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891A - accessory locking device - Google Patents
accessory lock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5891A KR20210055891A KR1020190142221A KR20190142221A KR20210055891A KR 20210055891 A KR20210055891 A KR 20210055891A KR 1020190142221 A KR1020190142221 A KR 1020190142221A KR 20190142221 A KR20190142221 A KR 20190142221A KR 20210055891 A KR20210055891 A KR 202100558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insertion groove
- head part
- accessory
- detachable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abutting each other or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립 형태의 장신구의 양단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장신구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는 상기 헤드부(20)를 상기 삽입홈(71)의 내부로 삽입하면 헤드부(20)가 상기 제1 래칫부재(80)와 탄성부재(90)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홈(71)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탈착부재(A)를 전방으로 밀어 탄성부재(90)를 압축시킴으로써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0)가 배출홈(73)에 대응되도록 탈착부재(A)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후, 탈착부재(A)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을 따라 후퇴되어 탈착부재(A)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탈착부재(A)와 고정부재(B)를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lock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easily coupling both ends of a strip-shaped accessory.
In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1, the head portion 20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ratchet member 80 and the elastic member 90.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part 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part 72 by being fix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71 and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90 by pushing the detachable member (A) forward After rotating the detachable member (A) to one side so that the head part 20 corresponds to the discharge groove 73, and pulling the detachable member (A) rearward, the head part 20 opens the discharge groove (73). Accordingly, it is retracted and the detachable member (A) can be separa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becomes very easy to couple or separate the detachable member (A) and the fixing member (B) from each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트립 형태의 장신구의 양단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장신구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lock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easily coupling both ends of a strip-shaped accessory.
일반적으로, 목걸이나 팔찌 등과 같이 스트립형태로 구성된 장신구는 중간부에 장신구 잠금장치가 구비된다.In general, ornaments configured in a strip shape, such as necklaces or bracelets, are provided with an ornament locking device in the middle.
이러한 장신구 잠금장치는 상기 장신구의 일단에 고정된 탈착부재와,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탈착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B)로 구성되어, 상기 탈착부재를 상기 고정부재(B)에 결합하여 장신구를 링형상으로 잠그거나, 상기 탈착부재를 고정부재(B)로부터 분리하여 장신구를 풀어낼 수 있다.Such an ornament locking device is composed of a detachable member fixed to one end of the ornament, and a fixing member (B)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and capable of detachably coupling the detachable member, thereby fixing the detachable member. It is coupled to the member (B) to lock the ornament in a ring shape, or the detachable member may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member (B) to release the ornament.
그런데, 이러한 장신구 잠금장치는 잠그거나 푸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n accessory locking device has a very cumbersome problem to lock or unlock.
따라서, 잠그거나 푸는 것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장신구 잠금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ccessory lock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that is easy to lock or unlock.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트립 형태의 장신구의 양단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장신구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locking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capable of easily coupling both ends of a strip-shaped accessor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신구(1)의 일단에 고정된 탈착부재(A)와, 상기 장신구(1)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탈착부재(A)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B)를 포함하는 장신구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에 상기 장신구(1)의 일단이 고정되는 삽입바(10)와, 상하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헤드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B)는 전단부에 상기 장신구(1)의 타단이 고정되며 후측면에는 상기 헤드부(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삽입되어 전진되는 삽입홈(71)과 상기 삽입홈(71)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71)을 통해 전진된 헤드부(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된 회전부(72)와 상기 회전부(72)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삽입홈(71)의 내부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72)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된 헤드부(20)가 후퇴되도록 하는 배출홈(73)이 형성된 고정블록(70)과, 상기 삽입홈(7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내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된 상태로 전진된 헤드부(20)가 후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1 래칫부재(80)와, 상기 제1 래칫부재(8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된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90)를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20)를 상기 삽입홈(71)의 내부로 삽입하면 헤드부(20)가 상기 제1 래칫부재(80)와 탄성부재(90)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홈(71)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탈착부재(A)를 전방으로 밀어 탄성부재(90)를 압축시킴으로써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0)가 배출홈(73)에 대응되도록 탈착부재(A)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후, 