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497A -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plug and concentric plug of common charge - Google Patents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plug and concentric plug of common char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81497A KR20210081497A KR1020190173164A KR20190173164A KR20210081497A KR 20210081497 A KR20210081497 A KR 20210081497A KR 1020190173164 A KR1020190173164 A KR 1020190173164A KR 20190173164 A KR20190173164 A KR 20190173164A KR 20210081497 A KR20210081497 A KR 202100814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outlet
- electric vehicle
- chargin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20VAC 상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나 킥보드를 포함한 전기 모빌리티(mobility)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를 공용으로 충전할 수 있는 공용 충전장치의 콘센트부에 전기자동차 플러그부 삽입 시, 플러그부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 plug and an outlet for the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mobility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or a kickboard using a 220VAC commercial outlet, and a portable terminal.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e plug of the charging device, and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which prevent erroneous insertion of the plug part when the plug pa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inserted into the outlet part of the common charging device that can charge general electric devices in common It's about outlets.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자동차(Ba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자동차는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다.In general, 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 vehicle operated using electricity, an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ba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Here, a pure electric vehicle is a vehicle driven using only electricity,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is a vehicle driven using electricity and fossil fuels.
전기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with a battery for supplying electricity for driving. In particular, a pure electric vehicle and a plug-in type hybrid electric vehicle charge a battery using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drive an electric motor using the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또한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모빌리티(mobility)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모빌리티 장치는 이동수단 또는 교통수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전기 모빌리티 장치는 전기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전기자동차, 전동 킥보드, 및 전기자전거와 같은 전동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 Also, recently, a mobility device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and the mobility device means a means of transportation or a means of transportation. Accordingly, the electric mobility device is a means for moving using electricity, and means a means for moving using an electric motor such as an electric vehicle, an electric kickboard, and an electric bicycle.
최근 이러한 전기 모빌리티 장치가 급증하고 있으며, 여러 휴대 단말기(예 : 노트북, 스마트폰 등)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의 사용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쉽고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효율성 측면에서 한 가지 전기 장치(예 : 전기자동차)만 충전할 수 있는 전용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보다 여러 전기 장치(예 : 전기 모빌리티, 일반 전기장치 등)를 공용(또는 겸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Recently, such electric mobility devices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 use of general electric devices including various portable terminals (eg, laptops, smart phones, etc.) is also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various charging infrastructures are being built that allow users to easily and quickly charge at their current location. In terms of efficiency, rather than building a dedicated charging infrastructure that can only charge one electric device (e.g. an electric vehicle), it is possible to charge multiple electric devices (e.g., electric mobility, general electric devices, etc.) in common (or both). We are building a charging infrastructure that allows
그러나 전기자동차의 플러그부는 상단을 충전을 위한 제어신호로 이용하고, 하단을 접지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단과 하단을 구분하여 콘센트부에 삽입해야 한다. 이처럼, 전기자동차의 플러그부를 콘센트부에 삽입 시, 플러그부의 방향을 항상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since the plug part of the electric vehicle uses the upper part as a control signal for charging and the lower part as the ground,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must be separated and inserted into the outlet. As such, when inserting the plug part of the electric vehicle into the outlet part,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always checking the direction of the plug par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9529호(2016.09.21.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 충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09529 (published on September 21, 2016, title of the invention: vehicle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220VAC 상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나 킥보드를 포함한 전기 모빌리티(mobility)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를 공용으로 충전할 수 있는 공용 충전장치의 콘센트부에 전기자동차 플러그부 삽입 시, 플러그부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using a 220VAC commercial outlet, an electric mobility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or a kickboard, and a general electric device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 plug and an outle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o prevent erroneous insertion of the plug part when the plug pa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inserted into the outlet part of the common charging device that can be charged in common.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플러그부가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용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콘센트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 스위치, 상기 제어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콘센트부에 삽입되는 플러그부를 감지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플러그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 콘센트 몸체부,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플러그핀이 삽입되는 플러그핀 접속부,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되는 콘센트 접지단자,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콘센트 제어단자, 상기 콘센트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홈부와 상기 제2 가이드홈부의 형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unit is inserted, an outlet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lug unit, and an outlet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a relay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plug, and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lay switch by sensing a plug inserted into the outlet according to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detected, wherein the outlet unit includes the plug unit insertable An outlet body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so as to be formed, a plug pin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outlet body portion and into which the plug pin of the plug portion is inserted, an outlet grounding terminal formed in the outlet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outlet body portion and an outlet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and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outlet body, wherein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groove and the second guide groove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different.
