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968A - Shift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Shift contro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7968A KR20210057968A KR1020190144827A KR20190144827A KR20210057968A KR 20210057968 A KR20210057968 A KR 20210057968A KR 1020190144827 A KR1020190144827 A KR 1020190144827A KR 20190144827 A KR20190144827 A KR 20190144827A KR 20210057968 A KR20210057968 A KR 202100579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nge
- wall
- roller
- angle
- shi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8—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with diagnostic check cycles; Monitoring of failures
- F16H2061/1216—Display or indication of detected fail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7—Detents for range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actuator)를 통해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인지(Shift range)를 전환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ft control system for switching a shift range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through an actuator.
종래 운전자에 의한 시프트 레버(shift lever)의 조작에 따라, 전기 제어 하에서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이 있다. BACKGROUND ART There is a shift control system for switching a shift range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under electric control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 shift lever by a conventional driver.
이와 같은 시프트 제어 시스템은, 파워-오프 된 후 다시 파워가 인가될 때, 엑츄에이터의 절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파워-오프에 앞서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인지 뿐만 아니라 엑츄에이터의 회전 위치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이나, 또는 매뉴얼 밸브를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엑츄에이터의 구동량을 나타내는 전위차계(potentiometer)의 값을 사용하는 시프트-바이-와이어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In such a shift control system, when power is applied again after power-off,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determine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actuator. For example, prior to power-off, not only the shift range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but also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actuator is stored in a nonvolatile memory, or the value of a potentiometer indicating the amount of actuator driving to accurately position the manual valve. A shift-by-wire system using
이러한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인코더를 통한 상대적인 회전량으로는 정확한 초기 위치를 습득할 수 없고, 정확한 초기 위치를 설정하지 못하면 엑츄에이터의 회전 시에 마모가 발생되므로, 내구성을 악화 시키고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초기 위치 검출을 통한 기준 위치 설정이 반드시 필요하다.In such a shift control system, the correct initial position cannot be acquired with the relative rotation amount through the encoder, and if the correct initial position is not set, wear occurs during rotation of the actuator, which may deteriorate durability and make normal operation im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reference position through initial position detection.
또한, 차량의 자동 변속기에서 차량을 파킹(parking)하기 위한 파킹 레인지인 P 레인지(range)와, 파킹 레인지를 제외한 레인지인 낫(Not) P 레인지로 시프트 레인지가 구분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시프트 레인지를 인식하기 위하여 별도의 감지센서 등을 시프트 레인지 영역에 구비하는 구조였으나,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엔진룸의 온도, 습도 등으로 인해 감지센서 등이 쉽게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 shift range is divided into a P range, which is a parking range for parking a vehicle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and a Not P range, which is a range excluding the parking range. Conventionally, in order to recognize such a shift range, a separate detection sensor or the like is provided in the shift range area,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cost is incurred, and the detection sensor is easily deteriorated due to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engine roo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감지센서 등의 별도의 장치없이, P 레인지와 낫(Not) P 레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차량의 시프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ehicle shift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tinguishing between a P range and a not P range without a separate device such as a detection sensor.
