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089A -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93089A KR20210093089A KR1020200006828A KR20200006828A KR20210093089A KR 20210093089 A KR20210093089 A KR 20210093089A KR 1020200006828 A KR1020200006828 A KR 1020200006828A KR 20200006828 A KR20200006828 A KR 20200006828A KR 20210093089 A KR20210093089 A KR 202100930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generation
- boiler
- gasifier
- generation system
- synga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6—Other features combined with waste-heat boil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53—Gasifying agents
- C10J2300/0969—Carbon diox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53—Gasifying agents
- C10J2300/0973—Water
- C10J2300/0976—Water as steam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03—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gas treatment
- C10J2300/1612—CO2-separation and sequestration, i.e. long time stor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C10J2300/165—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integrated with a gas turbine or gas mo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조건에서 연료의 완전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순환시켜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상기 증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증기터빈; 화석연료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합성가스를 생성 및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스화기; 상기 가스화기에서 발생하는 상기 합성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스터빈; 및 상기 가스화기에서 상기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촤(char)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boiler for generating steam by circulat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so that complete combustion of the fuel can be achieved in oxygen condition; a steam turbine configured to be driven by receiving the steam generated by the boiler; a gasifier configured to receive fossil fuel and high-temperature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the boiler to generate and discharge syngas through thermal decomposition and gasification reaction; a gas turbine configured to be driven by receiving the synthesis gas generated from the gasifier; And it provides a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storage tank is formed to enable storage of the char (char) generated by the pyrolysis and gasification reaction in the gasifi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기터빈과 가스터빈을 함께 이용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steam turbine and a gas turbine together.
복합 발전 시스템은 산소조건에서 연료의 완전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순환시켜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와 화석연료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합성가스를 생성 및 배출하는 가스화기라는 두 반응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기에서는 연료의 탈휘발과 이산화탄소를 주 반응기체로 하는 가스화 반응이 일어나고, 보일러에서는 산소조건의 연소반응을 통해 배가스 내에 이산화탄소만을 포함하게 하여 포집, 처리하는 복합 발전 공정 구성을 갖는다. 이를 통해 보일러는 증기터빈을, 가스화기는 가스터빈을 구동함으로써 복합 발전 시스템의 고효율 발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combined cycle power system is a boiler that generates steam by circulat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so that the fuel can be completely burned under oxygen conditions, and a fossil fuel and high-temperature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the boiler are supplied to the pyrolysis and gasification reaction. It consists of two reaction parts: a gasifier that produces and discharges syngas by In addition, in the pyrolysis and gasification reactor, devolatilization of fuel and gasification reaction using carbon dioxide as the main reaction gas occur, and in the boiler, only carbon dioxide is contained in the flue gas through the combustion reaction under oxygen conditions, and it has a combined power generation process configuration. Through this, the boiler drives the steam turbine and the gasifier drives the gas turbine, so that high-efficiency power generation of 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is possible.
도 1은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에 대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a conventional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10).
도 1을 참조하면,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의 경우 보일러(11), 증기터빈(12), 가스화기(13) 및 가스터빈(1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combined cycle
보일러(11)는 공기분리장치(ASU)(10b)에서 분리된 공기를 산소 유량 조절 밸브(10c)로부터 공급받는다. 산소 유량 조절 밸브(10c)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료 가 연소되는 반응이 보일러(11)에서 일어난다. 연소 반응을 통해 보일러(11)는 증기를 발생시킨다.The
증기터빈(12)은 보일러(11)에서 생성된 증기를 공급받아 구동되고 전기를 생산한다.The
가스화기(13)는 공기분리장치(ASU)(10b)에서 분리된 공기를 산소 유량 조절 밸브(10d)로부터 공급받고 연료 공급 장치(10a)에서는 연료가 공급된다. 그리고 보일러(11)에서 발생한 고온의 이산화탄소는 배가스 유량 조절 밸브(11a, 11b)를 통해 가스화기(13)에 공급되어 상기 공기 및 연료와 함께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이 일어나 합성가스를 발생시킨다.The
가스터빈(14)은 가스화기(13)에서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합성가스를 합성가스 조절장치부(13d) 및 연소기(13e)를 통해 공급받고,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한다. The
그러나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의 경우 가스화기(13)에서 생성된 촤(char)는 저장조의 저장 없이 보일러(11)로 공급된다. 그래서 가스화기(13)의 운전 조건에 의해 촤(char)의 투입량이 결정될 수밖에 없어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은 발전량 조절이 불가능 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mbined cycle
한편,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은 합성가스 버너를 구비하지 않았다. 그래서 가스화기(13)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없어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은 효율적인 발전이 불가능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ombined cycle
한편,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은 합성가스 버너 및 합성가스 분배장치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 합성가스를 합성가스 버너에 공급하여 보일러(11)의 기동용 연료로 이용할 수 없어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ombined
한편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은 수증기 공급장치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가스화기(13)에서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배출된 합성가스가 합성가스 분배장치부(13a)를 통해 합성가스 정제부(13a', 13b')로 유입되어 정제되더라도 획득할 수 있는 수소율이 낮았고, 수소 저장부(13c)에 저장된 수소를 이용하여 수소가스터빈을 구동하기에는 부족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ombined cycle
한편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은 가스터빈(14)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터빈(12)의 증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14a) 및 직접 접촉식 열교환기(DCC)(1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10)은 CPU(14c) 및 재순환 블러워(1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11)에서 연소반응을 통해 배출되는 배가스가 재순환 배가스 조절 밸브(11c)를 통해 이산화탄소 저장부(14d)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combined cycle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의 경우 가스화기에서 생성된 촤(char)는 저장조에 저장되지 않고 보일러로 바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가스화기의 운전조건에 의해 촤(char)의 투입량이 결정될 수밖에 없어 복합 발전 시스템의 발전량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 char generated in the gasifier is not stored in a storage tank but is directly supplied to the boiler. For this reason, it was im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the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because the input amount of char was inevitably determined by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gasifier.
