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787A - 정화탱크 - Google Patents
정화탱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4787A KR20210074787A KR1020190165845A KR20190165845A KR20210074787A KR 20210074787 A KR20210074787 A KR 20210074787A KR 1020190165845 A KR1020190165845 A KR 1020190165845A KR 20190165845 A KR20190165845 A KR 20190165845A KR 20210074787 A KR20210074787 A KR 202100747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frame
- collecting unit
- slate
- purification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6 microbi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일정길이 방향으로 오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구조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의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는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패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며; 상기 바닥패널 일측면과 수직하도록 일정 높이의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집부 오목구조의 전면 및 후면 개구부에는 모서리부 패널 및 수집부 패널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사육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정화탱크를 제공함으로써, 양식장에서 배수되는 사육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사육수가 본 발명에 따른 정화탱크를 이동하면서 슬러지 제거가 가능함으로 제거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식장에 배출되는 사육수의 정화가 가능한 정화탱크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정화탱크를 연결하여 용도별, 슬러지 크기별로 제거가 가능하고, 적은 작동 에너지로 보다 사육수의 슬러지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정화탱크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과 도시로의 인구 집중화로 인하여 각 도시를 끼고 흐르며 식수원이기도 한 하천은 폐수 및 생활하수 등의 각종 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있으나,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정화시설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갈수기에는 오염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취수정의 물이 식수용으로 적합지 않을 정도로 오염되는 하천도 발생하는 실정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폐수가 발생하는 장소에서 1차적인 정화를 시켜야하고, 하천으로 유입시키기 전 오염수를 정화한 후 하천으로 방출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정화탱크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 개정된 법에 따라 양식장의 경우 양식장 전체 용량의 20%에 해당되는 정화 탱크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정화탱크에는 오폐수나 분뇨 등이 저장되고 유입구의 개수에 따라 단독형과 멀티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 멀티형은 다가구 주택이나 다세대 주택 또는 아파트와 같이 많은 세대가 거주하는 한 동의 건물에서 사용되는데, 정화탱크의 파손으로 인하여 주변 토양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화조 주위에 보장용 또는 누출방지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정화탱크 주위에 콘크리트나 래미콘을 부어 일체로 양생하는 정화조 구조물은 매설하고자 하는 지점에 터파기를 하여 매립지를 형성한 후, 상기 매립지에 콘크리트 등을 부어 바닥과 둘레에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에는 에프알피(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이루어진 정화조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정화조와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토사를 채워 바이브레이터로 다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 정화탱크에서는 오폐수의 특성과 요구되는 처리 정도에 따라 그 선택이 좌우되나, 일반적으로 물리적처리, 화학적처리, 미생물학적 처리와 그 외에도 상기한 처리방법으로도 처리되지 않는 유해물질을 추가로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폐수 처리에서 미생물적 처리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로 이루어진다. 호기성은 미생물의 생존에 용존산소가 필요한 경우이고, 혐기성은 용존산소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하여 정화한다.
정화탱크는 단기간에 실시가 가능하고 비용이 적게 들면서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선행문헌으로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192378에는 매립형 탱크에 구비된 오수 정화 처리 장치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고,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392296호에는 물탱크용 정화장치에 관하여 게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입수 및 배수와 동시에 정화가 이루어지는 구성은 게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양식장 설치에 따라 정화 탱크 설치가 의무화됨에 따라서, 보다 적은 에너지를 공급하여 사육수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화탱크를 제공하자고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탱크는 일정길이 방향으로 오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구조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의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는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패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며; 상기 바닥패널 일측면과 수직하게 일정 높이의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집부 전면 및 후면 말단부에는 모서리부 패널 및 수집부 패널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사육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벽패널은 일정높이로 형성된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양단에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평면상 단면이 ㄷ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바닥패널의 일측은 상기 수집부의 경사프레임 일단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외벽패널과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일의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 측면부는 단일의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 측면과 맞닿고 외벽패널의 함입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다수개 연결되며, 상기 연결은 고정장치를 매개로 이웃하는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수집부 패널은 수집부 오목구조의 전면 및 후면 개구부에 대응하여 폐쇄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모서리부 패널 및 외벽패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과 상기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 양단에는 외측을 향하여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평단면측이 ㄷ자의 단면구조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발명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집부 패널에는 입수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설치되는 수집부 패널에는 배수구가 설치되어 입수구에 유입된 사육수는 배수구로 배수되도록 이동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배수구 외측에 설치되어 배수된 사육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케이싱 구조로 하부에는 배수구를 통해 배수된 사육수 및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통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수통이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패널 및 수집부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이 수집부 패널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개의 사육수 저장공간으로 구분되는 것일수있다.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배수되는 사육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사육수가 본 발명에 따른 정화탱크를 이동하면서 슬러지 제거가 가능함으로 제거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화탱크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집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연결되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집부 배출공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내부로 입수되는 사육수의 이동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화탱크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집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연결되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집부 배출공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내부로 입수되는 사육수의 이동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실시예 1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정화탱크와 관련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화탱크 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정화탱크는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고 사육수 슬러지가 수집되는 오목공간이 형성되는 수집부(500); 상기 수집부에는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패널(600)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며; 상기 바닥패널 일측면과 수직하게 일정 높이의 외벽패널(100)이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집부 전면 및 후면 말단부에는 모서리부 패널(300) 및 수집부 패널(400)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사육수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집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수집부(500)는 본 발명의 탱크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상에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일정길이 방향으로 오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구조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프레임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수집부의 오목구조에는 사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사육수 슬러지가 경사를 따라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오목구조 측면에는 수집부 배출공이 설치되어 상기 오목구조에 수집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패널(600)은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나 이상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정화탱크의 바닥부를 형성하여 바닥패널의 일측은 수집부의 경사프레임 일단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외벽패널과 연결된다.