탈착부재(A)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을 따라 후퇴되어 탈착부재(A)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잠금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tachable member (A) fixed to one end of the ornament (1), and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 (1), and the detachable member (A) can be detachably coupled. In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comprising a fixing member (B) so that the detachable member (A)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홈(73)에는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배출홈(73)을 통해 상기 헤드부(20)가 전방으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 래칫부재(1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잠금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삽입바(10)의 후단부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삽입바(10)의 후단부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재(A)는 상기 삽입바(10)의 후단부가 회전 및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홈(32)이 전면에 형성된 지지블록(3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오목홈(3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단부는 상기 결합홈(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는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스프라인결합된 회전축(40)과, 상기 삽입바(10)에 연결되어 삽입바(10)가 후퇴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50)와, 상기 회전축(40)에 연결되어 회전축(40)이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토션스프링(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40)의 후단부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스토퍼핀(41)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홈(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핀(41)이 삽입되는 삽입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4)은 상기 스토퍼핀(41)과 회전축(40)이 90ㅀ 각도로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록(70)의 후측면 상하측에는 인접면의 간격이 상기 지지블록(30)의 측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지지핀(7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록(70)의 전면 상하측에는 상기 지지핀(75)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잠금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는 상기 헤드부(20)를 상기 삽입홈(71)의 내부로 삽입하면 헤드부(20)가 상기 제1 래칫부재(80)와 탄성부재(90)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홈(71)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탈착부재(A)를 전방으로 밀어 탄성부재(90)를 압축시킴으로써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0)가 배출홈(73)에 대응되도록 탈착부재(A)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후, 탈착부재(A)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을 따라 후퇴되어 탈착부재(A)를 분리할 수 있다.In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따라서, 탈착부재(A)와 고정부재(B)를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becomes very easy to couple or separate the detachable member (A) and the fixing member (B) from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의 탈착부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D-D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2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의 제2 래칫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F-F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G-G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side cross-section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chable member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ixing member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2;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2;
Figure 8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second ratchet member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6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FF of FIG. 18;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GG of FIG. 18;
21 to 26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잠금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장신구(1)의 일단에 고정된 탈착부재(A)와, 상기 장신구(1)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탈착부재(A)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B)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1 to 16 show an accessory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chable member (A) fixed to one end of the accessory (1), and the detachable member (A)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accessory (1) Consisting of a fixing member (B)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is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탈착부재(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에 상기 장신구(1)의 일단이 고정되는 삽입바(10)와, 상하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헤드부(20)로 구성된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member (A),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상기 삽입바(10)는 사각바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후반부에 지지블록(30)이 일체로 구비외어, 상기 지지블록(30)에 구비된 고정고리(31)에 의해 상기 장신구(1)에 고정된다.The
상기 지지블록(30)은 측방향의 폭에 비해 상하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헤드부(20)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기 삽입바(10)의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후측 상하단에 후술하는 제1 래칫부재(80)가 걸리는 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고정부재(B)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구비된 고정고리(74)에 의해 상기 장신구(1)에 고정된 고정블록(70)과, 상기 고정블록(70)의 내부에 구비된 제2 래칫부재(100)와 탄성부재(90) 및 제3 래칫부재로 구성된다.The fixing member (B) is a fixing block (70) fixed to the ornament (1) by a fixing ring (74) provided on the front, as shown in Figs. 2 and 4 to 8, and the fixing block It consists of a
상기 고정블록(70)은 후측면에 상기 헤드부(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삽입되어 전진되는 삽입홈(71)과, 상기 삽입홈(71)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71)을 통해 전진된 헤드부(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된 회전부(72)와, 상기 회전부(72)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삽입홈(71)의 내부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72)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된 헤드부(20)가 후퇴되도록 하는 배출홈(73)이 형성된다.The
