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470A -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9470A KR20210069470A KR1020190159343A KR20190159343A KR20210069470A KR 20210069470 A KR20210069470 A KR 20210069470A KR 1020190159343 A KR1020190159343 A KR 1020190159343A KR 20190159343 A KR20190159343 A KR 20190159343A KR 20210069470 A KR20210069470 A KR 202100694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cover member
- file
- cover
- inte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49 liquefied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1481833 Coryphaena hipp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79 crud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2 noncor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파일 인터페이스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파일 인터페이스를 커버링하도록 설치되어, 파일과 파일 인터페이스 간 체결 부분에 이물질이 끼거나 빗물이나 파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선체;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파일 인터페이스; 일측이 해저면에 관입되고 타측이 파일 인터페이스에 체결되어 선체를 계류시키는 파일; 및 파일 인터페이스를 커버하는 커버 장치를 포함하며, 커버 장치는, 파일 인터페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파일과 결합하여 설치되는 제1 커버 부재; 및/또는 파일 인터페이스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파일과 결합하여 설치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커버 부재 및 제2 커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파일 인터페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pile)을 이용하여 계류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부유식 LNG 저장 재기화 설비(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등과 같이 수심이 깊지 않은 천해역에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은 제티(jetty)나 돌핀(dolphin)에 계류하여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계류 방법은 부유식 구조물의 운동을 크게 구속하지 못하기 때문에, 태풍이 발생하는 경우 계류선을 제거하고 부유식 구조물을 대피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다.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파일(pile)을 이용한 계류 방법 즉, 파일 무어링 시스템(pile mooring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파일 무어링 시스템은 파일 인터페이스(pile interface)를 선체의 측면에 설치하고, 이 파일 인터페이스와 파일을 체결시킴으로써, 선체를 계류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파일을 이용하여 선체를 계류시키는 경우, 빗물이나 파도 등이 파일과 파일 인터페이스 간 체결 부분에 침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파일과 파일 인터페이스 간 체결 부분에 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파일과 파일 인터페이스 간 체결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일 인터페이스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파일 인터페이스를 커버링하도록 설치되어, 파일과 파일 인터페이스 간 체결 부분에 이물질이 끼거나 빗물이나 파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의 일 면(aspect)은,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파일 인터페이스; 일측이 해저면에 관입되고 타측이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는 파일; 및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를 커버하는 커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장치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파일과 결합하여 설치되는 제1 커버 부재; 및/또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파일과 결합하여 설치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하부가 상부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부가 하부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절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커버 장치와 상기 선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리 감지 센서는 상기 커버 장치 및 상기 선체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부식되지 않는 물질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부식되지 않는 물질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구성하는 선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구성하는 커버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4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5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6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4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구성하는 선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구성하는 커버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4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5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6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4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파일 무어링 시스템(pile mooring system)은 해저 지반에 파일(pile)을 관입시킴으로써 선체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계류 시스템보다 더 높은 환경 하중을 견뎌낼 수 있다. 또한, 파일 무어링 시스템은 제티(jetty), 돌핀(dolphin) 등 기타 시설물 구축이 필요한 계류 시스템보다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선체를 계류시키는 데에 파일 무어링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빗물이나 파도 등에 의해 파일과 파일 인터페이스 간 체결 부분에 부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끼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부유식 구조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일 인터페이스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파일 인터페이스를 커버링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100)은 선체(hull; 110), 파일(pile; 120), 파일 인터페이스(pile interface; 130) 및 커버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해상에 부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100)은 해상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선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예를 들어, 여객선, 화물 운반선, LNG 캐리어(LNGC; LNG Carrier), CO2 캐리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원유, 천연가스 등의 해양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해상에 건설되는 해양 구조물(또는 해양 플랜트(off-shore plant))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예를 들어,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LNG(Floating LNG)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체(110)는 상부에 데크(deck)를 갖추고 있는 부유식 구조물(100)의 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연료 탱크(111), 추진 장비(112), 부하 장비(113)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구성하는 선체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은 도 2를 참조한다.
연료 탱크(111)는 주요 전력원을 생산하는 데에 이용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연료 탱크(111)는 예를 들어, 원유, 액화 천연 가스(LNG) 등과 같은 액체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료 탱크(111)는 예를 들어, 수소 등과 같은 기체 연료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료 탱크(111)는 선체(1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연료 탱크(111)가 선체(110)의 내부에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몇몇은 액체 연료를 저장하고, 다른 몇몇은 기체 연료를 저장할 수도 있다.
