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693A -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의약 용도 - Google Patents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의약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6693A KR20210076693A KR1020190168153A KR20190168153A KR20210076693A KR 20210076693 A KR20210076693 A KR 20210076693A KR 1020190168153 A KR1020190168153 A KR 1020190168153A KR 20190168153 A KR20190168153 A KR 20190168153A KR 20210076693 A KR20210076693 A KR 202100766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pyrazol
- amine
- pyrazolo
- amin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JDHLSLIJXZOOEI-UHFFFAOYSA-N Nc1nc(-[n]2nccc2)c(cn[nH]2)c2n1 Chemical compound Nc1nc(-[n]2nccc2)c(cn[nH]2)c2n1 JDHLSLIJXZOO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RQDAUHYKGRCDQ-UHFFFAOYSA-N Nc1nc(-[n]2nccc2)c2nc[nH]c2n1 Chemical compound Nc1nc(-[n]2nccc2)c2nc[nH]c2n1 KRQDAUHYKGRCD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PZLOEZXWULJAJ-UHFFFAOYSA-N COc1c(C(F)(F)F)cccc1C[n]1ncc2c(-[n]3nccc3)nc(N)nc12 Chemical compound COc1c(C(F)(F)F)cccc1C[n]1ncc2c(-[n]3nccc3)nc(N)nc12 SPZLOEZXWULJA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OWRAPNFJDFKKF-UHFFFAOYSA-N Cc(cc1)n[n]1-c1c(cn[nH]2)c2nc(N)n1 Chemical compound Cc(cc1)n[n]1-c1c(cn[nH]2)c2nc(N)n1 LOWRAPNFJDFK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VTHLSKYXYUFLP-UHFFFAOYSA-N Cc(cc1)n[n]1-c1c(cn[n]2Cc(c(F)cc(N)c3)c3F)c2nc(N)n1 Chemical compound Cc(cc1)n[n]1-c1c(cn[n]2Cc(c(F)cc(N)c3)c3F)c2nc(N)n1 FVTHLSKYXYUFL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RAOJYVHWAVJDW-UHFFFAOYSA-N Cc(cc1)n[n]1-c1c(cn[n]2Cc(c(F)cc([N+]([O-])=O)c3)c3F)c2nc(N)n1 Chemical compound Cc(cc1)n[n]1-c1c(cn[n]2Cc(c(F)cc([N+]([O-])=O)c3)c3F)c2nc(N)n1 NRAOJYVHWAVJD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EZIWPDZXMWDFY-UHFFFAOYSA-N Nc(nc1-[n]2nccc2)nc2c1nc[n]2Cc1cc(C(F)(F)F)cc(C(F)(F)F)c1 Chemical compound Nc(nc1-[n]2nccc2)nc2c1nc[n]2Cc1cc(C(F)(F)F)cc(C(F)(F)F)c1 UEZIWPDZXMWDF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VSRJCLFZPKPNV-UHFFFAOYSA-N Nc(nc1-[n]2nccc2)nc2c1nc[n]2Cc1ccccn1 Chemical compound Nc(nc1-[n]2nccc2)nc2c1nc[n]2Cc1ccccn1 DVSRJCLFZPKP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DBGWNOCJOZDDF-UHFFFAOYSA-N Nc1cc(F)c(C[n]2ncc3c(-[n]4ncnc4)nc(N)nc23)cc1 Chemical compound Nc1cc(F)c(C[n]2ncc3c(-[n]4ncnc4)nc(N)nc23)cc1 FDBGWNOCJOZ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LHFQWUYYWAVDI-HNNXBMFYSA-N Nc1nc(-[n]2nccc2)c(cn[n]2Cc3cccc(CO[C@@H]4COCC4)n3)c2n1 Chemical compound Nc1nc(-[n]2nccc2)c(cn[n]2Cc3cccc(CO[C@@H]4COCC4)n3)c2n1 GLHFQWUYYWAVDI-HNNXBMFYSA-N 0.000 description 1
- QYBKLRCTFPQLSW-UHFFFAOYSA-N Nc1nc([n](Cc(ccc([N+]([O-])=O)c2)c2F)nc2)c2c(-[n]2ncnc2)n1 Chemical compound Nc1nc([n](Cc(ccc([N+]([O-])=O)c2)c2F)nc2)c2c(-[n]2ncnc2)n1 QYBKLRCTFPQL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OJWEVOJTNMZIJ-UHFFFAOYSA-N Nc1nc([n](Cc2cc(C(F)(F)F)cc(C(F)(F)F)c2)nc2)c2c(-[n]2nccc2)n1 Chemical compound Nc1nc([n](Cc2cc(C(F)(F)F)cc(C(F)(F)F)c2)nc2)c2c(-[n]2nccc2)n1 SOJWEVOJTNMZI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의약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화학식 I]
Description
본 출원은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의약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아데노신(Adenosine)은 특수한 세포막의 수용체를 통해서 많은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로서,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어 면역 및 염증 반응을 비롯한 광범위한 생리학적 활성을 갖는다. 특히 암세포는 정상세포 대비 5~50배의 아데노신을 생산하는데, 높은 농도의 아데노신은 A2A 수용체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면역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자신을 보호하게 되는데, A2A 수용체의 길항제는 이러한 암세포의 면역 억제 기전을 조절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A2A 아데노신 수용체는 4가지(A1, A2A, A2B, A3)가 있으며 헤테로머릭 G 프로테인에 연결되어 있다. A2A와 A2B 수용체는 각각 Gα단백질들의 Gs 서브타입에 연결되어 있다. 이 수용체들이 자극을 받으면 수용체 형태가 변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는 Gβρ 이량체로부터 활성화된 Gs 서브유닛의 방출을 유도한 뒤, 세포내 ATP를 사이클릭 AMP(cAMP)로 가수분해한다. cAMP 합성은 PKA를 활성화하고 다른 기질을 인산화하는 역할을 한다. T 세포에서는 주로 타입 I PKA isoform이 T 세포 수용체 근처에 존재하는데, 증가된 cAMP 레벨에 의해 PKA의 작용이 증가되면 TCR 신호전달 과정이 억제되어 여러 질병의 유발에 기여한다.
이러한 아데노신 수용체의 조절은 현재까지 다양한 질환의 표적으로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아데노신 A1 수용체의 조절은, 신경계 장애, 천식, 및 심부전 및 신부전 등에, 아데노신 A2A 수용체의 길항제는 파킨슨병 등에, 아데노신 A2B 수용체의 조절은 천식을 포함하는 만성 폐 질환 등에, 아데노신 A3 수용체의 조절은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 녹내장, 암, 및 뇌졸중 등에 제안된 바 있다. 초기에는 A2A 수용체의 길항제가 파킨슨병을 적응증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유망한 면역항암제 타깃으로서 대형 제약사들이 활발히 개발하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A2A 길항제는 항종양면역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A2A 수용체는 백혈구에서 널리 발현되어 있는 수용체로서 T cell의 A2A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TCR-mediated cytotoxicity와 사이토카인 생산을 저하시키고 T cell proliferation의 저해 및 Treg cell의 확장을 유도한다.
면역항암제 시장에서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PD-1 또는 PD-L1 antibody)는 높은 효능과 안전성을 나타내었지만 PD-1/PD-L1이 과발현된 환자는 통계적으로 20~30%에 불과하여 많은 환자가 효능을 확인하지 못한 한계를 나타냈다. 이에 현재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는 A2A 수용체의 길항제와의 병용요법으로 많은 임상이 진행 중에 있다. 가장 앞서가고 있는 약물로는 임상 I/II 상의 Vernalis 사의 Ciforadenant(CPI-444)가 있으며 그 뒤로 Astrazeneca 사의 AZD 4635, Novartis 사의 PBF-509 약물 등이 있다.
일 양상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 길항 효과를 갖는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 길항 효과를 갖는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의 의약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유도체의 의약적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한 기술 분야 내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일 양상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Adenosine A2A receptor)에 대한 길항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암의 치료, 예를 들어, 면역 항암제와의 병용 제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상은 하기의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Cy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5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하고;
R은 R1, R2 및 R3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피리딘기이고;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보닐기, 아마이드기, 나이트로기, 아미노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키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3 할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3 아미노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키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10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R4, R5 및 R6로 치환되고, 1 내지 3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5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고리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키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3 할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10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할로젠"은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기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또는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및 t-부틸과 같이 이들의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케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케닐기는 예를 들면, 프로프-1-엔, 부트-1-엔, 부트-2-엔, 3-메틸부트-1-엔, 펜트-1-엔 등 일 수 있고, 이들의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키닐"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키닐기는 예를 들면, 프로프-1-인, 부트-1-인, 펜트-1-인 등일 수 있고, 이들의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고리를 포함하는 명시된 수의 탄소원자를 일반적으로 갖는 포화 일환 및 다환 탄화수소 고리를 의미한다. 상기 사이클로알킬기는 예를 들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사이클로헵틸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B, N, O, S, P(=O), Si 및 P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모노사이클릭의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환상 알킬을 나타낸다. 그 예로는 피페리딘일,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피롤리딘일, 티오모폴리닐,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릴,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할로알킬"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모노할로알킬 및 폴리할로알킬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할로겐 및 알킬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콕시"는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잔기가 산소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알콕시는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부톡시, 또는 이소프로폭시, 이소부톡시, 및 t-부톡시와 같이 이들의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그룹을 나타내며, 예컨대 C3-C10 아릴, C3-C8 아릴, 또는 C3-C6 아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인접하는 탄소 원자 또는 적합한 이형 원자들 사이에서 이중 결합이 교대(공명)한다. 예를 들어, 페닐, 비페닐, 나프틸, 톨루일, 나프탈레닐, 또는 이들의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들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헤테로아릴"은 다른 언급이 없으면 B, N, O, S, P(=O), Si 및 P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모노사이클릭 또는 바이사이클릭 이상의,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그룹을 의미한다. 모노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피라졸릴, 피롤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티오펜일, 퓨란일,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트리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디아졸릴, 피리딘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피라진일, 티아졸릴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이사이클릭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인돌일, 벤조티오펜일, 벤조퓨란일,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즈이속사졸릴, 벤즈티아졸릴, 벤즈티아디아졸릴, 벤즈트리아졸릴, 퀴놀린일, 이소퀴놀린일, 퓨린일, 퓨로피리딘일, 옥소크로멘, 디옥소이소인돌린, 피라졸로피리디닐, 피라졸로[1,5-a]피리디닐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미노알킬"은 상기에서 정의한 알킬과 아미노기가 결합되어 형성된 그룹을 의미한다. 그 예로는 -NHCH3, -NHCH2CH3, -NHCH(CH3)2, -N(CH3)2, -NCH3(CH2CH3), -NCH3(CH(CH3)2) 및 이와 유사한 그룹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내지"를 이용하여 표시된 수치 범위는 용어 "내지" 전과 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하한 및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용매화물(solvate)"은 비공유적 분자간력에 의해 결합된 화학양론적 또는 비화학양론적 량의 용매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할 수 있다. 그에 관한 바람직한 용매들로는 휘발성, 비독성, 및/또는 인간에게 투여되기에 적합한 용매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입체 이성질체"는 동일한 화학식 또는 분자식을 가지지만 광학적 또는 입체적으로 다른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을 의미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또는 형상이성질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염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락트산, 피루브산, 말론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푸마르산, 말산, 만델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팔미트산, 말레산, 히드록시말레산, 벤조산, 히드록시벤조산, 페닐아세트산, 신남산, 살리실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또는 톨루엔술폰산 등으로부터 유도된 염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등에 녹이고 과량의 유기산을 가하거나 무기산의 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Cy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5원의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은 R1, R2 및 R3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피리딘기이고;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아미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1-C3 아미노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R4, R5 및 R6로 치환된 피라졸기 또는 트리아졸기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Cy는 1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5원의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은 또는 로서, Cy의 질소 원자와 결합되고;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아미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1-C3 아미노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C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또는 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Cy는 1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5원의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은 또는 로서, Cy의 질소 원자와 결합되고; R1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할로젠, 아미노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C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또는 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Cy는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피라졸로피리미딘, 또는 퓨린을 형성하고; R은 또는 로서, Cy의 질소 원자와 결합되고; R1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할로젠, 아미노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C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또는 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1-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4-(1H-피라졸-1-일)-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리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S)-4-(1H-피라졸-1-일)-1-((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메틸)피리딘-2-일)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벤질)-4-(3-(tert-부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사이클로프로필-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페닐-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클로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브로모-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클로로-3,5-다이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5-다이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4-(3-메틸-1H-피라졸-1-일)-1-(2,3,6-트리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3-((6-아미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4-플루오로페놀;
3-((6-아미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페놀;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플루오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6-아미노-1-(2,6-다이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1H-피라졸-4-올;
1-(2,6-다이플루오로벤질)-3-메틸-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메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틸-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3-사이클로로프로필-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3-사이클로로플로필-1-(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틴일-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틴일-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3-클로로-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6-아미노-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카르보나이트릴;
9-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6-(1H-피라졸-1-일)-9-(피리딘-2-일메틸)-9H-퓨린-2-아민;
9-(4-아미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2,6-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트리풀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3-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클로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플루오로-5-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5-다이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에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6-메틸피리딘-2-일)메틸)-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2-(6-((2-아미노-6-(1H-피라졸-1-일)-9H-퓨린-9-일)메틸)피리딘-2-일)프로판-2-올;
(R)-6-(1H-피라졸-1-일)-9-((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메틸)피리딘-2-일)메틸)-9H-퓨린-2-아민;
1-(2-아미노-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보나이트릴;
1-(2-아미노-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6-일)-1H-피라졸-4-카르보나이트릴; 및
9-(2,6-다이플루오로벤질)-6-(4-(피리딘-4-일)-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이하,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례로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 내지 7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방법에 따라 유기/의약 화학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화학적 변환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A-2 화합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및 H2O 혼합 용매에 녹이고, 이후,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와 고리화 반응시켜 화학식 A-3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A-3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이를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4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A-5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A-5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6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동일한 조건의 친핵성 치환 반응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탄올(MeOH), 또는 에탄올(EtOH) 용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또는 팔라듐/카본과 수소 가스 가압 조건으로 환원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식 1의 Ra1, Ra2, Ra3, Ra4, Ra5 및 Ra6는 화학식 I의 R1, R2, R3, R4, R5 및 R6와 대응될 수 있다.
[반응식 2]
상기 반응식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A-3 화합물을 1,2-다이클로로에테인(1,2-DCE)에 녹이고 환류 온도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N-클로로숙신이미드(NCS) 또는 N-브로모숙신이미드(NBS)와 할로젠화 반응시켜 화학식 B-1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B-1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6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B-2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B-2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4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동일한 조건의 친핵성 치환 반응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탄올(MeOH), 또는 에탄올(EtOH) 용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또는 팔라듐/카본과 수소 가스 가압 조건으로 환원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식 2의 Ra1, Ra2, Ra3, Ra4, Ra5 및 Ra6는 화학식 I의 R1, R2, R3, R4, R5 및 R6와 대응될 수 있다.
