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51253A -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253A
KR20210051253A KR1020190136274A KR20190136274A KR20210051253A KR 20210051253 A KR20210051253 A KR 20210051253A KR 1020190136274 A KR1020190136274 A KR 1020190136274A KR 20190136274 A KR20190136274 A KR 20190136274A KR 20210051253 A KR20210051253 A KR 20210051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fixing member
flange
side fl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21452B1 (ko
Inventor
최철은
김시환
장홍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21452B1/ko
Priority to EP20883461.4A priority patent/EP4004324A4/en
Priority to PCT/KR2020/012105 priority patent/WO2021085839A1/en
Priority to US17/037,610 priority patent/US12234683B2/en
Publication of KR2021005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82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214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8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specially adapted for sheet metal frame members with an open U-shap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06B3/827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of metal without an internal frame, e.g. with exterior panels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part of which remains vi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hooking protrusions on the connecting piece in openings of the frame member, e.g. by snap-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with screws blocking the connecting piece inside or on the fram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8Stoves do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가 개시된다. 가전기기는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절곡되는 복수의 플랜지, 상기 복수의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는 절개부, 상기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코너 커버부와 후면 커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코너의 구조를 개선한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조리실 또는 세척실 등 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챔버를 가지고,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도어의 외관을 이루는 섀시, 글라스 및 내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섀시는 한 장의 패널로 이루어져 있고 상하좌우로 밴딩되어 도어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 경우 섀시의 코너부는 밴딩을 위해 절개된다. 코너부에 날카로운 전단면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단면이 형성되는 코너부를 용접하거나, 절개부를 코너가 아닌 부분에 형성하여 캡으로 차폐하는 구조를 적용하였다.
다만 용접의 경우 공정이 복잡해져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코너부를 절개하지 않는 경우 코너부 엣지의 반경을 작게 하면 그 표면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과 섀시를 체결부재로 고정시키는 경우 캡에 직접적으로 응력이 작용해 캡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순한 구조를 통해 도어의 날카로운 코너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도어의 엣지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커버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기기는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절곡되는 복수의 플랜지, 상기 복수의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는 절개부, 상기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랜지는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 1 어퍼플랜지,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 1 사이드플랜지, 상기 제 1 어퍼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어퍼플랜지,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사이드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어퍼플랜지와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 1 어퍼플랜지와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절개부, 상기 제 2 어퍼플랜지와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 절개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코너 커버부, 상기 제 2 절개부 및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후면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 커버부는 상기 제 1 어퍼플랜지의 내면과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제 1 돌기,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의 내면과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제 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 커버부의 외면은 상기 제 1 어퍼플랜지와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의 외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코너커버부 및 상기 후면커버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코너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연결지점에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부는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는 상기 결합돌기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부는 상기 제 2 어퍼플랜지 및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의 일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스틸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일부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복수의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제 1 체결홀이고, 상기 복수의 플랜지 중 하나는 상기 제 1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도어는 상기 도어의 전면, 상면, 측면과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섀시, 상기 섀시의 코너에 절개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후면의 일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서, 상기 커버부재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후면의 일부에 체결되도록 체결홀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와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후면의 일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면과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절개부, 상기 상면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후면의 일부와 상기 측면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후면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 절개부에 안착되는 코너커버부, 상기 제 2 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후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후면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도어는 패널, 상기 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랜지, 상기 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 1 사이드플랜지,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패널과 마주보게 마련되는 제 2 플랜지,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패널과 마주보게 마련되는 제 2 사이드플랜지, 상기 패널이 절곡되도록 코너 측에서 절개되는 절개부, 상기 패널의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재질보다 강도가 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섀시에 형성된 날카로운 절개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통해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절개부를 용접 없이 커버함으로서 도어의 제작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어의 섀시 코너부 반경을 작게 형성하여 도어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해 커버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하여 커버부재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제 1 도어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어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서 커버부재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코너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코너 배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서 섀시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서 섀시에 고정부재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서 섀시와 고정부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에서 커버부재가 섀시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경우 가전기기 중 오븐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내부케이스(미도시) 및 외부케이스(20)를 포함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미도시)에는 복수의 챔버(30, 30a)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20)는 내부케이스(미도시)의 외측에 결합되어 오븐(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미도시)와 외부케이스(20)는 각각 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챔버(30, 30a)는 제1챔버(30) 및 제2챔버(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챔버(30)는 제2챔버(30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챔버(30, 30a)는 조리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음식을 수납하도록 이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일 수 있다.