또한, 종래 복합 발전 시스템의 경우 가스화기에서 배출된 합성가스가 가스터빈에서만 연소되고, 합성가스의 추가적인 이용 없어 효율적인 발전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is burned only in the gas turbine, and there is no additional use of the syngas, so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generate power.
또한, 종래 복합 발전 시스템의 경우 가스화기로부터 배출되는 합성가스의 수소수율이 낮아 합성가스로부터 수소를 얻어내고 그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하는데 있어 활용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hydrogen yield of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was low, so that the utility was low in obtaining hydrogen from the syngas and generating power using the hydrogen.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일러로 공급되는 촤(char)의 양을 조절하여 스팀터빈과 가스터빈에 의한 발전량의 조절이 가능한 복합 발전 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a steam turbine and a gas turbin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 supplied to a boiler.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가스화기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보일러 내 증기의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복합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steam in a boiler using syngas discharged from a gasifi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수소의 생산이 필요한 경우, 가스화기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수소로 전환 및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합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onfigured to convert and store the synthesis 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into hydrogen when the production of hydrogen is requir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은, 산소조건에서 연료의 완전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순환시켜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상기 증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증기터빈; 화석연료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합성가스를 생성 및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스화기; 상기 가스화기에서 발생하는 상기 합성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스터빈; 및 상기 가스화기에서 상기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촤(char)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저장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iler for generating steam by circulat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so that the fuel can be completely burned in an oxygen condition. ; a steam turbine configured to be driven by receiving the steam generated by the boiler; a gasifier configured to receive fossil fuel and high-temperature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the boiler to generate and discharge syngas through thermal decomposition and gasification reaction; a gas turbine configured to be driven by receiving the synthesis gas generated from the gasifier; and a storage tank formed to allow storage of char generated by the thermal decomposition and gasification reaction in the gasifier.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저장조에서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상기 촤(char)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보일러의 부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공급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ed cycle pow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upply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load of the boil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char supplied to the boiler from the storage tank.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보일러에서 상기 증기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급장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촤(char)를 상기 보일러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ed cycle pow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unit to supply the cha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boiler so that the steam is generated in the boiler.
상기 보일러는, 상기 가스화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합성가스를 연료로 이용하여 상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합성가스 버너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boiler may further include a syngas burn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steam by using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as a fuel.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상기 증기의 온도를 증가시키는데 상기 합성가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가스화기에서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를 상기 합성가스 버너에 주입하는 합성가스 분배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ed cycle pow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yngas distribution device for injecting the syn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into the syngas burner so that the synga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ed in the boiler. can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가스화기에서 발생하는 상기 합성가스의 수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가스화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ed cycle pow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water vapo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vapor to the gasifier to increase the hydrogen yield of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수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되는 증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수증기 공급장치부에서 상기 보일러로 상기 수증기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ed cycle powe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supply the steam from the steam supply unit to the boil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ed in the boiler by using the steam.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합성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가스화기의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화기에서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 중 수소를 정제하여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합성가스 정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ynthesis gas purif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of the gasifier from which the synthesis gas is discharged, and made to be obtained by purifying hydrogen among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합성가스 정제부에서 생성된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수소가스터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may include a hydrogen gas turbine configured to drive a generator using the hydrogen generated by the synthesis gas purification unit.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발전량 증가가 요구되는 제1 운전모드에서,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가스터빈에서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상기 촤(char)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가스화기에서 상기 합성가스를 연소시켜 상기 가스터빈의 발전량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requires an increase in power generation, 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reduces the supply amount of the char supplied from the gas turbine to the boiler, and burns the synthesis gas in the gasifi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increase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the gas turbine.