[반응식 3]
상기 반응식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B-2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4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 시켜 C-1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C-1 화합물을 아세토나이트릴 용매에 녹이고 소듐 시아나이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Pd(PPh3)4, 및 커퍼(I) 아이오다이드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소노가시라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별도의 용매 없이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 커퍼(I) 아이오다이드, 트리페닐포스핀(PPh3),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다이클로라이드(PdCl2(PPh3)2)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촉매 시안화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식 3의 Ra1, Ra2, Ra3, Ra4, Ra5 및 Ra6는 화학식 I의 R1, R2, R3, R4, R5 및 R6와 대응될 수 있다.
[반응식 4]
상기 반응식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A-6 화합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또는 다이클로로메테인(DCM) 용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30℃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tert-부틸 카바제이트로 치환 반응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용매와 산 조건에서 N-tert-부톡시카보닐(N-Boc) 탈보호화 반응시켜 D-1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D-1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2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D-2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D-2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4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동일한 조건의 친핵성 치환 반응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탄올(MeOH), 또는 에탄올(EtOH) 용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또는 팔라듐/카본과 수소 가스 가압 조건으로 환원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식 4의 Ra1, Ra2, Ra3, Ra4, Ra5 및 Ra6는 화학식 I의 R1, R2, R3, R4, R5 및 R6와 대응될 수 있다.
[반응식 5]
상기 반응식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A-2 화합물을 다이에틸 에테르 용매에 녹이고 -78℃ 내지 25℃에서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그리냐드 반응시켜 E-1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E-1 화합물을 1,2-다이클로로에테인(1,2-DCE) 용매에 녹이고 망간 다이옥사이드(MnO2)의 산화제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4℃에서 24시간 동안 산화 반응시켜 E-2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E-2 화합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용매에 녹이고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이 제공되는 염기 조건에서, 25℃에서 24시간 동안 D-1 화합물과 고리화 반응시켜 E-3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E-3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4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동일한 조건의 친핵성 치환 반응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탄올(MeOH), 또는 에탄올(EtOH) 용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또는 팔라듐/카본과 수소 가스 가압 조건으로 환원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식 5의 Ra1, Ra2, Ra3, Ra4, Ra5 및 Ra6는 화학식 I의 R1, R2, R3, R4, R5 및 R6와 대응될 수 있다.
[반응식 6]
상기 반응식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G-1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4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G-2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단, Ra4, Ra5, 및 Ra6가 H 일 때, G-1 화합물을 메탄올(MeOH) 용매에 녹이고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와 치환 반응시키고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과 산 조건에서 25℃ 내지 45℃에서 24시간 동안 고리화하는 반응으로 친핵성 치환 반응을 대신할 수 있고; 및
G-2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6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동일한 조건의 친핵성 치환 반응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탄올(MeOH), 또는 에탄올(EtOH) 용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또는 팔라듐/카본과 수소 가스 가압 조건으로 환원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식 6의 Ra1, Ra2, Ra3, Ra4, Ra5 및 Ra6는 화학식 I의 R1, R2, R3, R4, R5 및 R6와 대응될 수 있다.
[반응식 7]
상기 반응식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G-1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6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H-1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H-1 화합물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매에 녹이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또는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가 제공되는 조건에서, 25℃ 내지 60℃에서 24시간 동안 A-4 화합물과 친핵성 치환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동일한 조건의 친핵성 치환 반응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메탄올(MeOH), 또는 에탄올(EtOH) 용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또는 팔라듐/카본과 수소 가스 가압 조건으로 환원 반응시켜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단, Ra4, Ra5, 및 Ra6가 H 일 때, H-1 화합물을 메탄올(MeOH) 용매에 녹이고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와 치환 반응시키고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과 산 조건에서 25℃ 내지 45℃에서 24시간 동안 고리화하는 반응으로 친핵성 치환 반응을 대신할 수 있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응식 7의 Ra1, Ra2, Ra3, Ra4, Ra5 및 Ra6는 화학식 I의 R1, R2, R3, R4, R5 및 R6와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환을 저해하는 것, 예를 들어,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병리 또는 징후를 경험하거나 또는 나타내는 개체에서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저해하는 것 즉, 병리 및/또는 징후의 추가적인 발생을 막는 것, 또는 질환을 개선시키는 것, 예를 들어,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병리 또는 징후를 경험하거나 또는 나타내는 개체에서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개선시키는 것 즉, 병리 및/또는 징후를 반전시키는 것, 예컨대 질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하는" 또는 "예방"은 질환을 예방하는 것, 예를 들어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성향이 있을 수 있지만 질환의 병리 또는 징후를 아직 경험하지 않았거나 나타내지 않는 개체에서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예방하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체"는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예방 또는 치료 대상 질병인, "암"은 세포가 정상적인 성장 한계를 무시하고 분열 및 성장하는 공격적(aggressive) 특성, 주위 조직에 침투하는 침투적 (invasive) 특성 및 체내의 다른 부위로 퍼지는 전이적 (metastatic) 특성을 갖는 세포에 의한 질병을 총칭하는 의미이다. 상기 암으로는 예를 들어,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 내막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두경부암, 신세포 암종, 식도암, 췌장암, 뇌암, 위장관암, 간암, 백혈병, 림프종, 흑색종, 다발성 골수종, 유윙 육종, 골육종, 결장직장암, 담관암, 융모막암종, 구강암, 신경모세포종, 피부암, 고환암, 기질종양, 생식세포종양, 또는 갑상선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Adenosine A2A receptor)에 대한 길항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정제, 환제, 산제, 캅셀제, 시럽,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등의 다양한 경구 투여 형태 또는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 제형의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사용되는 첨가제 또는 담체의 예로는 셀룰로오스, 규산칼슘, 옥수수전분, 락토오스, 수크로스, 덱스트로스, 인산칼슘,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젤라틴, 탈크,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제, 희석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주사제의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상기 첨가제 또는 담체로는 물, 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유사 당수용액, 알콜, 글리콜, 에테르(예: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오일, 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라이드, 계면활성제, 현탁제, 유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 또는 환자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한 양으로서, 목적하는 바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시는 활성성분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0.01 내지 1000 m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30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비경구 투여시는 활성성분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0.01 내지 100 m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5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특정 개체 또는 환자에 대한 투여 용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식이, 투여 시간, 투여 방법,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이고 전문가에 의해 적절하게 가감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갖는 의사 또는 수의사는 요구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수의사는 제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량을 목적하는 치료효과를 달성하는데 요구되는 것보다 낮은 수준에서 출발하여, 목적하는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투여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치료 유효량의 일 구체예에 따른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제약 담체와의 조합으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그의 범주내에 포함한다. 임의로, 일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은 단독으로, 다른 구체예에 따른 화합물과 조합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들, 예를 들어 항암제 또는 다른 제약 활성 물질과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병용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항암제로는 예를 들어, 항암제, 항혈관신생제(anti-angiogenesis agent), 항염증성제, 및 면역 억제제 등이 있으며, 예를 들어, CTLA-4, PD-1, PD-L1 등 공지의 면역 관문 억제제를 포함하는 면역 항암제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암 치료를 위한 다른 병용 요법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예를 들어, 국제 공개공보 제WO2015006520호를 참고하며, 이의 관련 전문은 본원에 인용된 목적 또는 청구 대상을 위해 참고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 및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의약적 용도; 암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의약적 용도를 제공한다.
[실시예]
실시예 1: 1-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1-1. 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카르브알데하이드(S1, 5g, 26.04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및 H2O 혼합 용매에 녹이고, 여기에 트리에틸아민(TEA, 4.4ml, 31.25mmol)과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1.53ml, 31.25mmo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 혼합액을 농축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증류수로 세척 후 건조하였으며 별도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1H-NMR (DMSO-d6, 400MHz): δ 13.26 (br s, 1H), 7.95 (s, 1H), 7.16 (br s, 2H).
단계 2: 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 1g, 5.90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이고, 여기에 피라졸(410mg, 5.90mmol)과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64g, 11.80mmol)를 첨가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 혼합액을 6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S3, 450mg, 2steps 38%)을 얻었다.
1H NMR (DMSO-d6, 400 MHz): δ 13.25 (s, 1H), 7.95 (s, 1H), 7.14 (br s, 2H).
1-2. 1-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화합물(S3, 25mg, 0.12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0℃에서 소듐하이드라이드(2.4mg, 0.10mmol)를 가한 뒤 벤질브로마이드(12ul, 0.10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1, 10mg, 2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5 - 8.64 (m, 1H), 8.30 (s, 1H), 8.05 (m, 1H), 7.35 - 7.21 (m, 5H), 7.11 (s, 2H), 6.70 - 6.69 (m, 1H), 5.45 (s, 2H).
실시예 2: 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화합물(S3, 50mg, 0.25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0℃에서 소듐하이드라이드(11mg, 0.27mmol)와 2,6-다이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57mg, 0.27mmol)를 첨가하고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2, 43mg, 5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m, 1H), 8.21 (s, 1H), 8.03 - 8.02 (m, 1H), 7.50 - 7.42 (m, 1H), 7.16 - 7.10 (m, 4H), 6.69 - 6.68 (m, 1H), 5.44 (s, 2H).
실시예 3: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0mg, 0.40mmol) 및 소듐하이드라이드(18mg, 0.4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2,6-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57mg, 0.27mmol) 대신 4-(브로모메틸)-1-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24mg, 0.44mmol)을 사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 대신 소금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4, 62mg, 3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 8.61 (m, 1H), 8.25 (s, 1H), 8.03 (s, 1H), 7.27 - 7.11 (m, 3H), 6.79 - 6.75 (m, 2H), 6.69 (s, 1H), 5.61 (s, 2H).
단계 2: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 62mg, 0.15mmol)을 에탄올(EtOH)에 녹이고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73mg, 0.77mmol)를 첨가하여 60℃에서 6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3, 20mg, 3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 8.61 (m, 1H), 8.25 (s, 1H), 8.03 (s, 1H), 7.27 - 7.11 (m, 3H), 6.79 - 6.75 (m, 2H), 6.69 (s, 1H), 5.61 (s, 2H), 5.28 (s, 2H).
실시예 4: 1-(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4-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0mg, 0.40mmol) 및 소듐하이드라이드(18mg, 0.4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2,6-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57mg, 0.27mmol) 대신 1-(브로모메틸)-4-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0.124g, 0.44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5, 35mg, 2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3 (m, 1H), 8.28 (s, 1H), 8.05 (m, 1H), 7.10 (s, 2H), 6.93 (m, 1H), 6.70 - 6.65 (m, 2H), 6.59 - 6.57 (m, 1H), 5.57 (s, 2H).
단계 2: 1-(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 35mg, 0.08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00mg, 0.4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60℃에서 6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4, 8mg, 2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3 (m, 1H), 8.28 (s, 1H), 8.05 (m, 1H), 7.10 (s, 2H), 6.93 (m, 1H), 6.70 - 6.65 (m, 2H), 6.59 - 6.57 (m, 1H), 5.57 (s, 2H), 5.40 (s, 2H).
실시예 5: 1-(4-아미노-3-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4-나이트로-3-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0mg, 0.39mmol) 및 소듐하이드라이드(18mg, 0.4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2,6-다이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57mg, 0.27mmol) 대신 1-(브로모메틸)-3-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102mg, 0.43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6, 75mg, 5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3 - 8.62 (m, 1H), 8.34 (s, 1H), 8.15 - 8.11 (m, 1H), 8.06 - 8.05 (m, 1H), 7.40 (dd, 1H), 7.15 - 7.14 (m, 3H), 6.71 - 6.70 (m, 1H), 5.58 (s, 2H).
단계 2: 1-(4-아미노-3-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 71mg, 0.20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228mg, 1.01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60℃에서 6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액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EA/Hex)으로 재결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5, 10mg, 1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 8.61 (m, 1H), 8.24 (s, 1H), 8.03 (m, 1H), 7.09 (s, 2H), 6.89 (dd, 1H), 6.79 - 6.77 (m, 1H), 6.71 - 6.66 (m, 2H), 5.24 (s, 2H), 5.12 (s, 2H).
실시예 6: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4-나이트로-2-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0mg, 0.40mmol) 및 소듐하이드라이드(18mg, 0.4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2,6-플루오로벤질브로마이드(57mg, 0.27mmol) 대신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102mg, 0.44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7, 54mg, 3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3 - 8.62 (m, 1H), 8.32 (s, 1H), 8.18 - 8.15 (m, 1H), 8.05 - 8.03 (m, 2H), 7.33 - 7.29 (m, 1H), 7.16 (m, 2H), 6.70 - 6.69 (m, 1H), 5.76 (s, 2H), 5.60 (s, 2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 43mg, 0.12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39mg, 0.62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60℃에서 6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6, 10mg, 2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m, 1H), 8.23 (s, 1H), 8.03 (m, 1H), 7.07 (s, 2H), 6.89 - 6.85 (m, 1H), 6.69 - 6.68 (m, 1H), 6.32 - 6.29 (m, 2H), 5.41 (s, 2H), 5.25 (s, 2H).
실시예 7: 4-(1H-피라졸-1-일)-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4mg, 0.42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이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과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87mg, 0.63mmol)를 첨가하고 5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7, 87mg, 5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70 - 8.55 (m, 1 H), 8.31 (s, 1 H), 8.07 - 8.04 (m, 1 H), 7.69 - 7.55 (m, 3 H), 7.46 (d, 1 H), 7.15 (s, 2 H), 6.70 (dd, 1 H), 5.55 (s, 2 H).
실시예 8: 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79mg, 0.3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81mg, 0.58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4-(브로모메틸)-1-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9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8, 82mg, 56%)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3 (s, 1H), 8.96 (d, 1H), 8.38 (s, 1H), 8.01 (d, 1H), 7.45 - 7.30 (m, 4H), 7.01 (t, 1H), 5.40 (s, 2H).
실시예 9: 1-(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리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79mg, 0.3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81mg, 0.58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1-(브로모메틸)-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9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9, 85mg, 5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d, 1H), 8.33 (s, 1H), 8.07 - 8.04 (m, 1H), 7.64 (d, 1H), 7.46 (s, 1H), 7.34 (d, 1H), 7.16 (s, 2H), 6.72 - 6.69 (m, 1H), 5.56 (s, 2H).
실시예 10: 1-(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79mg, 0.3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81mg, 0.58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2-(브로모메틸)-1-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9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0, 90mg, 6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d, 1H), 8.30 (s, 1H), 8.07 - 8.03 (m, 1H), 7.80 (dd, 1H), 7.63 - 7.58 (m, 1H), 7.50 (t, 1H), 7.16 (s, 2H), 6.69 (dd, 1H), 5.55 (s, 2H).