오븐(1)은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챔버(30, 30a)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100, 100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00, 100a)는 제1챔버(30)를 개폐하는 제1도어(100) 및 제2챔버(30a)를 개폐하는 제2도어(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100)는 외부에서 오븐(1)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전면글라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어(100a) 역시 제2전면글라스(13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100) 전면의 상부에는 제1도어(100)가 제1챔버(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1도어핸들(11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도어(100a) 전면의 상부에도 제2도어(100a)가 제2챔버(3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2도어핸들(110a)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챔버(30, 30a)가 형성되는 내부케이스(미도시)와 오븐(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20) 사이의 공간에는 오븐(1)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각종 부속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품을 수용하는 전장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오븐(1)의 도어(100, 100a) 및 챔버(30, 30a)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도어(100) 및 챔버(30)를 가지는 오븐에도 본 발명이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00)(이하 도어로 명명)는 도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섀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도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의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섀시(200)의 자세한 구조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100)는 후면글라스(160) 및 후면글라스(160)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5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글라스(160)는 고정프레임(15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후면글라스(160)는 제1챔버(30)를 밀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는 후면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패널(140)은 도어(100)의 후방에 장착되어 도어(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패널(140)은 도어(100)가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을 커버하여 도어(100)의 후면 외관을 깔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어(100)는 복수의 락킹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락킹장치(120)는 도어(100)가 본체(1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되도록 도어(100)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락킹장치(120)는 후면패널(1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락킹장치(120)는 복수로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00)는 하나의 락킹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코너에 커버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500)는 섀시(200)에 부착되어 도어(100) 섀시(200)의 날카로운 절단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섀시(200)의 절단면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100)의 코너와 관련된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도 2 내지 도 7d의 도면에서는 대표로 제1도어(100)에 대해서 도시 및 서술하나, 동일한 구성이 제2도어(100a)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어(100)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는 도어(100)의 전면, 상면, 하면, 측면 및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섀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도어(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10)은 한 장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패널(210)의 가장자리는 각각 절곡되어 섀시(200)는 대략 일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로부터 절곡되는 복수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의 상방에서 절곡되어 도어(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1어퍼플랜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어퍼플랜지(220)는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내측 방향은 오븐(1)의 챔버(3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섀시(200)는 제1어퍼플랜지(220)에서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어(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어퍼플랜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10), 제1어퍼플랜지(220), 제2어퍼플랜지(240)는 대략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의 측방에서 절곡되어 도어(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사이드플랜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플랜지(230)는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섀시(200)는 제1사이드플랜지(230)에서 도어(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어(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2사이드플랜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10), 제1사이드플랜지(230),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대략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의 절곡을 위해 섀시(200)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260)는 섀시(200)의 코너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60)는 제1어퍼플랜지(220)와 제1사이드플랜지(23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절개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260)는 제2어퍼플랜지(24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절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210)로부터 절곡되어 마련된 제2어퍼플랜지(24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제2어퍼플랜지(24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도어(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어퍼플랜지(24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고정부재(300)가 삽입되도록 각각 삽입홀(241, 25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커버부재(500)가 삽입되도록 결합홀(2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전면패널(210)이 절곡되는 형상을 고정하기 위해 섀시(20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00)는 제2어퍼플랜지(24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0)는 제2어퍼플랜지(240) 및 제2사이드플랜지(250)와 평행하게 마련되어 밀착될 수 있다. 바디(310)에는 고정부재(300)가 제2사이드플랜지(250)에 결합되도록 제1체결홀(33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제2어퍼플랜지(240)의 삽입홀과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도록 바디(3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장부는 제2어퍼플랜지(240)의 삽입홀(241)에 삽입되는 제1연장부(320) 및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삽입홀(251)에 삽입되는 제2연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고정부재(300)의 제1체결홀(333)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홀(333)과 제2체결홀(222)을 결합부재(400)가 관통하여 고정부재(300)를 섀시(200)에 고정결합 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스크류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벳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결합을 위한 부재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고정부재(300)는 프레스 가능한 스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섀시(200)의 절개부(260)와 고정부재(300) 및 결합부재(400)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500)는 코너커버부(510)와 후면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는 제1절개부(261)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는 제1절개부(261)의 형상에 대응하여 도어(1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절개부(261)에 안착될 수 있다.
