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167A - Complex partition frame structure for both single and dual panels - Google Patents
Complex partition frame structure for both single and dual pane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8167A KR20210068167A KR1020190156286A KR20190156286A KR20210068167A KR 20210068167 A KR20210068167 A KR 20210068167A KR 1020190156286 A KR1020190156286 A KR 1020190156286A KR 20190156286 A KR20190156286 A KR 20190156286A KR 20210068167 A KR20210068167 A KR 202100681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frame
- main frame
- frame structure
- pac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5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 E04B2/787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H - section with flanges perpendicular to plane of part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공간을 보다 유용하고 기능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획하는 단수 및 복수패널의 겸용 사용이 가능한 혼합형 칸막이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개의 보조프레임으로 단수패널 또는 복수패널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단수패널과 복수패널을 혼용하여 복합적으로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시공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단수 및 복수패널의 겸용 사용이 가능한 혼합형 칸막이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ed-type partition frame structure that can use both single and multiple panels to partition the indoor space of a building so that i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and functionally, and more particularly, a single panel or multiple panels are selected as one auxiliary frame. It relates to a mixed type partition frame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single and multiple panels, which can be installed as a single panel and can be installed in a complex manner by mixing single and multiple panels,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simplifying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칸막이라 함은 건물 내부에 부가적으로 시공하여 그 실내 공간을 필요한 수만큼 복수로 구획시킴으로써 건물 내부의 한정된 실내 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인테리어용 격벽을 말한다.In general, a partition is an interior bulkhead that is additionally constructed inside a building to divide the indoor space into a plurality of required numbers so that the limited indoor space inside the building can be used effectively.
이러한 칸막이는 건물의 바닥과 천장 및 내벽에 고정되어 골조를 이루는 칸막이 프레임과, 상기 칸막이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격벽을 이루도록 유리창 또는 격판(합판, 금속판, 합성수지판 중의 하나로 구성)으로 구성된 패널과, 상기 칸막이 프레임의 내측에 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으로 크게 구성된다.Such a partition is a partition frame fixed to the floor, ceiling, and inner wall of a building to form a frame, and a glass window or partition plate (consisting of one of plywood, metal plate, and synthetic resin board) installed inside the partition frame to form a partition wall, It is largely composed of an entrance door that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on the inside of the partition frame to enable entry and exit into the partitioned internal space.
여기서 패널은 한 개의 단수패널이나 단열이나 방음을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띄운 복수패널로 설치되거나 실내 구조상 단수패널과 복수패널을 혼용하여 설치하게 되는 데 복수패널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두 개의 패널 사이에 구획된 내부 공간을 가리기 위한 블라인드가 설치되기도 한다. Here, the panel is installed as a single panel or as multiple panels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for insulation or sound insulation, or a mixture of single and multiple panels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tructure. Blinds are sometimes installed to cover the partitioned interior space.
따라서, 종래 칸막이를 설치할 때 한 개의 패널로서 단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단수패널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프레임을 사용하여야 하고 두 개의 복수패널로서 이중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는 프레임을 사용하게 되므로 시공과정도 복잡하고 미관(퀄리티)이 미려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제작비용은 물론 시공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when installing a conventional partition, a frame that can be fixed by inserting a single panel must be used to form a single window as a single panel, and a frame suitable for this is used to form a double window with two multiple panels, so the construction process is also complic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aesthetics (quality) was not beautiful, but also the production cost as well as the construction cost were high.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이 안출한 특허 등록 제10-1297456호는 본체프레임에 각각 내측압지체와 단창측부압지체를 결합하여 이를 통해 단수패널이나 복수패널을 끼워 설치함으로써 종래 프레임을 용도별로 제작한 문제점을 해결한 장점이 있으나, 본체 프레임은 양측에 압지프레임이 결합되고 내측압지체와 단창측부압지체를 각각 제작하여 조립식으로 설치 사용하게 되므로 결합 부품이 많아 비효율적이고 제작비용도 많이 들어가는 일부 단점이 있었다. In consideration of these problems, Patent Registration No. 10-1297456,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combines an inner pressure member and a single window side pressure member to the main frame, respectively, and inserts a single panel or multiple panels through this to manufacture a conventional frame for each purpose. There is an advantage in solving one problem, but the main body frame has a pressure paper frame on both sides, and an inner pressure member and a single window side pressure member are respectively manufactured and installed and us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데 있는 것으로, 메인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개의 보조프레임으로서 단수패널 또는 복수패널을 각각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 단수패널과 복수패널을 혼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단수 및 복수패널의 겸용 사용이 가능한 혼합형 칸막이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ior art, and as one auxiliary frame combined with the main frame, a single panel or a plurality of panels can be installed, respectively, or a single panel and a plurality of panels can be mixed and installed as need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xed type partition frame structure that can be used for both single and multiple panels.