실시예 11: 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79mg, 0.3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81mg, 0.58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9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1, 70mg, 4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d, 1H), 8.30 (s, 1H), 8.07 - 8.04 (m, 1H), 7.75 (t, 1 H), 7.46 (t, 1 H), 7.38 (t, 1 H), 7.17 (s, 2 H), 6.71 - 6.68 (m, 1 H), 5.56 (s, 2 H).
실시예 12: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66mg, 0.33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68mg, 0.49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1-(브로모메틸)-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3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2, 67mg, 4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d, 1H), 8.34 (s, 1H), 8.09 - 8.04 (m, 2H), 7.91 (s, 2H), 7.17 (s, 2H), 6.70 (dd, 1H), 5.65 (s, 2H).
실시예 13: 1-(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0mg, 0.37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77mg, 0.56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4-(브로모메틸)-1-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7mmol)을 사용하고, 50℃에서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3, 66mg, 46%)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d, 1H), 8.28 (s, 1H), 8.06 - 8.03 (m, 1H), 7.56 - 7.53 (m, 1H), 7.48 (d, 1H), 7.23 (d, 1H), 7.14 (s, 2H), 6.71 - 6.68 (m, 1H), 5.43 (s, 2H), 3.85 (s, 3H).
실시예 14: 1-(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0mg, 0.37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77mg, 0.56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1-(브로모메틸)-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7mmol)을 사용하고, 50℃에서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4, 73mg, 5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d, 1H), 8.30 (s, 1H), 8.04 (d, 1H), 7.20 - 7.08 (m, 4H), 7.05 (s, 1H), 6.69 (dd, 1H), 5.49 (s, 2H), 3.79 (s, 3H).
실시예 15: 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0mg, 0.37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8mg, 0.56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2-(브로모메틸)-1-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7mmol)을 사용하고, 50℃에서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에서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5, 79mg, 5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9 - 8.45 (m, 1H), 8.32 (s, 1H), 8.07 - 8.04 (m, 1H), 7.68 (d, 1H), 7.24 (d, 1H), 7.13 (br s, 2H), 7.05 (s, 1H), 6.72 - 6.69 (m, 1H), 5.44 (s, 2H), 3.90 (s, 3H).
실시예 16: 1-(2-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0mg, 0.37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77mg, 0.56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1-(브로모메틸)-2-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37mmol)을 사용하고, 50℃에서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에서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6, 60mg, 4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3 (d, 1 H), 8.32 (s, 1 H), 8.05 (s, 1 H), 7.62 (d, 1 H), 7.29 - 7.12 (m, 4 H), 6.70 (s, 1 H), 5.56 (s, 2 H), 3.98 - 3.87 (m, 3 H).
실시예 17: 1-(4-아미노-3-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3-메틸-4-나이트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100mg, 0.4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37mg, 0.99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4-(브로모메틸)-2-메틸-1-나이트로벤젠(125.7mg, 0.54mmol)을 사용하고, 5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로 가온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증류수 대신 소금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8, 49mg, 18.7 %)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d, 1H), 8.31 (s, 1H), 8.05 (d, 1H), 7.95 (d, 1H), 7.31 (s, 1H), 7.20 - 7.17 (m, 1H), 7.13 (s, 2H), 6.70 - 6.69 (m, 1H), 5.51 (s, 2H), 2.51 (s, 3H).
단계 2: 1-(4-아미노-3-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 49mg, 0.16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57.8mg, 0.6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60℃에서 6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7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를, 증류수 대신 소금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7, 16mg, 36%)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1 (d, 1H), 8.21 (s, 1H), 8.02 (d, 1H), 7.05 (s, 2H), 6.85 - 6.81 (m, 2H), 6.68 - 6.67 (m, 1H), 6.51 (d, 1H), 5.19 (s, 1H), 4.81 (s, 2H), 1.99 (s, 3H).
실시예 18: (S)-4-(1H-피라졸-1-일)-1-((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메틸)피리딘-2-일)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에서 실시예 1-1의 화합물(S3, 81.15mg, 0.2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68mg, 0.49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00mg, 0.42mmol) 대신 (S)-2-(브로모메틸)-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메틸)피리딘(50mg, 0.24mmol)을 사용하고, 5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고, 증류수 대신 소금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18, 49mg, 50%)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2 (d, 1H), 8.31 (s, 2H), 8.05 (d, 1H), 7.73 (t, 1H), 7.32 (s, 1H), 7.11 (s, 2H), 6.82 (d, 1H), 6.70 - 6.69 (m, 1H), 5.50 (s, 2H), 4.52 - 4.51 (m, 2H), 4.25 - 4.23 (m, 1H), 3.78 - 3.72 (m, 2H), 3.70 - 3.64 (m, 2H), 1.97 - 1.93 (m, 2H).
실시예 19: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19-1. 4-클로로-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tert-부틸 2-(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하이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S9, 842mg, 3.60mmol)을 클로로포름(CHCl3)/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tert-부틸 하이드라진 카르복실레이트(523mg, 3.96mmol)와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0.94ml, 5.40mmol)을 첨가하고 65℃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10, 698mg, 68%)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02 (dd, 1H), 7.96 - 7.91 (m, 1H), 7.61 (t, 1H), 6.01 (br s, 1H), 4.36 (br s, 1H), 4.14 (d, 2H), 1.52 - 1.39 (s, 9H).
단계 2: (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하이드라진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10, 698mg, 2.45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에 녹인 후, 여기에 0℃에서 4M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1,4-다이옥세인 용액(6.1ml, 24.50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농축하고 별도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1H-NMR (DMSO-d6, 400MHz): δ 8.16 - 8.07 (m, 2H), 7.89 - 7.71 (m, 1H), 4.30 (s, 2H).
단계 3: 4-클로로-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11, 2.45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1.3ml, 7.35mmol)과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S1, 470mg, 2.45mmol)를 첨가하고 50℃로 가온하여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S12, 332mg, 2steps 42%)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03 - 7.88 (m, 3H), 7.30 - 7.22 (m, 1H), 5.58 (s, 2H), 5.28 (br s, 2H).
19-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1의 화합물(S12, 150mg, 0.46mmol)을 1,4-다이옥세인에 녹인 후, 여기에 4-메틸피라졸(0.2ml, 1.39mmol)과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454mg, 1.39mmol)를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7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13, 56mg, 3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38 (s, 1H), 8.19 (s, 1H), 7.86 (s, 1H), 7.02 (br s, 2H), 6.86 (t, 1H), 6.28 (s, 1H), 6.31 (s, 1H), 5.41 (s, 2H), 2.14 (s, 3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13, 56mg, 0.15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여기에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을 첨가하고 상온 및 수소 가스 가압 조건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celite pad)로 거르고 여액을 농축한 후,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19, 22mg, 44%)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38 (s, 1H), 8.19 (s, 1H), 7.86 (s, 1H), 7.02 (br s, 2H), 6.86 (t, 1H), 6.28 (s, 1H), 6.31 (s, 1H), 5.41 (s, 2H), 5.24 (s, 2H), 2.14 (s, 3H).
실시예 20: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20-1. 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 3g, 17.60 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140 ml)에 녹인 후, 여기에 3-메틸-1H-피라졸(5.696ml, 70.76mmol)과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23g, 70.76mmol)를 첨가하고 125℃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에틸아세테이트/헥산(EA/Hex)으로 재결정하였다. 상기 재결정한 여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S14, 1.78 g, 46%)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13.02 (s, 1H), 8.49 (d, 1H), 8.24 (s, 1H), 6.81 (s, 2H), 6.48 (d, 1H), 2.36 (s, 3H).
20-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0-1의 화합물(S14, 50mg, 0.23mmol)을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81.5mg, 0.34mmol)과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64mg, 0.46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소금물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15, 55 mg, 64.3 %)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9 (d, 1H), 8.33 (s, 1H), 8.17 - 8.14 (m, 1H), 8.04 - 8.02 (m, 1H), 7.82 - 7.24 (t, 1H), 7.08 (s, 2H), 6.51 (d, 1H), 5.59 (s, 2H), 2.36 (s, 3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15, 52.90mg, 0.14mmol)을 에탄올(EtOH)에 녹인 후, 여기에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62mg, 0.71mmol)를 첨가하고 60℃로 가온하여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20, 32 mg, 66.7 %)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9 (d, 1H), 8.23 (s, 1H), 6.99 (s, 2H), 6.84 (t, 1H), 6.49 (d, 1H), 6.31 - 6.28 (m, 2H), 5.39 (s, 2H), 5.24 (s, 2H), 2.35 (s, 3H).
실시예 21: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tert-부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3-(tert-부틸)-1H-피라졸-1-일)-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19-1의 화합물(S12, 200mg, 0.62mmol)을 1,4-다이옥세인과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이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606mg, 1.86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3-tert-부틸-1H-피라졸(231mg, 1.86mmol)을 사용하고,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16, 72mg, 2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8 (d, 1H), 8.23 (s, 1H), 7.02 (br s, 2H), 6.82 (t, 1H), 6.64 (d, 1H), 6.34 - 6.25 (m, 2H), 5.41 (s, 2H), 1.35 (s, 9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tert-부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16, 72mg, 0.17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카본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1, 39mg, 6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8 (d, 1H), 8.23 (s, 1H), 7.02 (br s, 2H), 6.82 (t, 1H), 6.64 (d, 1H), 6.34 - 6.25 (m, 2H), 5.41 (s, 2H), 5.25 (s, 2H), 1.35 (s, 9H).
실시예 2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사이클로프로필-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3-사이클로프로필-1H-피라졸-1-일)-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19-1의 화합물(S12, 200mg, 0.62mmol)을 1,4-다이옥세인과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이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606mg, 1.86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3-사이클로프로필-1H-1,2-피라졸(0.2ml, 1.86mmol)을 사용하고,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17, 117mg, 4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5 (d, 1H), 8.21 (s, 1H), 7.04 - 6.96 (m, 2H), 6.83 (t, 1H), 6.42 (d, 1H), 6.32 - 6.26 (m, 2H), 5.40 (s, 2H), 2.11 - 2.03 (m, 1H), 1.07 - 0.96 (m, 2H), 0.87 - 0.82 (m, 2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사이클로프로필-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17, 117mg, 0.29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카본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2, 40mg, 3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5 (d, 1H), 8.21 (s, 1H), 7.04 - 6.96 (m, 2H), 6.83 (t, 1H), 6.42 (d, 1H), 6.32 - 6.26 (m, 2H), 5.40 (s, 2H), 5.24 (s, 2H), 2.11 - 2.03 (m, 1H), 1.07 - 0.96 (m, 2H), 0.87 - 0.82 (m, 2H).
실시예 23: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페닐-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4-(3-페닐-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450mg, 1.3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3-페닐-1-1H-피라졸(201mg, 1.40mmol)을 사용하고,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5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18, 96mg, 4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6 (d, 1H), 8.44 (s, 1H), 8.07 (d, 2H), 7.55 - 7.41 (m, 3H), 7.22 (d, 1H), 7.08 (br s, 2H), 6.85 (t, 1H), 6.34 - 6.27 (m, 2H), 5.41 (s, 2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페닐-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18, 96mg, 0.22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카본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3, 42mg, 4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6 (d, 1H), 8.44 (s, 1H), 8.07 (d, 2H), 7.55 - 7.41 (m, 3H), 7.22 (d, 1H), 7.08 (br, 2H), 6.85 (t, 1H), 6.34 - 6.27 (m, 2H), 5.41 (s, 2H), 5.28 (s, 2H).
실시예 24: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4-(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453mg, 1.3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87mg, 1.40mmol)을 사용하고,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19, 95mg, 5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77 (dd, 1H), 8.17 (s, 1H), 7.24 (br s, 2H), 7.16 (d, 1H), 6.86 (t, 1H), 6.32 - 6.26 (m, 2H), 5.41 (s, 2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19, 95mg, 0.23mmol)을 에탄올(EtOH)에 녹인 후, 여기에 농축된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수용액(Conc. HCl(aq), 0.38ml, 4.52mmol)과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53mg, 0.68mmol)를 첨가하고 45℃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셀라이트 패드로 거르고 여액을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24, 33mg, 36%)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77 (dd, 1H), 8.17 (s, 1H), 7.24 (br s, 2H), 7.16 (d, 1H), 6.86 (t, 1H), 6.32 - 6.26 (m, 2H), 5.41 (s, 2H), 5.27 (s, 2H).
실시예 25: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클로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3-클로로-1H-피라졸-1-일)-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303mg, 0.93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4-클로로-1H-피라졸(95.3mg, 0.93mmol)을 사용하고, 40℃로 가온하여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20, 108mg, 50%)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84 - 8.54 (m, 1H), 8.20 - 8.15 (m, 2H), 7.12 (br s, 2H), 6.88 (t, 1H), 6.31 (s, 1H), 6.28 (s, 1H), 5.41 (s, 2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클로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0, 108mg, 0.28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4의 단계 2에서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수용액(Conc. HCl(aq), 0.23ml, 2.80mmol)과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04mg, 0.56m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4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5, 32mg, 3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84 - 8.54 (m, 1H), 8.20 - 8.15 (m, 2H), 7.12 (br s, 2H), 6.88 (t, 1H), 6.31 (s, 1H), 6.28 (s, 1H), 5.41 (s, 2H), 5.25 (s, 2H).
실시예 26: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브로모-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4-브로모-1H-피라졸-1-일)-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19-1의 화합물(S12, 200mg, 0.62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606mg, 1.86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4-브로모-1H-피라졸(274mg, 1.86mmol)을 사용하고,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21, 150mg, 56%)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72 (d, 1H), 8.21 - 8.16 (m, 2H), 7.12 (br s, 2H), 6.87 (t, 1H), 6.31 (s, 1H), 6.28 (s, 1H), 5.42 (s, 2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브로모-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1, 150mg, 0.34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카본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6, 30mg, 2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72 (d, 1H), 8.21 - 8.16 (m, 2H), 7.12 (br s, 2H), 6.87 (t, 1H), 6.28 (s, 1H), 6.31 (s, 1H), 5.42 (s, 2H), 5.25 (s, 2 H).
실시예 27: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클로로-3,5-다이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4-클로로-3,5-다이메틸-1H-피라졸-1-일)-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19-1의 화합물(S12, 320mg, 0.99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645mg, 1.9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4-클로로-3,5-다이메틸피라졸(388mg, 2.97mmol)을 사용하고,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3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22, 92mg, 2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19 (s, 1H), 7.06 (br s, 2H), 6.83 (t, 1H), 6.33 - 6.27 (m, 2H), 5.40 (br s, 2H), 2.75 (s, 3H), 2.31 (s, 3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클로로-3,5-다이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2, 92mg, 0.22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카본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oC로 가온하여 5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7, 32mg, 3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19 (s, 1H), 7.06 (br s, 2H), 6.83 (t, 1H), 6.33 - 6.27 (m, 2H), 5.40 (br s, 2H), 5.25 (s, 2H) 2.75 (s, 3H), 2.31 (s, 3H).
