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902A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1902A KR20210081902A KR1020190174308A KR20190174308A KR20210081902A KR 20210081902 A KR20210081902 A KR 20210081902A KR 1020190174308 A KR1020190174308 A KR 1020190174308A KR 20190174308 A KR20190174308 A KR 20190174308A KR 20210081902 A KR20210081902 A KR 202100819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ltivation
- water
- water supply
- level sensor
- shel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 of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개시되는 내용은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감지해 급수여부를 조절하도록 한 식물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watering is supplied by sens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a water supply unit.
도시가 발달해 조밀하게 건물이 밀집됨에 따라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경작지를 도시에서 찾기 어려워졌다.As cities developed and buildings were densely packed, it became difficult to find arable land in the city where plants could be grown.
아파트 형태의 주거문화가 자리를 잡았고, 마당이나 텃밭이 있는 가정은 소수에 불과하게 되었다.Apartment-type housing culture has taken hold, and only a small number of households have yards or vegetable gardens.
반면에 미세먼지나 환경오염 문제들로 인해 식자재의 직접 재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terest in direct cultivation of food materials is increasing due to fine dus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s.
따라서, 마당이나 텃밭이 없는 가구에서도 주거공간 내부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이나 장치들을 구비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Accordingly, even households without a yard or a vegetable garden are increasingly equipped with pots or devices for cultivating plants in the living space.
화분의 경우 온도나 습도에 민감한 작물을 재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Potted plants are not suitable for growing crops that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or humidity.
특별하게 세팅된 식물 재배 장치들은 특정 작물에 필요한 온도와 습도 등의 환경을 조성해 준다. 따라서, 실내에서 원하는 작물을 발아시켜 재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Specially set plant cultivation devices create an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required for specific crops.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germinate and cultivate a desired crop indoors.
식물 재배 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2790호(이하, '관련기술'이라 함.)는 '식물 재배 장치'를 개시한다. 관련기술은 내부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재배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과 영양분이 공급되도록 한다. 하지만, 작물은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잘 자라난다. 공급되는 물의 양도 적절한 양의 시기에 맞춰 공급되어야 한다. 하지만, 관련기술에서는 작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별도로 계측하거나 조절하는 구성은 나타나지 않는다.As a technology related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9-013279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lated technology") discloses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e related technology creates a space for growing plants inside, and provides water and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However, crops thrive only when the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maintained.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must also be supplied in an appropriate amount and at the right time. 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separatel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crops.
작물의 재배를 위해 적절한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것은 재배되는 작물의 생육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술의 개선이 필요했었다.Controlling the supply of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for growing crops is very helpful for the growth of cultivated crop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improve such a technique.
전술한 관련기술들은 발명자가 개시되는 내용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개시되는 내용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개시되는 내용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related technologies are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isclosed content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ies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disclosed content.
개시되는 내용의 일 과제는, 식물 재배 장치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계측하기 어려웠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One problem of the disclosed content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in which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과제는, 식물 재배를 위해 공급되는 물이 간헐적으로 급수됨으로써 물이 부족하거나 많이 공급되기도 하였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 water supplied for plant cultivation is intermittently supplied, and thus water is insufficient or a lot of water is supplied.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공급된 물의 양을 계측하기 위해 접촉센서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설계가 어려웠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design is difficult by using a contact sensor to measure the amount of supplied water.
개시되는 내용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disclosed content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o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본체, 선반, 재배베드 및 재배용기를 포함한다.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재배공간에 선반이 형성되고, 선반위에 재배베드가, 재배베드의 내측에 재배용기가 안착된다.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ody, a shelf, a cultivation bed, and a cultivation vessel. A shelf is formed in a cultiv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body, a cultivation bed is placed on the shelf, and a cultivation vessel is mounted inside the cultivation bed.