본 발명의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패널을 설치하는 칸막이 프레임을 구성함에 있어서, 두개의 나란한 측판의 중간을 연결한 분리판의 양측에 삽입부를 형성한 H 자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삽입부에 결합되어 패널을 고정하는 보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 및 복수패널의 겸용 사용이 가능한 혼합형 칸막이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figuring a partition frame for installing a panel, an H-shaped main frame in which inse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 separation plate connecting the middle of two side-by-side side plates, It provides a mixed type partition frame structure that can be used for both single and multiple pane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auxiliary frame coupled to the insertion part of the main frame to fix the panel.
상기, 메인프레임은 일측판의 단부에 패킹홈이 형성되고 일측 측판의 절반을 절취하여 제거하는 절취편이 분리판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편은 두줄로서 연속 형성된 절취홈에 의거 분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main frame, a packing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one side plate, and cut-out pieces for cutting and removing half of one side plate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late, and the cut-out pieces are separated based on the cut-out grooves continuously formed as two lin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so.
상기, 보조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삽입부에 긴밀히 끼워지는 크기로서 일측이동일한 방향을 개방되어 제1패널삽입구와 제2패널삽입구를 형성한 한 쌍의 패널하우징과, 상기 패널하우징의 개방측 상부를 연결간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패널삽입구와 제2패널삽입구의 사이에 이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제3패널삽입구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frame is sized to fit closely into the insertion part of the main frame, and one side of the panel housing is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to form a first panel insertion hole and a second panel insertion hole, and the upper part of the open side of the panel housing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third panel insertion hole that is ope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anel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panel insertion hole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상기, 메인프레임의 패킹홈 끝단부에는 보조프레임의 패널하우징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홈을 받치는 지지턱이 측판의 내측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At the end of the packing groove of the main frame, a supporting jaw supporting the engaging groove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panel housing of the auxiliary frame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side plate.
상기,보조프레임의 패킹홈에는 고정부가 끼워지고 지지부가 패널을 지지하는 단면 형상의 가압패킹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acking groove of the auxiliary frame, a fixing part is fitted and a pressure packing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support part supports the panel is install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프레임에 결합하는 한 개의 보조프레임으로 단수패널 또는 복수패널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 복합적으로 혼용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종래와 같이 용도별로 다양한 종류의 프레임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 매우 경제적이고 시공비용도 절감되며 인건비가 절감되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산업폐기물 배출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미관의 퀄리티가 높아지는 등 여러가지의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single panel or a plurality of panels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as one auxiliary frame coupled to the main frame and can be installed in a complex manner, so construction is simple and various types of frames can be manufactured for each purpose as in the prior art. It is very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it, and construction costs are reduced, labor costs are reduced, and recycling is possible, so it not only reduces industrial waste emission but also improves aesthetic qua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칸막이 프레임의 전체 전개사시도
도 2는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의 전개단면도
도 3은 메인프레임을 칸막이 프레임으로 사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 4의 (a)(b)(c)는 패널의 설치 태양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메인프레임의 절취구조에 따른 일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메인프레임을 일부 절취하여 도어프레임으로 사용한 예시도
도 7은 보조프레임으로 메인프레임을 고정하는 예시도
도 8은 칸막이 프레임이 보조프레임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칸막이의 예시도 1 is an overa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tion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using the main frame as a partition frame;