실시예 28: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4-(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19-1의 화합물(S12, 300mg, 0.93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909mg, 2.7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1H-1,2,4-트리아졸(321mg, 4.65mmol)을 사용하고,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5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23, 143mg, 4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34 (s, 1H), 8.48 (s, 1H), 8.21 (s, 1H), 7.23 (br s, 2H), 6.89 (t, 1H), 6.33 - 6.27 (m, 2H), 5.42 (s, 2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3, 143mg, 0.40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Pd(OH)2, 10ww/%, 11mg)를 사용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6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8, 36mg, 2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34 (s, 1H), 8.48 (s, 1H), 8.21 (s, 1H), 7.23 (br s, 2H), 6.89 (t, 1H), 6.33 - 6.27 (m, 2H), 5.42 (s, 2H), 5.27 (s, 2H).
실시예 29: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5-다이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3,5-다이메틸-1H-1,2,4-트리아졸-1-일)-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19-1의 화합물(S12, 200mg, 0.62mmol)을 1,4-다이옥세인과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이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606mg, 1.86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3,5-다이메틸-1,2,4-트리아졸(362mg, 3.72mmol)을 사용하고, 40oC로 가온하여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85oC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24, 115mg, 4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27 (d, 1H), 8.16 (dd, 1H), 8.04 (dd, 1H), 7.30 - 7.21 (m, 3H), 5.60 (s, 2H), 2.90 - 2.85 (m, 3H), 2.37 (s, 3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5-다이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4, 115mg, 0.30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카본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oC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29, 16mg, 1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17 (s, 1H), 7.17 (br s, 2H), 6.84 (t, 1H), 6.34 - 6.26 (m, 2H), 5.42 (s, 2H), 5.26 (s, 2H), 2.87 (s, 3H), 2.36 (s, 3H).
실시예 30: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4-(3-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19-1의 화합물(S12, 200mg, 0.62mmol)을 1,4-다이옥세인과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이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606mg, 1.86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2ml, 1.39mmol) 대신 3-메틸-1H-1,2,4-트리아졸(155mg, 1.86mmol)을 사용하고, 40oC로 가온하여 7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5oC로 가온하여 4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25, 62mg, 2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9 (s, 1H), 8.20 (s, 1H), 7.18 (br s, 2H), 6.87 (t, 1H), 6.31 (s, 1H), 6.28 (s, 1H), 5.42 (s, 2H), 2.45 (s, 3H).
단계 2: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5, 62mg, 0.17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카본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oC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30, 26mg, 4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9 (s, 1H), 8.20 (s, 1H), 7.18 (br s, 2H), 6.87 (t, 1H), 6.31 (s, 1H), 6.28 (s, 1H), 5.42 (s, 2H), 5.26 (s, 2H), 2.45 (s, 3H).
실시예 31: 1-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20-1의 화합물(S14, 30mg, 0.14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38mg, 0.28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81.5mg, 0.34mmol) 대신 (브로모메틸)벤젠(0.02ml, 0.14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31, 46mg, 4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9 (d, 1H), 8.28 (s, 1H), 7.34 - 7.26 (m, 3H), 7.198 (s, 2H), 7.02 (s, 2H), 6.50 (d, 1H), 5.42 (s, 2H), 2.36 (s, 3H).
실시예 32: 1-(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1에서 실시예 20-1의 화합물(S14, 30mg, 0.14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38mg, 0.28mmol)의 첨가량만을 변경하고,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81.5mg, 0.34mmol) 대신 2-(브로모메틸)-1,3-다이플루오로벤젠(28mg, 0.14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32, 24.90mg, 52.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9 (d, 1H), 8.20 (s, 1H), 7.47 - 7.43 (m, 1H), 7.14 - 7.10 (m, 2H), 7.05 (s, 2H), 6.49 (d, 1H), 5.42 (s, 2H), 2.34 (s, 3H).
실시예 33: 4-(3-메틸-1H-피라졸-1-일)-1-(2,3,6-트리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tert-부틸 2-(2,3,6-트리플루오로벤질)하이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2,3,6-트리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S26, 0.13ml, 1.00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tert-부틸 카바제이트(159mg, 1.20mmol)와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78mg, 1.30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27, 137.4mg, 49.7%)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17 - 7.03 (m, 1H), 6.85 - 6.80 (m, 1H), 6.01 (br s, 1H), 4.37 (br s, 1H), 1.44 (s, 9H).
단계 2: (2,3,6-트리플루오로벤질)하이드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7, 137.4mg, 0.50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에 녹인 후, 0oC에서 4M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을 포함하는 1,4-다이옥세인 용액(0.62ml, 2.49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농축하고 별도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 하였다.
1H-NMR (DMSO-d6, 400MHz): δ 9.31 (br s, 2H), 7.55 - 7.50 (m, 1H), 7.21 - 7.16 (m, 1H), 4.09 (s, 2H).
단계 3: 4-클로로-1-(2,3,6-트리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8, 99mg, 0.47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0.25ml, 1.41mmol)과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S1, 89.4mg, 0.47mmol)를 첨가하고 50oC로 가온하여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29, 87.8mg, 59.6%)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87 (s, 1H), 7.15 - 7.10 (m, 1H), 6.88 - 6.83 (m, 1H), 5.52 (s, 2H), 5.28 (br s, 2H).
단계 4: 4-(3-메틸-1H-피라졸-1-일)-1-(2,3,6-트리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9, 85mg, 0.27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3-메틸피라졸(22ul, 0.27mmol)과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05mg, 0.30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33, 68.4mg, 70.5%)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47 (s, 1H), 8.46 (s, 1H), 7.15 - 7.07 (m, 1H), 6.88 - 6.82 (m, 1H), 6.28 (s, 1H), 5.55 (s, 2H), 5.11 (br s, 2H), 2.42 (s, 3H).
실시예 34: 1-(4-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6-다이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1에서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81.5mg, 0.34mmol) 대신 2-(브로모메틸)-1,3-다이플루오로-5-나이트로벤젠(88mg, 0.34mmol)을 사용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후, 농축물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재결정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S30, 60mg, 66.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8 (d, 1H), 8.22 (s, 1H), 8.09 (d, 2H), 7.08 (s, 2H), 6.49 (d, 1H), 5.51 (s, 2H), 2.34 (s, 3H).
단계 2: 1-(4-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0, 57mg, 0.14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66mg, 0.73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6시간 동안 교반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후, 농축물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메탄올(MeOH)로 재결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34, 19 mg, 36.5 %)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8 (d, 1H), 8.18 (s, 1H), 6.99 (s, 1H), 6.48 (d, 1H), 6.19 (d, 2H), 5.79 (s, 2H), 5.21 (s, 2H), 2.34 (s, 3H).
실시예 35: 1-(4-아미노-3-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3-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1에서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81.5mg, 0.34mmol) 대신 4-(브로모메틸)-2-플루오로-1-나이트로벤젠(65.3mg, 0.27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S31, 46mg, 4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50 (d, 1H), 8.34 (s, 1H), 8.14 - 8.10 (m, 1H), 7.40 - 7.37 (m, 1H), 7.13 - 7.07 (m, 3H), 6.51 (d, 1H), 5.56 (s, 2H), 2.37 (s, 3H).
단계 2: 1-(4-아미노-3-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1, 49mg, 0.17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34mg, 0.0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6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70℃에서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35, 28mg, 70%)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9 (d, 2H), 8.25 (s ,1H), 7.01 (s, 2H), 6.89 - 6.86 (m ,1H), 6.78 - 6.76 (m, 1H), 6.70 - 6.66 (m, 1H), 6.49 (d, 1H), 5.23 (s, 2H), 5.10 (s, 2H), 2.35 (s, 3H).
실시예 36: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3-메틸-1H-피라졸-1-일)-1-(4-나이트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1에서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81.5mg, 0.34mmol) 대신 4-(브로모메틸)-1-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99mg, 0.34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S32, 46mg, 47%)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53 (s, 1H), 8.48 (d, 1H), 7.83 (d, 1H), 7.78 (s, 1H), 7.59 - 7.57 (m, 1H), 6.31 (d, 1H), 5.58 (s, 2H), 5.11 (s, 2H), 2.42 (s, 3H).
단계 2: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2, 28mg, 0.06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대신 메탄올(MeOH)을 사용하고,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카본 대신 팔라듐/카본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30oC로 가온하여 3일 동안 교반하고, 반응 혼합액을 셀라이트 패드로 거르고 여액을 농축한 후 정제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9-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36, 26mg, 10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9 (d, 1H), 8.25 (s, 1H), 7.26 (d, 1H), 7.16 (d, 1H), 7.03 (s, 2H), 6.77 (d, 1H), 6.49 (d, 1H), 5.60 (s, 2H), 5.26 (s, 2H), 3.33 (s, 3H).
실시예 37: 1-(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3-메틸-1H-피라졸-1-일)-1-(4-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1에서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81.5mg, 0.34mmol) 대신 1-(브로모메틸)-4-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79mg, 0.27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0-2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S33, 31mg, 31.9%)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59 (m, 2H), 8.50 (d, 1H), 8.23 - 8.20 (m, 1H), 6.93 (d, 1H), 6.33 (d, 1H), 5.80 (s, 2H), 5.09 (s, 2H), 2.44 (s, 3H).
단계 2: 1-(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3, 28mg, 0.06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75.5mg, 0.33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6시간 동안 교반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후, 농축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MC)/메탄올(MeOH)로 재결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0-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37, 15.8mg, 6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50 (d, 1H), 8.29 (s, 1H), 7.01 (s, 2H), 6.93 (d, 1H), 6.65 (d, 1H), 6.53 - 6.50 (m, 2H), 5.55 (s, 2H), 5.39 (s, 2H), 2.36 (s, 3H).
실시예 38: 3-((6-아미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4-플루오로페놀의 제조
단계 1: 메틸 5-(벤질옥시)-2-플루오로벤조에이트의 제조
메틸 2-플루오로-5-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S34, 1g, 5.88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벤질 브로마이드(0.80ml, 7.05mmol)와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06g, 7.64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35, 1.45g, 95%)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51 (d, 1H), 7.50 - 7.38 (m, 5H), 7.13 - 7.03 (m, 2H), 5.07 (s, 2H), 3.93 (s, 3H).
단계 2: (5-(벤질옥시)-2-플루오로페닐)메탄올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5, 497.40mg, 1.91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여기에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LAH, 87.30mg, 2.30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36, 443mg, 99%)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43 - 7.33 (m, 5H), 7.06 - 7.04 (m, 1H), 6.96 (t, 1H), 6.86 - 6.82 (m, 1H), 5.04 (s, 2H), 4.73 (d, 2H).
단계 3: 4-(벤질옥시)-2-(브로모메틸)-1-플루오로벤젠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6, 443mg, 1.91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에 녹인 후, 여기에 테트라브로모메테인(CBr4, 665mg, 2mmol)과 트리페닐포스핀(PPh3, 521mg, 1.98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37, 505.9mg, 73%)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41 - 7.33 (m, 5H), 7.05 - 6.96 (m, 2H), 6.89 - 6.87 (m, 1H), 5.03 (s, 2H), 4.48 (s, 2H).
단계 4: tert-부틸 2-(5-(벤질옥시)-2-플루오로벤질)하이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7, 503mg, 1.70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1에서 tert-부틸 카바제이트(270.3mg, 2.05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78mg, 1.30mmol) 대신 트리에틸아민(TEA, 0.3ml, 2.21mmol)을 사용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38, 129mg, 2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46 - 7.35 (m, 5H), 7.19 - 7.15 (m, 2H), 7.03 (s, 1H), 5.09 (s, 2H), 4.04 (s, 2H).
단계 5: (5-(벤질옥시)-2-플루오로벤질)하이드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8, 129mg, 0.37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2에서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메틸렌 클로라이드(MC)를 사용하고, 4M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1,4-다이옥세인 용액(0.62ml, 2.49mmol) 대신 4N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0.5ml, 1.86mmol)을 사용하고,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2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39, 104mg, 99%)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43 - 7.31 (m, 5H), 6.99 - 6.94 (m, 2H), 6.85 - 6.82 (m, 1H), 5.03 (s, 2H), 4.01 (s, 2H), 1.50 (s, 9H).
단계 6: 1-(5-(벤질옥시)-2-플루오로벤질)-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5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39, 104mg, 0.37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3에서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S1, 71mg, 0.37mmol) 및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0.12ml, 0.7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50oC로 가온하여 4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40, 70.1mg, 50%)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90 (s, 1H), 7.33 - 7.25 (m, 5H), 6.99 (t, 1H), 6.84 - 6.82 (m, 1H), 6.63 - 6.61 (m, 1H), 5.34 (s, 2H), 4.94 (s, 2H).
단계 7: 1-(5-(벤질옥시)-2-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6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0, 70.1mg, 0.18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4에서 3-메틸피라졸(15ul, 0.18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70mg, 0.2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6시간 동안 교반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4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41, 15mg, 19%)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50 - 8.48 (m, 2H), 7.31 - 7.25 (m, 5H), 6.99 - 6.95 (m, 1H), 6.79 (t, 1H), 6.61 - 6.56 (m, 1H), 6.30 (s, 1H), 5.51 (s, 2H), 5.15 (s, 2H), 4.89 (s, 2H), 2.42 (s, 3H).
단계 8: 3-((6-아미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4-플루오로페놀의 제조
상기 단계 7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1, 15mg, 0.03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여기에 팔라듐/카본(3mg)을 첨가한 후 상온 및 수소 가스 가압 조건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셀라이트 패드로 거르고 여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38, 7mg, 70%)을 얻었다.
1H-NMR (CD3OD, 400MHz): δ 8.47 (s, 1H), 8.30 (s, 1H), 6.82 (t, 1H), 6.57 - 6.54 (m, 1H), 6.30 - 6.21 (m, 2H), 5.35 (s, 2H), 2.23 (s, 3H).
실시예 39: 3-((6-아미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페놀의 제조
단계 1: 1-(벤질옥시)-3-(브로모메틸)벤젠의 제조
(3-(벤질옥시)페닐)메탄올(S42, 1g, 4.67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에 녹이고 트리페닐포스핀(PPh3, 1.27g, 4.85mmol), 테트라브로모메테인(CBr4, 1.63g, 4.90mmol)를 0℃에서 첨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하고 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43, 1.08g, 84%)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45 - 7.32 (m, 5H), 7.26 (t, 1H), 7.03 - 6.92 (m, 2H), 6.90 (d, 1H), 5.07 (s, 2H), 4.51 (s, 2H).