또한, 본 발명은 벽을 감지하여 정확한 초기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ift control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 accurate initial position by detecting a wall.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통해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시프트 레인지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엑츄에이터, 상기 엑츄에이터의 회전량에 따른 카운트 값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돌출된 크레스트를 경계로 함몰된 부분인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디텐트 플레이트,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시프트 레인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롤러 및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엑츄에이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현재 상기 롤러의 위치가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 중에서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전자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a shift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to switch to any one of the P range and the not P range through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object, the actuator detects a count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actuator. Means, the shaft rotated by the actuator, the P range and the notch P range, which are recessed portions on the boundary of the protruding crest, are located respectively, the detent plate rotat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and the rotation of the detent plate are restricted. And, the roller for fixing the shift range provided on the detent plate and the actuator are driven to switch the shift range,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ller is set to the P range by using the count value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It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ich region of the sickle P range is located.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샤프트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샤프트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롤러의 위치가 P 레인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샤프트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샤프트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4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롤러의 위치가 낫 P 레인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the shaft rotates to the left and the count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range, and the shaft rotates to the right and the count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range, the position of the roller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in the P range, the shaft rotates to the left and the count value falls within the preset third reference value range, the shaft rotates to the right and the count value falls within the preset fourth reference value range, the rolle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sickle is in the P range.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는, 외부쪽 벽인 제1벽과 상기 크레스트쪽 벽인 제2벽을 포함하는 P 레인지 영역과, 상기 크레스트쪽 벽인 제3벽과 외부쪽 벽인 제4벽을 포함하는 낫 P 레인지 영역이 구비되고,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벽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1각이라 하고, 상기 제2벽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2각이라 하고, 제3벽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3각이라 하고, 상기 제4벽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4각이라 할 때,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는 상기 제1각, 제2각, 제3각, 제4각의 순으로 각도의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tent plate includes a P range region including a first wall as an outer wall and a second wall as the crest wall, and a sickle P range region including a third wall as the crest wall and a fourth wall as the outer wall. And the angle in which the first wall is inclined is referred to as a first angle, the angle in which the second wall is inclined is referred to as a second angle, and the angle in which the third wall is inclined is referred to as a third angle. When the angle at which the fourth wall is inclined is referred to as a fourth angle, the detent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ze of the angle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first angle, the second angle, the third angle, and the fourth angle. It can be formed as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각도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카운트 값을 출력하고, 상기 제1 기준값 범위보다 상기 제2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고, 상기 제2 기준값 범위보다 상기 제3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고, 상기 제3 기준값 범위보다 상기 제4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sensing means outputs a count valu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angle, the second reference value rang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range, and the third reference value range is larg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range. And the fourth reference value range may be set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range.
상기 시프트 제어 시스템은,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는 표시부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hift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rror message and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1벽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벽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2벽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벽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3벽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3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3벽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4벽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4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4벽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irst wall is worn when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when the roll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wall, and displays an error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an alarm sound through the alarm unit, when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econd wall, when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wall is worn, and the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 alarm sound is output through the alarm unit, and when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third wall side, when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ird threshold, the third wall is worn.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has been,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 alarm sound is output through the alarm unit, and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fourth threshold when the roller is located on the fourth wall side , It is determined that the fourth wall is worn,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n alarm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alarm unit.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인 입력 시간을 측정하고, 입력 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롤러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롤러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이때의 상기 롤러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롤러를 상기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벽에서부터 이격된 롤러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산출하되, 단위 시간당 입력 시간의 증가 비율인 증가율의 순간 기울기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이 되면, 상기 롤러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easures an input time, which is a time when signals are input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actuator, and measures a change in the input time, and detects whether the roller has reached the wall of the corresponding shift range. And, when detecting that the roller has reached the wall of the shift range, the position of the roller at this time is checked, the roller is separated from the wall, and the position of the roller separated from the wall is calculated as the initial position. However, when the instantaneous slope value of the increase rate, which is the increase rate of the input time per uni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cted that the roller has reached the wall of the corresponding shift range.
본 발명에 의하면, 홀센서 등의 감지수단의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the P range and the not P range using the count value of the detection means such as a Hall sens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P range and the not P range.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이미 P 레인지 또는 낫 P 레인지에 샤프트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다시 P 레인지 또는 낫 P 레인지로 동작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the P range and the sickle P range, when the shaft is already located in the P range or the sickle P rang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n error of operating in the P range or the sickle P range again.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를 구성하는 각 벽의 마모여부를 판단하는 고장진단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벽에 마모가 발생한 경우, 에러메시지와 경보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특정 벽의 마모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fault diagnosis function to determine the wear of each wall constituting the P range and the sickle P range, when wear occurs on a specific wall, an error message and an alarm sound are output to facilitate the user.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recognize whether a specific wall is worn or no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감지수단의 입력 시간의 변화를 감지하여 초기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엑츄에이터의 회전 시에 발생하는 마모 현상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input time of the sensing means in the shift control system to detect the initial pos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brasion occurring during rotation of the actuator and improving durability.
도 1은 시프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디텐트 플레이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디텐트 플레이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인코더 입력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레인지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인코더 입력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수단의 입력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의 초기 위치 검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의 초기 위치 검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ift control device.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etent plate in the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etent plate portion in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an encoder input tim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a shift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an encoder input tim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waveform of a sen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 initial position in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 initial position in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P range and a not P range in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actuator)를 통해 복수의 연속하는 시프트 레인지 중에 어느 하나의 시프트 레인지로 전환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ft control system for switching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consecutive shift ranges through an actuator.