재배베드는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는 급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선반은 급수부 연직하방에 위치해 급수부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계측하는 수위센서를 포함한다.The cultivation bed includes a water supply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shelf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water supply unit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의 저면과 수위센서는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the water level senso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수위센서는 선반 위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급수부의 저면이 수위센서와 접하면 수위센서가 선반을 향해 하강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ter level sensor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on the shelf, and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level sensor, the water level sensor descends toward the shelf.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의 저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는 저면에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를 포함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수위센서는 급수부의 정전용량을 계측함으로써 급수부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계측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ter level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by measuring the capacitance of the water supply uni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는 급수부 보다 높은 위치의 일측에 형성되고, 물이 유입되는 입구인 유입구, 유입부와 급수부를 연결하는 유로인 급수유로를 포함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bed is formed on one side of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supply unit, and includes an inlet that is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a water supply passage that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water supply.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용기는 급수부에 고인 물이 유입되도록 바닥면이 개방되는 개방구를 포함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vessel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bottom surface is opened so that the water stagn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is introduced.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용기는 하단이 개방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단이 재배용기 내부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물을 흡수하는 심지를 포함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vessel has a lower end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the upper end is disposed to face upward inside the cultivation vessel, and includes a wick made of a porous material to absorb water .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본체는 재배공간의 온도, 습도 및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컨트롤모듈을 포함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in body includes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quantity of a cultivation space.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 및 선반은 재배베드가 선반 상에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레일을 통해 결합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ultivation bed and the shelf are coupled through rails so that the cultivation bed slides in one direction on the shelf.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본체, 선반, 재배베드 및 재배용기를 포함한다. 본체는 내부에 재배공간을 형성하고 적어도 일면에 결합된 도어를 통해 상기 재배공간이 열리거나 닫힌다. 선반은 재배공간에 가로놓여 배치되며 수위센서가 구비된다. 재배베드는 선반에 올려 놓이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서, 바닥면에 물이 고여 저장되는 급수부가 형성된다. 재배용기는 재배배드의 급수부 상부에 배치된다.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ody, a shelf, a cultivation bed, and a cultivation vessel. The main body forms a cultivation space therein, and the cultivation space is opened or closed through a door coupled to at least one surface. The shelf is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a water level sensor is provided. The cultivation bed is placed on a shelf and is a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urface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water supply part for storing wat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cultivation vessel is disposed above the water supply part of the cultivation bed.
그리고, 수위센서는 급수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계측하고, 수위센서를 통해 계측된 급수부에 저장된 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보다 작을 경우 급수부에 물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and supplies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w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measur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수위센서는 재배베드가 선반에 올려 놓인 상태에서 작동된다.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ater level sensor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cultivation bed is placed on the shelf.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plants in real time.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계측된 물의 양을 기초로 식물의 생육을 위한 물이 실시간으로 공급됨으로써 식물에게 필요한 적당한 양의 물이 끊임없이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ure, water for plant growth is supplied in real time based on the measured amount of water,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plants is continuously supplied.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공급된 물의 양을 계측하기 위해 비접촉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식물 재배 장치 내부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설계가 수월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ure, by providing a non-contact sensor to measure the amount of supplied water,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aking the design easier.