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882A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2882A KR20210052882A KR1020190138433A KR20190138433A KR20210052882A KR 20210052882 A KR20210052882 A KR 20210052882A KR 1020190138433 A KR1020190138433 A KR 1020190138433A KR 20190138433 A KR20190138433 A KR 20190138433A KR 20210052882 A KR20210052882 A KR 202100528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ontent
- display device
- target objec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86 mem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 G06K9/0075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06V20/47—Detecting features for summarising video cont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를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TV(Television)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For example,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using liquid crystal or a TV (Television) having an OLED display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have.
영상표시장치는, 방송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를 녹화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해당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방송 신호는 위성 방송신호, 케이블 방송신호, 지상파 방송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되는 방송신호 등을 포함한다. The video display device provides a function of recording video content received through a broadcast signal, downloading video content through the Internet, and playing the video content at a time desired by a user. Here, the broadcast signal includes a satellite broadcast signal, a cable broadcast signal, a terrestrial broadcast signal, a broadcast signal streamed through a network, and the like.
한편, 사용자가 영상 컨텐츠의 주요 장면을 빠르게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 컨텐츠를 배속 재생하거나, 임의의 재생 시점을 선택하여 시청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컨텐츠의 주요 장면을 놓칠 수 있고, 주요 장면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quickly grasp the main scenes of the video content, the user plays the video content at double speed or selects a random playback time point to watch. However, depending on the user's manipulation, the main scene of the video content may be missed. , In ord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main scen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s concentration is required.
또한, 사용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요약 영상을 시청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의도 및 선호와 무관하게 기 생성된 요약 영상이 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user may view the summary image provided by the ser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reviously generated summary image is provided irrespective of the user's intention and preferen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또 다른 목적은,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사용자의 의도 및 선호에 최적화된 요약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ummary image optimized for a user's intention and preference among all images of image conten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 중 대상 객체(target object)를 결정하고,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포함하는 요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target object ( target object), determine at least on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object among all the images of the image content, and display a summary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partial image through the display.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 중 대상 객체(target object)를 결정하는 동작,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결정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포함하는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target object among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a sample image, and a target object among all images of the image content.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t least on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and displaying a summary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partial image through display.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객체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만으로 요약 영상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 및 선호에 최적화된 요약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mmary image optimized for a user's intention and preference may be provided by configuring a summary image with only partial image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selected by a user among all images of video content. .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선호에 보다 적합한 객체를 요약 영상의 생성 기준인 특정 객체로서 추천하는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요약 영상의 생성에 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is provided for recommending an object more suitable for the user's intention and preference as a specific object that is a creation criterion for a summary image based on data related to imag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in generating the summary image.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10은,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영상표시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views referenc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diagrams referred to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video display system.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of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identical or extremely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o not impart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by themselves. Therefore,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each other.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possibilities, or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to be understoo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시스템(10)은, 영상표시장치(100) 및/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모니터 등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신호 처리하고, 신호 처리된 방송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가 방송 수신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The
영상표시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케이블(cable)을 통해 유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지상파 방송 신호, 위성 방송 신호, 케이블 방송 신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장치(100)로 각종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수립된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처리되는 각종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예컨대, 원격제어장치(200)로는 마우스, 키보드, 공간 리모콘, 트랙볼, 조이스틱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외부 디바이스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원격제어장치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For example,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mouse, a keyboard, a space remote control, a trackball, and a joystick may be used as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단일의 원격제어장치(200)만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원격제어장치(200)와 동시에 연결되어, 각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하거나, 화면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The
한편, 영상 표시 시스템(10)은,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버(400)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서버(4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수행한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고, 서버(4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입력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또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및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면과 달리,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중, 방송 수신부(105)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 또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튜너부(110)는, 선택된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the
한편, 튜너부(11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The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external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원격제어장치(200)와 통신 네트워크를 수립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The A/V input/output unit may receive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rough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external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The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무선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예를 들면,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1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등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program or the like stored in the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70) 내에 저장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The user