상기 합성가스 정제부는 상기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소의 생산이 요구되는 제2 운전모드에서, 상기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합성가스 정제부에서 정제된 상기 수소를 상기 수소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수소저장부에 저장된 수소를 이용하여 상기 수소가스터빈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nthesis gas purification unit includes a hydroge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hydrogen, an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roduction of hydrogen is required, 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stores the hydrogen purified by the synthesis gas purification unit in the hydrogen storage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storing and driving the hydrogen gas turbine using the hydrogen stored in the hydrogen storage unit.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화기에서 생성된 촤(char)를 저장하는 저장조를 설치하고, 보일러로 공급되는 촤(char)의 양을 조절하여 증기터빈과 가스터빈에 의한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스화기의 운전조건에 의해 촤(char)의 투입량이 결정되는 종래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storage tank for storing char generated in the gasifier is installed, and the amount of char supplied to the boiler is adjusted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y the steam turbine and the gas turbin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technical limitations in which the input amount of char is determined by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gasifier.
또한 본 발명은, 가스화기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가스터빈에서 연소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합성가스 분배장치부를 통해 보일러 연소로에 주입하여 보일러의 기동용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보조연료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use of auxiliary fuel by not only burning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in the gas turbine, but also injecting it into the boiler combustion furnace through the syngas distribution unit and using it as a fuel for starting the boiler. .
또한 본 발명은, 수증기 공급장치부를 이용하여 가스화기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 내 수소율을 높이고, 수소를 이용한 발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저장이 필요없는 초청정 발전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ultra-clean power generation that does not require the capture and storage of carbon dioxide by increasing the hydrogen rate in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by using the water vapor supply unit and enabling power generation using hydrogen.
도 1은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에 대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발전 시스템에서 발전량 증가가 필요한 제1 운전 모드와 일반 운전모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합 발전 시스템에서 수소 생산이 필요한 제2 운전 모드와 일반 운전모드를 나타내는 흐름도.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for a conventional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mode and a normal operation mode requiring an increase in generation amount in the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shown in FIG. 2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mode and a general operation mode requiring hydrogen production in the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shown in FIG. 2 .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복합 발전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and similar components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mbined cycle
도 2를 참조하면,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보일러(110), 증기터빈(120), 가스화기(130), 가스터빈(140) 및 저장조(150)를 포함한다.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공급장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mbined cycle
보일러(110)는 공기분리장치(ASU)(102)에서 분리된 공기를 산소 유량 조절 밸브(103)를 통해 공급받는다. 산소 유량 조절 밸브(103)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료가 연소되는 반응이 보일러(110)에서 일어난다. 연소 반응을 통해 보일러(110)는 증기를 발생시킨다. The
증기터빈(120)은 보일러(110)에서 생성된 증기를 공급받아 구동되고 전기를 생산한다.The
가스화기(130)는 공기분리장치(ASU)(102)에서 분리된 공기를 산소 유량 조절 밸브(104)를 통해 공급받고, 연료 공급 장치(101)를 통해서는 연료가 공급된다. 그리고 보일러(110)에서 발생한 고온의 이산화탄소는 배가스 유량 조절 밸브(112, 113)를 통해 가스화기(130)에 공급되어 상기 공기 및 연료와 함께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이 일어나 합성가스를 발생시킨다.The
가스터빈(140)은 가스화기(130)에서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합성가스를 합성가스 조절장치부(134) 및 연소기(135)를 통해 공급받고,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한다. The
저장조(150)에 가스화기(130)에서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촤(char)가 저장된다. 이에 따라, 가스화기(130)에서 생성된 촤(char)가 바로 보일러(110)로 공급되지 않고 저장조(150)에 저장됨으로써 복합 발전 시스템(100)의 유연운전을 가능하게 하였다.In the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공급장치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bined cycle
공급장치부(160)는 저장조(150)에 연결된다. 공급장치부(160)는 저장조(150)에 저장된 촤(char)가 보일러(110)에 공급되도록 한다. The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제어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bined cycle