본 발명에서 상기 플러그부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플러그부인 경우,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케이블부가 장착되는 플러그 몸체부, 상기 플러그 몸체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부, 상기 플러그 몸체부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되는 플러그 접지단자,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한 쌍의 플러그핀부를 연결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플러그 제어단자, 상기 플러그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홈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가이드홈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lug part is a plug part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the plug part includes a plug body part on which a cable part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is mounted, a pair of plug pin parts mounted on the plug body part, and the plug body part. It is formed and includes a plug ground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ground, a plug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he cable part and the pair of plug pin parts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and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plug body part. , The first guide par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groov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guide groov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part It may be in shape.
본 발명에서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플러그핀 접속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 상기 덮개를 회동시키는 회동핀, 상기 회동핀에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콘센트부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덮개가 상기 플러그핀 접속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et part is connected to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g pin connection part, a rotation pin for rotating the cover, and the rotation pin, and when the plug part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part, the cover is connected to the plug pin connection part. 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cover so as to cover.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 제어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될 경우, 지정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퀀스에 진입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원을 상기 플러그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ntrol signal is sensed through the outlet control terminal, the controller enters a design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equence and outputs powe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to the plug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플러그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케이블부가 장착되는 플러그 몸체부, 상기 플러그 몸체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부, 상기 플러그 몸체부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되는 플러그 접지단자,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한 쌍의 플러그핀부를 연결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플러그 제어단자, 상기 플러그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형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lu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body part on which a cable part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is mounted, a pair of plug pin parts mounted on the plug body part, a plug grounding part formed on the plug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 terminal, a plug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he cable part and the pair of plug pin parts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and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protruding outside the plug body part, wherein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first guide part are provided. 2 The shape of the guide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ffer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콘센트는, 플러그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 콘센트 몸체부,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플러그핀이 삽입되는 플러그핀 접속부,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되는 콘센트 접지단자,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콘센트 제어단자, 상기 콘센트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홈부와 상기 제2 가이드홈부의 형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le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let body having a concave shape so that a plug part can be inserted, a plug pin connection part which is formed in the outlet body part, and a plug pin of the plug part is inserted, and the outlet body part is formed and an outlet ground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ground, formed in the outlet body, an outlet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and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outlet body How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groove portion are differ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는, 공용 충전장치의 콘센트부에 전기자동차 플러그부 삽입 시, 플러그부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g and an outlet of the charging device, can prevent erroneous insertion of the plug when inserting the electric vehicle plug into the outlet of the common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는, 220VAC 상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나 킥보드를 포함한 전기 모빌리티(mobility)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를 공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A public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and an outlet of the charging device, use a 220VAC commercial outlet to provide an electric mobility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or a kickboard and general electricity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Allow devices to be charged in public.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콘센트부 및 플러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장착 위치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outlet unit and the plug unit shown in FIG. 2 .
