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03090A -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Google Patents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090A
KR20210103090A KR1020200017410A KR20200017410A KR20210103090A KR 20210103090 A KR20210103090 A KR 20210103090A KR 1020200017410 A KR1020200017410 A KR 1020200017410A KR 20200017410 A KR20200017410 A KR 20200017410A KR 20210103090 A KR20210103090 A KR 20210103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
rail
battery module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09521B1 (ko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20001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0952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PCT/KR2020/019190 priority patent/WO2021162238A1/ko
Priority to JP2022528280A priority patent/JP7451016B2/ja
Priority to EP20919292.1A priority patent/EP4053988A4/en
Priority to US17/793,353 priority patent/US12334594B2/en
Priority to CN202080079335.0A priority patent/CN114730968B/zh
Priority to TW110101867A priority patent/TW202133476A/zh
Publication of KR2021010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0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095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5Terminals formed by the casing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01M50/56Cup 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원통형 전지 셀(100)들이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1 전지 셀 집합체;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전지 셀 집합체들이 직렬로 연결된 전지 모듈에서, 상기 병렬 연결되는 제1 전지 셀 집합체는 레일형 소켓(200)에 의해 2개 이상의 원통형 전지 셀(100)의 음극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전지 셀 집합체들간의 직렬 연결은 연결부재(300)에 의해 상기 레일형 소켓(200)과 인근하는 제1 전지 셀 집합체를 구성하는 전지 셀(100)들의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Battery Cell Modules Equipped With Rail-Type Sockets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일형 소켓으로 복수개의 전지 셀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전지 셀 집합체를 구성하며, 전지 셀 집합체들은 연결부재에 의해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재료 비용 절감과 생산 시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는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대기오염 물질을 유발하는 화석 연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등에 적용되고 있어, 이차 전지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률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이차 전지가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대용량 및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에 사용될 시에는, 다수의 전지 셀들이 배열된 구조의 전지 셀 어셈블리 내지 전지팩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전지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전지 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은 이차전지 셀(10)들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셀 프레임(20), 원통형 이차전지 셀(10)의 일측에 형성된 음극 및 양극 단자에 접합되는 음극 연결부재(30) 및 양극 연결부재(40), 일측으로 음극 연결부재(30)가 접합되며, 타측으로 양극 연결부재(40)가 접합되는 원통형 셀 연결 분리형 버스바(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이차전지 셀(10)은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60)를 수납하는 전지케이스(70) 및 전지케이스(70)의 상부에 위치하는 캡 어셈블리(80)를 포함하고, 캡 어셈블리(80)의 상단에는 탑 캡(81)이 위치하고, 탑 캡(81)의 하부에는 고온에서 전류를 차단하는 벤팅부재(82), 고압가스를 배출하는 안전 벤트 및 전지의 내압 상승시 전류를 차단하는 전류차단소자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복수개의 전지 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도전체를 이용하며, 도전체와 전지 셀의 음극 및 양극을 이격할 필요가 있어 플라스틱 계열의 절연체 프레임을 사용하였다. 