후면커버부(520)는 제2절개부(262) 및 고정부재(30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부(520)는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0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500)의 자세한 형상은 후술한다.
도 3에서는 전면패널(210)이 절곡되어 복수의 플랜지가 도어의 상면, 측면 및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어(100)의 코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면패널(210)은 절곡되어 도어(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어(100)의 코너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5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500)는 제1절개부(261)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코너커버부(510)와 제2절개부(262)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후면커버부(520)를 포함한다.
코너커버부(510)는 제1절개부(261)에 안착되어 섀시(200)의 날카로운 전단면을 커버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는 도어(100)의 코너를 형성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는 제1어퍼플랜지(220)의 내면과 간섭되도록 돌출되는 제1돌기(511)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는 제1사이드플랜지(230)의 내면과 간섭되도록 돌출되는 제2돌기(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511)는 제2돌기(512)에 비해 그 돌출되는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1돌기(511)를 먼저 제1어퍼플랜지(220)의 내면에 간섭되도록 삽입하고, 커버부재(500)를 회전시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2돌기(512)를 제1사이드플랜지(230)의 내면에 간섭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제1돌기(511)와 제2돌기(512)가 제1어퍼플랜지(220) 및 제1사이드플랜지(230)에 걸리게 되어 커버부재(500)가 도어(100)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500)를 도어(1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돌기(511)와 제2돌기(512)는 제2어퍼플랜지(240) 및 제2사이드플랜지(250)에도 간섭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500)가 도어(100)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는 도어(1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략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면커버부(520)는 가이드돌기(5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522)는 후면커버부(520)에서 섀시(20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522)는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삽입홀(251)에 삽입되어 커버부재(500)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가이드돌기(522)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후면커버부(520)는 결합돌기(5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523)는 후면커버부(520)에서 섀시(20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523)는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결합홀(253)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돌기(523)가 결합홀(253)에 삽입되어 커버부재(500)는 섀시(2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후면커버부(520)는 대략 사각형의 캡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500)는 코너커버부(510)와 후면커버부(52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보강리브(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530)는 코너커버부(510)와 후면커버부(520)의 연결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커버부재(50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530)는 섀시(200)의 제1절개부(261)의 일부와 제2절개부(262)의 일부에 삽입되어 커버부재(500)가 섀시(200)에 안정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부재(500)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500)는 사출 형성되거나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500)의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섀시의 날카로운 단면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결합부재를 커버하여 후면 외관을 깔끔하게 형성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의 코너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어퍼플랜지(24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에 고정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에 결합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300)가 샤시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재(500)는 고정부재(300) 및 결합부재(400)를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500)의 후면커버부(520)는 내측에 고정부재(300)와 결합부재(4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5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부(520)는 제2어퍼플랜지(240) 및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일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500)에 결합부재(400)를 직접 결합시키지 않는 구조를 통해 커버부재(500)에 작용하는 하중 또는 응력 집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버부재(500)의 크랙을 방지하는 등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100)의 코너 배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500)의 코너커버부(510)는 제1절개부(261)에 안착되어 제1절개부(261)를 커버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의 외면은 제1어퍼플랜지(220)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일정간격(d)만큼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코너커버부(510)는 제1사이드플랜지(230)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일정간격(d)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섀시(200)의 전단면과 코너커버부(510) 사이의 틈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는 제1절개부(261)를 둥글게 커버하며 도어(100)의 코너를 형성하도록 곡률반경(R)을 가질 수 있다. 