5 is an exemplary view of an outle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mounting position and shape of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of the charging device, and an outl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전원 공급부(50), 콘센트부(10), 전압감지부(20), 릴레이 스위치(30), 제어부(40) 및 구동전압 변환부(60)를 비롯하여 충전케이블(8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전원 공급부(50)는 이동식으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거나 자가 발전을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The
콘센트부(10)는 220VAC 상용 콘센트의 구조를 갖되,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13)로 전원을 공급하고,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13)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접지단자(11, 12) 중 제1 접지단자(11)는 접지시키고, 제2 접지단자(12)로 제어신호(예 : 전기자동차 충전을 통한 통신용 C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The
즉, 220VAC 상용 콘센트에서 한 쌍의 접지단자(11, 12)는 공통으로 연결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접지단자(11, 12)는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제1 접지단자(11)는 접지시키고, 제2 접지단자(12)는 제어신호(예 : 전기자동차 충전을 통한 통신용 C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부(40)와 연결된다. That is, in the 220VAC commercial outlet, the pair of
충전케이블(80)은 일단이 전기자동차용 충전건(90)과 연결되고 타단이 충전장치의 콘센트부(10)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부(70)와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와 충전장치 간 제어신호를 송수신하여 전기자동차를 220VAC 상용 콘센트를 통해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플러그부(70)에서 한 쌍의 접지단자(71, 72) 중 제3 접지단자(71)는 접지시키고, 제4 접지단자(72)는 충전건(90)의 제어단자와 연결되며, 한 쌍의 플러그핀(73)이 구비되어 콘센트부(10)의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13)에 접속되어 이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The
전압감지부(20)는 콘센트부(10)의 제2 접지단자(12)로부터의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감지하여 제어부(40)에 제공한다.The
여기서, 제어신호는 J1772 규격에 따른 CP(Control Pilot) 제어신호일 수 있으며,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은 CP 제어신호의 구형파 상위전압을 의미한다. Here, the control signal may be a CP (Control Pilo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J1772 standard,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control signal means a square wave upper voltage of the CP control signal.
릴레이 스위치(30)는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을 콘센트부(10)로 공급한다. 여기서, 릴레이 스위치(30)는 NC(Normal Close) 타입으로 구성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제어 시 온오프 구동시킬 수 있다. The relay switch 30 supplies power from the
제어부(40)는 콘센트부(10)의 제2 접지단자(1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전압감지부(20)로부터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30)를 작동시켜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 The
한편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의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에는 한 쌍의 접지단자가 서로 공통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2 접지단자(12)에서도 접지전압이 감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g of a general electric device (eg, home electric appliance) is inserted, a ground voltage is sensed also at the
이와 같이 전압감지부(20)로부터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입력받아 전압레벨이 제1 전압이거나 접지전압이면, 제어부(40)는 충전케이블(80)을 통해 전기자동차와 연결되지 않았거나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고, 릴레이 스위치(30)를 온 시켜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에서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As such,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그런데 만약 전기자동차용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을 바꿔 삽입할 경우, 플러그부(70)의 접지단자(71, 72)가 접속되는 콘센트부(10)의 접지단자(11, 12)가 바뀌게 되어 전압감지부(20)가 제어신호를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용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콘센트부(10)에 삽입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콘센트부(10)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However, if the electric
한편 충전케이블(80)을 통해 전기자동차와 콘센트부(10)가 연결되어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콘센트부(10)의 제2 접지단자(12)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전달되면, 전기자동차는 충전준비를 위해 내부저항을 변경함으로써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을 제2 전압인 9V로 낮아지게 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전압레벨이 9V인 제2 전압으로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스위치(30)를 오프 시켜 충전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이후 전기자동차에서 충전준비가 완료된 경우 내부저항을 추가로 변경하면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6V인 제3 전압으로 낮아지게 됨에 따라, 제어부(40)에서는 전기자동차가 충전준비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릴레이 스위치(30)를 온 시켜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을 콘센트부(10)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공급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킨다.Afterwards,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ready for charging, if the internal resistance is further changed, the voltage level of the control signal is lowered to the third voltage of 6V, so the