제어부(170)는 공급장치부(160)를 제어하여 저장조(150)에 저장된 촤(char)가 보일러(110)에 공급되는 양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증기터빈과(120)과 가스터빈(140)에 의한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어 발전량 조절 응동성을 가질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합성가스 버너(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bined cycle
합성가스 버너(111)는 보일러(110)에 구비되어, 가스화기(130)에서 배출되는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보일러(110)에서 증기를 발생시킨다.The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합성가스 분배장치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bined cycle
합성가스 분배장치부(131)은 가스화기(130)의 배출부에 연결된다. 합성가스 분배장치부(131)는 합성가스를 합성가스 버너(111)에 공급하여 보일러(110)의 기동용 연료로 이용된다. 이를 통해 복합 발전 시스템(100)의 운전시 별도의 보조연료 없이 가스화기(13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보일러(110) 내 촤(char)의 연소가능 온도까지 높여줄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110)의 부하를 급격히 증가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나, 층물질 온도를 일정하기 유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합 발전 시스템(100)의 초기 기동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The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수증기 공급장치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bined cycle
수증기 공급장치부(180)는 수증기를 가스화기(130)을 공급한다. 가스화기(130)에서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배출된 합성가스는 합성가스 분배장치부(131)를 통해 합성가스 정제부(132a, 132b)로 유입된다. 합성가스 정제부(132a, 132b)에서는 합성가스 내 수소를 정제하여 수소저장부(133)에 저장한다. The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bined cycle
제어부(170)는 수증기 공급장치부(180)를 제어하여 수증기가 공급장치부(180)에서 가스화기(130)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가스화기(130)에 수증기를 공급함으로써 가스화기(130)에서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배출되는 합성가스 내 수소율을 높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water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합가스 정제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bined cycle
합성가스 정제부(132)는 가스화기(130)에서 합성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에 연결된다. 합성가스 정제부(132)는 가스화기(130)으로부터 배출된 합성가스를 합성가스 분배장치부에서 공급받아 합성가스 내 수소를 획득할 수 있다.The syngas purification unit 13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unit from which the syngas is discharged from the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수소가스터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bined cycle
수소가스터빈(140)은 수소저장부(133)에 저장된 수소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수소가스터빈(140)은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복합 발전 시스템(100)에 의하면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저장이 필요없는 초청정 발전을 구현할 수 있다.The
한편,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가스터빈(140)의 열을 이용하여 증기터빈(120)의 증기를 가열하는 열교환기(141) 및 직접 접촉식 열교환기(DCC)(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CPU(143) 및 재순환 블러워(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일러(110)에서 연소반응을 통해 배출되는 배가스가 재순환 배가스 조절 밸브(114)를 통해 이산화탄소 저장부(144)에 저장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bined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복합 발전 시스템(100)의 제1 운전 모드와 일반 운전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rst operation mode and a general operation mode of the combined cycl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 발전 시스템(100)에서 발전량 증가가 필요한 제1 운전 모드와 일반 운전 모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operation mode and a normal operation mode requiring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n the combined cycle
도 3을 참조하면, 발전량 증가가 필요한 경우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제1 운전 모드로 운전된다. 제1 운전 모드에서 가스터빈(140)을 이용한 발전이 부하응동성이 높아 발전부하의 조정이 급하게 필요한 경우, 가스화기(130)에서 합성가스의 생산을 증가시켜 가스터빈(140)의 발전량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가스화기(130)에서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촤(char)는 저장조(150)에 저장된다. 이와 달리, 일반 운전 모드에서 발전부하의 조정이 크지 않을 경우, 저장조(150)에 저장된 촤(char)를 보일러(110)에 공급하여 운전을 하면 된다. 아울러 저장조(150)에 저장된 촤(char)를 보일러(110)의 연료로 사용하여 증기터빈(120)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어 그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whe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is required, the combined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복합 발전 시스템(100)의 제2 운전 모드와 일반 운전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econd operation mode and the general operation mode of the combined cycle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합 발전 시스템(100)에서 수소 생산이 필요한 제2 운전 모드와 일반 운전 모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on mode and a normal operation mode requiring hydrogen production in the combined cycle