추진 장비(112)는 선체(110)의 운항이 가능하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추진 장비(112)는 연료 탱크(111)에 저장된 연료를 이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추진 장비(112)는 메인 엔진(main engine; 1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부하 장비(113)는 선내 유지를 위한 것이다. 부하 장비(113)는 이를 위해 선체(110)의 내부나 데크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수 설비용 펌프, 연료 공급용 펌프, 블로워(blower), 공조 장치, 전등, GPS 수신기, 레이더 장치, 선박 자동 식별 장치, 자기 나침반, 무선 설비, 선박 위치 발신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선체(110)는 부하 장비(113)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발전 엔진(generator engine; 115)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부유식 구조물(100)은 주요 전력원과 보조 전력원을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 선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료 탱크(111)에 저장된 연료가 주요 전력원을 생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이 탑재되는 배터리 룸(battery room), 복수 개의 연료 전지(fuel cell), 복수 개의 태양광 패널 등이 보조 전력원을 생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부유식 구조물(100)이 하이브리드 선박으로 구현되는 경우, 추진 장비(112)를 작동시키는 데에 주요 전력원을 이용하고, 부하 장비(113)를 작동시키는 데에 보조 전력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추진 장비(112)를 작동시키는 데에 주요 전력원과 보조 전력원을 모두 이용하고, 부하 장비(113)를 작동시키는 데에 보조 전력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부유식 구조물(100)은 추진 장비(112)와 부하 장비(113)를 작동시키는 데에 주요 전력원과 보조 전력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유식 구조물(100)은 예를 들어, 추진 장비(112)를 작동시키는 데에 주요 전력원과 보조 전력원 중 어느 하나의 전력원을 이용하고, 부하 장비(113)를 작동시키는 데에 다른 하나의 전력원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파일(120)은 선체(110)를 해상에 계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파일(120)은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 단부가 해저에 관입되고 타 단부가 해상으로 노출될 수 있다.
파일(120)은 선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120)은 선체(1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에 체결되어 선체(110)를 계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일(120)은 선체(1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120)은 선체(110)를 계류시키기 위해 선체(110)의 양측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120)은 선체(110)에 대한 계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선체(110)의 양측 방향에 각각 복수 개씩 설치될 수 있으나, 선체(110)의 양측 방향에 각각 단일 개씩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파일(120)은 선체(110)의 양측 방향에 설치될 때 선체(110)의 선수 방향이나 선미 방향에 함께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방향에 설치되는 파일(12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지만, 상이해도 무방하다.
파일(120)은 외압(예를 들어, 파도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선체(110)를 유효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120)은 예를 들어, 강철(steel)을 소재로 하여 제조된 강성 지지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120)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일(120)은 단면이 타원형인 타원 기둥 형태로 형성되거나, 단면이 다각형인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또는 서포터(supporter), 선체 인터페이스(hull interface))는 파일(120)과 더불어 선체(110)를 계류시키기 위한 것이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선체(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선체(11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파일(120)과 체결됨으로써 선체(110)를 계류시킬 수 있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파일(120)과 체결되어 선체(110)의 수평 방향 운동(예를 들어, 서지 모션(surge motion), 스웨이 모션(sway motion) 등)을 구속할 수 있다. 이때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선체(110)의 수평 방향 운동만 구속할 뿐, 선체(110)의 수직 방향 운동(예를 들어, 히브 모션(heave motion) 등)을 구속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 부유식 구조물(100)은,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체결을 통해 선체(110)를 해상에 계류시킬 경우,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가이드에 따라 히브 운동을 할 수 있다.
선체(110)를 계류시키기 위해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체결되는 경우, 복수 개의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단일 개의 파일(120)과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일 개의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단일 개의 파일(120)과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 개의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단일 개의 파일(120)과 체결되는 경우, 선체(110)에 대한 각각의 파일(120)의 계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선체(110)를 좀더 안정적으로 계류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단일 개의 파일(120)과 체결되는 경우, 복수 개의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상호 간에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선체(110)의 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선체(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디귿자 모양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반원 모양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거나, 삿갓 모양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파일(120)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파일(120)과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파일(120)의 외측 둘레 전체를 둘러싸도록 파일(120)과 체결될 수 있으며, 파일(120)의 외측 둘레 일부를 둘러싸도록 파일(120)과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파일(120)과 마찬가지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우수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일 인터페이스(130)는 예를 들어, 강철을 소재로 하여 제조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모두 강철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는 경우, 파도, 해일 등에 의해 선체(110)가 히브 운동을 할 때마다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사이에 마찰력이 생겨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서로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중공이 형성된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내부면에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소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롤러(roller)가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내측면 둘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펀지와 같은 완충재가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내부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커버 장치(140)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부와 하부에서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커버하도록 파일(12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커버 장치(140)는 이를 통해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이 빗물이나 파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장치(140)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부와 하부에서 파일 인터페이스(130)를 커버하기 위해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파일(1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장치(140)는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 부재(210) 및 제2 커버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을 구성하는 커버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
제1 커버 부재(210)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파일(12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제1 커버 부재(210)가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파일(120) 상에 설치되면,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이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커버 부재(210)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파일(120) 상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커버 부재(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부에서 파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커버 부재(210)는 파일(120) 상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 제1 몸체부(211)와 제1 고정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211)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몸체부(211)는 파일(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형상(즉, 깔대기를 거꾸로 놓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몸체부(21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몸체부(211)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되며, 원뿔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몸체부(211)는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의 것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211)는 예를 들어, 고무(rubber) 등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211)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W3)보다 더 넓은 너비(W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W1 > W3). 이 경우, 제1 몸체부(211)는 빗물 등이 파일 인터페이스(130)에 접촉되는 것을 블로킹(blocking)함으로써,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이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인터페이스(130) 자체가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몸체부(211)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W3)와 동일한 너비(W1)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W1 = W3).