이와 같이 충전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어 전기자동차에서 내부저항을 변경하여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9V인 제2 전압으로 올라가게 되면, 제어부(40)에서는 제어신호의 전압레벨이 제2 전압으로 올라가게 됨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30)를 오프 시켜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콘센트부(10)에서 충전케이블(80)의 플러그부(70)가 탈거되어 전압레벨이 제1 전압으로 올라가게 되면 릴레이 스위치(30)를 온 시켜 초기화한다. When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in this way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control signal rises to the second voltage of 9V by changing the internal resistance in the electric vehicle, the
구동전압 변환부(60)는 전원 공급부(50)의 전원을 제어부(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제어부(4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driv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따르면, 충전장치에 구비된 220VAC 상용 콘센트를 통해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거나, 플러그에 접지단자가 구비된 일반 전기장치(예 : 가전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rg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through a 220VAC commercial outlet provided in the charging device, or a general electric device having a grounding terminal in the plug (eg: electrical appliances) so that it can be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콘센트부 및 플러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부의 예시도이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outlet unit and the plug unit shown in FIG. 2, FIG. 5 is It is an exemplary view of an outle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전원 공급부(50), 콘센트부(10), 전압감지부(20), 릴레이 스위치(30), 제어부(40), 구동전압 변환부(60), 플러그부(70) 및 케이블부(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하 도 2에서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수단과 중복되는 구성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콘센트부(10)와 전기자동차의 플러그부(7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Hereinafter, in FIG. 2, a description of the constituent means overlapping with the constituent means shown in FIG. 1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콘센트부(10)는 플러그부(70)가 삽입되며, 플러그부(7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기자동차 충전용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The
이러한 콘센트부(10)는 콘센트 몸체부(15), 플러그핀 접속부(13), 콘센트 접지단자(11), 콘센트 제어단자(12), 제1 가이드홈부(16) 및 제2 가이드홈부(17)를 포함한다. The
콘센트 몸체부(15)는 플러그부(70)가 삽입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콘센트 몸체부(15)의 일부에는 플러그 몸체부(75)의 삽입을 위한 콘센트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콘센트 몸체부(15)는 절연소재인 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플러그핀 접속부(13)는 콘센트 몸체부(15)에 형성되고, 플러그부(70)의 플러그핀이 삽입된다. 일 예로, 한 쌍의 플러그핀 접속부(13)에는 플러그핀부(73)와 접속되어 전기신호가 전송하도록 전도성소재인 금속재질이 내장될 수 있다.The plug
콘센트 접지단자(11)는 콘센트 몸체부(15)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된다. The
콘센트 제어단자(12)는 콘센트 몸체부(15)에 형성되고, 제어신호(예 : 전기자동차 충전을 통한 통신용 CP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부(40)와 연결된다. The
제1 가이드홈부(16) 및 제2 가이드홈부(17)는 콘센트 몸체부(15) 내벽에 형성된다. 이때, 제1 가이드홈부(16)와 제2 가이드홈부(17)는 전기자동차용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콘센트부(10)에 삽입되지 않도록, 다른 형상일 수 있고,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이드홈부(16) 및 제2 가이드홈부(17)는 길이, 모양, 형태, 홈 두께 등 형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The first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홈부(16)는 길이 L1로 콘센트 몸체부(15) 내벽에 형성할 수 있고, 제2 가이드홈부(17)는 길이 L1보다 더 긴 길이의 L2로 콘센트 몸체부(15) 내벽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홈부(16)를 원형, 제2 가이드홈부(17)를 사각형으로 콘센트 몸체부(15) 내벽에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firs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핀 접속부(13)가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18), 덮개(18)를 회동시키는 회동핀(19), 및 가압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덮개(18) 및 콘센트 몸체부(15)에는 덮개(18)가 콘센트 몸체부(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핀(19)이 삽입된다.A
회동핀(19)은 콘센트 몸체부(15)의 상단과 덮개(18)를 관통결합하여 덮개(18)가 회동핀(19)을 축으로 하여 회동되게 함으로써, 덮개(18)가 플러그핀 접속부(1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회동핀(19)에는 탄성을 가져서 덮개(18)가 플러그핀 접속부(13)를 덮는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A press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가압부재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코일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덮개(18)가 플러그핀 접속부(13)를 덮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회동핀(19)에 삽입되도록 한다.As the pressing member, a coil spring made of metal may be used, and the
플러그부(70)는 플러그 몸체부(75), 플러그핀부(73), 플러그 접지단자(71), 플러그 제어단자(72), 제1 가이드부(76), 및 제2 가이드부(77)를 포함한다. The
플러그 몸체부(75)는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케이블부가 장착된다. 일 예로, 플러그 몸체부(75)는 절연소재인 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일부가 원통 형상을 할 수 있다.The
한 쌍의 플러그핀부(73)는 플러그 몸체부(75)에 장착된다. 일 예로, 플러그핀부(73)는 원기둥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전기신호가 전송되도록 전도성소재인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pair of
플러그 접지단자(71)는 플러그 몸체부(75)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된다. The
플러그 제어단자(72)는 케이블부와 한 쌍의 플러그핀부(73)를 연결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The