4 (a) (b) (c)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stallation aspect of the panel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cut-out structure of the main frame;
6 is an exemplary view using a door frame by partially cutting the main frame;
7 is an exemplary view of fixing the main frame as an auxiliary fram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ition frame fixed by the auxiliary frame;
9 is an exemplary view of a part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단수 및 복수패널의 겸용 사용이 가능한 혼합형 칸막이 프레임 구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을 설치하는 칸막이 프레임(200)을 구성함에 있어서, 두개의 나란한 측판(1)(1')의 중간을 연결한 분리판(2)의 양측에 삽입부(3)(3')를 형성한 H 자 형상의 메인프레임(50)과, 상기 메인프레임(50)의 삽입부(3)(3')에 끼워져 결합되는 보조프레임(60)으로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9, the mixed type partition frame structure capable of using single and multiple panel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side-by-side side plates ( 1) An H-shaped
상기 메인프레임(50)은 일측판의 단부에 패킹홈(4)(4')이 형성되고 일측 측판(1)(1')의 절반을 절취하여 제거하는 절취편(5)이 분리판(2)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편(5)은 두줄로서 연속 형성된 절취홈(6)에 의거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패킹홈(4)(4')이 형성된 끝단부에는 보조프레임(60)의 패널하우징(40)(40')의 외측단부에 형성된 걸림홈(8)을 받치는 지지턱(4a)(4'a)이 측판(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In the
상기 보조프레임(60)은 메인프레임(50)의 삽입부(3)(3')에 긴밀히 끼워지는 크기로서 일측이 동일한 방향을 개방되어 제1패널삽입구(20)와 제2패널삽입구(30)를 형성한 한 쌍의 패널하우징(40)(40')과, 상기 패널하우징(40)(40')의 개방측 상부를 연결간(7)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패널삽입구(20)와 제2패널삽입구(30)의 사이에 이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된 제3패널삽입구(70)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60)의 패킹홈(4)(4')에는 고정부(9')가 끼워지고 지지부(9")가 패널(100)을 지지하는 단면 형상의 가압패킹(9)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9' is fitted into the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시도와 같이 메인프레임(50)과 보조프레임(60)을 이용하여 패널을 단창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이중창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보조프레임(60)의 방향을 바꾸어 단창과 이중창을 혼합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데 그 특징이 있는 것으로, 그 실시 형태는 메인프레임(50) 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보조프레임(60)을 사용하여 다양한 칸막이를 형성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nel can be installed as a single window or a double window by using the
먼저, 기본적으로 보조프레임(60)을 사용하지 않고 메인프레임(50)만을 이용하여 칸막이(20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는 패널(100)이 두꺼운 판체의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50)에 보조프레임(60)을 삽입하지 않고 메인프레임(50)의 양측 삽입부(3)(3')에 바로 패널(100)을 끼워 넣어 칸막이로 설치하게 되며 측판(1)(1')의 양단부에 형성된 패킹홈(4)(4')에 가압패킹(9)이나 모헤어식 고무패킹류를 끼워 넣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First, basically,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이때 메인프레임(50)과 패널(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다음, 패널(100)이 얇은 합판이나 유리창인 경우에는 메인프레임(50)에 보조프레임(60)을 끼워 넣어 보조프레임(60)에 형성된 제1패널삽입구(20) 내지 제3패널삽입구(70)를 이용하여 패널(100)을 끼워 설치하게 되는 데, 보조프레임(60)은 제1패널삽입구(20)와 제2패널삽입구(30)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3패널삽입구(70)는 이와 반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보조프레임(60)을 메인프레임(50)의 삽입부(3)(3')에 끼워 넣을 때 끼워 넣는 방향에 따라 패널삽입구의 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Next, when the
예를 들어 패널(100)이 단수패널 즉 단창일 경우에는 패널(100)이 칸막이 프레임의 중간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때에는 메인프레임(50)의 분리판(2)을 중심으로 형성된 양측 삽입부(3)(3')에 제1패널삽입구(20)와 제2패널삽입구(30)가 분리판 (2)쪽으로 향하고 제3패널삽입구(70)가 외측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끼워 넣게 되면 도 4의 (a)와 같이 단창의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으며, 패널(100)을 복수패널 즉 이중창으로 할 경우에는 메인프레임(50)의 양측 삽입부(3)(3')에 보조프레임(60)의 제3패널삽입구(70)가 분리판(2) 쪽으로 향하고 제1패널삽입구(20)와 제2패널삽입구(30)가 외측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끼워 넣게 되면 도 4의 (b)와 같이 이중창의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이와같은 이중창의 경우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패널의 사이에 단열재를 넣어 단열과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림이나 사진을 넣어 실내의 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고 특히, 칸막이로 구획된 방의 사이가 안보이도록 블라인더를 설치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such a double-glazed window, heat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effect can be obtained by inserting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multiple panel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You can also install a blinder to make it invisible.
