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510A -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9510A KR20210059510A KR1020190147035A KR20190147035A KR20210059510A KR 20210059510 A KR20210059510 A KR 20210059510A KR 1020190147035 A KR1020190147035 A KR 1020190147035A KR 20190147035 A KR20190147035 A KR 20190147035A KR 20210059510 A KR20210059510 A KR 202100595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beverage
- fluid supply
- supply unit
- raw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39 instant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캡슐가압부재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캡슐가압부재가 캡슐을 가압하고 있는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유체공급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에서 캡슐가압부재가 도시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유체공급 유닛이 하강하기 전의 모습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 유체공급 유닛이 하강하여 상부칼날부재가 캡슐의 상측을 관통한 모습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어 유체공급 유닛이 상승하며 캡슐가압부재가 캡슐을 가압하여 상부칼날부재로부터 캡슐이 분리되는 모습이다.
도 11은 도 8에서 캡슐 홀더에 캡슐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00 : 프레임 200 : 캡슐 홀더
210 : 하부칼날부재 220 : 음료 추출구
300 : 캡슐가압부재 310 : 바디부
311 : 중공 312 : 안착홈
320 : 돌출부 330 : 결합부
340 : 탄성부재 350 : 회전방지홈
400 : 유체공급 유닛 410 : 유체공급 본체
420 : 상부칼날부재 430 : 스크류 관통홀
440 : 유체이동홀 450 : 회전방지돌기
460 : 결합돌기 500 : 스크류
510 : 연결축 삽입홈 600 : 모터
610 : 연결축 700 :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
800 : 근접 센서 810 : 제어부
Claims (8)
-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되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수납되는 캡슐 홀더;
상기 캡슐 홀더의 상부에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캡슐 홀더에 수납되는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의 상측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상부칼날부재가 구비되는 유체공급 유닛; 및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캡슐 홀더에 수납된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에 유체를 공급하여 음료의 추출이 끝난 후 상기 캡슐 홀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할 때,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부착되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는 캡슐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가압부재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바디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디부의 테두리를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후크결합구조로 마련되며,
상기 후크결합구조의 양측에는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급 유닛에는, 상기 후크돌기의 회전방지홈 또는 회전방지돌기에 대응되는 회전방지돌기 또는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 유닛의 작동 전 상기 캡슐가압부재가 상기 상부칼날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유체공급 유닛 사이에 설치된 근접 센서;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캡슐 홀더에 상기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이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유체공급 유닛이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경보 발생, 세척 및 작동 중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035A KR102259987B1 (ko) | 2019-11-15 | 2019-11-15 |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035A KR102259987B1 (ko) | 2019-11-15 | 2019-11-15 |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9510A true KR20210059510A (ko) | 2021-05-25 |
KR102259987B1 KR102259987B1 (ko) | 2021-06-02 |
Family
ID=7614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7035A Active KR102259987B1 (ko) | 2019-11-15 | 2019-11-15 |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998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3794B1 (ko) * | 2022-01-18 | 2024-02-0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캡슐 홀더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KR102633793B1 (ko) * | 2022-01-18 | 2024-02-05 |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 복수 종류의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2865A (ko) * | 2004-01-28 | 2006-05-15 | 베르너 발카우 | 커피 메이커용 추출 장치 |
JP4288280B2 (ja) * | 2003-02-07 | 2009-07-01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カプセルからの飲料の加圧準備用のリニヤ閉鎖体を備えた抽出モジュール |
KR20100113447A (ko) * | 2007-02-07 | 2010-10-21 |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 |
KR20110010665U (ko) | 2010-05-07 | 2011-11-15 | 촨 쿠엔 (장저우)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 캡슐커피 추출기구 |
KR20160031626A (ko) * | 2014-09-12 | 2016-03-23 | 코웨이 주식회사 | 캡슐 홀더 감지 센서를 구비한 커피 추출 정수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KR20190009997A (ko) * | 2017-07-20 | 2019-01-30 | 정우연 | 카트리지용 상향 추출식 음료 메이커 |
-
2019
- 2019-11-15 KR KR1020190147035A patent/KR10225998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88280B2 (ja) * | 2003-02-07 | 2009-07-01 |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 カプセルからの飲料の加圧準備用のリニヤ閉鎖体を備えた抽出モジュール |
KR20060042865A (ko) * | 2004-01-28 | 2006-05-15 | 베르너 발카우 | 커피 메이커용 추출 장치 |
KR20100113447A (ko) * | 2007-02-07 | 2010-10-21 | 사에코 아이피알 리미티드 | 캡슐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1회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주입장치 |
KR20110010665U (ko) | 2010-05-07 | 2011-11-15 | 촨 쿠엔 (장저우) 엔터프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 캡슐커피 추출기구 |
KR20160031626A (ko) * | 2014-09-12 | 2016-03-23 | 코웨이 주식회사 | 캡슐 홀더 감지 센서를 구비한 커피 추출 정수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KR20190009997A (ko) * | 2017-07-20 | 2019-01-30 | 정우연 | 카트리지용 상향 추출식 음료 메이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9987B1 (ko) | 2021-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59239B2 (en) | Brew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 |
EP1890579B1 (en) | Coffee making apparatus | |
EP2071988B1 (en) |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removable injection member | |
US5964142A (en) | Coffee dispensing device | |
JP5902681B2 (ja) | 遠心力を加えることによって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 | |
US10485372B2 (en) | Beverage machine | |
RU2436490C2 (ru) | За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варианты) | |
ME00103B (me) | Uređaj i postupak za pripremu i točenje napitka od sirove materije koja se nalazi u kapsuli | |
KR102259986B1 (ko) | 캡슐 홀더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
AU2013369540A1 (en) |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by centrifugation | |
KR20210059510A (ko) |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 |
CN109310228B (zh) | 饮料冲泡器 | |
CN211212654U (zh) | 料杯及饮料酿造机 | |
KR101880391B1 (ko) | 저온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 |
KR101489809B1 (ko) | 스마트 추출장치가 구비된 전자동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 |
JP7668313B6 (ja) | 時間制御可能な抽出装置 | |
KR20150066189A (ko) |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한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 |
KR20120117322A (ko) | 음료 추출장치의 리드 | |
CN208610620U (zh) | 一种胶囊咖啡机 | |
HK1128213B (en) |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with removable injection member | |
JPH0392109A (ja) | 飲料抽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