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530A - sushi packing box - Google Patents
sushi pack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8530A KR20210058530A KR1020190146094A KR20190146094A KR20210058530A KR 20210058530 A KR20210058530 A KR 20210058530A KR 1020190146094 A KR1020190146094 A KR 1020190146094A KR 20190146094 A KR20190146094 A KR 20190146094A KR 20210058530 A KR20210058530 A KR 202100585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a
- container
- rice
- sushi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being a tray or like shallow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료의 변질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소비자가 직접 초밥을 완성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초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hi container, and in particular, to a sushi container that is packag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material deterioration and provided to a consumer, and that the consumer can directly complete and eat sushi.
알려진 바와 같이 초밥은 일정량 뭉친 밥 위에 생선 등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서 만든 네타를 얹은 음식이다. 이러한 초밥은 신선식품으로 음식점에서 직접 만들어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근래에는 미리 만들어 포장한 후 소매점 등을 통해 유통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As is known, sushi is a dish made by cutting a certain amount of fish, etc. on top of a certain amount of rice, and topped with neta. Such sushi is generally made and provided by restaurants as fresh foods, but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distribute it through retail stores after pre-made and packaging.
한편, 초밥은 생선을 활용하는 특성상 쉽게 변질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초밥은 냉장유통을 하게 되고, 그 유통과정이 최대 12시간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초밥은 밥 위에 네타가 얹혀진 상태로 완제품으로 제조되어 유통되는 것이데, 밥 위에 네타가 얹혀진 경우 미생물의 증식이 촉진되어 냉장유통이라 하더라도 12시간을 넘으면 변질될 가능성이 커짐에 따른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ushi can easily deteriorate due to the nature of using fish. Typically, sushi sold in retail stores is refrigerated and distributed,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distribution process does not exceed 12 hours. Sushi sold in retail stores is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as a finished product with neta on rice.If netta is placed on rice,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s promoted, so even if it is refrigerated distribution,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after 12 hours increases. .
본 발명은 소매점을 통해 초밥을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초밥용기를 제안하되, 재료의 변질 가능성을 감소시켜 유통가능 시간을 늘리고, 소비자가 초밥을 직접 완성하여 먹을할 수 있도록 하는 초밥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ushi container that allows sushi to be distributed through a retail store, but increases the distribution time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aterial deterioration, and provides a sushi container that allows consumers to directly complete and eat sushi.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에서는 이단 구조를 이루어 밥과 네타를 분리하여 담을 수 있게 되는 초밥용기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above object by proposing a sushi container capable of separating and containing rice and neta by forming a two-stag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밥과 네타를 분리하여 포장함으로써 유통과정에서 재료의 변질 가능성이 작아져 유통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밥과 네타가 분리되어 포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초밥이 완성되어 포장된 것과 같은 심미감이 유발되므로 수요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밥을 따로 데워서 초밥을 직접 완성하여 먹을 수 있게 되는바, 개개인의 취향대로 간편하게 초밥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and packaging rice and net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tribution time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aterial deterioration in the distribution process. Since the aesthetic sense is induced, it is possible to stimulate the consumer's desire to purchase. Furthermore, consumers who purchase the product can cook and eat sushi themselves by heating the rice separately, so they can easily make and eat sushi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tas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밥용기의 각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밥용기에서 상부용기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용기에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 식재료와 도구가 담긴 상태 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네타공간 바닥에 네타가 담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 식재료와 도구가 담긴 상태 에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a sushi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is stacked on the lower container while the upper contain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e sushi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od ingredients and tools are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neta is contained in the floor of the neta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od materials and tools are stacked i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소매점을 통해 초밥을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초밥용기를 제안하되, 재료의 변질 가능성을 감소시켜 유통시간을 증가시키고, 소비자가 초밥을 직접 완성하여 먹을할 수 있도록 하는 초밥용기를 제공하기 위해, In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shi container that allows sushi to be distributed through retail stores, but increases the distribution time 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material deterioration, and allows consumers to directly complete and eat sushi. ,