본 발명에 대한 일 실시예로, 시프트 레인지(shift range) 중에서 파킹(parking)을 위한 파킹 레인지인 P 레인지(P range)와, 파킹 레인지를 제외한 레인지인 낫 P 레인지(Not P range)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 range, which is a parking range for parking, among shift ranges, and Not P range, which is a range excluding the parking range, is illustrated. I will explain.
도 1은 시프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ift control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시프트 제어 장치(48)는 엑츄에이터(42)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102), 샤프트(10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디텐트 플레이트(100), 디텐트 플레이트(100)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로드(104), 변속기(도시되지 않음)의 출력축에 고정된 파킹 기어(108), 파킹 기어(108)를 로킹(Locking)하기 위한 파킹 로크 폴(106), 디텐트 스프링(110), 디텐트 플레이트(100)의 회전을 제한하고 시프트 레인지를 고정하는 롤러(1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디텐트 플레이트(100)는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엑츄에이터(42)에 의해 구동되는 시프트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샤프트(102), 디텐트 플레이트(100), 로드(104), 디텐트 스프링(110), 롤러(112)는 시프트 스위칭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감지수단(46)은 엑츄에이터(42)의 회전량에 따라 카운트 값을 획득하는 카운트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지수단(46)은 홀 센서(Hall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The
도 1은 현재 낫 P 레인지에서 시프트 레인지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파킹 로크 폴(106)은 파킹 기어(108)를 로킹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구동축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는다. 이 상태로부터 시작해서, 로드(104)가 화살표 A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디텐트 플레이트(100)를 거쳐 밀어 올려지도록, 엑츄에이터(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샤프트(102)를 회전시키고, 파킹 로크 폴(106)은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로드(104) 끝의 테이퍼 부(Tapered portion)에 의해 밀어진다. 디텐트 플레이트(100)가 회전함에 따라, 디텐트 플레이트(100)의 상부의 함몰들 중 하나에 위치한, 낫 P 레인지 위치(120)에 위치되는 디텐트 스프링(110)의 롤러(112)가 크레스트(crest)(122)를 넘고, 다시 함몰하여 P 레인지 위치로 내려간다. 롤러(112)는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디텐트 스프링(110)에 제공된다.1 shows the state of the shift range in the current sickle P range. In this state, since the
롤러(112)가 P 레인지 위치(124)로 이동을 허용할 정도로 디텐트 스프링(110)이 회전할 때, 파킹 로크 폴(106)은 파킹 기어(108)와 맞물리는 위치로 밀어 올려진다. 이런 식으로, 차량의 구동축이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시프트 레인지가 P 레인지로 전환된다.Whe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디텐트 플레이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detent plate in the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디텐트 플레이트(100)의 함몰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각 함몰의 두 표면 중, 크레스트(122)로부터 떨어져 위치한 표면을 "벽"이라고 한다. 즉, 크레스트(122)를 넘은 롤러(112)가 함몰의 하부로 하강할 때, 디텐트 스프링(110)의 롤러(112)에 대해 부딪치는 위치에 벽이 나타난다. P 레인지 위치(124)의 벽은 "P 벽"이라고 하고, 낫 P 레인지 위치(120)의 벽은 "낫 P 벽"이라고 한다.Referring to FIG. 2, of the two surfaces of each depression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depression of the
본 발명에서 P 레인지(124) 영역에서 외부쪽 벽을 제1벽(201)이라 하고, 크레스트(122)쪽 벽을 제2벽(202)이라 하고, 낫 P 레인지(120) 영역에서 크레스트(122)쪽 벽을 제3벽(203)이라 하고, 외부쪽 벽을 제4벽(204)이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in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은 엑츄에이터(42), 감지수단(46), 전자 제어부(Electronic Control Unit, ECU)(40), P 스위치(20), 시프트 제어 장치(48)를 포함한다. 1, 2 and 8, the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P 스위치(20)는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 사이에서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고, 운전자로부터 지령을 수신하는 입력 유닛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기를 포함한다. 운전자는 P 스위치(20)를을 통해 P 레인지로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는 지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감지수단(46)은 엑츄에이터(42)의 회전량에 따른 카운트 값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지수단(46)은 홀센서(hall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nsing means 46 detects a count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샤프트(102)는 엑츄에이터(42)에 의해 회전한다. The
디텐트 플레이트(100)는 돌출된 크레스트(122)를 경계로 함몰된 부분인 시프트 레인지(120, 124)가 위치하고, 각 시프트 레인지(120, 124)에서 벽(201, 202, 203, 204)을 포함하고 있으며, 샤프트(10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In the
롤러(112)는 디텐트 플레이트(100)의 회전을 제한하고, 디텐트 플레이트(100)에 구비되어 있는 시프트 레인지(120, 124)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전자 제어부(40)는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엑츄에이터(42)를 구동시키고,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현재 롤러(112)의 위치가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 중에서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서 전자 제어부(40)는 샤프트(102)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고, 샤프트(102)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면, 롤러(112)의 위치가 P 레인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자 제어부(40)는 샤프트(102)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고, 샤프트(102)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4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면, 롤러(112)의 위치가 낫 P 레인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When the