상기 삽입홈(71)은 상기 헤드부(20)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회전부(72)는 상기 삽입부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72)의 내부에 삽입된 헤드부(20)가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삽입홈(71)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삽입바(10)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72)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헤드부(20)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20)를 상기 삽입홈(71)을 통해 회전부(72)로 삽입하면, 상기 헤드부(20)가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상기 배출홈(73)은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헤드부(20)의 측방향 폭과 동일하고, 측방향의 폭은 상기 헤드부(20)의 상하방향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상기 회전부(72)의 내부에서 헤드부(20)를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시킨 후, 헤드부(20)를 후방으로 당기면,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을 따라 고정블록(70)의 후방으로 이탈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제1 래칫부재(80)는 상기 삽입홈(71)의 상하측에서 내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탄성이 있는 금속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20)가 삽입홈(71)을 따라 전진될 때 후단부가 외측으로 벤딩되어 헤드부(20)가 삽입홈(71)의 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고, 헤드부(20)가 제1 래칫부재(80)의 위치를 통과하면, 제1 래칫부재(80)의 후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헤드부(20)의 후측 상하단에 걸림으로써, 헤드부(20)가 상기 삽입홈(71)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드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The
이때, 상기 제1 래칫부재(80)는 상기 삽입홈(71)의 후단부에 근접되도록 구비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탄성부재(90)는 상기 제1 래칫부재(8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삽입홈(71)의 상하측에서 내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탄성이 있는 금속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래칫부재(80)를 통과한 헤드부(20)의 전면 상하측을 지지하여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부(20)의 후측면이 상기 제1 래칫부재(80)에 밀착되도록 한다.The
상기 제2 래칫부재(100)는 상기 배출홈(73)의 양측에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탄성이 있는 금속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재(A)를 측방향으로 90ㅀ회전시켜,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으로 삽입되도록 할 경우, 상기 제2 래칫부재(100)의 후단부가 헤드부(20)의 전면에 걸려 헤드부(20)가 배출홈(73)으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고, 헤드부(20)가 배출홈(73)을 따라 후방으로 배출될 경우, 제2 래칫부재(100)는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벤딩되어, 헤드부(20)가 배출홈(73)을 따라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신구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헤드부(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헤드부(20)를 상기 삽입홈(71)에 삽입하면, 상기 헤드부(20)가 제1 래칫부재(80)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삽입홈(71)의 내부 전방으로 슬라이드된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측면이 상기 제1 래칫부재(80)에 밀착되도록 상태로 탄성부재(90)에 의해 지지된다.First, as shown in FIG. 9,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이때, 상기 헤드부(20)는 전단부는 상기 회전부(72)에 삽입되고 후단부는 상기 삽입홈(71)의 내부에 위치되어, 측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탈착부재(A)와 고정부재(B)에 고정된 장신구(1)의 양단이 상호 결합된다.Accordingly, both ends of the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탈착부재(A)를 전방으로 가압하면, 탄성부재(90)가 외측으로 후퇴되면서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지블록(30)을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시키면, 상기 삽입바(10)와 헤드부(20)가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되어,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과 일치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s. 11 and 12, when the user presses the detachable member (A) forward, the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지지블록(30)을 후방으로 당기면,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을 따라 후방으로 후퇴되면서 상기 제2 래칫부재(100)를 외측으로 밀어내고, 최종적으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20)가 배출홈(73)을 후방으로 이탈되어, 탈착부재(A)가 고정부재(B)로부터 분리된다.And, as shown in Figure 15, when the user pulls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신구 잠금장치는 상기 탈착부재(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에 상기 장신구(1)의 일단이 고정되는 삽입바(10)와, 상하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헤드부(20)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B)는 전단부에 상기 장신구(1)의 타단이 고정되며 후측면에는 상기 헤드부(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삽입되어 전진되는 삽입홈(71)과 상기 삽입홈(71)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71)을 통해 전진된 헤드부(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된 회전부(72)와 상기 회전부(72)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삽입홈(71)의 내부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72)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된 헤드부(20)가 후퇴되도록 하는 배출홈(73)이 형성된 고정블록(70)과, 상기 삽입홈(7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내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된 상태로 전진된 헤드부(20)가 후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1 래칫부재(80)와, 상기 제1 래칫부재(8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된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90)를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20)를 상기 삽입홈(71)의 내부로 삽입하면 헤드부(20)가 상기 제1 래칫부재(80)와 탄성부재(90)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홈(71)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탈착부재(A)를 전방으로 밀어 탄성부재(90)를 압축시킴으로써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0)가 배출홈(73)에 대응되도록 탈착부재(A)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후, 탈착부재(A)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을 따라 후퇴되어 탈착부재(A)를 분리할 수 있다.In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member (A)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따라서, 탈착부재(A)와 고정부재(B)를 상호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becomes very easy to couple or separate the detachable member (A) and the fixing member (B) from each other.