일정한 크기로 뭉쳐진 밥을 담는 밥공간이 가장자리를 따라 구획된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에 적층되되 네타를 담는 네타공간이 구획된 상부용기를 포함하여, 상기 밥과 네타를 분리하여 담을 수 있게 되는 초밥용기를 제안한다.The rice and the neta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cluding a lower container in which a rice space for holding rice aggregated into a certain size is partitioned along the edge, and an upper container in which a neta space for storing neta is partitioned, and stacked on the lower container. Suggest a sushi container.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밥용기의 각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밥용기에서 상부용기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용기에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 식재료와 도구가 담긴 상태 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네타공간 바닥에 네타가 담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 식재료와 도구가 담긴 상태 에서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a sushi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is stacked on the lower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e sushi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od materials and tools are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and the lowe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3 showing a state in which neta is contained in the bottom of the neta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cked state with food ingredients and tools in the upper and lower container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밥용기는 하부용기(100)와 상부용기를 포함하고, 덮개(300)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용기(100)에 상부용기(200)가 적층되고, 그 상태에서 덮개(300)가 씌워져 하부용기(100)와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식재료를 담아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부용기(100)와 상부용기(200) 및 덮개(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As shown, the sushi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부용기(100)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일정한 크기로 뭉쳐진 밥(140)을 담는 밥공간(120)이 구획되어 형성된다. 밥공간(120) 외에 필요에 따라 식재료와 초밥 먹을에 필요한 도구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추가로 구획될 수 있다.The
밥공간(120)은 하부용기(100)의 폭 방향으로 밥(140)이 배치되게 형성되는데, 하부용기(100)의 일측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밥공간(120)은 복수로 형성되며, 하부용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형성되게 된다. The
상부용기(200)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하부용기(100)에 적층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부용기(200) 내부로 수용된다. 상부용기(200)에는 네타(240)를 담는 네타공간(220)이 구획되어 형성되는데, 네타공간(220)은 밥공간(1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게 되며, 각각의 밥공간(120) 위에 각각의 네타공간(2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네타공간(220)에 네타(240)가 담기고, 하부용기(100)의 밥공간(120)에 밥(140)이 담기게 되면 마치 밥(140)에 네타(240)가 얹혀진 것과 같은 심미감을 형성하여 소비자가 본 발명에 의한 초밥용기에 포장된 것이 초밥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The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밥(140)과 네타(240)를 분리하여 담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생적으로 초밥을 포장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부수적으로는 밥(140)과 네타(240)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미생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동일한 유통조건하에서 밥(140) 위에 네타(240)가 얹혀져 유통되는 것에 비해 유통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밥(140)과 네타(240)가 분리된 상태로 담겨 제공되면 필요할 경우 하부용기(100)에 담긴 밥(140) 만을 개별적으로 데워줄 수 있다. 초밥은 소매점 판매를 위해 냉장 유통되는 과정에서 밥(140)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식감이 저하되는데, 상기와 같이 밥(140)만을 따로 데우면 식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게 되므로 부드러운 식감을 추구하는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소매점을 통해 유통되는 초밥임에도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f the
한편, 밥(140)을 데운 상태에서 소비자는 직접 상부용기(200)에 담긴 네타(240)를 밥(140) 위에 얹어서 초밥을 완성한 후 먹을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ile the
상부용기(200)는 하부용기(100)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부용기(200)가 하부용기(100)에 적층하게 되면 폭의 차이만큼 하부용기(100)가 노출된다. 따라서 하부용기(100)에 담긴 밥(140)이 일부가 수요자의 시야에 노출되고, 이를 통해 수요자는 본 발명에 의한 초밥용기에 담긴 것이 초밥인 것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밥(140)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상부용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용기(20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하부용기(100)에 담긴 밥(140)이 그대로 소비자의 시야에 노출되게 되고, 그 결과 마치 네타(240)가 밥(140)에 얹혀진 것과 같은 심미감을 형성하게 되어 구매 욕구 자극에 도움을 주게 된다. 이 구성에서 덮개(300) 또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덮개(30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소매점에 전시된 상태에서 소비자가 쉽게 내부에 담긴 초밥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부용기(200)에서 네타(240)를 담는 네타공간(220) 바닥은 위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를 향해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가장자리 부분은 평평하고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 경우 네타(240)가 네타공간(220)에 담기게 되면 위로 볼록한 상태가 되므로 볼륨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초밥은 입체적으로 뭉쳐진 밥(140)에 네타(240)가 얹혀진 것이어서 네타(240)가 얹혀진 상태에서 위로 볼록한 입체감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볼륨감을 상기와 같이 네타공간(220) 바닥을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소비자에게 풍성한 느낌을 주어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게 된다. The bottom of the
여기서, 네타공간(220) 바닥에는 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2)는 위로 튀어나온 형상으로 되어 네타공간(220) 바닥을 따라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돌기(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네타공간(220)에 담기는 네타(240)와 상기 바닥 사이에 일정 정도 틈을 형성하도록 하게 된다. 그 틈을 통해서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게 되는바, 네타(240)의 신선도 유지에 도움을 주게 된다.Here, a
상기 돌기(222)는 엠보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바닥과 네타(240) 사이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The
100 : 하부용기, 120 : 밥공간,
140 : 밥,
200 : 상부용기, 220 : 네타공간,
222 : 돌기, 240 : 네타,
300 : 덮개.100: lower container, 120: rice space,
140: rice,
200: upper container, 220: neta space,
222: protrusion, 240: neta,
300: cover.