제1 가이드부(76) 및 제2 가이드부(77)는 플러그 몸체부(75)의 외측에 돌출된다. 일 예로, 제1 가이드부(76) 및 제2 가이드부(77)는 플러그 몸체부(75)와 일체로 성형되며,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제1 가이드부(76)는 제1 가이드홈부(16)에 삽입되도록 제1 가이드홈부(1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고, 제2 가이드부(77)는 제2 가이드홈부(17)에 삽입되도록 제2 가이드홈부(17)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홈부(16)의 길이 L1, 제2 가이드홈부(17)의 길이 L2인 경우, 제1 가이드부(76)는 길이 L1 만큼 돌출될 수 있고, 제2 가이드부(77)는 길이 L2 만큼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홈부(16)가 원형, 제2 가이드홈부(17)가 사각형인 경우, 제1 가이드부(76)는 제1 가이드홈부(16)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 가이드부(77)는 제2 가이드홈부(17)에 삽입 가능하도록 사각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when the length L1 of the first
상기와 같이 콘센트부(10)와 플러그부(70)를 구성함으로써, 전기자동차용 플러그부(70)의 상하 방향이 바뀌어 콘센트부(1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configuring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의 장착 위치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mounting position and shape of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가로등(또는 신호등)의 기둥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가로등(또는 신호등)에는 220VAC 전원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장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장착 위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물의 외벽이나 기둥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시설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로등(또는 신호등)의 기둥 부분에 복수로 장착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 pillar portion of a street lamp (or traffic light). Because 220VAC power is already supplied to streetlights (or traffic lights), it is easy to install. However, the mounting position is merely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unted on an outer wall or column of a building, or may be installed as a separate facility. In addition, it may be mounted in plurality to the pillar portion of the street lamp (or traffic light).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는,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도로 주변 시설(예 : 가로등, 신호등 등)을 이용하여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심지에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도로 주변 시설(예 : 가로등, 신호등 등)은 실외에 설치된 시설이기 때문에 날씨에 따라 누전될 가능성이 있다.Therefore, the public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pace and can be installed using facilities around the road (eg,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etc.), so a charging infrastructure is built in downtown areas. It has an easy effect. However, since the facilities around the road (eg, street lights, traffic lights, etc.) are installed outdoors, there is a possibility of a short circuit depending on the weather.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이러한 누전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센트부(10)에는 밀폐용 커버(Cover)가 부착되며, 본체는 도로 주변 시설(예 : 가로등, 신호등 등)에 수밀구조로 장착되며, 결제 및 인증부는 무선통신(예 : 블루투스, NFC, WiFi 등) 방식으로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결제 및 인증부는 전원 공급 상태 및 결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예 : LED, LCD 등)이 더 부가된다.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a sealing cover is attached to the
한편 상기 밀폐용 커버(Cover)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지정된 날씨(예 : 비, 눈)인 경우, 및 상기 콘센트부(10)에 습기(또는 물)가 검출될 경우, 상기 콘센트부(10)의 입구를 막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aling cover (Cover) does not use electricity, when the specified weather (eg, rain, snow), and when moisture (or water) is detected in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는, 공용 충전장치의 콘센트부에 전기자동차 플러그부 삽입 시, 플러그부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and the outlet of the charging device can prevent erroneous insertion of the plug part when inserting the electric vehicle plug part into the outlet part of the common charging device. hav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그 충전장치의 플러그 및 콘센트는, 220VAC 상용 콘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나 킥보드를 포함한 전기 모빌리티(mobility) 장치 및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 일반 전기장치를 공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 train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g and an outlet of the charging device, use a 220VAC commercial outlet to provide an electric mobility device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or a kickboard, and general electricity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Allow devices to be charged in public.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lso, the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n apparatus,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Although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implementations of the discussed features may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s an apparatus or program). The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suitabl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and the like. A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 apparatu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or programmable logic device, or the like. Processors also includ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computers, cell phones, portable/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10 : 콘센트부