특히, 상기 배출홈(73)에는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배출홈(73)을 통해 상기 헤드부(20)가 전방으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 래칫부재(10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출홈(73)으로 헤드부(20)를 삽입하여 탈착부재(A)가 고정부재(B)에 고정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도 1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삽입바(10)의 후단부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삽입바(10)의 후단부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가 형성된다.17 to 26 show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이때, 상기 결합홈(11)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에서 볼 때 정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30)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바(10)의 후단부가 회전 및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홈(3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지지블록(30)의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오목홈(3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단부는 상기 결합홈(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는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스프라인결합된 회전축(40)과, 상기 삽입바(10)에 연결되어 삽입바(10)가 후퇴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50)와, 상기 회전축(40)에 연결되어 회전축(40)이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토션스프링(6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회전축(40)은 전단부가 상기 결합홈(11)에 대응되는 사각형으로 구성되어, 회전축(40)과 삽입바(1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오목홈(32)의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90ㅀ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40)의 후단부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스토퍼핀(41)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홈(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핀(41)이 삽입되는 삽입홈(34)이 형성된다.To this end, a
이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34)은 90ㅀ에 비해 약간 긴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토퍼핀(41)이 삽입홈(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핀(41)과 회전축(40)이 90ㅀ 각도로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20, the
상기 제2 탄성부재(50)는 상기 오목홈(32)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40)의 외측에 구비되며 후단부가 상기 플랜지부(12)에 밀착되어 플랜지부(12)와 삽입바(10)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The second
상기 토션스프링(60)은 상기 회전축(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The
즉, 도 17과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30)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바(10)는 토션스프링(60)에 의해 좌측으로 90ㅀ회전되어 상기 헤드부(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17 and 19 and 20,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상기 헤드부(20)를 상기 결합홈(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블록(30)을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70)의 후측면 상하측에는 인접면의 간격이 상기 지지블록(30)의 측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지지핀(7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록(70)의 전면 상하측에는 상기 지지핀(75)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air of support pins 7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surfaces corresponds to the lateral width of the
따라서, 도 17이나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30)을 측방향으로 90ㅀ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블록(30)을 고정블록(70)의 후측면에 근접시키면,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30)이 상기 지지핀(75)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며,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30)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지지블록(30)을 고정블록(70)의 후측면에 근접시키면, 상기 지지핀(75)이 상기 가이드홈(33)에 삽입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7 or FIG. 19 and FIG. 20,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신구 잠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평상시에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지지블록(30)에 대해 90ㅀ회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도 17과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30)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헤드부(20)가 상합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s. 17 and 19 and 20, since the
따라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부(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20)를 상기 삽입홈(71)에 삽입하면, 헤드부(20)는 상기 제1 래칫부재(80)와 탄성부재(9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탈착부재(A)와 고정부재(B)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7, the user inserts the
이때, 상기 지지블록(30)은 상하면이 상기 지지핀(75)의 사이에 끼워져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탈착부재(A)와 고정부재(B)를 상호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블록(30)을 후방으로 당긴 후,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30)을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시켜 상기 가이드홈(33)이 상기 지지핀(75)과 대응되도록 한 후,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30)을 전방으로 밀면 상기 지지핀(75)이 상기 가이드홈(33)에 삽입된다.And, in order to separate the detachable member (A) and the fixing member (B)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22, after the user pulls the
이때, 상기 삽입바(10)와 헤드부(20)는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지지블록(30)을 더욱 전방으로 밀어,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탄성부재(90)를 밀고 회전부(72)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탄성에 의해 삽입바(10)와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에 대응되도록 반시계방향으로 90ㅀ회전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지지블록(30)을 후방으로 당겨 헤드부(20)가 배출홈(73)을 통해 후방으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탈착부재(A)와 고정부재(B)를 분리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26, when the user pushes the
이아 같이 구성된 장신구 잠금장치는 탈착부재(A)를 고정부재(B)에 결합한 후, 탈착부재(A)를 후퇴시키고 90ㅀ회전시킨 후 다시 전방으로 밀어야 탈착부재(A)가 고정부재(B)로부터 분리된다.In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attaching the detachable member (A) to the fixing member (B), retract the detachable member (A), rotate it 90°, and push it forward again so that the detachable member (A) becomes the fixing member (B). Is separated from
따라서, 단순히 탈착부재(A)를 전방으로 밀어 90ㅀ회전시켜 탈착부재(A)를 분리할 수 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비해 과정이 복잡함으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탈착부재(A)가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ocess is complicated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detachable member (A) can be separated by simply pushing the detachable member (A) forward and rotating 90°, so that the detachable member (A) is unintentionally by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separation more effectively.