단계 2: tert-부틸 2-(3-(벤질옥시)벤질)하이드라진-1-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3, 1.07g, 3.86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1에서 tert-부틸 카바제이트(612.3mg, 4.63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63g, 5.02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5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44, 488mg, 39%)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43 - 7.39 (m, 4H), 7.35 - 7.33 (m, 2H), 7.01 (br s, 1H), 6.95 (dd, 2H), 5.04 (s, 2H), 1.47 (s, 9H).
단계 3: (3-(벤질옥시)벤질)하이드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4, 382.4mg, 1.16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2에서 4M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1,4-다이옥세인 용액(1.5ml, 5.82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2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였다.
1H-NMR (CD3OD, 400MHz): δ 7.46 (d, 2H), 7.41 - 7.33 (m, 4H), 7.12 - 7.03 (m, 3H), 5.13 (s, 2H), 3.33 (s, 2H).
단계 4: 1-(3-(벤질옥시)벤질)-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5, 0.89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3에서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0.3ml, 1.78mmol) 및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카르브알데히드(S1, 170mg, 0.8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1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46, 116.3mg, 2steps 36%)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88 (s, 1H), 7.36 - 7.29 (m, 3H), 7.26 - 7.21 (m, 2H), 6.89 - 6.85 (m, 4H), 5.49 (br s, 2H), 5.40 (s, 2H), 4.96 (s, 2H).
단계 5: 1-(3-(벤질옥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6, 112 mg, 0.31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4에서 3-메틸피라졸(24.6ul, 0.31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20mg, 0.3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3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33의 단계 4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47, 41mg, 32%)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49 (s, 2H), 7.39 - 7.28 (m, 6H), 7.22 (t, 1H), 6.89 - 6.85 (m, 3H), 5.45 (s, 2H), 5.06 (br s, 2H), 5.00 (s, 2H), 2.42 (s, 3H).
단계 6: 3-((6-아미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페놀의 제조
상기 단계 5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7, 40mg, 0.10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이고 팔라듐/카본을 첨가 후 상온 수소 가스 가압조건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로 거르고 여액을 농축하고 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상기 목적 화합물(39, 28mg, 88%)을 얻었다
1H-NMR (CD3OD, 400MHz): δ 8.47 (s, 1H), 8.27 (s, 1H), 7.02 (t, 1H), 6.68 - 6.53 (m, 3H), 6.29 (s, 1H), 5.34 (s, 2H), 2.17 (s, 3H).
실시예 40: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 200mg, 1.17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4-메틸-1H-피라졸(0.38ml, 4.71mmol)과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53g, 4.71mmol)를 첨가하고 가온 환류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재결정하여 중간체 화합물(S48, 90mg, 3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13.05 (s, 1H), 8.38 (s, 1H), 8.19 (s, 1H), 7.85 (s, 1H), 6.83 (s, 2H), 2.14 (s, 3H).
단계 2: 4-(4-메틸-1H-피라졸-1-일)-1-(4-나이트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8, 50mg, 0.23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4-(브로모메틸)-1-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99mg, 0.34mmol)과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64mg, 0.46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49, 47mg, 4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9 (s, 1H), 8.34 (s, 1H), 7.84 - 7.79 (m, 2H), 7.69 (s, 1H), 7.59 (d, 1H), 5.57 (s, 2H), 5.12 (s, 2H), 2.18 (s, 3H).
단계 3: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49, 40mg, 0.09mmol)을 메탄올(MeOH)에 녹인 후, 여기에 팔라듐/카본(8mg)을 첨가한 후 수소 가압 조건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셀라이트 필터로 거르고 여액을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40, 30mg, 8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38 (s, 1H), 8.21 (s, 1H), 7.86 (s, 1H), 7.27 (d, 1H), 7.18 (d, 1H), 7.03 (s, 2H), 6.77 (d, 1H), 5.60 (s, 2H), 5.26 (s, 2H), 2.14 (s, 3H).
실시예 41: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플루오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4-플루오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1에서 중간체 화합물(S2, 200mg, 1.1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38ml, 4.71mmol) 대신 4-플루오로-1H-피라졸(101.50mg, 1.18mmol)을 사용하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53g, 4.71mmol) 대신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326mg, 2.36mmol)를 사용하고, 가온 환류하여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90℃로 가온하여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재결정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50, 132mg, 5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13.15 (s, 1H), 8.62 - 8.58 (m, 1H), 8.21 - 8.15 (m, 2H), 6.94 (s, 2H).
단계 2: 4-(4-플루오로-1H-피라졸-1-일)-1-(4-나이트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0, 132mg, 0.60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2에서 4-(브로모메틸)-1-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342mg, 1.21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67mg, 1.21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51, 134mg, 5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1 (d, 1H), 8.30 (d, 1H), 8.21 (d, 1H), 8.12 (d, 1H), 7.97 (s, 1H), 7.60 (d, 1H), 7.19 (br s, 2H), 5.65 (s, 2H).
단계 3: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플루오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1, 134mg, 0.32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3에서 메탄올(MeOH) 대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0℃로 가온하여 7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41, 40mg, 3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60 (d, 1 H), 8.22 - 8.16 (m, 2 H), 7.27 (s, 1 H), 7.20 - 7.10 (m, 3 H), 6.77 (d, 1 H), 5.61 (s, 2 H), 5.27 (s, 2 H).
실시예 42: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4-(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1에서 중간체 화합물(S2, 100mg, 0.58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384mg, 1.17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38ml, 4.71mmol) 대신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120mg, 0.88mmol)을 사용하고, 재결정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52, 66mg, 41.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13.25 (s, 1H), 9.09 (s, 1H), 8.35 (s, 1H), 8.21 (s, 1H), 7.03 (s, 2H).
단계 2: 1-(4-나이트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2, 60mg, 0.22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2에서 4-(브로모메틸)-1-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95mg, 0.44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62mg, 0.4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53, 68 mg, 64.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0 (s, 1H), 8.53 (s, 1H), 8.32 (s, 1H), 8.23 (d, 1H), 7.98 (s, 1H), 7.62 (d, 1H), 7.28 (s, 2H), 5.67 (s, 2H).
단계 3: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3, 52.7mg, 0.11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3에서 팔라듐/카본(12mg)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셀라이트 필터 대신 셀라이트 패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42, 38mg, 7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8 (s, 1H), 8.51 (s, 1H), 8.23 (s, 1H), 7.28 - 7.17 (m, 4H), 6.77 (d, 1H), 5.62 (s, 2H), 5.29 (s, 2H).
실시예 43: 1-(6-아미노-1-(2,6-다이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1H-피라졸-4-올의 제조
단계 1: 4-(4-(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1에서 중간체 화합물(S2, 500mg, 2.94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44g, 4.42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4-메틸피라졸(0.38ml, 4.71mmol) 대신 4-(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858mg, 4.42mmol)을 사용하고, 가온 환류하여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상온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고, 재결정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54, 155 mg, 15.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13.13 (s, 1H), 8.80 (s, 1H), 8.20 (d, 1H), 8.10 (s, 1H), 6.92 (s, 1H), 1.25 (s, 12H).
단계 2: 1-(2,6-다이플루오로벤질)-4-(4-(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4, 150mg, 1.45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2에서 4-(브로모메틸)-1-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99mg, 0.34mmol) 대신 2-(브로모메틸)-1,3-다이플루오로벤젠(284.4mg, 1.37mmol)를,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64mg, 0.46mmol) 대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298.4mg, 1.91mmol)를 사용하고, 상온에서 교반하는 대신 환류하여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0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별도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 3: 1-(6-아미노-1-(2,6-다이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1H-피라졸-4-올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5, 95mg)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여기에 2M 소듐하이드록사이드(0.15ml, 0.31mmol)과 30% 과산화수소수(32μl, 0.31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소금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43, 8mg, 1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47 (s, 1H), 8.11 (s, 1H), 7.97 (d, 1H), 7.69 (d, 1H), 7.47- 7.43 (m, 1H), 7.13 - 7.09 (m, 2H), 7.03 (s, 2H), 5.41 (s, 2H).
실시예 44: 1-(2,6-다이플루오로벤질)-3-메틸-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일)에탄-1-올의 제조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카르브알데하이드(S1, 1g, 5.20mmol)을 다이에틸 에테르에 녹인 후, 여기에 -78oC에서 1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1M MeMgBr, 26ml, 26.00mmol)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1N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로 중화시키고 이를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56, 330mg, 3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39 (s, 2H), 5.19 (s, 1H), 5.16 - 5.13 (m, 1H), 1.43 (d, 3H).
단계 2: 1-(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일)에탄-1-온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6, 200mg, 0.96mmol)을 1,2-다이클로로에테인(1,2-DCE)에 녹인 후, 여기에 망간 다이옥사이드(MnO2, 314mg, 2.35mmol)를 첨가하고 70℃로 가온하여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농축하고 이를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57, 57mg, 29%)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5.41 (s, 2H), 2.58 (s, 3H).
단계 3: 4-클로로-1-(2,6-다이플루오로벤질)-3-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7, 20mg, 0.09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여기에 (2,6-다이플루오로벤질)하이드라진(36mg, 1.94mmol)과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51μl, 2.91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58, 16mg, 5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48 - 7.41 (m, 1H), 7.30 (s, 2H), 7.14 (t, 2H), 5.32 (s, 2H), 2.32 (s, 3H).
단계 4: 1-(2,6-다이플루오로벤질)-3-메틸-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58, 16mg, 0.05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피라졸(3.5mg, 0.05mmol)과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7mg, 0.05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44, 16mg, 88%)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56 (d, 1H), 7.80 (t, 1H), 7.28 - 7.24 (m, 1H), 6.90 - 6.87 (t, 2H), 6.48 - 6.47 (m, 1H), 5.48 (s, 2H), 5.20 (s, 1H), 2.69 (s, 3H).
실시예 45: 1-(2,6-다이플루오로벤질)-3-메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4에서 중간체 화합물(S59, 50mg, 0.16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54mg, 0.17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피라졸(3.5mg, 0.05mmol) 대신 3-메틸 피라졸(13μl, 0.16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4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45, 16mg, 88%)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45 (d, 1H), 7.31 - 7.29 (m, 1H), 6.91 - 6.86 (m, 2H), 6.27 (d, 1H), 5.43 (s, 2H), 5.03 (s, 2H), 2.72 (s, 3H), 2.37 (s, 3H).
실시예 46: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틸-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1-(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일)프로판-1-올의 제조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1에서 1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1M MeMgBr, 26ml, 26.00mmol) 대신 3M 에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3M EtMgBr, 26ml, 26.00mmol)를, 1N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대신 암모늄클로라이드(NH4Cl)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60, 330mg, 3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39 (s, 2H), 5.22 (d, 1H), 4.91 - 4.86 (m, 1H), 1.91 - 1.75 (m, 2H), 0.84 (t, 3H).
단계 2: 1-(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일)프로판-1-온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0, 340mg, 1.53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2에서 망간 다이옥사이드(MnO2, 3.20g, 36.7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61, 82mg, 24%)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5.40 (s, 2H), 2.91 - 2.82 (m, 2H), 1.24 - 1.20 (t, 3H).
단계 3: 4-클로로-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1, 82mg, 0.37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3에서 (2,6-다이플루오로벤질)하이드라진(S58, 108mg, 0.56mmol) 및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0.19ml, 1.11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62, 16mg, 4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46 - 7.42 (m, 2H), 7.29 (d, 2H), 7.13 (t, 2H), 5.33 (s, 2H), 2.86 - 2.80 (m, 2H), 1.19 (t, 3H).
단계 4: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틸-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2, 50mg, 0.15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4에서 피라졸(10mg, 0.16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52mg, 0.17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4의 단계 4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46, 9mg, 17%)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54 (d, 1H), 7.81 (t, 1H), 7.29 - 7.23 (m, 1H), 6.91 (t, 2H), 6.48 (t, 1H), 5.50 (s, 2H), 5.11 (s, 2H), 3.23 - 3.20 (m, 2H), 1.13 (t, 3H).
실시예 47: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6의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2, 25mg, 0.07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4에서 피라졸(3.5mg, 0.05mmol) 대신 3-메틸-1H-피라졸(6μl, 0.07mmol)을 사용하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26mg, 0.0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4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47, 5mg, 2%)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44 (d, 1H), 7.42 - 7.21 (m, 1H), 6.99 (t, 2H), 6.27 (t, 1H), 5.56 (s, 2H), 5.03 (s, 2H), 3.26 - 3.20 (m, 2H), 2.46 (s, 3H), 1.13 (t, 3H).
실시예 48: 3-사이클로로프로필-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일)(사이클로프로필)메탄올의 제조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1에서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카르브알데하이드(S1, 500mg, 2.6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다이에틸 에테르 대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1M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1M MeMgBr, 26ml, 26.00mmol) 대신 0.7M 사이클로프로필마그네슘 브로마이드(0.7M CyclopropylMgBr, 18.6ml, 13.02mmol)를, 1N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대신 암모늄클로라이드(NH4Cl)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63, 330mg, 5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43 (s, 2H), 5.31 (d, 1H), 4.18 - 4.14 (m, 1H), 1.59 - 1.53 (m, 1H), 0.48 - 0.40 (m, 1H), 0.39 - 0.34 (m, 2H), 0.20 - 0.14 (m, 1H).
단계 2: (2-아미노-4,6-다이클로로피리미딘-5-일)(사이클로프로필)메타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3, 210mg, 0.89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2에서 망간 다이옥사이드(MnO2, 3.20g, 36.7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64, 37mg, 20%)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5.38 (s, 2H), 2.29 - 2.23 (m, 1H), 1.37 - 1.32 (m, 2H), 1.18 - 1.15 (m, 2H).
단계 3: 4-클로로-3-사이클로프로필-1-(2,6-다이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4, 37mg, 0.16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3에서 (2,6-다이플루오로벤질)하이드라진(S58, 46mg, 0.24mmol) 및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83μl, 0.4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65, 47mg, 88%)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7.52 - 7.21 (m, 1H), 6.99 (t, 2H), 5.38 (s, 2H), 5.15 (s, 2H), 2.35 - 2.30 (m, 1H), 0.89 (t, 4H).
단계 4: 3-사이클로프로필-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5, 47mg, 0.14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4에서 피라졸(10mg, 0.14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47mg, 0.15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4의 단계 4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48, 19mg, 37%)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56 (d, 1H), 7.80 (t, 1H), 7.28 - 7.20 (m, 1H), 6.89 - 6.84 (t, 2H), 6.49 - 6.48 (t, 1H), 5.54 (s, 2H), 5.16 (s, 2H), 3.02 - 3.00 (m, 1H), 0.98 - 0.84 (m, 4H).
실시예 49: 3-사이클로프로필-1-(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8의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5, 78mg, 0.23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4에서 피라졸(3.5mg, 0.05mmol) 대신 3-메틸피라졸(19mg, 0.23mmol)을 사용하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77mg, 0.25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4의 단계 4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49, 14mg, 16%)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45 (d, 1H), 7.25 - 7.20 (m, 1H), 6.89 - 6.84 (t, 2H), 6.28 (d, 1H), 5.43 (s, 2H), 5.25 (s, 2H), 2.98 - 2.92 (m, 1H), 0.95 - 0.90 (m, 2H), 0.88 - 0.84 (m, 2H).