예를 들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본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입력부(16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픽셀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된 복수의 픽셀은, RGBW의 서브 픽셀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복수의 픽셀에 대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 subpixels.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pixels included in the display panel may include RGBW sub-pixels. The
디스플레이(18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3차원 디스플레이(180)는, 무안경 방식과 안경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도 있다.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를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저장매체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영상표시장치(100)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부(105)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요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요약 영상은,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일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a function of displaying a summary image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이때,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요약 영상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ny one of the video content included in the content lis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제어부(170)는,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 중 어느 하나를 대상 객체(target object)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샘플 이미지는, 요약 영상의 표시를 위해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영상표시장치(100)에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The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저장부(140) 및/또는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for a function for displaying a summary image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이때,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지 리스트에 포함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이미지를 샘플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ny one of the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lis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한편, 제어부(170)는, 이미지 리스트에 포함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샘플 이미지로 선택되는 경우,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대상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ny one of the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list is selected as a sample image, the
제어부(170)는, 대상 객체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상 객체의 특징점(keypoint)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PST(Phase stretch transform)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결정할 수 있고,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영상 컨텐츠에 대한 요약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frame)의 특징점과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비교할 수 있고, 복수의 프레임 중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가 포함된 프레임을, 대상 프레임(target frame)으로 결정할 수 있다. The
이때, 제어부(170)는, 대상 프레임 각각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동안 표시되는 영상 컨텐츠의 일부분을, 대상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의 부분 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소정 기준에 따라 복수의 샘플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소정 재생 시간 간격(예: 5초 간격)에 따라 복수의 샘플 프레임이 추출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이때, 제어부(170)는, 추출된 복수의 샘플 프레임의 특징점과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비교할 수 있고,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샘플 프레임을 대상 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이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 모두에 대하여 특징점을 비교하지 않더라도, 샘플 프레임에 대해서만 특징점을 비교하고 요약 영상을 표시할 수 있어, 제어부(170)의 처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Through this, even if the feature points are not compared with respect to all the frames constituting the image content, the feature points can be compared only with respect to the sample frame and a summary image can be displayed, thereby reducing the processing load of the
제어부(170)는, 대상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의 부분 영상을 병합(merge)하여 요약 영상에 대한 데이터(이하,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요약 영상 데이터가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도록,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저장매체로 전달된 요약 영상 데이터는, 영상 컨텐츠와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The
제어부(170)는,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요약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여, 요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When displaying the summary image, the
한편, 제어부(170)는, 대상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의 부분 영상 각각에 대한 시간 정보를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로 결정하여, 영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metadata)에 저장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제어부(170)는,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영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요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the case of displaying the summary image, the
이를 통해, 요약 영상 데이터를 별도로 생성하지 않고,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만 이용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100)나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데이터양을 줄일 수 있다.Through this, the amount of data stored in the
한편,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현재 가능한 영상 컨텐츠와,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현재 불가능한 영상 컨텐츠가 구분되도록,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isplaying a content list for image content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the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요약 영상 데이터가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거나,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가 메타 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영상 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또한, 제어부(170)는,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현재 가능한 영상 컨텐츠와,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현재 불가능한 영상 컨텐츠가 구분하기 위해,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현재 가능한 영상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서버(4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서버(4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 수행의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로 전송된 데이터는,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거나, 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상을 검색한 경우,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해당 검색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검색 키워드, 검색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징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rough the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 경우,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 영상 컨텐츠의 파일 이름) 및 대상 객체에 대한 정보(예: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perform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 summary imag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e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이 실행되고, 요약 영상의 표시와 관련된 영상 컨텐츠가 결정된 경우,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 영상 컨텐츠의 파일 이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고,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function of displaying a summary image is execu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image content related to the display of the summary image is determined, the
이때, 제어부(170)는,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대상 객체를 선택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함에 있어서,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어느 하나를 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2D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촬영부는,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nfrared Radiation) 통신,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at is, if necessary,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nfigured. In addition,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또는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고,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할 수 있다.The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enerated OSD signal may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various menu screens, widgets, and icons of the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SD 생성부(340)는, 포인터를 생성하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믹싱(mixing)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될 수 있다.The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rame rate converter (FRC) 350 may convert a frame rate of an input image. On the other hand, the frame
포맷터(Formatter)(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된 3D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을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3D 시청 장치(미도시)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개방을 위한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할 수 있다.The