그리고, 전자 제어부(40)는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엑츄에이터(42)를 구동시키고, 엑츄에이터(42)의 구동에 따른 감지수단(46)의 입력 시간을 측정하고, 감지수단(46)의 입력 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여,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이때의 롤러(112)의 위치를 확인하고, 롤러(112)를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벽에서부터 현재 롤러(112)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초기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Then, the
본 발명에서 엑츄에이터(42)는 SR(Switched Reluctance)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전자 제어부(40)로부터의 지령에 응답해서 시프트 제어 장치(48)를 구동한다. 감지수단(46)은 SR 모터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엑츄에이터(42)와 함께 회전한다. 전자 제어부(40)는 SR 모터의 회전 상태를 알기 위해 감지수단(46)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SR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통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부(40)는 감지수단(46)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하면,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부(40)는 감지수단(46)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의 증가율의 순간 기울기 값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치 이상이 되면,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stantaneous inclination value of the increase rate of the time at which the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ing means 46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본 발명에서 롤러(112)가 P 레인지(124)로부터 낫 P 레인지(120)로 이동할 때, 전자 제어부(40)는 낫 P 벽이 롤러(112)에 대해 부딪히지 않도록 엑츄에이터(42)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디텐트 플레이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etent plate portion in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디텐트 플레이트(100)는 외부쪽 벽인 제1벽(201)과 크레스트(122)쪽 벽인 제2벽(202)을 포함하는 P 레인지(124) 영역과, 크레스트(122)쪽 벽인 제3벽(203)과 외부쪽 벽인 제4벽(204)을 포함하는 낫 P 레인지(120) 영역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본 발명에서 바닥면을 기준으로, 제1벽(201)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1각(301)이라 하고, 제2벽(202)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2각(302)이라 하고, 제3벽(203)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3각(303)이라 하고, 제4벽(204)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4각(304)이라 할 때, 디텐트 플레이트(100)는 제1각(301), 제2각(302), 제3각(303), 제4각(304)의 순으로 각도의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t which the
예를 들어, 제1각(301)이 80°, 제2각(302)이 70°, 제3각(303)이 60°, 제4각(304)이 40°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본 발명에서 감지수단(46)은 제1각(301), 제2각(302), 제3각(303), 제4각(304)의 각도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카운트 값을 출력한다. 제1각(301), 제2각(302), 제3각(303), 제4각(304)에서 각도가 클수록 롤러(112)가 벽에 부딪히면서 저항하는 힘인 반발력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102)에도 저항력이 전달되면서 회전력이 감소하므로, 감지수단(46)에서 제1각(301), 제2각(302), 제3각(303), 제4각(304)의 각도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카운트 값을 출력하는 것은 시프트 제어 시스템의 구조상 당연한 결과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eans 46 outputs a count valu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angles of the
디텐트 플레이트(100)가 제1각(301), 제2각(302), 제3각(303), 제4각(304)의 순으로 각도의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에서, 제1 기준값 범위보다 제2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고, 제2 기준값 범위보다 제3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고, 제3 기준값 범위보다 제4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ize of the
예를 들어, 제1각(301)이 80°, 제2각(302)이 70°, 제3각(303)이 60°, 제4각(304)이 40°로 형성된 구조에서, 롤러(112)가 A에서 A1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1벽(201)에 부딪히는 경우에 제1 기준값 범위를 30~35로 설정하고, 롤러(112)가 A에서 A2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2벽(202)에 부딪히는 경우에 제2 기준값 범위를 36~40으로 설정하고, 롤러(112)가 B에서 B1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3벽(203)에 부딪히는 경우에 제3 기준값 범위를 41~45로 설정하고, 롤러(112)가 B에서 B2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4벽(204)에 부딪히는 경우에 제4 기준값 범위를 46~50으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 structure in which the
예를 들어, 샤프트(102)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31이고, 샤프트(102)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38이면, 전자 제어부(40)는 롤러(112)의 위치가 P 레인지(124)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For example, if the