게다가 도전체를 절연체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용 접착제를 사용한 뒤 경화함으로써 생산비용 및 생산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129115호에서는 이차전지 셀의 외관 형상에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들은 상기 이차전지 셀들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셀프레임을 통해 음극 연결부재 및 양극 연결부재와 버스바에 의하여, 셀 프레임에 수납되는 원통형 이차전지 셀들이 행방향으로는 병렬 연결되고, 각 행과 행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개방되어 있는 셀 프레임과 양극 연결부재 및 음극 연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이차전지 셀들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이차전지와 버스바 간의 밀착도를 높여 레이저 용접시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생산 시간을 개선하여 양산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은 여전히 고정용 접착제 및 절연체 프레임 등의 부자재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비용이 발생하고, 또 경화시간이 길어 여전히 제조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12911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9-01362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형 전지 셀들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하여 전지 모듈을 제조함에 있어 사용하는 재료를 최소화하고 또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2개 이상의 원통형 전지 셀(100)들이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전지 셀 집합체; 및 상기 복수개의 전지 셀 집합체들이 직렬로 연결된 전지 모듈에서, 상기 병렬 연결되는 전지 셀 집합체는 레일형 소켓(200)에 의해 2개 이상의 원통형 전지 셀(100)의 음극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지 셀 집합체들간의 직렬 연결은 연결부재(300)에 의해 상기 레일형 소켓(200)과 인근하는 전지 셀 집합체를 구성하는 전지 셀(100)들의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전도성 소재의 와이어 형상 또는 소정의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원통형 전지 셀(100)은 하면과 측면은 음극으로 인가되는 셀 케이스(110), 및 상면 중앙에는 소정 높이 돌출한 양극 단자(121)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소정 위치에는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홈부(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레일형 소켓(20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홀(211)이 형성된 상면부(210), 및 상기 상면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측면부(220)는, 전지 셀(100)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1 연장부(221), 및 일측이 상기 제1 연장부(221)와 연결된 채, 상기 전지 셀(100)의 홈부(111)에 안착되는 절곡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측면부(220)는, 전지 셀(100)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1 연장부(221), 일측이 제1 연장부(221)와 연결된 채, 상기 전지 셀(100)의 홈부(111)에 안착되는 절곡부(222), 및 일측이 상기 절곡부(222)와 연결되며 전지 셀(100)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2 연장부(223)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절곡부(222)의 단면은 상기 전지 셀(100)의 홈부(111) 단면과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관통홀(211)의 내경은 상기 탑캡(120)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양극 단자(121)는 상기 상면부(210)의 관통홀(211)을 통과하여 소정 높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셀 케이스(110)의 상면 가장자리와 레일형 소켓(200)의 상면부(210) 저면이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에서, 상기 레일형 소켓(200)은 니켈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300)는 알루미늄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은 전술한 전지 모듈; 및 복수개의 셀 케이스(1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홀(411)이 형성된 팩 케이스(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전술한 전지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의하면, 하나의 레일형 소켓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원통형 전지 셀들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의하면, 레일형 소켓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 전지 셀 집합체들은 연결부재에 의해 각 전지 셀과 레일형 소켓이 바로 연결됨으로써 직렬 구조의 전지 모듈이 얻어질 수 있고, 따라서 절연체와 접착제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비용과 생산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의하면, 레일형 소켓의 절곡부가 전지 셀의 홈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전지 셀들을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전지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통형 전지 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 및 레일형 소켓이 결합된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전지 셀로서,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수납하며 전극 조립체의 음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셀 케이스(110) 그리고 셀 케이스(110) 상부에 위치하는 탑캡(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셀 케이스(110)의 측면 상부 소정 위치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홈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홈부(111)에는 레일형 소켓의 절곡부가 안착되며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탑캡(120)은 절연부재(미도시)를 통해 셀 케이스(110)와는 통전되지 않으며, 전극 조립체의 양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양극 단자로 작용한다.