외벽패널(100)은 일정높이로 형성된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양단에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평면상 단면이 ㄷ자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외벽패널은함입되는 프레임이 외향하도록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고, 외벽패널의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측면부는 이웃하는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측면부와 맞닿도록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외벽패널이 수평방향으로 다수개 연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연결되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상기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경우 고정장치(S)를 매개로 이웃하는 외벽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 측면에는 고정장치 수용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의 일 구현예로서 볼트와 너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집부 패널(400)은 수집부의 오목구조의 전, 후면 개구부와 대응하여 폐쇄할 수 있는 형태로 모서리부 패널 및 외벽패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과, 상기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 양단에는 외향을 향하여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평측이 ㄷ자의 단면을 이룬다.
수집부 패널의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에는 모서리부 패널(300)이 연결 설치된다. 모서리부 패널은 수집부패널과 동일한 높이의 슬래이트판 일단에는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수집부 패널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벽패널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과 연결된다.
수집부 패널의 측면에는 입수구(401) 및 배수구(402)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정면부에 설치되는 수집부 패널에는 입수구가 형성되고, 후면부에 설치되는 수집부 패널에는 배수구가 설치되어 정화탱크 내부로 사육수가 입수되어 일방향으로 흐른 후 배수가 가능하다. 또한, 배수구에는 배수통(700)이 설치되어 배수구로 배출되는 사육수의 슬러지가 최종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통은 배수구 외측에 설치되어 배수된 사육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케이싱 구조로 하부에는 배수구를 통해 배수된 사육수 및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통 배수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탱크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는 일정 용량의 사육수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 공간에는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의 판형태의 격벽(200)이 수집부 패널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저장공간은 다수개의 공간으로 나뉘게 된다. 이에 저장공간에 유입된 사육수는 수집부의 오목구조를 따라 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일정 크기의 수압을 가지고 입수구로 유입된 사육수가 격벽에 부딪힘으로써 사육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가 바닥부로 가라앉게 되고, 수류의 크기도 약해진 상태로 저장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큰 사육수 찌꺼기가 수집부 오목구조에 수집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집부 배출공(403) 투시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정화탱크 내부로 입수되는 사육수의 이동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수집부 배출공은 수집부의 오목구조 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수집부 오목구조에 수집된 사육수 슬러지를 1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화탱크가 배수통(700)을 매개로 연결된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배수통 측절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배수통은 단일의 수집부패널 배수구(402)와 이웃하는 수집부패널 입수구(401)를 연결할 수 있는 케이싱 형상으로 내부에는 배수구에서 배출된 사육수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상기 배수구에는 배수구 파이프(402a)를 설치하고 이웃하는 입수구에는 입수구 파이프(401a)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입수구 파이프에는 거름망이 형성되어 배수구 파이프로 유입된 사육수가 이웃하는 입수구로 유입되면서 사육수의 슬러지를 걸러질 수 있다. 또한, 배수통 하부에는 배수통 내부로 유입된 사육수의 슬러지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통 배수구(404)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정화탱크를 연결함으로써 사육수에 포함된 슬러지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정화탱크 내부에 여과재를 별도로 설치가 가능하다. 여과재의 설치에 따라 정화탱크별 생물학적 여과, 화학적 여과, 물리적 여과 등을 포함하는 용도별로 슬러지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름망의 망목 크기를 달리하여 정화탱크별 제거할 수 있는 슬러지 크기의 조절 또한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정화탱크는 다수개가 직선형상으로 연결되었으나, 설치장소에 따라 원형, 나선형, 지그재그 형으로 다수개 연결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공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식장 사육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가동 에너지가 적게 소모됨으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양식장의 부담을 덜어주어 양식 어업인의 이익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외벽패널 200: 격벽
300: 모서리부 패널 400: 수집부 패널
401: 입수구 401a: 입수구 파이프
402: 배수구 402a: 배수구 파이프
403: 수집부 배출공 404: 배수통 배수구
500: 수집부 600: 바닥패널
700: 배수통 S: 고정장치
300: 모서리부 패널 400: 수집부 패널
401: 입수구 401a: 입수구 파이프
402: 배수구 402a: 배수구 파이프
403: 수집부 배출공 404: 배수통 배수구
500: 수집부 600: 바닥패널
700: 배수통 S: 고정장치
Claims (4)