실시예 50: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틴일-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3-브로모-4-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2, 200mg, 1.18mmol)을 1,2-다이클로로에테인(1,2-DCE)에 녹인 후, 여기에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272mg, 1.53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농축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이를 증류수로 세척, 여과하여 중간체 화합물(S66, 200mg, 6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13.54 (s, 1H), 7.36 (s, 2H).
단계 2: 3-브로모-4-클로로-1-(2,6-다이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6, 200mg, 0.80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2,6-다이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174mg, 0.85mmol)과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45mg, 0.85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67, 852mg, 5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60 (s, 2H), 7.51 - 7.44 (m, 1H), 7.17 - 7.11 (m, 2H), 5.37 (s, 2H).
단계 3: 3-브로모-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7, 180mg, 0.48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피라졸(40mg, 0.58mmol)과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313mg, 0.96mmol)를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68, 128mg, 63%)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44 - 8.43 (m, 1H), 7.86 - 7.84 (m, 1H), 7.62 (d, 1H), 7.32 -7.24 (m, 1H), 6.93 - 6.86 (m, 2H), 6.51 - 6.50 (m, 1H), 5.54 (s, 2H), 5.30 - 5.29 (m, 1H).
단계 4: 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3-((트리메틸실릴)에틴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8, 60mg, 0.15mmol)을 트리에틸아민(TEA)에 녹인 후, 여기에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44ul, 0.31mmol), 커퍼(I) 아이오다이드(4.10mg, 0.02mmol), 트리페닐포스핀(PPh3, 7.60mg, 0.03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다이클로라이드(PdCl2(PPh3)2, 10mg, 0.02mmol)를 첨가하고 70℃로 가온하여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단계 5: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틴일-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4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9, 60mg, 0.14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녹인 후, 여기에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 280ul, 0.28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50, 9.6mg, 18%)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56 (d, 1H), 7.85 (d, 1H), 7.31 - 7.23 (m, 1H), 6.92 - 6.85 (m, 2H), 6.51 - 6.50 (m, 1H), 5.55 (s, 2H), 5.27 (s, 2H), 3.26 (s, 1H).
실시예 51: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틴일-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3-브로모-1-(2,6-다이플루오로벤질)-4-(4-메틸-1H-피라졸-1-일)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67, 300mg, 0.80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3에서 피라졸(40mg, 0.58mmol) 대신 4-메틸피라졸(102㎕, 1.20mmol)을 사용하고,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521mg, 1.6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50℃로 가온하여 12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5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70, 245mg, 34%)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25 (s, 1H), 7.78 (s, 1H), 7.51 - 7.47 (m, 1H), 7.31 (s, 2H), 7.17 - 7.11 (m, 2H), 5.43 (s, 2H), 2.13 (s, 3H).
단계 2: 1-(2,6-다이플루오로벤질)-4-(4-메틸-1H-피라졸-1-일)-3-((트리메틸실릴)에틴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0, 100mg, 0.23mmol)을 트리에틸아민(TEA)에 녹인 후, 여기에 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71㎕, 0.50mmol), 커퍼(I) 아이오다이드(CuI, 6.80mg, 0.04mmol), 트리페닐포스핀(PPh3, 12.4mg, 0.05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PdCl2(PPh3)2, 16.7mg, 0.02mmol)를 첨가하고 7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상온으로 식힌 후 2N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수용액으로 중화하고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하여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71, 45mg, 43%)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38 (s, 1H), 7.66 (s, 1H), 7.29 (m, 1H), 6.88 (t, 2H), 5.56 (s, 2H), 5.18 (s, 2H), 2.18 (s, 3H), 0.26 (s, 9H).
단계 3: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틴일-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1, 42mg, 0.10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5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TBAF, 192㎕, 0.1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5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51, 24mg, 69%)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32 (s, 1H), 7.68 (s, 1H), 7.29 (m, 1H), 6.90 (t, 2H), 5.55 (s, 2H), 5.18 (s, 2H), 3.26 (s, 1H), 2.17 (s, 3H).
실시예 52: 3-클로로-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단계 1: 3,4-다이클로로-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1에서 N-브로모숙신이미드(NBS, 272mg, 1.53mmol) 대신 N-클로로숙신이미드(NCS, 314mg, 2.35mmol)를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72, 40mg, 1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13.42 (s, 1H), 7.38 (s, 2H).
단계 2: 3,4-다이클로로-1-(2,6-다이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2, 300mg, 1.47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2에서 2,6-다이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320mg, 1.54mmol) 및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86mg, 1.5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73, 354mg, 7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63 (s, 2H), 7.50 - 7.45 (m, 1H), 7.15 - 7.11 (m, 2H), 5.36 (s, 2H).
단계 3: 3-클로로-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3, 150mg, 0.45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3에서 피라졸(27mg, 0.41mmol) 및 세슘 카르보네이트(Cs2CO3, 152mg, 0.5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0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52, 45mg, 40%)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47 (d, 1H), 7.86 (t, 1H), 7.32 - 7.25 (m, 1H), 6.93 - 6.88 (m, 2H), 6.51 - 6.50 (m, 1H), 5.51 (s, 2H), 5.26 (s, 1H).
실시예 53: 6-아미노-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카르보나이트릴의 제조
상기 실시예 52의 화합물(52, 35mg, 0.10mmol)을 아세토나이트릴에 녹인 후, 여기에 소듐 시아나이드(4.7mg, 0.10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Pd(PPh3)4, 12mg, 0.01mmol), 및 커퍼(I) 아이오다이드(18mg, 0.10mmol)를 첨가하고 마이크로웨이브 합성 장치를 사용하여 110℃로 가온하여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53, 5.8mg, 17%)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8.52 (d, 1H), 7.95 (d, 1H), 7.36 - 7.28 (m, 1H), 6.95 - 6.89 (m, 2H), 6.54 - 6.53 (m, 1H), 5.58 (s, 2H), 5.30 (s, 2H).
실시예 54: 9-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54-1. 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6-하이드라지닐-9H-퓨린-2-아민의 제조
6-클로로-9H-퓨린-2-아민(S74, 5g, 29.49mmol)을 메탄올(MeOH)에 녹이고 0℃로 냉각하여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27.53ml, 884.61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50℃로 가온하여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농축하고 생성된 고체를 소량의 메탄올(MeOH)을 사용하여 거르고 건조하였으며 별도의 정제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1H-NMR (DMSO-d6, 400MHz): δ 8.29 (br s, 1H), 7.64 (br s, 1H), 5.76 (br s, 2H), 4.38 (br s, 2H).
단계 2: 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5, 2.9g, 17.56mmol)을 메탄올(MeOH)에 녹이고 0℃로 냉각하여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메탄올(MeOH) 용액(1.25M, 140ml, 175.60mmol)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3.5ml, 21.07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상온으로 가온 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45℃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0℃로 냉각하고 포화된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sat. NaHCO3(aq))을 천천히 첨가하여 pH를 7로 조절하고 반응 용매를 제거하였으며 별도의 정제 없이 중간체 화합물(S76)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400MHz): δ 13.65 (br s, 1H), 8.57 (s, 1H), 8.15 (d, 1H), 7.34(s, 1H), 6.68 (t, 1H), 6.33 (br s, 2H).
54-2. 9-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210mg, 1.04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와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413mg, 2.98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54, 90mg, 2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9 (d, 1H), 8.27 (s, 1H), 7.91 - 7.88 (m, 1H), 7.39 - 7.26 (m, 5H), 6.81 (s, 2H), 6.67 - 6.64 (m, 1H), 5.34 (s, 2H).
실시예 55: 6-(1H-피라졸-1-일)-9-(피리딘-2-일메틸)-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200mg, 0.9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413mg, 2.9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2-(브로모메틸)피리딘 하이드로브로마이드(277mg, 1.09mmol)를 사용한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55, 30mg, 1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1 (d, 1 H), 8.50 (dt, 1 H), 8.26 (s, 1 H), 7.91 - 7.89 (m, 1 H), 7.79 (td, 1 H), 7.31 (dd, 1 H), 7.21 (d, 1 H), 6.77 (s, 2 H), 6.67 (dd, 1 H), 5.46 (s, 2 H).
실시예 56: 9-(4-아미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300mg, 1.4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618mg, 4.4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4-나이트로벤질 브로마이드(387mg, 1.79mmol)를 사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2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77, 260mg, 5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9 (d, 1H), 8.31 (s, 1H), 8.22 (d, 2H) 7.92 - 7.90 (m, 1H), 7.48 (d, 2H), 6.83 (s, 2H), 6.67 (dd, 1H), 5.51 (s, 2H).
단계 2: 9-(4-아미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7, 147mg, 0.44mmol)을 에탄올(EtOH)에 녹인 후, 여기에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296mg, 1.31mmol)와 농축된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수용액(Conc. HCl(aq), 0.8ml, 8.74mmol)을 천천히 첨가하고 5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포화된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sat. NaHCO3(aq))과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56, 12mg, 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8 (d, 1 H), 8.16 (s, 1 H), 7.88 (d, 1 H), 7.03 (m, 2 H), 6.78 (s, 2 H), 6.64 (dd, 1 H), 6.51 (m, 2 H), 5.11 (d, 4 H).
실시예 57: 9-(2,6-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200mg, 0.9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201mg, 1.4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2-(브로모메틸)-1,3-다이플루오로벤젠(308mg, 1.49mmol)을 사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2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57, 155mg, 4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03(s, 1H), 7.49 (m, 1H), 7.16 (t, 2H), 6.89(s, 2H), 5.34(s, 2H).
실시예 58: 9-(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100mg, 0.50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04mg, 0.75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브로마이드(0.1ml, 0.55mmol)를 사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밤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58, 91mg, 42.6%)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7 (dd, 1H), 8.32 (s, 1H), 8.09 (s, 1H), 8.03 (s, 2H), 7.90 (s, 1H), 6.82 (s, 2H), 6.66 (s, 1H), 5.33 (s, 2H).
실시예 59: 9-(4-아미노-2-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100mg, 0.50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03mg, 0.75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4-나이트로-벤젠(175mg, 0.75mmol)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50℃로 가온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액을 상온으로 식히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78, 30mg, 17%)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9.04 (d, 1H), 8.03 - 7.99 (m, 2H), 7.93 (d, 1H), 7.88 (s, 1H), 7.43 (t, 1H), 6.55 (q, 1H), 5.44 (s, 2H), 5.13 (s, 2H).
단계 2: 9-(4-아미노-2-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8, 40mg, 0.13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56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27mg, 0.56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농축된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수용액(Conc. HCl(aq)) 및 포화된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sat. NaHCO3(aq))을 사용하지 않고,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6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59, 5mg, 12%)을 얻었다.
1H-NMR (CD3OD, 400MHz): δ 8.93 (d, 2H), 7.85 (s, 1H), 7.80 (s, 1H), 7.03 (t, 1H), 6.52 (s, 1H), 6.49 - 6.29 (m, 2H), 5.13 (s, 2H).
실시예 60: 9-(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4-나이트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300mg, 1.4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227mg, 1.6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4-(브로모메틸)-1-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466mg, 1.64mmol)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50℃로 가온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액을 상온으로 식히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79, 50mg, 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11.17 (d, 1H), 9.53 (d, 1H), 9.14 (s, 1H), 8.94 (s, 1H), 8.21 (s, 1H), 8.00 (s, 1H), 6.83 (s, 1H), 5.76 (s, 2H).
단계 2: 9-(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79, 50mg, 0.12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56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140mg, 0.62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농축된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수용액(Conc. HCl(aq)) 및 포화된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sat. NaHCO3(aq))을 사용하지 않고,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6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60, 6mg, 1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7 (d, 1H), 8.22 (s, 1H), 7.88 (d, 1H), 7.39 (d, 1H), 7.29 (d, 1H), 6.79 (m, 3H), 6.64 (q, 1H), 5.65 (s, 2H), 5.17 (s, 2H).
실시예 61: 9-(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6-클로로-9-(4-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9H-퓨린-2-아민의 제조
6-클로로-9H-퓨린-2-아민(S74, 100mg, 0.59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1-(브로모메틸)-4-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84mg, 0.65mmol)과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90mg, 0.65mmol)를 첨가하고 50℃로 가온하여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80, 103mg, 4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51 (d, 1H), 8.41 - 8.38 (m, 1H), 8.26 (s, 1H), 7.09 (d, 1H), 7.00 (s, 2H), 5.65 (s, 2H), 2.53 (s, 3H).
단계 2: 6-하이드라지노-9-(4-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0, 90mg, 0.24mmol)을 메탄올(MeOH)에 녹인 후, 여기에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75ul, 2.42mmol)를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농축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별도의 정제 없이 중간체 화합물(S81, 70mg, 7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58 (br s, 1H), 8.50 (d, 1H), 8.46 - 8.43 (m, 1H), 7.83 (s, 1H), 6.93 (d, 1H), 5.99 (s, 2H), 5.55 (s, 2H), 4.44 (br s, 2H).
단계 3: 9-(4-나이트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1, 279mg, 0.76mmol)을 메탄올(MeOH)에 녹인 후, 여기에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124ul, 0.76mmol)과 1.25M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메탄올(MeOH) 용액 12.28ml를 0℃에서 첨가한 후 40℃로 가온하여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하고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재결정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82, 222mg, 73%)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1 (d, 1H), 8.52 (d, 1H), 8.42 - 8.39 (m, 1H), 8.30 (s, 1H), 7.39 (d, 1H), 7.09 (d, 1H), 6.84 (s, 2H), 6.69 - 6.68 (m, 1H), 5.69 (s, 2H).
단계 4: 9-(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2, 202mg, 0.50mmol)을 메탄올(MeOH)에 녹이고 팔라듐/카본 50m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5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로 거른 후, 그 여액을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61, 16mg, 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9 (d, 1H), 8.00 (s, 1H), 7.90 (s, 1H), 6.96 (d, 1H), 6.81 (s, 2H), 6.78 - 6.76 (m, 1H), 6.72 - 6.70 (m, 1H), 6.67 - 6.66 (m, 1H), 5.66 (s, 2H), 5.30 (s, 2H).
실시예 62: 9-(4-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2,6-다이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200mg, 0.9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201mg, 1.49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2-(브로모메틸)-1,3-다이플루오로-5-나이트로벤젠(375mg, 1.49mmol)을 사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2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83, 50mg, 14%)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3 (d, 1H), 8.21 (s, 1H), 8.11 - 8.08 (dq, 2H), 7.88 (d, 1H), 6.74 (s, 2H), 6.64 - 6.63 (dd, 1H), 5.49 (s, 2H).