도 4를 참조하면, 수소의 생산이 필요한 경우 복합 발전 시스템(100)은 제2 운전 모드로 운전된다. 상기 제2 운전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낮 시간대와 같이 신재생에너지가 전력을 많이 생산하는 시간대에는 전력생산보다 수소의 생산 및 저장이 필요하다. 이 경우. 보일러(110)의 운전을 줄여 증기터빈(120)에 의한 발전량을 감소시킨다. 또, 가스터빈(140)를 이용한 전력생산보다는 가스화기(130)에서 배출된 합성가스를 합성가스 정제부(132a, 132b)를 통해 수소 및 합성가스 생산을 주로 하고, 가스화기(130)에서 발생한 촤(char)는 저장조(150)에 저장하여 복합 발전 시스템(100)의 이용률을 높이고 운영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신재생에너지가 전력을 적게 생산하는 시간대, 예를 들어 밤 시간대에는 기 생산되어 수소저장부(133)에 저장된 수소 및 합성가스를 이용하여 가스터빈(수소터빈 포함)(140)을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when hydrogen production is required, the combined cycle
이상에서 설명된 복합 발전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종래의 복합 발전 시스템
100: 복합 발전 시스템
11, 110: 보일러
10a, 101: 연료공급장치
10b, 102: 공기분리장치(ASU)
10c, 10d, 103, 104: 산소 유량조절 밸브
111: 합성가스 버너
11a,11b, 112, 113: 배가스 유량조절 밸브
11c, 114: 재순환 배가스 조절 밸브
11d, 115: 재순환 블러워
12, 120: 증기터빈
13, 130: 가스화기
131: 합성가스 분배장치부
13a, 13b, 132a, 132b: 합성가스 정제부
13c, 133: 수소저장부
13d, 134: 합성가스 조절장치부
13e, 135: 연소기
14, 140: 가스터빈, 수소가스터빈
14a, 141: 열교환기
14b, 142: 직접 접촉식 열교환기(DCC)
14c, 143: CPU
14d, 144: 이산화탄소 저장부
150: 저장조
160: 공급장치부
170: 제어부
180: 수증기 공급장치부10: Conventional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100: combined cycle system
11, 110: boiler
10a, 101: fuel supply device
10b, 102: air separation device (ASU)
10c, 10d, 103, 104: oxygen flow control valve
111: syngas burner
11a, 11b, 112, 113: exhaust gas flow control valve
11c, 114: recirculation flue gas control valve
11d, 115: recirculating blower
12, 120: steam turbine
13, 130: gasifier
131: syngas distribution device unit
13a, 13b, 132a, 132b: syngas purification unit
13c, 133: hydrogen storage unit
13d, 134: syngas control unit
13e, 135: combustor
14, 140: gas turbine, hydrogen gas turbine
14a, 141: heat exchanger
14b, 142: Direct Contact Heat Exchanger (DCC)
14c, 143: CPU
14d, 144: carbon dioxide storage unit
150: storage tank
160: supply unit
170: control unit
180: water vapor supply unit
Claims (11)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된 상기 증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증기터빈;
화석연료와 상기 보일러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합성가스를 생성 및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스화기;
상기 가스화기에서 발생하는 상기 합성가스를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가스터빈; 및
상기 가스화기에서 상기 열분해 및 가스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촤(char)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저장조를 포함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a boiler for generating steam by circulat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so that the fuel can be completely burned in oxygen condition;
a steam turbine configured to be driven by receiving the steam generated by the boiler;
a gasifier configured to receive fossil fuel and high-temperature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the boiler to generate and discharge syngas through thermal decomposition and gasification reaction;
a gas turbine configured to be driven by receiving the syngas generated from the gasifier; and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storage tank formed to enable storage of char (char) generated by the pyrolysis and gasification reaction in the gasifier.
상기 저장조에서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상기 촤(char)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보일러의 부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공급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upply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load of the boil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char (char) supplied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boiler.
상기 보일러에서 상기 증기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공급장치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촤(char)를 상기 보일러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unit to supply the cha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boiler so that the steam is generated in the boiler.
상기 보일러는, 상기 가스화기에서 배출되는 상기 합성가스를 연료로 이용하여 상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합성가스 버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iler,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a syngas burn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steam by using the syngas discharged from the gasifier as a fuel.
상기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상기 증기의 온도를 증가시키는데 상기 합성가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상기 가스화기에서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를 상기 합성가스 버너에 주입하는 합성가스 분배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Complex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yngas distribution device for injecting the syn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into the syngas burner so that the synga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ed in the boiler. power generation system.