한편,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포맷터(360)는, 3D 영상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포맷터(360)는, 2D 영상신호를 3D 영상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신호(L)와 우안 영상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3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3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3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fter the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n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udio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일 뿐,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frame
도 4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a
도 4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user may move or rotate the
도 4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when the user moves the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도 4의 (c)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zoom-in)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zoom-out)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provided in the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한편,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및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만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user presses a specific button in the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ving speed or moving direction of the
도 5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도 5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및/또는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무선통신부(425)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상호 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etween the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Radio frequency)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Infrared radiation)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The
원격제어장치(200)는, IR 모듈(423)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The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435 may include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and a touch screen. A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push)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 unit 435 includes a hard key butto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 unit 435 includes a touch screen,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한편,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user input unit 435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a user can manipul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The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440)는,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및/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구비된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When the
제어부(4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user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coordinat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7 내지 10은,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10 are diagrams referenc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도 6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610 동작에서, 영상 컨텐츠의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operation S610,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620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요약 영상의 표시를 위한 샘플 이미지 및 영상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The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컨텐츠의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샘플 이미지 및 영상 컨텐츠의 결정을 위한 화면(700)이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샘플 이미지의 결정을 위한 화면과, 영상 컨텐츠의 결정을 위한 화면이 다른 시점에 표시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a user input for a function of displaying a summary image of video content is received, it is confirmed that a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40) 및/또는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리스트(710)를 표시할 수 있고, 이미지 리스트에 포함된 이미지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샘플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The
이때, 이미지 리스트에 포함된 이미지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프리뷰 이미지(730)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ny one of the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list is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720)를 표시할 수 있고,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컨텐츠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요약 영상의 표시를 위한 영상 컨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때,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현재 가능한 영상 컨텐츠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740)가 컨텐츠 리스트(720)에 표시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n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630 동작에서,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를 대상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6, in operation S630, the
도 8을 참조하면,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대상 객체를 선택하는 화면(800)이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a
이때,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화면(800)에 표시된 포인터(205)를 이동시킴으로써 일부 영역(810)을 지정한 경우, 일부 영역(810)에 대응하는 객체가 대상 객체로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designates a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640 동작에서, 대상 객체의 특징점과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의 특징점을 비교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6, in operation S640, 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PST(Phase stretch transform) 등과 같은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상 객체의 특징점과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의 특징점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소정 기준에 따라 복수의 샘플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복수의 샘플 프레임의 특징점과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비교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650 동작에서, 대상 객체의 특징점과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의 특징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대상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S650, 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복수의 프레임 중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대상 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660 동작에서,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대상 프레임에 기초하여,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외부 저장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In operation S660, 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대상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 컨텐츠의 부분 영상을 병합(merge)하여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67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요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요약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여, 요약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660 동작에서, 요약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고, 대상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 각각에 대한 시간 정보를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로 결정하여, 영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저장할 수도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S660, the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S670 동작에서, 영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영상 컨텐츠 중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요약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해 요약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9A and 9B, it can be seen that a summary image is displayed through the
요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900)에는, 현재 요약 영상이 표시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910)가 표시될 수 있다.On the
한편, 요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900)에는, 영상의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920) 및 영상의 제목에 대한 정보(930)가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on the
이때, 영상표시장치(100)가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요약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도 9a와 같이, 요약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간이 영상의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920)로서 표시되고, 요약 영상 데이터의 파일 이름이 영상의 제목에 대한 정보(930)로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한편, 영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도 9b와 같이, 영상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이 영상의 재생 시간에 대한 정보(920)로서 표시되고, 영상 컨텐츠의 파일 이름이 영상의 제목에 대한 정보(930)로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 summary image is displayed based on time information on the summary image stored in the metadata of the video content, as shown in FIG. 9B, the total playback time of the video content is displayed as