단계 2: 9-(4-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3, 50mg, 0.13mmol)을 아세톤에 녹인 후, 여기에 레이니 니켈(Raney Nickel)을 과량 첨가하고 상온 및 수소 가스 가압 조건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농축하고 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62, 5.3mg, 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5 (d, 1H), 7.95 (s, 1H), 7.87 (s, 1H), 6.75 (s, 2H), 6.64 (d, 1H), 6.22 (d, 2H), 5.91 (s, 2H) 5.14 (s, 2H).
실시예 63: 9-(4-아미노-2,3-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2,3-다이플루오로-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100mg, 0.4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01mg, 0.74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2-(브로모메틸)-1,3-다이플루오로벤젠(125mg, 0.49mmol)을 사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액을 여과한 여액을 에틸아세테이트(EA)로 희석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대신 소듐 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84, 35.4mg, 24%)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7 (d, 1H), 8.26 (s, 1H), 7.98 - 7.94 (dq, 1H), 7.90 (d, 1H), 7.10 - 7.06 (dq, 1H), 6.83 (s, 2H), 6.76 (dq, 1H), 6.67 (dd, 1H), 5.54 (s, 2H).
단계 2: 9-(4-아미노-2,3-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4, 35.4mg, 0.10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6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63, 5.0mg, 1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7 (d, 1H), 8.12 (s, 1H), 7.88 (d, 1H), 6.79 (s, 2H), 6.76 (dq, 1H), 6.65 (t, 1H), 6.53 - 6.49 (dq, 1H), 5.58 (s, 2H), 5.21 (s, 2H).
실시예 64: 9-(4-아미노-3-클로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3-클로로-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200mg, 0.9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315mg, 2.2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4-(브로모메틸)-2-클로로-1-나이트로벤젠(191mg, 0.76mmol)을 사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S85, 145mg, 56%)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8 (d, 1H), 8.29 (s, 1H), 8.07 (d, 1H), 7.92 - 7.86 (m, 1H), 7.73 (d, 1H), 7.40 (dd, 1H), 6.83 (s, 2H), 6.66 (dd, 1H), 5.46 (s, 2H).
단계 2: 9-(4-아미노-3-클로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5, 145mg, 0.43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56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288mg, 1.27mmol) 및 농축된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수용액(Conc. HCl(aq), 0.72ml, 8.6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포화된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sat. NaHCO3(aq))을 사용하지 않고, 5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5℃로 가온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6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64, 47mg, 3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7 (s, 1 H), 8.21 (s, 1 H), 7.88 (s, 1 H), 7.23 (s, 1 H), 7.03 (d, 1 H), 6.82 - 6.72 (m, 3 H), 6.65 (d, 1 H), 5.40 (s, 2 H), 5.13 (s, 2 H).
실시예 65: 9-(4-아미노-2-플루오로-5-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2-플루오로-5-메틸-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244mg, 1.21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502mg, 3.63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1-(브로모메틸)-2-플루오로-5-메틸-4-나이트로벤젠(300mg, 1.12mmol)을 사용한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S86, 395mg, 4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7 (d, 1H), 8.24 (s, 1H), 7.96 - 7.89 (m, 2H), 7.39 (d, 1H), 6.82 (s, 2H), 6.67 - 6.65 (m, 1H), 5.45 (s, 2H), 2.32 (s, 3H).
단계 2: 9-(4-아미노-2-플루오로-5-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6, 231mg, 0.62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56의 단계 2에서 틴(II) 클로라이드 다이하이드레이트(SnCl2·2H2O, 423mg, 1.87mmol) 및 농축된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 수용액(Conc. HCl(aq), 1.1ml, 12.4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포화된 소듐바이카르보네이트 수용액(sat. NaHCO3(aq))을 사용하지 않고, 1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4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6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65, 93mg, 44%)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8 (d, 1H), 8.14 (s, 1H), 7.91 - 7.88 (m, 1H), 6.79 (s, 2H), 6.65 (dd, 1H), 6.51 (d, 1H), 6.01 (d, 1H), 5.26 (s, 2H), 5.14 (s, 2H), 2.06 (s, 3H).
실시예 66: 9-(4-아미노-2-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2-메틸-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50mg, 0.25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52mg, 0.37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1-(브로모메틸)-2-메틸-4-나이트로벤젠(86mg, 0.373mmol)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50℃로 가온하여 19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87, 69mg, 7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0 (d, 1H), 8.23 (s, 1H), 8.17 - 8.15 (m, 1H), 8.00 (m, 1H), 7.91 (d, 1H), 6.91 (d, 1H), 6.81 (s, 2H), 6.68 - 6.67 (m, 1H), 5.46 (s, 2H), 2.53 (s, 3H).
단계 2: 9-(4-아미노-2-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7, 68mg, 0.15mmol)을 메탄올(MeOH)에 녹이고 팔라듐/카본 15mg을 첨가한 후 상온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패드로 거른 후, 그 여액을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66, 12mg, 20%)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8 (d, 1H), 7.97 (s, 1H), 7.89 (s, 1H), 6.78 - 6.76 (m, 3H), 6.65 (m, 1H), 6.41 (m, 1H), 6.36 - 6.33 (m, 1H), 5.11 (s, 2H), 5.05 (s, 2H), 2.18 (s, 3H).
실시예 67: 9-(4-아미노-3-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6-클로로-9-(3-메틸-4-나이트로벤질)-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61의 단계 1에서 6-클로로-9H-퓨린-2-아민(S74, 167mg, 0.98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50mg, 1.0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19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2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는 대신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재결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61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88, 306mg, 9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26 (s, 1H), 7.98 - 7.96 (m, 1H), 7.38 (s, 1H), 7.26 - 7.23 (m, 1H), 6.97 (s, 2H), 5.39 (s, 2H), 2.53 (s, 3H).
단계 2: 6-하이드라지노-9-(3-메틸-4-나이트로벤질)-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8, 306mg, 0.96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61의 단계 2에서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149ul, 4.8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19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24시간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61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89, 254mg, 84%)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49 (br s, 1H), 7.98 - 7.93 (m, 1H), 7.82 (s, 1H), 7.32 (s, 1H), 7.18 (dd, 1H), 5.96 (s, 2H), 5.29 (s, 2H), 4.42 (br s, 2H), 2.50 (s, 3H).
단계 3: 9-(3-메틸-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89, 214mg, 0.68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61의 단계 3에서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112ul, 0.68mmol)과 1.25M 하이드로젠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메탄올(MeOH) 용액(11.02m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22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액을 재결정으로 정제하는 대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61의 단계 3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90, 144mg, 60%)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9 (dd, 1H), 8.29 (s, 1H), 7.98 (d, 1H), 7.90 (dd, 1H), 7.39 (s, 1H), 7.26 (dd, 1H), 6.82 (s, 2H), 6.67 - 6.66 (m, 1H), 5.43 (s, 2H), 2.51 (s, 3H).
단계 4: 9-(4-아미노-3-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3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90, 143mg, 0.41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61의 단계 4에서 메탄올(MeOH)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 및 메탄올(MeOH)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팔라듐/카본(48mg)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5일 동안 교반하는 대신 23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 패드로 거른 후 별도의 농축 및 정제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61의 단계 4와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목적 화합물(67, 19mg, 15%)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9 (dd, 1H), 8.29 (s, 1H), 7.98 (d, 1H), 7.90 (dd, 1H), 7.39 (s, 1H), 7.26 (dd, 1H), 6.82 (s, 2H), 6.67 - 6.66 (m, 1H), 5.43 (s, 2H), 5.32(s, 2H), 2.51 (s, 3H)
실시예 68: 9-(4-아미노-3,5-다이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단계 1: 9-(3,5-다이메틸-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100mg, 0.50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85mg, 0.75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5-(브로모메틸)-1,3-다이메틸-2-나이트로벤젠(100mg, 0.50mmol)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50℃로 가온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에틸아세테이트(EA)를, 마그네슘 설페이트 대신 소듐 설페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91, 38mg, 26%)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9 (d, 1H), 8.26 (s, 1H), 7.89 (dd, 1H), 7.17 (s, 2H), 6.80 (m, 2H), 6.66 - 6.65 (dd, 1H), 5.34 (s, 2H), 2.18 (s, 6H).
단계 2: 9-(4-아미노-3,5-다이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91, 38mg, 0.11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62의 단계 2에서 반응 혼합액을 셀라이트 패드에 거른 후, 그 여액을 농축하여 정제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62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68, 5.3mg, 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8 (d, 1H), 8.14 (s, 1H), 7.87 (d, 1H), 6.81 (s, 2H), 6.77 (m, 2H), 6.64 (dd, 1H), 5.07 (s, 2H), 4.59 (s, 2H), 2.03 (s, 6H).
실시예 69: 9-(4-아미노-3-에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9-(3-에틸-4-나이트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94mg, 0.55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53mg, 1.1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4-(브로모메틸)-2-에틸-1-나이트로벤젠(149 mg, 0.61mmol)을 사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1일 동안 교반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DCM) 대신 5% 메탄올(MeOH)을 포함하는 다이클로로메테인(DCM) 용액을, 증류수 대신 소금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92, 128mg, 69%)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9 (d, 1H), 8.29 (s, 1H), 7.91 - 7.89 (m, 2H), 7.46 (d, 1H), 7.24 - 7.22 (m, 1H), 6.81 (s, 2H), 6.67 - 6.65 (m, 1H), 5.43 (s, 2H), 2.81 - 2.79 (m, 2H), 1.19 - 1.15 (m, 3H).
단계 2: 9-(4-아미노-3-에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92, 46mg, 0.12mmol)과 10% 팔라듐/카본 12mg을 에틸아세테이트(EA) 및 메탄올(MeOH) 혼합 용매에 녹이고 수소 가압 조건에서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셀라이트 패드로 거른 후, 그 여액을 농축하고, 상기 농축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재결정하여 목적 화합물(69, 23mg, 54%)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08 (d, 1H), 8.15 (s, 1H), 7.88 (d, 1H), 6.98 (d, 1H), 6.89 - 6.87 (m, 1H), 6.78 (s, 2H), 6.64 - 6.63 (m, 1H), 6.54 (d, 1H), 5.10 (s, 2H), 4.89 (s, 2H), 2.42 - 2.36 (m, 2H), 1.17 - 1.07 (m, 3H).
실시예 70: 9-((6-메틸피리딘-2-일)메틸)-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402mg, 2.00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830mg, 6.0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2-(브로모메틸)-6-메틸피리딘(372mg, 2.00mmol)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5℃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70, 128mg, 21%)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1 (d, 1 H), 8.26 (s, 1 H), 7.90 (d, 1 H), 7.65 (t, 1 H), 7.17 (d, 1 H), 6.88 (d, 1 H), 6.78 (s, 2 H), 6.66 (dd, 1 H), 5.39 (s, 2 H), 2.43 (s, 3 H).
실시예 71: 2-(6-((2-아미노-6-(1H-피라졸-1-일)-9H-퓨린-9-일)메틸)피리딘-2-일)프로판-2-올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85mg, 0.42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75mg, 1.26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2-(6-(브로모메틸)피리딘-2-일)프로판-2-올(S93, 122mg, 0.38mmol)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5℃로 가온하여 2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71, 42mg, 3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1 (d, 1 H), 8.26 (s, 1 H), 7.90 (d, 1 H), 7.73 (t, 1 H), 7.54 (d, 1 H), 6.94 (d, 1 H), 6.75 (s, 2 H), 6.66 (dd, 1 H), 5.43 (s, 2 H), 5.17 (s, 1 H), 1.32 (s, 6 H).
실시예 72: (R)-6-(1H-피라졸-1-일)-9-((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메틸)피리딘-2-일)메틸)-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4-2에서 실시예 54-1의 화합물(S76, 59.15mg, 0.29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122mg, 0.88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벤질 브로마이드(0.15ml, 1.25mmol) 대신 (R)-2-(브로모메틸)-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메틸)피리딘(S94, 61.5mg, 0.29mmol)을 사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대신 45℃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54-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72, 54mg, 48%)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11 (d, 1 H), 8.26 (s, 1 H), 7.92 - 7.89 (m, 1 H), 7.78 (t, 1 H), 7.34 (d, 1 H), 7.02 (d, 1 H), 6.78 (s, 2 H), 6.67 (dd, 1 H), 5.44 (s, 2 H), 4.49 (s, 2 H), 4.25 - 4.20 (m, 1 H), 3.77 - 3.61 (m, 4 H), 1.93 (td, 2 H).
실시예 73: 1-(2-아미노-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보나이트릴의 제조
단계 1: 1-(2-아미노-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보나이트릴의 제조
6-클로로-9H-퓨린-2-아민(S74, 500mg, 2.95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448mg, 3.24mmol)와 1H-피라졸-3-카르보나이트릴(302mg, 3.24mmol)을 첨가하고 10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화합물(S95, 250mg, 37.4%)을 얻었다.
1H-NMR (CD3OD, 400MHz): δ 8.97 (dd, 1H), 8.21 (s, 1H), 7.10 (dd, 2H).
단계 2: 1-(2-아미노-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보나이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95, 112.8mg, 0.50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이고 0℃에서 60% 소듐하이드라이드(NaH, 22mg, 0.55mmol)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후, 2,6-다이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124.2mg, 0.60mmo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73, 108mg, 61.3%)을 얻었다.
1H-NMR (CDCl3, 400MHz): δ 9.25 (dd, 1H), 7.88 (s, 1H). 7.38 - 7.33 (m, 1H), 6.99 - 6.94 (m, 2H), 6.90 (dd, 1H), 5.39 (s, 2H).
실시예 74: 1-(2-아미노-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6-일)-1H-피라졸-4-카르보나이트릴의 제조
단계 1: 1-(2-아미노-9H-퓨린-6-일)-1H-피라졸-4-카르보나이트릴의 제조
상기 실시예 73의 단계 1에서 1H-피라졸-3-카르보나이트릴(302mg, 3.24mmol) 대신 1H-피라졸-4-카르보나이트릴(302mg, 3.24mmo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3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96, 285mg, 42.7%)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7.57 (s, 1H), 7.44 (s, 1H), 7.32 (s, 1H).
단계 2: 1-(2-아미노-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6-일)-1H-피라졸-4-카르보나이트릴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96, 150mg, 0.66mmo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73의 단계 2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목적 화합물(74, 122mg, 52.6%)을 얻었다.
1H-NMR (CD3OD, 400MHz): δ 9.53 (s, 1H), 8.29 (s, 1H), 8.12 (s, 1H), 7.46 - 7.44 (m, 1H), 7.09 - 7.05 (m, 2H), 5.50 (s, 2H).