또한, 필요에 따라 칸막이(200)를 단창과 이중창을 혼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는 분리판(2)을 중심으로 일측의 삽입부(3)에는 보조프레임(60)의 제1패널삽입구(20)와 제2패널삽입구(30)가 외측을 향하도록 끼워 넣고 반대편 삽입부(3')에는 제3패널삽입구(70)가 외측을 향하도록 반대방향으로 끼워 설치하게 되면 도 4의 (c)와 같이 단창과 이중창을 혼합하여 칸막이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메인프레임(50)에 끼워지는 보조프레임(60)은 메인프레임(50)의 삽입부(3)(3')에 대응하는 크기로서 긴밀히 삽입되는 데 제1패널삽입구(20)와 제2패널삽입구(30)를 구성하는 패널하우징(40)(40')의 외측단에는 걸림홈(8)이 형성되어 삽입부(3)(3')에 삽입시 걸림돌기(8)가 메인프레임(50)의 패킹홈(4)(4')에 끝단부에 측판(1)(1')보다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턱(4a)(4'a)에 받쳐지게 되므로 임의로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데, 메인프레임(50)의 지지턱(4a)(4'a)은 측판(1)(1')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여도 메인프레임(5)과 보조프레임(60)은 약간의 굴신이 가능하므로 보조프레임(60)을 약간 굴신시키면 삽입이 가능하며, 메인프레임(50)의 패킹홈(4)(4')은 도 3과 같이 메인프레임(50)만을 사용할 경우 가압패킹(9)이 삽입되지만 보조프레임(60)을 끼워 넣게 되면 가압패킹(9)을 넣을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The
여기서, 패널(100)이 패널삽입구에 끼워져 삽입되면 모헤어식 고무패킹이나 고무재 가압패킹(9)의 고정부(9')가 패킹홈(4)(4')에 끼워지고 지지부(9")가 패널(100)을 지지하게 되면서 외부와 차단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Here,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50)에는 도 5와 같이 일측 측판(3)(3')의 절반을 절취하여 제거하는 절취편(5)이 분리판(2)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취편(5)의 절취로서 측판(3)(3')의 절반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데 상기 절취편(5)은 두줄의 절취홈(6)이 연속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취편(5)의 끝단을 잡고 손이나 공구로서 힘을 주어 절취를 하게 되면 측판(2)(2')의 절반이 분리되어 제거된다. In addition, in the
이와같이 절취하는 경우는 도 6과 같이 메인프레임(50)을 도어용 프레임으로 전용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The cut-out case can be usefully utilized when diverting the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프레임(60)을 이용하여 수직프레임을 설치시 임시 고정용으로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 칸막이를 설치시 수평으로 설치한 칸막이 프레임에 수직프레임을 직교되게 세워 패널(100)을 끼워 넣게 되는 데 이때에는 수직으로 세운 수직프레임이 움직이지 않도록 ㄱ 자 형상의 브라켓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브라켓을 볼트로서 고정하고 칸막이를 설치한 후에는 다시 이를 제거하는 번거러운 작업이 수반된다. 7 to 8 show an embodiment using the
그러나,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을 세울 때 메인프레임(50)의 삽입부(3)(3')에 끼워 넣은 보조프레임(60)이 수평으로 설치한 메인프레임(50)의 보조프레임(60)과 맞물려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고 분리하는 번거러운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시공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rtical frame is erected, the
도 9는 다수개의 패널이 연결 설치된 칸막이의 실시예로서, 이 경우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50)과 보조프레임(60)을 이용하여 패널 전체로 단창으로 하거나 또는 이중창으로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단창과 이중창을 복합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칸막이를 구성할 수 있다. 9 is an embodiment of a parti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anel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In this case, using the
1,1' : 측판 2 : 분리판 3,3' : 삽입부 4,4' : 패킹홈 5 : 절취편 6 : 절취홈 7 : 연결간 8 : 걸림홈 9 : 가압패킹 9' : 고정부 9" : 지지부 20 : 제1패널삽입구 30 : 제2패널삽입구 40,40' : 패널하우징 50 : 메인프레임, 60 : 보조프레임 70 : 제3패널삽입구 100 : 패널 200 : 칸막이
1,1' : Side plate 2 :
Claims (5)