한편, 제1 몸체부(2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W3)보다 더 좁은 너비(W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W1 < W3). 이때 제1 몸체부(211)는 파일(120)의 너비(W4)보다 더 넓은 너비(W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W1 > W4). 즉, 제1 몸체부(211)는 파일(120)의 너비(W4)보다 더 넓고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W3)보다 더 좁은 너비(W1)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W4 < W1 < W3). 이 경우, 제1 몸체부(211)는 빗물 등이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에 침투하는 것을 블로킹(blocking)함으로써,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이 빗물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제1 몸체부(211)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그 상부가 그 하부보다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211)는 그 상부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몸체부(211)는 예를 들어, 깔때기를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몸체부(211)는 그 상부와 그 하부가 폭이 동일하도록(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상부가 그 하부보다 폭이 넓어지도록(예를 들어, 원뿔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몸체부(211)는 그 상부가 그 하부보다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310a, 310b, …, 310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4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7을 참조한다.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310a, 310b, …, 310n)는 상호 포개어지는 형태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부(211)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2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보다 더 좁은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5 예시도이다.
한편, 제1 몸체부(211)가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310a, 310b, …, 310n)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310a, 310b, …, 310n)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빗물 등이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1 몸체부(211)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310a, 310b, …, 310n)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덮개 부재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310a, 310b, …, 310n) 표면에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여, 이 복수 개의 홀을 통해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고정부(212)는 제1 몸체부(211)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고정부(212)는 제1 몸체부(211)의 상부를 파일(120)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도 5의 (c)의 경우와 같이 제1 몸체부(211)의 하부를 파일(120)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커버 부재(210)는 파일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커버 부재(210)의 하부가 파일 인터페이스(13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커버 부재(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거리 감지 센서(320)를 부착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320)는 제1 커버 부재(210)와 선체(110)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커버 부재(210)와 선체(1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관리자는 이를 토대로 이전보다 폭이 좁은 제1 몸체부(211)로 교체하거나, 제1 몸체부(211)이 폭이 좁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6 예시도이다.
한편, 거리 감지 센서(320)는 선체(110)의 측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커버 부재(220)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파일(12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제2 커버 부재(220)가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파일(120) 상에 설치되면,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이 파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커버 부재(220)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파일(120) 상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커버 부재(2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하부에서 파일(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1 예시도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커버 부재(220)는 파일(120) 상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 제2 몸체부(221)와 제2 고정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부(221)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몸체부(221)는 파일(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몸체부(221)는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제1 몸체부(2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공이 형성된 원뿔 형상,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 중공이 형성되며 원뿔을 뒤집어 놓은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몸체부(221)는 제1 몸체부(211)와 마찬가지로 파도 등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의 것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부(221)는 예를 들어, 고무(rubber) 등을 소재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부(221)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W3)보다 더 넓은 너비(W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W2 > W3). 이 경우, 제2 몸체부(221)는 파도 등이 파일 인터페이스(130)에 접촉되는 것을 블로킹(blocking)함으로써,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이 파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일 인터페이스(130) 자체가 파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몸체부(221)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W3)와 동일한 너비(W2)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W2 = W3).
한편, 제2 몸체부(2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W3)보다 더 좁은 너비(W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W2 < W3). 이때 제2 몸체부(221)는 파일(120)의 너비(W4)보다 더 넓은 너비(W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W2 > W4). 즉, 제2 몸체부(221)는 파일(120)의 너비(W4)보다 더 넓고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W3)보다 더 좁은 너비(W2)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W4 < W2 < W3). 이 경우, 제2 몸체부(221)는 파도 등이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에 침투하는 것을 블로킹(blocking)함으로써,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간 체결 부분이 파도 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2 예시도이다.