상기 가스화기에서 발생하는 상기 합성가스의 수소수율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가스화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증기 공급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vapo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vapor to the gasifier to increase the hydrogen yield of the synthesis 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상기 수증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일러에서 생성되는 증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수증기 공급장치부에서 상기 보일러로 상기 수증기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supply the steam from the steam supply unit to the boil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ed in the boiler by using the steam.
상기 합성가스가 배출되는 상기 가스화기의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스화기에서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 중 수소를 정제하여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합성가스 정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of the gasifier from which the syngas is discharged, and further comprises a syngas purification unit made to be obtained by purifying hydrogen of the syngas generated in the gasifier.
상기 합성가스 정제부에서 생성된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수소가스터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ydrogen gas turbine configured to drive a generator using the hydrogen generated in the synthesis gas purification unit.
발전량 증가가 요구되는 제1 운전모드에서, 상기 가스터빈에서 상기 보일러로 공급되는 상기 촤(char)의 공급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가스화기에서 상기 합성가스를 연소시켜 상기 가스터빈의 발전량을 증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an increase in power generation is required, the supply amount of the char supplied from the gas turbine to the boiler is reduced, and the synthesis gas is burned in the gasifier to increase the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gas turbin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made of.
상기 합성가스 정제부는 상기 수소를 저장하는 수소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소의 생산이 요구되는 제2 운전모드에서, 상기 합성가스 정제부에서 정제된 상기 수소를 상기 수소저장부에 저장시키고 상기 수소저장부에 저장된 수소를 이용하여 상기 수소가스터빈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발전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ynthesis gas purification unit has a hydroge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hydrogen,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production of hydrogen is required, a control unit for storing the hydrogen purified by the synthesis gas purification unit in the hydrogen storage unit and driving the hydrogen gas turbine using the hydrogen stored in the hydrogen storage unit;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828A KR102838947B1 (en) | 2020-01-17 |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6828A KR102838947B1 (en) | 2020-01-17 |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3089A true KR20210093089A (en) | 2021-07-27 |
KR102838947B1 KR102838947B1 (en) | 2025-07-25 |
Family
I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7820A (en) * | 2022-03-30 | 2022-07-01 | 刘小江 | Cogener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carbon dioxide conversion and utilization |
CN115387914A (en) * | 2022-08-08 | 2022-11-25 | 哈尔滨工业大学 | Ammonia decomposition synthesis gas turbine and hydrogen-doped gas turbin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87820A (en) * | 2022-03-30 | 2022-07-01 | 刘小江 | Cogenera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carbon dioxide conversion and utilization |
CN115387914A (en) * | 2022-08-08 | 2022-11-25 | 哈尔滨工业大学 | Ammonia decomposition synthesis gas turbine and hydrogen-doped gas turbin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085754C1 (en) | Method of and gas turbine plant for continuous conversion of energy | |
JPH0468446B2 (en) | ||
JP2014141965A (en) |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minimum turn down load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 | |
GB2075124A (en) | Integrated gasification-methanol synthesis-combined cycle plant | |
EP3844371A1 (en) | System for generating energy in a working fluid from hydrogen and oxygen and method of operating this system | |
CA2813957A1 (en) | Generating power using an ion transport membrane | |
JP2009174392A (en) | Biomass gasified gas power generation system | |
JPH02168570A (en) | Method of generating | |
Prins et al. |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IGCC for carbon capture | |
KR20210093089A (en) |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
KR102838947B1 (en) |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
JP2005098198A (en) | High efficiency power generation system for waste treatment furnace | |
CN113340008B (en) | Multi-connection supply system based on solar energy and biomass energy | |
JP5151921B2 (en) | Combined power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wo-column gasifier | |
JP2011163294A (en) | Coal-gasified gas supply plant | |
JP6336257B2 (en) | Gasified fuel cell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RU2819848C1 (en) | Method for producing synthesis gas using steam catalytic reforming | |
Inaba et al. | Coal gasification system using nuclear heat for ammonia production | |
CN222864904U (en) | A low calorific value combustible gas energy storage power generation peak regulation device system | |
JPH04321704A (en) | Fuel cell compound generating plant | |
JP3509141B2 (en) | Fuel cell power generator | |
KR100845270B1 (en) | Auxiliary combustion system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 | |
JPS59108809A (en) | Complex prime mover system | |
KR20210072227A (en) | Fuel cell system with conventional fuel gasification based on coal gasification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 |
KR100462252B1 (en) | A power pl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1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