11 : 콘센트 접지단자
12 : 콘센트 제어단자
13 : 플러그핀 접속부
15 : 콘센트 몸체부
16 : 제1 가이드홈부
17 : 제2 가이드홈부
18 : 덮개
19 : 회동핀
20 : 전압감지부
30 : 릴레이 스위치
40 : 제어부
50 : 전원 공급부
60 : 구동전압 변환부
70 : 플러그부
71 : 플러그 접지단자
72 : 플러그 제어단자
73 : 플러그핀부
75 : 플러그 몸체부
76 : 제1 가이드부
77 : 제2 가이드부10: outlet part
11: outlet ground terminal
12: outlet control terminal
13: plug pin connection part
15: outlet body
16: first guide groove
17: second guide groove
18 : cover
19: rotation pin
20: voltage sensing unit
30: relay switch
40: control unit
50: power supply
60: drive voltage conversion unit
70: plug part
71: plug grounding terminal
72: plug control terminal
73: plug pin part
75: plug body
76: first guide unit
77: second guide unit
Claims (6)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플러그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 스위치; 및
상기 제어신호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콘센트부에 삽입되는 플러그부를 감지하여 상기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플러그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갖는 콘센트 몸체부;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플러그핀이 삽입되는 플러그핀 접속부;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되는 콘센트 접지단자;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콘센트 제어단자; 및
상기 콘센트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홈부와 상기 제2 가이드홈부의 형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an outlet unit inserted into the plug unit, supplying power to the plug unit,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 relay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plug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control signal is sensed, including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lay switch by detecting the plug inserted into the outlet unit,
The outlet unit,
an outlet body having a concave shape so that the plug can be inserted;
a plug pin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outlet body and into which the plug pin of the plug part is inserted;
an outlet grounding terminal formed on the outlet body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 outlet control terminal formed in the outlet body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outlet body,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groove portion are different.
상기 플러그부가 전기자동차에 연결된 플러그부인 경우,
상기 플러그부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연결되는 케이블부가 장착되는 플러그 몸체부;
상기 플러그 몸체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부;
상기 플러그 몸체부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되는 플러그 접지단자;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한 쌍의 플러그핀부를 연결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플러그 제어단자; 및
상기 플러그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홈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 가이드홈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lug part is a plug part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The plug part,
a plug body on which a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ic vehicle is mounted;
a pair of plug pin parts mounted on the plug body part;
a plug ground terminal formed on the plug body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 plug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he cable part and the pair of plug pin parts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and
Comprising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protruding outside the plug body portion,
The first guide par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groov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guide groov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guide groove part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groove part.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상기 콘센트부는,
상기 플러그핀 접속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덮개;
상기 덮개를 회동시키는 회동핀; 및
상기 회동핀에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부가 상기 콘센트부로부터 분리될 경우 상기 덮개가 상기 플러그핀 접속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unit,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lug pin connection part;
a rotation pin for rotating the cover; and
Common charging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essing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on pin and pressing the cover so that the cover can cover the plug pin connection part when the plug part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part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센트 제어단자를 통해 제어신호가 감지될 경우,
지정된 전기자동차 충전 시퀀스에 진입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원을 상기 플러그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a control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outlet control terminal,
A common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enters a design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equence and outputs power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to the plug unit.