섀시(200)를 절곡시켜 도어(100)의 코너를 형성하지 않고 커버부재(500)의 코너커버부(510)를 섀시(200)의 제1절개부(261)에 안착시키는 구조를 통해 도어(100)의 코너는 일정한 곡률반경(R)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곡률반경(R)은 2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 코너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시(200)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시(200)에 고정부재(300)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시(200)에 고정부재(300)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500)가 섀시(200)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는 도어(100)의 전면, 측면 및 후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섀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의 상방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어퍼플랜지(220) 및 전면패널(210)의 측방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어퍼플랜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섀시(200)는 제1어퍼플랜지(22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어퍼플랜지(240) 및 제1사이드플랜지(230)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사이드플랜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어퍼플랜지(240)는 고정부재(300)의 제1연장부(3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고정부재(300)의 제2연장부(33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홀(2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삽입홀(251)은 커버부재(500)의 가이드돌기(522)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돌기(522)의 삽입 공간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결합부재(400)가 결합되기 위한 제2체결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플랜지(250)는 커버부재(500)의 결합돌기(523)가 삽입되도록 결합홀(2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 및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00)에는 고정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300)의 제1연장부(320)는 제2어퍼플랜지(240)의 삽입홀(241)에 삽입되고 제2연장부(330)는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삽입홀(251)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의 바디(310)는 제2어퍼플랜지(240) 및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상측에 밀착되어 평행하게 놓여질 수 있다.
고정부재(300)의 바디(310)는 제1체결홀(33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0)에 형성된 제1체결홀(333)과 제2사이드플랜지(250)에 형성된 제2체결홀(222)을 통해 결합부재(400)가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부재(300)와 섀시(2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섀시(200)의 전면패널(210)과 제1어퍼플랜지(220), 제2어퍼플랜지(240)가 이루는 각도 및 전면패널(210)과 제1사이드플랜지(230), 제2사이드플랜지(250)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300)는 이러한 각도가 공정 상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 섀시(200)에 삽입되어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열이나 외력에 의해 전면패널(210)의 절곡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300)는 섀시(200)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a 및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00)는 전면패널(210)이 절곡되기 위한 절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260)는 제1절개부(261)와 제2절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개부(261)는 제1어퍼플랜지(220)와 제1사이드플랜지(23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개부(262)는 제2어퍼플랜지(24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260)로 인해 섀시(200)의 날카로운 단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어(100)는 이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500)는 제1절개부(261)를 커버하는 코너커버부(510) 및 제2절개부(262)를 커버하는 후면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커버부(510)는 제1절개부(261)에 안착되어 도어(100)의 코너를 형성할 수 있다. 후면커버부(520)는 고정부재(300) 및 결합부재(400)를 커버할 수 있다. 후면커버부(520)의 결합돌기(523)는 제2사이드플랜지(250)의 결합홀(253)에 삽입되고, 후면커버부(520)의 일부는 제2어퍼플랜지(240)와 제2사이드플랜지(25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후면커버부(520)는 내부에 고정부재(300) 및 결합부재(4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5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섀시(200)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당하는 고정부재(300)의 구성과 섀시(200)의 단면과 고정부재(300)를 커버하는 커버부재(500)의 구성을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커버부재(50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프레스 형성 가능한 스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부재(500)의 재질보다 강도가 큰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500)의 제작은 용이하게 하면서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500)의 구성을 통해 용접 없이 도어(100)의 코너를 매끄럽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의 제작 공정이 간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품질을 담보할 수 있으며 도어(100)의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오븐