여기서, 셀 케이스(110)와 탑캡(120)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절연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탑캡(120) 외측 둘레를 따라 셀 케이스(110)의 상면이 위치하게 되는데, 탑캡(120)은 셀 케이스(110)의 상면보다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로 융기된 양극 단자(121)가 탑캡(120) 중앙에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개의 전지 셀(100)들을 직렬 및 병렬로 연결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소켓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상이한 전극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전극 조립체는 셀 조립체 및 리드를 포함하는데, 셀 조립체는 긴 시트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젤리-롤형 셀조립체, 또는 장방형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의 단위셀들로 구성되는 스택형 셀조립체, 단위셀들이 긴 분리 필름에 의해 권취되는 스택-폴딩형 셀조립체, 또는 단위셀들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셀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리드 중, 양극 리드는 셀 조립체의 양극과 탑캡이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음극 리드는 셀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와 같은 원통형 전지 셀을 구성하는 전극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들에 해당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셀 및 레일형 소켓이 결합된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레일형 소켓(200)은, 나란하게 정렬된 복수개의 원통형 전지 셀(100)들을 서로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제1 전지 셀 집합체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레일형 소켓(200)은, 상면부(210)와 측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면부(21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는 얇은 평판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부(210)의 폭(X축 방향)은 셀 케이스(11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도일 수 있고, 길이(Z축 방향)는 병렬로 연결할 전지 셀(100)들의 전체 길이와 동일 내지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일형 소켓(200)의 상면부(210) 저면은 셀 케이스(110)의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확실한 고정과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음극 단자에 해당되는 셀 케이스(110)의 상면 가장자리와 밀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면부(210)에는 소정 크기의 내경, 상세하게는 탑캡(120)의 외경보다 큰 관통홀(211)이 복수개 형성되는데, 이 관통홀(211)은 셀 케이스(110) 상부에 레일형 소켓(200)이 안착될 시, 상면부(210)와 탑캡(120)이 접촉하여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탑캡(120)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측면부(220)는 상면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근하여 위치하는 복수개의 원통형 전지 셀(100)들을 병렬로 연결함과 동시에 이들을 서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예로, 측면부(220)가 전지 셀(100)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1 연장부(221)와, 일측이 제1 연장부(221)와 연결된 채, 전지 셀(100)의 홈부(111)에 안착되는 절곡부(2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전지 셀(100)들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홈부(111)에 절곡부(222)가 안착될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지 셀(100)의 홈부(111)와 절곡부(222)의 외형이 동일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음극으로 작용하는 레일형 소켓(200)은 니켈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음극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계속해서, 전술한 레일형 소켓(20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 제1 전지 셀 집합체들은 다시 직렬로 연결된다.
일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원통형 전지 셀(100)은 하나의 레일형 소켓(200)에 의해 전지 셀 집합체를 이루며, 이러한 3개의 전지 셀 집합체들이 다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전지 셀 집합체들간의 직렬 연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레일형 소켓(200)의 관통홀(211) 상부로 돌출한 탑캡(120) 또는 양극 단자(121)와 인근의 전지 셀 집합체의 레일형 소켓(2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면부(210) 사이에 전도성 소재의 연결부재(300)가 위치함으로써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와이어 형상 또는 소정의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지 셀(100)의 탑캡(120) 또는 양극 단자(121)와 레일형 소켓(200)이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전지 셀(100)의 개수만큼 연결부재(300)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는 연결부재(300)의 표면적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한 저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양극으로 작용하는 연결부재(300)는 알루미늄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양극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소켓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는 레일형 소켓(200)의 측면부(220)에 제2 연장부(223)가 추가로 구비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이하에는 제2 연장부(223)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소켓의 측면부(220)는 전지 셀(100)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1 연장부(221), 일측이 제1 연장부(221)와 연결된 채, 전지 셀(100)의 홈부(111)에 안착되는 절곡부(222), 그리고 일측이 절곡부(222)와 연결되며 전지 셀(100)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2 연장부(223)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레일형 소켓의 측면부(220)에 소정 높이(Y축 방향)의 제2 연장부(223)가 추가로 구비되면 전지 셀(100)들을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전지 모듈이 팩 케이스(410)에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팩 케이스(410)에는 다수개의 셀 케이스(1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홀(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외부 충격이 있더라도 전지 셀(100)들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전기 공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배터리 팩은 디바이스에 탑재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디바이스 예로는 자동차, 휴대폰, 및 노트북일 수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는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들이 있어 많은 전기에너지를 요구하여 고용량 및 고전압을 방출하는 배터리 팩이 장착되어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전지 셀