상기 플러그 몸체부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부;
상기 플러그 몸체부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되는 플러그 접지단자;
상기 케이블부와 상기 한 쌍의 플러그핀부를 연결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플러그 제어단자; 및
상기 플러그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형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a plug body on which a cable connected to an electric vehicle is mounted;
a pair of plug pin parts mounted on the plug body part;
a plug ground terminal formed on the plug body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 plug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he cable part and the pair of plug pin parts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and
Comprising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protruding outside the plug body portion,
The plug,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re different.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플러그핀이 삽입되는 플러그핀 접속부;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며, 접지에 연결되는 콘센트 접지단자;
상기 콘센트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콘센트 제어단자; 및
상기 콘센트 몸체부 내벽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가이드홈부와 상기 제2 가이드홈부의 형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an outlet body having a concave shape so that the plug can be inserted;
a plug pin connection part formed on the outlet body and into which the plug pin of the plug part is inserted;
an outlet grounding terminal formed on the outlet body and connected to the ground;
an outlet control terminal formed in the outlet body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and
Including first and second guide groove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outlet body,
The shape of the first guide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groove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3164A KR102378042B1 (en) | 2019-12-23 | 2019-12-23 |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plug and concentric plug of common char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3164A KR102378042B1 (en) | 2019-12-23 | 2019-12-23 |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plug and concentric plug of common char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1497A true KR20210081497A (en) | 2021-07-02 |
KR102378042B1 KR102378042B1 (en) | 2022-03-25 |
Family
ID=7689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3164A Active KR102378042B1 (en) | 2019-12-23 | 2019-12-23 |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plug and concentric plug of common char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8042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22134A (en) * | 2021-09-29 | 2022-01-11 | 安费诺汽车连接系统(常州)有限公司 | A modular quick-loading charging stand |
KR20230057031A (en) * | 2021-10-21 | 2023-04-28 | 주식회사 위너스 | Outlet enhanced waterproof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KR20230057029A (en) * | 2021-10-21 | 2023-04-28 | 주식회사 위너스 | Outle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KR20240127065A (en) | 2023-02-15 | 2024-08-22 |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battery auxilia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08001A (en) | 2022-12-30 | 2024-07-09 | 주식회사 지에스엠씨 | Electric vehicle charger having plug |
KR20240156486A (en) | 2023-04-20 | 2024-10-30 | 유길상 | Charging system for vehicle using battery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41270A (en) * | 2012-06-15 | 2013-12-26 | (주)우진하이텍 | Inlet for electric vehicle |
KR20140052400A (en) * | 2012-10-24 | 2014-05-07 | 주식회사 인파이어넷그룹 | Charging apparatus for car battery |
KR20180088045A (en) * | 2017-01-26 | 2018-08-03 | 자동차부품연구원 | Re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
2019
- 2019-12-23 KR KR1020190173164A patent/KR10237804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41270A (en) * | 2012-06-15 | 2013-12-26 | (주)우진하이텍 | Inlet for electric vehicle |
KR20140052400A (en) * | 2012-10-24 | 2014-05-07 | 주식회사 인파이어넷그룹 | Charging apparatus for car battery |
KR20180088045A (en) * | 2017-01-26 | 2018-08-03 | 자동차부품연구원 | Re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22134A (en) * | 2021-09-29 | 2022-01-11 | 安费诺汽车连接系统(常州)有限公司 | A modular quick-loading charging stand |
KR20230057031A (en) * | 2021-10-21 | 2023-04-28 | 주식회사 위너스 | Outlet enhanced waterproof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KR20230057029A (en) * | 2021-10-21 | 2023-04-28 | 주식회사 위너스 | Outlet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KR20240127065A (en) | 2023-02-15 | 2024-08-22 |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battery auxilia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8042B1 (en) | 2022-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8042B1 (en) |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plug and concentric plug of common charge | |
KR102114671B1 (en) | Common charger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308825B2 (en) | Electric vehicle docking connector with embedded EVSE controller | |
US20190288525A1 (en) | Portable charging cable with in-line controller | |
KR101506015B1 (en) | charging equipment of an electric car | |
JP5600521B2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 |
US20150145479A1 (en) | Status indic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lightguide assembly and methods | |
CN205468603U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pile | |
JP5910638B2 (en) | vehicle | |
CN104716521A (en) | Electrical supply devices | |
US20130322017A1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Robustness Features and Universal Port | |
WO2016113804A1 (en) |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lectrode, communication system, electrically driven vehicle, and charging apparatus | |
CN105826761A (en) | Automobile charging socket | |
US20220305929A1 (en) | Converter-separ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installed on utility pole | |
KR101783855B1 (en) | Rotary type socket assembly for vehicle | |
CN201674066U (en) | Connector assembly | |
WO2019082076A1 (en) | Appliance for induction recharging of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s | |
KR101057404B1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control method | |
KR20140093103A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of convenient operation | |
JP2013031270A (en) | Wiring structure of charging power source and dwelling | |
KR102086848B1 (en) | The emergency startup device to automatically cut off power when detecting reverse current in a discharged vehicle | |
CN112740501A (en) |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
JPH05328532A (en) | Suspended charger | |
KR20180116021A (en) |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controlling cover of charger based on charging step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le-installed electric vehicle charger | |
KR102126653B1 (en) | Re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