그리고, 샤프트(102)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44이고, 샤프트(102)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49이면, 전자 제어부(40)는 롤러(112)의 위치가 낫 P 레인지(120)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nd, i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프트 제어 시스템은 특정 벽의 마모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인 고장 진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시프트 제어 시스템은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는 표시부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ft control system may provide a fault diagnosis function, which i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wall is worn. To this end, the shift control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rror message and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이때, 전자 제어부(40)는 롤러(112)가 제1벽(201)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1벽(201)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전자 제어부(40)는 롤러(112)가 제2벽(202)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2벽(202)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전자 제어부(40)는 롤러(112)가 제3벽(203)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3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3벽(203)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전자 제어부(40)는 롤러(112)가 제4벽(204)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4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4벽(204)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Further, the
예를 들어, 제1 임계치가 20이라고 가정하면, 전자 제어부(40)는 롤러(112)가 제1벽(201)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20을 초과하면, 제1벽(201)이 마모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보통 SBW(Shift by wire) 방식의 기어 특성 상, 제1벽(201)과 제4벽(204)이 가장 많이 마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threshold is 20, wh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인코더 입력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4 is a graph showing an encoder input tim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세 개의 감지수단이 구비되고, 엑츄에이터(42)의 구동에 따라 롤러(112)가 P 레인지(124)에서 제1벽(201)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를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In FIG. 4, three sensing means are provided, and the result of an experiment is shown in which the
도 4에서 A, B, C, 세 개의 감지수단의 입력 파형과, 인코더 입력 시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롤러(112)가 P 레인지(124)에 있을 때에는 감지수단 입력 시간이 2ms인데, 롤러(112)가 제1벽(201)에 근접할수록 감지수단 입력 시간이 증가하고, 제1벽(201) 충돌 시 감지수단 입력 시간이 4ms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4, the input waveforms of the three sensing means, A, B, C, and an encoder input time graph are shown.When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지수단 입력 시간이 제1 기준치 이상 증가한 경우, 롤러(112)가 제1벽(201)에 충돌한 것을 검출하고, 제1벽(201)을 검출하고 나면, 사전에 계산된 감지수단 카운트 값만큼 보정을 실시하여 P 레인지 기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time of the sensing means increases by more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도 4는 롤러(112)가 P 레인지(124)에 있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나, 롤러(112)가 낫 P 레인지(120)에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4벽(204)을 검출할 수 있다.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수단의 입력 파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n input waveform of a sens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일 실시예에 대한 도 7(a)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42)가 초기 위치인 P 레인지(124)에서 제1벽(201)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입력되는 감지수단 간의 입력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7(a) for an embodiment, the input time between the sensing means inpu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ctuator 42 from the initial
액츄에이터(42)가 제1벽(201)에 도달하기 전에는 감지수단 간의 입력 시간이 T1, T2 … Tn과 같이 일정하나, 제1벽(201)에 도달하는 순간 Tn + α과 같이 감지수단 입력 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이를 통해 제1벽(20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Before the
다음으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도 7(b)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42)가 초기 위치인 P 레인지(124)에서 제1벽(201)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입력되는 감지수단 간의 입력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Next, referring to FIG. 7(b) for another embodiment, the input time between sensing means input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actuator 42 from the initial