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비접촉센서와 물이 저장되는 공간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계측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reliable measurement is made by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non-contact sensor and th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개시되는 내용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disclosed cont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 및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와 센서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와 센서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 저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가 선반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가 선반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잔수감지 및 급수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ltivation b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ultivation bed and a sensor 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water supply and the sensor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ap between a water supply unit and a sensor 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ultivation bed is withdrawn from the shelf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ultivation bed is slidably seated on a shelf 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residual water detection and water supply are perform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설명을 위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content for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의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본체(10), 선반(200), 재배베드(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includes a
재배베드(100)는 재배용기(110) 및 트레이(130)를 포함한다.The
재배용기(110)에는 식물의 씨앗이 심기고, 식물이 뿌리를 내리도록 마련된 배기가 수용된다. 배지는 작물의 생장, 발육에 불가결한 영양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흙일 수 있다. 또는 흙과 유사한 성질을 지닌 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In the
본체(10)는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소정의 공간은 재배공간(14)으로서, 작물을 수용하고 작물이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공간이다. 본체(10)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지닐 수 있다.The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가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재배공간(14)이 마련되며, 재배공간(14)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면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재배공간(14)의 일면은 도어(12)가 결합되어 도어(12)를 재배공간(14)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s shown in FIG. 1 , the
도어(1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어(12)의 투명한 부분으로 재배공간(14)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도어(12)에는 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2)의 잠금장치는 재배공간(14)의 상태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할 경우 열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작물의 생장에 있어 중요한 시기인 발아기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도어(12)가 열려 씨앗이 발아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본체(10) 및 도어(12)는 다양한 형상, 형태 및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The
본체(10)에는 그 내부에 환기를 위한 환기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환기는 재배공간(14)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의 공기를 재배공간(14)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이뤄진다.The
선반(200)은 재배공간(14)에 배치된다. 선반(200)은 재배공간(14)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선반(200)은 재배공간(14)을 가로로 가로지르는 구조물이다. 선반(200)에는 그 위에 재배베드(100)가 올려 놓인다. 선반(200)은 재배베드(100)의 하중을 지탱한다.The
선반(200)은 재배공간(14) 내부에서 상하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선반(2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배베드(100)가 안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선반(200)의 상부에는 컨트롤모듈(20)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모듈(20)은 재배공간(14)의 상부에 배치되고, 아래쪽을 향해 증기를 분사하거나, 가열하거나, 빛을 조사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증기분사부, 가열부 및 광조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모듈(20)은 재배공간(14)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광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본체(10) 내부의 재배공간(14)에는 온도, 습도 및 광량을 계측할 수 있는 계측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계측수단을 통해 계측되는 재배공간(14)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광량을 기초로 컨트롤모듈(20)이 작동되고, 이를 통해 재배공간(14) 내부의 온도, 습도 및 광량이 미리 정해진 수치로 유지될 수 있다.The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100) 및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베드(100)는 재배용기(110), 손잡이(120) 및 트레이(130)를 포함한다. 재배용기(110)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넓은 바닥면을 지니고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이다. 재배용기(110)의 내부에는 배지가 수용될 수 있고, 배지에 씨앗이 심겨져 작물이 발아되고 생육하게 된다. 배지는 여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기 다른 형태의 배지가 적층되어 재배용기(110)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2 and 3 , the
재배용기(110)는 트레이(130)에 수용된다. 그리고, 재배용기(110)에는 그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가 아래쪽과 연통되로고 개방되는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구는 급수부(136)의 위쪽에 배치되고, 급수부(136)에 있는 물이 재배용기(11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재배용기(110)의 내부에서 그 하단이 개방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단이 재배용기(110) 내부를 향하는 심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심지는 다공의 재질로 이루어져 물을 잘 흡수하는 성질을 지닌다. 따라서, 개방구로 유입된 물은 심지를 통해 재배용기(110) 내부의 배지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The
트레이(130)는 재배용기(110)가 안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서랍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130)의 일측에는 손잡이(120)가 형성되고,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그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트레이(130)에는 급수부(136)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부(136)는 트레이(130)의 적어도 일부분에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파여서 형성된다. 급수부(136)는 소정의 경로를 이룰 수 있고, 급수부(136)의 상부에 재배용기(1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트레이(130)는 급수부(136)보다 높은 위치의 일측에 유입부(132)가 형성된다. 유입부(132)는 물이 공급되는 곳으로서 트레이(13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로 물이 유입되면 이를 급수유로(134)로 흘려보낸다. 급수유로(134)는 유입부(132)와 급수부(136)를 연결하는 유로이다. 유입부(132)는 급수부(136)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므로 유입부(132)로 공급된 물은 급수유로(134)를 따라 급수부(136)로 흘러간다.And the