또한, 영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940)가 요약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900)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9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영상 부분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n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홈 화면(1100)에는,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on 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의 홈 화면(1100)에는, 사용자가 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이력에 대한 정보(1111), 영상표시장치(100)와 동기화된 외부장치에 저장된 사진에 대한 정보(1112), 사용자의 관심 주제로 설정되어, 실시간으로 내용이 업데이트되는 정보(1113) 등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on the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정보를 홈 화면(1100)의 일 영역(11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저장부(140) 및/또는 서버(4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웹 사이트에 대한 정보(1130)나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에 대한 정보(1150) 등을 홈 화면(1100)의 일 영역(1120)에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based on the user's usage history stored in the
이때,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현재 가능한 영상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1140)도 홈 화면(1100)의 일 영역(11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현재 가능한 영상 컨텐츠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1141)도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1140)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re is video content currently available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a summary video from an external storage medium,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12a 및 12b는 영상표시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1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A and 12B are views referenced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system. Detailed descriptions of content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in FIGS. 6 to 10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1101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고, 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영상을 검색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operation S1101,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1102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정보를 검색한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102, the
이때, 서버(400)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검색 키워드, 검색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특징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검색되고, 특정 컨텐츠의 주인공에 대한 이미지가 검색 결과로 영상표시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검색 키워드인 특정 컨텐츠의 제목과, 특정 컨텐츠의 주인공의 얼굴에 대한 특징점이 포함된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ata transmitted to the
서버(400)는, S1103 동작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가 수행한 동작의 이력과 관련된 사용자별 사용 이력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제목이 수신되는 경우, 서버(400)는 특정 컨텐츠의 제목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의 카테고리(예: 드라마, 다큐멘터리 등)을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title of a specific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또한, 서버(4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주인공의 얼굴에 대한 특징점이 포함된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특정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객체를 '사람'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ata including feature points for a face of a protagonist of a specific content are received from the
이때, 특정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객체가, 보다 구체적으로 주인공에 해당하는 인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주인공의 얼굴에 대한 특징점이 특정 컨텐츠의 카테고리 또는 특정 컨텐츠의 제목과 맵핑(mapping)되어 서버(400)에 저장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of the specific content may be more specifically determined as a person corresponding to the protagonist, and the feature point of the protagonist's face is mapped to the category of the specific content or the title of the specific content, and the server 400 ) Can also be stored.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및 서버(400)는, 영상 컨텐츠의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기 전까지, S1101 동작 내지 S1103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1104 동작에서, 영상 컨텐츠의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1105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요약 영상의 표시를 위한 샘플 이미지 및 영상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1106 동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서,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영상 컨텐츠의 제목을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서버(400)는, S1107 동작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image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예를 들면, 서버(4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의 제목에 기초하여, 해당 영상 컨텐츠의 카테고리(예: 드라마)를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때, 서버(400)는, 해당 영상 컨텐츠의 카테고리(예: 드라마)에 맵핑된 객체에 대한 정보(예: 사람)이 포함된 데이터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1108 동작 및 S1109 동작에서,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어느 하나를 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를 대상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S1108 and operation S1109, the
도 12a를 참조하면,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대상 객체를 선택하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200)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A, a
이때,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객체에 대한 정보가 사람)에 관한 것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사람에 해당하는 객체를 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1210, 1220)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대상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information on the object received from the
한편, 도 12b를 참조하면,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객체에 대한 정보가 동물에 관한 것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 중 동물에 해당하는 객체를 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1215, 1220)를 표시할 수도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2B, when information on an object received from the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S1110 동작에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대상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1, in operation S1110, the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컨텐츠의 제목 및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서버(400)는, S1111 동작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대상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사용 이력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111,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1112 동작에서, 대상 객체의 특징점과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의 특징점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장치(100)는, PST(Phase stretch transform) 등과 같은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대상 객체의 특징점과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의 특징점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112, the
영상표시장치(100)는, S1113 동작에서, 대상 객체의 특징점과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의 특징점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 중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대상 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고, 대상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영상 컨텐츠에 대한 요약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operation S1113,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객체에 대응하는 부분 영상만으로 요약 영상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 및 선호에 최적화된 요약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4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예: 영상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 및 선호에 보다 적합한 객체를 요약 영상의 생성 기준인 특정 객체로서 추천하는 가이드를 표시함으로써, 요약 영상의 생성에 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mmary image optimized for the user's intentions and preferences can be provided by configuring a summary image with only partial image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selected by the user among all images of the image content. I can. In addition, based on data related to video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er 400 (eg, information on an object corresponding to a category of video content), an object more suitable for the user's intention and preference is specified as a creation criterion for the summary video. By displaying a guide recommended as an objec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in generating a summary image.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recording medi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 중 대상 객체(target object)를 결정하고,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상기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포함하는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 a target object among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sample image,