제2 몸체부(221)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그 하부가 그 상부보다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부(211)는 그 하부에서 위쪽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몸체부(211)는 예를 들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뿔을 뒤집어 놓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몸체부(221)는 그 상부와 그 하부가 폭이 동일하도록(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그 하부가 그 상부보다 폭이 넓어지도록 (예를 들어, 원뿔 형상이나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몸체부(221)는 그 하부가 그 상부보다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1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330a, 330b, …, 330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3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2를 참조한다.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330a, 330b, …, 330n)는 절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몸체부(221)는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보다 더 넓은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부(22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너비보다 더 좁은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커버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커버 부재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보여주는 제4 예시도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고정부(222)는 제2 몸체부(221)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고정부(222)는 제2 몸체부(221)의 하부를 파일(120)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제2 몸체부(221)의 상부를 파일(120)에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커버 부재(220)는 파일 인터페이스(13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커버 부재(220)의 상부가 파일 인터페이스(13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커버 부재(220)는 제1 커버 부재(210)와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거리 감지 센서(320)를 부착할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320)는 선체(110)의 측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커버 장치(140)는 제1 커버 부재(210)와 제2 커버 부재(220)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커버 장치(14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커버 장치(140)는 파도에 의한 부식과 빗물 등으로 인해서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깔때기 형상으로 된 제2 커버 부재(220)를 파일(120) 주변에 설치해서 파도가 치더라도 커버 장치(140)로 인해서 파일(120)과 파일 인터페이스(130)가 접하는 부분에 파도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파일 인터페이스(130)의 윗 부분에도 깔때기 형상을 거꾸로 뒤집은 모양의 제1 커버 부재(210)를 설치하여,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장치(140)는 선체(110)와의 간섭 등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벌어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센서(320)를 통해서 작동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부유식 구조물
110: 선체
120: 파일 130: 파일 인터페이스
140: 커버 장치 210: 제1 커버 부재
211: 제1 몸체부 212: 제1 고정부
220: 제2 커버 부재 221: 제2 몸체부
222: 제2 고정부 310a, 310b, ..., 310n: 제1 플레이트
320: 거리 감지 센서 330a, 330b, ..., 330n: 제2 플레이트
120: 파일 130: 파일 인터페이스
140: 커버 장치 210: 제1 커버 부재
211: 제1 몸체부 212: 제1 고정부
220: 제2 커버 부재 221: 제2 몸체부
222: 제2 고정부 310a, 310b, ..., 310n: 제1 플레이트
320: 거리 감지 센서 330a, 330b, ..., 330n: 제2 플레이트
Claims (5)
-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파일 인터페이스;
일측이 해저면에 관입되고 타측이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에 체결되어 상기 선체를 계류시키는 파일; 및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를 커버하는 커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장치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파일과 결합하여 설치되는 제1 커버 부재; 및/또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파일과 결합하여 설치되는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 부재 및 상기 제2 커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 인터페이스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하부가 상부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부가 하부보다 폭이 넓도록 형성되는 부유식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식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1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장치가 상기 제2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버 부재는 상기 파일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9343A KR20210069470A (ko) | 2019-12-03 | 2019-12-03 | 부유식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9343A KR20210069470A (ko) | 2019-12-03 | 2019-12-03 | 부유식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9470A true KR20210069470A (ko) | 2021-06-11 |
Family
ID=7637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9343A Pending KR20210069470A (ko) | 2019-12-03 | 2019-12-03 | 부유식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6947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902B1 (ko) | 2013-05-24 | 2017-03-23 | 한국과학기술원 |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대형 부유체의 지지구조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
-
2019
- 2019-12-03 KR KR1020190159343A patent/KR20210069470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8902B1 (ko) | 2013-05-24 | 2017-03-23 | 한국과학기술원 | 가이드 파일을 이용한 대형 부유체의 지지구조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33739B2 (en) | Mooring system for floating arctic vessel | |
US5791819A (en) | Buoyant platform | |
EP3250758B1 (en) | Sea bed terminal for offshore activities | |
US4813815A (en) | Buoyant, elastically tethered articulated marine platform | |
US10689071B2 (en) | Stabilized floating platform structure | |
US9611011B2 (en) | Appratus for mooring floater using submerged pontoon | |
US8453588B2 (en) | Float structure for storing liquids | |
KR20210069470A (ko) | 부유식 구조물 | |
KR102640037B1 (ko) | 부유식 구조물 | |
KR102461386B1 (ko) | 부유식 구조물 | |
KR102640039B1 (ko) | 부유식 구조물 | |
KR20170026001A (ko) | 부유식 해양플랜트 | |
KR102095318B1 (ko) | 부유식 구조물 | |
GB2345716A (en) | A semi permanent docking arrangement for a production and storage vessel | |
KR200389965Y1 (ko) | 선박의 항로표지 장치 | |
JPH0660611U (ja) | 浮桟橋 | |
KR20110002323A (ko) | 마리나의 데크 높이조절을 위한 부유식 탱크 | |
NO20101273A1 (no) | Anordning ved en flytebro. | |
KR20200027366A (ko) |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 |
KR20200027367A (ko) | 중력 기반 해양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