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304A - 굴곡 또는 처진 부분의 불량 검사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굴곡 또는 처진 부분의 불량 검사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7304A KR20210067304A KR1020190156766A KR20190156766A KR20210067304A KR 20210067304 A KR20210067304 A KR 20210067304A KR 1020190156766 A KR1020190156766 A KR 1020190156766A KR 20190156766 A KR20190156766 A KR 20190156766A KR 20210067304 A KR20210067304 A KR 202100673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reflected
- illumination
- incident
- sens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28 ref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45—Multiple wavelengths of illumination or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불량 검사 방법에 따른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상체 불량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량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불량 검사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불량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304 : 제 1 조명부 306 : 제 2 조명부
310 : 제 1 몸체 312 : 제 1 조명
314 : 하프 미러 320 : 제 2 몸체
322a, 322b : 반사체 324a, 324b : 제 2 조명
Claims (10)
- 반사 방식으로 대상체를 검사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체로 수직하게 제 1 광을 입사시키는 제 1 조명부;
상기 대상체로 비스듬하게 제 2 광을 입사시키는 제 2 조명부; 및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광은 상기 대상체로부터 수직하게 반사되고, 상기 제 2 광은 상기 대상체에서 난반사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반사에 따른 반사광과 상기 난반사에 따른 난반사 광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조명부와 상기 제 2 조명부는 상하로 배열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반사광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 중 굴곡 또는 처짐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의 불량을 감지하고 상기 난반사 광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 중 굴곡 또는 처짐이 발생한 영역의 불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과 상기 제 2 광은 동일한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 1 조명부 및 상기 제 2 조명부는 상기 제 1 광과 상기 제 2 광을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부는 제 1 몸체, 제 1 조명 및 하프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명부는 제 2 몸체, 제 2 조명 및 돔 형상의 반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 상기 제 1 조명부, 상기 제 2 조명부 및 상기 대상체가 상하로 배열되되,
상기 제 1 몸체 중 상기 감지부와 마주보는 영역은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 중 상기 유리와 마주보는 영역들은 홀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명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광은 상기 하프 미러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제 2 몸체의 홀들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로 수직하게 입사되며, 상기 대상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상기 홀들, 상기 하프 미러 및 상기 유리를 통하여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고,
상기 제 2 조명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광은 상기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제 2 몸체 중 하부 홀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로 비스듬하게 입사되어 난반사되며, 상기 난반사된 난반사 광은 상기 홀들, 상기 하프 미러 및 상기 유리를 통하여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과 상기 제 2 광을 모두 이용하여 상기 대상체의 불량을 검사할 때의 상기 제 1 조명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광의 세기는 상기 제 1 조명으로부터 출력된 광만이 검사에 사용될 때의 제 1 광의 세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명부는 제 1 몸체, 제 1 조명 및 하프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명부는 제 2 몸체, 제 2 조명 및 돔 형상의 반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 1 조명부의 측면에 배열되되,
상기 제 1 조명은 상기 제 1 몸체의 내측 상단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몸체 중 상기 감지부와 마주보는 영역은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의 상하부에 각기 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조명으로부터 출력된 제 1 광은 상기 하프 미러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제 2 몸체의 홀들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로 수직하게 입사되며, 상기 대상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은 상기 홀들을 통과한 후 상기 하프 미러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유리를 통하여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고,
상기 제 2 조명으로부터 출력된 제 2 광은 상기 반사체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제 2 몸체 중 하부 홀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로 비스듬하게 입사되어 난반사되며, 상기 난반사된 난반사 광은 상기 홀들을 통과한 후 상기 하프 미러에 의해 반사된 후 상기 유리를 통하여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로봇 팔 위에 놓여지거나 금속이 코팅된 기판이며,