그리고, 재배베드(100)는 선반(200) 위에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재배공간(14) 내부로 삽입되거나 재배공간(14)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재배베드(100)의 아래쪽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140)이 형성될 수 있고, 레일(140)은 선반(200)과 간섭되어 재배베드(100)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And, the
그리고, 후술될 선반(200)은 수위센서(210)를 포함한다. 수위센서(210)는 선반(200)위에 재배베드(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급수부(136)의 연직하방에 위치한다. 수위센서(210)는 비접촉센서로서 급수부(136) 내부에 고여있는 물의 높이를 계측한다.And, the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136)와 센서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136)와 센서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센서(210)는 재배베드(100)가 선반(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급수부(136)의 연직하방에 배치된다. 수위센서(210)는 정전용량을 계측하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위센서(210)는 급수부(136)의 정전용량을 계측함으로써 급수부(136)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의 양을 계측한다. 수위센서(210)는 재배베드(100)가 슬라이딩하여 선반(200)의 윗쪽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재배베드(100)의 아랫면과 접촉하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재배베드(100)의 아랫면인 급수부(136)의 저면과 소정의 간격(d)을 두고 이격된다.4 and 5 , the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급수부(136) 저면에 가압돌기(138)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136)의 저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가압돌기(13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위센서(210)는 선반(200)에 그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위센서(210)는 탄성부재(212)를 매개로 선반(200)에 고정되고, 수위센서(210)에 위에서 가압하는 힘이 작용할 경우 수위센서(210)는 그 높이가 하강한다. 그리고, 수위센서(210)를 가압하였던 힘이 제거되면 수위센서(210)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 a
따라서, 급수부(136) 저면에 형성되는 가압돌기(138)는 수위센서(210)를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가압하고, 수위센서(210)가 급수부(136)의 저면과 일정한 간격(d)만큼 이격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100)가 선반(20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재배베드(100)가 선반(200)에 슬라이딩 안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136)의 저면이 일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재배베드(100)가 선반(200)위에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급수부(136)의 저면이 점진적으로 수위센서(210)를 가압하고, 수위센서(210)는 급수의 저면의 경사진 면과 접촉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밀려나게 된다.As shown in FIG. 7 , the bottom surface of the
따라서, 재배베드(100)가 선반(2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수위센서(210)가 재배베드(100)의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수위센서(210)가 급수부(136)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도 9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에서 잔수감지 및 급수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residual water detection and water supply are performed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장치는 센서작동단계(S10)를 수행함으로써 급수부(136)에 저장된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계측한다. 센서작동단계(S10)는 우선 재배베드(100)가 정위치에 있는지를 감지(S20)한다. 재배베드(100)가 정위치에 있지 않다면 신호출력(S22)을 통해 사용자에게 재배베드(100)가 제대로 장착되지 않았음을 알린다. 그리고, 재배베드(100)가 정위치에 있다면 잔수량 감지 단계(S30)를 수행한다. 잔수량 감지를 통해 급수가 필요한지를 판단(S40)하여 급수(S50)를 하거나 계속적인 잔수량의 감지를 수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이상에서는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개시되는 내용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cont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the drawings, which are exemplary and the contents disclos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not limited. It is apparent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change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conten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disclosed content. In addition, although an action or eff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s not explicitly described while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content disclosed above, it is natural that even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be recognized.
10: 본체
12: 도어
14: 재배공간
20: 컨트롤모듈
100: 재배베드
110: 재배용기
120: 손잡이
130: 트레이
132: 유입부
134: 급수유로
136: 급수부
138: 가압돌기
140: 레일
200: 선반
210: 수위센서
212: 탄성부재10: body 12: door
14: cultivation space
20: control module
100: cultivation bed 110: cultivation vessel
120: handle 130: tray
132: inlet 134: water supply passage
136: water supply 138: pressure projection
140: rail
200: shelf 210: water level sensor
212: elastic member
Claims (13)
상기 재배공간에 가로놓여 배치되며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선반;
상기 선반에 올려 놓이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서, 바닥면에 물이 고여 저장되는 급수부가 형성되는 재배베드; 및
상기 재배배드의 급수부 상부에 배치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가 상기 수위센서 상부에 위치해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급수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계측하는,
식물 재배 장치.a body forming a cultivation space therein and opening or closing the cultivation space through a door coupled to at least one surface;
a shelf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a cultivation bed placed on the shelf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a water supply uni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for storing water; and
Containing; and a cultivation vessel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portion of the cultivation bed;
The water supply unit is located above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water level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plant growing device.