액츄에이터(42)가 제1벽(201)에 도달하기 전에는 감지수단 간의 입력 시간이 T1, T2 … Tn과 같이 일정하나, 제1벽(201)에 근접할수록 Tn + α, Tn + β와 같이 감지수단 입력 시간이 늘어난다. 그러다가 제1벽(201)에 도달하는 순간에, 예를 들어 Tn + γ와 같이 감지수단 입력 시간의 증가가 미리 설정된 증가율(단위 시간당 감지수단 입력 시간의 증가가 Tn + γ인 증가율)의 비율로 늘어난 현상이 감지되면, 그러한 감지 결과를 통해 제1벽(200)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Before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인코더 입력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6 is a graph showing an encoder input time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112)가 P 레인지(124)에서 제1벽(201) 쪽으로 이동하면, 경사 때문에 감지수단 입력 시간이 서서히 증가하고, 제1벽(200) 검출 시점에 감지수단 입력 시간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6,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도 6의 실시예에서는 감지수단 입력 시간의 증가율의 순간 기술기(620)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치(610) 보다 큰 경우, 해당 시점에서 제1벽(201)을 검출하는 방식이다. 이는 롤러(112)가 낫 P 레인지(120)에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wh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레인지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a shift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P 레인지(124)와 낫 P 레인지(120) 간의 시프트 레인지 전환 시에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를 실시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shift range is switched between the
도 5에서 (a)는 낫 P 레인지(120)에서 P 레인지(124)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반대로 P 레인지(124)에서 낫 P 레인지(120)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In FIG. 5, (a) shows the conversion from the
PID 제어는 제어하고자 하는 대상의 출력값(Output)을 측정하여, 이를 원하는 설정값(Setpoint)과 비교하여 오차(Error)를 계산하고, 이 오차값을 이용하여 제어에 필요한 제어값을 계산하는 제어 방식이다. PID control is a control method that measures the output value of the object to be controlled, compares it with a desired setpoint, calculates an error, and calculates the control value necessary for control using this error value. to be.
P 레인지(124)와 낫 P 레인지(120) 간의 시프트 레인지 전환을 위한 PID 제어 방식은 아래와 같다.The PID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the shift range between the
먼저 PID 제어 파라미터를 구분하면, 출력값은 모터의 구동에 따른 감지수단 카운터의 입력 값(정방향 회전 시 증가, 역방향 회전 시 감소)이고, 설정값은 롤러(112)의 20˚ 이동에 필요한 감지수단 카운터의 목표값(기어비 60:1의 8극 모터의 경우 80회)이고, 제어값은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PWM 출력 값이고, 오차는 설정값과 출력값의 차이다. First, if the PID control parameter is classified, the output value is the input value of the detection means count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increase when rota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decrease when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set value is a sensing means counter required for 20˚ movement of the
그리고, 레인지 전환 방식은 다음과 같다. And, the range conversion method is as follows.
먼저, 낫 P 레인지(120)에서 P 레인지(124)로 전환시, 설정값보다 출력값이 작으면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설정값보다 출력값이 크면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First, when switching from the
그리고, P 레인지(124)에서 낫 P 레인지(120)로 전환시, 설정값보다 출력값이 작으면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설정값보다 출력값이 크면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And, when switching from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의 초기 위치 검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 initial position in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엑츄에이터(42)를 구동시킨다(S101).Referring to FIG. 9, the
그리고, 감지수단(46)의 입력 시간을 측정한다(S103).Then, the input time of the sensing means 46 is measured (S103).
그리고, 감지수단(46)의 입력 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여,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105, S107). Then,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input time of the sensing means 46, it is detected whether the
여기서 S105 단계에서 감지수단(46)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1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하면,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한다. 예를 들어, 롤러(112)가 P 레인지(124)에 있을 때 제1벽(201)의 도달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Here, when the time for inputting a signal from the sensing means 46 in step S105 increases beyond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it is detected that the
다음,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S107), 이때의 롤러(112)의 위치를 확인하고, 롤러(112)를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벽에서부터 현재 롤러(112)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초기 위치를 산출한다(S109). Next, when detecting that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의 초기 위치 검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 initial position in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엑츄에이터(42)를 구동시킨다(S201).Referring to FIG. 10, the
그리고, 감지수단(46)의 입력 시간을 측정한다(S203).Then, the input time of the sensing means 46 is measured (S203).