상기 불량 검사는 상기 대상체가 이동하는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하부에 배열되는 추가 투과 조명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투과 조명으로부터 출력된 제 3 광은 상기 대상체를 투과하여 상기 감지부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에 해당하는 밝은 부분의 밝기와 상기 난반사광에 해당하는 밝은 부분의 밝기 차이가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제 1 광을 대상체에 수직하게 입사시키는 단계;
제 2 광을 상기 대상체에 비스듬하게 입사시키는 단계;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제 1 광에 해당하는 제 1 반사광과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제 2 광에 해당하는 제 2 반사광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반사광들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의 불량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광과 상기 제 2 광은 동일한 파장을 가지며, 상기 제 2 광은 상기 대상체에서 난반사되어 상기 대상체의 굴곡 또는 처진 부분의 불량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광에 해당하는 밝은 부분의 밝기와 상기 난반사광에 해당하는 밝은 부분의 밝기 차이가 3% 이하이며, 상기 제 1 광과 상기 제 2 광은 동시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 검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6766A KR102639842B1 (ko) | 2019-11-29 | 2019-11-29 | 굴곡 또는 처진 부분의 불량 검사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6766A KR102639842B1 (ko) | 2019-11-29 | 2019-11-29 | 굴곡 또는 처진 부분의 불량 검사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7304A true KR20210067304A (ko) | 2021-06-08 |
KR102639842B1 KR102639842B1 (ko) | 2024-02-23 |
Family
ID=7639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6766A Active KR102639842B1 (ko) | 2019-11-29 | 2019-11-29 | 굴곡 또는 처진 부분의 불량 검사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984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547B1 (ko) * | 2005-04-08 | 2007-11-20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결함 검사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결함 검사 장치 |
KR20120035484A (ko) | 2010-10-05 | 2012-04-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기판불량 검사방법 |
KR20140060946A (ko) * | 2012-11-13 | 2014-05-21 | 에이티아이 주식회사 | 전자재료 가공부위 측정용 조명장치 및 이를 적용한 검사 장치 |
KR20160004099A (ko) * | 2014-07-02 | 2016-01-12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결함 검사 장치 |
KR20190001789A (ko) * | 2017-06-28 | 2019-01-07 | (주)티앤비프리시즌 | 멀티 광학 디스플레이 검사 장치 |
-
2019
- 2019-11-29 KR KR1020190156766A patent/KR10263984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547B1 (ko) * | 2005-04-08 | 2007-11-20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결함 검사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결함 검사 장치 |
KR20120035484A (ko) | 2010-10-05 | 2012-04-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기판불량 검사방법 |
KR20140060946A (ko) * | 2012-11-13 | 2014-05-21 | 에이티아이 주식회사 | 전자재료 가공부위 측정용 조명장치 및 이를 적용한 검사 장치 |
KR20160004099A (ko) * | 2014-07-02 | 2016-01-12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결함 검사 장치 |
KR20190001789A (ko) * | 2017-06-28 | 2019-01-07 | (주)티앤비프리시즌 | 멀티 광학 디스플레이 검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9842B1 (ko) | 2024-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89186B2 (ja) | 表面検査装置 | |
KR101733197B1 (ko) | 멀티 광학 비전 장치 | |
KR101525700B1 (ko) | 칩 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 |
KR20160004099A (ko) | 결함 검사 장치 | |
KR101123638B1 (ko) | 스크래치 검사장치 및 방법 | |
KR20170049266A (ko) | 비전검사장치 및 비전검사방법 | |
KR20160121716A (ko) | 하이브리드 조명 기반 표면 검사 장치 | |
JP2005321319A (ja) | 表面検査装置および表面検査方法 | |
TWI705244B (zh) | 半導體瑕疵檢測設備 | |
KR101464877B1 (ko) | 불규칙 패턴을 가지는 대상물을 검사하는 불량 검사 시스템 | |
KR100785308B1 (ko) | 칩 엘이디 표면 검사 방법 및 장치 | |
KR20190001789A (ko) | 멀티 광학 디스플레이 검사 장치 | |
KR20210067304A (ko) | 굴곡 또는 처진 부분의 불량 검사가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 |
KR101745764B1 (ko) | 광학식 판재 표면검사장치 및 판재 표면검사방법 | |
CN212567282U (zh) | 一种检测装置及检测设备 | |
JP2008215875A (ja) | 成形体の検査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検査装置 | |
JP6267480B2 (ja) | 撮像装置および検査装置 | |
JPH0545142A (ja) | 表面状態検査方法 | |
KR101979805B1 (ko) | 렌즈 플레어 검사장치 | |
JP2010107465A (ja) | 欠陥検査装置及び欠陥検査方法 | |
JP4772090B2 (ja) | 表面検査装置 | |
JPH10185828A (ja) | 透明平面体表面の欠陥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 |
JP3095820B2 (ja) | 表面状態検出装置 | |
JP3100448B2 (ja) | 表面状態検査装置 | |
JP2002014058A (ja) | 検査方法及び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