A. 탈착부재
10. 삽입바
20. 헤드부
30. 지지블록
B. 고정부재
70. 고정블록
80. 제1 래칫부재
90. 탄성부재
100. 제2 래칫부재A.
20.
80.
100. The second ratchet member
Claims (3)
상기 장신구(1)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탈착부재(A)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고정부재(B)를 포함하는 장신구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부에 상기 장신구(1)의 일단이 고정되는 삽입바(10)와,
상하방향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구성된 헤드부(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B)는
전단부에 상기 장신구(1)의 타단이 고정되며 후측면에는 상기 헤드부(20)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삽입되어 전진되는 삽입홈(71)과 상기 삽입홈(71)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71)을 통해 전진된 헤드부(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된 회전부(72)와 상기 회전부(72)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삽입홈(71)의 내부 양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72)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된 헤드부(20)가 후퇴되도록 하는 배출홈(73)이 형성된 고정블록(70)과,
상기 삽입홈(7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내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된 상태로 전진된 헤드부(20)가 후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1 래칫부재(80)와,
상기 제1 래칫부재(8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71)에 삽입된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90)를 포함하여,
상기 헤드부(20)를 상기 삽입홈(71)의 내부로 삽입하면 헤드부(20)가 상기 제1 래칫부재(80)와 탄성부재(90)의 사이에 끼워져 상기 삽입홈(71)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탈착부재(A)를 전방으로 밀어 탄성부재(90)를 압축시킴으로써 헤드부(20)가 상기 회전부(72)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0)가 배출홈(73)에 대응되도록 탈착부재(A)를 일측으로 회전시킨 후, 탈착부재(A)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헤드부(20)가 상기 배출홈(73)을 따라 후퇴되어 탈착부재(A)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잠금장치.
A detachable member (A) fixed to one end of the accessory (1),
In the accessory locking device comprising a fixing member (B)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accessory (1) and capable of detachably coupling the detachable member (A),
The detachable member (A) is
An insertion bar 10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fixing one end of the accessory 1 at the rear end thereof,
Including a head portion 20 consisting of a rectangular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member (B) is
The other end of the accessory 1 is fixed to the front end, and the head part 20 is inserted in a st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rear side, and the insertion groove 71 and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groove 71 are inserted. The rotation part 72 is formed so that the head part 20 advanc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71 can be rotated, and the rotation part 72 is concave on both inner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71 so that it extends to the rear of the rotation part 72. A fixed block 70 formed with a discharge groove 73 for retreating the head part 20 rotated so as to extend laterally from the rotation part 72,
A first ratchet member 80 that is provided inclined inwardly from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71 to fix the head part 20 advanced whil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1 so as not to retreat,
An elastic member that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ratchet member 80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head part 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1 so that it cannot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part 72 ( 90) including,
When the head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71, the head portion 20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ratchet member 80 and the elastic member 90, an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groove 71 The head part 20 is discharge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part 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otating part 72 by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90 by pushing the detachable member (A) forward. After rotating the detachable member (A) to one side to correspond to the groove (73), and pulling the detachable member (A) rearward, the head portion 20 is retracted along the discharge groove (73) and the detachable member (A) Accessory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able to separate.
상기 배출홈(73)에는 내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배출홈(73)을 통해 상기 헤드부(20)가 전방으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제2 래칫부재(1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ccessory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groove (73) is provided with a second ratchet member (100) that extends obliquely inwardly and rearward to prevent the head portion (20) from being inserted forward through the discharge groove (73) Device.