그리고, 감지수단(46)의 입력 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여,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205, S207). Then,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input time of the sensing means 46, it is detected whether the
여기서 S205 단계에서 감지수단(46)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의 증가율의 순간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제2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하면,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한다. 예를 들어, 롤러(112)가 P 레인지(124)에 있을 때 제1벽(201)의 도달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Here, in step S205, when the instantaneous slope of the increase rate of the time when the signal is inputted from the sensing means 46 increases above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it is detected that the
다음, 롤러(112)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S207), 이때의 롤러(112)의 위치를 확인하고, 롤러(112)를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벽에서부터 현재 롤러(112)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초기 위치를 산출한다(S209).Next, when detecting that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P range and a not P range in a shif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시프트 제어 시스템에서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엑츄에이터(42)를 구동시킨다(S301).Referring to FIG. 11, the
전자 제어부(40)는 샤프트(102)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고(S303), 샤프트(102)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면(S305), 롤러(112)의 위치가 P 레인지(124)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07). The
그리고, 전자 제어부(40)는 샤프트(102)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고(S309), 샤프트(102)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4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면(S311), 롤러(112)의 위치가 낫 P 레인지(124)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13). 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48 시프트 제어 장치
42 엑츄에이터
102 샤프트
100 디텐트 플레이트
104 로드
108 파킹 기어
106 파킹 로크 폴
110 디텐트 스프링
112 롤러
20 P 스위치
40 ECU
42 엑츄에이터
46 감지수단
48 시프트 제어 장치
201 제1벽
202 제2벽
203 제3벽
204 제4벽
301 제1각
302 제2각
303 제3각
304 제4각
120 낫 P 레인지
124 P 레인지48
102
106
112 roller 20P switch
40
46 detection means 48 shift control device
201
203
301 Angle 1 302 Angle 2
303
120 Not P range 124 P range
Claims (6)
엑츄에이터;
상기 엑츄에이터의 회전량에 따른 카운트 값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
돌출된 크레스트를 경계로 함몰된 부분인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디텐트 플레이트;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시프트 레인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롤러; 및
시프트 레인지를 전환하기 위해 상기 엑츄에이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카운트 값을 이용하여 현재 상기 롤러의 위치가 P 레인지와 낫 P 레인지 중에서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전자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
In a shift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to switch to any one of the P range and the not P range through an actuator,
Actuator;
Sensing means for detecting a count value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actuator;
A shaft rotated by the actuator;
A detent plate in which a P range and a sickle P range, each of which are recessed portions of the protruding crest as a boundary, are located and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A roller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detent plate and fixing a shift range provided in the detent plat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drives the actuator to switch a shift ran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roller is in the P range or the not P range by using the count value detected by the sensing means.
Shift control system comprising a.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샤프트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샤프트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롤러의 위치가 P 레인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샤프트가 좌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3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고, 상기 샤프트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카운트 값이 미리 설정된 제4 기준값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롤러의 위치가 낫 P 레인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f the shaft rotates to the left and the count value falls withi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range, and the shaft rotates to the right and count value falls withi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range, the position of the roller is in the P range. Judge,
If the shaft rotates to the left and the count value falls within the preset third reference value range, and the shaft rotates to the right and the count value falls within the preset fourth reference value range, the position of the roller is better within the P range. A shif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o be.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는, 외부쪽 벽인 제1벽과 상기 크레스트쪽 벽인 제2벽을 포함하는 P 레인지 영역과, 상기 크레스트쪽 벽인 제3벽과 외부쪽 벽인 제4벽을 포함하는 낫 P 레인지 영역이 구비되고,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벽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1각이라 하고, 상기 제2벽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2각이라 하고, 제3벽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3각이라 하고, 상기 제4벽이 기울어진 각도를 제4각이라 할 때,
상기 디텐트 플레이트는 상기 제1각, 제2각, 제3각, 제4각의 순으로 각도의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etent plate includes a P range region including a first wall as an outer wall and a second wall as the crest wall, and a sickle P range region including a third wall as the crest wall and a fourth wall as the outer wall. Equipped,
Based on the bottom surface, the angle in which the first wall is inclined is referred to as a first angle, the angle in which the second wall is inclined is referred to as a second angle, and the angle in which the third wall is inclined is referred to as a third angle, When the angle at which the fourth wall is inclined is called a fourth angle,
The shift control system, wherein the detent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ze of the angle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first angle, the second angle, the third angle, and the fourth angle.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각도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카운트 값을 출력하고,
상기 제1 기준값 범위보다 상기 제2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고, 상기 제2 기준값 범위보다 상기 제3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고, 상기 제3 기준값 범위보다 상기 제4 기준값 범위가 더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ing means outputs a count valu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angle,
The second reference value rang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range, the third reference value range has a larger value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range, and the fourth reference value range is larger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range. Shif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value.