Determine at least on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object among all images of the image content,
And displaying a summary image including the at least one partial image through the displ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샘플 이미지로부터 상기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프레임(frame) 중, 상기 대상 객체의 특징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프레임(target frame)을 결정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부분 영상을 결정하고,
상기 부분 영상 각각은, 상기 대상 프레임 각각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동안 표시되는 상기 영상 컨텐츠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Extracting feature points of the target object from the sample image,
Determine at least one target frame corresponding to a feature point of the target object from among a plurality of frames included in the video content,
Determining th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frame among all images of the image content,
Each of the partial images is a portion of the image content displayed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each of the target fram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에서 소정 기준에 따라 추출된 복수의 샘플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를 포함하는 샘플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a sample frame including the target object from among a plurality of sample frames extr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from the plurality of frames as the target fra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샘플 프레임 각각의 특징점과, 상기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샘플 프레임이 상기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샘플 프레임 중, 상기 대상 객체의 특징점을 포함하는 샘플 프레임을 상기 대상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By comparing the feature poin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ample frames with the feature points of the target objec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lurality of sample frames include the feature points of the target object,
And determining a sample frame including a feature point of the target objec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ample frames as the target frame.
외부장치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중, 상기 요약 영상의 표시를 위한 상기 영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each other,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the image content for displaying the summary image from among at least one content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user in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병합(merge)하여, 상기 요약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요약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요약 영상에 대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Merge the at least one partial image to generate data for the summary image,
Transmitting data on the summary imag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displaying the summary image by receiving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on the summary image from the exter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 각각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를 상기 영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metadata)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저장된 상기 요약 영상에 대한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tim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partial image as time information for the summary image,
Storing time information on the summary video in metadata of the video content,
And displaying the summary image by receiving a video signal corresponding to time information on the summary video stored in metadata of the video content from the external dev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가능한 영상 컨텐츠와, 상기 요약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한 영상 컨텐츠가 구분되도록, 상기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and 7,
The control unit,
When displaying a content list of the at least one video content stored in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display, video content capable of receiving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ummary image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corresponding to the summary image Displaying the content list so that video content that cannot receive a video signal is identified.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컨텐츠 중 상기 요약 영상의 표시를 위한 영상 컨텐츠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대상 객체로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network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The control unit,
When the image content for displaying the summary image among the at least one image cont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imag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Receiving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from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And displaying a guide for guiding to select any one of the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sample image as the target object based on information on the object received from the serv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상기 대상 객체가 결정된 경우,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대상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target object is determined from among the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sample imag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ransmits dat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image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target object to the server.
샘플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object) 중 대상 객체(target object)를 결정하는 동작;
영상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 상기 대상 객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결정하는 동작;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분 영상을 포함하는 요약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In the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Determining a target object from among at least one object included in the sample image;
Determining at least on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object from among all the images of the image cont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ing a summary image including the at least one partial image through a displa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8433A KR20210052882A (en) | 2019-11-01 | 2019-11-01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8433A KR20210052882A (en) | 2019-11-01 | 2019-11-01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2882A true KR20210052882A (en) | 2021-05-11 |
Family
ID=7591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8433A Pending KR20210052882A (en) | 2019-11-01 | 2019-11-01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5288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48405A1 (en) * | 2021-09-24 | 2023-03-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edi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
2019
- 2019-11-01 KR KR1020190138433A patent/KR20210052882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48405A1 (en) * | 2021-09-24 | 2023-03-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edi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49297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2147214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10219045B2 (en) | Server,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imag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same | |
KR102187745B1 (en) |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246904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210135851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210052882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2782042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102295970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2270105B1 (en) |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309315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12184924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2205160B1 (en) | Method for operating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 |
US20230397124A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12231735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US12301946B2 (en) | Mobile terminal | |
KR101836846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20160062479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250002307A (en) | Video display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 |
KR20170013736A (en) | Image providing apparatus | |
KR101945811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230116662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40089794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882214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20140047427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