10; 본체
100; 제1도어
100a; 제2도어
200; 섀시
210; 전면패널
220; 제1어퍼플랜지
230; 제1사이드플랜지
240; 제2어퍼플랜지
250; 제2사이드플랜지
260; 절개부
300; 고정부재
400; 결합부재
500; 커버부재
510; 코너커버부
520; 후면커버부
530; 보강리브

Claims (20)

  1. 챔버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챔버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절곡되는 복수의 플랜지;
    상기 복수의 플랜지 사이에 마련되는 절개부;
    상기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플랜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랜지는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상면을 형성하는 제 1 어퍼플랜지;
    상기 전면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 1 사이드플랜지;
    상기 제 1 어퍼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어퍼플랜지;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사이드플랜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2 어퍼플랜지와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에 결합되는 가전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 1 어퍼플랜지와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절개부;
    상기 제 2 어퍼플랜지와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절개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 절개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코너 커버부;
    상기 제 2 절개부 및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후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커버부는
    상기 제 1 어퍼플랜지의 내면과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제 1 돌기;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의 내면과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제 2 돌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커버부의 외면은 상기 제 1 어퍼플랜지와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의 외면보다 돌출되는 가전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코너커버부 및 상기 후면커버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코너커버부와 상기 후면커버부의 연결지점에 형성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부는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는
    상기 결합돌기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홀;을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부는 상기 제 2 어퍼플랜지 및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의 일부분에 접착되는 가전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스틸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랜지의 일부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복수의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제 1 체결홀이고,
    상기 복수의 플랜지 중 하나는 상기 제 1 체결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홀;을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6.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도어로서,
    상기 도어의 전면, 상면, 측면과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섀시;
    상기 섀시의 코너에 절개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후면의 일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서, 상기 커버부재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후면의 일부에 체결되도록 체결홀을 갖는 바디; 및
    상기 바디와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후면의 일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도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상면과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절개부;
    상기 상면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후면의 일부와 상기 측면으로부터 구부러져 형성되는 후면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 절개부에 안착되는 코너커버부;
    상기 제 2 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후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후면커버부;를 포함하는 도어.
  19.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도어로서,
    패널;
    상기 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제1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랜지;
    상기 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 1 사이드플랜지;
    상기 제 1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패널과 마주보게 마련되는 제 2 플랜지;
    상기 제 1 사이드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패널과 마주보게 마련되는 제 2 사이드플랜지;
    상기 패널이 절곡되도록 코너 측에서 절개되는 절개부;
    상기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2 사이드플랜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상기 절개부와 상기 고정부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재질보다 강도가 큰 재질을 포함하는 도어.
KR1020190136274A 2019-10-30 2019-10-30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Active KR10282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74A KR102821452B1 (ko) 2019-10-30 2019-10-30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EP20883461.4A EP4004324A4 (en) 2019-10-30 2020-09-08 DOOR AND HOUSEHOLD APPLIANCE WITH IT