실시예 75: 9-(2,6-다이플루오로벤질)-6-(4-(피리딘-4-일)-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단계 1: 6-클로로-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3의 단계 1에서 6-클로로-9H-퓨린-2-아민(S74, 1.86g, 10.98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2.28g, 16.50mmol)의 첨가량을 변경하고, 100℃로 가온하여 교반하는 대신 상온에서 교반하고, 농축액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정제하는 대신 재결정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73의 단계 1과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중간체 화합물(S97, 2.6g, 80.2%)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8.09 (s, 1H), 7.49 - 7.45 (m, 1H), 7.15 (t, 2H), 6.68 (br s, 2H), 5.35 (s, 2H).
단계 2: 9-(2,6-다이플루오로벤질)-6-(4-(피리딘-4-일)-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중간체 화합물(S97, 50mg, 0.17mmol)을 N,N-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녹인 후, 여기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K2CO3, 28.2mg, 0.20mmol)와 4-(1H-피라졸-4-일)피리딘(145.16mg, 0.18mmol)을 첨가하고 100℃로 가온하여 1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액을 다이클로로메테인(DCM)으로 희석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였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 여과, 농축한 뒤, 상기 농축액을 재결정하여 목적 화합물(75, 42.2mg, 61.4%)을 얻었다.
1H-NMR (DMSO-d6, 400MHz): δ 9.51 (s, 1H), 8.59 - 8.58 (m, 2H), 8.54 (s, 1H), 8.18 (s, 1H), 7.74 (dd, 2H), 7.51 - 7.47 (m, 1H), 7.17 (t, 2H), 6.82 (br s, 2H), 5.42 (s, 2H).
[시험예]
시험예 1: 인간 아데노신 A2A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 결합 어세이(Ligand binding assay)
(1) 실험 과정
실시예 1 내지 75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인간 아데노신 A2A 수용체에 대한 결합 분석을 하기 위해 Tag-lite® 인간 아데노신 A2A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 결합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시약은 Cisbio사로부터 구매하였다(Tag-lite Adenosine A2A labeled Cells, ready-to-use (transformed & labeled), 200 tests* (Part# C1TT1A2A), Tag-lite Buffer (5X concentrate) 100 mL (Part# LABMED), Adenosine A2A Receptor red antagonist Fluorescent Ligand (Part# L0058RED)). 또한, Cisbio사에서 제공된 Tag-lite® 아데노신 A2A 수용체 리간드 결합 어세이는 화합물 프로파일링(compound profiling) 수행 시,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리간드 결합 어세이에 대한 동질적인 대안(homogeneous alternative)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Cisbio사에서 제공한 프로토콜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어세이를 진행하였다.
1-1. 워킹 Tag-lite 버퍼(TLB) 1X 준비
어세이에 필요한 양의 Tag-lite 버퍼 1X를 결정한 뒤, 100ml Tag-lite 버퍼 5X를 해동하였다. Tag-lite 버퍼 5X를 증류수에 5배 희석하여 Tag-lite 버퍼 1X를 준비하였고 부드럽게 섞었다.
1-2. 화합물 희석
에펜도르프 튜브에 시험 물질별로 30 mM DMSO 스톡을 제조하였다. 30mM DMSO 스톡 중 20ul씩을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옮긴 후, DMSO를 이용하여 30mM부터 0.003uM까지 1/10로 연속 희석하였다. 각 96웰에 연속희석된 시험 물질들을 멀티채널 파이펫(Integra, VOYAGER pipette)을 이용하여 2ul씩 다른 96웰 플레이트에 옮긴 후 TLB 1X를 148ul 첨가하여 4X 워킹 솔루션을 제조하였다.
1-3. 형광리간드 준비
제공된 형광 리간드 농도는 바이알 라벨에 표시하였다. 리간드 바이알을 원심분리한 다음, 바이알 라벨에 표시되어 있는 농도를 기준으로 TLB 1X로 형광 리간드 스톡을 희석하여 80 nM의 워킹 솔루션을 제조하였다.
1-4. 라벨되어 있지 않은 리간드 준비
비특이적인 신호를 확인하기 위하여 라벨되어 있는지 않은 리간드(unlabeled ligand, ZM241,385)에 대한 DMSO stock을 에펜도르프 튜브에 준비한 뒤, TLB 1X를 이용하여 100X의 워킹 솔루션 스톡(40uM)을 제조하였다.
1-5. 세포 해동 및 준비
5mL의 차가운 TLB 1X가 들어 있는 팔콘 튜브(falcon tube)를 준비하였다. 라벨이 된 냉동 세포(1 바이알)를 37℃의 수조에서 얼음이 모두 녹을 때까지 1~2분 동안 수동으로 교반하였다. 해동된 세포를 TLB 1X가 들어 있는 팔콘 튜브로 피펫팅을 통해 신속히 이동시켰다. 1200G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석션하여 상등액을 부드럽게 제거한 후, 남은 펠렛을 1ml 1X TLB를 이용하여 현탁시켰다. 이후, 위아래로 여러 번 피펫팅을 하여 부드럽게 섞었다. 1.7ml의 1X TLB를 첨가하였고 위아래로 여러 번 피펫팅을 하여 다시 부드럽게 섞었다. 다음 과정을 위해 해당 세포를 실온에 잠시 보관하였다.
1-6. 경쟁적인 결합 분석
우선, 상기 1-5에서 해동한 세포를 기계식 멀티채널 파이펫(Integra, VOYAGER pipette)으로 지정된 384웰(Greiner bio, 784075)에 10ul씩 분주하였다. 1-2에서 희석한 시험 물질들을 각각 96웰용 멀티채널 파이펫으로 현탁을 진행하자마자 기계식 멀티채널 파이펫(Integra, VOYAGER pipette)을 이용하여 지정된 384웰에 5ul씩 분주하였다. 특이적인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TLB 1X 5ul과 1-4에서 준비한 용액 5ul도 각각 지정된 384웰에 분주하였다. 1-3에서 준비된 형광 리간드 워킹 용액을 지정된 384well에 5ul씩 분주하였다.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한 뒤, plate reader(Biotek, Synergy H4)에 384웰 플레이트를 삽입한 후, 신호를 분석하였다.
1-7. 데이터 분석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해서 각 웰의 억셉터(acceptor)와 도너(donor) 방출 신호를 계산하였다. 시험 물질들마다 계산된 농도별 HTRF 비율을 Sigmaplot 12.5에 입력하였고, 시험 물질별 Ki를 산출하였다.
[식 1]
(2) 실험 결과
상기 인간 아데노신 A2A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 결합 어세이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 hA2A K i (nM) | 실시예 | hA2A K i (nM) |
3 | A | 57 | A |
7 | B | 59 | A |
8 | A | 60 | A |
9 | C | 61 | C |
10 | A | 62 | A |
11 | B | 63 | B |
13 | B | 64 | A |
14 | C | 65 | B |
15 | C | 67 | A |
17 | A | 68 | C |
40 | A | 69 | A |
41 | A | 70 | C |
42 | B | 71 | C |
43 | B | 72 | C |
54 | B | 73 | C |
55 | C | 74 | A |
56 | C |
한편, 상기 표 1에서 인간 아데노신 A2A 수용체에 대한 리간드 결합 어세이 결과의 분류 범위는 다음과 같다.
- A : Ki ≤ 25 nM
- B : 25 nM < Ki ≤100 nM
- C : Ki > 100 nM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 8, 10, 17, 40, 41, 57, 59, 60, 62, 64, 67, 69, 74는 A2A 수용체에 대한 결합이 Ki ≤ 25 nM 수준에서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
상기 화학식 I에서,
Cy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5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고리를 형성하고;
R은 R1, R2 및 R3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피리딘기이고;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보닐기, 아마이드기, 나이트로기, 아미노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키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3 할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3 아미노알킬기,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키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10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R4, R5 및 R6로 치환되고, 1 내지 3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5원의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고리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5 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케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2-C5 알키닐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3 할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기,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3-C10 아릴, 또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4-C10 헤테로아릴이다. - 청구항 1에 있어서,
Cy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5원의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은 R1, R2 및 R3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피리딘기이고;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아미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1-C3 아미노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R4, R5 및 R6로 치환된 피라졸기 또는 트리아졸기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청구항 1에 있어서,
Cy는 1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5원의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은 또는 로서, Cy의 질소 원자와 결합되고;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아미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1-C3 아미노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C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또는 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청구항 1에 있어서,
Cy는 1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고,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5원의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R은 또는 로서, Cy의 질소 원자와 결합되고;
R1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할로젠, 아미노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C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또는 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청구항 4에 있어서,
R1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C1-C5 알킬기, C1-C3 할로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할로젠, 아미노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C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청구항 1에 있어서,
Cy는 상기 Cy와 결합된 피리미딘 고리 내 원자와 함께, 피라졸로피리미딘, 또는 퓨린을 형성하고;
R은 또는 로서, Cy의 질소 원자와 결합되고;
R1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할로젠, 아미노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C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이고;
Het은 또는 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티올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케닐기, C2-C5 알키닐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청구항 6에 있어서,
R1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C1-C5 알킬기, C1-C3 할로알킬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2는 수소, 할로젠, 아미노기 또는 C1-C5 알콕시기이고;
R'은 Cy의 탄소 원자와 결합되고, 수소, 할로젠,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2-C5 알키닐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이고; 및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 히드록시기, 시아노기, C1-C5 알킬기, C1-C3 할로알킬기, C3-C8 사이클로알킬기, C3-C10 아릴, 또는 C4-C10 헤테로아릴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4-(1H-피라졸-1-일)-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3-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리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플루오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3-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메톡시-5-(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메톡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메틸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S)-4-(1H-피라졸-1-일)-1-((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메틸)피리딘-2-일)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벤질)-4-(3-(tert-부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사이클로프로필-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페닐-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클로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브로모-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4-클로로-3,5-다이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5-다이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플루오로벤질)-4-(3-메틸-1H-1,2,4-트리아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4-(3-메틸-1H-피라졸-1-일)-1-(2,3,6-트리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3-((6-아미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4-플루오로페놀;
3-((6-아미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페놀;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플루오로-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4-(4-(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6-아미노-1-(2,6-다이플루오로벤질)-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1H-피라졸-4-올;
1-(2,6-다이플루오로벤질)-3-메틸-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메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틸-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틸-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3-사이클로로프로필-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3-사이클로로플로필-1-(2,6-다이플루오로벤질)-4-(3-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틴일-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1-(2,6-다이플루오로벤질)-3-에틴일-4-(4-메틸-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3-클로로-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6-아민;
6-아미노-1-(2,6-다이플루오로벤질)-4-(1H-피라졸-1-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카르보나이트릴;
9-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6-(1H-피라졸-1-일)-9-(피리딘-2-일메틸)-9H-퓨린-2-아민;
9-(4-아미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2,6-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트리풀루오로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6-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3-다이플루오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클로로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플루오로-5-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2-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5-다이메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4-아미노-3-에틸벤질)-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9-((6-메틸피리딘-2-일)메틸)-6-(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2-(6-((2-아미노-6-(1H-피라졸-1-일)-9H-퓨린-9-일)메틸)피리딘-2-일)프로판-2-올;
(R)-6-(1H-피라졸-1-일)-9-((6-(((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메틸)피리딘-2-일)메틸)-9H-퓨린-2-아민;
1-(2-아미노-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6-일)-1H-피라졸-3-카르보나이트릴;
1-(2-아미노-9-(2,6-다이플루오로벤질)-9H-퓨린-6-일)-1H-피라졸-4-카르보나이트릴; 및
9-(2,6-다이플루오로벤질)-6-(4-(피리딘-4-일)-1H-피라졸-1-일)-9H-퓨린-2-아민. -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용매화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데노신 A2A 수용체(Adenosine A2A receptor)에 대한 길항 작용을 나타내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 내막암, 자궁경부암, 방광암, 두경부암, 신세포 암종, 식도암, 췌장암, 뇌암, 위장관암, 간암, 백혈병, 림프종, 흑색종, 다발성 골수종, 유윙 육종, 골육종, 결장직장암, 담관암, 융모막암종, 구강암, 신경모세포종, 피부암, 고환암, 기질종양, 생식세포종양, 또는 갑상선암인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다른 항암제와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병용 투여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캅셀제, 시럽, 에멀젼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을 포함하는 제제학적으로 허용된 형태로 제제화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153A KR20210076693A (ko) | 2019-12-16 | 2019-12-16 |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의약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8153A KR20210076693A (ko) | 2019-12-16 | 2019-12-16 |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의약 용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6693A true KR20210076693A (ko) | 2021-06-24 |
Family
ID=7660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8153A Pending KR20210076693A (ko) | 2019-12-16 | 2019-12-16 |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의약 용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7669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620B1 (ko) | 2001-11-09 | 2010-01-20 | 씨브이 쎄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 A2b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 |
-
2019
- 2019-12-16 KR KR1020190168153A patent/KR20210076693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7620B1 (ko) | 2001-11-09 | 2010-01-20 | 씨브이 쎄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 A2b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72386B (zh) | 雜芳基并[4,3-c]嘧啶-5-胺類衍生物、其製備方法及其在醫藥上的使用 | |
TWI744218B (zh) | 吲哚甲醯胺化合物 | |
KR101588583B1 (ko) | 키나제 억제제로서의 이미다조트리아진 및 이미다조피리미딘 | |
EP1123296B1 (en) | PYRAZOLOPYRIMIDINONE cGMP PDE5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SEXUAL DYSFUNCTION | |
US7902369B2 (en) | Diaryl-substituted five-membered heterocycle derivative | |
JP6437140B2 (ja) | ピロロピリミジン化合物による抗腫瘍効果増強剤 | |
US10174040B2 (en) | Pyrrolopyrimidine compound or salt thereof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pyrrolopyrimidine compound or salt thereof | |
EP2933248B1 (en) | Novel renin inhibitor | |
CN104411707B (zh) | 取代的苯基咪唑并吡唑及其用途 | |
WO2018221433A1 (ja) | ヘテロアリールアミン誘導体 | |
JP6257835B2 (ja) | 新規なトリアゾロピリミジノン又はトリアゾロピリジノン誘導体、及びこれらの用途 | |
CA2979222A1 (en) | Triazolyl pyrimidinone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 |
US20240400518A1 (en) | Sos1 inhibitor and use thereof | |
KR102749480B1 (ko) |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 화합물 | |
CN113227095B (zh) | 作为irak4抑制剂的新三环化合物 | |
CN102050824A (zh) | 哌嗪并三唑衍生物 | |
KR20210076693A (ko) | 질소를 포함하는 헤테로고리로 치환된 축합 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의약 용도 | |
CN108779100A (zh) | 3,4-二吡啶基吡唑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 |
KR102621694B1 (ko) | 아데노신 a2a 수용체 길항제 및 이의 용도 | |
CN110655509B (zh) | 2-胺基嘧啶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 |
WO2022188792A1 (zh) | 具有蛋白激酶抑制活性的杂环化合物、包含其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 |
KR20240127910A (ko) | Sos1 억제제 및 항암제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CN111217816A (zh) | 一类flt3激酶抑制剂及其制备和应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