110 : 셀 케이스
111 : 홈부
120 : 탑캡
121 : 양극 단자
200 : 레일형 소켓
210 : 상면부
211 : 관통홀
220 : 측면부
221 : 제1 연장부 222 : 절곡부
223 : 제2 연장부
300 : 연결부재
400 : 배터리 팩
410 : 팩 케이스
411 : 수용홀

Claims (13)

  1. 2개 이상의 원통형 전지 셀들이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전지 셀 집합체; 및 상기 복수개의 전지 셀 집합체들이 직렬로 연결된 전지 모듈에서,
    상기 병렬 연결되는 전지 셀 집합체는 레일형 소켓에 의해 2개 이상의 원통형 전지 셀의 음극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지 셀 집합체들간의 직렬 연결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레일형 소켓과 인근하는 전지 셀 집합체를 구성하는 전지 셀들의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전도성 소재의 와이어 형상 또는 소정의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전지 셀은 하면과 측면은 음극으로 인가되는 셀 케이스, 및 상면 중앙에는 소정 높이 돌출한 양극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 소정 위치에는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형 소켓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전지 셀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1 연장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전지 셀의 홈부에 안착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전지 셀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1 연장부, 일측이 제1 연장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전지 셀의 홈부에 안착되는 절곡부, 및 일측이 상기 절곡부와 연결되며 전지 셀의 측면과 밀착하는 제2 연장부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단면은 상기 전지 셀의 홈부 단면과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내경은 상기 탑캡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단자는 상기 상면부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소정 높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 케이스의 상면 가장자리와 레일형 소켓의 상면부 저면이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형 소켓은 니켈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알루미늄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 모듈; 및
    복수개의 셀 케이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홀이 형성된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 팩.
  13. 제12항에 기재된 전지 팩이 구비된 디바이스.







KR1020200017410A 2020-02-13 2020-02-13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Active KR10280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10A KR102809521B1 (ko) 2020-02-13 2020-02-13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JP2022528280A JP7451016B2 (ja) 2020-02-13 2020-12-28 レール型ソケットを備えた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EP20919292.1A EP4053988A4 (en) 2020-02-13 2020-12-28 Battery module provided with rail-type socket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US17/793,353 US12334594B2 (en) 2020-02-13 2020-12-28 Battery module having rail type socket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PCT/KR2020/019190 WO2021162238A1 (ko) 2020-02-13 2020-12-28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N202080079335.0A CN114730968B (zh) 2020-02-13 2020-12-28 设置有轨道式插口的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TW110101867A TW202133476A (zh) 2020-02-13 2021-01-19 配備有軌型基座之電池模組、具有其之電池組以及電動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410A KR102809521B1 (ko) 2020-02-13 2020-02-13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090A true KR20210103090A (ko) 2021-08-23
KR102809521B1 KR102809521B1 (ko) 2025-05-19

Family

ID=7729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410A Active KR102809521B1 (ko) 2020-02-13 2020-02-13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2334594B2 (ko)
EP (1) EP4053988A4 (ko)
JP (1) JP7451016B2 (ko)
KR (1) KR102809521B1 (ko)
CN (1) CN114730968B (ko)
TW (1) TW202133476A (ko)
WO (1) WO2021162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2034A1 (de) 2021-08-25 2023-03-02 Ke-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r batteriezelle, zellmodul und batterie
DE102023124382A1 (de) * 2023-09-11 2025-03-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energiespeichers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906A (ja) * 2009-09-18 2011-03-31 Panasonic Corp 電池モジュール
KR20130133855A (ko) * 2011-04-28 2013-12-09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어셈블리 및 차량
KR20180129115A (ko)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셀 연결 분리형 버스바와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및 제조 방법
KR20190136202A (ko)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원통형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8565B2 (ja) * 2001-11-27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池パック
JP2009211907A (ja) * 2008-03-04 2009-09-17 Panasonic Corp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電池パック