상기 삽입바(10)의 후단부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삽입바(10)의 후단부 둘레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재(A)는
상기 삽입바(10)의 후단부가 회전 및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홈(32)이 전면에 형성된 지지블록(3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오목홈(3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단부는 상기 결합홈(1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는 가능하되 회전되지 않도록 스프라인결합된 회전축(40)과,
상기 삽입바(10)에 연결되어 삽입바(10)가 후퇴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50)와,
상기 회전축(40)에 연결되어 회전축(40)이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토션스프링(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40)의 후단부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스토퍼핀(41)이 구비되고,
상기 오목홈(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핀(41)이 삽입되는 삽입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4)은 상기 스토퍼핀(41)과 회전축(40)이 90ㅀ 각도로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록(70)의 후측면 상하측에는 인접면의 간격이 상기 지지블록(30)의 측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된 한 쌍의 지지핀(7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록(70)의 전면 상하측에는 상기 지지핀(75)이 삽입되는 가이드홈(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잠금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coupling groove 11 extending forward is form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insertion bar 10,
A flange portion 12 extending outwardly is formed at the circumference of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bar 10,
The detachable member (A) is
A support block 30 having a concave groove 32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bar 10 so as to be rotated and sli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composed of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rea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cave groove 32, and the front end can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the coupling groove 11, but is spline-coupled to prevent rotation (4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50 connected to the insertion bar 10 to elastically press the insertion bar 10 to be retracted,
Further comprising a torsion spring 60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0 to elastically press the rotation shaft 40 to rotate to one side,
A stopper pin 41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rotation shaft 40,
An insertion groove 34 into which the stopper pin 41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groove 32,
The insertion groove 3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opper pin 41 and the rotation shaft 40 rotate forward and backward at a 90° angle,
A pair of support pins 75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7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surfaces corresponds to the lateral width of the support block 30 is provided,
Accessory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groove (33) into which the support pin (75)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ont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ing block (7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221A KR20210055891A (en) | 2019-11-08 | 2019-11-08 | accessory lock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221A KR20210055891A (en) | 2019-11-08 | 2019-11-08 | accessory lock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5891A true KR20210055891A (en) | 2021-05-18 |
Family
ID=7615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2221A Abandoned KR20210055891A (en) | 2019-11-08 | 2019-11-08 | accessory lock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5589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81253A (en) * | 2021-12-23 | 2022-02-25 |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 Wearable equipm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4781Y1 (en) | 2003-05-26 | 2003-08-27 | 주식회사 골드지기 | Locking apparatus for necklace |
-
2019
- 2019-11-08 KR KR1020190142221A patent/KR20210055891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4781Y1 (en) | 2003-05-26 | 2003-08-27 | 주식회사 골드지기 | Locking apparatus for neckla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81253A (en) * | 2021-12-23 | 2022-02-25 |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 Wearable equipment |
CN114081253B (en) * | 2021-12-23 | 2023-08-22 |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 Wearable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45293A (en) | Collapsible structure for a stroller | |
US6523223B2 (en) | Hinge for a foldable bicycle | |
US20110024234A1 (en) | Ladder Chair | |
WO2017096593A1 (en) | Watch band and watch having same | |
US8418407B2 (en) | Safety gate | |
US20140082896A1 (en) | Enhanced slider | |
US20130126449A1 (en) | Anti-theft hand tool rack | |
JP3161642U (en) | Pulling-free plug | |
KR20210055891A (en) | accessory locking device | |
DE60001783T2 (en) | Interconnects | |
EP2941988A1 (en) | Detachable handle for cookware | |
US20160143493A1 (en) | Combination Heightened Toilet Seat Assembly | |
CN110578771A (en) | cord lock | |
DE10308335A1 (en) | Watertight connector, has fastening and loose-movement preventing units to prevent tubular seal form moving forward off fittable portion and to prevent loose backward movement of resilient contact, respectively | |
TWM335745U (en) | Ejection mechanism and card connector | |
CN101396206B (en) | Positioning structure of slide rail release component | |
US9433988B1 (en) | Pipe bender | |
KR102235019B1 (en) | accessory locking device | |
KR100877208B1 (en) | Bending device for metal plate | |
US7290468B1 (en) | Socket adapter having positioning effect | |
JP4443905B2 (en) | Nut and its operating device | |
CN104172675A (en) | Puller of invisible zipper | |
CN104879354B (en) | Section bar connecting lock | |
KR101502525B1 (en) | rivet removal device | |
CN203369512U (en) | Travel luggage with bouncing type pull r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