The cross-sec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art (9') is fitted into the packing grooves (4, 4') of the auxiliary frame (60) and the supporting part (9") supports the panel 100. A mixed-type partition frame structure capable of combined use of single and multiple panels,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ure packing (9) of the shape is instal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6286A KR20210068167A (en) | 2019-11-29 | 2019-11-29 | Complex partition frame structure for both single and dual pane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6286A KR20210068167A (en) | 2019-11-29 | 2019-11-29 | Complex partition frame structure for both single and dual pane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8167A true KR20210068167A (en) | 2021-06-09 |
Family
ID=7641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6286A Abandoned KR20210068167A (en) | 2019-11-29 | 2019-11-29 | Complex partition frame structure for both single and dual pane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68167A (en) |
-
2019
- 2019-11-29 KR KR1020190156286A patent/KR20210068167A/en not_active Abandon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199596A1 (en) | Movable walls for on-site construction | |
US6148572A (en) | Wall construction | |
EP1558823A1 (en) | System for joining mullions to transoms by frontal link | |
CA2902769C (en) | Window system with interchangeable exterior accessory covers | |
KR20200068834A (en) | Assembling structure of curtain wall glass base with improved heat insulation and assemblability | |
CN205921844U (en) | Outdoor communication equipment cabinet cabinet body | |
KR102190369B1 (en) | Assembly structure of construction panel | |
KR20210068167A (en) | Complex partition frame structure for both single and dual panels | |
KR101099373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panel for building | |
US11591843B2 (en) | Connectiv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dularized windows and doors | |
US3160244A (en) | Building parttion systems | |
KR100777246B1 (en) | Partition frame structure for partition | |
KR101673418B1 (en) | Open joint curtain wall complex external pannel assembly unit used in building construction | |
KR20070082479A (en) | High-rise windows | |
US2998108A (en) | Structural post assembly for walls | |
KR20230116546A (en) | The frame fixing system of the glass door | |
KR101180361B1 (en) | Frame for partition and its contruction method | |
IT201900016253A1 (en) | SYSTEM FOR THE PARTITION OF AN ENVIRONMENT | |
JP7277352B2 (en) | Double wall structure of the building | |
KR200434712Y1 (en) | Glass window frame | |
KR200423792Y1 (en) | Window Support Frames for Partition Panels | |
CN219061343U (en) | Curtain wall structure of side-opening door and window | |
KR101184218B1 (en) | Door for partition | |
JP2002256690A (en) | Baseboard and wiring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2009121155A (en) | Fitt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5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