상기 급수부의 저면과 상기 수위센서는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는,
식물 재배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and the water level senso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lant growing device.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선반 위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급수부의 저면이 상기 수위센서와 접하면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선반을 향해 하강하는,
식물 재배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level sensor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on the shelf, and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level sensor, the water level sensor descends toward the shelf,
plant growing device.
상기 급수부의 저면은 일방향으로 경사진,
식물 재배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bottom of the water supply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plant growing device.
상기 급수부는,
저면에 아래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 supply unit,
Including,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plant growing device.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급수부의 정전용량을 계측하는,
식물 재배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level sensor measures the capacitance of the water supply,
plant growing device.
상기 재배베드는,
상기 급수부 보다 높은 위치의 일측에 형성되고, 물이 유입되는 입구인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와 상기 급수부를 연결하는 유로인 급수유로;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ultivation bed,
an inlet that is formed on one side of a higher position than the water supply and is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nd
Containing, a water supply passage that is a passag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water supply.
plant growing device.
상기 재배용기는,
상기 급수부에 고인 물이 유입되도록 바닥면이 개방되는 개방구;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ultivation vessel,
Containing;
plant growing device.
상기 재배용기는,
하단이 상기 개방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재배용기 내부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물을 흡수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ultivation vessel,
The lower e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pening, the upper end is disposed to face upward in the inside of the cultivation vessel, and a wick made of a porous material to absorb water; including,
plant growing device.
상기 본체는,
상기 재배공간의 온도, 습도 및 광량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컨트롤모듈;을 포함하는,
식물 재배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Containing, a control module for adjust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quantity of the cultivation space
plant growing device.
상기 재배베드 및 상기 선반은,
상기 재배베드가 상기 선반 상에서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레일을 통해 결합되는,
식물 재배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ultivation bed and the shelf,
coupled through a rail so that the cultivation bed slides in one direction on the shelf,
plant growing device.
상기 재배공간에 가로놓여 배치되며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선반;
상기 선반에 올려 놓이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로서, 바닥면에 물이 고여 저장되는 급수부가 형성되는 재배베드; 및
상기 재배배드의 급수부 상부에 배치되는 재배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급수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계측하고, 상기 수위센서를 통해 계측된 상기 급수부에 저장된 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보다 작을 경우 상기 급수부에 물을 공급하는,
식물 재배 장치.a body forming a cultivation space therein and opening or closing the cultivation space through a door coupled to at least one surface;
a shelf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cultivation space and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a cultivation bed placed on the shelf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having a water supply uni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for storing water; and
Containing; and a cultivation vessel disposed on the water supply portion of the cultivation bed;
The water level sensor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and supplies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when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supply unit measur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plant growing device.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재배베드가 상기 선반에 올려 놓인 상태에서 작동되는,
식물 재배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ater level sensor is
The cultivation bed is operated in a state placed on the shelf,
plant grow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4308A KR20210081902A (en) | 2019-12-24 | 2019-12-24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EP20213413.6A EP3900519B1 (en) | 2019-12-24 | 2020-12-11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US17/121,106 US11832561B2 (en) | 2019-12-24 | 2020-12-14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US18/383,676 US20240049661A1 (en) | 2019-12-24 | 2023-10-25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4308A KR20210081902A (en) | 2019-12-24 | 2019-12-24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1902A true KR20210081902A (en) | 2021-07-02 |