CN102057519B (zh) * 2008-04-14 2014-04-16 A123系统公司 电池模块、电池模块构造和制造电池模块的方法
JP4650700B2 (ja) 2008-05-08 2011-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保持装置、組電池および車両
JP4935802B2 (ja) * 2008-12-10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とそれを用いた集合電池モジュール
JP5478099B2 (ja) 2009-03-21 2014-04-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EP2339668B1 (en) * 2009-07-17 2013-04-17 Panasonic Corporation Battery and battery unit
CN102473871B (zh) 2010-02-24 2015-11-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池组
KR101283347B1 (ko) 2010-09-07 2013-07-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팩
JP5314650B2 (ja) * 2010-09-16 2013-10-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JP5885718B2 (ja) 2013-09-09 2016-03-15 豊田合成株式会社 バスバー保持部材および電池パック
JP2015201290A (ja) 2014-04-07 2015-11-12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電池保持装置
US9735414B2 (en) 2015-08-11 2017-08-15 Atieva, Inc. Current distribution system for a battery assembly utilizing non-overlapping bus bars
US10541403B2 (en) 2016-10-14 2020-01-21 Tiveni Mergeco, Inc. Cylindrical battery cell configured with insulation component, and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KR102085343B1 (ko) 2016-12-05 2020-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KR102265846B1 (ko) 2017-02-13 2021-06-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JP6861395B2 (ja) 2017-02-23 2021-04-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A3067202A1 (en) 2017-06-16 2018-12-20 Nitto Denko Corporation Multilayer film, laminate, air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aminate
KR102288405B1 (ko) 2017-12-26 2021-08-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공간 활용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원통형 전지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353934B1 (ko) 2018-03-09 2022-01-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원통형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EP4246703A4 (en) * 2021-02-19 2025-07-09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102661316B1 (ko) * 2021-06-30 2024-04-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16014368A (zh) * 2021-10-22 2023-04-25 株式会社Lg新能源 圆筒形电池、包括该圆筒形电池的电池组及汽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906A (ja) * 2009-09-18 2011-03-31 Panasonic Corp 電池モジュール
KR20130133855A (ko) * 2011-04-28 2013-12-09 도요타 지도샤(주) 전지 어셈블리 및 차량
KR20180129115A (ko) 2017-05-25 2018-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통형 셀 연결 분리형 버스바와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및 제조 방법
KR20190136202A (ko)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한 원통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730968B (zh) 2024-11-01
KR102809521B1 (ko) 2025-05-19
CN114730968A (zh) 2022-07-08
TW202133476A (zh) 2021-09-01
US20230034195A1 (en) 2023-02-02
EP4053988A4 (en) 2023-11-01
JP2023501734A (ja) 2023-01-18
JP7451016B2 (ja) 2024-03-18
US12334594B2 (en) 2025-06-17
WO2021162238A1 (ko) 2021-08-19
EP4053988A1 (en) 202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3841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101011802B1 (ko) 우수한 제조공정성의 이차전지 팩 및 ptc 소자
US20220376361A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bar, battery pack and vehicle
US1115267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90000210A (ko) 배터리 팩
KR20180129170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생산 방법
KR102315974B1 (ko) 전장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40124247A (ko) 이차 전지
KR20220012037A (ko) 전극 리드와 전압 센싱부재 간의 연결을 단순화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101581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2327878B2 (en) Battery module
US12334594B2 (en) Battery module having rail type socket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1545705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95388A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전지 셀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8587B1 (ko)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416819B1 (ko) 배터리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101403386B1 (ko) 안전성 및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전지셀 절연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4411968A1 (en) Busbar for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50183395A1 (en) Busbar holder assembly,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016827B1 (ko) 이차전지
KR20180105306A (ko) 절연 마스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충방전 장치
KR20170121953A (ko) 보호회로모듈을 갖는 이차 전지
KR20250097418A (ko) 이차 전지, 이차 전지 팩 및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 제조 방법
KR20250020936A (ko) 버스바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3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2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5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