상기 시프트 제어 시스템은,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는 표시부와,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롤러가 상기 제1벽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1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벽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2벽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2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벽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3벽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3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3벽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4벽 쪽에 위치할 때,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제4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4벽이 마모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표출하고,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shift control system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rror message and an alarm unit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the roll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wall, when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wall is worn,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alarm unit To output an alarm sound through
When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econd wall, when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wall is worn,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alarm unit To output an alarm sound through
When the roll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third wall, when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third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wall is worn,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alarm unit To output an alarm sound through
When the roller is positioned on the fourth wall side, when the count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fourth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fourth wall is worn,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alarm unit Shift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n alarm sound through.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감지수단으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시간인 입력 시간을 측정하고, 입력 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롤러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롤러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이때의 상기 롤러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롤러를 상기 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벽에서부터 이격된 롤러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산출하되, 단위 시간당 입력 시간의 증가 비율인 증가율의 순간 기울기 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이 되면, 상기 롤러가 해당 시프트 레인지의 벽에 도달한 것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easures an input time, which is a time when signals are input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actuator, and measures a change in the input time, and detects whether the roller has reached the wall of the corresponding shift range. And, when detecting that the roller has reached the wall of the shift range, the position of the roller at this time is checked, the roller is separated from the wall, and the position of the roller separated from the wall is calculated as the initial position. However, when the instantaneous inclination value of the increase rate, which is the increase rate of the input time per uni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is detected that the roller has reached the wall of the corresponding shift ran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4827A KR20210057968A (en) | 2019-11-13 | 2019-11-13 | Shift contro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4827A KR20210057968A (en) | 2019-11-13 | 2019-11-13 | Shift control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7968A true KR20210057968A (en) | 2021-05-24 |
Family
ID=7615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4827A Pending KR20210057968A (en) | 2019-11-13 | 2019-11-13 | Shift control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57968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0070B1 (en) | 1997-06-18 | 1999-09-01 | 정몽규 | Shift control valve of automatic transmission hydraulic control system |
-
2019
- 2019-11-13 KR KR1020190144827A patent/KR20210057968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0070B1 (en) | 1997-06-18 | 1999-09-01 | 정몽규 | Shift control valve of automatic transmission hydraulic control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9352B2 (en) | Shift control system, shift control method, and shift switching device | |
CN100507318C (en) | Gear shift control system, gear shift control method, and gear position switching device | |
US7107869B2 (en) | Shift control system and shift control method | |
US10668912B2 (en) | Position determining method for a parking lock | |
US10144282B2 (en) | Shift position switching device | |
US7960933B2 (en) | Motor control apparatus | |
JP4302039B2 (en) | Motor control device | |
JP6300858B2 (en) | Electric parking lock device | |
US7040187B2 (en) | Shift control system and shift control method | |
US9416868B2 (en) | Shift-by-wire controller | |
US9403445B2 (en) | Motor controller | |
KR102100267B1 (en) | Position learning system and method of an Electric Shift-By-Wire system | |
JP4346940B2 (en) | Shift control system, shift control method, and shift control device | |
US8942898B2 (en) | Range switchover apparatus | |
US10061305B2 (en) | Controller for determining abnormality of a pulse outputter | |
JP2005069406A (en) |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KR20210057968A (en) | Shift control system | |
KR20100050710A (en) | Control method of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 |
JP6950588B2 (en) | Shift range controller | |
KR20170005225A (en) | Failure diagnosis method for hall sensor of vehicle | |
KR20190043858A (en) | Method for detecting initial position of shift control system, and shift control system implementing the same | |
KR20220091925A (en) | Method for determining and releasing stuck state in shift control system | |
US20140107899A1 (en) | Reference position setting method for automated manual transmission | |
JP2008064239A (en) | Control device for shift switching mechanism | |
US20210194399A1 (en) | Control device for rotary apparatus, rotar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rotar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