Family
ID=7383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4308A Pending KR20210081902A (en) | 2019-12-24 | 2019-12-24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11832561B2 (en) |
EP (1) | EP3900519B1 (en) |
KR (1) | KR20210081902A (en)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98898A1 (en) * | 2004-03-11 | 2005-09-15 | Vogt Paul A. | Plant basket divider |
KR100807247B1 (en) * | 2005-04-28 | 2008-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ter level detection device and steam cooking device having same |
US8234812B1 (en) * | 2008-12-03 | 2012-08-07 | Terry Colless | Fodder-growing enclosure |
KR101635570B1 (en) * | 2009-07-21 | 2016-07-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
MX339210B (en) * | 2011-04-15 | 2016-05-12 | Dow Agrosciences Llc | Automated gravimetric screening platform system and method. |
KR101398608B1 (en) * | 2011-07-27 | 2014-05-28 | (주) 케어스워터 | Water dispenser equipped with sensing means for water leakage |
KR101422636B1 (en) * | 2013-03-21 | 2014-07-24 | 김동열 | A hydroponics culture apparatus |
CN103416292B (en) * | 2013-09-11 | 2015-07-22 | 王爱武 | Domestic full-automatic vegetable planting machine |
KR20150004183U (en) * | 2014-05-12 | 2015-11-20 |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 A self-watering cultivator for baby vegetable |
US9476752B2 (en) * | 2014-10-01 | 2016-10-25 | Sealed Air Corporation | Fluid level sensor |
CN204560508U (en) * | 2014-12-31 | 2015-08-19 | 姚旭 | A kind of Novel soilless culturing device |
CN107980593A (en) * | 2016-10-26 | 2018-05-04 | 陈鸽 | A kind of double growing element self-stabilising machine for vegetable |
KR102674196B1 (en) * | 2017-01-03 | 2024-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90132790A (en) | 2018-05-21 | 2019-1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US11606915B2 (en) * | 2018-10-24 | 2023-03-21 | Rk Sage, Llc |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ed control for a performance vegetation wall system |
KR20210047567A (en) * | 2019-10-22 | 2021-04-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and water supplying control method therefor |
-
2019
- 2019-12-24 KR KR1020190174308A patent/KR20210081902A/en active Pending
-
2020
- 2020-12-11 EP EP20213413.6A patent/EP3900519B1/en active Active
- 2020-12-14 US US17/121,106 patent/US11832561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10-25 US US18/383,676 patent/US20240049661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00519A1 (en) | 2021-10-27 |
US20240049661A1 (en) | 2024-02-15 |
US11832561B2 (en) | 2023-12-05 |
EP3900519B1 (en) | 2024-03-06 |
US20210185948A1 (en) | 2021-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03018B1 (en) | Automatic High Position Cultivating System Based on Human Machine Interface | |
US20220192115A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CN111343860B (en) |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nd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 |
CA319097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lant indexing in a hydroponic farming environment and a hydroponic farming environment | |
CN206371069U (en) | A kind of portable rice seed soaking and seedling integrated device | |
KR20210081902A (en)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
CN109691385A (en) | For cultivating and detecting the hydrotropic device and method of arabidopsis root | |
CN208387518U (en) | A kind of portable soilless cultivation device for raising seedlings | |
US11744196B2 (en)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
KR20110051934A (en) | Cabinet type plant cultivator using LED | |
KR20150072486A (en)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CN206686840U (en) | A kind of new no sub- seedling-raising box of soil species | |
WO2024068746A1 (en) | Cultivation system and process | |
JP2021521887A (en) | Cultivation system for growing plants | |
KR101869777B1 (en) | Apparatus of indoor hydroponic system for ginseng | |
CN204810919U (en) | Tobacco full -automatic seeder of growing seedlings | |
JPH10271926A (en) | Planting board for nutrient solution-culture | |
KR20220058989A (en) | Plant grower | |
CN206658638U (en) | Plant seedlings breeding apparatus | |
CN206686838U (en) | A kind of water supply rice budding period and the apparatus of seedling stage water culture experiment | |
CN210298711U (en) | Water planting and soil planting combined vegetable planting bag | |
CN220210961U (en) | Seed is planted with accelerating germination device | |
CN217446156U (en) | Bud stress resistance detection tissue culture bottle | |
CN207927328U (en) | A kind of forestry cultivation dish | |
KR102075903B1 (en) | Fa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2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