Claims (5)
상기 상부용기(200)는 하부용기(100)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부용기(200)가 하부용기(100)에 적층된 상태에서 네타(240)가 밥(140)에 얹혀진 것처럼 보이게 함과 아울러 하부용기(100)에 담긴 밥(140)의 일부가 시야에 노출되게 되는 초밥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container 200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lower container 100, so that the neta 240 is placed on the rice 14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ontainer 200 is stacked on the lower container 100. In addition, a sushi container in which a portion of the rice 140 contained in the lower container 100 is exposed to the view.
상기 상부용기(2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초밥용기.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container 200 is a sushi container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네타공간(220) 바닥은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네타(240)에 입체감을 형성하게 되는 초밥용기.The method of claim 2,
The bottom of the neta space 220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to form a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neta 240.
상기 네타공간(220) 바닥에는 위로 돌출된 돌기(222)가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네타(240)가 상기 바닥에서 떨어진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초밥용기.
The method of claim 4,
A sushi container in which a protrusion 222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bottom of the neta space 220 so that the neta 240 is kept away from the flo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6094A KR20210058530A (en) | 2019-11-14 | 2019-11-14 | sushi pack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6094A KR20210058530A (en) | 2019-11-14 | 2019-11-14 | sushi packing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8530A true KR20210058530A (en) | 2021-05-24 |
Family
ID=7615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6094A Ceased KR20210058530A (en) | 2019-11-14 | 2019-11-14 | sushi pack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58530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3947B1 (en) | 2018-04-09 | 2019-01-02 | 주식회사 어업회사법인 주안 | container |
-
2019
- 2019-11-14 KR KR1020190146094A patent/KR20210058530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3947B1 (en) | 2018-04-09 | 2019-01-02 | 주식회사 어업회사법인 주안 |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330760A1 (en) | Salad kit | |
KR20210058530A (en) | sushi packing box | |
US20130236861A1 (en) | Package for consumable products | |
US20060172043A1 (en) | Article of manufacture and method for the packaging of food products | |
JP3207437U (en) | Packaging container | |
KR101469677B1 (en) | Internal packaging tray and vessel containing the same | |
US3360115A (en) | Packaging of food stuffs | |
KR200468938Y1 (en) | Tray For Packing Food And Food-Packing Vessel Including The Same | |
JP2017222365A (en) | Packaging container with inner container | |
US9272833B2 (en) | Packages for consumable products | |
US20160122046A1 (en) | Method for providing a platter of foodstuffs for sale to a consumer | |
KR102725122B1 (en) | Rolling GIMBAP maker for a Seasoned laver | |
JP6506607B2 (en) | Packaging container | |
JP2018131218A (en) | Packaging container | |
KR200328665Y1 (en) | A Package of Noodles | |
US20070194027A1 (en) | Portable food bar for take out foods | |
KR20080051951A (en) | Seller-oriented functional packaging | |
KR200290691Y1 (en) | A Soup Package of Noodles | |
US20060165852A1 (en) | Asian fast-food packs embodied by its accompanying cooked rice, and a method of distribution | |
KR200404790Y1 (en) | A support of food packaging | |
AU2012357118B2 (en) | Packages for consumable products | |
JP3111605U (en) | Boiled bean package | |
KR20250003398A (en) | A fast-food dressed with an ice cream cone wrap or the like | |
JP3118099U (en) | Nori cutting robot | |
JP2978079B2 (en) | Product assortment box and assort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7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