PCT/KR2020/012105 WO2021085839A1 (en) 2019-10-30 2020-09-08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US17/037,610 US12234683B2 (en) 2019-10-30 2020-09-29 Door and home applian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274A KR102821452B1 (ko) 2019-10-30 2019-10-30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253A true KR20210051253A (ko) 2021-05-10
KR102821452B1 KR102821452B1 (ko) 2025-06-18

Family

ID=7568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274A Active KR102821452B1 (ko) 2019-10-30 2019-10-30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2234683B2 (ko)
EP (1) EP4004324A4 (ko)
KR (1) KR102821452B1 (ko)
WO (1) WO2021085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6421B1 (ko) * 2020-03-31 2025-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US20220404027A1 (en) * 2021-06-17 2022-12-22 Midea Group Co., Ltd. Appliance corner ca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743A (ja) * 1998-08-03 2000-02-22 Ykk Corp ガラスユニ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並びにガスケット連結装置
JP2004003165A (ja) * 2002-05-31 2004-01-08 Cleanup Corp 住宅設備機器の扉およびそのコーナー部品
JP2008308843A (ja) * 2007-06-13 2008-12-25 G S K Hanbai Kk 扉コーナーキャップ
KR20180133296A (ko) * 2017-06-06 2018-12-14 고동희 도어의 유리창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9948A (en) * 1929-10-30 1931-11-03 Detroit Vapor Stove Company Stove door
US4196952A (en) 1978-10-02 1980-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Cabinet corner cap assembly
KR101206813B1 (ko) * 2007-09-21 2012-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패널 및 그 가공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조리 기기
KR20100052736A (ko) * 2008-11-11 2010-05-20 (주)에이.티.아이 건축 외장용 알루미늄 압출재의 모서리 결합구조
US20110089721A1 (en) * 2009-10-15 2011-04-21 Plastoform Blanca Ii D.O.O. Module frame
US8028489B1 (en) * 2010-01-07 2011-10-04 Lawrence Barry G Framed window screen and connector
US8403585B2 (en) * 2011-06-13 2013-03-26 Ralph Anthony Falconer Miter joint bracket and method of using
DE102011107589B4 (de) * 2011-07-11 2014-08-21 Ips Insect Protect Systems Gmbh Schutzgitter sowie Eckverbinder hierfür
KR20130011485A (ko) 2011-07-21 201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도어
KR200468092Y1 (ko) * 2011-12-01 2013-07-22 원영식 모서리에 완충부가 구비된 철재 여닫이문
US10480243B2 (en) * 2013-10-25 2019-11-19 Rcrew, Inc. Two piece window edge corne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CA2931472C (en) * 2015-01-28 2018-03-20 Wuxiang Wei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CN204718256U (zh) * 2015-05-21 2015-10-21 南京创维家用电器有限公司 一种带护角的冰箱门体及采用该冰箱门体的嵌入式冰箱
WO2020147903A1 (en) * 2019-01-14 2020-07-23 Vkr Holding A/S Frame solution for laminated vig unit
US20200256115A1 (en) * 2019-02-12 2020-08-13 James A. Vitello Garage Door Wind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743A (ja) * 1998-08-03 2000-02-22 Ykk Corp ガラスユニット及びその組立方法並びにガスケット連結装置
JP2004003165A (ja) * 2002-05-31 2004-01-08 Cleanup Corp 住宅設備機器の扉およびそのコーナー部品
JP2008308843A (ja) * 2007-06-13 2008-12-25 G S K Hanbai Kk 扉コーナーキャップ
KR20180133296A (ko) * 2017-06-06 2018-12-14 고동희 도어의 유리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839A1 (en) 2021-05-06
KR102821452B1 (ko) 2025-06-18
US12234683B2 (en) 2025-02-25
EP4004324A1 (en) 2022-06-01
EP4004324A4 (en) 2022-08-24
US20210131171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5371B2 (en) Domestic appliance, in particular dishwasher
KR20210051253A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JP6444759B2 (ja) 箱体の扉
KR20200045751A (ko) 냉장고 도어의 조립구조
KR102766421B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180022236A (ko) 냉장고
US10752109B2 (en) Structure of fuel filler door for vehicle
US20230294580A1 (en) Armrest for vehicle
JP5385227B2 (ja) ドア
JP5327118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組付構造
JP6111888B2 (ja) ドアトリム
JP7306246B2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JP6494542B2 (ja) 折戸
JP7234786B2 (ja) 車両用外装部材の取付構造
KR20090090837A (ko) 도어힌지
JP4338324B2 (ja) キャビネットトレイ
KR20160023451A (ko) 냉장고
JP2008101813A (ja) 冷蔵庫
KR20220085383A (ko) 냉장고
JP6835598B2 (ja) 引手およびそれを用いた収納扉
JP3172935B2 (ja) 引出し装置
JP2023005704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H07246119A (ja) 合成樹脂製引き出しの前部構造
KR20210147271A (ko) 냉장고의 도어
KR20230065618A (ko) 창호용 레일 스토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3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