- 일정길이 방향으로 오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구조를 향하여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의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는 일정 두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바닥패널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며; 상기 바닥패널 일측면과 수직하도록 일정 높이의 외벽패널이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집부 오목구조의 전면 및 후면 개구부에는 모서리부 패널 및 수집부 패널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사육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것인 정화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패널은 일정높이로 형성된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의 양단에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평면상 단면이 ㄷ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바닥패널의 일측은 상기 수집부의 경사프레임 일단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외벽패널과 연결되는 것인 정화탱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의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 측면부는 단일의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 측면과 맞닿고 외벽패널의 함입부가 외측을 향하도록 다수개 연결되며, 상기 연결은 고정장치를 매개로 이웃하는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인 정화탱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 패널은 수집부 오목구조의 전면 및 후면 개구부에 대응하여 폐쇄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모서리부 패널 및 외벽패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과 상기 가로 슬래이트 프레임 양단에는 외측을 향하여 세로 슬래이트 프레임이 연결되어 평단면측이 ㄷ자의 단면구조를 형성하는 것인 정화탱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5845A KR20210074787A (ko) | 2019-12-12 | 2019-12-12 | 정화탱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5845A KR20210074787A (ko) | 2019-12-12 | 2019-12-12 | 정화탱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4787A true KR20210074787A (ko) | 2021-06-22 |
Family
ID=7660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5845A Pending KR20210074787A (ko) | 2019-12-12 | 2019-12-12 | 정화탱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7478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2332A (ko) * | 2021-07-15 | 2023-01-26 | 주식회사 새한비엠 | 폐수지 재료 및 미네랄 바인더를 이용한 단열차음재의 제조 방법 및 그 단열차음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5565Y1 (ko) | 1997-11-07 | 2000-01-15 | 강대권 | 현수 미생물 접촉 폭기 정화조 |
KR100392296B1 (ko) | 2000-11-24 | 2003-07-22 | 정영숙 | 물탱크용 정화장치 |
KR101083647B1 (ko) | 2009-04-24 | 2011-11-16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
KR101192378B1 (ko) | 2010-04-13 | 2012-10-17 | 주식회사 에싸 | 매립형 탱크에 구비된 오수 정화 처리 장치 |
-
2019
- 2019-12-12 KR KR1020190165845A patent/KR20210074787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5565Y1 (ko) | 1997-11-07 | 2000-01-15 | 강대권 | 현수 미생물 접촉 폭기 정화조 |
KR100392296B1 (ko) | 2000-11-24 | 2003-07-22 | 정영숙 | 물탱크용 정화장치 |
KR101083647B1 (ko) | 2009-04-24 | 2011-11-16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
KR101192378B1 (ko) | 2010-04-13 | 2012-10-17 | 주식회사 에싸 | 매립형 탱크에 구비된 오수 정화 처리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2332A (ko) * | 2021-07-15 | 2023-01-26 | 주식회사 새한비엠 | 폐수지 재료 및 미네랄 바인더를 이용한 단열차음재의 제조 방법 및 그 단열차음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71061B2 (ja) | 廃水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02120677B (zh) | 多级污水处理用生物反应系统的制作方法及污水处理方法 | |
CN102838256A (zh) | 地埋式污水处理系统 | |
HUE009445T2 (en) | Waste water purifying device | |
RU2624709C1 (ru) | Технический резервуар комплекса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способ е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а также комплекс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аппаратного типа | |
RU156232U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оды | |
CN202912804U (zh) | 人工湿地污水处理系统 | |
CN105439286B (zh) |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 |
KR101865618B1 (ko) | 블록 모듈형 초기우수처리장치 | |
CN202063793U (zh) | 多级污水处理用生物反应系统 | |
CN209507918U (zh) | 一种适用于医院废水处理的污水处理装置 | |
KR20210074787A (ko) | 정화탱크 | |
CN116425346B (zh) | 无动力地埋式垂直流湿地农村生活污水处理装置及方法 | |
Awuah et al. |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UASB sewage treatment plant at James Town (Mudor), Accra | |
CN105217889A (zh) | 一种油脂杂质和污水一体化净化系统 | |
CN105084660A (zh) | 一种接触氧化污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 |
RU2736187C1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 |
CN210796121U (zh) | 一种集装箱式城镇污水处理设备 | |
CN207619148U (zh) | 一种污水净化装置 | |
JPWO2008111643A1 (ja) | 有機汚水処理装置 | |
CN112777729A (zh) | 一种小型分散式污水处理系统及其运行方法 | |
KR100590826B1 (ko) | 하천수 정화처리 시스템 | |
RU2299863C2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CN109095706A (zh) | 一种河床式erp一体化截污治理系统及方法 | |
CN113548742B (zh) | 一种水污染处理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