 n번째 대상 기지국의 간섭 PRB 대역에서의 간섭 레벨, β는 경로손실계수(PLE: Pathloss Exponent)일 수 있다.
즉, 간섭원 검출장치는 대상 기지국들의 간섭 파워별로 가중치를 도출하고, 각각의 대상 기지국별 가중치를 고려하여 지도상의 무게중심을 계산함으로써,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실제 간섭원을 확인하고 제거하는 현장 인력에게 간섭원의 예상 위치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간섭원 철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기지국
20: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100: 간섭원 검출장치 110: 수집부
120: 파라미터 도출부 130: 판별부
100: 간섭원 검출장치 110: 수집부
120: 파라미터 도출부 130: 판별부
Claims (12)
- 간섭원 검출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에 있어서,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각 기지국들에 대한 통신 품질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통신 품질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발생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파라미터는
상기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 피크(peak) PRB(Physical Resource Block) 간섭 파워, PRB 간섭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및 PRB 간섭 파워의 p-valu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이 발생한 간섭 PRB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간섭 PRB 대역이 동일한 기지국들의 개수를 비교하여, 상기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 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 이상이고,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간섭설정값 이상이고, 피크 PRB 간섭 파워가 제2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지국의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PRB 간섭 PAPR이 제3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피크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간섭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피크 PRB 간섭파워가 나타난 PRB 대역을 상기 간섭 PRB 대역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간섭 PRB 대역이 동일한 기지국의 개수가 설정개수 이상이면, 상기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품질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주기마다 도출한 각각의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매 수집주기마다 상기 설정지역 내의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지역 내에 간섭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 중에서, 상기 간섭원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대상 기지국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간섭원 위치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기지국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전체 대역 간섭파워가 제1 선정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 파워가 제2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PRB 간섭 PAPR이 제3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간섭 PRB 대역에서의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이상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PRB 간섭파워의 p_value가 제4 선정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지국을 상기 대상 기지국으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
-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간섭원 검출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설정지역 내에 포함된 각 기지국들에 대한 통신 품질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통신 품질데이터를 이용하여, 간섭원 검출을 위한 검출 파라미터를 도출하는 파라미터 도출부; 및
상기 검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지국별로 간섭발생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지역 내 간섭원의 존재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간섭원 검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8307A KR20210103753A (ko) | 2020-02-14 | 2020-02-14 |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8307A KR20210103753A (ko) | 2020-02-14 | 2020-02-14 |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3753A true KR20210103753A (ko) | 2021-08-24 |
Family
ID=7750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8307A Pending KR20210103753A (ko) | 2020-02-14 | 2020-02-14 |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03753A (ko) |
-
2020
- 2020-02-14 KR KR1020200018307A patent/KR20210103753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00790B1 (en) | Prediction of performance indicators in cellular networks | |
US10440503B2 (en) | Machine learning-based geolocation and hotspot area identification | |
CN111817868B (zh) | 一种网络质量异常的定位方法与装置 | |
US20100284293A1 (en) | Communication network quality analysis system, quality analysis device, quality analysis method, and program | |
US8611228B2 (en) | Anomaly detection method and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 |
US786519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haracterizing the performance of a wireless network | |
US975651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traffic suppression turning point in a cellular network | |
CN105744553B (zh) | 一种网络关联分析方法及装置 | |
US20210306877A1 (en) | Network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WO2007121375A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haracterizing the performance of a wireless network | |
US20080139196A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separate coverage limited and co-channel limited interferences | |
CN103906109A (zh) | 一种移动通信系统干扰排查方法和装置 | |
CN106559803A (zh) | 一种基站建设评估方法及装置 | |
CN111741427A (zh) | 业务投诉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 |
KR20210103747A (ko) | 무선품질데이터의 레이블링 방법 및 레이블링 장치 | |
JP2005500707A (ja) | 遠距離通信ネットワーク内の干渉分析精度を定量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CN103581982A (zh) | 一种业务热点的检测方法、确定方法、定位方法及装置 | |
EP3183905A1 (en) | Performance index determination for a communication service | |
CN106998563B (zh) | 一种基于网络性能的室分系统预警方法及装置 | |
KR102724600B1 (ko) | 무선망 품질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CN103974321B (zh) | 一种直放站的监控方法和装置 | |
CN103458437A (zh) | 一种终端实现mdt测量的方法及终端 | |
KR20210103753A (ko) | 간섭원 검출장치 및 간섭원 검출방법 | |
CN108134703B (zh) | 网络小区隐患故障预测分析方法及装置 | |
CN107086923B (zh) | 通信网络性能指标分析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